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871A -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 Google Patents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871A
KR20110053871A KR1020090110566A KR20090110566A KR20110053871A KR 20110053871 A KR20110053871 A KR 20110053871A KR 1020090110566 A KR1020090110566 A KR 1020090110566A KR 20090110566 A KR20090110566 A KR 20090110566A KR 20110053871 A KR20110053871 A KR 20110053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ad
tent
power
sa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호
Original Assignee
김수호
주식회사 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호, 주식회사 우석 filed Critical 김수호
Priority to KR1020090110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3871A/ko
Publication of KR20110053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2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이나 등산 및 낚시 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 휴식이나 수면을 위해 사용되는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성 발열체에 메인 및 보조전원선을 내장하여 된 발열패드를 충전식 전원부가 내장된 전력절감장치와 연결 형성하고, 상기 발열패드는 단독형 또는 분할형으로 구성하여 이를 발열텐트의 바닥시트에 내재시키거나 표면에 포켓을 형성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텐트 자체의 방한 및 보온성에 발열패드의 온열작용이 더해지므로 방한 및 보온 작용이 탁월한 것이고, 발열패드의 작용 유무에 따라 동절기를 포함한 4계절 모두 사용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합리적인 것이며, 충전식 전원부를 사용함에 따라 이동성이 탁월하므로 전원의 공급이 용이하지 못한 야외에서의 사용이 용이한 것이고, 발열패드가 분할 형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발열패드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효율성은 물론 전력 절감 효과가 뛰어난 것이며, 유연성 발열패드가 전체적으로 고른 전압의 분포도를 유지케 하여 발열 온도가 고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류충돌이나 전압강하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중의 오류나 발열 온도 편차 등을 예방하므로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발열텐트, 발열메쉬, 발열패드, 발열체, 포켓, 주머니, 전력절감장치

Description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Heating tent having heating pad using flexible heating unit and power-saving device}
본 발명은 캠핑이나 등산 및 낚시 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 휴식이나 수면을 위해 사용되는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메쉬 또는 신축성 발열선이나 도전성 합연사에 의한 발열체로 만들어진 발열패드에 저전압 직류용 충전지에 의한 전원부를 갖는 전력절감장치를 연결 형성하고, 상기의 발열패드는 단독 또는 분할형으로 구성하여 이를 텐트의 바닥시트에 내재시키거나 바닥시트의 표면에 별도의 포켓을 형성하여 삽입 형성함으로써, 동절기 또는 기온이 낮은 실내에서 상기의 발열텐트를 사용하여 온열 작용 및 찜질 작용에 의한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여가시간의 효율적인 활용과 함께 건강에 대한 욕구와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캠핑이나 등산을 위한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캠핑이나 장거리 등산 또는 낚시 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 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텐트인데, 이러한 텐트는 뛰어난 방풍 및 방한성에 의해 사용자의 체온을 보호하고 유지하는데 매우 적합한 용품이다.
즉, 보편적인 캠핑의 형태는 야영지에서의 텐트 생활과 텐트 내에서의 수면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텐트는 바람과 비를 잘 막아주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텐트는 방수 및 방풍성에 주안점을 갖고 제작되기 때문에 온열 및 발열 작용을 전혀 갖지 아니하므로, 동절기 또는 기온이 낮은 상황에서는 난로나 전기매트 등을 추가로 구비하여 이들과 함께 사용하여야 하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즉,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낮은 환경에서 텐트 내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텐트 내부의 온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별도로 준비한 난로 또는 전기매트 등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난로는 석유 등의 유류를 태워 발생하는 열기에 의해 텐트 내부를 난방하는 장치이므로 텐트 내부의 산소를 급격하게 줄여 자칫 심각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산소가 부족할 것을 대비하여 부득이하게 텐트의 일부 출입문을 항상 개방시켜 두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열손실이 막대하므로 안전하교 효율적인 난방 수단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전기매트 등을 별도로 구비하여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의 전기매트는 자체만으로도 매우 큰 부피를 차지하여 캠핑 생활에서 운반 및 보관상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이고, 캠핑장 또는 야영지와 등산 및 낚시터와 같은 경우에는 텐트와 인접하여 교류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가 허다하여 사실상 텐트용 난방수단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에 근자에 들어서는 일반적인 텐트의 바닥시트에 별도의 발열체를 내장함에 따라 따듯한 사용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한 발열텐트가 대한 개발이 시도된 바 있으나, 상기와 같은 발열텐트는 내장된 열선이 반복적인 발열텐트의 접힘과 펼침에 의해 단선이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열선에 대한 단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다양한 발열체가 상기 발열텐트의 발열수단으로 적용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나 상기 유연성 발열체 중 기존 것의 경우 전원의 공급이 발열체의 양쪽 끝단에서만 이루어지게 하고 있어 발열체에 대한 전원공급선 간의 거리가 멀어질 경우 유연성 발열체를 형성하는 전도체는 저항체인 만큼 전원공급 거리가 멀어지거나 길어질수록 저항값이 증가하여 순간적인 전압강하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고 전류량이 줄어들어 발열온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전압강하 및 줄어드는 전류량으로 인해 국부 저온현상이 발생하거나 발열자체가 안되어 발열체로의 사용이 곤란한 등 기술적인 한계점을 노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국부적인 고온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절연 피복층이 파괴되므로 감전이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에 대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발열텐트의 발열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연속적인 가동 및 발열이 이루어지게 하므로 과도한 소모전력을 갖는 것이며, 대부분 가정용 교류 전원을 사용하므로 이동성에 많은 제약이 뒤따르게 된다. 