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319A - Terminal unit for sim-card socke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erminal unit for sim-card socke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319A
KR20090011319A KR1020070074769A KR20070074769A KR20090011319A KR 20090011319 A KR20090011319 A KR 20090011319A KR 1020070074769 A KR1020070074769 A KR 1020070074769A KR 20070074769 A KR20070074769 A KR 20070074769A KR 20090011319 A KR20090011319 A KR 20090011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 card
unit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contact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7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18284B1 (en
Inventor
고동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284B1/en
Publication of KR20090011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3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2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8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comprising deformable por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terminal unit for an SIM card socket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mount terminals forming the SIM card socket easily. A terminal(220) for the contact is coupled with a printed circuit board(21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part(122a) which is equipped on a part of a body. At this time, the opening part is correspondingly formed to the size of an SIM card. The SIM card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for the contact. In this state, a battery forming a power supply unit is mounted so as to press the SIM card.

Description

심-카드 소켓용 단자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TERMINAL UNIT FOR SIM-CARD SOCKE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Terminal unit for SIM card socket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TERMINAL UNIT FOR SIM-CARD SOCKE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심-카드 소켓용 단자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unit for a SIM card socket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 or data storage.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receiving a broadcast, and the like as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Is being implemented.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의 구현, 견고하고 심플한 구성, 편리하고 안정된 작동 및/또는 사용의 편리성 등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방면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의 제공을 위한 연구가 시도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의 개성을 표 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의 연구가 시도되기도 한다. In order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robust and simple configuration, convenient and stable operation, and / or ease of use, such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aspects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For example, research has been attempted to provid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for the user to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easily and conveniently. In addition, while a mobi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device for expressing a user's personality, studies of various designs have been attempted.

이와 같은 다양한 요구들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구성 또는 작동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표시수단의 적용(또는 구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다양한 작동형태 또는 기능의 구현을 위한 입출력 수단이 편리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작동상태와 기능이 적용되더라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소형화되는 휴대 단말기의 환경에서도 사용(작동)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In such various needs, research is needed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or implementation) of the display means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r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research to be able to conveniently apply the input and output means for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operation forms or functions. In addition, even if various operating states and functions are applied, a study is required to make a simple structure, and a study is required to make it convenient to use (operation) even in a miniaturized portable terminal environ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요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one of the requirements for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thickness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심-카드용 소켓을 구성하는 단자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the terminal constituting the socket for the SIM car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심-카드용 소켓을 구성하는 단자의 접속불량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connection failure of the terminals constituting the socket for the SIM card to the maximum.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심-카드용 소켓을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ocket for a SIM car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심-카드용 소켓을 구성하는 단자가 직접 인쇄회로기판과 결합하는 경우에도 다른 전기 또는 전자 부품과의 쇼트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short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components even when the terminal constituting the SIM card socket is directly combined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심-카드용 소켓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택용 단자가 다른 커넥터 등과 같은 부품에 의존하지 않고 인쇄회로기판과 직접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problems can be configured such that one or more contact terminals constituting the SIM card socket are directly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without depending on components such as other connectors. .

여기서, 심-카드용 소켓은 하나 이상의 컨택용 단자가 배치되는 휴대 단말기 바디의 어느 일 위치에 심-카드 삽입부(장착부)가 되는 개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과 직접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컨택용 단자는 휴대 단말기 바디의 어느 일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SIM card socket may form an opening that becomes a SIM card insertion part (mounting part) at any on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in which one or more contact terminals are disposed. In addition, one or more contact terminals directly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configured to be exposed through an opening formed at on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또한, 심-카드용 소켓을 구성하는 컨택용 단자는 패드에 배열되어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택용 단자는 심-카드와 접속되는 접속부가 동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컨택용 단자는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접속부가 대칭을 이루도록 패드의 양단부에 배열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act terminals constituting the SIM card socket may be arranged in a pad and constitute one unit. In this case, the contact terminal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with the SIM card i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In addition, the contact terminals may be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pad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symmetrical.

한편, 심-카드용 소켓을 구성하는 컨택용 단자가 배열되는 패드는 접착성 물질, 적어도 어느 일 영역이 비접착성 영역을 가지는 접착성 물질, 내열성 물질 및/또는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ad in which the contact terminals constituting the SIM card socket are arranged may be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an adhesive material having at least one region having a non-adhesive region, a heat resistant material, and / or an insulating material.

다른 한편, 심-카드용 소켓은 장착되는 심-카드가 이탈되지 않도록 바디, 배터리 또는 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 커버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ocket for the shim card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a mounting cover which is resiliently coupled to the body, the battery or the body so that the shim card to be mounted is not detached.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심-카드 소켓용 단자유닛은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결합하게 되는 컨택용 단자가 접착성 또는 비접착성 물질로 구성되는 패드에 배열되어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unit for a SIM card socket, wherein a contact terminal, which is directly coupl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is formed on a pad formed of an adhesive or non-adhesive material. It may be arranged in one unit.

