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940A -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940A
KR20110054940A KR1020090111767A KR20090111767A KR20110054940A KR 20110054940 A KR20110054940 A KR 20110054940A KR 1020090111767 A KR1020090111767 A KR 1020090111767A KR 20090111767 A KR20090111767 A KR 20090111767A KR 20110054940 A KR20110054940 A KR 20110054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est
herbal
detergent composition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연
조정희
정수영
조현우
Original Assignee
장흥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흥군 filed Critical 장흥군
Priority to KR1020090111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4940A/ko
Publication of KR20110054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23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e.g. sulfosucc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4Mixtures with anionic, cationic or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6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 한약재를 첨가하여 천연 한약재에 의한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세제의 세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인 LES와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코베타인을 혼합한 계면활성제 혼합물에 녹차, 길경, 양유, 편백잎 추출물을 혼합한 한약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방용 세제, 한약

Description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KITCHEN DETERGENT COMPOSITION USING HERB MEDICINE MATERIALS,AND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 한약재를 첨가하여 천연 한약재에 의한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세제의 세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주방세제는 주로 식기, 과일 및 야채의 세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액체타입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일부 LAS를 고농축시킨 고체타입도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세제는 세정력을 높이는데 의미가 있어, 화학물질을 이용한, 석유계의 합성 계면 활성제와, 인계 물질과 유해 물질을 이용한 주방 세제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화학 세제의 경우 세정력은 높으나, 세제에 포함되어 있는 화학적 잔유물이 식기와 싱크대, 수세미 등에 잔유물이 남아 있어, 인체에 유해한 작용을 일으키며, 특히 과다한 세제의 사용으로 환경오염을 야기한다.
또한, 주방용 세제의 경우 세정 후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 등이 부패하면 서 불쾌한 냄새를 발생시키고, 세제와 음식물 찌꺼기 등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가하여 염증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90년 이전까지는 세정력 위주의 제품이 주를 이루었으나, 90년대 이후에는 피부 마일드, 환경 친화, 농축화를 지향하는 제품이나 제균,항균 등과 같은 인체 안전 및 건강을 고려한 제품의 개발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11421호에는 토르마린 활성수와 식물성 계면 활성제를 이용하여 인체에 안전하고, 하천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물의 부영양화와 적조 등을 예방하는 주방용 세제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87498호에는 산초나무열매 및 자몽씨 오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식기 등 주방용품의 세정 효과 이외에 살균 또는 항균 효과를 갖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05099호에는 시트로넬라 오일과 함께 레몬그라스에서 유래된 시트랄을 함유하여 주방세제의 기본인 세정력에 항균 및 소취효과와 아울러 방향효과를 주며, 또한 인체 안전성이 높은 주방용 세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성 한약재를 첨가하여 천연 한약재에 의한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세제의 세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인 LES와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코베타인을 혼합한 계면활성제 혼합물에 녹차, 길경, 양유, 편백잎 추출물을 혼합한 한약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은, 상기 한약 추출물은 녹차:길경:양유:편백 = 3:1:1:1 중량비로 하여 열수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은, 상기 LES는 25중량%, 코코베타인은 10중량%이고, 상기 한약추출물은 4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은, 음이온계 계면활제인 LES 25중량%,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코베타인 10중량%, 녹차:길경:양유:편백 = 3:1:1:1 중량비의 한약재를 열수추출한 한약 추출물 49중량%, 글리세린 1중량%, 정제수 9중량%, 자몽씨 추출물 1중량%, 올리브 리퀴드 2중량%, 편백정유오일 1중량%, 소금 2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은 기능성 한약재를 첨가하여 천연 한약재에 의한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세제의 세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 한약 추출물의 제조 및 시험>
장흥군에서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는 길경, 양유, 녹차, 편백을 구입하여 길경, 양유, 녹차, 편백 시료의 배합비율을 녹차:길경:양유:편백=1:1:1:1, 녹차:길경:양유:편백=2:1:1:1, 녹차:길경:양유:편백=3:1:1:1로 달리해 열탕 추출을 실시하였다. 열탕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해서 농축을 실시하고 동결건조하여 시료를 얻었다.
