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643A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643A
KR20110045643A KR1020090102300A KR20090102300A KR20110045643A KR 20110045643 A KR20110045643 A KR 20110045643A KR 1020090102300 A KR1020090102300 A KR 1020090102300A KR 20090102300 A KR20090102300 A KR 20090102300A KR 20110045643 A KR20110045643 A KR 20110045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signal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4627B1 (ko
Inventor
박은명
서정민
김도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2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627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에 대응되는 RGB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상기 RGB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종류를 동영상 및 정지영상 중 하나로 판단하고, 상기 영상이 상기 정지영상인 경우 휘도가 감소되도록 제어된 데이터신호 및 전원전압을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스캔신호를 출력하는 스캔 구동부와; 상기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신호,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스캔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전계발광 패널을 포함하는 디지털 구동방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유기 전계발광, 디지털 구동, 휘도 저감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휘도를 조절하여 지속적인 정지영상 표시 중에도 발광다이오드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화질 및 수명이 개선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평판디스플레이 중 하나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ELD Device)는 자체 발광형이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에 비해 시야각, 대조비 등이 우수하며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박형이 가능하고,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그리고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전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온도범위도 넓으며 특히 제조비용 측면에서도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OLED Device)라고 부르기도 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나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Device)와 달리 공정이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증착 및 봉지(encapsulation) 장비가 전부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active matrix type)에서는 화소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압이 스토리지 캐패시터(storage capacitor)에 충전되어 있어, 그 다음 프레임(frame) 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전압을 유지해 줌으로써, 게이트 배선 수에 관계없이 한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발광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동된다.
따라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낮은 전류를 인가해 주더라도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므로 저소비전력, 고정세, 대형화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가 계조를 표시하는 방법은 크게 전압 구동방식과 시분할 구동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전압 구동방식은, 데이터 신호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그에 따라 각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휘도를 조절하여 계조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므로 아날로그 구동방식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시분할 구동방식은, 데이터 신호에 따라 각 화소영역의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시간을 조절하여 계조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므로 디지털 구동방식이라고도 한다.
아날로그 구동방식은, 발광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공급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발광 다이오드의 시간적 균일도를 필요로 하는데, 박막트랜지스터 및 발광 다이오드는 열화에 의하여 시간적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전압 대 휘도의 특성 곡선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경향이 있어서 계조 표시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비하여, 디지털 구동방식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및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 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균일한 표시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0)는, 유기전계발광 패널(20), 스캔 구동부(30), 데이터 구동부(40), 타이밍 컨트롤러(50)를 포함한다.
유기전계발광 패널(20)에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다수의 스캔라인(SL1 내지 SLm), 다수의 데이터라인(DL1 내지 DLn), 다수의 파워라인(PL1 내지 PLn)이 형성된다.
각 화소영역(P)에는, 다수의 스캔라인(SL1 내지 SLm)과 다수의 데이터라인(DL1 내지 DLn) 각각에 연결되는 제1박막트랜지스터(T1)와, 제1박막트랜지스터(T1)와 다수의 파워라인(PL1 내지 PLn) 각각의 사이에 연결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제2박막트랜지스터(T2)와, 제2박막트랜지스터(T2)에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OLED)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박막트랜지스터(T1, T2)는 각각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라고도 한다.
스캔 구동부(30)는 다수의 스캔라인(SL1 내지 SLm)에 스캔신호를 인가하고, 데이터 구동부(40)는 다수의 데이터라인(DL1 내지 DLn)에 데이터신호를 인가한다.
스캔신호에 따라 제1박막트랜지스터(T1)가 턴-온(turn-on)되면, 데이터신호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제2박막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충전되고, 그에 따라 제2박막트랜지스터(T2)가 턴-온(turn-on)되어 파워라인(PL1 내지 PLn)의 전압이 발광 다이오드(OLED)에 인가되고, 발광 다이오드(OLED)가 빛을 방출한다.
타이밍 컨트롤러(50)는 외부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영상신호 및 각종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RGB신호, 데이터 제어신호 및 스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캔 구동부(30) 및 데이터 구동부(40)에 전달한다.
