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2292A - 휴대폰 케이스 및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및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2292A
KR20110052292A KR1020090109272A KR20090109272A KR20110052292A KR 20110052292 A KR20110052292 A KR 20110052292A KR 1020090109272 A KR1020090109272 A KR 1020090109272A KR 20090109272 A KR20090109272 A KR 20090109272A KR 20110052292 A KR20110052292 A KR 20110052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se
inner case
magnetic memb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조
서휘성
Original Assignee
윤현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조 filed Critical 윤현조
Priority to KR102009010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2292A/ko
Publication of KR2011005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 및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1)의 배면과 결합되되, 휴대폰(1)과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다수개의 후크(11)가 구비되는 내부케이스(10);와, 상기 내부케이스(10)가 금형에 삽입된 상태로 사출되되,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배면과 부착되는 일측부(21):와, 상기 일측부(21)에 단부에 구비되는 힌지(22):와, 상기 힌지(22)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힌지(22)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내부케이스(10)에 결합된 휴대폰(1)의 정면을 덮는 타측부(23):로 구성되는 외부케이스(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에 의하면, 내부케이스를 금형에 삽입한 채로 이중사출하여 완제품을 생산하므로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이 생략되어 제작공정이 간편하고, 단위시간당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품당 생산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 및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Cellular phone case and cellular phone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 및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세는 내부케이스를 금형에 삽입한 채로 이중사출하여 완제품을 생산하므로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이 생략되어 제작공정이 간편하고, 단위시간당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품당 생산비가 저렴한 휴대폰 케이스 및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폰에 알람, 스케줄러, 동영상 재생, DMB 등 각종 부가기능들이 추가되면서 생필품의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각종 부가기능들이 탑재된 휴대폰은 점점 고급화되어가고 있으며, 휴대폰의 가격 또한 비싸지고 있는데, 특히, 사용자 손가락을 감지하는 터치센서가 탑재된 휴대폰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충격으로부터의 고가의 휴대폰을 보호하고, 휴대폰의 외부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의 배면과 결합되도록 사출되는 내부케이스와, 중간부에 힌지가 형성되되, 상기 힌지의 일측은 상기 내부케이스의 배면을 덮는 크기를 갖고, 타측은 힌지에 의해 회전되되, 휴대폰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사출되는 외부케이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출된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는 서로 접착되어 완제품이 되는데, 심미감의 향상을 위해 접착부위가 드러나지 않도록 외부케이스의 외부는 합성섬유 재질로 감싸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는 내·외부 케이스를 사출한 후,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 이루어지므로 접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제작공정이 번거로워 단위시간당 생산성이 저하되어 제품당 생산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케이스를 금형에 삽입한 채로 이중사출하여 완제품을 생산하므로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이 생략되어 제작공정이 간편하고, 단위시간당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품당 생산비가 저렴한 휴대폰 케이스 및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1)의 배면과 결합되되, 휴대폰(1)과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다수개의 후크(11)가 구비되는 내부케이스(10);와, 상기 내부케이스(10)가 금형에 삽입된 상태로 사출되되,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배면과 부착되는 일측부(21):와, 상기 일측부(21)에 단부에 구비되는 힌지(22):와, 상기 힌지(22)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힌지(22)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내부케이스(10)에 결합된 휴대폰(1)의 정면을 덮는 타측부(23):로 구성되는 외부케이스(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10) 배면의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결합홈(12);과, 상기 외부케이스(20)의 일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2)과 결합되는 결합돌기(24);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자석삽입부(13);와, 상 기 자석삽입부(13)에 설치되는 제1자석부재(14);와, 상기 