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747A -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747A
KR20110054747A KR1020090111510A KR20090111510A KR20110054747A KR 20110054747 A KR20110054747 A KR 20110054747A KR 1020090111510 A KR1020090111510 A KR 1020090111510A KR 20090111510 A KR20090111510 A KR 20090111510A KR 20110054747 A KR20110054747 A KR 20110054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action
fractions
methanol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225B1 (ko
Inventor
이승식
정병엽
안병철
이은미
이재택
김태훈
이인철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1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22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센티페드그라스(Eremochloa ophiuroides)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엘라스타아제(elastase)의 저해 활성이 우수하므로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센티페드그라스(Eremochloa ophiuroides), 엘라스타아제(elastase), 주름개선

Description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skin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Eremochloa ophiuroide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주름 생성과 관련된 주요 기작은 피부가 대기오염, 자외선 노출, 스트레스 또는 질병 등의 유해환경으로부터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계속적으로 노출되어 체내의 라디칼이 증가되고,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히아루론산(hyaluronic aicd) 등을 파괴하여 피부의 일정 부위 침하현상(주름)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이러한 기작들은 세포막의 지질 부분을 산화시켜 세포의 파괴 현상을 일으켜 피부염, 여드름 또는 피부암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라디칼은 멜라닌 형성과정에 관여하여 기미, 주근깨 및 주름생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해서 기존에는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 Oxide Dismutase, SOD) 등이 자유 라디칼 소거 기능 또는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물질로 화장료 또는 의약품에 배합되어 주름 및 기타 피부 질환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화학적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안전하면서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높은 물질을 개발하는 것이 의약품이나 식품 분야 뿐만 아니라 화장품 산업 분야에서도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에 사용되는 레티노이드에는 레티놀(retinol), 레티날(retinal), 레틴산(retinoic acid), 레티닐 아세테이트(retinyl acetate), 레티닐 리놀리에이트(retinyl linoleate) 및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등이 있다. 이들 중 레티놀은 인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내인성 화합물로서 상피 조직의 분화와 성장에 필수적인 물질이며, 레틴산 등의 레티노이드에 비해 매우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있어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의 원료로서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레티노이드는 피부 주름개선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피부 임상을 통하여 검증되었지만 제품에 처방될 경우 변색, 변취 현상이 발생하고, 소량 사용시에도 피부 자극이 유발되는 부작용이 있으며, 경시적인 변화에 의한 역가 감소와 이 에 따른 효과 감소 등이 큰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레티노이드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천연물 유래 생리 활성 물질들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레티노이드에 비하여 피부 부작용이 적고, 경시적인 화학적 변화가 적어 화장료의 안전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로 약용 식물 자원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센티페드그라스(Eremochloa ophiuroides)는 생육이 늦은 난지형 잔디로서 뗏장을 형성하며 포복 생장을 하는 다년생 잔디이다. Poaceae과에 속하며, 학명은 Eremochloa ophiuroides (Munro) Hack이다. 주로 중국과 동아시아, 인도차이나, 미국 북동부, 메소아메리카와 캐러비안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종 토양조건에 폭 넓게 잘 적응되지만, 특히 습하며 산성토양 및 비옥도가 낮은 사질 토양에서 잘 견딘다.
형태학적 특징으로서, 잎은 길이 15~30 ㎜, 폭 2~4 ㎜이고, 흰 중심맥(mid vein)을 가지는 납작한 모양이며, 경령(collar) 부분을 제외하고 털이 없고, 잎 끝부분은 둥글다. 줄기는 아주 굳게 다문 잎집(sheath)을 가지고, 뿌리는 가는 분기형의 포복경(stolons)이다. 꽃 부분은 3~5 인치 정도의 하나의 총상화서(總狀花序, raceme, = 총상꽃차례)를 가지고, 상기 총상화서는 자줏빛색을 띠고 약간 평평하며 두 줄로 배열된 작은 이삭(小穗, spikelet)을 가진다. 주용도는 잔디 밭 또 는 뗏장 잔디로 사용되고 높은 잎의 비율(leafiness)과 좋은 맛 때문에 조사료로 이용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주름개선을 위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센티페드그라스에서 추출한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이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 활성을 가지므로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센티페드그라스(Eremochloa ophiuroide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엘라스틴을 파괴하는 엘라스타아제를 저해하는 활성이 있으므로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센티페드그라스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식힌 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센티페드그라스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센티페드그라스는 잎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으로는 진탕추출 또는 환류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를 센티페드그라스 분량에 2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추출온도는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2 내지 5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회수는 1 내지 3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에 추가로 유기용매를 가하여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단계 1)의 분획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활성분획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유기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2)의 컬럼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세파덱스, RP-18, 폴리아미드, 도요펄(Toyopearl) 및 XAD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 된 충진제를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활성분획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충진제를 선택하여 수차례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센티페드그라스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Flex-ColumTM(3 ㎝ × 25 ㎝) 및 도요펄(Toyoperarl) HW-40(75 ㎛)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흡착시키고 20, 50 또는 70% 메탄올 용출용매를 사용하여, 에틸아세테이트-20%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50%메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70%메탄올 활성분획을 얻었다.
