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440A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440A
KR20110056440A KR1020090111129A KR20090111129A KR20110056440A KR 20110056440 A KR20110056440 A KR 20110056440A KR 1020090111129 A KR1020090111129 A KR 1020090111129A KR 20090111129 A KR20090111129 A KR 20090111129A KR 20110056440 A KR20110056440 A KR 20110056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mobile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circuit board
sli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1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77617B1 (en
Inventor
최현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617B1/en
Priority to RU2010117179/07A priority patent/RU2444148C2/en
Priority to CN2010105410625A priority patent/CN102065159A/en
Publication of KR20110056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4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6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connectors capable of contact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e.g. memory stick and SD card readers sharing at least one connector contact and the associated signal line, e.g. both using the same signal line for input or output of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7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having multiple insertion slots, the respective slots suited for the same or different card form f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enable a card socket to be equipped in a circuit board in order to receive an external card and to extract an external card from a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through an extraction mechanism. CONSTITUTION: A main body includes a circuit board. A card socket(150) is installed in the circuit board and receives an external card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ircuit board. The circuit board receives the external card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ircuit board. The card socket includes a first receiving chamber(151) and a second receiving chamber. The first receiving chamber includes a first external card. The second receiving chamber includes a second external card in order to be laminated in the first receiving chamber.

Description

이동 단말기{PORTABLE TERMINAL}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외장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소켓이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card socket for accommodating an external card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A mobi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a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applied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the complex functions of such multimedia device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상기 시도들에 더하여, 상기 하드웨어 등의 기능을 보다 개선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선 방안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도 포함하며, 외장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소켓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attempts, a method of furthe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hardware or the like may be considered. Such improvement measures include structural changes and improvements for the user to use the mobile terminal more conveniently, and may be considered for a card socket for accommodating an external car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보다 좁은 면적내에서 외장카드를 장착하는 매커니즘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mechanism for mounting an external card in a smaller area.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복수의 외장카드를 보다 용이하게 삽입 및 추출할 수 있는 카드소켓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card socket that can more easily insert and extract a plurality of external cards.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복수의 외장카드들과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외장카드들을 각각 수용하는 카드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소켓은 제1 외장카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실과, 상기 제1 수용실에 적층되도록 이루어지며 제2 외장카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2 수용실, 및 상기 제1 수용실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상기 제1 수용실로부터 추출시키는 추출 매커니즘를 포함한다.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terminal body having a circuit board, and the exterior mounted to the circuit board to electrically connect a plurality of external cards and the circuit board And a card socket for accommodating cards, wherein the card socke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chamber configured to accommodate a first outer card, and a second accommodating second accommodating card to be stack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And an extraction mechanism formed to be slidable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and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to extract the first exterior card from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by the sliding.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카드소켓은 베이스 하우징 및 커버를 포함한다. 베이스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며, 베이스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수용실이 구비된다. 커버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덮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2 수용실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베이스 부 재, 중간 부재 및 측면 부재들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제1 외장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단자가 배치된다. 중간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와 함께 상기 제1 수용실의 수용 공간을 한정한다.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베이스 부재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 면에는 상기 제2 외장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가 배치된다. 측면 부재들은 복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중간 부재의 양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중간 부재로부터 돌출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d socket includes a base housing and a cover. The base housing is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and the first housing is provided in the base housing. The cover is formed to cover the base housing, and together with the base housing forms the second accommodating chamber. The base housing includes a base member, an intermediate member and side members. A first connect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card is disposed in the base member. The intermediate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member to define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together with the base member.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card is dispos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facing the base member. The side members are formed in plural, connect both edges of the base member and the intermediate member to each other, and protrude from the intermediate member.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 부재들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중간 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삽입홀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홈들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들의 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의 상기 외장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중간 부재를 관통하는 관통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members are formed with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are inserted, respectively, and the base member and the intermediate member are provided with the inse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Guide grooves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hole are formed to guide. Ends of the guide grooves may be formed with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base member and the intermediate member such that a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card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is elastically deformable.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주면부 및 연결다리부를 포함한다. 주면부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덮도록 형성되고, 연결다리부는 상기 주면부의 양 모서리에서 상기 회로기판을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회로기판과 체결된다. 상기 연결다리부에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결합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서 돌출되는 돌기에 걸리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는 상기 주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외장카드들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을 형성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ncludes a main surface portion and a connecting leg portion. The main surface portion is formed to cover the base housing, and the connecting leg portion is bent to face the circuit board at both corners of the main surface portion and is fastened to the circuit board. The connection leg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at is caught by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ase housing to be coupled to the base housing. The cover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A bottom portion is bent from the main surface portion to form a bottom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chambers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external cards.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 매커니즘은 가이드부 및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한다.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수용실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외장카드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지지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외장카드의 삽입 방향에 교차하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제1 외장카드가 상기 제1 수용실에 수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외장카드가 상기 제1 수용실에서 추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mechanism comprises a guide part and a sliding unit. The guide part is dispos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card. The sliding unit is formed to be slidable along the guide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liding unit is formed to cross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card so as to support the first outer card. The sliding unit may include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first outer car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first outer card is extract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It can be formed to be slidable in.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몸체, 지지부 및 돌출부를 포함한다. 몸체는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 수용실을 한정하는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는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절곡된다. 돌출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수용실의 개구에 걸리도록 상기 몸체의 타단에서 돌출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 relation to the invention, the sliding unit comprises a body, a support and a protrusion. The body is slidably mounted to the guide part and is formed to be parallel to a surface defining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The support portion is bent at one end of the body to support the first outer card. The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so as to engage the opening of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in the first position.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스토퍼를 포함한다.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몸체에서 상기 제1 수용실의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며, 단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스토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홈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외장카드의 추출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가 걸리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unit comprises a stopper. The stopper protrudes from the body of the sliding unit toward the opening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has an end portion formed of a free end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The stopper groove is formed in the guide part to guide the sliding of the stopper, and the stopper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stopper is caught in the extraction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card at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수용실에 수 용된 상기 제2 외장카드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외장카드는 각각 일 방향으로 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의 개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외장카드의 긴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외장카드는 각각 심(SIM) 카드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s form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outer card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chamber to the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exterior cards are formed to be long in one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ope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chamber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ng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exterior cards,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cards may each be a SIM card.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케이스에는 배터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배터리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드소켓은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의 개구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의 상기 배터리 안착부와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제2 수용실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추출 매커니즘은 상기 제1 수용실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추출시키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seating portion rec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case is formed in the cas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battery can be seated, and the card socket has ope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chambers. It is made to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attery seat.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battery seat of the case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and the extraction mechanism is formed to be slidable in the first storage chamber to extract the first external card. And a sliding unit, wherein the sliding unit is disposed to be parallel to a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seating portion and slides along the bottom surface.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 매커니즘은 상기 카드소켓의 일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상기 제1 수용실의 개구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수용실의 내부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본체부 및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상기 카드소켓의 일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카드소켓의 외면을 덮도록 이루어지고, 돌추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카드소켓의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수용실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지지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mechanism is formed to slide along one edge of the card socket, and at least partially to press the first exterior card toward the opening of the first receiving chamber by the sliding. The sliding unit includes a sliding unit protruding into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The sliding unit includes a body portion and a protrusion. The main body part slides along one edge of the card socket and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 socket, the protrud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part, extends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 socket, and extends into the first receiving chamber. Support the first external car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추출 메커니즘을 통하여, 적층되는 복수의 수용실로부터 외장카드의 추출이 보다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회로기판에서 카드소켓의 실장 면적이 보다 감소된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kes it easier to extract the external card from the plurality of storage chambers stacked through the extraction mechanism. This also reduces the mounting area of the card socket on the circuit board.

