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808A -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808A
KR20190084808A KR1020180002969A KR20180002969A KR20190084808A KR 20190084808 A KR20190084808 A KR 20190084808A KR 1020180002969 A KR1020180002969 A KR 1020180002969A KR 20180002969 A KR20180002969 A KR 20180002969A KR 20190084808 A KR20190084808 A KR 20190084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lectronic device
mode
network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841B1 (ko
Inventor
박지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841B1/ko
Priority to US16/961,227 priority patent/US11606457B2/en
Priority to PCT/KR2019/000023 priority patent/WO2019139297A1/ko
Publication of KR20190084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3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 H04L63/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intercepting packet switched data communications, e.g. Web, Internet or IM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chnology Law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네트워크 접속 권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것을 운용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의 모드를 차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차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 내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에 의해 기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및 방법{Method for selectively providing network capability to each applica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네트워크 접속 권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것을 운용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랩톱, 모바일 전화, 스마트폰, 개인 디지털 보조기(PDAs), 태블릿 컴퓨터, 전자책(e-books), 무선 음악 플레이어, 개인 미디어 플레이어(PMPs), 휴대용 게임 기기 및 다른 유사한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현재 전자 장치는 단순한 음성 통신 외에 다수의 부가적 특징을 제공하며,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데이터 통신 및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소셜 네트워크로의 접속(acces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s), 전자 메일(e-mail), 메시징 서비스, 오디오 및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한 미디어 콘텐츠 스트리밍, 원격회의 및 직접 통신을 포함한 비디오 통신 서비스, 원격 데이터 저장 및 접속, 네트워크 클라우드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 그리고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여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사전 결정된 시간과 장소에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인지 또는 명시적 실행 없이, 자동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렇듯 초연결 사회에 접어들면서, 현대인은 네트워크와의 항시적인 연결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개인의 삶과 업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이로 인한 피로도가 계속하여 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전자 장치에서는 방해금지 모드와 같은 기능을 탑재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 동안 전자 장치에서 발생하는 벨소리, 진동, 알림 등을 뮤트(mute)하여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기기를 확인하지 않는 한 알림을 확인할 수 없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능동적으로 알림을 표시하지 않을 뿐, 사용자가 특정 업무를 위해 전자 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확인하고 싶지 않은 알림의 존재까지 확인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사용성은 유지하면서 타인과 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 권한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고 싶은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은 허용하여 사용성을 유지한 채로, 사용하고 싶지 않은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의 네트워크 접근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모드를 차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차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 장치 내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에 의해 기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은 상기 UI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차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아이콘을 선택하는 명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 내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차단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 권한이 차단되도록 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은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차단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 권한이 차단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 내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차단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 권한이 차단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모드는 운영체제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기설정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기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을 차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 동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통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통화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기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SMS 어플리케이션이고 수신한 SMS가 긴급한 SMS라고 판단한 경우, SMS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이 허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모드를 차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차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 장치 내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에 의해 기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명령은, 상기 UI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차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아이콘을 선택하는 명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 내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차단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 권한이 차단되도록 기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은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단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 권한이 차단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 내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차단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 권한이 차단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운영체제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기설정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기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을 차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 동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통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통화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기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SMS 어플리케이션이고 수신한 SMS가 긴급한 SMS라고 판단한 경우, SMS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허용할 수 있다.
본 개시를 통해 네트워크 망 사업자의 간섭 없이 전자 장치 자체에서 디지털 다이어트(Digital Die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추가적인 하드웨어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디스커넥션(Network Disconnection)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서 원하는 기능을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를 차단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자 선택의 자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퍼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퍼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차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퍼 모드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퍼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차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퍼 모드와 비퍼 모드가 아닌 경우에 데이터의 흐름들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비행기 모드와 방해금지 모드가 본 개시의 실시 예와 차이점이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방해금지 모드가 본 개시의 실시 예와 차이점이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서는 전자 장치(200)가 네트워크 망(100)과 연결되어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 전자 장치(2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로 구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C, 태블릿 PC, PMP, PDA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200)가 휴대용 기기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내장하고 있어 손가락 또는 펜(예를 들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 장치(200)가 휴대용 기기로 구현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는,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응용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주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운영체제의 종류에는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Android), 윈도우(Windows), 맥(Mac), 타이젠(TIZEN), 유닉스(Unix) 및 리눅스(Linux)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사용하여 특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스케쥴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문서 편집 어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명령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명령어들은 운영체제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도록 설정된 제 1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운영체제에서 실행될 수 없다.
