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324A - 역경매 방법 - Google Patents

역경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324A
KR20110050324A KR1020090107259A KR20090107259A KR20110050324A KR 20110050324 A KR20110050324 A KR 20110050324A KR 1020090107259 A KR1020090107259 A KR 1020090107259A KR 20090107259 A KR20090107259 A KR 20090107259A KR 20110050324 A KR20110050324 A KR 20110050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ce
purchase
seller
buyer
reverse a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김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주 filed Critical 김기주
Priority to KR102009010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0324A/ko
Publication of KR20110050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 상의 역경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역경매 서버와, 다수의 구매자 측의 구매지원단말기와, 다수의 판매자 측의 판매지원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역경매 방법으로, 각 구매자가 동일 상품에 대해 입력하는 구매상한가격, 구매지원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지원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역경매 서버에 저장되는 제1 단계; 상기 역경매 서버가 각 구매상한가격 별 구매지원수량 또는 각 구매상한가격 이상으로 누적된 각 구매상한가격 별 누적 구매지원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지원현황을, 접속하는 판매자 또는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제2 단계; 각 판매자가 구매지원현황을 검토하여 입력하는 판매희망가를 포함하는 입찰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역경매 서버에 저장되는 제3 단계; 상기 역경매 서버가 입찰 종료 후 가장 낮은 판매희망가로 입찰한 판매자를 낙찰자로, 그리고 해당 판매희망가를 낙찰가 즉, 판매가로 결정하여 낙찰가 이상에 해당하는 모든 구매상한가격의 구매지원수량을 낙찰자에게 집중하여 낙찰하고, 그 외 판매자를 탈락시키는 입찰결과를 제공 또는 통지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역경매 서버가 낙찰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으로 지원한 모든 구매자를 구매 결정된 구매자로 결정함과 아울러 낙찰가 미만의 구매상한가격으로 지원한 모든 구매자를 탈락시키고, 낙찰가를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를 제공 또는 통지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한다.
따라서, 한 번의 역경매 시행을 통해, 동일한 상품에 대하여 입력한 구매상한가격이 다른, 다수의 합격한 구매자가 동일한 최저가로 구매 할 수 있고, 탈락한 다수의 구매자는 구매지원이 자동으로 취소되어 버리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조치로, 합격한 구매(지원)자이든, 탈락한 구매(지원)자이든, 모든 구매(지원)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고, 낙찰된 판매자들은 판매가 거의 확실한 대량 물량을 박리다매식으로 판매할 수 있도록 하여,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최선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역경매, 전자상거래

Description

역경매 방법{METHOD FOR REVERSE AUCTION}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 상의 역경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번의 역경매를 통해 다수의 구매자에게 동일한 최저가로 물품을 구매하도록 할 수 있고, 판매자에게는 한 번에 대량 물량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역경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상거래를 통해 물품을 저렴하게 구매하려면, 구매자는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판매 사이트나 특정 판매 사이트 내에서도 가장 저렴하게 판매하는 판매자를 검색하여 구매하거나, 공동구매 방식을 통해 다른 여러 명의 구매자를 모집하여 함께 대량으로 구매하거나, 경매 방식을 통해 직접 입찰에 참여하여 낙찰받아 구매하거나, 역경매 방식을 통해 다수의 판매자들로부터 입찰을 받아 비교하여 구매해야 한다.
그 중, 공동구매 방식은 한 번에 많은 수량을 구매함에 따른 가격 인하 효과를 보고자 하는 것인데, 많은 수의 구매자를 모집하기 어렵고, 충분히 많은 수의 구매자를 모집한다 하더라도,
대부분의 경우에 구매수량 별 가격을 판매자가 미리 결정하여 진행되는 형식이고 해서, 꼭 최저가로 구입하게 된다는 보장도 없다.
또한, 경매 방식은 판매자의 물품을 두고 다수의 구매자가 경쟁하는 것인데, 구매자 입장에서는 낙찰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 원하는 물품을 적기에 구매하기 어렵고, 낙찰받기 어려운 만큼 낙찰받기 위해 높은 구매가를 제시해야 함에 따라 낙찰받더라도 결과적으로 낙찰가에 만족할 수 없으며, 수시로 입찰에 참여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야기된다. 아울러, 판매자 입장에서는 소량 물품에 대해 진행되는 것이므로 번거롭기만 하고 결과적으로 충분한 이익을 볼 수 없다.
그리고, 역경매 방식은 구매자를 두고 다수명의 판매자가 경쟁하는 것으로, 구매자 입장에서는 많은 수의 판매자로부터 입찰을 받아 가장 낮은 판매가를 제시하는 판매자로부터 구매하더라도, 꼭,
인터파크, G마켓을 포함한 일반적이 오픈마켓에서의 최저가 보다 더 낮은 가격에 판매가가 낙찰된다는 보장이 없다.
왜냐하면, 종래의 역경매방식에서는 탈락하는 판매자는 있되, 탈락하는 구매자가 없는 관계로,
경매가 종료된 후에, 낙찰된 가격에 불만을 갖을 만한 구매자도 구매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합격한 구매자(=사실상 모든 구매 지원자) 중에 몇 명이 실제로 구매를 이행 할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가 어려워서,
박리다매의 전략으로 아주 낮은 가격으로 입찰하여 낙찰받았음에도,
구매를 취소하는 구매자가 많게 되면 이익이 생각했던 것 보다 급격히 줄어들거나, 심지어 손해를 보는 수도 있기 때문에
판매자가 입찰할 때 아주 낮은 가격으로 입찰할 수가 없어서,
결과적으로 낙찰가도 높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판매자 입장에서는, 역경매가 활성화되지 않아, 많은 구매지원자가 모집되고 있지 않은 관계로, 소량 물량에 대해 빈번하게 입찰에 참여해야 함에 따라 번거롭기만 하고 결과적으로 충분한 이익을 볼 수 없다.
즉, 경매나 역경매 방식은 구매자나 판매자 중의 어느 일측이 자신의 손해를 감수하고 서로 경쟁하는 것으로, 결코 양자 모두에게 이익을 창출할 수 없다.
한편,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막론하고 거래 가격을 최대한 낮출 수 있는 방법은 한 번에 거래되는 물량을 늘려 대량 거래하는 것으로, 판매자는 유통 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신속하게 투입 비용을 회수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 단가를 낮추어 판매할 수 있고, 구매자는 그만큼 낮은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 따라서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에게 이익될 수 있다.
공동구매 방식은 구매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일시까지 많은 인원의 구매자를 확보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고, 실제로 모아지는 인원은 3, 4명 정도로 매우 적어 노력한 만큼 구매가의 인하 효과를 볼 수 없으며, 판매자 입장에서는 고작 3, 4명으로는 박리다매식 이익을 충분히 창출할 수 없기 때문으로, 현 방식으로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충분한 이익을 줄 수 없고, 일반 상품에까지 널리 활성화되기 어렵다.
한편, 역경매 방식은 상거래에서 고객에 해당되는 구매자 측에 결정권이 부여되고, 입찰 상의 불편함이 고객이 아닌 판매자 측에 부여된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많은 구매자를 끌어들일 수 있는 매력이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역경매 방식은 온라인 상에서 사진 촬영 서비스, 홈페이지 제작 서비스와 같이 일부 표준화될 수 없는 용역 상품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일반 상품에는 전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데, 그 이유를 고찰해 보면,
구매자 입장에서는
만약 자신이 구매를 포기하게 되면 입찰했던 수많은 판매자에게 피해를 끼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작용하여 불편하기도 하며,
어떤 구매지원자이든 낙찰 가격에 불만이 있더라도 일단은 구매가능한(=구매 결정된) 구매자로서는 자동으로 낙찰(=자동으로 합격)되어 버리므로,
낙찰가가 결정(=구매 결정된 구매자가 결정)되기 전에 선결재 하는 방식이라고 하더라도, 낙찰가에 불만이 있는 구매자가 구매를 취소하기 위하여 사이트를 1번 더 방문해야 하고(아직까지 선결재 하는 역경매 방식은 없는 것 같다.),
낙찰가가 결정(=구매 결정된 구매자가 결정)되기 전에 후결재 하는 방식이면, 구매를 이행하기 위한 결재를 하기 위하여 사이트를 1번 더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 판매자 입장에서는
아직까지는 역경매가 활성화 되지 못한 관계로, 구매지원자 수가 적어서, 한 번의 역경매를 통해 팔 수 있는 물량이 매우 적고,
어떤 구매지원자이든 낙찰 가격에 불만이 있더라도 일단은 구매가능한(=구매 결정된) 구매자로서는 자동 낙찰(=자동 합격)되어 버리므로,
낙찰가에 불만이 있는 구매자가 구매를 취소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낙찰받은 물량에 대해서도, 자신이 몇 개를 확실히 팔 수 있을런지 전혀 예측할 수 없어, 이익을 감안할 때 높은 판매 가격으로 입찰할 수 밖에 없고, 그와 같이 높은 가격으로 입찰하면 그 만큼 낙찰되기 어렵고, 또한 자동 낙찰된(=자동 합격한) 구매자는 반드시 구매할 것이라는 판단 하에 박리다매식 계산을 통해 낮은 판매가격을 제시하여 힘들게 낙찰받더라도 낙찰된 구매자가 추후 구매를 취소하면 오히려 손해를 입을 수 있는 악순환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경매 방식에서 구매자에게는 최저가의 낙찰을 보증할 수 있고, 판매자에게는 미리 판매 가능 개수를 정확히 알수 있게 하여, 박리다매식 이익 계산을 통해 합리적인 진정한 최저가로 입찰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낙찰가가 각 구매(지원)자 별로 구매지원시에 의사표현한 구매상한가격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만족하지 못한 구매(지원)자는 자동으로 탈락 되게 하고, 탈락한 구매(지원)자는 구매지원이 자동으로 취소되어 버리게 하고,
구매(지원)자 별로 서로 다른 구매상한가격으로 구매지원하였더라도, 합격한 구매(지원)자들끼리는 동일한 낙찰가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조치로, 합격한 구매(지원)자이든, 탈락한 구매(지원)자이든, 모든 구매(지원)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고,
낙찰된 판매자는, 한 번의 역경매로, 판매가 거의 확실한 대량 물량을 낙찰받아, 박리다매식으로 확실히 판매할 수 있으므로,
판매(지원)자는 합리적이고도 진정한 최저가의 판매희망가를 제시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최선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역경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종래의 방법에 대하여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종래에는
이사 역경매, 홈페이지 제작 역경매 등의 구매자 마다 구매 조건이 다른 상품의 거래, 즉, 상품을 모델화하기 힘든 상품의 거래, 또는
모델화(=표준화)가 가능한 상품일지라도, 그 상품을 대량 구매하면서 특별한 구매조건이 있는 것을 포함하여, 결과적으로 모델화가 힘든 경우의 거래 등에 전자상거래상의 역경매 방식이 제한적으로 적용되어 왔고,
제한적으로 적용된 분야에서도 역경매 방식에 의한 거래가 활성화되지도 않았다.
모델화가 가능한 상품은,주로, 인터파크(http://www.interpark.com), G마켓 (http://www.gmarket.co.kr)을 포함한 구매자가 생각하기에 믿을 만한 오픈마켓 쇼핑몰에서, 다수의 판매자별로 제시하는 판매가격 중 최소의 판매가격을 제시하는 판매자를 구매자가 선택하는 형식으로 대부분의 거래가 이루어졌다.
종래의 모델화가 가능한 상품이 역경매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이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언급하자면,
종래의 모델화가 가능한 상품를 역경매로 거래하는 행태는 아래 A,B 요소를 갖는 것이 대부분이다.
A. 시작가라는 개념이 중요사항이 되고 있어서, 시작가를 정한다.
낙찰된 가격에 불만이 있는 구매자라도, 일단은 구매가능한(=구매 결정된) 구매자로서 자동 낙찰(=자동 합격)되므로, 즉, 탈락하는 구매자가 없기 때문에,
낙찰된 가격에 불만을 갖는 구매자 수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시작가를 정하는 것에 고심하며,
시작가가 너무 낮은 가격이어서 판매자가 불만을 갖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라도 시작가를 정하는 것에 고심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시작가라는 것이 아무 의미가 없어서, 시작가를 정하려고도 하지 않는다. 굳이 시작가가 무엇인지를 따지자면, 각 구매자별로 제시한 구매상한가격들 중에서 가장 큰 구매상한가격이 시작가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낙찰되는 가격에 불만이 있는 구매자는, 일단은, 구매가능한 구매자로서의 지위는 탈락되어 버리므로, 시작가는 아무 의미가 없다.)
