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075A - 이축 인장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축 인장 방법 - Google Patents

이축 인장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축 인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075A
KR20110050075A KR1020090106910A KR20090106910A KR20110050075A KR 20110050075 A KR20110050075 A KR 20110050075A KR 1020090106910 A KR1020090106910 A KR 1020090106910A KR 20090106910 A KR20090106910 A KR 20090106910A KR 20110050075 A KR20110050075 A KR 20110050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die
punch
guid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8118B1 (ko
Inventor
이영선
김대용
권용남
강성훈
이광석
김상우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06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1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5/00Working sheet metal of limited length by stretching, e.g. for straightening
    • B21D25/02Working sheet metal of limited length by stretching, e.g. for straightening by pulling over a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축 인장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축 인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가의 유압장비를 배제하고 프레스에서 이축 인장 물성을 측정함으로써 비용을 절감시킨 이축 인장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축 인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축 인장 금형 장치는 상부 테이블과 상기 상부 테이블의 저면 모서리부에 형성된 복수의 피가이드부와 상기 피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펀치부를 포함하는 상부 금형과, 하부 테이블과 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면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가이드부의 수직 이동을 유도하는 복수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펀치부의 수직 가압으로 수평 이동되는 복수의 다이부를 포함하는 하부 금형 및 상기 다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다이부의 수평 이동에 의해 이축 인장되는 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 금형, 하부 금형, 펀치부, 다이부, 경사, 슬라이딩 유도부

