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334A - 모바일 서비스 수신 방법 및 모바일 서비스 수신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서비스 수신 방법 및 모바일 서비스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334A
KR20110050334A KR1020100012028A KR20100012028A KR20110050334A KR 20110050334 A KR20110050334 A KR 20110050334A KR 1020100012028 A KR1020100012028 A KR 1020100012028A KR 20100012028 A KR20100012028 A KR 20100012028A KR 20110050334 A KR20110050334 A KR 20110050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services
mobile
ensem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616B1 (ko
Inventor
박성일
정해주
유혜경
김종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940,437 priority Critical patent/US8416742B2/en
Priority to DE112010004282T priority patent/DE112010004282T5/de
Priority to CN201080050146.7A priority patent/CN102598726B/zh
Priority to TW099138158A priority patent/TWI504219B/zh
Priority to BR112012010645A priority patent/BR112012010645A2/pt
Priority to MX2012004852A priority patent/MX2012004852A/es
Priority to PCT/KR2010/007818 priority patent/WO2011056025A2/en
Priority to CA2778536A priority patent/CA2778536C/en
Publication of KR2011005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334A/ko
Priority to FI20125477A priority patent/FI20125477L/fi
Priority to US13/858,619 priority patent/US2013022338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데이터가 다중화된 방송 신호를 하나 이상의 주파수에 대하여 검색하여 상기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목록을 생성하고, 목록에서 하나의 모바일 서비스를 선택하면,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되는 퍼레이드를 획득하여 모바일 데이터를 처리하며, 퍼레이드는 하나 또는 두 개의 RS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바일 서비스 수신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모바일 서비스 수신 방법 및 모바일 서비스 수신기{Method for receiving of mobile service and receiver of mobile service}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중 북미 및 국내에서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 채택된 VSB(Vestigial Sideband) 전송 방식은 싱글 캐리어 방식으로 열악한 채널 환경에서는 수신 시스템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휴대용이나 이동형 방송 시스템의 경우에는 채널 변화 및 노이즈에 대한 강건성이 요구되므로 VSB 전송 방식으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수신 성능이 더욱 떨어지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갖는 하나의 특징은, 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데이터가 다중화된 방송 신호를 하나 이상의 주파수에 대하여 검색하여 상기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목록을 생성하는 채널 스캔 단계; 상기 목록에서 하나의 모바일 서비스를 선택하는 서비스 선택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되는 퍼레이드를 획득하여 상기 모바일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퍼레이드는 하나 또는 두 개의 RS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채널 스캔 단계는, 스캔 모드에 따라 상기 퍼레이드에 대한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FIC 및 상기 서비스에 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목록을 생성하는 목록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 단계는, 복수 개의 서비스들이 선택되면,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들 각각이 전송되는 M/H 프레임의 주기를 나타내는 PRC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단계는, 복수 개의 서비스들이 선택되면,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들 각각이 전송되는 앙상블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IP 패킷들에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갖는 하나의 특징은, 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데이터가 다중화된 방송 신호를 하나 이상의 주파수에 대하여 검색하여 상기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목록을 생성하는 채널 스캔부; 상기 목록에서 하나의 모바일 서비스를 선택하는 서비스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되는 퍼레이드를 획득하여 상기 모바일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퍼레이드는 하나 또는 두 개의 RS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비스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송 시스템의 프로토콜 스택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H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SC M/H 수신기의 동작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스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채널 스캔 모드에 따라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서비스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IP 데이터그램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업데이트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듀얼 채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ATSC M/H 수신기의 기본 동작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송 시스템의 프로토콜 스택에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송 시스템은 듀얼 전송 시스템이다. 즉, 하나의 시스템에서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와 메인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한다.
도 1에서 메인 서비스를 위한 메인 서비스를 위한 A/V 스트리밍들은 요소 스트림(Elementary Stream ; ES)으로서,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방식으로 패킷화되고, PES 패킷은 다시 188 바이트 단위의 MPEG-2 TS으로 패킷화된다. 각 서비스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PSI/PSIP과 같은 시그널링 정보는 섹션화된다. 즉, PSI/PSIP 테이블들과 같은 시그널링 정보는 각각 복수개의 섹션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PSIP 내 VCT는 256개의 섹션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섹션은 여러 개의 가상 채널 정보를 실을 수 있으나, 하나의 가상 채널에 대한 정보는 두 개 이상의 섹션으로 나누지 않는다. 이하에서 테이블 형태의 시그널링 정보를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 또는 프로그램 테이블이라 칭하기로 한다.
데이터 방송(data broadcasting)은 DSM-CC(Digital Storage Media - Command and Control) 방식에 의해 섹션화되고, DSM-CC 섹션은 다시 188 바이트 단위의 MPEG-2 TS으로 패킷화된다. IP 멀티캐스트(multicast)를 위한 IP 데이터그램은 DSM-CC 어드레서블(addressable) 섹션 구조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되고, 인캡슐레이션된 DSM-CC 어드레서블 섹션은 다시 188 바이트 단위의 MPEG-2 TS으로 패킷화된다. TS 패킷화 과정은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에서 이루어진다.
패킷화된 PES 타입의 TS 패킷들 또는 섹션 타입의 TS 패킷들은 물리 계층(physical layer)에서 미리 정의된 전송 방식(예를 들면, VSB 전송 방식)으로 변조되어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도 1에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시그널링 정보는 PSI/PSIP과 같은 섹션 구조로 인캡슐레이션된다. 그리고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A/V 스트리밍은 IP 계층에서 RTP(Real Time protocol) 방식에 따라 패킷화되고, RTP 패킷은 다시 UDP(User Datagram protocol) 방식에 따라 패킷화되며, RTP/UDP 패킷은 다시 IP 방식에 따라 패킷화되어 RTP/UDP/IP 패킷 데이터가 된다. 패킷화된 RTP/UDP/IP 패킷 데이터를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IP 데이터그램이라 한다.
IP 데이터그램은 DSM-CC 어드레서블(addressable) 섹션 구조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되고, 인캡슐레이션된 DSM-CC 어드레서블 섹션은 다시 188 바이트 단위의 MPEG-2 TS으로 패킷화된다.
하나의 어드레서블 섹션은 A/V 데이터의 앞쪽으로 RTP 헤더, UDP 헤더, IP 헤더, 및 어드레서블 섹션 헤더가 추가적으로 더해지고, 뒤쪽으로 스터핑 데이터(optional), CRC가 추가적으로 더해지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어드레서블 섹션은 184 바이트 단위로 구분되고, 구분된 각 184 바이트에 4 바이트의 TS 패킷 헤더를 추가하여 188 바이트 단위의 TS 패킷을 구성한다.
도 1에서 파일/데이터 다운로드(File/Data Download)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 방식에 따라 패킷화하고, 이를 다시 ALC/LCT(Asynchronous Layered Coding/Layered Coding Transport) 방식에 따라 패킷화한다. ALC/LCT 패킷은 다시 UDP 방식에 따라 패킷화되며, ALC/LCT/UDP 패킷은 다시 IP 방식에 따라 패킷화되어 ALC/LCT/UDP/IP 패킷 데이터가 된다. 패킷화된 ALC/LCT/UDP/IP 패킷 데이터도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IP 데이터그램이라 한다. IP 데이터그램은 DSM-CC 어드레서블(addressable) 섹션구조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되고, 인캡슐레이션된 DSM-CC 어드레서블 섹션은 다시 188 바이트 단위의MPEG-2 TS으로 패킷화된다.
UDP 멀티캐스트는 UDP 방식에 따라 패킷화되고, UDP 패킷은 다시 IP 방식에 따라 패킷화된다. 그리고, IP 멀티캐스트는 IP 방식에 따라 패킷화된다. IP 방식에 따라 패킷화된 IP 데이터그램은 DSM-CC 어드레서블 섹션 구조로 인캡슐레이션되고, 인캡슐레이션된 DSM-CC 어드레서블 섹션은 다시 188 바이트 단위의 MPEG-2TS으로 패킷화된다.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A/V 스트리밍은 RTP 헤더, UDP 헤더, IP 헤더가 순차적으로 더해져 하나의 IP 데이터그램을 구성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시그널링 정보 중 전송 파라미터는 IP 데이터그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MPEG-2 TS 패킷들은 모바일 물리 계층(mobile physical layer)에서 사전에 정의된 전송 방식(예를 들면,VSB 전송 방식)으로 변조되어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이 때, 모바일 서비스와 관련된 TS 스트림은 방송 서비스와 관련된 노멀 TS 스트림과 독립적으로 전송되거나, 노멀 TS 스트림내의 적응 필드(Adaptation Field)에 탑재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IP 계층과 물리 계층 사이에 적응 계층을 포함시켜 모바일 서비스가 MPEG-2 TS 포맷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IP 데이터 그램과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예를 들면, PSE/PSIP)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H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하나의 M/H 프레임은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들(예를 들면 5개)로 구성되며, 각각의 서브 프레임은 복수 개의 슬롯(예를 들면 16개)으로 구성되며, 슬롯은 복수 개의 패킷들(예를 들면, 156개의 패킷)로 구성된다. 슬롯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다중화하기 위한 시간 주기로써 하나의 슬롯에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이 포함되거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동일한 퍼레이드에 속하는 데이터들은 가능한 멀리 떨어져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가 에러에 강인하도록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수학식 1에 따라 퍼레이드에 속하는 데이터 그룹들이 첫 번째 슬롯, 네 번째 슬롯 및 아홉 번째 슬롯에 배치된다.
