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215B1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215B1
KR102190215B1 KR1020200130741A KR20200130741A KR102190215B1 KR 102190215 B1 KR102190215 B1 KR 102190215B1 KR 1020200130741 A KR1020200130741 A KR 1020200130741A KR 20200130741 A KR20200130741 A KR 20200130741A KR 102190215 B1 KR102190215 B1 KR 102190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unit
touch screen
bluetooth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어스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어스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어스 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3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26Pre-filtering or post-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2Sanitary or hygienic devices for mouthpieces or earpieces, e.g. for protecting against inf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및 상기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3의 장치로 송신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2채널 UHF(ultrahigh frequency)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를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Multifunctional Bluetooth microphone with touch screen}
본 발명은 자체 구비된 다양한 기능 제어 상태를 출력하고, 그 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무선 마이크의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수신기는 대개, 안테나를 통하여 입력받은 무선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RF 신호를 증폭하고, RF 신호와 발진 주파수를 믹싱하고, 믹싱된 중간 주파수를 필터링하고 증폭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신호의 왜곡분이나 노이즈분을 제거하여 오디오 출력측에 보내는 등의 과정을 거쳐 수신되는 RF 신호를 음성 신호로 출력한다.
이러한 마이크 수신기가 복수의 무선마이크를 사용하는 장비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개별적인 마이크 수신기를 무선마이크의 개수만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는 비용증가 및 부피의 증가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무선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에 복수의 무선마이크들에서 수신되는 신호들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마이크 수신기가 필요하게 된다.
한편, 블루투스(Bluetooth)는 휴대전화기, 노트북, 이어폰, 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뜻한다. 주로 10m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인다.
예컨대,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하면 거추장스러운 케이블 없이도 주머니 속의 MP3 플레이어 혹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음악을 들을 수 있다.
같은 개념으로서, 블루투스 마이크는 기기 자체에 내장되거나 저장된 메모리나 혹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노래를 송출해서 부를 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마이크는 파티 등에서 흥을 돋우거나 혼자서 노래를 연습할 때, 혹은 잔잔한 음악을 통해 시 낭송 등을 즐기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노래방을 찾지 않고 집이나 차에서 혼자 노래 연습을 하고자 할 때, 블루투스 마이크가 널리 활용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독특한 여러 디자인으로 제작된 블루투스 마이크 혹은 여러 기능을 구비한 블루투스 마이크가 제품으로 출시되는 실정이다.
다만, 블루투스 마이크에 여러 기능이 부가되었다 하더라도 아직은 노래방 어플을 연동할 수 있는 정도의 단순 기능을 탑재한 제품이 대다수라는 점을 고려해보면 기능이 너무 약해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이기 어렵다.
따라서, 만약 블루투스 마이크에 다양한 기능, 예컨대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와 같은 기능이 탑재될 수만 있다면, 노래하는 사람의 목소리를 디지털 신호 처리해서 노래하는 목소리에 에코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을 것이고, 이로 인해 좀 더 흥미롭게 노래를 즐길 수 있어서 소비자의 흥미와 호기심을 이끌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적어도 이러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는 블루투스 마이크에 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및 상기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3의 장치로 송신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2채널 UHF(ultrahigh frequency)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를 포함하는 무선 마이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자체 구비된 다양한 기능 제어 상태를 출력하고, 그 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원통 형상의 거치홈을 구비하여 거치홈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물체를 세워진 상태로 보관하는 거치 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거치 모듈의 설치면에 대하여 상기 거치 모듈을 진공 흡착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는 원통 구조로 형성되고, 저면에 스피커모듈의 접속 단자가 접속된다.
