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1439A - 악기의 공명강화 방법 및 그 악기 - Google Patents

악기의 공명강화 방법 및 그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1439A
KR20110051439A KR1020090108015A KR20090108015A KR20110051439A KR 20110051439 A KR20110051439 A KR 20110051439A KR 1020090108015 A KR1020090108015 A KR 1020090108015A KR 20090108015 A KR20090108015 A KR 20090108015A KR 20110051439 A KR20110051439 A KR 20110051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resonance
medium metal
soun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277B1 (ko
Inventor
민 숙 정
현 수 오
Original Assignee
민 숙 정
현 수 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 숙 정, 현 수 오 filed Critical 민 숙 정
Priority to KR1020090108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277B1/ko
Priority to PCT/KR2010/004639 priority patent/WO2011008045A2/ko
Publication of KR20110051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277B1/ko
Priority to US13/384,041 priority patent/US2012017472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6Resonating means, e.g. soundboards or resonant strings; Fastenings thereof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관악기, 목관악기, 현악기, 건반악기 어쿠스틱기타 등과 같은 악기로부터 연출되는 소리의 공명을 강화할 수 있는 악기의 공명강화 방법 및 그 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악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을 제공하여 상기 통전매체를 통하여 상기 악기로부터 연출되는 소리의 공명을 강화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통전매체 금속유닛은 백금, 금, 은, 동, 니켈, 청동, 황동, 인청동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져 단일성분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은 상기 백금, 금, 은, 동, 니켈, 청동, 황동, 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진 상태에서 실리콘과 같은 접착액이 혼합되어져 복합성분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의 함량은 백금 0.001~100중량부, 금 0.001~100중량부, 은 0.001~100중량부, 동 0.001~100중량부, 니켈 0.001~100중량부, 청동 0.001~100중량부, 황동 0.001~100중량부, 인청동 0.001~100중량부 내에서 광범위하게 실시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은 주로 악기의 내부에 통전매체 금속유닛을 나노의 분말, 일반적인 고운 분말, 선이나 판 또는 다양한 형태 미세분말, 괴형태의 고체덩어리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투입하는 방식과 상기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을 도포하는 방 식, 부착하는 방식 및 상기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을 도금하는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서 악기의 공명이 우수하게 연출가능한 것이다.
악기, 통전매체 금속유닛, 통전매체 금속혼합물, 내부면, 외부면

Description

악기의 공명강화 방법 및 그 악기{Fair reinforcement method and that musical instrument of mus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금관악기, 목관악기, 현악기, 건반악기, 어쿠스틱기타 등과 같은 악기로부터 연출되는 소리의 공명을 강화할 수 있는 악기의 공명강화 방법 및 그 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악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을 제공하여 상기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을 통하여 상기 악기로부터 연출되는 소리의 공명을 강화 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통전매체 금속유닛은 백금, 금, 은, 동, 니켈, 청동, 황동, 인청동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져 단일성분으로 실리콘 등 여러 접착액과 함께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은 상기 백금, 금, 은, 동, 니켈, 청동, 황동, 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진 상태에서 실리콘과 같은 접착액이 혼합되어져 복합성분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명을 우수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악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는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의 제공방법은 크게 악기의 내부에 투입하는 방법과, 악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각각 도포하는 방법, 부착하 는 방법, 도금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상기 악기의 내부에 투입하는 방식의 경우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을 나노의 분말, 일반적인 고운 분말, 선이나 판 또는 다양한 형태 미세분말, 괴형태의 고체덩어리 중 어느 하나로 형태로 형성하여 투입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을 악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도포하는 방법, 부착하는 방법, 도금하는 방법의 경우 역시 접착액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악기에 도포, 부착, 도금을 실시하여 공명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악기의 내부에 공급되는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의 성분을 는 주로 백금, 금, 은, 동, 니켈, 청동, 황동, 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통전매체를 통하여 상기 악기로부터 우수한 공명이 연출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투입되는 통전매체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백금 0.001~100중량부, 금 0.001~100중량부,은 0.001~100중량부,동 0.001~100중량부,니켈 0.001~100중량부,청동 0.001~100중량부, 황동 0.001~100중량부, 인청동 0.001~100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악기의 내부에 통전매체가 공급됨으로서 상기 악기로부터 소리의 울림현상이 강화되고 일정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우수한 공명이 발생 가능한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악기는 주로 목관악기와 현악기 및 건반악기 어쿠스틱기타 등과 같이 형태와 구조에 따라 크게 구분이 가능한 것이다.
물리학적으로 소리는 공기중의 진동현상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악기의 소리는, 즉 사람이 귀로 전달되는 모든 악기의 소리는 공기의 진동을 이용하는 것이다. 소리는 공기중에서 일어난 물체의 진동현상을 청각기관을 통해 듣는 과학적 현상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악기 중 목관악기를 통하여 전달되는 소리는 공기의 진동을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기의 전달을 이용하는 소리를 통한 음악은 소리의 예술이며 음악적 소리와 모든 소리는 공기의 진동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상기 악기는 진동을 조절하는 조절체이며 진동의 효과를 이용하여 음악적 소리로 변화시키는 도구이다.
즉, 연주 음악도 공기중의 진동현상을 이용한 것으로서 연주는 악기를 이용한 진동현상을 공기라는 매질을 통해 청각기관을 통해 듣는 물리적 현상이다.
상기와 같이 진동을 소리로 변화시키고 연주로 표현하는 것으로서 음악적 소리의 근원 및 연주의 근원은 진동에서 출발하는 것이며 상기 진동을 조절하는 기술이 음악적 도구, 악기를 조절하는 핵심원리라고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리를 내는 것은 공기압력에 변화를 주며 이런 변화가 공기밀도에 변화를 주어 공기입자들이 움직이게 되어 이러한 진동이 사람의 청각기관에 전달될 때 소리라고 하며 악기를 통해 연주되어 움직인 공기의 진동을 음악적 소리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악기의 소리는 시간적으로 보면 발생-전파-소멸의 3단계를 거치는 것으로서 악기 연주인의 시각에서 보면 소리 발생의 3단계 중 소리의 발생단계가 중요한 것이다.
목관악기 소리의 근원은 연주자 호흡이고 그래서 연주인의 호흡이 연주에서 중요하며 그 호흡을 목관악기 내부에서 진동을 일으켜 소리를 발생시키고 음악적 소리로 만들어 주기 위해 음량을 증폭시키는 기술, 음가(여음시간)를 늘려주는 기술, 그 호흡을 이용해 여린음부터 높은음까지 자유자재로 표현할 수 있도록 다이내믹 레인지를 넓여주는 기술 등이, 목관악기에서 음색을 아름답고 고급스럽게 만드는 기술로 음질수준을 높이는 기술이 중요한 이유이다.
색소폰, 플롯, 클라리넷, 오보에, 바순 목관악기, 성대, 바이올린의 현 등에 의한 진동 즉 공기 흐름의 진동은 자려진동이다. 진동체의 진동을 유지하도록 끊임없이 에너지가 외부로부터 공급되고 있으나, 진동체와 그 주위 조건의 상호작용에 의해 주기나 진폭이 스스로 결정된다. 또 자연 상태에서 진동이 소멸되는 감쇠진동이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인 관악기 연주자의 호흡만으로는 충분한 진동을 일으키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통전매체를 음향판 역할을 하는 부분에 넣어 진동강도를 높여 진동의 주기성을 강화하여 사운드를 개선하는 신기술로 음질을 수준 높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명(共鳴) 또는 공진(共振)이란 어떤 물체의 진동에너지가 다른 물체에 흡수되어 그 물체가 진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특히, 진동체가 서로 연 결되어 있는 경우 에너지 전달이 용이하다. 공명은 진동 에너지의 전달을 통해 진동이 옮겨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원래 진동 에너지의 진동수와 진동 에너지를 받는 물체의 고유 진동수가 가까우면 더 큰 공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연주자의 호흡과 악기자체만으로 이루어지는 진동의 부족한 점을 통전매체의 에너지를 악기 본체에 전달하여 연주자의 연주에 의한 진동에너지의 부족함을 채우고 진동을 극대화해 진동의 주기성을 높이고 음질의 밸런스를 갖추고 수준 높은 음질이 나도록 만들어 연주자의 연주가 용이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악기 연주는 진동을 조절하여 예술적 소리로 변화시키고 이 진동을 예술적 소리로 표현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며 소리는 진동을 강화시키면 울림이 좋아지고 이 울림을 예술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훌륭한 연주인 것이다.