Figure pat00001
본 명세서에서 퍼레이드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트 그룹의 집합을 지칭한다. 하나의 퍼레이드는 RS 프레임 모드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두 개의 RS 프레임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퍼레이드가 프라이머리 RS 프레임를 전송하거나, 프라이머리 RS 프레임 및 세컨더리 RS 프레임을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SC M/H 수신기의 동작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단계 s310에서는, 수신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수신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내부 모듈을 초기화한다. 일 예로, 전원, 메모리, 레지스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ATSC M/H 채널 리스트, M/H 시스템 바이너리, 입, 출력 인터페이스등과 같이 수신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준비하고 초기화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단계 s320에서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에 대한 채널 스캔 작업을 수행한다. 채널 스캔 작업은 하나 이상의 주파수 채널 내에서 ATSC M/H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ATSC M/H 서비스 목록을 구성한다.
단계 s330에서는, 서비스 목록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선택한다. 서비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수신기가 종료되기 전에 마지막으로 선택된 서비스가 단계 s330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는, 선택된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수신기는 처리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수신기는 서비스의 유형에 따라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 장치에 저장하거나, 화면으로 출력하는 등의 연계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10 내지 단계 s340은 ATSC M/H 수신기의 동작에 관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실행 순서가 변경되거나, 생략되거나, 다른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채널 스캔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스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채널 스캔이란, 하나 이상의 주파수에서 해당 주파수 대역내에 존재하는 ATSC M/H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단계 s410에서는, 채널 스캔을 수행할 주파수를 결정한다.
단계 s420에서는, 결정된 주파수에서 채널 스캔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수신기의 RF 튜너의 주파수를 설정한 다음, ATSC M/H 신호를 검색한다. ATSC M/H 신호가 검색되면 M/H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한다.
단계 s430에서는, 채널 스캔을 수행할 다른 주파수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수신기는 하나의 주파수에 대하여 채널 스캔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복수 개의 주파수들 각각에 대하여 채널 스캔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주파수들에 대해서 채널 스캔을 수행할 경우 모든 주파수들에서 채널 스캔을 수행하여야 한다. 채널 스캔을 수행하여야 하는 주파수가 남아있다고 판단되면, 단계 s410 및 단계 s420을 반복 수행한다.
복수 개의 주파수들에서 채널 스캔을 수행할 때 특정 주파수에서 M/H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해당 주파수에서의 채널 스캔을 중단하고 다음 주파수에 대하여 M/H 신호의 검색을 지속한다.
예를 들어, 채널 3,4,5 에 대응하는 주파수에서의 채널 스캔이 요청되었다. 3 번 채널 및 5번 채널이 ATSC M/H 채널이고 4번 채널은 아날로그 채널(non-ATSC M/H 채널)이라고 가정하자. 수신기는 4번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에서 채널을 스캔하는 과정에서 해당 채널이 ATSC M/H 채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채널 스캔을 중단하고 5번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에서 채널 스캔을 재개한다. 결과적으로, 3번 채널 및 5번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들에서만 채널 스캔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채널 스캔 모드에 따라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에서는 하나의 주파수에서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복수 개의 주파수들에서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주파수의 개수의 따라서 채널 스캔이 소정 횟수만큼 반복되고, 채널 목록에 주파수에 관한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5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501에서는, 채널 스캔을 수행할 주파수를 결정한다.
단계 s502에서는, 8VSB 스트림으로부터 M/H 서비스와 관련된 스트림을 추출한다.
단계 s503에서는, 각각의 슬롯으로부터 TPC 또는 FIC 세그멘트를 수신한다.
TPC는 퍼레이드에 포함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코딩 정보, 슬롯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TPC는 Sub-Frame_number 필드, Slot_number 필드, Parade_id 필드, starting_Group_number (SGN)필드, number_of_Groups (NoG) 필드, Parade_repetition_cycle (PRC) 필드, RS_Frame_mode 필드, RS_code_mode_primary 필드, RS_code_mode_secondary 필드, FIC_version 필드, Parade_continuity_counter 필드, TNo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Sub-frame_number 필드는 해당 M/H 프레임 내 현재 서브 프레임의 번호를 나타낸다. M/H 프레임이 다섯 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경우 Sub-frame_number 필드 값은 0~4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Slot_number 필드는 서브 프레임 내에서 현재 슬롯의 번호를 나타낸다. 서브 프레임이 16개의 슬롯으로 구성되는 경우 Slot_number 필드 값은 0~15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Parade_id 필드는 TPC에 대응하는 퍼레이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나타낸다. Parade_id 필드값은 7비트로 표시될 수 있다. 하나의 M/H 전송에서 각 퍼레이드는 유일한 Parade_id을 갖는다. 이때 물리계층과 상위 계층 사이에서 Parade_id 의 통신은 Parade_id 의 왼쪽에 1비트를 추가함에 의해 형성되는 Ensemble_id에 의해 이루어진다. 퍼레이드를 통해 전송되는 프라이머리 앙상블을 구분하기 위한 Ensemble_id는 Parade_id의 MSB에 0을 추가하여 형성되고, 세컨더리 앙상블을 구분하기 위한 Ensemble_id는 Parade_id의 MSB에 1을 추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
SGN 필드는 TPC에 대응하는 퍼레이드의 첫 번째 슬롯 번호를 나타낸다. SGN 및 후술할 NoG는 상술한 수학식 1에 따라 서브 프레임 내에서 해당 퍼레이드가 할당된 슬롯 번호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NoG 필드는 퍼레이드에 할당된 그룹들의 개수를 표시한다.
PRC 필드는 MPH 프레임 단위로 전송되는 퍼레이드의 반복 주기를 나타낸다.
RS_Frame_mode 필드는 하나의 퍼레이드가 하나의 RS 프레임을 전송하는지, 2개의 RS 프레임을 전송하는지를 나타낸다.
FIC_version 필드는 FIC 데이터의 버전을 나타낸다.
Parade_continuity_counter 필드는 0~15까지 증가하며, (PRC+1) MPH 프레임마다 1씩 증가한다.
TNoG 필드는 서브 프레임 내에 할당되는 전체 데이터 그룹의 개수를 표시한다.
FIC는 빠른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앙상블과 모바일 서비스 간의 맵핑 정보를 제공한다. FIC는 물리 계층과 상위 계층간의 크로스 계층 정보를 포함한다.
기존에 수신된 FIC가 저장되어 있으며, TPC를 통하여 FIC의 버전을 확인한 결과 FIC가 업데이트 되지 않은 경우에는 FIC 세그멘트를 수신하지 않고 저장된 FIC를 사용한다.
단계 s504에서는, FIC 세그멘트를 이용하여 FIC chunk(또는 FIC)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효한 FIC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 s504는 생략될 수 있다. 유효한 FIC라 함은 현재 주파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시그널링 할 수 있는 정보가 모두 유효함을 의미한다.
FIC는 현재의 M/H 프레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와 해당 서비스가 어떠한 앙상블에서 전송되는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FIC는 현재의 M/H 프레임에 포함된 앙상블들 각각에 대한 ensemble_loop 필드를 포함한다.
ensemble_loop 필드에는 대응하는 앙상블에 포함된 서비스의 종류 및 해당 서비스에 대한 간단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FIC는 SLT, SMT 및 GAT에 대한 접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IC는 SLT_ensemble_indicator 및 GAT_ensemble_indicaotor 를 포함할 수 있다. FIC내의 '0x01'번 ensemble에 대한 ensemble loop에서 SLT_ensemble_indicator가 set(필드 값이 '1')되어 있고, 0x02번 ensemble에 대한 ensemble loop에서는 SLT_ensemble_indicator와 GAT_ensemble_indicaotor가 set되어 있으며 0x03번 ensemble에 대한 ensemble loop에는 GAT_ensemble_indicator만 set된 경우를 살펴보자.
수신기는 상술한 정보를 통하여 SLT 및 GAT에 대한 접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FIC를 통하여 획득한 SLT 및 GAT에 대한 접근 정보의 일 예이다.
Figure pat00002
단계 s505에서는, 스캔 모드를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스캔 모드에 따라서 단계 s510,520,530 및 54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스캔 모드는 수신기의 기본 설정에 의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비스 목록 모드를 FIC 수신 모드, SLT 수신 모드, SMT 수신 모드 및 ESG 수신 모드로 분류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비스 목록을 생성할 때 사용된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의 종류에 따라서 스캔 모드를 분류하였다.
<FIC 수신 모드>
스캔 모드가 FIC 수신 모드로 결정되면 단계 s510을 수행한다.
단계 s510에서는 FIC 를 비트 파싱하여 해더와 페이로드를 추출하고 각각의 값을 ATSC M/H 규격상의 대응하는 필드 값에 저장한다. 또한, 페이로드로부터 서비스 목록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파싱한다.
수신기는 FIC내의 ensemble_loop 필드를 통하여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앙상블의 개수만큼 반복함으로써 현재 M/H 프레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목록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파싱된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목록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의 표 2는 FIC를 이용하여 생성된 서비스 목록 정보에 관한 일 예이다.
Figure pat00003
[표 2]에서 Multi ensemble mode 필드는 서비스가 하나의 앙상블을 통하여 전송되는지 복수 개의 앙상블들을 통하여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Service status 필드는 서비스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며, Service protection 필드는 서비스에 암호화가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표 2는 앙상블 ID를 기준으로 서비스 목록 정보를 생성한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다. 표 2는 FIC를 통하여 수신되는 정보의 형식에 따라 서비스 목록 정보를 생성한 것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직감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다음의 표 3는 FIC를 이용하여 생성된 서비스 목록에 관한 다른 예이다.
