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776A - 차량용 다기능 전압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다기능 전압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776A
KR20110055776A KR1020090112329A KR20090112329A KR20110055776A KR 20110055776 A KR20110055776 A KR 20110055776A KR 1020090112329 A KR1020090112329 A KR 1020090112329A KR 20090112329 A KR20090112329 A KR 20090112329A KR 20110055776 A KR20110055776 A KR 20110055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ehicle
jack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8085B1 (ko
Inventor
김정식
백성원
Original Assignee
김정식
백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식, 백성원 filed Critical 김정식
Priority to KR102009011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0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38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in combination with power supplies for loads other than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원 분배장치로, 차량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복수개 편의장치에 전원을 분배 공급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이다.
본 발명은 전극단자를 접속하여 차량용 퓨즈박스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입력잭, 차량에 장착되거나 운전자의 휴대용 편의장치를 컨넥터로 접속하여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의 출력잭, 상기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1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휴대용 편의장치의 전원으로 다운시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2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3분배라인을 포함한다.
차량용 전원장치, 분배라인, 바이패스, 배터리 전원, 다기능 분배장치

Description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MULTI FUNCTION DISTRIBUTING POWER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원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복수개 편의장치에 전원을 분배 공급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운행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편의장치가 복수개로 장착된다.
예를 들어,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를 제공하며 우회 경로, 경로상의 실시간 교통정보, 운행 경로상의 위험지역, 주변의 POI(Point Of Interest) 정보 등을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고속도로의 원활한 소통을 제공하기 위해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설치되는 전자식 요금 수납 시스템(ETCS :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과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어 통행요금을 정산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차량의 운행 중에 동승자에게 TV방송의 시청을 제공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시스템, 운행 경로상의 위험지역 및 카메라 위치를 음성 안내로 제공하는 GPS단말기 등이 장착된다.
상기한 편의장치는 차량용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동작되므로 편의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원 플러그를 차량 실내의 소정 공간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전원이 연결되는 시거잭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아야 한다.
이외에 차량을 운행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차량에 장착 고정되는 편의장치 이외에도 면도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등의 휴대용 전기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휴대용 전기제품은 상기한 편의장치와 마찬가지로 배터리의 전원이 연결되는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플레이(Play)되거나 충전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차량의 소정 공간에 설치되는 시거잭은 통상적인 하나 혹은 두 개만이 설치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다양하게 장착하는 다수개의 편의장치 각각에 대하여 상시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시거잭에 네비게이션의 전원 플러그를 접속하여 경로 안내를 제공받으며 고속도로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톨게이트의 통과를 위해서는 하이패스 단말기에 전원을 연결하여야 하므로, 시거잭으로부터 네비게이션의 전원 플러그를 분리한 다음 하이패스 단말기의 전원 플러그 접속하여야 하므로 운행 중에 번거로운 동작이 발생된다.
또한, 톨게이트를 통과한 이후 네비게이션을 통해 경로 안내를 연속하여 받기 위하여 하이패스 단말기의 전원 플러그를 분리한 다음 네비게이션의 전원 플러그를 시거잭에 재접속하여야 하므로 운행중에 불필요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발생되어 전방 주의력을 분산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재접속된 네비게이션의 경우 경로 설정이 초기화되어 경로 설정을 다시 실행하여야 하므로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복수개 편의장치에 전원을 상시적으로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내의 복수개 편의장치에 전원을 상시적으로 분배 공급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DMB 신호를 증폭시켜 DMB에 공급하여 DMB 방송의 시청에 끊어짐이 발생되지 않는 안정된 시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내의 복수개 편의장치에 전원을 상시적으로 분배 공급하고,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다음 재방사하여 네비게이션의 위치 인식에 신속성을 제공하고, 경로 안내를 위해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내의 복수개 편의장치에 전원을 상시적으로 분배 공급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DMB 신호를 증폭시켜 DMB에 공급하며,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다음 네비게이션에 재방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는, 전극단자를 접속하여 차량용 퓨즈박스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입력잭; 차량에 장착되거나 운전자의 휴대용 편의장치를 컨넥터로 접속하여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의 출력잭; 상기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1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휴대용 편의장치의 전원으로 다운시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2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3분배라인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는, 전극단자를 접속하여 차량용 퓨즈박스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입력잭; 차량에 장착되거나 운전자의 휴대용 편의장치를 컨넥터로 접속하여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의 출력잭; 상기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1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휴대용 편의장치의 전원으로 다운시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2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3분배라인; DMB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다음 DMB시스템에 공급하는 DMB 증폭모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는, 전극단자를 접속하여 차량용 퓨즈박스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입력잭; 차량에 장착되거나 운전자의 휴대용 편의장치를 컨넥터로 접속하여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의 출력잭; 상기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1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휴대용 편의장치의 전원으로 다운시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2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3분배라인; GPS위성신호를 수신 및 증폭하여 재방사하는 GPS 증폭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는, 전극단자를 접속하여 차량용 퓨즈박스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입력잭; 차량에 장착되거나 운전자의 휴대용 편의장치를 컨넥터로 접속하여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의 출력잭; 상기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1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휴대용 편의장치의 전원으로 다운시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2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3분배라인; GPS위성신호를 수신한 다음 저잡음 증폭시켜 재방사하는 GPS 증폭모듈; DMB 방송신호를 수신한 다음 저잡음 증폭시켜 DMB시스템에 공급하는 DMB 증폭모듈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서 사용되는 복수개의 편의장치에 상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편의장치의 사용에 편리성을 제공하고, 운행에 안전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DMB 방송 시청에 최적의 수신 감도를 제공하며, 네비게이션의 위치 인식과 경로 안내에 신뢰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입력잭(10)과 복수개의 출력잭(J1-J4), 레귤레이터(20), 과전류 검출부(30), 부저(40), 복수개의 다이오드(D1-D4), 복수개의 표시램프(LED1-LED5)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잭(10)은 전원 입력포트로, 일단이 차량용 퓨즈박스에 연결되는 2.5mm 혹은 3.5mm 직경을 갖는 원형 플러그 형태의 전극단자와 접속되어 퓨즈박스로부터 배터리 전원을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잭(10)에는 엔진의 시동에 관계없이 상시 전원을 공급하는 포트와 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점이 온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포트 및 그라운드 포트로 구성된다.
