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902A - 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902A
KR20100002902A KR1020080062956A KR20080062956A KR20100002902A KR 20100002902 A KR20100002902 A KR 20100002902A KR 1020080062956 A KR1020080062956 A KR 1020080062956A KR 20080062956 A KR20080062956 A KR 20080062956A KR 20100002902 A KR20100002902 A KR 20100002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main
portable termina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9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74446B1 (en
Inventor
최항준
남상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2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446B1/en
Publication of KR20100002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9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4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and a battery used for the same are provided to form a plurality of terminal areas in a plurality of sides of the battery, thereby utilizing one battery in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having different main terminal positions. CONSTITUTION: A main body has a containing room(51) and a main terminal(61). A battery(27a) is contained into the containing room. At least a part of the main terminal is exposed through the containing room. A battery terminal(7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areas which is contactable with the main terminal in two or more sides among the external sides of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contained into the containing room, the part(72) of at least one area is touched with the main terminal.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사용되는 배터리{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휴대 단말기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battery for power supply and a portable terminal.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a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고, 또한 사용자의 사용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Many new attempts have been applied to these multimedia devices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in order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and make them easier to us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의 배터리 접속 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서로 다른 형태의 메인 단자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도 하나의 배터리가 공통 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one battery to be commonly used in portable terminals having different types of main terminals.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본체와, 배터리 단자를 포함한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in body and a battery terminal.

상기 본체는 배터리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실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실에는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메인 단자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의 외면 중 적어도 2면의 상기 메인 단자와 접촉 가능한 복수의 영역들에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단자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수용실에 수용될 때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부분이 상기 메인 단자와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The main body includes a storage chamber that can accommodate a battery. The accommodating chamber is provided with a main terminal at least partially exposed. And a plurality of regions in contact with the main terminal of at least two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battery. The battery terminal is formed such that a portion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contacts the main terminal when the battery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hamb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는 한 쌍의 주면 들과, 상기 주면 들을 연결하며 상기 주면 들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측면들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단자는 상기 주면 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면 부분과, 상기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측면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면 부분은 상기 측면 부분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한 쌍의 주면 들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includes a pair of main surfaces and side surfaces connecting the main surfaces and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main surfaces. The battery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main surface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main surfaces and a side portion formed on any one of the side surfaces. The at least one main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in a pair respectively formed on the pair of main surfaces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ide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 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자 커버를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배터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거나,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수용실에 수용된 상태에서 노출되는 배터리 단자의 일 부분을 덮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ttery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terminal cover may be further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some of the regions. The terminal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so as to surround at least some of the regions, or the terminal cover is formed in the main body to cover a portion of the battery terminal exposed while the battery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It can be implemented t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휴대 단말기에 형성된 메인 단자와 접촉 가능한 배터리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단자는 상기 메인 단자와 접촉 가능하며 상기 배터리의 외면 중 적어도 2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영역들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될 때 상기 배터리 단자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부분은 상기 메인 단자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배터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단자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ell for storing power, and a battery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nd in contact with a main terminal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battery terminal may be in contact with the main terminal and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regions located on at least two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battery, and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battery terminal when the battery is mou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main terminal. The terminal cover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to surround at least some of the region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배터리의 복수의 면들에 복수의 단자 영역들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메인 단자의 위치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휴대 단말기들에 대해서도 하나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erminal regions are formed on the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battery, so that a single battery can be used for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having different positions of the main terminals.

이는 일정 수준에서의 배터리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하여, 불필요하게 많은 형태의 배터리를 생산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 사용자 또한 다른 모델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기존의 배터리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is enables the common use of the battery at a certain level, thus eliminating the need to produce many types of batteries unnecessarily. Even if a user also uses another model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xisting battery can be used as it is.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 및 20)는 통칭하여 본체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 and a second body 20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10.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 and 20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in body.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 도 3 참조)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0 is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body 20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see FIG. 3), and as shown in FIG. An exposed stat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two bodies 20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a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a user's opera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1바디(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 스(11)와 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ody 10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에는 디스플레이부(13), 음향출력부(14), 제1 영상입력부(15) 또는 제1 조작부(1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3, the audio output unit 14,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or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6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1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1.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3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odule, and the like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3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상기 음향출력부(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입력부(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상기 제1조작부(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The first manipulation unit 16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바디(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2)가 제2 바디(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Like the first body 10, the front case 21 and the rear case 22 may form a case of the second body 20.

제2 바디(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2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21.

