KR20110057902A -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902A
KR20110057902A KR1020090114520A KR20090114520A KR20110057902A KR 20110057902 A KR20110057902 A KR 20110057902A KR 1020090114520 A KR1020090114520 A KR 1020090114520A KR 20090114520 A KR20090114520 A KR 20090114520A KR 20110057902 A KR20110057902 A KR 20110057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olid fuel
transfer
receiving portion
transf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685B1 (ko
Inventor
김언수
조성규
소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전주페이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전주페이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전주페이퍼
Priority to KR1020090114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6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6Over-feed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3/00Feeding arrangements
    • F23K2203/10Supply line fittings
    • F23K2203/101Wear prote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3/00Feeding arrangements
    • F23K2203/20Feeding/conveying devices
    • F23K2203/202Feeding/conveying devices using screws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연소실로 정량의 고체연료를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연소실에서 일정량의 스팀이 발생될 수 있게 됨으로 상기 연소실에 무리가 갈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나아가,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고체연료가 이송스크류의 스크류날개를 따라 회전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고체연료가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연소실방향으로 막히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터리밸브없이도 상기 연소실의 역화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90114520
수용부, 이송스크류

Description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TRANSPORT APPARATUS FOR A COMBUSTION SYSTEM OF SOLID FUEL}
본 발명은 연소실로 정량의 고체연료를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연소실에서 일정량의 스팀이 발생될 수 있게 됨으로 상기 연소실에 무리가 갈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나아가,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고체연료가 이송스크류의 스크류날개를 따라 회전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고체연료가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연소실방향으로 막히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터리밸브없이도 상기 연소실의 역화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협약(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에 대응하기 위해 산림자원이 풍부한 스웨덴, 오스트리아 등을 중심으로 자연적으로 자연에 버려지는 목재 또는 간벌목을 통하여 얻 어지는 목재를 열병합발전용 연료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또한, 영국에서도 목재 및 갈대, 옥수수대 등을 열병합발전 연료로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목질계를 칩으로 만든 연료로 이용하여 서대구 공단에 현재 열병합발전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2005년 2월 교토의 정서가 공식 발효됨에 따라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근본적 대책인 신재생에너지의 개발 및 보급에 노력하고 있다.
유럽의 주요 산업 선진국들은 1990년대 초부터 재생에너지 상용화 정책을 추진해온 결과, 열에너지수요의 최고 50% 이상을 바이오매스(Biomass)를 활용한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에서 담당하고 있다.
목질계 바이오매스 우드칩(Wood biomass woodchips)은 회분함량이 3 ~ 5wt% 포함되어 있으나, 연료로 활용하는데 기술적 문제가 없으며, 수분함량이 낮아 별도의 건조공정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그 이용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에서의 단위시설 중에서 이송장치는 이송스크류가 널리 이용되고, 연소실은 터빈 보일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게 내부에 고체연료(11)가 수용되는 수용부(10)와; 상기 수용부(10)의 내부에 축결합되어 상기 수용부(10)에 수용된 고체연료(11)를 상기 연소실(미도시)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이송스크류(30)는 대게 상기 수용부(10)의 내부에 완전충진되 지 않고, 상기 이송스크류(3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충진된 고체연료(11)를 이송하기 때문에 상기 연소실(미도시)로 정량의 고체연료(11)를 이송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특히, 상기 연소실(미도시)에서 일정량의 스팀이 발생될 수 없게 되어 상기 연소실(미도시)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30)에 구비된 나선형의 스크류날개(330) 사이의 좌우간격(s)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이송스크류(30)이 스크류날개(330)가 고체연료(11)를 이송하는 과정 중에 고체연료(11)가 상기 스크류날개(330)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체연료(11) 중 특히 우드칩에 포함된 섬유질이 서로 엉키게 됨과 동시에 고체연료(11)가 상기 수용부(10)에서 상기 