알림(notification) 또는 알람(alarm)은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발생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벤트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새로운 데이터가 획득 또는 수신되거나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 중인 작업이 완료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이벤트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버전이 업데이트 되는 것 또한 이벤트의 일 예일 수 있다. 알림은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디바이스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200)는 네트워크 망(10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가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전자 장치(200)의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동작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각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00)는 네트워크 망(100)과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고, 전자 장치(200)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망(100)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에 어플리케이션이 접근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반이 되는 운영체제(OS, Operation System)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운영체제(OS)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에 저장한 정보(예를 들면 연락처, 일정, 영상, 통신내용, 바이오 정보 등) 및 전자 장치(200)의 이용과정에서 자동으로 저장된 정보(예를 들면 위치 정보, 통신 기록, 인증 정보, 신체활동 기록 등)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접근 권한 동의를 조건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운영체제(OS)는 모든 하드웨어와 모든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컴퓨터시스템의 한 부분인 “실행 관리자”로서, 프로세스 관리자, 주기억장치 관리자, 파일관리자 및 장치 관리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동의한 경우에, 운영체제는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제한을 허용할 수 있다. 즉, 프로세스 관리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CPU를 프로세스에 할당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전이(준비, 실행, 대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할당하는 방법에는 고정 분할 다중 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가변 분할 다중 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운영체제의 프로세스 관리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전이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면 필요한 레지스터와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운영체제의 주기억장치 관리자는 상기 테이블을 통해 주기억 장치(예를 들면 ROM, RAM 등)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이 사용자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 동의를 통한 적법한 요구인 경우에 빈 공간의 주기억 장치를 할당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운영체제(OS)에서 각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접근 권한에 대한 조건인 사용자 동의를 만족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하고 구동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운영체제(O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에 대한 사용자 동의 조건이 만족한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역으로 네트워크 접근 권한에 대한 사용자 동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 내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접근 권한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를 운영체제에서의 실행 조건으로 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 권한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를 실행 조건으로 하고, 이외의 모드에서는 네트워크 접근에 대해 사용자가 허용한 것으로 간주하여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과 전자 장치(200)의 모드 변환의 자세한 동작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전자 장치(200)는 도 2와 같이, 통신부(210), 디스플레이(220), 메모리(2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 프로세서(250), 스피커(2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카메라(241)와 마이크(242)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250)는 RAM(251), ROM(252), 그래픽 처리부(253), 메인 CPU(254), 제1 인터페이스(254-1) 내지 제n 인터페이스(254-n) 및 각각의 구성을 연결하는 버스(25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망 사업자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망(100)과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200)가 통신부(210)에 대해 전원 오프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명시적인 실행 없이도 네트워크 망(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220)는 전자 장치(200)가 포함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디스플레이(220)는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220)는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위한 사용자 동의가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고, 특정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2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22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220)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하우징하는 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5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자 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전자 장치(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2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장치(2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23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250)에 의하여 전자 장치(2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50)에 의해 액세스 되며, 프로세서(25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230), 프로세서(250) 내 ROM(251), RAM(252) 또는 전자 장치(2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음악 컨텐츠의 다양한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에는 디스플레이(22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전자 장치(2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50)는 전자 장치(200)의 메모리(2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프로세서(250)는 CPU(254), RAM(251), ROM(252), 시스템 버스(2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252)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254)는 ROM(25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전자 장치(200)의 메모리(230)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RAM(251)에 복사하고, 운영체제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이때, 프로세서(250)는 실행된 운영체제가 포함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하기 위한 조건들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이 만족되면, 프로세서(250)가 포함하는 CPU(254)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RAM(251)에 복사하고, 운영체제를 바탕으로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위한 조건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에 저장한 정보 및 전자 장치(200) 이용과정에서 자동으로 저장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접근 권한 동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로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 