특히, 캠핑이나 등산과 같이 교류 전원의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한 장 소에서는 상기와 같은 발열텐트를 사용할 수 없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유연성 발열체에 메인 및 보조전원선을 내장하여 된 발열패드를 충전식 전원부가 내장된 전력절감장치와 연결 형성하고, 상기 발열패드는 단독형 또는 분할형으로 구성하여 이를 발열텐트의 바닥시트에 내재시키거나 표면에 포켓을 형성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가 갖는 발열 효과 및 전기적인 안정성으로 인해 종래의 발열체 및 발열텐트가 갖고 있던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양한 적층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발열텐트의 발열수단으로서 별도의 발열패드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발열패드는 유연성 발열체로 구성되고, 발열패드는 충전식 전원부를 갖는 전력절감장치와 연결되게 하며, 상기 전력절감장치 내 충전식 전원부는 AC어댑터와 연결되게 하여, 상기 발열패드를 갖는 발열텐트로부터 노출된 전력절감장치의 작동에 의해 충전식 전원부의 전원이 발열패드에 제공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텐트 자체의 방한 및 보온성에 발열패드의 온열작용이 더해지므로 방한 및 보온 작용이 탁월한 것이고, 발열패드의 작용 유무에 따라 동절기를 포함한 4계절 모두 사용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합리적인 것이며, 충전식 전원부를 사용함에 따라 이동성이 탁월하므로 전원의 공급이 용이하지 못한 야외에서의 사용이 용이한 것이고, 발열패드가 분할 형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발열패드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효율성은 물론 전력 절감 효과가 뛰어난 것이며, 유연성 발열패드가 전체적으로 고른 전압의 분포도를 유지케 하여 발열 온도가 고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류충돌이나 전압강하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중의 오류나 발열 온도 편차 등을 예방하므로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가 형성된 발열텐트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텐트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텐트는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형태의 텐트에 발열체를 결합 형성하여 된 것으로서, 통상적인 텐트는 방수성 원단으로 된 바닥시트(15)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연결되는 돔형의 텐트시트(17)를 갖고 있고 상기 텐트시트(17)의 외측에는 사방으로 위치하는 텐트폴(1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텐트폴(16)과 텐트시트(17) 간의 결합 고정 및 텐트폴(16)의 하단과 바닥시트(15)의 가장자리와의 결합 고정에 의해 설치되는 구조를 갖고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시트(15)에 별도의 발열패드(30)를 형성함에 따라 본 발명의 발열텐트(10)가 완성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발열패드(30)는 충전식 전원부(26)를 갖는 전력절감장치(20)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전력절감장치(20)의 조작을 통해 충전식 전원부(26)로부터 발열패드(30)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발열하는 것이고, 상기 발열패드(30)에 대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본 발명의 발열텐트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은 따듯한 온열 작용 및 찜질 작용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발열패드(30)는 발열텐트(10)의 바닥시트(15)에 대하여 단일체로 형성하거나 발열텐트(10)의 바닥시트(15)에 대하여 인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로 분할 형성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이는 사용자 또는 제작자의 편의 및 다양성에 따라 발열패드(30)의 위치와 개수에 대한 제한 없이 다양한 가변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상기 발열텐트(10)의 바닥시트(15)를 도 3의 도시와 같이 텐트 내부 공간을 향하는 내피재(11)와 지면을 향하는 외피재(12)의 재봉 구성을 통해 제작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발열패드(30)가 내피재(11)와 외피재(12)의 사이에 은폐 내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발열텐트(10)의 바닥시트(15) 표면에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별도의 포켓(13)을 원하는 위치에 재봉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포켓(13)의 내측으로 발열패드(30)를 삽입하여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내피재(11)는 부드러운 면 직물지의 구성이 가장 보편적이고, 상기 외피재(12)는 천막과 같이 직물지에 방수 코팅된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발열텐트는 발열텐트(10)의 바닥시트(15) 상부면 또는 가장자리에 연결 형성된 별도의 주머니(14)를 형성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의 전력절감장치(20)를 주머니(14)의 내부에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절감장치(20)에 대한 간편한 관리 및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발열패드(30)를 갖는 본 발명의 발열텐트(10)는 상기의 발열패드(30)를 발열텐트(10)의 바닥시트(15) 전체에 해당하는 단일의 개체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5의 도시와 같이 바닥시트(15)에 대하여 다수로 분할 형성하여 이들이 서로 병렬 연결된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발열패드(30)가 분할 형태인 경우 각각의 발열패드(30)를 병렬 형태로 연결 형성하여 이들을 전력절감장 치(20)에 접속시킴에 따라 상기 전력절감장치(20)의 충전식 전원부(26)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이 동시에 또는 각기 개별적으로 각각의 발열패드(30)에 전달되게 하므로 빠르고 효과적인 발열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전력절감장치(20)와 발열패드(30)는 서로 분리 가능한 일반적인 플러그 잭 및 소켓에 의한 접속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전력절감장치(20) 역시 AC어댑터(27)와 플러그 잭 및 소켓에 의한 분리와 결합의 접속구조를 갖고 있어 발열이 불필요한 위치의 발열패드(30)는 플러그 잭의 분리를 통해서도 전원이 차단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가장 효율적이고 적합한 발열 상태를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발열텐트(10)의 바닥시트(15) 상부면에 재봉 형성된 별도의 포켓(13)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포켓(13)에 발열패드(30)를 삽입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인데, 상기의 포켓(13)을 도 6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균등 배분된 위치에 각기 구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들 각각의 포켓(13)에 상응의 크기를 갖는 발열패드(30)를 개별적으로 포켓(13) 내측으로 삽입 또는 분리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발열패드(30)의 유무에 따라 필요한 부분에만 제한적인 발열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발열패드(30)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발열패드(30) 모두를 포켓(13)으로부터 제거하여 일반적인 종래의 텐트와 동일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합리적인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AC어댑터(27)를 이용하여 가정 내에서 또는 교류전원의 사용이 가능한 장소에서 전력절감장치(20) 내부의 충전식 전원부(26)에 대하여 충분 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의 발열패드(30)를 갖는 발열텐트(10)를 전력절감장치(20)에 의해 작동시켜 충전식 전원부(26)의 전원이 발열패드(30)로 공급되게 하면 상기 발열패드(30)가 가열됨에 따라 사용자는 따듯한 온열 효과나 