한편,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되 사람의 목소리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목소리의 적어도 한 종류의 에코 모드 또는 적어도 한 종류의 음성변조 모드의 추가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리시버 디지털 신호 처리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복수의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무선 마이크로부터 송신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RF 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적용되되, UHF(ultrahigh frequency) 신호의 수신 채널을 갖는 제1 채널 수신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복수의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무선 마이크로부터 송신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RF 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적용되되, 블루투스 신호의 수신 채널을 갖는 제2 채널 수신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채널 수신부 또는 상기 제2 채널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음성 신호를 제3의 장치로 송신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리시버 송신부; 및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리시버 디지털 신호 처리부, 상기 제1 채널 수신부, 상기 제2 채널 수신부 및 상기 리시버 송신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리시버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상기 리시버 컨트롤러, 상기 리시버 디지털 신호 처리부, 상기 제1 채널 수신부, 상기 제2 채널 수신부 및 상기 리시버 송신부가 탑재되고, 저면에 상기 스피커모듈이 접속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 적어도 일부가 삽입 거치되는 거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 모듈은,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 블록; 상기 거치 블록의 저면에 부착되어 마련되는 받침부; 및 상기 거치 블록의 상부 중앙에서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거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홈은, 상기 거치홈의 벽면에 마련되고,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구조체는,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 적어도 일부분을 점상 지지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스프링을 통하 상기 거치홈의 벽면으로부터 출몰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패드부; 및 상기 거치 블록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을 통해 상기 패드부와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공진 발생부 및 상기 공진 발생부 내에 발진 유닛에서 발진된 고유 공진 주파수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자가 배치되어 구성되고, 소정의 제어 모듈 칩을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고유 공진 주파수를 발진시켜 진동이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을 통해 상기 패드부로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는, 마이크 헤드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터치스크린이 마련된다.
한편,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상기 마이크 헤드가 일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블루투스 기술이 탑재되고, 일측에 고출력 스피커모듈이 마련되는 장치 탑재부; 상기 장치 탑재부에 마련되되 사람의 목소리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목소리의 적어도 한 종류의 에코 모드 또는 적어도 한 종류의 음성변조 모드의 추가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 상기 장치 탑재부에 마련되고 블루투스로 전달된 음원을 입력되는 사람의 목소리와 믹싱한 후 FM 송신을 통해 마이크 리시버로 송신하여 출력되게 하는 마이크 송신부; 블루투스로 전달된 음원에서 코러스와 반주 부분(MR)을 제거하는 MR 제거 기능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 상기 마이크 송신부 및 상기 MR 제거 기능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마이크 컨트롤러;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멀티 USB 포트; 상기 멀티 USB 포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자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멀티 USB 포트에 연결되는 경우 발광하는 USB 발광램프; 상기 멀티 USB 포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자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멀티 USB 포트에 연결되는 경우 회전하면서 발광하는 회전 램프볼; 및 상기 장치 탑재부 내의 일측에 형성되고, 소정의 소독제가 들어 있는 용기 본체, 상기 장치 탑재부의 상부로 노출되는 용기 헤드, 상기 용기 헤드에 마련되고 상기 마이크 헤드 쪽을 향해 소독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용기 헤드 쪽으로 소독액을 분사하게 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소독 분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하부 적어도 일부가 삽입 거치되는 거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 모듈은,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 블록; 상기 거치 블록의 저면에 부착되어 마련되는 받침부; 및 상기 거치 블록의 상부 중앙에서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하부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거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홈은, 상기 거치홈의 벽면에 마련되고,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는 상기 손잡이의 하부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구조체는,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는 상기 손잡이의 하부 적어도 일부분을 점상 지지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스프링을 통하 상기 거치홈의 벽면으로부터 출몰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패드부; 및 상기 거치 블록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을 통해 상기 패드부와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공진 발생부 및 상기 공진 발생부 내에 발진 유닛에서 발진된 고유 공진 주파수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자가 배치되어 구성되고, 소정의 제어 모듈 칩을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고유 공진 주파수를 발진시켜 진동이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을 통해 상기 패드부로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에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받침부의 내측 상단에 고정 설치되고, 하측으로 승하강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 공간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착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접착 플레이트를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동부; 및 상기 접착 플레이트에 복수 개 마련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착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접착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저면에 마련되는 설치 브라켓을 통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저면에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수평 기어; 상기 수평 기어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를 관통하여 외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수평 기어를 회전시키는 조작 바아; 상기 수평 기어와 맞물려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 기어; 및 상기 수직 기어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접착 플레이트의 중심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수평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직 기어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접착 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회전봉;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하측면이 개방된 소정 높이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면이 상기 접착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고, 저면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방사형으로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설치 날개를 포함하는 가압 플레이트; 및 위아래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호 접착 수단으로 차례로 접착되어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통공을 형성하는 제1 가압 링 내지 제3 가압 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압 링은, 상기 설치 날개의 삽입을 통해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3 가압 링은, 상호 접착된 상기 제1 가압 링 및 제2 가압 링의 하측에 접착되고, 아래 부분을 좁게 형성하여 바닥면을 가지고,
상기 제1 가압 링 내지 상기 제3 가압 링은, 위 부분 및 아래 부분보다 중심부를 깊게 형성하고, 상기 거치 플레이트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거치 모듈의 설치면을 가압하여 진공 흡착할 수 있다.