이 경우 컨택용 단자가 배열된 패드는 베이스에 일렬로 구비되어 하나씩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pads on which contact terminals are arranged may be provided in line with each other and provided one by on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심-카드용 소켓을 구성하는 컨택용 단자가 인쇄회로기판과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terminal constituting the SIM card socke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심-카드용 소켓을 구성하는 컨택용 단자의 접속불량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failure of the contact terminal constituting the SIM card socket as much as possible.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심-카드용 소켓을 구성하는 단자가 직접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상태에서 심-카드가 장착되어도 다른 전기 또는 전자 부품과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IM card is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s constituting the SIM card socket are directly mounted on the PCB,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ort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components.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심-카드용 소켓을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socket for a SIM card can be reduced.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구성은 심-카드는 물론 다른 카드 형태의 부품이 장착되는 소켓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s a socket to which the parts of the card-shaped as well as other cards are mount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심-카드 소켓용 단자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SIM card terminal terminal unit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 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Hereinafter, the 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intended to illustrate that 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reinafter,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mponents that will have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is represen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시된 실시예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가 슬라이딩 작동을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를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심-카드용 소켓(200)이 제2바디(120)의 배터리 장착부(128)에 구비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고, 바 타입(bar-type), 폴더 타입(folder type), 스위블 타입(swivel type)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심-카드용 소켓(200)의 위치는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바디(110,120)의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1A and 1B illustrate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20.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at the socket for the SIM card 200 is provided in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28 of the second body (120).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but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bar type, a folder type, a swivel typ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SIM card socket 200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as shown, and may be provided at other positions of the bodies 110 and 120 constituting the mobile terminal 100.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제1바디(110)와 상기 제1바디(1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두 바디(110,120)는 슬라이더 부재(133)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상대 슬라이딩 구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상태는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완전히 중첩되게(겹쳐지도록) 배치된 상태와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게(겹쳐지도록)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as follows.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20 configured to be slidable. The two bodies 110 and 120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sliding member relative to each other by the slider member 133. Here,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10 is disposed so as to completely overlap (overlap) the second body 120 and the first body 110 overlaps the second body 120 and some regions ( To be arranged).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대기 모드로 작동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데이터의 입력(또는 양방향 통신 또는 휴대 단말기 내부에 내장된 기능의 수행을 위한 데이터의 입력 등)을 위해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operated in a standby mode in a closed state, or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a user's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for input of data (or input of data for per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r internal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etc.) in an open state. May be switched to the standby mode.

상기 제1바디(110) 및/또는 제2바디(120)의 내부에는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적인 기능의 수행 또는 기계(또는 기구)적인 작동의 수행을 위한 각종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10) 및/또는 제2바디(120)는 외관 구성이 프론트 케이스(111,121)와 리어 케이스(112,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 바디(110,120)들은 그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side the first body 110 and / or the second body 120, various components for performing a software function or a mechanical (or mechanical) operation embedded i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embedded. The first body 110 and / or the second body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ront cases 111 and 121 and rear cases 112 and 122, and the bodies 110 and 120 may have their front and rear cases.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arranged in between.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titanium.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바디(110)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부(113)는 정보(데이터)의 출력 이외에도 정보(데이터)의 입력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A, a display unit 113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The display unit 113 may include a unit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odule, etc. to visually output information (data). The display unit 113 may be configured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data) in addition to output of information (data).

상기 정보(데이터)의 입력은 예를 들어 데이터의 검색, 메뉴의 검색, 기능의 제어를 위한 신호의 발생, 통신을 위한 데이터 입력 등과 같은 정보(데이터)의 입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에 의한 터치(또는 가압)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input of the information (data) is a concept including the input of information (data), for example, data search, menu search, signal generation for control of functions, data input for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13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configuration such as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such information. In addition, it may be implemented by means for generating a signal by a touch (or pressing) by the user.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디에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복수의 조작부(116,123,124)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조작부(123), 제2조작부(116) 및 제3조작부(124)가 구비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on at least one body. The operation un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116, 123, and 124.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operation unit 123, the second operation unit 116, and the third operation unit 124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조작부(123)는 제2바디(12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고, 제2조작부(116)는 제1바디(110)의 일 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부가적인 기능을 위해 제3조작부(124)가 제1바디(110) 또는 제2바디(120)의 어느 일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시상에서 제3조작부는 제2바디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As shown,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23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and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116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In addition, the third manipulation unit 124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110 or the second body 120 for an additional function. In the city, the third control unit is shown to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body.

상기 조작부(116,123,124)들은 숫자, 문자 및/또는 심볼(symbol)(기호를 포함) 등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116,123,124)들 중 일부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의 입력 및/또는 특정 기능의 수행을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부(116,123,124)들 중 일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패드 또는 돔 스위치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의 구성이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데이터 등의 입력을 위한 입력키의 구성이 쿼티 방식의 배열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manipulation units 116, 123, and 124 may be configured to enable input of numbers, letters, and / or symbols (including symbols). In addition, some of the manipulation units 116, 123, and 124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ble as hot-key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 or perform a specific function. In addition, some of the manipulation units 116, 123, and 124 may be implemented in a configuration such as a touch pad or a dome switch that may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that may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manipulation. It may be. In addition, a combination of a wheel or a jog or a method of operating like a joystick may be implemented.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 key for inputting data or the like may be configured to have a QWERTY arrangement.

또한, 상기 제1바디(110)는 음향출력부(114)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게 제1바디(110)는 음향입력부(12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 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sound output unit 114. The sound output unit 11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In addition, the first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sound input unit 125. The sound input unit 12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microphon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상기 제2바디(120)의 다른 일 면(제1조작부가 구비되지 않은 맞은편 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ody 120 (opposite side where the first manipulation unit is not provided), a power supply unit 127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The power supply unit 127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for example, as a rechargeable battery.

상기 전원공급부(127)가 구비되는 배터리 장착부(128)에는 심-카드용 소켓(20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심-카드용 소켓(200)은 심-카드(SIM-Card :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 140)의 장착을 위해 구성된다. 심-카드(140)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는 카드로 주소록, 메시지, 멤버십 카드, 신용카드, 교통카드 및/또는 폰뱅킹 기능이 내장되기도 한다. 물론 상기 심- 카드용 소켓(200)은 바디(110,120)의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The battery mounting unit 128 provided with the power supply unit 127 may further include a SIM card socket 200. The SIM-card socket 200 is configured for mounting a SIM-Card (SIM-Card). The SIM card 140 is a card for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 address book, a message, a membership card, a credit card, a traffic card, and / or a phone banking function may be built in. Of course, the SIM card socket 200 may be provided at other positions of the bodies 110 and 120.

그리고, 상기 제2바디(120)는 제1영상입력부(128)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영상입력부(128)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영상입력부(128)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2플레쉬(129)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The second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mage input unit 128. The first image input unit 128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In this case, a second flash 129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image input unit 128.