각각의 시료를 이용해서 DPPH radical 소거 작용과 tyrosinase 억제 효과를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1) DPPH radical 소거 작용
플레이트(96well plate)에 대조군에는 추출물의 용매를 시험군에는 실험재료 를 농도별로 100㎕씩 각각 6개씩 접종한다. 대조군과 시험군에는 각각 60μM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첨가하고, 블랭크(blank)에는 60μM DPPH대신 EtOH를 넣고 약 3초 정도 흔들어 섞은 후, 실온에서 30분을 방치하고 540nm에서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한다.
(2) Tyrosinase 억제 효과
Dopaoxidase의 활성측정은 dopa를 기질로 하여 tyrosinase에 의하여 생성되는 반응산물인 dopachrome이 475 nm에서 흡광도를 나타내는 점을 이용하여 시행한다. 즉, 일정한 반응조건에서 생성된 dopachrome의 양을 정량해서 tyrosinase의 활성을 측정하며 시료의 첨가에 의한 activity의 변화를 관찰하여 효소 활성저해 정도를 평가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한약 추출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 작용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1a는 녹차:길경:양유:편백=1:1:1:1인 시료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1b 및 도 1c는 각각 녹차:길경:양유:편백=2:1:1:1, 녹차:길경:양유:편백=3:1:1:1인 시료에 대한 그래프이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한약 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 억제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2a는 녹차:길경:양유:편백=1:1:1:1인 시료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2b 및 도 2c는 각각 녹차:길경:양유:편백=2:1:1:1, 녹차:길경:양유:편백=3:1:1:1인 시료에 대한 그래프이다.
시험결과 녹차:길경:양유:편백 = 3:1:1:1의 비율로 한 시료의 DPPH radical 소거 작용 및 tyrosinase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토대로 녹차:길경:양유:편백 = 3:1:1:1인 한약 추출물이 천연성분 주방세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2 : 한약 추출물을 이용한 주방용 세제의 제조 및 시험>
상기 실시예1에서 얻은 한약 추출물과 계면활성제 등의 재료를 혼합하여 주방용 세제를 도 3에 도시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주방용 세제의 제조를 위한 재료의 배합은 표 1과 같이 하여 진행하였다.
시험군 1 2 3 4 5 6 7 8 9 10 11 12 비고
LES 40 37 35 30 27 25 25 25 25 25 25 25
코코베타인 - 3 5 5 8 10 10 10 10 10 10 10
글리세린 - 1 2 2 2 1 1 1 1 1 1 1
정제수 8 7 4 8 9 9 9 9 9 9 9 9
자몽씨
추출물
- - - - - 1 1 1 1 1 1 1
올리브
리퀴드
- - 2 3 3 2 2 2 2 2 2 2
구연산 1 1 1 1 - - - - - - - -
편백오일 1 1 1 1 1 1 1 1 1 1 1 1
쟁탄검 - - - - - 2 3 - - - -
중조 - - - - - - - 2 3
카보머
프리젤
- - - - - - - - - 3 - -
소금 - - - - - - - - - - 3 2
한방
추출물
50 50 50 50 50 49 48 49 48 48 48 49
총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단위 : wt%>
도 3을 참조하면, 계면활성제 혼합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인 LES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코베타인을 표 1의 배합비로 배합하여 40℃의 온도로 30분간 기포가 방지되도록 저속으로 혼합한다. 혼합된 계면활성제에 실시예1에서 얻은 한약 추출물(녹차:길경:양유:편백 = 3:1:1:1)을 표 1의 배합비로 혼합하여 40℃의 온도로 30분간 기포가 방지되도록 저속으로 추출물을 혼합한다. 한약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물에 글리세린, 자몽추출물, 올리브 리퀴드, 구연산과 같은 첨가물을 혼합하여 20분간 첨가물을 혼합한다. 첨가물이 혼합된 혼합물에 증점제 후보물질인 쟁탄검, 중조, 카보머프리젤, 소금을 정제수와 함께 20분간 증정제를 혼합한다. 증점제의 혼합후 편백정유오일을 표1의 배합비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주방용 세제를 얻었다.