고온의 찜질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발열텐트에 대한 전력절감장치와 발열패드에 대한 상세한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의 전력절감장치(20)는, 선택버튼부(21)와 시간설정부(22) 및 온도설정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시간설정부(22)와 온도설정부(23)가 연결된 상태의 중앙처리부(24)는 별도의 충전식 전원부(2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시간설정부(22) 및 온도설정부(23)에 의해 조정된 온도와 전원단속 시간을 갖고 상기 전원을 발열패드(3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정된 시간이나 온도 및 충전상태 등은 별도의 표시부(2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충전식 전원부(26)는 저전압 직류용 충전지 또는 슈퍼콘덴서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AC어댑터(27) 등을 이용하여 가정용 교류 전원을 통해 축전시킨 상태에서 축전된 전원을 사용하도록 하면 되는 것인데 충전식 충전식 전원부(26)로 인해 상기의 발열패드(30)가 결합된 발열텐트(10)는 이동에 지장을 받지 않을 것이므로 결국 실내에서는 물론 야외에서도 매우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의 전력절감장치(20)는 충전식 전원부(26)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이를 발열패드(3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인데, 상기의 전력절감장치(20)에는 선택버튼부(21)와 시간설정부(22) 및 온도설정부(23)와 중앙처리부(24) 및 표시부(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이와 함께 충전식 전원부(26)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선택버튼부(21)를 통해 전원의 온, 오프 및 시간설정과 온도설정을 수행하게 되면 이와 같은 신호를 전달받은 중앙처리부(24)는 상기와 같은 설정값에 알맞은 전원을 발열패드(30)로 공급 및 차단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상기의 표시부(25)에서는 셋팅된 시간이나 온도의 표시와 충전식 전원부(26)의 배터리 잔량 표시 및 배터리 전압 등을 표시하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 충전중이거나 충전완료 상태 등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표시부(25)는 엘이디와 액정화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전력절감장치(20)를 이용한 본 발명의 발열텐트에 형성된 발열패드에 대한 작동순서를 설명하면, 우선 선택버튼부(21)를 눌러 발열패드(30)에 대한 발열 온도를 설정하게 되는 것인데 예컨데 상기의 선택버튼부(21)를 구성하고 있는 특정의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때마다 발열온도가 저온-중온-중고온-고온-초고온-저온과 같은 순서를 갖고 변환 설정되도록 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의 선택이 가능한 것이고 선택된 온도 범위는 상기 표시부(25)에서의 엘이디 점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선택버튼부(21)를 구성하고 있는 특정의 버튼을 눌러 전원의 단속 시간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발열패드(30)로 인가되는 전원 의 공급시간과 차단시간을 1~40분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하게 되면 상기의 온도설정부(23)에서 설정된 온도를 갖고 상기 시간설정부(22)에서 설정된 전원인가 및 차단의 과정을 연속하여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온도설정부(23)에서의 발열 온도의 조절은 상기 선택버튼부(21)의 조작에 따라 발열패드(30)에 인가되는 전류 량이 가변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발열패드(30)에는 바이메탈에 의한 과열차단부(33)를 추가로 형성함에 따라 원하는 설정된 온도대역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상기 바이메탈의 물리적인 성질에 의해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게 하므로 과열에 의한 화재나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저전압 DC용 충전지에 의한 충전식 전원부(26)를 사용하여 단독 또는 다수의 발열체(40)로 된 발열패드(30)를 작동시킴에 있어, 축전지에 의한 충전식 전원부(26)와 상기 제어 작동을 위한 각종 전자회로는 충전지와 전자회로가 하나의 케이스 내에 함께 내장 고정되어 있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온도가 다수단계로 조절될수 있게 하는 회로를 내장시켜 만드는데 회로를 기판 위에 구성하되 선택버튼부(21)에 의한 스위치를 한번 누르면 저온, 두 번 누르면 중온, 세 번 누르면 중고온, 네 번 누르면 고온, 다섯 번 누르면 초고온이 되게 하는 등 한 개의 온도조절 스위치를 여러 번 누르면 온도가 조절되는 형태로 만들고, 또한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전류를 차단하고 흐르게 해주는 것을 반복할 수 있으며(예시 : 처음 20분간 통전 후 차단, 그 다음부터는 10분 간격으로 통전, 차단을 연속적으로 반복), 충전지에 연결할 수 있는 단자를 만들어 이 기판을 충전지 케이스 에 내장시킨다.
상기의 충전식 전원부(26)를 구성하고 있는 충전지는 교체할 수 있어야 하고 케이스 내부에는 위의 온도조절기기능이 설계된 기판이 내장되게 하며, 사용 충전지가 리튬 이온 계열 충전지일 경우 폭발방지 회로가 동시에 내재되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케이스 외부에는 발열패드(30)에서 뽑아져 나와 방수잭이 연결된 전원선을 꽂아 사용할 수 있는, 또한 충전지를 충전시킬 때 사용하는 AC어댑터(27)를 꽂아서 사용할 수 있는 전원 홈을 만들고, 내부의 충전지를 빼내지 않고 위의 전원 홈에 어댑터 잭을 꽂으면 바로 충전이 되고, 방수잭을 꽂으면 발열부로 전류가 공급되게 하는 구조로 만들고, 또한 케이스 외부에 온도를 조절하는 스위치를 달아 이것으로 온도를 조절하고, 케이스 외부에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달아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만든다
이에 따라서, 상기의 충전식 전원부 및 시간과 온도조절부는 일체형으로 한 개의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고 이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발열체(40)와 과열차단부(33)가 결합된 발열패드(30)를 구성하고 상기 전력절감장치(20)에 달린 전원 홈(콘넥터)에 발열패드(30)에 달린 전원 잭을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전력절감장치(2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하는 상기의 발열패드(30)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수단을 적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발열수단에 의해 만들어진 발열패드(30)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최상측에 열축 적전달체(31)가 위치하고 그 하측으로는 발열체(40)가 위치하며 최하부에는 단열체(32)가 위치하여 이들이 서로 재봉 또는 접착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의 열축적전달체(31)는 테크노 써머(Techno thermo)로 된 원단의 상부에 면직물지를 덧붙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의 테크노 써머(Techno thermo)는 광에너지 흡수 발열기능 원사와 W단면 원사를 조합하여 제작함으로써 더욱 높은 보온성을 실현시킨 신소재이고 빛에너지가 활발하지 않은 흐린 날씨에서도 일반적인 원단보다는 보온성이 뛰어나며 종래의 축열기능 원사에 비교하여 열전도성이 낮은 소재이므로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원단인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열축적전달체(31)는 발열체(40)에 의한 열기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방열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고 면직물지는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므로 더욱 안락한 느낌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단열체(32)는 화이버글라스 실리카패드(fiber glass silica pad)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화이버글라스 실리카패드(fiber glass