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791A -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791A
KR20110054791A KR20090111567A KR20090111567A KR20110054791A KR 20110054791 A KR20110054791 A KR 20110054791A KR 20090111567 A KR20090111567 A KR 20090111567A KR 20090111567 A KR20090111567 A KR 20090111567A KR 20110054791 A KR20110054791 A KR 20110054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get
update data
server
display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1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4137B1 (ko
Inventor
황성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137B1/ko
Priority to US12/927,582 priority patent/US9122369B2/en
Publication of KR20110054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위젯(widget)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위젯 통합 버퍼 내에서 상기 위젯 서버마다 할당된 복수의 구분 영역들 중 상기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한 위젯 서버에 대응하는 구분 영역의 플래그 비트를 이네이블(enable)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구분 영역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플래그 비트가 이네이블된 구분 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반영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면, 온라인 위젯이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 수신 시, 휴대 단말기의 성능 저하 없이 표시 화면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위젯(widget), 버퍼(buffer), 온라인 위젯(online widget), 업데이트(update), 디스플레이(display)

Description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METHOD FOR UPDATING DISPLAY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라인 위젯(online widget)이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반영하여 표시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위젯(widget)은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소형의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것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서 아이콘 등의 형태로 제공된다. 사용자는 위젯을 통해 인터넷 익스플로어(internet explore) 등의 브라우저(browser)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휴대 단말기에 제공되는 위젯으로는 시계, 액자 기능 등의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오프라인 위젯(offline widget)과 이메일 통지, 실시간 뉴스 정보, 실시간 날씨 정보, 실시간 교통 정보 등을 제공하는 온라인 위젯(online widget)이 있다. 특히, 온라인 위젯은 실시간으로 위젯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는 현재 시점에 대한 뉴스 정보, 날씨 정보, 교통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온라인 위젯을 표시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 1에서 휴대 단말기는 뉴스(news) 위젯(11), 날씨(weather) 위젯(12), 주식(stock) 위젯(13)을 표시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뉴스 위젯(11)을 제공하는 위젯 서버, 날씨 위젯(12)을 제공하는 위젯 서버, 주식 위젯(13)을 제공하는 위젯 서버로부터 각각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며, 수신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반영하여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위젯 마다 서로 다른 위젯 버퍼(widget buffer)를 구비하고 있었으며, 위젯 서버로부터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이에 대응하는 위젯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화면에 표시하였다. 최근 다수 개의 온라인 위젯들을 휴대 단말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게 되었고,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온라인 위젯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단시간에 많은 양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었다.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이를 각각의 이벤트 발생으로 인식하였고, 각각의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였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기가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표시 화면에 반영하는 처리 속도가 감소되었고, 휴대 단말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위젯이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 수신 시, 휴대 단말기의 성능 저하 없이 표시 화면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위젯(widget)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위젯 통합 버퍼 내에서 상기 위젯 서버마다 할당된 복수의 구분 영역들 중 상기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한 위젯 서버에 대응하는 구분 영역의 플래그 비트를 이네이블(enable)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구분 영역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 기 설정된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플래그 비트가 이네이블된 구분 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반영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 업데이트를 위한 휴대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위젯(widget)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젯 서버마다 이에 대응하는 구분 영역을 포함하 고, 상기 구분 영역마다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는 위젯 통합 버퍼;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위젯 통합 버퍼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한 위젯 서버에 대응하는 구분 영역의 플래그 비트를 이네이블하고, 상기 구분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 설정된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플래그 비트가 이네이블된 구분 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반영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라인 위젯이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 수신 시, 휴대 단말기의 성능 저하 없이 표시 화면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속도가 개선되며, 디스플레이 이외의 휴대 단말기 기능의 동작 속도도 향상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걸리는 과부하를 줄여 배터리의 지속 시간이 개선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온라인 위젯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데스크 탑 PC(desk top Personal Computer) 등의 비휴대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함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에 해당할 수 있다. 단, 상기 휴대 단말기들은 위젯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로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위젯 서버(widget server)'는 위젯 서비스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로서 위젯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에 해당한다. 위 젯 서버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위젯 관련 데이터를 전송한다. 위젯 관련 데이터는 위젯 설치 프로그램,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젯 서버는 제공하는 위젯 서비스 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위젯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별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젯 서비스 시스템에는 복수 개의 위젯 서버들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가 온라인 위젯(online widget)을 실행한 후, 위젯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업데이트 데이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뉴스 위젯의 경우 실시간 뉴스 데이터, 날씨 위젯의 경우 실시간 날씨 데이터, 주식 위젯의 경우 실시간 주식 데이터가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위젯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 화면에 반영한다.