프론트 케이스(21) 또는 리어 케이스(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 부(24), 제1 음향입력부(25), 인터페이스(2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manipulation unit 24, the first sound input unit 25, and the interface 26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21 and the rear case 22.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6,23,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manipulation units 16, 23, and 24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that can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a touch pad, or a wheel or jog method that rotates a key, or a manipulation method such as a joystick. Or the lik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3 조작부(24)는 제1 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the functional aspect, the first operation unit 16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etc.,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23 may be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hird manipulation unit 24 may operate as a hot-key that performs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상기 제1음향 입력부(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input unit 2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상기 인터페이스(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26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26 may be wired or wireless,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 wireless LAN port),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The interface 26 may be a card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리어 케이스(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27a, 도 3 참조)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27a)는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리어 케이스(22)에 결합 될 수 있다.On the rear case 22 side, a power supply unit 27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The power supply unit 27 may include, for example, a rechargeable battery 27a (see FIG. 3), and the battery 27a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22 for charging or the like.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제2바디(20)의 리어 케이스(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입력부(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입력부(28)는 제1 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second image input unit 28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22 of the second body 20.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may be a camera ha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see FIG. 1) and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in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immediately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not transmitted in many cases.

제2 영상입력부(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9)와 거울부(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29)는 제2 영상입력부(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29 and the mirror unit 30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The flash 29 emit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The mirror unit 30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himself (self-photographing) by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하부 커버(22)에는 제2 음향출력부(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31)는 제1 음향출력부(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31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lower cover 22.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31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4 (see FIG. 1),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하부 커버(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32)는 제2바디(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n antenna 32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cover 22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The antenna 32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from the second body 20.

제1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 측에는 제1바디(10)와 제2바디(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의 프론트 케이스(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33 that slidably couples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to the rear case 12 side of the first body 10 is disposed. 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3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case 21 side of the second body 20,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the drawing.

이상에서는 제2 영상입력부(28) 등이 제2바디(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입력부(28) 등과 같이 하부 커버(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8 내지 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 주로는 하부 커버(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하부 커버(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입력부(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입력부(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입력부(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is disposed on the second body 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28 to 32 described as disposed on the lower cover 22, such as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10, mainly the lower cover 12. It is also possible to be mounted. If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arranged in the lower cover 12 in the closed state are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20. In addition, even 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may be rotatably formed so that the image capturing direction o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can be taken.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전원 공급부(27)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터리(27a)에 대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다.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ower supply unit 27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and FIG. 4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27a of FIG. 3.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바디(20)의 리어 케이스(22)에는 배터리(27a)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51)이 형성된다. 수용실(51)에 수용된 배터리(27a)는 배터리 커버(27b)에 의해 덮여진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rear case 22 of the second body 20 is formed with an accommodating chamber 51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27a. The battery 27a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hamber 51 is covered by the battery cover 27b.

수용실(51)은 리어 케이스(22)의 다른 부분보다 리세스된(recessed) 형태를 가지며, 배터리(27a)에 상응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수용실(51)은 하나의 바닥면(52)과, 바닥면(52)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복수의 벽면(53)들을 구비한다. The storage chamber 51 may have a recessed shape than other portions of the rear case 22 and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27a. The storage chamber 51 has one bottom surface 52 and a plurality of wall surfaces 53 having an area smaller than the bottom surface 52.

휴대 단말기의 본체에 장착되는 메인 단자(61)는 적어도 일부가 수용실(51)을 통해 노출된다. 메인 단자(61)는,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용실(51)의 벽면(53)을 통해 노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수용실(51)의 바닥면(52)을 통해 메인 단자(61)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main terminal 61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exposed through the storage chamber 51.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main terminal 61 is generally exposed through the wall surface 53 of the storage chamber 51. However, the main terminal 61 may be expos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52 of the storage chamber 51.

배터리(27a)는 대체로 육면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마주하며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는 한 쌍의 주면 들과, 상기 주면 들을 연결하는 네 개의 측면들이 형성된다.The battery 27a may be generally hexahedral in shape. In this case, a pair of main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the largest area and four side surfaces connecting the main surfaces are formed.

배터리(27a)의 주면 들 및 측면 들 중 복수의 면들에 걸쳐서는 배터리 단자(70)가 형성된다. 배터리 단자(70)는 메인 단자(61)에 대응될 수 있는 복수의 영역들에 형성된다. A battery terminal 70 is formed over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main surfaces and side surfaces of the battery 27a. The battery terminal 7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areas that may correspond to the main terminal 61.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단자(70)는 배터리(27a)의 주면 들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3 부분들(주면 부분들)(71 및 73)과, 그들을 연결하도록 측면들 중 하나에 배치되는 제2 부분(측면 부분)(72)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battery terminal 70 is disposed on one of the side surfaces to connect them with the first and third portions (main surface portions) 71 and 73 respectively formed on the main surfaces of the battery 27a. A second portion (side portion) 72 which is to be formed.