연소실(미도시)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고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수용부(10)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용부(10)의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스크류(30)가 이송하는 고체연료(11)를 상기 연소실(미도시)로 안내하는 안내부(50)의 내부에 상기 연소실(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역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로터리밸브(51)를 별도로 더 구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연소실로 정량의 고체연료를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연소실에서 일정량의 스팀이 발생될 수 있게 됨으로 상기 연소실에 무리가 갈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나아가,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고체연료가 이송스크류의 스크류날개를 따라 회전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고체연료가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연소실방향으로 막히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터리밸브없이도 상기 연소실의 역화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바이오매스 중 고체연료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축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고체연료를 연소실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는 적어도 상기 이송스크류의 높이보다 높게 고체연료가 수용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의 스크류날개 사이의 좌우간격은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의 타측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연통형성되는 역화방지관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류는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역화방지관내에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역화방지관내에 위치한 상기 이송스크류의 스크류날개 사이의 좌우간격은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상기 이송스크류의 높이보다 높게 수용된 고체연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이송스크류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축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스크류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 및 상기 스크류날개의 타측면에 세라믹코팅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용부의 내부에 바이오매스 중 고체연료가 적어도 이송스크류의 높이보다 높게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스크류가 고체연료를 연소실로 이송시키기 때문에 상기 이송스크류가 상기 연소실로 정량의 고체연료를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연소실에서 일정량의 스팀이 발생될 수 있게 됨으로, 상기 연소실에 무리가 갈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나아가, 상기 이송스크류의 스크류날개 사이의 좌우간격이 상기 이송스크류의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기 때문에 고체연료가 상기 스크류날개를 따라 회전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특히, 고체연료 중 우드칩에 포함된 섬유질이 엉킬 우려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고체연료가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연소실 방향으로 막히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의 타측판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연통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연소실로 정량이송될 고체연료가 수용되는 역화방지관으로 인해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된 화염이 상기 수용부 방향으로 거꾸로 흐를 우려, 즉 역화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종래처럼 역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로터리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이송스크류의 스크류날개 중 상기 역화방지관 내에 위치한 상기 이송스크류의 스크류날개 사이의 좌우간격이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질 경우 특히, 상기 역화방지관 내에 위치한 상기 스크류날개를 따라 고체연료가 회전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고체연료가 수용부, 역화방지공간을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여 연소실방향으로 막히지 않고 보다 더욱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상기 이송스크류의 높이보다 높게 수용된 고체연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이송스크류가 항상 상기 이송스크류의 높이보다 높은 상태의 고체연료를 상기 연소실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축 외주연 및 상기 스크류날개의 타측면에 표면이 미끄럽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세라믹코팅층이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과 고체연료 사이 및 상기 스크류날개와 고체연료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어 고체연료가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연소실 방향으로 막히지 않고 보다 더더욱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스크류가 마모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용부(10), 이송스크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수용부(10)는 바이오매스 중 우드칩, 폐플라스틱칩 등을 포함한 고체연료를 수용하는 것이다.