B. 구매지원한 구매자들 중에서 낙찰가가 정해진 후에 자동으로 탈락하는 구매자가 없다.(본 발명의 방법은 구매지원한 구매자들 중에서 낙찰가가 정해진 후에(=구매 결정된 후에) 자동으로 탈락하는 구매자가 있다.)
종래의 모델화가 가능한 상품를 역경매로 거래하는 행태는 보통의 경우 아래 와 같이 진행된다.
1. 사이트 운영자가,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임의로, 시작가를 정하거나,
각 구매자들이 구매하고 싶은 가격을 각각 제시하면,
각 구매자들이 제시한, 즉, 구매하고 싶은 가격들의 최대값, 평균값, 또는 최소값 등 어느 하나의 금액을 시작가로 정하고,
2. 판매자들이 판매가격을 입찰하고,
3. 최소의 판매가격으로 입찰한 판매자가 낙찰되고
4. 낙찰된 판매가격에 만족하는 구매자는 결재를 한다.
(탈락하는 판매자는 있되, 탈락하는 구매자는 없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방식은 구매자도 탈락할 수 있다.)
이런식으로 하면,
낙찰가가 정해진 후에(=구매 결정된 후에) 후결재를 하는 방식이라면,
판매자는 전체 구매지원자가 중에서,몇 명의 구매자가 최종적으로 결재를 할지를 몰라서(또는 구매지원 시에 선결재 하는 방식이라도, 낙찰가가 정해진 후에, 몇 명의 구매자가 구매를 취소할지를 몰라서),
도대체 몇 개가 실제로 팔릴지 몰라서, 즉, 실제 판매 물량에 대한 정확한 양을 모르기 때문에,
높은 판매가격으로 입찰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역경매의 본래 취지는 없어지고, 대량으로 구매를 하게 되더라도, 구매자는 고가의 구매를 하게 되어, 구매자에게는 역경매의 가격할인 혜택이 돌아갈 수 없다.
그리고, 사이트를 방문해야 하는 횟수에 대하여 언급하자면,
낙찰가가 정해진 후에(=구매 결정된 후에) 후결재를 하는 방식이라면, 실제로 구매할 구매자는 구매지원 할 때 1번, 결재할 때 1번, 총 2번에 걸쳐 사이트를 방문해야 하며,
낙찰가가 정해지기 전에(=구매 결정된 전에) (주로 구매지원 시에) 선결재를 하는 방식이라면, 실제로 구매하지 않을 구매자는 구매지원 할 때 1번, 낙찰가가 정해진 후에, 구매 취소할 때 1번, 총 2번에 걸쳐 사이트를 방문해야 한다.
어쨌든, 선결재 방식이건, 후결재 방식이건, 2번에 걸쳐 사이트를 방문해야 하는 수고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방식에서, 선결재 하는 행태에서는, 실제로 구매할 구매자는, 낙찰가가 정해지기 전(주로 구매지원 시)에만, 즉, 1번만 싸이트를 방문하면 된다.
예를 들어, 구매지원시에 선결재 하고,
구매지원시에 선결재한 가격이 낙찰가 보다 크면,
구매지원시에 선결재한 가격에서 낙찰가가 반영된 구매대금을 뺀 금액만큼이 환불되면서 상품이 전달되고,
구매지원시에 선결재한 가격이 낙찰가가 반영된 구매대금 보다 작으면,
구매지원이 자동으로 취소되면서, 선결재한 전체금액이 환불되게 할수도 있으므로,
모든 구매 지원자는 구매지원 시에 딱 1번만 사이트를 방문하면 된다.
2번에 걸쳐 사이트를 방문해야하는 구매지원자는 없다.)
그리고, 종래의 역경매 방식에서는,
낙찰가가 정해진 전에 선결재를 하건, 낙찰가가 정해진 후에 결재를 하건,
낙찰되었음에도 구매를 포기하는 구매자에게는 패널티(예: 금전, 포인트, 신용)를 부과한다고 하면 문제 발생한다.
(낙찰가 미만의 금액으로 구매지원한 구매자도 구매자로서는 낙찰되어 버리므로 그러한 구매자는 불만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자면,
동일 경매시행시각에 동일 모델의 상품을 대상으로 행해지고,
다수의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가 있는 전자상거래상의 역경매를 진행할 경우에,
각 구매자 별로 구매할 상품에 대하여 지불할 수 있는 상한 가격(= 구매상한가격)에 대한 의사표현을 하고,
각 판매자별로 수용할 수 있는 판매희망가를 제시하여,
그 중 최소의 판매희망가를 제시한 판매자가 최종 판매자로 낙찰되고,
낙찰된 판매가격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을 제시한 구매자들만이 주문한 구매물량만의 합계 전체에 대한 판매권을
낙찰된 최종 판매자가 가진다.
그리고,
낙찰된 판매가격 미만의 구매상한가격을 구매지원시에 제시한 구매자들은 구매가능 대상자에서, 전산상에서, 자동으로 탈락(=유찰)된다.
(낙찰가가 정해지기 전에(=구매 결정되기 전에) 구매대금을 선결재 하였다면, 탈락된 구매자에게는 선결재한 금액은 “자동으로” 환불되게 할 수도 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낙찰가가 정해지기 전에(=구매결정 되기 전에) 선결재(주로 구매지원시에)를 하는 방식이더라도,
낙찰가 미만의 금액으로 구매지원한 구매자는, 구매가능한(=구매 결정된) 구매자로서는, 탈락되어 버리기 때문에,
낙찰가 이상의 금액의 구매상한가격으로 구매지원한 관계로,
구매가능한(=구매 결정된) 구매자로서는 낙찰되었음에도 구매를 포기하는 구매자에게는 패널티(예:금전, 포인트, 또는 신용)을 부과한다고 하여도 아무 문제 없다.
왜냐하면, 판매자는, 낙찰될 구매자는 반드시 구매할 것이라는 판단하에 박 리다매의 전략으로 판매가격을 낮게 제시하면서 입찰하였는데,
낙찰된 구매자가 구매를 취소해 버리면 판매자는 이익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줄어들거나, 손해를 보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선결재한 경우에는, 실제로 구매할 구매자는 구매지원시에 사이트를 1번만 방문하고도 상품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낙찰가가 정해진 후에(=구매 결정된 후에) 후결재를 하는 행태라도,
낙찰가 미만의 금액으로 구매지원한 구매자는 구매가능한(=구매 결정된) 구매자로서는 자동으로 탈락되어 버리기 때문에,
구매가능한(=구매 결정된) 구매자로서는 낙찰되었음에도 구매를 포기하는 구매자에게는 패널티(예: 금전, 포인트, 또는 신용)을 부과한다고 하여도 아무 문제 없다.
그 이유는, 앞의, 낙찰가가 정해지기 전에 선결재(주로 구매지원시에)를 하는 방식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이렇게 하여,
종래처럼, 판매자들 중에서도 탈락되는 판매자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구매자들 중에서도 탈락되는 구매자가 존재하므로, 쌍방 역경매라고 할 수 있다.
종래의 역경매 또는 공동구매에서는
낙찰된 조건에 불만을 갖는 구매자도 구매가능 대상자(=구매 결정된 구매자)로 자동으로 낙찰(=자동으로 합격)되어버려서,
낙찰가가 정해지기 전에(=구매 결정되기 전에) 구매대금을 선결재 하였다면, 낙찰가에 불만이 있는 구매자는 구매를 취소한다는 의사표현을 해줘야 환불이 되거나,
선결재 하건, 후결재 하건
판매자로 하여금, 낙찰가에 불만이 있는 구매자도 실제로는 구매할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막연한 기대를 하는 것을 포함한 여러 가지 고민을 하게 만드는 등의 거래 진행상 불편함 또는 비효율성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방식은, 구매지원시 구매상한가를 낙찰가 미만으로 제시한 구매자, 즉 낙찰가에 불만이 있을 법한 구매자는,
경매진행시에 일단은 전산상, 자동으로, 탈락시켜버려서,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게 역경매가 진행되며,
나중에, 탈락된 구매자 또는 신규 구매지원자에게 다시 한번 구매기회를 줄 수는 있다. 즉, 낙찰가만큼 결재하면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다시 한번 줄수는 있는 것이다.
상기의 낙찰가 만큼 결재한다는 뜻은
선결재한 경우에는
부족액 만큼 더 결재하는 것일 수도 있고,
선결재한 것이 자동으로 취소되었으면, 낙찰가가 반영된 구매대금 만큼 다시 결재하면 된다는 것을 뜻하며,
후결재한 경우에는 낙찰가가 반영된 구매대금 만큼 결재하면 된다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 보면 본 발명의 방법을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지원현황과 판매지원현황이 아래 표와 같다고 하자.
그룹(A) 구매상한 가격(B) 구매
수량(C)
구매수량
누계(D)
입찰판매자 및 입찰가(E) 환불(F)
1 52,000 1 1 2,700
1 51,000 4 5 1,700
1 50,000 5 10 700
1 49,900 10 20 W 600
1 49,800 20 40 500
1 49,700 30 70 X 400
1 49,600 40 110 300
1 49,500 50 160 Y 200
1 49,400 40 200 100
1 49,300 30 230 Z 0
2 49,200 20 250 49,200
2 49,100 10 260 49,100
2 49,000 5 265 49,000
2 48,800 3 268 48,800
2 48,700 2 270 48,700
A 열은 구매지원자 그룹을 나타낸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1그룹은 합격한 구매지원자 그룹이고, 2그룹은 탈락한 구매지원자 그룹니다.
B 열은 각 구매지원자들이 구매지원한 구매상한가격들의 종류를 나타낸다.
그리고, 각 구매지원자들은 구매지원한 구매상한가격이 반영된 구매대금을 낙찰가가 정해지기 전에(=구매 결정되기 전에) 선결재 한 것으로 가정한다.
C 열은 각 구매상한가격 별로 각 구매자들이 주문한 구매수량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49,300원의 구매상한가격으로 구매지원된 구매수량(=주문수량)은 총 30개이다. 49,300원의 구매상한가격으로 구매지원한 구매지원자가 여러 명일 수도 있고, 그 여러 명의 구매지원자들이 49,300원의 구매상한가격으로 각각 구매지원한 구매수량의 합계가 30개라는 뜻이다.
D 열은 C 열의 누계이다.
예를 들어, 49,300원의 구매상한가격 이상으로 구매지원된 구매수량(=주문수량)의 누계는 230개이다.
E 열은 입찰한 판매자 별로의 입찰가를 나타낸다.
W,X,Y,Z라는 판매자가 입찰하였는데,
W 라는 판매자는 1개당 49,900원의 판매희망가로 입찰하였고,
X 라는 판매자는 1개당 49,700원의 판매희망가로 입찰하였고,
Y 라는 판매자는 1개당 49,500원의 판매희망가로 입찰하였고,
Z 라는 판매자는 1개당 49,300원의 판매희망가로 입찰하였음을 나타낸 다.
그러면, 당연히 가장 낮은 판매희망가인 49,300원의 판매희망가로 입찰한 Z라는 판매자가 낙찰되고, 1개당 판매가격은 49,300원에 낙찰된다.
그리고, 49,300원 이상의 구매상한 가격으로 구매지원한 1그룹의 구매지원자 그룹은 구매가능한(=합격한=구매 결정된) 구매자가 되면서 , 비록, 49,300원부터 52,000까지의 서로 다른 구매상한 가격으로 구매지원하였지만, 낙찰가인 49,300원이라는 동일한 1개당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된다.
F 열은 환불 상황을 나타낸다.
낙찰가인 49,300원 미만의 구매상한가격으로 구매지원한 2그룹의 구매지원자들은 자동으로 탈락하고, 구매가 자동으로 취소되면서, 2그룹의 구매지원자들 각자가 선결재한 금액이 전액 환불 된다.
낙찰가인 49,300원 이상의 구매한가격으로 구매지원한 1그룹의 각 구매지원자들에게는 [각 구매지원자들이 선결재한 금액을 각 구매지원자들의 주문수량으로 나누어서 산출된 단가]에서 [낙찰가]를 뺀 금액에다가
각 구매지원자들의 주문수량을 곱한 금액이 환불된다.