그리고, 상기 제2바디(120)의 일 측면(예를 들어 상기 제3조작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인터페이스(126)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예를 들어 통신)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의 구성에 대한 일 예로,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구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n interface 126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120 (for example,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third manipulation unit). The interface 126 may be implemented as a path that enables the mobile terminal 100 to exchange data (e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face 126, the interface 126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onfiguration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data exchange. The interface 126 may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etc.), Alternatively,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In addition, the interface 126 may be configured as a card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상기 제1바디(110)는 제2영상입력부(11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영상입력부(115)는 상기 제1영상입력부(128)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상기 제1영상입력부(128)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영상입력부(128) 또는 제2영상입력부(115) 중 어느 하나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로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다른 하나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 고 화소로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mage input unit 115.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15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28, and may be configured as a camera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128. For example, any one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28 or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15 may be configured to shoot with a low pixel so as not to cause difficulty in photographing a user's face and transmitting it to a counterpart in a video call or the like. The other may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hooting with high pixels when a general subject is photographed and not immediately transmitted.

한편, 상기 제2바디(120)에 제1영상입력부(128)가 구비되는 경우, 제1영상입력부(128)와 인접한 위치에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1영상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1영상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Meanwhile, when the first image input unit 128 is provided in the second body 120, a flash 129 and a mirror unit 130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image input unit 128. The flash 129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first image input unit 128. The mirror unit 130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own face or the like when photographing (self-photographing) the user by using the first image input unit 128.

상기 제2바디(120)에는 다른 음향출력부(13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음향출력부는 제2바디(120)에 구비되는 음향출력부(125)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The second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nother sound output unit 131. The other sound output unit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unit 125 provided in the second body 120.

그리고, 상기 두 바디(110,120) 중 어느 일 바디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시상에서는 제2바디(120)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더 구비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방송수신용 안테나(132)는 바디의 내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two bodies 110 and 120 may further include an antenna 132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antenna 132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is further provided in the second body 120. The broadcast receiving antenna 132 may be configured to be pulled out of the body.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두 바디(110,12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작동모드가 자동 전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센싱유닛(1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 다. 상기 센싱유닛(150)은 상기 두 바디(110,1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력부재와 상기 자력부재가 근접된 상태를 인식하는 홀 센서와 같은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싱유닛(150)의 다른 일 예로는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150 in order to detect an open / close state of the two bodies 110 and 120 so that an operation mode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The sensing unit 150 may be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two bodies 110 and 120.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50 may include a unit such as a hall sensor that recognizes a state in which a magnetic member and the magnetic member are in close proximity. have. Another example of the sensing unit 150 may be configured using a proximity sensor.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일 바디(110,120)에는 심-카드용 소켓(20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심-카트용 소켓(200)은 바디(110,120)의 어느 일 위치에 개구부(122a)가 구비되어 컨택용 단자(220)가 상기 개구부(122a)를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122a)는 심-카드(140)가 장착되는 삽입부(또는 장착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body 110 and 120 may be provided with a socket for a shim card 200, and the socket for the shim-cart 200 may have an opening 122a at any one position of the bodies 110 and 12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ontact terminal 220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22a. In this case, the opening 122a may be configured as an insertion part (or mounting part) in which the SIM card 140 is mounted.

상기 심-카드용 소켓(200)을 구성하는 컨택용 단자(220)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상기 컨택용 단자(220)는 인쇄회로기판(21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컨택용 단자(220)는 일 단부가 인쇄회로기판(210)에 고정되는 결합부(221)가 구비되고, 다른 일 단부에는 심-카드(140)의 단자와 연결되는 접속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22)는 결합부(221)가 인쇄회로기판(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221)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부러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접속부(222)는 심-카드(140)와 접속시 탄성력에 의해 접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The contact terminal 220 constituting the SIM card socket 20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2A. In detail, the contact terminal 220 may be configured to be directly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The contact terminal 220 has a coupling part 221 having one end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a connection part 222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SIM card 140 at the other end thereof. Can be. The connection part 222 may be configured to be bent to keep the coupling part 221 spaced apart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221 while being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connection portion 222 may be maintained in a connected state by an elastic force when connected to the SIM card 140.