시험군 1 ~ 6 까지는 계면활성제의 조성을 확인하기 위한 조성물의 배합을 다르게 하였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인 LES는 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로서 코코넛오일과 호박산으로 만들어서 점도를 높여주는 계면활성제이며, 자극적이지 않고 풍부한 거품을 만들어 주며 다른 자극적인 계면활성제에 거품을 원활히 낼 수 있도록 해줄 뿐 아니라 자극을 축소시켜 주는 시너지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세척력이 기존 시판하고 있는 타사 제품에 비해서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음이온 계명활성제에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코베타인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코코베타인은 코코넛 오일에서 얻는 양쪽성 천연 계면활성제이며 컨디셔너, 점성제, 거품 촉진제로 피부 클렌저, 샴푸, 목욕제로 사용되고 있다. 피부 점막을 자극하지 않는 매우 순한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자극을 줄여 주며 점도를 올려주며, 또한 양이온성을 갖기 때문에 항균력이 있다. 이러한 2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세척력 등을 자체 실험한 결과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베이스로 확정하였다.
또한 확정된 베이스에 한방추출물을 혼합한 후 증점제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쟁탄검, 중조, 카보머프리젤, 소금 등의 후보물질을 검색하였으며, 각 증점제의 양을 조절하여 실험하였다. 쟁탄검은(시험군6~7) 세제 제조시 용해가 어려웠으며, 완전 용해 후 저장성 실험에서 재결정을 이뤄서 분리되는 경향을 보였다. 중조는(시험군8~9) 세제 제조시 용해가 어려웠으며, 세제의 색상을 진하게 만들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사료된다. 카보머프리젤(시험군 10)은 용해하는데 약 80 까지 올려서 사용하는 애로사항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금(시험군11~12)을 사용한 실험에서 시험군11은 3%(w/w), 시험군12는 2%(w/w)를 첨가하여 증점제 효과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시험군12의 첨가한 것이 하술하는 실험결과 주방세제로서 타사 제품과 유사한 물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3: 천연 주방세제의 규격 실험>
표 2는 주방세제에 대한 KS 규격을 정리한 것이다.
구분
규격
1종 2종 3종
야채 또는
과실용 세척제
식기류용 세척제
(자동식기세척기용 또는
산업용 식기류 포함)
식품의 가공기구
조리기구용 세척제
pH(사용농도) 6.0~10.5 6.0~10.5
(자동식기세척기용 및
산업용 식기류는 제외)
메틸알콜(고형, 분말, 과립상 제외) 1mg/g이하 1mg/g 이하
비소(사용농도) 0.05ppm이하 0.05ppm이하 0.4ppm이하
중금속(사용농도) 1ppm이하 1ppm이하 2ppm이하
형광증백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사용농도:사용농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거나, 세척대상에 따라 사용농도가 다를 경우는 30배 희석액을 사용농도로 한다
(1) pH
이 품목은 새로 끓여서 식힌 물을 사용하여 사용농도로 희석 또는 녹인액을 25°유리전극법(pH미터)으로 측정하였다.
(2) 메틸알콜
이 품목은 10g에 물 20 및 실리콘수지 1-2방울을 가하여 조용히 증류하여 유액 9를 받았다. 이 때 혼탁이 있으면 석유벤젠 5를 가하여 1-2회 잘 흔들어 섞어서 유분을 제거하고, 이에 내부표준용액 1를 가하여 이를 시험용액으로 하여 메틸알콜표준용액과 함께 메틸알콜의 함량이 1/g이하인지를 측정하였다.
(3) 비소
요오드칼륨시액, 신성염화제일주석시액, 알콜성브롬 제2수은시액, 비소표준용액, 사상아연, 초산납시액 등을 조제하여 밀전하여 보존하고, 비소한도를 측정하였다.
(4) 중금속
시험용액 10를 취하고 비교표준액(납표준용액 2 포함) 이 양 액에 황화나트륨시액 2방울씩을 가하여 잘 섞어서 5분간 방치한 다음 양 관을 백색을 배경으로 하여 위와 옆에서 보아 액의 색을 비교하였다.