동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50)는 운영체제가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조건이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어플리케이션이 운영체제를 바탕으로 실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5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조건이 만족되는 한도 내에서는 운영체제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이 연락처 접근 권한 동의와 네트워크 접근 권한 동의를 운영체제에서의 실행 조건으로 하는 경우, 사용자가 연락처 접근 권한만을 동의하고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동의하지 않는다면, 프로세서(250)는 어플리케이션이 연락처를 사용한 실행에 대해서 운영체제에서 수행하고, 네트워크 접근과 관련된 실행에 대해서는 운영체제에서 수행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25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의 통신부(210)는 하드웨어가 오프되지 않는 이상, 사용자의 명시적인 명령이 없이도 네트워크 망(100)과 연결을 유지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트리거 신호일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정기적인 업데이트 데이터일 수도 있다. 다만, 특정 모드(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비퍼(beeper) 모드라고 한다)에서, 전자 장치(200)는 통신부(210)와 연결된 네트워크 망(100)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을 사용자가 동의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고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220)는 도 3과 같이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UI(310)를 표시할 수 있다. UI(310)에 포함된 복수의 제어 아이콘 중에서 비퍼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아이콘(320)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200)는 비퍼 모드로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200)가 비퍼 모드로 전환되기 위한 입력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UI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비퍼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을 수 있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특정 시간대에 주기적으로 비퍼 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정기적으로 데이트를 하는 시간 동안에 업무로부터 자유롭기 위해 비퍼 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가 비퍼 모드로 전환되면, 전자 장치(200)는 OS에서 포함하는 조건인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동의가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고,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통신부(210)의 하드웨어 전원이 오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네트워크 망(100)과 연결을 수립할 수 있고, 네트워크 망(100)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410). 이때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200)의 모드가 비퍼 모드가 아닌 경우(S420-N), 전자 장치(200)가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이 허용된 것으로 결정하고,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S43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의 프로세서(250)는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허용 조건인 사용자의 동의가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OS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220)에 푸시, 팝업 등을 통하여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S440). 한편,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200)의 모드가 비퍼 모드인 경우(S420-Y),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차단할 수 있다(S450).
한편, 전자 장치(200)는 비퍼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차단할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선택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00)가 비퍼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트에 접근하여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고, 비퍼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비퍼 모드에서 차단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UI(510)를 디스플레이(220)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UI(510)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콘(520, 530)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 차단 여부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Talk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520)은 비퍼 모드에서 Talk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설정한 것을 도시하고, SMS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530)은 비퍼 모드에서 SMS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이 차단되도록 설정한 것을 도시한다. 즉, 도 5와 같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비퍼 모드에서 Talk, 뮤직,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에 대해 사용자의 동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OS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반면에, 전자 장치(200)는 Internet, SMS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비퍼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에 대한 사용자 동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OS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네트워크 망(100)과 연결되어 각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S610), 이때 전자 장치(200)가 비퍼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20). 전자 장치(200)의 모드가 비퍼 모드가 아닌 것으로 결정하면(S620-N), 전자 장치(200)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네트워크 접근 권한에 대한 사용자 동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OS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근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S630). 전자 장치(200)는 네트워크에 접근한 어플리케이션이 OS를 통해 처리한 결과에 대해서 사용자에 알릴 수 있다(S640). 한편, 전자 장치(200)의 모드가 비퍼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면(S650), 전자 장치(200)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이 비퍼 모드에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50). 전자 장치(2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비퍼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지 않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이라고 결정하면(S650-N),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에 대해 사용자가 동의한 것으로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S630). 이 경우에 전자 장치(200)는 마찬가지로 네트워크에 접근한 어플리케이션이 OS를 통해 처리한 결과에 대해서 사용자에 알릴 수 있다(S640). 한편, 전자 장치(2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비퍼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이라고 결정하면(S650-Y),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에 대해 사용자가 동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S660).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를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비퍼 모드에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선택한 후, 비퍼 모드로 전환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방해를 받지 않고 원하는 어플리케이션만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는 전자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알람으로부터 받는 압박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은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전자 장치(200)의 모드가 비퍼 모드가 아닌 경우에 전자 장치(200) 내의 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200)의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망(10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설명의 편의를 위해 S1라고 한다). 