타측부(23)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자석부재(14)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휴대폰(1)의 정면이 외부케이스(20)에 덮여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2자석부재(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측부(23)의 상면에는 휴대폰(1)과 접촉시 휴대폰(1)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스크래치 방지돌기(26);와, 휴대폰(1)의 편의장치의 위치에 따라 상기 내부케이스(10)와 일측부(21)에 관통형성되는 슬롯(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휴대폰 케이스의 제작방법은, 휴대폰(1)의 배면과 측면이 덮여지도록 제작되며, 휴대폰(1)에 결합되도록 하는 후크(11)와, 배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12)과, 일측 외주면에 함몰형성되는 자석삽입부(13)가 구비된 내부케이스(10)를 사출하는 내부케이스 사출단계(100);와, 상기 내부케이스 사출단계(100)를 거쳐 사출된 내부케이스(10)의 자석삽입부(13)에 제1자석부재(14)를 설치하는 제1자석부재 설치단계(200);와, 상기 제1자석부재 설치단계(200)를 거친 내부케이스(10)와 제2자석부재(35)가 하부금형에 설치된 채로 이중사출하여 외부케이스(20)를 내부케이스(10)에 부착하는 외부케이스 사출단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 사출단계(300)에는, 상기 결합홈(12)과 결합되도록 결합돌기(24)가 돌출형성된 일측부(21)와, 상기 일측부(21)에 단부에 구비되는 힌지(22)와, 상기 힌지(22)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힌지(22)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내부케이스(10)에 결합된 휴대폰(1)의 정면을 덮는 타측부(23)와, 상기 타측부(23)의 단부에 연결되되, 내부에는 상기 하부금형에 설치된 제2자석부재(35)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외부케이스 분할단계(31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케이스를 금형에 삽입한 채로 이중사출하여 완제품을 생산하므로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이 생략되어 제작공정이 간편하고, 단위시간당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품당 생산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내부케이스(10)와 외부케이스(20)가 포함되며, 후크(11), 결합홈(12), 자석삽입부(13), 제1자석부재(14), 일측부(21), 힌지(22), 타측부(23), 결합돌기(24), 제2자석부재(25), 스크래치 방지돌기(26) 및 슬롯()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내부케이스(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내부케이스(10)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출하여 제작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내부케이스(10)는 휴대폰(1)의 배면과 측면에 결합되는데, 내부케이스(10)와 휴대폰(1)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1)가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후크(11)는 휴대폰(1)의 측면을 가압한 상태로 상면의 모서리 부분에 탄성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10)의 하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2)이 함몰형성되는데, 이러한 결합홈(12)은 후술할 외부케이스(20)의 결합돌기(24)와 결합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삽입부(13)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자석삽입부(13)에는 제1자석부재(14)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자석삽입부(13)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자석삽입 부(13)에 설치된 제1자석부재(14)는 후술할 외부케이스(20)에 설치되는 제2자석부재(25)와 결합되는데, 상기 외부케이스(20)는 일측부가 내부케이스(10)의 배면과 부착된 상태로 휴대폰(1)의 정면을 덮는 타측부(23)가 힌지(22)를 매개로 회전된다.
즉, 상기 외부케이스(20)는 일측부(21)가 내부케이스(10)와 결합된 상태로 힌지(22)를 매개로 타측부(23)가 회전되면서 상기 내부케이스(10)에 결합된 휴대폰(1)의 정면을 덮는 것이며, 이렇게 덮인 상태가 유지되도록 타측부(23)와 이 타측부(23)와 인접한 내부케이스(10)의 외주면이 서로 결합되도록 결합부위에 각각 제1자석부재(14)와 제2자석부재(25)가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외부케이스(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외부케이스(20)는 상술한 내부케이스(10)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질을 사출하여 제작되는 부재인데, 이러한 외부케이스(20)는 상기 내부케이스(10)가 금형에 삽입된 상태로 사출하는 이중사출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내부케이스(10)와 외부케이스(20)는 서로 용융점이 다른 두 부재를 이중사출하는 것으로서, 내부케이스(10)가 외부케이스(20)보다 용융점이 더 높아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중사출시 결합되는 면이 증가되어 결합이 더욱 견고해지도록 상기 내부케이스(10)에는 결합홈(12)이, 상기 외부케이스(20)에는 상기 결합홈(12)과 결합되는 결합돌기(24)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외부케이스(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21)와 타측부(23) 및 상기 일측부(21)와 타측부 중간에 형성된 힌지(22)가 포함되는데, 상기 일측부(21)는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배면과 이중사출로 부착되고, 타측부(23)는 힌지를 매개로 회전되어 휴대폰의 정면을 덮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휴대폰(1)의 정면을 덮는 타측부(23)의 단부에는 제2자석부재(25)가 더 포함되는데, 이러한 제2자석부재(25)는 외부케이스(20)의 사출시 금형에 미리 설치되어 사출물에 의해 외부가 덮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타측부(23)의 상면에는 스크래치 방지돌기(2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스크래치 방지돌기(26)는 상기 외부케이스(20)의 타측부로 휴대폰(1)의 정면을 