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254A - Led 구동 회로, led 조명등 기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Led 구동 회로, led 조명등 기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254A
KR20110046254A KR1020100084026A KR20100084026A KR20110046254A KR 20110046254 A KR20110046254 A KR 20110046254A KR 1020100084026 A KR1020100084026 A KR 1020100084026A KR 20100084026 A KR20100084026 A KR 20100084026A KR 20110046254 A KR20110046254 A KR 20110046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current
phase controlled
voltage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9344B1 (ko
Inventor
아츠시 카나모리
야스히로 마루야마
요시키 이쿠타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00084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3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46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LED 구동 회로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가능하고, 교번 전압을 입력해서 LED를 구동한다. 상기 LED 회로는 LED 구동 전류를 상기 LED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류를 추출하는 전류 추출기, 및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수반되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의 개시 후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전류 추출기를 동작시키는 추출 타이밍 조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LED 구동 회로, LED 조명등 기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LED DRIVE CIRCUIT, LED ILLUMINATION FIXTURE, LED ILLUMINATION DEVICE, AND LED ILLUMINATION SYSTEM}
본 발명은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뿐만 아니라, LED를 광원으로 하는 LED 조명등 기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ED는 낮은 전류 소비 및 긴 서비스 수명 등의 특징을 가지며, LED 응용은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조명등 기구 등으로도 확장되고 있다. LED 조명등 기구에서는 종종 소망의 조도를 얻기 위해서 복수개의 LED 유닛이 사용된다.
일반적인 조명등 기구는 상용 AC 100V 전원을 보통 사용하고, 백열 전구나 다른 일반적인 조명등 기구를 대신하여 LED 조명등 기구가 사용되는 경우에 LED 조명등 기구도 일반적인 조명등 기구와 같이 상용 AC 100V 전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열 전구에 조광 제어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교류 전원 전압의 특정 위상각에서 스위칭 소자(보통, 사이리스터 소자나 트라이액 소자)를 온으로 스위칭함으로써 단일 볼륨 소자에 의해 백열 전구로의 전원 공급에 조광 제어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일반적으로, 백열광 제어라고 부름)가 사용된다. 그러나, 백열 전구가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의해 조광되는 경우에 낮은 와트수의 백열 전구가 조광기에 접속되면 플리커링이나 점멸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조광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교류 전원를 사용하는 LED 조명등 기구에 조광 제어가 적용되는 경우에 백열 전구의 조광 제어에 사용되는 동일한 유형의 위상 제어식 조광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교류 전원을 사용하는 LED 조명등 기구에 조광 제어가 적용될 수 있는 종래의 LED 조명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낸 LED 조명 시스템은 위상 제어식 조광기(2), 다이오드 브리지(DB1)와 전류 제한 회로(5)를 갖는 LED 구동 회로, 및 LED 모듈(3)을 제공한다. 교류 전원(1)과 LED 구동 회로 사이에 위상 제어식 조광기(2)가 직렬로 접속된다.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서 반고정 저항(Rvar1)의 노브(도시되지 않음)가 특정 위치에 설정되면 설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전원 위상각에서 트라이액(Tri1)이 온으로 스위칭된다. 또한,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는 커패시터(C1) 및 인덕터(L1)를 사용한 잡음 방지 회로가 제공되고, 위상 제어식 조광기(2)로부터 전원 라인으로 귀환되는 단자 잡음이 상기 잡음 방지 회로에 의해 저감된다.
도 19a는 백열 전구(8)가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 의해 동작될 때(도 18 참조)의 각 부품의 전압 및 전류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19b는 도 19a의 구간(P)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9a 및 도 19b에 있어서, VOUT2, I2 및 I9는 각각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출력 전압 파형,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서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의 파형, 백열 전구(8)에 흐르는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9a 및 도 19b에 나타낸 예에서 트리거가 발생하여 트라이액(Tri1)이 온으로 스위칭된 직후,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는 포지티브 및 네가티브 사이에서 수회 진동한 후 백열 전구(8)에 흐른다.
도 20a는 도 17에 나타낸 LED 조명 시스템이 동작되었을 때의 각 부품의 전압 및 전류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20b는 도 20a의 구간(P)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20a 및 도 20b에 있어서 VIN2, I2, 및 I3은 각각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입력 전압 파형,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서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의 파형, 및 LED 모듈(3)에 흐르는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낸 예에서 트리거가 발생하여 트라이액(Tri1)이 온으로 스위칭된 직후,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가 수회 진동하고 특정 위상각에서 트라이액(Tri1)이 온으로 스위칭되었을 때 파형은 발진하는 것처럼 되고 정상적인 조광이 성취되지 않는다. 도 20a의 구간(P)의 확대도인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가 포지티브 및 네가티브 사이에서 수회 진동한 후 트라이액(Tri1)은 오프로 스위칭되고, 그 후 다시 트리거가 발생하여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가 포지티브 및 네가티브 사이에서 수회 진동한 후 트라이액(Tri1)이 오프로 스위칭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것은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가 포지티브로부터 네가티브로 변할 때에 유지 전류 이하로 감소되어 트라이액(Tri1)이 오프로 스위칭되면 특정 시간 동안 트라이액(Tri1)이 응답하지 않는 기간이 계속되고, 이러한 기간이 경과된 후 다음 트리거가 발생할 때까지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는 유지 전류 이하이기 때문이다.
