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043A - 유저장치 및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동기판정방법 - Google Patents

유저장치 및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동기판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043A
KR20110048043A KR1020117002999A KR20117002999A KR20110048043A KR 20110048043 A KR20110048043 A KR 20110048043A KR 1020117002999 A KR1020117002999 A KR 1020117002999A KR 20117002999 A KR20117002999 A KR 20117002999A KR 20110048043 A KR20110048043 A KR 20110048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downlink
synchronization
base station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1004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djustment in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유저장치에 있어서, DRX 상태 또는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가 유지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동기상태를 판정하는 것.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국(100)에 있어서,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확립하고 있는 접속상태이고, 그리고, 간헐수신상태인 경우에, 무선기지국(200)에 의해 송신된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된 RSRP와,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통지된 Qrxlevmin을 비교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한다.

Description

유저장치 및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동기판정방법 { USER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DOWNLINK SYNCHRONIZATION FOR USER DEVICE }
본 발명은,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통신에 간헐수신 제어가 적용되는 유저장치 및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동기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WCDMA이나 HSDPA의 후계가 되는 통신방식, 즉 LTE(Long Term Evolution)가, WCDMA의 표준화단체 3GPP에 의해 검토되고,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규정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OFDMA는,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주파수대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며, 서브캐리어를 주파수상에, 일부 겹치게 하면서도 서로 간섭하지 않게 촘촘하게 나열함으로써, 고속전송을 실현하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올릴 수 있다.
SC―FDMA는, 주파수대역을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간에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전송방식이다. SC―FDMA에서는, 송신전력의 변동이 작아지는 특징으로 갖음으로써, 단말의 저소비 전력화 및 넓은 커버리지를 실현할 수 있다.
LTE에 있어서는, 간헐수신(DRX:Discontinuous Reception) 제어가 적용된다. 간헐수신 제어는, 무선기지국과 유저장치가 접속중이고, 그리고, 통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되며, 간헐수신상태에 있는 유저장치는, 주기적으로, 즉, 간헐적으로 하향링크의 제어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한다. 이 경우, 유저장치는, 모든 타이밍이 아니라, 간헐적으로 PDCCH를 수신하면 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것(배터리 세이빙)이 가능해진다. 상기 간헐수신 제어에 있어서의, 간헐적으로 하향링크의 제어채널(PDCCH)을 수신하는 시간구간은, DRX의 ON 구간, 또는, On―duration이라 불린다. 또, On―duration의 주기는, DRX 주기(DRX Cycle)라 불린다.
이동체 통신에 있어서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통신상태가 감시되며,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의 통신상태가 열화된 경우에는, 그 열화된 통신상태를 회복시키기 위해, 접속상태의 재구축을 수행하는 처리가, 무선기지국 또는 이동국(UE)에서 수행된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무선품질을 감시하고, 상기 무선품질이 열화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국에 대해,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의 재구축을 지시하거나, 혹은, 접속상태의 재구축을 지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행기술문헌
비특허문헌
비특허문헌 1:3GPP TS 36.211 (V8.3.0)“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May 2008
비특허문헌 2:3GPP TS 36.300 (V8.4.0)“E-UTRA and E-UTRAN Overall description," March. 2008
비특허문헌 3:3GPP TS 36.213 (V8.3.0)“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 4.2.4Transmission timing adjustments, May 2008
비특허문헌 4:3GPP TS 36.321 (V8.2.0)“E-UTRA MAC protocol specification," 5.2Maintenance of Uplink Time Alignment, May 2008
비특허문헌 5:R4-081399, "Out of synchronization detection in E-UTRAN, June 2008
비특허문헌 6:3GPP TS 36.214, "E-UTRA Physical layer―Measurements", May 2008
그런데, 간헐수신상태에 있어서는, 무선기지국과 이동국(UE)과의 사이에서 타이밍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제어신호인 Timing Advance가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UE)에 대해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가 유지되고 있지 않을 확률이 높아진다.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가 유지되고 있지 않는 경우, 이동국(UE)은 상향링크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간헐수신상태인 경우는, 무선기지국과 이동국(UE)이 접속중이라도, 이동국(UE)은 상향링크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을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무선기지국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송신으로부터 통신환경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간헐수신상태인 경우에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의 통신상태가 열화되었다고 해도, 그 열화된 통신상태를 적절하게 회복시킬 수 없다는 과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간헐수신상태 또는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가 유지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동기상태를 판정할 수 있는 유저장치 및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동기판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저장치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하향링크의 신호의 무선품질을 측정하는 무선품질 측정부와, 하향링크의 제어채널의 감시결과로부터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통신이 간헐수신상태인지 여부를 관리하는 상태 관리부와, 상기 상태 관리부로부터 간헐수신상태인지 여부가 통지되며,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확립하고 있는 접속상태이고, 그리고, 간헐수신상태인 경우에, 상기 무선품질 측정부에서 측정된 무선품질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는 동기 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이 따르면, 간헐수신상태에는 하향링크의 신호의 무선품질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기 때문에, 유저장치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통신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지시되지 않고, 통신상태에 따른 적절한 처리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유저장치는,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확립하고 있는 접속상태이고, 그리고, 간헐수신상태인 경우와,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확립하고 있는 접속상태이고, 그리고, 간헐수신상태가 아닌 경우에서,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동기판정방식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이 따르면, 간헐수신상태와 비간헐수신상태에서 각각의 통신상태에 맞춰 적절한 동기판정방식으로 전환하여 하향링크의 동기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헐수신상태 또는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가 유지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동기상태를 판정할 수 있는 유저장치 및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동기판정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 및 무선기지국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에 구비한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있어서 CQI값의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있어서 다른 CQI값의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동기판정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동기판정을 위한 다른 흐름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이하의 실시 예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며,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 및 무선기지국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예를 들면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 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이며, 무선기지국(eNB:eNode B)(200)과 복수의 이동국(UE:User Equipment)(100n(1001, 1002, 1003, … 100n, n은 n>0 정수))을 구비한다. 무선기지국(200)은, 상위국,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와 접속되고,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코어 네트워크(400)와 접속된다. 여기서, 이동국(100n)은 셀(50)에 있어서 무선기지국(200)과 Evolved UTRA and UTRAN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MME/SGW(Mobility Management Entity/Serving Gateway)라 불려도 좋다.