프로세서(25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가 해당 데이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700)이 OS(701)에서 구동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설명의 편의를 위해 S2라고 한다). 프로세서(250)는 OS(701)에서 어플리케이션(700)이 구동되기 위한 조건이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700)의 네트워크 접근을 허용하고(설명의 편의를 위해 S3라고 한다), O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700)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700)은 OS(701)를 기반으로 태스크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OS(701)로 전송할 수 있다(설명의 편의를 위해 S4라고 한다). 프로세서(250)는 수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700)이 OS(701)에서 실행한 결과를 디스플레이(220)에 푸시 알람을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설명의 편의를 위해 S5라고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700)의 실행 결과에 대한 알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비퍼 모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의 프로세서(250)는 비퍼 모드에서 네트워크가 차단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OS(701)에서 실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망(10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하고(S1), 프로세서(250)는 수신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700)이 OS(701)에서 실행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 다만, 프로세서(250)는 비퍼 모드에서는 어플리케이션(700)이 OS(701)에서 실행되기 위한 조건인 네트워크 접근 권한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어플리케이션(700)의 네트워크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00)가 비퍼 모드인 경우에는 도 7b와 같이, S1, S2 단계까지만 진행되고 어플리케이션(700)은 데이터와 관련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없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일부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비퍼 모드에서 네트워크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7c를 참조하면, 제1 어플리케이션(710)은 비퍼 모드에서 네트워크가 차단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고, 제2 어플리케이션(720)은 차단되지 않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망(10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 이때, 프로세서(250)는 제1 어플리케이션(710)이 OS(701) 상에서 구동되기 위한 조건인 네트워크 접근 권한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S2), 제1 어플리케이션(710)의 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250)는 제2 어플리케이션(720)에 대해서는 OS 상에서 구동되기 위한 조건인 네트워크 접근 권한에 대한 사용자 동의가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 따라서, 프로세서(250)는 제2 어플리케이션(720)이 네트워크에 접근하도록 허용하고(S3), OS(701) 상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720)이 실행한 결과를 바탕으로(S4), 디스플레이(220)에 알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S5). 즉, 사용자는 제1 어플리케이션(710)의 실행 결과에 대한 알람을 차단한 상태로 제2 어플리케이션(720)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알람을 차단하기 위해, 기존의 전자 기기들은 방해금지 모드와 비행기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와 방해금지 모드 및 비행기 모드와의 차이점을 명확히 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기존의 비행기 모드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전자 장치(200)는 비행기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는 도 7a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220)에 푸시 알람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가 비행기 모드로 전환하면, 전자 장치(200)는 통신부(210) 하드웨어의 전원을 오프시킴으로서 네트워크 망(100)과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200)는 네트워크 망(100)으로부터 어떠한 데이터도 수신할 수 없다.
또한, 도 8b는 기존의 방해금지 모드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전자 장치(200)는 방해금지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는 도 7a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220)를 푸시 알람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가 방해금지 모드로 전환하면, 프로세서(250)는 여전히 어플리케이션(700)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OS(701)에서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방해금지 모드에서는 프로세서(250)는 어플리케이션(800)이 OS(701)에서 실행한 결과에 대한 푸시 알람이 디스플레이(220)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S1, S2, S3, S4).
이러한 방해금지 모드에서는 전자 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수신하여 OS에서 실행한 결과에 대해서 푸시 알람만을 제공하지 않을 뿐, 전자 장치(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인디케이터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이에 대한 비퍼 모드와의 차이점은 도 9를 통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9a는 비퍼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220) 화면을 도시하고, 도 9b는 방해금지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220) 화면을 도시한다. 도 9a에서는 사용자가 talk 어플리케이션(910)이 비퍼 모드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하도록 설정한 것을 가정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200)는 talk 어플리케이션(910)의 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하고, talk 어플리케이션(910)이 OS 상에서 데이터를 통한 실행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비퍼 모드에서 internet 어플리케이션(920)을 사용하기 위해 전자 장치(200)를 사용하더라도, 전자 장치(200)는 도 9a의 (a)와 같이 talk 어플리케이션(910)에 아무런 인디케이터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가 talk 어플리케이션(910)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더라도, 도 9a의 (b)처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200)는 비퍼 모드를 통해 사용자가 talk 어플리케이션(910)으로부터의 느낄 수 있는 압박을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방해금지 모드에서 internet 어플리케이션(940)을 사용하기 위해 전자 장치(20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200)는 푸시 알람을 표시하지 않았던 talk 어플리케이션(930)의 수행 결과들에 대한 인디케이터(95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방해금지 모드에서는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가 talk 어플리케이션(930)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으면, 도 9b의 (b)와 같이 talk 어플리케이션(930)이 OS를 통해 수행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해금지 모드에서 사용자는 talk 어플리케이션(930)으로부터 압박을 느낄 수 있고, 사용자는 네트워크 디스커넥션 효과를 충분히 제공받지 못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200)는 비퍼 모드에서 네트워크가 차단되도록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도 예외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을 허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SMS 어플리케이션이 비퍼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이 차단되도록 선택된 상태이고 전자 장치(200)가 비퍼 모드인 경우에도, 전자 장치(200)가 통신부(210)를 통해 네트워크 망(100)으로부터 수신한 SMS 데이터가 긴급 SMS(예를 들면, 재난 SMS)라고 판단하면 