즉, 진동을 보다 더 강하고 주기성이 있도록 만들면 단일하고 규칙적 진동이 일어나 단일하고 선명한 깨끗한 소리 즉, 좋은 음악적 소리를 낼 수가 있고 증폭분야에 해당하는 부분에 통전매체를 직접적 연결하여 공명효과를 일으켜 사용하는 것이 좋고 음향과 음량증폭에 해당하는 핵심적 부분에 부분적으로 사용하면 보다 더 강한 진동을 낼 수 있으며 보다 더 좋은 음악적 연주를 할 수 있는 바탕이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악기의 반응도를 높여 음이탈현상을 완화하고 일반 연주자가 내기 어려운 3옥타브 솔, 저음 레 등을 쉽게 낼 수 있다. 또한, 여음이 좋아 음과 음들의 연결이 부드럽고 자연스럽다.
상기와 같은 좋은 음악적 연주를 제공하기 위하여 음량을 증폭하고 음색을 변화시키며 음가(음의 잔향시간) 음고가 잘 표현될 수 있으려면 진동의 주기성이 높아야하고 진동을 증폭하는 핵심적 부분이 증폭을 담당하는 목관악기의 패드캡의 바깥쪽이 아닌 안쪽에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을 넣어 직접적 연결효과를 강화해 공명효과를 극대화하고 진동의 주기성을 높임으로써 음량을 키우고, 음가를 늘리고, 음고를 잘 표현할 수 있고 통전매체의 구성에 따라 음색을 변화시키는 기술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명기라고 말하는 좋은 악기는 음질이 좋고 음색이 좋고 음량이 풍부하며 여음, 공명이 좋은 악기를 말하는 것이다.
또한, 음질이 좋고 울림이 좋은 악기는 진동의 주기성이 규칙적인 악기를 말하며 즉 진동의 주기성이 규칙적이고 진동의 주기성이 좋은 악기를 명기라고 지칭하는 것이다. 진동의 주기성이 규칙적인 악기는 선명한 소리가 난다.
이에 따라 악기에서 진동강도를 높여 진동의 주기성을 높이는 방법이 명기를 만드는 핵심적 원리이며 연구의 중요주제이다.
이에 더하여 음색을 창조하고 조절하는 방법이 중요한 것이다.
음색은 지금까지는 악기의 재질에서만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물론 악기의 재질은 기본적인 문제이지만 악기의 재질뿐만 음향판 역할을 하는 부분에 어떤 통전매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음색이 달라지는 것이다. 보다 더 직접적으로 음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음색의 스타일을 연주자의 취향에 따라 시원한 음색, 진지한 음색, 시원하면서 진지한 음색, 밝은 음색, 어두운 음색 여러 가지로 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주기적인 소리는 음악적 소리이고 타악기를 제외한 비주기적 소리는 소음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서 타악기를 제외한 악기는 소리의 음고(음의 높낮이)를 이용해 악기를 연주하는 것이며 타악기를 제외한 음고(음의 높낮이)를 가진 악기는 현악기, 관악기, 건반악기, 어쿠스틱기타 등 주기적인 진동을 가지고 있고 이 주기적인 진동을 음악적으로 이용하여 소리를 내고 소리를 조절하여 음악적 소리와 연주로 표현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공명강화를 통해 음량을 증폭할 수 있고 음색이 좋고 진동의 주기성이 좋은 악기를 만드는 기술이며 이른바 명기의 사운드 또는 명기 이상의 가치가 나는 사운드를 만드는 기술이며 목관악기의 사운드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써 간단히 표현하면 진동의 강도와 진동의 주기성을 통전매체 금속의 종류와 양에 따라 조절하여 진동이 좋은 악기, 음질이 좋은 목관 악기를 만드는 기술입니다.
상기와 같은 음악의 소리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음악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소리는 "공기의 진동"으로부터 비롯되며, 그렇기 때문에 음향 전문가들은 음악을 공기 속에서 일어나는 진동 현상의 하나로 간주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리를 낸다."라는 것은 그 음원과 그 주위의 공기에 압력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며, 이러한 자극은 주변 공기의 밀도에 변화를 일으켜 공기의 입자들로 하여금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진동은 점차 그 주위의 공기를 통해 퍼져나가고 마침내 이러한 인간의 청각기관에 의한 이러한 진동이 감지되었을 때 우리는 그것을 "소리"라고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언급되는 진동은 크게 음향학적 용어를 사용하자면 "주기성"(periodicity)을 가지고 있는 소리와 비주기적(aperiodic) 소리로 구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진동이 주기성을 가진다는 것은 진동이 똑같게 규칙적으로 반복된다는 뜻이다. 이런 진동에서 나오는 음을 악음이라고 표현한다. 악음과 비악음의 구별은 진동이 규칙적이고 순조롭게 나는 것이 기준이 된다. 악음은 진동의 주기성이 높을 때 악음이라고 부를 수 있는 소리가 나온다.
비주기적인 소리는 일정한 음높이를 가지지 않는다. 악음과 소음의 음향학적 구별은 진동의 주기성에 의해서만 나누어질 수 있다.
타악기는 비주기적 진동에 의한 소리이고 음고(음의 높낮이)를 갖지 않으며 현악기, 관악기 등은 주기적 진동에 의한 소리이며 음고(음의 높낮이)를 갖는다.
이때, 어떤 진동이 주기성을 갖는다는 것은 같은 형태의 진동이 계속적으로 규칙적으로 반복된다는 뜻이다.
상기와 같이 연주하는 사람이 계속적으로 완전히 똑같은 힘을 가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인간이 연주하는 음악에서 사용되는 음은 주기마다 완전히 똑같을 수는 없으며 연습을 거듭함으로써 변화의 폭을 줄이고 어느 정도 일정한 소리를 낼 수 있기 때문에, 현악기나 목관악기 연주자들은 이를 위하여 수많은 연습을 한다.
그러나 진동의 주기성이 높은 악기를 만들면 연주자가 보다 더 쉽게 일정하고 안정적인 소리를 낼 수가 있어 연주자가 연습시간을 줄일 수가 있고 보다 더 빨리 수준 높은 연주를 할 수 있게 되며 진동의 주기성이 높은 악기는 연주자가 원하 는대로 악기가 쉽게 반응하고 연주자의 의도대로 각 부분음(저음,중음,고음)이 잘 나오고 음질이 선명하다. 진동이 규칙적인 악기, 소리가 규칙적으로 나는 악기, 즉 음질이 우수한 악기를 제작할 수 있는 원천적이고 핵심적인 내용이며 명기의 기본조건을 갖춘 악기라 할 수 있습니다.
상기와 같이 악기의 진동의 주기성을 높이면 음고(음의 높낮이)는 저음부터 고음까지 잘 표현되도록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게 되며 음량은 풍부하게, 음가(음의 시간)는 여음시간이 충분하고 길게 음색은 부드럽고 선명하고 맑게 변화될 수 있으며, 진동의 주기성은 통전매체 금속을 음향판 역할을 하는 내부에 가능하면 직접적으로 긴밀하게 결합시공함으로써 공명효과를 강화하고 진동의 주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내용은 통전매체 금속을 음향판 역할을 하는 '내부'에 '긴밀하게' 시공해야한다는 점이다. 음향판 내부(캡홀더내측)에 사용해야만 악기의 공명효과를 높이고 음질을 높일 수 있다. 왜냐하면, 공명효과는 두 매체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었을 때에 공명효과가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외부에 사용하면 공명효과가 약해 악기의 여러 가지 음질(음고,음가,음량)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분류되는 목관악기는 일반인들이 쉽게 연주하기 난해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 목관악기 제작 기술은 전체적인 외형을 제작하여 전체적 소리는 만들지만 부분 부분적으로 음고(음의 높낮이) 음량(음의 강약) 음가(음의 여음시간) 음색(음의 색채) 등 음질을 섬세하게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부족하였다.
