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307A - 데이터 전송방법, 서버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방법, 서버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307A
KR20110050307A KR1020090107230A KR20090107230A KR20110050307A KR 20110050307 A KR20110050307 A KR 20110050307A KR 1020090107230 A KR1020090107230 A KR 1020090107230A KR 20090107230 A KR20090107230 A KR 20090107230A KR 20110050307 A KR20110050307 A KR 20110050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er
information
user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0389B1 (ko
Inventor
이금구
이종림
추희정
성주연
곽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90107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389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860,552 priority patent/US9686354B2/en
Priority to EP20100173583 priority patent/EP2290567A1/en
Priority to PCT/KR2010/005555 priority patent/WO2011021898A2/en
Priority to EP17189282.1A priority patent/EP3301592A1/en
Priority to AU2010284807A priority patent/AU2010284807B2/en
Priority to JP2010186285A priority patent/JP2011045081A/ja
Priority to CN201610374936.XA priority patent/CN105897924A/zh
Priority to CN201010259814.9A priority patent/CN101997907B/zh
Publication of KR20110050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389B1/ko
Priority to US15/616,584 priority patent/US1019397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데이터 전송방법, 서버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데이터 전송방법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보다 쉽고 편리하게 데이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공유 데이터

Description

데이터 전송방법, 서버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DATA TRANSMITTING METHOD, SERVER, AND, DATA TRANSMITTING SYSTEM}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방법, 서버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 데이터 전송방법, 서버 및 공유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공학, 통신 공학, 단말기 기술 등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 단말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뿐만 아니라 컨텐츠 재생, 무선 인터넷 접속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동 단말은 개인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의 최대 단점인 고정성을 극복하여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한다는 특징이 있는 반면, 경량화 및 소형화 설계로 인하여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및 배터리 면에서 크게 제한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컨텐츠 또는 데이터에 대한 검색과 재생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및 배터리 등에서 제약을 크게 받지 않는 디 바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미리 선별/검색한 후, 이동 단말을 통해 선별/검색된 데이터만을 감상하거나, 이동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미리 선별/검색하고, 다른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선별/검색한 데이터를 감상하는 등 검색 작업과 재생 작업을 분리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그러나, 데이터의 검색과 재생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터에 대한 원활한 공유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즉, 하나의 데이터에 대해 두 디바이스 각각에서의 작업 및 처리를 위해서는 하나의 데이터가 보다 쉽고 편리한 방식으로 두 디바이스에서 공유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두 디바이스의 사양이나 두 디바이스에서의 작업환경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사양과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가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에 대한 공유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에 대한 공유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방법, 서버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클리핑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상기 클리핑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클리핑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조사 정보, 품종 정보, MAC 어드레스 정보 및 프로파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 권한 정보, 보안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상기 클리핑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자동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액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자동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이미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클리핑된 데이터에 대한 전송요청을 수신한 후에 상기 클리핑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잇다.
또한,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클리핑된 데이터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는 데이터,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연결가능한 외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중 하나로부터 클리핑된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클리핑된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상기 클리핑된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클리핑된 데이터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클리핑된 데이터 및 상기 메타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클리핑된 데이터 및 상기 메타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된 경우, 상기 클리핑된 데이터 및 상기 메타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클리핑된 데이터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클리핑한 후에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함께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제1 디바이스들로부터 클리핑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상기 종합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클리핑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상기 클리핑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 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클리핑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클리핑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클리핑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조작과 별개의 조작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데이터를 클리핑하는 제1 디바이스;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클리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 상기 클리핑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에 의해, 보다 쉽고 편리하게 데이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도 1 및 도 20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고, 도 3 내지 도 17에서는 디바이스의 등록, 공유 데이터 전송 및 공유 데이터 표시 등 공유 데이터가 전송되어 표시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도 18 및 도 19에서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바이스와 서버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 전송 시스템 전반의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하나의 디바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데이터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선별하고, 선별된 데이터들이 다른 디바이스에서 공유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디바이스가 서버에 접속하였을 때, 공유 데이터를 접속된 디바이스로 전달하게 된다.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인 모바일 폰(110), PC(120), 노트북(130), 디지털 카메라(140), TV(150)과 서버(20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인 모바일 폰(110), PC(120), 노트북(130), 디지털 카메라(140) 및 TV(150)는 각자의 본연의 역할 이외에, 각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전송된 데이터가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해 공유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폰(110)은 웹서핑을 통해 검색된 웹페이지들을 서버(200)로 전송하여, 서버(200)에서 웹페이지들이 저장되도록 하고, 서버(200)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들 중 하나인 PC(120)는, 서버에 저장된 웹페이지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40)는, 디지털 카메라(140)로 촬영된 사진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서버(200)에 사진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고, 서버(200)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들 중 하나인 TV(150)는, 서버(200)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공유되는 데이터는, 전술한 사진, 웹페이지 뿐만 아니라, 동영상, 음성, 주소록, 전화번호, 인터넷 검색결과 등 각 디바이스에서 생성되거나 각 디바이스로 수신되는 데이터는 모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서버(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데이터를 저장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하는 각 디바이스로 공유 데이터를 전달한다.