상기 컨택용 단자(220)는 인쇄회로기판(210)에 용접, 납땜 또는 숄더링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결합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심-카드(140)의 장착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장착되는 경우 심-카드(140)의 삽입에 의해 컨택용 단자(2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택용 단자(220)의 접속부(222)가 심-카드(140)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ntact terminal 220 may be provided by a commonly known coupling method such as welding, soldering, or shouldering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When the mounting of the SIM-card 140 is mounted in a sliding manner, the shim The connection part 222 of the contact terminal 220 may b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SIM card 140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contact terminal 220 by the insertion of the card 140. have.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210)에는 컨택용 단자(220)의 수와 상응하는 수의 홈(211)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홈(211)은 심-카드(140)의 장착에 의해 컨택용 단자(220)의 접속부(222)가 눌려질 때, 인쇄회로기판(210)의 회로패턴 또는 다른 부품 또는 심-카드(140)의 다른 단자와의 쇼트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홈(211)은 심-카드(140)의 장착에 의해 컨택용 단자(220)의 접속부(222)가 눌려질 때, 접속부(222)가 인쇄회로기판(210)에 눌려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홈(211)은 심-카드(140)의 장착에 의해 컨택용 단자(220)의 접속부(222)가 눌려질 때, 인쇄회로기판(210)과 접하게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Meanwhile,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211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ntact terminals 220. The groove 211 is a circuit patter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or other components or SIM card 140 when the contact portion 222 of the contact terminal 220 is pressed by mounting the SIM card 140. It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a short with the other terminal of the). On the other hand, the groove 211 is deformed by pressing the connection portion 222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when the connection portion 222 of the contact terminal 220 is pressed by the mounting of the SIM card (140).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prevent. Accordingly, the groove 211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tact portion 222 of the contact terminal 220 is pressed by the mounting of the SIM card 140 to be in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상기와 같이 구성 가능한 컨택용 단자(220)는 심-카드(140)에 구비되는 단자의 수와 상응하는 수로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심-카드(140)에 구비되는 단자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를 가지도록 인쇄회로기판(2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심-카드(140)와 접속하는 컨택용 단자(220)를 인쇄회로기판(210)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하우징(케이싱 또는 커넥터)이 요구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컨택용 단자(220)를 인쇄회로기판(210)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하우징(케이싱 또는 커넥터)이 차지하는 두께는 감소될 수 있고, 또한 부품의 수가 감소하며, 조립공정이 단축될 수 있다. The contact terminal 220 configurable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provided in the SIM card 140, and als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s provided in the SIM card 140. It may b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to have. By such a configuration, a separate housing (casing or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ontact terminal 220 connecting to the SIM card 140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is not required. In other words, the thickness of a separate housing (casing or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ontact terminal 220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may be reduced, the number of parts may be reduced, and the assembly process may be shortened. hav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용 단자(220)는 바디(110,120)의 어느 일 위치에 구비되는 개구부(122a)(도시상에서는 배터리 장착부(128)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됨)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개구부(122a)는 심-카드(140)의 크기와 상응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심-카드(140)의 크기보다 일 측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될 수도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contact terminal 2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122a (shown as being provided in the battery mounting unit 128) provided at any one position of the bodies 110 and 120. It can be configured to be. In this case, the opening 122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SIM card 140, or may be configured to have one side longer than the size of the SIM card 140.

도 2b는 개구부(122a)가 심-카드(140)의 크기와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컨택용 단자(220)는 인쇄회로기판(210)에 결합하는 상태로 상기 개구부(122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통해 심-카드(140)가 상기 개구부(122a)에 끼워져, 심-카드(140)의 단자가 상기 컨택용 단자(220)와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공급부(127)를 구성하는 배터리가 상기 심-카드(140)를 누르도록 장착되어 심-카드(140)는 컨택용 단자(220)와의 접속을 유지하게 될 수 있다. 2B shows that the opening 122a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IM-card 140. In this configuration, the contact terminal 220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22a while being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IM card 14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22a so that the terminal of the SIM card 140 is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220. In this state, the battery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unit 127 may be mounted to press the SIM card 140 so that the SIM card 140 may maintain a connection with the contact terminal 220.

도 3a 내지 도 3b에는 변형된 심-카드용 소켓(2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3A to 3B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modified SIM card socket 200.

도 3a는 심-카드(140)가 전원공급부(127)를 구성하는 배터리에 의하지 않고, 개구부(122a)가 형성되는 바디(110,120)의 일부가 장착커버(250)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커버(250)는 바디(110,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a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심-카드(140)는 개구부(112a)의 일측 단부로부터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112a)는 심-카드(14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3A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bodies 110 and 120 in which the opening 122a is formed may form the mounting cover 250 instead of the battery of the SIM card 140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unit 127. In this case, the mounting cover 25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ies 110 and 120 to be fixed. 3A, the opening 112a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IM card 140 because the shim card 140 must be inserted from one end of the opening 112a.

다른 한편, 상기 장착커버(250)는 상기 개구부(122a)를 따라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은 상기 개구부(122a)의 내측을 따라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에 장착커버(250)가 끼워져 개구부(122a)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심-카드(14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장착커버(250)가 개구부(122a)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112a)는 심-카드(14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cover 250 may be configured to be slidingly driven along the opening 122a. For example, such a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guide is form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opening 122a, and a mounting cover 250 is fitted to the guide to be slidable along one side length direction of the opening 122a. Even in this case, since the mounting cover 250 needs to be slidably mounted in the opening 122a to fix the SIM card 140, the opening 112a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IM card 140. have.

도 3b에는 장착커버(250)가 상기 개구부(122a)에 힌지구조에 의해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커버(250)는 일 단부가 개구부(122a)의 일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장착커버(250)의 다른 일 단부에는 걸림구(251)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250)의 다른 일 단부에는 상기 걸림구(251)와 맞물리는 걸림홈(252)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심-카드(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커버(250)는 회전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112a)는 심-카드(140)와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3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mounting cover 250 is coupled to the opening 122a by a hinge structure and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is case, one end of the mounting cover 250 is hinged to one end of the opening 122a,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cover 250 is provided with a catch 251, the opening of the opening 250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252 is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251. In this case, since the mounting cover 250 for fixing the SIM card 14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the opening 112a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IM card 140.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심-카드용 소켓(200)에 장착되는 심-카드(140)를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하우징(케이싱 또는 커넥터)이 요구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심-카드(140)를 고정하기 위한, 즉, 심-카드(140)의 단자와 컨택용 단자(220)의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하우징(케이싱 또는 커넥터)이 차지하는 두께는 감소될 수 있고, 또한 부품의 수가 감소하며, 조립공정이 단축될 수 있다. By such a configuration, a separate housing (casing or connector) is not required to fix the SIM card 140 mounted on the SIM card socket 200. In other words, the thickness occupied by a separate housing (casing or connector) for fixing the SIM card 140, that is, maintain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terminal of the SIM card 140 and the contact terminal 220 may be determined. It can be reduce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assembly process can be shortened.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심-카드용 소켓(200)을 구성하는 컨택용 단자(220a,220b)는 하나의 패드(230)에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constituting the SIM card socket 200 may be coupled to one pad 230 to form one unit.

이와 같은 구성의 일 예로, 상기 컨택용 단자(220a,220b)는 상기 패드(230)의 양단부에 인쇄회로기판(210)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부(221a,221b)가 배치되고, 심-카드(140)의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222a,222b)가 상기 패드(230)의 반대편 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s an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may include coupling parts 221a and 221b direct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at both ends of the pad 230. The connection parts 222a and 222b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card 140 may be exposed through the opposite surface of the pad 230.