또한 본 발명은 외장카드의 긴 모서리가 삽입되는 카드소켓을 통하여 외장카드의 삽입 스트로크가 보다 짧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길이가 보다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mobile terminal having a shorter insertion stroke of the external card through a card socket into which the long edge of the external card is inserted.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reduced in length through this.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외장카드를 적층시킴에 따라, 외장카드를 마스터(master)/슬래이브(slave)의 구분없이 회로기판에 연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tacking a plurality of external cards, the external cards can be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without distinguishing a master / slave.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외장카드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카드소켓에 삽입됨에 따라 외장카드 장착에 대한 사용자의 혼동을 완화 또는 방지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itigates or prevents user's confusion about the installation of the external card as a plurality of external cards are inserted into the card socket in the same direction.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110, 이하 '바디'라 함)는 제1 바디(110)와, 상기 제1 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은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dy”) includes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20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110. Inclu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such as a bar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 swivel type, and the like.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10 is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body 120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body 110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body 120. The exposed stat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N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mobile terminal mainly operates in a standby mode in a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a user's opera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mobi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the mobil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manipul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1 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 향 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또는 제1 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3, the sound output unit 114,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or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16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11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11.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을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odule, a transparent OLED (TOLED) module, and the like, which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시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하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이러한 햅틱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13)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13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d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In addition, the display 113 may be formed to generate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when touched. This may be implemented by a haptic module linked to the display 113. Vibratio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The haptic module may be variously dispos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pect of the mobile terminal as well as the display 113.

상기 음향 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1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 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16)은 디스플레이부(113)와 함께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operation unit 116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16 may be formed as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display 113.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Like the first body 110,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may form a case of the second body 120.

제2 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12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21.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24), 제1 음향 입력부(125), 인터페이스(12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operation unit 124, the first sound input unit 125, and the interface 126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16, 123, 1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manipulation units 116, 123, and 124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that may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or may be operated by a wheel or jog method that rotates a key or a joystick. Can be implemented.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24)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functional terms,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hird manipulation unit 124 may operate as a hot-key that performs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상기 제1 음향 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input unit 12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interface 126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126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 wireless Lan port),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소켓일 수도 있다.The interface 126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ommodate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구성된다.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이 포함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27 is configured at the rear case 122 to supply power to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27 may include a rechargeable battery or the like to supply power. The battery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or the like.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제2 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122 of the second body 120.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be a camera ha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refer to FIG. 1) and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in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immediately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not transmitted in many cases.

제2 영상 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 치된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2 영상 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129 and the mirror unit 130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The flash 129 emit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The mirror unit 130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own face or the like when photographing (self-photographing) the user by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 음향 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31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case 122.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31)는 제1 음향 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31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refer to FIG. 1),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제1 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133 that slidably couples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o the rear case 112 side of the first body 110 is disposed.

슬라이드 모듈(1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13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case 121 side of the second body 120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the drawing.

이상에서는 제2 영상 입력부(128) 등이 제2 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 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is disposed on the second body 1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128 to 131 described as disposed in the rear case 122, such as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ody 110, mainly the rear case 112. It is also possible to be mounted. In such a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arranged in the rear case 112 in the closed state are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120. In addition, even 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rotatably configured to allow shooting up to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단말기 바디에는 사용자 확인 정보 등을 제공하는 외장카드가 별도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외장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소켓(150)은 회로기판(144, 이상, 도 3 참조)에 장착된다.The terminal body may be separately mounted with an external card for provid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ard socket 150 for accommodating the external card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144 (above, see FIG. 3).

도 3은 도 2의 제2 바디(120)에 대한 분해도이다.3 is an exploded view of the second body 120 of FIG. 2.

본 도면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22)에는 리세스된 형태의 배터리 안착부(141)가 형성된다. 배터리 안착부(141)는 배터리(142)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배터리(142)의 외관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성된다. 배터리 안착부(141)에는 이동 단말기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배터리(142)와 접속되는 접속 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안착부(141)와 배터리 안착부(141)에 수용되는 배터리(142)는 전원공급부(127, 도 2 참조)를 이룰 수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rear case 122 is formed with a battery seat 141 of the recessed form. The battery seating portion 141 is configur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battery 142 so that the battery 142 can be seated. The battery seating unit 141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battery 142 to supply electricity to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mobile terminal. As such, the battery seating unit 141 and the battery 142 accommodated in the battery seating unit 141 may form a power supply unit 127 (see FIG. 2).

리어 케이스(122)에는 배터리 안착부(141) 및 배터리(142)를 덮도록 배터리 커버(143)가 결합될 수 있다.The battery case 143 may be coupled to the rear case 122 to cover the battery seating part 141 and the battery 142.

이동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는 회로기판(144)이 배치된다. 회로기판(144)은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90, 도 9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22)의 배터리 커버(143)에 의하여 덮여지는 부분에는 회로기판 영역(144a)이 포함된다. 회로기판 영역(144a)은 배터리 안착부(141)와 인접하며, 리어 케이스(122)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기판(144)을 덮는 리어 케이스(122)의 외면을 의미한다.The circuit board 144 is disposed inside the mobile terminal body. The circuit board 144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the controller 190 (see FIG. 9) for controlling a function related to the mobile terminal. Referring to this figure, a portion of the rear case 122 covered by the battery cover 143 includes a circuit board region 144a. The circuit board area 144a is adjacent to the battery seating part 141 and refer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ase 122 covering the circuit board 144 disposed inside the rear case 122.

