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766A -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수퍼도전성 나노입자의 분말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전지 - Google Patents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수퍼도전성 나노입자의 분말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766A
KR20110054766A KR1020090111536A KR20090111536A KR20110054766A KR 20110054766 A KR20110054766 A KR 20110054766A KR 1020090111536 A KR1020090111536 A KR 1020090111536A KR 20090111536 A KR20090111536 A KR 20090111536A KR 20110054766 A KR20110054766 A KR 20110054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superconductive
polycyclic
nanoparticle powde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소라
김재명
주규남
김영수
김덕현
정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4766A/ko
Priority to US12/904,712 priority patent/US20110118123A1/en
Priority to CN2010105496518A priority patent/CN102064325A/zh
Priority to EP10251957A priority patent/EP2325138A3/en
Priority to JP2010257806A priority patent/JP2011105593A/ja
Publication of KR20110054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1/00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84Preparation
    • C01B32/19Preparation by exfol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4/00Structure or properties of graphene
    • C01B2204/04Specific amount of layers or specific thick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4/00Structure or properties of graphene
    • C01B2204/20Graphene characterized by its properties
    • C01B2204/22Electron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4/00Structure or properties of graphene
    • C01B2204/20Graphene characterized by its properties
    • C01B2204/32Size or surface area

Abstract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수퍼도전성 나노입자의 분말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전지가 제공된다.
리튬 전지

Description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수퍼도전성 나노입자의 분말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전지{Super-conductive nanoparticle, Super-conductive nanoparticle powder,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리튬 전지용 재료 및 이를 포함한 리튬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소형 전자기기의 전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는 리튬 이차 전지는 유기 전해액을 사용함에 따라, 기존의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한 전지보다 2배 이상의 높은 방전 전압을 나타내며, 그 결과 높은 에너지 밀도를 나타낼 수 있다.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면, LiCoO2, LiMn2O4, LiNi1-xCoxO2 (0 < x < 1)등과 같이 리튬 이온의 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리튬과 전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의 삽입/탈리가 가능한 인조, 천연 흑연, 하드 카본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탄소계 재료 및 Si과 같은 비탄소계 물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이러한 비탄소계 물질은 흑연 대비 용량 밀도가 10배 이상으로, 매우 고용량을 나타낼 수 있으나, 리튬 충방전시 부피 팽창 수축으로 인해, 사 이클 수명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양극 및/또는 음극에 도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전재가 사용될 수 있다.
개선된 용량 특성 및 충방전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선된 용량 특성 및 충방전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을 포함하여 우수한 용량 특성 및 충방전 효율을 갖는 리튬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은, 6개의 카본 원자가 6각형 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리들이 서로 축합되어 일 평면 상에 배열되어 있는 다환 나노시트(polycyclic nano-sheet) n개가 상기 일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적층된 구조를 갖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로서, 상기 n은 2 내지 100의 정수이고,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제1카본과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제2카본을 L1≥L2가 되도록 선택하여(여기서, 상기 L1은 상기 제1카본과 상기 제2카본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상기 L2는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상기 제1카본 및 제2카본을 제외한 임의의 제3카본과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상기 제1카본, 제2카본 및 제3카본을 제외한 임의의 제4카본 사이의 거리를 나타냄) 상기 제1카본을 x축, y축 및 z축을 갖는 3차원 좌표계의 원점 A(0, 0, 0)에 위치시킬 때, 상기 제2 카본은 좌표 B(a, b, c)를 갖고, 상기 a 및 b는 서로 독립적으로, 10㎛ 이하이고, 상기 c는 100nm 이하인, 수퍼도전성 나노입자를 제공한다.
상기 다환 나노시트의 인접 카본들은 서로 sp2 결합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환 나노시트 각각의 두께는 카본 원자 입경±1n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n은 2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c는 카본 원자 입경의 50배±10n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c는 0.1nm 내지 50nm일 수 있다.
다른 측면은, 6개의 카본 원자가 6각형 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리들이 서로 축합되어 일 평면 상에 배열되어 있는 다환 나노시트 n개가 상기 일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적층된 구조를 갖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복수 개를 포함한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로서, 상기 n은 2 내지 100의 정수이고,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제1카본과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제2카본을 L1≥L2가 되도록 선택하여(여기서, 상기 L1은 상기 제1카본과 상기 제2카본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상기 L2는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상기 제1카본 및 제2카본을 제외한 임의의 제3카본과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상기 제1카본, 제2카본 및 제3카본을 제외한 임의의 제4카본 사이의 거리를 나타냄) 상기 제1카본을 x축, y축 및 z축을 갖는 3차원 좌표계의 원점 A(0, 0, 0)에 위치시킬 때, 상기 제2카본이 좌표 B(a, b, c)를 갖고, 상기 a 및 b의 d50은 서 로 독립적으로, 10㎛ 이하이고, 상기 c의 d50은 100nm 이하인,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을 제공한다.