이상에서는 3개의 부분들(71 내지 73)로 구성된 배터리 단자(70)를 설명하였 으나, 배터리 단자는 위 부분들(71 내지 73) 중 2개가 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배터리 단자(70)가 4개 이상의 부분들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The battery terminal 70 having three parts 71 to 73 has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battery terminal may have a form in which two of the above parts 71 to 73 are combine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battery terminal 70 is formed to have four or more parts.

도 5는 도 3의 배터리(27a)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는 메인 단자들(61, 61',61")과 각각 접속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5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27a of FIG. 3 is connected to main terminals 61, 61 ′, 61 ″ respectively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본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단자(61)가 벽면(53)에 형성되는 단말기에 대해서는, 배터리(27a)가 수용실(51)에 수용되는 경우에는, 제2 부분(72)이 메인 단자(61)에 접속되게 된다.Referring to the figure, for the terminal in which the main terminal 61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53, when the battery 27a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hamber 51, the second portion 72 is the main terminal 61. ) Will be connected.

메인 단자(61')가 바닥면(52)의 상부 우측에 형성된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제1 부분(71)이 위 메인 단자(61')와 접속되게 된다.When the main terminal 61 'uses a terminal form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bottom surface 52, the first portion 71 is connected to the upper main terminal 61'.

메인 단자(61")가 바닥면(52)의 상부 좌측에 배치되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3 부분(73)이 위 메인 단자(61")와 접속되면 된다. 이를 위해서, 배터리(27a)는 현재 도시된 상태에서 제3 부분(73)의 연장방향을 따르는 선을 축으로 해서 회전되어 수용실(51)에 수용되면 된다.When the main terminal 61 "uses the terminal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left side of the bottom surface 52, the 3rd part 73 should just connect with the said main terminal 61". To this end, the battery 27a may be rotated about the lin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hird portion 73 in the presently illustrated state and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hamber 51.

이러한 사용 상태들로부터, 3개의 다른 휴대 단말기에 하나의 배터리(27a)가 사용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메인 단자(61)가 벽면(53)의 좌측에 배치된 휴대 단말기의 경우라도 배터리(27a)를 회전시키면 제2 부분(72)이 메인 단자(61)에 접속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배터리 단자(70)의 추가적인 단자 부분(들)에 따라서는, 배터리(27a)는 다른 형태의 단말기에도 추가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From these usage states, it can be seen that one battery 27a can be used for three different portable terminals. 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main terminal 61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wall 53, the rotation of the battery 27a may allow the second portion 72 to be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61. Further, depending on the additional terminal portion (s) of the battery terminal 70, the battery 27a may further be used for other types of terminal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27a)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27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을 참조하면, 배터리(27a)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셀(27a')과, 배터리 셀(27a')의 외면에 형성되며 배터리 셀(27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단자(70)를 포함한다. 배터리 단자(7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figure, the battery 27a is formed of a battery cell 27a 'that stores power and a battery terminal 70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27a'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27a '. It includes. The battery terminal 70 includes a plurality of portions as described above.

배터리 셀(27a')에는 배터리 단자(70)의 일 부분을 덮기 위한 배터리 커버(81)가 결합 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81)는 비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 커버(81)의 두께를 고려하여, 배터리 셀(27a')의 배터리 단자(70)가 결합 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The battery cover 81 may be coupled to the battery cell 27a ′ to cover a portion of the battery terminal 70. The battery cover 81 is preferably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over 81, a portion to which the battery terminal 70 of the battery cell 27a ′ is coupled may be thinner than other portions.

배터리 커버(81)는 그 자신과 배터리 셀(27a')에 각각 형성된 체결부(81a 및 82)에 의해 배터리 셀(27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체결부(81a 및 82)는 탈착이 용이한 형태, 예를 들어 후크와 그가 걸리는 홀 등의 조합일 수 있다.The battery cover 8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cell 27a 'by fastening portions 81a and 82 formed in the battery cell 27a' and itself. The fastening portions 81a and 82 may be in an easily removable form,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a hook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hook is caught.