silica pad)는 통상적으로 우주복 소재라고도 하는 것인데 수천 ℃에서도 견디고 한쪽 방향으로 열전도를 완전히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소재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인데, 상기의 단열체(32)는 발열체(40)에서의 열기가 불필요한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의 열기가 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온전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하므로 불필요한 열기의 방출을 차단하여 더욱 고효율의 발열 특성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유연성 발열패드(30)는 열축적전달체(31)와 단열체(32) 의 사이에 위치하는 발열체(40)의 발열작용이 고르고 효과적으로 확산 및 전도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열패드(30)에 대한 신축성이나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나 절연성 및 방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도 9 및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기 발열체(40)의 상,하면에 각기 별도의 표면시트(45)(45')를 부착 형성하여 발열패드(30)를 제작함에 따라 이들 표면시트(45)(45')가 갖는 재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상기 발열패드(30)는 신축성이나 내구성 및 방수성 또는 절연성 등의 다양한 물리적 특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의 표면시트(45) 상에 전원선을 갖는 발열체(40)를 올려놓고 상기 발열체(40)의 상부면에 제2의 표면시트(45')를 순차적으로 올려놓은 후, 고온의 가압 프레스 장치에 의해 상기 표면시트(45)(45')를 가압하게 되면 이들 표면시트(45)(45')가 서로 열용융되면서 분할의 표면시트(45)(45')를 서로 접착시키는 동시에 이들 표면시트(45)(45')의 사이에 발열체(40)가 전원선과 함께 매립된 상태의 발열패드(30)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표면시트(45)(45') 사이에 비닐지와 같은 별도의 접착시트(46)를 삽입하여 가열 압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비닐지로 된 접착시트(46)의 경우 융점이 매우 낮은 특성을 갖고 있어 상기 비닐지 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다양한 재질의 표면시트(45)(45')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즉, 상기의 표면시트(45)(45')를 부직포 또는 직물지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부직포나 직물지로 된 표면시트(45)(45')에 의해 부드러운 촉감은 물론 발열패드(30)의 연성에는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고, 상기의 표면시트(45)(45')를 네오프렌(neoprene)과 같은 방수원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열패드(30) 전체가 방수 기능을 담당하므로 발열패드에 대한 누전이나 감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표면시트(45)(45')를 신축성이 뛰어난 스판덱스(spandex)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발열패드(30)는 더욱 뛰어난 신축성을 갖게 되므로 인체의 움직임이나 발열패드(30)에 가해지는 다양한 압력 및 하중으로부터 무리 없이 연속적이고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발열패드(30)를 구성하기 위한 발열체(40)는, 도 11 및 도 12의 도시와 같이 섬유사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사 또는 고무사 등을 이용하여 위사와 경사 또는 씨줄과 날줄 형태로 직조된 심재(41a)의 전체 표면에 도전성 조성물에 의한 도전성 코팅층(41b)을 형성하고, 상기의 도전성 코팅층(41b)의 표면에는 액상실리콘고무 등으로 된 절연체를 코팅하거나 피복하여 된 절연층(41c)을 형성하여 된 도전성메쉬(41)에 의한 것으로서, 상기의 도전성메쉬(41)에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도전성 조성물에 의해 이루어진 상기 도전성 코팅층(41b)이 발열하여 발열체(40)에 대한 전체적인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직조된 심재(41a)를 도전성 조성물 내에 함침하거나 상기의 도전성 조성물을 심재(41a)의 표면에 도포 또는 덧칠하여서 상기의 도전성 조성물에 의한 코팅층(41b)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도전성 조성물은 액상 실리콘 고무와 도전성 카본블랙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는 액상 실리콘 고무와 도전성 카본블랙이 질량비 기준 100:1~15로 혼합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이와 같이 심재(41a)와 코팅층(41b) 및 절연층(41c)이 형성되어진 도전성메쉬(41)에는 상기 코팅층(41b)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선을 연결 형성하여 발열체(40)를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의 전원선은 도전성메쉬(41)의 양끝단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메인전원선(42)(42')과 이들 메인전원선(42)(42')의 사이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보조전원선(43)(43')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은 도전성 조성물에 의한 코팅층(41b)과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들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상기의 코팅층(41b)은 통전 상태가 됨과 동시에 코팅층(41b) 자체가 저항체의 역할을 수행하여 저항에 의한 발열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보조전원선(43)(43')은 도전성메쉬(41)의 넓이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개체수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인데, 도전성메쉬(41)가 넓거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보조전원선(43)(43')의 개체수를 비례적으로 증가시켜 전원선 간의 사이 간격이 지나치게 멀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보조전원선(43)(43')의 개체수를 가감하여 유연성 발열체(40)를 제작할 수 있어 발열패드의 길이가 아무리 길어지거나 넓이가 커지더라도 실제 전원이 공급되는 곳의 저항값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전압강하가 전혀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류 분포가 균일해지므로 국부 가열이나 국부 저온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은 교번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연결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서로 이웃하는 전원선의 극성이 동일한 경우에는 통전이 이루어지지 아니할 것이므로 서로 이웃하는 전원선 간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이들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 들을 양극 또는 음극의 전원부에 각기 구분 접속하면 인가되는 전원으로부터 상기의 유연성 발열체(40)는 고르고 안정적인 발열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특정 전압에 맞추어 발열패드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압에 맞추어 도전성메쉬(41)의 격자 크기를 조절하여 이에 설치되는 보조전원선(43)(43')의 설치 간격을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즉, 저 전압용 발열패드를 만들려면 공급전압이 낮은 관계로 작은 저항값에서 전압강하가 일어난다는 점에 착안하여 메쉬의 격자 크기를 아주 작게 만들고 또한 보조전원선(43)(43')을 다수 설치하되 그 간격을 조밀하게 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전압을 걸어보면서 절연층(41c)(필요에 따라 코팅층의 표면에 액상 실리콘 고무에 의한 절연층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피복재를 덧씌워 형성할 수 있음)이 파괴되지 않으면서도 최상의 발열이 이루어지는 최적의 격자크기와 전원공급선의 간격을 만들어내면 되는 것이다.