상기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도 2 참조).
상기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하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도 3, 도 4, 및 도 5 참조).
Figure 112009070821876-PAT00001
Figure 112009070821876-PAT00002
Figure 112009070821876-PAT00003
Figure 112009070821876-PAT00004
Figure 112009070821876-PAT00005
Figure 112009070821876-PAT00006
Figure 112009070821876-PAT00007
Figure 112009070821876-PAT00008
본 발명자들은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의 농도(20, 200, 2000 또는 4000 ㎍/㎖)에 따른 엘라 스타아제(elastase) 저해 활성을 피부 주름개선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기존에 잘 알려진 옥수수수염 추출물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20 ~ 4000 ㎍/㎖의 농도에서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은 메탄올 추출물이 각각 약 24, 50, 91 및 93%,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약 23, 50, 90 및 92%, 물 추출물이 각각 약 23, 49, 90 및 91%로 나타났고, 옥수수수염 메탄올 추출물은 상기와 같은 농도에서 각각 약 8, 17, 59 및 75%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표 2 및 도 6 참조). 따라서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이 옥수수수염 추출물에 비해 현저히 뛰어난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4000 ㎍/㎖의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은 약 96 ~ 98%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냈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활성분획은 약 92%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표 3 및 도 7 참조).
따라서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이 현저한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므로 피부 주름개선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 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추출물이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 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여,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효과적인 피부 주름개선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정제, 캅셀제, 산제, 과립제, 현탁제, 유제, 시럽제, 기타 액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제형, 예를 들면 정체, 트로치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용성 또는 우성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elixirs)로 제제화된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롤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 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가 함유된다. 캡슐제형의 경우는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분획물의 활성분획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경구 투여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체중 1 ㎏당 본 발명의 추출물을 0.0001 ~ 500 ㎎의 양으로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0.001 ~ 100 ㎎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 리한 활성분획은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므로 효과적인 피부 주름개선용 건강식품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 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의 활성분획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비교예 및 제조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비교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 실험예, 비교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의 제조
<1-1> 센티페드그라스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센티페드그라스 종자를 일본의 Fukukaen Nursery and Blub co. Ltd로부터 수입하여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 방사선과학연구소의 포장에서 증식하여 센티페드그 라스 잎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잎 시료는 -80℃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센티페드그라스 잎 5 ㎏ 을 100% 메탄올(MeOH) 20 ℓ를 첨가하여 믹서기로 마쇄한 후 상온에서 3일간 침지시켜 얻은 추출물을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210 g의 센티페드그라스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2> 센티페드그라스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센티페드그라스 종자를 일본의 Fukukaen Nursery and Blub co. Ltd로부터 수입하여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 방사선과학연구소의 포장에서 증식하여 센티페드그라스 잎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잎 시료는 -80℃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센티페드그라스 잎 5 ㎏ 을 100% 에탄올(EtOH) 20 ℓ를 첨가하여 믹서기로 마쇄한 후 상온에서 3일간 침지시켜 얻은 추출물을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203 g의 센티페드그라스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3> 센티페드그라스 물 추출물의 제조
센티페드그라스 종자를 일본의 Fukukaen Nursery and Blub co. Ltd로부터 수입하여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 방사선과학연구소의 포장에서 증식하여 센티페드그라스 잎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잎 시료는 -80℃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센티페드그라스 잎 5 ㎏ 을 물 20 ℓ를 첨가하여 믹서기로 마쇄한 후 상온에서 3일간 침지시켜 얻은 추출물을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198 g의 센티페드그라스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센티페드그라스 분획물 및 활성분획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센티페드그라스 메탄올 추출물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극성에 따른 분획을 실시하였다. [도 1]과 같이, 감압농축한 메탄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저극성 용매인 헥산(N- Hexane)으로 먼저 추출한 후 물층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분획하였다. 두 용액으로 분획한 후 물에 의한 가용 분획물을 마지막으로 수득하였다. 각 용매추출 분획을 감압농축하여 건조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21 g)을 얻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20%, 50% 또는 70% 메탄올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Flex-Colum TM(3 ㎝×25 ㎝)과 Toyoperarl HW-40(75 ㎛)를 사용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20%메탄올(9.41 g), 에틸아세테이트-50%메탄올(5.74 g) 및 에틸아세테이트-70%메탄올(1 g) 3개의 활성분획을 수득하였다.