일본 특허 출원 2006-319172호 공보에 도 21에 나타낸 LED 조명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도 21에 나타낸 LED 조명 시스템은 위상 제어식 조광기(2), 다이오드 브리지(DB1), 전류 유지 수단, 정류/평활 수단, 및 LED 모듈(3)을 제공한다. 교류 전원(1)과 다이오드 브리지(DB1) 사이에 위상 제어식 조광기(2)가 직렬로 접속되고, 다이오드 브리지(DB1)와 LED 모듈(3) 사이에 전류 유지 수단 및 정류/평활 수단이 제공된다.
전류 유지 수단은 저항(R181~R186), 제너 다이오드(ZD1 및 ZD2), 트랜지스터(Q181 및 Q182), 및 커패시터(C181)로 구성된다. 전류 유지 수단에서 교류 전원(1)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이 100V 이하인 경우, 트랜지스터(Q182)는 온으로 스위칭되고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서 트라이액(Tri1)의 유지 전류에 상당하는 전류가 가해진다. 전원 전압이 100V 이하가 아닌 경우, 트랜지스터(Q182)는 오프로 스위칭된다. 트랜지스터(Q182)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서 트라이액(Tri1)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유지 전류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전류(대략 30mA)를 가한다.
그러나, 상술된 전류 유지 수단에서 트랜지스터(Q182)의 콜렉터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동안의 시간은 트랜지스터(Q182)가 온으로 스위칭되는 시간으로부터 트랜지스터(Q181)가 온으로 스위칭될 때까지의 기간이며, 트랜지스터(Q181)가 온으로 스위칭되는 것은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서 트라이액(Tri1)이 온으로 스위칭된 후 제너 다이오드(ZD1)가 온으로 스위칭될 때이다. 다시 말해,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서 트라이액(Tri1)이 급격히 상승할 때, 또는 교류 전원(1)의 전원 전압이 높아질 때와 같은 경우에서 트랜지스터(Q182)는 짧은 기간 동안 온이고, 트라이액(Tri1)의 유지 전류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전류가 짧은 시간 동안만 흐른다. 그러므로, 트라이액(Tri1)이 온으로 스위칭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상 제어식 조광기와 함께 LED가 사용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LED 플리커링을 저감할 수 있는 LED 구동 회로, 및 LED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 LED 조명등 기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LED 구동 회로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가능하고, 교번 전압을 입력해서 LED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이며, 상기 LED 구동 회로는 LED 구동 전류를 상기 LED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류를 추출하는 전류 추출기, 및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수반되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의 개시 후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전류 추출기를 동작시키는 추출 타이밍 조정기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을 입력하는 미분기를 가지며, 상기 미분기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류 추출기의 동작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분기의 출력이 일정값을 초과했을 때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전류 추출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미분기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전류 추출기의 동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미분기의 출력이 일정값을 하회할 때까지 상기 전류 추출기를 계속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미분기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전류 추출기의 전류 추출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미분기의 출력의 포락선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전류 추출기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위상 제어 소자가 오프일 때에도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전류 추출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지연 유닛을 갖고, 상기 지연 유닛의 지연 시간은 상기 미분기의 출력값과 포지티브 상관을 가지며, 상기 미분기의 출력이 일정값을 초과한 후 상기 지연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에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전류 추출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미분기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을 분압하는 분압 회로를 입력단에 가질 수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기구는 상술된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의한 LED 구동 회로, 및 상기 LED 구동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된 LED를 포함하거나, 또는 LED, 및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수반되는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에 의해 상기 LED의 플리커링을 저감하는 LED 플리커 저감 유닛을 포함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 기기는 상술된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의한 LED 구동 회로, 또는 상술된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의한 LED 조명등 기구를 포함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은 상술된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의한 LED 조명등 기구 또는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LED 조명 기기, 및 상기 LED 조명등 기구 또는 LED 조명 기기의 입력측에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위상 제어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진동 파장의 여러 주기에 대응하는 기간 동안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위상 제어 소자가 오프로 스위칭되지 않도록 방지되므로 LED가 위상 제어식 조광기와 함께 사용될 때 발생될 수 있는 플리커링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LED 조명 시스템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LED 조명 시스템의 각 부품의 전압/전류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5에 나타낸 예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의 각 부품의 전압/전류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6b는 도 5에 나타낸 예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의 각 부품의 전압/전류 파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예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의 각 부품의 전압/전류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예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의 각 부품의 전압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2는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전류 제한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기구,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 기기, 및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기구의 전반적인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종래의 LED 조명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백열 전구 조명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a는 도 18에 나타낸 백열 전구 조명 시스템의 각 부품의 전압/전류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b는 도 19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a는 도 17에 나타낸 LED 조명 시스템의 각 부품의 전압/전류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b는 도 20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LED 조명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도 17과 동일한 부품을 말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은 위상 제어식 조광기(2), LED 모듈(3), 및 LED 구동 회로(4)를 제공한다. LED 구동 회로(4)는 본 발명에 의한 LED 구동 회로의 일례이며, 다이오드 브리지(DB1), 전류 제한 회로(5), 전류 추출기(6),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7)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에서는 교류 전원(1), 위상 제어식 조광기(2), 다이오드 브리지(DB1), 전류 제한 회로(5), 및 1개 이상의 LED 소자로 구성된 LED 모듈(3)이 직렬로 접속되고, 다이오드 브리지(DB1)와 전류 제한 회로(5) 사이에 전류 추출기(6)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7)가 제공된다.