이하, 이동국(100n(1001, 1002, 1003, … 100n)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 기능, 상태를 갖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특단의 단서가 없는 한 이동국(100n)으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설명의 편의상, 무선기지국과 무선통신하는 것은 이동국이나, 보다 일반적으로는 이동단말도 고정단말도 포함하는 유저장치(UE:User Equipment)이다.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주파수 분할 다원접속),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접속)가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FDMA는,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주파수대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SC―FDMA는, 주파수대역을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전송방식이다.
여기서, Evolved UTRA and UTRAN에 있어서의 통신채널에 대해 설명한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국(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과, 하향링크의 제어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이용된다. 즉, 하향링크채널은,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과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가리킨다. 하향링크에서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의해,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에 맵핑되는 유저의 정보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에 맵핑되는 유저의 정보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등이 통지되고,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패킷 데이터가 전송된다. 또,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상술한 PDCCH, PDSCH에 더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를 전송하는 PHICH(Physical Hybrid Indicator Channel)가 송신된다.
또한,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에 맵핑되는 트랜스포트 채널은 하향링크 공유채널(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이다. 즉, 패킷 데이터는, DL―SCH에 맵핑된다. 또, 상기 DL―SCH에는, 논리채널로서, U―plane의 신호인 DTCH나 C―plane의 신호인 DCCH, 알림정보인 BCCH 등이 맵핑된다.
또, 상술한,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에 맵핑되는 유저의 정보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라 불린다. 상기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Downlink Assignment Information 또는 Downlink Scheduling Grant라 불려도 좋다. 또,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에 맵핑되는 유저의 정보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라 불린다. 상기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는, 묶어서, 하향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 불려도 좋다.
또,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파일럿신호로서, 하향링크 레퍼런스신호(DL RS:Downlink Reference Signal)가 송신된다. 하향링크 레퍼런스신호는, 예를 들면, 이동국에 의해 하향링크의 채널 추청이나 무선품질의 측정이 이용된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국(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 이용된다. 또한, LTE의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CQI나 Scheduling Request, 하향링크의 공유채널(DL―SCH)의 송달확인정보(Acknowledgement Information)는, 그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이 송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PUSCH에 다중하여 송신되고, 그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이 송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또한, 상기 CQI나 Scheduling Request, Acknowledgement Information 등의 제어신호가, 상기 PUSCH에 다중하여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PUSCH에 맵핑된다는 구성이어도 좋으며, 혹은, 상기 제어신호가 맵핑되는 제어채널이 상기 PUSCH에 다중된다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LTE의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상기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과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더해, 랜덤 액세스용의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이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의 상향링크에서는, 상기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 또는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의해,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공유채널의 스케줄링, 적응 변복조·부호화(AMCS: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이용하기 위한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하향링크의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HARQ ACK information)가 전송된다. 또,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패킷 데이터가 전송된다.
또한,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에 맵핑되는 트랜스포트 채널은 상향링크 공유채널(UL―SCH:Uplink Shared Channel)이다. 즉, 패킷 데이터는, UL―SCH에 맵핑된다.
또한, 상술한 패킷 데이터란, 예를 들면, Web browsing이나 FTP, VoIP 등에 따른 IP 패킷이나, Radio Resource Control(RRC)의 처리를 위한 제어신호 등이다. 상기 패킷 데이터는, 유저 데이터라 불려도 좋다. 또, 상기 패킷 데이터는, 트랜스포트 채널로서의 호칭법은, 예를 들면 DL―SCH나 UL―SCH여도 좋으며, 논리채널로서의 호칭법은, 예를 들면, 개별 트래픽 채널(DTCH:dedicated traffic channel)이나 개별 제어채널(DCCH:dedicated control channel)이어도 좋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선기지국(20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무선기지국(200)은, 송수신 안테나(202)와, 앰프부(204)와, 송수신부(206)와,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8)와, 호처리부(210)와,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구비한다.
하향링크에 의해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이동국(100n)으로 송신되는 패킷 데이터는, 무선기지국(200)의 상위에 위치하는 상위국,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8)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8)에서는, PDCP layer의 송신처리, 패킷 데이터의 분할·결합 (Segmentation, Concatenation), RLC(radio link control) 재송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layer의 송신처리, MAC 재송제어, 예를 들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송신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처리가 수행되고, 송수신부(206)에 전송된다. 또, 상기 패킷 데이터에 더해, 알림채널에 의해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이동국(100n)으로 송신되는 알림정보도, 동일한 송신처리가 수행되고, 송수신부(206)에 전송된다.
송수신부(206)에서는,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8)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처리가 실시되고, 그 후, 앰프부(204)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202)로부터 송신된다.
한편, 상향링크에 의해 이동국(100n)으로부터 무선기지국(200)으로 송신되는 패킷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202)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신호가 앰프부(204)에서 증폭되며, 송수신부(206)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신호로 변환되고,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8)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8)에서는, 입력된 베이스밴드신호에 대해, FFT 처리, IDFT 처리, 오류정정 복호, MA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RLC layer의 수신처리, PDCP layer의 수신처리 등이 이루어지고,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서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에 전송된다.
여기서, 패킷 데이터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VoIP에 있어서의 음성신호나, FTP, 스트리밍, Web browsing 등의 각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송되는 신호이다.
호처리부(210)는,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통신상태의 관리, 무선기지국(200)의 상태관리나 리소스 할당을 수행한다.
또, 호처리부(210)는, 알림채널에 의해 이동국(100n)에 통지하는 시스템 인포메이션을 생성한다. 상기 시스템 인포메이션은,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8), 송수신부(206), 앰프부(204), 송수신 안테나(202)를 통해, 이동국(100n)으로 송신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 인포메이션은, 예를 들면, 다이나믹 알림채널(D―BCH:Dynamic Broadcast Channel)에 의해 전송된다. 또한, 상기 다이나믹 정보채널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System Information Block 2(SIB2)나 System Information Block 3(SIB3), System Information Block 4(SIB4) 등이다.
여기서, 호처리부(210)는, 상기 시스템 인포메이션 중의 일부 정보로서, Qrxlevmin(혹은, q-Rxlevmin)을, 이동국(100n)으로 송신한다. 또한, 호처리부(210)는, 상기 Qrxlevmin의 값을, 셀 반경이나 셀 내의 혼잡도, 시스템 대역폭, 셀 내의 재권수, 해당 셀이 도시부에 존재하는지 교외지역에 존재하는지의 정보 등에 기초하여, 설정해도 좋다.
상기 Qrxlevmin은, Cell Selection을 위한 정보의 일부로서 정의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에,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Qrxlevmin에 기초한 권외 판정의 일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대기상태란, Idle 상태여도 좋다.
이동국(100n)은, 대기상태에 있어서, 재권하는 셀을 선택하는 Cell Selection의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국(100n)은, Cell Selection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레벨인 RSRP와, 상기 Qrxlevmin을 비교하여, 상기 RSRP가 상기 Qrxlevmin보다 큰 경우, 즉,
RSRP > Qrxlevmin
인 경우, 상기 셀을 재권하는 셀로서 선택하고, 상기 이외의 경우, 즉,
RSRP ≤ Qrxlevmin