본 발명에서 '위젯 통합 버퍼'는 휴대 단말기의 일 구성요소로서, 위젯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위젯 통합 버퍼는 하나의 버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젯 통합 버퍼는 위젯 서버 마다 할당된 복수의 구분 영역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위젯 통합 버퍼는 기 설정된 저장 용량을 가지며, 구분 영역들은 가변적으로 생성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위젯 설치 프로그램을 통해 위젯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면 위젯 통합 버퍼 내에는 설치된 위젯에 대응하는 구분 영역이 생성된다. 각각의 구분 영역은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의 저장 여부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플래그(flag) 비트와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data) 비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표시 업데이트 주기'는 휴대 단말기가 표시 화면을 변경시켜 출력하는 주기에 해당한다. 휴대 단말기는 기 설정된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따라 표시 화면을 업데이트하며, 표시 업데이트 주기는 휴대 단말기 제조 시에 고정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표시 업데이트 주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에는 표시 업데이트 주기를 설정하는 메뉴가 포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위젯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위젯 서비스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100),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 이동통신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위젯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 개의 위젯 서버들을 포함하며, 도 2에 도시된 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및 C 위젯 서버(230) 이외에도 추가적인 위젯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위젯 서비스 시스템이 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및 C 위젯 서버(230)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로부터 이동통신 시스템(300)을 통해 위젯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로부터 각각 위젯 설치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수신된 위젯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위젯을 휴대 단말기(100) 내에 설치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위젯을 설치하면서, 휴대 단말기(100) 내에 위치하는 위젯 통합 버퍼 내에서 설치된 위젯에 대응하는 구분 영역을 생성한다. 위 젯을 설치한 휴대 단말기(100)는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로부터 실시간으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한다.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은 이동통신 시스템(300)을 통해 휴대 단말기(100)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들에 해당한다.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은 데이터 푸시(push) 방식을 이용하여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도 2에는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로서 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C 위젯 서버(230)가 도시되어 있다. A 위젯 서버(210)는 A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B 위젯 서버(220)는 B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C 위젯 서버(230)는 C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A 위젯 서버(210)가 날씨 위젯 서버에 해당하는 경우, A 위젯 서버(210)는 실시간으로 날씨 업데이트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위젯(A 위젯, B 위젯 및 C 위젯)과 위젯 서버(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및 C 위젯 서버(230))는 일대일로 대응된다고 가정한다. 즉,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위젯들은 각각 서로 다른 위젯 서버에 의해 업데이트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현 방법에 따라 복수의 위젯들에 대해 하나의 위젯 서버가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고, 복수의 위젯 서버들이 하나의 위젯에 대해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시스템(300)을 통해 각각 의 위젯 서버(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및 C 위젯 서버(230))와 직접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젯 서비스 시스템은 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및 C 위젯 서버(230)와 휴대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통합 위젯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합 위젯 서버는 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및 C 위젯 서버(230)와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통신망으로 통해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휴대 단말기(100)와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합 위젯 서버는 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및 C 위젯 서버(23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단일의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휴대 단말기(100)가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휴대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기지국(Base Station),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및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과 접속할 수 있는 왑 게이트(WAP Gatew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위젯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및 C 위젯 서버(230)와 이동통신 시스템(300)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오디오처리부(120), 저장부(130), 입력부(140), 표시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300)을 통해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로부터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한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휘발성(volatile)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저장 매체의 조합(combinatio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RAM, DRAM,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가 포함되며,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하드 디스크(hard disk)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의 프로그램 영역에는 위젯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위젯 통합 버퍼(131)를 포함한다. 위젯 통합 버퍼(131)는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로부터 수신하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 통합 버퍼(131)는 하나의 버퍼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젯 통합 버퍼(131)는 복수의 버퍼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위젯 통합 버퍼(131)는 일정 저장 용량을 가지는 저장소 형태로 구성되며, 위젯 서버(210, 220, 230) 마다 할당된 구분 영역을 포함한다. 