상기 컨택용 단자(220a,220b)의 일 예를 설명하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컨택용 단자(220a,220b)의 구성에 대한 일 예는 상기 패드(230)에 결합되는 고정부(223a,223b)가 일정한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23a,223b)의 일 단부에는 인쇄회로기판(210)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부(221a,221b)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일 단부에는 심-카드(140)의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222a,222b)가 형성될 수 있다. An example of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may be described as illustrated in FIGS. 5A and 5B.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xing parts 223a and 223b coupled to the pad 230 have a predetermined area. Coupling parts 221a and 221b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fixing parts 223a and 223b to be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and at another end thereof, the terminals of the SIM card 140 may be formed. Connecting portions 222a and 222b may be formed.

상기 일례에 따른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고정부(223a,223b)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구조의 통전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23a,223b)의 중앙 일부에 절개부(224a,224b)를 형성하여 접속부(222a,222b)를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접속부(222a,222b)는 상기 고정부(223a,223b)로부터 이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부러진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접속부(222a,222b)는 심-카드(140)와 접속시 탄성력에 의해 접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above example in detail, the fixing parts (223a, 223b)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of a plat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Connection portions 222a and 222b may be formed by forming cutouts 224a and 224b in a central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s 223a and 223b,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s 222a and 222b are the fixing portions 223a and 223b. It may have a bent structure so that spaces spaced from it can be formed.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connection parts 222a and 222b may be maintained in a connected state by an elastic force when connected to the SIM card 140.

고정부(223a,223b)의 일 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부(221a,221b)는 상기 패드(230)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달리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 되는 것과 같이 상기 접속부(222a)가 연장되는 고정부(223a)의 단부와 마주한 맞은편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일 예로 도 5b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상기 접속부(222b)가 연장되는 고정부(223b)의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Coupling parts 221a and 221b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xing parts 223a and 223b may be differently disposed depending on the positions of the pads 2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A, the connection part 222a may be formed at an opposite end facing the end of the fixing part 223a.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5B, the connection part 222b may b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fixing part 223b to which the connection part 222b extends.

이와 같이 각 컨택용 단자(220a,220b)에 구비되는 결합부(221a,221b)의 위치는 상기 컨택용 단자(220a,220b)가 패드(230)에 배치될 때, 각 결합부(221a,221b)가 상기 패드(230)의 양 단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210)과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예는 각 컨택용 단자(220a,220b)가 패드(230)에 배열되어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2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변형된 배열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s of the coupling parts 221a and 221b provided in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are different when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are disposed on the pad 230. ) Is disposed to be exposed at both ends of the pad 230 so as to be easily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Therefore, the above example may have an arrangement and structure modified so that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can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are arranged in the pad 230 and constituted as one unit.

도 5c를 참조하여 상기 컨택용 단자(220a,220b)가 배열되는 패드(230)의 구성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패드(230)는 상기 각 컨택용 단자(220a,220b)가 배열된 상태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비접착성 또는 접착성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패드(230)가 접착성 물질로 구성되는 경우, 적어도 어느 일 영역은 비접착성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the pad 230 in which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are arrang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C. The pad 230 may be made of a non-adhesive or adhesive material to maintain a fixed pos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are arrang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d 230 is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at least one reg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a non-adhesive region.

상기 패드(230)가 접착성 물질로 구성되는 경우, 각 컨택용 단자(220a,220b)는 상기 패드(230)에 배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패드(230)는 적어도 어느 일 영역에 비접착성 영역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비접착성 영역을 형성하는 것은 조립공정에서 상기 패드(230)에 컨택용 단자(220a,220b)가 배열되어 구성된 유닛을 인쇄회로기판(210)에 실장하는 경우, 흡착기가 장착된 로 봇팔 등에 의해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비접착성 영역의 형성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어느 컨택용 단자(220a,220b)의 고정부(223a,223b)의 길이를 조절하여 패드(230)에 배열되는 각 고정부(223a,223b)의 간격을 조절하여 비접착성 영역(A)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When the pad 230 is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may be easily arranged on the pad 230. Meanwhile, the non-adhesive region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pad 230. The non-adhesive area is formed in the assembly process in the case of mounting the unit configured with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on the pad 230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in the assembly process. This is to facilitate the transfer by the like. As shown in FIG. 6, the non-adhesive area is formed by adjusting the lengths of the fixing parts 223a and 223b of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to be arranged on the pads 230. The non-adhesive region A may be formed by adjusting the interval of 223b.

상기 패드(230)는 컨택용 단자(220a,220b)의 접속부(222a,222b)가 패드(230)를 관통하여 다른 일면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23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쇄회로기판(211)에 각 컨택용 단자(220a,220b)가 배치되고, 상기 컨택용 단자(220a,220b)의 상부에 패드(230)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ad 230 may have an opening 231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s 222a and 222b of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may penetrate the pad 230 and be exposed to the other surface. In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7,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are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11, and the pads 230 are disposed on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다른 한편, 상기 패드는 개구부(231)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210)에 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패드의 상부에 컨택용 단자(220a,220b)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패드의 양단부로 컨택용 단자(220a,220b)의 각 결합부(221a)가 노출되도록 배열되어 인쇄회로기판(210)과 각 결합부(221a)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ad may not have an opening 231. In this case, a pad may be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may be disposed on the pad. In this cas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upling portions 221a of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are exposed at both ends of the pad, so that the electrical circuit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each coupling portion 221a are exposed.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enable the connection.