Figure pat00004
[표 3]에서는 서비스 ID를 기준으로 맵핑 정보를 구성한 경우의 일 예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공되는 서비스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서비스를 선택했을 때 앙상블 전환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표 2,3에 표시는 되지 않았지만 서비스 목록 정보에는 주파수 정보 및 M/H TS ID 등의 연결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주파수 정보가 서비스 목록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수신기는 주파수 전환을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다. 스캔 모드가 FIC 정보 모드인 경우 표 2 또는 표 3의 서비스 목록 정보에 기초한 서비스 목록이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할 다른 스캔 모드에서는 다른 데이터(예를 들면, SLT, SIT, GAT)를 더 수신한 후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목록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SLT 수신 모드>
스캔 모드가 SLT 수신 모드로 결정되면 단계 s520을 수행한다. SLT 수신 모드에서는 SLT를 이용하여 서비스에 대한 간단한 설명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포함된 서비스 목록 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s520에서는, SLT가 전송되는 앙상블의 ID를 검색한다. SLT가 전송되는 앙상블의 ID는 단계 s50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FIC내의 SLT_indicator 필드를 통하여 알 수 있다.
단계 s521에서는, SLT를 전송하는 퍼레이드에 대응하는 TPC를 획득한다.
먼저, 퍼레이드의 ID를 구한다. 퍼레이드 ID는 앙상블 ID에서 MSB를 제외한 남은 7bit의 값이다.
다음으로, 현재 수신중인 M/H 프레임내의 각각의 서브 프레임에 포함된 슬롯으로부터 TPC를 추출한다. 추출된 TPC내에 저장된 퍼레이드 ID 값에 기초하여 추출된 TPC가 SLT를 전송하는 퍼레이드에 대응하는 TPC인지를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슬롯으로부터 TPC를 추출한다. 만일, 미리 저장된 TPC가 존재한다면 슬롯들을 검색하지 않고 저장된 TPC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계 s522에서는, SLT를 전송하는 퍼레이드를 획득한다. TPC에는 퍼레이드가 탑재된 슬롯들의 번호 및 퍼레이드를 처리할 수 있는 채널 코딩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수신기는 TPC를 이용하여 원하는 퍼레이드에 속한 슬롯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수집한다.
이 경우, 원하는 슬롯이 수신될 때까지 수신 모듈의 동작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수신 모듈이 동작하지 않는 구간 동안, RF 모듈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전력 소모 및 불필요한 TPC 처리에 대한 오버해드를 줄일 수 있다.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퍼레이드를 구성한다. 슬롯을 처리 및 수집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TPC 정보, 롱 트레이닝 시퀀스, 타이밍 정보 등은 채널 환경을 추측하고 추측된 환경에 따라 파라미터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단계 s523에서는, RS 프레임을 구성한다. 앙상블 ID의 MSB를 이용하여 획득된 퍼레이드가 프라이머리 RS 프레임으로 수신되는지 세컨더리 RS 프레임으로 수신되는지를 확인한 후 RS 프레임을 구성한다. 이 후, RS 프레임에 대한 에러 정정을 수행한다.
단계 s524에서는, IP 데이터그램을 구성한다. RS 프레임에서 M/H TP를 추출하고, M/H TP의 해더를 파싱하여 네트워크 패킷(예를 들면, IPv4 데이터그램)을 수집한다.
단계 s525에서는, SLT가 포함된 IP 패킷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IP address 224.0.23.60 / port number 4937 로 들어오는 UDP/IP 데이터그램이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나타낼 수 있다.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은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시그널링 하는 정보로써 SLT, SMT, GAT 등과 같이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이다.
수신기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의 해더를 파싱하여 SLT에 해당하는 테이블 ID를 갖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526에서는, SLT를 파싱하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수신한 SLT의 table header에서 SLT_MH_Protocol_version을 확인 하고, 현재 M/H 수신기가 처리할 수 있는 버전인지 확인한다. 만약 처리가 가능하지 않은 버전이라면 SLT를 처리하지 않는다. (단, Service Signaling Table 모듈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프로토콜 버전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다면 파싱한다.)
수신기는 파싱된 SLT에 기초하여 num_MH_Services 개수만큼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서비스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는 다양하며, 일 예로 서비스 ID 및 서비스에 대한 간단한 설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ID 및 서비스에 대한 간단한 설명 정보는 비트 레벨의 파싱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 정보에 대한 길이정보와 설명 정보가 저장된 bit열을 파싱함으로써 해당 서비스에 대한 간단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설명 정보에 포함된 문자는 2 bytes 씩 읽혀지며, 각각의 문자에 대해서는 UTF[8] 디코딩이 수행될 수 있다. SLT에 포함된 모든 서비스에 대한 설명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num_descriptor만큼 비트열 처리를 수행한다.
수신기는 파싱된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목록 정보를 생성한다. SLT를 통하여 획득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들은 카테고리, 서비스 이름 및 설명 정보와 연결되어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의 표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LT를 이용하여 생성된 서비스 목록 정보의 일 예이다.
Figure pat00005
표 4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들이 추가됨으로써 표 2 및 표 3에 비하여 사용자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목록 정보에는 간략한 service의 형태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Service Status 필드가 hidden 이나 inactive 이면,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비스 목록 정보에서 삭제될 수 있다. 특히, Service Status 필드가 hidden으로 설정된 서비스는 사용자가 선택하지 못하도록 서비스 목록 정보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ensemble id 필드 및 multi ensemble mode 필드 등은 수신기가 서비스를 검색할 때 필요한 정보이므로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고 생략될 수 있다.
수신기가 서비스 목록을 출력하는 경우 Short Service name 필드에 포함된 서비스의 이름을 수신기에서 출력 가능한 문자 형태로 변환한 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SLT의 잔여 부분이 다른 RS 프레임 혹은 다른 앙상블에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RS 프레임이나 앙상블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SMT 수신 모드>
SMT 수신 모드는 일부 단계를 제외하면 SLT 수신 모드와 동일하다. 다만, SMT는 모든 RS 프레임마다 존재하므로 SMT가 포함된 앙상블을 찾는 과정은 불필요하다. 즉, 모든 RS 프레임에 대해 SMT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단계 s530에서는, SMT를 전송하는 퍼레이드에 대응하는 TPC를 획득한다.
단계 s531에서는, SMT를 전송하는 퍼레이드를 획득한다.
단계 s532에서는, RS 프레임을 구성한다.
단계 s533에서는, IP 데이터그램을 구성한다.
단계 s534에서는, SMT가 포함된 IP 패킷을 수신한다. IP address 224.0.23.60 / port number 4937 로 들어오는 UDP/IP 데이터그램이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나타낼 수 있다.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의 해더에 포함된 테이블 ID를 확인한다. 테이블 ID가 0xDB이면 해당 테이블를 SMT로 판단한다.
단계 s535에서는, SMT를 파싱하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수신한 SMT의 table header에서 SMT_MH_Protocol_version을 확인 하고, 현재 M/H 수신기가 처리할 수 있는 버전인지 확인한다. 만약 처리가 가능하지 않은 버전이라면 SMT를 사용하지 않는다.
수신기는 SMT에 기초하여 num_MH_Services 개수만큼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SMT에 포함된 Service loop 필드에는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MH_Service_ID가 기본적으로 존재하며,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에 대한 접근 정보 및 처리를 위한 컴포넌트 정보, 컴포넌트 디코더에 대한 구성 정보, 서비스 보호 정보, 컴포넌트에 대한 IP 주소 및 포트 번호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는 해당 정보를 파싱한다.
수신기는 SMT를 통하여 획득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목록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의 표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MT를 이용하여 생성된 서비스 목록 정보의 일 예이다.
Figure pat00006
표 5를 표 2 및 표 3과 비교하면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들의 IP 주소(소스 또는 목적지 주소) 및 포트 번호(소스 또는 목적지 포트) 및 IP 스트림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디코너 설정 정보(예를 들면, 오디오 구성 정보, 비디오 구성 정보)등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GAT 모드>
상세한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자 하는 경우 GAT 모드를 사용한다. GAT를 수신하는 방법은 SLT를 수신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단, SLT_ensemble_indicator를 사용하는 대신 GAT_ensemble_indicator를 사용한다.
GAT 에서는 스트림 내에 포함되어 있는 Service guide에 대한 식별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SG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SG를 구성하는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단계 s540에서는, GAT가 전송되는 앙상블의 ID를 검색한다.
단계 s541에서는, GAT를 전송하는 퍼레이드에 관한 TPC를 획득한다.
단계 s542에서는, TPC에 기초하여 퍼레이드를 구성한다.
단계 s543에서는, 퍼레이드를 이용하여 RS 프레임을 구성한다.
단계 s544에서는, RS 프레임으로부터 IP 데이터그램을 추출한다.
단계 s545에서는, IP 데이터그램으로부터 GAT를 획득한다.
단계 s546에서는, 서비스 가이드 목록을 생성한다.
단계 s547에서는, 서비스 가이드를 선택한다.
단계 s548에서는, 서비스 가이드를 포함하는 IP 데이터그램을 추출한다.
단계 s549에서는, 추출된 IP 데이터그램에 기초하여 서비스 목록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의 표 6은 GAT를 수신하여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서비스 목록 정보에 관한 일 예이다.
Figure pat00007
사용자는 SG provider name이나 기타 정보를 통해 서비스 가이드를 선택할 수 있고, 그에 대한 접근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가이드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접근은 OMA-BCAST 규격을 따른다.
표 6을 참고하면, M/H 전송 시스템을 통하여 전송되는 서비스 가이드는 M/H Service guide에 의해 시그널링을 하고, 외부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서비스 가이드는 IP 주소 또는 URL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다.