인 경우에, 상기 셀을 재권하는 셀로서 선택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한다.또한, 재권한다고 하여 선택가능한 셀이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국(100n)은, 권외가 된다. 또, RSRP>Qrxlevmin인 셀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장 RSRP가 큰 셀이 재권하는 셀로서 선택된다.
또한, 상술한 판정에 있어서는, Srxlev = RSRP-Qrxlevmin이라는 메트릭을 정의하고,
Srxlev>0인 경우에, 상기 셀을 재권하는 셀로서 선택하고, 상기 이외의 경우, 즉, Srxlev≤0인 경우에, 상기 셀을 재권하는 셀로서 선택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상기 셀을 재권하는 셀로서 선택한다'란, '상기 셀에 관해 Cell Selection의 판단기준을 만족시킨다'는 의미여도 좋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이동체 통신에 있어서는, 상향링크의 셀 반경과 하향링크의 셀 반경은 공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향링크의 셀 반경은, 이동국의 송신전력에 상한이 있기 때문에, 하향링크의 셀 반경에 비해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일반적인 셀 설계에 있어서는, 옥내나 옥외, 도시부나 교외지역 등의 셀 형태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셀 반경이 결정되고, 하향링크의 셀 반경이, 상기 상향링크의 셀 반경과 일치하도록,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하향링크의 셀 반경은, 예를 들면, 상기 Qrxlevmin의 값에 기초하여 조절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Qrxlevmin의 값을 크게 한 경우, RSRP의 값이 보다 높은 경우가 아니면 Cell Selection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결과로서 셀 반경이 작아진다. 혹은, Qrxlevmin의 값을 작게 한 경우, RSRP의 값이 보다 낮은 경우라도, Cell Selection이 수행되기 때문에, 결과로서 셀 반경이 커진다.
즉, 대기상태에 있어서는, 무선기지국(200)과 이동국(100n)과의 사이에 커넥션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무선기지국(200)은, 상기 Qrxlevmin을 이용하여, 이동국(100n)이 권외가 되는지 여부의 조절을 수행한다.
또한, Qrxlevmin은, 예를 들면, 상기 셀에 있어서의 최소의 수신레벨 혹은 최소의 소요 수신레벨이라 불려도 좋다.
또, Qrxlevmin은, 알림정보 중의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중의 정보요소의 하나로서,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이동국(100n)에 통지되어도 좋다.
혹은, 호처리부(210)는, 상기 Qrxlevmin을, 무선리소스 제어 메시지(RRC message)에 의해, 이동국(100n)으로 송신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Qrxlevmin은, Handover command 신호의 일부로서 통지되어도 좋다. 혹은, 상기 Qrxlevmin은, Connection Release 신호의 일부로서 통지되어도 좋다.
또한, 이동국(100n)에 통지되는 상기 Qrxlevmin은, 이동국(100n)이 Idle 상태, 즉, 대기상태에 있어서, 이동국(100n)이, 서비스 권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RSRP의 값의 임계값으로서 이용된다.
또, 이동국(100n)에 통지되는 상기 Qrxlevmin은, 이동국(100n)이 RRC connected 상태, 즉, RRC 접속상태이고, 그리고, 간헐수신상태(DRX 상태)인 경우에, 이동국(100n)이, 서비스 권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RSRP의 값의 임계값으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또, 이동국(100n)에 통지되는 상기 Qrxlevmin은, 이동국(100n)이 RRC connected 상태, 즉, RRC 접속상태이고, 그리고, 상향링크에 있어서 타이밍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는 상태인 경우에, 이동국(100n)이, 서비스 권내에 위치하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RSRP의 값의 임계값으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서비스 권내에 위치한다란, 예를 들면, 무선품질적으로 통신가능한 에어리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혹은, 이동국(100n)이 서비스 권내에 위치한다란, 예를 들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있어서, 동기상태를 확립하는 것이 가능한 에어리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100n)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국(100n)은, 안테나(102)와, 앰프부(104)와, 송수신부(106)와,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8)와, 호처리부(110)와 애플리케이션부(112)를 구비한다.
무선기지국(200)에 의해 송신된 하향링크의 신호는, 안테나(102)에서 수신되고, 상기 안테나(102)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신호가 앰프부(104)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106)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신호로 변환된다. 이 베이스밴드신호는,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8)에서 FFT 처리나, 오류정정 복호 등의 수신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8)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를 이용하여,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이 측정된다. 그리고, 하향링크의 품질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에 관한 판정처리가 수행된다.
한편, 상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부(112)로부터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8)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8)에서는, PDCP 레이어의 처리나, 패킷 데이터의 분할·결합(Segmentation·Concatenation), RLC(radio link control) 재송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처리나, 재송제어(H―ARQ(Hybrid ARQ))의 송신처리 등의 MAC 레이어의 송신처리, 채널 부호화, DFT 처리, IFFT 처리 등이 수행되고 송수신부(106)에 전송된다. 송수신부(106)에서는,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8)로부터 입력된 베이스밴드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처리가 실시되고, 그 후, 앰프부(104)에서 증폭되어 송수신부(102)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상술한 패킷 데이터란, 예를 들면, Web browsing이나 FTP, VoIP 등에 따른 IP 패킷이나, Radio Resource Control(RRC)의 처리를 위한 제어신호 등이다. 또, 패킷 데이터는, 논리채널로서의 호칭법은, 예를 들면, 개별 트래픽 채널(DTCH:Dedicated Traffic Channel)이나 DCCH(DCCH:Dedicated Control Channel)이다.
다음으로,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8)의 구성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8)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1080)와, CP 제거부(1081)와, FFT(1082)와, DeMUX(1083)와, 데이터신호 복호부(1084)와, 하향링크 레퍼런스신호 수신부(1085)와, 하향링크 무선품질 측정부(1086)와, 동기상태 판정부(1087)와, MAC 처리부(1088)와, RLC 처리부(1089)와, 신호 생성부(1090)와, 송신 처리부(1091)와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를 구비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1080)는, 송수신부(106)로부터 입력된 베이스밴드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신호를 CP 제거부(1081)에 입력한다.
CP 제거부(1081)는 수신 심볼로부터 CP를 제거하고, 유효 심볼 부분을 남겨, 상기 유효 심볼 부분을 FFT(1082)에 입력한다. 고속 푸리에 변환부(FFT)(1082)는, 입력된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고, OFDM 방식의 복조를 수행하고, 복조된 신호를 분리부(DeMUX)(1083)에 입력한다.
분리부(DeMUX)(1083)는, 수신신호로부터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와 데이터신호를 분리하여,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를 하향링크 레퍼런스신호 수신부(1085)에 입력하고, 데이터신호를 데이터신호 복호부(1084)에 입력한다.
하향링크 레퍼런스신호 수신부(1085)는, 입력된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수신한 데이터신호에 어떤 채널 보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즉, 채널 추정값을 산출한다. 하향링크 레퍼런스신호 수신부(1085)는, 산출한 채널 추정값을 데이터신호 복호부(1084)에 입력한다. 또, 하향링크 레퍼런스신호 수신부(1085)는,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와 채널 추정값을, 하향링크 무선품질 측정부(1086)에 입력한다.
데이터신호 복호부(1084)는, 하향링크 레퍼런스신호 수신부(1085)로부터 채널 추정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추정결과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데이터신호를 보상하며,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신호를 복원한다. 여기서, 데이터신호란,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송신된 알림채널이나 하향링크의 공유채널, 하향링크의 제어채널의 신호이다. 여기서, 상기 알림채널이란,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리 알림채널(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이나 다이나믹 알림채널(D―BCH:Dynamic Broadcast Channel)이다. 또, 하향링크의 제어채널이란,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에 맵핑되고 있는 DL Scheduling Information, UL Scheduling Grant 등이다. 또, 데이터신호 복호부(1084)는, 상기 채널에 더해, 상기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위한 송달확인정보가 맵핑되고 있는 물리 HARQ 인디케이터 채널(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에 관해, 복호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데이터신호 복호부(1084)는, 복호 후의 데이터신호를 MAC 처리부(1088)에 입력한다. 또, 데이터신호 복호부(1084)는, P―BCH나 D―BCH에 포함되는 정보를 취득하여, 필요에 따라, 이동국(100n) 내부의 각부에 통지한다.
하향링크 무선품질 측정부(1086)는, 하향링크 레퍼런스신호 수신부(1085)로부터,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와 채널 추정값을 수신한다. 그리고, 하향링크 무선품질 측정부(1086)는, 상기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와 채널 추정값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을 측정한다. 여기서,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이란, 예를 들면, Channel Quality Indicator(CQI)나,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 SIR,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 등이다.
이하, 더 자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면, 하향링크 무선품질 측정부(1086)는,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을 산출하고, SIR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참조 테이블을 이용하여 CQI를 산출해도 좋다. 표 1에는, CQI와 SIR의 값과의 대응이 나타난다.