전류 추출기(6)는 LED 구동 전류를 LED 모듈(3)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 라인(LN1)으로부터 전류를 추출한다. 추출 타이밍 조정기(7)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출력 발진에 수반되는 전원 공급 라인(LN1)에서의 전압 변동의 개시 후 소정 기간 동안 전류 추출기(6)를 동작시킨다.
도 20b에 나타낸 트라이액(Tri1)이 점화(firing)된 직후에 진동하는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I2)의 진동 파장은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서 잡음 방지 필터를 구성하는 커패시터(C1)와 인덕터(L1)의 공진 파장[2π√(LC)]에 의존한다[여기서, L은 인덕터(L1)의 인덕턴스값이고, C는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이다]. 그러므로,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가 공진 파장의 여러 주기의 기간 동안 트라이액(Tri1)의 유지 전류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추출 타이밍 조정기(7)가 전류 추출기(6)를 동작시키는 시간은 조정되어야 한다.
전류 추출기(6)가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뿐만 아니라 트라이액(Tri1)에 직접 흐르지 않는 전류도 추출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전류 추출기(6)에 의해 추출되는 전류의 전류값은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가 트라이액(Tri1)의 유지 전류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설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가 진동하는 진동 파장의 여러 주기의 기간 동안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트라이액(Tri1)이 오프로 스위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2는 도 1에 나타낸 LED 조명 시스템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LED 조명 시스템의 각 부품의 전압/전류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VDR, DVO 및 IPL은 각각 전원 공급 라인(LN1)의 전압, 미분기(7A)의 출력 전압, 및 전류 추출기(6)에 의해 추출되는 전류이다.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 추출 타이밍 조정기(7)는 전원 공급 라인(LN1)의 전압(VDR)의 변화를 검출하는 미분기(7A)를 갖는다.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트라이액(Tri1)을 온으로 스위칭하는 것은 전원 공급 라인(LN1)의 전압(VDR)이 낮은 값으로부터 높은 값으로 급격히 상승시킨다[도 3에서 시간(t1)]. 이때, 위상 제어식 조광기(2) 내의 공진에 의해 트라이액(Tri1)의 전류가 저하되지만 추출 타이밍 조정기(7)는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에 의거하여 전원 공급 라인(LN1)의 전압(VDR)의 급격한 변화를 검출해서 전류 추출기(6)를 동작시킴으로써 트라이액(Tri1)의 전류를 계속 흘린다. 이러한 동작을 통하여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가 진동하는 진동 파장의 여러 주기의 기간 동안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트라이액(Tri1)이 오프로 스위칭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추출 타이밍 조정기(7)는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을 사용하여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서의 공진 발생을 검출하고 전류 추출기(6)의 동작을 결정한다.
<<제 3 실시형태>>
도 4는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6)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7)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6)는 저항(R61) 및 NMOS 트랜지스터(Q61)를 갖고, 추출 타이밍 조정기(7)는 미분기(7A) 및 비교 소자(7B)를 갖는다. 미분기(7A)는 커패시터(C71), 연산 증폭기(OP71), 정전압원(VS71), 및 저항(R71)으로 구성되고, 비교 소자(7B)는 비교기(COM71), 및 정전압원(VS72)으로 구성된다.
비교기(COM71)는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과 정전압원(VS72)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압(Vb)을 비교하고,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이 정전압(Vb)보다 높을 때에 비교기(COM71)는 하이 레벨 신호를 NMOS 트랜지스터(Q61)의 게이트에 공급하여 전류 추출기(6)를 동작시킨다.
전원 공급 라인(LN1)의 전압(VDR)은 트라이액(Tri1)이 오프일 때에도 변동하므로 트라이액(Tri1)이 오프일 때에도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은 변동하지만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과 정전압(Vb)을 비교함으로써 트라이액(Tri1)의 온 상태에 의한 공진을 검출할 수 있다. 정전압(Vb)은 트라이액(Tri1)이 항상 오프일 때의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의 값보다 크게 한다.
<<제 4 실시형태>>
도 5는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6)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7)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6)는 저항(R61) 및 NMOS 트랜지스터(Q61)를 갖고, 추출 타이밍 조정기(7)는 미분기(7A) 및 전압-펄스 변환기(7C)를 갖는다. 미분기(7A)는 커패시터(C71), 연산 증폭기(OP71), 정전압원(VS71), 및 저항(R71)으로 구성된다.
