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028A -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028A
KR20110053028A KR1020090109818A KR20090109818A KR20110053028A KR 20110053028 A KR20110053028 A KR 20110053028A KR 1020090109818 A KR1020090109818 A KR 1020090109818A KR 20090109818 A KR20090109818 A KR 20090109818A KR 20110053028 A KR20110053028 A KR 20110053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ing pad
heating element
pad
s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호
Original Assignee
김수호
주식회사 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호, 주식회사 우석 filed Critical 김수호
Priority to KR102009010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3028A/ko
Publication of KR20110053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7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생아 또는 영,유아들이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발열체에 메인 및 보조전원선을 내장하여 된 발열패드에 충전식 전원부가 내장된 컨트롤러를 연결 형성하고, 상기 발열패드는 단독형 또는 분할형으로 구성하여 이를 유모차의 시트커버에 재봉하여 내재시키거나 시트커버 표면에 별도의 포켓을 형성하여 발열패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얇고 유연성이 뛰어나면서도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발열패드에 의해 유모차의 시트커버 중량이 지나치게 무거워지거나 이동성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것이고, 분할 형태의 발열패드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부분의 발열패드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효율성은 물론 편리성이 뛰어난 것이며, 유모차 시트커버 자체의 보온성에 발열패드의 열기가 더해지므로 매우 우수한 방한 작용 및 체온 보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고, 유연성 발열체가 전체적으로 고른 전압의 분포도를 유지케 하여 발열 온도가 고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류충돌이나 전압강하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중의 오류나 발열 온도 편차 등을 예방하므로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발열패드, 발열체, 발열메쉬, 발열선, 유모차, 컨트롤러, 충전식 전원부

Description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Baby carriage having pad using flexible heating unit}
본 발명은 신생아 또는 영,유아들이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성 발열메쉬 또는 신축성 발열선이나 도전상 합연사에 의한 발열체로 된 발열패드에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충전식 전원부가 내장된 컨트롤러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발열패드는 단독 또는 분할형으로 구성하여 이들을 유모차의 시트커버에 직접 고정 형성하거나 별도의 포켓을 형성하여 포켓 내부에 삽입 형성함으로써, 동절기 또는 기온이 낮은 환경에서 신생아 및 영,유아의 체온의 보호는 물론 방한 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생아는 물론 영아 및 유아와 같이 본인의 의지에 의해 보행이 어렵거나 장시간 또는 장거리 보행이 어려운 어린이를 쉽고 편리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유모차이다.
이와 같은 유모차는 다양한 구조와 모양 및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인데, 통상 적으로 가장 기본적인 유모차의 형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된 프레임에 3~4개의 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등받이부와 좌석부를 갖는 시트커버가 고정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모차는 어린이가 앉은 상태에서의 전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으므로 기온이 낮지 않을 경우에는 불편함 없이 사용하나 동절기 또는 기온이 낮은 상태에서는 바람이나 낮은 기온에 어린이가 노출되므로 사용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신생아 및 영,유아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무척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이고, 급격하게 온도가 변한 상황에서 장시간 신생아가 노출되면 감기 등을 앓게 되어 매우 곤란함을 겪게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예민한 반응 및 감기와 같은 질병은 신생아의 육체적이고 정신적인 건강에 극히 이롭지 않은 것이 당연한 것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유모차에 별도의 발열체의 내장하고자 시도된 바 있으나, 빈번하게 접힘과 펼침이 이루어지는 유모차의 시트커버 특성상 기존의 발열체가 갖는 꺽임에 의한 단선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발열 기능을 갖는 유모차가 구체적으로 제작되거나 시행된 바는 거의 없는 실정일 뿐만 아니라 그 사용 수명도 매우 짧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유모차 발열체는 꺽임에 대한 단선의 문제점 이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연속적인 가동 및 발열이 이루어지게 하므로 과도한 소모전력을 갖는 것이므로 실외에서의 장시간 이동성을 갖는 유모차에 적용하는데에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열체는 전원의 공급이 발열체의 양쪽 끝단에서만 이루어지게 하고 있어 발열체의 넓이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저항값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순간적인 전압강하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고 전류량이 줄어들어 발열온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전압강하 및 줄어드는 전류량으로 인해 국부 저온현상이 발생하거나 발열자체가 안되어 발열체로의 사용이 곤란한 등 기술적인 한계점을 노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국부적인 고온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절연 피복층이 파괴되므로 감전이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에 대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유연성 발열메쉬 또는 신축성 발열선이나 도전성 합연사로 된 발열체에 메인 및 보조전원선을 내장하여 된 발열패드에 충전식 전원부가 내장된 컨트롤러를 연결 형성하고, 상기 발열패드는 단독형 또는 분할형으로 구성하여 이를 유모차의 시트커버에 재봉하여 