도 2는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디지털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구동방식에서는 복수의 서브 필드(sub-field)가 모여 이루어진 프레임(frame) 별로 영상의 계조(gray level)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필드는, 각 화소영역에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기입구간(writing period)과 발광 다이오드가 실제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구간(emitting period)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발광 다이오드의 빛 방출을 중지하는 소거구간(erasing period)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32계조로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일 프레임은, 도 2에 서와 같이 제1 내지 제5서브필드(SF1 내지 SF5)로 나누어질 수 있고, 제1 내지 제5서브필드(SF1 내지 SF5) 각각은 기입구간, 발광구간으로 다시 나누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발광구간의 길이를 조절하여 해당 서브필드의 가중치(binary weight)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서브필드(SF1)의 가중치를 20으로 설정하고, 제2서브필드(SF2)의 가중치를 21으로 설정하는 식으로, 가중치가2n(n = 0, 1, 2, 3, 4)의 비율로 증가되도록 각 서브필드의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프레임은 영상을 총 32(= 25)가지의 계조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2계조의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제1서브필드(SF1)부터 제5서브필드(SF5)를 모두 온(on) 시키면 된다.
즉, 제1서브필드(SF1)부터 제5서브필드(SF5) 각각의 기입구간 동안 데이터 라인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온 시키는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고, 기입구간 이후의 발광구간 동안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킴으로써 제32계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0계조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2(21)의 가중치를 갖는 제2서브필드(SF2)와 8(23)의 가중치를 갖는 제4서브필드(SF4)를 온 시키면 된다.
즉, 제2 및 제4서브필드(SF2, SF4) 각각의 기입구간 동안에는 데이터 라인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온 시키는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고, 제1, 제3 및 제5서브필드(SF1, SF3, SF5) 각각의 기입구간 동안에는 데이터 라인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오 프(off) 시키는 데이터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제2 및 제4서브필드(SF2, SF4) 각각의 발광구간 동안에는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키고, 제1, 제3 및 제5서브필드(SF1, SF3, SF5) 각각의 발광구간 동안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하지 않도록 하여, 제10계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화소영역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는 발광 다이오드를 온 또는 오프 시키는 두 가지 전압값을 가지므로, 시분할 구동방식을 디지털 구동방식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프레임은 1초에 복수개가 사용될 수 있는데, 1초에 총 60개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방식인 경우, 즉, 60Hz 구동인 경우에는 프레임의 주기는 1/60 초, 즉 대략 16.67ms일 수 있고, 1초에 총 50개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방식인 경우에는 프레임의 주기는 대략 20ms일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이 5개의 서브필드로 이루어진 5비트(bit) 구동의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는 서브필드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에서 가중치의 크기가 증가하는 순서에 따라 서브필드들이 배열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하나의 프레임에서 가중치가 감소하는 순서에 따라 배열될 수도 있고, 또는 가중치에 무관하게 서브필드들이 배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지털 구동방식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아날로그 구동방식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비해 수명 및 잔상 문제가 더 취약할 수 있다.
즉, 아날로그 구동방식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낮은 계조에서는 낮은 전압의 데이터 신호가 화소영역에 인가되고 높은 계조에서는 높은 전압의 데이터 신호가 화소영역에 인가되므로, 데이터 신호에 따른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턴-온 정도에 따라 파워라인의 전원전압이 강하되어 발광 다이오드에 인가된다.
반면에, 디지털 구동방식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낮은 계조와 높은 계조 모두 인가 시간을 달리할 뿐 항상 높은 전압(on 전압)의 데이터 신호가 화소영역에 인가되므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턴-온 정도는 항상 동일하며 파워라인의 전원전압이 그대로 발광 다이오드에 인가된다.
따라서, 디지털 구동방식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는, 모든 계조에 대하여 높은 전압의 데이터 신호에 의한 동일한 전원전압이 발광 다이오드에 인가되므로,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가 빠르게 진행된다.
이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는 동영상과 같이 각 화소영역이 표시하는 계조가 수시로 변화하는 경우보다 정지영상과 같이 각 화소영역이 표시하는 계조가 고정된 경우에 더 심화된다.
도 3a 및 3b는 각각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제1 및 제2정지패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잔상을 설명하 는 도면이다.
도 3a의 제1패턴은 화이트 및 블랙을 표시하는 패턴이고, 도 3b의 제2패턴은 화이트를 표시하는 패턴으로, 제1패턴에서는 A영역 및 B영역이 각각 화이트 및 블랙을 표시하고, 제2패턴에서는 A영역 및 B영역이 모두 화이트를 표시한다.
그런데,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패턴을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표시한 후 제2패턴을 표시할 때, 영역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 정도가 달라서 잔상이 발생한다.