Description

이축 인장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축 인장 방법{MOLD APPARATUS FOR BI-AXIAL TENTION AND METHOD FOR BI-AXIAL TENTION TEST}
본 발명은 이축 인장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축 인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축 인장 물성을 측정함에 있어서 비용을 절감시킨 이축 인장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축 인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 판재는 압연공정을 거치면서 제조되므로 판재의 압연방향과 압연수직방향과는 성질이 다른 이방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금속 판재의 이방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주로 항복 곡면이 사용된다.
상기 항복 곡면을 통하여 금속 판재 소재의 이방성 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 특히, 항복 곡면을 수식화하여 금속 판재의 소성변형 거동을 전산 모사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금속 판재의 성형 공정에서 이축 인장 응력을 받는 조건이 많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측정하여 전산 모사에 이용할 때, 보다 정밀한 예측 결과를 도출할 수 있 다. 특히, 항복 곡면에서 등 이축 인장 응력 조건에서의 데이터 값은 항복 곡면의 형상을 결정짓는 값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등 이축 인장 응력은 일축 인장 곡선과 등 이축 인장 곡선상에서 응력비를 통하여 구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금속 판재의 이축 인장 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두개의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등 이축 인장 물성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응력비에서의 이축 인장 물성을 측정할 수 있으나, 유압 실린더를 두개나 사용해야 하므로 장비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 판재의 이축 인장 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유압을 이용한 부풀림 시험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도 장비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가의 유압장비를 배제하고 프레스에서 이축 인장 물성을 측정함으로써 비용을 절감시킨 이축 인장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축 인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축 인장 금형 장치는 상부 테이블과 상기 상부 테이블의 저면 모서리부에 형성된 복수의 피가이드부와 상기 피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펀치부를 포함하는 상부 금형과, 하부 테이블과 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면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가이드부의 수직 이동을 유도하는 복수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펀치부의 수직 가압으로 수평 이동되는 복수의 다이부를 포함하는 하부 금형 및 상기 다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다이부의 수평 이동에 의해 이축 인장되는 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부는 상기 펀치부의 수직 가압으로 상기 펀치부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다이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부에 상기 다이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유도부가 형성된 지지부재 및 상기 다이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시편과 결합되는 시편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는 상부에 상기 시편이 위치한 방향으로 경사진 피가압면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부는 하부에 상기 피가압면과 대응하는 경사진 가압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는 상기 펀치부의 수직 가압으로 상기 시편으로부터 각각 전·후·좌·우로 이동되며 상기 시편을 이축 인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편체결부는 상기 시편을 결합시키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편은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편은 모서리부에 상기 체결공과 대응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과 체결홀에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시편체결부와 시편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가이드부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가이드부의 중공부로 삽입되며 상기 피가이드부의 수직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축 인장 방법은 십자형 시편을 본 발명에 따른 이축 인장 금형 장치의 다이부에 체결하는 시편 결합단계 및 상부 금형의 펀치부를 하부 금형의 다이부에 수직 가압시켜 상기 다이부의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시편을 이축 인장시키는 시편 인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편 결합단계는 상기 다이부에 포함된 시편체결부에 상기 시편을 결합하되, 상기 시편체결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시편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체결홀을 서로 대응시키고 결합부재를 관통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편 인장단계는 상기 상부 금형의 피가이드부에 형성된 중공부가 상기 하부 금형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펀치부가 상기 다이부에 포함된 다이를 가압하며 수직 이동하는 다이 가압공정 및 상기 펀치부의 수직 가압으로 상기 다이가 수평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다이에 결합된 시편이 전·후·좌·우로 이축 인장되는 시편 이축 인장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편 이축 인장공정은 상기 다이의 상부와 상기 펀치부의 하부에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펀치부의 수직 가압으로 상기 다이가 전·후·좌·우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축 인장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축 인장 방법에 의하면 고가의 유압장비를 배제하고 프레스에서 이축 인장 물성을 측정함으로써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축 인장 금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축 인장 금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200) 및 시편(30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금형(100)은 상부 테이블(110)과, 피가이드부(120) 및 펀치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테이블(110)은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가이드부(120)는 상기 상부 테이블(110)의 저면 모서리부에 복수로 형성되되, 중공부(121)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펀치부(130)는 상기 피가이드부(120) 사이에 형성되되, 하부에 가압면(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면(131)은 후술할 피가압면(231a)이 가지는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금형(200)은 하부 테이블(210)과, 가이드부(220) 및 다이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테이블(210)은 상기 상부 테이블(110)과 동일하게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20)는 상기 하부 테이블(210)의 상면 모서리부에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피가이드부(120)의 수직 이동을 유도한다.
상기 가이드부(220)는 그 직경이 상기 피가이드부(120)의 중공부(121)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피가이드부(120)의 중공부(121)로 내삽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금형(100)이 상기 하부 금형(200)으로 수직 이동할 경우, 상기 피가이드부(120)는 중공부(121)에 상기 가이드부(220)를 내삽하며 수직 이동할 수 있고, 이때, 상기 가이드부(220)는 상기 피가이드부(120)의 수직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피가이드부는 그 직경이 상기 가이드부의 중공부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상부 금형이 하부 금형으로 수직 이동될 때, 상기 피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중공부에 내삽되며 그 이동이 유도될 수 있다.
상기 다이부(230)는 상기 가이드부(220) 사이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펀치부(130)의 수직 가압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다이부(230)는 다이(231)와, 지지부재(232) 및 시편체결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231)는 상기 펀치부(130)의 수직 가압으로 상기 펀치부(130)의 이 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이(231)는 상부에 상기 시편(300)이 위치한 방향으로 경사진 피가압면(231a)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피가압면(231a)은 상기 펀치부(130)에 형성된 가압면(131)과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펀치부(130)가 수직 하방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다이(231)는 상기 가압면(131)과 피가압면(231a)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수직 하방에 수직인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32)는 상기 가이드부(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32)는 상부에 상기 다이(231)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유도부(23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유도부(232a)는 상기 다이(231)가 상기 펀치부(130)의 가압으로 이동될 때, 상기 다이(231)의 수평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시편체결부(233)는 상기 다이(231)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시편(300)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편체결부(233)는 상기 다이(231)의 내 측에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시편(300)을 결합시키는 복수의 체결공(233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십자형 시편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기 시편(300)은 상기 다이부(230)에 결합되어 상기 다이부(230)의 수평 이동에 의해 이축 인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편(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모서리부에 상기 체결공(233a)과 대응하는 체결홀(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공(233a)과 체결홀(310)에 결합부재(미도시)가 삽입되어 상기 시편체결부(233)와 시편(300)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편(300)은 상기 펀치부(130)의 수직 가압으로 상기 다이(231)가 상기 시편(300)으로부터 각각 전·후·좌·우로 이동될 경우, 이축 인장될 수 있다.
도 2a는 상부 금형의 펀치부가 하부 금형의 다이를 가압하기 직전인 경우 이축 인장 금형 장치를 보여주는 도이고, 도 2b는 상부 금형의 펀치부가 하부 금형의 다이를 가압 중인 경우 이축 인장 금형 장치를 보여주는 도이며, 도 2c는 상부 금형의 펀치부가 하부 금형의 다이를 가압 완료한 경우 이축 인장 금형 장치를 보여주는 도이다.
상기 시편(30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편체결부(233)에 결합 되어 상기 다이(231)에 고정되며,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부(130)의 가압으로 상기 다이(23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다이(231)의 수평 이동으로 이축 인장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축 인장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축 인장 방법의 일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축 인장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 결합단계(S10) 및 시편 인장단계(S20)를 포함한다.
상기 시편 결합단계(S10)는 십자형 시편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축 인장 금형 장치(1)의 다이부(230)에 체결하는 단계이다.
상기 시편 결합단계(S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다이부(230)에 포함된 시편체결부(233)에 상기 시편(300)을 결합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시편체결부(233)에 형성된 체결공(233a)과 상기 시편(300)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체결홀(310)을 서로 대응시키고 결합부재(미도시)를 상기 체결공(233a)과 체결홀(310)에 관통시켜 상기 시편체결부(233)와 시편(300)을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시편 인장단계(S20)는 상부 금형(100)의 펀치부(130)를 하부 금형(200)의 다이부(230)에 수직 가압시켜 상기 다이부(230)의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다이부(230)에 결합된 상기 시편(300)을 이축 인장시키는 단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축 인장 방법 중 시편 인장단계의 일 블록도이다.
상기 시편 인장단계(S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 가압공정(S21) 및 시편 이축 인장공정(S22)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 가압공정(S2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금형(100)의 피가이드부(120)에 형성된 중공부(121)가 상기 하부 금형(200)의 가이드부(220)를 포함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펀치부(130)가 상기 다이부(230)에 포함된 다이(231)를 가압하며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는 공정이다.
상기 시편 이축 인장공정(S22)은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부(130)의 수직 가압으로 상기 다이(231)가 수평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다이(231)에 결합된 시편(300)이 전·후·좌·우로 이축 인장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펀치부(130)의 하부에 형성된 가압면(131)과 상기 다이(231)의 상부에 형성된 피가압면(231a)은 경사면에 의해 수직 방향의 힘을 수평 방향으로 변화시키게 되고, 상기 다이(300)의 시편체결부(233)에 결합된 십자형 시편(300)은 상기 다이(231)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전·후·좌·우로 이축 인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축 인장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축 인장 방법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축 인장 금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a는 상부 금형의 펀치부가 하부 금형의 다이를 가압하기 직전인 경우, 이축 인장 금형 장치를 보여주는 도.
도 2b는 상부 금형의 펀치부가 하부 금형의 다이를 가압 중인 경우, 이축 인장 금형 장치를 보여주는 도.
도 2c는 상부 금형의 펀치부가 하부 금형의 다이를 가압 완료한 경우, 이축 인장 금형 장치를 보여주는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십자형 시편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축 인장 방법의 일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축 인장 방법 중 시편 인장단계의 일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이축 인장 금형 장치
100:상부 금형 110:상부 테이블
120:피가이드부 121:중공부
130:펀치부 131:가압면
200:하부 금형 210:하부 테이블
220:가이드부 230:다이부
231:다이 231a:피가압면
232:지지부재 232a:슬라이딩 유도부
233:시편체결부 233a:체결공
300:시편 310:체결홀
S10:시편 결합단계
S20:시편 인장단계
S21:다이 가압공정
S22:시편 이축 인장공정