내재시키거나 시트커버 표면에 별도의 포켓을 형성하여 발열패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유연성 발열패드가 갖는 발열 효과 및 전기적인 안정성으로 인해 종래의 발열체 및 유모차가 갖고 있던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유연성 발열 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퀴를 갖는 프레임체에 시트커버가 장착된 유모차에 별도의 발열패드를 형성하되, 상기의 발열패드는 유연성 발열메쉬 또는 신축성 발열선에 보조전원선을 연결 형성하여 된 발열체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발열패드는 충전식 전원부를 갖는 컨트롤러와 연결되게 하며, 상기 컨트롤러 내 충전식 전원부는 AC어댑터와 연결되게 하여, 상기 발열패드를 갖는 시트커버로부터 노출된 컨트롤러의 작동에 의해 충전식 전원부의 전원이 발열패드에 공급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얇고 유연성이 뛰어나면서도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발열패드에 의해 유모차의 시트커버 중량이 지나치게 무거워지거나 이동성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것이고, 분할 형태의 발열패드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부분의 발열패드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효율성은 물론 편리성이 뛰어난 것이며, 유모차 시트커버 자체의 보온성에 발열패드의 열기가 더해지므로 매우 우수한 방한 작용 및 체온 보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고, 유연성 발열체가 전체적으로 고른 전압의 분포도를 유지케 하여 발열 온도가 고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류충돌이나 전압강하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중의 오류나 발열 온도 편차 등을 예 방하므로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가 형성된 유모차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시트커버에 대한 전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다양한 구조로 된 프레임(15)에 바퀴(16)를 장착하여 되고 상기 프레임(15)에는 시트커버(17)를 장착하여 된 공지의 유모차에 대하여 상기 시트커버(17)에 별도의 발열패드(30)를 결합 형성하거나 삽입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발열패드(30)는 충전식 전원부(26)를 갖는 컨트롤러(20)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컨트롤러(20)의 조작을 통해 충전식 전원부(26)로부터 발열패드(30)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발열하는 것이고, 상기 발열패드(30)에 대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본 발명의 유모차를 사용하는 어린이는 어린이의 신체와 밀착되는 시트커버(17)의 온열 작용으로 인해 따듯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발열패드(30)는 유모차(10)의 시트커버(17)에 대하여 단일체로 형성하거나 유모차(10)의 시트커버(17) 전체면에 대하여 다수로 분할 형성하여 이들을 서로 병렬 연결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이는 사용자 또는 제작자의 편의 및 다양성에 따라 발열패드(30)의 위치와 개수에 대한 제한 없이 다양한 가변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유모차(10)의 시트커버(17)는 통상적으로 등받이부(17')와 좌석부(17")로 이루어져 있는 것인데, 이들 등받이부(17')와 좌석부(17")로 된 시트커버(17)는 다양한 재질의 표피(11)와 쿠션재(12)의 재봉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저가형 또는 휴대 및 이동상의 편리성을 위해 쿠션재 없이 단일지의 형태로 된 표피(11) 만으로 된 시트커버(17)도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시트커버(17)의 등받이부(17')와 좌석부(17")에 위치하게 되는 발열패드(30)는 2개체로 분할 구성하거나 이들 등받이부(17') 및 좌석부(17")를 연결하는 단일 개체의 발열패드(30)로 적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시트커버(17)가 표피(11)와 쿠션재(12)의 재봉 구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발열패드(30)를 표피(11)와 쿠션재(12)의 사이에 내재되게 한 상태에서 이들 표피(11)와 쿠션재(12)의 재봉을 통해 상기 발열패드(30)가 은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열패드(30)가 완전히 은폐 고정되게 하는 것이 아닌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시트커버(17)의 표면에 별도의 포켓(13)을 원하는 위치로 재봉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포켓(13)의 내측으로 발열패드(30)를 삽입하여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유모차는 시트커버(17)의 표면이나 가장자리에 별도의 주머니(14)를 형성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의 컨트롤러(20)를 주머니(14)의 내부에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컨트롤러(20)에 대한 간편한 관리 및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의 주머니(14)에 대한 위치는 상기의 유모차(10)를 이용하여 어린이를 태운 상태에서 상기의 주머니(14)가 아이의 엄마나 보호자 등의 시야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시트커버(17)의 끝부분이나 측부 가장자리에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모차(10)는 종래의 일반적인 유모차와 마찬가지의 사용 형태로 나타나게 될 것이고, 시트커버(17)에 결합되는 발열패드(30)는 더욱 다양한 구성을 갖게 될 것이다. 즉, 상기의 발열패드(30)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하나의 유모차(10)에 대하여 다수로 분할된 발열패드(30)가 서로 병렬 연결된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발열패드(30)가 분할 형태인 경우 각각의 발열패드(30)를 병렬 형태로 연결 형성하여 이들을 컨트롤러(20)에 접속시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20)의 충전식 전원부(26)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이 동시에 각각의 발열패드(30)에 전달되므로 빠르고 효과적인 발열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컨트롤러(20)와 발열패드(30)는 노출 상태에서 서로 분리 가능한 일반적인 플러그 잭 및 소켓에 의한 접속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컨트롤러(20) 역시 AC어댑터(27)와 플러그 잭 및 소켓에 의한 분리와 결합의 접속구조를 갖고 있어 발열이 불필요한 위치의 발열패드(30)는 플러그 잭의 분리를 통해 전원이 차단 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가장 효율적이고 적합한 발열 상태를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시트커버(17)의 표면에 별도의 포켓(13)을 재봉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포켓(13)에 