즉, 도 2를 함께 참조할 때, 위젯 통합 버퍼(131)는 A 위젯 서버(210)에 할당된 구분 영역, B 위젯 서버(220)에 할당된 구분 영역, C 위젯 서버(230)에 할당된 구분 영역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분 영역들은 위젯이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될 때 위젯 통합 버퍼(131)내에 생성되며, 휴대 단말기(100)는 위젯 설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젯을 설치한 후, 설치된 위젯과 관련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들을 저장할 구분 영역을 위젯 통합 버퍼(131) 내에 생성한다. 위젯 통합 버퍼(131)의 구성은 도 4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 통합 버퍼(131)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위젯 통합 버퍼(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하나의 버 퍼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버퍼 내에는 복수의 구분 영역들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구분 영역들은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된 위젯들(A 위젯, B 위젯, C 위젯)에 각각 매칭된다. 본 발명에서는 위젯 통합 버퍼(131)가 A 위젯, B 위젯, C 위젯에 대응하는 구분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젯 통합 버퍼(131)의 용량 및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위젯의 개수에 따라 위젯 통합 버퍼(131)는 4개 이상의 구분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에 D 위젯, E 위젯 등이 설치되면, 위젯 통합 버퍼(131)는 D 위젯 및 E 위젯에 대응하는 구분 영역을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분 영역들은 플래그(flag) 비트(41)와 데이터(date) 비트(42)로 구성될 수 있다. 플래그 비트(41)에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해당 구분 영역에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된다.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구분 영역에 저장되면, 플래그 비트(41)에는 '1'이 입력되고, 플래그 비트(41)가 '1'인 구분 영역에 저장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표시 화면에 반영되면 플래그 비트(41)에는 다시 '0'이 입력된다. 도 4를 참조하면, A 위젯 영역에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며(플래그 비트(41)가 '0'), B 위젯 영역에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플래그 비트(41)가 '1'), C 위젯 영역에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플래그 비트(41)가 '1'). 데이터 비트(42)에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의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다.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입력부(140)는 3*4 자판, Qwerty 자판 등 숫자 키, 문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100)의 경우에는 터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등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100)의 경우 상기 센서들도 입력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50)는 위젯 이미지를 표시하며,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로부터 수신되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반영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표시부(150)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표시 업데이트 주기(display update interval)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고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출력한다. 도 3에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61)가 제어부(160) 내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제어부(160)와는 별도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50)에 출력될 이미지를 생성하는 처리 기능은 제어부(160)에서 제거되고 디스플레이 제어부(161)가 상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플래시 엔진(flash engine)(미도시)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플래시 엔진은 표시부(150)에 출력될 동적 이미지를 생성하며,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위젯 이미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로부터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한다.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이 위젯 업데이트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정보(notification)와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하면,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로부터 상기 위젯 업데이트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정보와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위젯 업데이트 이벤트 발생 시각에 따라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들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저장부(130)의 위젯 통합 버퍼(131) 내에 상기 수신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수신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된 복수의 위젯들 중 어떠한 위젯과 관련된 데이터인지 확인한다.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는 위젯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예를 들어, 위젯 ID(widget ID))를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상기 식별자를 통해 수신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어떠한 위젯과 관련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한 위젯 서버가 어떠한 위젯 서버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의 식별자를 확인한 후, 위젯 통합 버퍼(131) 내에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한 위젯 서버에 대응하는 구분 영역의 플래그 비트(41)를 이네이블(enable)한다. 플래그 비트(41)를 이네이블하는 과정은 표시 화면에 업데이트할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예약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제어부(160)는 플래그 비트(41) 이네이블 시, 플래그 비트(41)에 '1'을 입력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상기 수신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플래그 비트(41)가 이네이블된 구분 영역의 데이터 비트(42)에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하는지 판단하며, 경과 시간이 상기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하기 전까지 수신하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위젯 통합 버퍼(131)내에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경과 시간이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표시 업데이트 명령을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위젯 통합 버퍼(131) 내에 포함된 복수의 구분 영역들에서 이네이블된 플래그 비트(41)를 확인한다. 즉,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1'이 입력된 플래그 비트(41)를 확인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위젯 통합 버퍼(131) 내에서 이네이블된 플래그 비트(41)의 구분 영역에 저장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추출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반영하여 화면을 출력한다.