CQI

SIR[dB]의 값(이하에서는 X라 기재한다)

0

X<-3.5dB

1

-3.5dB≤X<-1.5dB

2

-1.5dB≤X<0.5dB

3

0.5dB≤X<2.5dB
·
·
·
·
·
·

15

24.5dB≤X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값은 어디까지나 일 예이며, 적절한 다른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또, 표 1에 나타나는 SIR의 값은, 예를 들면, 소정의 변조방식, 리소스블록수, 데이터 사이즈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소정의 오류율 이하에서 수신가능한 SIR이며, 미리 평가되어, 상기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되어도 좋다.
여기서, 하향링크 무선품질 측정부(1086)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스템대역 전체의 주파수대역에 관한 평균값을 산출해도 좋으며, 시스템대역의 중심에 위치하는, 바꿔 말하면 시스템대역의 중심 주파수를 포함하는 1.08MHz의 주파수대역에 관한 평균값을 산출해도 좋다. 도 5에는, 시스템대역의 중심 주파수를 포함하는 6개의 리소스블록이 나타나 있다. 도 5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이다. 시스템대역의 중심에 위치하는 1.08MHz의 주파수대역은, LTE에 있어서는 동기채널(SCH:Synchronization Channel, 혹은, Synchronization Signal)이 송신되는 주파수대역이다. 혹은, 리소스블록마다의 CQI값을 산출해도 좋으며, 혹은, 보다 유연하게, 시스템대역 내의 임의로 설정되는 주파수대역에 관한 CQI값을 산출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시스템대역 전체의 주파수대역에 관한 평균값은, Wideband CQI라 불려도 좋다.
혹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리소스블록을 그룹화한 주파수대역(이하, 리소스블록 그룹이라 부른다)마다의 CQI값을 산출해도 좋다. 도 6에 있어서는, 일 예로서 5개의 리소스블록을 그룹화하여, 하나의 리소스블록 그룹으로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이다. 또, 리소스블록마다 혹은 리소스블록 그룹마다의 CQI값을 산출하는 경우, CQI값이 큰 쪽부터 M개(M은, M>0의 정수)의 리소스블록 혹은 리소스블록 그룹의 CQI값을 산출해도 좋다. 상기 M의 값은, 알림정보 혹은 RRC message에 의해,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지정된다. 혹은, 이동국(100n)은, 상기 리소스블록 혹은 리소스블록 그룹의 CQI값을 전부 산출하여, 그 산출한, 리소스블록 혹은 리소스블록 그룹마다의 값을 무선기지국(200)에 보고해도 좋다. 또한, 상기 리소스블록 그룹마다의 CQI값은, Subband CQI라 불려도 좋다. 또, 상기 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리소스블록 그룹 내의 리소스블록수를 5로 하고 있으나, 5 이외의 값이어도 좋다.
그리고, 하향링크 무선품질 측정부(1086)는, 산출한 CQI값을 동기상태 판정부(1087)와, 신호 생성부(1090)에 입력한다.
혹은, 하향링크 무선품질 측정부(1086)는, 상술한 CQI값을 구하기 위해 산출한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을, 하향링크의 무선품질로서, 동기상태 판정부(1087)에 입력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도, CQI와 마찬가지로, 주파수방향의 측정구간은, 시스템대역 전체여도 좋으며, 시스템대역의 중심에 위치하는 6리소스블록이어도 좋으며, 몇 개의 리소스블록이 그룹화된 리소스블록 그룹이어도 좋다.
또, 하향링크 무선품질 측정부(1086)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로서, RSRP를 산출하고, 상기 RSRP를 동기상태 판정부(1087)에 입력한다.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란,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이다. 하향링크 무선품질 측정부(1086)는, 하향링크 레퍼런스신호 수신부(1085)에 의해 입력된,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와 채널 추정값을 이용하여,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을 산출한다.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의 정의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6 참조). 또한, RSRP에 관해서도, CQI와 마찬가지로, 주파수방향의 측정구간은, 시스템대역 전체여도 좋으며, 시스템대역의 중심에 위치하는 6리소스블록이어도 좋으며, 몇 개의 리소스블록이 그룹화된 리소스블록 그룹이어도 좋다.
혹은, 하향링크 무선품질 측정부(1086)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로서, RSRQ를 산출하고, 상기 RSRQ를 동기상태 판정부(1087)에 입력한다.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Power)란,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을, 하향링크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로 나눈 값이다. 여기서, RSSI란, 이동국에 있어서 관측되는 토탈 수신레벨이며, 열잡음이나 타(他) 셀로부터의 간섭전력, 자(自) 셀로부터의 희망신호의 전력 등의 전체를 포함한 수신레벨이다. (RSRQ의 정의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6 참조). 또한, RSRQ에 관해서도, CQI와 마찬가지로, 주파수방향의 측정구간은, 시스템대역 전체여도 좋으며, 시스템대역의 중심에 위치하는 6리소스블록이어도 좋으며, 몇 개의 리소스블록이 그룹화된 리소스블록 그룹이어도 좋다. 또한, 하향링크 무선품질 측정부(1086)가 RSRQ를 측정하는 경우,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FFT(1082)에서 고속 푸리에 변환이 수행된 신호가, 직접, 하향링크 무선품질 측정부(1086)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혹은, CP 제거부(1081)에 입력되기 전의 신호가, 직접, 하향링크 무선품질 측정부(1086)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하향링크 무선품질 측정부(1086)로부터 CQI값과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과 RSRP와 RSRQ를 수신한다. 또,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알림채널 또는 RRC message를 통해 송신된 Qrxlevmin을 수신한다. 그리고, 각 CQI값과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과 RSRP와 RSRQ 등이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한다.
여기서,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상기 이동국(100n)이 간헐수신상태(DRX 상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도 7에 도시하는 흐름도에 따라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이동국(100n)은 RRC connected 상태인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또한, RRC connected 상태란, 무선기지국(200)과 이동국(100n)과의 사이에서, RRC 레이어의 관점에서 커넥션이 구축되어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상기 이동국(100n)이 간헐수신상태(DRX 상태)인 경우에는(단계 S1), RSRP와, 상기 Qrxlevmin을 이용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한다(단계 S2). 즉,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RSRP의 값이 Qrxlevmin 미만인 경우에 동기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단계 S3), RSRP의 값이 Qrxlevmin 이상인 경우에 동기는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한다(단계 S4). 예를 들면, Qrxlevmin의 값으로서, ―130dBm이라는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130dBm이라는 값은 일 예이며, 상기 이외의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RSRP값을 이용하여 동기상태를 판정하는 경우에, 히스테리시스를 이용하여 판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동기가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RSRP값이 소정의 Qrxlevmin 미만인 경우에 동기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RSRP값이 'Qrxlevmin+2dB' 이상인 경우에 동기는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해도 좋다. 또한, 2dB가 히스테리시스에 상당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 '간헐수신상태(DRX 상태)인 경우'란, 'DRX Inactivity Timer가 만료되어 있는 경우'는 의미여도 좋다. 즉, '간헐수신상태(DRX 상태인)'란,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 있어서, 송수신해야 하는 패킷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고, 유저장치는, DRX 제어에 있어서의 On―duration 구간에 있어서만, 하향링크의 제어채널인 PDCCH를 모니터한다는 상태여도 좋다.
혹은, 반대로, '간헐수신상태(DRX 상태)가 아닌 경우'란,
DRX에 관련하는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혹은,
DRX에 관련하는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고, 그리고,
DRX inactivity timer가 구동되고 있는, 혹은,
DRX retransmission timer가 구동되고 있는, 혹은,
MAC contention resolution timer가 구동되고 있는, 혹은,
PUCCH의 스케줄링 리퀘스트가 Pending이 되어 있는, 혹은,
상향링크의 HARQ 재송의 재송 타이밍인, 혹은,
명시적으로 통지된 RA 프리앰블에 대한 RA 리스펀스의 수신 후, 유저장치의 C―RNTI가 지정된 PDCCH를 수신하고 있지 않는
상태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이외의 상태가, 간헐수신상태(DRX 상태)에 상당한다.
여기서,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RSRP값이 소정의 Qrxlevmin 미만인 상태가 소정의 시간간격 T1 이상 연속한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예에 있어서, 'RSRP값이 Qrxlevmin 미만인 상태가 소정의 시간간격 T1 이상 연속한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는 처리를 수행하는 대신에, 'RSRP값이 Qrxlevmin 미만인 상태가, 소정의 측정횟수, 혹은, 측정기회 T1 이상 연속한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여기서, 혹은,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간격 T1에 있어서의, RSRP값이 소정의 임계값 Qrxlevmin 미만인 시간의 비율이 소정의 임계값 TH1 이상인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소정의 시간간격 T1이란, 예를 들면, 200ms여도 좋다. 혹은, 상기 TH1의 값으로서, 예를 들면 50%라는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200ms나 50%라는 값은 일 예이며, 상기 이외의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한편,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1회라도 RSRP값이 Qrxlevmin 이상인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해도 좋다. 혹은,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RSRP값이 Qrxlevmin 이상인 상태가 소정의 시간간격 T1 이상 연속한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예에 있어서, 'RSRP값이 Qrxlevmin 이상인 상태가 소정의 시간간격 T1 이상 연속한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한다'는 처리를 수행하는 대신에, 'RSRP값이 Qrxlevmin 이상인 상태가, 소정의 측정횟수, 혹은, 측정기회 T2 이상 연속한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한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혹은,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간격 T1에 있어서의, RSRP값이 Qrxlevmin 이상인 시간의 비율이 소정의 임계값 TH1 이상인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T1의 값으로서, 예를 들면 200ms이라는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혹은, 상기 TH1의 값으로서, 예를 들면 50%라는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200ms나 50%라는 값은 일 예이며, 상기 이외의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200)과 이동국(100n)과의 사이의 통신이 간헐수신상태인 경우에, 단계 S2의 처리에서는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신호전력과 임계값 Qrxlevmin을 비교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간헐수신상태인 경우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동기판정방식은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Qrxlevmin와의 비교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CQI, 레퍼런스신호의 수신레벨, 또는 RSRQ와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통지되는 임계값을 비교하는 판정방식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라도, 간헐수신상태인 경우의 하향링크의 동기판정방식은,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권외판정 또는 Cell Selection의 판정의 방법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간헐수신상태에 있어서의 동기판정방식과,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권외판정이 동일함으로써, 이동국의 실장(實裝)의 복잡함(Complexity)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혹은, 예를 들면, 단계 S2의 처리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CQI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레벨(RSRP), RSRQ 중의 복수에 관해,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통지되는 임계값을 비교하여, 하향링크의 동기판정이 수행되어도 좋다.