<채널 스캔 Timeout>
수신기는 선택된 주파수에 대해서 M/H 신호가 전송되는지를 판단한다. 수신기는 일정 시간 이상동안 M/H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주파수에서는 M/H 서비스가 전송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M/H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시간을 Timeout 시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수신기는 Timeout 시간을 설정함에 있어서 RPC 값을 고려한다. RPC는 서비스가 몇 개의 M/H 프레임마다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일 예로, RPC 값이 '1'인 서비스는 매 M/H 프레임마다 전송되며, RPC가 '2'인 서비스는 두 개의 M/H 프레임마다 한번씩 전송된다. 즉, RPC가 '2'인 서비스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해당 주파수에서 최소한 2개의 M/H 프레임에 해당하는 시간동안 M/H 신호가 전송되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수신기가 서비스에 대한 RPC 값을 알지 못하는 경우 최대 RPC 값(예를 들면 7)에 해당하는 시간동안 M/H 신호가 전송되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서비스 목록의 출력
다음의 표 7은 채널 스캔에 의하여 생성된 서비스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서비스 목록에 관한 일 예이다. 스캔 모드 또는 정책에 따라 서비스 목록에 포함되는 정보의 종류가 변경될 수 있다.
Figure pat00008
표 7에서 서비스 목록은 서비스 ID, 서비스 이름, 서비스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서비스 ID는 상위 1바이트 및 하위 1바이트를 구분 기호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는 ATSC DTV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으로써 사용자에게 친숙함을 주고 사용자가 서비스 번호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서비스 ID를 구분 기호 없이 16비트로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서비스 이름 항목은 서비스의 이름을 나타낸다. 서비스의 이름 항목에는 표 4의 'MH_Short_Service_name'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서비스 ID 항목 또는 서비스 이름 항목에 해당 서비스가 유료 서비스인지 무료 서비스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이름 항목에 서비스의 이름 + 유료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서비스 ID 항목에 서비스 ID + 에 유료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가 유료 서비스인지 여부는 FIC의 SP_indicator 필드 또는 SMT내의 descriptor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유료 서비스의 경우 유료 서비스를 시청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행위(예를 들면, 컨텐트의 구매)가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무료 서비스의 경우 서비스 이름 항목에 서비스의 이름 + 무료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무료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략할 수(즉, 'MH_Short_Service_name'항목만을 표시)있다.
표 7을 참고하면, 서비스 ID 11-1에 해당하는 서비스는 서비스 ID에 "service protected"라는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유료 서비스임을 나타낸다. 또한, 서비스 ID 11-2, 13-2, 15-1에 해당하는 서비스들은 서비스 ID에 "Free"라는 정보를 부가하거나 서비스 ID만을 표시함으로써 무료 서비스임을 나타낸다.
또한, 표 7에서와 같이 "삼성의 미래"라는 'MH_Short_Service_name'의 앞쪽에 유/무료 정보를 덧붙이고 서비스 카테고리 항목에 "영화"(장르 정보)를 덧붙여 사용자가 한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서비스 카테고리' 항목은 서비스에 대한 카테고리를 나타낸다. '서비스 카테고리' 항목에는 서비스에 대한 카테고리가 계층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를 '기본 TV', '유료 TV', '서비스 가이드' 중 하나를 대분류로 표시하고, 영화/다큐멘터리/뉴스 중 하나를 소분류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장르 정보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예를 들면, SMT)내의 genre_descriptor 필드를 통하여 서비스에 대한 대분류 및 소분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의 카테고리를 계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같은 '기본 방송'이라 할지라도 세부 장르가 무엇인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서비스 목록에는 서비스의 획득 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 일반적인 모바일 방송의 경우에는 획득 경로를 표시할 필요가 없으나 서비스 가이드의 경우 획득 경로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획득 경로는 GAT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가이드는 M/H 전송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할 수도 있으나, 외부 통신망과 같은 OOB(Out Of Band)를 통해서도 수신할 수도 있다. M/H 전송 시스템을 통하여 서비스 가이드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혹은 외부의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반면에 M/H 전송 시스템 이외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가이드를 획득하여야 하는 경우에는(예를 들면, IP 주소나 URL 등을 이용하여 서비스 가이드를 획득하는 경우), 외부 네트워크로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다. M/H 전송 시스템 이외의 네트워크 망이 3G 망과 같은 추가 과금이 필요한 망이라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후자의 경우 서비스 가이드를 획득할 수 있는 IP 주소나 URL 정보가 서비스 목록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표 7에서는 생략되었다.
<레이팅 정보의 출력 >
서비스 목록에는 레이팅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ATSC M/H 시스템에서는 레이팅 정보 및 지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의 일종인 레이팅 지역 테이블(Rating Region Table)을 정의할 수 있다. 수신기는 레이팅 지역 테이블을 통하여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레이팅 정보를 회득한 후, 서비스 목록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의 표 8은 레이팅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목록에 관한 일 예이다.
Figure pat00009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소년 보호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보호 모드에 따라 시청자가 관람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보호 모드가 15살 미만 시청 가능 서비스로 설정된 경우라면, 시청자는 15세 이상 시청 가능한 서비스를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목록에는 서비스 ID 11-1, 11-2는 보이지 않게 된다.
<지역 정보>
상술한 레이팅 지역 테이블에는 서비스들 각각이 제공되는 지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수신기는 레이팅 지역 테이블을 통하여 각각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을 확인한 후, 서비스 목록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GPS와 같은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다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없는 서비스는 서비스 목록에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만약 서울에 있고 이를 단말이 알 수 있다면, 서비스 ID 11-2번은 서비스 목록에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비스 ID 11-1, 11-2, 13-2, 15-1 번만을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정보는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음의 표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정보가 표시된 서비스 목록
에 관한 일 예이다.
Figure pat00010
<서비스 변경 표시>
모바일 서비스의 방송 시간이 긴급 사항 발생등의 이유로 변경될 수 있다. 방송 시간 정보는 Current_Program_Descriptor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시간 정보가 이전에 수신한 서비스 가이드 또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통하여 획득한 시간 정보와 상이하다면 Current Program Descriptor를 통하여 수신한 시간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이 때, 변경되기 전의 정보와 변경된 후의 정보를 함께 보여줄 수 있다. 특히, 새로운 서비스의 이름과 시간 정보를 서비스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서비스의 변경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서비스 가이드를 통하여 수신되면, 서비스 가이드를 통하여 획득한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가하여 서비스 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
만약 서비스 가이드와 같이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Current Program Descriptor 만을 이용하여 변경된 서비스 및 시간을 서비스 목록에 추가한다. 다만, 이 경우에는 서비스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보여주지 못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변경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목록에 관한 일 예이다. 다음의 표 10에서는 변경된 서비스를 취소 글자로 표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에게 변경되기 전의 정보를 보여주지 않을 수도 있다.
Figure pat00011
<서비스 선택>
사용자는 서비스 목록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서비스들 각각에 해당하는 앙상블들을 순차적으로 처리하거나 선택된 서비스들에 해당하는 앙상블들을 동시에 처리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이 복수 개의 앙상블에 걸쳐서 전송될 수 있다. 수신기가 복수 개의 앙상블들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경우 수신기의 하드웨어 자원을 고려하여 앙상블들을 동시에 처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메모리 등의 수신기 자원을 고려하여 앙상블들을 동시에 처리한다.
일 예로, 1번 앙상블을 처리하는데 1M bytes / seconds의 자원이 필요하고 2번 앙상블 및 3번 앙상블을 처리하는데 3M Bytes / seconds 의 자원이 필요하다. 이 때, 앙상블을 처리하는 모듈이 5M Bytes / seconds 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수신기는 1번 앙상블과 2번 앙상블은 동시에 처리할 수 있지만 3번 앙상블까지는 동시에 처리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1번 앙상블에 해당하는 서비스 및 2번 앙상블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수신기는 3번 앙상블에 해당하는 서비스는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서비스 목록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설정에 따라서, 3번 앙상블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대신 가장 먼저 선택된 서비스를 제거하는 방법에 의해서 3번 앙상블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추가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서비스 실행 1(방송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도 6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서비스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단계 s602에서는,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ID를 획득한다.
단계 s604에서는, 서비스 ID를 이용하여 선택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파수 정보를 획득한다. 만약, 서비스 ID 만으로 주파수 정보를 얻을 수 없다면 수신기에 저장된 FIC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되는 주파수를 확인한다.
단계 s606에서는,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되는 앙상블 ID를 획득한다. 수신기는 FIC내의 서비스 ID와 앙상블 ID간의 맵핑 정보 또는 SMT를 이용하여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되는 앙상블의 ID를 획득한다.
단계 s608에서는, 퍼레이드 ID를 획득한다. 앙상블 ID에서 MSB를 제거함으로써 퍼레이드 ID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는, 퍼레이드 ID를 이용하여 TPC를 수신한다. 즉, 선택된 서비스를 전송하는 퍼레이드에 대한 TPC를 획득한다. TPC는 저장된 TPC 값을 재사용하거나, 각각의 슬롯을 통하여 획득한 TPC내의 퍼레이드 ID와 단계 s640에서 획득한 퍼레이드 ID를 비교하여 원하는 TPC를 획득할 수도 있다. TPC가 수신되면 TPC에 포함된 채널 코딩 정보에 따라 퍼레이드를 처리하는 모듈을 설정한다.
단계 s612에서는, 슬롯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퍼레이드를 구성한다.
단계 s614에서는, 퍼레이드를 이용하여 RS 프레임을 구성하고, RS 프레임에 대한 에러를 정정한다. 하나의 퍼레이드는 하나 또는 두 개의 RF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앙상블 ID의 MSB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RS 프레임이 프라이머리 RS 프레임인지 세컨더리 RS 프레임인지를 확인하고 원하는 RS Frame을 식별하여 수신한다.