발열패드(30)를 삽입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인데, 상기의 포켓(13)을 도 6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 부분에 각기 구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들 각각의 포켓(13)에 상응의 크기를 갖는 발열패드(30)를 개별적으로 삽입 또는 분리 제거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부분에만 제한적인 발열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발열패드(30)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발열패드(30) 모두를 포켓(13)으로부터 제거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유모차의 시트커버와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합리적인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발열패드(30)를 분할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선택적인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열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의 등 부분이나 허리 부분 또는 엉덩이나 허벅지 부분에 발열패드(30)를 집중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발열패드가 형성될 때보다 그 소모전력은 현저히 낮추면서도 온열작용은 그대로 유지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AC어댑터(27)를 이용하여 가정 내에서 컨트롤러(20) 내부의 충전식 전원부(26)에 대하여 충분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의 발열패드(30)를 갖는 시트커버(17)로부터 노출된 컨트롤러(20)를 작동시켜 충전식 전원부(26)의 전원이 발열패드(30)로 공급되게 하면 상기 발열패드(30)가 가열됨에 따라 온열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유모차에 대한 컨트롤러와 발열패드에 대한 상세한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의 컨트롤러(20)는, 선택버튼부(21)와 시간설정부(22) 및 온도설정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시간설정부(22)와 온도설정부(23)가 연결된 상태의 중앙처리부(24)는 별도의 충전식 전원부(2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시간설정부(22) 및 온도설정부(23)에 의해 조정된 온도와 전원단속 시간을 갖고 상기 전원을 발열패드(3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정된 시간이나 온도 및 충전상태 등은 별도의 표시부(2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충전식 전원부(26)는 저전압 직류용 충전지 또는 슈퍼콘덴서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AC어댑터(27) 등을 이용하여 가정용 교류 전원을 통해 축전시킨 상태에서 축전된 전원을 사용하도록 하면 되는 것인데 충전식 전원부(26)로 인해 상기의 발열패드(30)가 결합된 시트커버(17)가 장착된 유모차(10)는 이동에 지장을 받지 않을 것이므로 결국 야외에서도 매우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의 컨트롤러(20)는 충전식 전원부(26)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이를 발열패드(3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인데, 상기의 컨트롤러(20)에는 선택버튼부(21)와 시간설정부(22) 및 온도설정부(23)와 중앙처리부(24) 및 표시부(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이와 함께 충전식 전원부(26)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선택버튼부(21)를 통해 전원의 온, 오프 및 시간설정과 온도설정을 수행하게 되면 이와 같은 신호를 전달받은 중앙처리부(24)는 상기와 같은 설정값에 알맞은 전원을 발열패드(30)로 공급 및 차단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상기의 표시부(25)에서는 셋팅된 시간이나 온도의 표시와 충전식 전원부(26)의 배터리 잔량 표시 및 배터리 전압 등을 표시하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 충전중이거나 충전완료 상태 등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표시부(25)는 엘이디와 액정화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컨트롤러(20)를 이용한 본 발명의 유모차에 형성된 발열패드에 대한 작동순서를 설명하면, 우선 선택버튼부(21)를 눌러 발열패드(30)에 대한 발열 온도를 설정하게 되는 것인데 예컨데 상기의 선택버튼부(21)를 구성하고 있는 특정의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때마다 발열온도가 저온-중온-중고온-고온-초고온-저온과 같은 순서를 갖고 변환 설정되도록 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의 선택이 가능한 것이고 선택된 온도 범위는 상기 표시부(25)에서의 엘이디 점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선택버튼부(21)를 구성하고 있는 특정의 버튼을 눌러 전원의 단속 시간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발열패드(30)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시간과 차단시간을 1~40분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하게 되면 상기의 온도설정부(23)에서 설정된 온도를 갖고 상기 시간설정부(22)에서 설정된 전원인가 및 차단의 과정을 연속하여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온도설정부(23)에서의 발열 온도의 조절은 상기 선택버튼 부(21)의 조작에 따라 발열패드(30)에 인가되는 전류 량이 가변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발열패드(30)에는 바이메탈에 의한 과열차단부(33)를 추가로 형성함에 따라 원하는 설정된 온도대역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상기 바이메탈의 물리적인 성질에 의해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게 하므로 과열에 의한 화재나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저전압 DC용 충전지에 의한 충전식 전원부(26)를 사용하여 단독 또는 다수의 발열체(40)로 된 발열패드(30)를 작동시킴에 있어, 축전지에 의한 충전식 전원부(26)와 상기 제어 작동을 위한 각종 전자회로는 충전지와 전자회로가 하나의 케이스 내에 함께 내장 고정되어 있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온도가 다수단계로 조절될수 있게 하는 회로를 내장시켜 만드는데 회로를 기판 위에 구성하되 선택버튼부(21)에 의한 스위치를 한번 누르면 저온, 두 번 누르면 중온, 세 번 누르면 중고온, 네 번 누르면 고온, 다섯 번 누르면 초고온이 되게 하는 등 한 개의 온도조절 스위치를 여러 번 누르면 온도가 조절되는 형태로 만들고, 또한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전류를 차단하고 흐르게 해주는 것을 반복할 수 있으며(예시 : 처음 20분간 통전 후 차단, 그 다음부터는 10분 간격으로 통전, 차단을 연속적으로 반복), 충전지에 연결할 수 있는 단자를 만들어 이 기판을 충전지 케이스에 내장시킨다.