상술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는 자체 구비된 다양한 기능 제어 상태를 출력하고, 그 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증대를 도모한다.
상술한 거치 모듈은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를 세워진 상태로 설치 고정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전자적인 구성요소를 요구하지 아니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하고 또 분실 및 훼손에 따른 비용손실이 적다.
상술한 가압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설치면을 진공 흡착함으로써 거치 모듈을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의 저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에 USB 발광램프가 결합한 상태 및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마이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모듈의 일 사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거치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받침부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가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 시스템(1000)은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 및 2채널 UHF(ultrahigh frequency)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근거리 통신수단인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블루투스 마이크로, 마이크모듈과 스피커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근거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는 블루투스로 전달된 음원을 재생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는 자체 구비된 다양한 기능 제어 상태를 출력하고, 그 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증대를 도모한다.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는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음성신호의 재생을 위한 제3의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자동차, 앰프 등으로 송신하여 재생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는 스피커모듈에 접속되어 스피커모듈을 통해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수신한 음성신호를 재생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는 UHF 신호 수신 채널 및 블루투스 수신 채널의 두 개의 수신채널을 가져 적어도 두 개의 무선 마이크들로부터 무선송신되는 음성신호를 동시적, 선택적,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이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 시스템(10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는 마이크 헤드(112)가 일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110), 손잡이(120),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131), 입력부(150) 및 마이크 컨트롤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110)는 사용자, 예컨대, 노래를 부르려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의 단면적을 이룰 수 있으며, 외표면은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이 적용되거나 고무로 피복될 수 있다.
손잡이(110)의 단부에는 소리 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 헤드(112)가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 헤드(112)의 형상은 도시된 것을 벗어나 얼마든지 다양할 수 있으며,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손잡이(110)의 일측에는 손잡이(120)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20)는 마이크 헤드(112)에 이웃하게 손잡이(110)에 결합하되,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이 탑재되고 일측에 고출력 스피커모듈(122)이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20)는 박스(box)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손잡이(120)는 내부에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131)를 포함하여 마이크 송신부(132), MR 제거 기능부(133) 및 듀엣 기능부(134)가 탑재될 수 있으며, 이들 모드의 선택 또는 실행 컨트롤을 위해 입력부(150) 및 마이크 컨트롤러(160)가 적용될 수 있다.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131)는 손잡이(120)에 마련되되 사람의 목소리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목소리의 적어도 한 종류의 에코 모드 또는 적어도 한 종류의 음성변조 모드의 추가 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끔 하는 장치 혹은 모듈 칩(module chip)이다.
통상 자신의 목소리가 그대로 출력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는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131)를 탑재하여 입력부(150)에 의한 입력조건에 따라 에코 모드 또는 음성변조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노래방 모드가 아닌 일반 강의, 회의, 미팅의 경우라면 에코없음 모드가 선택될 수 있고, 노래를 부를 때는 가수급 절제된 리버프 이펙트 모드, 노래하기 적절한 에코 모드, 노래방급 파워풀한 에코 모드 등이 입력 건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모드가 에코 모드에 해당한다.