비교기(COM71)는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과 정전압원(VS72)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압(Vb)을 비교하여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이 정전압(Vb)보다 높을 때에 비교기(COM71)는 하이 레벨 신호를 전압-펄스 변환기(7C)에 공급한다. 전압-펄스 변환기(7C)는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의 크기에 비례하는 펄스 폭(시간 폭)을 갖는 펄스 전압 신호를 생성하여 NMOS 트랜지스터(Q61)의 게이트에 펄스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그것에 의해, 전압-펄스 변환기(7C)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전압 신호의 펄스 폭(시간 폭)에 대응하는 기간 동안 추출 타이밍 조정기(7)는 전류 추출기(6)를 동작시킨다.
위상 제어식 조광기(2) 내의 공진은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서 커패시터(C1)에 축적되는 에너지에 의해 발생된다. 도 6a에 있어서 시간(t2)에서 트라이액(Tri1)을 온으로 스위칭할 때에 커패시터(C1)에 축적되는 전압은 작으므로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서 공진은 발생하기 어렵다. 한편, 도 6b에 있어서 시간(t3)에서 트라이액(Tri1)을 온으로 스위칭할 때에 커패시터(C1)에 축적되는 전압은 크므로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서 공진은 발생하기 쉽다.
도 6a에 있어서 시간(t2)에서 트라이액(Tri1)을 온으로 스위칭할 때에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은 도 6b에 있어서 시간(t3)에서 트라이액(Tri1)을 온으로 스위칭할 때의 값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따라서,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과 NMOS 트랜지스터(Q61)의 게이트에 출력되는 펄스 전압 신호의 펄스 폭이 포지티브 상관을 가지며, 공진이 발생하기 어려운 조건에서 펄스 전압 신호의 펄스 폭은 감소되고 공진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에서 펄스 전압 신호의 펄스 폭은 증가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전류 추출기(6)가 전원 공급 라인(LN1)으로부터 전류를 추출하는 시간이 최적화될 수 있고 전류 추출기(6)에 있어서의 전력 손실 및 발열이 더욱 저감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7은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6)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7)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구성에서 각 부품의 전압/전류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6)는 저항(R61) 및 NMOS 트랜지스터(Q61)를 갖고, 추출 타이밍 조정기(7)는 미분기(7A) 및 전압-펄스 변환기(7D)를 갖는다. 미분기(7A)는 커패시터(C71), 연산 증폭기(OP71), 정전압원(VS71), 및 저항(R71)으로 구성되고, 전압-펄스 변환기(7D)는 비교기(COM71 및 COM72), 정전압원(VS72 및 VS73), 플립플롭(F71), 저항(R72 및 R73), 및 커패시터(C72)로 구성된다.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이 정전압원(VS72)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압(Vb)을 초과하면 비교기(COM71)의 출력 신호(전압 SET)가 하이 레벨이 되고 플립플롭(F71)이 세트되어 플립플롭(F71)의 Q-출력 단자로부터 NMOS 트랜지스터(Q61)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신호(전압 Q)가 하이 레벨이 된다. 따라서, 추출 타이밍 조정기(7)는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이 정전압(Vb)을 초과할 때 전류 추출기(6)를 동작시킨다.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과 정전압원(VS73)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압(Vc)을 비교하는 비교기(COM72)의 출력 단자는 저항(R72 및 R73) 및 커패시터(C72)로 구성되는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하여 플립플롭(F71)의 리셋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그것에 의해,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이 특정 시간 동안 정전압(Vc)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한 플립플롭(F71)은 리셋되지 않는다. 따라서, 추출 타이밍 조정기(7)는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이 특정 시간 동안 정전압(Vc)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한 전류 추출기(6)를 계속 동작시킨다.
이러한 동작을 통하여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가 진동하는 진동 파장의 여러 주기의 기간 동안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트라이액(Tri1)이 오프로 스위칭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도 9는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6)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7)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6)는 NMOS 트랜지스터(Q61)를 갖고, 추출 타이밍 조정기(7)는 미분기(7A), 전압-전류 변환기(7E), 및 NMOS 트랜지스터(Q71)를 갖는다. 미분기(7A)는 커패시터(C71), 연산 증폭기(OP71), 정전압원(VS71), 및 저항(R71)으로 구성된다. NMOS 트랜지스터(Q71)의 드레인과 게이트는 서로 접속되고, NMOS 트랜지스터(Q71)의 게이트와 NMOS 트랜지스터(Q61)의 게이트가 서로 접속되며, NMOS 트랜지스터(Q71)의 소스와 NMOS 트랜지스터(Q61)의 소스가 동전위를 갖는다. 그러므로, NMOS 트랜지스터(Q71 및 Q61)는 전류 미러 회로를 형성한다.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의 크기에 비례한 전류가 전압-전류 변환기(7E)로부터 NMOS 트랜지스터(Q71)를 향해서 흐르고, 그것에 대응하여 NMOS 트랜지스터(Q61)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전류 추출기(6)가 동작한다. 이와 같이, 공진이 발생하기 어려운 조건에서 전류 추출기(6)는 적은 양의 전류를 추출하고, 공진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에서 전류 추출기(6)는 많은 양의 전류를 추출한다. 그것에 의해, 전류 추출기(6)에 의해 전원 공급 라인(LN1)으로부터 추출되는 전류량은 최적화되고 전류 추출기(6)에서의 전력 손실 및 발열은 더욱 저감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6)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7)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구성에서 각 부품의 전압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0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6)는 저항(R61) 및 NMOS 트랜지스터(Q61)를 갖고, 추출 타이밍 조정기(7)는 미분기(7A) 및 전압-펄스 변환기(7F)를 갖는다. 미분기(7A)는 커패시터(C71), 연산 증폭기(OP71), 정전압원(VS71), 및 저항(R71)으로 구성되고, 전압-펄스 변환기(7F)는 비교기(COM71 및 COM72), 정전압원(VS72 및 VS73), 플립플롭(F71), 다이오드(D71 및 D72), 및 커패시터(C73)로 구성된다.
