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664A - 무선 마이크 - Google Patents

무선 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664A
KR20110053664A KR1020090110290A KR20090110290A KR20110053664A KR 20110053664 A KR20110053664 A KR 20110053664A KR 1020090110290 A KR1020090110290 A KR 1020090110290A KR 20090110290 A KR20090110290 A KR 20090110290A KR 20110053664 A KR20110053664 A KR 20110053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icrophone
wireless microphone
display window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7863B1 (ko
Inventor
최재구
Original Assignee
최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구 filed Critical 최재구
Priority to KR102009011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86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3Combination of monophonic or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audio players, e.g. integrated in the head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본체의 내부에 배터리가 수납되며 어느 한 쪽에 마이크가 구비되고 다른 한 쪽에 전원 스위치가 구비된 무선 마이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MP3 프로그램이 더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MP3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MP3 프로그램의 음향을 발산하는 음향 발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본체의 내부에 배터리가 수납되며 어느 한 쪽에 마이크가 구비되고 다른 한 쪽에 전원 스위치가 구비된 무선 마이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일측에 USB 등이 결합되는 데이터 소켓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데이터 소켓의 기록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터, 디스플레이 창, 음향 발산부, MP3 프로그램, USB

Description

무선 마이크{wireless microphone}
본 발명은 무선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마이크의 구조 및 기능을 개선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고 무선 마이크를 또 다른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폭을 넓히며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무선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마이크는 소리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고주파 전류로 변조한 다음 전파를 내보내는 장치이다.
이런 무선 마이크는 사용처와 용도에 따라 이미 여러가지 형태의 것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무선 마이크는 활동적인 방송프로그램을 진행하거나 관광 가이드 등 그 사용처 역시 폭넓고 그에 따라 선택의 폭이 넓게 제작되고 있다.
도 1에는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 무선 마이크 중 일 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역시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 무선 마이크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일 뿐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마이크 송신기의 본체(10)는 마이크(11) 그리고 전원 스위치(12)등이 배치된다.
따라서 본체(10)에 구비된 전원 스위치(12)를 동작시켜 마이크(11)를 통한 육성이 도면 표현을 생략한 음향장치의 스피커를 통하여 외부로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무선 마이크는 대부분 무선으로 송신하는 마이크 장치라는 근본적인 기능만 부여되어 있어 그 선택의 폭이 모델로만 한정되어 있고 특정의 기능이 부여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순히 보관에 그쳐야 하므로 또 다른 제품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 즉 호환성이 없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단순한 기능을 가졌던 무선 마이크의 구조 및 기능을 개선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무선 마이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마이크를 또 다른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무선 마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무선 마이크의 근본적인 기능에 별도로 메모된 내용이 무선 마이크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창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쇼 호스트 또는 관광 가이드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선 마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본체의 내부에 배터리가 수납되며 어느 한 쪽에 마이크가 구비되고 다른 한 쪽에 전원 스위치가 구비된 무선 마이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MP3 프로그램이 더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MP3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MP3 프로그램의 음향을 발산하는 음향 발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음향 발산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스피커 또는 이어폰 단자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제2 변형 예는, 상기 본체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MP3 프로그램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MP3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커넥터가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제3 변형 예는, 상기 본체의 적소에는 상기 MP3 프로그램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된 것이 효과 적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제4 변형 예는, 상기 본체는 상, 하 어느 일 측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에는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제5 변형 예는, 상기 디스플레이 창은 터치 스크린인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제6 변형 예는, 상기 본체는 그 상측이 일부 절결되며 절결부를 형성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결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창이 접혀져 보관되거나 펼쳐져 사용되도록 힌지 결합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본체의 내부에 배터리가 수납되며 어느 한 쪽에 마이크가 구비되고 다른 한 쪽에 전원 스위치가 구비된 무선 마이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일측에 USB 등이 결합되는 데이터 소켓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데이터 소켓의 기록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디스플레이 창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제1 변형 예는, 상기 본체의 어느 일 면에는 돌기(또는 홈)가 