상기 c의 d50은 카본 원자 입경의 50배±10n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c의 d50은 0.1nm 내지 50nm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은,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양극; 음극 활물질을 포함한 음극; 및 전해액을 포함한 리튬 전지로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하나 이상이 도전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재가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을 포함한 리튬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도전재는 카본 블랙, 케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인조 흑연, 천연 흑연, 구리 분말, 니켈 분말, 알루미늄 분말, 은 분말 및 폴리페닐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 활물질이 티탄산 리튬일 수 있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및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은 우수한 도전성을 갖는 바,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의 용량 특성 및 충방전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를 따르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10)의 개략도이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10)는 불규칙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판상"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10)의 형태는 "판상"을 기 본으로 하나, 휜 거나, 말단부가 말려 있는 등 다양한 변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10)의 형태가 기본적으로 "판상"이라는 것은, 후술할 도 1 내지 4를 참조한 수퍼도전성 나노입자(10)에 대한 설명 및 도 6a 및 6b의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 및 수퍼도전성 나노입자를 관찰한 사진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10)는 6개의 카본 원자가 6각형 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리들이 서로 축합되어 일 평면 상에 배열되어 있는 다환 나노시트(polycyclic nano-sheet) n개가 상기 일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본 명세서 중 "6개의 카본 원자가 6각형 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리"란 용어는, 육각형 고리로서 상기 육각형의 각 꼭지점에는 카본이 위치한 고리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하, 약어로서, "6원(6-membered) 카본 고리"라고도 한다. 상기 다환 나노시트는 복수 개의 6원 카본 고리를 갖는데, 상기 복수 개의 6원 카본 고리는 서로 축합되어(fused) 벌집 형태를 이루며 일 평면 상에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일 평면 상에 배열되어 있다"란 용어는 복수 개의 6원 카본 고리가 좌우로 축합되어 배열 및 연장된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상하로 축합되어 배열 및 연장된 것은 배제됨을 가리키는 것이다. 상기 "6개의 카본 원자가 6각형 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리들이 서로 축합되어 일 평면 상에 배열되어 있다"란 도 1 중 T1으로 표시된 점선 원의 부분을 분자 수준으로 확대한 도 2를 참조하면 보다 용 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6원 카본 고리는 서로 축합되어 있어 6원 카본 고리들 사이에는 별도의 공간이 없이 벌집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 및 연장되어 있다. 도 2 중, 각 6원 카본 고리의 꼭지점에는 카본이 존재하며, 이는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인접한 카본들은 서로 sp2 결합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6원 카본 고리 내의 공진 구조(resonance)가 형성될 수 있어, 전자의 이동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다환 나노시트는 복수 개의 6원 카본 고리가 서로 축합되어 일 평면 상에 배열된 구조를 가지므로, 예를 들어, 상기 다환 나노시트의 두께는 카본 원자 입경±1nm의 범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환 나노시트의 두께가 카본 원자 입경의 "±1nm"의 범위를 갖는 것은 상기 다환 나노시트가 휘거나 말단부가 말린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부분적으로 결손될 수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10)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다환 나노시트 n개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는 상기 다환 나노시트의 복수 개의 6원 카본 고리가 서로 축합되어 배열되어 있는 일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따라 적층되어 있다.
상술한 바는 도 1의 T2로 표시된 점선 원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 3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는 적층된 순서에 따라 제1다환 나노시트, 제2다환 나노시트, 제3다환 나노시트,...,제n-2다 환 나노시트, 제n-1다환 나노시트, 및 제n다환 나노시트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의 수퍼도전성 나노입자(10)는 n이 7인데, 도 3에 따르면,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10)는 제1다환 나노시트(21), 제2다환 나노시트(22), 제3다환 나노시트(23), 제4다환 나노시트(24), 제5다환 나노시트(25), 제6다환 나노시트(26) 및 제7다환 나노시트(27)가 적층된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다환 나노시트(111) 내지 상기 제6다환 나노시트(116)이 적층된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복수 개의 6원 카본 고리가 서로 축합되어 배열된 일 평면의 방향인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상-하" 방향임을 알 수 있다.
상기 n은 2 내지 100의 정수, 예를 들면, 2 내지 80의 정수, 예를 들면, 2 내지 70의 정수, 예를 들면, 2 내지 40의 정수,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의 정수,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10)에서,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제1카본과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제2카본을 L1≥L2가 되도록 선택하여 상기 제1카본을 x축, y축 및 z축을 갖는 3차원 좌표계의 원점 A(0, 0, 0)에 위치시킬 때, 상기 제2카본은 좌표 B(a, b, c)를 갖고, 상기 a 및 b는 서로 독립적으로, 10㎛ 이하이고, 상기 c는 100nm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1은 상기 제1카본과 상기 제2카본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상기 L2는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상기 제1카본 및 제2카본을 제외한 임의의 제3카본과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상기 제1카본, 제2카본 및 제3카본을 제외한 임의의 제 4카본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즉, 상기 제1카본 및 상기 제2카본은 n개의 다환 나노시트에 포함된 카본들 중 카본 사이의 거리가 최장이 되도록 선택된 2개의 카본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수퍼도전성 나노입자(10)의 제1카본은 A1 위치에 존재할 수 있고, 제2카본은 B1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도 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제1카본을 x축, y축 및 z축을 갖는 3차원 좌표계의 원점 A(0, 0, 0)에 위치시킬 때, 상기 제2카본이 좌표 B(a, b, c)를 가짐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으로서, 편의상 원점 A와 좌표 B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가상의 정육면체도 함께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a", "b" 및 "c"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가상의 정육면체의 가로, 세로, 및 높이에 대응되는 바, 상기 "a", "b" 및 "c"는 도 1에 도시된 수퍼도전성 나노입자(10)가 컴팩트하게 담긴 가상의 정육면체의 가로, 세로 및 높이라고도 해석될 수 있다.