그로 인하여 기존 목관악기에서는 여음과 잔향이 적고 음폭이 좁고 여린 음부터 강한 음을 낼 수 있는 다이나믹 레인지가 좁고 음량이 적고 음이 깨끗하지 않고 탁한 단점들이 나타난 것이다.
또한, 저음 중음 고음 중 특정 음역대는 잘나고 특정 음역대는 잘 안나오고 음질의 밸런스가 안맞는 단점과 음이 거칠고 부드럽지 않으며 잡소리가 있고 음량이 적으며, 저음, 중음 고음 중 특정부분이 소리가 잘 나오지 않아 연주자의 의도대로 빨리 반응하지 않고 소리가 정확하게 나지 않는 단점과 여음과 잔향이 부족하여 청중이 듣기에 음이 딱딱하고 연주자의 연주시 연주인이 호흡시 호흡이 답답하고 힘들고 감정표현이 힘든 것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실시되는 현악기는 바이올린,비올라,첼로,더블베이스와 어쿠스틱기타 등 다양한 악기가 실시가능한 것이며 피아노 역시 본 발명을 통하여 공명을 우수하게 제공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악기중에 바이올린은 크게 Pegs(조리개), Bridge(브릿지), Sound Post(곤주), Finger Board, String, Chinrest(턱받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Pegs(조리개)는 습도의 변화로 인하여 Pegs를 쉽게 미끄럽게 하거나 잘 움직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상기와 같이 Pegs가 미끄러지는 경우 Pegs를 뽑아 steel wool이나 고운 사포로 가볍게 문지르고 잘 움직이지 않을 때는 Pegs와 Peghole이 닿는 부분에 건조된 비누나 Pegdope를 바르시면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분필이나 4B연필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무리하면 PegBox가 깨어지기 쉬운 문제가 제기되는 것이다.
또한, Bridge(브릿지)는 현의 높이를 결정하고 현과 악기를 연결시켜 소리를 조절하는 현악기의 중요한 부분이다.
상기 Bridge의 곡선은 연주할때 다른 줄을 건드리지 않도록 타원형의 모양을 하고 있어야 하고 바이올린에서는 G선이 E선보다 높고 첼로에서는 C선이 A선보다 높게 제작 구성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Bridge의 밑면은 악기표면에 정확히 밀착되어야 하며 튜닝할 때 지판쪽으로 기울어지므로 튜닝후에는 Bridge의 위치를 조절하여야 Bridge의 휘어짐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Bridge의 위치는 보통 바이올린은 앞판 끝에서 19.5cm첼로는40~41.5cm 이고 F-hole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Sound Post(곤주)는 통안에 들어있어 보이지는 않지만 소리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음색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제공한다.
상기 Sound Post의 양끝은 악기, 안쪽의 곡선과 일치해야 하며 정확하게 세워야 하며 Sound Post는 여름과 겨울과 같은 날씨의 변화가 심한 계절에 따라 별도의 관리가 요구된다.
상기 Sound Post 위치의 변화로 소리를 강하게 부드럽게 조절할 수 있고 소리의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Finger Board는 소리를 강하고 선명하게 하기 위해 약간 볼룩하 게 만들어져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면 선에 지판이 닳아서 Buzz(잡음)이 생기거나 표면이 거칠어지면 음정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다듬고 정리해 주어야 합니다.
또한, String의 교환은 일반적으로 3~4개월마다 바꿔 주는 것이 좋으며 연습시간이 늘어나거나 육안으로 줄 표면이 닳아서 반질거릴 경우는 바로 교체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사용후에는 현을 닦아 주어야 하며 현을 교환할 때는 4현 모두 갈아 줌으로서 소리의 음향효과를 우수하게 제공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바이올린 내부의 구조에는 버팀 막대(bass-bar)와 사운드 포스트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버팀막대는 바이올린 제작에서 아주 큰 역할을 하며 버팀 막대는 소나무로 만들어 적어도 몸통의 2/3 길이가 되어야 한다. 앞판 왼쪽으로 약간 비스듬히 붙이는데 그로 인해 앞판 전체는 고른 진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버팀기둥은 소나무로 되어 있으며 둥글고 작은 막대로 브릿지의 오른쪽 수 mm 지점에서 앞판과 뒤판 사이에 놓인다. 버팀 기둥은 앞판의 진동을 뒤판에 전달하는데 뒤판은 단단한 단풍 나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진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f자 구멍은 공명을 위한 두 개의 구멍이며 모양 그대로 f자 구멍이라고 한다.
브릿지는 재질 두께 높이가 모두 중요하며 낮은 브릿지는 현을 누르기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기후 변화에 의해 현이 늘어지면 지판을 때리는 소리가 들린다. 반대로 너무 높으면 연주하기 어렵다.
목은 악기의 몸통 길이에 따라 결정되고 목이 너무 길거나 짧은 것은 바이올린 연주자가 올바른 핑거링에 대한 감각을 잃을 수도 있다. 또한, 목의 두께가 너무 얇거나 두터운 경우 음표를 제대로 잡기 어렵거나 왼손이 쉽게 피로해 진다.
뒤판은 보통 단풍 나무로 만들고 한장의 판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두장의 판을 아교로 붙인 것이 많은데 한 장의 판으로 만들어진 것도 있다.
옆판은 앞판과 뒤판을 연결하는 구실을 하고 매우 얇은 단풍나무로 만든다.
거의 구별할 수 없을 만큼의 작은 이동에 의해서도 바이올린의 음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다.
어쿠스틱기타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다. 어쿠스틱기타는 크게 바디,넥,헤드로 구성되어 있다.
바디나 넥, 그리고 지판은 모두 악기의 소리와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바디는 통으로 크게 만들어서 소리가 울리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제공하고, 넥이나 지판은 소리의 울림을 바디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겁니다.
각 부분의 용도는 다음과 같다.
헤드 : 줄감개를 배치하고 울림을 넥으로 전달합니다.
줄감개 : 줄을 감는 장치이며 이걸로 튜닝을 하는 겁니다. 각각의 음정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넥 : 지판이 붙어있으며 지판이 휘거나 줄의 장력을 버텨주며, 소리를 바디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판 : 프렛이 박혀있고 소리를 바디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프렛 : 음정을 결정시켜 줍니다.
너트 : 줄의 실질적인 처음 시작이 됩니다.
바디 : 소리를 울려서 울림구멍으로 소리를 내보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울림구멍 : 바디에서 울린 소리를 내보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브릿지 : 줄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데. 줄의 울림을 바디로 전달해 주고,
어쿠스틱기타의 현의 가장 끝부분이 됩니다.
줄 고정핀 : 줄을 바디에 고정 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테일핀 : 스트랩(어깨끈)을 매거나 어쿠스틱기타를 세울때 받침대 역할을 합니다.
트러스로드 : 어쿠스틱기타넥과 지판 사이에 들어가며, 넥이 휘었을때 교정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본적인 어쿠스틱기타의 구조입니다.
어쿠스틱기타에서 중요한 요소는 일반적으로 목재(음향목)를 어떤 것을 사용했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또한, 어쿠스틱기타에 사용되는 목재와 그 특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목재의 특성에 따라 그 목재 고유의 소리 특징이 있지만 자재의 건조 상태와 품질 등 다양한 환경 여건에 의해 그 소리가 다르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
Sitka Spruce
가볍고 단단하기 때문에 sound board인 상판에 쓰이는 최고의 소재로 꼽힙니 다.
Sitka spruce는 중간 정도의 맑은 소리와 그 발란스가 장점이라는 평이 있으며, 공명성이 뛰어나 어쿠스틱 어쿠스틱기타의 상판에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Engleman Spruce
Engleman은 일반적으로 다른 나무들에 비해 더 부드럽고 약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재료를 사용할 때는 다른 spruce와 재료와는 마무리 처리가 다르게 되어야 합니다.
색상이 깨끗하고 밝아 어쿠스틱기타 상판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어집니다.
Mahogany
Mahogany는 울림이 크고 맑고 고운 고음을 내는 특징이 있습니다.
Maple에 비해 밀도나 강도가 약하지만, 어쿠스틱기타 재료로 매우 인기있는 나무이며 매끈한 무늬에 튼튼하고 강하며 무게는 약간 무거운 편입니다.
