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851B1 -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851B1
KR101340851B1 KR1020110136124A KR20110136124A KR101340851B1 KR 101340851 B1 KR101340851 B1 KR 101340851B1 KR 1020110136124 A KR1020110136124 A KR 1020110136124A KR 20110136124 A KR20110136124 A KR 20110136124A KR 101340851 B1 KR101340851 B1 KR 101340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llision
control unit
electronic contro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771A (ko
Inventor
문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6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8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ide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60R2021/0132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comprising variable thresholds, e.g. depending from other collision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60R2021/01327Angular velocity or angular ac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측면에 설치된 영상촬영기나 거리측정기와 같은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자동차의 주변상황정보에 기초하여 측면 측면 충돌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충돌을 예측하고 판정하여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표시하거나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System for sensing a side airbag for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측면에 설치된 영상촬영기나 거리측정기와 같은 능동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자동차의 주변상황정보에 기초하여 측면 충돌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충돌을 예측하고 판정하여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표시하거나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시스템의 전개를 판단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측면에서 전개되는 측면 에어백은, 차량 충돌이 발생한 경우(S 10), 충돌한 시점에서부터 가속도 센서 및 압력 센서와 같은 충돌감지센서(10)로부터 센서 신호가 발생되어 전자제어유닛(1)으로 전달되고(S 20), 전자제어유닛(1)은 상기 충돌감지센서(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크기가 기설정된 데이터의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 40).
또한, 상기 전자제어유닛(1)은 상기 충돌감지센서(10)로부터 센서신호가 발생되어 전달되었을 때, 발생된 충돌에 의한 센서 신호가 시스템상의 오류로 발생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페일-세이프(Fail-Safe) 판단을 수행한다(S 30).
그리고, 상기 전자제어유닛(1)은 상기 충돌감지센서(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크기가 기설정된 데이터의 크기를 초과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페일-세이프 판단에 의하여 시스템 상의 오류로 발생한 것임이 아니다라는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하여(S 40), 이러한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최종적으로 충돌 상황임을 확정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측면 에어백 시스템은 자동차에 충돌이 발생한 순간부터 전달되는 충돌감지센서(10)의 데이터의 크기에 근거하기 때문에,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시간인 TTF(Time To Fire, 에어백 전개시간) 제어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가 측면에서 다른 차량(C)의 가해 물체가 소정의 충돌속도(Vc)로 충돌될 경우, 자동차의 차체(5)에 측면 변형의 속도(Vs) 및 충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어나는 탑승자의 이동속도(Vp)에 있어서, 측면 에어백(20)의 전개공간의 폭(D)은 하기의 식으로 기술될 수 있다.
(식 1)
D (전개공간의 폭) = Vs*t (-) Vp*tl
(t; 차체(5) 변형에 의한 이동시간, t1; 승객의 이동시간)
그리고, 에어백 전개시간인 TTF 는 가해물체의 충돌속도(Vc)에 비례하게 된다.
그런데, 가해물체가 고속으로 충돌될 경우에는, 가해물체의 충돌속도(Vc)가 충돌감지센서(10)가 발생하는 센서신호의 발생속도보다 더 크기 때문에, 측면 에어백(20)이 전개되는 공간의 폭(D)를 줄여 에어백의 전개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구나, 고속 충돌의 경우 탑승자의 이동속도(Vp)가 더욱 커지므로, 측면에어백의 전개공간의 폭(D)은 더욱 협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에어백(20)이 전개될 공간의 폭이 감소되면, 에어백이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 확보가 어려워짐에 따라서 탑승자의 상해 정도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또한, 가해물체의 충돌시 가속도 센서나 압력 센서와 같은 수동적인 충돌감지센서(10)에 의하여 충돌을 판정함으로써 동일한 충돌이라 하더라도 충돌감지센서가 장착된 차체의 구조 변형에 따라서 센서에 입력되는 데이터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백이 전개되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아 에어백이 오전개되거나 미전개되는 문제점도 상존한다.
