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647A -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 Google Patents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647A
KR20110057647A KR1020090114125A KR20090114125A KR20110057647A KR 20110057647 A KR20110057647 A KR 20110057647A KR 1020090114125 A KR1020090114125 A KR 1020090114125A KR 20090114125 A KR20090114125 A KR 20090114125A KR 20110057647 A KR20110057647 A KR 20110057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ver composition
mordant
acid
hair
hair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7402B1 (ko
Inventor
문효승
박재정
김종협
김왕기
김태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114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4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산화방지제, 킬레이트제 및 pH 조절제를 함유함으로써 매염염모제로 염색한 모발색상이나 염색시 두피 또는 피부에 묻은 염모제를 모발손상이나 피부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리무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매염, 매염제, 산화방지제, 킬레이트제, pH 조절제

Description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Remover composition for mordant hair colorants}
본 발명은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산화방지제, 킬레이트제 및 pH 조절제를 함유함으로써 매염염모제로 염색한 모발색상이나 염색시 두피 또는 피부에 묻은 염모제를 모발손상이나 피부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리무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모제는 염색된 색상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가에 따라 영구염모제, 반영구염모제, 일시염모제로 구분된다. 또한, 염색이 이루어지는 메커니즘에 따라 산화형 염모제와 비산화형 염모제로 구분할 수 있다. 산화형 염모제에는 산화형합성염료를 이용한 영구염모제가 있고, 비산화형 염모제에는 산성염료를 이용한 반영구염모제, 헤나, 카모마일 등의 식물성염료를 이용한 식물성염모제, 금속염을 함유한 매염제를 이용한 금속성염모제 등이 있다.
매염이란 피염물에 대하여 염착성(染着性)을 가지고 있지 않은 염료(매염염 료)로 염색할 때, 그 염료와 결합하여 불용성(不溶性)인 유색화합물을 생성하는 약제로 피염물을 처리하는 조작을 말한다. 즉, 피염물에 대한 친화력이 부족하여 직접 피염물에 염색이 되지 않는 염료를 피염물에 연결시켜 염색을 완성시키는 약제로 처리하는 조작을 말한다.
종래의 금속성 염모제는 철, 동, 아연, 은, 비스무트 등의 금속화합물을 매염제로 함유하며, 발색제로서 몰식자산, 몰식자산 에스테르류, 탄닌산 및 그 에스테르류, 또는 피로갈롤 등을 함유하여, 모발에서 매염제인 금속이온과 발색제와의 반응으로 염색하는 것이다. 이 염모제는 인체에 대하여 1차 자극성이나 감작성이 없기 때문에, 산화염모제에 대해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사람에 있어서는 유용한 염모제이다.
통상의 매염반응에 있어서는 매염의 순서에 따라 선매염, 동시매염, 후매염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선매염은 매염제로 처리한 후 염료를 처리하는 방법을 말하며, 후매염은 염료를 처리한 후 매염제를 처리하는 방법을, 동시매염은 매염제와 염료를 동시에 처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현재, 이러한 매염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상용화된 염모제는 거의 드물지만, 시중에는 후매염 방식에 의한 것이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매염염모제는 일단 염색을 하면 저절로 색이 빠지기 전까지는 다른 염모제를 이용해 머리색을 바꾸기가 어렵고, 염색시 두피나 피부에 묻었을 경우 쉽게 지워지지 않으며, 일반 샴푸나 비누 등을 이용하여서는 염착된 염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영구염모제로 염색한 모발에서 색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탈색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산성염모제로 염색한 색상을 제거하기 위한 산성염모제용 리무버가 상용화된 것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품을 사용하여서는 매염염모제로 염색한 색상을 제거하기 어렵다. 탈색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모발손상을 많이 일으키게 되며, 상용화된 산성염모제용 리무버를 이용할 경우에도 매염염모제로 두피나 피부에 염착된 것을 말끔히 제거하지는 못한다. 즉, 아직까지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가 상용화된 예를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매염염모제로 모발에 염색된 색상과 염색시 두피 또는 피부에 염착된 것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매염염모제의 금속을 제거하기 위하여 킬레이트제만을 사용하거나 pH 조절제만을 사용하여 pH만을 조절하여서는 매염염모제의 매염된 색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으며, 산화방지제를 사용하고, 킬레이트제 및 pH 조절제를 추가 사용할 경우 매염염모제로 염색된 색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손상이나 피부자극이 없으면서도 매염염모제로 염색된 모발이나 피부에 염착된 염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리무버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화방지제를 함유하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킬레이트제 및 pH 조절제를 더 함유하며, pH가 4~10인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산화방지제를 함유한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은 매염염모제로 염색한 모발 및 피부에 염착된 색상을 모발 손상이나 피부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산화방지제를 함유하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킬레이트제 및 pH 조절제를 더 함유하며, pH가 4~10인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염모제 중에서도 금속성염모제로 염색한 모발 및 피부에 염착된 색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리무버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무버 조성물를 이용해 염착된 것을 제거할 수 있는 염료로는 그 종류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통상적으로 매염이 가능하여 매염 염모제의 염료로 사용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리무버 조성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무버를 이용해 염착된 염료를 제거할 수 있는 매염염모제에 사용되는 매염제의 종류로는 천연매염제로서는 잿물, 