또한 ,Mahogany는 무엇보다 따뜻하고 묵직한 톤이 매력적입니다.
나뭇결 사이에 틈이 벌어져 있으므로 그 틈을 채우는 피니쉬 작업이 요구됩니다.
Koa
무늬가 아름다우며 무게가 보통이거나 약간 무거운 편이고 베이스어쿠스틱기타에 많이 쓰입니다.
마호가니와 비슷한 따뜻한 음색이지만 좀 더 밝은 음색이 납니다.
Maple
외관상으로 장식적인 효과가 있고 소음 효과와 짧게 지속되는 음을 요하는 장르에는 메이플을 합니다.
Walnut
마호가니보다 따딱하고 메이플보다는 부드러운 재질
소리는 일반적으로 화려하고 시원한 소리가 납니다. Ebony와 만든 핑거보드와 함께 쓰여질 때 좋은 사운드를 들려줍니다.
Sepele
내구성이 우수하고 안정성이 좋다
Mahoginy의 대용, 네크에 사용
Ebony
흑단,프렛보드(fret board) 사용,밝고 카랑카랑한 음색이 특징
Indian Rosewood
어쿠스틱 어쿠스틱기타의 바디에 주로사용,깊고 매력적인 Bass 음을 내는 것이 특징
메이플 보다 휠씬 더 따뜻한 음색을 내는 것이 특징.
Bubinga
베이스 어쿠스틱기타에 주로사용하고 나무가 무겁고 탄성이 좋다.
어쿠스틱기타는 90%이상이 목재로 이뤄지기 때문에 어떤 목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어쿠스틱기타의 퀄리티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어쿠스틱기타를 만드는 목 재 중 어쿠스틱기타의 울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판의 목재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어쿠스틱기타의 전체적인 퀄리티와 음색은 상판뿐만 아니라 넥, 지판등 특색에 적합한 목재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그리고 건조방식이 자연건조냐 인공건조냐에 따라서 또 다릅니다.
상판목재들의 상품성 등급를 표시 할때는 A, AA, AAA, Mastar급 등으로 표시하게 됩니다. 등급이 높을수록 목재의 가격이 높아지며, 같은 사양이라 하더라도 높은 등급의 목재를 사용한 어쿠스틱기타의 가치가 더욱 커지게 됩니다.
1. 스프러스(Spruce) - 상판
스프러스는 가볍고 튼튼하기 때문에 악기 제작용 목재로 가장 많이 쓰이는 자재입니다. 어쿠스틱기타를 비롯해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 피아노 등 많은 악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훌륭한 음향목입니다.
스프러스는 독일(german)스프러스, 엥겔만(engelmann)스프러스, 시티카(sitka)스프러스 등으로 다시 분류되는데 엥겔만과 시티카는 북미가 원산지입니다. 바이올린 계통의 악기와 피아노의 음향판에 쓰이고 있으며 밝은 베이지 계통의 색을 띄며 시더에 비해 처음부터 좋은 소리를 내주지않고 어쿠스틱기타가 길이들면서 점점 깊고 중후한 음색을 갖게됩니다. 결이 바르고 결의 폭이 일정하며 옹이가 없는 것을 좋은 재료로 봅니다.
2. 시더(Cedar) - 상판
시더는 스프러스의 대체 재료로 사용된 자재이며 어쿠스틱기타상판에 스프러스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목재입니다. 주로 클래식 어쿠스틱기타(Classical Guitar)의 음향목으로 많이 쓰였으며 오래 묵은 듯한 중후한 소리를 내어줍니다.
시더는 스프러스에 비해 커피색 또는 짙은색을 띄고 결이 촘촘하며 처음 만들어 졌을때부터 트인 소리가 나며 제 소리를 갖게 되는 시간이 스프러스보다 짧은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스프러스에 비해 음향목으로서의 수명이 짧다는데 있습니다.
3. 마호가니(Mahogany) - 상판, 넥
마호가니는 밝은 갈색 또는 붉은색을 띠면서 가볍고 견고하여 어쿠스틱기타의 넥과 측.후판에 많이 쓰이는 목재입니다. 상판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부드럽고 따뜻한 음색을 가지고 있고 처음부터 트인 소리를 내어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4. 로즈우드(Rosewood) - 브릿지
로즈우드는 장미꽃의 향기와 비슷한 특유의 향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보통 어쿠스틱기타에 쓰는 로즈우드는 인디안 로즈우드입니다.
고급 어쿠스틱기타의 측.후판에 많이 쓰이며 메이플보다 훨씬 더 따뜻한 음색을 내어줍니다.
5. 메이플(Maple) - 측.후판 넥
메이플은 아시아, 유럽, 미국등지에 서식하는 활엽수이며 치밀한 조직과 아름다운 무늬결로 바이얼린 계통의 현악기와 솔리드어쿠스틱기타의 바디와 넥등에 주로 쓰이며 밝은색 계통입니다.
아름다운 무늬결과 부드러운 음색을 주며 넥의 재료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6. 코아(Koa) - 상판, 측.후판
흔히 하와이안 코아라고 하는 목재입니다.
주로 하와이에서 하와이안 악기들을 제작하던 목재인데 어쿠스틱기타 전판, 후판, 측판의 재질로도 사용합니다. 너무 딱딱하다는 느낌이 날 정도로 견고한 목재인데 음향목으로도 손색이 없는 특이한 나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리는 상당히 명료하고 깨끗하며 힘이 있는 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점이라면 스프러스처럼 제작하자마자 트인 소리를 내어주지 않고, 상당한 시간동안 길을 들여야 제대로 된 소리를 내주는 것이 코아의 특징입니다.
7. 흑단(Ebony) - 지판(Fingerboard), 브릿지
지판은 전통적으로 모든 악기에 흑단이 쓰입니다. 흑단은 열대지방인 인도, 스리랑카, 아프리카 등지에서 자라는 강도가 큰 흑색의 목재로서 결이 적고 검고 옹이가 적은 것을 고급으로 칩니다. 어쿠스틱기타에서는 지판에 쓰입니다.
상기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어쿠스틱기타의 목재 자체가 중요하다. 종래에는 목재 자체의 품질만 중시하였다. 목재는 추가적인 작업방법에 따라 에너지를 전달하여 공명을 증폭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여기에 추가로 목재의 종류와 상태에 관계없이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을 공명을 담당하는 어쿠스틱기타의 바디 내부에 투입 또는 내부와 외부에 선택적으로 도포 및 부착, 도금하는 기술을 접목하면 공명을 더욱 증폭하여 진동강도를 높여 단일한 징동상태로 만들어 일정한 파장에 의한 보다 더 선명한 소리를 만들 수 있다.
또한, 피아노는 오늘날의 피아노는 현을 수평으로 친 그랜드피아노와 수직방 향으로 친 업라이트 피아노가 있다.
후자의 것은 음색,음량,발음기구가 모두 앞의 것에 못 미치는 약식 간이형이고, 주로 가정용,연습용으로 쓰인다.
종래에는 직사각형의 테이블형으로 된 스퀘어 피아노도 있었는데, 19세기 후반에 거의 모습을 감추었다. 현은 전용의 특수강철제로 1음(1건)에 대하여 저음부에서는 1줄 또는 2줄,중,고음부에서는 3줄이, 히치핀과 조율된 사이에 강한 장력으로 처져있다.
해머의 타현에 의한 현의 진동은 굄목을 매개로 하여 얇은 나무로 만들어진 음향판에 전해져서 소리를 낸다.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을 누루면, 이스케이프먼트에 의해 해머가 현을 때린다. 해머는 쳐올리는 레버(자크)에 의하여 움직여지는데, 해머가 현에 접근하면 이 레버는 벗겨지고, 해머는 그 다음에 관성에 의하여 타현한다. 그랜드피아노에서도 자크 외에 레피테이션 레버라는 또 하나의 레버가 있어 안정되고 급속한 반복음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업라이트파이노에는 이 제2의 레버가 없어 빠른 반복이 불안정하다(싱글 이스케이프먼트).