(5) 형광증백제
(가) 예비시험
이 품목을 어두운 곳에서 3,650Å 주파장으로 하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색-청백색 형광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나) 본시험
예비시험에서 양성인 시료를 사용용도로 희석한 검액 100를 암모니아로 미알칼리성으로 하였고, 이 액에 꺼즈를 넣고 염산을 가하여 약산성으로 하고 수욕상에서 30분간 가온하였다. 꺼즈를 꺼내 물로 씻고 짠 다음 어두운 곳에서 자외선을 조사할 때 꺼즈 전체가 청백색의 형광을 나타내는 지를 확인하였다.
표 3은 상기 실시예2에서 제조된 시험군12의 시료에 대한 시험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시험항목 결과 비고
pH(25 ℃) (-) 5.8 기기 사진첨부
계면활성제 상당분(환산값) (mg/L) 397 = 에틸알콜가용분
-(석유에테르가용분+요소)
형광증백제 (-) 검출안됨 기기 사진첨부
메탄올 (mg/g) 검출안됨 기기 사진첨부
비소(As) (mg/L) 0.05 이하 비색법
중금속(Pb으로서) (mg/L) 1.0 이하 비색법
<pH, 비소(As), 중금속(Pb으로서)은 시료 농도 6.7g/L 일때 값임>
<실시예4 : 피부보습, 인체첩포실험>
개발된 주방용 세제 실시예2의 시험군 12에 대한 유분제거억제효과(피부보습)효과를 corneometer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세제 사용 전 손 등과 손 안쪽에서 유분을 피부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세제 사용 후 손 등과 손 안쪽에서 유분을 피부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사용 전 후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유분 제거억제효과를 계산하였다.
(1) 2009.9.30 보습력 측정
①측정기기 - corneometer
②측정상태 Air humidity :56.1%
③Temperature : 27.5℃
④측정인원 - 총 6명
⑤실험방법
<평상시 상태 확인>
- 측정부위: 손등 부위(중지뼈로부터 손목까지 3등분하여 2군데 측정)
- 측정인원: 총 6명
<개발된 주방세제 시료 사용>
- 왼손, 한방세제(타제품-동의보감)
- 오른손에 나누어 바르고 15초 뒤 씻어낸 다음 10분, 15분에 측정하였다.
⑥측정결과
표 4는 평상시 보습상태, 표 5는 세제 사용후 10분후의 보습상태, 표 6은 세제 사용후 15분후의 보습상태에 대한 시험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주방세제의 피부보습효과를 타사제품과 비교하여 정리한 그래프이다.
No 측정치(왼손) 평균(왼손) 측정치(오른손) 평균(오른손)
1 41.2 44.8 42.3 37.75
48.4 33.2
2 43.2 44.45 33.4 42.2
45.7 51
3 45.2 43.35 45.7 46.1
41.5 46.5
4 46.1 46 43.1 43.4
45.9 43.7
5 42.9 40 39.9 45.4
37.1 50.9
6 45.6 43.95 53.8 55.45
42.3 57.1
Total 43.75 45.05
No 측정치(왼손) 평균(왼손) 측정치(오른손) 평균(오른손)
1 53.2 48.25 44.6 41.85
43.3 39.1
2 26.3 30.5 43.4 40.15
34.7 36.9
3 37.5 35.05 39 39.4
32.6 39.8
4 35.6 36.85 29.6 33.9
38.1 38.2
5 43.8 39.5 41.3 35.55
35.2 29.8
6 34.4 37.1 44.9 35.2
39.8 25.5
Total 37.88 37.67
No 측정치(왼손) 평균(왼손) 측정치(오른손) 평균(오른손)
1 38.7 36.45 29.2 32.3
34.2 35.4
2 40.4 37.8 37.4 38.6
35.2 39.8
3 38.5 37.8 36.8 35.35
37.1 33.9
4 39 40.1 38.6 37.2
41.2 35.8
5 40.4 39.65 43.9 44.15
38.9 44.4
6 43.8 43.95 47.6 35
44.1 22.4
Total 39.29 37.1
(2) 인체누적첩포실험
실험 대상자 전완의 안쪽 10 cm 부위를 정확히 측정하여 표시한 후1X2cm의 피부에 세제를 도포 전 사진을 찍고 세제를 도포한 후 48시간을 지속적으로 부착시킨 후 다시 사진을 찍었다. 실험 전후의 사진을 비교하여 홍반의 유무, 알러지 생성 유무를 육안으로 판단하여 Ⅰ,Ⅱ,Ⅲ등급으로 구분하여 판단하였다.