예를 들어, 어떤 구매자가 49,900원의 구매상한가격으로 3개를 주문하였고,
147,900(=49,900 X 3)을 선결재하였는데, 낙찰가가 49,300원이 되었다면,
600(=49,900-49,300)원에다가 3을 곱하여 1,800원이 환불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경매 방법은, 역경매 서버와, 다수의 구매자 측의 구매지원단말기와, 다수의 판매자 측의 판매지원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역경매 방법으로, 각 구매자가 동일 상품에 대해 입력하는 구매상한가격, 구매지원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지원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역경매 서버에 저장되는 제1 단계; 상기 역경매 서버가 각 구매상한가격 별 구매지원수량 또는 각 구매상한가격 이상으로 누적된 각 구매상한가격 별 누적 구매지원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지원현황을, 접속하는 판매자 또는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제2 단계; 각 판매자가 구매지원현황을 검토하여 입력하는 판매희망가를 포함하는 입찰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역경매 서버에 저장되는 제3 단계; 상기 역경매 서버가 입찰 종료 후 가장 낮은 판매희망가로 입찰한 판매자를 낙찰자로, 그리고 해당 판매희망가를 낙찰가 즉, 판매가로 결정하여 낙찰가 이상에 해당하는 모든 구매상한가격의 구매지원수량을 낙찰자에게 집중하여 낙찰하고, 그 외 판매자를 탈락시키는 입찰결과를 제공 또는 통지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역경매 서버가 낙찰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으로 지원한 모든 구매자를 구매 결정된 구매자로 결정함과 아울러 낙찰가 미만의 구매상한가격으로 지원한 모든 구매자를 탈락시키고, 낙찰가를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를 제공 또는 통지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각 구매자가 구매 지원하면서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결제하는 제1-1 단계; 및 상기 역경매 서버가 탈락된 구매자가 선결제한 구매비용을 모두 환불하고, 구매 결정된 구매자가 선결제한 구매비용 중 낙찰가에 따른 구매비용을 초과하여 선결제된 차액을 환불하는 제5-1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역경매 서버가 구매 결정된 구매자 중 구매 지원을 취소하는 구매자가 선결제한 구매비용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매 취소 위약금으로 환수하고 잔액이 남으면 환불하는 제5-2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각 판매자가 입찰하면서 입찰 보증금을 선결제하는 제3-1 단계; 상기 역경매 서버가 탈락된 판매자가 선결제한 입찰 보증금을 환불하는 제4-1 단계; 및 상기 역경매 서버가 낙찰된 판매자가 판매 취소하거나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적의 이행하지 않는 경우 선결제 받은 입찰 보증금을 환수하는 제4-2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번의 역경매 시행으로 다수의 구매자에게 동일한 최저가로의 구매를 실현할 수 있어 구매자들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고, 판매자에게는 대량 물량을 박리다매식으로 판매할 수 있도록 하여,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최선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각 구매자 별로 구매할 상품에 대하여 지불할 수 있는 최대 금액이 무엇인지 에 대한 의사표현을 할 수 있게 하고(=구매상한가격이 다수이게 할 수 있고),
낙찰된 조건(특히 가격)에 부합하지 않는 구매조건(=특히 구매가격)으로 구매지원한 구매자는, 일단은, 구매가능한(=구매 결정된) 구매자로서는 탈락시켜버리는 등의 조치로
1번의 역경매 시행으로, 단 1명의 구매자가 아닌, 다수의 구매자 별로의 서로 다른 구매조건을 모두(=100%) 만족시키는 역경매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면서도,
낙찰된 판매가격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이 적용된 모든 구매상한가격만에 구매지원된 모든 구매물량만이
낙찰된 판매가격을 제시한 판매자에게 집중되어 낙찰되는 역경매 방식이므로,
판매자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하게 되어,
낙찰되는 판매가를 일반적인 가격비교를 통해 알 수 있는 인터넷 쇼핑몰들에서의 최소가 보다 더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낙찰가가 정해지기 전에(=구매결정된 구매자가 결정되기 전에) 선결재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더욱 두드러지는데
소자본을 가진 판매자 입장에서도,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역경매에 의해 낙찰된 대량물량이 소자본을 가진 판매자인 자기에게 선결재된 물량이 낙찰되었다는 증거를 상품 공급처(예: 제조사)에 제시하여,
소자본을 가진 판매자도, 자본이 부족한 상태에서도, 대자본을 가진 판매자 처럼 대량물량을 공급처(예: 제조사)에 (신용으로) 주문할 수 있게 되므로, 공급처(예: 제조사)에 대한 주문단가를 더 낮출 수 있게 되어, 더 낮은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로 입찰할 수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낙찰되는 판매가격도 더 낮출 수도 있게 된다.
심지어, 자본이 전혀 없는 판매자도, 대자본을 가진 판매자가 제시할 수 있는 판매가를 제시할 수도 있게 될 수도 있다.
결국, 판매자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하게 되어, 그야말로 최저가격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역경매가 활성화되면, 판매자가 본 발명에 의한 역경매를 시행하는 사이트에서 진정한 최저가를 제시하려고,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가짜 판매가를 제시할 수도 있으므로, 일반적인 쇼핑몰에서의 최저가는 역시 가짜인 행태가 만연할 수도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 만큼의 효과가 예상된다.
***************************************************************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 방법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를 정의한다.
- "상품" : 거래 대상이 되는 재화나 용역을 의미한다.
- "구매지원정보" : 각 구매자가 구매 지원 시에 입력하여 역경매 서버(16) 측으로 제공하는 정보로서, 구매대상상품, 구매상한가격 및 구매지원수량, 자신의 인적정보, 환불받기 위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 "입찰정보" : 각 판매자가 입찰 시에 입력하여 역경매 서버(16) 측에 제공하는 정보로서, 판매대상상품, 판매희망가, 자신의 인적정보, 환불받기 위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 "구매상한가격" : 각 구매자 별로 구매 지원 시에 구매대상상품에 대해 자신이 지불할 수 있는 최대 금액으로 제시하는 가격으로, 해당 가격 이하의 가격으로 판매가가 낙찰되면 구매를 이행하겠다는 의사 표시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 "판매희망가" : 각 판매자 별로 입찰 시에 판매대상상품에 대해 자신이 판매할 수 있는 최저 가격으로 제시하는 금액이다.
- "낙찰가" : 입찰한 다수 판매자의 판매희망가 중에서 최소의 것을 말하며, 즉, 낙찰에 따라 결정되는 판매가를 말한다.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경매 방법의 구현을 위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그 역경매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 방법의 구현을 위한 전자상거래 시스템(10)은, 불특정 다수의 구매자가 구매 지원에 이용하는 다수의 구매지원단말기(12), 다수의 판 매자가 입찰에 이용하는 다수의 판매지원단말기(18), 역경매가 실시되는 온라인 사이트를 운용하는 역경매 서버(16) 및 통신을 위한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14)을 포함한다.
구매지원단말기(12)는 구매자가 역경매 서버(16)에 접속하여 역경매 진행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이 원하는 특정 물품을 역경매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 자신의 구매지원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이다.
판매지원단말기(18)는 판매자가 역경매 서버(16)에 접속하여 역경매 진행 정보를 확인하고, 특정의 역경매에 입찰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의 입찰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이다.
역경매 서버(16)는 역경매 방식에 의한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운용하는 것으로, 진행되는 역경매 진행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지원단말기(12)로부터 구매지원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또한 판매지원단말기(18)로부터 입찰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역경매 진행 프로세스를 처리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 방법에서는 역경매 서버(16) 측이 구매자나 판매자로부터 금액을 선결제받고 환불해주는 과정이 포함되므로, 역경매 서버(16)는 별도의 결제 서버(미도시)와 연동되거나 자체적으로 결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아울러 역경매 서버(16)는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판매 서버(미도시)와 연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상거래 시스템(10)은 종래의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 인터넷 경매(또는, 역경매) 사이트를 위한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본 발 명은 역경매를 운용하는 방식만 종래와 다른 것이고, 그에 따라 역경매 서버(16) 측에 구비되는 운용 프로그램만 변경되면 되는 것으로, 구지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 않아도 당업자라면 통상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구축 기술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을 원활히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 방법은, 동일 진행 시간에 동일 상품을 대상으로 행해지고 다수의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가 존재하는 전자상거래 상의 역경매 방법으로서, 각 구매자가 구매지원가능시간 내에 구매대상상품에 대해 자신이 지불할 수 있는 최대 가격에 해당하는 구매상한가격과 구매를 원하는 상품 수량인 구매지원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지원정보를 입력하여 구매에 지원하면, 각 판매자가 구매지원가능시간보다 후행(또는 중첩)될 수 있는 입찰 가능 시간 내에 구매자의 구매지원상황을 검토하여 자신이 수용할 수 있는 가장 낮은 판매희망가를 포함하는 입찰정보를 입력하여 입찰하며, 그에 대해 역경매 서버(16)는 다수의 판매자가 입찰한 판매희망가 중에서 가장 낮은 판매희망가를 낙찰가 즉, 판매가로 낙찰 및 결정하고 해당 판매희망가로 입찰한 판매자를 낙찰자로 낙찰하며, 낙찰자에게는 낙찰가 이상에 해당되는 모든 구매상한가격의 구매지원수량의 누적 물량에 대한 판매권을 부여하고, 낙찰가보다 낮은 구매상한가격으로 지원한 구매자들은 구매 지원을 바로 취소시키고, 또한 당연히 낙찰되지 못한 판매자들의 입찰도 바로 취소시킨다.
따라서, 기존의 역경매 방법에서와 같이 탈락되는 판매자가 발생되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다르게 구매자 중에서도 탈락하는 인원이 발생된다.
구매자는 자신의 구매상한가격과 구매지원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지원정보를 입력하여 구매 지원하면서 그에 따른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결제하여 자신의 구매 지원을 보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추후 역경매 서버(16)는 판매자의 입찰이 이미 시작되었거나 구매 결정된(=합격한) 구매자가 결정이 된 이후 시점에 구매 지원을 취소하는 구매자에 대해서는 선결제 받은 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환수하여 판매자들에게 지불함으로써, 구매자의 구매 취소에 따른 판매자의 손실이 보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구매 지원한 모든 구매자는 확실히 구매를 실행할 것이 담보될 수 있으므로, 판매자는 해당 역경매를 통해 판매할 수 있는 물품 수량을 사전에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따라서 해당 판매 가능 물량에 따른 합리적인 진정한 최저가로 입찰을 실시할 수 있다.
물론, 역경매 서버(16)는 선결제한 구매자가 추후 역경매 결과에 따라 구매 결정된(=합격한) 구매자로 결정되지 못하고 탈락되는 경우 선결제받은 금액을 즉시 환불하며, 한편 선결제한 구매자가 추후 구매 결정된 구매자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선결제받은 금액을 상품의 구매비용으로 대체하되 낙찰가에 따른 구매비용을 초과하여 선결제된 차액은 계산하여 환불한다.
아울러, 판매자도 입찰하면서 소정의 입찰 보증금을 선결제하여 추후 낙찰되고도 낙찰을 취소하거나 구매자에게 상품 전달을 원활히 이행하지 않는 경우, 역경매 서버(16)는 선결제받은 입찰 보증금을 환수하여 구매 결정된 구매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판매자의 판매 취소에 따른 구매자의 손실이 보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거래의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역경매 서버(16)는 각 구매자가 구매 지원한 구매상한가격으로 거래를 성사시키지 않고, 판매자들이 입찰한 판매희망가 중에서 최소의 가격으로 거래를 성사시킴으로써, 구매 결정된 구매자로 결정되는 모든 구매자들은 동일한 최저가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한 번의 역경매 시행으로 다수의 구매자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역경매 서버(16)는 기본적으로 각 구매자가 지원하는 구매상한가격과 구매지원수량을 고려하여 산출되는 구매비용을 선결제 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구매 결정된 이후 시점에서 각 구매자가 선결제한 구매비용과 낙찰가에 따른 구매비용 간의 차액은 바로 각 구매자별로 계산하여 환불한다.
나아가, 판매자는 입찰하고자 하는 시점에서 역경매 서버(16)가 취합하여 제공하는 구매지원현황을 확인하고 적정 가격 수준까지 누적된 모든 누적 물량에 대해 입찰하는 것으로, 낙찰되면 한 번에 대량 물량을 판매할 수 있고, 따라서 판매자 간의 경쟁이 매우 치열하게 되어 판매가가 최대한 낮추어질 수 있다.
물론, 구매자도 자신이 너무 터무니없이 낮은 구매상한가격으로 구매 지원하면 결과적으로 탈락될 것이므로, 탈락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차피, 적정한 구매상한가격으로 구매 지원하게 되는 바, 구매 결정되는 물량이 많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1) 각 구매자가 동일 상품에 대해 입력하는 구매상한가격 , 구매지원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지원정보가 전송되어 역경매 서버(16)에 저장되는 제1 단계( S101 ).
