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202A - 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202A
KR20110053202A KR1020100112986A KR20100112986A KR20110053202A KR 20110053202 A KR20110053202 A KR 20110053202A KR 1020100112986 A KR1020100112986 A KR 1020100112986A KR 20100112986 A KR20100112986 A KR 20100112986A KR 20110053202 A KR20110053202 A KR 20110053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attribute
place
switching
current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8892B1 (ko
Inventor
장우용
김선애
조형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946,586 priority Critical patent/US9473880B2/en
Priority to EP10830220.9A priority patent/EP2499846B1/en
Priority to PCT/KR2010/008065 priority patent/WO2011059288A2/en
Publication of KR20110053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202A/ko
Priority to US15/250,370 priority patent/US999885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Navig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맵 상의 위치를 결정하여, 결정된 위치의 속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mode}
본 발명은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위치 정보의 위치 속성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의 발달로, 모바일 장치는 웹서버 또는 위성항법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모바일 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가 확인됨으로써, 현재 위치에서 제공받을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현재 위치 정보의 위치 속성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드 전환 방법은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맵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위치의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치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위치의 속성을 기저장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의 속성은 상기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맵에서의 장소명 중에서 상기 장소의 성질을 나타내는 명칭일 수 있다.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현재 위치의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소정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연결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r)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위치 속성이 복수 개인 경우,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기저장된 하나의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분류된 동작 모드 타입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동작 모드 타입의 조합에 따라 복수 개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드 전환 방법은 현재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는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로부터 위치의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치의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드 전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근접한 외부 기기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장소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기기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일 수 있다.
상기 장소의 속성은 상기 장소의 성질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접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접한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소정의 서버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드 전환 장치는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맵 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맵 매칭부; 상기 결정된 위치의 속성을 추출하는 위치 속성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위치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 모드 전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드 전환 장치는 현재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는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로부터 위치의 속성을 추출하는 위치 속성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위치의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 모드 전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드 전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근접한 외부 기기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장소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 모드 전환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 분류에 관한 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A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장치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모드 전환 장치는 미리 설정된 공간에 진입하는 경우, 소정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모드 전환 장치는 미리 설정된 공간에 따른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10)는 벨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며, 벨 모드를 가리키는 아이콘(111)을 표시하고 있다. 그 후, 모바일 장치(110)가 미리 설정된 공간(100)에 진입하는 경우, 위치 정보 제공 장치(12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모바일 장치(110)가 미리 설정된 공간에 진입한 것을 확인한 경우, 모바일 장치(110)는 미리 설정된 무음 모드로 그 동작 모드를 자동 전환하고, 무음 모드를 가리키는 아이콘(112)를 표시한다. 