도 3은 이송스크류(30)의 고체연료(11) 이송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고체연료(11)의 높이(h1)는 적어도 상기 이송스크류(30)의 높이(h2)보다 높게 수용된다.(h1 > h2)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0)에 수용된 고체연료(11)가 터빈 보일러 등의 연소실(미도시)로 정량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10)의 내부에 수용된 고체연료(11)를 상기 수용부(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상기 이송스크류(30)의 스크류날개(330)의 좌우간격(s1, s2, s3, s4, s5, s6, s7, s8)은,
상기 이송스크류(30)의 이송방향 즉, 상기 수용부(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된다.(s1 < s2 < s3 < s4 < s5 < s6 < s7 < s8)
이와 같이 상기 이송스크류(30)의 스크류날개(330) 사이의 좌우간격(s1, s2, s3, s4, s5, s6, s7, s8)이 상기 이송스크류(30)의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기 때문에 고체연료(11)가 상기 스크류날개(330)를 따라 회전될 우려가 없음은 물 론 이로 인해 특히, 고체연료(11) 중 우드칩에 포함된 섬유질이 엉킬 우려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고체연료(11)가 상기 수용부(10)에서 상기 연소실(미도시) 방향으로 막히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10) 내부에 바이오매스 중 고체연료(11)가 적어도 상기 이송스크류(30)의 높이보다 높게 수용된 상태(h1 > h2)에서 상기 이송스크류(30)가 고체연료(11)를 상기 연소실(미도시)로 이송시키기 때문에 상기 이송스크류(30)가 상기 연소실(미도시)로 정량의 고체연료(11)를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연소실(미도시)에서 일정량의 스팀이 발생될 수 있게 됨으로, 상기 연소실(미도시)에 무리가 갈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0)의 타측에는 상기 수용부(10)의 타측에 수직형성되는 타측판(13)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도 2의 130)와 연통형성되는 역화방지관(20)이 일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역화방지관(20)의 내부에 상기 이송스크류(30)에 의해 상기 연소실(미도시)로 정량이송될 고체연료(11)가 보다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역화방지관(20)의 상하폭(w1)은 상기 수용부(10)의 상하폭(w2)보다 좁을 수 있다.(w1 < w2)
상기 수용부(10)의 타측판(13)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도 2의 130)와 연통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연소실(미도시)로 정량이송될 고체연료(11)가 수용되는 상기 역화방지관(20)으로 인해 상기 연소실(미도시)에서 발생된 화염이 상기 수용 부(10) 방향으로 거꾸로 흐를 우려, 즉 역화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종래처럼 역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로터리밸브(도 1의 51)를 후술할 안내부(50)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스크류(30)는 상기 수용부(10)의 내부에 수용된 고체연료(11)를 터빈 보일러 등의 상기 연소실(미도시)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송스크류(3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0) 및 상기 역화방지관(20) 내에 수평으로 축결합된 상태에서 정역회전하여 상기 수용부(10)의 내부에 수용된 고체연료(11)가 상기 역화방지관(20) 및 상기 안내부(50)를 지나 상기 연소실(미도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특히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0)내에 위치한 상기 이송스크류(30)의 스크류날개(330)의 좌우간격(s1, s2, s3, s4, s5)은 동일(s1 = s2 = s3 = s4 = s5)하고,
상기 역화방지관(20)내에 위치한 상기 이송스크류(30)의 스크류날개(330) 사이의 좌우간격(s6, s7, s8)은 상기 이송스크류(30)의 이송방향, 즉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질 수 있다.(s6 < s7 < s8)
상기 이송스크류(30)의 스크류날개(330) 중 상기 역화방지관(20) 내에 위치한 상기 이송스크류(30)의 스크류날개(330) 사이의 좌우간격(s6, s7, s8)이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질 경우 특히, 상기 역화방지관(20) 내에 위치한 상기 스 크류날개(330)를 따라 고체연료(11)가 회전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고체연료(11)가 상기 수용부(10), 역화방지관(20)을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여 상기 연소실(미도시) 방향으로 막히지 않고 보다 더욱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역화방지관(20)의 타측에는 상기 역화방지관(20)의 타측에 수직형성되는 타측판(23)의 배출구(230)와 연통형성되는 상기 안내부(50)가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30)에 의해 상기 수용부(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되는 고체연료(11)는 상기 역화방지관(20)의 타측판(23) 배출구(230)로 배출된 후 상기 안내부(50)를 따라 하부방향으로 안내되어 상기 안내부(50)와 연결되는 상기 연소실(미도시)로 이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부(10)의 내부에 상기 이송스크류(30)의 높이보다 높게 수용된(h1 > h2) 고체연료(11)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31)는 상기 수용부(10)의 일측에 수직형성되는 일측판(12)의 상부 내측면 또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0)의 