반면에 고 전압용 발열메쉬를 만들려면 도전성메쉬(41)의 격자 크기를 크게 만들고 보조전원선(43)(43')의 간격을 크게 하여 배치하면 된다. 이때 메쉬의 격자 크기에 대한 조절은 메쉬의 격자 사이에 가로줄과 세로줄 간에 서로 코로나가 발생 되어 절연이 파괴되지 않도록 넓히되 격자 크기가 너무 커서 전압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최적점의 격자크기로 조절하여 만들고 전원공급선의 간격도 전압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최대거리로 벌려서 넓게 설치하여 만들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발열패드(30)를 구성하기 위한 발열체(40)는, 도 13 및 도 14의 도시와 같이 신축성 발열선(44)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신축성 발열선(44)은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신축성 실리콘수지로 이루어진 신축성 심재(44a)의 표면에 카본섬유사로 된 도전성 코일선(44b)을 권취 형성한 상태에서, 이들 신축성 심재(44a) 및 도전성 코일선(44b)의 표면에 역시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신축성 실리콘수지로 된 신축성 절연재(44c)를 피복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신축성 발열선(44)의 도전성 코일선(44b)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도전성 코일선(44b)이 저항체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발열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결국 상기 신축성 발열선(44)에 대한 온도 상승은 물론 열전도를 통해 발열체(40) 전체에 대한 발열 작용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신축성 심재(44a)와 도전성 코일선(44b) 및 신축성 절연재(44c)에 의해 형성되어진 신축성 발열선(44)에는 상기 도전성 코일선(44b)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선을 연결 형성함에 따라 목적하는 발열체(40)를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의 전원선은 신축성 발열선(44)의 양끝단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메인전원선(42)(42')과 이들 메인전원선(42)(42')의 사이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보조전원선(43)(43')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메인전원 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은 도전성 코팅선(44b)과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들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상기의 도전성 코일선(44b)은 통전상태가 됨과 동시에 도전성 코일선(44b) 자체가 저항체의 역할을 수행하여 저항에 의한 발열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보조전원선(43)(43')은 신축성 발열선(44)의 전체 길이에 따라 다양한 개체수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인데, 신축성 발열선(44)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보조전원선(43)(43')의 개체수를 비례적으로 증가시켜 전원선 간의 사이 간격이 지나치게 멀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보조전원선(43)(43')의 개체수를 가감하여 발열체(40)를 제작할 수 있어 발열체의 길이가 아무리 길어지더라도 실제 전원이 공급되는 곳의 저항값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전압강하가 전혀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류 분포가 균일해지므로 국부 가열이나 국부 저온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은 교번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연결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서로 이웃하는 전원선의 극성이 동일한 경우에는 통전이 이루어지지 아니할 것이므로 서로 이웃하는 전원선 간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이들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들을 양극 또는 음극의 전원부에 각기 구분 접속하면 인가되는 전원으로부터 상기의 유연성 발열체(40)는 고르고 안정적인 발열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특정 전압에 맞추어 발열체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압에 맞추어 신축성 발열선(44)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에 설치되는 보조전원선(43)(43')의 설치 간격을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즉, 저 전압용 발열체를 만들려면 공급전압이 낮은 관계로 작은 저항값에서 전압강하가 일어난다는 점에 착안하여 신축성 발열선(44)에 대하여 보조전원선(43)(43')을 다수 설치하되 그 간격을 조밀하게 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전압을 걸어보면서 절연재가 파괴되지 않으면서도 최상의 발열이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선의 최적 간격을 만들어내면 되는 것이다.
반면에 고 전압용 발열체를 만들려면 신축성 발열선(44)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보조전원선(43)(43')의 간격을 넓게 하여 배치하면 된다. 이때 보조전원선(43)(43')의 간격은 전압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최대거리로 벌려서 넓게 설치하여 만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발열체(40)를 구성함에 있어 주요한 발열수단으로서 도 15 및 도 16의 도시와 같이 도전성 합연사(47)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도전성 합연사(47)는 불연성과 내구성이 크면서도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 유리섬유를 수 가닥 합연하여 만들어진 심사(47a)의 표면에 액상실리콘 고무와 카본블랙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도전성 조성물을 코팅하여 도전층(47b)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도전층(47b)의 표면에 신축성 실리콘수지로 된 절연층(47c)을 코팅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도전성 합연사(47)는 양측 끝단으로부터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도전층(47b)이 저항체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발열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결국 상 기 도전층(47b)에서의 열기는 절연층(47c)을 통해 전도되면서 발열체(40 전체에 대한 가열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리섬유에 의한 심사(47a)와 카본블랙에 의한 도전층(47b) 및 실리콘 고무에 의한 절연층(47c)으로 된 도전성 합연사(47)를 위사와 경사의 형태로 서로 직조하여 그물망의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면 되는 것인데, 이때의 도전성 합연사(47)에 의한 그물망의 직조 방법은 트리코트(Tricot) 또는 편성(Knitted)이 아닌 일반적인 직조 형태인 레노직과 평직을 조합하여 서로 교차하는 도전성 합연사(47) 간의 접점이 자연스럽게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도전성 합연사(47)에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상기의 도전성 합연사(47)에 의한 발열체(40)는 온열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도전성 합연사(47)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전성 합연사(47)의 양끝 단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메인전원선(42)(42')과 이들 메인전원선(42)(42')의 사이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보조전원선(43)(43')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은 도전성 합연사(47)의 도전층(47b)과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들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상기의 도전성 합연사(47)는 통전 상태가 됨과 동시에 도전층(47b) 자체가 저항체의 역할을 수행하여 저항에 의한 발열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은 도전성 와이어를 편조하여 이루어진 형태의 편조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안정적인 전원의 공급에 적합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을 도전성 합연사(47)에 의해 연결하거나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별도의 엮음사를 이용하여 이들이 서로 이격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접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의 보조전원선(43)(43')은 도전성 합연사(47)의 전체 길이에 따라 다양한 개체수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인데, 도전성 합연사(47)의 길이가 길거나 넓이가 넓은 경우에는 보조전원선(43)(43')의 개체수를 비례적으로 증가시켜 전원선 간의 사이 간격이 지나치게 멀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보조전원선(43)(43')의 개체수를 가감하여 발열체(40)를 제작할 수 있어 발열체의 길이가 아무리 길어지더라도 실제 전원이 공급되는 곳의 저항값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전압강하가 전혀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류 분포가 균일해지므로 국부 가열이나 국부 저온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도전성 합연사(47)로 된 발열체에 적용되는 상기의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은 교번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연결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서로 이웃하는 전원선의 극성이 동일한 경우에는 통전이 이루어지지 아니할 것이므로 서로 이웃하는 전원선 간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이들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들을 양극 또는 음극의 전원부에 각기 구분 접속하면 인가되는 전원으로부터 상기의 발열체(40)는 고르고 안정적인 발열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특정 전압에 맞추어 발열체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압에 맞추어 도전성 합연사(47)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에 설치되는 보조전원선(43)(43')의 설치 간격을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즉, 저 전압용 발열체를 만들려면 공급전압이 낮은 관계로 작은 저항값에서 전압강하가 일어난다는 점에 착안하여 도전성 합연사(47)에 대하여 보조전원선(43)(43')을 다수 설치하되 그 간격을 조밀하게 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전압을 걸어보면서 절연재가 파괴되지 않으면서도 최상의 발열이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선의 최적 간격을 만들어내면 되는 것이다.