덮을 때, 휴대폰(1)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10)와 외부케이스(20)의 일측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통되는 슬롯(S)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슬롯(S)은 사출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슬롯(S)을 형성시키는 기술은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폰용 케이스의 제작방법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폰용 케이스의 제작방법은 내부케이스 사출단계(100), 제1자석부재 설치단계(200), 외부케이스 사출단계(300)가 포함되되, 상기 외부케이스 사출단계(300) 에는 외부케이스 분할단계(3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 사출단계(100)는 휴대폰(1)의 배면과 측면이 덮여진 상태로 휴대폰(1)에 결합되는 내부케이스(10)를 사출하는 단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내부케이스 사출단계(100)를 거쳐 제작된 내부케이스(10)에는 후크(11), 결합홈(12), 자석삽입부(13)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후크(11), 결합홈(12), 자석삽입부(13)는 금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크(11), 결합홈(12), 자석삽입부(13)에 대한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자석부재 설치단계(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 사출단계(100)에서 제작된 내부케이스(10)의 자석삽입부(13)에 제1자석부재(14)를 설치하는 단계로서, 설치방법으로는 끼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되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상기 외부케이스 사출단계(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자석부재 설치단계(200)를 거쳐 제1자석부재(14)가 설치된 내부케이스(10)와 제2자석부재(25)를 하부금형(2)에 삽입하여 이중사출하는 단계로서, 이렇게 이중사출되는 외부케이스(20)는 내부케이스(10)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외부케이스 사출단계(300)에는 외부케이스 분할단계(30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외부케이스 분할단계(300)는 하부금형(2)의 음영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외부케이스 분할단계(310)는 외부케이스(20) 사출시 외부케이스(20)가 일측부(21), 힌지(22) 및 타측부(23)로 분할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일측부(21), 힌지(22) 및 타측부(23)에 대한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타측부(23)의 단부에는 제2자석부재(25)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자석부재(25)는 사출시 외부가 덮여지도록 사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제2자석부재(25)는 상기 내부케이스(10)에 설치된 제1자석부재(14)와 결합된다.
상기 제2자석부재(25)가 타측부(23)의 단부에 외부가 덮여지도록 사출되는 것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하부금형(2)에 형성된 안착부(3)에 제2자석부재(25)를 올려놓는데, 이때, 상기 안착부(3)에는 상기 제2자석부재(20)가 부양되도록 복수개의 돌기(4)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5)에는 상기 안착부(3)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가압부(6)가 구비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상부금형(5)과 하부금형(2)이 치합된 상태에서 이중사출하면, 상기 제2자석부재(25)는 도 3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20) 타측부(23)의 내측에 삽입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제작방법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휴대폰 2-하부금형
3-안착부 4-돌기
5-상부금형 6-가압부
10-내부케이스 11-후크
12-결합홈 13-자석삽입부
14-제1자석부재
20-외부케이스 21-일측부
22-힌지 23-타측부
24-결합돌기 25-제2자석부재
26-스크래치 방지돌기
S-슬롯

Claims (5)

  1. 휴대폰(1)의 배면과 결합되되, 휴대폰(1)과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다수개의 후크(11)가 구비되는 내부케이스(10);와
    상기 내부케이스(10)가 금형에 삽입된 상태로 사출되되,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배면과 부착되는 일측부(21):와, 상기 일측부(21)에 단부에 구비되는 힌지(22):와, 상기 힌지(22)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힌지(22)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내부케이스(10)에 결합된 휴대폰(1)의 정면을 덮는 타측부(23):로 구성되는 외부케이스(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10) 배면의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결합홈(12);과
    상기 외부케이스(20)의 일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2)과 결합되는 결합돌기(24);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자석삽입부(13);와
    상기 자석삽입부(13)에 설치되는 제1자석부재(14);와
    상기 타측부(23)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자석부재(14)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휴대폰(1)의 정면이 외부케이스(20)에 덮여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2자석부재(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측부(23)의 상면에는 휴대폰(1)과 접촉시 휴대폰(1)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스크래치 방지돌기(26);와