상기 출력잭(J1-J4)은 전원 출력포트로, 차량에 장착되거나 운전자가 휴대용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편의장치의 전원잭과 컨넥터의 접속으로 연결되어 접 속된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상기 컨넥터는 동축케이블로 구성되며, 동축케이블의 양끝단에는 2.5mm 혹은 3.5mm 직경을 갖는 원형 플러그 형태의 전극단자가 연결된다.
상기 출력잭(J1-J4)은 각각에 대하여 직경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접속되는 편의장치에 과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USB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잭(10)의 제1분배라인(L1)은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상시전원, 예를 들어 12V의 전원을 그대로 바이패스(By Pass)하여 어느 하나의 출력잭, 예를 들어 제1출력잭(J1)에 공급한다.
따라서, 차량의 엔진 시동 시도에 관계없이 접속된 편의장치에 상시전원을 공급한다.
즉, 차량은 엔진을 시동하는 시점에서 스타트 모터를 가장 큰 전류량으로 구동시켜 구동 토크를 높이기 위하여 차량의 모든 전장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일 예를 들어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에 따라 네비게이션이 온 되었으나 엔진 시동이 시동되는 경우 순간적으로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재공급되므로 온/오프가 반복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에 과전류가 공급될 수 있어 내부 소자를 소손시키게 되는 문제점과 반복적 온/오프의 동작으로 내구성을 악화시키는 단점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분배라인(L1)의 소정 위치에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 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1다이오드(D1)가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분배라인(L1)의 소정 위치에 제1표시램프(LED1)가 설치되어 제1출력잭(J1)에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운전자에게 지시한다.
상기 입력잭(10)의 제2분배라인(L2)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여 제2출력잭(J2)에 공급한다.
상기 제2분배라인(L2)에는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2다이오드(D2)가 소정의 위치에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2분배라인(L2)은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휴대하고 있는 MP3, 휴대폰, PMP,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용 편의장치에 전원을 위해 배터리의 12V 전원을 대략 5V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레귤레이터(20)가 장착된다.
상기 제2분배라인(L2)의 소정 위치에 제2표시램프(LED2)가 설치되어 제2출력잭(J2)에 휴대용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지시한다.
상기 분배라인(L2)에는 레귤레이터(20)의 출력 전류에 이상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과전류검출부(30)가 설치되고, 상기 과전류검출부(30)에서 레귤레이터(20)의 출력전류에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음을 송출하는 부저(40)가 설치된다.
상기 입력잭(10)의 제3분배라인(L3)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전원, 예를 들어 12V의 전원을 분배하여 그대 로 바이패스시켜 제3출력잭(J3)에 공급한다.
상기 제3분배라인(L3)의 소정 위치에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3다이오드(D3)가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3분배라인(L3)의 소정 위치에 제3표시램프(LED3)가 설치되어 제4출력잭(J4)에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운전자에게 지시한다.
상기 입력잭(10)의 제4분배라인(L4)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전원, 예를 들어 12V의 전원을 분배하여 그대로 바이패스시켜 제4출력잭(J4)에 공급한다.
상기 제4분배라인(L4)의 소정 위치에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4다이오드(D4)가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4분배라인(L4)의 소정 위치에 제4표시램프(LED4)가 설치되어 제4출력잭(J4)에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운전자에게 지시한다.
상기 입력잭(10)에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는 전원라인에 제5표시램프(LED5)가 설치되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선택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점등됨으로써, 제2 내지 제4출력잭(J2-J4)의 사용 가능 여부를 지시한다.