또 다른 한편, 컨택용 단자(220a,220b)는 개구부(231)가 형성된 패드(230)와 개구부(231)가 형성되지 않은 패드를 이용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210)에 개구부(231)가 형성되지 않은 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231)가 형성되지 않은 패드의 상부에 컨택용 단자(220a,220b)가 배치되며, 컨택용 단자(220a,220b)의 상부에 개구부(231)가 형성된 패드(230)가 다시 배치되 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두 패드의 양단부로 컨택용 단자(220a,220b)의 각 결합부(221a)가 노출되도록 배열되어 인쇄회로기판(210)과 각 결합부(221a)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택용 단자(220a,220b)의 접속부(222a,222b)가 개구부(231)를 관통하여 심-카드(140)의 단자와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may be configured as one unit by using a pad 230 having an opening 231 and a pad having no opening 231 formed therein. In this case, a pad without an opening 231 is dispos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ar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ad on which the opening 231 is not formed. The pads 230 having the openings 231 formed on the upper portions 220a and 220b may be disposed again. In this cas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upling portions 221a of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are exposed at both ends of the two pads so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coupling portions 221a of the two pads are exposed.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enable electrical connection. The connection portions 222a and 222b of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SIM card 140 through the opening 231.

상기와 같은 구성은 인쇄회로기판(210) 및/또는 심-카드(140)의 단자와 의도하지 않은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적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패드(230)는 절연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Such a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to prevent unintentional electrical shorts with terminal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 or the SIM card 140. In this case, the pad 23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상기와 같이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는 컨택용 단자(220a,220b)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10)에 실장시 일반적으로 알려진 용접, 납땜, 숄더링 또는 SMT(Surface Mount Technology)방식에 의해 실장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열에 의해 상기 패드(230)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패드(230)의 변형 등에 의해 컨택용 단자(220a,220b)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패드(230)는 내열성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which may be configured as one unit, are generally known as welding, soldering, shouldering, or surface mount technology when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In this case, the pad 230 may be damaged by heat, or the position of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may not be moved due to deformation of the pad 230. The pad 230 may be made of a heat resistant material.

그리고, 심-카드(140)의 장착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장착되는 경우 심-카드(140)의 삽입에 의해 각 컨택용 단자(220a,220b)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컨택용 단자(220a,220b)의 접속부(222a,222b))가 심-카드(140)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ounting of the SIM card 140 is mounted in a sliding manner,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insertion of the SIM card 140. ) 222a, 222b) may b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SIM card 140.

이 경우에도, 상기 인쇄회로기판(210)에는 각 컨택용 단자(220a,220b)의 수와 상응하는 수의 홈(211)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홈(211)은 심-카드(140)의 장착에 의해 컨택용 단자(220a,220b)의 접속부(222a,222b)가 눌려질 때, 인쇄회로기판(210)의 회로패턴 또는 다른 부품 또는 심-카드(140)의 다른 단자와의 쇼트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홈(211)은 심-카드(140)의 장착에 의해 컨택용 단자(220a,220b)의 접속부(222a,222b)가 눌려질 때, 접속부(222a,222b)가 인쇄회로기판(210)에 눌려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홈(211)은 심-카드(140)의 장착에 의해 컨택용 단자(220a,220b)의 접속부(222a,222b)가 눌려질 때, 인쇄회로기판(210)과 접하게 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211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The groove 211 is a circuit pattern or other components or shim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when the connection portions 222a and 222b of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are pressed by mounting the shim card 140.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shorts with other terminals of the card 140. On the other hand, the groove 211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22a, 222b when the contact portion 222a, 222b of the contact terminals 220a, 220b is pressed by mounting the SIM card 140). It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the deformed by pressing 210. Therefore, the groove 211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tact portion 222a, 222b of the contact terminals 220a, 220b is pressed by the mounting of the SIM card 140, and is in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Can be.

상기와 같이 구성 가능한 컨택용 단자(220a,220b)는 심-카드(140)에 구비되는 단자의 수와 상응하는 수로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심-카드(140)에 구비되는 단자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를 가지도록 인쇄회로기판(2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심-카드(140)와 접속하는 컨택용 단자(220a,220b)를 인쇄회로기판(210)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하우징(케이싱 또는 커넥터)이 요구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컨택용 단자(220a,220b)를 인쇄회로기판(210)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하우징(케이싱 또는 커넥터)이 차지하는 두께는 감소될 수 있고, 또한 부품의 수가 감소하며, 조립공정이 단축될 수 있다.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configurable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provided in the SIM card 140, and als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terminals provided in the SIM card 140. It may b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to have a position. By such a configuration, a separate housing (casing or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connected to the SIM card 140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is not required. In other words, the thickness of a separate housing (casing or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can be reduced,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and the assembly process is shortened. Can be.

상기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는 컨택용 단자(220a,220b)는 연속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일례로 컨택용 단자(220a,220b)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300)에 구비되어 컨베이어 또는 롤러장치 등과 같은 공급장치를 통해 인쇄회로기판(210)에 연속적으로 실장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는 이송장치에 의해 운반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300)에 유닛 단위로 구성되는 컨택용 단자(220a,220b)가 일렬로 연속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300)는 롤러에 의해 감겨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which may be configured as one unit, may be provided to be continuously supplied. As an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may be provided in the base 300 as shown in FIG. 8 to be continuously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through a supply device such as a conveyor or a roller device. It may be provid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configured in unit unit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row on a base 300 which is provided to be transported by a transfer device, and the base 300 is wound by a roller. It can be arranged as.

이와 같은 일례의 구성에 의해 조립 공정시, 상기 베이스(300)의 일단이 다른 롤러 등과 같은 이송장치에 의해 당겨지게 되고, 상기 베이스(300)에 일렬로 배열된 유닛 단위의 컨택용 단자(220a,220b)가 이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된 컨택용 단자(220a,220b)는 로봇팔 등과 같은 운반장치에 의해 각 인쇄회로기판(210)으로 옮겨지고, 상기 언급된 방식(용접 등과 같은 결합공정)에 의해 실장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xemplary configuration,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ne end of the base 300 is pulled by a transfer device such as another roller, and the contact terminals 220a of the unit unit arranged in line with the base 300 are provided. 220b) is transferred. The contact terminals 220a and 220b transfer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transferred to each printed circuit board 210 by a conveying device such as a robot arm, and may be mount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coupling process such as welding).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실시예를 통해 설명된 각 구성들은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구조 또는 내장되는 기능에 의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어부에 의해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9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components described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components by the structur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a built-in function. This configuration can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as follows.