즉, 가해물체의 물리적인 충돌 상황이 없어도, 충돌감지센서(10)에 의하여 극히 국부적이 충격이 전달될 경우(작은 공이나 돌맹이의 충돌 등)에도 전자제어유닛(10)은 이를 차량이 실제 충돌한 것으로 판단하여 에어백을 오전개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반면, 충분하게 충돌로 판단될 만한 충격이 차량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도 충돌감지센서(10)에 직접적인 타격이 미약할 경우 에어백이 미전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가해물체가 고속으로 충돌할 경우에도 에어백의 전개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은 자동차의 측면에 설치된 영상촬영기나 거리측정기와 같은 능동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자동차의 주변상황정보에 기초하여 측면 측면 충돌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충돌을 예측하고 판정하여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표시하거나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영상촬영기나 거리측정기와 같은 능동적인 감지수단에 의하여 충돌을 미리 예측하여 판단하는 시스템이므로, 차체의 변형 상태와 관계없는 충돌 여부의 판단에 의하여 차량의 변형 산포에 의한 에어백 전개시의 영향 가능성을 구조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종래 센서에 입력되는 데이터가 상이하여 에어백이 전개되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아 에어백이 오전개되거나 미전개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둘째, 수동적인 충돌감지센서 및 능동센서를 모두 구비한 구성으로서, 충돌 판단의 알고리즘이 능동적인 감지수단과 수동적인 충돌감지센서의 신호를 모두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 수동적인 충돌감지센서만을 의존하던 점에서 탈피하여 이중으로 에어백의 전개를 수행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셋째, 능동센서에 의하여 충돌을 예측 가능하므로, 에어백의 전개시간에 관한 TTF 제어가 보다 신속하게 수행됨으로써 측면 충돌시의 에어백이 전개될 공간의 폭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전개된 에어백에 의한 측면 충돌에너지의 흡수 효능이 보다 향상되고, 탑승자의 상해 정도도 경감시킬 수 있는 매우 진보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종래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의 작동의 플로우챠트,
도 3 은 종래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의 에어백 전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의 구성도,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의 작동의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는 본 발명 자동차의 측면에어백 센싱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차의 측면에어백 센싱시스템은 자동차의 차체 측면에 설치된 가속도 센서 및 압력 센서와 같은 충돌감지센서(10)와, 상기 충돌감지센서(10)로부터 전달되는 센서신호를 입력받아 자동차가 충돌상황인지 판단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제어유닛(1)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측면에어백 센싱시스템은, 자동차의 차체 측면에 능동센서(30)를 설치한 구성이다.
상기 능동센서(30)는 자동차의 차체 측면의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센서로서, 예를 들어 자동차의 측면 상황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영상센서나 자동차의 측면으로 접근하는 임의의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측정센서이며, 상기 영상센서 및 거리측정센서를 복합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센서로서는 통상의 디지털카메라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거리측정센서로서는 레이더 센서나 초음파 센서 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능동센서(30)는 영상센서를 채용할 경우 디지털 카메라를 설치하고, 거리측정센서를 채용할 경우 레이더 센서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능동센서(30)는 자동차의 주변 상황을 촬영한 영상신호와 자동차의 측면으로 접근하는 물체와의 거리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본 발명 전자제어유닛(1)은 이러한 영상신호 및 거리신호에 의하여 자동차의 측면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후술할 측면에서의 충돌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자제어유닛(1)은 상기 충돌감지센서(10) 및 능동센서(30)로부터 발생된 센서신호들을 CAN 통신선로와 같은 공지된 통신망을 통하여 입력받거나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며, 이들 충돌감지센서(10)와 능동센서(30) 및 에어백(20)을 전개하는 에어백 전개모듈(미도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연동된 메모리소자에 저장되어 실행된다.
도 5 및 도 6 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시스템에 의한 충돌전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 전자제어유닛(1)은 자동차의 측면에 설치된 능동센서(3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 또는 거리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신호 또는 거리신호는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과정을 거쳐서 전자제어유닛(1)으로 전달되며, 전자제어유닛(1)은 전달된 영상신호와 거리신호에 따라서 자동차의 측면 상황을 모니터링한다(단계 S 100).