상기의 충전식 전원부(26)를 구성하고 있는 충전지는 교체할 수 있어야 하고 케이스 내부에는 위의 온도조절기기능이 설계된 기판이 내장되게 하며, 사용 충전지가 리튬 이온 계열 충전지일 경우 폭발방지 회로가 동시에 내재되게 만드는 것 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케이스 외부에는 발열패드(30)에서 뽑아져 나와 방수잭이 연결된 전원선을 꽂아 사용할 수 있는, 또한 충전지를 충전시킬 때 사용하는 AC어댑터(27)를 꽂아서 사용할 수 있는 전원 홈을 만들고, 내부의 충전지를 빼내지 않고 위의 전원 홈에 어댑터 잭을 꽂으면 바로 충전이 되고, 방수잭을 꽂으면 발열부로 전류가 공급되게 하는 구조로 만들고, 또한 케이스 외부에 온도를 조절하는 스위치를 달아 이것으로 온도를 조절하고, 케이스 외부에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달아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만든다
이에 따라서, 상기의 충전식 전원부 및 시간과 온도조절부는 일체형으로 한 개의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고 이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발열체(40)와 과열차단부(33)가 결합된 발열패드(30)를 구성하고 상기 컨트롤러(20)에 달린 전원 홈(콘넥터)에 발열패드(30)에 달린 전원 잭을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2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하는 상기의 발열패드(30)는 유연성 발열메쉬 또는 신축성 발열선 등의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발열수단을 적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발열수단에 의해 만들어진 발열패드(30)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최상측에 열축적전달체(31)가 위치하고 그 하측으로는 발열체(40)가 위치하며 최하부에는 단열체(32)가 위치하여 이들이 서로 재봉 또는 접착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의 열축적전달체(31)는 테크노 써머(Techno thermo)로 된 원단의 상부에 면직물지를 덧붙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의 테크노 써머(Techno thermo)는 광에너지 흡수 발열기능 원사와 W단면 원사를 조합하여 제작함으로써 더욱 높은 보온성을 실현시킨 신소재이고 빛에너지가 활발하지 않은 흐린 날씨에서도 일반적인 원단보다는 보온성이 뛰어나며 종래의 축열기능 원사에 비교하여 열전도성이 낮은 소재이므로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원단인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열축적전달체(31)는 발열체(40)에 의한 열기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방열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고 면직물지는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므로 더욱 안락한 느낌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단열체(32)는 화이버글라스 실리카패드(fiber glass silica pad)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화이버글라스 실리카패드(fiber glass silica pad)는 통상적으로 우주복 소재라고도 하는 것인데 수천 ℃에서도 견디고 한쪽 방향으로 열전도를 완전히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소재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인데, 상기의 단열체(32)는 발열체(40)에서의 열기가 불필요한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의 열기가 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온전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하므로 불필요한 열기의 방출을 차단하여 더욱 고효율의 발열 특성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유연성 발열패드(30)는 열축적전달체(31)와 단열체(32)의 사이에 위치하는 발열체(40)의 발열작용이 고르고 효과적으로 확산 및 전도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열패드(30)에 대한 신축성이나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나 절연 성 및 방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도 9 및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기 발열체(40)의 상,하면에 각기 별도의 표면시트(45)(45')를 부착 형성하여 발열패드(30)를 제작함에 따라 이들 표면시트(45)(45')가 갖는 재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상기 발열패드(30)는 신축성이나 내구성 및 방수성 또는 절연성 등의 다양한 물리적 특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의 표면시트(45) 상에 전원선을 갖는 발열체(40)를 올려놓고 상기 발열체(40)의 상부면에 제2의 표면시트(45')를 순차적으로 올려놓은 후, 고온의 가압 프레스 장치에 의해 상기 표면시트(45)(45')를 가압하게 되면 이들 표면시트(45)(45')가 서로 열용융되면서 분할의 표면시트(45)(45')를 서로 접착시키는 동시에 이들 표면시트(45)(45')의 사이에 발열체(40)가 전원선과 함께 매립된 상태의 발열패드(30)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표면시트(45)(45') 사이에 비닐지와 같은 별도의 접착시트(46)를 삽입하여 가열 압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비닐지로 된 접착시트(46)의 경우 융점이 매우 낮은 특성을 갖고 있어 상기 비닐지 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다양한 재질의 표면시트(45)(45')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즉, 상기의 표면시트(45)(45')를 부직포 또는 직물지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부직포나 직물지로 된 표면시트(45)(45')에 의해 부드러운 촉감은 물론 발열패드(30)의 연성에는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고, 상기의 표면시트(45)(45')를 네오프렌(neoprene)과 같은 방수원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열패드(30) 전체가 방수 기능을 담당하므로 발열패드에 대한 누전이나 감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표면시트(45)(45')를 신축성이 뛰어난 스판덱스(spandex)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발열패드(30)는 더욱 뛰어난 신축성을 갖게 되므로 인체의 움직임이나 발열패드(30)에 가해지는 다양한 압력 및 하중으로부터 무리없이 연속적이고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발열패드(30)를 구성하기 위한 발열체(40)는, 그물망 형태로 된 도전성메쉬(41) 또는 와이어 형태로 된 신축성 발열선(44)에 의해 만들어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도전성메쉬(41)의 경우 넓은 면적에 대하여 유연함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고 신축성 발열선(44)의 경우에는 우수한 신축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의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즉, 상기의 발열체(40)는 도 11 및 도 12의 도시와 같이 섬유사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사 또는 고무사 등을 이용하여 위사와 경사 또는 씨줄과 날줄 형태로 직조된 심재(41a)의 전체 표면에 도전성 조성물에 의한 도전성 코팅층(41b)을 형성하고, 상기의 도전성 코팅층(41b)의 표면에는 액상실리콘고무 등으로 된 절연체를 코팅하거나 피복하여 된 절연층(41c)을 형성하여 된 도전성메쉬(41)에 의한 것으로서, 상기의 도전성메쉬(41)에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도전성 조성물에 의해 이루어진 상기 도전성 코팅층(41b)이 발열하여 발열체(40)에 대한 전체적인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직조된 심재(41a)를 도전성 조성물 내에 함침하거나 상기 의 도전성 조성물을 심재(41a)의 표면에 도포 또는 덧칠하여서 상기의 도전성 조성물에 의한 코팅층(41b)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도전성 조성물은 액상 실리콘 고무와 도전성 카본블랙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액상 실리콘 고무와 도전성 카본블랙이 질량비 기준 100:1~15로 혼합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이와 같이 심재(41a)와 코팅층(41b) 및 절연층(41c)이 형성되어진 도전성메쉬(41)에는 상기 