상기에서는 출력잭(J1-J4)이 4개로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면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5V의 전원으로 출력 하는 분배라인의 개수,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12V 전원)을 분배하여 바이패스하는 분배라인의 개수, 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점에 관계없이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상시전원(12V전원)을 분배하여 바이패스하는 분배라인의 개수 등은 설계에 따라 가변되므로, 상기한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분배라인(L1-L4)의 각각에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각각의 출력잭(J1-J4)에 연결되는 편의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출력잭(J1-J4)에 편의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나, 사용되지 않는 경우 편의장치가 있는 경우 스위치를 오프시켜 해당 편의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전력의 소비를 차단하여 배터리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편의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방송신호 증폭기능이 포함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도 1과 같이 입력잭(10)과 복수개의 출력잭(J1-J4), 레귤레이터(20), 과전류 검출부(30), 부저(40), 복수개의 다이오드(D1-D4), 복수개의 표시램프(LED1-LED5)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의 구성에 DMB 방송신호 증폭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입력잭(110)과 필터(120) 및 증폭기(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잭(10)은 전원 입력포트로, 일단이 차량용 퓨즈박스에 연결되는 2.5mm 혹은 3.5mm 직경을 갖는 원형 플러그 형태의 전극단자와 접속되어 퓨즈박스 로부터 배터리 전원을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잭(10)에는 엔진의 시동에 관계없이 상시 전원을 공급하는 포트와 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점이 온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포트 및 그라운드 포트로 구성된다.
상기 출력잭(J1-J4)은 전원 출력포트로, 차량에 장착되거나 운전자가 휴대용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편의장치의 전원잭과 컨넥터의 접속으로 연결되어 접속된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상기 컨넥터는 동축케이블로 구성되며, 동축케이블의 양끝단에는 2.5mm 혹은 3.5mm 직경을 갖는 원형 플러그 형태의 전극단자가 연결된다.
상기 출력잭(J1-J4)은 각각에 대하여 직경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접속되는 편의장치에 과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USB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잭(10)의 제1분배라인(L1)은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상시전원, 예를 들어 12V의 전원을 그대로 바이패스(By Pass)하여 어느 하나의 출력잭, 예를 들어 제1출력잭(J1)에 공급한다.
따라서, 차량의 엔진 시동 시도에 관계없이 접속된 편의장치에 상시전원을 공급한다.
즉, 차량은 엔진을 시동하는 시점에서 스타트 모터를 가장 큰 전류량으로 구동시켜 구동 토크를 높이기 위하여 차량의 모든 전장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일 예를 들어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에 따라 네비게이션이 온 되었으나 엔진 시동이 시동되는 경우 순간적으로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재공급되므로 온/오프가 반복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에 과전류가 공급될 수 있어 내부 소자를 소손시키게 되는 문제점과 반복적 온/오프의 동작으로 내구성을 악화시키는 단점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분배라인(L1)의 소정 위치에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1다이오드(D1)가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분배라인(L1)의 소정 위치에 제1표시램프(LED1)가 설치되어 제1출력잭(J1)에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운전자에게 지시한다.
상기 입력잭(10)의 제2분배라인(L2)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여 제2출력잭(J2)에 공급한다.
상기 제2분배라인(L2)에는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2다이오드(D2)가 소정의 위치에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2분배라인(L2)은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휴대하고 있는 MP3, 휴대폰, PMP,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용 편의장치에 전원을 위해 배터리의 12V 전원을 대략 5V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레귤레이터(20)가 장착된다.
상기 제2분배라인(L2)의 소정 위치에 제2표시램프(LED2)가 설치되어 제2출력잭(J2)에 휴대용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지시한다.
상기 분배라인(L2)에는 레귤레이터(20)의 출력 전류에 이상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과전류검출부(30)가 설치되고, 상기 과전류검출부(30)에서 레귤레이터(20)의 출력전류에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음을 송출하는 부저(40)가 설치된다.
상기 입력잭(10)의 제3분배라인(L3)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전원, 예를 들어 12V의 전원을 분배하여 그대로 바이패스시켜 제3출력잭(J3)에 공급한다.
상기 제3분배라인(L3)의 소정 위치에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3다이오드(D3)가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3분배라인(L3)의 소정 위치에 제3표시램프(LED3)가 설치되어 제4출력잭(J4)에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운전자에게 지시한다.
상기 입력잭(10)의 제4분배라인(L4)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전원, 예를 들어 12V의 전원을 분배하여 그대로 바이패스시켜 제4출력잭(J4)에 공급한다.
상기 제4분배라인(L4)의 소정 위치에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4다이오드(D4)가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4분배라인(L4)의 소정 위치에 제4표시램프(LED4)가 설치되어 제4출력잭(J4)에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운전자에게 지시한다.
상기 입력잭(10)에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는 전원라인에 제5표시램프(LED5)가 설치되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선택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점등됨으로써, 제2 내지 제4출력잭(J2-J4)의 사용 가능 여부를 지시한다.
상기에서는 출력잭(J1-J4)이 4개로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면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5V의 전원으로 출력하는 분배라인의 개수,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12V 전원)을 분배하여 바이패스하는 분배라인의 개수, 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점에 관계없이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상시전원(12V전원)을 분배하여 바이패스하는 분배라인의 개수 등은 설계에 따라 가변되므로, 상기한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분배라인(L1-L4)의 각각에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각각의 출력잭(J1-J4)에 연결되는 편의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출력잭(J1-J4)에 편의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나, 사용되지 않는 경우 편의장치가 있는 경우 스위치를 오프시켜 해당 편의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전력의 소비를 차단하여 배터리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편의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준다.