본 도면을 참조하면, 회로기판(144)의 일면에는 카드소켓(150)이 장착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card socket 150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44.

카드소켓(150)은 회로기판(144)에 장착되어, 외장카드(180)와 회로기판(14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외장카드(180, 도 4a 참조)를 수용한다.The card socket 150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44 to accommodate the external card 180 (see FIG. 4A)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xternal card 180 and the circuit board 144.

카드소켓(150)은 회로기판(144)의 배터리 안착부(141)와 인접하게 배치될 모서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카드소켓(150)의 입구는 상기 회로기판(144)의 모서리 측과 인접되기에, 상기 입구와 모서리 사이에는 전자소자가 거의 실장되지 않게 된다. 나아가, 카드소켓(150)의 입구가 상기 모서리에 최대로 근접하여 이들이 거의 일치하는 수준에 이를 수도 있다.The card socket 150 may be disposed at a corner side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battery seating portion 141 of the circuit board 144. Since the inlet of the card socket 150 is adjacent to the edge side of the circuit board 144, an electronic device is hardly mounted between the inlet and the corner. Furthermore, the inlet of the card socket 150 may be closest to the corner to reach a level at which they nearly match.

수용되는 외장카드(180)는 SIM(Subscriber Inde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nformation Module) 카드와 같은 표준화된 형태로서, 카드소켓(150)에 삽입되어 회로기판(14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카드소켓(150)은 복수의 외장카드들(181, 182)과 회로기판(14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외장카드들(181, 182)을 각각 수용하는 제1 및 제2 수용실(151, 152, 이상 도 4a 참조)을 포함한다.The external card 180 accommodated is a standardized form such as a subscriber inde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nformation module (UIM) card and is inserted into the card socket 15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44. The card socket 150 includes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chambers 151 accommodating the external cards 181 and 182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lurality of external cards 181 and 182 to the circuit board 144, respectively. 152, see FIG. 4A).

본 도면을 참조하면, 카드소켓(150)은 제1 및 제2 수용실(151, 152)의 개구가 배터리 안착부(141)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리어 케이스(122)의 상기 배터리 안착부(141)와 인접한 부분에는 제2 수용실(152)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관통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card socket 150 is formed such that the ope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chambers 151 and 152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attery seat 141. A through hole 132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rear case 122 adjacent to the battery seating part 141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52.

도 4a는 도 3의 카드소켓(150)의 확대도이고, 도 4b는 도 3의 카드소켓(150)의 분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b의 A 및 B 부분의 확대도들이다.4A is an enlarged view of the card socket 150 of FIG. 3, FIG. 4B is an exploded view of the card socket 150 of FIG. 3, and FIGS. 5A and 5B are enlarged views of portions A and B of FIG. 4B, respectively.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카드소켓(150)은 제1 수용실(151), 제2 수용실(152) 및 추출 매커니즘(17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ard socket 150 includes a first storage chamber 151, a second storage chamber 152, and an extraction mechanism 170.

제1 수용실(151)은 제1 외장카드(181)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회로기판(144, 도 3 참조)의 일면에 적층된다. 제2 수용실(152)은 상기 제1 수용실(151) 에 적층되도록 이루어지며, 제2 외장카드(182)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회로기판(144)에서 카드소켓(150)의 실장 면적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151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first outer card 181 and is stack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44 (see FIG. 3). The second accommodating chamber 152 is formed to be stacked on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151 and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second exterior card 182. Through this, the mounting area of the card socket 150 in the circuit board 144 may be further reduced.

제1 수용실(151)의 일측에는 제1 외장카드(181)를 수용하도록 개구(151a)가 형성되고, 제2 수용실(152)에는 제2 외장카드(182)를 수용하도록 개구(152a)가 구비된다.An opening 151a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151 to accommodate the first outer card 181, and an opening 152a in the second accommodating chamber 152 to accommodate the second outer card 182. Is provided.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외장카드(181, 182)는 각각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심(SIM) 카드이며 일 방향으로 길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들(151a, 152a)은 상기 제1 및 제2 외장카드(181, 182)의 긴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As shown, the first and second exterior cards 181 and 182 are SIM cards each having the same shape and are formed to be long in one direction, and the openings 151a and 152a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exterior cards 181 and 182, respectively.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ng edge of the second outer card (181, 182).

제1 및 제2 외장카드(181, 182)은 카드소켓(150)에 삽입되어 회로기판(144)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183, 184)와, 단자부(183, 184)가 형성되지 않은 그랩부(185, 186)로 나뉜다. 상기 그랩부(185, 186)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이 된다.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cards 181 and 182 are inserted into the card socket 15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44, and to grab the terminal parts 183 and 184 without the terminal parts 183 and 184. It is divided into parts 185 and 186. The grab portions 185 and 186 become portions that the user can hold by hand.

카드소켓(150)은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151, 152)을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하우징(153) 및 커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rd socket 150 may include a base housing 153 and a cover 160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chambers 151 and 152.

베이스 하우징(153)은 회로기판(144, 도 3 참조)에 배치되며, 제1 수용실(151)을 구비한다. 베이스 하우징(153)은 베이스 부재(154), 중간 부재(155) 및 측면 부재들(156a, 156b)을 포함한다.The base housing 153 is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144 (see FIG. 3) and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chamber 151. The base housing 153 includes a base member 154, an intermediate member 155, and side members 156a and 156b.

베이스 부재(154)는 회로기판(144)의 면상에 배치되며, 베이스 부재(154)의 일면에는 제1 외장카드(1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단자(154a)가 배치된다.The base member 154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44,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154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xterior card 181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154.

중간 부재(155)는 베이스 부재(154)와 이격되어 베이스 부재(154)와 함께 제1 수용실(151)의 수용 공간을 한정한다. 중간 부재(155)의 상기 베이스 부재(154)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 면에는 제2 외장카드(18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155a)가 배치된다.The intermediate member 155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member 154 to define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151 together with the base member 154.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155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card 182 is dispos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155 facing the base member 154.