서버(200)는 서버(200)에 액세스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디바이스들에 대해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디바이스들의 액세스를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디바이스의 자체정보(이하, '기기정보'로 총칭) 및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기기정보로는, 디바이스의 제조사 정보, 품종 정보, MAC 어드레스 정보 및 프로파일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로는, 서버(200)에 대한 액세스 권한 정보, 보안정보,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제조사 정보는 디바이스를 제조한 업체에 대한 식별정보이고, 품종 정보는 디바이스에 대한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이다. 또한, MAC 어드레스 정보는 통신가능한 디바이스마다 정해진 고유의 식별정보이며, 프로파일 정보는,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 및 과금, 디바이스가 이용하는 서비스, 디바이스가 속한 통신망 등에 대한 정보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액세스 권한 정보는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또는 서버에 접근 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이고, 보안 정보는 디바이스의 보안 상태에 대한 정보이다. 또한, 선호 데이터 정보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서버(200)에 접속된 디바이스들의 기기정보를 기초로, 서버(200)에 접속된 디바이스들이 동일 회사에서 제조된 것이라고 판단되거나, 서버(200)에 접속된 디바이스들의 사용자가 서버(200)에 대한 사용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면, 특별한 제제 없이 디바이스들의 서버(200)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TV(15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TV(150)를 통해 제공받기를 선호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공유 데이터들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만을 TV(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선호 데이터 정보는, TV(150)에 대한 이용내역, TV(150)를 통해 서버(200)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수신한 내역 등을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서버(200)에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고, 서버(200)에 접속하는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디바이스가 서버(200)에 접속할 때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가 서버(200)에 접속할 때 공유 데이터를 제공하는 이유는, 디바이스가 서버(200)에 접속하였다는 의미가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하려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서버(200)는 디바이스가 서버(200)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기초로, 디바이스를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디바이스로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서버(200)에 접속되는 경우에 공유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200)는 디바이스의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서버(200)에 액세스하는 디바이스들에게 공유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보다 원활한 환경에서 공유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 각각이 서버(200)에 등록될 것을 요한다. 디바이스가 서버(200)에 등록되지 않아도 공유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가능하나, 등록된 디바이스에 대해 공유 데이터를 제공할 경우, 보다 쉽고 간략한 인증이 가능하고, 등록된 디바이스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디바이스를 서버(200)에 등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의 등록>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바일 폰(110)이 서버(200)에 등록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모바일 폰(110)은 서버(200)에 등록하기 위해, 모바일 폰(110)에 대한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한다(S310). 서버(200)는 모바일 폰(110)에 대한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디바이스 등록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 요청'을 모바일 폰(110)으로 전송한다(S320).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모바일 폰(110)은 서버(200)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전달한다(S330).
기기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폰(110)의 제조사 정보, 품종 정보, MAC 어드레스 정보 및 프로파일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로는, 모바일 폰(110)의 서버(200)에 대한 액세스 권한 정보, 보안정보,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서버(200)는 모바일 폰(110)으로부터 수신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폰(110)의 등록이 가능한지, 즉, 수신된 정보들이 모바일 폰(110)의 등록에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
등록이 불가할 경우(S340-N), 서버(200)는 모바일 폰(110)으로 '등록불가'임을 알리고(S350), 등록이 가능할 경우(S340-Y), 서버(200)는 모바일 폰(110)으로 '등록가능'임을 알리며(S360), 모바일 폰(110)은 서버(200)에 등록시키고, 모바일 폰(110)으로 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저장한다(S370).
이와 같이, 모바일 폰(110)을 서버(200)에 등록시킴으로써, 모바일 폰(110)에 대한 인증과정이 상당 생략될 수 있어, 모바일 폰(110)으로부터 생성되거나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보다 쉽고 빠르게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바일 폰(110)을 서버(200)에 등록시킴으로써, 모바일 폰(110)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어, 모바일 폰(110)으로 공유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모바일 폰(110)에서 실행되기에 최적화된 공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서버(200)에 등록된 디바이스들의 리스트(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등록된 디바이스 리스트(400)'를 관리하여, '등록된 디바이스 리스트(400)'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이 접속할 경우, 보다 쉽고 편리하게 공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3에서는 '등록된 디바이스 리스트(400)'에 디바이스의 제품명칭만이 열거되고 있으나, 서버(200)의 '등록된 디바이스 리스트(400)'에는 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가 함께 저장되게 될 것이다.
<공유 데이터 전송>
이하에서는, 공유 데이터가 전송되는 기본적인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데이터 전송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도, 모바일 폰(110)과 TV(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모바일 폰(110)은 모바일 폰(110)에서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500)를 다른 디바이스에서 공유하기 위해 서버(200)로 전송한다. 모바일 폰(110)이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서버(200)로 전송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첫째, 데이터(500)에 대한 시각적 제공 편의를 위함이다. 모바일 폰(110)의경우, 제한된 디스플레이 크기로 인해,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데이터(500)를 이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폰(110)에 저장된 데이터(500)를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과 함께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서버(200)에 저장한 후, TV(150)와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시 호출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데이터(500)에 대한 수집과 처리의 분리를 위함이다. 모바일 폰(110)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수시로 사용가능하 다는 이점이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제한적이고 사용자 조작의 입력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폰(110)을 이용해 수시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서버(200)에 저장하고, 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댁내의 PC(120) 등을 이용해 일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역의 경우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TV(150)를 이용할 시간이 부족한 사용자는, TV(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서버(200)에 저장한 후, 모바일 폰(110)을 이용해 호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셋째, 데이터(500)에 대한 관리를 위함이다. 디바이스들은 데이터에 대한 저장공간의 제약을 받게 되며, 각 디바이스마다 공통되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서버(200)에서 각 디바이스의 데이터들을 종합 관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500)에 대한 관리 편의를 도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버(200)는, 모바일 폰(110)에서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500)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500)가 TV(150)에 의해 호출될 경우, 저장된 데이터(500)를 TV(150)로 전송하게 된다.