타측에 수직형성되는 상기 타측판(13)의 상부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0)의 내측면에 상기 이송스크류(30)의 높이보다 높게 수용(h1 > h2)된 고체연료(11)를 감지하는 상기 감지센서(131)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이송 스크류(30)가 항상 상기 이송스크류(30)의 높이보다 높은 상태(h1 > h2)의 고체연료(11)를 상기 연소실(미도시)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부(50)의 타측에는 구동모터(70)와; 상기 구동모터(70)의 회전력을 상기 이송스크류(30)의 후술할 회전축(310)으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9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910); 하측 풀리(930) 또는 하측 스프로켓(미도시); 상측 풀리(950) 또는 상측 스프로켓(미도시) 및 벨트(970) 또는 체인(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910)는 상기 안내부(50)의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910)의 일측면 상측에는 상기 안내부(50)를 관통한 상태의 상기 이송스크류(30)의 회전축(310) 타단부가 수평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910)의 타측면 하측에는 상기 구동모터(70)의 구동축(710)이 수평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풀리(930) 또는 하측 스프로켓(미도시)은 상기 구동모터(70)의 구동축(710)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910)의 내부 하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풀리(950) 또는 상측 스프로켓(미도시)은 상기 이송스크류(30)의 회전축(310) 전단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910)의 내부 상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벨트(970)는 상기 하측 풀리(930)의 외주연과 상기 상측 풀리(950)의 외주연에 감겨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체인(미도시)은 상기 하측 스프로켓(미도시)의 외주연과 상기 상측 스프로켓(미도시)의 외주연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31)가 제어부(미도시)로 감지신호를 출력할 시 상기 구동모터(70)의 구동축(710)은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하측 풀리(930) 또는 하측 스프로켓(미도시), 상기 상측 풀리(950) 또는 상측 스프로켓(미도시) 및 상기 벨트(970) 또는 체인(미도시)은,
상기 구동모터(70)의 구동축(710)의 회전력을 상기 이송스크류(30)의 회전축(310)으로 전달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스크류(30)는 상기 회전축(310)과, 상기 스크류날개(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310)은 상기 수용부(10)의 내부 하측에 상기 구동모터(7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날개(330)는 상기 회전축(310)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310)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수용부(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고체연료(11)를 이송시킬 수 있다.
도 4는 이송스크류(30)의 회전축(310) 외주연과 스크류날개(330)의 전면에 세라믹코팅층(350)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 의 A부분을 확대한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10)과 스크류날개(330)에는 세라믹코팅층(3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코팅층(350)은 상기 회전축(310)의 외주연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코팅층(350)은 상기 스크류날개(330)의 일측면과 타측면 모두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상기 이송스크류(30)가 고체연료(11)를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시킬 시 고체연료(11)가 상대적으로 상기 스크류날개(330)의 타측면과 보다 많은 면적으로 접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세라믹코팅층(350)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날개(330)의 타측면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30)의 회전축(310) 외주연 및 상기 스크류날개(330)의 특히 타측면에 표면이 미끄럽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상기 세라믹코팅층(350)이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310)과 고체연료(11) 사이 및 상기 스크류날개(330)와 고체연료(11)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어 고체연료(11)가 상기 수용부(10)에서 상기 연소실(미도시)방향으로 막히지 않고 보다 더욱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스크류(30)가 마모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이송스크류의 고체연료 이송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이송스크류의 회전축 외주연과 스크류날개의 전면에 세라믹코팅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용부, 11; 고체연료,
12; 일측판, 13, 23; 타측판,
130, 230; 배출구, 131; 감지센서,
20; 역화방지관, 30; 이송스크류,
310; 회전축, 330; 스크류날개,
350; 세라믹코팅층, 50; 안내부,
70; 구동모터, 710; 구동축,
90; 회전력전달부재, 910; 몸체,
930; 하측풀리, 950; 상측풀리,
970; 벨트.