그 뿐만 아니라 전자 목소리, 여자 목소리, 남자 목소리, 아기 목소리 등으로 음성변조가 가능한데, 자신의 목소리 외에 다양한 형태로 목소리가 출력될 수 있어서 좀 더 흥미롭게 노래를 즐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비자의 흥미와 호기심을 이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이크 송신부(132)는 손잡이(120)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무선 확장을 위한 수단이다.
즉, 마이크 송신부(132)는 블루투스로 전달된 음원을 입력되는 사람의 목소리와 믹싱(mixing)한 후, FM 송신을 통해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로 송신하여 출력되게 한다. 이 역시, 입력부(150)의 입력신호에 따라 마이크 컨트롤러(160)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다.
MR 제거 기능부(133)는 블루투스로 전달된 음원에서 코러스와 반주 부분(MR)을 제거하여 사람의 목소리가 강조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MR 제거 기능부(133) 역시 입력부(150)의 입력신호에 따라 마이크 컨트롤러(160)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다.
한편, 듀엣 기능부(134)는 노래를 듀엣으로 부르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모드이다. 이때는 2개의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가 필요하다.
듀엣 기능부(134)는 적어도 2개의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를 블루투스로 연결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를 블루투스 음원과 연결하면 모든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가 함께 연동하면서 동시에 블루투스 음원이 재생토록 한다.
이러한 듀엣 기능부(134)는 듀엣곡을 부를 때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역시, 입력부(150)의 입력신호에 따라 마이크 컨트롤러(160)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다.
손잡이(120)의 하부에는 Aux(auxiliary) out 단자부(141), 멀티 USB 포트(142), 메모리카드 포트(143) 및 이어폰 잭(144)을 구비할 수 있다.
Aux out 단자부(141)는 유선 확장을 위한 포트로, 별도의 라인을 연결해서 무선이 아닌 유선 스피커나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멀티 USB 포트(142)는 충전 또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포트이다. 손잡이) 내에 고용량 배터리(미도시)가 탑재되기 때문에 이를 충전하기 위해 또한 내장 메모리에 노래 등의 음원을 저장하기 위해 멀티 USB 포트(142)가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카드 포트(143)는 SD 카드 등을 꼽아 메모리를 확장하기 위한 용도이고, 이어폰 잭(144)은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이상 설명한 기능들 외에 손잡이(120)의 일측에는 터치스크린(121)이 마련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1)은 입력부(150)의 입력값을 출력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입력부(150)를 대신하여 입력값을 생성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121)은 재생되는 곡의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1) 또는 입력부(150)는 손잡이(120)에 마련되되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131)를 통한 마이크 송신부(132), MR 제거 기능부(133) 및 듀엣 기능부(134) 등의 다양한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입력부(15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 컨트롤러(160)는 터치스크린(121) 또는 입력부(15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131), 마이크 송신부(132), MR 제거 기능부(133) 및 듀엣 기능부(134)의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 컨트롤러(160)는 마이크 중앙처리장치(161, CPU), 마이크 메모리(162, MEMORY) 및 마이크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중앙처리장치(161)는 터치스크린(121) 또는 입력부(15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131), 마이크 송신부(132), MR 제거 기능부(133) 및 듀엣 기능부(134)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마이크 메모리(162)는 마이크 중앙처리장치(161)와 연결될 수 있다. 마이크 메모리(16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마이크 서포트 회로(163)는 마이크 중앙처리장치(16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 서포트 회로(163)는 캐시, 파워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 컨트롤러(160)는 터치스크린(121) 또는 입력부(150)를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131), 마이크 송신부(132), MR 제거 기능부(133) 및 듀엣 기능부(134)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마이크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마이크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의 단순 기능에서 벗어나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131)와 같은 다양한 기능이 탑재될 수 있어 좀 더 흥미롭게 노래를 즐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비자의 흥미와 호기심을 