철장, 명반 등이 있으며, 합성매염제로는 Al, Cu, Cr, Fe, Sn, Ni 등의 수용성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종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통상적으로 매염제로 사용이 가능한 것을 사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무버 조성물에 사용하는 산화방지제로는 그 종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 로 산화방지제로는 프로필갈레이트, 아스코르빈산, 에리소르빈산, 시스테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등의 시스테인(cystein) 유도체, 아황산나트륨 및 피로아황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등의 설파이트류 및 그 염, 디소듐 파이로포스페이트(disodium pyrophosphate), 트리소듐 파이로포스페이트(trisodium pyrophosphate), 테트라소듐 파이로포스페이트(tetrasodium pyrophosphate) 등과 같은 파이로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류, 소듐 티오설페이트, 소듐 헥사하이드록소스타네이트(sodium hexahydroxostannate), 티오글리콜산 및 티오젖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천연 산화방지제로서 토코페롤(tocopherol), 고시폴(gossypol), 세사몰(sesamol), 레시틴(lecitthin), 세파린(cephalin), 설피드릴류(sulfhyd긴, SRH), 구연산, 아스코르빈산과 고추의 에테르 추출성분, 소맥배아, 대두, 후추, 토마토에서 얻은 추출물들, 또 주로 플로보노이드계 색소들의 추출액, 감자, 버섯, 옥파의 노란껍질 등에서의 추출물 등 항산화력을 가지는 천연산화방지제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방지제는 리무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산화제 함량을 0.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30 중량% 초과로 사용하더라도 그 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으며 피부자극 등을 야기할 수 있고 제형의 안정성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킬레이트제로는 디소듐-EDTA(Disodium EDTA), 테트라소듐-EDTA(Tetrasodium EDTA), 펜타소듐펜티테이트(Pentasodium Pentetate), 에티드로닉액시드(Etidronic Acid), 디포타슘-EDTA(Dipotassium EDTA),테트라소듐 에티드로네이트(Tetrasodium Etidronate), 디소듐에티드로네이트(Disodium Etidronate)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종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킬레이트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킬레이트제는 리무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킬레이트제 함량을 0.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바람직한 염착제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 중량% 초과로 사용하여도 염착제거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며, 제형의 안정성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pH 조절제로는 인산 및 그 염류, 락틱액시드(lactic acid) 및 그 염류, 글라이콜릭액시드(glycolic acid) 및 그 염류, 시트릭액시드(citric acid)와 그 염류, 아세트산(acetic acid), 암모니아(ammonia),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수산화칼륨(potassiumhydroxide),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소듐 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아미노메칠프로판올(aminomethyl propanol)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종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pH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무버 조성물은 pH가 4~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pH 6~8 이 적당하다. pH가 10을 초과하면 탈염력 향상은 크지 않은 반면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고 pH가 4미만이면 염착제거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로는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설페이트(sodium polyoxyethylene laurylether sulfate),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ammonium laureth sulfate),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PEG hydrogenated castor oil),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등의 음이온계, 비이온계, 양이온계, 양성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종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리무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매염염모제용 리무버에는 염착된 염료를 좀 더 잘 제거하기 위해 용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벤질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통상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는 리무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무버 내용물의 점도 조절을 위해서 점증목적으로 고급알코올,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고분자 점증제, 셀룰로오스계 점증제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종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통상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점증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등의 폴리올류, 모발컨디셔닝제로서 4급암모늄염, 양이온폴리머, 실리콘류, 아미노산 및 프로틴류, 그리고 향료 등 공지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은 액상, 유액상, 겔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에어로졸, 에어로졸폼 이중 겔상 및 크림상의 제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리무버 조성물의 구성,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참고예]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의 제조
아래 표1과 같이 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의 염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에 나타낸 함량은 모두 중량%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전체 함량은 100g이 되게 하여 제조하였다.