단말기의 메인 단자(61')가 수용실(51)의 바닥면(52)의 상부 우측에 형성된 경우라면(이상 도 5 함께 참조), 단자 커버(81)가 제3 부분(73)을 덮도록 배터리 셀(27a')에 장착되면 될 것이다. 이 경우, 제1 부분(71)은 메인 단자(61')와 접속되며, 제2 부분(72)은 수용실(51)의 벽면(53)과 마주하게 된다. 그 결과로, 배터리(27a)가 수용실(51)에 수용된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27b)를 분리해도 배터리 단자(70) 중 어느 부분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If the main terminal 61 ′ of the terminal is form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bottom surface 52 of the storage chamber 51 (see also FIG. 5 above), the terminal cover 81 covers the third portion 73. It may be mounted to the battery cell 27a '. In this case, the first portion 71 is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61 ′, and the second portion 72 faces the wall surface 53 of the storage chamber 51. As a result, even if the battery cover 27b is removed in the state where the battery 27a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51, none of the battery terminals 7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제3 부분(73)이 사용되어야 할 경우라면, 제1 부분(71)이 덮이도록 배터리 커버(81)가 배터리 셀(27a')의 다른 면에 결합 될 수 있다.If the third portion 73 is to be used, the battery cover 81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ell 27a 'so that the first portion 71 is cover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커버(91)를 보이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확대된 부분에 배터리(27a)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for showing the terminal cover 9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27a is mounted in the enlarged portion of FIG. to be.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단자 커버(91)는 배터리(27a)가 아닌 휴대 단말기의 본체, 구체적으로는 리어 케이스(22)에 형성된다. 수용실(51)의 바닥면(52)의 좌측 상단에 메인 단자(61")가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단자 커버(91)는 리어 케이스(22)로부터 메인 단자(61")에 상응하게 수용실(51)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terminal cover 91 is formed not on the battery 27a but o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specifically, the rear case 22. In the case where the main terminal 61 "is formed at the upper left of the bottom surface 52 of the storage chamber 51, the terminal cover 91 is accommodated correspondingly to the main terminal 61" from the rear case 22. I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chamber 51.

배터리(27a)가 수용실(51)에 수용될 때에, 배터리 단자(70)가 형성된 영역은 단자 커버(91)와 바닥면(52) 사이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3 부분(73)은 메인 단자(61")와 접속하게 되며, 제2 부분(72)은 벽면(53)에 의해 가려진다. 제1 부분(71)은 리어 케이스(22)에 형성된 단자 커버(91)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When the battery 27a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51, the area where the battery terminal 70 is formed enters between the terminal cover 91 and the bottom surface 52. In this state, the third portion 73 is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61 ", and the second portion 72 is covered by the wall surface 53. The first portion 71 is the rear case 22. It is covered by the terminal cover 91 formed in the.

이와 같이, 단말기 본체에 단자 커버(91)가 형성되는 경우라면, 배터리(27a) 마다 별도로 단자 커버(81, 도 6 참조)를 장착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As such, when the terminal cover 91 is formed in the terminal bod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erminal cover 81 (refer to FIG. 6)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installed for each battery 27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lide type shown in FIG. 1, but may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bar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the like.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41), 조작부(16,23,24), 영상 입력부(15,28), 음향입력부(25), 디스플레이 부(13), 음향 출력부(14,31), 센싱유닛(46), 인터페이스(26), 방송 수신 모듈(45), 메모리(44), 전원공급부(27),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9,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 an operation unit 16, 23, 24, an image input unit 15, 28, an audio input unit 25, a display unit ( 13), the sound output unit 14, 31, the sensing unit 46, the interface 26,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45, the memory 44, the power supply unit 27, and the control unit 40.

제어부(4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4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4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control, the controller 40 addition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무선 통신 모듈(4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4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43)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 transmits /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the transmitter 42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text data, image data, and control data, and modulates and transmits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43).