즉, A영역의 발광 다이오드는 제1패턴을 표시하는 동안 높은 전원전압이 인가되어 지속적으로 발광하여 열화된 반면, B영역의 발광 다이오드는 제1패턴을 표시하는 동안 전원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발광하지 않아서 열화된 정도가 덜하다.
발광 다이오드는 열화된 정도에 따라 시간에 따른 휘도 감소의 정도가 달라지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더 열화된 A영역의 발광 다이오드에 의한 휘도 감소가 상대적으로 덜 열화된 B영역의 발광 다이오드에 의한 휘도 감소보다 크다.
따라서, 제2패턴을 표시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A영역의 휘도 감소가 B영역의 휘도 감소보다 크게 되어, A영역이 주변의 B영역보다 낮은 계조로 구분되는 잔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정지영상과 같이 동일한 패턴이 지속적으로 표시되는 경우, 스트레스에 의한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는 더 빨리 진행되어 수명이 저하되고, 잔상 발생 시간도 더 빨라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정지영상에 대한 휘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발광 다이오드의 스트레스를 저감하고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질 및 수명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에 대응되는 RGB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상기 RGB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종류를 동영상 및 정지영상 중 하나로 판단하고, 상기 영상이 상기 정지영상인 경우 휘도가 감소되도록 제어된 데이터신호 및 전원전압을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스캔신호를 출력하는 스캔 구동부와; 상기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신호,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스캔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전계발광 패널을 포함하는 디지털 구동방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RGB신호를 다수의 서브필드에 따라 매핑(mapping)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RGB신호를 출력하는 서브필드 메모리부와; 상기 RGB신호의 다수의 프레임 중 연속하는 2개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판단결과신호 를 출력하는 영상판단부와; 세팅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류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판단부는, 상기 연속하는 2개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기준개수 이상의 프레임에서 계속적으로 상기 RGB신호가 동일하면 상기 영상을 상기 정지영상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판단결과신호는 상기 전류변환부에 입력되고, 상기 전류변환부는 상기 영상이 상기 동영상인 경우 제1전압을 상기 전원전압으로 생성하고, 상기 영상이 상기 정지영상인 경우 상기 제1전압보다 작은 제2전압을 상기 전원전압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류변환부는 상기 판단결과신호에 따른 상이한 세트전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압 중 하나를 상기 전원전압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신호는 상기 서브필드 메모리부에 입력되고, 상기 서브필드 메모리부는 상기 영상이 상기 동영상인 경우 제1표시시간단위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서브필드를 정의하고, 상기 영상이 상기 정지영상인 경우 제1표시시간단위보다 짧은 제2표시시간단위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서브필드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신호의 다수의 프레임 각각은 상기 다수의 서브필드 및 수직블랭크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서브필드 각각은 기입구간 및 발광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구간의 총합의 상기 프레임에 대한 비율은, 상기 영상이 상기 동영상인 경우보다 상기 영상이 상기 정지영상인 경우가 더 작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영상에 대응되는 RGB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종류를 동영상 및 정지영상 중 하나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이 정지영상인 경우 휘도가 감소되도록 제어된 데이터 신호 및 전원전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전압을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RGB신호의 다수의 프레임 중 연속하는 2개의 프레임을 계속적으로 비교하는 단계와, 기준개수 이상의 프레임에서 계속적으로 상기 RGB신호가 동일하면 상기 영상을 상기 정지영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는, 파워라인으로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감소시키거나, 각 서브필드의 발광구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잔상을 방지하고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를 최소화하고,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질 및 수명을 개선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구동방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는, 유기전계발광 패널(120), 스캔 구동부(130), 데이터 구동부(140), 타이밍 컨트롤러(150)를 포함한다.
유기전계발광 패널(120)에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다수의 기입스캔라인(WSL1 내지 WSLm), 다수의 소거스캔라인(ESL1 내지 ESLm), 다수의 데이터라인(DL1 내지 DLn), 다수의 파워라인(PL1 내지 PLn)이 형성된다.
각 화소영역(P)에는, 다수의 기입스캔라인(WSL1 내지 WSLm)과 다수의 데이터라인(DL1 내지 DLn) 각각에 연결되는 제1박막트랜지스터(T1)와, 다수의 소거스캔라인(ESL1 내지 ESLm)과 다수의 파워라인(PL1 내지 PLn) 각각에 연결되는 제2박막트랜지스터(T2)와, 제1박막트랜지스터(T1)와 다수의 파워라인(PL1 내지 PLn) 각각의 사이에 연결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제3박막트랜지스터(T3)와, 제3박막트랜지스터(T3)에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OLED)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박막트랜지스터(T1, T2)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제3박막트랜지스터(T3)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라고도 한다.