벨 모드에서 무음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모드 전환은 예일 뿐, 동작 모드 전환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다른 예로, 모바일 장치가 비행기에 탑승하는 경우, 소정의 비행기 내 시스템과 통신하여 모바일 장치를 오프시키는 등의 동작 모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모드 전환 장치는 소정의 다른 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10)는 벨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며, 벨 모드를 가리키는 아이콘(211)을 표시하고 있다. 모바일 장치(210)가 미리 설정된 공간(200), 예를 들어 사무실에 진입하여, 소정의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전화기(220)에 소정의 거리 내로 근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210)는 미리 설정된 무음 모드로 그 동작 모드를 자동 전환하고, 무음 모드를 가리키는 아이콘(212)를 표시한다. 그 후, 모드 전환 장치가 소정의 다른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를 벗어나는 경우, 원래의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도 2에서는, 모바일 장치(210)가 전화기(220)로부터 일정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 모바일 장치(210)는 원래의 모드인 벨 모드로 전환하고, 벨 모드를 가리키는 아이콘(213)을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310에서, 모드 전환 장치는 외부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현재 위치 정보는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에 관한 위성 항법 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함)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GPS 신호는 위도 및 경도와 같은 좌표 정보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좌표 정보는 '동경(E) 127:00:09,00 북위(N) 37:26:08,00'와 같은 동경과 북위로 지점을 표시하는 경위도 좌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현재 위치 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신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와 같은 좌표 정보 또는 주소 등과 같은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과 위치 정보의 형태는 일 실시예일뿐, 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면 제한이 없다. 현재 위치 정보는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라고 칭함)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r)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320에서, 모드 전환 장치는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맵 상의 위치를 결정한다. 즉, 모드 전환 장치는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를 맵과 매칭하여, 현재의 위치가 맵 상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맵은 일반적으로 전자맵을 의미하는 것으로, 디지털 정보를 토대로 하여 작성된 맵이다. 전자 맵은 위도, 경도, 주소 등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건물, 도로 등 각 명칭, 즉, 장소명이 매핑되어 표시되어 있다. 전자 맵의 위치 정보는 코드화되어 있을 수도 있다. 모드 전환 장치는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가 맵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맵의 지점을 현재 위치로 결정하고, 표시할 수 있다. 맵은 모드 전환 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으며, 업데이트도 가능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모드 전환 장치는 결정된 위치의 속성을 추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위치의 속성은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맵에서의 장소명 중에서 상기 장소의 성질을 나타내는 명칭을 의미한다. 장소명은 일반적으로 고유명칭과 보통명칭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장소명이 '소망 교회', '온누리 교회', '순복음 교회'인 경우, '소망', '온누리', '순복음'은 고유 명칭이고, 그 장소명을 대표하는 명칭인 '교회'가 보통 명칭이 되고, 또한, 장소명이 '국회 도서관', '서울 시립도서관'인 경우, 보통 명칭은 '도서관'이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의 속성이란 맵 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장소명 중에서 보통 명칭 부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위의 예에서는 위치의 속성은 '교회'와 '도서관'이 된다. 현재 위치에서 위치의 속성을 추출할 수 있는 허용 범위는 거리 차이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현재 위치가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는 장소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에 위치하는 가에 따라 현재 위치의 위치 속성이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가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는 장소로부터 10미터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위치의 속성이 추출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허용 범위는 모드 전환 장치의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현재 위치가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는 장소의 거리 차이는 맵 상 좌표 정보로서 계산될 수 있다. 또는 맵 상의 거리 차이를 계산하여, 실제 거리 차이를 계산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맵이 1:1000 축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현재 위치와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는 장소의 맵 상의 거리 차이가 1센티미터라면, 실제 거리 차이는 10미터가 된다. 또한, 현재 위치가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는 복수의 장소로부터 허용 범위 내인 경우, 위치의 속성은 복수 개 이상 추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위치가 대학교 내의 교회 내이라면, 위치의 속성으로 '대학교'와 '교회'가 추출된다.
