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166A - 차량용 헤드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166A
KR20110046166A KR1020090103032A KR20090103032A KR20110046166A KR 20110046166 A KR20110046166 A KR 20110046166A KR 1020090103032 A KR1020090103032 A KR 1020090103032A KR 20090103032 A KR20090103032 A KR 20090103032A KR 20110046166 A KR20110046166 A KR 20110046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ulb member
projection
reflector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주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3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6166A/ko
Publication of KR2011004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램프의 로우빔을 사용할 때 점등되는 별도의 보조벌브를 설치하여 차량의 로우빔 사용시 넓은 부위를 조명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로우벌브부재가 지지되며, 상기 로우벌브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이 전방으로 반사되는 프로젝션리플렉터와, 상기 로우벌브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범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로젝션리플렉터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로젝션 쉐이드; 및 상기 로우벌브부재의 빛 조사방향과 다른 빛 조사방향을 가지도록 상기 프로젝션리플렉터의 일측에 마련되는 보조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시야, 점등, 헤드램프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램프{HEAD LAMP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램프의 로우빔을 사용할 때 점등되는 별도의 보조벌브를 설치하여 차량의 로우빔 사용시 넓은 부위를 조명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조등인 헤드램프(Head Lamp)는 차량이 터널 또는 야간에 도로를 주행할 경우 운전자가 차량 전방의 물체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식별할 수 있도록 차량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통상 차량의 전방 양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차량의 헤드램프는 자동차 전방을 조명할 때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2개의 램프가 사용되며, 어느 하나의 램프는 비교적 가까운 거리를 조명할 수 있는 로빔용으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의 램프는 비교적 원거리를 조명할 수 있는 하이빔용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차량용 헤드램프는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으로 백열전구, 할로겐램프 등이 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전력소모가 적고 빛의 직진성이 우수한 엘이 디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더하여, 최근에는 차량의 야간 주행시 운전자의 시야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한 헤드램프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차량용 헤드램프는 차량의 주행 중 로우빔을 사용할 때 헤드램프의 조명 영역이 좁아 운전자의 시인성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각도 조절용 헤드램프를 사용할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로우빔을 사용할 때 점등되는 별도의 보조벌브를 설치하여 차량의 로우빔 사용시 조명 부위를 넓게 하여 운전자의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방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로우벌브부재가 지지되며, 상기 로우벌브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이 전방으로 반 사되는 프로젝션리플렉터와, 상기 로우벌브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범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로젝션리플렉터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로젝션 쉐이드; 및 상기 로우벌브부재의 빛 조사방향과 다른 빛 조사방향을 가지도록 상기 프로젝션리플렉터의 일측에 마련되는 보조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차량용 헤드램프는, 상기 프로젝션리플렉터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보조광원부가 설치되는 브래킷이 마련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광원부는, 상기 프로젝션리플렉터에 결합되는 보조 리플렉터와, 상기 보조 리플렉터에 설치되는 보조벌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로우빔이 점등될 때 별도의 보조벌브가 함께 점등되어 차량의 로우빔 사용시 차량 전방의 조명 부위가 넓어지므로, 주행 중 운전자의 시인성이 충분히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 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100)는, 로우벌브부재(110)가 지지되며 로우벌브부재(110)에서 조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프로젝션리플렉터(120) 및 로우벌브부재(110)의 빛 조사방향과 다른 빛 방향을 가지는 보조광원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100)는 로우벌브부재(110)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범위를 제한 할 수 있는 프로젝션 쉐이드(140)와, 보조광원부(130)가 설치되는 커버부(150) 및 보조광원부(130)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더 포함한다.
프로젝션리플렉터(120)는 원형의 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중심부에 로우벌브부재(110)가 결합되며, 로우벌브부재(110)의 빛이 전반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내면에 반사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로젝션리플렉터(120)의 전면에는 프로젝션 쉐이드(140)가 볼트나 나사와 같은 결합방법을 통해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리플렉터(120)는 차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필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로우벌브부재(110)가 결합되는 위치 또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로우벌브부재(110)로는 전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엘이디(LED)나 할로겐램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프로젝션 쉐이드(140)는 프로젝션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되는 로우벌브부재(110)의 빛이 프로젝션리플렉터(120)의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로우벌브부재(110)의 빛이 투과되는 쉐이드홀(141)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프로젝션 쉐이드(140)가 판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프로젝션 쉐이드(14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프로젝션리플렉터(120)에 결합되는 커버부(150)는 프로젝션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되는 로우벌브부재(110)의 빛이 그 내부를 통해 투과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은 커버부(150)는 볼트나 나사와 같은 결합방법을 통해 프로젝션리플렉터(120)에 결합되며, 보조광원부(1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일측에 브래킷(151)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150)에는 로우벌브부재(110) 및 프로젝션리플렉터(120)의 빛을 굴절시키기 위한 비구면렌즈(153) 및 이 비구면렌즈(153)를 고정하기 위한 링 캡(155)이 결합된다.
비구면렌즈(153)는 프로젝션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되는 빛이 차량 전방의 알맞은 영역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프로젝션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투과시킨다. 더하여 비구면렌즈(153)는 이물질 등이 프로젝션리플렉터(120)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프로젝션리플렉터(120) 및 로우벌브부재(11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비구면렌즈(153)는 커버부(150)에 억지끼움 되거나 후크, 나사 등과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커버부(150)에 고정된다.
아울러, 링 캡(155)은 비구면렌즈(153)가 커버부(15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비구면렌즈(153)의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커버부(150)에 결합된다.
커버부(150)의 브래킷(151)에 설치되는 보조광원부(130)는 브래킷(151)에 결합되는 보조 리플렉터(131)와, 이 보조 리플렉터(131)에 설치되는 보조벌브부재(13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보조광원부(130)는 보조벌브부재(133)에서 조사되는 빛이 로우벌브부재(110)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방향과 다른 빛 조사방향을 가지도록 커버부(150)에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보조광원부(130)는 브래킷(151)에 설치되는 보조 리플렉터(131)의 반사면이 비구면렌즈(153)의 전방에서 측면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보조벌브부재(133)가 보조 리플렉터(131)의 중앙부에 결합된다. 보조 리플렉터(131)의 중앙부에는 보조벌브부재(133)가 결합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결합구멍(131a)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보조광원부(130)는 보조벌브부재(133)로 로우벌브부재(110)와 마찬가지로 전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엘이디(LED)나 할로겐램프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보조광원부(130)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조향각도에 따라 점등되는데,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100)는 보조광원부(130)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보조벌브부재(133)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인가시켜 보조벌브부재(133)의 점등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60)는 로우벌브부재(110)가 점등된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도시생략)의 조향각도가 30도 이상 회전되면 보조광원부(130)의 보조벌브부재(133)를 점등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헤드램프(100)가 보다 넓은 영역으로 빛을 조사하게 되므로, 운전자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스티어링 휠(도시생략)의 조향각도가 30도 미만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보조벌브부재(133)를 소등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60)가 조향각도 30도를 기준으로 하여 보조벌브부재(133)를 점등시키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보조벌브부재(133)를 점등시키기 위한 조향각도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으며, 로우벌브부재(110)의 점등 또는 소등과 동일하게 보조벌브부재(133)가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도록 제어부(160)의 작동을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 대한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중 차량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헤드램프(100)의 로우벌브부재(110)를 점등시키면, 제어부(160)를 통해 보조광원부(130) 로 공급되는 전원이 제어되어 보조광원부(130)의 보조벌브부재(133)가 점등된다. 이때, 보조광원부(130)에서 발광되는 보조벌브부재(133)의 빛 조사방향이 로우벌브부재(110)의 빛 조사방향과 다른 조사방향 예를 들어 헤드램프(100)의 측면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므로, 헤드램프(100)의 빛 조사영역이 보다 넓어지게 되어 운전자의 시인성이 확대된다.
더하여, 제어부(160)가 차량의 스티어링 휠 조향각도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에만 보조광원부(130)의 보조벌브부재(133)를 점등시킬 수도 있으므로, 차량의 운전조건에 따라 운전자가 보다 용이하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로우벌브부재(110)가 점등된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도시생략)의 조향각도가 30도 이상 회전되면 보조벌브부재(133)를 점등시키고, 스티어링 휠(도시생략)의 조향각도가 30도 미만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보조벌브부재(133)를 소등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헤드램프 110 : 로우벌브부재
120 : 프로젝션리플렉터 130 : 보조광원부
140 : 프로젝션 쉐이드 150 : 커버부