이끌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의 저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에 USB 발광램프가 결합한 상태 및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와 같이 마이크 헤드(112)가 일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110),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131), 마이크 송신부(132), MR 제거 기능부(133) 및 듀엣 기능부(134) 등이 탑재되는 손잡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는 충전 또는 통신을 위한 멀티 USB 포트(542)가 형성되는데, 멀티 USB 포트(542)는 손잡이(110)의 하단부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멀티 USB 포트(542)에 추가적인 USB 발광램프(570)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USB 발광램프(570)는 멀티 USB 포트(54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자 결합부(571)를 구비하되, 음악이 출력될 때 발광하는 램프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 컨트롤러(160)는 USB 발광램프(570)가 연결될 때, USB 발광램프(570)의 동작이 자동으로 온(on)되게 컨트롤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별도의 버튼이나 스위치를 작동하지 않고 USB 발광램프(570)를 끼우기만 하면 노래가 출력됨과 동시에 USB 발광램프(570)가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와 같이 마이크 헤드(112)가 일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110),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131), 마이크 송신부(132), MR 제거 기능부(133) 및 듀엣 기능부(134) 등이 탑재되는 손잡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 또한 충전 또는 통신을 위한 멀티 USB 포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 USB 포트는 손잡이(110)의 하단부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지만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멀티 USB 포트에 추가적인 USB 발광용 회전볼(670)이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USB 발광용 회전볼(670)은 멀티 USB 포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자 결합부(671)와 회전하면서 발광하는 회전 램프볼(673)과, 단자 결합부(671) 및 회전 램프볼(673)을 연결하는 연결라인(67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 컨트롤러(160)는 USB 발광용 회전볼(670)이 연결될 때, USB 발광용 회전볼(670)의 동작이 자동으로 온(on)되게 컨트롤한다.
다시 말해, 별도의 버튼이나 스위치를 작동하지 않고 USB 발광용 회전볼(670)을 끼우기만 하면 노래가 출력됨과 동시에 USB 발광용 회전볼(670)이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마이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마이크(1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와 같이 마이크 헤드(112)가 일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110),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131), 마이크 송신부(132), MR 제거 기능부(133) 및 듀엣 기능부(134) 등이 탑재되는 손잡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는 바이러스 소독을 위한 소독 분사유닛(48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소독 분사유닛(480)은 바이러스 박멸 혹은 멸균을 위한 소정의 소독제가 들어 있는 용기 본체(미도시)와, 용기 본체에 연결되고 장치 탑재부(420)의 상부로 노출되는 용기 헤드(481)와, 용기 헤드(481)에 마련되고 마이크 헤드(112) 쪽을 향해 소독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483)와, 분사노즐(483)을 통해 용기 헤드(481) 쪽으로 소독액을 분사하게 하는 버튼(48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용기 본체는 장치 탑재부(120) 내의 일측에 형성되는 용기 수용함(421)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용기 수용함(421)은 회전 덮개(422)로 개폐될 수 있다.
이처럼 소독 분사유닛(480)이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에 적용될 경우, 최근 바이러스 전염과 관련한 문제를 벗어나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400)를 건강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즉 노래하기 전에 버튼(482)을 눌러 분사노즐(483)을 통해 용기 헤드(481) 쪽으로 소독액이 분사되게 한 이후에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400)를 사용해서 노래하면 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는 본체부(210) 및 스피커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10)는 리시버 컨트롤러(250), 리시버 디지털 신호 처리부(260), 제1 채널 수신부(271), 제2 채널 수신부(272) 및 리시버 송신부(274) 등이 탑재될 수 있다.
본체부(210)는 원통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그 내부에 리시버 컨트롤러(250), 리시버 디지털 신호 처리부(260), 제1 채널 수신부(271), 제2 채널 수신부(272) 및 리시버 송신부(274) 등이 탑재되고, 이들 모드의 선택 또는 실행 컨트롤을 위한 입력부가 적용될 수 있다.