단계 s616에서는, RS Frame을 처리하여 네트워크 패킷(예를 들면, IPv4 패킷들)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RS 프레임으로부터 M/H 패킷의 추출, 패킷의 해더를 파싱 및 에러 처리 과정을 통하여 네트워크 패킷을 추출한다.
단계 s618에서는, SMT를 획득한다. 만일, 유효한 SMT가 존재한다면 단계 s618은 생략될 수도 있다. SMT는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면 서비스에 대한 구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SMT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패킷을 처리하여야 한다.
단계 s620에서는, SMT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디코더를 설정한다. SMT가 포함하는 서비스 구성 정보는 오디오의 경우 코덱 정보, 채널 정보, 샘플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비디오의 경우에도 유사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수신기는 서비스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에 대한 컴포넌트들이 수신될 때 처리가 가능하도록 디코더를 초기화(또는 디코더를 설정)한다. 상술한 서비스 구성 정보는 Component_Descriptor 필드에 정의될 수 있다.
단계 s622에서는, 디코더 설정이 완료되면 서비스에 해당하는 컴포넌트 스트림들을 수신한다. 콤포넌트 스트림은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스트림등과 같이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스트림을 의미한다.
단계 s624에서는, 컴포넌트 스트림을 조합하여 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비디오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되고, 오디오는 오디오 출력 장치(예를 들면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다.
서비스가 음성 다중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즉, 복수 개의 오디오 컴포넌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컴포넌트에 대한 ISO_639_language_code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오디오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제시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컴포는터를 선택하면, 선택된 오디오 컴포넌트만을 출력할 수 잇다. ISO_639_language_code 값은 3 바이트이지만 수신기의 언어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ISO_639_language_code "ENG"인 경우라 하더라도 수신기의 언어 설정이 한국어라면 "영어" 라고 출력될 수 있으며 수신기의 언어 설정이 중국어라면 "英語" 라고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알아보기 쉬운 글자로 확장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오디오 컴포넌트의 언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 실행 2(서비스 가이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 목록에서 서비스 가이드를 선택한 경우 서비스 가이드의 형태에 따라 다른 주파수에 접근하거나 3G 망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ex. 무선랜, 이더넷, 인터넷 등등)에 접속하여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할 수도 있다. 3G 망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GAT의 Descriptor loop에서 정의한 IP 주소 또는 URL을 이용하여 서비스 가이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M/H 전송시스템을 통하여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경우에 관한 일 예는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710에서는,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서비스 ID 및 announcement_channel_TSI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한다. Service id 및 announcement_channel_TSI 중 적어도 하나는 GAT 내의 descriptor loop에서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는, 서비스 ID를 이용하여 서비스 가이드가 포함된 주파수 정보 및 앙상블 ID를 획득한다. 이 때, 미리 저장된 FIC 정보 또는 SMT가 이용될 수 있다. 만약, 미리 저장된 FIC 정보나 SMT 정보가 없다면 채널 스캔을 통해 서비스 가이드에 해당하는 서비스 ID, 주파수 정보 및 앙상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파수 정보는 서비스 ID의 상위 8비트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는, 주파수 정보 및 앙상블 ID를 이용하여 서비스 가이드를 포함하는 앙상블에 접근한다.
단계 s740에서는, 접근한 앙상블에서 SMT를 수신한다. SMT에는 서비스 가이드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들에 관한 정보,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IP 주소, 포트 정보 및 기타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정보(Flute descriptor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750에서는, 서비스 가이드에 해당하는 IP 패킷을 IP 필터링을 통해서 수신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단계 s710에서 저장한 annuouncemnet_channel_TSI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가이드의 프레그먼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서비스 가이드는 FLUETE 세션을 통하여 전송되므로 annuouncemnet_channel_TSI 와 FLUTE 세션의 TSI 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들을 수집한다.
단계 s760에서는,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프레그먼트들을 이용하여 서비스 가이드를 구성한다.
단계 s770에서는, 서비스 가이드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단계 s780에서는, 사용자가 출력된 서비스 가이드에 대응하여 서비스를 선택하면, 선택된 서비스의 ID를 획득한다. 이 후, 도 6에 도시된 과정에 따러 선택된 서비스를 출력한다. 만일, 선택된 서비스가 다른 주파수 또는 다른 앙상블을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 해당 주파수 또는 앙상블로 이동하여 도 6의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서비스 실행 3(멀티 앙상블 처리)
사용자가 복수 개의 서비스를 선택하거나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에도 수신기가 둘 이상의 앙상블에 접근할 수도 있다. 둘 이상의 앙상블에서 동일한 IP 주소를 갖는 패킷을 추출하여 처리할 경우 이들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가 필요하다. 하위 계층에서는 추출된 패킷을 상위 계층으로 전송할 때 패킷의 IP 주소에 앙상블 ID를 부가함으로써 패킷이 어떤 앙상블을 통하여 전송하였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ATSC M/H 수신기의 기본 기능
<주파수 설정>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정보를 나타내는 세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다만, 주파수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첫째, 189000 KHz 와 같이 실제 주파수가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주파수와 연결된 채널 번호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11,12번이 주파수를 나타내는 정보로써 사용될 수 있다.
셋째, 주파수와 연결된 서비스 ID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11-1, 12-1과 ??은 서비스 ID가 주파수를 나타내는 정보로써 사용될 수 있다.
네 번째로, 전송 스트림 ID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0x00001와 같은 전송 스트림 ID가 주파수를 나타내는 정보로써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두 번째 방법부터 네 번째 방법은 주파수와 다른 정보간의 맵핑 관계를 이용하여 실제 주파수를 구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와 다른 정보간의 맵핑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pat00012
표 11에 나타낸 정보는 M/H 수신기내에 저장되어 있거나, ATSC M/H 방송 스트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신(또는 검색)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값들은 메모리와 같은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TPC 데이터의 백업>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SC M/H 수신기에서는 FIC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TPC 데이터도 함께 수신한다. FIC 데이터 및 TPC 데이터가 동일한 시그널링 데이터 인코더에 의하여 인코딩 되기 때문이다. 수신기는 각각의 퍼레이드에 대한 TPC 데이터를 수신하여 에러를 정정한 후 메모리와 같은 저장 장치에 미리 저장해둔다. 이 후, 사용자가 특정 앙상블을 선택했을 때 선택된 앙상블에 대응하는 퍼레이드에 더 적은 소비 전력으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TPC를 미리 저장하지 않으면 원하는 퍼레이드에 접근할 때까지 TPC를 확인해야 하므로 미리 저장하는 경우에 비해 더 많은 소비 전력을 사용하게 된다.
<네트워크 패킷 수집>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IP 데이터그램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은 M/H 패킷이 IP 데이터그램일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RS 프레임내의 각 열의 데이터들이 하나의 M/H 패킷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 s810에서는 M/H 패킷(예를 들면, M/H TS 패킷)을 수신한다.
단계 s820에서는, 패킷의 수신 모드를 확인한다. 즉, 수신되는 패킷 전체가 수집중인 IP 데이터그램에 속하는 것인지 새로운 IP 데이터그램에 속하는 것인지를 판단한다. 현재 수집중인 IP 데이터그램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패킷의 해더에 기초하여 패킷의 수신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수집 중인 IP 데이터그램이 존재하고 M/H 패킷의 해더를 통하여 새로운 IP 데이터그램이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단계 s830을 수행한다. 즉, 수신된 M/H 패킷이 이전 IP 데이터그램에 속한다고 판단되면 단계 s830을 수행한다.
수신기는 IP 데이터그램의 전체 길이와 현재까지 수집된 데이터의 양을 비교함으로써 수신되는 패킷이 수집중인 IP 데이터그램에 속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현재까지 수집된 데이터의 양이 IP 데이터그램의 전체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크다면 이미 하나의 IP 데이터그램이 완성된 것이다. 따라서, 수신되는 패킷은 새로운 IP 데이터그램에 속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830에서는, 수집되고 있는 IP 데이터그램에 이어서 수신한 M/H 패킷의 페이로드를 이어서 저장한다. 즉, 스터핑 데이터를 제외한 순수한 페이로드 데이터를 수집되고 있는 IP 데이터그램에 이어서 저장한다.
반면, M/H 패킷이 새로운 IP 데이터그램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s842를 수행한다.
단계 s842에서는 M/H 패킷내에서 새로운 IP 데이터그램의 시작점을 검색한다. 만일, 현재 수신된 M/H 패킷에서 새로운 IP 데이터그램의 시작점을 검색하지 못한 경우에는 다음의 M/H 패킷을 수신한다. 현재 수신된 M/H 패킷에서 새로운 IP 데이터그램의 시작점이 검색된 경우에는 단계 s844를 수행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현재 수신된 M/H 패킷내에서 새로운 IP 데이터그램의 시작점을 검색하지 못한 경우에도 이전 IP 데이터그램을 완성하기 위하여 단계 s844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844에서는, 수집하고 있던 이전 IP 데이터그램을 완성한다. 이전 IP 데이터그램을 완성하는 과정은 현재 수신된 M/H패킷에서 다음 IP 데이터그램의 시작점(pointer field에 의하여 지시) 까지의 페이로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전 IP 데이터그램에 이어서 저장한다.
단계 s846에서는, M/H 패킷의 나머지 유효한 페이로드 데이터를 새로운 IP 데이터그램에 해당하는 버퍼에 저장한다.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던 중 수신된 M/H 패킷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IP 데이터그램을 완성한다. 현재 수집중인 IP 데이터그램에는 하나 이상의 IP 패킷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수집중인 IP 데이터그램의 해더를 분석하면 유효한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IP 데이터그램에 두 개의 IP 패킷이 포함되며, 현재 패킷이 두 번째 IP 패킷의 일부라고 가정하자. 만일, 현재 패킷에 에러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첫 번째 IP 패킷은 사용이 가능하므로 IP 데이터그램의 해더를 분석하여 첫 번째 IP 패킷만을 추출한다.