<등록 여부에 따른 공유 데이터 전송>
한편, 이상에서는, 디바이스를 서버(200)에 미리 등록시킬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하에서는, 수신측 디바이스의 등록 여부에 따른 구체적인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등록 여부에 따른 공유 데이터 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모바일 폰(110)은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생성하고(S610), 이를 공유 데이터로 지정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620). 공유 데이터로 지정하지 않을 경우(S620-N),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S630), 디스플레이 명령이 입력되면(S630-Y),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S640).
한편, 공유 데이터로 지정한 경우(S620-Y), 모바일 폰(110)은 공유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650).
서버(200)는 모바일 폰(110)으로부터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저장하며, 업데이트된 데이터로 지정한다(S660). 이후, TV(150)로부터 접속이 시도되었다고 판단되면(S670), 서버(200)에 접속을 시도한 TV(150)가 서버(20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80).
TV(150)가 서버(200)에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S680-N), 서버(200)는 TV(150)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 요청'을 전달하고(S690), TV(150)는 이에 응답하여 서버(200)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전달한다(S700).
이에 의해, 서버(200)는 TV(150)를 서버(200)에 등록시키게 된다(S710). 물론, 이는 등록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등록시 도 2와 같은 구체적 과정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과정에 의해 TV(150)가 서버(200)에 등록되거나(S710), TV(150)가 서버(200)에 이미 등록된 경우(S680-Y), 서버(200)는, TV(150)로부터 수신된 '기기정 보 및 사용자정보' 또는 TV(150)로부터 이미 수신되어 저장되어 있는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TV(150)의 권한 및 가용서비스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선택한다(S720).
TV(150)의 권한을 분석하는 이유는, 공유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바일 폰(110)에 의해, 공유에 대한 제한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V(150)의 가용서비스를 분석하는 이유는, 모든 데이터가 모든 디바이스에서 실행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버(200)는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TV(150)에서 실행가능한 데이터 유형을 미리 판단하고, 공유 데이터들 중 TV(150)에서 실행가능한 데이터만을 TV(150)로 전송한다.
또한, 서버(200)는, TV(150)로부터 수신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 또는 TV(150)로부터 이미 수신되어 저장되어 있는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데이터를 가공한다(S730). 여기서, 데이터의 가공은, TV(150)에 적합한 해상도로 데이터를 스케일링하거나 TV(150)에서 실행되는 데에 문제가 없도록 데이터의 파일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후, 서버(200)는 가공된 데이터를 TV(150)로 전달하고(S740). TV(150)는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에 곧바로 표시하게 된다(S750).
이에 따라, TV(150)는 서버(200)에 접속하자마자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를 즉시 시청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디바이스가 서버(200)에 접속할 때, 서버(200)에 업데이트된 데이터들을 자동으로 접속한 디바이스로 전송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TV(150)에서 실행가능하지 않은 데이터는 TV(150)로 전송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서버(200)는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를 실행가능한 디바이스가 서버(200)에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다른 디바이스가 서버(200)에 접속할 경우, 나머지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를 접속된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서버(200)에 등록된 디바이스들의 리스트(8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200)는 '등록된 디바이스 리스트(800)'를 관리하여, '등록된 디바이스 리스트(800)'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이 접속할 경우, 보다 쉽고 편리하게 공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각 디바이스에 대한 권한 레벨 또는 해상도 등의 구체적 정보를 추출하고, 이러한 구체적 정보를 '등록된 디바이스 리스트(800)'에서 함께 관리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권한 및 가용 서비스 분석, 그리고, 데이터 가공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선가공 여부에 따른 공유 데이터 전송>
이하에서는, 공유 데이터에 대해 미리 가공할 것인지 여부에 따른 구체적인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선가공 여부에 따른 공유 데이터 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모바일 폰(110)은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생성하고(S910), 이를 공유 데이터로 지정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920). 공유 데이터로 지정하지 않을 경우(S920-N),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S930), 디스플레이 명령이 입력되면(S930-Y),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S940).
한편, 공유 데이터로 지정한 경우(S920-Y), 모바일 폰(110)은 공유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950).
서버(200)는 모바일 폰(110)으로부터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저장하며, 업데이트된 데이터로 지정한다(S960). 이후, 서버(200)는 디바이스가 서버(200)에 접속되기 전에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를 미리 가공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970).
미리 가공할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에 따를 수 있을 것이다.