리시버 디지털 신호 처리부(260)는 본체부(210)에 마련되되 사람의 목소리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목소리의 적어도 한 종류의 에코 모드 또는 적어도 한 종류의 음성변조 모드의 추가 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끔 하는 장치 혹은 모듈 칩(module chip)이다. 이러한 리시버 디지털 신호 처리부(260)의 기능은 상술한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131)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즉, 리시버 디지털 신호 처리부(260)는 입력부에 의한 입력조건에 따라 에코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채널 수신부(271) 및 제2 채널 수신부(272)는 통상의 RF 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적용될 수 있는데, 제1 채널 수신부(271)는 UHF 신호의 수신 채널이고, 제2 채널 수신부(272)는 블루투스 신호의 수신 채널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채널 수신부(271) 및 제2 채널 수신부(272)는 복수의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로부터 송신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리시버 송신부(274)는 본체부(210)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무선 확장을 위한 수단이다.
즉, 리시버 송신부(274)는 제1 채널 수신부(271) 또는 제2 채널 수신부(272)를 통해 수신한 음성신호를 FM 송신을 통해 제3의 장치로 송신하여 재생되도록 한다. 이 역시 입력부(150)의 입력신호에 따라 리시버 컨트롤러(250)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다.
리시버 컨트롤러(250)는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리시버 디지털 신호 처리부(260), 제1 채널 수신부(271), 제2 채널 수신부(272) 및 리시버 송신부(274)의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시버 컨트롤러(250)는 리시버 중앙처리장치(251, CPU), 리시버 메모리(252, MEMORY) 및 리시버 서포트 회로(25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부(210)는 저면에 스피커모듈 접속 단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피커모듈(230)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는 스피커모듈(230)을 통해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수신한 음성신호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마이크 시스템의 구성에 더하여 거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모듈의 일 사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모듈(300)은 도 1에 도시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 또는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가 설치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 모듈(300)을 더 포함하여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 또는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를 세워진 상태로 설치 고정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거치 모듈(300)은 거치 블록(310), 거치홈(320) 및 받침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 블록(310)은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330)는 거치 블록(310)의 저면에 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거치홈(320)은 거치 블록(310)의 상부 중앙에서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형성되는 홈으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 또는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의 하부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거치홈(320)은 원통 형상의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 또는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거치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거치홈(320)은 고정 구조체(3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구조체(340)는 거치홈(320)의 벽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거치홈(320)에 삽입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 또는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의 하부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 구조체(340)는 패드부(341), 스프링(342) 및 진동 발생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341)는 거치홈(320)에 삽입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 또는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의 하부를 점상 지지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도 16에서는 패드부(341)가 3 개 마련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패드부(341)는 스프링(342)을 통해 거치홈(320)의 벽면에 설치되어 거치홈(320)의 벽면으로부터 출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패드부(341)는 스프링(34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거치홈(320)의 벽면으로부터 출몰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드부(341)는 거치홈(320)에 각기 다른 직경을 갖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 또는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가 삽입되더라도 그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진동 발생부(343)는 거치 블록(31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스프링(342)을 통해 패드부(341)와 연결될 수 있다.
진동 발생부(343)는 진동을 발생시켜 스프링(342)을 통해 패드부(341)로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부(343)는 하나 이상의 공진 발생부 및 공진 발생부 내에 발진 유닛에서 발진된 고유 공진 주파수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자가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 발생부(343)는 소정의 제어 모듈 칩을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고유 공진 주파수를 발진시켜 진동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러한 진동 발생부(343)는 소정 주기에 따라 거치홈(320)에 삽입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 또는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로 진동을 가하여,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 또는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가 중심을 유지하도록 한다. 예컨대, 외부 충격에 의해 거치홈(320)에 삽입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 또는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가 기울어지더라도 진동에 의해 다시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100) 또는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200)를 안전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진동 발생부(343)는 배터리와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기동하는 전동부, 그리고 호출부에서 전송되는 호출신호를 인가받는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는 전자적인 구성요소가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하고 또 분실 및 훼손에 따른 비용손실이 적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받침부의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받침부(330)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에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착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3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강하여 거치 모듈(300)의 설치면에 부착됨으로써 거치 모듈(300)의 설치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접착부(350)는 고정 플레이트(351), 이동부(352), 접착 플레이트(353) 및 가압부(35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351)는 받침부(330)의 내측 상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플레이트(351)의 하측으로 접착 플레이트(353)의 승하강 공간(35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352)는 고정 플레이트(351)에 대하여 접착 플레이트(353)를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동부(352)는 수평 기어(352a), 조작 바아(352b), 수직 기어(352c) 및 회전봉(352d)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기어(352a)는 고정 플레이트(351)의 저면에 마련되는 설치 브라켓을 통해 고정 플레이트(351)의 저면에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조작 바아(352b)는 수평 기어(352a)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받침부(330)를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 바아(352b)를 회전 구동할 수 있을 것이다.