결과적으로 IP 데이터그램의 처리 상태는 '수집 상태'와 '신규 패킷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수집 상태'는 IP 데이터그램을 수집하고 있는 상태이며, '신규 패킷 상태'는 패키에 에러가 존재하거나 다음 IP 데이터그램의 시작점을 찾지 못하여 시작점을 검색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전 IP 데이터그램의 수집이 완료되는 시점은 다음 IP 데이터그램의 시작점이 확인되는 순간이 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이전 IP 데이터그램의 수집 완료를 빠르게 진행하기 위하여 M/H 패킷을 수집할 때마다 이전 IP 데이터그램의 해더를 분석하여 IP 데이터그램이 완성되었는지를 판단하고, IP 데이터그램이 완성된 경우에는 즉시 수집 완료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집중인 IP 데이터그램의 총 길이와 현재까지 수집된 길이를 비교하여 이들이 동일하면 수집중인 IP 데이터그램을 완성시킬 수 있다.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의 수신>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은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테이블을 통칭한다. 일 예로, SLT, SMT, GAT 등이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될 수 잇다.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은 사전에 정의된 IP 주소 및 포트로 전송된다. 따라서, 수신기는 IP/포트 필터링을 수행하여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에 해당하는 IP 데이터그램을 수신한다.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이 하나 이상의 섹션으로 분할되어 전송되는 경우에는 테이블 해더에 포함된 section_number 필드 및 last_section number 필드를 통해 전체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section_number와 last_section_number 필드가 모두 0이면 하나의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이 구성되었음을 의미한다. Last_section_number가 0보다 크면 (Last_section_number +1) 만큼의 섹션들을 수신한다. 이 때, section_number는 last_section_number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의 타입 정보는 해더에 존재하는 table_id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section_number 를 이용하여 아직 처리되지 않은 섹션들이 처리되도록 다음 모듈로 섹션을 전달한다. 다음 모듈로 섹션을 전달하는 과정은 모든 섹션 데이터를 모아서 한번에 전달하거나, 섹션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전달할 수도 있다.
각각의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처리할 때에는 table id 필드를 통하여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의 타입을 확인한 후 적절하게 디코더를 설정한 후 데이터를 파싱한다.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의 업데이트>
도 9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업데이트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910에서는, PC를 통하여 FIC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한다. FIC가 업데이트 된 경우에는 단계 s920을 수행한다.
단계 s920에서는, 하나 이상의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FIC 세그먼트를 수신한다.
단계 s930에서는, FIC 세그먼트들을 이용하여 FIC를 획득한다.
단계 s940에서는, FIC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된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이 전송되는 앙상블의 ID를 획득한다.
단계 s950에서는, 해당 앙상블을 통하여 전송된느 데이터를 수신하여 새로운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수신한다.
단계 s960에서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수신기가 복수 개의 앙상블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경우에는 시청중인 서비스를 전송하는 앙상블과 업데이터된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이 전송되는 앙상블을 동시에 처리한다. 이경우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이 업데이트 되는 동안에도 시청중인 서비스가 끊기지 않는다.
시청 중인 서비스가 없는 경우 한번에 여러 개의 앙상블을 처리하여 신속하게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시청중인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이 업데이트 된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 후 서비스를 잠시 중단하고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의 업데이터를 먼저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이전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전 서비스가 종료될 때까지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의 업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ATSC M/H 수신기의 확장 기능
<기준 시간 설정>
A/V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기준 시간 정보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NTP(Network Time Protocol)라고 하는 기준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ATSC M/H 시스템의 경우 수신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ATSC M/H 시스템 내에서 기준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NTP와 관련된 표준이 업데이트 되거나 다른 NTP를 사용하기 위하여 NTP의 버전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전송중인 NTP 정보가 유효한지 혹은 사용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NTP timebase component data를 수신하여 NTP의 버전 정보를 확인한 후 기준 시간을 수정할 수 있다.
NTP의 버전이 수신기에서 사용한 버전과 상이한 경우 서비스를 종료하거나 기준 시간을 수정하지 않고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새로운 NTP 버전에 맞는 모듈을 업데이트하거나 버전을 변환한 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V 코덱의 초기화>
A/V 서비스의 경우 각각의 서비스는 오디오 및 비디오 컴포넌트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컴포넌트들은 독립적인 디코더에 의하여 디코딩 된 후 출력 장치로 출력된다. 이 때, 디코더는 컴포넌트 처리에 적절하도록 디코더를 설정하여야 한다.디코더 설정에 필요한 정보는 AVC/SVC/HE AAC v2 component data 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파일 전송 서비스>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 중의 하나가 파일이고, 파일을 전송하는 방식이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라고 하면, FLUTE의 설정 값을 확인해야 한다. 이 값은 "M/H Component Data for FLUTE File Delivery" 값을 확인하여 알 수 있다. 수신기는 component data를 이용하여 FLUTE 모듈의 설정을 초기화하고 컴포넌트 데이터들을 FLUTE 모듈에 입력하여 파일 수신 과정을 수행한다.
<서비스 프로텍션에 따른 서비스 수신>
서비스 프로텍션이 설정된 서비스를 사용자가 선택한다. 서비스 프로텍션과 관련된 데이터는 SMT의 component description loop에서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기는 STKM(Type 39) 또는 LTKM(Type 40)를 수신한다.
수신기가 이들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사용권 발행자(right issure) 정보가 M/H Rights Issuer Service Descriptor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수신기는 Rights Issuer Service Descriptor를 저장해 두고, 서비스 프로텍션 정보를 수신할 때 미리 저장된 Rights Issuer Service Description 을 재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키 정보를 수신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전화, 인터넷 망, 기타 등등을 이용한 등록 절차가 존재할 수도 있다.
수신된 키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수신기내의 저장 공간에 저장해둔 채로 서비스 프로텍션이 걸린 서비스가 수신될 때 자동 적용될 수 있다.
<히든 서비스를 위한 펌웨어 업데이트>
서비스를 히든 서비스로 설정하고, 히든 서비스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을 처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신기의 펌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히든 서비스에 포함된 각각의 서비스 컴포넌트들은 펌웨어 업데이트 프로그램에 대한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연결정보를 확인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파일 또는 오브젝트를 확인한다. 만일, 펌웨어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파일 또는 오브젝트라고 판단되면, 이를 이용하여 수신기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한다. 단, 업데이트 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OMA RME(Rich Media Environment>
OMA RME가 사용되는 경우, 수신기는 이에 대한 버전 정보 및 레벨 정보를 M/H Component Data for OMA-RME DIMS 로부터 획득한다. M/H Component Data for OMA-RME DIMS에 기초하여 수신기가 OMA RME를 처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서비스가 불가능함을 통지한다.
OMA-RME에 대한 정보(version_profile & level)가 없는 경우에도 서비스가 불가능함을 통지한다.
단, OMA RME 정보가 부가정보로 사용되어 OMA RME 정보가 없어도 서비스를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일부 서비스 컴포넌트들만으로 서비스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가 불가능한 OMA RME가 사용된다 할지라도 A/V 데이터는 여전히 출력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A/V 서비스만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그러나 OMA RME가 필수적으로 필요하여 OMA RME를 처리하지 않고서는 서비스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서비스 목록에서도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새로운 페이로드 타입의 적용>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 중 일부가 ATSC M/H DTV 규격에서 정의하지 않는 형식일 수 있다. 수신기는 "M/H Component Data for Dynamic Range Type"를 수신하여 이들 컴포넌트에 대한 처리 정보를 수신한다. ATSC M/H 규격에서 정의하지 않는 형태의 컴포넌트의 경우 상술한 처리 정보를 이용하여 디코더를 설정한다.
현재 수신기가 이들 컴포넌트를 처리할 수 있는 디코더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면 인터넷 망이나 수신기 업데이트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이들 컴포넌트들을 처리할 수 있는 디코더를 보유할 수 있다.
<듀얼 채널 서비스>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서비스가 여러 주파수에 걸쳐있을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는 둘 이상의 주파수들을 동시에 처리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튜너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 후, 튜너는 퍼레이드 및 RS 프레임을 병렬처리할 수 있는 모듈로 전달하여 서비스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기가 퍼레이드 및 RS 프레임을 병렬로 처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듀얼 채널 서비스는 제한적으로만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PRC를 가지는 서비스에 대해서만 듀얼 채널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10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듀얼 채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에서 채널 A에서 수신되는 서비스 및 채널 B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PRC가 4이다. 이는 4개의 M/H 프레임마다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가 수신됨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채널 A, B를 통하여 제공되는 복수 개의 서비스들을 선택한 경우 채널 A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수신한 후 유효한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는 여유 시간이 있다. 따라서, 그 동안 채널 B에 있는 M/H 프레임을 수신하여 듀얼 채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신기의 튜너나 처리 모듈이 둘 이상의 서비스를 병렬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경우에도 듀얼 채널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
<핸드오버>
이동중에 서비스를 시청하는 경우, 즉 A 지역에서 B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시청하는 경우에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 있다. A, B 각 지역마다 송신기가 존재하고, A 지역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B 지역으로 이동하는 중에 서비스를 처리하기 어려울 정도로 떨어지는 경우, 수신기는 B 지역의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
수신기는 GPS 등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와 수신기로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A 지역의 신호를 받을 것인지 B 지역의 신호를 받을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 때, 현재 위치에서의 셀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신된 혹은 전송중인 스트림에서 CIT 정보를 추출한다. CIT 정보에는 인접한 셀 정보 및 서비스 ID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한 셀의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의 감도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인접한 셀에서도 현재 사용중인 서비스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서비스가 존재하여 사용자에게 핸드오버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수신기는 CIT 정보를 이용하여 신호 감도가 좋으면서 현재 수신중인 서비스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서비스가 있다면 신호감도가 좋은 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해드 오버 과정에서는 서비스가 제한적으로 끊길 수 있다.