반면에 고 전압용 발열체를 만들려면 도전성 합연사(47)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보조전원선(43)(43')의 간격을 넓게 하여 배치하면 된다. 이때 보조전원선(43)(43')의 간격은 전압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최대거리로 벌려서 넓게 설치하여 만들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발열패드(30)는 이들을 다수로 분할 형성함에 따라 인체 공학적인 설계는 물론 획기적인 전력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데 상기의 발열패드(30)를 분할 구획함에 있어, 도 17의 도시와 같이 사람의 인체와 일치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1발열패드(30a)로 분할 이격 형성하고, 상기 제1발열패드(30a)의 주변으로 제2발열패드(30b)를 형성하며, 상기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의 주변으로 형성되는 제3발열패드(30c)로 각기 분할 형성하여, 이들 각각의 발열부를 전력절감장치(20)에 구분 연결함에 따라 발열패드에 따른 개별 전원 공급을 통해 각기 발열패드에 대한 발열 시간이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특히 이들 각각의 발열패드는, 발열패드의 초기 작동시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 및 제3발열패드(30c) 전체에 전원이 인가되어 예를 들어 약 10분간 동시 발열 후 동시에 10분 동안 전원이 단락되게 하여 일차적인 예비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10분 동안의 전원 단락 후 상기 제1발열패드(30a)에 대해서만 전원 인가에 의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인체 해당하는 부분이 항상 따듯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어 상기 제1발열패드(30a)에 대한 10분간의 전원 단락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전원이 단락된 지 10분 후에는 상기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에 대해서 동시에 전원을 인가시켜 이들이 발열되게 하는 것이고 이어 10분간의 전원 단락을 통해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에 저장된 잠열을 이용한 발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어, 전원이 단락된 10분 후에는 상기의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 및 제3발열패드(30c) 모두에 전원을 인가시켜 이들이 동시에 발열하도록 하면 되는 것인데, 이와 같은 전체 발열과 제1발열패드(30a)의 단독 발열 및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의 동시 발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본 발명의 발열패드는 반복적인 발열사이클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발열사이클은 사용자의 신체와 가장 밀접한 부분인 제1발열패드(30a)는 연속적인 단락과 계속하여 이루어지면서 안정적인 발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사용자의 신체와 점차 멀어지는 위치에 속한 제2발열패드(30b)와 제3발열패드(30c)는 좀더 간헐적인 전원 인가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효율적인 발열패드의 활용은 물론 동시에 전력 소모량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 히, 상기와 같은 발열 시간이나 전원차단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 설정이 가능한 것이고 발열온도 역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최적의 따듯함과 안락함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다 분할의 발열패드(30)를 제어 가동시키기 위한 전력절감장치(20)는 도 18의 도시와 같은데, 이러한 전력절감장치(20)는 중앙처리부(24)와 연결되는 각각의 분할 발열패드(30a(30b)(30c)가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들 각각의 분할 발열패드(30a(30b)(30c)에 대한 개별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전력 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전력절감장치(20)의 선택버튼부(21)를 눌러 각기 분할 상태인 분할 발열패드(30a(30b)(30c)에 대한 발열 시간과 전원 차단 시간을 각기 구분 지정한 상태에서 이들 전체를 동시에 작동시키면 처음 20분간은 상기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 및 제3발열패드(30c)에 모두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하게 되는 것이고, 이후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10분간은 전원 단락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의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 및 제3발열패드(30c)는 각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전원공급과 차단을 수행하여 효율적인 전력 절감이 이루어지는 것인데, 인체와 근접하는 부분인 제1발열패드(30a)의 경우에는 빈번한 전원인가와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인체의 주변에 위치하게 되는 제2발열패드(30b)는 상기 제1발열패드(30a) 보다는 좀 더 늦은 차단 시간과 짧은 발열 시간을 갖고 동작되게 하는 것이며, 상기 제2발열패드(30b)의 주변에 위치하여 인체와 가장 멀 리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제3발열패드(30c)는 더욱 연장된 차단 시간과 짧은 발열 시간을 갖고 작동되게 하므로 상기와 같은 발열텐트(10)를 사용하게 되면 빈번 가열부인 제1발열패드(30a)에 의해 온열 및 찜질 작용에 의해 따듯함을 그대로 느낄 수 있으면서도, 주변의 제2발열패드(30b) 및 제3발열패드(30c)에는 간헐 전원 공급을 통해 따듯함만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가동되므로 불필요한 과다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들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 및 제3발열패드(30c) 역시 바이메탈에 의한 과열차단부(33)를 각기 개별적으로 장착 형성함에 따라 개별 제어되는 상기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 및 제3발열패드(30c)에서의 과열이 발생하는 경우 바이메탈 스위치에 의한 물리적인 변형을 통해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게 하므로 화재나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발열텐트는, 발열텐트(10)에 형성되는 발열패드(30)를 바닥시트(15)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적어도 2개체 이상 분할하여 구성하되, 도 19의 도시와 같이 이들 각각의 발열패드(30)가 전기한 컨트롤러(20)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분 접속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이들 각각의 발열패드(30)에 대한 개별 제어를 통해 충전식 전원부(26)의 전력 소모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분할 배치된 각각의 발열패드(30)를 갖는 발열텐트(10)의 바닥시트(15)를 최초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분할 배치된 모든 발열패드(30)에 전원이 공급되게 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동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설정된 발열 시간이 종료되면 모든 발열패드(30)에 대하여 전원을 차단 함과 동시에 각각의 발열패드(30)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여 모든 발열패드(30)에 대한 순차 발열 또는 지정된 개체 또는 집합 형태로 연결된 발열패드(30)가 교번 순차적으로 발열 작동과 작동 중지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초기 사용시 전체적인 발열패드(30)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텐트(10)의 바닥시트(15) 전체에 대한 초기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신속한 온열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후 개별적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만 구분된 개별의 발열패드(30) 만이 순차적으로 점멸되게 하므로 전력 소모량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발열패드(30)가 점멸함에 따라 전원이 단락된 상태에서의 온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나, 상기와 같은 발열텐트(10)의 바닥시트(15)에 내재된 상태의 발열패드(30)는 바닥시트(15) 자체의 보온성 및 발열패드(30)의 잠열 특성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은 따듯함이 지속될 것이므로 상기와 같이 발열패드(30)를 순차적으로 점멸 작동시키더라도 