한편,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상기 이동국(100n)이 간헐수신상태(DRX 상태)가 아닌 경우, 즉, Non―DRX 상태인 경우에는,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과, 임계값 TH2를 이용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해도 좋다.
즉,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의 값이 임계값 TH2 미만인 경우에(단계 S5),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단계 S3),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이 TH2 이상인 경우에(단계 S5),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한다(단계 S4). 예를 들면, 임계값 TH2의 값으로서, ―6dB이라는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6dB이라는 값은 일 예이며, 상기 이외의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을 이용하여 동기상태를 판정하는 경우에, 히스테리시스를 이용하여 판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동기가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이 TH2 미만인 경우에 동기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이 'TH2+2dB' 이상인 경우에 동기는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해도 좋다. 또한, 2dB가 히스테리시스에 상당한다.
여기서,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이 소정의 TH2 미만인 상태가 소정의 시간간격 T2 이상 연속한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예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이 TH2 미만인 상태가 소정의 시간간격 T2 이상 연속한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는 처리를 수행하는 대신에,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이 TH2 미만인 상태가, 소정의 측정횟수, 혹은, 측정기회 T2 이상 연속한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여기서, 혹은,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간격 T2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이 소정의 임계값 TH2 미만인 시간의 비율이 소정의 임계값 TH3 이상인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소정의 시간간격 T2란, 예를 들면, 200ms여도 좋다. 혹은, 상기 TH3의 값으로서, 예를 들면 50%라는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200ms나 50%라는 값은 일 예이며, 상기 이외의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한편,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1회라도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이 TH2 이상인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해도 좋다. 혹은,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이 TH2 이상인 상태가 소정의 시간간격 T2 이상 연속한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예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이 TH2 이상인 상태가 소정의 시간간격 T2 이상 연속한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한다'는 처리를 수행하는 대신에,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이 TH2 이상인 상태가, 소정의 측정횟수, 혹은, 측정기회 T2 이상 연속한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한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혹은,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간격 T2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SIR이 TH2 이상인 시간의 비율이 소정의 임계값 TH3 이상인 경우에,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하향링크의 동기는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T2의 값으로서, 예를 들면 200ms이라는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혹은, 상기 TH3의 값으로서, 예를 들면 50%라는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200ms나 50%라는 값은 일 예이며, 상기 이외의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임계값 TH2는, 예를 들면, 이동국(100n) 내부의 파라미터로서 보유되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200)과 이동국(100n)과의 사이의 통신이 간헐수신상태가 아닌 경우에, 단계 S5의 처리에서는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 SIR과 임계값 TH2을 비교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간헐수신상태가 아닌 경우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동기판정방식은 레퍼런스신호의 수신 SIR과 임계값 TH2와의 비교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CQI, 레퍼런스신호의 수신레벨, 또는 RSRQ와 임계값 TH4를 비교하는 판정방식을 채용해도 좋다.
이하에, Non―DRX 상태에서,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는 무선품질로서, RSRP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를 이하에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수신전력 RSRP보다도, SIR이, 보다 통신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전력 RSRP가 높은 경우에 있어서도, 간섭전력 또는 잡음전력이 높은 경우, 통신의 품질은 열화된다. 한편, 수신전력 RSRP가 높고, 그리고, 간섭전력 혹은 잡음전력이 높은 경우, SIR의 I 부분이 커지기 때문에, SIR의 값은 작아지고, 상기 열화된 통신의 품질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술한 SIR의 I 부분은, 타 셀의 혼잡상황이나 페이딩 등에 의해 격하게 변동하는 값이며, SIR 그 자체의 값도 크게 변동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술한 하향링크의 동기상태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동기상태가 확립되어 있다/되어 있지 않다'의 판정이 불안정할 확률이 높아진다.
즉, SIR은, 수신전력 RSRP에 비해, 보다 직접적으로 통신의 품질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나, 동기상태의 판정의 불안정이 커진다는 경향이 있다.
이상의 성질을 감안하면,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되지 않는 DRX 상태에 있어서는, 동기상태의 판정의 불안정을 억제하기 위해, 수신전력 RSRP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되는 Non―DRX 상태에 있어서는, 동기상태의 판정의 불안정이 커지는 디메릿(demerit)이 존재했다고 해도, 보다 통신의 품질을 직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SIR을 이용하는 등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직접적으로 통신의 품질을 나타내는 SIR을 이용하는 등 제어가 유효해진다. 즉, 상술한, DRX 상태와 Non―DRX 상태에서 다른 무선품질(RSRP와 SIR)을 이용함으로써, DRX 상태 및 Non―DRX 상태의 각각에 적합한 동기상태의 판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국(100n)이 간헐수신상태(DRX 상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는 대신에, 상기 이동국(100n)이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해방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해방되어 있는 상태란, 무선기지국(200)과 이동국(100n)과의 사이에서,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가 유지되고 있지 않는 상태를 가리킨다. 여기에서,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가 유지되고 있지 않는 상태란, 타임 얼라인먼트 타이머가 만료되어 있는 상태, 혹은, 타임 얼라인먼트 타이머가 기동되고 있지 않는 상태라는 의미여도 좋다. 또한,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해방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의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에서 관리되고, 동기상태 판정부(1087)에 통지된다.
도 8은 상기 이동국(100n)이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해방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동국(100n)은,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Timing Advance를 수신한 타이밍으로부터 Time Alignment Timer를 기동, 혹은, 재기동하고, Time Alignment 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는 유지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간헐수신상태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는, 무선기지국(200)과 이동국(100n)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주고받음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Timing Advance도 송신되지 않는다. 즉, 간헐수신상태에 있어서는,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가 유지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헐수신상태 대신에, 상향링크의 리소스 해방상태를 판단하고(단계 S10), 상향링크의 리소스 해방상태에 따라,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다른 판정방식인 단계 S2와 단계 S5를 전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동기상태 판정부(1087)는, 이동국(100n)의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호처리부(110)(상위 레이어)와, 신호 생성부(1090)에 통지한다. 또한, 호처리부(110)는, 동기상태 판정부(1087)로부터 하향링크의 동기상태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는 정보를 수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구간, 그 상태(하향링크의 동기상태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는 상태)가 계속된 경우에, 무선기지국(200)과 이동국(100n)과의 사이의 커넥션을 재구축하는 처리를 수행한다고 결정하고, 상기 커넥션을 재구축하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상기 커넥션을 재구축하는 처리는, 예를 들면,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라 불려도 좋다.
MAC 처리부(1088)는, 데이터신호 복호부(1084)로부터, 복호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이나 UL Scheduling Grant,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수신한다.
MAC 처리부(1088)는, 입력된 UL Scheduling Grant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유저 데이터의 송신 포맷의 결정이나, MAC 레이어에 있어서의 재송제어(HARQ) 등의 송신처리를 수행한다. 즉, 데이터신호 복호부(1084)로부터 입력된 UL Scheduling Grant에 의해,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상향링크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받은 경우에는, 이동국(100n) 내의 데이터 버퍼에 존재하는 패킷 데이터에 관해, 송신 포맷의 결정이나 재송제어(HARQ) 등의 송신처리를 수행하고, 그 패킷 데이터를 신호 생성부(1090)에 부여한다.
MAC 처리부(1088)는, 하향링크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데이터신호 복호부(1084)로부터 수신한 DL Scheduling Information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MA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 MAC 처리부(1088)는,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상기 이동국(100n) 앞으로 송신된 PDCCH, 즉,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이나 Uplink Scheduling Grant를 감시하고, 그 감시결과를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에 통지한다.
또, MAC 처리부(1088)는,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상기 이동국(100n) 앞으로 송신된 Timing Advance을 수신하고, 그 수신결과를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와 신호 생성부(1090)를 통해, 송신 처리부(1091)에 통지한다.
RLC(Radio Link Control) 처리부(1089)는, 상향링크에 관해서는, 패킷 데이터의 분할·결합(Segmentation·Concatenation), RLC(radio link control) 재송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처리를 수행하고, 하향링크에 관해서는, 패킷 데이터의 분할·결합(Segmentation·Concatenation), RL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수신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RLC 처리부(1089)에 있어서는, 상기 RLC 레이어의 처리에 더해, PDCP layer의 처리가 수행되어도 좋다.