구비된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의 어느 일 면에는 상기 돌기(또는 홈)에 결합되는 홈(또는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마이크가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제1 변형 예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마이크에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제2 변형 예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체와 상기 마이크가 맞닿는 부분에는 전원 접속단자가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무선 마이크의 구조 및 기능을 개선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무선 마이크를 MP3 기능 등 또 다른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용도와 사용 폭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무선 마이크의 근본적인 기능에 별도로 메모된 내용이 무선 마이크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창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특히 쇼 호스트 또는 관광 가이드들이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메모 쪽지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 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의 본체(10) 내부에 는 도면 표현을 생략한 배터리 등의 전원 공급장치가 수납되며 어느 한 쪽에는 마이크(11)가 구비되고 다른 한 쪽에는 전원 스위치(12)가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부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MP3 프로그램(20)(또는 소프트 웨어)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MP3 프로그램(20)을 구동시키는 전원 스위치(21)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본체(1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MP3 프로그램(20)의 구동시 발생하는 음향을 발산하는 음향 발산부(22)가 구비된다.
상기 음향 발산부(22)는 상기 본체(21)의 일측에 구비된 스피커 또는 이어폰 단자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MP3 프로그램(20)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MP3 프로그램(20)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커넥터(30)가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체(10)의 적소에는 상기 MP3 프로그램(20)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창(40)을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창(40)은 붙박이 형식으로 표면이 노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지만, 돌출과 출몰에 의한 방식 또는 접었다 펼치는 방식 등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그 일측에 USB(50) 등이 결합되는 데이터 소켓(60)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데이터 소켓(60)에 결합된 USB(50)의 기록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창(40)이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창(40) 역시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를 일반적인 무선 마이크의 기능으로 사용할 때에는 본체(10)에 구비된 전원 스위치(12)를 동작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를 다른 기능으로 사용할 때에는 또 다른 전원 스위치(21)를 동작시킨 후 그 내부에 구비된 MP3 프로그램(20)을 구동시켜 음향 발산부(22)를 통하여 발산되는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물론 별도로 구비된 커넥터(30)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다운 받거나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MP3 프로그램(20)이 구동될 때 그 가사 또는 제목 등은 본체의 적소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창(4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므로 디스플레이 되는 가사 또는 제목 등의 글자 내용을 볼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40)은 상기 본체(10)의 상측을 일부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경사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창(40)은 상기 본체(10)의 상측 일부 구간에 절결부를 형성하고, 그 절결부에 디스플레이 창(40)이 접혀져 보관되거나 펼쳐져 사용되도록 힌지 결합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MP3 프로그램(20)이 구동될 때 그 음향은 상기 음향 발산부(22)와 접속된 이어폰을 통하여 음향을 청취할 수도 있고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창(40)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가사를 따라 부를 수도 있다.
한편 상기의 동작에 의해 발산되는 음향은 본체(10)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하여 외부로 발산시킬 수도 있지만, 도면 표현을 생략한 별도의 스피커를 통하여 증폭된 상태에서 발산시킬 수 있으므로 노래방 기기의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소켓(60)에 USB(50)를 접속하면 USB(50)에 수록된 내용은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창(40)으로 슬라이드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되므로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을 보며 무선 마이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의 동작은 특히 행사 도우미 또는 관광 가이드 등이 간략하게 메모한 내용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메모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으므로 행사 도우미 또는 관광 가이드 등이 말문이 막히는 실수를 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 예들은 본체(10)와 마이크(11)가 일체로 된 것인 반면, 상기 변형 예에서는 상기 본체(10)의 어느 일 면에는 돌기(또는 홈) 등으로 이루어진 제1 결합부(70)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11)의 어느 일 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70)와 결합되는 홈(또는 돌기) 등으로 이루어진 제2 결합부(80)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와 상기 마이크(11)가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마이크(11)에는 마이크를 동작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 스위치(13) 그리고 배터리 수납부가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본체(10)와 상기 마이크(11)가 맞닿는 부분에는 서로 접속하여 통전되는 전원 접속단자(71)(81)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해당 분야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무선 마이크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의 다른 예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의 다른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본체 11 : 마이크
12,13,21 : 전원 스위치 20 : MP3 프로그램
22 : 음향 발산부 30 : 커넥터
40 : 디스플레이 창 50 : USB
60 : 데이터 소켓 70 : 제1 결합부
80 : 제2 결합부 71,81 : 전원 접속단자