수직 기어(352c)는 수평 기어(352a)와 맞물려 수직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기어(352c)는 조작 바아(352b)의 회전에 의한 수평 기어(352a)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것이다.
회전봉(352d)은 수직 기어(352c)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봉(352d)은 접착 플레이트(353)의 중심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기어(352c)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봉(352d)의 회전에 의해 접착 플레이트(353)가 승하강할 수 있다.
접착 플레이트(353)는 고정 플레이트(35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심에 회전봉(352d)이 관통 설치되어 회전봉(352d)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공간(350a)에서 승하강할 수 있다.
가압부(355)는 접착 플레이트(353)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355)는 적어도 일부가 접착 플레이트(353)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접착 플레이트(353)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가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가압부(355)는 가압 플레이트(3551), 제1 가압 링(3552), 제2 가압 링(3553) 및 제3 가압 링(355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3551)는 하측면이 개방된 소정 높이의 원통 형상으로, 접착 플레이트(353)에 설치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3551)는 상측면에 복수의 체결공(3551a)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공(3551a)에 체결되는 체결 수단을 통해 접착 플레이트(353)에 설치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3551)는 저면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방사형으로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설치 날개(35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 링(3552) 내지 제3 가압 링(3554)은 위아래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우레탄으로 제작하여 쿠션감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가압 링(3552) 내지 제3 가압 링(3554)은 상호 접착 수단으로 접착될 수 있다.
제1 가압 링(3552)은 설치 날개(3551b)의 삽입을 통해 가압 플레이트(3551)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압 링(3552) 내지 제3 가압 링(3554)의 결합으로 가압 플레이트(3551)의 하방으로 에어 통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접착 플레이트(353)의 하강에 따라 거치 모듈(300)의 설치면에 의해 제1 가압 링(3552) 내지 제3 가압 링(3554)이 가압되는 경우, 진공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가압 링(3552) 내지 제3 가압 링(3554)은 위, 아래 부분보다 중심부(3552a, 3553a, 3554a)를 깊게 형성함으로써, 더 넓은 통공을 형성하고, 진공상태를 강하게 형성시키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3 가압 링(3554)은 아래 부분(3554b)을 좁게 형성하여 바닥면(3554c)을 형성함으로써, 내부에 차 있는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가압부(355)는 거치 모듈(300)이 설치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 바아(352b) 회전에 의해 접착 플레이트(353)가 하강하는 경우, 제1 가압 링(3552) 내지 제3 가압 링(3554)이 가압됨에 따라 설치면을 진공 흡착함으로써 거치 모듈(300)을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무선 마이크 시스템
100: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200: 2채널 UHF(ultrahigh frequency)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

Claims (2)

  1. 마이크 헤드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터치스크린이 마련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에 있어서,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상기 마이크 헤드가 일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블루투스 기술이 탑재되고, 일측에 고출력 스피커모듈이 마련되는 장치 탑재부;
    상기 장치 탑재부에 마련되되 사람의 목소리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목소리의 적어도 한 종류의 에코 모드 또는 적어도 한 종류의 음성변조 모드의 추가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
    상기 장치 탑재부에 마련되고 블루투스로 전달된 음원을 입력되는 사람의 목소리와 믹싱한 후 FM 송신을 통해 마이크 리시버로 송신하여 출력되게 하는 마이크 송신부;
    블루투스로 전달된 음원에서 코러스와 반주 부분(MR)을 제거하는 MR 제거 기능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 상기 마이크 송신부 및 상기 MR 제거 기능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마이크 컨트롤러;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멀티 USB 포트;
    상기 멀티 USB 포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자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멀티 USB 포트에 연결되는 경우 발광하는 USB 발광램프;