단계 340에서, 모드 전환 장치는 추출된 위치의 속성을 기저장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한다. 즉, 모드 전환 장치는 해당 위치의 장소명에서 추출된 보통 명칭을 기저장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한다. 동작 모드 타입이란, 위치의 속성, 즉, 보통 명칭의 특성에 따라 모바일 장치의 시스템 설정(system configuration)을 변경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서관 같은 정숙을 요하는 장소의 경우, 무음 모드 또는 진동 모드가 요구된다. 따라서, 추출된 위치의 속성이 도서관에 관한 것인 경우에는, 모드 전환 장치는 모바일 장치의 동작 모드를 무음 모드 또는 진동 모드로 전환시킨다. 동작 모드에는 벨 모드, 진동 모드, 무음 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동작 모드는 소정의 장치의 소리 알림에 관한 모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치가 기존의 설정과 달리 다른 동작으로 작동하는 제반 처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온 또는 오프시키거나 또는 밝기를 조절하는 것도 해당되며, 벨 또는 진동 모드에서 크기를 변화시키는 동작도 해당되며, 배경화면을 변화시키는 동작도 해당될 수 있다. 물론, 위치의 속성이 단수 개인 경우 복수의 동작 모드의 조합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배경화면을 변화시키는 동작 모드에 밝기를 조절하는 동작 모드를 결합할 수도 있다. 동작 모드 타입은 모드 전환 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동작 모드 타입은 제조자에 의하여 미리 모드 전환 장치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전환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좌표에 위치하는 장소에서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것이 아니라, 위치의 속성에 따라 위치의 속성이 동일한 장소에서는 사용자가 각각 설정할 필요 없이 자동 전환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위치의 속성이 교회로 결정된 경우에는, 특정 교회에 상관없이 모든 교회에서는 동작 모드가 자동 전환된다. 현재 위치의 위치 속성이 복수 개인 경우, 각각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환되는 경우 충돌이 일어난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위치 속성에 우선권이 부여된다. 따라서, 위치 속성이 복수 개인 경우, 가장 상위 순위 우선권을 가지는 동작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만약, 동일 순위의 우선권을 가지는 동작 모드가 경합하는 경우에는 경합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단계 350에서, 모드 전환 장치는 분류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도 3에 관한 방법을 도 4 및 도 5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 분류에 관한 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는 천주교 여의도교회(401)에 관한 위치 정보이다.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맵 상의 위치가 '천주교 여의도교회'(401)로 결정되고, '천주교 여의도교회'(401)에 현재의 위치(410)가 표시된다. 현재 위치의 속성은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맵에서의 장소명 중에서 상기 장소의 성질을 나타내는 명칭, 즉, 맵 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장소명 중에서 보통 명칭 부분을 의미하므로, 현재 위치의 속성은 '교회'가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교회에 해당하는 동작 모드 타입은 오프(OFF) 모드 타입으로 설정되어 있어, 모바일 장치의 전원은 자동 오프된다. 만약, 현재 위치가 '여의도 중학교'(402)인 경우, 위치 속성은 '학교'이며,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모드 타입은 진동 모드 타입으로 설정되어 있어, 모바일 장치는 진동 모드로 자동 전환 된다. 만약, 현재 위치가 '여의도 백화점'(403)인 경우, 위치 속성은 '백화점'이다. 백화점의 환경 특성을 고려할 때, 소음이 많은 장소이므로 벨 소리의 음량이 클 것이 요구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백화점의 경우 동작 모드 타입 1은 벨 모드 타입으로 설정되어 있고, 동작 모드 타입 2는 볼륨을 최대로 증가되도록 동작 모드 타입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는 벨 모드 및 볼륨을 최대로 증가하는 모드로 자동 전환 된다. 만약, 현재 위치가 '여의도 극장'(404)인 경우, 위치 속성은 '극장'이며,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모드 타입 1은 무음 모드 타입으로 설정되어 있고, 동작 모드 타입 2는 화면의 밝기를 최소화하도록 동작 모드 타입이 설정되어 있다. 모바일 장치는 무음 모드 및 화면의 밝기가 최소화되도록 동작 모드가 자동 전환 된다. 만약, 현재 위치가 '국회도서관'(405)인 경우, 위치 속성은 '도서관'이며,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모드 타입은 무음 모드 타입으로 설정되어 있어, 모바일 장치는 무음 모드로 자동 전환 된다. 만약, 현재 위치가 '앙카라 공원'(406)인 경우, 위치 속성은 '공원'이며,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모드 타입 1은 배경 화면 변경이고, 동작 모드 타입 2는 화면의 밝기를 최대화하도록 동작 모드 타입이 설정되어 있다. 모바일 장치는 지정된 배경 화면이 변경되고, 화면의 밝기가 최대화되도록 자동 전환 된다. 배경 화면은 모바일 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현재 위치가 복수의 위치 속성을 가지는 경우, 예를 들어 '여의도 백화점'(403)과 '여의도 극장'(404)의 위치에 모두 해당하는 경우, 위치 속성은 '백화점'과 '극장'이 된다. 위치 속성이 복수 개인 경우, 가장 상위 순위 우선권을 가지는 동작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극장'의 우선순위는 1이고, '백화점'의 우선 순위는 2이다. 즉, '극장'의 우선순위가 '백화점'의 우선순위보다 상위순위이므로, '극장'의 동작 모드에 따라 자동 전환된다. 따라서, '극장'의 동작 모드 타입 1은 무음 모드 타입으로 설정되어 있고, 동작 모드 타입 2는 화면의 밝기를 최소화하도록 동작 모드 타입이 설정되어 있다. 모바일 장치는 무음 모드 및 화면의 밝기가 최소화되도록 동작 모드가 자동 전환 된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현재 위치가 '여의도 극장'(404)과 '국회 도서관'(405)의 위치에 모두 해당하는 경우, 위치 속성은 '극장'과 '도서관'이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극장'의 우선순위는 1이고, '도서관'의 우선순위 또한 1이므로 우선순위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 순위의 우선권을 가지는 동작 모드가 경합하는 경우이므로 경합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 모드에 따라 모바일 장치는 자동 전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10단계에서, 모드 전환 장치는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모드 전환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소정의 장치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현재 위치 정보에는 각각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건물, 도로 등 각 명칭, 즉, 장소명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즉, 현재 위치 정보에는 전술한 것과 같은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고 있다. 도 3의 방법과는 달리, 이 실시예에서는 위치 정보에 위치의 속성이 포함되어 있다.