성분명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산성염모제용 탈염제
10중량% 용액
EDTA-2Na 1 0 1 2 1 1
에리소르빈산 10 10 10 0 10 10
피로아황산나트륨 4 4 4 0 4 4
모노에탄올아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에탄올 10 10
PH(10% 수용액) 7.8 7.5 7.9 7.76 3.52 10.89 10.4
[시험예 1] 탈염력
탈염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상용화된 매염염모제로 염색을 한 모발을 우선 준비하였다. 길이 23cm의 새치모에 모발 무게 2배 만큼의 1제를 골고루 도포한 후 20분간 방치하였다. 20분 후 그 위에 1제와 동량의 2제를 골고루 도포하여 다시 20분간 방치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매염염모제로는 시중에 유통되는 매염염모제(동성제약 허브 컬러크림 사용)를 사용하였다. 표준모발로는 검은 모발에 새치가 20~30%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였으며, L*값은 22.54 이다. 20분이 경과한 후 흐르는 물에 1분간 세척한 후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해 모발을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모발을 색차계(기종: Hunterlab Labscan XE)를 이용하여 색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된 L*(처리 전)값을 초기값으로 하였다. 이렇게 염색된 모발을 위의 실시예, 비교예에 나타낸 용액에 담근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20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의 양은 모발무게의 20배로 하였고, 교반기는 200rpm으로 하였다. 교반이 완료된 후 모발을 흐르는 물에 1분간 세척하여 드라이로 건조시킨 후 색차계로 색을 측정하여 L* (처리후) 값을구하였다. 리무버 처리 전 후의 L*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색상 제거 정도를 비교하였다. 여기서 L*값은 명도를 나타내는 수치로써 L*값이 클수록 색이 밝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염색 전후의 밝기차이인 ΔL*값이 클수록 보다 색이 많이 빠진 것을 뜻하며, 결과값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처리전L 11.31 11.24 11.67 11.24 11.89 11.37 11.89
처리후L 21.22 20.17 22.23 11.74 13.44 20.98 13.44
ΔL* 9.91 8.93 10.56 0.50 1.55 9.61 1.55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화방지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1~3은 산화방지제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 보다 모발에서의 탈염력이 훨씬 우수하였다. 한편, 킬레이트제를 함유하지 않은 실시예 2의 경우 실시예 1 및 3과 비교하였을 때 탈염력이 크게 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에서 킬레이트제는 그 영향이 산화방지제에 비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과 비교예 2를 비교하면 pH가 4보다 작을 경우 탈염력이 크게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용매를 사용한 실시예 1과 실시예 3을 비교할 경우 용매를 사용한 실시예 3이 탈염력이 약간이지만 더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피부자극정도 확인 시험
피부자극을 시험하기 위해 우선 피험자를 선정하였다. 시험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건선(Psoriasis), 여드름(acne), 습진(eczema), 기타 피부병 등의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시험 실시 전 제외시켰다. 피험자는 남성 10명, 여성 2명으로 총 12명을 선정하였으며, 힐탑 챔버에 약 450ml/25mm의 양으로 적하한 다음, 피부에 부착하였다. 평가는 육안평가와 기기측정으로 하였다. 육안평가는 첩포를 제거하고 1시간 후에 CTFA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방법에 의거하여 검사하였고, 기기 측정은 도포 전과 첩포 제거하고 1시간 후에 베이포미터(Vapometer)(TEWL), pH 미터(pH meter)(pH)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pH의 측정시에는 피부 표면에 적용하는 물의 양에 의해 영향 받으므로 측정시 20㎕로 표준화하였다(측정시 사용된 DW의 pH는 7.3).