- 본 단계는 각 구매자가 자신의 구매지원단말기(12)를 이용하여 역경매 서버(16)에 접속한 후, 역경매 서버(16)가 제공하는 판매 상품들에 대한 역경매 진행 정보를 확인하고, 특정 상품을 선택하여 역경매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지원가능시간 내에 자신이 원하는 구매상한가격과 구매지원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지원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구매지원정보가 역경매 서버(16) 측으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때, 각 구매자는 자신이 원하는 구매상한가격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역경매 서버(16)에 의해 제공되는 리스트 중에서 선택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수의 구매자가 구매상한가격을 입력함에 따라 다수개의 구매상한가격이 생성될 수 있다.
2) 역경매 서버(16)가 각 구매상한가격 별 구매지원수량 또는 각 구매상한가 격 이상으로 누적된 각 구매상한가격 별 누적 구매지원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지원현황을, 접속하는 판매자 또는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제2 단계( S102 ).
- 본 단계는 역경매 서버(16)가 판매자나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각 구매상한가격 별 구매지원수량이나 각 구매상한가격 이상으로 누적된 각 구매상한가격 별 누적 구매지원수량에 대한 구매지원현황을 제공한다.
여기서, 각 구매상한가격 별 누적 구매지원수량이란, 해당 구매상한가격보다 높은 가격으로 구매 지원된 모든 구매지원수량에 대한 합계 수량을 말한다.
예컨대, 역경매 서버(16)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구매지원현황을 나타내어 제공할 수 있다.
구매상한가격(a) 구매지원수량(b) 누적 구매지원수량(c) 총 매출가능액(a x c)
22만원 10 10 220만원
21만원 30 40 840만원
20만원 50 90 1,800만원
19만원 40 130 2,470만원
18만원 20 150 2,700만원
17만원 10 160 2,720만원
16만원 5 165 2,640만원
따라서, 이와 같이 제공되는 구매지원현황을 확인하고 판매자는 자신이 입찰할 수 있는 판매희망가를 결정하여 입찰할 수 있다.
3) 각 판매자가 구매지원현황을 검토하여 입력하는 판매희망가를 포함하는 입찰정보가 전송되어 역경매 서버(16)에 저장되는 제3 단계( S103 ).
- 본 단계는 각 판매자가 역경매 서버(16)가 제공하는 구매지원현황을 검토하고 자신의 판매희망가를 결정하여 입찰에 참여한다.
예컨대,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판매자는 각 구매상한가격 별 누적 구매지원수량, 총 매출가능액 등의 현황을 참조하여 자신의 판매희망가를 결정하여 입찰가능시간 내에 입찰에 참여한다.
일 예로, 판매자는 총 매출가능액이 2,720만원이고 그에 대한 누계 상품 수량이 160개인 경우 물품 하나당 단가는 17만원이므로, 해당하는 총 수량 160개를 그 정도의 단가로 판매할 수 있다 판단되면, 해당 단가에 근접하는 판매희망가로 입찰에 참여한다.
물론, 판매자는 한 번에 자신이 판매할 수 있는 물품 수량이 매우 대량인 바, 박리다매식 이익 계산을 통해 자신의 판매희망가를 결정하여 입찰할 것이다.
그리고, 입찰하는 판매희망가는 이미 존재하는 다수의 구매상한가격들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각 판매자 고유의 금액일 수도 있다.
4) 역경매 서버(16)가 입찰 종료 후 가장 낮은 판매희망가로 입찰한 판매자를 낙찰자로, 그리고 해당 판매희망가를 낙찰가 즉, 판매가로 결정하여 낙찰가 이상에 해당하는 모든 구매상한가격의 구매지원수량을 낙찰자에게 집중하여 낙찰하고, 그 외 판매자를 탈락시키는 입찰결과를 제공 또는 통지하는 제4 단계( S104 ).
- 본 단계는 입찰 종료에 따라 역경매 서버(16)가 가장 낮은 판매희망가로 입찰한 판매자를 취출하여 낙찰자로 결정함과 함께, 해당 판매희망가를 낙찰가 즉, 판매가로 결정하고, 그 외 판매자들을 탈락시키는 단계로서, 낙찰자에게는 낙찰가 이상에 해당되는 모든 구매상한가격의 구매지원수량을 집중하여 그 대량 물량을 모두 판매할 수 있는 판매권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 방식에서는 낙찰가 이상에 해당되는 모든 구매상한가격으로 구매 지원된 모든 물량이 낙찰자에게 집중되어 낙찰되므로, 판매자는 대량 물량을 낙찰받아 판매할 수 있는 만큼 박리다매식 이익 계산을 통해 판매희망가를 충분히 낮출 수 있어, 결국 구매자에게 그 이익이 돌아갈 수 있고, 당연히 해당 판매자에게도 충분한 이익이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한 번에 대량 물량을 판매할 수 있는 판매권이 낙찰되는 것이므로, 판매자들은 서로 가열하게 경쟁할 것이며, 따라서 지금까지의 전자상거래에서는 전혀 볼 수 없었던 진정한 최저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판매자가 입찰할 수 있는 입찰가능시간은 구매자가 구매 지원을 할 수 있는 구매지원가능시간과 동시에 시작되거나 아니면 후행되어 시작될 수 있고, 그 종료는 구매지원가능시간과 동일거나 후행되어 종료될 수 있다.
5) 역경매 서버(16)가 낙찰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으로 지원한 구매자를 구매 결정된 구매자로 결정함과 아울러 낙찰가 미만의 구매상한가격으로 지원한 모든 구매자를 탈락시키고, 낙찰가를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를 제공 또는 통지하는 단계( S105 ).
- 본 단계는 역경매 서버(16)가 낙찰가 이상에 해당하는 구매상한가격으로 지원한 모든 구매자들을 구매 결정된 구매자로 결정하고 해당 낙찰가 미만의 구매상한가격으로 지원한 모든 구매자를 탈락시키는 단계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구매자가 지원한 구매상한가격이 아닌 낙찰가로 판매가가 결정되는 것이므로, 그에 따라 거래 성사된 모든 구매자는 동일한 구매가로 구매를 할 수 있어 모두 만족스러울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1) 각 구매자가 구매 지원하면서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결제하는 제1-1 단계( S101 -1).
- 본 단계는 각 구매자가 구매 지원하면서 자신이 지원하는 구매상한가격과 구매지원수량에 따른 구매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결제하여 자신의 구매지원을 보증하는 단계이다.
만약, 구매자가 구매비용을 선결제하지 않는다면, 나중에 아무런 제약 없이 구매 지원을 취소하여 판매자에게 손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추후 구매 지원을 취소하는 경우 일부 금액을 환수받기 위해 선결제 받는 것이다.
5-1) 역경매 서버(16)가 탈락된 구매자가 선결제한 구매비용을 모두 환불하고, 구매 결정된 구매자가 선결제한 구매비용 중 낙찰가에 따른 구 매비용보다 초과하여 선결제된 차액 이상을 환불하는 제5-1 단계( S105 -1).
- 본 단계는 역경매 서버(16)가 역경매 종료 후에 탈락된 구매자가 선결제한 구매비용은 모두 환불해주고, 구매 결정된 구매자가 선결제한 구매비용 중 낙찰가에 따른 구매비용을 초과하여 선결제된 비용을 환불해주는 단계이다.
즉, 최종 판매가는 낙찰가로 결정되는 바, 최초에 구매자가 자신의 구매상한가격에 따라 산출하여 선결제한 금액 중에서 낙찰가에 따른 구매금액을 제하고 나머지는 환불해주는 것이다.
거의 그럴 리는 없겠지만, 상기 "나머지" 금액보다 환불을 더 많이 해 줄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드결재된 금액 중 일부 금액을 환불하는 방법에 대하여 특허 출원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에서 해결해야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되지만,
카드로 선결재한 금액에 대해 환불하는 것에 대하여 언급 하자면,
즉, 카드로, 낙찰가에 따른 구매비용을 초과한 금액을 선결재한 구매자에게 선결재한 금액에서 낙찰가에 따른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을 환불해주는 방법에 대하여 몇 가지 언급하자면 아래와 같다.(다른 방법들도 가능할 것이다.)
1. 선결재를 취소하고, 새롭게 낙찰가에 따른 구매비용을 결재되는 것을 자동화한다.
2. 낙찰가에 따른 구매비용을 초과한 금액을 선결재한 구매자가
선결재한 금액에서 낙찰가에 따른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을 현장에서 현금으로 즉시 입금 하였고, 카드사용에 대한 마일리지 또는 포인트 등의 혜택만을 얻기 위한 용도로만 카드를 사용 이력을 남기는 것처럼 처리하여,
플러스(선결재한 금액)과 마이너스(선결재한 금액에서 낙찰가에 따른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을 청구하여, 결과적으로 낙찰가에 따른 구매비용을 결재하는 것으로 정리
3. 카드사에서 고객의 통장에 송금
4. 낙찰된 판매자가 고객의 통장에 선결재한 금액에서 낙찰가에 따른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을 송금(판매자가 카드 수수료 손해감수)
5. 카드사에 선결재한 금액에서 낙찰가에 따른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 포인트 적립(언제든 현금화 가능한 포인트 제도 신설)
6. 싸이트에 선결재한 금액에서 낙찰가에 따른 구매비용을 뺀 만큼의 금액 포인트 또는 사이버 머니 적립(언제든 현금화 가능한 포인트제도 신설 또는 사이버 머니로 적립)
5-2) 역경매 서버(16)가 구매 지원된 구매자 중 판매자의 입찰이 개시된 이후에 구매지원을 취소하는 구매자가 선결제한 구매비용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매 취소 위약금으로 환수하고 잔액이 남으면 환불하는 제5-2 단계( S105 -2).
- 본 단계는 판매자의 구매 지원된 구매자 중 판매자의 입찰이 개시된 이후 또는 구매 결정된 구매자로 결정된 이후에 구매 지원을 취소하여 판매자에게 손해를 야기할 수 있을 경우에 구매자가 선결제한 구매비용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위약금으로 환수하여 판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판매자의 손실을 보전해주고, 거래의 신뢰성이 보증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판매자는 구매 지원한 모든 구매자는 구매 결정된 구매자로 결정되면 반드시 구매할 것이라는 판단 하에 박리다매식 이익 계산을 통해 판매가격을 최대한 낮추어 입찰하였는데, 구매자가 나중에 구매 지원을 취소해 버리면, 낙찰받아도 당초 생각했던 것보다 이익이 훨씬 줄어들거나 오히려 손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구매 지원을 취소하는 구매자에게는 소정의 패널티를 부여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3-1) 각 판매자가 입찰하면서 입찰 보증금을 선결제하는 제3-1 단계( S103 -1).
- 본 단계는 낙찰된 판매자가 낙찰을 취소하거나 상품 제공을 원활히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구매 결정된 구매자들의 손실을 보전해주기 위하여, 입찰하는 판매자로부터 입찰 보증금을 미리 선결제 받아두었다가 추후 낙찰된 판매자가 자신의 의무를 다하지 않는 경우 선결제 받은 입찰 보증금을 낙찰된 구매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며, 거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4-1) 역경매 서버(16)가 탈락된 판매자가 선결제한 입찰 보증금을 환불하는 제4-1 단계( S104 -1).
- 본 단계는 낙찰되지 못한 판매자가 선결제한 입찰 보증금을 당연히 환불해주는 단계이다.
4-2) 역경매 서버(16)가 낙찰된 판매자가 판매 취소하거나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적의 이행하지 않는 경우 선결제 받은 입찰 보증금을 환수하는 제4-2 단계( S104 -2).
- 본 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낙찰된 판매자가 판매 취소하거나 상품 제공을 원활히 수행하지 않는 경우 구매 결정된 구매자들의 손실을 보상해주기 위하여 판매자가 선결제한 입찰 보증금을 환수하는 단계이다.
한편, 덧붙이면, 동일한 입찰 조건으로 입찰한 다수의 낙찰자가 발생되어 경합이 발생될 수 있는데, 해당 경합의 발생 시에는 사전에 약정된 바에 따라 최종 낙찰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가장 먼저 입찰한 사람에게 판매권을 부여할 수 있고, 먼저 입찰된 판매희망가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판매희망가로는 입찰할 수 없도록 시스템적으로 제한 할 수도 있다.