상기와 같은 전자제어유닛(1)에 의한 자동차의 측면 상황의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때, 자동차의 측면으로 빠르게 접근하는 가해물체가 있을 경우 능동센서(30)에 의하여 발생된 영상신호나 거리신호를 입력받은 전자제어유닛(1)이 충돌 예측을 시작하게 된다(단계 S 110).
즉, 상기 전자제어유닛(1)에 의한 충돌예측 시작단계(S 1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제어유닛(1)이 상기 능동센서(30)에 의하여 전달되는 영상신호나 거리신호에 기초하여 충돌할 우려가 있는 가해물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이 가해물체가 접근하는 경로를 연산한다(단계 S 111).
상기의 가해물체의 유무의 판단과 접근 경로의 연산은 영상신호에 기초한 화상인식 처리 과정이나 경로 탐색 처리 과정을 이용하여 판단과 연산이 각각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화상인식 처리 과정은 보안시설에 이용되는 안면인식과정이나 주차장 시스템의 차량 자동인식장치 등에 활용되고 있는 공지의 방식이고, 경로 탐색 처리 과정은 자동차의 주차보조시스템이나 자동주차시스템에서 이미 공지되어 활용되는 방식이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제어유닛(1)은 상기 S 111 단계에서 가해물체의 유무 판단과 접근 경로의 연산을 수행한 후, 그 판단과 경로 연산 결과에 따라서 자동차의 측면으로 접근하는 가해물체를 자동차에 직접적으로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목표물로 설정한다(단계 S 112).
이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1)은 목표물로 설정된 가해물체가 충돌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단계 S 120), 충돌 예측 결과를 판단한다(단계 S 130).
상기의 충돌할 것인지의 판정은, 상기 전자제어유닛(1)이 상기 능동센서(30)로부터 전달된 가해물체의 영상신호 또는 거리신호에 기초하여 목표물로 설정된 가해물체의 속도, 충돌 방향, 충돌될 위치, 충돌까지의 소요시간, 충돌까지의 이격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가해물체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인지의 여부, 충돌 방향과 충돌될 위치가 기설정된 방향 범위 및 충돌 위치 범위 내에 존재하거나 일치하는지의 여부, 충돌까지의 이격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하인지의 여부, 충돌까지의 소요시간과 이격거리가 기설정된 소요시간과 이격거리 이하인지의 여부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전자제어유닛(1)에 의하여 가해물체의 충돌 여부가 판단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제어유닛(1)은 주행중인 자동차가 생성하는 공지의 신호들을 참조할 수 있다.
즉,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주행중 발생되는 속도센서에 의한 자동차의 속도정보, 조향각센서나 요레이트(Yaw Rate) 센서에 의한 자동차의 자세정보를 전자제어유닛(1)이 수집하고(단계 S 300), 이 속도정보나 자세정보를 모니터링하여(단계 S 310), 주행중인 자동차의 경로를 분석하고(단계 S 320), 분석된 자동차의 경로 분석정보를 상기 S 120 단계의 충돌 판단 단계에서 참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은 충돌전에 자동차로 접근하는 가해물체에 대한 충돌 판단을 수행하며, 충돌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될 경우, 에어백의 실제 전개를 수행하는 확정 판단을 하게되는데, 이러한 에어백 전개의 확정 판단은 가해물체가 실제로 자동차에 충돌하였을 경우 전자제어유닛(1)에 의하여 페일-세이프(fail-Safe)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실시된다.
즉, 차량 충돌이 발생한 경우(S 200), 충돌한 시점에서부터 가속도 센서 및 압력 센서와 같은 충돌감지센서(10)로부터 센서 신호가 발생되어 전자제어유닛(1)으로 전달되고(S 210), 전자제어유닛(1)은 상기 충돌감지세선(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크기가 기설정된 데이터의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충돌 상황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 S 230), 동시에 상기 전자제어유닛(1)은 상기 충돌감지센서(10)로부터 센서신호가 발생되어 전달되었을 때, 발생된 충돌에 의한 센서 신호가 시스템상의 오류로 발생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페일-세이프(Fail-Safe) 판단을 수행한다(단계 S 220).