측면 부재들(156a, 156b)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154) 및 중간 부재(155)의 양 모서리를 서로 연결한다. 측면 부재들(156a, 156b)은 각각 중간 부재(155)로부터 상기 회로기판(144)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Side members 156a and 156b are provided in plural to connect both edges of the base member 154 and the intermediate member 155 with each other. The side members 156a and 156b protrude from the intermediate member 155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ircuit board 144, respectively.

베이스 부재(154), 중간 부재(155) 및 측면 부재들(156a, 156b)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사출 성형 등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된다.The base member 154, the intermediate member 155, and the side members 156a and 156b ar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re integrally formed through, for example, injection molding.

커버(160)는 베이스 하우징(153)을 덮도록 이루어지며, 베이스 하우징(153)과 함께 제2 수용실(15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커버(160)는 상기 중간 부재(155)와 이격되어 중간 부재(155)와 함께 제2 수용실(152)의 수용 공간을 한정한다. 측면 부재들(156a, 156b)은 중간 부재(155)에서 커버(160)까지 돌출되어 제2 수용실(152)의 측벽을 형성한다.The cover 160 covers the base housing 153 and forms a second accommodating chamber 152 together with the base housing 153. In detail, the cover 160 is spaced apart from the intermediate member 155 to define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152 together with the intermediate member 155. The side members 156a and 156b protrude from the intermediate member 155 to the cover 160 to form sidewalls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152.

도 4b를 참조하면, 측면 부재들(156a, 156b)에는 각각 제1 및 제2 연결단자(154a, 155a)가 삽입되는 삽입홀(156c)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연결단자(154a, 155a)는 삽입홀(156c)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수용실(151, 15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insertion holes 156c in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154a and 155a are inserted are formed in the side members 156a and 156b,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154a and 155a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chambers 151 and 152 through the insertion hole 156c.

베이스 부재(154) 및 중간 부재(155)에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154a, 155a)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삽입홀(156c)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홈들(157a, 157b)이 형성된다.Guide grooves 157a and 157b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hole 156c are formed in the base member 154 and the intermediate member 155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154a and 155a.

도 5a를 참조하면, 중간 부재(155)의 가이드 홈(157a)은 연결단자(155a)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55b)를 구비하며, 이를 통하여 연결단자(155a)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베이스 부재(154)의 가이드 홈(미도시)도 중간 부재(155)의 가이드 홈(157a)과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the guide groove 157a of the intermediate member 155 includes guide rails 155b formed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terminal 155a, thereby allowing the inser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155a. Guide. The guide groove (not shown) of the base member 154 may also be configured similarly or identically to the guide groove 157a of the intermediate member 155.

다시 도 4b를 참조하면, 가이드 홈들(157a, 157b)의 단부에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154a, 155a)의 외장카드들(181, 18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하 "접촉부"라 한다)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베이스 부재 및 중간 부재(154, 155)를 관통하는 관통홀들(159a, 159b)이 형성된다. 즉, 접촉부(158)는 외팔보의 자유단을 이루며, 제1 및 제2 수용실(151, 152)의 내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외장카드들(181, 182)이 수용실들(151, 152)에 삽입되면 접촉부(158)는 관통홀들(159a, 159b)을 향하여 굽힘 변형되면서 외장카드들(181, 182)의 단자부(183, 184, 도 4a 참조)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접촉부(15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접촉부(158)와 단자부(183, 184)의 접촉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4B, portions of the guide grooves 157a and 157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cards 181 and 182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154a and 155a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act parts”). Through holes 159a and 159b penetrating the base member and the intermediate member 154 and 155 are formed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That is, the contact portion 158 forms a free end of the cantilever beam and is formed to protrude beyond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chambers 151 and 152. When the external cards 181 and 182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chambers 151 and 152, the contact part 158 is bent and deformed toward the through holes 159a and 159b, and the terminal parts 183 of the external cards 181 and 182 are deformed. 184, see FIG. 4A). In this case, contact failure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58 and the terminal portions 183 and 184 may be prevent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ntact portion 158.

제1 및 제2 연결단자(154a, 155a)에서 상기 접촉부(158)의 반대측은 회로기판(144, 도 3 참조)에 표면실장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연결단자들(154a, 155a)에서 회로기판(144)과 연결되는 부분은 연결단자들(154a, 155a)의 주면으로부터 회로기판(144)를 향하여 절곡된다.Opposite sides of the contact portion 158 i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154a and 155a may be surface-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44 (see FIG. 3). To this end, a por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s 154a and 155a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44 is bent toward the circuit board 144 from the main surfaces of the connection terminals 154a and 155a.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커버(160)는 주면부(161) 및 연결다리부(16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ver 160 includes a main surface portion 161 and the connecting leg 162.

주면부(161)는 베이스 하우징(153), 구체적으로 중간 부재(155)를 덮도록 형성되고, 연결다리부(162)는 상기 주면부(161)의 양 모서리, 즉 가장자리에서 회로기판(144, 도 3 참조)을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회로기판(144)과 체결된다. The main surface portion 161 is formed to cover the base housing 153, 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member 155, and the connection leg portion 162 is formed at both edges of the main surface portion 161, that is, at the edges of the circuit board 144. 3) is bent to the circuit board 144.

베이스 하우징(153)에서는 돌기(163)가 돌출되며, 연결다리부(162)에는 베이스 하우징(153)과 결합하도록 상기 돌기(163)에 걸리는 관통홀(164)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돌기(163)는 후크를 이루며, 관통홀(164)에 상기 후크가 걸림된다. The protrusion 163 protrudes from the base housing 153, and a through hole 164 that is caught by the protrusion 163 is formed in the connection leg 162 to be coupled to the base housing 153. Specifically, the protrusion 163 forms a hook and the hook is caught in the through hole 164.

커버(160)는 상기 주면부(161)에서 절곡되어, 상기 외장카드들(181, 182)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제1 및 제2 수용실(151, 152)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165)를 포함한다. 바닥부(165)는 상기 커버(160)의 양 모서리와 교차하는 일 모서리에서 절곡된다. 커버(160)는 제2 수용실(152)에 수용된 제2 외장카드(182)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160)의 일 모서리를 중심으로 바닥부(165)와 주면부(161)의 서로 인접하는 부분은 제2 수용실(152)에 수용된 제2 외장카드(182)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절개된다. 즉, 커버(160)의 주면부(161)는 제2 외장카드(182)의 삽입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바닥부(165)로부터 제2 수용실(152)의 개구(152a)를 향하여 리세스된다. The cover 160 is bent from the main surface portion 161 to form a bottom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chambers 151 and 152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external cards 181 and 182. Bottom 165. The bottom portion 165 is bent at one edge that intersects both edges of the cover 160. The cover 160 is form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rior card 182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52 to the outside. Specifically, adjacent portions of the bottom portion 165 and the main surface portion 161 with respect to one edge of the cover 160 are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exterior card 182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52. Incision is made to expose the to the outside. That is, the main surface portion 161 of the cover 160 has an opening 152a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152 from the bottom portion 165 so as to expose at least a part of the inserted portion of the second outer card 182 to the outside. Is recessed toward).