미리 가공할 것으로 설정된 경우(S970-Y), 서버(200)는 서버(200)에 등록된 디바이스별로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를 가공한다. 예를 들어, 서버(200)에 등록된 디바이스로서, 모바일 폰(110), PC(120), 노트북(130), 디지털 카메라(140) 및 TV(150)가 존재할 경우, 서버(200)는 모바일 폰(110)으로부터 수신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폰(110)에서 실행되기에 최적화된 상태로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를 가공하고, PC(120)로부터 수신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PC(120)에서 실행되기에 최적화된 상태로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를 가공하며, 노 트북(130)으로부터 수신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노트북(130)에서 실행되기에 최적화된 상태로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를 가공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40)로부터 수신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디지털 카메라(140)에서 실행되기에 최적화된 상태로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를 가공하고, TV(150)로부터 수신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TV(150)에서 실행되기에 최적화된 상태로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를 가공한다.
또한, 미리 가공할 것으로 설정된 경우(S970-Y), 서버(200)는 서버(200)에 등록된 디바이스별로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가공한다. 예를 들어, TV(150)에서 실행불가능한 데이터의 경우, 서버(200)는 TV(150)로 전송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를 가공하지 않게 된다.
서버(200)는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에 대한 가공이 종료되면, 디바이스들이 서버(200)에 접속할 때까지 가공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대기한다.
이후, TV(150)가 서버(200)에 접속을 시도하면(S990), 서버(200)는 TV(150)에서 실행되도록 최적화되어 가공된 데이터를 TV(150)로 전달하게 되며(S1020), TV(150)는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1030).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8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8은 공유 데이터가 디바이스별로 가공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폰(110)은 모바일 폰(110)에서 촬영된 데이터(1110)를 공유하기 위해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 때, 모바일 폰(110)에서 촬영된 데이터는 800*600의 해상도를 가진다.
서버(200)는 디바이스별로 수신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가공한다. 즉, 서버(200)에 디지털 카메라(140)와 TV(150)가 등록되어 있고, 디지털 카메라(140)의 해상도가 1000*500이며, TV(150)의 해상도가 1920*1080인 경우, 서버(200)는 디지털 카메라(140)에 대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스케일링하여 1000*500의 해상도로 변환하고, TV(150)에 대한 기기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스케일링하여 1920*1080의 해상도로 변환한다.
이후, TV(150)가 서버(200)에 접속하면, TV(150)는 1920*1080의 해상도로 가공된 데이터를 TV(150)로 전달한다.
물론, 가공시, 해상도를 변경하는 것은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파일 포맷 변경, 파일 용량 변경 등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기에 최적화되도록 변경되는 경우라면 본 실시예에서 가공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미리 가공하지 않을 것으로 설정된 경우(S970-N), 서버(200)는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에 대한 가공없이, 디바이스들이 서버(200)에 접속할 때까지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를 그대로 저장하며 대기한다.
이후, TV(150)가 서버(200)에 접속을 시도하면(S990), 서버(200)는 TV(150)로부터 수신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TV(150)의 권한 및 가용서비스를 분석하여,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들 중 TV(150)에서 실행가능한 공유 데이터를 선택하고(S1000), 선택된 데이터를 TV(150)에 최적화된 형태로 가공한다(S1010).
서버(200)는 TV(150)에서 실행되도록 최적화되어 가공된 데이터를 TV(150)로 전달하게 되며(S1020), TV(150)는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1030).
이와 같이,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에 대해 미리 가공할 것인지 추후 가공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상호 상반되는 장단점을 가지게 된다. 즉,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를 미리 가공할 경우, 서버(200)에 접속한 디바이스에 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디바이스마다 가공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저장공간을 많이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를 추후 가공할 경우, 미리 가공하는 경우와 상반되는 장단점을 가지게 된다.
<공유 제한에 따른 공유 데이터 전송>
한편, 이상에서는, 공유에 대한 제한이 설정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공유 제한에 따른 공유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바일 폰(110)은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생성하고(S1210), 이를 'TV(150)로 제한된 공유 데이터'로 지정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1220). TV(150)로 제한된 공유 데이터로 지정하지 않을 경우(S1220-N),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S1230), 디스플레이 명령이 입력되면(S1230-Y),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S1240). 물론, TV(150) 이외에 서버(200)에 등록된 디바이스에 대한 공유 데이터로 지정할지 여부에 대한 과정이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TV(150)로 제한된 공유 데이터로 지정한 경우(S1220-Y), 모바일 폰(110)은 TV(150)로 제한된 공유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1250).
서버(200)는 모바일 폰(11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업데이트된 데이터 및 TV(150)로 제한된 공유 데이터로 지정한다(S1260). 이후, 서버(200)는 TV(150)로 지정된 공유 데이터에 대해, TV(150)로부터 미리 수신된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TV(150)의 권한 및 가용서비스를 분석하고, TV(150)에서 실행되기에 최적화된 상태로 공유 데이터를 가공한다(S1260).
이후, TV(150)가 서버(200)에 접속을 시도하면(S1270), 서버(200)는 미리 가공된 데이터를 TV(150)로 전달한다(S1280). 물론, 가공된 데이터는, TV(150)로 제한된 공유 데이터이기 때문에, TV(150) 이외의 다른 디바이스가 서버(200)에 접속하였다고 해도, 서버(200)는 가공된 데이터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하지 않게 된다.