< 비교예 1>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제조
옥수수수염 시료는 충북 제천시에 있는 농가에서 광평옥 품종의 옥수수수염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옥수수수염 5 ㎏ 을 80% 메탄올(MeOH) 20 ℓ를 첨가하여 믹서기로 마쇄한 후 상온에서 3일간 침지시켜 얻은 추출물을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194 g의 옥수수수염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실험예 1>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에 존재하는 유용한 2차 대사산물의 분석
애질런트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Agilent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Agilent Technological, Palo Alto, CA, 미국)를 사용하여 센티페드그라스 메탄올 추출물,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에틸아세테이트-20%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50%메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70%메탄올 활성분획의 유용한 2차 대사산물을 분석하였다. 컬럼은 Beckman Coulter ULTRASPHERE(5 ㎛, 4.6 ㎜×25 ㎝)을 사용하였고, 컬럼의 온도는 40℃로 조절하였다.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을 포함 한 용액(A)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을 포함한 50%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용액(B)을 이동상으로 하여 HPLC를 수행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이동상 조건에 따라, 50분간 1 ㎖/min 유속으로 유지하였다.
그 결과, 센티페드그라스 메탄올 추출물에는 유용한 2차 대사산물인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루틴(퀘세틴-3-O-루티노사이드{rutin(Quercetin-3-O-rutinoside)}, 나린진(나린제닌-7-O-네오헤스페리도사이드){naringin(naringenin-7-O-neohesperidoside)}, 이소오리엔틴(isoorientin), 람노실이소오리엔틴(rhamnosylisoorientin), 이소로이폴린(아피제닌-7-O-루티노사이드){isorhoifolin(apigenin-7-O-rutinoside)}, 이소채프토사이드(아피제닌-6-C-아라비노실-8-C-글루코사이드{isoschaftoside(Apigenin-6-C-arabinosyl-8-C-glucoside)} 및 메이신(maysiin)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
또한, 센티페드그라스 에틸아세테이트-20%메탄올 활성분획에는 유용한 2차 대사산물인 이소오리엔틴(isoorientin), 람노실이소오리엔틴(rhamnosylisoorientin), 이소로이폴린(아피제닌-7-O-루티노사이드){isorhoifolin(apigenin-7-O-rutinoside)}, 이소채프토사이드(아피제닌-6-C-아라비노실-8-C-글루코사이드{isoschaftoside(Apigenin-6-C-arabinosyl-8-C-glucoside)} 및 메이신(maysiin)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 센티페드그라스 에틸아세테이트-50%메탄올 활성분획에는 유용한 2차 대사산물인 이소오리엔틴(isoorientin), 람노실이소오리엔틴(rhamnosylisoorientin), 이소로이폴린(아피제닌-7-O-루티노사이드){isorhoifolin(apigenin-7-O-rutinoside)} 및 메이신(maysiin)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 아울러 센티페드그라스 에틸아세테이트-70%메탄올 활성분획에는 유용한 2차 대사산물인 메이신(maysiin)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5).