도 5는 인체첩포실험순서를 도시한 사진이다.
인체 누적 첩포실험 결과 천연성분 주방세제는 홍반, 알러지 등의 유발이 없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표 7은 인체누적첩포실험을 통한 홍반 생성 및 알러지 유무 실험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세제 사용전후의 인체첩포실험 결과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6에서 좌측은 사용전 상태이고 우측은 사용후 상태이다.
구분 홍반 생성 알러지 생성 비고
1
2
3
<실시예5 : 피부자극성 조사>
천연주방세제에 대한 피부자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New Zealand White 토끼 피부에 시험물질을 0.5 ml을 4시간 동안 적용한 후 72시간 동안의 사망률, 일반증상 및 체중변화와 1, 24, 48 및 72시간의 피부자극성을 평가하였다.
(1)재료 및 방법 (Materials & Methods)
1.1.시험물질
명 칭 : 천연주방세제(실시예2의 시험군 12)
입 수 일 : 2009. 9. 29.
입 수 량 : 300 ml
외관 및 성상 : 황갈색의 액상
보 관 조 건 : 실온
1.2.시험물질 조제
시험물질을 별도의 조제 없이 그대로 투여하였다.
1.3.시험계
1.3.1.동물종
New Zealand White계 토끼
1.3.2.공급원
명 칭 : 샘타코 바이오 코리아
주 소 : 경기도 오산시 서랑동 77-1
1.3.3.투여시 동물수(성별), 주령 및 체중범위
3 마리 (암컷) : 3 월령, 2.0 ~ 3.0 kg
1.3.4.시험계의 선택사유
본 시험에 사용된 NZW 토끼는 피부자극 시험에 많이 사용되는 종으로서 본 계통에 대해 기초자료가 풍부하여 시험결과의 해석 및 평가가 용이하여 선택되었다.
1.3.5.순화 및 검역
동물 입수 후 약 10일 동안 본 연구원의 토끼 사육실에서 검역 및 순화시키면서 일반 건강상태를 관찰한 후 건강한 개체를 선별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1.3.6.개체식별
각 동물의 귀에는 유성을 이용하여 개체번호를 기입하였다. 사육상자에는 시험번호, 시험물질, 성별, 개체번호, 시험기간 및 시험책임자를 기재한 개체식별카드를 부착하였다.
1.4.사육환경
1.4.1.환경조건
온도 21±3℃, 상대습도 50±10%, 환기횟수 10~12회/hr, 조명 12시간(08:00~20:00), 조도 200~300Lux로 설정된 본 연구원의 토끼사육실에서 실시하였다.
1.4.2.사육환경 모니터링
시험기간 중 동물실의 온,습도는 자동 측정기에 의하여 매 30분마다 측정 되었으며, 조도 등의 환경조건은 정기적으로 측정되었다. 동물실의 환경 측정결과 시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는 변동은 없었다.
1.4.3.사육조건
순화기간 및 시험기간 중에 토끼는 3단 3열의 사육상자(660×500×300, 정도산업 제작)에 개체별로 사육하였다.
1.4.4.사료 및 물
사료는 실험동물용 토끼 사료{(주)퓨리나코리아 (경기도 평택시 장당동 85-1)}를, 물은 음용수를 자유 섭취시켰다.
1.4.5.사료 및 물 중의 오염물질 확인
사료의 오염물질은 사료공급자로부터 받은 오염물질 분석 자료를 근거로 하고, 물의 오염물질은 본 연구원에서 음용수 수질검사 기준에 의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1.5.시험방법
시험물질 투여 전날 제모를 실시하여 건강하고 피부가 손상되지 않은 동물을 선택하였다. 시험물질을 시험동물의 피부(약 6cm2)에 도포한 다음 거어즈로 덮은 후 비자극성 테이프로 잘 고정하였다. 시험물질 노출 종료시 남아있는 시험물질은 멸균증류수를 이용하여 도포부위를 부드럽게 세정해 주었다.