상기 입력잭(110)과 출력잭(J10)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조로 연결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입력잭(110)은 차량의 실외에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외장형 DMB 방송수신 안테나와 접속되어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DMB 방송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필터(120)는 상기 입력잭(110)을 통해 인가되는 DMB 방송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순수한 DMB 방송신호만으로 추출한다.
증폭기(130)는 저잡음 증폭기로, 상기 필터(120)를 통해 추출된 DMB 방송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잭(J10)에 접속되는 DMB 시스템에 제공함으로써, DMB 시스템을 이용한 TV 방송의 시청에 끊어짐이 발생되지 않는 안정된 시청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 위성신호 재방사 기능이 포함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도 1과 같이 입력잭(10)과 복수개의 출력잭(J1-J4), 레귤레이터(20), 과전류 검출부(30), 부저(40), 복수개의 다이오드(D1-D4), 복수개의 표시램프(LED1-LED5)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의 구성에 GPS 위성신호의 재방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신안테나(210)와 필터(220), 증폭기(230) 및 방사안테나(2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잭(10)은 전원 입력포트로, 일단이 차량용 퓨즈박스에 연결되는 2.5mm 혹은 3.5mm 직경을 갖는 원형 플러그 형태의 전극단자와 접속되어 퓨즈박스로부터 배터리 전원을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잭(10)에는 엔진의 시동에 관계없이 상시 전원을 공급하는 포트와 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점이 온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포트 및 그라운드 포트로 구성된다.
상기 출력잭(J1-J4)은 전원 출력포트로, 차량에 장착되거나 운전자가 휴대용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편의장치의 전원잭과 컨넥터의 접속으로 연결되어 접속된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상기 컨넥터는 동축케이블로 구성되며, 동축케이블의 양끝단에는 2.5mm 혹은 3.5mm 직경을 갖는 원형 플러그 형태의 전극단자가 연결된다.
상기 출력잭(J1-J4)은 각각에 대하여 직경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접속되는 편의장치에 과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USB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잭(10)의 제1분배라인(L1)은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상시전원, 예를 들어 12V의 전원을 그대로 바이패스(By Pass)하여 어느 하나의 출력잭, 예를 들어 제1출력잭(J1)에 공급한다.
따라서, 차량의 엔진 시동 시도에 관계없이 접속된 편의장치에 상시전원을 공급한다.
즉, 차량은 엔진을 시동하는 시점에서 스타트 모터를 가장 큰 전류량으로 구동시켜 구동 토크를 높이기 위하여 차량의 모든 전장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일 예를 들어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에 따라 네비게이션이 온 되었으나 엔진 시동이 시동되는 경우 순간적으로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재공급되므로 온 /오프가 반복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에 과전류가 공급될 수 있어 내부 소자를 소손시키게 되는 문제점과 반복적 온/오프의 동작으로 내구성을 악화시키는 단점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분배라인(L1)의 소정 위치에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1다이오드(D1)가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분배라인(L1)의 소정 위치에 제1표시램프(LED1)가 설치되어 제1출력잭(J1)에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운전자에게 지시한다.
상기 입력잭(10)의 제2분배라인(L2)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여 제2출력잭(J2)에 공급한다.
상기 제2분배라인(L2)에는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2다이오드(D2)가 소정의 위치에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2분배라인(L2)은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휴대하고 있는 MP3, 휴대폰, PMP,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용 편의장치에 전원을 위해 배터리의 12V 전원을 대략 5V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레귤레이터(20)가 장착된다.
상기 제2분배라인(L2)의 소정 위치에 제2표시램프(LED2)가 설치되어 제2출력잭(J2)에 휴대용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지시한다.
상기 분배라인(L2)에는 레귤레이터(20)의 출력 전류에 이상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과전류검출부(30)가 설치되고, 상기 과전류검출부(30)에서 레귤레이터(20)의 출력전류에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음을 송출하는 부저(40)가 설치된다.
상기 입력잭(10)의 제3분배라인(L3)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전원, 예를 들어 12V의 전원을 분배하여 그대로 바이패스시켜 제3출력잭(J3)에 공급한다.
상기 제3분배라인(L3)의 소정 위치에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3다이오드(D3)가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3분배라인(L3)의 소정 위치에 제3표시램프(LED3)가 설치되어 제4출력잭(J4)에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운전자에게 지시한다.
상기 입력잭(10)의 제4분배라인(L4)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전원, 예를 들어 12V의 전원을 분배하여 그대로 바이패스시켜 제4출력잭(J4)에 공급한다.
상기 제4분배라인(L4)의 소정 위치에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4다이오드(D4)가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4분배라인(L4)의 소정 위치에 제4표시램프(LED4)가 설치되어 제4출력잭(J4)에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운전자에게 지시한다.