SMS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트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50)는 수신한 SMS 데이터로부터 문자열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문자열이 메모리(230)에 기저장된 문자열과 일치하는 경우에, 수신한 SMS가 긴급 SMS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가 '긴급', '재난','속보' 등의 문자열을 저장하고, 프로세서(250)가 SMS데이터로부터 추출한 문자열에 '재난'이라는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다면, 프로세서(250)는 운영체제가 포함하고 있는 네트워크 접근에 대한 사용자 동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상정하여 SMS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200)는 OS를 바탕으로 SMS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SMS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푸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프로세서(250)가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문자열을 추출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로세서(250)는 수신한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에 태그된 코드를 추출하여 긴급 데이터인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비퍼 모드에서 네트워크를 차단하도록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통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전자 장치(200)는 상대방 전자 장치로 메모리(230)에 기저장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퍼 모드에서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이 차단된 경우 상대방 전자 장치로부터 통화 연결이 시도되면, 전자 장치(200)는 '전원이 꺼져있어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와 같은 통화 불가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지금은 휴식 중 입니다. 나중에 전화 드리겠습니다.'와 같은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하여, 상대방은 현재 전자 장치(200)의 사용자가 통화를 하고 싶지 않다는 것을 파악하고 불필요한 추가적인 통화 연결을 시도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 (예: 모듈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방법 (예: 동작들)은, 예컨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유지되는(maintain)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instructions)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예: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예: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230)가 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로,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 (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 (optical media)(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 (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 (예: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과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저장 매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200)의 구성의 일부로 포함되나, 전자 장치(200)의 포트(port)를 통하여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자 장치(20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장치(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다른 전자 기기)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복수의 저장 매체에 나누어 저장될 수도 있으며, 이때, 복수의 저장 매체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200)의 외부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네트워크 망 200: 전자 장치
210: 통신부 220: 디스플레이
230: 메모리 2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41: 카메라 242: 마이크
250: 프로세서 251: RAM
252: ROM 253: 그래픽 처리부
254: 메인 CPU 255: 시스템 버스
260: 스피커

Claims (14)

  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모드를 차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차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 장치 내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에 의해 기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은
    상기 UI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차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아이콘을 선택하는 명령인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내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차단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 권한이 차단되도록 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은 허용되는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차단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 권한이 차단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 내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차단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 권한이 차단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모드는,
    운영체제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기설정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기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을 차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 동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통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통화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기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SMS 어플리케이션이고 수신한 SMS가 긴급한 SMS라고 판단한 경우, SMS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이 허용되는 제어 방법.
  8.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모드를 차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차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 장치 내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에 의해 기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차단하는 전자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명령은,
    상기 UI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차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아이콘을 선택하는 명령인 전자 장치.
  10. 상기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 내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차단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 권한이 차단되도록 기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은 허용하는 전자 장치.
  11. 상기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단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 권한이 차단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 내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차단 모드에서 네트워크 접근 권한이 차단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운영체제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기설정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기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을 차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 동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통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통화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기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SMS 어플리케이션이고 수신한 SMS가 긴급한 SMS라고 판단한 경우, SMS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허용하는 전자 장치.