개구(152a)를 관통하여 제2 수용실(152)에 삽입된 제2 외장카드(182)의 그랩부(176)는 상기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절개된 부분은 리어 케이스(122)의 관통홀(132)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배터리 커버(143, 이상 도 3 참조)를 연 상태에서 제2 외장카드(182)를 용이하게 취 출할 수 있게 된다.The grab portion 176 of the second exterior card 182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52 through the opening 152a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ut-out portion. In addition, the cut-out portion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through hole 132 of the rear case 122, through which the user easily opens the second outer card 182 while the battery cover 143 (see FIG. 3 above) is opened. It can be taken out.

커버(160)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연결다리부(162)에는 회로기판(144)과 연결되는 삽입용 연결단자(162a)가 형성된다. 삽입용 연결단자(162a)는, 예를 들어 DIP(dual in-line package) 타입의 연결 단자가 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144)에는 삽입용 연결단자(162a)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160 is made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nd the connection leg 162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connector 162a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44. The insertion connector 162a may be, for example, a connection terminal of a DIP (dual in-line package) type, and the circuit board 144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insertion connector 162a is inserted. Can be.

도 5b 및 도 4b를 참조하면, 추출 매커니즘(170)은 제1 수용실(15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제1 외장카드(181)를 상기 제1 수용실(151)로부터 추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S. 5B and 4B, the extraction mechanism 170 is slidably form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151, and the first exterior card 181 is mov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151 by the sliding. Is made to extract.

추출 매커니즘(170)은 가이드부(171) 및 슬라이딩 유닛(172)을 포함한다.The extraction mechanism 170 includes a guide portion 171 and a sliding unit 172.

가이드부(171)는 제1 수용실(151)에 배치되며, 제1 외장카드(181)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171)는 제1 수용실(151)의 내면으로부터 리세스되며, 슬라이딩 유닛(172)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다.The guide part 171 is dispos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151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exterior card 181. The guide part 171 is recess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151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liding unit 172.

슬라이딩 유닛(172)은 가이드부(17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 외장카드(181)를 지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외장카드(181)의 삽입 방향에 교차하도록 형성된다.The sliding unit 172 is formed to be slidable along the guide part 17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liding unit 172 crosses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exterior card 181 to support the first exterior card 181.

슬라이딩 유닛(172)은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된다. 제1 위치는 제1 외장카드(181)가 제1 수용실(151)에 수용되어 회로기판(144, 도 3 참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이며, 제2 위치는 제1 외장카드(181)가 제1 수용실(151)에서 추출되는 위치를 의미한다.The sliding unit 172 is formed to slid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The first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first exterior card 181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15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44 (see FIG. 3), and the second position is the first exterior card 181. Denotes a position extracted from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151.

슬라이딩 유닛(172)은 몸체(173), 지지부(174) 및 돌출부(175)를 포함한다.The sliding unit 172 includes a body 173, a support 174 and a protrusion 175.

몸체(173)는 가이드부(17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1 수용실(151)을 한정하는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몸체(173)는 판 부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판 부재의 양 모서리가 가이드부(171)에 의하여 가이드된다.The body 173 is slidably mounted to the guide part 171 and is formed to be parallel to a surface defining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151. In detail, the body 173 is formed in a plate member shape, and both edges of the plate member are guided by the guide part 171.

지지부(174)는 제1 외장카드(181)를 지지하도록 몸체(173)의 일단에서 절곡된다. 즉, 지지부(174)는 몸체(173)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173)와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제1 외장카드(181)의 일면을 지지한다.The support part 174 is bent at one end of the body 173 to support the first outer card 181. That is, the support part 174 is formed to cross the body 173 at one end of the body 173 to support one surface of the first exterior card 181.

돌출부(175)는 제1 위치에서 제1 수용실(151)의 개구에 걸리도록 몸체(173)의 타단에서 돌출된다. 돌출부(175)는 제1 외장카드(181)가 삽입될 때 삽입 방향으로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돌출부(175)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유닛(172)을 당길 수 있도록 잡을 수 있게 형성되며, 배터리 안착부(141, 도 3 참조)의 측면에서 바닥면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슬라이딩 유닛(172)은 상기 배터리 안착부(141)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다.The protrusion 175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173 to be caught by the opening of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151 in the first position. The protrusion 175 acts as a stopper in the insertion direction when the first outer card 181 is inserted. In addition, the protrusion 175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ll the sliding unit 172, and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battery seating portion 141 (see Fig. 3) to the bottom surface. The sliding unit 172 is disposed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seating portion 141 and is formed to slide along the bottom surface.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유닛(172)은 스토퍼(176)를 포함한다. 스토퍼(176)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172)의 몸체(173)에서 제1 수용실(151)의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며, 단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4B, the sliding unit 172 includes a stopper 176. The stopper 176 protrudes from the body 173 of the sliding unit 172 toward the opening of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151 and has a free end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at its end.

또한 가이드부(171)에는 스토퍼(176)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스토퍼 홈(177)이 형성되고, 스토퍼 홈(177)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제1 외장카드(181)의 추출 방향으로 스토퍼(176)가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171 is formed with a stopper groove 177 for guiding the sliding of the stopper 176, the stopper groove 177 is a stopper 176 in the extraction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card 181 at the second position. ) Is taken.

슬라이딩 유닛(172)의 장착을 위하여 슬라이딩 유닛(172)을 가이드부(171)에 삽입시키면, 스토퍼(176)는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스토퍼(176)가 걸리는 부분을 통과하게 된다.When the sliding unit 172 is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171 to mount the sliding unit 172, the stopper 176 elastically deforms and passes through the portion where the stopper 176 is caught in the second position.