상기 입력잭(10)에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는 전원라인에 제5표시램프(LED5)가 설치되어 이 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선택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점등됨으로써, 제2 내지 제4출력잭(J2-J4)의 사용 가능 여부를 지시한다.
상기에서는 출력잭(J1-J4)이 4개로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면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5V의 전원으로 출력하는 분배라인의 개수,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12V 전원)을 분배하여 바이패스하는 분배라인의 개수, 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점에 관계없이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상시전원(12V전원)을 분배하여 바이패스하는 분배라인의 개수 등은 설계에 따라 가변되므로, 상기한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분배라인(L1-L4)의 각각에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각각의 출력잭(J1-J4)에 연결되는 편의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출력잭(J1-J4)에 편의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나, 사용되지 않는 경우 편의장치가 있는 경우 스위치를 오프시켜 해당 편의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전력의 소비를 차단하여 배터리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편의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준다.
상기 수신안테나(210)는 차량의 실내외에 소정 위치에 설치되거나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세라믹 패치 안테나로 구성되며, GPS 위성신호를 수신한다.
필터(220)는 상기 수신안테나(210)에서 제공되는 GPS 위성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여 순수한 GPS 위성신호만으로 추출한다.
증폭기(230)는 저잡음 증폭기로, 상기 필터(220)를 통해 추출된 GPS 위성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방사 안테나(240)에 제공한다.
상기 방사 안테나(240)는 상기 증폭기(230)를 통해 증폭되어 인가되는 GPS 위성신호를 재방사하여 어느 하나의 출력잭(J1 내지 J4)에 접속되는 네비게이션에 고감도의 GPS 위성신호 수신을 제공함으로써, 네비게이션의 위치 인식과 경로 안내에 안정감과 신뢰성을 제공하여 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방송신호 증폭기능과 GPS 위성신호 재방사 기능이 포함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도 1과 같이 입력잭(10)과 복수개의 출력잭(J1-J4), 레귤레이터(20), 과전류 검출부(30), 부저(40), 복수개의 다이오드(D1-D4), 복수개의 표시램프(LED1-LED5)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의 구성과 도 2와 같이 입력잭(110)과 필터(120) 및 증폭기(130)를 더 포함하여 DMB 방송신호를 증폭하는 기능, 도 3과 같이 도 2의 구성에 수신안테나(210)와 필터(220), 증폭기(230) 및 방사안테나(2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잭(10)은 전원 입력포트로, 일단이 차량용 퓨즈박스에 연결되는 2.5mm 혹은 3.5mm 직경을 갖는 원형 플러그 형태의 전극단자와 접속되어 퓨즈박스로부터 배터리 전원을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잭(10)에는 엔진의 시동에 관계없이 상시 전원을 공급하는 포트와 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점이 온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포트 및 그라운드 포트로 구성된다.
상기 출력잭(J1-J4)은 전원 출력포트로, 차량에 장착되거나 운전자가 휴대용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편의장치의 전원잭과 컨넥터의 접속으로 연결되어 접속된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상기 컨넥터는 동축케이블로 구성되며, 동축케이블의 양끝단에는 2.5mm 혹은 3.5mm 직경을 갖는 원형 플러그 형태의 전극단자가 연결된다.
상기 출력잭(J1-J4)은 각각에 대하여 직경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접속되는 편의장치에 과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USB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잭(10)의 제1분배라인(L1)은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상시전원, 예를 들어 12V의 전원을 그대로 바이패스(By Pass)하여 어느 하나의 출력잭, 예를 들어 제1출력잭(J1)에 공급한다.
따라서, 차량의 엔진 시동 시도에 관계없이 접속된 편의장치에 상시전원을 공급한다.
즉, 차량은 엔진을 시동하는 시점에서 스타트 모터를 가장 큰 전류량으로 구동시켜 구동 토크를 높이기 위하여 차량의 모든 전장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일 예를 들어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에 따라 네비게이션이 온 되었으나 엔진 시동이 시동되는 경우 순간적으로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재공급되므로 온/오프가 반복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에 과전류가 공급될 수 있어 내부 소자를 소손시키게 되 는 문제점과 반복적 온/오프의 동작으로 내구성을 악화시키는 단점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분배라인(L1)의 소정 위치에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1다이오드(D1)가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분배라인(L1)의 소정 위치에 제1표시램프(LED1)가 설치되어 제1출력잭(J1)에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운전자에게 지시한다.
상기 입력잭(10)의 제2분배라인(L2)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여 제2출력잭(J2)에 공급한다.
상기 제2분배라인(L2)에는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2다이오드(D2)가 소정의 위치에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2분배라인(L2)은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휴대하고 있는 MP3, 휴대폰, PMP,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용 편의장치에 전원을 위해 배터리의 12V 전원을 대략 5V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레귤레이터(20)가 장착된다.
상기 제2분배라인(L2)의 소정 위치에 제2표시램프(LED2)가 설치되어 제2출력잭(J2)에 휴대용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지시한다.
상기 분배라인(L2)에는 레귤레이터(20)의 출력 전류에 이상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과전류검출부(30)가 설치되고, 상기 과전류검출부(30)에서 레귤레이터(20)의 출력전류에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음을 송출하는 부저(40)가 설치된다.