해머의 타현에 따라서 댐퍼가 벗겨져서 발음을 가능하게 하고, 해머가 현에서 튀어오르면 댐퍼는 현 위에 떨어져 소리를 멈춘다. 따라서 피아노의 연주에서는 손가락을 건반에서 떼면 댐퍼의 작용으로 즉시 소리가 울리지 않게 되며, 건반을 누르고 있는 한 댐퍼가 벗겨져서 소리는 상당히 길게 지속된다.
이에 의하여 경쾌한 스타카토에서 노래하는 듯한 레가토까지 피아노 특유의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다. 피아노에는 발로 밟는 페달이 통상 2개가 달려 있다. 오른쪽의 댐퍼 패달을 밟으면 전현의 댐퍼가 일제히 현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손가락을 건에서 떼더라도 소리가 지속하며, 또한 때린 현 이외의 현도 공명을 일으켜서 질,양이 모두 더욱 더 풍성한 소리가 얻어진다.
피아노 연주는 타건의 방법과 함께 오른쪽 페달의 용법에 좌우한다. 왼쪽 페달은 소프트 페달이라고 하는데, 밟음으로써 음량이 감소한다. 그랜드 피아노에서는 왼쪽 페달을 밟으면 건반과 타현기구 전체가 약간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각건에 대응하며 3줄 또는 2줄의 현 중 한 줄만은 해머의 타격을 받지않게 되어 음량과 동시에 음색도 변화한다. 업라이트 피아노의 경우 이와는 달라 해머 레일이 움직여서 해머의 운동거리가 단축되어, 타현 속도가 떨어져서 음량의 감소가 이루어진다.
3개의 페달을 밟으면 해머와 현 사이에 얇은 펠트가 삽입되어서 음을 약화시킨다. 이것은 연주효과를 위해서가 아니고, 연습 때에 피아노 공해를 가져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피아노는 바이올린 등의 현악기와 달리 현의 강대한 장력 때문에 소모가 빠르므로 연주회용으로는 5년 정도의 수명밖에 안되는 소모품이다. 또한, 사용에 따라 음률의 이상도 생기므로 사용 빈도에 따라서 조율이 필요해 진다.
피아노는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악기 중 하나로서 표준 피아노는 현이 두껍고 긴 최저음 A 에서부터 가늘고 짧은 현의 최고음 C까지의 넓은 음역을 자랑합니다. 조용한 피아니시모(아주 여리게)에서부터 격렬한 포르티시모(아주 세계)까지 셈여림의 변화를 쉽게 표현할 수 있고, 동시에 여러 개의 음을 연주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날의 피아노 현은 견고하고 우수한 탄력의 강철로 만들어집니다. 각 건반마다 3개씩의 현이 있으나, 저음부에서는 2개 또는 구리로 감싸진 1개의 현을 이용합니다. 현의 음고는 그 길이와 팽팽함의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고음부의 현은 짧은 길이로 되어 있고, 저음부의 현은 약 73.5 cm 가 넘는 길이로 만들어집니다.
그랜드 피아노의 현은 수평으로 깔려 있는 반면, 업라이트 피아노의 경우에는 바닥공간의 여건상 현의 위치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습니다.
[건반]
표준 피아노에는 전부 88개의 건반이 있습니다. 각각의 건반은 지랫대 구조를 통하여 해머에 연결되어 있어서 손가락으로 건반을 누르면 해머가 현을 때리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현을 누르고 있던 댐퍼가 현에서 떨어져 나가서 해머의 충격에 의해서 발생된 현의 진동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합니다.
이전에는 흰 건반을 상아로 만들었으나, 오늘날에는 플라스틱을 사용합니다. 검은 건반은 이전엔 흑단이 사용되었으나, 현재에는 염색된 배나무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해머]
현 아래에 위치한 해머는 나무막대 끝에 펠트가 단단히 감겨져 있는 것으로서, 소리의 크기는 헤머가 현을 치는 속도(다현속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소리를 크게 하려면 다현속도를 빠르게 하고, 반대로 여린 소리로 연주하려면 타현속도를 느리게 합니다.
한편 피아노의 구조와 성능 및 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구조적인 면
1) 발음기구 : 현,음향판
2) 타현기구 : 건반,액션
3) 페달기구 : 댐퍼페달,소프트페달,머플러페달,소스테뉴토페달
4) 외장
(2) 성능적인 면
1) 구조적인 면 : 피아노의 배면(뒷면지주-UP,밑면지주-GP),철골,핀판 등
2) 음과 직접 연관된 부분 : 음향판(향판),현,해머 등
3) 기계적인 부분 : 건반,액션,페달장치 등
(3)형태적인 면
1) 그랜드(평형) : 콘서트형,쎄미콘서트형,베이비형 등
2) 업라이트형(입형) : 스피넷형,콘솔형,스튜디오형,홀사이즈형 등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현악기의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f자 모양의 구멍을 갖는 앞판, 뒤판, 옆판으로 이루어진 몸통, 손가락으로 현을 누르는 지판(指板)과 현을 감아서 조현하는 줄감개와 소용돌이 모양의 장식, 현을 한쪽 끝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앞판 위에 세운 줄받침대가 주요부분이다.
공명상으로는 몸통 속에 있는 속나무(베이스바)와 버팀막대(사운드포스트)가 중요하다. 속나무(베이스바)는 앞판 뒤쪽에 붙인 가늘고 긴 막대로, 이것이 줄받침 으로부터 전하는 진동을 앞판 전체에 전달한다. 버팀막대(사운드포스트)는 줄받침의 진동을 뒤판에 전달한다. 악기의 음향적 특성은 형태와 재질, 버팀막대의 크기와 위치, 앞판 f자 구멍(소리를 밖으로 전한다)의 크기, 그리고 악기 표면에 칠한 니스 등이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바이올린의 공명판 [共鳴板, soundboard]은 현악기의 현(絃) 바로 아래에 있는 얇은 나무판이다. belly 혹은 겉판이라고도 한다. 현이 내는 모든 음역에 걸친 배음(倍音 overtone)에 공명해서 고른 음의 느낌을 풍부하게 느낄 수 있도록 고안된 나무판을 말한다.
이 공명판은 현과 같이 진동하며, 현이 진동하여 내는 약한 소리를 크고 고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현의 진동은 탄력있는 나뭇조각으로 된 브리지(bridge:현악기의 줄을 괴는 나무로 된 받침)에 의해 공명판에 전달된다.
공명판의 크기,형태,재질에 따라 악기의 음색이 좌우되므로 크기가 너무 작으면 저음이 제대로 나지 않는다. 현만으로는 소리가 약하며 주위의 공기를 충분히 진동시킬 수 없다.공명증폭기인 현악기,어쿠스틱기타의 몸통,피아노의 음향판은 공명발생기인 현의 진동을 받아 공명판 고유의 목재성질과 특성을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반응하고 같은 현이라도 공명판의 재질 특성에 따라 소리가 각양각색으로 다양하다.
기본적인 구조로는 f자 모양의 구멍을 갖는 앞판,뒤판,옆판으로 이루어진 몸통, 손가락으로 현을 누르는 지판(指板)과 현을 감아서 조현하는 줄감개와 소용돌이 모양의 장식, 현을 한쪽 끝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앞판 위에 세운 줄받침대가 주요부분이다.
공명상으로는 몸체와 더불어 몸통 속에 있는 베이스바와 사운드포스트가 중요하다. 베이스바는 앞판 뒤쪽에 붙인 가늘고 긴 막대로, 이것이 브릿지(줄받침)으로부터 전하는 진동을 앞판 전체에 전달한다. 사운드포스트는 줄받침의 진동을 뒤판에 전달한다. 악기의 음향적 특성은 형태와 재질, 사운드포스트의 크기와 위치, 앞판 f자 구멍(소리를 밖으로 전한다)의 크기, 그리고 악기 표면에 칠한 니스 등이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피아노에서는 현의 뒤쪽에 음향판이 장치되어 있어 공명이 잘 되도록 했으며, 바이올린과 같은 현악기와 어쿠스틱기타의 경우 악기의 상판(앞판)이 공명판 역할을 한다.
바이올린은 나뭇결에 따라 공명도가 다르기 때문에 좋은 공명을 얻기 위해 앞판은 세로로 뒷판은 가로로 자른 널빤지를 잘 건조시켜 쓴다. 앞판과 옆판은 소나무나 전나무, 뒤판은 단풍나무를 주로 쓴다. 현의 진동이 브리지를 타고 앞판에 도달하여 공명하면 앞판, 옆판, 뒤판으로 만든 빈 공간이 공명통의 구실을 하여 음을 증폭시킨다.