상기 a 및 b는 서로 독립적으로, 10㎛ 이하, 예를 들면, 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c는 카본 원자 입경의 50배±10n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카본 원자 입경의 50배±10nm" 중 "카본 원자 입경의 50배"는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10)가 다환 나노시트를 최대 50개까지 포함할 수 있음을 반영한 것이고, 상기 "카본 원자 입경의 50배±10nm" 중 "±10nm"은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10)이 휘거나, 말단부가 말린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결손될 수도 있음을 반영한 것 이다.
상기 c는 100nm 이하, 예를 들면, 0.1nm 내지 100nm, 구체적으로는 0.1nm 내지 90nm, 보다 구체적으로는 0.1nm 내지 50n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는 0.1nm 내지 20n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10)의 a, b 및 c가 상술한 바와 같은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특정 이론에 한정되려는 것은 아니나, 전자 등의 전달이 용이해 져 우수한 도전성을 갖출 수 있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은 복수 개의 서로 개별적인 수퍼도전성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에 포함된 각각의 수퍼도전성 나노입자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를 참조한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에 포함된 복수 개의 수퍼도전성 나노입자의 형태 및 사이즈는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정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수퍼도전성 나노입자에 대한 설명 및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에 대하여 수행된 사이즈 분산도 측정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에 대하여 상기 각각의 수퍼도전성 나노입자에 대하여 정의된 "a", "b" 및 "c"를 갖되, 상기 a, b 및 c는 이들의 d50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d50의 정의는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a 및 b의 d50은 서로 독립적으로, 10㎛ 이하, 예를 들면, 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c의 d50은 카본 원자 입경의 50배±10n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카본 원자 입경의 50배±10nm" 중 "카본 원자 입경의 50배"는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에 포함된 각각의 수퍼도전성 나노입자가 다환 나노시트를 최대 50개까지 포함할 수 있음을 반영한 것이고, 상기 "카본 원자 입경의 50배±10nm" 중 "±10nm"은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에 포함된 각각의 수퍼도전성 나노입자가 휘거나, 말단부가 말린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결손될 수도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c의 d50은 100nm 이하, 예를 들면, 0.1nm 내지 100nm, 구체적으로는 0.1nm 내지 90nm, 보다 구체적으로는 0.1nm 내지 50n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의 d50은 0.1nm 내지 20n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도전성은, 예를 들면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 2.5g/cc을 기준으로 700 내지 1500S/cm, 구체적으로는 1000 내지 1200S/c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전성 범위는 리튬 전지용 도전재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은, 흑연을 출발 물질로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제조 방법의 일 예는, 흑연을 팽창시키는 단계; 상기 팽창된 흑연에 용매를 추가한 다음, 상기 용매 중 팽창된 흑연을 분쇄하는 단계; 및 이로부터 수득한 분쇄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단 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흑연을 가열하여 팽창시킨 후 이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제거한다. 여기서, 출발 물질로서 팽창 흑연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흑연 팽창을 위한 온도는 예를 들면, 400℃ 내지 600℃일 수 있고, 열처리 시간은 30분 내지 2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열처리 온도 범위 및 시간을 만족할 경우, 카본 간의 결합이 실질적으로 손상되지 않으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c" 또는 "c의 d50" 범위를 만족하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을 얻기에 충분할 정도로 흑연이 팽창될 수 있다.