코팅층(41b)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선을 연결 형성하여 발열체(40)를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의 전원선은 도전성메쉬(41)의 양끝단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메인전원선(42)(42')과 이들 메인전원선(42)(42')의 사이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보조전원선(43)(43')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은 도전성 조성물에 의한 코팅층(41b)과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들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상기의 코팅층(41b)은 통전 상태가 됨과 동시에 코팅층(41b) 자체가 저항체의 역할을 수행하여 저항에 의한 발열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보조전원선(43)(43')은 도전성메쉬(41)의 넓이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개체수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인데, 도전성메쉬(41)가 넓거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보조전원선(43)(43')의 개체수를 비례적으로 증가시켜 전원선 간의 사이 간격이 지나치게 멀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보조전원선(43)(43')의 개체수를 가감하여 유연성 발열 체(40)를 제작할 수 있어 발열체의 길이가 아무리 길어지거나 넓이가 커지더라도 실제 전원이 공급되는 곳의 저항값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전압강하가 전혀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류 분포가 균일해지므로 국부 가열이나 국부 저온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은 교번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연결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서로 이웃하는 전원선의 극성이 동일한 경우에는 통전이 이루어지지 아니할 것이므로 서로 이웃하는 전원선 간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이들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 들을 양극 또는 음극의 전원부에 각기 구분 접속하면 인가되는 전원으로부터 상기의 발열체(40)는 고르고 안정적인 발열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특정 전압에 맞추어 발열체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압에 맞추어 도전성메쉬(41)의 격자 크기를 조절하여 이에 설치되는 보조전원선(43)(43')의 설치 간격을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즉, 저 전압용 발열체를 만들려면 공급전압이 낮은 관계로 작은 저항값에서 전압강하가 일어난다는 점에 착안하여 메쉬의 격자 크기를 아주 작게 만들고 또한 보조전원선(43)(43')을 다수 설치하되 그 간격을 조밀하게 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전압을 걸어보면서 절연층(41c)(필요에 따라 코팅층의 표면에 액상 실리콘 고무에 의한 절연층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피복재를 덧씌워 형성할 수 있음)이 파괴되지 않으면서도 최상의 발열이 이루어지는 최적의 격자크기와 전원공급선의 간격을 만들어내면 되는 것이다.
반면에 고 전압용 발열메쉬를 만들려면 도전성메쉬(41)의 격자 크기를 크게 만들고 보조전원선(43)(43')의 간격을 크게 하여 배치하면 된다. 이때 메쉬의 격자 크기에 대한 조절은 메쉬의 격자 사이에 가로줄과 세로줄 간에 서로 코로나가 발생되어 절연이 파괴되지 않도록 넓히되 격자 크기가 너무 커서 전압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최적점의 격자크기로 조절하여 만들고 전원공급선의 간격도 전압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최대거리로 벌려서 넓게 설치하여 만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발열체(40)를 구성함에 있어 주요한 발열수단으로서 도 13 및 도 14의 도시와 같이 신축성 발열선(44)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신축성 발열선(44)은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신축성 실리콘수지로 이루어진 신축성 심재(44a)의 표면에 카본섬유사로 된 도전성 코일선(44b)을 권취 형성한 상태에서, 이들 신축성 심재(44a) 및 도전성 코일선(44b)의 표면에 역시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신축성 실리콘수지로 된 신축성 절연재(44c)를 피복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신축성 발열선(44)의 도전성 코일선(44b)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도전성 코일선(44b)이 저항체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발열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결국 상기 신축성 발열선(44)에 대한 온도 상승은 물론 열전도를 통해 발열체(40) 전체에 대한 발열 작용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신축성 심재(44a)와 도전성 코일선(44b) 및 신축성 절연재(44c)에 의해 형성되어진 신축성 발열선(44)에는 상기 도전성 코일선(44b)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선을 연결 형성함에 따라 목적하는 발열체(40)를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의 전원선은 신축성 발열선(44)의 양끝단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메인전원선(42)(42')과 이들 메인전원선(42)(42')의 사이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보조전원선(43)(43')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은 도전성 코팅선(44b)과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들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상기의 도전성 코일선(44b)은 통전상태가 됨과 동시에 도전성 코일선(44b) 자체가 저항체의 역할을 수행하여 저항에 의한 발열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보조전원선(43)(43')은 신축성 발열선(44)의 전체 길이에 따라 다양한 개체수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인데, 신축성 발열선(44)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보조전원선(43)(43')의 개체수를 비례적으로 증가시켜 전원선 간의 사이 간격이 지나치게 멀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보조전원선(43)(43')의 개체수를 가감하여 발열체(40)를 제작할 수 있어 발열체의 길이가 아무리 길어지더라도 실제 전원이 공급되는 곳의 저항값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전압강하가 전혀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류 분포가 균일해지므로 국부 가열이나 국부 저온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은 교번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연결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서로 이웃하는 전원선의 극성이 동일한 경우에는 통전이 이루어지지 아니할 것이므로 서로 이웃하는 전원선 간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이들 메인전원 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들을 양극 또는 음극의 전원부에 각기 구분 접속하면 인가되는 전원으로부터 상기의 신축성 발열체(40)는 고르고 안정적인 발열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특정 전압에 맞추어 발열체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압에 맞추어 신축성 발열선(44)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에 설치되는 보조전원선(43)(43')의 설치 간격을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즉, 저 전압용 발열체를 만들려면 공급전압이 낮은 관계로 작은 저항값에서 전압강하가 일어난다는 점에 착안하여 신축성 발열선(44)에 대하여 보조전원선(43)(43')을 다수 설치하되 그 간격을 조밀하게 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전압을 걸어보면서 절연재가 파괴되지 않으면서도 최상의 발열이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선의 최적 간격을 만들어내면 되는 것이다.
