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229A -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229A
KR20110055229A KR1020090112169A KR20090112169A KR20110055229A KR 20110055229 A KR20110055229 A KR 20110055229A KR 1020090112169 A KR1020090112169 A KR 1020090112169A KR 20090112169 A KR20090112169 A KR 20090112169A KR 20110055229 A KR20110055229 A KR 20110055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restraint
front passenger
restraint device
calculating
distanc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2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5229A/ko
Publication of KR20110055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4Audio sensitive means, e.g. ultras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5/932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for parking ope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차보조시스템에 의해 산출된 거리측정값을 수집하여, 거리측정값에 따라 충돌시간예측값을 산출하는 제1 단계, 산출된 충돌시간예측값에 따른 임계치를 산출하는 제2 단계, 가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가속도에 기초하여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산출하는 제3 단계 및 산출된 임계치와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비교하여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차량 전방에 FIS(전방 충돌 센서)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주차보조시스템(Parking Assistant System)을 이용하여 임계값을 산출함으로서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신뢰성 있게 결정할 수 있다.
정면승객구속장치, 주차보조시스템, 임계치

Description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Restriction device's control method for the front of passenger}
본 발명은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신뢰성있게 결정할 수 있는 정면승객구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면 충돌의 대표적인 유형에는 100% 정면, 오프셋, 경사, 폴 충돌 등이 있다. 승객 탑승실 내에 장착되어 있는 ACU(Air-bag Control Unit)로부터 측정된 감가속도를 이용하여 승객구속장치를 제어할 경우 100% 정면 및 폴 충돌의 성능은 확보할 수 있으나 오프셋 및 경사 충돌의 성능은 확보하기 어렵다. 오프셋 및 경사 충돌의 경우 충돌 정도가 심각할지라도 충돌 초기에 발생하는 ACU 내 감가속도의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전방에 FIS(전방 충돌 센서)를 장착한다. FIS의 사용 목적은 차량 전방에 장착되어 차량 전방의 변형을 초기에 감지하는 데에 있다. 이로부터 얻은 감가속도를 함께 이용하여 승객구속장치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센서 오작동에 의한 승객 구속 장치 오작동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세이핑 센서 를 장착하여 세이핑 센서가 충돌이라고 판단할 경우에만 승객구속장치를 작동시킨다.
그러나 FIS를 이용할 경우 오프셋 및 경사 충돌의 성능 확보는 가능하나, 센서가 차량 전방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충돌 시 센서가 파손되거나 센서와 ACU를 연결하는 와이어 하네스가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좌우측 2개의 FIS 및 와이어 하네스 추가로 인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전방에 FIS(전방 충돌 센서)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주차보조시스템(Parking Assistant System)을 이용하여 임계값을 산출함으로서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신뢰성 있게 결정할 수 있는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은 주차보조시스템에 의해 산출된 거리측정값을 수집하여, 상기 거리측정값에 따라 충돌시간예측값을 산출하는 제1 단계, 상기 산출된 충돌시간예측값에 따른 임계치를 산출하는 제2 단계, 가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가속도에 기초하여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산출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임계치와 상기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비교하여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는, 정면승객구속장치가 상기 주차보조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제어모듈과 캔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거리측정값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감지된 감가속도에 기초하여 산출된 변위값 및 예측변위값에 따라 상기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가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로패스필터를 통 해 필터링하여 상기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보조시스템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설정 주기 마다 초음파 신호를 센싱하여, 상기 거리측정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전방에 FIS(전방 충돌 센서)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주차보조시스템(Parking Assistant System)을 이용하여 임계값을 산출함으로서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신뢰성 있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차량 정면 충돌시에 탑승자의 전방으로 이동된 변위값 및 예측변위값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은 차량 충돌 전의 탑승자이고, 도면부호 1'및 1"는 차량 충돌 후의 탑승자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정면 충돌시에 탑승자(1)가 만개된 에어백(2)에 의해 보호받기 위해서는, 탑승자(1)의 최초위치(P)에서 만개된 에어백(2)까지의 거리(L)를 움직이는데 소요되는 시간에서, 에어백이 작동 시작한 후 만개되는 거리(L')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뺀 시간 내에 에어백이 작동하기 시작해야 한다. 예를 들어, 탑승자(1)의 최초위치(P)에서 만개된 에어백(2)까지의 거리(L)를 움직이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0.5초이고, 에어백이 작동 시작한 후 만개되는 거리(L')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0.3초이면, 에어백은 0.5초에서 0.3초를 뺀 시간인 0.2초 내에 작동하기 시작하여야 탑승자(1)가 만개된 에어백(2)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차량 정면 충돌이 발생하면 탑승자(1)는 에어백이 작동시작하기 전에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탑승자(1)가 만개된 에어백(2)까지의 거리(L)를 움직이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그만큼 단축된다. 즉, 에어백이 작동 시작한 후 만개되는 거리(L')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0.3초로 일정한 값을 가지는데 반해, 탑승자(1)가 만개된 에어백(2)까지의 거리(L)를 움직이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탑승자(1)는 아직 만개되지 않은 에어백과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에어백은 탑승자(1)를 효율적으로 보호하지 못하게 된다.
즉, 탑승자(1)가 만개된 에어백(2)에 의해 보호받기 위해서는 에어백이 작동 시작한 후에 만개되는 거리(L')까지 소요되는 시간동안 탑승자의 이동될 거리(L2)를 미리 예측해야 한다. 이하, 차량 정면 충돌이 발생한 후 에어백이 작동 시작하기 전에 탑승자의 이동된 거리(L1)를 변위값(L1)이라 칭하고, 에어백이 작동 시작한 후에 탑승자의 이동된 거리(L2)를 예측변위값(L2)이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탑승자(1)가 만개된 에어백(2)에 의해 보호받기 위해서는 변위값(L1)과 예측변위값(L2)의 합이 탑승자(1)의 최초위치(P)에서 만개된 에어백(2)까지의 거리(L)가 되는 시점에 에어백이 작동 시작하면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제어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제어장치(206)는 차량(200) 내에 구비되어 가속도센서(208)를 포함하며, 주차보조시스템(202, 210)과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제어모듈(204)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제어장치(206)는 주차보조시스템(202, 210)에 의해 산출된 거리측정값을 수집하여, 거리측정값에 따라 충돌시간예측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돌시간예측값에 따른 임계치를 산출하고, 가속도센서(208)에 의해 감지된 감가속도에 기초하여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산출하며, 산출된 임계치와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비교하여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전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제어장치(206)는 정면승객구속장치가 주차보조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제어모듈(204)과 캔 통신을 수행하여 거리측정값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제어장치(206)는 감지된 감가속도에 기초하여 산출된 변위값 및 예측변위값에 따라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제어장치(206)는 가속도센서(208)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로패스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주차보조시스템(202, 210)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설정 주기 마다 초음파 신호를 센싱하여, 거리측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제어장치는 주차보조시스템에 의한 초음파 감지에 기초하여 산출된 거리측정값을 수집하여(S302), 거리측정값에 따라 충돌시간예측값을 산출하고(S304), 산출된 충돌시간예측값에 따른 임계치를 산출하고(S306), 가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가속도에 기초하여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산출하며(S308), 산출된 임계치와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비교하여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전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310).
이때, 주차보조시스템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설정 주기 마다 초음파 신호를 센싱하여, 거리측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제어장치는 정면승객구속장치가 주차보조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제어모듈과 캔 통신을 수행하여 거리측정값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제어장치는 감지된 감가속도에 기초하여 산출된 변위값 및 예측변위값에 따라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제어장치는 가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로패스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차량 정면 충돌시에 탑승자의 전방으로 이동된 변위값 및 예측변위값이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제어장치가 도시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Claims (5)