ERROR 처리
<ATSC M/H 신호 판단>
수신기는 RSSI, VSB, 싱크 필드, 세그먼트 싱크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8VSB 또는 ATSC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TPC가 수신되는지 여부 또는 스트림내에 존재하는 LTS(Long Training Sequence)값에 기초하여 M/H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ATSC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되거나, ATSC 신호이기는 하지만 M/H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ATSC M/H 수신기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ATSC M/H 패킷의 에러 처리>
수신된 M/H 패킷의 해더를 파싱하여 필드 값이 다음과 같이 설정된 경우 해당 패킷을 에러 처리할 수 있다.
Error Indicator 필드가 설정(필드 값이 1)되면 해당 패킷을 에러 처리할 수 있다.
Network Protocol type이 수신기가 처리할 수 없는 종류라고 판단되면 해당 패킷을 에러 처리할 수 있다.
pointer field의 값이 M/H 패킷 의 길이보다 크면 해당 패킷을 에러 처리할 수 있다. 즉 pointer field의 값은 M/H 패킷 의 길이보다 클 수 없다. (단, pointer field의 값이 0x7ff 일 경우에는 버리지 않는다. 0x7ff는 새로운 네트워크 패킷이 시작되지 않는다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Stuffing Indicator 필드가 설정되며(즉, 필드 값이 1인 경우), pointer field 의 값이 stuffing length 필드의 값 보다 작다면 ??아 패킷을 에러 처리할 수 있다. 단 stuffing length 필드의 값이 0xff 혹은 0xfeff 라면 에러처리하지 않는다. (stuffing length가 1인 경우와 2인 경우를 표현하기 위해 0xff 혹은 0xfeff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패킷(예를 들면, IP 데이터그램)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stuffing length에 설정된 stuffing area의 데이터는 사용하지 않고 버린다.
<FIC Chunk의 구성>
FIC 세그먼트를 처리하는 모듈은 ATSC M/H 표준에 정의된 에러 정정과정을 통해 세그먼트의 에러 유무를 판단한다. 만약 에러가 정정되지 않고 여전히 에러가 있음이 확인되면, FIC 세그먼트내의 최상위 바이트의 최하위 비트 값을 '1'로 설정한다. FIC 세그먼트를 수신한 순간부터 해당 비트 값이 '1'이었다면 비트 값을 변경하지 않고 '1'을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해당 비트를 error_indicator 필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세그먼트에 에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error_indicator가 설정된(즉, 필드 값이 1) 세그먼트들은 segment 들은 FIC Chunk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사용하지 않고 버린다. 즉, 에러가 없는 세그먼트들만을 FIC Chunk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FIC Chunk가 1~5번 세그먼트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할 때, 첫번째 M/H 서브 프레임에서 FIC 세그먼트 1,2,4,5 번이 에러가 정장된 상태 혹은 에러가 없는 상태로 수신되고 FIC 세그먼트 3번은 에러 정정이 불가능한 상태로 수신되었다. 이 경우, 3번 세그먼트는 다음 서브 프레임에서 3번 FIC 세그먼트를 수신하여 FIC chunk를 구성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기 수신한 모든 FIC 세그먼트들을 버리고 1번 세그먼트부터 새롭게 수신하거나 1,2번의 세그먼트만 저장한 상태로 3번 세그먼트부터 다시 수신할 수도 있다. 단, 어떠한 경우라 하더라도 에러가 포함된 세그먼트는 FIC Chunk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사용하지 않고 재수신한다.
<FIC 세그먼트 해더>
FIC segment에서 에러가 발견되지 않더라도 다음의 경우에 대해서는 세거먼트를 처리하지 않고 에러 처리할 수 있다.
FIC 세그먼트의 헤더를 ATSC M/H 규격에 맞추어 비트 파싱 하여, 각 필드의 값을 저장한 후, 그 값을 확인했을 때, 다음과 같은 값을 갖는다면 사용하지 않고 버린다.
FIC_segment_type필드가 M/H 수신기가 알지 못하는 혹은 처리할 수 없는 타입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경우에 해당 세그먼트를 에러 처리한다.
FIC_Chunk_major_protocol_version_number 필드가 M/H 수신기가 알지 못하는 혹은 처리할 수 없는 범위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에 해당 세그먼트를 에러 처리한다.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 값이 '다음'을 의미할 때, 해당 세그먼트를 현재 FIC chunk를 구성할 때는 사용하지 않는다. 단, 이 세그먼트는 현재의 프레임에 대한 FIC chunk를 구성하는 경우에만 사용하지 않는다. 즉, 다음 프레임에 대한 FIC chunk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해당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세그먼트 수집을 수행한다.
error_indicator의 필드 값이 세그먼트에 에러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경우 해당 세그먼트를 에러 처리한다.
FIC_segment_num 필드의 값이 FIC_last_segment_num 필드의 값보다 크면 해당 세그먼트를 에러 처리한다.
상술한 과정은 에러 정정과정에서 세그먼트에 에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러가 없다고 판단되었을 때를 대비한 보완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해당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유효한 FIC chunk를 수집할 수 없으므로 해당 세그먼트를 에러 처리한다. (단, FIC_segment_type필드에 기초한 에러 처리의 경우 수신기 업데이트 등을 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FIC Chunk 해더>
FIC chunk의 해더를 비트 파싱하여 필드의 값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FIC_chunk_major_protoco_version 필드가 M/H 수신기가 지원하는 버전보다 큰 버전을 나타내는 경우 해당 FIC chunk를 에러 처리할 수 있다.
FIC에 포함된 extension length를 모두 합한 값이, FIC chunk 페이로드의 최대 크기(M/H 서브 프레임 2개 반의 공간을 활용하여 만들 수 있는 최대 크기)보다 클 경우 해당 FIC chunk를 에러 처리할 수 있다. 이는 extension length의 총 합이 가용한 FIC chunk 페이로드의 크기보다 더 클수는 없으므로 FIC chunk를 에러 처리할 수 있다.
Transport stream id 값이 예상된 혹은 이미 저장된 transport stream id의 값과 다른 경우 FIC chunk를 에러 처리할 수 있다. 이는 채널 스캔 과정에서 획득되거나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transport stream id 와 주파수간의 맵핑 정보등에 의하여 특정 주파수에 대한 transport stream id를 확인할 수 있다.
Num_ensemble 필드 값이 FIC chunk 페이로드에 의해 시그널링 가능한 앙상블의 개수보다 큰 경우 FIC chunk를 에러 처리한다. (예를 들어, M/H 시스템의 물리적 제한으로 인해 총 앙상블의 개수는 32개를 넘을 수 없다.)
<RS 프레임에 대한 에러 정정>
RS 프레임에 대한 에러 정정은 CRC 값과 RS parity 값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1차로 CRC 값을 점검하여 에러가 존재하는 RS Frame 열에 대해 에러 체크를 한다. (에러가 존재하면, M/H 패킷 해더에 존재하는 error_indicator 필드의 값이 에러가 존재함을 나타내도록 설정한다. 즉, 필드 값을 '1'로 설정한다.) 2차로 행에 대하여 RS 디코딩을 수행하여 에러를 정정한다. 이 과정에서 열에 발생했던 에러가 모두 사라지면 CRC에 의해 체크되었던 에러를 없앤다. 이러한 과정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RS 프레임내에 존재하는 에러들을 정정한다.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다음의 경우에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에러 처리한다.
Section number > last_section number 경우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에러 처리한다.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이 수신된 앙상블의 ID와 시그널링 테이블에서 파싱한 앙상블 ID 값이 다른 경우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에러 처리한다.
현재 단말이 처리할 수 있는 프로토콜 버전보다 table header가 나타내는 프로토콜 버전이 더 큰 경우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을 에러 처리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H 수신기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H 수신기는 초기화부(1110), 채널스캔부(1120), 서비스 선택부(1130) 및 서비스 출력부(1140)를 포함한다.
M/H 수신기는 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데이터가 다중화된 방송 신호로부터 모바일 데이터를 추출하여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한다.
초기화부(1110)는 수신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원을 초기화한다.
채널 스캔부(1120)는 방송 신호를 하나 이상의 주파수에 대하여 검색하여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목록을 생성한다. 채널 스캔부(1120)는 스캔 모드에 따라 퍼레이드에 대한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FIC 및 서비스에 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비스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선택부(1130)는 서비스 목록에서 하나의 모바일 서비스를 선택한다.
서비스 출력부(1140)는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되는 퍼레이드를 획득하여 모바일 데이터를 처리하여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한다. 퍼레이드는 하나 또는 두 개의 RS 프레임을 구성한다. 서비스 출력부(1140)는 복수 개의 서비스들이 선택되면, 복수 개의 서비스들 각각이 전송되는 M/H 프레임의 주기를 나타내는 PRC 값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서비스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복수 개의 서비스들 각각이 전송되는 앙상블에 대한 식별 정보를 복수 개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IP 패킷들에 부가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데이터가 다중화된 방송 신호를 하나 이상의 주파수에 대하여 검색하여 상기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목록을 생성하는 채널 스캔 단계;
    상기 목록에서 하나의 모바일 서비스를 선택하는 서비스 선택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되는 퍼레이드를 획득하여 상기 모바일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퍼레이드는 하나 또는 두 개의 RS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캔 단계는,
    스캔 모드에 기초하여, 앙상블에 대한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FIC 및 상기 서비스에 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목록을 생성하는 목록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단계는,
    복수 개의 서비스들이 선택되면,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들 각각이 전송되는 주기를 나타내는 PRC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는,
    복수 개의 서비스들이 선택되면,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들 각각이 전송되는 앙상블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IP 패킷들의 IP 주소에 부가하여 상위 계층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신 방법.