상기 입력잭(10)의 제3분배라인(L3)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전원, 예를 들어 12V의 전원을 분배하여 그대로 바이패스시켜 제3출력잭(J3)에 공급한다.
상기 제3분배라인(L3)의 소정 위치에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3다이오드(D3)가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3분배라인(L3)의 소정 위치에 제3표시램프(LED3)가 설치되어 제4출력잭(J4)에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운전자에게 지시한다.
상기 입력잭(10)의 제4분배라인(L4)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전원, 예를 들어 12V의 전원을 분배하여 그대로 바이패스시켜 제4출력잭(J4)에 공급한다.
상기 제4분배라인(L4)의 소정 위치에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4다이오드(D4)가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4분배라인(L4)의 소정 위치에 제4표시램프(LED4)가 설치되어 제4출력잭(J4)에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정상적인 장착여부를 운전자에게 지시한다.
상기 입력잭(10)에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는 전원라인에 제5표시램프(LED5)가 설치되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접점을 선택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점등됨으로써, 제2 내지 제4출력잭(J2-J4)의 사용 가능 여부를 지시한다.
상기에서는 출력잭(J1-J4)이 4개로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면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5V의 전원으로 출력하는 분배라인의 개수,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12V 전원)을 분배하여 바이패스하는 분배라인의 개수, 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점에 관계없이 퓨즈박스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의 상시전원(12V전원)을 분배하여 바이패스하는 분배라인의 개수 등은 설계에 따라 가변되므로, 상기한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분배라인(L1-L4)의 각각에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각각의 출력잭(J1-J4)에 연결되는 편의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출력잭(J1-J4)에 편의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나, 사용되지 않는 경우 편의장치가 있는 경우 스위치를 오프시켜 해당 편의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전력의 소비를 차단하여 배터리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편의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준다.
상기 입력잭(110)과 출력잭(J10)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조로 연결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입력잭(110)은 차량의 실외에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외장형 DMB 방송수신 안테나와 접속되어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DMB 방송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필터(120)는 상기 입력잭(110)을 통해 인가되는 DMB 방송신호에 포함된 노이 즈를 필터링하여 순수한 DMB 방송신호만으로 추출한다.
증폭기(130)는 저잡음 증폭기로, 상기 필터(120)를 통해 추출된 DMB 방송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잭(J10)에 접속되는 DMB 시스템에 제공함으로써, DMB 시스템은 고감도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끊어짐이 발생되지 않는 고해상도의 TV 방송 시청을 제공한다.
상기 수신안테나(210)는 차량의 실내외에 소정 위치에 설치되거나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세라믹 패치 안테나로 구성되며, GPS 위성신호를 수신한다.
필터(220)는 상기 수신안테나(210)에서 제공되는 GPS 위성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여 순수한 GPS 위성신호만으로 추출한다.
증폭기(230)는 저잡음 증폭기로, 상기 필터(220)를 통해 추출된 GPS 위성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방사 안테나(240)에 제공한다.
상기 방사 안테나(240)는 상기 증폭기(230)를 통해 증폭되어 인가되는 GPS 위성신호를 재방사하여 어느 하나의 출력잭(J1 내지 J4)에 접속되는 네비게이션에 고감도의 GPS 위성신호 수신을 제공함으로써, 네비게이션의 위치 인식과 경로 안내에 안정감과 신뢰성을 제공하여 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방송신호 증폭기능이 포함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 위성신호 재방사 기능이 포함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방송신호 증폭기능과 GPS 위성신호 재방사 기능이 포함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 입력 잭 J1,J2,J3,J4,J10 : 출력잭
20 : 레귤레이터 30 : 과전류 검출부
40 : 부저 120,220 : 필터
130, 230 : 증폭기 240 : 방사안테나

Claims (26)

  1. 전극단자를 접속하여 차량용 퓨즈박스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입력잭;
    차량에 장착되거나 운전자의 휴대용 편의장치를 컨넥터로 접속하여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의 출력잭;
    상기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1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휴대용 편의장치의 전원으로 다운시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2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3분배라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잭은 2.5mm 혹은 3.5mm 직경의 원형 플러그 접속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잭은 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점에 관계없이 배터리의 상시 전원이 연결되는 제1단자;
    이그니션 스위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배터리의 전원이 연결되는 제2단자;
    배터리의 그라운드 전원이 연결되는 제3단자;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출력잭은 2.5mm 혹은 3.5mm 직경의 원형 플러그 접속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출력잭은 서로 다른 크기의 직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출력잭은 어느 하나에 대하여 USB 접속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잭과 편의장치를 연결하는 컨넥터는 동축케이블로 구성되며, 양끝단에 2.5mm 혹은 3.5mm 직경의 원형 플러그 전극단자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제3분배라인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배라인은 배터리의 12V 전원을 5V의 전원으로 다운시키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에 대하여 과전류 발생을 감지하는 과전류검출부;
    상기 과전류검출부에서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경보음을 송출시키는 부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제3 분배라인에는 퓨즈박스로 역전류 혹은 서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다이오드가 순방향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제3분배라인의 소정위치에 표시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표시램프는 출력잭에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접속여부 및 분배라 인의 이상여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제3분배라인에 스위치가 설치되어 출력잭에 접속된 편의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독립적으로 온/오프 단속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배라인의 소정 위치에 출력잭의 사용 가능여부를 지시하는 표시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14. 전극단자를 접속하여 차량용 퓨즈박스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입력잭;