    상기 멀티 USB 포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자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멀티 USB 포트에 연결되는 경우 회전하면서 발광하는 회전 램프볼; 및
    상기 장치 탑재부 내의 일측에 형성되고, 소정의 소 독제가 들어 있는 용기 본체, 상기 장치 탑재부의 상부로 노출되는 용기 헤드, 상기 용기 헤드에 마련되고 상기 마이크 헤드 쪽을 향해 소독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용기 헤드 쪽으로 소독액을 분사하게 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소독 분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하부 적어도 일부가 삽입 거치되는 거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 모듈은,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 블록;
    상기 거치 블록의 저면에 부착되어 마련되는 받침부; 및
    상기 거치 블록의 상부 중앙에서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하부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거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홈은,
    상기 거치홈의 벽면에 마련되고,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는 상기 손잡이의 하부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구조체는,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는 상기 손잡이의 하부 적어도 일부분을 점상 지지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스프링을 통해 상기 거치홈의 벽면으로부터 출몰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패드부; 및
    상기 거치 블록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을 통해 상기 패드부와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공진 발생부 및 상기 공진 발생부 내에 발진 유닛에서 발진된 고유 공진 주파수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자가 배치되어 구성되고, 소정의 제어 모듈 칩을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고유 공진 주파수를 발진시켜 진동이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을 통해 상기 패드부로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2. 삭제
KR1020200130741A 2020-10-11 2020-10-1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KR102190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741A KR102190215B1 (ko) 2020-10-11 2020-10-1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741A KR102190215B1 (ko) 2020-10-11 2020-10-1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215B1 true KR102190215B1 (ko) 2020-12-14

Family

ID=7378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741A KR102190215B1 (ko) 2020-10-11 2020-10-1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2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664A (ko) * 2009-11-16 2011-05-24 최재구 무선 마이크
KR200487508Y1 (ko) * 2018-06-15 2018-10-04 주식회사 피에스이벤처스 핸드폰 거치대가 일체로 구비된 블루투스 마이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664A (ko) * 2009-11-16 2011-05-24 최재구 무선 마이크
KR200487508Y1 (ko) * 2018-06-15 2018-10-04 주식회사 피에스이벤처스 핸드폰 거치대가 일체로 구비된 블루투스 마이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541Y1 (ko) 마이크로폰 사운드박스 일체형 장치
US11265654B1 (en) Two-channel UHF bluetooth microphone receiver
US11265636B1 (en) Multifunctional Bluetooth microphone
KR100659506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스피커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수신팩
JP2014093597A (ja) 再生装置
US2014032167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peakerphone and microphone
KR10219021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KR102190210B1 (ko) 2채널 uhf 블루투스 마이크 리시버
KR102224347B1 (ko)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CN103997698A (zh) 一种带nfc通信的蓝牙音箱
US11252491B1 (en) Multifunctional bluetooth microphone with touch screen
CN105828238A (zh) 一种小型无线广播音箱
CN213028522U (zh) 麦克风直播声卡
CN104144363A (zh) 具播音及收音的电子装置
KR100715370B1 (ko) 노래방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N206908763U (zh) 一种具有可分离式操作盒的拉杆音响
KR101207863B1 (ko) 무선 마이크
CN212278410U (zh) 一种具有电子琴功能的蓝牙音箱
TWI813160B (zh) 多功能便攜式藍芽喇叭
CN215298848U (zh) 一种便于携带的集成式移动k歌播音系统
CN221227685U (zh) 一种便携低音炮电竟声霸无线音响
JP2019040075A (ja) オーディオ装置
JP3173995U (ja) デジタルワイヤレス送受信機
CN213990945U (zh) 一种便携音响
CN217116306U (zh) 一种多功能便携式蓝牙喇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