도시된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구성은 각 기능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17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71)에는 상기 설명된 각 조작부, 영상입력부(115,128), 음향입력부(125), 음향출력부(114), 디스플레이부(113), 인터페이스(126), 센싱유닛 및/또는 전원공급부(127)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1)에는 무선통신 모듈(160), 방송 수신 모듈(173) 및/또는 메모리(172)가 더 연결될 수도 있다.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171 for controlling each function, and the control unit 171 includes the respective operation units,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and sound input units (described above). 125, the sound output unit 114, the display unit 113, the interface 126, the sensing unit and / or the power supply unit 127 may be connect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1 may further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0,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73 and / or the memory 172.

상기 제어부(171)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 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71)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센싱유닛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두 바디(110,120)의 개폐상태에 따라 작동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전환되는 작동모드에 대한 출력정보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바디(110,120)의 개폐 상태에 따라 또는 작동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되는 정보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출력 가능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171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1 may control to automatically switch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two bodies (110,120) on the basis of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ensing unit 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control. The display unit 113 may control the output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mode to be switched.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3 may be controlled to be output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two bodies 110 and 120 or the operation mode.

또한, 상기 제어부(171)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두 바디(110,120)가 닫힌거나 열린 상태에서 통신 및/또는 정보(데이터)의 입/출력을 가능하도록 작동모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 예로, 두 바디(110,120)가 닫힌 상태에서 제2조작부(116) 및/또는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통화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두 바디(110,120)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통화기능과 더불어 제1조작부(123)를 통한 정보의 입력과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한 정보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1 may control an operation mode to enable communication and / or input / output of information (data) in the state in which the two bodies 110 and 120 are closed or open as mentioned above. For example, the call func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operation unit 116 and / or the display unit 113 when the two bodies 110 and 120 are closed, and the call function may be performed when the two bodies 110 and 120 are open. In addition, the input of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23 and the output of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13 may be enabled.

또한, 제어부(171)는 두 바디(110,120)의 개폐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제1조작부(123)을 통한 정보의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이와 반대의 제어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1 may control input of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13 or control of input of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23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two bodies 110 and 120. And vice versa.

그리고 또한, 상기 제어부(171)는 심-카드(140)에 의한 정보를 인식하여 무선통신을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이에 부가적으로 심-카드(140)에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들일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1 recognizes the information by the SIM card 140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or additionally controls to store or read specific data in the SIM card 140. You may.

무선통신모듈(160)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을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1)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6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61)을 포함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0 transmits /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1, it is responsible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data, text data, video data, and control data, and for this purpose, a transmitter 162 for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 demodulated signal. The receiver 161 is included.

조작부(116,123,124)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71)에 제공한다.The operation units 116, 123, and 124 may be arranged as illustrated in FIGS. 1A and 1B, and provide the control unit 171 with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영상 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정보가 프레임이 처리될 수 있도록 화상에 관련된 정보를 제어부(171)로 송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71)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되거나, 또는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무선 송수신부(162)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도 있다. 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to the controller 171 so that image information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imaging mode may be processed.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1 may be converted into image data displayable on the display 113 and output to the display 113, or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2, or may be a wireless transceiver.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via 162.

음향 입력부(125)는 예를 들어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도록 제어부(171)에 의해 제어된다. 이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60)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되도록 제어부(171)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72)에 저장되도록 제어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음향 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더 구현될 수도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71 to receive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to proces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In this cas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71 to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0 and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call mode. In addition, in the recording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trolled to be stored in the memory 172. In addition, the sound input unit 125 may further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음향 출력부(114)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71)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60)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72)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14)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14 controls the sound data or the memory 172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1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tored sound data can be converted and output to the outside. The sound output unit 114 may output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sound output unit 114 may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13)는 기본적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71)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71)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데이터)의 출력 이외에도 정보(데이터)의 입력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13)을 통해 입력된 정보는 제어부(171)로 송출되어 입력된 정보에 상응하는 작동을 위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는 다시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13 basically display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the control unit 171 displays and outputs a UI (User Interface)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nd outputs the captured image, UI, or GUI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1. A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13 may be configured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data) in addition to output of information (data).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13 may be sent to the control unit 171 and controlled for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Information output by such control may be displayed again through the display unit 113.

센싱유닛(150)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폴더 타입의 단말기인 경우 두 바디(110,120)의 개폐 여부를 감지(검출, 센싱)하고, 제어부(171)로 그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더 담당할 수도 있다. The sensing unit 150 may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y detecting a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a folder type terminal, whether the two bodies 110 and 120 are opened or closed (detected or sensed) and the result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71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27 may further be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127, the interface 126 is coupled to the external device.

인터페이스(1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제어부(171)의 제어에 의해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interface 126 may be any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such as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eg,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or the like, in addition to the mobile terminal.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the device. The interface 126 may receive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171 and transmit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or transmit data within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메모리(172)는 제어부(17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172)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e memory 172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71, and provides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This memory 172 generally includes concepts such as known hard disks,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방송 수신 모듈(173)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71)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73)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73)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도 있다.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173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 converts the broadcast signal into a broadcast data format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114 and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s the broadcast signal to the controller 171.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73 receives additional data related to the broadcast (for example, an EPG (electric program guide), a channel list, etc.). The broadcast data and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73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2.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71)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27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1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심-카드(14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심-카드용 소켓(200)에 장착되어 저장된 정보를 제어부(171)에 제공하거나, 조작부(116,123,124)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통신모듈(160,173)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SIM card 140 may provide the controller 171 with information stored and mounted in the SIM card socket 200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inputted by the operation units 116, 123, 124, o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60, 173. Information received may be stored.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have.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1A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FIG. 1B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1A.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심-카드용 소켓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IM card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심-카드용 소켓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FIG. 2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IM card socket illustrated in FIG. 2A.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관련된 심-카드용 소켓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3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IM card so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관련된 심-카드용 소켓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3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IM card so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관련된 심-카드용 소켓을 구성하는 컨택용 단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act terminal constituting a SIM card so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컨택용 단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act terminal shown in FIG. 4.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컨택용 단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terminal shown in FIG. 4.