    차량에 장착되거나 운전자의 휴대용 편의장치를 컨넥터로 접속하여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의 출력잭;
    상기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1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휴대용 편의장치의 전원으로 다운시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2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3분배라인;
    DMB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다음 DMB시스템에 공급하는 DMB 증폭모듈;
    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MB 증폭모듈은 차량의 실외에 장착되는 외장형 DMB 방송수신 안테나와 접속되어 수신되는 DMB 방송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잭;
    상기 입력잭을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DMB 방송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해 추출된 DMB 방송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
    DMB시스템과 접속되어 증폭된 DMB 방송신호를 DMB 시스템에 인터페이스하는 출력잭;
    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16. 전극단자를 접속하여 차량용 퓨즈박스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입력잭;
    차량에 장착되거나 운전자의 휴대용 편의장치를 컨넥터로 접속하여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의 출력잭;
    상기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1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휴대용 편의장치의 전원으로 다운시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2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3분배라인;
    GPS위성신호를 수신 및 증폭하여 재방사하는 GPS 증폭모듈;
    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GPS증폭모듈은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
    상기 수신안테나에서 인터페이스되는 GPS위성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링된 GPS 위성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된 GPS 위성신호를 재방사하는 방사안테나;
    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안테나는 차량의 실내외에 소정 위치에 설치되거나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세라믹 패치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19. 전극단자를 접속하여 차량용 퓨즈박스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입력잭;
    차량에 장착되거나 운전자의 휴대용 편의장치를 컨넥터로 접속하여 편의장치 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의 출력잭;
    상기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1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휴대용 편의장치의 전원으로 다운시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2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3분배라인;
    GPS위성신호를 수신한 다음 저잡음 증폭시켜 재방사하는 GPS 증폭모듈;
    DMB 방송신호를 수신한 다음 저잡음 증폭시켜 DMB시스템에 공급하는 DMB 증폭모듈;
    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GPS증폭모듈은,
    차량의 실내외에 설치되어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세라믹 패치 안테나;
    상기 세라믹 패치 안테나에서 인터페이스되는 GPS위성신호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상기 노이즈 제거된 GPS 위성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된 GPS 위성신호를 재방사하는 방사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DMB 증폭모듈은,
    실외의 외장형 DMB 방송수신 안테나와 접속되어 수신되는 DMB 방송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잭;
    상기 입력잭을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DMB 방송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해 추출된 DMB 방송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
    DMB시스템과 접속되어 증폭된 DMB 방송신호를 DMB 시스템에 인터페이스하는 출력잭;
    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21. 전극단자를 접속하여 차량용 퓨즈박스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입력잭;
    차량에 장착되거나 운전자의 휴대용 편의장치를 컨넥터로 접속하여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의 출력잭;
    상기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1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휴대용 편의장치의 전원으로 다운시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2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입력잭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원을 그대로 어느 하나의 출력잭에 전달하는 제3분배라인;
    차량의 실내외에 설치되어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세라믹 패치 안테나;
    상기 세라믹 패치 안테나에서 인터페이스되는 GPS위성신호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상기 노이즈 제거된 GPS 위성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된 GPS 위성신호를 재방사하는 방사안테나;
    실외의 외장형 DMB 방송수신 안테나와 접속되어 수신되는 DMB 방송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잭;
    상기 입력잭을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DMB 방송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해 추출된 DMB 방송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
    DMB시스템과 접속되어 증폭된 DMB 방송신호를 DMB 시스템에 인터페이스하는 출력잭;
    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22. 차량용 퓨즈박스에서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으며, 원형 플러그 단자로 구성되는 입력잭;
    하나 이상 다수개로 구성되어 차량용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며 다로 다른 크기의 직경을 갖는 원형 플러그 단자로 이루어지는 출력잭;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제1출력잭에 그대로 바이패스하는 제1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배터리의 12V 전원을 레귤레이터를 통해 5V 전원으로 다운시켜 제2출력잭에 전달하는 제2분배라인;
    휴대용 편의장치의 전원으로 다운시켜 제2출력잭에 전달하는 제2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배터리 전원을 제3출력잭에 바이패스하는 제3분배라인;
    상기 제1,제2,제3 분배라인의 소정위치에 순방향으로 설치되어 퓨즈박스로 역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다이오드;
    상기 제1,제2,제3분배라인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출력잭에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접속여부 및 분배라인의 이상여부를 지시하는 표시램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출력잭은 어느 하나에 대하여 USB 접속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배라인은,