트라이액(Tri1)에 흐르는 전류가 진동하는 진동 파장의 여러 주기의 기간 동안 전원 공급 라인(LN1)의 전압(VDR)이 진동되므로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도 오프셋값[정전압원(VS71)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압](Va)에 대하여 상하로 진동한다 (도 11 참조).
애노드가 미분기(7A)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다이오드(D71)의 캐소드, 및 애노드가 정전압원(VS7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다이오드(D72)의 캐소드를 공통 접속함으로써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으로부터 오프셋값(Va)보다 높은 전압만 추출되고, 추출된 전압이 커패시터(C73)에 의해 평활화됨으로써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의 포락선인 전압(VD0')(도 11 참조)이 생성된다. 그것에 의해, 비교기(COM71 및 COM72)로의 입력이 안정화된다.
전압(VD0')이 정전압원(VS72)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압(Vb)을 초과하면 비교기(COM71)의 출력 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고 플립플롭(F71)이 세트되어 플립플롭(F71)의 Q-출력 단자로부터 NMOS 트랜지스터(Q61)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신호가 하이 레벨이 된다. 전압(VD0')이 정전압원(VS73)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압(Vc) 이하로 떨어지면 비교기(COM72)의 출력 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고 플립플롭(F71)이 리셋되어 플립플롭(F71)의 Q-출력 단자로부터 NMOS 트랜지스터(Q61)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신호가 로우 레벨이 된다.
<<제 8 실시형태>>
도 12는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6)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7)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6)는 저항(R61) 및 NMOS 트랜지스터(Q61)를 갖고, 추출 타이밍 조정기(7)는 미분기(7A), 지연 유닛(7G), 저항(R74 및 R75), 및 플립플롭(F72)을 갖는다. 미분기(7A)는 커패시터(C71), 연산 증폭기(OP71), 정전압원(VS71), 및 저항(R71)으로 구성된다.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트라이액(Tri1)이 오프일 때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서의 임피던스보다 LED 모듈(3)과 LED 구동 회로(4)의 총 임피던스를 낮게 해야한다. LED 모듈(3)에서 복수의 LED 소자가 직렬로 접속되는 경우에 LED 모듈(3)과 LED 구동 회로(4)의 총 임피던스가 높으므로 트라이액(Tri1)이 오프일 때 전원 공급 라인(LN1)에 로우 임피던스 회로가 접속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로우 임피던스 회로로서 전류 추출기(6)를 사용함으로써 회로 소자의 수가 저감될 수 있고 LED 구동 회로(4)의 크기 및 가격도 저감될 수 있다.
전원 공급 라인(LN1)의 전압(VDR)이 저하되어, 도 3에 있어서 시간(t4)에서와 같이, 제로에 도달하면 저항(R74 및 R75)의 부분 전압이 로우 레벨이 되고 플립플롭(F72)이 세트되어 플립플롭(F72)의 Q-출력 단자로부터 NMOS 트랜지스터(Q61)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신호가 하이 레벨이 된다.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이, 도 3에 있어서 시간(t5)에서와 같이,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스위칭되는 시점부터 지연 유닛(7G)에 의해 설정되는 특정 지연 시간 후에 플립플롭(F72)이 리셋되어 플립플롭(F72)의 Q-출력 단자로부터 NMOS 트랜지스터(Q61)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신호가 로우 레벨이 된다. 따라서, 추출 타이밍 조정기(7)는 트라이액(Tri1)이 오프인 기간[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 시간(t4)으로부터 시간(t5)까지의 기간], 및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출력 변동에 따른 전원 공급 라인(LN1)의 전압 변동의 개시 후 소정 시간 동안 전류 추출기(6)를 동작시킨다.
<<제 9 실시형태>>
도 13은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6)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7)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낸 구성에서 전류 추출기(6)는 저항(R61), 및 NMOS 트랜지스터(Q61)를 갖고, 추출 타이밍 조정기(7)는 미분기(7A), 지연 유닛(7G), 전압-펄스 변환기(7H), 저항(R74 및 R75), 및 플립플롭(F72)을 갖는다. 미분기(7A)는 커패시터(C71), 연산 증폭기(OP71), 정전압원(VS71), 저항(R71), 및 저항(R76 및 R77)으로 구성된다.