이동상 A: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TFA)
B: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 물(H2O) = 1 : 1(v/v) in 0.1% TFA
추출 모드
(구배 조건)
추출 시간 % 이동상 B
0 20
18 33
30 40
40 40
42 20
50 20
< 실험예 2> 엘라스타아제( elastase ) 저해 활성을 통한 주름개선 효과 측정
<2-1>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주름개선 효과 측정
돼지의 췌장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 활성 측정은 기질로서 N-석시닐-(L-알라닌)3-p-니트로아닐리드{N-succinyl-(L-Ala)3-p-nitroanilide}를 사용하여 37℃에서 30분간 p-니트로아닐리드(p-nitroanilide)의 생성량을 405 ㎚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상기 <비교예 1>에서 수득한 옥수수수염 추출물 100 ㎕에 50 mM 트리스-염산 완충용액{Tri-HCl buffer(pH 8.6)}에 녹인 엘라스타아제(2.5 unit) 용액 100 ㎕를 가한 후에 100 ㎕의 0.4 M 트리스-염산{Tri- HCl(pH 8.6)}을 첨가하였다. 첨가 후, 200 ㎕의 기질용액[50 mM 트리스-염산 완충용액{Tris-HCl buffer(pH 8.6)}에 녹여져 있는 기질 N-석시닐-(L-알라닌)3-p-니트로아닐리드{N-succinyl-(L-Ala)3-p-nitroanilide(0.5 ㎎/㎖)}를 첨가하여 총 부피를 500 ㎕로 맞추어 추출물의 최종농도를 20, 200, 2000 또는 4000 ㎍/㎖로 하여, 37°C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405 ㎚에서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100 ㎍/㎖의 어솔릭산(ursolic acid)을 사용하였으며, 음성대조군으로는 시료를 녹인 용매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은 추출물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며,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저해율(%) = (1-시료 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 × 100
그 결과, 센티페드그라스 메탄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는 20, 200, 2000 및 4000 ㎍/㎖의 농도에서 각각 약 24, 50, 91 및 93%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 반면에 옥수수수염 메탄올 추출물은 상기와 같은 20, 200, 2000 및 4000 ㎍/㎖의 농도에서 각각 약 8, 17, 59 및 75%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표 2 및 도 6). 따라서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이 옥수수수염 추출물보다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 료 최종농도(㎍/㎖) 엘라스타아제 저해율(%)












메탄올 추출물


20 24
200 50
2000 91
4000 93
에탄올 추출물


20 23
200 50
2000 90
4000 92
물 추출물


20 23
200 49
2000 90
4000 91
옥수수
수염
메탄올 추출물 20 8
200 17
2000 59
4000 75
어솔릭산 100 98
<2-2>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의 항산화 활성 측정
상기 실험예 <2-1>의 방법에 따라 4000 ㎍/㎖의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센티페드그라스 메탄올, 에탄올 또는 물 추출물은 각각 약 98, 96 및 97%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냈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약 92%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표 3 및 도 7).
시 료(4000 ㎍/㎖) 엘라스타아제 저해율(%)
메탄올 추출물 98
에탄올 추출물 96
물 추출물 97
에틸아세테이트-20%메탄올 92
에틸아세테이트-50%메탄올 92
에틸아세테이트-70%메탄올 92
< 제조예 1>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의 제조
<1-1> 유연 화장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의 센티페드그라스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 화정수는 하기 [표 4]와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실시예 <1-2>의 에탄올 추출물 10.00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1-2> 영양 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의 센티페드그라스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영양크은 하기 [표 5]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실시예 <1-2>의 에탄올 추출물 10.0
1,3-부틸렌 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식물 추출물 3.2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란 3.8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 제조예 2>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약제의 제조
<2-1> 시럽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센티페드그라스 에틸아세테이트-20%메탄올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시럽제는 하기 [표 6]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함량(중량부)
<실시예 2>의 에틸아세테이트-20%메탄올 활성분획 2
사카린 0.8
25.4
글리세린 8
향미료 0.04
에탄올 4
소르브산 0.4
증류수 60
<2-2>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센티페드그라스 에틸아세테이트-20%메탄올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는 하기 [표 7]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함량(중량부)
<실시예 2>의 에틸아세테이트-20%메탄올 활성분획 250
락토오스 175.9
감자전분 180
콜롱드성 규산 32
10% 젤라틴 용액 5
감자전분 160
활석 5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5
상기 <실시예 2>의 에틸아세테이트-20%메탄올 활성분획 250 중량부, 락토오스 175.9 중량부, 감자전분 180 중량부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 중량부와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하여 14 매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하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 중량부, 활석 50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제조하였다.