스캔 구동부(130)는 다수의 기입스캔라인(WSL1 내지 WSLm) 및 다수의 소거스캔라인(ESL1 내지 ESLm)에 각각 기입스캔신호 및 소거스캔신호를 인가하고, 데이터 구동부(140)는 다수의 데이터라인(DL1 내지 DLn) 및 다수의 파워라인(PL1 내지 PLn)에 각각 데이터신호 및 전원전압(VDD)을 인가한다.
따라서, 기입스캔라인(WSL1 내지 WSLm)의 기입스캔신호에 따라 제1박막트랜지스터(T1)가 턴-온(turn-on)되면, 데이터라인(DL1 내지 DLn)의 데이터신호가 스토 리지 커패시터(Cst) 및 제3박막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에 충전되고, 그에 따라 제3박막트랜지스터(T3)가 턴-온(turn-on)되어 파워라인(PL1 내지 PLn)의 전원전압(VDD)이 발광 다이오드(OLED)에 인가되고, 발광 다이오드(OLED)가 빛을 방출한다.
그리고, 소거스캔라인(ESL1 내지 ESLm)의 소거스캔신호에 따라 제2박막트랜지스터(T2)가 턴-온턴-온스토리지 커패시터(Cst)와 제3박막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파워라인(PL1 내지 PLn)으로 방전되고,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양단과 제3박막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에 파워라인(PL1 내지 PLn)의 전원전압(VDD)이 인가되어 제3박막트랜지스터(T3)가 턴-오프 된다.
따라서, 파워라인(PL1 내지 PLn)의 전원전압(VDD)은 발광 다이오드(OLED)에 인가되지 않으며, 발광 다이오드(OLED)는 빛을 방출하지 않고 발광을 중지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50)는 외부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영상신호 및 각종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RGB신호, 데이터 제어신호 및 스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스캔 구동부(130)에 스캔 제어신호를 공급하고, 데이터 구동부(140)에 RGB신호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소거스캔라인 및 제2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데이터 구동부(140)는 다수의 구동 집적회로(driving integrated circuit: D-IC, 142)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구동방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집적회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집적회로(142)는, 프레임 메모리부(frame memory unit: 172), 감마제어부(gamma control unit: 174), 하프톤부(halftone unit: 178), 서브필드 메모리부(sub-field memory unit: 180), 영상판단부(182), 전류변환부(current DAC unit: 184) 및 출력부(186)를 포함한다.
프레임메모리부(172)는, 타이밍컨트롤러(도 5의 150) 등으로부터 입력 받은 RGB신호를 프레임 별로 저장하는데, 연속되는 적어도 2개의 프레임의 RGB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감마제어부(174)는, RGB신호의 감마를 보정하는데, 예를 들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도 5의 110)의 휘도 특성을 고려하여 감마값을 보정할 수 있다.
하프톤부(176)는, truncation, random E/D, normal E/D, Dither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감마 보정된 RGB신호에 대하여 사용할 계조를 선택하고 선택된 계조를 이용하여 선택된 계조 사이의 계조를 생성함으로써, 계조값의 표현력을 조절한다.
디지털 구동방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에서는, 서브필드의 개수, 즉 RGB신호의 비트수에 따라 표시 가능한 총 계조수(총 계조수는 2비트수개)가 결정될 수 있지만, 여러 가지 원인으로 총 계조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사용하는데, 하프톤부(176)는 truncation, random E/D, normal E/D, Dither 중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 을 이용하여 선택된 계조 사이 사이의 계조를 생성한다.
즉, 하프톤부(176)는 광축의 변화가 가장 부드럽게 이어질 수 있는 특정개의 맵핑을 선택하여 실계조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족한 계조는 선택한 계조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서브필드 메모리부(180)는, 하프톤부(178)로부터 입력 받은 RGB신호를 다수의 서브필드에 따라 매핑(mapping)하여 저장한다.