이하, 제 8 실시형태에 대한 상위점이 설명될 것이다. 도 13에 나타낸 구성에서 미분기(7A)는 전원 공급 라인(LN1)의 전압(VDR)를 미분하지 않지만, 전원 공급 라인(LN1)의 전압(VDR)을 저항(R76 및 R77)에 의해 저항 분할한 결과를 미분한다. 그것에 의해, 미분기(7A)는 낮은 내압의 소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압-펄스 변환기(7H)는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의 크기에 비례하는 펄스 폭(시간 폭)을 갖는 펄스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펄스 전압 신호를 지연 유닛(7G)에 출력한다. 도 13에 나타낸 구성에서 지연 유닛(7G)은 전압-펄스 변환기(7H)로부터 공급되는 펄스 전압 신호의 펄스 폭(시간 폭)에 비례하는 지연 시간만큼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을 지연시킨다. 이와 같이, 미분기(7A)의 출력 전압(VD0)의 크기와 지연 유닛(7G)의 지연 시간 사이에 포지티브 상관을 생성함으로써 전류 추출기(6)가 전원 공급 라인(LN1)으로부터 전류를 추출하는 시간은 최적화될 수 있고 전류 추출기(6)에서의 전력 손실 및 발열은 더욱 저감될 수 있다.
<<변형 예>>
본 발명의 LED 구동 회로의 입력 전압은 일본 국내 상용 전원 전압 100V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LED 구동 회로의 회로 정수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해외의 상용 전원 전압 또는 강압 교번 전압이 본 발명의 LED 구동 회로의 입력 전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LED 구동 회로에 전류 퓨즈 등의 보호 소자를 부가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LED 구동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LED 구동 회로의 구성에서 전류 제한 회로의 전단으로서 다이오드 브리지의 출력측에 전류 추출기가 제공되지만, 다이오드 브리지의 입력측에 전류 추출기가 제공되거나 전류 제한 회로의 후단에 전류 추출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류 제한 회로의 후단에 전류 추출기가 제공되는 경우에 전류 추출기에 흐르는 전류는 전류 제한 회로의 전류 제한값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상술한 LED 구동 회로에서 전류 제한 회로(5)는 LED 모듈(3)의 애노드측에 접속되지만, 각 회로 정수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여 전류 제한 회로(5)를 LED 모듈(3)의 캐소드측에 문제없이 접속할 수 있다.
전류 제한 회로(5)는 LED 모듈(3)에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회로부이며, 저항 등의 수동 소자 단독, 또는 저항과 트랜지스터 등의 능동 소자의 조합에 의해 제한이 부과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구성에서).
LED 모듈(3)에 흐르는 전류가 LED의 정격 전류에 대하여 충분한 마진을 갖는 경우에 전류 제한 회로(5)의 부재에 의해 조광 동작 등의 동작은 영향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LED 구동 회로와 함께 사용되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2)(도 1 참조)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LED 구동 회로에 입력되는 전압은 정현파 교번 전압에 의거하는 전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교번 전압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LED 구동 회로 모두는 다이오드 브리지를 제공하지만, 다이오드 브리지는 본 발명의 LED 구동 회로의 필수 구성 요소는 아니다. 다이오드 브리지가 제공되지 않는 구성의 일례에 있어서 서로 다른 순방향을 갖는 2개의 LED 모듈이 제공되고, 각 LED 모듈에 대하여 전류 제한 회로, 전류 추출기, 및 추출 타이밍 조정기가 제공된다. 그러한 구성은 다이오드 브리지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 다이오드 브리지가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에 의해 전원 효율이 다소 향상된다는 것, LED 구동 전류의 듀티비가 전파 정류 후에 LED가 구동되는 시스템의 절반이라는 것, 그것에 의해 LED의 수명이 길어진다는 것(광속에서 보다 적은 저하를 의미한다) 등의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은 LED 소자의 수가 2배가 되므로 비용이 증가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 예는 그 특징이 서로 공존할 수 있는 한 어떠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기구>>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LED 조명등 기구의 전반적인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기구,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 기기, 및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전구형(compact self-ballasted) LED 조명등 기구(200)의 부분적으로 내부가 드러난 도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전구형 LED 조명등 기구(200) 내부에는 하우징 또는 기판(202), 하우징 또는 기판(202)의 정면(전구의 상부를 향함)에 제공되는 1개 이상의 LED 소자로 구성된 LED 모듈(201), 및 하우징 또는 기판(202)의 배면(전구의 저부를 향함)에 제공되는 회로(203)가 제공된다. 회로(203)에는 예를 들면 상술한 본 발명의 LED 구동 회로의 예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회로(203)는 상술한 본 발명의 LED 구동 회로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따른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에 의해 위상 제어 소자의 유지 전류가 부족할 때 발생하는 LED의 플리커링 또는 점멸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회로(LED 플리커 저감 유닛)를 적어도 제공하는 어떠한 회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구형 LED 조명등 기구(200)가 장착되는 LED 조명등 기구 장착부(300), 및 라이트 컨트롤러(위상 제어식 조광기)(400)가 교류 전원(1)에 직렬로 접속된다. 본 발명의 전구형 LED 조명등 기구(200)와 LED 조명등 기구 장착부(300)는 LED 조명 기기(실링 라이트, 펜던트 라이트, 키친 라이트, 리세스 라이트, 플로어 램프, 스포트라이트, 풋 라이트 등)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전구형 LED 조명등 기구(200), LED 조명등 기구 장착부(300), 및 라이트 컨트롤러(400)에 의해 본 발명의 LED 조명 시스템(500)이 형성된다. LED 조명등 기구 장착부(300)는 예를 들면 실내의 천정 벽면에 배치되고, 라이트 컨트롤러(400)는 예를 들면 실내의 측방 벽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전구형 LED 조명등 기구(200)는 LED 조명등 기구 장착부(300)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므로 종래의 백열등, 형광등 등을 사용하였던 기존의 조명 기기 및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백열등, 형광등 등의 조명등 기구를 본 발명의 전구형 LED 조명등 기구(200)로 대체하는 것만으로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따른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에 의해 위상 제어 소자의 유지 전류가 부족할 때 발생하는 LED의 플리커링 또는 점멸이 저감될 수 있다.