또, RLC 처리부(1089)는,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송신되는 알림채널이나 RRC message에 포함되는 정보를, 호처리부(110)에 통지한다.
신호 생성부(1090)는, 동기상태 판정부(1087)로부터, 이동국(100n)의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수신하고, CQI 산출부(1086)로부터, CQI값을 수신한다.
신호 생성부(1090)는, 상향링크에서 송신하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이나 Sounding RS, 상향링크의 제어채널, 예를 들면,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나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 신호(랜덤 액세스 채널) 등의 신호 생성처리, 예를 들면, 부호화나 데이터 변조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처리가 수행된 후의 신호가, 송신 처리부(1091)로 송신된다.
또, 신호 생성부(1090)는, 동기상태 판정부(1087)로부터, 이동국(100n)의 하향링크의 동기상태에 관해,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는 상태라는 판정결과를 수신한 경우에, 상향링크의 송신을 정지해도 좋다. 혹은, 신호 생성부(1090)는, 동기상태 판정부(1087)로부터, 이동국(100n)의 하향링크의 동기상태에 관해,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는 상태라는 판정결과를 수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구간, 그 상태(하향링크의 동기상태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는 상태)가 계속된 경우에, 상향링크의 송신을 정지해도 좋다. 결과로서, 이동국(100n)은, 상향링크의 동기상태가 확립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상향링크의 신호란, 예를 들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이나 Sounding RS, 상향링크의 제어채널, 예를 들면,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나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 등이다.
또, 신호 생성부(1090)는,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로부터, 상기 이동국(100n)이, 상기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에서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가 확립되어 있는 상태에 없다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향링크의 송신을 정지한다. 또한, 상향링크의 신호란, 예를 들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이나 Sounding RS, 상향링크의 제어채널, 예를 들면,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나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 등이다.
또한, 신호 생성부(1090)는,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는 경우, 혹은, 상기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에서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도, 랜덤 액세스 채널만은 송신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즉, 신호 생성부(1090)는,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랜덤 액세스 채널 이외의 신호의 송신처리를 정지한다.
혹은, 신호 생성부(1090)는,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랜덤 액세스 채널도 포함한 모든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처리를 정지해도 좋다.
송신 처리부(1091)는, DFT 처리나 IFFT 처리, CP 삽입처리 등의 송신처리를 수행한다.
또, 송신 처리부(1091)는, MAC 처리부(1088)로부터, 신호 생성부(1090)를 경유하여 통지된 Timing Advance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송신타이밍을 조절한다.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는, MAC 처리부(1088)로부터,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상기 이동국(100n) 앞으로 송신된 PDCCH의 감시결과와,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상기 이동국(100n) 앞으로 송신된 Timing Advance의 수신결과를 수신한다. 그리고,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는, 상기 PDCCH의 감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100n)의 DRX 상태를 관리한다. 또,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는, 상기 Timing Advance의 수신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리소스상태를 관리한다.
이하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는, 상기 이동국(100n)이 Non DRX 상태에 있는 경우에,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신규송신을 지시하는 PDCCH, 즉,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또는 Uplink Scheduling Grant를 수신한 타이밍으로부터, DRX Inactive Timer를 기동, 혹은, 재기동한다. 그리고,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는, 상기 DRX Inactive 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상기 이동국(100n)은 Non DRX 상태로부터 DRX 상태로 천이했다고 판단한다. 또한,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는, 상기 이동국(100n)이 DRX 상태에 있는 경우에, 신규송신을 지시하는 PDCCH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국(100n)은 DRX 상태로부터 Non DRX 상태로 천이했다고 판단한다. 또한, DRX 상태로서, Short DRX 상태와 Long DRX 상태의 두 종류가 정의되어도 좋다.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는, 상기 이동국(100n)이 DRX 상태에 있는지, 아니면, Non DRX 상태에 있는지의 정보를 동기상태 판정부(1087)에 통지한다.
또한,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는, 상술한 판정에 더해, 예를 들면, 스케줄링 리퀘스트가 펜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Non DRX 상태에 있다고 간주하는 등의 판정을 수행해도 좋다. 또한, 스케줄링 리퀘스트란, 이동국으로부터 무선기지국에 대해 송신되는, 상향링크의 리소스 할당을 요구하는 제어신호이다.
또,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는, 상기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에서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가 확립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Timing Advance를 수신한 타이밍으로부터, Time Alignment Timer를 기동, 혹은, 재기동한다. 여기서, Timing Advance를 수신한 타이밍에 있어서, Time Alignment Timer가 기동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Time Alignment Timer가 기동되고, Timing Advance를 수신한 타이밍에 있어서, 이미 Time Alignment Timer가 기동되고 있는 경우에는, Time Alignment Timer가 재기동된다. 그리고,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는, 상기 Time Alignment Timer가 만료된 시점에서, 상기 이동국(100n)은, 상기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에서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가 확립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타이밍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 천이했다고 판단한다. DRX 상태·상향리소스상태 관리부(1092)는, 상기 이동국(100n)이, 상기 이동국(100n)과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에서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가 확립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의 정보를 동기상태 판정부(1087)와 신호 생성부(1090)에 통지한다. 또한,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 천이한 경우, 상기 이동국(100n)은, 상향링크의 리소스를 해방한다. 즉,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가 확립되어 있는/있지 않는 상태는,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해방되어 있지 않는/되어 있는 상태와 거의 동의이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의 리소스란, 예를 들면, PUCCH의 리소스나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리소스이다. 즉, 이동국(100n)은, PUCCH의 송신이나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또한, 상술한, 상향링크의 타이밍 동기는, Uplink Time Alignment라 불려도 좋다.
호처리부(110)는, 통신채널의 설정이나 해방, 핸드오버 등의 호처리나, 이동국(100n)의 상태관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호처리부(110)는,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송신되는 알림정보나 RRC message를 수신하고, 필요에 따라, 알림정보나 RRC message에 포함되는 정보를 이동국(100n)의 각부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호처리부(110)는, 알림채널 또는 RRC message에 맵핑된 Qrxlevmin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Qrxlevmin을, 동기상태 판정부(1087)에 통지한다.
애플리케이션부(112)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 RLC 레이어, PDCP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국(100n)이 간헐수신상태(또는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해방된 상태)인 경우에는, RSRP와, 무선기지국(200)으로부터 통지되는 Qrxlevmin을 이용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기 때문에, 간헐수신상태(또는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해방된 상태) 동안에도 이동국(100n)에 있어서 무선기지국(200)과의 사이의 통신상황을 적절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동국(100n)으로부터 무선기지국(200)으로의 상향링크의 송신이 없었다고 해도, 통신상황에 따른 적절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간헐수신상태(또는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해방된 상태)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무선품질과 비교하는 임계값으로서, 무선기지국(200)과의 통신을 정지하는 아이들상태시의 권외판정에 이용하는 Qrxlevmin을 이용하기 때문에, 적절한 동기판정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Qrxlevmin은, 옥내의 셀이나 옥외의 셀, 도시부의 셀이나 교외지역의 셀 등 셀의 형태에 따라 다른 값이 설정되는 값이며, 간헐수신상태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무선품질과 비교하는 임계값으로서 상기 Qrxlevmin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셀의 형태에 따른, 하향링크의 동기상태의 판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간헐수신상태에 있어서의 동기판정의 방법과, 아이들상태에 있어서의 권외판정의 방법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이동국의 실장의 복잡함(Complexity)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국(100n)이 간헐수신상태인 경우(또는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해방된 상태)와, 간헐수신상태가 아닌 경우(또는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해방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동기판정방식을 전환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간헐수신상태 및 비간헐수신상태의 각각에 있어서 적절한 동기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 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예를 기재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 및 이동국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동기판정방법은, 하향링크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모든 시스템에 있어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는/어긋나 있는'이라는 표현을 이용했으나, 이는, '하향링크의 동기가 어긋나 있는/어긋나 있지 않는'이나 'Downlink Out-of-Synchronization/Downlink In-Synchronization'이라는 표현과 동등하다.
설명의 편의상,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되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각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포함된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하향링크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통신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17)