한편, 영상판단부(182)는, 프레임 메모리부(172)에 저장된 적어도 2개의 프레임의 RGB신호를 정해진 수만큼 지속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 패널(120)에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이 동영상인지 정지영상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메모리부(172)에 제n프레임의 RGB신호와 제(n+1)프레임의 RGB신호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이 2개의 프레임의 RGB신호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확인하는데, 계속적으로 인접 프레임 2개씩을 비교하여 기준개수 이상의 프레임에서 RGB신호가 동일할 경우에 정지영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0개의 프레임을 동일 여부의 기준으로 할 수 있으며, 이것은 60Hz 구동 시 2초 이상 동일한 영상이 표시되면 정지영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RGB신호는 유기전계발광 패널(120)의 화소영역의 개수만큼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동일 여부는, 매 2개의 프레임마다 시작 번지(start address)부터 종료 번지(end address)까지 RGB신호의 모든 데이터를 비교하여 확인한다.
그리고, 영상판단부(182)는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이 정지영상인지 동영상인 지 판단한 결과를 포함하는 판단결과신호를 전류변환부(184)에 전달하여 다음 프레임의 RGB신호에 동일 여부에 따른 휘도 변경 효과가 나타나도록 한다.
전류변환부(184)는, 유기전계발광 패널(120)의 파워라인(도 5의 PL1 내지 PLn)에 인가되는 전원전압(VDD)의 값을 영상판단부(182)의 판단결과신호에 따라 결정하는데, 표시영상이 동영상 등의 일반영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전류를 세트전류(set current) 값으로 선택하여 제1전압을 전원전압(VDD) 값으로 결정하고, 표시영상이 정지영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전류보다 작은 제2전류를 세트전류 값으로 선택하여 제1전압보다 작은 제2전압을 전원전압 값으로 결정하여, 전원전압 값을 출력부(186)에 전달한다.
즉, 전류변환부(184)는, 세트전류 값을 조절하여 초기 설정된 휘도 대비 동일 색좌표를 기반으로 적, 녹, 색의 휘도가 감소되도록 전원전압 값을 변조한다.
출력부(186)는, 서브필드 메모리부(180)로부터 서브필드 별로 재배열된 RGB신호를 전달받고, 전류변환부(184)로부터 표시영상의 종류에 따라 제1전압 또는 제2전압 중 하나를 전원전압(VDD)으로 전달받아, 유기전계발광 패널(120)에 공급한다.
그리고, 유기전계발광 패널(120)은 RGB신호와 전원전압(VDD)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데, 표시영상이 정지영상인 경우, 표시영상이 동영상인 경우보다 휘도를 감소시켜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영상이 정지영상인 경우에는, 동영상의 전원전압(VDD)인 제1전압(V1)의 80%인 제2전압(V2 = 0.8 V1)을 전원전압(VDD)으로 이용하여 영상을 표 시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10)의 발광 다이오드(도 5의 OLED)의 열화 및 수명을 개선하고, 잔상을 방지하여 화질을 개선한다.
이때, 정지영상일 경우의 전원전압 값인 제2전압은, 유기전계발광 패널(120)로 정지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범위의 최소값일 수 있다.
여기서, 정지영상 표시 후 다시 동영상을 표시할 경우, 전원전압은 원래의 값인 제1전압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전압 값의 변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원전압 공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 및 도 6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 패널(120)은, 각 화소영역(P)의 발광 다이오드(OLED), 제1 내지 제3박막트랜지스터(T1 내지 T3) 외에 모니터링 발광 다이오드(MOLED)와 제4박막트랜지스터(T4) 를 포함하는데, 영상표시를 방해하지 않도록 비표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모니터링 발광 다이오드(MOLED)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도 5의 110)의 동작 중 화소영역(P)의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고, 제4박막트랜지스터(T4)는 모니터링 발광 다이오드(MOLED)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그리고, 전류변환부(184)는 전류원(CS), 제1 내지 제3스위치(SW1 내지 SW3), 연산 증폭기(OP AMP: OP), 제5박막트랜지스터(T5)를 포함한다.
제1스위치(SW1), 제2스위치(SW2) 및 제4박막트랜지스터(T4)를 제어하여 전류원(CS)의 전류가 모니터링 발광 다이오드(MOLED)에 흐르도록 하고, 제3스위치(SW3)를 제어하여, 모니터링 발광 다이오드(MOLED)의 상단의 모니터링 전압이 파워라인(PL1 내지 PLn)에 공급되도록 한다.