도 15는 라이트 컨트롤러(400)가 도 1에서 나타낸 위상 제어식 조광기인 경우의 라이트 컨트롤러(400)의 외관을 나타내고, 라이트 컨트롤러(400)는 볼륨 노브를 사용함으로써 조광의 정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노브를 대신하여 볼륨 슬라이더를 사용함으로써 조광의 정도가 변경될 수 있는 구성이 채택될 수도 있다.
라이트 컨트롤러(400)는 볼륨 노브나 볼륨 슬라이더의 사용하여 사람에 의해 직접 조작가능한 것처럼 상술되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리모트 컨트롤 등의 무선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사람이 라이트 컨트롤러(400)를 원격 조작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신측으로서의 라이트 컨트롤러의 본체에 무선 신호 수신기를 제공하고, 무선 신호 수신기에 라이트 컨트롤 신호(예를 들면, 조광 신호, 라이트 온/오프 신호 등)를 송신하는 무선 신호 송신부를 갖는 송신측으로서의 송신기 본체(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 송신기, 휴대 단말기 등)를 제공함으로써 원격 조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LED 조명등 기구는 전구형 LED 조명등 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도 16에 나타낸 램프형 LED 조명등 기구(600), 링형 LED 조명등 기구(700), 또는 직관형 LED 조명등 기구(800)일 수 있다. 그러한 유형의 조명등 기구 중 어떠한 것이어도 본 발명의 LED 조명등 기구는 내부에 LED, 및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따른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에 의해 위상 제어 소자의 유지 전류가 부족할 때 발생하는 LED의 플리커링 또는 점멸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회로(LED 플리커 저감 유닛)를 적어도 제공한다.

Claims (20)

  1.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가능하고, 교번 전압을 입력해서 LED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로서:
    LED 구동 전류를 상기 LED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류를 추출하는 전류 추출기; 및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수반되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의 개시 후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전류 추출기를 동작시키는 추출 타이밍 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을 입력하는 미분기를 가지며, 상기 미분기의 출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전류 추출기의 동작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기의 출력이 일정값을 초과했을 때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전류 추출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미분기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전류 추출기의 동작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미분기의 출력이 일정값을 하회할 때까지 상기 전류 추출기를 계속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미분기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전류 추출기의 전류 추출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미분기의 출력의 포락선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전류 추출기의 동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위상 제어 소자가 오프일 때에도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전류 추출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지연 유닛을 갖고;
    상기 지연 유닛의 지연 시간은 상기 미분기의 출력값과 포지티브 상관을 가지며;
    상기 미분기의 출력이 일정값을 초과한 후 상기 지연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에 상기 추출 타이밍 조정기는 상기 전류 추출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기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을 분압하는 분압 회로를 입력단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11. LED 구동 회로, 및
    상기 LED 구동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된 LED를 포함하는 LED 조명등 기구로서:
    상기 LED 구동 회로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가능하고, 교번 전압을 입력해서 상기 LED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이며;
    상기 LED 구동 회로는,
    LED 구동 전류를 상기 LED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류를 추출하는 전류 추출기, 및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수반되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의 개시 후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전류 추출기를 동작시키는 추출 타이밍 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등 기구.
  12. LED; 및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수반되는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에 의해 상기 LED의 플리커링을 저감하는 LED 플리커 저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등 기구.
  13. LED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LED 조명 기기로서:
    상기 LED 구동 회로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가능하고, 교번 전압을 입력해서 LED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이며;
    상기 LED 구동 회로는,
    LED 구동 전류를 상기 LED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류를 추출하는 전류 추출기, 및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수반되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의 개시 후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전류 추출기를 동작시키는 추출 타이밍 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기.
  14. LED 조명등 기구를 포함하는 LED 조명 기기로서:
    상기 LED 조명등 기구는,
    LED 구동 회로, 및
    상기 LED 구동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된 LED를 포함하는 LED 조명등 기구이고;
    상기 LED 구동 회로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가능하고, 교번 전압을 입력해서 상기 LED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이며;
    상기 LED 구동 회로는,
    LED 구동 전류를 상기 LED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류를 추출하는 전류 추출기, 및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수반되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의 개시 후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전류 추출기를 동작시키는 추출 타이밍 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기.
  15. LED 조명등 기구를 포함하는 LED 조명 기기로서:
    상기 LED 조명등 기구는,
    LED, 및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수반되는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에 의해 상기 LED의 플리커링을 저감하는 LED 플리커 저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기.