  1.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하향링크의 신호의 무선품질을 측정하는 무선품질 측정부;
    하향링크의 제어채널의 감시결과로부터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통신이 간헐수신상태인지 여부를 관리하는 상태 관리부;
    상기 상태 관리부로부터 간헐수신상태인지 여부가 통지되며,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확립하고 있는 접속상태이고, 그리고, 간헐수신상태인 경우에, 상기 무선품질 측정부에서 측정된 무선품질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는 동기 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판정부는,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확립하고 있는 접속상태이고, 그리고, 간헐수신상태인 경우와,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확립하고 있는 접속상태이고, 그리고, 간헐수신상태가 아닌 경우에서,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동기판정방식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품질 측정부는, 간헐수신상태인 경우의 동기판정방식에 이용하기 위한 제1 무선품질과, 간헐수신상태가 아닌 경우의 동기판정방식에 이용하기 위한 제2 무선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동기 판정부는, 간헐수신상태인 경우에는 제1 무선품질과 제1 임계값을 비교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고, 간헐수신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제2 무선품질과 제2 임계값을 비교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판정부는, 제1 무선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도 높은 경우에,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제1 무선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도 낮은 경우에,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의 신호는,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이며, 상기 제1 무선품질은, 상기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판정부는, 제1 임계값이 알림정보 또는 RRC message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7.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판정부는, 상기 제1 임계값으로서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최소 수신레벨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수신레벨은, Qrxlev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9. 제 3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품질 측정부는, 제1 무선품질로서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을 측정하고, 제2 무선품질로서,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 SIR,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레벨, 채널품질 인디케이터(Channel Quality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동기 판정부는, 간헐수신상태인 경우에는,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전력과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간헐수신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하향링크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 SIR, 수신레벨, 또는 채널품질 인디케이터 중 어느 것과 제2 임계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판정부가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하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1.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하향링크의 신호의 무선품질을 측정하는 무선품질 측정부;
    상향링크의 리소스상태를 관리하는 상태 관리부;
    상기 상태 관리부로부터 상향링크의 리소스상태가 통지되고,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확립하고 있는 접속상태이고, 그리고,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해방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에, 상기 무선품질 측정부에서 측정된 무선품질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는 동기 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판정부는,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확립하고 있는 접속상태이고, 그리고,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해방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와,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확립하고 있는 접속상태이고, 그리고,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할당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에서,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동기판정방식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의 리소스는, 상향링크의 제어채널의 리소스와, 사운딩용의 레퍼런스신호의 리소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4. 제 1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해방되어 있는 상태란, 상향링크의 송신 타이밍의 동기가 유지되고 있지 않는 상태를 가리키며,
    상기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할당되어 있는 상태란, 상향링크의 송신 타이밍의 동기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5.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하향링크에서 수신된 신호의 무선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하향링크의 제어채널의 감시결과로부터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통신이 간헐수신상태인지 여부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확립하고 있는 접속상태이고, 그리고, 간헐수신상태인 경우에, 상기 무선품질 측정부에서 측정된 무선품질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동기판정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알림정보 또는 RRC message를 이용하여 통지되는 제1 임계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간헐수신상태에서는, 상기 제1 임계값과, 하향링크에서 수신된 신호의 무선품질을 비교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동기판정방법.
  17.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하향링크에서 수신된 신호의 무선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상향링크의 리소스상태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확립하고 있는 접속상태이고, 그리고, 상향링크의 리소스가 해방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에, 하향링크의 신호의 무선품질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동기판정방법.
KR1020117002999A 2008-08-11 2009-08-11 유저장치 및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동기판정방법 KR201100480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07129 2008-08-11
JPJP-P-2008-207129 2008-08-11
PCT/JP2009/064159 WO2010018818A1 (ja) 2008-08-11 2009-08-11 ユーザ装置及びユーザ装置における下りリンクの同期判定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043A true KR20110048043A (ko) 2011-05-09