이 후, 선택적으로, 흑연 팽창시 발생한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가스는 흑연에 존재하는 불순물(예를 들면 카본 이외의 원자, 분자 등)이 산소 등과 결합하여 생성된 산화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스는 SO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흑연 팽창 단계에 의하여 흑연에 존재하는 불순물이 소성되어 제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순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 후, 팽창된 흑연에 용매를 추가하고 용매 중 팽창된 흑연을 분쇄한다. 상기 용매로는 팽창된 흑연과 실질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면서 흐름성을 제공할 수 있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예를 들면 알코올류(예를 들면, 에탄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용매 중에 포함된 팽창된 흑연을 분쇄한다. 분쇄 방법으로는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를 이용하는 방법, 마이크로 플루이다이저(micro fluidizer)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분쇄 공정은 수회 반복될 수 있으며, 분쇄 방법을 달리 하여 2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팽창된 흑연의 분쇄 전 팽창된 흑연과 임의의 산을 혼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플루이다이저를 이용한 분쇄 공정 반복 회수에 따라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의 a 및/또는 b가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을 수득하다. 용매 제거는 용매의 끓는점 등과 같은 물성을 고려한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분쇄 결과물을 여과 및 세척한 후 80℃ 하에서 열처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양극; 음극 활물질을 포함한 음극; 및 전해액을 포함한 리튬 전지로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하나 이상이 도전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재가 상술한 바와 같은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을 포함한 리튬 전지가 제공된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은 우수한 도전성을 제공할 수 있어, 상기 리튬 전지는 용량 특성 및 충방전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은 상기 양극 활물질 및/또는 음극 활물질과 단순히 혼합되어 있거나, 상기 양극 활물질 및/또는 음극 활물질 표면에 코팅(예를 들면, 상기 양극 활물질 및/또는 음극 활물질 표면의 일부 또는 전면에 코팅될 수 있음)되어 있을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양극 활물질층 및/또는 음극 활물질층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 외에, 카본 블랙, 케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인조 흑연, 천연 흑연, 구리 분말, 니켈 분말, 알루미늄 분말, 은 분말 및 폴리페닐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재에 상기 제1물질이 더 포함될 경우, 상기 제1물질: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중량비는 1:10 내지 10:1일 수 있다. 상기 제1물질: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중량비는 상술한 바와 같은 범위 내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리튬 전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재는 카본 블랙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카본 블랙: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중량비는 1:10 내지 10:1, 예를 들면 7:3 내지 3:7, 구체적으로는 6:4일 수 있다.
상기 양극은 집전체 및 이 집전체상에 형성되는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층을 형성하기 위한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리티에이티드 인터칼레이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LiaA1-bXbD2 (상기 식에서, 0.95 ≤ a ≤ 1.1, 및 0 ≤ b ≤ 0.5이다); LiaE1- bXbO2-cDc(상기 식에서, 0.95 ≤ a ≤ 1.1, 0 ≤ b ≤ 0.5, 0 ≤ c ≤ 0.05이다); LiE2-bXbO4-cDc(상기 식에서, 0 ≤ b ≤ 0.5, 0 ≤ c ≤ 0.05이다); LiaNi1-b-cCobBcDα(상기 식에서, 0.95 ≤ a ≤1.1, 0 ≤ b ≤ 0.5, 0 ≤ c ≤ 0.05, 0 < α ≤ 2이다); LiaNi1-b-cCobXcO2-αMα(상기 식에서, 0.95 ≤ a ≤ 1.1, 0 ≤ b ≤ 0.5, 0 ≤ c ≤ 0.05, 0 < α < 2이다); LiaNi1-b-cCobXcO2-αM2(상기 식에서, 0.95 ≤ a ≤ 1.1, 0 ≤ b ≤ 0.5, 0 ≤ c ≤ 0.05, 0 < α < 2이다); LiaNi1-b-cMnbXcDα(상기 식에서, 0.95 ≤ a ≤ 1.1, 0 ≤ b ≤ 0.5, 0 ≤ c ≤ 0.05, 0 < α ≤ 2이다); LiaNi1-b-cMnbXcO2-αMα(상기 식에서, 0.95 ≤ a ≤ 1.1, 0 ≤ b ≤ 0.5, 0 ≤ c ≤ 0.05, 0 < α < 2이다); LiaNi1-b-cMnbXcO2-αM2(상기 식에서, 0.95 ≤ a ≤ 1.1, 0 ≤ b ≤ 0.5, 0 ≤ c ≤ 0.05, 0 < α < 2이다); LiaNibEcGdO2(상기 식에서, 0.90 ≤ a ≤ 1.1, 0 ≤ b ≤ 0.9, 0 ≤ c ≤ 0.5, 0.001 ≤ d ≤ 0.1이다.); LiaNibCocMndGeO2(상기 식에서, 0.90 ≤ a ≤ 1.1, 0 ≤ b ≤ 0.9, 0 ≤ c ≤ 0.5, 0 ≤ d ≤0.5, 0 ≤ e ≤ 0.1이다.); LiaNiGbO2(상기 식에서, 0.90 ≤ a ≤ 1.1, 0.001 ≤ b ≤ 0.1이다.); LiaCoGbO2(상기 식에서, 0.90 ≤ a ≤ 1.1, 0.001 ≤ b ≤ 0.1이다.); LiaMnGbO2(상기 식에서, 0.90 ≤ a ≤ 1.1, 0.001 ≤ b ≤ 0.1이다.); LiaMn2GbO4(상기 식에서, 0.90 ≤ a ≤ 1.1, 0 ≤ b ≤ 0.1이다.); QO2; QS2; LiQS2; V2O5; LiV2O5; LiZO2; LiNiVO4; Li(3-f)J2(PO4)3(0 ≤ f ≤ 2); Li(3-f)Fe2(PO4)3(0 ≤ f ≤ 2); LiFePO4 ; 티탄산 리튬.
상기 화학식에 있어서, A는 Ni, Co, M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는 Al, Ni, Co, Mn, Cr, Fe, Mg, Sr, V, 희토류 원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D는 O, F, S, P,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E는 Co, M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M은 F, S, P,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G는 Al, Cr, Mn, Fe, Mg, La, Ce, Sr, V,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Q는 Ti, Mo, M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Z는 Cr, V, Fe, Sc, Y,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J는 V, Cr, Mn, Co, Ni, C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양극 활물질은 티탄산 리튬일 수 있다.