즉, 제1 및 제3스위치(SW1, SW3)의 제어에 의한 샘플링(sampling) 및 홀딩(holding)을 통하여 생성되는 전압이 연산증폭기(OP)를 거쳐 전원전압(VDD)으로서 파워라인(PL1 내지 PLn)에 공급된다.
여기서, 영상판단부(도 6의 182)의 출력인 판단결과신호에 따라 전류원(CS)의 세트전류 값은 제1전류 또는 제1전류보다 낮은 제2전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판단결과신호에 따라 전류원(CS)의 세트전류 값이 선택되면, 선택된 세트전류 값은 모니터링 발광 다이오드(MOLED)를 통해 모니터링 전압을 변경하고, 이에 따라 전원전압(VDD)이 제1전압 또는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이 된다.
표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의 휘도 및 전류원의 세트전류 값을 나타내는 표이다.
[표 1]
Figure 112009065781729-PAT00001
표 1은, 동영상 등 일반영상의 화이트의 휘도가 약 200 cd/m2이고, 정지영상의 화이트의 휘도가 그 80%인 약 160 cd/m2가 되도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구동할 경우, 전원전압(VDD) 변조를 위한 전류원의 세트전류 값인 제1전류 및 제2전류를 적, 녹, 청색 각각에 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즉, 동영상 등 일반영상의 경우 적, 녹, 청색 화소영역에 대한 전류원(CS)의 세트전류 값인 제1전류가 각각 약 111 μA, 약 102 μA, 약 64 μA일 때, 정지영상의 경우 적, 녹, 청색 화소영역에 대한 전류원(CS)의 세트전류 값인 제2전류를 각각 약 87 μA, 약 77 μA, 약 54 μA로 설정하면 동영상의 화이트 휘도의 80%를 갖는 정지영상의 화이트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지영상에서의 휘도 저하는 사용자가 체감할 수 없는 수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는, 표시영상을 프레임 별로 비교하여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구분 판단하고, 정지영상일 경우,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범위 내에서 파워라인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저감 시킴으로써 정지영상의 휘도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잔상 및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가 최소화되고, 그 결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질 및 수명이 개선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구동방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집적회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구동방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도 5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동일하게, 유기전계발광 패널, 스캔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집적회로(242)는, 프레임 메모리부(frame memory unit: 272), 감마제어부(gamma control unit: 274), 하프톤부(halftone unit: 278), 서브필드 메모리부(sub-field memory unit: 280), 영상판단부(282), 전류변환부(current DAC unit: 284) 및 출력부(286)를 포함한다.
프레임메모리부(272)는, 타이밍컨트롤러 등으로부터 입력 받은 RGB신호를 프레임 별로 저장하는데, 연속되는 적어도 2개의 프레임의 RGB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감마제어부(274)는, RGB신호의 감마를 보정하는데, 예를 들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휘도 특성을 고려하여 감마값을 보정할 수 있다.
하프톤부(276)는, truncation, random E/D, normal E/D, Dither 중 어느 하 나를 이용하여 감마 보정된 RGB신호에 대하여 사용할 계조를 선택하고 선택된 계조를 이용하여 선택된 계조 사이의 계조를 생성함으로써, 계조값의 표현력을 조절한다.
즉, 하프톤부(276)는 광축의 변화가 가장 부드럽게 이어질 수 있는 특정개의 매핑을 선택하여 실계조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족한 계조는 선택한 계조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서브필드 메모리부(280)는, 하프톤부(278)로부터 입력 받은 RGB신호를 서브필드에 따라 매핑(mapping)하여 저장하는데, 유기전계발광 패널(220)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표시시간단위(display time unit: DTU)를 선택하여 서브필드를 정의하여 매핑(또는 재배열)하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한편, 영상판단부(282)는, 프레임 메모리부(272)에 저장된 적어도 2개의 프레임의 RGB신호를 정해진 수만큼 지속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 패널(220)에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이 동영상인지 정지영상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메모리부(272)에 제n프레임의 RGB신호와 제(n+1)프레임의 RGB신호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이 2개의 프레임의 RGB신호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확인하는데, 연속적으로 120개의 프레임을 2개씩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RGB신호는 유기 전계발광 패널(220)의 화소영역의 개수만큼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동일 여부는, 매 2개의 프레임마다 시작 번지(start address)부터 종료 번지(end address)까지 RGB신호의 모든 데이터를 비교하여 확인한다.