공유 제한에 따라 서버(200)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10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0은 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1300)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서버(200)에 등록된 디바이스들에서 업데이트되어 전송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디바이스들에서 수신되어, 다른 디바이스로 이미 공유된 데이터들도 그대로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서버(200)는 각 데이터의 공유 제한 설정에 관한 정보를 각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면, DATA 1은 모든 디바이스에 대해 공유가 허용된 데이터이고, DATA 2는 TV(150)에만 공유가 허용된 데이터이며, DATA 3은 TV(150)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들에 대해 공유가 허용된 데이터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메타데이터 기반의 공유 데이터 선택>
한편, 서버(200)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은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저장되게 된다. 즉, 서버(200)는 수신된 공유 데이터들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메타데이터를 공유 데이터와 함께 저장한다. 이에 따라, 각 디바이스는 키워드를 입력하여,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 및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1은 메타데이터 기반의 공유 데이터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서버(200)는,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공유 데이터들을 저장하며, 저장된 공유 데이터들로부터 각 메타데이터를 추출한다(S1430). 또한, 서버(200)는 추출된 메타데이터를 기존의 공유 데이터와 함께 저장한다(S1440).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1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2는 메타데이터 추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폰(110)으로부터 서버(200)로 공유 데이터(1610)가 전송되면, 서버(200)는 수신된 공유 데이터(1610)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수신 된 공유 데이터(1610)에 대한 메타데이터(1620)를 추출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2에서는 수신된 공유 데이터(1610)의 장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MOVIE'라는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타이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E.T.'라는 메타데이터를 추출하며, 데이터의 작성년월일을 기초로 'OLD'라는 메타데이터를 추출한 것으로 상정하였다.
물론, 이상에서 설명한 장르, 타이틀, 작성년월일 뿐만 아니라, 공유 데이터(1610)를 통해 추출할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떤 것도 메타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를 구성하는 기호, 숫자, 도형, 색상 또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웹페이지의 도메인네임이나 데이터를 검색한 등으로부터도 추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는 키워드를 입력하여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 및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1에 대해 설명하면, 모바일 폰(11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워드가 입력되면(S1410), 모바일 폰(110)은 서버(200)로 키워드를 전달하고(S1420), 서버(200)는 키워드를 기초로 서버(200)에 저장된 공유 데이터들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저장된 공유 데이터들 중 일부를 선택하게 된다(S1450).
또한, 서버(200)는 키워드를 기초로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등록된 디바이스들 중 일부를 선택하고(S1460), 선택된 데이터를 선택된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상태로 가공하여 저장한다(S1470).
이후, 서버(200)는 서버(200)에 접속을 시도하는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검출하고, TV(150)가 서버(2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S1480), 가공된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를 TV(150)에 함께 전달하며(S1490), TV(150)는 가공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1500). 물론, 서버(200)는 가공된 데이터만을 TV(150)로 전송하고 메타데이터는 TV(150)에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메타데이터를 가공된 데이터와 함께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공유 데이터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3은 키워드를 기초로 공유 데이터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폰(110)을 통해 'MOVIE', 'E.T.', 'OLD'라는 키워드(1710)를 입력하여 서버(200)로 전송하면, 서버(200)는 수신된 키워드(1710)를 기초로, 저장된 공유 데이터들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1720)를 추출한다.
또한, 모바일 폰(110)으로부터 검색된 데이터에 대한 전송 명령이 있는 경우, 서버(200)는 서버(200)에 접속되는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서버(200)에 접속된 디바이스인 TV(150)로 검색 결과(1720)인 공유 데이터(1730)를 전송한다.
<UI를 이용한 공유 데이터 수신 선택>
한편, 이상에서는 모바일 폰(110)에서 생성되거나 수신된 공유 데이터가 서 버(200)에 저장되고, 서버(200)는 TV(150)가 서버(200)에 접속할 때 공유 데이터를 TV(150)로 전송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와 같이, 다른 디바이스가 서버(200)에 접속할 때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유는, 디바이스가 서버(200)에 접속할 때 비로소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의 별도 조작없이, 서버(200)에 접속하도록 하는 조작만으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제공하여,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일일이 조작하여 확인하지 않아도 되도록 편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댁내의 디바이스들은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모바일 폰(110)의 사용자와 TV(150)의 사용자가 다를 수 있다. 즉, 서버(200)에 접속하는 TV(150)를 시청하기 위한 사용자와 TV(150)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다를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TV(150)를 시청하기 위한 사용자는 업데이트된 데이터의 확인으로 인해, 본래의 의도인 TV(150)의 시청에 방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업데이트되어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도록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1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4는 공유 데이터의 표시를 위한 UI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TV(150)가 서버(200)에 접속을 시도하면(S1810), 서버(200)는 저장된 공유 데이터를 TV(150)로 전송한다(S1820).
이 때, 공유 데이터가 서버(200)에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와 TV(150) 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TV(150)는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UI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S1830).