    상기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발생을 감지하는 과전류검출부;
    상기 과전류검출부에서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경보음을 송출시키는 부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제3분배라인에 설치되어 출력잭에 접속된 편의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독립적으로 온/오프 단속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26. 차량용 퓨즈박스에서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으며, 원형 플러그 단자로 구성되는 입력잭;
    하나 이상 다수개로 구성되어 차량용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며 다로 다른 크기의 직경을 갖는 원형 플러그 단자로 이루어지는 출력잭;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제1출력잭에 그대로 바이패스하는 제1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배터리의 12V 전원을 레귤레이터를 통해 5V 전원으로 다운시켜 제2출력잭에 전달하는 제2분배라인;
    휴대용 편의장치의 전원으로 다운시켜 제2출력잭에 전달하는 제2분배라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접점에서 배터리 전원을 제3출력잭에 바이패스하는 제3분배라인;
    상기 제1,제2,제3 분배라인의 소정위치에 순방향으로 설치되어 퓨즈박스로 역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다이오드;
    상기 제1,제2,제3분배라인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출력잭에 편의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점등되어 편의장치의 접속여부 및 분배라인의 이상여부를 지시하는 표시 램프;
    차량의 실내외에 설치되어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세라믹 패치 안테나;
    상기 세라믹 패치 안테나에서 인터페이스되는 GPS위성신호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상기 노이즈 제거된 GPS 위성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된 GPS 위성신호를 재방사하는 방사안테나;
    실외의 외장형 DMB 방송수신 안테나와 접속되어 수신되는 DMB 방송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잭;
    상기 입력잭을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DMB 방송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해 추출된 DMB 방송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
    DMB시스템과 접속되어 증폭된 DMB 방송신호를 DMB 시스템에 인터페이스하는 출력잭;
    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전원 분배장치.
KR1020090112329A 2009-11-20 2009-11-20 차량용 다기능 전압 분배장치 KR101038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329A KR101038085B1 (ko) 2009-11-20 2009-11-20 차량용 다기능 전압 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329A KR101038085B1 (ko) 2009-11-20 2009-11-20 차량용 다기능 전압 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776A true KR20110055776A (ko) 2011-05-26
KR101038085B1 KR101038085B1 (ko) 2011-06-01

Family

ID=4436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329A KR101038085B1 (ko) 2009-11-20 2009-11-20 차량용 다기능 전압 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0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452A (ko) * 2015-03-27 2016-10-06 유정수 자동차 주변회로 역전류 제어를 통한 급발진 및 오동작 방지 장치
US9821735B2 (en) 2015-07-02 2017-11-2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external device with vehicle
WO2020252058A1 (en) * 2019-06-11 2020-12-17 A123 Systems, LLC Dual voltage batter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172A (ko) * 2002-11-06 200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밥솥
KR20070009052A (ko) * 2005-07-15 2007-01-18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의 정전압 전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제품의배터리 충전 방법
KR20080005426U (ko) * 2007-05-14 2008-11-19 이순신 자동차 시동시 재부팅방지 멀티 시가잭
KR100823472B1 (ko) 2007-07-27 2008-04-21 주식회사 이루다 차량용 무정전 전원장치
KR200440172Y1 (ko) 2007-11-15 2008-05-28 유관열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452A (ko) * 2015-03-27 2016-10-06 유정수 자동차 주변회로 역전류 제어를 통한 급발진 및 오동작 방지 장치
US9821735B2 (en) 2015-07-02 2017-11-2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external device with vehicle
WO2020252058A1 (en) * 2019-06-11 2020-12-17 A123 Systems, LLC Dual voltage batter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476679B2 (en) 2019-06-11 2022-10-18 A123 Systems, LLC Dual voltage batter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8085B1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3724B2 (en) Accessory system for vehicle
KR20130081570A (ko)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US9877179B2 (en) Method for operat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AVN) system, AVN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9653842B2 (en) Water resistant USB connection system for vehicles
KR101038085B1 (ko) 차량용 다기능 전압 분배장치
US20120209472A1 (en) Vehicle vision system with night vision function
US97646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vehicle battery status
CN203267927U (zh) 一种环卫专用车载系统
US20130314024A1 (en) Jump-Starting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US20110133912A1 (en) Parking and Long Distance Remote Vehicle Disabler
JP7238219B2 (ja) 通信装置
US20220416825A1 (en) Onboard relay apparatus
CN103958294A (zh) 保安系统
US20150028668A1 (en) Modular Vehicle Unit
US97012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a power converter to a fuse tap
CN104816596A (zh) 基于无线通信的汽车数据共享系统
JP2004128940A (ja) 車両用複合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KR102249777B1 (ko) 가로등 누전 경보 시스템
US20090224971A1 (en) Antenna device for use in vehicle
KR200398974Y1 (ko) 차량용 시가잭 전원 확장장치
US20140062179A1 (en) Switching system for trailer lights
US7786677B2 (en) Control circuit for turning on/off automobile lights
US11845352B2 (en) Power supply control method for vehicle, vehicle, control unit and medium
KR100756601B1 (ko)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차량용 지피에스 수신기
CN211969197U (zh) 能够检测空气质量的车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