1.5.1.초기 시험
시험물질 첩포를 순차적으로 시험동물에 적용하였다. 첫 번째 첩포 적용 3분 후, 피부 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두 번째 첩포를 다른 부위에 적용한 다음 1시간 뒤에 제거하였다. 두 번째 노출 결과에서도 피부 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세 번째 첩포를 적용하여 4시간 뒤 제거한 후, 피부 반응 점수를 평가하였다. 3번의 순차적 노출 종료 후, 피부부식이 관찰되지 않아, 14일 동안 시험동물을 관찰하였다.
1.5.2.확인 시험
초기 시험결과 피부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2마리의 시험동물을 추가로 사용하여 확인시험을 실시하였다.
1.6.임상결과 및 피부반응 평가
시험물질 노출 후 14일 동안 시험동물의 일반증상을 관찰하였으며, 홍반 및 부종의 평가는 첩포를 제거한 후 1시간,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에 피부반응을 다음의 임상증상 및 피부반응 평가표에 따라 관찰하였다.
표 8은 임상증상 및 피부반응 평가표이다.
홍반 및 가피 형성 부종형성
반 응 등급 반응 등급
홍반이 전혀 없음 0 부종이 전혀 없음 0
아주 가벼운 홍반
(육안으로 거의 식별할 정도)
1 아주 가벼운 부종
(육안으로거의 식별할 정도)
1
명확한 홍반 2 가벼운 부종(뚜렷하게 부어 올라서 노출부위가 구별될 정도) 2
중간정도부터 심한 홍반 3 중간정도의 부종(약 1mm정도 부어 올랐을 경우) 3
심한 홍반과 홍반을 평가할 수 없을 정도의 가피형성 4 심한 부종( 1mm 이상 부어오르고 노출부위 밖까지 확장된 경우) 4
최고점: 4 최고점: 4
2.결과 (Results)
2.1.일반증상 (Table 1)
첩포 제거 후 14일 동안 시험동물을 관찰한 결과 어떠한 일반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2.2.체중 측정 (Table 2)
시험물질 적용직전과 노출종료 후 72시간에 개체별 체중을 측정한 결과, 특이할 만한 체중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2.3.피부반응평가 (Table 3)
시험물질 노출 종료 후 1, 24, 48 및 72시간에 피부반응을 관찰한 결과, 홍반 및 부종 등의 피부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3.고찰 및 결론 (Discussion & Conclusion)
천연주방세제에 대한 피부자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3마리의 New Zealand White계 토끼에 시험물질을 적용한 후 피부자극성을 평가하였다. 표 9는 시험에 의한 토끼의 사망 및 징후를 정리한 표이고, 표 10은 토끼의 체중변화를 정리한 표이며, 표 11은 토끼의 피부자극성조사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시험기간 중 일반증상 관찰 결과 시험물질의 처치와 관련된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체중 측정 결과 정상적인 체중증가를 보였다. 피부반응 평가 결과에 있어서도 홍반 및 부종 등의 피부반응이 관찰된 동물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NZW 토끼의 피부에 천연주방세제를 적용한 결과 홍반 및 부피 등의 피부 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본 시험물질은 피부자극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Test article Sex Animal
number
Clinical Signs Mortality (%)
(dead / total)
ME Female 1 No abnormalities detected 0 % (0 / 3)a
2 No abnormalities detected
3 No abnormalities detected
a : No. of dead animals / No. of tested animals
Test article Sex Hours after application (hour) Gains
0 72
ME Female 2059.1 2145.9 86.8
2270.7 2377.6 106.9
2204.5 2314.8 110.3
Animal
number
Erythema & Eschar Edema
1 24 48 72 1 24 48 72
1 0 0 0 0 0 0 0 0
2 0 0 0 0 0 0 0 0
3 0 0 0 0 0 0 0 0
Total 0 0 0 0 0 0 0 0
Mean 0 0 0 0 0 0 0 0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한약 추출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 작용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한약 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 억제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주방세제의 피부보습효과를 타사제품과 비교하여 정리한 그래프
도 5는 인체첩포실험순서를 도시한 사진
도 6은 세제 사용전후의 인체첩포실험 결과를 도시한 사진

Claims (4)