통계처리는 Paired T-test(기기 측정치)혹은 Mann-Whitney Test 부호검정 (육안검사)(미니탭)으로 시료간 유의차를 확인하였다. 결과값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No. pH(10% 수용액) 처방특성 MEAN±SEM 홍반
ΔTEWL ΔpH (D1) (D2)
실시예1 7.8 표준처방 1.0±0.27 1.3±0.15 0.23 0.21
실시예2 7.5 표준처방 + 용매 1.1±0.49 1.1±0.14 0.22 0.25
비교예3 10.89 표준처방 + MEA(pH 범위초과) 2.3±0.29 3.2±0.15 0.87 0.9
비교예4 10.4 산성염모제용 탈염제 3.6±0.38 3.7±0.21 1.4 0.8
염모제 9.85 시판되는 염모제 4.3±0.38 2.7±0.21 1.2 0.8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및 2의 경우 pH범위를 초과하는 비교예3, 산성염모제용 탈염제인 비교예 4, 시판되는 염모제와 비교했을 때 ΔTEWL 와 ΔpH 값이 낮고 육안으로 확인한 홍반의 발생 정도도 낮아 자극이 낮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산화방지제를 함유하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산화방지제는 0.01~3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염 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프로필갈레이트, 아스코르빈산, 에리소르빈산 및 시스테인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시스테인(cystein) 유도체, 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및 아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설파이트류 및 그 염, 디소듐 파이로포스페이트(disodium pyrophosphate), 트리소듐 파이로포스페이트(trisodium pyrophosphate), 테트라소듐 파이로포스페이트(tetrasodium pyrophosphate)로 이루어진 파이로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류, 소듐 티오설페이트, 소듐 헥사하이드록소스타네이트(sodium hexahydroxostannate), 티오글리콜산 및 티오젖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토코페롤(tocopherol), 고시폴(gossypol), 세사몰(sesamol), 레시틴(lecitthin), 세파린(cephalin), 설피드릴류(sulfhydrls, SRH),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고추의 에테르 추출성분, 소맥배아, 대두, 후추, 토마토에서 얻은 추출물들, 플로보노이드계 색소들의 추출액, 감자, 버섯 및 옥파의 노란껍질에서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항산화력을 가지는 천연산화방지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무버 조성물에 킬레이트제 및 pH 조절제를 추가 함유하며, pH가 4~10인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킬레이트제는 0.01~1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제는 디소듐-EDTA(Disodium EDTA), 테트라소듐-EDTA(Tetrasodium EDTA), 펜타 소듐펜티테이트(Pentasodium Pentetate), 에티드로닉액시드(Etidronic Acid), 디포타슘-EDTA(Dipotassium EDTA), 테트라소듐 에티드로네이트(Tetrasodium Etidronate) 및 디소듐에티드로네이트(Disodium Etidr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는 인산 및 그 염류, 락틱액시드(lactic acid)와 그 염류, 글라이콜릭액시드(glycolic acid)와 그 염류, 시트릭액시드(citric acid)와 그 염류, 아세트산(acetic acid), 암모니아(ammonia), 모노에탄 올아민(monoethanolamine),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소듐 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및 아미노메칠프로판올(aminomethyl prop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무버 조성물에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0.01~5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설페이트(sodium polyoxyethylene laurylether sulfate),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ammonium laureth sulfate),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PEG hydrogenated castor oil),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0.01~5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벤질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무버 조성물은 금속염을 함유한 매염제를 이용한 금속성염모제로 염색한 모발 또는 피부에 염착된 색상을 제거할 수 있는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KR1020090114125A 2009-11-24 2009-11-24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KR101687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125A KR101687402B1 (ko) 2009-11-24 2009-11-24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125A KR101687402B1 (ko) 2009-11-24 2009-11-24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647A true KR20110057647A (ko) 2011-06-01