만약,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명령이 입력되면(S1840-Y), TV(150)는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S1870),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으면(S1840-N), TV(15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았음을 서버(200)에 다시 알리게 된다(S1850). 물론, TV(150)는 이미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TV(150) 내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도 있고,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TV(150) 내에서 삭제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공유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미제공되었기 때문에, 서버(200)는 다른 디바이스가 서버(200)에 접속되는지 탐색하고(S1860), 서버(200)에 접속된 디바이스에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기타 실시예에 따른 공유 데이터 표시>
한편, 이상에서는, 서버(20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서버(200)에 접속한 디바이스에 함께 전송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공유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메타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폰(110)을 통해 복수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복수의 데이터를 검색하였고, 복수의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서버(200)로 전송 하였다. 모바일 폰(110)에는 사용자가 검색한 복수의 데이터들 중 하나의 데이터가 표시되고 있다.
사용자가 검색한 데이터들은 사용자가 공유 데이터로 지정하면, 각각 서버(200)로 전달되어 서버(200)에 저장되게 된다.
한편, 서버(200)는 수신된 공유 데이터들로부터 각 공유 데이터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추출하여 공유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게 된다. 도 15에서는 'B-Mall'이라는 쇼핑몰에서 10달러 짜리 'BANANA'라는 상품을 검색하였고, 검색결과에 대한 화면이 공유 데이터로서 서버(200)에 저장되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수신된 검색결과에 대한 화면으로부터 'B-mall', 'Banana' 등의 메타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A-Mall'이라는 쇼핑몰에서의 검색결과에 대한 화면 및 'C-Mall'이라는 쇼핑몰에서의 검색결과에 대한 화면도 이와 마찬가지로, 메타데이터가 추출되어 서버(200)에 함께 저장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PC(120)가 서버(200)에 접속할 경우, 서버(200)는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들을 PC(12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모바일 폰(11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의 양이 많거나 모바일 폰(11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이 상호 관련성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러한 데이터들을 직접적으로 PC(120)로 전달하지 않고, 메타데이터만을 PC(12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PC(120)의 화면에는 업데이트된 공유 데이터들에 대한 메타데이터들이 하나의 화면에서 모두 표시될 수 있게 되며, 사용자는 PC(120)를 통해 원하는 데이터부터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B-Mall'에서 검색한 검색결과를 공유 데이터로서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화면에 표시된 메타데이터들 중 'B-Mall'과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고, 'B-Mall'과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선택할 경우, 서버(200)는 'B-Mall'에서 검색한 검색결과를 공유 데이터로서 PC(120)에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PC(120)의 화면에는, 모바일 폰(110)에 의해 검색되었던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모바일 폰(110)을 통해 지정된 공유 데이터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이동중인 환경에서 데이터를 미리 선택할 수 있고, 보다 편리한 환경에서 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모바일 폰(110)을 이용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구매화면만을 공유 데이터로 하여 저장하고, PC(120)를 이용하여 복수의 구매화면들에 곧바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물품에 대한 구매가 곤란한 환경에서 물품에 대해 미리 선택하고, 나중에 다시 선택하는 번거로움 없이 즐겨찾기 카테고리 또는 장바구니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곧바로 구매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선별/검색된 데이터를 공유 데이터로 지정하여 다른 디바이스에서 표시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공유 데이터들을 다른 디바이스에서 종합적으로 실행시키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대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1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6은 공유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버(200)는, 서버(200)에 등록된 디바이스들로부터 공유 데이터로 지정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PC(120)에 '사진' 데이터와 '이름'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서버(200)는 PC(120)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와 '이름'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유 데이터로서 저장한다. 또한, 모바일 폰(110)에 '전화번호' 데이터와 '이름'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서버(200)는 모바일 폰(420)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터와 '이름'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유 데이터로서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을 종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PC(120)로부터 수신된 '사진' 데이터에 '이름'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고, 모바일 폰(110)으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 데이터에 '이름'데이터가 부가되어, '이름'데이터가 공통되기 때문에, 공통되는 데이터끼리 종합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가 서버(200)에 접속하면, 서버(200)는 통합저장된 데이터를 서버(200)에 접속한 디바이스로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TV(150)가 서버(200)에 접속한 경우, 서버(200)는 '사진', '전화번호' 및 '이름'이 종합된 '주소록' 데이터를 TV(150)로 전달한다.
TV(150)는 서버(200)로부터 '주소록'을 전달받은 경우, '주소록'을 실행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수신된 '주소록'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서버(200)는 공유 데이터들 중 공통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디바이스에서나 서버(200)에 접속하여 공통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들이 서버(200)로 전송되어 공유 데이터로 지정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 따라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의 경우도, 서버(20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17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7은 다른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공유 데이터로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모바일 폰(110), 서버(200) 및 TV(150)의 동작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블로그 서버(2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블로그 서버(210)는 블로그에 게재되는 영상, 음성, 텍스트 등의 컨텐츠를 저장한다. 또한, 블로그 서버(210)는 블로그에 새로운 내용이 게재된 경우, 새로운 내용이 게재되었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모바일 폰(110)으로 전달하여, 새로운 내용이 게재된 사실을 블로그 사용자에게 노티스한다.