조작부(16,23,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조작부(16,23,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units 16, 23, and 24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to provide the control unit 40 with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s 16, 23, and 24 are composed of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영상 입력부(15,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5,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input units 15 and 28 proces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displayable on the display unit 13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3. 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s 15 and 28 are stored in the memory 44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4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음향 입력부(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4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25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 and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call mode. In the recording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 to be stored in the memory 44. The sound input unit 25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display unit 13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the control unit 40 displays and output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nd outputs the captured image, UI, or GUI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When the display unit 13 include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3 is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 출력부(14,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4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4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4,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The sound output units 14 and 31 are sound data or memory 44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 in call signal reception, call mode or recording mode, voice recognition mode,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 Converts the sound data stored in)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s 14 and 31 output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sound output units 14 and 31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센싱 유닛(4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4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46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y detecting a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s sensed so as to output a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ler 4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27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the interface 26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26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such as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eg,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or the like.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the device. Such an interface 26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or transmits the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메모리(44)는 제어부(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4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4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e memory 4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40, and provides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The memory 44 also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mory 44 includes generally known concepts such as hard disks,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방송 수신 모듈(4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4,31),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4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4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4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45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 converts the broadcast signal into a broadcast data format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s 14 and 31 and the display unit 13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40. .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45 receives additional data related to the broadcast (for example, an EPG (electric program guide), a channel list, etc.). The broadcast data and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45 may be stored in the memory 44.

전원 공급부(27)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7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전원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wer suppl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4는 도 3의 배터리에 대한 개념적인 단면도.4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of FIG. 3.

도 5는 도 3의 배터리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는 메인 단자들과 각각 접속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of FIG. 3 is connected to main terminals respectively disposed at various location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를 보인 분해 사시도.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커버를 보이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for showing a terminal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확대된 부분에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is mounted in an enlarged portion of FIG. 7.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배터리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메인 단자를 구비하는 본체; 및A main body including a storage chamber capable of accommodating a battery and a main terminal at least partially exposed through the storage chamber; And 상기 배터리의 외면들 중 적어도 2면들의 상기 메인 단자와 접촉 가능한 복수의 영역들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수용실에 수용될 때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부분은 상기 메인 단자와 접촉되는 배터리 단자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A portion formed in a plurality of regions in contact with the main terminal of at least two surfac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wherein a portion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when the battery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includes a battery terminal in contact with the main terminal; A mobile terminal tha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터리는,The battery, 한 쌍의 주면 들과, 상기 주면 들을 연결하며 상기 주면 들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측면들을 포함하고,A pair of major surfaces and side surfaces connecting the major surfaces and having an area smaller than the major surfaces, 상기 배터리 단자는 상기 주면 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면 부분과, 상기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측면 부분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The battery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main surface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main surfaces and a side portion formed on any one of the side surface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면 부분은 상기 측면 부분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한 쌍의 주면 들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at least one main surface portion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air formed on each of the pair of main surfac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id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 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자 커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A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ttery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terminal cover being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regions.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배터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terminal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to surround at least some of the regions.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수용실에 수용된 상태에서 노출되는 배터리 단자의 일 부분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terminal cover is formed in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for covering the portion of the battery terminal exposed in the state that the battery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chamb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수용실이 차지하는 영역의 일부를 차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terminal cover protrudes to occupy a portion of the area occupied by the accommodation chamber.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가 단자가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portion of the battery where the terminal is formed has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other portion.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셀; 및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휴대 단말기에 형성된 메인 단자와 접촉 가능한 배터리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에 있어서,A battery cell for storing power; And a battery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nd in contact with the main terminal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배터리 단자는 상기 메인 단자와 접촉 가능하며 상기 배터리의 외면 중 적어도 2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영역들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될 때 상기 배터리 단자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부분은 상기 메인 단자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The battery terminal may be in contact with the main terminal and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regions located on at least two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battery, and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battery terminal when the battery is mou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main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배터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 커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And a terminal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to surround at least some of the regions.
KR1020080062956A 2008-06-30 2008-06-30 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KR1014744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956A KR101474446B1 (en) 2008-06-30 2008-06-30 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956A KR101474446B1 (en) 2008-06-30 2008-06-30 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02A true KR20100002902A (en) 2010-01-07
KR101474446B1 KR101474446B1 (en) 2014-12-19

Family

ID=4181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956A KR101474446B1 (en) 2008-06-30 2008-06-30 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44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7983B2 (en) 2018-02-27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986B1 (en) 2015-11-17 2023-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7983B2 (en) 2018-02-27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446B1 (en) 2014-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267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external module and displaying method of charging thereof
KR20090065109A (en) Portable terminal
KR20120031830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27633A (en) Portable terminal
KR20100030166A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46B1 (en) 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KR100983728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80426A (en)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027514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ntenna module and antenna setting method therefor
KR20110066742A (en)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102240A (en) Touch-sensor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865147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63816B1 (en) Battery p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7037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360214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KR100930564B1 (en) Handheld terminal
KR101016888B1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90109A (en) Portable terminal
KR101513618B1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90110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86869A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39889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54845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73896A (en) Portable terminal
KR20100039740A (en) Display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