또, 다음과 같은 2가지의 단계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역경매 서버가
낙찰가가 정해진 이후에
새로운 구매지원자 또는 상기 낙찰가 미만의 구매상한가격으로 구매지원한 관계로 탈락한 구매자가
상기 낙찰가가 반영된 구매대금 대비 전체 구매대금 또는 부족한 구매대금을 결재하는 것을 포함한 총 구매대금을 결재 완료하는 것을 받아들여서,
새로운 구매지원자 또는 탈락한 구매자에게도
상기 낙찰가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주어지는 단계;
- 본 단계는, 낙찰가 미만의 구매상한가격으로 구매지원한 관계로, 탈락한 구매자 또는 새로운 구매지원자 일지라도 낙찰가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주어지는 단계이다.
(기회가 더 주어지면
탈락된 구매자가 부족하게 결재한 금액을 추가로 결재하는 단계가 더 필요하게 된다.
구매자가 선결재한 금액이
낙찰가에다가 구매결정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구매지원시에 주문한 구매수량을 곱한 금액보다 작은 경우에는
낙찰가에다가 구매결정된 구매자로 결정된 구매자가 구매지원시에 주문한 구매수량을 곱한 금액에서 구매자가 선결재한 금액을
뺀 금액을
구매자가 추가로 결재하는 단계가 더 필요하다.
아니면,
선결재한 것이 자동으로 취소 되어버렸으면, 낙찰가에 따른 구매대금 전체를 다시 한번 결재하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새로운 구매자는 낙찰가에 따른 구매대금을 결재하면 된다.)
또는 자동으로 이 단계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구매지원정보 입력시에 선택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자동으로 여기 이 단계가 진행되도록 한다는 말은 부족한 금액 만큼이 자동으로 결재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서버가
구매자 또는 판매자 간에 적정한 낙찰가격에 대한 정보교류를 할 수 있는 쪽지, 댓글을 포함한 정보교류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 본 단계는,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댓글, 쪽지, 게시판을 포함한 수단으로 합리적인 낙찰가격에 대한 예측, 토론을 포함한 정보교류를 할 수 있게 하는 단계이다.
적절한 낙찰 판매가격 예측에 대한 충분한 정보습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며, 그리하여, 적당한 가격 선이라면 반드시 구매하려고 하였던 구매자 중에서, 정보가 부족하여 너무 낮은 구매상한가격 건에 지원한 결과로 구매에 실패하는 구매자 수를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거래 물량을 늘려서, 낙찰될 수 있는 거래수량이 증가하는 만큼 판매자가 제시하는 판매가격 낙찰희망가들도 하락하게 되어, 낙찰되는 판매가격도 하락하게 되므로, 구매자에게도 다시 이익이 되게 하기 위함이다.
물론 낙찰되는 거래 물량이 증가 될 수 있으므로, 판매자 측에서도 이익이다.
예를 들어,
각 판매자 자신이 입찰하려고 하는 판매희망가격 미만으로 지원한 구매자들을 설득하여 판매자가 입찰하려고 하는 판매희망가격 이상으로 다시 구매자들이 지원하게 만들어서 판매물량을 늘릴 수 있으며, 구매자도 정보가 없어서 터무니 없이 싼 가격으로 구매지원하여 상품구매의 기회를 놓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H
본 발명의 실현 난이도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시스템 기술에 있어서는 종래의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 인터넷 경매(또는 역경매)사이트을 포함한 종래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구축에 관한 통상의 지식이 있는 사람이면 쉽게 구사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이고, 단지 영업방식만 종래에 없었던 새로운 방식이므로,
시스템 기술에 관한 설명이 전혀 없어도, 종래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구축에 관한 통상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통상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구축 기술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식의 영업방식을 전자상거래 시스템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쉽게 말하자면, 전산장비는 종래의 전자상거래 전산장비 그대로 이용하고, 프로그램만 본 발명의 방식에 맞추어 프로그래밍하면 된다.
프로그래밍 수준도 종래의 전자상거래상의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 운영 프로그램 또는 인터넷 역경매 운영 프로그램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
낙찰되는 구매자와 판매자를 선정하는 방식만 바뀌면 된다.
****용어의 정의
1. 구매상한가격 : 사실상의 역경매 시작가라고도 할 수 있으며, 구매희망자가 구매 지원시에 선택한 구매상한가격 이하의 가격으로 판매가격이 낙찰되면, 반드시 구매를 이행하겠다는 의사표시의 금액으로써, 구매자가 상품에 대하여 지불할 수 있는 최대금액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역경매가 완료되기 전에, 구매희망자가 그 금액의 일정비율이상 또는 그 금액만큼 선행해서 결재할 수도 있다.
만약 어떤 구매자가 있을때 그 구매자가 지원한 구매상한가격을 초과한 가격으로 판매가격이 낙찰되면 아무런 패널티 없이 구매의사를 취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동일 경매시행시각에 동일 모델의 상품을 대상으로 행해지는 역경매에 있어서, 다수의 구매상한가격도 존재할 수 있다.
2. 구매상한가격 건 : '동일 구매상한가격으로 역경매에 지원한 구매자들이 속해있는 역경매 건'의 줄임말이다.
구매상한가격 건이 다수이면, 당연히 구매상한가격도 다수이며,
동일 모델의 상품일지라도 각각의 구매상한가격 건 별로 역경매가 진행될 수도 있다.
3. 경매시행시각 : 사실상 각 판매자별로의 판매가격 낙찰희망가를 표현할 수 있는 입찰 마감 시각으로써, 낙찰가가 정해지는 순간, 즉 경매가 완료되는 순간이다.
4. 역경매 : 판매자끼리 경쟁하는 행태가 있는 경매.(일반적인 경매는 구매자끼리 경쟁하는 행태를 보인다.)
5. 상품 :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거래의 대상이 되는 재화와 용역
6. 동일 모델의 상품 : 그냥, '상품'이라고 표현해도 본 발명의 설명을 이해하는 데에 대부분 무방하며, 어쨌든, 구매자가 구매하려고 할 때, 똑같다고 간주되는 상품의 집합체라고도 할 수 있다.
제품(=재화)에 있어서는 제품에 표기되어 있는 모델명칭이 같은 제품을 말하며, 제품 모델명칭이 같으면 같은 제품으로 보게 된다.
- 동일 모델의 제품이 여러 개 있어도 각각 다 똑같은 제품으로 본다.
(예: F10 이라는 모델명칭의 디지털카메라)
서비스(=용역)에 있어서는 서비스의 내용이 같은 서비스를 말한다.
- 동일한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를 받는 자를 달리하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또는 서비스 제공자가 달라도 서비스 내용만 같으면 다 똑같은 서비스로 간주한다.
(예:30분간 특정방식으로 하는 발마사지, 1시간 동안 책 읽어주기, 1톤트럭에 실을 수 있는 짐을 일정거리 옮겨주기)
7. 구매지원정보 : 구매자가 구매지원할 때 필요한 정보
(예 : 구매자 이름, 구매할 상품명, 구매상한가격, 구매수량, 구매자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거주지 주소 등의 인적사항을 포함한 정보)
8. 구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 : 구매지원정보가 기억되는 데이터 베이스(여러개의 데이터베이스로 더 세분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9. 판매지원정보 : 판매자가 판매지원할 때 필요한 정보
(예 : 판매자 이름, 판매할 상품명, 판매가격 낙찰희망가, 판매자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사무실 주소 등의 인적사항을 포함한 정보)
8. 판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 : 판매지원정보가 기억되는 데이터 베이스(여러개의 데이터베이스로 더 세분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9. 단말기 : 인터넷을 포함한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될 수 있는 장치
(예 : 컴퓨터, 휴대폰, PDA, (인터넷)TV, (인터넷)전화기)
10. 구매지원 단말기 : 구매자가 구매지원 정보를 입력하거나 역경매 진행 정보를 받는 등의 단말기
11. 판매지원 단말기 : 판매자가 판매지원 정보를 입력하거나 역경매 진행 정보를 받는 등의 단말기
용어의 정의 끝.
본 발명은 역경매 원리를 적용한 전자상거래 방법으로써,
가장 이상적인 방식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몇 가지 개념에 대하여, 예를 들어가면서 알아보자.
1번째 개념으로서,
구매상한가격 건이 1개인 예부터 살펴보자.
이 개념은 각 구매자 별로의 자기가 생각해 놓은 구매상한가격을 구매지원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표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구매상한가격 건이 1개 이므로, 그 구매상한가격 건 등록은 관리자가 할 수밖에 없다.(구매상한가격 건을 1개밖에 등록할 수 없으므로, 신중을 기해야 하므로, 구매자 또는 판매자에게 맡기기는 위험하다.)
이처럼 구매상한가격 건이 1개인 경우에는, 그 구매상한가격 건에 반영된 구매상한가격이, 최소한, 가격비교 프로그램에 의한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들에서의 최소가격 이하이어야 구매자가 일반적인 쇼핑몰에서 구매하지않고,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역경매에 의하여 구매하려는 데 의의가 있는데,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들에서의 최소가격은 시시각각 변하고 있고, 가격비교 프로그램마다 제시하는 최소가격이 다른 경우가 많아서, 관리자가 일일이 모든 상품에 대하여 그러한 상황을 판단하여 구매상한가격을 정하고, 변경하는 일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단점도 있고,
그러한 이유로 인해서, 구매상한가격이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의 최소가격보다 크게 등록된 상태로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역경매가 진행된 경우에는, 낙찰된 판매가가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의 최소가격보다 클 수도 있는 단점도 있다.
특정한 카메라를 사고 파는 예를 들어 보자.
오프라인에서의 그 카메라의 판매가격은 대략 25만원 선이고
인터넷 전자상거래상에서는 믿을만한 인터넷 판매 싸이트에서 최하가격이 22만원이라고 하자.
종래에는 22만원에 구매하겠지만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해 보면
1. 본 발명의 방법으로 물품을 사고, 파는 역경매 싸이트에 방문하여,
2. 그 카메라를 검색한다
3. 그 카메라에 대하여
구매상한가격이 21만원인 구매상한가격 건 1개만 있으며(이 싸이트에서는 판매자의 낙찰 판매가격이 구매상한가격 이하이면 구매의사를 취소할 수 없다는 규칙이 있다는 가정도 해보자. 그래야 경매거래 신뢰가 튼튼히 형성될 듯 하다.),
구매 의사표시, 의사표시 철회, 또는 구매상한가격의 일정비율 이상의 구매자 결재 마감시각은 언제이고(일정비율은 100%로 하면서, 경매시행시각 대비 선행결재해야 경매거래 신뢰가 튼튼히 형성될 듯 하다.),
경매시행시각을 포함한 경매 진행사항에 대한 정보를 표시해 놓은 것을
구매희망자들 및 판매희망자들이 확인할 수 있다
*4. 구매희망자들은 구매의사 표시를 하고 21만원씩을 선결재를 한다.(구매상한가격의 100%를 선결재 하는 것으로 가정한 것이며, 한 사람이 여러 개를 구매하겠다고 했다면 여러 개의 값을 결재한다)
이 싸이트에서는 선결재를 해야 구매의사표시를 완료한 것으로 간주한다고 가정하고, 선결재 마감시한은 경매마감 시간에 비하여 소정의 시간(예 : 2시간,1일 또는 2일 등) 이상의 시차로 선행하여야 다음의 5번 또는 7번 행위에서 판매자가 수지타산을 정확히 가늠해 판매가격 낙찰희망가를 합리적으로 결정하기 쉬울 것이다.
5. 판매희망자들은 그 카메라에 대하여 공동구매하려는 물량의 현재 누적 개수(예 : 5300 개) 또는 누적 양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서, 사실상의 경매 시작가인 구매상한가격을 고려해 자신이 제시할 판매가격 낙찰희망가 및 마감 예상 물량 을 염두에 두고, 수지타산을 계속 생각해 보다가
6. 구매에 대한 의사표시 마감이 되면 경매될 총 물량(예 : 10,000개)이 결정되고
7. 판매가격 낙찰희망가를 표현해야 하는 입찰 마감시간이 다가오면 다수의 판매희망자들이 구매상한가격인 21만원 이하의 가격내에서 총 물량(10,000개)에 대한 판매가격에 대해 각자 판매희망가격을 최종적으로 심사숙고하여,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제시하여 입찰하고
8. 다수의 입찰된 판매가격 낙찰희망가 중에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희망가(예 : 19만원)로 입찰한 판매희망자에게 낙찰되어
9. 상품 1개당 19만원씩에 구매희망자들에게 판매되고
10. 구매희망자들이 상품 1개당 선결재한 21만원에서 실제 판매가격 19만원을 제외한 2만원씩은 구매자들에게 환불된다.