< 제조예 3>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건강식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의 센티페드그라스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3-1> 밀가루 식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의 추출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3-2>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의 추출물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의 추출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3-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의 추출물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3-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3>의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실시예 <1-3>의 추출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실시예 <1-3>의 추출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 제조예 4>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음료의 제조
<4-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실시예 <1-3>의 추출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4-2> 야채 주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의 추출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4-3> 과일 주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의 추출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엘라스타아제 저해 효과가 뛰어나 주름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므로 피부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품, 피부 외용제, 약제 또는 건강식품의 개발 및 제품 생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센티페드그라스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센티페드그라스 메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2차 대사산물을 동정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센티페드그라스 에틸아세테이트-20%메탄올 활성분획에 존재하는 2차 대사산물을 동정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센티페드그라스 에틸아세테이트-50%메탄올 활성분획에 존재하는 2차 대사산물을 동정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센티페드그라스 에틸아세테이트-70%메탄올 활성분획에 존재하는 2차 대사산물을 동정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센티페드그라스 메탄올 추출물 또는 옥수수수염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엘라스타아제 저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센티페드그라스 메탄올 추출물,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에틸아세테트-20%메탄올, -50%메탄올 및 -70%메탄올)의 엘라스타아제 저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8)

  1. 센티페드그라스(Eremochloa ophiuroide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추가적으로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흡착시키고 20%, 50% 또는 70% 메탄올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의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제 4항의 분획물 또는 제 6항의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8. 제 1항의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제 4항의 분획물 또는 제 6항의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건강식품.
KR1020090111510A 2009-11-18 2009-11-18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125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510A KR101125225B1 (ko) 2009-11-18 2009-11-18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510A KR101125225B1 (ko) 2009-11-18 2009-11-18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747A true KR20110054747A (ko) 2011-05-25
KR101125225B1 KR101125225B1 (ko) 2012-03-21

Family

ID=4436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510A KR101125225B1 (ko) 2009-11-18 2009-11-18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2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549B1 (ko) * 2012-07-24 2014-05-27 한국원자력연구원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
CN104812399A (zh) * 2012-09-17 2015-07-29 韩国原子力研究院 包含蜈蚣草提取物或其部位作为活性成分的组合物
WO2018110875A1 (en) 2016-12-12 2018-06-21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opecia comprising eremochloa ophiuroides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WO2022149870A1 (ko) * 2021-01-07 2022-07-14 한국원자력연구원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25655A (ko) * 2022-02-21 2023-08-29 한국원자력연구원 센티페드그라스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센티페드그라스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033B1 (ko) * 2003-01-14 2005-03-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주름 형성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771397B1 (ko) 2006-06-08 2007-10-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민들레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5256B1 (ko) * 2006-10-23 2008-05-26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차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1125223B1 (ko) * 2009-10-14 2012-03-21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을 이용한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로부터 색소를 제거하는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549B1 (ko) * 2012-07-24 2014-05-27 한국원자력연구원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
CN104812399A (zh) * 2012-09-17 2015-07-29 韩国原子力研究院 包含蜈蚣草提取物或其部位作为活性成分的组合物
CN104812399B (zh) * 2012-09-17 2018-09-14 韩国原子力研究院 包含蜈蚣草提取物或其部位作为活性成分的组合物
WO2018110875A1 (en) 2016-12-12 2018-06-21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opecia comprising eremochloa ophiuroides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EP3551208A4 (en) * 2016-12-12 2020-07-15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OPECIA COMPRISING AN EXTRACT OF EREMOCHLOA OPHIUROIDES OR FRACTIONS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US11241471B2 (en) 2016-12-12 2022-02-08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opecia comprising Eremochloa ophiuroides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WO2022149870A1 (ko) * 2021-01-07 2022-07-14 한국원자력연구원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25655A (ko) * 2022-02-21 2023-08-29 한국원자력연구원 센티페드그라스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센티페드그라스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225B1 (ko)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739B1 (ko)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125225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292837B1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125224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조성물
KR101197531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1043212A1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及び保湿剤
KR101611853B1 (ko)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섬쑥부쟁이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KR101125223B1 (ko) 방사선을 이용한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로부터 색소를 제거하는 방법
KR102070789B1 (ko) 곰보배추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88682B1 (ko) 베로니카 론기폴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
KR101046688B1 (ko) 아스퍼질러스 테리우스 추출물, 신규 부티로락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889331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257752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252763B1 (ko) 색도가 감소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00042086A (ko)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661423B1 (ko) 오리방풀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용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1797843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2445679B1 (ko) 누에 번데기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64406B1 (ko)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102590758B1 (ko) 안토시아니딘 성분인 시아니딘, 델피니딘, 페튜니딘등을 함유한 빌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25047B1 (ko) 로도덴드론 알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20055476A (ko) 항산화 작용을 갖는 비수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2170B1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14646B1 (ko) 골담초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