Claims (12)

  1. 상부 테이블과, 상기 상부 테이블의 저면 모서리부에 형성된 복수의 피가이드부와, 상기 피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펀치부를 포함하는 상부 금형;
    하부 테이블과, 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면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가이드부의 수직 이동을 유도하는 복수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펀치부의 수직 가압으로 수평 이동되는 복수의 다이부를 포함하는 하부 금형; 및
    상기 다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다이부의 수평 이동에 의해 이축 인장되는 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인장 금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부는,
    상기 펀치부의 수직 가압으로 상기 펀치부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다이;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부에 상기 다이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유도부가 형성된 지지부재; 및
    상기 다이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시편과 결합되는 시편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인장 금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는 상부에 상기 시편이 위치한 방향으로 경사진 피가압면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부는 하부에 상기 피가압면과 대응하는 경사진 가압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인장 금형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는 상기 펀치부의 수직 가압으로 상기 시편으로부터 각각 전·후·좌·우로 이동되며 상기 시편을 이축 인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인장 금형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체결부는 상기 시편을 결합시키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인장 금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은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인장 금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은 모서리부에 상기 체결공과 대응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과 체결홀에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시편체결부와 시편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인장 금형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이드부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가이드부의 중공부로 삽입되며 상기 피가이드부의 수직 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인장 금형 장치.
  9. 십자형 시편을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이축 인장 금형 장치의 다이부에 체결하는 시편 결합단계; 및
    상부 금형의 펀치부를 하부 금형의 다이부에 수직 가압시켜 상기 다이부의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시편을 이축 인장시키는 시편 인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인장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결합단계는,
    상기 다이부에 포함된 시편체결부에 상기 시편을 결합하되, 상기 시편체결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시편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체결홀을 서로 대응시키고 결합부재를 관통시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인장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인장단계는,
    상기 상부 금형의 피가이드부에 형성된 중공부가 상기 하부 금형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펀치부가 상기 다이부에 포함된 다이를 가압하며 수직 이동하는 다이 가압공정; 및
    상기 펀치부의 수직 가압으로 상기 다이가 수평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다이에 결합된 시편이 전·후·좌·우로 이축 인장되는 시편 이축 인장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인장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이축 인장공정은,
    상기 다이의 상부와 상기 펀치부의 하부에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펀치부의 수직 가압으로 상기 다이가 전·후·좌·우로 수평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인장 방법.
KR1020090106910A 2009-11-06 2009-11-06 이축 인장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축 인장 방법 KR101118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10A KR101118118B1 (ko) 2009-11-06 2009-11-06 이축 인장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축 인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10A KR101118118B1 (ko) 2009-11-06 2009-11-06 이축 인장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축 인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075A true KR20110050075A (ko) 2011-05-13
KR101118118B1 KR101118118B1 (ko) 2012-03-12