제어부(160)가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는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은 로 데이터(raw data)에 해당할 수 있으며,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에 의해 인코딩(encoding)된 데이터에 해당할 수도 있다. 수신되 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로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위젯 통합 버퍼(131)에 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수신되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인코딩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위젯 통합 버퍼(131)에 인코딩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160)가 경과 시간이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디스플레이 제어부(161)에 표시 업데이트 명령을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저장되어 있던 인코딩된 데이터들을 디코딩하고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디코딩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반영하여 화면을 출력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상기 알고리즘은 복수의 위젯 서버들(210, 220, 230)이 로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알고리즘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젯 통합 버퍼(131) 내에서 플래그 비트(41)가 이네이블된 구분 영역에 저장되어 있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제어부(161)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150)에 표시되면, 제어부(160)는 구분 영역에 저장되어 있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거하고,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제거된 구분 영역의 플래그 비트(41)를 디스에이블(disable)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하에서는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위젯 서비스 시스템 구성에 관한 도면 및 도 3의 휴대 단말 기(100)의 구성에 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00)에는 A 위젯, B 위젯, C 위젯이 미리 설치되어 있으며, A 위젯, B 위젯, C 위젯이 모두 실행되어, 표시부(150)에 A 위젯 이미지, B 위젯 이미지, C 위젯 이미지가 모두 표시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C 위젯 서버(230)로부터 실시간으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5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C 위젯 서버(230)로부터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한다. 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C 위젯 서버(230)는 각각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위젯 업데이트 이벤트를 발생시켜, 위젯 업데이트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정보(notification)와 생성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A 위젯 서버(210)가 뉴스 위젯 서버에 해당하는 경우, 새로운 뉴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위젯 업데이트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정보와 생성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하게 된다.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뉴스의 제목과 요약 내용 등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뉴스의 전문을 포함할 수도 있다. 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C 위젯 서버(230)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 푸시(push)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업데이트된 위젯을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상세 내용을 얻고자 할 때, 휴대 단말기(100)는 해당 위젯 서버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은 위젯 서버는 데이터 풀(pull) 방식으로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는 위젯 ID 및 위젯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젯 ID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며, 위젯 이미지 정보는 위젯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로서 버퍼 사이즈(buffer size), 이미지의 가로 길이, 이미지의 세로 길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면, 50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위젯 통합 버퍼(131)내에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한 위젯 서버에 대응하는 구분 영역의 플래그 비트(41)를 이네이블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어떠한 위젯에 관련된 데이터인지, 어떠한 위젯 서버가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하였는지 확인한다.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는 위젯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예를 들어, 위젯 ID(widget ID))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어부(160)는 상기 식별자를 통해 어떠한 위젯 서버가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160)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의 식별자를 확인한 후, 위젯 버퍼(131) 내에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한 위젯 서버에 대응하는 구분 영역의 플래그 비트(41)를 이네이블(enable)한다. 플래그 비트(41) 이네이블 시, 제어부(160)는 플래그 비트(41)에 '1'을 입력하게 된다. 이어 제어부(160)는 503단계에서 수신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플래그 비트(41)가 이네이블된 구분 영역의 데이터 비트(42)에 저장한다.