  1.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인 LES와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코베타인을 혼합한 계면활성제 혼합물에 녹차, 길경, 양유, 편백잎 추출물을 혼합한 한약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 추출물은 녹차:길경:양유:편백 = 3:1:1:1 중량비로 하여 열수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S는 25중량%, 코코베타인은 10중량%이고, 상기 한약추출물은 4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4.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인 LES 25중량%,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코베타인 10중량%, 녹차:길경:양유:편백 = 3:1:1:1 중량비의 한약재를 열수추출한 한약 추출물 49중량%, 글리세린 1중량%, 정제수 9중량%, 자몽씨 추출물 1중량%, 올리브 리퀴드 2중량%, 편백정유오일 1중량%, 소금 2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KR1020090111767A 2009-11-19 2009-11-19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KR20110054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767A KR20110054940A (ko) 2009-11-19 2009-11-19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767A KR20110054940A (ko) 2009-11-19 2009-11-19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940A true KR20110054940A (ko) 2011-05-25

Family

ID=4436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767A KR20110054940A (ko) 2009-11-19 2009-11-19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494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0049A (zh) * 2014-06-26 2014-10-29 梁钿甜 一种餐具洗涤膏
KR20200103980A (ko) 2019-02-26 2020-09-03 김보라 양파껍질과 마늘껍질의 항염, 항산화 유효성분을 아임계추출방식을 통해 추출하는 세제의 제조법
KR102226774B1 (ko) * 2019-10-29 2021-03-11 정해영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71800A (ko) 2021-11-15 2023-05-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방세제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0049A (zh) * 2014-06-26 2014-10-29 梁钿甜 一种餐具洗涤膏
KR20200103980A (ko) 2019-02-26 2020-09-03 김보라 양파껍질과 마늘껍질의 항염, 항산화 유효성분을 아임계추출방식을 통해 추출하는 세제의 제조법
KR102226774B1 (ko) * 2019-10-29 2021-03-11 정해영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71800A (ko) 2021-11-15 2023-05-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방세제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bramaniam et al. Effect of pomegranate and aloe vera extract on streptococcus mutans: An: in vitro: study
US6485711B1 (en) Organic toothpaste containing saponin
KR20090129490A (ko) 호로파 추출물
CN105411923B (zh) 含有葡萄柚籽提取物的天然广谱防腐组合物及其应用
CN110787091B (zh) 一种止痒抗敏婴儿洗护制剂及其应用
Sadat Tabatabaei et al. Effects of extracts of Salvadora persica on proliferation and viability of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CN106166117A (zh) 一种免洗手消毒凝胶及其制备方法
CN110755331B (zh) 一种抗菌婴儿洗护制剂及其应用
CN107028848A (zh) 一种免洗手天然绿色的杀菌消毒液
CN105754751A (zh) 一种纯天然中草药植物抑菌节水洗涤剂及其制备方法
CN103417424A (zh) 一种植物本草洁、养、护女性护理凝露及其制备方法
KR20110054940A (ko)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CN103451036B (zh) 茶籽洗洁液及其制备方法
KR101130691B1 (ko)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CN105030613B (zh) 一种抗菌缓解疲劳的天然植物精油洗脚液
CN113440441A (zh) 一种含精油的口腔抑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318707A (zh) 一种环保洗涤剂及其制备方法
KR20140042008A (ko) 시트로넬라 오일을 함유하는 모기 기피제 조성물
CN108324661A (zh) 基于β-环糊精的抑菌抗炎、除口气漱口水及其制备方法
KR20060128315A (ko) 한약재인 어성초와 감초 그리고 티트리 오일을 첨가란여드름 피부질환 예방용 약용비누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Wijayawardhana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a combination of three natural plant extracts and development of a herbal soap.
Sukamdi et al. Formula Optimization of Antimicrobial Hand Sanitizer With Lemongrass Essential Oil
Hati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antidandruff hair oil
WO2019009663A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Namita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shampoo having antimicrobial potent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