단계 620에서, 모드 전환 장치는 현재 위치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의 속성을 추출한다.
단계 630 및 단계 640은 도 3에서의 단계 340 및 단계 350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710에서, 모드 전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근접한 외부 기기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 기기는 AP가 바람직하다. 장소의 속성은 장소명 중에서 장소의 성질을 나타내는 명칭을 의미한다. 또는, 모드 전환 장치는 장소명을 수신하고, 장소명 중에서 장소의 성질을 나타내는 명칭을 추출할 수도 있다. 모드 전환 장치는 AP로부터 RA(Route Advertising) 메시지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수신한다. 모드 전환 장치를 탑재한 단말이 제 1 AP 인식 범위에서 제 2 AP 인식 범위로 이동할 경우, 핸드오버를 하게 된다. 단말과 제 1 AP 간의 신호 세기가 미리 정의된 임계값 밑으로 떨어지게 되면 L2(MAC Layer 또는 Link Layer) 핸드오버를 시작하게 된다. 이 경우, 단말은 신호 세기가 약해진 것을 알고 제 2 AP에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한다. 제 2 AP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인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받고, 그 후 인증(Authentication), 재접속 요청(Reassociation Response) 메시지 수신까지의 과정을 마치게 되면, 신규 AP인 제 2 AP와 연결이 된다. AP는 주기적으로 RA(Router Advertising)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 따라서, 단말은 신호가 안정된 경우 제 2 AP로부터 RA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말은 수신한 RA 메시지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A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RA 메시지 내에 옵션(Options) 부분(800)이 있는데, 이 부분에 장소의 속성에 관한 정보가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옵션 부분(800)은 32 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옵션 부분(800)에는 232 양의 장소의 속성에 대한 정보가 표현될 수 있다.
단말은 제 2 AP와 연결된 특정 서버(예를 들어, 통신사 또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장소의 속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8을 예를 들어, 옵션 부분에 비트로 표현된 정보에 따라, 특정 서버에 비트 표현 매칭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장소의 속성을 파악할 수도 있다.
단계 720 및 단계 730은 도 3의 단계 340과 350과 동일하다. 다만, 단계 720 및 단계 730에서는 위치의 속성이 아니라, 장소의 속성이 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장치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모드 전환 장치(900)는 수신부(910), 맵 매칭부(920), 위치 속성 추출부(930), 저장부(940), 동작 모드 분류부(950) 및 동작 모드 전환부(960)를 포함한다.
모드 전환 장치에 관한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수신부(910)는 외부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현재 위치 정보는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에 관한 GPS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GPS 신호는 위도 및 경도와 같은 좌표 정보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좌표 정보는 '동경(E) 127:00:09,00 북위(N) 37:26:08,00'와 같은 동경과 북위로 지점을 표시하는 경위도 좌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수신부(910)는 현재 위치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신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와 같은 좌표 정보 또는 주소 등과 같은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과 위치 정보의 형태는 일 실시예일뿐, 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면 제한이 없다. 수신부(910)는 현재 위치 정보를 연결된 AP 또는 RFID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맵 매칭부(920)는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를 맵과 매칭하여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맵 상의 위치를 결정한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맵은 일반적으로 전자맵을 의미하는 것으로, 디지털 정보를 토대로 하여 작성된 맵이다. 전자 맵은 위도, 경도, 주소 등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건물, 도로 등 각 명칭, 즉, 장소명이 매핑되어 표시되어 있다. 전자 맵의 위치 정보는 코드화되어 있을 수도 있다. 모드 전환 장치(90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가 맵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맵의 지점을 현재 위치로 표시할 수 있다.