2번째 개념으로서,
다수의 구매상한가격 건이 존재하도록 한다는 개념이다.
다수의 구매상한가격 건이 존재하므로, 거래과정에서 각 구매자 별로의 자기가 생각해 놓은 구매상한가격을 정확하게 또는 근사치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구매상한가격 건 별로 낙찰되는 판매자가 존재하게 하여, 다수의 판매자가 낙찰되게 하는 방법,
또는 가장 '빨리' 판매가격 낙찰희망가를 입력하는 판매자에게 그 판매자가 입력한 판매가격 낙찰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이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건에 구매지원된 모든 물량의 판매권을 부여하는 방법을 포함한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한 방법이 아닌 방법들이 파생될 수 있는 여지가 있음을 미리 알려둔다.
동일 경매시행시각에 동일 모델의 상품을 대상으로 행해지는 역경매임에도, 다수의 구매상한가격 건이 존재할 수 있도록 하여,
각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구매시 지원한 특정가격(=구매상한가격) 이하의 가격이면 그 상품을 확실히 구매하겠다는 의사 표시를 할 수 있게 하여, 각 구매자별로의 구매조건을 보다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면서,(역경매 시스템상으로도 구매상한가격 이하의 판매가격이 낙찰되면 구매의사를 취소할 수 없게 만들 수 있게 하는 기준도 된다.)
각 판매자의 입장에서도
각 판매자 자신이 입찰하려고 하는 판매희망가격 미만으로 지원한 구매자들을 설득하여 판매자가 입찰하려고 하는 판매희망가격이상으로 다시 구매자들이 지원하게 만들어서 판매물량을 늘릴 수 있으며, 구매자도 정보가 없어서 터무니 없이 싼 가격으로 구매지원하여 상품구매의 기회를 놓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역경매를 진행하기 위해 인터넷 싸이트 관리자가 여러 가지 상황을 파악하여 1개의 가장 적합한 구매상한가격을 정해서 등록하는 행위를 포함한 관리자가 역경매 진행에 관여해야 하는 일을 줄여서,
경매형식이 아닌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처럼, 대부분의 역경매 진행업무가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할당 되게 하여, 적은 수의 인원으로도 역경매 싸이트를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시발점이 된다.
그리고, 구매상한가격 건의 생성은 신규 구매상한가격 건을 직접 등록할 수도 있고, 구매자가 선결재한 임의의 금액이 자동으로 신규 구매상한가격 건으로 등록될 수도 있고(관리자가 직접 등록해야 과다한 수의 구매상한가격 건이 등록되지 않아서 경매 진행이 더 매끄러울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거의 불가능하다.),
각 구매자별로 구매지원시에 구매수량과 함께 구매상한가격을 입력하는 것으로 해서 자동으로 각 구매자별로의 구매상한가격건이 생성되게 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용어의 정의 2번에서 구매상한가격 건이 다수이면, 당연히 구매상한가격도 다수이다라고 했기 때문이다.
조금더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특정모델의 디지털카메라에 대한 경매시행시각이 2008.12.28일 오후 10시 일때,
2008.12.01에 믿을만한 인터넷 싸이트에서 22만원선에서 거래 된다고 할때,
구매자에 따라서
22만원이 구매상한가격인 구매상한가격 건에 지원하는 경우도 있고,
21만원이 구매상한가격인 구매상한가격 건에 지원하는 경우도 있고,
20만원이 구매상한가격인 구매상한가격 건에 지원하는 경우도 있고,
19만원이 구매상한가격인 구매상한가격 건에 지원하는 경우도 있고,
18만원이 구매상한가격인 구매상한가격 건에 지원하는 경우도 있고,
17만원이 구매상한가격인 구매상한가격 건에 지원하는 경우도 있고,
16만원이 구매상한가격인 구매상한가격 건에 지원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각 구매상한가격 건에 다수의 구매자가 서로 다른 구매수량으로 구매지원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19만원이 구매상한가격인 구매상한가격 건에 구매지원할 때,
어떤 구매자는 1개, 다른 구매자는 3개를 주문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데, 위에서 구매상한가격 건이 생성되고, 생성된 구매상한가격 건에 구매지원되는 방법은 아래의 경우를 포함하여 다양하다.
(그래서, 청구항에서
"각 구매자별로의 구매상한가격, 구매수량을 포함한 구매지원정보가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포함한 정보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되고,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각 구매자별로의 구매상한가격, 구매수량을 포함한 구매지원정보가 서버의 구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구매지원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단계; "
라고 하는 것은 아래의 예를 든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는 뜻임을 미리 밝혀둔다.)
즉,
구매상한가격 건이 수동으로 생성되고, 수동으로 생성된 구매상한 가격 건에 구매수량을 포함한 구매지원정보를 가지고 구매지원 할 수 있는 방법의 예도 있고,
구매상한가격 건이 자동으로 생성되고, 자동으로 생성된 구매상한 가격 건에 구매수량을 포함한 구매지원정보를 가지고 구매지원 할 수 있는 방법의 예도 있는데, 다음의 A, B, C, D의 경우를 포함해서 다양하다.
A.구매상한가격 건이 수동으로 생성되어 구매지원하는 경우의 예를 든다면,
각 구매자 별로 자기가 생각해 놓은 구매상한가격이 있는 상태에서, 현재까지 생성된 구매상한가격 건에 대한 리스트를 살펴보았을 때, 자기가 생각해 놓은 구매상한가격이 반영되어 있는 구매상한가격 건이 없을 때, 구매자,판매자, 또는 관리자가(즉, 수동으로) 신규 구매상한가격 건을 생성하고, 신규로 생성된 구매상한가격 건에 구매수량을 포함한 구매지원정보를 가지고 구매지원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구매자가 자기는 구매상한가격을 18만원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구매상한가격 건 목록을 보니, 구매상한가격이 18만원이 구매상한가격 건이 없을 때, 수동으로, 구매자, 판매자, 또는 관리자가 구매상한가격이 18만원인 구매상한가격 건을 생성하고, 구매자가 그 구매상한가격 건에 구매지원하는 방법이다.
구매상한가격 건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구매지원하는 경우의 예를 다음의 B,C,D와 같이 든다면,
B. 최초의 구매상한가격 건에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대비 일정비율, 또는 일정수치만큼의 금액차이를 둔, 최초의 구매상한가격 건에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보다 크거나, 작은 구매상한가격들이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건들이 자동으로 생성되고, 그것들이 목록 상에 보여지면, 각 구매자별로 자기가 원하는 구매상한가격 건을 선택한 후 구매수량을 포함한 구매정보를 가지고 구매지원 할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초의 구매상한가격 건이 19만원의 구매상한가격이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건이었다면,
190,000원 대비 1% 큰 191,900원, 1% 적은 188,100원이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건이 생성되고,
191,900원 대비 1% 큰 193,819원이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건이 생성되고,
188,100원 대비 1% 작은 186,219원이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건이 생성되고,
193,819원 대비 1% 큰 195,757원이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건이 생성되고,
186,219원 대비 1% 작은 184,356원이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건이 생성되는 것을 포함해서 190,000원 대비 1% 간격으로 큰 경우와 작은 경우로 적당한 범위와 갯수의 구매상한가격 건이 생성되고, 구매자가 생각한 구매상한가격 건과 가장 근사한 구매상한가격이 반영된 구매상한 가격 건에 구매지원하는 식이다.
구매자가 생각한 구매상한가격과 구매지원하는 구매상한가격 건에 반영된 구매상한 가격이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일치한다고 해도, 낙찰되는 가격은 판매자가 제시한 판매가격 낙찰희망가 중에서 낙찰되므로, 낙찰되는 가격은 구매상한가격 건의 목록에 있는 어느 하나의 구매상한가격과도 일치하지 않는 수가 더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앞에서 예를 든 186,219원과 184,356원을 포함한 자동으로 생성된 여러 가지 구매상한가격이 아닌 185,000원에 낙찰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C. 구매자가 구매지원할 때, 구매수량을 포함한 구매지원정보에, 각 구매자별로의 자기가 생각해 놓은 구매상한가격도 포함되도록 하여, 각 구매자별로 자기가 생각해 놓은 구매상한가격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입력한 구매상한가격이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건이 생성되고, 그 구매상한가격 건에 자동으로 구매지원한 것으로 간주되어, 따로 구매상한가격 건을 생성하거나 선택하는 단계 없이 운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구매할 상품을 선택한 후의 첫 화면에서 구매수량, 색상, 택배비 결재시점(선결재 또는 착불)을 입력한다고 하였을 때,
이제는 구매상한가격 정도만 더 입력하는 것이다. 그러면 입력한 구매상한가격이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건이 자동으로 생성된 후에, 그 자동으로 생성된 구매상한가격 건에 자동으로 구매지원한 것으로 서버에 의해서 간주되는 식이다.
D. 구매지원할 때에 선행해서 결재할 수도 있는데, 선행해서 결재한 금액을 구매수량으로 나누어서, 선행해서 결재한 단가가 산출되고, 산출된 단가에서 구매자가 생각해 놓은 구매상한가격이 산출되고, 자동으로 구매상한가격 건이 생성되고, 그 구매상한가격 건에 자동으로 구매지원이 되는 것으로 간주되어, 따로 구매상한가격 건을 생성하거나 선택하는 단계 없이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매에 필요한 금액의 30%를 선행결재하는 법칙으로 운영되는 방식에서 어떤 구매자가 2개를 주문하면서, 600원을 선행결재 하였다면, 600원을 2로 나누면, 1개에 300원의 단가로 선행결재를 하였다고 판단되고, 구매자가 생각해 놓은 구매상한가격의 30%가 300원이 되는 것으로 간주되어 구매자가 생각해 놓은 구매상한가격은 1,000원으로 산출되어, 1,000원의 구매상한가격 건이 자동으로 생성되고, 구매상한가격이 1,000원인 구매상한가격 건에 자동으로 구매지원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식으로 운영할 수도 있다. 선행결재하는 비율은 30%뿐만 아니라, 5%, 50%, 또는 100% 를 포함해서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처럼 배송 전에 100%를 선행결재하는 것을 권장한다.)
구매상한가격 건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구매지원하는 경우의 예는 B, C, D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이 더 있지만, 당업자라면 충분히 응용하여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예는 그만 들겠다.
3번째 개념으로서,
본 발명에서 궁극적으로 추구하고 하는 개념으로서,
각 판매자별로 수용할 수 있는 판매가격 낙찰희망가를 제시하여, 그 중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희망가를 제시한 판매자가 최종 판매자로 낙찰되고,
*낙찰된 판매가격이상의 구매상한가격을 제시한 구매자들이 주문한 구매물량의 합계 전체에 대하여 낙찰된 최종 판매자가 판매권을 가진다는 개념이다.
앞에서와 같이
동일 모델의 상품에 대하여 구매상한가격이 22만원, 21만원, 20만원, 19만원, 18만원, 17만원, 16만원 역경매 건이 있었고,
각 판매자들 별로 각각 제시한 판매가격 낙찰희망가들 중에서 최소의 금액이 195,000원이었을 경우,
낙찰 판매가격이 195,000원이 되고,
낙찰 판매가격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이 적용된 구매상한가격이 22만원, 21만원, 20만원인 구매상한가격 건의 모든 물량이 낙찰된 판매가격을 제시한 판매자 1명에게 모두 낙찰된다는 뜻이다.
이런 식으로 하면
'구매상한가격 건이 다수'이게 할 수 있으므로,
1번의 역경매 시행으로, 단 1명의 구매자가 아닌, 다수의 구매자별로의 서로 다른 구매조건을 만족시키는 역경매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면서도,
경매시행시각까지 누적된 낙찰된 판매가격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이 적용된 모든 구매상한가격 건에 구매지원된 '모든' 구매물량이 '낙찰된 판매가격을 제시한 판매자'에게 집중되어 대량으로 낙찰되는 관계로,
상품의 단가를 종래의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가격비교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금액보다 더 낮출 수 있다.
소자본을 가진 판매자 입장에서도,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역경매에 의해 낙찰된 대량물량이 소자본을 가진 판매자인 자기에게 낙찰되었다는 증거를 상품 공급처(예: 제조사)에 제시하여,
소자본을 가진 판매자도, 자본이 부족한 상태에서도, 대자본을 가진 판매자처럼 대량물량을 공급처(예: 제조사)에 주문할 수 있게 되므로, 공급처(예: 제조사)에 대한 주문단가를 더 낮출 수 있게 되어, 더 낮은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로 입찰할 수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낙찰되는 판매가격도 더 낮출 수도 있게 된다.