504단계에서 제어부(160)는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 달하는지 판단한다. 경과 시간이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501단계로 진행하여 계속적으로 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C 위젯 서버(230)로부터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제어부(160)는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하기 전까지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위젯 통합 버퍼(131)내에 저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하나의 표시 업데이트 주기 동안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동일한 위젯 서버로부터 복수 개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위젯 서버들로부터 각각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경과 시간이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표시 업데이트 명령을 디스플레이 제어부(161)에 전송한다. 505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위젯 통합 버퍼(131) 내의 이네이블된 플래그 비트(41)를 확인한다. 즉,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1'이 입력된 플래그 비트(41)를 확인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506단계에서 위젯 통합 버퍼(131) 내에서 이네이블된 플래그 비트(41)의 구분 영역에 저장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어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507단계에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추출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반영하여 화면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이미지 드로우 루틴(image draw routine)을 이용하여 수신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에 따른 이미지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이미지 생성 시, 위젯 통합 버퍼(131) 내에 저장되어 있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 전체에 대해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어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가 501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수신하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는 가공되지 않은 로 데이터(raw data)에 해당할 수 있으며, 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C 위젯 서버(230)에 의해 인코딩(encoding)된 데이터에 해당할 수도 있다. 수신되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로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로 데이터를 위젯 통합 버퍼(131)의 할당된 구분 영역에 저장하고, 수신되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인코딩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위젯 통합 버퍼(131)의 할당된 구분 영역에 저장한다. 제어부(160)가 504단계에서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 업데이트 명령을 디스플레이 제어부(161)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505단계에서 플래그 비트(41)를 확인하고, 506단계에서 이네이블된 플래그 비트(41)의 구분 영역에 저장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들을 디코딩하고, 507단계에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디코딩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반영하여 화면을 출력한다. 즉, 506단계 및 507단계 사이에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의 디코딩 단계가 추가적으로 포함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제어부(161)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상기 알고리즘은 A 위젯 서버(210), B 위젯 서버(220), C 위젯 서버(230)가 로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알고리즘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젯 통합 버퍼(131) 내에서 플래그 비트(41)가 이네이블된 구분 영역에 저장되어 있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제어부(161)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150)에 표시되면, 제어부(160)는 구분 영역에 저장되어 있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거하고,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제거된 구분 영역의 플래그 비트(41)를 디스에이블(disable)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플래그 비트를 디스에이블 시, 플래그 비트에 '0'을 입력하게 된다. 이후, 새로운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플래그 비트에 '1'을 입력하고, 수신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제어부(160)는 위젯 통합 버퍼(131)에서 데이터 저장 및 제거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위젯 업데이트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생성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 때, 휴대 단말기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생성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였기 때문에 단시간 내에 수신되는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량 역시 증가하게 되어, 데이터 처리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나타났었다. 본 발명은 하나의 통합 버퍼에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를 한 번에 생성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증가되고, 휴대 단말기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온라인 위젯을 표시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위젯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 통합 버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Claims (7)

  1.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위젯(widget)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위젯 통합 버퍼 내에서 상기 위젯 서버마다 할당된 복수의 구분 영역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한 위젯 서버에 대응하는 구분 영역의 플래그 비트를 이네이블(enable)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구분 영역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
    기 설정된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플래그 비트가 이네이블된 구분 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반영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이미지 드로우(draw) 루틴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젯 서버에 의해 인코딩(encoding)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그 비트가 이네이블된 영역에 저장된 인코딩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반영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구분 영역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제거된 구분 영역의 플래그 비트를 디스에이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6. 적어도 하나의 위젯(widget)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젯 서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구분 영역마다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는 위젯 통합 버퍼;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위젯 통합 버퍼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한 위젯 서버에 대응하는 구분 영역의 플래그 비트를 이네이블하고, 상기 구분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 설정된 표시 업데이트 주기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플래그 비트가 이네이블된 구분 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반영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화면을 출력한 후, 상기 위젯 통합 버퍼에 저장된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거하고, 상기 위젯 업데이트 데이터가 제거된 구분 영역의 플래그 비트를 디스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90111567A 2009-11-18 2009-11-18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624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567A KR101624137B1 (ko) 2009-11-18 2009-11-18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US12/927,582 US9122369B2 (en) 2009-11-18 2010-11-18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display screen with online widg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567A KR101624137B1 (ko) 2009-11-18 2009-11-18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791A true KR20110054791A (ko) 2011-05-25