  16. LED 조명등 기구, 및
    상기 LED 조명등 기구의 입력측에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를 포함하는 LED 조명 시스템으로서:
    상기 LED 조명등 기구는,
    LED 구동 회로, 및
    상기 LED 구동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된 LED를 포함하는 LED 조명등 기구이고;
    상기 LED 구동 회로는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가능하고, 교번 전압을 입력해서 상기 LED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이며;
    상기 LED 구동 회로는,
    LED 구동 전류를 상기 LED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류를 추출하는 전류 추출기, 및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수반되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의 개시 후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전류 추출기를 동작시키는 추출 타이밍 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시스템.
  17. LED 조명등 기구, 및
    상기 LED 조명등 기구의 입력측에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를 포함하는 LED 조명 시스템으로서:
    상기 LED 조명등 기구는,
    LED, 및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수반되는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에 의해 상기 LED의 플리커링을 저감하는 LED 플리커 저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시스템.
  18. LED 조명 기기, 및
    상기 LED 조명 기기의 입력측에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를 포함하는 LED 조명 시스템으로서:
    상기 LED 조명 기기는 LED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LED 조명 기기이고;
    상기 LED 구동 회로는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가능하고, 교번 전압을 입력해서 LED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이며;
    상기 LED 구동 회로는,
    LED 구동 전류를 상기 LED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류를 추출하는 전류 추출기, 및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수반되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의 개시 후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전류 추출기를 동작시키는 추출 타이밍 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시스템.
  19. LED 조명 기기, 및
    상기 LED 조명 기기의 입력측에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를 포함하는 LED 조명 시스템으로서:
    상기 LED 조명 기기는 LED 조명등 기구를 포함하는 LED 조명 기기이고;
    상기 LED 조명등 기구는,
    LED 구동 회로, 및
    상기 LED 구동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된 LED를 포함하는 LED 조명등 기구이고;
    상기 LED 구동 회로는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가능하고, 교번 전압을 입력해서 상기 LED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이며;
    상기 LED 구동 회로는,
    LED 구동 전류를 상기 LED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류를 추출하는 전류 추출기, 및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수반되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의 개시 후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전류 추출기를 동작시키는 추출 타이밍 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시스템.
  20. LED 조명 기기, 및
    상기 LED 조명 기기의 입력측에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를 포함하는 LED 조명 시스템으로서:
    상기 LED 조명 기기는 LED 조명등 기구를 포함하는 LED 조명 기기이고;
    상기 LED 조명등 기구는,
    LED, 및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출력 발진에 수반되는 전원 공급 라인의 전압 변동에 의해 상기 LED의 플리커링을 저감하는 LED 플리커 저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시스템.
KR1020100084026A 2009-10-26 2010-08-30 Led 구동 회로, led 조명등 기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 KR101139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026A KR101139344B1 (ko) 2009-10-26 2010-08-30 Led 구동 회로, led 조명등 기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5475 2009-10-26
KR1020100084026A KR101139344B1 (ko) 2009-10-26 2010-08-30 Led 구동 회로, led 조명등 기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254A true KR20110046254A (ko) 2011-05-04
KR101139344B1 KR101139344B1 (ko) 2012-04-26

Family

ID=4424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026A KR101139344B1 (ko) 2009-10-26 2010-08-30 Led 구동 회로, led 조명등 기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083B1 (ko) * 2013-07-17 2014-11-21 메를로랩 주식회사 플리커 저감 기능을 갖는 교류 다이렉트 방식의 led 구동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521A (ko) * 2008-05-08 2008-05-29 정구진 형광등 타입의 엘이디 발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083B1 (ko) * 2013-07-17 2014-11-21 메를로랩 주식회사 플리커 저감 기능을 갖는 교류 다이렉트 방식의 led 구동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344B1 (ko)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7915B (zh) Led驅動電路、led照明器具、led照明裝置、及led照明系統
JP5214585B2 (ja) Led駆動回路、位相制御式調光器、led照明灯具、led照明機器、及びled照明システム
KR101214041B1 (ko) Led 구동 회로, led 조명등 기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
TWI387396B (zh) 可調光的發光二極體燈及可調光的發光二極體照明裝置
JP4864994B2 (ja) Led駆動回路、led照明灯具、led照明機器、及びled照明システム
JP4943402B2 (ja) Led駆動回路、led照明灯具、led照明機器、及びled照明システム
TWI420960B (zh) Led驅動電路、調光裝置、led照明器具、led照明裝置、及led照明系統
JP2005011739A (ja) 調光時誤動作防止回路および照明装置
JP2013037763A (ja) Led照明回路及びled照明装置
KR101377038B1 (ko) 엘이디 조명장치
CN109792819B (zh) 一种用于在多灯灯具照明系统中实现分步调光的改装发光二极管led灯管
WO2015161379A1 (en) Dimmable led light
JP2008243501A (ja)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KR101139344B1 (ko) Led 구동 회로, led 조명등 기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
JP2012160284A (ja) Led点灯装置、照明装置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US20210176838A1 (en) A led driver and led lighting system for use with a high frequency electronic ballast
JP2012015125A (ja) Led駆動回路、led照明灯具、led照明機器、及びled照明システム
JP2009110671A (ja) 発光ダイオード調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