위치 속성 추출부(930)는 결정된 위치의 속성을 추출한다. 위치의 속성은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맵에서의 장소명 중에서 상기 장소의 성질을 나타내는 명칭을 의미한다. 장소명은 일반적으로 고유명칭과 보통명칭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장소명이 '소망 교회', '온누리 교회', '순복음 교회'인 경우, '소망', '온누리', '순복음'은 고유 명칭이고, 그 장소명을 대표하는 명칭인 '교회'가 보통 명칭이 되고, 또한, 장소명이 '국회 도서관', '서울 시립도서관'인 경우, 보통 명칭은 '도서관'이 된다. 따라서, 위치의 속성이란 맵 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장소명 중에서 보통 명칭 부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위의 예에서는 위치의 속성은 '교회'와 '도서관'이 된다. 현재 위치에서 위치의 속성을 추출할 수 있는 허용 범위는 거리 차이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위치 속성 추출부(930)는 현재 위치가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는 장소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현재 위치의 위치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가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는 장소로부터 10미터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위치 속성 추출부(930)가 위치의 속성이 추출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허용 범위는 모드 전환 장치의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현재 위치가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는 장소의 거리 차이는 맵 상 좌표 정보로서 계산될 수 있다. 또는 맵 상의 거리 차이를 계산하여, 실제 거리 차이를 계산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맵이 1:1000 축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현재 위치와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는 장소의 맵 상의 거리 차이가 1센티미터라면, 실제 거리 차이는 10미터가 된다. 또한, 현재 위치가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는 복수의 장소로부터 허용 범위 내인 경우, 위치 속성 추출부(930)는 위치의 속성을 복수 개 이상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위치가 대학교 내의 교회 내이라면, 위치 속성 추출부(930)는 위치의 속성으로 '대학교'와 '교회'를 추출한다.
저장부(940)는 맵과 후술할 모드 분류 타입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동작 모드 분류부(950)는 추출된 위치의 속성을 저장부(940)에 저장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한다. 즉, 동작 모드 분류부(950)는 해당 위치의 장소명에서 추출된 보통 명칭을 저장되어 있는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한다. 동작 모드 타입이란, 보통 명칭의 특성에 따라 모바일 장치의 시스템 설정(system configuration)을 변경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서관 같은 정숙을 요하는 장소의 경우, 무음 모드 또는 진동 모드가 요구된다. 따라서, 추출된 위치의 속성이 도서관에 관한 것인 경우에는, 모드 전환 장치는 모바일 장치의 동작 모드를 무음 모드 또는 진동 모드로 전환시킨다. 동작 모드에는 벨 모드, 진동 모드, 무음 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동작 모드는 소정의 장치의 소리 알림에 관한 모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치가 기존의 설정과 달리 다른 동작으로 작동하는 제반 처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온 또는 오프시키거나 또는 밝기를 조절하는 것도 해당되며, 벨 또는 진동 모드에서 크기를 변화시키는 동작과 배경 화면을 변경하는 동작도 해당될 수 있다. 물론, 위치의 속성이 단수 개인 경우, 복수의 동작 모드의 조합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배경화면을 변화시키는 동작 모드에 밝기를 조절하는 동작 모드를 결합할 수도 있다. 동작 모드 타입은 제조자에 의하여 저장부(940)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전환 가능하다.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좌표에 위치하는 장소에서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것이 아니라, 위치의 속성에 따라 위치의 속성이 동일한 장소에서는 사용자가 각각 설정할 필요 없이 자동 전환된다. 예를 들면, 위치의 속성이 극장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특정 극장에 상관없이 모든 극장에서는 동작 모드가 자동 전환된다. 위치 속성 추출부(930)에 의하여 추출된 현재 위치의 위치 속성이 복수 개인 경우, 각각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환되는 경우 충돌이 일어난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위치 속성에 우선권이 부여된다. 따라서, 동작 모드 분류부(950)는 위치 속성이 복수 개인 경우, 가장 상위 순위 우선권을 가지는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만약, 동작 모드 분류부(950)는 동일 순위의 우선권을 가지는 동작 모드가 경합하는 경우에는 경합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동작 모드 전환부(960)는 분류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모드 전환 장치에 관한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모드 전환 장치(900)는 수신부(910), 위치 속성 추출부(930), 저장부(940), 동작 모드 분류부(950) 및 동작 모드 전환부(960)를 포함한다. 즉,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맵 매칭부(920)가 생략된 실시예이다.