도 5c는 도 4에 도시된 컨택용 단자가 배열되는 패드의 일례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5C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a pad in which the contact terminals illustrated in FIG. 4 are arrang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관련된 심-카드용 소켓을 구성하는 컨택용 단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act terminal constituting a SIM card so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관련된 심-카드용 소켓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IM card so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심-카드용 소켓을 구성하는 컨택용 단자가 이송을 위한 베이스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tact terminal constituting a SIM card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base for transporting.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9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휴대 단말기 110,120 ... 제 1 바디, 제 2 바디100 ... mobile terminal 110 120 ... first body, second body

200 ... 심-카드용 소켓 210 ... 인쇄회로기판200 ... socket for SIM card 210 ... printed circuit board

211 ... 홈 220 ... 컨택용 단자211 ... Home 220 ... Contact terminal

221 ... 결합부 222 ... 접속부221 ... connection 222 ... connection

230 ... 패드 250 ... 장착커버230 ... Pad 250 ... Mounting cover

300 ... 베이스 300 ... base

Claims (12)

하나 이상의 바디와; One or more bodies;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심-카드용 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ocket for a SIM card provided in the body, 상기 심-카드용 소켓은 인쇄회로기판에 복수개의 컨택용 단자가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SIM card socke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are directly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카드용 소켓은 바디 어느 일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심-카드 삽입부로 구성되고, According to claim 1, The shim-card socket has an opening formed in any one position of the body is composed of a shim-card insert,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결합되는 복수개의 컨택용 단자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And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coupled directly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카드용 소켓은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결합되는 복수개의 컨택용 단자가 하나 이상의 패드에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socket for the SIM card comprises a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coupled directly to a printed circuit board are coupled to one or more pa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카드용 소켓은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결합되는 복수개의 컨택용 단자가 하나 이상의 패드에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컨택용 단자는 심-카드와 접속되는 접속부가 동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SIM card of claim 1, wherein the socket for the SIM card comprises a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directly coupl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are coupled to one or more pads, and the contact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SIM card. A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s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카드용 소켓은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결합되는 복수개의 컨택용 단자가 하나 이상의 패드에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컨택용 단자는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접속부가 상기 패드의 양단부에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socket for the SIM card comprises a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directly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coupled to one or more pads, and the contact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nnection part is arranged symmetrically at both ends of the pad.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접착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wherein the pad is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적어도 어느 일 영역이 비접착성 영역을 가지는 접착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wherein the pad is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having at least one region having a non-adhesive region.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내열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wherein the pad is made of a heat resistant material.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절연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wherein said pad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카드용 소켓은 장착되는 심-카드가 이탈되지 않 도록 바디, 배터리 또는 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 커버에 의해 지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socket for the SIM card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a mounting cover which is openably coupled to the body, the battery, or the body so that the SIM card to be mounted is not detached. 접착성 또는 비접착성 물질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패드와; One or more pads composed of an adhesive or non-adhesive material; 상기 패드에 배열되며,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결합되는 복수개의 컨택용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카드 소켓용 단자유닛. And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arranged on the pad and directly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컨택용 단자가 배열된 패드는 베이스에 일렬로 구비되어 하나씩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카드 소켓용 단자유닛. 12. The terminal unit of claim 11, wherein the pads having the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arranged on the base are provided in line and provided one by one.
KR1020070074769A 2007-07-25 2007-07-25 Terminal unit for sim-card socke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182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769A KR101418284B1 (en) 2007-07-25 2007-07-25 Terminal unit for sim-card socke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769A KR101418284B1 (en) 2007-07-25 2007-07-25 Terminal unit for sim-card socke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319A true KR20090011319A (en) 2009-02-02
KR101418284B1 KR101418284B1 (en) 2014-07-10

Family

ID=4068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769A KR101418284B1 (en) 2007-07-25 2007-07-25 Terminal unit for sim-card socke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28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048A (en) * 2014-08-0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Integrated circuit card sock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028A (en) 2014-12-30 2016-07-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Sim card contact structure
KR20160082083A (en) 2014-12-30 2016-07-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Terminal for sim card, connecter for sim card and sim card contact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9763B2 (en) 2000-09-25 2005-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Mobile phone
KR100383744B1 (en) * 2001-03-12 2003-05-14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socket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KR100467975B1 (en) * 2002-10-04 2005-01-24 주식회사 팬택 Structure of Mounting SIM Card in GS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17864B1 (en) * 2004-03-04 2006-08-2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tachable an Card such as the User Identity Module Card or the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048A (en) * 2014-08-0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Integrated circuit card so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284B1 (en)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26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37991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54847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02243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20031830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02242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083238A (en) Portable terminal
KR101418284B1 (en) Terminal unit for sim-card socke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10056440A (en) Portable terminal
KR101454240B1 (en) Earj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027514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ntenna module and antenna setting method therefor
US8024017B2 (en) Slid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KR20090000533A (en) Portable terminal
KR101376610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49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63816B1 (en) Battery p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011320A (en) Mobile terminal having sim-card socket
KR20100025413A (en) Portable terminal
KR10101688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37967B1 (en) Mobile terminal having reinforce portion for connector
KR101030654B1 (en) Portable terminal and circuit implementing method thereof
KR20100035528A (en) Portable terminal
KR10157037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360214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KR20090008927A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