그러면, 상기 전자제어유닛(1)은 상기 S 130 단계에서 충돌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S 220 단계에서 상기 페일-세이프 판단에 의하여 시스템 상의 오류로 발생한 것임이 아니다라는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하여(S 140), 이러한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최종적으로 충돌 상황임을 확정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시킨다.
또는, 이러한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를 나타내는 신호음이나 경고 표시등을 점등시키거나 자동차의 내부 디스플레이 수단(미도시)에 경고를 나타내는 화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 충돌후에는 상기 전자제어유닛(1)은 상기 충돌감지센서(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크기가 기설정된 데이터의 크기를 초과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페일-세이프 판단에 의하여 시스템 상의 오류로 발생한 것임이 아니다라는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하여(S 240), 이러한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최종적으로 충돌 상황임을 확정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은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충돌전에 충돌 가능성을 미리 예측한 후 이의 결과를 충돌후 페일-세이프 판단 결과를 참조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키거나 운전자에게 경고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 에어백의 전개에 필요한 충돌감지센서(10)에 의한 충돌여부의 판단과정이 생략될 수 있어 에어백 전개에 필요한 TTF 제어를 보다 신속하게 수행하고 그럼으로써 측면 충돌시의 에어백이 전개될 공간의 폭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촬영기나 거리측정기와 같은 능동적인 감지수단에 의하여 충돌을 미리 예측하여 판단하므로, 차량의 변형 산포에 의한 에어백 전개시의 영향 가능성을 구조적으로 차단하여 종래 차체의 구조 변형에 따라서 센서에 입력되는 데이터가 상이하여 에어백 전개시간이 일정하지 않아 에어백이 오전개되거나 미전개될 우려도 일소하였다.
나아가, 수동적인 충돌감지센서 및 능동센서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종래에 수동적인 충돌감지센서만을 의존하지 않고 이중으로 에어백의 전개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는데, 예를 들어 고장으로 인하여 충돌 판단이 적시에 이루어지지 않게 되더라도, 충돌전 충돌 예측의 결과와 충돌후 페일-세이프 판단 결과만을 가지고도 에어백을 전개시킬 수 있으며, 만일, 전자제어유닛(1)에 의한 충돌전 판단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종래의 충돌감지센서에 의한 충돌후 판단에 의하여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자제어유닛
5; 차체
10; 충돌감지센서
20; 에어백
30; 능동센서

Claims (5)

  1.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20)의 전개를 위한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차의 차체 측면에 설치된 충돌감지센서(10);
    상기 충돌감지센서(10)로부터 전달되는 센서신호를 입력받아 자동차가 충돌상황인지 판단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제어유닛(1); 및
    자동차의 차체 측면에 설치되어 영상신호나 거리신호를 생성하는 능동센서(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1)이 자동차의 측면에 설치된 능동센서(3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 또는 거리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신호 또는 거리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차의 측면으로 접근하는 가해물체의 충돌가능성을 예측하며,
    가해물체가 충돌할 경우, 상기 전자제어유닛(1)은 충돌전에 상기 충돌가능성의 예측 결과 충돌이 예측되었으며, 충돌후에 페일-세이프 판단결과 충돌임이 판정되면, 측면 에어백(20)을 전개시키는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1)에 의한 가해물체의 충돌가능성의 예측은,
    상기 전자제어유닛(1)이 전달된 영상신호와 거리신호에 따라서 자동차의 측면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100);
    상기 전자제어유닛(1)이 자동차의 측면으로 접근하는 가해물체가 있을 경우,충돌 예측을 시작하는 단계(단계 S 110);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1)이 가해물체가 충돌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단계 S 120), 충돌 예측 결과를 판단하는 단계(단계 S 130); 를 수행하여 이루어지고,
    차량 충돌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전자제어유닛(1)은,
    상기 충돌감지센서(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크기가 기설정된 데이터의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충돌 상황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단계 S 230);
    발생된 충돌에 의한 센서 신호가 시스템상의 오류로 발생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페일-세이프(Fail-Safe) 판단을 수행하는 단계(단계 S 220);
    상기 S 130 단계에서의 충돌 예측이 되었는지의 조건과, 상기 S 220 단계에서의 상기 페일-세이프 판단에 의하여 시스템 상의 오류로 발생한 것이 아닐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 140); 를 포함하고,
    상기 S 140 단계에서 이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충돌 상황임을 확정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제어를 수행하고, 운전자에게 경고를 나타내는 신호음을 출력하거나, 경고 표시등을 점등시키거나, 또는 자동차의 내부 디스플레이 수단에 경고를 나타내는 화상을 출력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센서(30)는 영상센서 또는 거리측정센서이고,
    상기 영상센서와 거리측정센서는 복합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 120 단계의 상기 전자제어유닛(1)이 가해물체가 충돌할 것인지 아닌지의 판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제어유닛(1)은,
    자동차의 주행중 발생되는 자동차의 속도정보나 자동차의 자세정보를 전자제어유닛(1)이 수집하고(단계 S 300),
    수집된 속도정보나 자세정보를 모니터링하여(단계 S 310), 주행중인 자동차의 경로를 분석하고(단계 S 320), 분석된 자동차의 경로 분석정보를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시스템.