심지어, 자본이 전혀 없는 판매자도, 대자본을 가진 판매자가 제시할 수 있는 판매가를 제시할 수도 있게 될 수도 있다.
결국, 판매자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하게 되어, 그야말로 최저가격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역경매가 활성화되면, 판매자가 본 발명에 의한 역경매를 시행하는 사이트에서 진정한 최저가를 제시하려고,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가짜 판매가를 제시하므로, 일반적인 쇼핑몰에서의 최저가는 역시 가짜인 행태가 만연할 수도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 만큼의 효과가 예상된다.
(그리고, 낙찰된 판매가격 미만인 19만원, 18만원, 17만원, 16만원의 구매상한가격이 적용된 구매상한가격 건의 경매는,
모두 취소된 것으로 간주 되어, 선결재 되었던 금액은 아무런 패널티 없이 구매지원한 구매자에게 환불해 줄 수도 있고,
구매자가 추가로 비용을 지불하면, 낙찰된 판매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수도 있다.)
여기까지의 진행 순서를 조금 더 자세하게 실시 예의 형태로 살펴보자.
진행순서를 의미하는 숫자는 반드시 순서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필수사항도 있고, 선택적인 사항도 있다.
시스템 설계자에 따라서 어떤 사항을 더 추가할 수도 있고, 변경할 수도 있고, 삭제할 수도 있다.
다음 설명에서의 구매자와 판매자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각 구매자와 다수의 각 판매자를 뜻한다.
1. 각 구매자가 본 발명의 방식으로 거래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2. 각 판매자가 본 발명의 방식으로 거래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3. 각 구매자가 로그인 하는 단계
4. 각 판매자가 로그인 하는 단계
5. 거래 대상이 되는 상품이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관리자, 또는 판매자, 구매자에 의하여)- 상품명, 상품코드, 성능, 사진, 특징 등이 등록된다.
6. 각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검색하는 단계
7. 각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검색하는 단계
8. 각 구매자가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거래되는 사이트 내의 별도의 가상공간(URL)으로 이동하는 단계
9. 각 판매자가 상품을 선택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거래되는 사이트 내의 별도의 가상공간(URL)으로 이동하는 단계
10. 각 구매자가 구매상한가격, 구매수량을 포함한 구매지원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구매지원정보 중 구매자 이름, 구매자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거주지 주소 등의 인적사항은 회원가입시에 입력된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구매할 상품명, 구매상한가격, 구매수량 정도의 구매지원정보만 입력한다.
구매할 상품명의 입력은 대부분 8단계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프로그래밍 될 것이다.)
11. 10단계에서 입력된 구매지원정보가 구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구매지원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단계
(10, 11단계에 의해서, 앞에서 언급한 A,B,C,D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구매상한가격 건이 생성되고, 구매지원이 된다.)
12 각 구매자가 자기가 입력한 구매상한가격에 구매수량을 곱에서 산출된 구매대금의 일정 비율를 결재하는 단계
예를 들어, 어떤 구매자가 카메라 구매에 대한 구매상한가격을 20만원으로, 구매수량을 2개로 하여 구매지원 하였다면, 구매대금은 20만원 X 2= 40만원이되고,
100%결재를 해야 하는 규정이라면, 40만원을 결재한다.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에서처럼 100% 결재를 권장한다.
그리고, 산출된 구매대금의 10%정도는 구매보증금으로 처리하는 것을 권장한다. 왜냐하면, 일부 구매자가 구매자로 낙찰된 후에 구매를 포기 한 경우에도 판매자가 구매보증금을 받아서 혹시라도 물량감소에 따른 손실을 보상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방식으로 해서 다수의 구매자에게 대량으로 상품을 납품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판매자가 판매가격을 낮춰서 입찰했는데, 낙찰된 구매자 중에서 일부 구매자가 구매를 취소하면 판매될 물량이 줄어들어서, 판매자가 낙찰된 판매가격으로 판매하면 판매자가 손해가 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
13. 10, 11단계에 의해서 생성된 각 구매상한가격 건 별로 그 구매상한가격 건에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이 반영된 모든 구매상한가격 건에 구매지원된 구매수량의 누계를 포함한 구매지원정보에 대한 현황이 집계되는 단계
14. 13단계에서 집계된 구매수량의 누계를 포함한 구매지원정보에 대한 현황이 각 판매자 또는 각 구매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단계
(13,14단계에서 집계 또는 표시되게 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아래처럼, 표을 사용하여 모든 또는 여러 개의 구매상한가격 건 별로
그 구매상한가격 건에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이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건들에 구매지원된 구매수량의 누계를 집계 또는 표시할 수도 있고,
구매상한가격 건(a) 구매수량(b) 구매수량의 누계(c) 총 매출액(a x c)
22만원 10 10 220만원
21만원 30 40 840만원
20만원 50 90 1800만원
19만원 40 130 2470만원
18만원 20 150 2700만원
17만원 10 160 2720만원
16만원 5 165 2640만원
(위의 표의 총 매출액은, 경매시행시각 전까지는, 참고사항으로 보는 것이 낫다. 왜냐하면, 만약 앞의 예에서 처럼, 195,000원이 낙찰된 판매가격이 되면, 구매상한가격이 195,000원 이상인 구매상한가격 건들(22만원,21만원,20만원)에 구매지원된 구매수량의 누계는 90(=10+30+50)개이므로, 총 매출액은 17,550,000원 (=195,000원 x 90개)가 되고, 위의 표의 총 매출액 리스트에는 없기 때문이다.)
또는, 특정의 구매상한가격(또는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을 입력하는 란이 있는 상태에서,
구매자 또는 (특히)판매자가 특정의 구매상한가격(또는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을 입력하면 그 특정의 구매상한가격(또는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이 반영된 구매상한가격 건들에 구매지원된 구매수량의 누계만 따로 집계 또는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위의 표 와 표 밑의 설명처럼 총 매출액도 집계 또는 표시할 수도 있다. )
- 14단계는 선택적인 단계라고도 할 수 있으나, 거의 필수적인 단계이다.
(판매자이든 구매자이든 현재의 구매지원정보 현황을 알기 위함이다. 구매지원정보 현황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각 구매상한가격 건 별로 그 구매상한가격 이상의 구매상한가격 건에 구매지원된 구매수량의 누계들이 되겠다. )
15. 각 판매자별로 자기가 수용할만한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결정하는 단계
(각 판매자가 13단계에서 집계된 현황이 14단계에서 표시된 것 참조하여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결정하면 훨씬 더 합리적인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결정을 할 수 있다. )
16. 각 판매자별로 자기가 결정한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포함한 판매지원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경매시행시각까지 한 명의 판매자가 다른 판매자들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들 중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확인하면서, 한 명의 판매자가 여러 번 자기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판매지원정보 중 판매자 이름, 판매자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사무실 주소 등의 인적사항은 회원가입시에 입력된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판매할 상품명,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정도의 판매지원정보만 입력한다. 판매할 상품명의 입력은 대부분 9단계에서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프로그래밍 될것이다.)
17. 16단계에서 입력된 판매지원정보가 판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판매지원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단계
18. 16, 17단계에서의 입력된 판매지원정보 중 각 판매자들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들에 대한 현황이 각 판매자 또는 각 구매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단계.(오름차순으로 정렬되는 것을 권장한다.)
- 18단계는 선택적인 단계라고도 할 수 있으나, 거의 필수적인 단계이다.
(판매자이든 구매자이든 현재의 판매지원정보 현황을 알기 위함이다. 판매지원정보 현황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까지 판매지원된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중에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가 무엇인지가 되겠다.)
19. 각 판매자별로 자기가 입력한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이 적용된 각 구매상한가격 건에 구매지원된 모든 물량의 판매대금(=구매대금)의 일정 퍼센트(예:10%)를 판매보증금으로 결재하는 단계
(판매자가 낙찰받은 후에 타산이 안 맞겠다고 하는 등의 심경의 변화를 일으켜 거래를 취소하려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침이다.
혹시라도 판매자가 판매취소를 하면 판매보증금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구매자에게 주어서 구매자를 달랠 수도 있다.)
20. 각 판매자 별로 입력한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중에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추출하는 단계(사실상, 낙찰 판매가격이 정해지는 단계)
앞의 예에서는 195,000원이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였다.
21. 20단계에서 추출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제시한 판매자를 추출하는 단계(사실상, 낙찰 판매자가 정해지는 단계)
22. 20단계에서 추출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이 적용된 각 구매상한가격 건들을 추출하는 단계
23. 22단계에서 추출된 각 구매상한가격 건들에
구매지원한 다수의 구매자들;
다수의 구매자들이 구매지원한 각 구매수량;
또는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이 적용된 구매상한가격 건들에 구매지원된 구매수량의 누계;를
추출하는 단계(사실상 낙찰 구매자가 정해지는 단계)
24. 23단계에서 추출된 다수의 구매자들이 이번 거래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자로 선정(=낙찰)되는 단계
25. 23단계에서 추출된 다수의 구매자들에게 그 구매자들이 구매지원한 수량만큼씩의 합계 전체를 (20단계에서 추출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가격 희망가 이하의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는 권한이 21단계에서 추출된 판매자에게 주어지는(=낙찰되는) 단계
26. 구매자가 초과로 결재한 금액을 환불받거나
(=만약 12단계에서 각 구매자가 결재한 금액이
20단계에서 추출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에다가 낙찰된 각 구매자가 구매지원시에 주문한 구매수량을 곱한 금액보다 큰 경우에는
12단계에서 각 구매자가 결재한 금액에서
20단계에서 추출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에다가 낙찰된 각 구매자가 구매지원시에 주문한 구매수량을 곱한 금액을
뺀 금액을
각 구매자가 환불받는 단계)
또는, 구매자가 부족하게 결재한 금액을 추가로 결재하는 단계
(=만약 12단계에서 각 구매자가 결재한 금액이
20단계에서 추출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에다가 낙찰된 각 구매자가 구매지원시에 주문한 구매수량을 곱한 금액보다 작은 경우에는
20단계에서 추출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에다가 낙찰된 각 구매자가 구매지원시에 주문한 구매수량을 곱한 금액에서
12단계에서 각 구매자가 결재한 금액을
뺀 금액을
각 구매자가 추가로 결재하는 단계)
27. 20단계에서 추출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희망가보다 낮은 금액의 구매상한가격으로 구매지원한 관계로, 유찰된 구매자일지라도 20단계에서 추출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희망가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단계
(또는 자동으로 여기 27단계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구매지원정보 입력시에 선택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28. 상품이 거래 확정된 각 구매자에게 전달되는 단계
앞의 변화가능한 다양한 28개의 단계들 중 청구항에서 주장한 단계들을 시스템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청구항에서 다음과 똑같은 문구로 주장하였다.)