반면에 고 전압용 발열체를 만들려면 신축성 발열선(44)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보조전원선(43)(43')의 간격을 넓게 하여 배치하면 된다. 이때 보조전원선(43)(43')의 간격은 전압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최대거리로 벌려서 넓게 설치하여 만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발열체(40)를 구성함에 있어 주요한 발열수단으로서 도 15 및 도 16의 도시와 같이 도전성 합연사(47)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도전성 합연사(47)는 불연성과 내구성이 크면서도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 유리섬유를 수 가닥 합연하여 만들어진 심사(47a)의 표면에 액상실리콘 고무와 카본블랙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도전성 조성물을 코팅하여 도전층(47b)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도전층(47b)의 표면에 신축성 실리콘수지로 된 절연층(47c)을 코팅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도전성 합연사(47)는 양측 끝단으로부터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도전층(47b)이 저항체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발열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결국 상기 도전층(47b)에서의 열기는 절연층(47c)을 통해 전도되면서 발열체(40 전체에 대한 가열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리섬유에 의한 심사(47a)와 카본블랙에 의한 도전층(47b) 및 실리콘 고무에 의한 절연층(47c)으로 된 도전성 합연사(47)를 위사와 경사의 형태로 서로 직조하여 그물망의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면 되는 것인데, 이때의 도전성 합연사(47)에 의한 그물망의 직조 방법은 트리코트(Tricot) 또는 편성(Knitted)이 아닌 일반적인 직조 형태인 레노직과 평직을 조합하여 서로 교차하는 도전성 합연사(47) 간의 접점이 자연스럽게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도전성 합연사(47)에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상기의 도전성 합연사(47)에 의한 발열체(40)는 온열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도전성 합연사(47)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전성 합연사(47)의 양끝 단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메인전원선(42)(42')과 이들 메인전원선(42)(42')의 사이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보조전원선(43)(43')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은 도전성 합연사(47)의 도전층(47b)과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들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상기의 도전성 합연사(47)는 통전 상태가 됨과 동시에 도전층(47b) 자체가 저항체의 역할을 수행하 여 저항에 의한 발열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은 도전성 와이어를 편조하여 이루어진 형태의 편조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안정적인 전원의 공급에 적합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을 도전성 합연사(47)에 의해 연결하거나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별도의 엮음사를 이용하여 이들이 서로 이격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접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의 보조전원선(43)(43')은 도전성 합연사(47)의 전체 길이에 따라 다양한 개체수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인데, 도전성 합연사(47)의 길이가 길거나 넓이가 넓은 경우에는 보조전원선(43)(43')의 개체수를 비례적으로 증가시켜 전원선 간의 사이 간격이 지나치게 멀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보조전원선(43)(43')의 개체수를 가감하여 발열체(40)를 제작할 수 있어 발열체의 길이가 아무리 길어지더라도 실제 전원이 공급되는 곳의 저항값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전압강하가 전혀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류 분포가 균일해지므로 국부 가열이나 국부 저온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도전성 합연사(47)로 된 발열체에 적용되는 상기의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은 교번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연결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서로 이웃하는 전원선의 극성이 동일한 경우에는 통전이 이루어지지 아니할 것이므로 서로 이웃하는 전원선 간에는 서로 다 른 극성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이들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들을 양극 또는 음극의 전원부에 각기 구분 접속하면 인가되는 전원으로부터 상기의 발열체(40)는 고르고 안정적인 발열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특정 전압에 맞추어 발열체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압에 맞추어 도전성 합연사(47)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에 설치되는 보조전원선(43)(43')의 설치 간격을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즉, 저 전압용 발열체를 만들려면 공급전압이 낮은 관계로 작은 저항값에서 전압강하가 일어난다는 점에 착안하여 도전성 합연사(47)에 대하여 보조전원선(43)(43')을 다수 설치하되 그 간격을 조밀하게 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전압을 걸어보면서 절연재가 파괴되지 않으면서도 최상의 발열이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선의 최적 간격을 만들어내면 되는 것이다.