여기서, 메세지를 수신하는 블로그 사용자는, 블로그에 대한 소유주체 뿐만 아니라 블로그에 대한 사용주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자신이 소유한 블로그에 새로운 내용이 게재된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 소유의 블로그에 새로운 내용이 게재된 경우에도, 그 블로그를 사용하는 사용주체라면, 사용자는 타인의 블로그에 새로운 내용이 게재되었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모바일 폰(110)은, 블로그에 새로운 내용이 게재되었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블로그 서버(210)로부터 수신한다. 메세지가 수신되면, 모바일 폰(110)은 게재된 새로운 내용을 호출하기 위한 웹페이지 또는 인터넷주소를 알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모바일 폰(110)은 블로그에 게재된 내용을 호출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공유 데이터로 지정하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웹페이지를 공유 데이터로 지정하여 저장하고, TV(150)가 서버(200)에 접속할 경우, TV(150)로 웹페이지를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사용자가 블로그에 새로운 사진을 게재한 경우, 사진은 블로그 서버(210)에 저장되고, 블로그 서버(210)는 블로그에 새로운 사진이 게재되었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모바일 폰(110)에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사용자는, 모바일 폰(110)으로 수신된 메세지를 확인한 후, 블로그에 게재된 사진을 곧바로 확인하거나, 공유 데이터로 지정하여 서버(200)에 저장한 후 나중에 TV(11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다른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특정 디바이스에서 공유 데이터로 지정하여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디바이스와 서버에 대한 구성>
도 18은 지금까지 설명한 모바일 폰(11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블록만을 도시하였다.
모바일 폰(11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910), 제어부(1920), 디스플레이(1930), 조작 입력부(1940) 및 저장부(1950)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910)는 모바일 폰(110)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연결통로 역할을 한다. 특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9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1930)는 제어부(1920)의 제어하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9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공유 데이터 또는 저장부(1950)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조작 입력부(1940)는 마우스(미도시), 키보드(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공유 데이터 지정 등과 관련된 사용자의 조작을 수신하여 제어부(1920)로 전달한다.
제어부(1920)는 모바일 폰(110)의 전반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920)는, 조작 입력부(1940)로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부(1950)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실행되도록 하거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910)를 통해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공유 데이터들이 디스플레이(1930)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920)는 조작 입력부(1940)로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부(1950)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공유 데이터로 지정되어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한다.
저장부(195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공유 데이터 및 모바일 폰(110)의 전반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950)는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폰(110)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120, 130, 140, 150)에 대한 구성은 전술한 모바일 폰(110)에 대한 구성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기에,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는 지금까지 설명한 서버(2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블록만을 도시하였다.
서버(2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10), 제어부(2020) 및 저장부(2030)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10)는 서버(2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에 등록된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연결통로 역할을 한다. 특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폰(110)등의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공유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부(2020)는 서버(200)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020)는 모바일 폰(110) 등의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공유 데이터가 저장부(2030)에 저장되도록하고, 주변 디바이스들의 요청에 따라 공유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저장부(2030)는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공유 데이터 및 서버(200) 전반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2030)는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
한편, 이상에서는 서버(200)를 이용하여 공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서버(200)를 이용하지 않고, 주변 디바이스들끼리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20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하나의 디바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데이터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선별하고, 선별된 데이터들이 다른 디바이스에서 공유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별도의 서버(200)를 구비하지 않으며, 애드 혹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각자의 디바이스는 각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다른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필요할 경우, 애드 혹 방식으로 다른 디바이스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추출하여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PAN(personal area network) 또는 BAN(body area network)등을 구성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ZigBee, EFC(Electrical Field Commun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등의 통신방식에 따라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의 기기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Mac Address, 가용서비스 타입, 디바이스 타입 등을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라 공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각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가 자신의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개시하고할 때, 저장된 공유 데이터를 곧바로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디바이스들이 서로 연결되고, 다른 디바이스들이 연결되지 않을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서버에 등록된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데이터 전송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등록 여부에 따른 공유 데이터 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서버에 등록된 디바이스들의 리스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선가공 여부에 따른 공유 데이터 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공유 데이터가 디바이스별로 가공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메타데이터 기반의 공유 데이터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메타데이터 추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키워드를 기초로 공유 데이터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공유 데이터의 표시를 위한 UI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공유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메타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공유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다른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공유 데이터로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18은 지금까지 설명한 모바일 폰에 대한 블록도,
도 19는 지금까지 설명한 서버에 대한 블록도,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0)