KR101687402B1 KR101687402B1 (ko) 2016-12-29

Family

ID=4439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125A KR101687402B1 (ko) 2009-11-24 2009-11-24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4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4479B1 (en) 2020-05-31 2021-10-26 L'oreal Methods of removing color from color-treated hair
US11160742B2 (en) 2018-12-21 2021-11-02 L'oreal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hair color fastness and rejuvenating hair color
US11173102B1 (en) 2020-05-31 2021-11-16 L'oreal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moving color from color-treated ha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775A (ko) * 2002-07-25 2004-01-31 주식회사 태평양 영구 염모제용 헤어칼라 스트리퍼 조성물
JP2004196757A (ja) * 2002-12-13 2004-07-15 Sanei Kagaku Kk 皮膚刺激を抑制した染毛剤及び毛髪脱色剤
JP2008056635A (ja) * 2006-09-01 2008-03-13 Hoyu Co Ltd 染毛・脱染キット及び毛髪の染色・脱染方法
WO2009113562A1 (ja) * 2008-03-12 2009-09-17 株式会社アリミノ 酸化染毛剤および毛髪脱色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775A (ko) * 2002-07-25 2004-01-31 주식회사 태평양 영구 염모제용 헤어칼라 스트리퍼 조성물
JP2004196757A (ja) * 2002-12-13 2004-07-15 Sanei Kagaku Kk 皮膚刺激を抑制した染毛剤及び毛髪脱色剤
JP2008056635A (ja) * 2006-09-01 2008-03-13 Hoyu Co Ltd 染毛・脱染キット及び毛髪の染色・脱染方法
WO2009113562A1 (ja) * 2008-03-12 2009-09-17 株式会社アリミノ 酸化染毛剤および毛髪脱色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0742B2 (en) 2018-12-21 2021-11-02 L'oreal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hair color fastness and rejuvenating hair color
US11154479B1 (en) 2020-05-31 2021-10-26 L'oreal Methods of removing color from color-treated hair
US11173102B1 (en) 2020-05-31 2021-11-16 L'oreal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moving color from color-treated 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402B1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032B1 (ko) 염료로서 차 폴리페놀 및/또는 차 색소의 용도 및 그의 제품
KR100812118B1 (ko) 동시매염기술을 이용한 천연염모제 조성물
EP0971689B1 (de) Wässrige pflegende haut- und haarbehandlungsmittel
KR101917774B1 (ko) 블랙커민씨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보존용 조성물
BR102014018002A2 (pt) composições compreendendo extrato de malva neglecta
BR102014018008A2 (pt) método de tratamento de uma condição de pele com malva neglecta
KR20100103964A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EP1300136A2 (de) Farbveränderndes Verfahren zur Haarbehandlung auf Basis von Dithionitsalzen
KR20110057647A (ko)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EP1594449B1 (de) Haarbehandlungsmittel
KR101817980B1 (ko) 염재 침투 증진기술을 이용한 매염 염모제 조성물
KR102286679B1 (ko) 효소 처리된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60379A (ko) 카테킨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1461109B1 (ko) 녹차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KR101482616B1 (ko) 비파추출물을 함유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염모제
KR102101119B1 (ko) 저자극의 중성 모발 염모제 조성물
JP2886283B2 (ja) 毛髪処理剤
KR101802825B1 (ko) 염모제 조성물
DE102005061727A1 (de) Tönungsmittel auf Basis von Pflanzenfarbstoffen
KR101728306B1 (ko)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CN113648261A (zh) 一种具有头皮护理功效的生姜洗发水及其制备方法
KR101558183B1 (ko) 염모제 조성물
KR100802320B1 (ko) 매염염모제용 리무버 조성물
EP1513484A2 (de) Verwendung von ectoin und ectoinderivaten zur behandlung von haaren
KR101802823B1 (ko) 염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