KR1020180002969A 2018-01-09 2018-01-09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및 방법 KR10251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69A KR102514841B1 (ko) 2018-01-09 2018-01-09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및 방법
US16/961,227 US11606457B2 (en) 2018-01-09 2019-01-02 Technology and method for selectively providing network function to application of device
PCT/KR2019/000023 WO2019139297A1 (ko) 2018-01-09 2019-01-02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69A KR102514841B1 (ko) 2018-01-09 2018-01-09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808A true KR20190084808A (ko) 2019-07-17
KR102514841B1 KR102514841B1 (ko) 2023-03-28

Family

ID=6721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969A KR102514841B1 (ko) 2018-01-09 2018-01-09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06457B2 (ko)
KR (1) KR102514841B1 (ko)
WO (1) WO2019139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8025B (zh) * 2021-01-04 2022-08-09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访问控制方法及显示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485A (ko) * 2012-06-27 201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40068755A1 (en) * 2012-08-30 2014-03-06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child share
KR20150143246A (ko) * 2014-06-13 2015-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선택적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40754B1 (ko) * 2014-10-20 2016-07-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
US20160373905A1 (en) * 2013-11-14 2016-12-22 Google Inc. Do-not-disturb mode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4767A1 (en) * 2007-04-10 2008-10-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access to feature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US8538376B2 (en) * 2007-12-28 2013-09-17 Apple Inc. Event-based modes for electronic devices
KR20110063951A (ko) 2009-12-07 201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US9258715B2 (en) * 2009-12-14 2016-02-09 Apple Inc. Proactive security for mobile devices
KR20130023656A (ko) * 2011-08-29 2013-03-08 주식회사 팬택 애플리케이션 접근권한 통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접근권한 통제방법
US8799365B2 (en) * 2011-09-28 2014-08-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Broker-based management of mobile devices
US11477068B2 (en) * 2012-09-27 2022-10-18 Kaseya Limited Data network notification bar user interface
US8532627B1 (en) * 2012-10-19 2013-09-10 Shary Nassimi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treatment of callers
US9600441B2 (en) 2013-03-11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access for applications on mobile terminals
US20140283141A1 (en) * 2013-03-15 2014-09-18 Apple Inc. Switching a Mobile Device from Operating in a Primary Access Mode to a Secondary Access Mode
KR20150019795A (ko) * 2013-08-16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08439B1 (ko) 2013-08-23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
KR20150045639A (ko) 2013-10-21 201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313320B2 (en) * 2014-02-19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switching of modes and mode control capabilities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70099592A1 (en) * 2014-05-30 2017-04-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ersonalized notifications for mobile applications users
US10045177B2 (en) 2014-06-13 2018-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ve communication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CN105335146B (zh) * 2014-08-07 2018-10-02 昆山纬绩资通有限公司 管理软件数据流量的方法及便携式电子装置
KR101682233B1 (ko) * 2015-01-19 2016-12-05 주식회사 탐생 이동단말기 차단방법,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US9306899B1 (en) * 2015-02-27 2016-04-05 Ringcentr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esence based on an attribute of an electronic message
KR101590626B1 (ko) 2015-08-12 2016-02-01 이선희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정보 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9836186B2 (en) * 2015-11-19 2017-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sualization and control of application interactions
US9979814B2 (en) * 2016-10-13 2018-05-22 Airwatch, Llc Detecting driving and modifying access to a user device
EP3699744B1 (en) * 2018-04-20 2023-05-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Do-not-disturb method and terminal
US10558546B2 (en) * 2018-05-08 2020-02-1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ontrolling or presenting device usage on an electronic device
KR102514692B1 (ko) * 2018-06-04 202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571345B1 (ko) * 2018-10-01 2023-08-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485A (ko) * 2012-06-27 201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40068755A1 (en) * 2012-08-30 2014-03-06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child share
US20160373905A1 (en) * 2013-11-14 2016-12-22 Google Inc. Do-not-disturb modes
KR20150143246A (ko) * 2014-06-13 2015-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선택적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40754B1 (ko) * 2014-10-20 2016-07-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기기에서의 데이터통신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9297A1 (ko) 2019-07-18
US20210067625A1 (en) 2021-03-04
US11606457B2 (en) 2023-03-14
KR102514841B1 (ko) 202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6020B2 (en) Protected mode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other devices
US11722860B2 (en) Messaging system interacting with dynamic extension app
CN105389040B (zh) 包括触敏显示器的电子装置及操作该电子装置的方法
US10725972B2 (en) Continuous and concurrent device experience in a multi-device ecosystem
US20200257425A1 (en) File Sharing Method and Terminal
EP246944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ode screen display therein
EP3040804B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and method therefor
KR10070095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작업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P246944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ode screen display therein
US20110061056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cuts in the portable device
US20200396325A1 (en) Application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US9047469B2 (en) Modes for applications
JP556630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858256B2 (ja) 決済アプリケーション分離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端末
US20140298245A1 (en) Display Instance Management
US9984232B2 (en) Method of operating security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3472699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functionality of applications
CN107026933B (zh) 一种多开应用的消息管理方法、装置及智能终端
KR20140049000A (ko) 원격 데이터 엔트리 인터페이스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084035B (zh) 用于在发生拒绝时建议响应指南的电子设备和方法
RU263036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ключением виртуальной навигационной панели
CN106354509B (zh) 一种锁屏界面的设置方法及移动终端
KR102514841B1 (ko)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및 방법
US9225818B2 (en) Mobile terminal
WO2017166653A1 (zh) 一种触摸移动设备屏幕滚动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