수신부(9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소정의 장치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에는 각각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건물, 도로 등 각 명칭, 즉, 장소명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즉,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에는 전술한 것과 같은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제 2 실시예에서는 위치 정보에 위치의 속성이 포함되어 있다.
저장부(940)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모드 분류 타입에 관한 데이터만을 저장하고 있다.
위치 속성 추출부(930), 동작 모드 분류부(950) 및 동작 모드 전환부(960)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모드 전환 장치에 관한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모드 전환 장치(900)는 수신부(910), 위치 속성 추출부(930), 저장부(940), 동작 모드 분류부(950) 및 동작 모드 전환부(960)를 포함한다. 위치 속성 추출부(930)는 장소 속성 추출부(930)로 변경 가능하다. 즉,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맵 매칭부(920)가 생략된 실시예이다.
수신부(910)는 적어도 하나의 근접한 외부 기기(미도시)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 기기는 AP가 바람직하다. 장소의 속성은 장소명 중에서 장소의 성질을 나타내는 명칭을 의미한다. 또는, 모드 전환 장치는 장소명을 수신하고, 장소명 중에서 장소의 성질을 나타내는 명칭을 추출할 수도 있다. 수신부(910)는 AP로부터 RA(Route Advertising) 메시지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수신한다. 모드 전환 장치(900)를 탑재한 단말이 제 1 AP 인식 범위에서 제 2 AP 인식 범위로 이동할 경우, 핸드오버를 하게 된다. 단말과 제 1 AP 간의 신호 세기가 미리 정의된 임계값 밑으로 떨어지게 되면 L2(MAC Layer 또는 Link Layer) 핸드오버를 시작하게 된다. 이 경우, 단말은 신호 세기가 약해진 것을 알고 제 2 AP에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한다. 제 2 AP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인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받고, 그 후 인증(Authentication), 재접속 요청(Reassociation Response) 메시지 수신까지의 과정을 마치게 되면, 신규 AP인 제 2 AP와 연결이 된다. AP는 주기적으로 RA(Router Advertising)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 따라서, 단말은 신호가 안정된 경우 제 2 AP로부터 RA 메시지를 수신한다.
장소 속성 추출부(930)는 수신한 RA 메시지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RA 메시지 내에 옵션(Options) 부분(800)이 있는데, 이 부분에 장소의 속성에 관한 정보가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수신부(910)는 제 2 AP와 연결된 특정 서버(예를 들어, 통신사 또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장소의 속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8을 예를 들어, 옵션 부분에 비트로 표현된 정보에 따라, 모드 전환 장치(900)는 특정 서버에 비트 표현 매칭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장소의 속성을 파악할 수도 있다.
저장부(940)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모드 분류 타입에 관한 데이터만을 저장하고 있다.
동작 모드 분류부(950) 및 동작 모드 전환부(760)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다만, 제 3 실시예에서는 위치의 속성이 아니라, 장소의 속성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모드 전환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7)

  1.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맵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위치의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치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위치의 속성을 기저장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의 속성은 상기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맵에서의 장소명 중에서 상기 장소의 성질을 나타내는 명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현재 위치의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소정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연결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r)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위치 속성이 복수 개인 경우,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기저장된 하나의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분류된 동작 모드 타입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동작 모드 타입의 조합에 따라 복수 개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10. 현재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는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로부터 위치의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치의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소정의 명칭을 기저장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의 속성은 상기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맵에서의 장소명 중에서 상기 장소의 성질을 나타내는 명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13. 적어도 하나의 근접한 외부 기기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장소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장소의 속성을 기저장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의 속성은 상기 장소의 성질을 나타내는 명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접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접한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소정의 서버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
  18.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맵 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맵 매칭부;
    상기 결정된 위치의 속성을 추출하는 위치 속성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위치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 모드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위치의 속성에 따라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동작 모드 타입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추출된 위치의 속성을 저장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하는 동작 모드 분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전환부는 상기 분류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의 속성은 상기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맵에서의 장소명 중에서 상기 장소의 성질을 나타내는 명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현재 위치의 GPS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소정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연결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r)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분류부는 상기 추출된 위치 속성이 복수 개인 경우,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기저장된 하나의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분류부가 분류한 동작 모드 타입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동작 모드 전환부는 복수 개의 동작 모드 타입의 조합에 따라 복수 개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27. 현재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는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로부터 위치의 속성을 추출하는 위치 속성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위치의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 모드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위치의 속성에 따라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동작 모드 타입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추출된 위치의 속성을 저장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하는 동작 모드 분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전환부는 상기 분류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의 속성은 상기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맵에서의 장소명 중에서 상기 장소의 성질을 나타내는 명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30. 적어도 하나의 근접한 외부 기기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장소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 모드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전환부는 상기 장소의 속성을 기저장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동작 모드 타입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의 속성은 상기 장소의 성질을 나타내는 명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접한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소정의 서버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장치.