KR1020110136124A 2011-12-16 2011-12-16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 KR101340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124A KR101340851B1 (ko) 2011-12-16 2011-12-16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124A KR101340851B1 (ko) 2011-12-16 2011-12-16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771A KR20130068771A (ko) 2013-06-26
KR101340851B1 true KR101340851B1 (ko) 2013-12-12

Family

ID=48864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124A KR101340851B1 (ko) 2011-12-16 2011-12-16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8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0864A (zh) * 2017-01-25 2018-07-3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乘员保护装置和用于车辆的乘员保护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9729B (zh) * 2021-12-21 2024-02-27 泰安九洲金城机械有限公司 井下自动感应监控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921A (ja) * 1992-05-19 1993-12-07 Hitachi Ltd 加速度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20030012360A (ko) * 2001-07-31 2003-02-1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 측면 에어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921A (ja) * 1992-05-19 1993-12-07 Hitachi Ltd 加速度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20030012360A (ko) * 2001-07-31 2003-02-1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 측면 에어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0864A (zh) * 2017-01-25 2018-07-3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乘员保护装置和用于车辆的乘员保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771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76121B (zh) 控制车辆安全参数的系统、车辆和控制安全参数的方法
US8798885B2 (en) Collision reducing device
CN106030336B (zh) 车辆周围状况识别设备和车辆控制设备
EP2484573B1 (en) Method for reducing the risk of a collision between a vehicle and a first external object
JP4317032B2 (ja) 車両ロールオーバ検出システム
JP5700263B2 (ja) 衝突傷害予測システム
KR101428260B1 (ko) 외장에어백 전개방법
US11040693B2 (en) Vehicular protection device and vehicle
KR101338062B1 (ko) 차량의 프리크래쉬 작동장치 및 작동방법
US20100063676A1 (en) Vehicle-installation person detection apparatus and crash absorp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person detection apparatus
JP6333283B2 (ja) 多領域の強化された識別を用いて作動可能な拘束装置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6256613B (zh) 用于控制车辆人员保护设备触发的方法、设备及安全系统
US8140226B2 (en) Security system and a method to derive a security signal
US11338762B2 (en)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7308110A (ja) 歩行者保護装置
CN111132875B (zh) 产生用于触发机动车的至少一个安全功能的触发信号的方法
KR101340851B1 (ko)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센싱 시스템
CN107533133B (zh) 用于监视车辆前方的区域的方法和设备
CN109219537A (zh) 用于车辆的安全设备
KR102272076B1 (ko) 스몰 오버랩 충돌에 따른 에어백 전개 방법
KR101417447B1 (ko) 외장에어백 전개방법
US11661055B2 (en) Close-in collision detection combining high sample rate near-field sensors with advanced real-time parallel processing to accurately determine imminent threats and likelihood of a collision
JP2010070129A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WO2020243735A1 (en) Close-in collision detection and vehicle driver behavior data collection and reporting
KR101428238B1 (ko) 외장에어백 전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