  1. 주차보조시스템에 의해 산출된 거리측정값을 수집하여, 상기 거리측정값에 따라 충돌시간예측값을 산출하는 제1 단계;
    상기 산출된 충돌시간예측값에 따른 임계치를 산출하는 제2 단계;
    가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가속도에 기초하여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산출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임계치와 상기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비교하여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정면승객구속장치가 상기 주차보조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제어모듈과 캔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거리측정값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감지된 감가속도에 기초하여 산출된 변위값 및 예측변위값에 따라 상기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가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로패스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상기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작동 시점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보조시스템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설정 주기 마다 초음파 신호를 센싱하여, 상기 거리측정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112169A 2009-11-19 2009-11-19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55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169A KR20110055229A (ko) 2009-11-19 2009-11-19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169A KR20110055229A (ko) 2009-11-19 2009-11-19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229A true KR20110055229A (ko) 2011-05-25

Family

ID=4436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169A KR20110055229A (ko) 2009-11-19 2009-11-19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52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465B1 (ko) * 2012-06-29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465B1 (ko) * 2012-06-29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9269271B2 (en) 2012-06-29 2016-02-23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7405B1 (en) Object struck discrimination system and protection system
US10131307B2 (en) Activation control device for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9254804B2 (en) Impact-injury predicting system
US9421929B2 (en) Airbag deploym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02131448B1 (ko)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US20120259515A1 (en) Method for activating and/or controlling at least one reversible restraining device
JP2004042897A (ja) 乗員拘束手段を駆動するための回路装置
JP2003182509A (ja) 乗員保護システム
US82444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traint deployment using lateral kinetic energy
US7734393B2 (en) Object struck discrimination system and protection system
US20150158447A1 (en) Vehicle emergency call apparatus
US20120330512A1 (en) Method for triggering at least one irreversible retain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CN103661192B (zh) 具有乘员保护装置的机动车
KR102272076B1 (ko) 스몰 오버랩 충돌에 따른 에어백 전개 방법
US6559763B2 (en) Frontal impact characterization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restraint system
JP2007508187A (ja) 人保護手段を駆動制御するための装置
KR20110055229A (ko) 정면승객구속장치의 제어방법
US20110101661A1 (en) Airbag control system
US20100017067A1 (en) Method and control unit for triggering passenger protection means
JP2010070129A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JP4030990B2 (ja) 乗員保護装置の通信制御装置
KR101340851B1 (ko)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
KR20120071995A (ko) 측면승객보호장치의 제어방법
KR102227219B1 (ko) 에어백 전개를 위한 스몰 오버랩 충돌 판단 방법
KR101596995B1 (ko) 차량의 충격완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