KR101624137B1 KR101624137B1 (ko) 2016-06-07

Family

ID=4401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567A KR101624137B1 (ko) 2009-11-18 2009-11-18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22369B2 (ko)
KR (1) KR101624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3545B2 (en) 2015-10-27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rging images by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746B1 (ko) * 2010-08-24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 설정 방법
CN102681826B (zh) * 2011-03-10 2016-09-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动态调整桌面布局的方法及系统
CN102594859B (zh) * 2011-12-06 2018-09-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业务数据的呈现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CN103595739B (zh) * 2012-08-14 2016-05-18 北京华胜天成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widget引擎网络服务一体化数据处理方法和系统
WO2014119889A1 (en) 2013-01-31 2014-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user interface on device, and device
KR102202574B1 (ko) 2013-01-31 2021-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US10003637B2 (en) * 2013-06-27 2018-06-19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mobile terminal and system for displaying picture based on wireless network, and storage medium
US20160098260A1 (en) * 2014-10-06 2016-04-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ngle gesture access to an operating system menu to initiate operations related to a currently executing application
US10824292B2 (en) * 2018-01-18 2020-11-03 Micro Focus Llc Widget-of-interest identification
KR102423449B1 (ko) 2018-09-01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부분 업데이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6056B1 (en) * 1998-11-30 2001-07-24 Sun Microsystems, Inc. Display widget interaction in embedded systems using child graphics contexts
KR100573037B1 (ko) * 2005-10-20 2006-05-03 (주)인트로모바일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와 방법 및 그 서버관리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KR20070045610A (ko) * 2005-10-27 2007-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상에 실시간으로 정보를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0861692B1 (ko) * 2007-04-12 2008-10-06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이동 단말기의 복수의 위젯 애플리케이션 통합 업데이트시스템 및 업데이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27216T2 (de) * 1988-04-15 1997-04-24 Digital Equipment Corp System zur verwaltung von hierarchischen informationen in einem digitalen datenverarbeitungssystem
KR20090082349A (ko) * 2006-08-24 2009-07-30 첨비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네트워크화된 어플리케이션 공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설정가능한 개인용 시청각 장치
US20080215998A1 (en) * 2006-12-07 2008-09-04 Moore Dennis B Widget launcher and briefcase
US8595186B1 (en) * 2007-06-06 2013-11-26 Plusmo LLC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nd delivering mobile widgets
US8023934B2 (en) * 2008-03-28 2011-09-20 Ianywhere Solutions, Inc. Synchronizing communications and data between mobile devices and servers
KR101560183B1 (ko) * 2008-04-17 2015-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00145602A1 (en) * 2008-12-04 2010-06-10 Morris Robert 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ssociating Resources Of A First Geospace With A Second Geosp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6056B1 (en) * 1998-11-30 2001-07-24 Sun Microsystems, Inc. Display widget interaction in embedded systems using child graphics contexts
KR100573037B1 (ko) * 2005-10-20 2006-05-03 (주)인트로모바일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와 방법 및 그 서버관리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KR20070045610A (ko) * 2005-10-27 2007-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상에 실시간으로 정보를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0861692B1 (ko) * 2007-04-12 2008-10-06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이동 단말기의 복수의 위젯 애플리케이션 통합 업데이트시스템 및 업데이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3545B2 (en) 2015-10-27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rging images by electronic device
US11302258B2 (en) 2015-10-27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19355A1 (en) 2011-05-19
US9122369B2 (en) 2015-09-01
KR101624137B1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137B1 (ko) 표시 화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US2020030293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US9251793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monitoring for voice input based on context
JP4624407B2 (ja) 待機モード用コンテンツを移動端末機へ提供する方法、および、サービス管理サーバー
EP39976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gnizing and performing voice commands during advertisement
US8483772B2 (en) Inconspicuous mode for mobile devices
US20170215051A1 (en) Remote access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ve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20140256297A1 (en) Speech to Message Processing
US9629170B1 (en) Rate adap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680504B2 (en)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ived message activation method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ived message activation functions
US9369425B2 (en) Email and instant messaging agent for dialog system
WO2018133307A1 (zh) 一种实现语音控制的方法和终端
US20080075049A1 (en) Thin clien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06028593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ent delivery in a push-to-talk communication system
JP2010175967A (ja) 音声認識サーバ、電話機、音声認識システム、および音声認識方法
CN103713943A (zh) 基于终端原生操作系统的应用功能实现方法和装置
US20130300666A1 (en) Voice keyboard
CN104583924A (zh) 一种处理媒体文件的方法和终端
CN105611071A (zh) 一种日程信息显示方法及终端
US9363650B2 (en) Communication time reminders based on text messages
KR20050105842A (ko)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메시지를 출력하는방법 및 장치
KR101000154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젯 컨텐츠 업데이트 알림 방법
CN107967155B (zh) 基于Hook共享库实现程序运行的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CN113039524A (zh) 音频资源处理方法和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KR20190084808A (ko)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