도 4b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2 수용실(152)에는 각각 제2 외장카드(182)가 오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삽입 제한부(152b)가 형성된다. 삽입 제한부(152b)는 제2 수용실(152)의 코너에서 상기 외장카드(182)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만약, 외장카드(182)를 뒤집어서 삽입한다면, 외장카드(182)는 완전히 삽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 수용실(151)에는 제1 외장카드(181)가 오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삽입 제한부(미도시)가 제2 수용실(152)의 삽입 제한부(152b)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외장카드들(181, 182)의 역삽 방지 매커니즘이 구현된다.4B and 5B, an insertion limiting portion 152b is formed in the second storage chamber 152 so as to restrict the misinsertion of the second external card 182. The insertion limiting portion 152b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outer card 182 at the corner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152. If the external card 182 is inserted upside down, the external card 182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 addition, the insertion limiting portion (not shown)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insertion limiting portion 152b of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52 to restrict the misinsertion of the first external card 181 in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151. Is formed. Through this,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mechanism of the external cards 181 and 182 is implemented.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카드소켓(150)에 장착된 외장카드들(181, 182)의 추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카드소켓(150)에 장착된 외장카드들(181, 182)을 추출하는 동작들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Hereinafter, the extraction operation of the external cards 181 and 182 mounted on the card socket 1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6A to 6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operations of extracting external cards 181 and 182 mounted on the card socket 150.

도 5a는 제1 및 제2 수용실(151, 152, 도 4a 참조)에 각각 제1 및 제2 외장카드(181, 182)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60)에서 제2 외장카드(182)가 노출된 부분을 통하여 제2 외장카드(182)를 가압하거나 당겨주면, 사용자는 제2 외장카드(182)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FIG. 5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xterior cards 181 and 182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chambers 151, 152 and FIG. 4A,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5B, when the second external card 182 is pressed or pulled through the portion of the cover 160 where the second external card 182 is exposed, the user easily facilitates the second external card 182. Can be extracted.

만약, 제2 외장카드(182)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외장카드(181)를 추출하려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유닛(172)의 돌출부(175)를 잡아 당긴다. 돌출부(175)가 당겨지면, 슬라이딩 유닛(172)은 가이드부(171)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지지부(174, 도 4b 참조)는 제1 외장카드(181)를 개구를 향하여 밀어주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제2 외장카드(182)가 삽입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제1 외장카드(181)가 추출될 수 있다.If the second outer card 182 is inserted, the first outer card 181 may be extracted, and as shown in FIG. 5C, the protrusion 175 of the sliding unit 172 may be pulled out. When the protrusion 175 is pulled out, the sliding unit 172 slides along the guide portion 171, and the support portion 174 (see FIG. 4B) pushes the first exterior card 181 toward the opening. Through this, even when the second external card 182 is inserted, the first external card 181 may be easily extracted.

이와 같이, 슬라이딩 유닛(172)에 의하여 제1 외장카드(181)의 취출이 용이하므로, 취출되는 방향으로 제1 외장카드(181)의 길이가 보다 짧아질 수 있다. 즉, 카드소켓(150)은 제1 외장카드(181)를 가로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의 전장 길이가 보다 감소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exterior card 181 is easily taken out by the sliding unit 172, the length of the first exterior card 181 may be shorter in the ejecting direction. That is, the card socket 150 can accommodate the first external card 18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by the full length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further reduced.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7의 카드소켓의 확대도 및 분해도이다.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A and 8B are enlarged and exploded views of the card socket of FIG. 7, respectively.

도 7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222)은 슬라이딩 유닛(272)의 일부를 리어 케이스(222)의 배터리 안착부(241)와 인접한 부분에서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7, the rear case 222 is formed to expose a part of the sliding unit 272 to the outside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battery seating portion 241 of the rear case 222.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카드소켓(250)의 추출 매커니즘(270)은 상기 카드소켓(250)의 일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외장카드(181)를 제1 수용실(251)의 개구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수용실(251)의 내부로 돌출된다.8A and 8B, the extraction mechanism 270 of the card socket 250 is formed to slide along one edge of the card socket 250, and the external card 181 is first accommodated by the sliding. At least a portion protrudes into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251 to press toward the opening of the chamber 251.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유닛(272)은 본체부(273) 및 돌출부(274)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sliding unit 272 includes a body portion 273 and the protrusion 274.

본체부(273)는 카드소켓(250)의 일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카드소 켓(250)의 외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슬라이딩 유닛(272)을 조작하는 손잡이의 역할을 하게 된다.The main body 273 slides along one edge of the card socket 250 and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 socket 250, thereby serving as a handle for the user to operate the sliding unit 272. .

돌출부(274)는 본체부(273)에서 돌출되어, 카드소켓(250)의 외면을 관통하여 제1 수용실(251)로 연장되며, 외장카드(181)를 지지한다.The protruding portion 274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portion 273, extends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 socket 250 to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251, and supports the outer card 181.

제1 및 제2 수용실(251, 252)을 형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카드소켓(250)은 베이스 부재(253), 커버 부재(254) 및 중간 부재(255)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chambers 251 and 252, for example, the card socket 250 may include a base member 253, a cover member 254, and an intermediate member 255.

베이스 부재(253)는 회로기판(244, 도 7 참조)에 장착되며, 일면에 제1 외장카드(1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단자(254a)가 배치된다. 제1 연결단자(254a)는 상기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여 회로기판(2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253)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제1 연결단자(254a)는, 예를 들어 인서트 사출 등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253)와 일체화 될 수 있다. The base member 253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44 (see FIG. 7),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254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xterior card 181 is disposed on one surface there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54a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44 through the base member. The base member 253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54a may be integrated with the base member 253 by insert injection or the like.

커버 부재(254)는 상기 베이스 부재(253)의 일면과 이격되며,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253)의 모서리에 장착된다. The cover member 254 is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253, and an edge thereof is bent to be mounted at an edge of the base member 253.

중간 부재(255)는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251, 252)을 구획하도록 상기 베이스 및 커버 부재(253, 254)의 사이에 배치된다. 중간 부재(255)의 상기 제2 수용실(252)을 한정하는 면에는 제2 외장카드(18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255a)가 배치된다. 중간 부재(255)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제2 연결단자(255a)는 중간 부재(255)에서 연장되어 회로기판(244)과 연결된다. The intermediate member 255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ver members 253 and 254 to partition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chambers 251 and 252.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255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xterior card 182 is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255 that defines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252. The intermediate member 255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55a extends from the intermediate member 255 to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44.