Family

ID=4166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999A KR20110048043A (ko) 2008-08-11 2009-08-11 유저장치 및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동기판정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98031B2 (ko)
EP (1) EP2315481A4 (ko)
JP (1) JP5373798B2 (ko)
KR (1) KR20110048043A (ko)
CN (1) CN102119563B (ko)
WO (1) WO20100188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7112B2 (en) * 2008-11-07 2013-06-04 Motorola Mobility Llc Radio link performance predi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EP2417813A1 (en) * 2009-04-07 2012-02-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to user equipment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5048746B2 (ja) * 2009-12-09 2012-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無線リンク状態管理方法及び集積回路
WO2011155498A1 (ja) * 2010-06-07 2011-12-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移動通信方法
KR20120067856A (ko) * 2010-12-16 2012-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의 저전력 운용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20130170415A1 (en) 2011-04-04 2013-07-04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terminal
KR20140002011A (ko) * 2011-04-04 2014-01-07 쿄세라 코포레이션 이동 통신 방법 및 무선 단말
US9220024B2 (en) * 2011-06-15 2015-12-22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cell siz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860635B2 (ja) * 2011-08-24 2016-02-16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US9369960B2 (en) * 2011-09-08 2016-06-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on based on switching discontinuous reception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9049661B2 (en) * 2011-09-14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for HARQ decoding
JP6031039B2 (ja) * 2011-10-21 2016-11-24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US9094988B2 (en) * 2012-01-17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on a secondary carrier
US8737375B2 (en) 2012-07-25 2014-05-27 At&T Mobility Ii Llc Code plann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8565771B1 (en) 2012-08-23 2013-10-22 At&T Mobility Ii Llc Handover relation identification utilizing network events
US9485061B2 (en) * 2012-10-12 2016-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with flexible repeat-respons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2906013B1 (en) * 2012-11-02 2019-01-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uplink signal
US8942128B2 (en) * 2012-11-27 2015-01-27 At&T Mobility Ii Llc Detection and prevention of heavy congestion in a wireless network
US9288716B2 (en) 2012-11-30 2016-03-15 At&T Mobility Ii Llc Resour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9020509B1 (en) * 2013-03-12 2015-04-2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ynamic Qrxlevmin and Sintrasearch values to optimize intra- and inter-frequency handovers in LTE
KR102071372B1 (ko) * 2013-09-16 2020-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포밍을 고려한 drx 제어 방법 및 장치
US9769644B2 (en) * 2014-03-14 2017-09-19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US10122500B2 (en) * 2015-08-26 2018-11-06 Apple Inc. Efficient sparse network resource usage and connection release
EP3373658B1 (en) * 2015-11-05 2020-10-21 NTT DoCoMo, Inc. User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GB2545697B (en) 2015-12-22 2020-01-08 Airties Kablosuz Iletism Sanayi Ve Disticaret As Dynamic channel selection and DFS re-entry
US11122543B2 (en) * 2017-03-08 2021-09-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side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JP6885907B2 (ja) * 2018-09-20 2021-06-16 Kddi株式会社 待ち受け状態で端末装置が通信を行う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834608B1 (en) 2019-07-16 2020-1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model-driven automated cell allocation in fifth generation (5G) or other advanced networks
US11832294B2 (en) 2021-12-02 2023-11-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assignment of root sequence indexes while minimizing network change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8364B1 (en) * 1996-01-31 2004-05-18 Nokia Mobile Phones Limited Radio receivers and methods of operation
JP3169841B2 (ja) 1996-09-12 2001-05-28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CN1132487C (zh) * 1998-11-04 2003-12-24 西门子公司 把监视相邻信道所需要的中断阶段最优化的方法
JP2001148650A (ja) * 1999-11-19 2001-05-29 Sanyo Electric Co Ltd 無線基地局
JP4417519B2 (ja) * 2000-03-30 2010-02-17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移動局とその消費電流低減方法
US6625467B2 (en) * 2000-07-13 2003-09-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dle mode reacquisition and handoff in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
US6748234B1 (en) * 2000-11-21 2004-06-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78138B2 (en) * 2002-10-28 2005-12-20 Qualcomm Incorporated Inter-RAT cell re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0492564B1 (ko) * 2003-03-05 200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 온오프 제어 임계값 결정방법
US8565684B2 (en) * 2003-10-14 2013-10-2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verse link transmission
ATE468685T1 (de) * 2004-09-27 2010-06-15 Panasonic Corp Fehlerratenmessung in der funkverbindungssteuerungsschicht zur steuerung der dienstqualität eines drahtlosen kommunikationssystems
US7430420B2 (en) * 2004-12-23 2008-09-30 Lucent Technologies Inc. Cell selection and inter-frequency handover
KR100895166B1 (ko) * 2006-04-21 2009-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품질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080026744A1 (en) * 2006-07-27 2008-01-31 Nokia Corporation Providing dynamically controlled CQI technique adapted for available signaling capacity
WO2008035905A1 (en) * 2006-09-19 200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by connected mode user equip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80130548A1 (en) * 2006-11-03 2008-06-05 Nokia Corporation Control signaling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point-to-multipoint over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nformation
JP4634362B2 (ja) * 2006-12-11 2011-02-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端末、そ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同期確立判定方法
KR101312876B1 (ko) * 2006-12-13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측정 방법 및 장치
ZA200903764B (en) * 2006-12-20 2010-08-25 Ericsson Telefon Ab L M A method and arrangements for an event triggered DRX cycle adjustment
US8072963B2 (en) * 2007-02-14 2011-12-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from DRX timing de-synchronization in LTE—ACTIVE
EP2835924B1 (en) * 2007-03-19 2017-03-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hannel state feedback delivery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4879054B2 (ja) * 2007-03-20 2012-02-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方法
US20100136992A1 (en) * 2007-04-24 2010-06-03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method, radio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processor
US8830818B2 (en) * 2007-06-07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Forward handover under radio link failure
KR101616172B1 (ko) * 2007-06-18 2016-04-27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액세스 기술간 셀 재선택을 위한 방법
KR101486352B1 (ko) * 2007-06-18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상태 제어방법
TWI486031B (zh) * 2007-08-03 2015-05-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不連續接收、胞元再選擇及rach系統層次資訊處理方法及wtru
WO2009088824A1 (en) * 2008-01-02 2009-07-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anual cell detection and selection procedures
US8265682B2 (en) * 2008-03-18 2012-09-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cheduling request usage in DRX mode in wireless networks
WO2009116912A1 (en) * 2008-03-19 2009-09-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 base station for detecting loss of synchronization
WO2009117634A1 (en) * 2008-03-21 2009-09-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long drx cycle in a lte ( e-utr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20090262704A1 (en) * 2008-04-18 2009-10-22 Amit Khetawat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ment of Asynchronous Transfer Mode Based Bearer Connection between a Network Controller and Core Network
WO2010092422A1 (en) * 2008-07-14 2010-08-1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limit periodic uplink transmissions
US20100027510A1 (en) * 2008-08-04 2010-02-04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idle handoff to support femto cells
US9137733B2 (en) * 2011-03-15 2015-09-15 At&T Mobility Ii Llc Dynamic control of cell reselection parame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19563A (zh) 2011-07-06
EP2315481A4 (en) 2015-05-13
WO2010018818A1 (ja) 2010-02-18
JPWO2010018818A1 (ja) 2012-01-26
US8798031B2 (en) 2014-08-05
JP5373798B2 (ja) 2013-12-18
US20110182224A1 (en) 2011-07-28
EP2315481A1 (en) 2011-04-27
CN102119563B (zh)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3798B2 (ja) ユーザ装置及びユーザ装置における下りリンクの同期判定方法
KR102103761B1 (ko) UE eDRX 하에서 셀 검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U201921065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having a user equipment-centric medium access control layer
EP2860883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all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5684487B (zh) 通信系统
US9473966B2 (en) Enabling reporting of non-real-time MDT measurements
KR101761964B1 (ko) 비-실시간 엠디티 측정들의 보고
EP27658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lecting a cell in heterogeneous network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103367A1 (en) User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control method
US20110201324A1 (en) Reporting of Non-Real-Time MDT Measurements
US20150351151A1 (en) Drx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and associated base station for facilitating anr measurement
US202003517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dio link failure reporting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8236436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方法
US2022023243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operation in unlicensed b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818326B2 (en)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