  5. 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데이터가 다중화된 방송 신호를 하나 이상의 주파수에 대하여 검색하여 상기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목록을 생성하는 채널 스캔부;
    상기 목록에서 하나의 모바일 서비스를 선택하는 서비스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되는 퍼레이드를 획득하여 상기 모바일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퍼레이드는 하나 또는 두 개의 RS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비스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수신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캔부는,
    스캔 모드에 따라 상기 퍼레이드에 대한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FIC 및 상기 서비스에 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그널링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목록을 생성하는 모바일 수신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출력부는,
    복수 개의 서비스들이 선택되면,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들 각각의 전송 주기를 나타내는 PRC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들에 교대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수신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출력부는,
    복수 개의 서비스들이 선택되면,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들 각각이 전송되는 앙상블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IP 패킷들의 IP 주소에 부가하여 상위 계층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수신기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00012028A 2009-11-06 2010-02-09 모바일 서비스 수신 방법 및 모바일 서비스 수신기 KR101643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12010004282T DE112010004282T5 (de) 2009-11-06 2010-11-05 Verfahren zum Empfangen eines mobilen Dienstes und Vorrichtung zum Empfangen eines mobilen Dienstes
CN201080050146.7A CN102598726B (zh) 2009-11-06 2010-11-05 移动服务接收方法和移动服务接收器
TW099138158A TWI504219B (zh) 2009-11-06 2010-11-05 行動服務接收方法以及行動服務接收器
BR112012010645A BR112012010645A2 (pt) 2009-11-06 2010-11-05 método de recepção de serviço móvel, receptor de serviço móvel, e mídia de gravação legível por computador
US12/940,437 US8416742B2 (en) 2009-11-06 2010-11-05 Mobile service reception method and mobile service receiver
MX2012004852A MX2012004852A (es) 2009-11-06 2010-11-05 Metdo de recepcion de servicios moviles y receptor de servicios moviles.
PCT/KR2010/007818 WO2011056025A2 (en) 2009-11-06 2010-11-05 Mobile service reception method and mobile service receiver
CA2778536A CA2778536C (en) 2009-11-06 2010-11-05 Mobile service reception method and mobile service receiver
FI20125477A FI20125477L (fi) 2009-11-06 2012-05-02 Mobiilipalvelun vastaanottomenetelmä ja mobiilipalvelun vastaanotin
US13/858,619 US20130223383A1 (en) 2009-11-06 2013-04-08 Mobile service reception method and mobile service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868609P 2009-11-06 2009-11-06
US61/258,686 2009-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334A true KR20110050334A (ko) 2011-05-13
KR101643616B1 KR101643616B1 (ko) 2016-07-29

Family

ID=4436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028A KR101643616B1 (ko) 2009-11-06 2010-02-09 모바일 서비스 수신 방법 및 모바일 서비스 수신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8416742B2 (ko)
KR (1) KR101643616B1 (ko)
CN (1) CN102598726B (ko)
BR (1) BR112012010645A2 (ko)
CA (1) CA2778536C (ko)
DE (1) DE112010004282T5 (ko)
FI (1) FI20125477L (ko)
MX (1) MX2012004852A (ko)
TW (1) TWI504219B (ko)
WO (1) WO201105602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1552A2 (ko) * 2011-05-25 201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수신 시스템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US10123079B2 (en) 2013-07-14 2018-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signal in hybrid broadcast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0156A2 (ko) * 2009-04-17 2010-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수신 시스템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101801583B1 (ko) 2010-11-17 2017-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기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US9385823B2 (en) * 2010-11-17 2016-07-05 Lg Electronics Inc. Broadcast-signal transmitter/receiv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8953478B2 (en) * 2012-01-27 2015-02-10 Intel Corporation Evolved node B and method for coherent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with per CSI-RS feedback
JP6333969B2 (ja) * 2013-06-19 2018-05-3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放送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送受信方法
JP2015073197A (ja) * 2013-10-02 2015-04-16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WO2015160221A1 (en) * 2014-04-18 2015-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supporting broadcast service
KR20170041782A (ko) * 2014-09-19 2017-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1807673B1 (ko) 2014-11-06 2017-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WO2016117904A1 (ko) 2015-01-21 201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WO2016140486A1 (ko) * 2015-03-02 2016-09-09 엘지전자(주)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6182358A1 (ko) * 2015-05-12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2589852B1 (ko) * 2016-04-15 202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TWI815625B (zh) * 2022-08-25 2023-09-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無線存取網路控制裝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142A (ko) * 2007-06-26 2009-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90012295A (ko) * 2007-07-29 2009-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90021134A (ko) * 2007-08-24 200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31382A (ko) * 2007-09-21 2009-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4155A1 (de) * 1982-04-17 1983-10-20 Blaupunkt-Werke Gmbh, 3200 Hildesheim Ortsveraenderlicher rundfunkempfaenger, wie autoradio oder dgl.
US5734589A (en) * 1995-01-31 1998-03-31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Digital entertainment terminal with channel mapping
US5886995A (en) * 1996-09-05 1999-03-23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Dynamic mapping of broadcast resources
EP0836320B1 (en) * 1996-10-08 2006-03-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US6055434A (en) * 1997-02-11 2000-04-25 Ericsson Inc.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 mobile station with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2007005873A (ja) * 2005-06-21 2007-01-11 Kyocera Corp 放送受信装置、表示制御方法
KR100606804B1 (ko) 2005-07-18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기적인 채널 갱신을 통한 자동채널을 전환하는 방송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JP4049799B2 (ja) * 2006-04-26 2008-02-20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受信方法
KR100819880B1 (ko) * 2006-12-01 2008-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 방법
KR101366330B1 (ko) * 2007-06-05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정보 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1405970B1 (ko) * 2007-06-28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405969B1 (ko) * 2007-06-28 2014-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467785B1 (ko) * 2007-07-06 201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435843B1 (ko) * 2007-08-24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7705920B2 (en) * 2007-08-24 2010-04-2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O2009028857A2 (en) * 2007-08-24 2009-03-0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MX2010002029A (es) * 2007-08-24 2010-03-15 Lg Electronics Inc Sistema de difusion digital y metodo de procesamiento de datos en sistema de difusion digital.
US8387097B2 (en) * 2007-08-24 2013-02-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O2009038402A1 (en) * 2007-09-21 2009-03-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1507851B1 (ko) * 2008-04-13 201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90117424A (ko) * 2008-05-09 2009-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모드 선택 방법
US8250619B2 (en) * 2008-06-09 2012-08-2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ceiving a broadcasting signal and receiving system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ignal
KR101448645B1 (ko) * 2008-06-23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US8520057B2 (en) * 2008-11-04 2013-08-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3-dimensional broadcasting service
US8848685B2 (en) * 2009-02-02 2014-09-30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the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WO2010107167A1 (en) * 2009-03-19 2010-09-23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the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142A (ko) * 2007-06-26 2009-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90012295A (ko) * 2007-07-29 2009-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90021134A (ko) * 2007-08-24 200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31382A (ko) * 2007-09-21 2009-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1552A2 (ko) * 2011-05-25 201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수신 시스템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WO2012161552A3 (ko) * 2011-05-25 2013-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수신 시스템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US9380354B2 (en) 2011-05-25 2016-06-28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broadcast signal
US9800953B2 (en) 2011-05-25 2017-10-24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broadcast signal
US10405061B2 (en) 2011-05-25 2019-09-03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broadcast signal
US10904641B2 (en) 2011-05-25 2021-01-26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broadcast signal
US10123079B2 (en) 2013-07-14 2018-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signal in hybrid broadcas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10318A1 (en) 2011-05-12
US8416742B2 (en) 2013-04-09
TWI504219B (zh) 2015-10-11
WO2011056025A2 (en) 2011-05-12
KR101643616B1 (ko) 2016-07-29
BR112012010645A2 (pt) 2016-04-05
CN102598726B (zh) 2015-04-15
CN102598726A (zh) 2012-07-18
MX2012004852A (es) 2012-06-08
DE112010004282T5 (de) 2013-03-07
WO2011056025A9 (en) 2011-09-29
WO2011056025A3 (en) 2011-08-04
US20130223383A1 (en) 2013-08-29
FI20125477L (fi) 2012-05-02
CA2778536A1 (en) 2011-05-12
TW201125338A (en) 2011-07-16
CA2778536C (en)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616B1 (ko) 모바일 서비스 수신 방법 및 모바일 서비스 수신기
US10165336B2 (en) Method for proc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an advances service or content in an NRT service and a broadcast receiver
CN101836445B (zh) 数字广播接收机和控制数字广播接收机的方法
US9467751B2 (en) Method of receiving a broadcasting signal and receiving system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ignal
KR101706956B1 (ko) 비실시간 서비스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CA2844195C (en) Method of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KR101695820B1 (ko) 비실시간 서비스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KR101619507B1 (ko)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수신 시스템
US10091009B2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EP2503779A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receiver using the method
US9438378B2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510781B2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1367102B1 (ko) 방송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하이브리드 tv
KR100790195B1 (ko) Dvb―h 시스템에서 esg 데이터를 효율적으로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80005693A (ko) 데이터 방송 신호, 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하는 장치
KR100745252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프로그램의 선택 수신 방법
JP4786619B2 (ja) 録画装置
CN113475088A (zh) 收发方法、收发装置
JP2004159256A (ja) デジタル放送番組選択装置、デジタル放送番組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