온열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발열패드(30) 모두에 전원을 인가시켜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충전식 전원부(26)의 전력 소모량이 커 3~4시간 동안만 사용할 수 있었던 것에 반하여, 이들 발열패드(30)를 순차적으로 간헐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충전식 전원부(26)에 대한 사용 시간이 2~3배 이상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야외에서의 장시간 작업이나 활동이 필요한 경우에 더욱 효과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가 형성된 발열텐트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텐트의 바닥시트에 대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텐트의 발열패드 결합부 상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텐트의 발열패드 결합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텐트의 발열패드에 대한 분할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텐트의 발열패드에 대한 분할 삽입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텐트의 전력절감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텐트의 발열패드에 대한 일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텐트의 발열패드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도 9의 발열패드에 대한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텐트의 발열패드에 적용된 발열체의 구성도
도 12는 도 11의 발열체에 대한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텐트의 발열패드에 적용된 다른 발열체의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발열체에 대한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텐트의 발열패드에 적용된 또 다른 발열체의 구성도
도 16은 도 15의 발열체에 대한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텐트의 발열패드에 대한 분할 적용 예시도
도 18은 도 17의 발열패드를 제어 작동하기 위한 전력절감장치의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분할된 발열패드에 대한 개별 제어 연결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발열텐트 11 : 내피재
12 : 외피재 13 : 포켓
14 : 주머니 15 : 바닥시트
16 : 텐트폴 17 : 텐트시트
20 : 전력절감장치 21 : 선택버튼부
22 : 시간설정부 23 : 온도설정부
24 : 중앙처리부 25 : 표시부
26 : 충전식 전원부 27 : AC어댑터
30 : 발열패드 31 : 열축적전달체
32 : 단열체 33 : 과열차단부
40 : 발열체 41 : 도전성메쉬
42,42' : 메인전원선 43,43' : 보조전원선
45,45' : 표면시트 46 : 접착시트
47 : 도전성 합연사 47a : 심사
47b : 도전층 47c : 절연층

Claims (25)

  1. 발열텐트(10)의 발열수단으로서 텐트의 바닥시트(15)에 별도의 발열패드(30)를 형성하되, 상기의 발열패드(30)는 충전식 전원부(26)를 갖는 전력절감장치(20)와 연결되게 하여, 상기 발열패드(30)를 갖는 바닥시트(15)로부터 노출된 전력절감장치(20)의 작동에 의해 충전식 전원부(26)의 전원이 발열패드(30)에 제공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발열텐트(10)는 바닥시트(15)로부터 돔형의 텐트시트(17)가 연결 형성되고 상기 텐트시트(17)의 외측에는 텐트폴(16)이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바닥시트(15)에는 발열패드(30)를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3. 제 2항에 있어서,
    바닥시트(15)는, 텐트 내부를 향하는 내피재(11)와 지면을 향하는 외피재(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열패드(30)는 내피재(11)와 외피재(12)의 사이에 내재 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4. 제 1항에 있어서,
    발열텐트(10)의 바닥시트(15)에는 별도의 주머니(14)를 형성하여 발열패드(30)와 연결되는 전력절감장치(20)를 상기 주머니(14)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5. 제 1항에 있어서,
    발열패드(30)의 바닥시트(15)에는 별도의 포켓(13)을 형성하여 상기 포켓(13) 내부에 발열패드(30)가 삽입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6. 제 5항에 있어서,
    포켓(13)은, 바닥시트(15)에 대하여 적어도 2개체 이상으로 구분 형성되고 이들 각각의 포켓(13)에는 대응의 크기를 갖는 발열패드(30)가 삽입되게 하되, 상 기 각각의 발열패드(30)는 상호 간의 분리와 접속이 가능한 플러그 잭과 소켓 구조에 의해 병렬 연결되게 하여, 불필요한 위치에 해당하는 발열패드(30)는 전원을 차단하여 소모전력이 감소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7. 제 1항에 있어서,
    전력절감장치(20)는, 선택버튼부(21)에 의해 가변되는 시간설정부(22)와 온도설정부(23)를 갖고, 상기 시간설정부(22) 및 온도설정부(23)와 연결된 중앙처리부(24)는 설정된 온도와 단속시간을 갖고 발열패드(30)로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중앙처리부(24)와 연결된 표시부(25)에 의해서는 전원 인가 여부와 세팅된 작동시간 및 설정온도와 전원 잔량 및 전원에 대한 전압, 충전상태가 점등 및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전력절감장치(20) 내부의 충전식 전원부(26)는 AC어댑터(27)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여 상기 중앙처리부(24)를 통해 발열패드(30)로 공급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8. 제 1항에 있어서,
    발열패드(30)는, 상하로 중첩된 표면시트(45)(45')의 사이에 발열체(40)가 내장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9. 제 8항에 있어서,
    표면시트(45)(45')의 사이에는 접착시트(46)를 삽입하여 가열 압착에 의한 접착시트(46)의 용융으로 인해 상기 표면시트(45)(45')가 서로 융착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10. 제 8항에 있어서,
    표면시트(45)(45')는 네오프렌(neoprene) 또는 스판덱스(spandex) 중 선택된 하나의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11. 제 1항에 있어서,
    발열패드(30)는, 상부의 열축적전달체(31)와 하부의 단열체(32) 사이에 발열체(40)가 내장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 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열축적전달체(31)는, 테크노 써모(Techno thermo) 원단의 상부면에 면직물지를 밀착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13. 제 11항에 있어서,
    단열체(32)는, 화이버글라스 실리카패드(fiber glass silica pa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14. 제 1항에 있어서,
    발열패드(30)는, 상하로 중첩된 표면시트(45)(45')의 사이에 발열체(40)가 내장되고, 상측의 표면시트(45) 상면으로는 열축적전달체(31)가 형성되고 하측의 표면시트(45')의 저면으로는 단열체(32)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15. 제 1항에 있어서,
    도전성메쉬(41)에 의한 유연성 발열체(40)로 된 발열패드(30)는, 발열텐트(10)의 바닥시트(15)에 있어 인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제1발열패드(30a)로 분할 이격 형성하고, 상기 제1발열패드(30a)의 주변으로 제2발열패드(30b)를 형성하며, 상기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의 주변으로 형성되는 제3발열패드(30c)로 각기 분할 형성하여, 이들 분할의 발열패드에 대한 개별 전원 공급을 통해 각기 발열패드에 대한 발열 시간이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16. 제 14항에 있어서,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 및 제3발열패드(30c)는 초기 구동시 전체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시 발열 후 동시 전원 단락되게 하고, 이어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 및 제3발열패드(30c)의 전원 인가와 전원 차단의 시간에 대하여 제2발열패드(30b)는 제1발열패드(30a) 보다 늦은 인가와 차단 시간을 갖게 하고, 제3발열패드(30c)는 제2발열패드(30b) 보다 늦은 인가와 차단 시간을 갖게 하여, 전체적으로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 및 제3발열패드(30c)가 반복적인 차등의 전원 인가와 차단의 사이클을 갖고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 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17. 제 15항에 있어서,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 및 제3발열패드(30c)는, 선택버튼부(21)에 의해 가변되는 시간설정부(22)와 온도설정부(23)를 갖고 상기 시간설정부(22)와 온도설정부(23)와 연결된 중앙처리부(24)는 설정된 전원과 단속시간을 갖고 발열부(30)로 전원을 제어 공급하며, 상기와 같이 설정된 온도와 시간 및 전원 단속상태와 충전상태를 출력하는 표시부(25)를 갖는 전력절감장치(20)에 의해 작동되게 하되,