베이스 부재(253) 및 중간 부재(255)의 모서리는 슬라이딩 유닛(272)의 돌출부(274)의 슬라이딩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 유 닛(272)은 외장 카드가 오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돌출부(274)와 본체부(273)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외장 카드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이는 삽입 제한부(251a)를 이룬다. 이를 통하여 외장 카드의 역삽 방지 매커니즘이 보다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corners of the base member 253 and the intermediate member 255 are formed to serve as a guide for the sliding of the protrusion 274 of the sliding unit 272. In addition, the sliding unit 272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external card at the portion where the protrusion 274 and the main body 273 is connected to limit the wrong insertion of the external card, which is the insertion restriction 251a ). Through this,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mechanism of the external card can be implemented more simply.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91), 조작부(116,123,124),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 입력부(125),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131), 센싱유닛(196), 인터페이스(126), 방송수신 모듈(195), 메모리(194), 전원공급부(127), 제어부(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9,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1, an operation unit 116, 123, 124, an image input unit 115, 128, an audio input unit 125, a display unit 113, and an audio output unit. It includes the 114, 131, the sensing unit 196, the interface 126,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95, the memory 194, the power supply unit 127, the controller 190.

제어부(19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ler 19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또한, 제어부(19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control, the controller 190 addition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무선통신 모듈(19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9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93)을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1 transmits /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the transmitter 192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text data, video data, and control data, and modulates and transmits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193).

조작부(116,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조작 부(116,123,1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units 116, 123, and 124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to provide the controller 190 with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 116, 123, 124 is composed of a dome switch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electrostatic), jog wheel, jog switch and the like.

영상 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proces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displayable on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3.

영상 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9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9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94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9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음향 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9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The sound input unit 125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In the case of the call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1 and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recording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 to be stored in the memory 194.

음향 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5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113)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display 113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the control unit 190 displays and output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nd outputs the captured image, UI, or GUI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When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13 is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9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9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are provided to the sound data or the memory 194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tored sound data is converted and output to the outside.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output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may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센싱 유닛(196) 이동 단말기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9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96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detecting a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may be sensed to output a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ler 19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27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the interface 126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126)는 이동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 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126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us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eg,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or the like.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the device. The interface 126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is supplied with power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or transmits the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메모리(194)는 제어부(19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9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90 and may provid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또한, 메모리(19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The memory 194 also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메모리(19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is memory 194 includes generally known concepts such as hard disks,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방송수신 모듈(19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9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9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95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 converts the broadcast signal into a broadcast data format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and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s the broadcast signal to the controller 190.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95 receives additional data related to the broadcast (for example, an EPG (electric program guide), a channel list, etc.). The broadcast data and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95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94.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27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도 3은 도 2의 제2 바디에 대한 분해도.3 is an exploded view of the second body of FIG. 2;

도 4a는 도 3의 카드소켓의 확대도.4A is an enlarged view of the card socket of FIG.

도 4b는 도 3의 카드소켓의 분해도.4B is an exploded view of the card socket of FIG. 3.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b의 A 및 B 부분의 확대도들.5A and 5B are enlarged views of portions A and B of FIG. 4B, respectively.

도 6a 내지 도 6c는 카드소켓에 장착된 외장카드들을 추출하는 동작들을 나타내는 개념도들.6A through 6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operations of extracting external cards mounted on a card socket.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Figure 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도 7의 카드소켓의 확대도.8A is an enlarged view of the card socket of FIG.

도 8b은 도 7의 카드소켓의 분해도.8B is an exploded view of the card socket of FIG.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9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 및A terminal body having a circuit board; And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복수의 외장카드들과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외장카드들을 각각 수용하는 카드소켓을 포함하고,A card socket mounted to the circuit board and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external cards and the external card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ircuit board to each other; 상기 카드소켓은,The card socket, 제1 외장카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실;A first accommodating chamber formed to accommodate the first outer card; 상기 제1 수용실에 적층되도록 이루어지며, 제2 외장카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2 수용실; 및A second accommodating chamber formed to be stack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a second outer card; And 상기 제1 수용실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상기 제1 수용실로부터 추출시키는 추출 매커니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A mobile terminal is formed to be slidable in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and includes an extraction mechanism for extracting the first exterior car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by the slid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드소켓은,The card socket,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용실이 구비되는 베이스 하우징; 및A base housing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and having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And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덮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2 수용실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And a cover formed to cover the base housing and forming the second accommodating chamber together with the base housing.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The base housing, 상기 제1 외장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단자가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A base member having a first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card; 상기 베이스 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와 함께 상기 제1 수용실의 수용 공간을 한정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 면에는 상기 제2 외장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가 배치되는 중간 부재; 및A second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spaced with the second outer card is dispos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base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base member to define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together with the base member. Being an intermediate member; And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중간 부재의 양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중간 부재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측면 부재들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And a plurality of side members connecting both edges of the base member and the intermediate member to each other and protruding from the intermediate membe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측면 부재들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The side members are formed with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are inserted, respectively.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중간 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삽입홀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base member and the intermediate member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s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hole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가이드 홈들의 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의 상기 외장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중간 부재를 관통하는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end of the guide groove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holes penetrating the base member and the intermediate member are formed so that the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card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is elastically deformabl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커버는, The cover,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덮도록 형성되는 주면부; 및A main surface portion formed to cover the base housing; And 상기 주면부의 양 모서리에서 상기 회로기판을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회로기판과 체결되는 연결다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A mobile terminal which is bent from both corners of the main surface portion toward the circuit board, and includes a connection leg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연결다리부에는,In the connecting leg,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결합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서 돌출되는 돌기에 걸리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projection projecting from the base housing to be coupled to the base housing.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커버는,The cover, 상기 주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외장카드들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And a bottom portion bent from the main surface portion to form a bottom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chambers with respect to an insertion direction of the external card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추출 매커니즘은,The extraction mechanism, 상기 제1 수용실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외장카드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A guide part dispos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and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an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card; And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지지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외장카드의 삽입 방향에 교차하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A mobile terminal is formed to be slidable along the guide unit, and includes a sliding unit at least partially crossi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card so as to support the first outer card.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The sliding unit, 상기 제1 외장카드가 상기 제1 수용실에 수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외장카드가 상기 제1 수용실에서 추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first outer car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so as to be slid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a second position where the first outer card is extract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The sliding unit,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 수용실을 한정하는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몸체;A body slidably mounted to the guide part and formed to be parallel to a surface defining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절곡되는 지지부; 및A support portion bent at one end of the body to support the first outer card; And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수용실의 개구에 걸리도록 상기 몸체의 타단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And a protrusion project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so as to be caught by the opening of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in the first position.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몸체에서 상기 제1 수용실의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며, 단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The sliding unit includes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body of the sliding unit toward the opening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the end of which comprises a stopper formed of a free end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스토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홈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외장카드의 추출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가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nd a stopper groove for guiding sliding of the stopper, wherein the stopper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stopper is caught in the extraction direction of the first external card at the second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제2 외장카드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nd the cover is configur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outer card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chamber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외장카드는 각각 일 방향으로 길도록 형성되고,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cards are formed to be long in one direction,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의 개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외장카드의 긴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nd the ope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chamber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ng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exterior card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외장카드는 각각 심(SIM)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first and the second external card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ach SIM (SIM) car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케이스에는 배터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배터리 안착부가 형성되고,The cas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battery seating portion that is rec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case so that the battery is seated, 상기 카드소켓은 상기 제1 및 제2 수용실의 개구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nd the card socket is configured such that ope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chambers ar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battery seating portion.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케이스의 상기 배터리 안착부와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제2 수용실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case adjacent to the battery seating portion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상기 추출 매커니즘은 상기 제1 수용실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추출시키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고, The extraction mechanism includes a sliding unit which is formed to be slidable in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to extract the first exterior card,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sliding unit is disposed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liding along the bottom su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추출 매커니즘은,The extraction mechanism, 상기 카드소켓의 일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에 의하여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상기 제1 수용실의 개구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수용실의 내부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A sliding unit which is formed to slide along one edge of the card socket, and at least a part of the sliding unit protrudes into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so as to press the first exterior card toward the opening of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by the sliding. Mobile terminal comprising.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The sliding unit, 상기 카드소켓의 일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카드소켓의 외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본체부; 및A main body sliding along one edge of the card socket to cover an outer surface of the card socket; And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카드소켓의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수용실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외장카드를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extending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 socket to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 and supporting the first outer card.
KR1020090111129A 2009-11-17 2009-11-17 Portable terminal KR1016776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129A KR101677617B1 (en) 2009-11-17 2009-11-17 Portable terminal
RU2010117179/07A RU2444148C2 (en) 2009-11-17 2010-04-29 Mobile terminal
CN2010105410625A CN102065159A (en) 2009-11-17 2010-11-08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129A KR101677617B1 (en) 2009-11-17 2009-11-17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440A true KR20110056440A (en) 2011-05-30
KR101677617B1 KR101677617B1 (en) 2016-11-18