Claims (12)

  1. 본체의 내부에 배터리가 수납되며 어느 한 쪽에 마이크가 구비되고 다른 한 쪽에 전원 스위치가 구비된 무선 마이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MP3 프로그램이 더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MP3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MP3 프로그램의 음향을 발산하는 음향 발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산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스피커 또는 이어폰 단자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MP3 프로그램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MP3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커넥터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적소에는 상기 MP3 프로그램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 하 어느 일 측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에는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창은 터치 스크린인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상측이 일부 절결되며 절결부를 형성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결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창이 접혀져 보관되거나 펼쳐져 사용되도록 힌지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
  8. 본체의 내부에 배터리가 수납되며 어느 한 쪽에 마이크가 구비되고 다른 한 쪽에 전원 스위치가 구비된 무선 마이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일측에 USB 등이 결합되는 데이터 소켓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데이터 소켓의 기록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창은 터치 스크린인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
  10.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어느 일 면에는 돌기(또는 홈) 등으로 이루어진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의 어느 일 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홈(또는 돌기) 등으로 이루어진 제2 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마이크가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에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마이크가 맞닿는 부분에는 전원 접속단자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
KR1020090110290A 2009-11-16 2009-11-16 무선 마이크 KR101207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290A KR101207863B1 (ko) 2009-11-16 2009-11-16 무선 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290A KR101207863B1 (ko) 2009-11-16 2009-11-16 무선 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664A true KR20110053664A (ko) 2011-05-24
KR101207863B1 KR101207863B1 (ko) 2012-12-07

Family

ID=4436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290A KR101207863B1 (ko) 2009-11-16 2009-11-16 무선 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8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215B1 (ko) * 2020-10-11 2020-12-14 주식회사 도어스 코리아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KR102388717B1 (ko) * 2021-01-22 2022-04-20 주식회사 금영엔터테인먼트 Stt 기능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마이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215B1 (ko) * 2020-10-11 2020-12-14 주식회사 도어스 코리아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KR102388717B1 (ko) * 2021-01-22 2022-04-20 주식회사 금영엔터테인먼트 Stt 기능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863B1 (ko) 201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0792A2 (en) Portable terminal
CN205071294U (zh) 耳机控制电路、耳机、音频输出装置及显示装置
US11265636B1 (en) Multifunctional Bluetooth microphone
US11265654B1 (en) Two-channel UHF bluetooth microphone receiver
JP2016504613A (ja) 弦楽器および類似の楽器の音増幅のための可搬型音響機器
KR200454809Y1 (ko)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7863B1 (ko) 무선 마이크
US2014032167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peakerphone and microphone
KR200418764Y1 (ko) 무선 음향 송출기
CN105828238A (zh) 一种小型无线广播音箱
CN203352761U (zh) 带nfc功能的蓝牙耳机
CN104144363A (zh) 具播音及收音的电子装置
CN201860327U (zh) 无线音频传输接收装置
KR102224347B1 (ko)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KR10219021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KR102190210B1 (ko)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
KR200412452Y1 (ko) 휴대형 차량용 오디오 무선 송출장치
CN202652451U (zh) 可插拔mp3的音箱
KR100804745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외장형 스피커
CN105635894A (zh) 一种带显示屏的圆形蓝牙音箱
CN203773943U (zh) 一种便携式多功能蓝牙音响
US20050277384A1 (en) FM stereo modulator
CN204066712U (zh) 一种智能蓝牙电子琴系统
US11252491B1 (en) Multifunctional bluetooth microphone with touch screen
KR20120060092A (ko)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