한편, 피아노 악기의 소리는 진동을 공기중에 발산하는 음향판의 목재의 수종과 재질상태 등이 소리에 영향을 준다.
지금까지는 음향판 제작에 있어 울림이 좋은 나무를 선택하고 음향판의 구조와 제작의 외형적 형태에 집중하였다. 제작형태를 독특하게 음향판을 저음은 두껍게 고음은 얇게 하여 좋은 음질을 얻는 경우도 있었다.
추가적으로 건반악기의 음색에 변화를 주는 요인은 현을 자극하는 방법이 있다. 또, 현의 강도, 건반당 반응하는 현의 구조와 갯수,현을 지탱하는 구조 등
많은 음향적 요인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지금까지는 악기 음질 연구에 있어 진동증폭 ,공명강화를 담당하는 부분이 중요하기 때문에 울림이 좋은 목재선택과 악기구조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새로운 방법은 음향판의 목재 재질상태를 기반으로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을 투입, 도포, 부착, 도금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서 진동을 강화하고 공명을 강화하는 방법에 집중하였습니다.
현악기와 어쿠스틱기타는 현의 울림을 공명상자(악기 내부) 안에서 증폭하고, 거기에서 증폭된 소리는 홀을 통해 나오게 되고 청각기관을 통해 청중들은 소리를 듣게 됩니다.
현이 진동발생기의 역할을 하고 활의 운동에 의한 현의 움직임은 진동 발생의 시점이고 바이올린 등 현악기와 어쿠스틱기타의 몸통내부는 진동증폭기,공명강화기의 역할을 한다.
피아노에 있어 건반을 누르면 진동(소리)의 시작이고 바이올린과 어쿠스틱기타의 몸통내부의 진동증폭을 담당하는 같은 역할을 하는 부분은 음향판이고 이 음향판이 공명강화를 담당하는 진동증폭기이다. 피아노의 음향판은 표면이 넓어 많은 양의 공기를 자극하는 진동증폭기이다.
물론 악기는 기본적으로는 목재종류 및 재질과 상태가 중요합니다. 공명증폭부분 현악기,어쿠스틱기타 악기내부 공명상자 ,피아노의 음향판의 목재재질 및 상 태와 제작형태도 중요하지만 한 단계 더 나가서 공명과 소리를 강화하기 위해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을 통한 공명효과 현상을 이용하여 진동강도를 높여 현악기의 울림통과 피아노 음향판의 울림을 강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목재가 질이 낮은 재질의 문제점을 보완해주거나 극복해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또 현악기의 경우 현악기의 목재를 저급한 목재를 사용하거나 목재 품질이 낮은 경우 통전매체금속유닛이나 통전매체금속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현악기의 저급한 목재의 품질을 보완하고 진동의 불규칙함으로 인한 현악기의 탁한 소리를 통전매체금속을 통해 진동의 강도와 주기성을 높여 진동의 규칙성을 강화하여 현악기의 선명한 소리로 변화시킬수 있습니다.
목재 자체로 힘으로 진동을 일으키는 것 보다 공명효과를 이용하여 통전매체를 도포,부착 도금 투입함으로써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의 에너지를 공명판에 전달하여 공명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공명현상은 두 물체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효과가 크다.
공명현상은 진동계가 그 고유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외력(外力)을 주기적으로 받아 진폭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이를 이용하면 세기가 약한 파동을 큰 세기로 증폭시킬 수 있다. 또 진동체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양쪽 진동수가 같으면 공명에 의해 에너지를 서로 교환하기 쉽게 된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무리 좋은 음향판 목재라도 목재 내부의 자체 울림만으로는 진동의 한계가 있다. 진동의 강도와 진동의 주기성이 낮다. 진동이 불규칙함으로 음이 선명하지 않고 거친 소리가 나고 귀에 거슬리는 음들이 나는 것 이다. 또,음의 지속시간이 충분하지 않고 음량이 충분하지 않다.
질이 낮은 목재의 경우 현악기, 울림통, 피아노 음향판 목재 자체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가 없다. 또 질이 좋은 음향판 목재라도 목재 자체의 진동으로는 진동의 강도가 약하고 진동의 주기성이 떨어진다.
악음이란 발음체가 규칙적인 진동을 일정시간동안 계속하고 진동의 변화가 순조로워 확실한 음의 높이를 알 수 있는 음을 말한다. 진동의 주기성이 일정한 상태의 음을 악음이라고 하며 음고(음의 높낮이)를 느낄 수가 있다. 음의 높이를 분명히 알수 있고 진동이 일정하게 나는 악기가 중요한 이유는 바로 악음을 얻기 위해서이다. 주로 음고를 나타나는 현악기, 관악기,건반악기에 해당한다.
진동의 주기성이 일정하지 않은 음을 비악음이라고 하며 주로 음고가 나타나지 않는 타악기에 해당한다.
따라서 현악기, 관악기, 건반악기의 좋은 악음을 얻기 위해서는 진동의 주기성이 좋은 악기가 중요하며 진동의 주기성이 좋은 악기를 우수한 악기라 말할수 있다. 진동강도와 진동의 주기성을 높여야만 좋은 악기를 만들 수 있다. 어떻게 하면 악기의 진동강도와 진동의 주기성을 높여 악음을 내는 악기를 만들 것인가 하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명을 담당하는 현악기와 어쿠스틱기타의 울림통, 피아노 내부의 음향판 목재의 진동을 통전매체를 통해 강화하면 진동의 주기성과 진동강도를 높여 규칙적 진동을 통해 악음이 발생하도록 하면 고선명 고음질의 사운드를 들을 수가 있다. 진동이 규칙적인 악기는 연주시에 연주자의 의도대로 소리가 일정하게 난다는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악기,어쿠스틱기타,피아노의 목재가 중요하다. 종래에는 목재 자체의 품질만 중시하였다. 새로운 방법은 목재에 대해 연구함과 동시에 추가적으로 악기에 진동에너지를 전달하여 공명을 증폭시키 방법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목재의 종류와 상태에 관계없이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을 공명을 담당하는 현악기,어쿠스틱기타,피아노의 공명판 또는 음향판 내부에 통전매체를 도포,부착,도금,투입하는 공명 강화 기술을 접목하면 진동강도를 높여 진동이 규칙성과 진동의 주기성을 높여 공명을 더욱 증폭하여 음량을 증폭하고, 음가(음의 지속시간)를 늘리고 음고(음의 높낮이)표현이 용이하고 음색이 맑은 악기로 만들어 악기의 음질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관악기, 현악기, 건반악기, 어쿠스틱기타 등의 공명을 담당하는 내부영역에 통전매체를 나노의 분말, 일반적인 고운 분말, 선이나 판 또는 다양한 형태 미세분말, 괴형태의 고체덩어리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제공함으로서 악기의 공명이 우수하게 연출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악기의 내부 또는 외부영역에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을 도포, 부착, 도금, 투입하여 악기의 공명이 우수하게 연출되는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목적에 제공되어지는 통전매체를 백금, 금, 은, 동, 니켈, 청동, 황동, 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통전매체를 이용함으로서 악기 소리의 울림현상이 우수하게 제공가능한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에 제공되어지는 통전매체에 메틸알코올과 접착액을 혼합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악기의 내부에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악기의 내부에 제공되는 통전매체의 양과 종류에 따라 진동강도를 부분적으로 조절하여 음질의 부분별 조정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기술을 통해 상기 악기의 소리의 기존 진동을 더욱 증폭할 수 있으며 공명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의 공명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악기의 내부에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이 투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의 공명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악기의 내부 또는 외부면을 따라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이 도포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의 공명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악기의 내부 또는 외부면을 따라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이 부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의 공명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악기의 내부 또는 외부면을 따라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이 도금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통전매체 금속유닛은 백금, 금, 은, 동, 니켈, 청동, 황동, 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전매체 금속유닛은 백금 0.001~100중량부, 금 0.001~100중량부, 은 0.001~100중량부, 동 0.001~100중량부, 니켈 0.001~100중량부, 청동 0.001~100중량부, 황동 0.001~100중량부, 인청동 0.001~100중량부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여러가지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에 메틸알코올, 접착액, 실 리콘, 아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이 더 포함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기는 금관악기 또는 목관악기로 구성되어지되, 금속재로 구성된 악기에는 실리콘, 아교, 본드 등 접착제가 제공되고 목재로 구성된 악기에는메탄알콜, 접착제가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전매체 금속유닛은 나노의 분말, 일반적인 고운 분말, 선이나 판 또는 다양한 형태 미세분말, 괴형태의 고체덩어리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금방식은 금관악기, 색소폰, 플룻의 경우 기존 마감방식이나 기존 도금유무와 무관하게 내부도금과 동시에 악기의 진동이 약한 부분에 부분적으로 하는 부분도금 이며 여러 통전매체유닛을 사용한 다층적인 혼합도금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에 있어서, 상기 악기의 내부에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이 