  35. 모드 전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맵 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위치의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치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6. 모드 전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현재 위치의 속성을 포함하는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치의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치의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7. 모드 전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근접한 외부 기기로부터 장소의 속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장소 속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전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112986A 2009-11-13 2010-11-12 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KR101718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46,586 US9473880B2 (en) 2009-11-13 2010-11-15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modes
EP10830220.9A EP2499846B1 (en) 2009-11-13 2010-11-15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modes
PCT/KR2010/008065 WO2011059288A2 (en) 2009-11-13 2010-11-15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modes
US15/250,370 US9998855B2 (en) 2009-11-13 2016-08-29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mo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9448 2009-11-13
KR1020090109448 2009-11-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212A Division KR101811722B1 (ko) 2009-11-13 2017-03-16 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202A true KR20110053202A (ko) 2011-05-19
KR101718892B1 KR101718892B1 (ko) 2017-03-24

Family

ID=443629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986A KR101718892B1 (ko) 2009-11-13 2010-11-12 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70033212A KR101811722B1 (ko) 2009-11-13 2017-03-16 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212A KR101811722B1 (ko) 2009-11-13 2017-03-16 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473880B2 (ko)
EP (1) EP2499846B1 (ko)
KR (2) KR101718892B1 (ko)
WO (1) WO201105928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41414A (zh) * 2010-12-28 2012-07-04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一种能自动切换操作模式的移动终端装置
DE102011077360B4 (de) * 2011-06-10 2016-06-02 Airbus Operations Gmbh Verfahren zur Inbetriebnahme von Sensoren in einem Luft- oder Raumfahrzeug, Inbetriebnahmevorrichtung, Server und System
CN102595322B (zh) 2012-03-19 2018-11-30 Vid拓展公司 基于设定位置利用移动终端对用户进行提醒的方法和装置
KR101999182B1 (ko) * 2012-04-08 2019-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5863189B2 (ja) * 2012-08-28 2016-02-16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3227863A (zh) * 2013-04-05 2013-07-31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自动切换通话方向系统、方法及应用该系统的移动终端
US9313320B2 (en) 2014-02-19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switching of modes and mode control capabilities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013675B2 (en) * 2014-04-17 2018-07-03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reminding user
KR102452997B1 (ko) * 2015-08-31 2022-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08257B1 (ko) * 2016-09-23 2021-01-27 애플 인크. 워치 극장 모드
CN106850973A (zh) * 2017-01-12 2017-06-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消息的防打扰处理方法及移动终端
DK179555B1 (en) 2017-05-16 2019-02-13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 FLASHLIGHT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CN109040414A (zh) * 2017-06-12 2018-12-18 上海耕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及终端显示亮度调节的方法
CN107395899A (zh) * 2017-08-25 2017-11-24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装置、计算机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361811B (zh) * 2018-09-05 2022-03-15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功能模式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4189810A (zh) 2018-12-13 2022-03-15 华为技术有限公司 识别终端的方法、装置
US10694022B1 (en) 2019-01-09 2020-06-23 Dell Products L.P. Autonomous profile switcher for devices based upon external environment
DK180392B1 (en) 2019-09-09 2021-03-12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278B1 (ko) * 2005-11-17 2007-11-28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통신 단말기의 수신 모드를 제어하는 지능형 위치 정보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568A (ja) * 1999-10-29 2001-05-11 Pioneer Electronic Corp 地図表示装置及び地図表示方法
EP1139684A1 (en) * 2000-03-30 2001-10-04 Dawoon Syscom Co., Lt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operation mode of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unit