상기 티탄산 리튬은, 결정 구조에 따라, 스피넬(spinel)형 티탄산 리튬, 아나타제(anatase)형 티탄산 리튬, 람스델라이트(ramsdellite)형 티탄산 리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 활물질은 Li4-xTi5O12(0≤x≤3)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극 활물질은 Li4Ti5O1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상기 양극 활물질의 구체예로는, LiaNibCocMndGeO2(상기 식에서, 0.90 ≤ a ≤ 1.1, 0 ≤ b ≤ 0.9, 0 ≤ c ≤ 0.5, 0 ≤ d ≤0.5, e = 0임, 예를 들면, a = 1, b = 0.5, c = 0.2, d = 0.3, e = 0 임), LiMn2O4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양극으로서 리튬 전극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하프 셀이라고도 한다.
물론 이 화합물 표면에 코팅층을 갖는 것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상기 화합물과 코팅층을 갖는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코팅층은 코팅 원소의 옥사이드, 코팅 원소의 하이드록사이드, 코팅 원소의 옥시하이드록사이드, 코팅 원소의 옥시카보네이트 및 코팅 원소의 하이드록시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팅 원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코팅층을 이루는 화합물은 비정질 또는 결정질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에 포함되는 코팅 원소로는 Mg, Al, Co, K, Na, Ca, Si, Ti, V, Sn, Ge, Ga, B, As, Z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 형성 공정은 상기 화합물에 이러한 원소들을 사용하여 양극 활물질의 물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방법, 예를 들어 스프레이 코팅, 침지법 등으로 코팅할 수 있으면 어떠한 코팅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에 대하여는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양극 활물질층은 또한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양극 활물질 입자들을 서로 잘 부착시키고, 또한 양극 활물질 을 집전체에 잘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 디아세틸셀룰로즈,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카르복실화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에틸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아크릴레이티드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에폭시 수지, 나일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집전체로는 Al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극은 양극 활물질 및 바인더(선택적으로, 도전재도 포함됨)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여 활물질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 조성물을 집전체에 도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극 제조 방법은 당해 분야에 널리 알려진 내용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용매로는 N-메틸피롤리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천연 흑연, 실리콘/탄소 복합체(SiOx), 실리콘 금속, 실리콘 박막, 리튬 금속, 리튬 합금, 탄소재 또는 그래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튬 합금의 예로서, 티탄산 리튬을 들 수 있다. 상기 티탄산 리튬은, 결정 구조에 따라, 스피넬(spinel)형 티탄산 리튬, 아나타제(anatase)형 티탄산 리튬, 람스델라이트(ramsdellite)형 티탄산 리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극 활물질은 Li4-xTi5O12(0≤x≤3)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극 활물질은 Li4Ti5O1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극 활물질 조성물에서 바인더 및 용매는 양극의 경우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음극 활물질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도전재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를 참조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양극 전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음극 전극 활물질 조성물에 가소제를 더 부가하여 전극판 내부에 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은 비수계 유기 용매와 리튬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수계 유기 용매는 전지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들이 이동할 수 있는 매질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수계 유기용매로는 카보네이트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케톤계, 알코올계, 또는 비양성자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에스테르계 용매로는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디메틸아세테이트,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프로피오네이트, γ-부티로락톤, 데카놀라이드(decanolide), 발레로락톤, 메발로노락톤(mevalonolactone),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테르계 용매로는 디부틸 에테르, 테트라글라임, 디글라임, 디메톡시에탄, 2-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케톤계 용매로는 시클로헥사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계 용매로는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비양성자성 용매로는 R-CN(R은 탄소수 2 내지 20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 구조의 탄화수소기이며, 이중결합 방향 환 또는 에테르 결합을 포함할 수 있음) 등의 니트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1,3-디옥솔란 등의 디옥솔란류 설포란(sulfolane)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수계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혼합 비율은 목적하는 전지 성능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는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널리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유기 용매에 용해되어, 전지 내에서 리튬 이온의 공급원으로 작용하여 기본적인 리튬 전지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양극과 음극 사이의 리튬 이온의 이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리튬염의 예로는 LiPF6, LiBF4, LiSbF6, LiAsF6, LiN(SO2C2F5)2, Li(CF3SO2)2N, LiC4F9SO3, LiClO4, LiAlO2, LiAlCl4, LiN(CxF2x+1SO2)(CyF2y+1SO2)(여기서, x 및 y는 자연수임), LiCl, LiI 및 LiB(C2O4)2(리튬 비스옥살레이토 보레이트(lithium bis(oxalato) borate; LiBO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지지(supporting) 전해염으로 포함할 수 있다. 리튬염의 농도는 0.1 내지 2.0M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리튬 염의 농도가 상기 범위에 포함되면, 전해질이 적절한 전도도 및 점도를 가지므로, 우수한 전해질 성능을 나타낼 수 있고, 리튬 이온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리튬 전지의 종류에 따라 양극과 음극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세퍼레이터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또는 이들의 2층 이상의 다층막이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2층 세퍼레이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3층 세퍼레이터,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3층 세퍼레이터 등과 같은 혼합 다층막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리튬 전지는 사용하는 세퍼레이터와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및 리튬 폴리머 전지로 분류될 수 있고, 형태에 따라 원통형, 각형, 코인형, 파우치형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이즈에 따라 벌크 타입과 박막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튬 전지는 일차 전지 또는 이차 전지 모두에 사용 가능하다. 이들 전지의 제조방법은 이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튬 이차 전지(100)는 양극(114), 음극(112) 및 상기 양극(114)과 음극(112) 사이에 배치된 세퍼레이터(113), 상기 양극(114), 음극(112) 및 세퍼레이터(113)에 함침된 전해질(미도시), 전지 용기(120), 및 상기 전지 용기(120)를 봉입하는 봉입 부재(140)을 포함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리튬 이차 전지(100)는, 양극(114), 음극(112) 및 세퍼레이터(113) 를 차례로 적층한 다음 스피럴 상으로 권취된 상태로 전지 용기(140)에 수납하여 구성된 것이다.