    휴대폰(1)의 편의장치의 위치에 따라 상기 내부케이스(10)와 일측부(21)에 관통형성되는 슬롯(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4. 휴대폰(1)의 배면과 측면이 덮여지도록 제작되며, 휴대폰(1)에 결합되도록 하는 후크(11)와, 배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12)과, 일측 외주면에 함몰형성되는 자석삽입부(13)가 구비된 내부케이스(10)를 사출하는 내부케이스 사출단계(100);와
    상기 내부케이스 사출단계(100)를 거쳐 사출된 내부케이스(10)의 자석삽입부(13)에 제1자석부재(14)를 설치하는 제1자석부재 설치단계(200);와
    상기 제1자석부재 설치단계(200)를 거친 내부케이스(10)와 제2자석부재(35)가 하부금형에 설치된 채로 이중사출하여 외부케이스(20)를 내부케이스(10)에 부착하는 외부케이스 사출단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 사출단계(300)에는,
    상기 결합홈(12)과 결합되도록 결합돌기(24)가 돌출형성된 일측부(21)와, 상기 일측부(21)에 단부에 구비되는 힌지(22)와, 상기 힌지(22)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힌지(22)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내부케이스(10)에 결합된 휴대폰(1)의 정면을 덮는 타측부(23)와, 상기 타측부(23)의 단부에 연결되되, 내부에는 상기 하부금형에 설치된 제2자석부재(35)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외부케이스 분할단계(31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
KR1020090109272A 2009-11-12 2009-11-12 휴대폰 케이스 및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 KR20110052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272A KR20110052292A (ko) 2009-11-12 2009-11-12 휴대폰 케이스 및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272A KR20110052292A (ko) 2009-11-12 2009-11-12 휴대폰 케이스 및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292A true KR20110052292A (ko) 2011-05-18

Family

ID=4436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272A KR20110052292A (ko) 2009-11-12 2009-11-12 휴대폰 케이스 및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229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6994A1 (en) * 2011-06-01 2012-12-06 Scosche Industries, Inc. Portable device protector case
KR200468049Y1 (ko) * 2013-05-03 2013-07-19 우양섭 휴대단말기용 방수케이스
US10577151B2 (en) 2017-09-12 2020-03-03 Richard P. Rizzuto Interlocking case attachment system
CN114474755A (zh) * 2022-03-08 2022-05-13 深圳市润江南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磁铁的复合工艺手机壳的制作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6994A1 (en) * 2011-06-01 2012-12-06 Scosche Industries, Inc. Portable device protector case
KR200468049Y1 (ko) * 2013-05-03 2013-07-19 우양섭 휴대단말기용 방수케이스
US10577151B2 (en) 2017-09-12 2020-03-03 Richard P. Rizzuto Interlocking case attachment system
CN114474755A (zh) * 2022-03-08 2022-05-13 深圳市润江南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磁铁的复合工艺手机壳的制作方法
CN114474755B (zh) * 2022-03-08 2024-02-13 深圳市润江南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磁铁的复合工艺手机壳的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939Y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플립형 보호케이스
JP2016537902A (ja) 電話、他の携帯型電子装置及び他の装置用の複合保護ケース
KR101084548B1 (ko) 실드 케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52292A (ko) 휴대폰 케이스 및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
EP2594153A1 (en) Mobile-phone bumper case
KR20110009710U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1348712B1 (ko)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KR101878982B1 (ko) 스마트폰의 외면보호케이스
KR20230011224A (ko) 휴대폰 케이스
KR101585383B1 (ko) 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200288833A1 (en) Mobile device cases and case systems with embedded sidewall shock absorber
KR20140002785U (ko) 보강구조를 가지는 휴대폰 보호용 커버
KR200462730Y1 (ko) 휴대용 통신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0824433B1 (ko) 휴대 기기용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71929A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US20120033356A1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3660136A (zh) 双色胶框结合玻璃的壳体及其制作方法
CN111726430A (zh) 摄像头模组固定装置及终端设备
KR101585224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201630B1 (ko)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2975A (ko) 장식용 보강부재를 갖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130002185U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1500341B1 (ko) 휴대폰 보호커버 구조체
KR200490887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60002387U (ko) Tpu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테두리교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