    상기의 전력절감장치(20)는 제1발열패드(30a)와 제2발열패드(30b) 및 제3발열패드(30c)에 대한 개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18. 제 8항, 제 11항, 제 14항,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열체(40)는, 격자 형태로 된 도전성메쉬(41)의 양 끝단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메인전원선(42)(42')과 상기 메인전원선(42)(42')의 사이에 균등간격으로 배치된 보조전원선(43)(43')으로 구성되어,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에 교번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극성이 인가되도록 연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19. 제 18항에 있어서,
    도전성메쉬(41)는, 격자 형태로 된 심재(41a)의 표면에 액상실리콘 고무와 카본블랙이 혼합된 도전성 조성물에 의한 코팅층(41b)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층(41b)의 표면에는 절연층(41c)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20. 제 8항, 제 11항, 제 14항,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열체(40)는, 나란하게 연속하여 배치된 신축성 발열선(44)의 양 끝단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메인전원선(42)(42')과 상기 메인전원선(42)(42')의 사이에서 신축성 발열선(44)과 접속 상태로 균등 배치된 보조전원선(43)(43')으로 구성되어,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에 교번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극성이 인가되도록 연결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21. 제 20항에 있어서,
    신축성 발열선(44)은, 신축성 심재(44a)의 표면에 도전성 코일선(44b)을 권취 형성하고, 상기 심재(44a)와 도전성 코일선(44b)의 외면에는 신축성 절연재(41c)를 피복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22. 제 8항, 제 11항, 제 14항,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열체(40)는, 도전성 합연사(47)를 위사와 경사 형태로 배치되게 직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직조된 도전성 합연사(47)의 양측에는 도전성 합연사(47)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메인전원선(42)(42')과 상기 메인전원선(42)(42')의 사이에 도전성 합연사(47)와 접점을 형성하며 균등간격으로 배치된 보조전원선(43)(43')으로 구성되어,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에 교번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극성이 인가되도록 연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23. 제 22항에 있어서,
    도전성 합연사(47)는, 유리섬유가 합연된 심사(47a)의 표면에 액상실리콘 고무와 카본블랙이 혼합된 도전성 조성물에 의한 도전층(47b)을 형성하고, 상기 도전층(47b)의 표면에는 액상실리콘 고무에 의한 절연층(47c)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24. 제 8항, 제 11항, 제 14항,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열체(40)에는, 바이메탈에 의한 과열차단부(33)를 연결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25. 제 1항에 있어서,
    발열패드(30)는 발열텐트(10)의 바닥시트(15) 전체면에 대하여 각기 구분된 형태로 분할 형성하고, 분할된 상기 각각의 발열패드(30)는 전기한 컨트롤러(20)에 각기 개별 연결되게 하여, 상기 컨트롤러(20)의 개별 제어를 통해 각각의 발열패드(30)에 순차 간헐적으로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컨트롤러(20)의 충전식 전원부(26)에 대한 소모 전력의 감소로 인한 사용 시간이 연장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KR1020090110566A 2009-11-16 2009-11-16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KR20110053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566A KR20110053871A (ko) 2009-11-16 2009-11-16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566A KR20110053871A (ko) 2009-11-16 2009-11-16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871A true KR20110053871A (ko) 2011-05-24

Family

ID=4436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566A KR20110053871A (ko) 2009-11-16 2009-11-16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38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0972A (ko) * 2013-11-01 2015-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텐트
KR20170035095A (ko)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동서에너지 온열 텐트
KR102107011B1 (ko) * 2019-05-10 2020-05-28 성부경 백패킹 취침용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0972A (ko) * 2013-11-01 2015-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텐트
KR20170035095A (ko)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동서에너지 온열 텐트
KR102107011B1 (ko) * 2019-05-10 2020-05-28 성부경 백패킹 취침용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3870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이불
KR100980108B1 (ko) 다용도 발열패드
EP333729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ing element, heating element manufactured thereby, and use method thereof
CN101785586A (zh) 智能调温服装
KR200474260Y1 (ko)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온열매트
KR20110053029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발열시트
KR20120005790U (ko) 온돌 벤치
KR20110053865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무릎덮개
KR20110053869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아용 카시트
KR20110053871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KR20110053866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방석
KR20110053863A (ko) 유연성 발열체를 이용한 착용형 발열패드
KR20110053873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아용 모포
KR20110048411A (ko) 신축성 발열선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침낭
KR20110053872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발싸개
KR20110053028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CN202211473U (zh) 不带电时控防叠燃康疗电热毯
KR20110048408A (ko) 도전성 합연사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침대커버
KR20110048409A (ko) 유연성 발열메쉬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침낭
KR20110053867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휠체어
KR20110048412A (ko) 도전성 합연사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침낭
KR20110048415A (ko) 신축성 발열선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침대커버
CN211794351U (zh) 一种电加热袜
KR100980109B1 (ko) 인체 감응형 다용도 발열패드
CN200994614Y (zh) 一种分区控温式电热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