Family

ID=4400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129A KR101677617B1 (en) 2009-11-17 2009-11-17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77617B1 (en)
CN (1) CN102065159A (en)
RU (1) RU2444148C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413A1 (en) * 2021-02-22 2022-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Card tray having noise preventi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4428B (en) * 2011-11-24 2015-06-24 昆山鸿日达电子科技有限公司 Mobile phone cassette and shell for the same
WO2015050475A1 (en) * 2013-10-02 2015-04-09 Elin Vladimir Aleksandrovich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multifunction identification module
WO2014182196A1 (en) * 2013-05-08 2014-11-13 Otkrytoe Aktsionernoe Obschestvo "Intersoft Evraziya" Device for selection and conn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
WO2017082764A1 (en) * 2015-11-09 2017-05-18 Валентина Митрофановна АРТЕМЕНКО Touch-sensitive cell pho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1742A (en) * 1989-09-14 1991-04-26 Canon Inc Develop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charge image
KR20010107023A (en) * 2000-05-24 2001-12-07 구자홍 Memory connector
KR20090000533A (en) * 2007-06-28 200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742B2 (en) * 1991-07-05 2000-10-23 東洋通信機株式会社 Minimum detector
US5933328A (en) * 1998-07-28 1999-08-03 Sandisk Corporation Compact mechanism for removable insertion of multiple integrated circuit cards into portable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FR2791448B1 (en) * 1999-03-26 2001-06-01 Framatome Connectors Int CONNECTOR FOR DUAL MICROCIRCUIT CARD READER FOR SEPARATELY RECEIVING TWO MICROCIRCUIT CARDS
DE10052025A1 (en) * 2000-10-20 2002-04-25 Orga Kartensysteme Gmbh Card reader device for use with SIM cards has a casing and electrical contacts arranged as a group within a holder device in the casing and in overlapping parallel layers with gaps.
TW500275U (en) * 2001-03-28 2002-08-21 Suyin Corp Dual card socket structure for mobile phone
CN2891334Y (en) * 2006-04-14 2007-04-18 实盈股份有限公司 SIM card connector
CN201072868Y (en) * 2007-04-24 2008-06-11 深圳君泽电子有限公司 Laminated SIM card holder
KR101132416B1 (en) * 2007-06-04 2012-04-03 타이코에이엠피(유) A socket for mounting a memory card and a SIM card using a mobile phone
CN201122678Y (en) * 2007-08-27 2008-09-24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Electronic card holding base and connector assembly with the same
CN201130735Y (en) * 2007-12-12 2008-10-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Multiple-grooved floor type user recognizing card seat
RU2373661C2 (en) * 2008-01-24 2009-11-20 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 Епихин Cellular phone mobile double four-displays inverter "aurus"
CN201233975Y (en) * 2008-07-15 2009-05-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Fastening holder for electronic product
CN201247841Y (en) * 2008-08-29 2009-05-27 上海徕木电子股份有限公司 Laminated SIM card holder
CN201307426Y (en) * 2008-12-11 2009-09-09 林勇 USB flash disk with light emitting diode (LE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1742A (en) * 1989-09-14 1991-04-26 Canon Inc Develop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charge image
KR20010107023A (en) * 2000-05-24 2001-12-07 구자홍 Memory connector
KR20090000533A (en) * 2007-06-28 200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413A1 (en) * 2021-02-22 2022-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Card tray having noise preventi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44148C2 (en) 2012-02-27
RU2010117179A (en) 2011-11-10
CN102065159A (en) 2011-05-18
KR101677617B1 (en) 2016-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991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65109A (en) Portable terminal
KR101677617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29917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27514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ntenna module and antenna setting method therefor
KR101376610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00533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02240A (en) Touch-sensor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45571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11319A (en) Terminal unit for sim-card socke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59004B1 (en) Portable terminal
KR20100002902A (en) 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KR101604753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63816B1 (en) Battery p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017908A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49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7037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87136B1 (en) Portable terminal
KR20120009626A (en) Mobile terminal
KR101442543B1 (en) Portable terminal
KR10101688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13618B1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32335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00996A (en) Portable terminal
KR20080109286A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