Claims (5)

  1. 내부에 바이오매스 중 고체연료(11)가 수용되는 수용부(10)와; 상기 수용부(10)의 내부에 축결합되어 상기 수용부(10)에 수용된 고체연료(11)를 연소실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의 내부에는 적어도 상기 이송스크류(30)의 높이보다 높게 고체연료(11)가 수용되고,
    상기 이송스크류(30)의 스크류날개(330) 사이의 좌우간격은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의 타측판(13)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30)와 연통형성되는 역화방지관(20)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류(30)는 상기 수용부(10) 및 상기 역화방지관(20)내에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역화방지관(20)내에 위치한 상기 이송스크류(30)의 스크류날개(330) 사이의 좌우간격은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부(10)의 내부에 상기 이송스크류(30)의 높이보다 높게 수용된 고체연료(11)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30)는 상기 수용부(10)의 내부에 구동모터(7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축결합되는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스크류날개(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310)의 외주연 및 상기 스크류날개(330)의 타측면에 세라믹코팅층(3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
KR1020090114520A 2009-11-25 2009-11-25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 KR101136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520A KR101136685B1 (ko) 2009-11-25 2009-11-25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520A KR101136685B1 (ko) 2009-11-25 2009-11-25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902A true KR20110057902A (ko) 2011-06-01
KR101136685B1 KR101136685B1 (ko) 2012-04-24

Family

ID=4439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520A KR101136685B1 (ko) 2009-11-25 2009-11-25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6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612B1 (ko) * 2012-08-30 2014-01-15 정연숙 펠렛 난로
CN107806644A (zh) * 2017-07-14 2018-03-16 黄山容宇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的多回程生物质热风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6536Y2 (ko) * 1977-12-29 1979-11-05
JPS59194821A (ja) * 1983-04-19 1984-11-05 Ube Ind Ltd 複合樹脂成形機
KR200228641Y1 (ko) * 1997-11-28 2001-11-22 권원섭 입상물정량배출장치
KR200381984Y1 (ko) * 2005-01-25 2005-04-15 (주)지ㆍ지월드 고체연료 제조장치용 스크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612B1 (ko) * 2012-08-30 2014-01-15 정연숙 펠렛 난로
CN107806644A (zh) * 2017-07-14 2018-03-16 黄山容宇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的多回程生物质热风炉
CN107806644B (zh) * 2017-07-14 2019-06-14 黄山容宇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的多回程生物质热风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685B1 (ko)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82312B (zh) 有机材料的诸如切割、浸泡和/或清洗的处理
KR101136685B1 (ko)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
FI104515B (fi) Kiinteälle polttoaineelle tarkoitettu poltin
KR101136637B1 (ko)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이송장치
DK200501516A (da) Et biomassetransportsystem, et biobrændselfyringsanlæg, fremgangsmåde til födning af biobrændsel, fremgangsmåde til sikring mod tilbagebrand og anvendelse af et biomassetransportsystem
CN104005985B (zh) 一种多叶片式无堵塞泵叶轮设计方法
CN205447792U (zh) 一种生物质锅炉的燃料输送装置
CN102980201B (zh) 一种生物质燃料、造纸污泥及煤混合配合装置
JP5503423B2 (ja) 燃焼装置
CN201748461U (zh) 生物质锅炉炉前给料装置
KR101239548B1 (ko)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용 로터리 피더장치
CN211894838U (zh) 一种污泥螺旋输送设备
NO160607B (no) Anordning for fremfoering av trykkdamp til en barkingstrommel.
EP1037175A4 (en) DEVICE FOR PROCESSING BANK NOTES
JP5535819B2 (ja) 木質ペレット燃焼装置
CN220617095U (zh) 一种防反风落煤管
CN113234501B (zh) 一种用于农业垃圾发电的沼气脱水系统
CN207407353U (zh) 一种尾气反料输送系统
CN218864159U (zh) 一种具有使管送煤粉充分燃烧的机构
CN220624088U (zh) 一种铰刀型下料装置
CN109677843A (zh) 一种多点均匀给料装置及方法
KR101358711B1 (ko) 목재 펠릿 공급기용 역화 방지장치
CN108662578A (zh) 一种循环流化床锅炉上料系统
WO2008008295A2 (en) Feed system
CN108993316A (zh) 一种生物质颗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