투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에 있어서, 상기 악기의 내부면을 따라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이 도포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에 있어서, 상기 악기의 내부 또는 외부면을 따라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이 부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에 있어서, 상기 악기의 내부면을 따라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이 도금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음향판을 갖는 피아노로 제공되어지되, 상기 피아노의 음향판에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이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명이 강화되는 목관악기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내측으로 캡홀더와 패드가 결합되어지는 목관악기로 제공되어지되, 상기 목관악기는 내부에 다수의 패드가 결합되어지도록 상기 캡홀더와 패드 사이에 통전매체 금속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이 제공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악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통전매체를 공급하여 공명을 우수하게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연습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악기를 사용함으로서 독특하고 아름다운 다양한 음색, 풍부한 음량, 여린음은 더 여리게 강한 음은 더 강하게 다이나믹한 음고연출,다이나믹 톤의 표현이 가능하고, 여음있는 음가를 표현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연주 시 여음이 좋아 음과 음들의 연결이 부드럽고 자연스러울뿐 아니라 저음,중음,고음의 밸런스가 균형감 있고 안정감 있으며 통전매체의 종류에 따라 음이 압축되어 포근하고 따뜻하게, 시원하면서도 진지하게 또는 밝으면서 진지하게 다양한 소리가 연출이 가능하며 맑고 깨끗하고 선명한 음의 풍부한 멋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통전매체 유닛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을 악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결합함으로써 처음부터 음질이 좋은 악기를 만들 수 있고 또 저가의 악기도 고가의 악기에서 나오는 소리로 연출가능한 효과가 제공되며, 상기 통전매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사운드가 연출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통전매체의 양과 종류에 따라 음량, 음가, 음고, 음색을 개선하고 진동강도를 부분적으로 조절하여 음질의 부분별 조정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기술을 통해 악기 소리의 기존 증폭을 더욱 증폭할 수 있도록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이펙터 장비를 통해 조정한 듯이 저음,중음,고음의 밸런스가 균형감 있고 안정감 있으며 통전매체의 종류에 따라 음이 압축되어 포근하고 따뜻하게, 시원하면서도 진지하게 또는 밝으면서 진지하게 다양한 소리가 연출이 가능하며 맑고 깨끗하고 선명한 음의 풍부한 음향을 즐길 수 있다. 물론 연주인의 기본기가 갖추어진다면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금의 경우 무겁고 진지한 소리가 연출되며, 은의 경우 시원하고 경쾌하며 부드러운 소리가 연출되며, 동의 경우 직진성이 강하여 포근한 소리가 연출되며 니켈의 경우 소리가 부드러우면서도 풍성한 소리가 각각 연출 가능한 독창적이면서도 개성적인 소리연출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진동과 음(소리)의 관계 및 작업 후 변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진동의 폭:음량(크기-강약)-음량은 풍부하게 변화하고,
진동의 시간:음가(길이-장단)-여음이 풍부하여 음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며,
진동의 모양(파형):음색(색-음색의 특성,다양성)-음색은 선명하게, 잡음이 없고 깨끗하고,
진동의 빈도(주파수):음고(높이)- 다이나믹 레인지가 넓게, 여린 음은 더욱 여리게, 강한 음은 더욱 강하게 표현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처음부터 음질이 좋은 악기를 만들 수 있고 또 기존 생산된 저가의 악기에 사용된 목재 종류와 품질을 뛰어넘어 고가의 악기에서 나오는 공명이 좋은 소리로 연출가능한 효과가 제공되고, 상기 통전매체의 종류에 따라 목재 자체의 고유성질을 강화하거나 보다 더 우수한 사운드를 창조하며 통전매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사운드가 연츨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은 각각의 특징에 따라 명품악기의 소리를 재현하거나 명품악기를 넘어서는 새로운 명품악기의 사운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다양한 악기(A) 중 색소폰을 예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도시된 색소폰의 내부에는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이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악기(A)에 공급되어지는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의 공급방식은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은 방식을 통하여 공급되는 것이다.
즉 도 2는 본 발명에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이 투입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상기 악기(A)의 내부에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이 고정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알갱이나 미립자 형태로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을 형성하여 상기 악기(A)의 내부에 투입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을 투입하는 경우에도 악기(A)로부터 발생하는 소리의 공명을 우수하게 연출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알갱이나 미립자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특정한 위치에 따라 음대역에 차이가 발생가능할 수도 있기는 하나 실질적으로 악기(A)의 내부면(3)에 고르게 통전매체가 분포됨으로서 실질적인 공명은 일반적인 악기(A)보다 우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이 도포 또는 도금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이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악기(A)의 내부면(3) 또는 외부면(4)을 따라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을 도포하거나 부착시에는 상기 악기(A)의 내부면(3) 또는 외부면(4) 전체에 고르게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이 분포되어져 공명을 강화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특히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일측에 확대도처럼 악기(A)의 내부면(3) 또는 외부면(4)을 따라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을 접합수단을 통하여 접합하게 되는 경우 기존에 공급되어진 악기(A)에도 용이하게 적용하 여 실시가능함으로서 다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전매체가 악기(A)의 내부에 제공된 상태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악기(A)에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을 공급하되, 상기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은 백금, 금, 은, 동, 니켈, 청동, 황동, 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진 것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금속구성요소로 형성된 단일의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복수의 금속구성요소로 형성된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을 악기(A)에 공급하기 위하여 악기(A)의 내부면(3) 또는 외부면(4)에 상기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을 투입하는 방식과 도포하는 방식 및 부착하는 방식과 도금하는 방식으로 구분하여 실시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악기(A)의 공명을 강화하기 위하에 제공되어지는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의 금속성분은 본원 발명에서 기재되어진 것 이외에도 다양한 금속재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상기와 같이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을 악기(A)에 공급하는 방식 또는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악기(A)에 접합가능한 것 또한 본원발명으로부터 실시가능한 발명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6과 도 7은 각각 바이올린과 색소폰의 공명강화 작업 전,후의 사운드를 분석한 예시도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상측에 도시된 것은 작업전의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음량이 부족하고 부족하고 음량이 일정하지 않고 저음 중음 고음의 밸런스가 깨져있는 것이다.
또한, 여음이 적고 음폭이 좁으며 여린음부터 강한 음을 낼 수 있는 다이나믹 레인지가 좁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저음 중음 고음 중 특정 음역대는 잘 나지만 음질의 밸런스가 안맞는 단점과, 음이 거칠고 부드럽지 않으며 잡소리가 있고 음량이 적은 것이다.