반면에 고 전압용 발열체를 만들려면 도전성 합연사(47)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보조전원선(43)(43')의 간격을 넓게 하여 배치하면 된다. 이때 보조전원선(43)(43')의 간격은 전압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최대거리로 벌려서 넓게 설치하여 만들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발열 상의는, 유모차(10)에 형성되는 발열패드(30)를 시트커버(17)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적어도 2개체 이상 분할하여 구성하되, 도 17의 도시와 같이 이들 각각의 발열패드(30)가 전기한 컨트롤러(20)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분 접속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이들 각각의 발열패드(30)에 대한 개별 제어를 통해 충전식 전원부(26)의 전력 소모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분할 배치된 각각의 발열패드(30)를 갖는 유모차(10)의 시 트커버(17)를 최초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분할 배치된 모든 발열패드(30)에 전원이 공급되게 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동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설정된 발열 시간이 종료되면 모든 발열패드(30)에 대하여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각각의 발열패드(30)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여 모든 발열패드(30)에 대한 순차 발열 또는 지정된 개체 또는 집합 형태로 연결된 발열패드(30)가 교번 순차적으로 발열 작동과 작동 중지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초기 사용시 전체적인 발열패드(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유모차(10)의 시트커버(17) 전체에 대한 초기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신속한 온열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후 개별적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만 구분된 개별의 발열패드(30) 만이 순차적으로 점멸되게 하므로 전력 소모량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발열패드(30)가 점멸함에 따라 전원이 단락된 상태에서의 온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나, 상기와 같은 유모차(10)의 시트커버(17)에 내재된 상태의 발열패드(30)는 시트커버(17) 자체의 보온성 및 발열패드(30)의 잠열 특성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은 따듯함이 지속될 것이므로 상기와 같이 발열패드(30)를 순차적으로 점멸 작동시키더라도 온열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발열패드(30) 모두에 전원을 인가시켜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충전식 전원부(26)의 전력 소모량이 커 3~4시간 동안만 사용할 수 있었던 것에 반하여, 이들 발열패드(30)를 순차적으로 간헐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충전식 전원부(26)에 대한 사용 시간이 2~3배 이상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야외에서의 장시간 작업이나 활동이 필요한 경우에 더욱 효과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가 형성된 유모차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시트커버에 대한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발열패드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발열패드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시트커버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시트커버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의 컨트롤러 구성 및 연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의 발열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의 발열체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도 9에 의한 발열체의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의 내부 발열체에 대한 구성도
도 12는 도 11에 의한 발열메쉬의 "A"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의 내부 발열체에 대한 다른 구성도
도 14는 도 13에 의한 신축성 발열선의 "A"부분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의 내부 발열체에 대한 또 다른 구성도
도 16은 도 15에 의한 도전성 합연사의 "A"부분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분할된 발열패드에 대한 개별 제어 연결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유모차 11 : 표피
12 : 쿠션재 13 : 포켓
14 : 주머니 15 : 프레임
16 : 바퀴 17 : 시트커버
17' : 등받이부 17" : 좌석부
20 : 컨트롤러 21 : 선택버튼부
22 : 시간설정부 23 : 온도설정부
24 : 중앙처리부 25 : 표시부
26 : 충전식 전원부 27 : AC어댑터
30 : 발열패드 31 : 열축적전달체
32 : 단열체 33 : 과열차단부
40 : 발열체 41 : 도전성메쉬
41a : 심재 41b : 도전성 코팅층
41c : 절연층 42,42' : 메인전원선
43,43' : 보조전원선 44 : 신축성 발열선
44a : 신축성 심재 44b : 도전성 코일선
44c : 신축성 절연피복
45,45' : 표면시트 46 : 접착시트
47 : 도전성 합연사 47a : 심사
47b : 도전층 47c : 절연층

Claims (22)

  1. 바퀴(16)를 갖는 프레임(15)에 시트커버(17)가 결합된 유모차(10)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10)의 시트커버(17)에 별도의 발열패드(30)를 형성하되, 상기의 발열패드(30)는 충전식 전원부(26)를 갖는 컨트롤러(20)와 연결되게 하여, 상기 발열패드(30)를 갖는 시트커버(17)로부터 노출된 컨트롤러(20)의 작동에 의해 충전식 전원부(26)의 전원이 발열패드(30)에 공급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시트커버(17)는, 등받이부(17')와 좌석부(17")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열패드(30)는 등받이부(17')와 좌석부(17')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분에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3. 제 1항에 있어서,
    시트커버(17)는, 표피(11)와 쿠션재(12)가 서로 재봉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발열패드(30)는 표피(11)와 쿠션재(12)의 사이에 내재되게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4. 제 1항에 있어서,
    시트커버(17)에는, 별도의 주머니(14)를 형성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컨트롤러(20)를 주머니(14)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5. 제 1항에 있어서,
    발열패드(30)는, 시트커버(17)의 표면에 형성된 별도의 포켓(13) 내측으로 삽입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6. 제 5항에 있어서,
    포켓(13)은, 유모차(10)의 시트커버(17)에 대하여 적어도 2개체 이상으로 구분 형성되고 이들 각각의 포켓(13)에는 대응의 크기를 갖는 발열패드(30)가 삽입되게 하되, 상기 각각의 발열패드(30)는 상호 간의 분리와 접속이 가능한 플러그 잭과 소켓 구조에 의해 병렬 연결되게 하여, 불필요한 위치에 해당하는 발열패드(30)는 전원을 차단하여 소모전력이 감소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7. 제 1항에 있어서,
    컨트롤러(20)는, 선택버튼부(21)에 의해 가변되는 시간설정부(22)와 온도설정부(23)를 갖고, 상기 시간설정부(22) 및 온도설정부(23)와 연결된 중앙처리부(24)는 설정된 온도와 단속시간을 갖고 발열패드(30)로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중앙처리부(24)와 연결된 표시부(25)에 의해서는 전원 인가여부와 세팅된 작동시간 및 설정온도와 전원 잔량 및 전원에 대한 전압, 충전상태가 점등 및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컨트롤러(20) 내부의 충전식 전원부(26)는 AC어댑터(27)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여 상기 중앙처리부(24)를 통해 발열패드(30)로 공급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8. 제 1항에 있어서,
    발열패드(30)는, 상하로 중첩된 표면시트(45)(45')의 사이에 발열체(40)가 내장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9. 제 8항에 있어서,
    표면시트(45)(45')의 사이에는 접착시트(46)를 삽입하여 가열 압착에 의한 접착시트(46)의 용융으로 인해 상기 표면시트(45)(45')가 서로 융착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10. 제 8항에 있어서,
    표면시트(45)(45')는 네오프렌(neoprene) 또는 스판덱스(spandex) 중 선택된 하나의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11. 제 1항에 있어서,