US20070037605A1 (en) 2000-08-29 2007-02-15 Logan James 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ellular and portable phones
US7409233B2 (en) * 2001-06-14 2008-08-05 Kyocera Wireless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responses
US6636803B1 (en) * 2001-11-30 2003-10-21 Corus Home Realty Real-estate information search and retrieval system
US20060105758A1 (en) * 2004-11-15 2006-05-18 Maislos Ruben E Method and apparatus to disable function of mobile station
KR100747662B1 (ko) 2004-12-01 200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에 의한 전화 자동 전환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060099990A (ko) * 2005-03-15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벨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US8489110B2 (en) * 2006-05-12 2013-07-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ivacy control of location information
US8140093B2 (en) * 2007-01-18 2012-03-20 At&T Mobility Ii, Llc Wireless landmark-based operation of a wireless device
US20090005071A1 (en) * 2007-06-28 2009-01-01 Apple Inc. Event Triggered Content Presentation
US9460578B2 (en) * 2007-12-07 2016-10-04 Victor A. Grossman Apparatus and method for targeted acquisition
US7755472B2 (en) * 2007-12-10 2010-07-13 Grossman Victor A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functions according to location
KR101430467B1 (ko) 2007-12-18 201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기기 및 이것의 동작 제어 방법
US8538376B2 (en) 2007-12-28 2013-09-17 Apple Inc. Event-based modes for electronic devices
US7890257B2 (en) * 2008-01-14 2011-02-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ing a shape-changing display as an adaptive lens for selectively magnifying information displayed onscreen
US20090186633A1 (en) * 2008-01-17 2009-07-23 Garmin Ltd. Location-based profile-adjust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US8626111B2 (en) * 2008-03-18 2014-01-07 Cisco Technology, Inc. Mobile device situational awareness protocol
US8571514B2 (en) * 2009-01-28 2013-10-29 Sony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content
JP5561965B2 (ja) * 2009-07-28 2014-07-3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誘導経路探索方法
US20110294493A1 (en) * 2009-11-25 2011-12-01 Qualcomm Incorporated Modulating cell information on a physical chan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278B1 (ko) * 2005-11-17 2007-11-28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통신 단말기의 수신 모드를 제어하는 지능형 위치 정보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9846B1 (en) 2019-06-26
EP2499846A4 (en) 2017-03-15
US20160373890A1 (en) 2016-12-22
WO2011059288A3 (en) 2011-11-10
WO2011059288A2 (en) 2011-05-19
US9473880B2 (en) 2016-10-18
KR101718892B1 (ko) 2017-03-24
KR20170033835A (ko) 2017-03-27
US9998855B2 (en) 2018-06-12
US20110117902A1 (en) 2011-05-19
KR101811722B1 (ko) 2017-12-22
EP2499846A2 (en)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722B1 (ko) 모드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CN102105809B (zh) 提供大型建筑物内部的定位和导航的方法
CN102224757A (zh) 使用无线特性来触发位置定位的产生
JP4926167B2 (ja) 公開モードと個別モードでの同時情報文脈配布システム
CN101641932A (zh) 用于提供手持设备的位置信息的装置及其方法
CN101277240A (zh) 无线通信装置和方法、信息处理装置和方法以及程序
KR20060119401A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752747A (zh) 位置信息处理设备、方法、程序和位置信息处理系统
US20070213082A1 (en) Digital content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apparatus, method and medium
EP3280157B1 (en) Hearing device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wireless network
KR100726567B1 (ko) 위치정보와 지리정보에 기반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CN102348014A (zh) 用于使用声音提供增强现实服务的装置和方法
CN109246658B (zh) 一种无流量数据传输的方法及设备
US20200250979A1 (en) Parking control method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KR20120005642A (ko) 오차 범위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340199B1 (ko) 위치정보와 지리정보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
KR20130014185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08093365B (zh) 一种地理标志信息发送方法及装置
CN104105055A (zh) 一种通信处理方法及装置
KR102177652B1 (ko) 위치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제어방법
CN101217699A (zh) 位置信息发送系统及实现方法
KR101513658B1 (ko)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스캐닝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 위치결정 기반의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10139935A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제공 방법과,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방법
CN101742404A (zh) 一种通信方法和通信系统
JP201515298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