이에 따라 저음 중음 고음 중 특정부분이 소리가 잘 나오지 않고 연주자의 의도대로 반응하지 않으며 소리가 정확하게 나지 않는 단점과 여음이 부족하여 호흡이 힘들고 감정표현이 힘든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반하여 하측에 도시된 것은 작업 후의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아주 여린 음부터 아주 강하고 파워풀한 음까지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어지고 음질의 불규칙함에서 탈피해서 규칙적이고 안정적이며 저음 중음 고음 각 부분 음질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바이올린의 세부 그림도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편의상 외래어로 표기하여 기재한 것이며 상기와 같이 제공된 바이올린을 통하여 공명을 강화할수 있는 것은 물론 기타 본원발명에서 기재되어진 다른 악기에도 역시 공명을 용이하게 강화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통전매체가 투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통전매체가 도포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통전매체가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전매체가 악기의 내부에 제공된 상태의 블럭도
도 6은 바이올린 공명강화 작업 전,후의 사운드를 분석한 예시도
도 7은 색소폰 공명강화 작업 전,후의 사운드를 분석한 예시도
도 8은 바이올린의 세부 그림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악기 1-통전매체 금속유닛
2-통전매체 금속혼합물 3-내부면
4-외부면

Claims (22)

  1.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의 공명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악기(A)는 현악기, 어쿠스틱기타, 알토색소폰, 테너색소폰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악기(A)의 내부에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이 투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2.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의 공명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악기(A)는 현악기, 어쿠스틱기타의 내부의 울림통, 피아노의 음향판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악기(A)에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이 도포 후 건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3.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의 공명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악기(A)는 현악기, 목관악기, 금관악기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악기(A)의 내부면(3) 또는 외부면(4)을 따라 접착제로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이 더 부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4.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의 공명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악기(A)는 금관악기, 색소폰,플룻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악기(A)의 내부면(3)을 따라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이 악기의 진동에 약한부분에 진동강화를 위하여 다층으로 도금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통전매체 금속유닛(1)은 백금, 금, 은, 동, 니켈, 청동, 황동, 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매체 금속유닛(1)은 백금 0.001~100중량부, 금 0.001~100중량부, 은 0.001~100중량부, 동 0.001~100중량부, 니켈 0.001~100중량부, 청동 0.001~100중량부, 황동 0.001~100중량부, 인청동 0.001~100중량부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 진동강화에 제공되는 통전매체 금속유닛(1)은 백금 0.001~100중량부, 금 0.001~100중량부, 은 0.001~100중량부, 동 0.001~100중량부, 니켈 0.001~100중량부, 청동 0.001~100중량부, 황동 0.001~100중량부, 인청동 0.001~100중량부로 구성되어져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분말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아교, 본드, 접착제와의 액상 또는 고형의 통전매체 금속혼합물.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 진동강화에 제공되는 통전매체 금속유닛(1)은 백금 0.001~100중량부, 금 0.001~100중량부, 은 0.001~100중량부, 동 0.001~100중량부, 니켈 0.001~100중량부, 청동 0.001~100중량부, 황동 0.001~100중량부, 인청동 0.001~100중량부로 구성되어져 어느 하나 이상의 통전매체 금속선, 판, 괴형태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아교, 본드, 접착제와의 액상 또는 고형의 통전매체 금속혼합물.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매체 금속유닛(1)과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에 메틸알코올, 접착액, 실리콘, 아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이 더 포함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매체 금속유닛(1)과 상기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은 나노의 분말, 일반적인 고운 분말, 선이나 판 또는 다양한 형태 미세분말, 괴형태의 고체덩어리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방식은 상기 악기(A) 내부의 진동이 약한 악기(A) 일부분에 하는 부분도금으로 한정하되, 상기 부분도금은 백금, 금, 은, 동, 니켈, 청동, 황동, 인청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전매체 금속유닛을 다층으로 실시하도록 복층혼합도금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12.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에 있어서,
    상기 악기(A)의 내부에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이 투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어쿠스틱기타, 알토색소폰, 테너색소폰으로 구성된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
  13.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에 있어서,
    상기 악기(A)의 내부면(3)을 따라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이 도포 후 건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어쿠스틱기타, 알토색소폰, 테너색소폰으로 구성된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
  14.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에 있어서,
    상기 악기(A)의 내부 또는 외부면(4)을 따라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이 부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목관악기, 금관악기, 어쿠스틱기타, 피아노로 구성된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
  15.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에 있어서,
    상기 악기(A)는 색소폰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악기(A)의 내부면을 따라 통전매체 금속유닛(1)이 상기 악기(A)의 진동이 약한 부위에 진동강화를 위해 추가적으로 부분적인 도금이 다층으로 복합도금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색소폰 악기.
  16.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에 있어서,
    상기 악기(A)는 금관악기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악기(A)의 내부면을 따라 통전매체 금속유닛(1)이 상기 악기(A)의 진동이 약한 부위에 진동강화를 위해 추가적으로 부분적인 도금이 다층으로 복합도금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색소폰,플룻,금관악기.
  17.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에 있어서,
    상기 악기(A)는 음향판을 갖는 피아노로 제공되어지되, 상기 피아노의 음향판에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이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
  18. 공명이 강화되는 악기에 있어서,
    상기 악기(A)는 내측으로 캡홀더와 패드가 결합되어지는 목관악기로 제공되어지되, 상기 목관악기는 내부에 다수의 패드가 결합되어지도록 상기 캡홀더와 패드 사이에 통전매체 금속유닛(1) 또는 통전매체 금속혼합물(2)이 제공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
  19. 제 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A)는 현악기, 어쿠스틱기타, 알토색소폰, 테너색소폰, 피아노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
  20. 제 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A)는 현악기, 어쿠스틱기타, 피아노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
  21. 제 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A)는 현악기, 목관악기, 금관악기, 어쿠스틱기타, 피아노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
  22.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A)는 현악기의 사운드포스트와 베이스바, 끝단추(End pin)에 통전매체 금속유닛, 통전매체 금속혼합물이 어느 하나이상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강화가 우수한 악기.
KR1020090108015A 2009-07-16 2009-11-10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KR101057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015A KR101057277B1 (ko) 2009-11-10 2009-11-10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PCT/KR2010/004639 WO2011008045A2 (ko) 2009-07-16 2010-07-16 악기의 공명강화 방법 및 그 악기
US13/384,041 US20120174728A1 (en) 2009-07-16 2012-01-13 Method for increasing resonance of instrument and the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015A KR101057277B1 (ko) 2009-11-10 2009-11-10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439A true KR20110051439A (ko) 2011-05-18
KR101057277B1 KR101057277B1 (ko) 2011-08-16

Family

ID=4436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015A KR101057277B1 (ko) 2009-07-16 2009-11-10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276A1 (ko) * 2017-03-28 2018-10-04 구자홍 나노 무기물 도료를 이용한 현악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601B1 (ko) * 2013-02-11 2014-08-18 박혜인 공명음량 증가장치가 설치된 목관악기용 리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3573A (ja) * 1997-04-18 1998-11-04 Kenji Ogawa 楽器の共鳴壁処理法と、その処理法による楽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276A1 (ko) * 2017-03-28 2018-10-04 구자홍 나노 무기물 도료를 이용한 현악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277B1 (ko)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pkin Musical instrument design: Practical information for instrument making
US20080134859A1 (en) Bassimer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 Bassimer
KR101057277B1 (ko)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Bloland The Electromagnetically-prepared Piano and its Compositional Implications.
US20120174728A1 (en) Method for increasing resonance of instrument and the instrument
Kachian Composer's desk reference for the classic guitar
Ardley DK Eyewitness Books: Music: Discover Music in All its Forms and the Amazing Variety of Instruments from Zithers to Synthesizers
KR101005849B1 (ko) 공명증폭이 가능한 혼합물이 도포되는 현악기와 피아노 및 현악기와 피아노의 혼합물 도포방법
Siminoff The Luthier's Handbook: A Guide to Building Great Tone in Acoustic Stringed Instruments
McLennan The violin music acoustics from baroque to romantic.
KR20120075699A (ko) 악기의 공명 강화방법 및 공명 강화된 악기
CN109119049A (zh) 一种可变音色、声音清亮、无杂音的蒙古四胡
CN103377644A (zh) 垂直音板小提琴
CN215933172U (zh) 一种套琴
CN215298829U (zh) 高音琵琶
Osborne Guitar: a complete guide for the player
CN201527782U (zh) 竹韵天琴
Saunders Physics and music
CN208903649U (zh) 一种可变音色、声音清亮、无杂音的蒙古四胡
Harding The Pianoforte
Fletcher et al. Harpsichord and clavichord
Siminoff The Art of Tap Tuning: How to Build Great Sound into Instruments
Casselman An Electric Upright Bass
Stanciu et al. 11. Music and Engineering-A New Paradigm of Arts and Engineering Education
Chu Authentic Performance Practices in Chen Gang and He Zhanhao's Butterfly Lovers’ Violin Concer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