제조예 1
팽창 흑연 100g을 5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팽창시킨 후, 이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오븐의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시킨 후, 이로부터 수득한 결과물을 에탄올에 분산시켜,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를 이용하여 10,000rpm으로 10분간 분쇄하였다. 이로부터 수득한 혼합물을 마이크로 플루이다이저(micro fluidizer)을 이용하여 추가 분쇄한 다음, filtering 장비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에탄올로 세척하고 120℃의 오븐에서 건조시켜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을 SEM(전자 주사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은 도 6a를 참조한다. 도 6a에 따르면,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에 포함된 개별 수퍼도전성 나노입자들은 기본적으로 "판상"의 형태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 중 나노입자를 TEM(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은 도 6b를 참조한다. 도 6b 중 점선 원으로 표시된 부분은, 예를 들면, 도 1의 T2로 표시된 점선 원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그 두께가 약 10nm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b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수퍼도전성 나노입자가 약 10nm의 c(상기 "c"의 정의는 도 1 및 4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관련 부분 참조)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에 포함된 수퍼도전성 나노입자들의 사이즈 분산도를 Melvern, Hydro2000을 이용해 평가하여, 그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따르면,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a 또는 b(상기 "a" 및 "b"의 정의는 도 1 및 4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관련 부분 참조)의 d10은 2.1마이크로미터, d50은 4.11마이크로미터, d90은 7.16마이크로미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양극 활물질로서 Li4Ti5O12, 바인더로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도전제로서 카본 블랙(Denka사 제품임)과 상기 제조예 1의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혼합물을 90:5:5의 중량비로 N-메틸피롤리돈 용매에서 혼합하여 음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카본 블랙과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혼합물 중 상기 카본 블랙과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중량비는 3:2로 조절하였다. 상기 음극 슬러리를 90㎛의 두께로 알루미늄박(Al-foil) 위에 코팅하여 얇은 극판의 형태로 만든 후, 135℃에서 3시간 이상 건조시킨 다음, 70㎛의 두께를 갖도록 압연(pressing)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극판을 13φ 크기의 원형으로 펀칭하여 무게를 기록한 후 웰딩(welding)이 가능하도록 전극을 형성하고 다시 무게를 기록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결과물을 2032 코인 셀 하부에 웰딩한 후 250℃의 진공 오븐에서 5시간 동안 배기시켰다. 여기에 리튬 전극(음극), 두께 20㎛의 폴리에틸렌 재질의 세퍼레이터, 및 전해액(EC(에틸렌 카보네이트)와 EMC(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EMC의 부피비는 3:7임)의 혼합물+1.3M의 LiPF6)을 조립하여 전지를 제작하였 다.
비교예 1
도전제로서 카본 블랙과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혼합물 대신, 카본 블랙만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를 제작하였다.
평가예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전지에 대하여 상온(25℃)에서 20시간 동안 방치함으로써 화성 공정을 수행하였다.
화성 공정이 수행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전지에 대하여 0.2C의 충방전속도로 0.01V CC(Constant Current)/CV(Constant Voltage) 0.01C 컷-오프(cut-off) 충전한 후, 0.2C의 충방전속도로 1.1V 컷-오프 방전하는 사이클 1회 수행 후 용량 및 충방전 효율을 평가하였다. 이 후, 충방전속도를 0.5C, 1C, 2C, 5C 및 10C로 각각 변화시켜가며 용량 및 충방전 효율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8 및 9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따르면, 실시예 1의 전지는 비교예 1의 전지에 비하여 고율에서 용량 증가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에 따르면, 실시예 1의 전지가 비교예 1의 전지에 비하여 우수한 충방전 효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따르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중 T1으로 표시된 점선 원 부분을 분자 수준으로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 중 T2로 표시된 점선 원 부분을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 중 A1 위치의 제1카본을 x, y 및 z축을 갖는 3차원 좌표계의 원점 A(0, 0, 0)에 위치시킬 때, 도 1 중, B1 위치의 제2카본이 좌표 B(a, b, c)를 가짐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원점 A와 좌표 B 사이의 거리가 최대 거리가 되는 가상의 정육면체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따르는 리튬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제조예 1의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을 관찰한 SEM 사진이다.