    발열패드(30)는, 상부의 열축적전달체(31)와 하부의 단열체(32) 사이에 발열체(40)가 내장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12. 제 11항에 있어서,
    열축적전달체(31)는, 테크노 써모(Techno thermo) 원단의 상부면에 면직물지를 밀착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13. 제 11항에 있어서,
    단열체(32)는, 화이버글라스 실리카패드(fiber glass silica pa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14. 제 1항에 있어서,
    발열패드(30)는, 상하로 중첩된 표면시트(45)(45')의 사이에 발열체(40)가 내장되고, 상측의 표면시트(45) 상면으로는 열축적전달체(31)가 형성되고 하측의 표면시트(45')의 저면으로는 단열체(32)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15. 제 8항, 제 11항,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열체(40)는, 격자 형태로 된 도전성메쉬(41)의 양 끝단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메인전원선(42)(42')과 상기 메인전원선(42)(42')의 사이에 균등간격으로 배치된 보조전원선(43)(43')으로 구성되어,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에 교번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극성이 인가되도록 연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16. 제 15항에 있어서,
    도전성메쉬(41)는, 격자 형태로 된 심재(41a)의 표면에 액상실리콘 고무와 카본블랙이 혼합된 도전성 조성물에 의한 코팅층(41b)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층(41b)의 표면에는 절연층(41c)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17. 제 8항, 제 11항,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열체(40)는, 나란하게 연속하여 배치된 신축성 발열선(44)의 양 끝단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메인전원선(42)(42')과 상기 메인전원선(42)(42')의 사이에서 신축성 발열선(41)과 접속 상태로 균등 배치된 보조전원선(43)(43')으로 구성되어,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에 교번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극성이 인가되도록 연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18. 제 17항에 있어서,
    신축성 발열선(44)은, 신축성 심재(44a)의 표면에 도전성 코일선(44b)을 권취 형성하고, 상기 신축성 심재(44a)와 도전성 코일선(44b)의 외면에는 신축성 절연재(44c)를 피복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19. 제 8항, 제 11항,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열체(40)는, 도전성 합연사(47)를 위사와 경사 형태로 배치되게 직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직조된 도전성 합연사(47)의 양측에는 도전성 합연사(47)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메인전원선(42)(42')과 상기 메인전원선(42)(42')의 사이에 도전성 합연사(47)와 접점을 형성하며 균등간격으로 배치된 보조전원선(43)(43')으로 구성되어, 메인전원선(42)(42')과 보조전원선(43)(43')에 교번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극성이 인가되도록 연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20. 제 19항에 있어서,
    도전성 합연사(47)는, 유리섬유가 합연된 심사(47a)의 표면에 액상실리콘 고무와 카본블랙이 혼합된 도전성 조성물에 의한 도전층(47b)을 형성하고, 상기 도전층(47b)의 표면에는 액상실리콘 고무에 의한 절연층(47c)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21. 제 8항, 제 11항,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열체(40)에는, 바이메탈에 의한 과열차단부(33)를 장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22. 제 1항에 있어서,
    발열패드(30)는 유모차(10)의 시트커버(17) 전체면에 대하여 각기 구분된 형태로 분할 형성하고, 분할된 상기 각각의 발열패드(30)는 전기한 컨트롤러(20)에 각기 개별 연결되게 하여, 상기 컨트롤러(20)의 개별 제어를 통해 각각의 발열패드(30)에 순차 간헐적으로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컨트롤러(20)의 충전식 전원부(26)에 대한 소모 전력의 감소로 인한 사용 시간이 연장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KR1020090109818A 2009-11-13 2009-11-13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KR20110053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818A KR20110053028A (ko) 2009-11-13 2009-11-13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818A KR20110053028A (ko) 2009-11-13 2009-11-13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028A true KR20110053028A (ko) 2011-05-19

Family

ID=44362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818A KR20110053028A (ko) 2009-11-13 2009-11-13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30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996B1 (ko) * 2018-11-08 2019-12-04 김종례 유모차용 스마트 발열 시트
KR102240513B1 (ko) 2019-11-14 2021-04-14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열 시트 구비 유모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996B1 (ko) * 2018-11-08 2019-12-04 김종례 유모차용 스마트 발열 시트
WO2020096163A1 (ko) * 2018-11-08 2020-05-14 김종례 유모차용 스마트 발열 시트
CN111417562A (zh) * 2018-11-08 2020-07-14 金钟礼 婴儿车用智能发热坐垫
KR102240513B1 (ko) 2019-11-14 2021-04-14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열 시트 구비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108B1 (ko) 다용도 발열패드
KR20110053870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이불
KR20110053864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발열 상의
KR20110053869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아용 카시트
KR20110053029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발열시트
KR20110053865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무릎덮개
KR20110053866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방석
KR20110053028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모차
KR101537921B1 (ko) 휴대용 온열 찜질기
KR20110053863A (ko) 유연성 발열체를 이용한 착용형 발열패드
US1089909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ing element by 3D printing
KR20110053873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아용 모포
KR20110053871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텐트
KR20110053872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발싸개
KR20110053868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아용 캐리어
KR20110053867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휠체어
JP3179466U (ja) Usb電源を用いた保温器
KR20110048411A (ko) 신축성 발열선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침낭
KR20110048408A (ko) 도전성 합연사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침대커버
KR100980109B1 (ko) 인체 감응형 다용도 발열패드
KR20110048415A (ko) 신축성 발열선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침대커버
KR20110048409A (ko) 유연성 발열메쉬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침낭
KR20110048413A (ko) 유연성 발열메쉬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침대커버
CN201805979U (zh) 电热手套
CN215347972U (zh) 石墨烯智能发热床垫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