앞의 10단계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각 구매자별로의 구매상한가격, 구매수량을 포함한 구매지원정보가 구매지원 단말기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포함한 정보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되고,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앞의 11단계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각 구매자별로의 구매상한가격, 구매수량을 포함한 구매지원정보가 서버의 구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구매지원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단계;
앞의 14단계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입력된 각 구매자별로의 구매상한가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에 대하여,
그 구매상한가격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에 구매지원된 구매수량의 누계를 포함한 구매지원정보에 대한 현황이
판매지원 단말기 또는 구매지원 단말기에 표시되는 단계;
앞의 16단계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각 판매자별로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포함한 판매지원정보가 판매지원 단말기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포함한 정보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되고,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앞의 17단계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각 판매자별로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포함한 판매지원정보가 서버의 판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판매지원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단계;
앞의 18단계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입력된 각 판매자별로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중에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가 얼마인지를 포함한 판매지원정보에 대한 현황이
판매지원 단말기 또는 구매지원 단말기에 표시되는 단계;
앞의 20단계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서버가 상기 판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판매지원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판매자별로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중에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취득하는 단계;
앞의 21단계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서버가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근거로 해서,
판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판매지원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된 판매자들 중에서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입력한 판매자를 취득하는 단계;
앞의 22단계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서버가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근거로 해서,
구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구매지원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구매자별로의 구매상한가격 중에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취득하는 단계;
앞의 23단계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서버가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근거로 해서,
구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구매지원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된 구매자들 중에서,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입력한 구매자(들)을 취득하고, 그 구매자(들)이 구매지원한 구매수량(들)을 취득하는 단계;
앞의 25단계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서버가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입력한 구매자(들)에게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입력한 구매자(들)이 구매지원한 구매수량(들)의 합계 전체를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하의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는 판매권을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입력한 판매자에게 부여하는 단계
앞의 실시 예 1~28단계 중 12단계를 조금더 설명하자면,
경매시행시각 대비 선행해서 구매자가 상품대금을 결재해야 구매의사 취소가 최소화 될 것이고, 낙찰된 판매가격 이상의 구매상한가격 건에 지원한 구매의사 취소에 대해서는 상당한 벌금을 부과하는 등의 조치를 할 수 있어야 , 판매자가 구매의사가 확실한 물량을 계산할 수 있어서 마진이 적더라도, 박리다매의 전략으로,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박리로 제시한 판매가격 낙찰희망가에 낙찰되었으나, 구매의사 취소가 많으면, 손해를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정 비율'이 클 수록 경매거래 신뢰가 더욱 튼튼히 형성될 듯 하다.(100% 이면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
앞의 실시 예 1~28단계 중 5, 10단계를 조금더 설명하자면,
역경매 싸이트의 관리자 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책 중의 하나 이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역경매 하는 것은,
특정제품 몇가지만 한다면 모를까,
많은 종류의 상품, 또는 많은 수의 경매시행시각, 또는 많은 수의 구매상한가격건을 대상으로 하여 역경매를 시행하고 싶을 때는, 역경매 싸이트 관리자가 각 상품별 구매상한가격들을 포함한 역경매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일일이 등록한다는 것은 너무 어려울 수도 있다. 그래서 판매자 또는 구매자를 포함한 싸이트 운영 관계자가 아닌 자에 의해서도 인터넷 역경매 싸이트에 역경매 시행에 필요한 정보들이 등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품코드가 일원화 되고, 특정 모델의 경매시행시각도 매월 5,10,15,20,25,30일 저녁 10시 정도, 또는 매일 저녁 10시 정도로 특정경매시행시각의 수가 너무 많지 않게 해야 시각적으로도 혼잡성을 줄일 수 있을 것 같으므로,
사실상 역경매 대상이 되는 상품 코드신설 이나 경매시행시각은 싸이트 운영 관계자가 등록하는 것이 혼선이 덜 일어날 것 같기는 하다.
그리고, 각 구매상한가격 건의 신설도 싸이트 운영 관계자가 하면 더 좋겠다고 생각하나, 이 부분에 대해서 만큼은 구매자의 의사가 너무나도 다양할 것 같아서, 싸이트 관리자를 소수로 하여 싸이트를 운영하려면, 구매자가 직접 생성하여 등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할 것 같기 때문이다.
그리고, 어쩌면 필요할 것 같기도 한 사항도 있는데, 구매상한가격 건 수를 제한하는 개념도 있다.
너무 많은 구매상한가격 건이 존재하게 되는 것도 진행상 문제가 될 것 같기 때문에 구매상한가격 건의 수를 제한하기 위함이다.
제한하지 않으면, 예를 들어,
구매 상한가격이 220,000원이 적용된 구매상한가격 건이 이미 존재하고 있을 때,
219,990원, 219,980원을 포함한 신설된 구매상한가격이 이미 존재해 있던 구매상한가격과의 차이가 너무 적어서 경매에서는 별 의미없는 시작가가 생기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낙찰된 판매가격은 판매자간의 경쟁에 의하여,
220,000원, 219,990원, 219,980원을 포함하여 220,000원이 아니면서도 220,000원에 아주 근접한 가격에서 낙찰될 가능성도 항상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댓글을 포함한 합리적인 낙찰가격에 대한 예측, 토론을 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적절한 낙찰 판매가격 예측에 대한 충분한 정보습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며, 그리하여, 적당한 가격 선이라면 반드시 구매하려고 하였던 구매자 중에서, 정보가 부족하여 너무 낮은 구매상한가격 건에 지원한 결과로 구매에 실패하는 구매자 수를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거래 물량을 늘려서, 낙찰될 수 있는 거래수량이 증가하는 만큼 판매자가 제시하는 판매가격 낙찰희망가들도 하락하게 되어, 낙찰되는 판매가격도 하락하게 되므로, 구매자에게도 다시 이익이 되게 하기 위함이다.
물론 낙찰되는 거래 물량이 증가 될 수 있으므로, 판매자 측에서도 이익이다.
위의 예를 든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개념설명에 꼭 필요한 것 외에는 언급하지 않았고, 그래서 싸이트에 지불하는 수수료 등의 세세한 부분 및 변화가 가능한 사항은 감안 및 언급하지 않았으므로 운영상 필요한 사항은 추가할 수도 있으며, 선 결재 등의 운영상 불필요할 수도 있는 사항은 상황에 맞게 삭제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모든 예는 예일 뿐이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전체가 아님을 밝혀두며 당업자라면 기술된 내용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삭제, 신설들이 쉽게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경매 방법을 위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경매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자상거래 시스템 12 : 구매지원단말기
14 : 네트워크 통신망 16 : 역경매 서버
18 : 판매지원단말기

Claims (12)

  1. 역경매 서버와, 다수의 구매자 측의 구매지원단말기와, 다수의 판매자 측의 판매지원단말기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게 연결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역경매 방법으로,
    각 구매자가 동일 상품에 대해 입력하는 구매상한가격, 구매지원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지원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역경매 서버에 저장되는 제1 단계;
    상기 역경매 서버가 각 구매상한가격 별 구매지원수량 또는 각 구매상한가격 이상으로 누적된 각 구매상한가격 별 누적 구매지원수량을 포함하는 구매지원현황을, 접속하는 판매자 또는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제2 단계;
    각 판매자가 구매지원현황을 검토하여 입력하는 판매희망가를 포함하는 입찰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역경매 서버에 저장되는 제3 단계;
    상기 역경매 서버가 입찰 종료 후 가장 낮은 판매희망가로 입찰한 판매자를 낙찰자로, 그리고 해당 판매희망가를 낙찰가 즉, 판매가로 결정하여 낙찰가 이상에 해당하는 모든 구매상한가격의 구매지원수량을 낙찰자에게 집중하여 낙찰하고, 그 외 판매자를 탈락시키는 입찰결과를 제공 또는 통지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역경매 서버가 낙찰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으로 지원한 모든 구매자를 구매 결정된 구매자로 결정함과 아울러 낙찰가 미만의 구매상한가격으로 지원한 모든 구매자를 탈락시키고, 낙찰가를 포함하는 거래성사결과를 제공 또는 통지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역경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구매자가 구매 지원하면서 구매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결제하는 제1-1 단계; 및
    상기 역경매 서버가 탈락된 구매자가 선결제한 구매비용을 모두 환불하고, 구매 결정된 구매자가 선결제한 구매비용 중 낙찰가에 따른 구매비용을 초과하여 선결제된 차액 이상을 환불하는 제5-1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역경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경매 서버가 구매 지원된 구매자 중 판매자의 입찰이 개시된 이후에구매 지원을 취소하는 구매자가 선결제한 구매비용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매 취소 위약금으로 환수하고 잔액이 남으면 환불하는 제5-2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역경매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판매자가 입찰하면서 입찰 보증금을 선결제하는 제3-1 단계;
    상기 역경매 서버가 탈락된 판매자가 선결제한 입찰 보증금을 환불하는 제4-1 단계; 및
    상기 역경매 서버가 낙찰된 판매자가 판매 취소하거나 부여된 판매권에 따른 의무를 적의 이행하지 않는 경우 선결제 받은 입찰 보증금을 환수하는 제4-2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역경매 방법.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경매 서버가 낙찰가가 정해진 이후에
    새로운 구매지원자 또는 상기 낙찰가 미만의 구매상한가격으로 구매지원한 관계로 탈락한 구매자가
    상기 낙찰가가 반영된 구매대금 대비 전체 구매대금 또는 부족한 구매대금을 결재하는 것을 포함한 총 구매대금을 결재 완료하는 것을 받아들여서,
    새로운 구매지원자 또는 탈락한 구매자에게도
    상기 낙찰가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주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역경매 방법.
  6.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버가
    구매자 또는 판매자 간에 적정한 낙찰가격에 대한 정보교류를 할 수 있는 쪽지, 댓글을 포함한 정보교류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역경매 방법.
  7. 서버와
    다수의 구매지원 단말기들과 다수의 판매지원 단말기들이
    인터넷을 포함한 통신망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의한
    역경매방법에 있어서,
    각 구매자별로의 구매상한가격, 구매수량을 포함한 구매지원정보가 구매지원 단말기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포함한 정보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되고,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각 구매자별로의 구매상한가격, 구매수량을 포함한 구매지원정보가 서버의 구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구매지원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단계;
    각 판매자별로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포함한 판매지원정보가 판매지원 단말기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포함한 정보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되고,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각 판매자별로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포함한 판매지원정보가 서버의 판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판매지원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단계;
    서버가 상기 판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판매지원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판매자별로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중에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취득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근거로 해서,
    판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판매지원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된 판매자들 중에서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입력한 판매자를 취득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근거로 해서,
    구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구매지원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구매자별로의 구매상한가격 중에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취득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근거로 해서,
    구매지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구매지원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된 구매자들 중에서,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입력한 구매자(들)을 취득하고, 그 구매자(들)이 구매지원한 구매수량(들)을 취득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입력한 구매자(들)에게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입력한 구매자(들)이 구매지원한 구매수량(들)의 합계 전체를
    판매할 수 있는 판매권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입력한 판매자에게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상의 역경매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각 구매자별로의 구매상한가격, 구매수량을 포함한 구매지원정보가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포함한 정보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되고,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이후에
    입력된 각 구매자별로의 구매상한가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매상한가격에 대하여,
    그 구매상한가격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에 구매지원된 구매수량의 누계를 포함한 구매지원정보에 대한 현황이
    판매지원 단말기 또는 구매지원 단말기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상의 역경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각 판매자별로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포함한 판매지원정보가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포함한 정보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되고,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 이후에
    입력된 각 판매자별로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중에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가 얼마인지를 포함한 판매지원정보에 대한 현황이
    판매지원 단말기 또는 구매지원 단말기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상의 역경매 방법.
  10.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버가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입력한 구매자(들)에게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입력한 구매자(들)이 구매지원한 구매수량(들)의 합계 전체를
    판매할 수 있는 판매권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입력한 판매자에게 부여하는 단계" 에 있어서,
    "판매할 수 있는 판매권"은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하의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는 판매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상의 역경매 방법.
  11.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버가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입력한 구매자(들)에게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입력한 구매자(들)이 구매지원한 구매수량(들)의 합계 전체를
    판매할 수 있는 판매권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입력한 판매자에게 부여하는 단 계" 이후에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입력한 관계로 구매할 수 없게 된 구매자(들)에게
    낙찰된 판매자가 원하는 판매가격이상으로 다시 구매지원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상의 역경매 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서버가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입력한 구매자(들)에게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입력한 구매자(들)이 구매지원한 구매수량(들)의 합계 전체를
    판매할 수 있는 판매권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를 입력한 판매자에게 부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취득된 최소의 판매가격 낙찰 희망가 이상의 구매상한가격(들)을 입력한 관계로 구매할 수 없게 된 구매자(들)에게
    낙찰된 판매자가 원하는 판매가격이상으로 다시 구매지원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상의 역경매 방법.
KR1020090107259A 2009-11-07 2009-11-07 역경매 방법 KR20110050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259A KR20110050324A (ko) 2009-11-07 2009-11-07 역경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259A KR20110050324A (ko) 2009-11-07 2009-11-07 역경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324A true KR20110050324A (ko) 2011-05-13

Family

ID=4436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259A KR20110050324A (ko) 2009-11-07 2009-11-07 역경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03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911B1 (ko) 역경매 방법
JP7419464B2 (ja) 情報処理装置
US20020095365A1 (en) Corporate products trading marketplace
WO2006092726A2 (en) Electronic system for exchanging goods and services
WO20010715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directionally auctioning between buyers and sellers using a computer network
US200402676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and reporting VAT charges for network-based marketplace services
JP6541761B2 (ja) オープンマーケットでの電子商取引を介した仮想通貨の作成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20220159301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US20130268329A1 (en) Electronic Trading 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Products and Services
WO2007124556A1 (en) Electronic system for coordinating contracts relating to property
JP2013101590A (ja)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160307245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asset transfer
US20090216655A1 (en) Method of auction - Motion Reverse Auction
KR20200119746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20190069368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20130104372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20110050324A (ko) 역경매 방법
KR20180059421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101873584B1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102177509B1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20050082392A (ko) 구매정보 매매를 통한 마케팅시스템
KR20180073543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KR20180100086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JP2006201854A (ja) 売買支援装置
KR20120116521A (ko) 에스앤에스 공동구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