도 6b는 제조예 1의 수퍼도전성 나노입자를 관찰한 TEM 사진이다.
도 7은 제조예 1의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사이즈 분산도 결과이다.
도 8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전지의 용량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21: 제1다환 나노시트
22: 제2다환 나노시트
23: 제3다환 나노시트
24: 제4다환 나노시트
25: 제5다환 나노시트
26: 제6다환 나노시트
27: 제7다환 나노시트
A1: 제1카본의 위치
B1: 제2카본의 위치
100: 리튬전지
112: 음극 113: 세퍼레이터
114: 양극 120: 전지 용기
140: 봉입 부재

Claims (20)

  1. 6개의 카본 원자가 6각형 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리들이 서로 축합되어 일 평면 상에 배열되어 있는 다환 나노시트(polycyclic nano-sheet) n개가 상기 일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적층된 구조를 갖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로서,
    상기 n은 2 내지 100의 정수이고,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제1카본과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제2카본을 L1≥L2가 되도록 선택하여(여기서, 상기 L1은 상기 제1카본과 상기 제2카본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상기 L2는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상기 제1카본 및 제2카본을 제외한 임의의 제3카본과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상기 제1카본, 제2카본 및 제3카본을 제외한 임의의 제4카본 사이의 거리를 나타냄) 상기 제1카본을 x축, y축 및 z축을 갖는 3차원 좌표계의 원점 A(0, 0, 0)에 위치시킬 때, 상기 제2카본은 좌표 B(a, b, c)를 갖고, 상기 a 및 b는 서로 독립적으로, 10㎛ 이하이고, 상기 c는 100nm 이하인,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환 나노시트의 인접 카본들은 서로 sp2 결합에 의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환 나노시트 각각의 두께가 카본 원자 입경±1n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이 2 내지 10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가 카본 원자 입경의 50배±10n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가 0.1nm 내지 5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가 0.1nm 내지 2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8. 6개의 카본 원자가 6각형 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리들이 서로 축합되 어 일 평면 상에 배열되어 있는 다환 나노시트 n개가 상기 일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적층된 구조를 갖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복수 개를 포함한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로서,
    상기 n은 2 내지 100의 정수이고,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제1카본과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제2카본을 L1≥L2가 되도록 선택하여(여기서, 상기 L1은 상기 제1카본과 상기 제2카본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상기 L2는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상기 제1카본 및 제2카본을 제외한 임의의 제3카본과 상기 n개의 다환 나노시트의 카본들 중 상기 제1카본, 제2카본 및 제3카본을 제외한 임의의 제4카본 사이의 거리를 나타냄) 상기 제1카본을 x축, y축 및 z축을 갖는 3차원 좌표계의 원점 A(0, 0, 0)에 위치시킬 때, 상기 제2카본이 좌표 B(a, b, c)를 갖고, 상기 a 및 b의 d50은 서로 독립적으로, 10㎛ 이하이고, 상기 c의 d50은 100nm 이하인,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환 나노시트의 인접 카본들은 서로 sp2 결합에 의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환 나노시트 각각의 두께가 카본 원자 입경±1n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n이 2 내지 10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의 d50이 카본 원자 입경의 50배±10n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의 d50이 0.1nm 내지 5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의 d50이 0.1nm 내지 2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 2.5g/cc의 도전성이 700 내지 1500 S/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
  16.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양극; 음극 활물질을 포함한 음극; 및 전해액을 포함한 리튬 전지로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하나 이상이 도전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재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을 포함한 리튬 전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가 카본 블랙, 케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인조 흑연, 천연 흑연, 구리 분말, 니켈 분말, 알루미늄 분말, 은 분말 및 폴리페닐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물질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가 카본 블랙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본 블랙:상기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분말의 중량비가 1:10 내지 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 활물질이 티탄산 리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이 LiaNibCocMndGeO2(여기서, 0.90 ≤ a ≤ 1.1, 0 ≤ b ≤ 0.9, 0 ≤ c ≤ 0.5, 0 ≤ d ≤0.5, e = 0임) 또는 LiMn2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
KR1020090111536A 2009-11-18 2009-11-18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수퍼도전성 나노입자의 분말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전지 KR20110054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536A KR20110054766A (ko) 2009-11-18 2009-11-18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수퍼도전성 나노입자의 분말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전지
US12/904,712 US20110118123A1 (en) 2009-11-18 2010-10-14 Super-conductive nanoparticle, super-conductive nanoparticle powder,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the powder
CN2010105496518A CN102064325A (zh) 2009-11-18 2010-11-16 超导电性纳米颗粒及其粉末和包括该粉末的锂电池
EP10251957A EP2325138A3 (en) 2009-11-18 2010-11-18 Conductive nanoparticle, conductive nanoparticle powder,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the powder
JP2010257806A JP2011105593A (ja) 2009-11-18 2010-11-18 スーパー導電性ナノ粒子、スーパー導電性ナノ粒子の粉末及びこれを具備したリチウム電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536A KR20110054766A (ko) 2009-11-18 2009-11-18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수퍼도전성 나노입자의 분말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766A true KR20110054766A (ko) 2011-05-25

Family

ID=4373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536A KR20110054766A (ko) 2009-11-18 2009-11-18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수퍼도전성 나노입자의 분말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18123A1 (ko)
EP (1) EP2325138A3 (ko)
JP (1) JP2011105593A (ko)