Claims (3)

  1. 로우벌브부재가 지지되며, 상기 로우벌브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이 전방으로 반사되는 프로젝션리플렉터;
    상기 로우벌브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범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로젝션리플렉터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로젝션 쉐이드; 및
    상기 로우벌브부재의 빛 조사방향과 다른 빛 조사방향을 가지도록 상기 프로젝션리플렉터의 일측에 마련되는 보조광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리플렉터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보조광원부가 설치되는 브래킷이 마련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광원부는
    상기 프로젝션리플렉터에 결합되는 보조 리플렉터; 및
    상기 보조 리플렉터에 설치되는 보조벌브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KR1020090103032A 2009-10-28 2009-10-28 차량용 헤드램프 KR20110046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032A KR20110046166A (ko) 2009-10-28 2009-10-28 차량용 헤드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032A KR20110046166A (ko) 2009-10-28 2009-10-28 차량용 헤드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166A true KR20110046166A (ko) 2011-05-04

Family

ID=4424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032A KR20110046166A (ko) 2009-10-28 2009-10-28 차량용 헤드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61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1950A (zh) * 2022-06-07 2022-08-05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转向辅助照明控制方法、装置及汽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1950A (zh) * 2022-06-07 2022-08-05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转向辅助照明控制方法、装置及汽车
CN114851950B (zh) * 2022-06-07 2024-05-14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转向辅助照明控制方法、装置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9289B2 (en) Vehicular lamp
US9739438B2 (en) Vehicle lamp
US20070091629A1 (en) Vehicle Lighting Device
US20060007697A1 (en) Front floodlight of a motor vehicle with adaptive light distribution
US20140063832A1 (en) Led lamp for car use
EP2075500B1 (en) Vehicle headlamp
US11168860B1 (en) Automotive lamp
EP2100771B1 (en) Vehicle headligh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10084786A (ko) 차량용 헤드램프
JP2008027650A (ja) 車輌用灯具
JP6142540B2 (ja) 車両用前照灯
EP2186679A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KR101486817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6142541B2 (ja) 車両用前照灯
KR20110046166A (ko) 차량용 헤드램프
KR101416469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1614849B1 (ko)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KR101380254B1 (ko) 차량용 안개등의 방향 조절장치
KR101416471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US20110019424A1 (en) High Contrast Light Pattern Projection Mechanism
KR101922449B1 (ko) 상향등과 하향등 전환용 led가 설치된 전조등
CN214094298U (zh) 一种自带双灯杯的汽车前照灯装置
CN102951071B (zh) 具警示作用的主动式转向头灯
KR20100114802A (ko) 차량용 안개등
TWM654621U (zh) 車用光源切換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