  1. 네트워크를 통한 서버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된 데이터 중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 기등록된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기 전에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선택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후에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선별된 데이터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기에 최적화된 상태로 가공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을 때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권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의 전송에 요구되는 권한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권한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의 전송에 요구되는 권한이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권한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의 전송에 요구되는 권한이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권한보 다 높은 경우,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문의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문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답변을 기초로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업데이트된 데이터 또는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입력된 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수신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사용자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입력된 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수신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또는 상기 메타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상기 선택된 데이터 또는 상기 메타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이미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전송요청을 수신한 후에,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자체 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제조사 정보, 품종 정보, MAC 어드레스 정보 및 프로파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 권한정보, 보안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 음성, 주소록, 전화번호, 검색결과 및 웹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선별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UI 조작명령을 기초로, 상기 선별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상기 종합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저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8.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된 데이터 중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19.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된 데이터 중 일부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20.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제1 디바이스;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디바이스;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되어 저장된 데이터 중 일부를 선택하여 가공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상기 가공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0090107230A 2009-08-21 2009-11-06 데이터 전송방법, 서버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1700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230A KR101700389B1 (ko) 2009-11-06 2009-11-06 데이터 전송방법, 서버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EP20100173583 EP2290567A1 (en) 2009-08-21 2010-08-20 Shared data transmitting method, server, and system
PCT/KR2010/005555 WO2011021898A2 (en) 2009-08-21 2010-08-20 Shared data transmitting method, server, and system
EP17189282.1A EP3301592A1 (en) 2009-08-21 2010-08-20 Shared data transmitting method, server, and system
US12/860,552 US9686354B2 (en) 2009-08-21 2010-08-20 Shared data transmitting method, server, and system
AU2010284807A AU2010284807B2 (en) 2009-08-21 2010-08-20 Shared data transmitting method, server, and system
JP2010186285A JP2011045081A (ja) 2009-08-21 2010-08-23 データ伝送方法、サーバ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datatransmittingmethodserverandtransmittingsystem)
CN201610374936.XA CN105897924A (zh) 2009-08-21 2010-08-23 数据发送方法和服务器
CN201010259814.9A CN101997907B (zh) 2009-08-21 2010-08-23 数据发送方法、服务器和数据发送系统
US15/616,584 US10193972B2 (en) 2009-08-21 2017-06-07 Shared data transmitting method, server,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230A KR101700389B1 (ko) 2009-11-06 2009-11-06 데이터 전송방법, 서버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307A true KR20110050307A (ko) 2011-05-13
KR101700389B1 KR101700389B1 (ko) 2017-01-31

Family

ID=4436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230A KR101700389B1 (ko) 2009-08-21 2009-11-06 데이터 전송방법, 서버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3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790B1 (ko) * 2011-08-03 2013-03-15 유엔젤주식회사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앱 공유 방법
WO2014119883A1 (en) * 2013-01-31 2014-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WO2016195414A1 (ko) * 2015-06-05 2016-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서버 및 단말기
US10470229B2 (en) 2011-06-14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686A (ko) * 2005-03-24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02684A (ko) * 2005-03-24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네트워크 내의 서버를 이용한 콘텐츠 데이터 공유시스템 및 방법
US20080114834A1 (en) * 2006-11-10 2008-05-15 Yamaha Corporation Social networking system
JP2009087040A (ja) * 2007-09-28 2009-04-23 Fujifilm Corp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の自動取得方法、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の自動取得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686A (ko) * 2005-03-24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02684A (ko) * 2005-03-24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네트워크 내의 서버를 이용한 콘텐츠 데이터 공유시스템 및 방법
US20080114834A1 (en) * 2006-11-10 2008-05-15 Yamaha Corporation Social networking system
JP2009087040A (ja) * 2007-09-28 2009-04-23 Fujifilm Corp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の自動取得方法、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の自動取得システ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0229B2 (en) 2011-06-14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1172524B2 (en) 2011-06-14 2021-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101232790B1 (ko) * 2011-08-03 2013-03-15 유엔젤주식회사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앱 공유 방법
WO2014119883A1 (en) * 2013-01-31 2014-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US10264430B2 (en) 2013-01-31 201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US10701537B2 (en) 2013-01-31 2020-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US11218860B2 (en) 2013-01-31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WO2016195414A1 (ko) * 2015-06-05 2016-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서버 및 단말기
US10856144B2 (en) 2015-06-05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server, and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389B1 (ko) 201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45081A (ja) データ伝送方法、サーバ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datatransmittingmethodserverandtransmittingsystem)
KR101526837B1 (ko)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9356823B2 (en) Providing and receiving content for computer networks using a gateway and server
CN103298068A (zh) 用于发现在无线通信网络中的装置的方法和设备
EP35281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content
RU2600545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JPH11120205A (ja) 文脈に基づいてドキュメント関連情報を検索し、転送する方法及び装置
SG185479A1 (en) Communication device, distribution system, distributio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istribution data processing program
CN10226378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系统
US201403725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100934989B1 (ko)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0026983A (ja) 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並びに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CN104301384A (zh) 数据获取方法、装置及系统
JP4651690B2 (ja) 家電ログインシステム
KR101700389B1 (ko) 데이터 전송방법, 서버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JP2007115260A (ja) 情報提供方法、表示制御端末装置、情報提供装置、端末装置、設定装置、アタッチメント及び記録媒体
US201702515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transferring contents
JP2014011702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WO2010098096A1 (ja) 携帯端末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ブックマーク管理サーバ、ブックマーク管理システム、ブックマーク管理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ブックマーク管理サーバ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2132566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20200024536A (ko)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KR101759563B1 (ko) 콘텐츠 요청 장치 및 방법과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JP2015184826A (ja) 中継装置、中継方法、中継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6070371A1 (zh) 移动终端和web终端之间互连及流传输和流媒体播放的方法
JP5497807B2 (ja) コンテンツ取得システム、コンテンツ取得方法、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