KR (1) KR20110054766A (ko)
CN (1) CN1020643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230A (ko) * 2012-08-27 2020-08-1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2차 전지용 양극, 2차 전지, 및 이들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3464A1 (en) 2010-08-19 2012-02-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ical appliance
US20120225354A1 (en) * 2011-03-02 2012-09-06 Samsung Sdi Co., Ltd.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of prepar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KR102489415B1 (ko) * 2011-06-03 2023-01-1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정극,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이동체, 차량, 시스템, 및 전자 기기
EP2579419B1 (en) * 2011-10-05 2018-12-05 BlackBerry Limited System for wirelessly charging a rechargeable battery and a rechargeable battery
US9083198B2 (en) 2011-10-05 2015-07-14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charging a rechargeable battery
JP6016597B2 (ja) * 2011-12-16 2016-10-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の製造方法
KR20130106687A (ko) * 2012-03-20 2013-09-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2270513B1 (ko) 2014-08-05 2021-06-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조성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 전지
KR20180060779A (ko) * 2016-11-29 2018-06-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CN108091890B (zh) * 2017-12-21 2020-06-19 东华大学 一种基于银-钴-鸟嘌呤纳米片状材料的制备方法
CN113817927B (zh) * 2021-10-09 2022-09-02 中南大学 一种高效制备砷烯纳米片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4567A (en) * 1915-09-14 1917-07-24 Edward J Quigley Soft collar.
JPH1027609A (ja) * 1996-07-09 1998-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5783333A (en) * 1996-11-27 1998-07-21 Polystor Corporation Lithium nickel cobalt oxides for positive electrodes
US6221531B1 (en) * 1998-07-09 2001-04-24 The University Of Chicago Lithium-titanium-oxide anodes for lithium batteries
JP4540167B2 (ja) * 1999-02-16 2010-09-08 東邦チタニウム株式会社 チタン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
US7071258B1 (en) * 2002-10-21 2006-07-04 Nanotek Instruments, Inc. Nano-scaled graphene plates
JP2004235144A (ja) * 2003-01-10 2004-08-19 Nichia Chem Ind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8069015A (ja) * 2003-04-04 2008-03-27 Canon Inc 薄片炭素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154730A (zh) * 2006-09-30 2008-04-0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锂离子电池正极材料和含有该材料的正极和锂离子电池
US20100140792A1 (en) * 2006-10-31 2010-06-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Graphite nanoplatelets for thermal and electrical applications
US20090022649A1 (en) * 2007-07-19 2009-01-22 Aruna Zhamu Method for producing ultra-thin nano-scaled graphene platelets
US7745047B2 (en) * 2007-11-05 2010-06-29 Nanotek Instruments, Inc. Nano graphene platelet-base composite anode compositions for lithium ion batteries
KR101494435B1 (ko) * 2008-01-15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극, 리튬 전지, 전극 제조 방법 및 전극 코팅용 조성물
CN102015529B (zh) * 2008-02-28 2014-04-30 巴斯夫欧洲公司 纳米石墨片和组合物
KR100911433B1 (ko) * 2009-04-22 2009-08-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판상형이며 나노크기의 두께를 갖는 초미립 인상 흑연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230A (ko) * 2012-08-27 2020-08-1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2차 전지용 양극, 2차 전지, 및 이들의 제조 방법
US11108038B2 (en) 2012-08-27 2021-08-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si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fabricating posi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KR20220024267A (ko) * 2012-08-27 2022-03-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2차 전지용 양극, 2차 전지, 및 이들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5138A3 (en) 2011-11-30
JP2011105593A (ja) 2011-06-02
CN102064325A (zh) 2011-05-18
US20110118123A1 (en) 2011-05-19
EP2325138A2 (en)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375B1 (ko) 2차 입자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전지
KR101558535B1 (ko)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음극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전지
JP6116144B2 (ja) 負極活物質、それを含む電極、そ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54766A (ko) 수퍼도전성 나노입자, 수퍼도전성 나노입자의 분말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전지
US9350015B2 (en) Anode active material, anod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material
KR101182433B1 (ko)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20100073506A (ko)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음극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전지
KR101074783B1 (ko) 전극 조성물, 리튬 전지용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리튬 이차전지
KR101137374B1 (ko) 나노 메탈 입자 및 수퍼 도전성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1213477B1 (ko) 고용량 음극 물질이 코팅된 수퍼 도전성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20110024533A (ko) 리튬 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전지
KR101328988B1 (ko)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리튬 이차전지 및 음극 활물질 제조방법
US9252427B2 (en) Negative active materia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20118791A (ko) 음극활물질, 이를 채용한 음극과 리튬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72114B1 (ko) 음극활물질, 이를 채용한 음극과 리튬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20087619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粒子及びそれを備える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420

Effective date: 2013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