Family

ID=4436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910A KR101118118B1 (ko) 2009-11-06 2009-11-06 이축 인장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축 인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1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2055A (zh) * 2016-03-15 2016-08-10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利用单轴试验机进行变比例双轴加载的强度试验卡具
CN112461652A (zh) * 2020-11-06 2021-03-09 中国人民解放军火箭军工程大学 一种由单轴驱动转换成双轴变比例拉伸的材料性能测试装置及方法
KR20210037910A (ko) * 2019-09-30 2021-04-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홀확장성 평가장치 및 홀확장성 평가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4721A (ja) 1997-09-17 1999-04-09 Nkk Corp 2軸材料試験装置
US6860156B1 (en) * 2004-05-24 2005-03-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mbined in-plane shear and multi-axial tension or compression testing apparatus
JP2007026810A (ja) * 2005-07-14 2007-02-01 Toyota Auto Body Co Ltd 流路形成部材の製造方法、流路形成部材の成形方法、燃料電池用メタルセパレータの流路形成部材及び成形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2055A (zh) * 2016-03-15 2016-08-10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利用单轴试验机进行变比例双轴加载的强度试验卡具
CN105842055B (zh) * 2016-03-15 2018-05-18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利用单轴试验机进行变比例双轴加载的强度试验卡具
KR20210037910A (ko) * 2019-09-30 2021-04-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홀확장성 평가장치 및 홀확장성 평가방법
CN112461652A (zh) * 2020-11-06 2021-03-09 中国人民解放军火箭军工程大学 一种由单轴驱动转换成双轴变比例拉伸的材料性能测试装置及方法
CN112461652B (zh) * 2020-11-06 2024-03-19 中国人民解放军火箭军工程大学 一种单轴驱动转换成双轴变比例拉伸的测试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8118B1 (ko) 201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118B1 (ko) 이축 인장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축 인장 방법
CN104677706B (zh) 一种变厚板等截面积单向拉伸实验试样的制备方法
CN102519806A (zh) 简易型纤维板抗弯测试仪及测试方法
CN103257075B (zh) 一种防止薄板平面内压缩失稳的夹持装置
CN101164715A (zh) 一种诱发板料回弹的非对称拉伸成形模具
KR20130053069A (ko) 인장 압축 시험장치의 시편 클램핑구조
CN201787887U (zh) 一种汽车后备门检定两用工具
CN202092915U (zh) 一种服装面料拉伸强度测试仪
CN108398328A (zh) 十字形试样双向拉伸测试装置
CN107589031B (zh) 一种校验拉压反力架
CN201281575Y (zh) 一种新型汽车前端骨架右支架的检测装置
CN202485996U (zh) 一种真实应力-应变曲线的测定装置
CN205843642U (zh) 一种测量产品尺寸的检测治具
CN209945226U (zh) 一种五金冲压件快速变形校准治具
CN203502295U (zh) 方管压扁试验模具
CN204301907U (zh) 拉力测试装置
CN102914720A (zh) 屏幕测试治具
CN203798268U (zh) 一种用于汽车前缓冲横梁中前右吸能盒总成的检具
CN106052613A (zh) 一种测量产品尺寸的检测治具
KR101800651B1 (ko) 판형소재 가압시험장치
CN202582882U (zh) 一种按键测试治具
CN103962417B (zh) 一种冲压件翘曲检测装置
CN105352793A (zh) 一种用于航空金属材料剪切试验的夹具及其应用
CN207703193U (zh) 平面度检测校型系统
CN212721268U (zh) 适用于大端面零件的平面度检测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