그리고, 영상판단부(282)는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이 정지영상인지 동영상인지 판단한 결과를 포함하는 판단결과신호를 서브필드 메모리부(280)에 전달하여 다음 프레임의 RGB신호에 동일 여부에 따른 휘도 변경 효과가 나타나도록 한다.
영상판단부(282)로부터 판단결과신호를 전달받은 서브필드 메모리부(280)는 판단결과신호에 따라 제1표시시간단위(DTU1) 또는 제2표시시간단위(DTU2)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서브필드를 정의하고 이를 매핑하여 저장한 후, 적정시간에 출력부(286)로 전달한다.
즉, 표시영상이 동영상 등 일반영상일 경우 제1표시시간단위(DTU1)를 기준으로 다수의 서브필드를 정의하고, 표시영상이 정지영상일 경우 제1표시시간단위(DTU1)보다 짧은 제2표시시간단위(DTU2)를 기준으로 다수의 서브필드를 정의하여, 매핑한다.
따라서, 제2표시시간단위(DTU2)을 기준으로 한 다수의 서브필드로 이루어진 일 프레임에서 발광구간의 총합이 차지하는 비율은 제1표시시간단위(DTU1)을 기준으로 한 다수의 서브필드로 이루어진 일 프레임에서 발광구간의 총합이 차지하는 비율보다 작아지고, 이것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휘도 저감을 가져온다.
출력부(286)는, 서브필드 메모리부(280)로부터 표시영상의 종류에 따라 제1표시시간단위(DTU1)를 기준으로 한 서브필드 또는 제2표시시간단위(DTU2)를 기준으로 한 서브필드 별로 재배열된 RGB신호를 전달받아, 유기 전계발광 패널(220)에 공 급한다.
물론, 전류변환부(284)는 세트전류 값에 따른 전원전압(VDD)을 생성하여 출력부(286)를 통하여 유기전계발광 패널(220)에 공급하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세트전류 값이 영상판단부(282)의 판단결과신호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고정되며, 그 결과 출력부(286)에서 출력되는 전원전압(VDD)은 영상의 종류에 무관하게 고정된 값을 갖는다.
그리고, 유기 전계발광 패널(120)은 RGB신호 및 전원전압(VDD)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데, 표시영상이 정지영상인 경우, 표시영상이 동영상인 경우보다 휘도를 감소시켜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영상이 정지영상인 경우에는, 동영상의 서브필드의 기준인 제1표시시간단위(DTU1)의 80%인 제2표시시간단위(DTU2 = 0.8 DTU1)를 기준으로 서브필드를 정의하고 매핑함으로써,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 및 수명을 개선하고, 잔상을 방지하여 화질을 개선한다.
이때, 정지영상일 경우의 서브필드 정의의 기준인 제2표시시간단위(DTU2)는, 유기 전계발광 패널(220)로 정지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범위의 최소값일 수 있다.
여기서, 정지영상 표시 후 다시 동영상을 표시할 경우, 서브필드 정의의 기준은 원래의 값인 제1표시시간단위(DTU1)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필드 정의의 기준 변화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서브필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RGB신호가 5비트 디지털 신호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5비트보다 크거나 작은 비트수의 디지털 신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필드 메모리부(280)는, RGB신호의 일 프레임(frame)을 제1 내지 제5서브필드(SF1 내지 SF5)와 수직블랭크구간(vertical blank time: VBT)으로 구성하고, 제1 내지 제5서브필드(SF1 내지 SF5) 각각은 기입구간(writing period) 및 발광구간(emitting period)으로 구성한다.
기입구간은 각 화소영역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간으로, 기입스캔라인(도 5의 WSL1 내지 WSLm)에 인가되는 기입스캔신호에 의하여 제1박막트랜지스터(도 5의 T1)가 턴-온 되는 구간이다.
발광구간은 발광 다이오드(도 5의 OLED)가 빛을 방출하는 구간으로, 각 서브필드의 발광구간의 합에 의하여 계조를 표시한다.
그리고, 수직블랭크구간은 각 프레임의 말단에 배치되는 비발광 구간으로, 일 프레임의 영상이 표시된 후 다음 프레임의 영상표시 준비를 위하여 주파수 동기(synchronization), 다음 프레임 RGB신호 저장, 현재 프레임 RGB신호 매핑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간이다.
제1 내지 5서브필드(SF1 내지 SF5) 각각의 발광구간은, 표시시간단위(display time unit: DTU)를 이용하여 정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내지 5서브필드(SF1 내지 SF5) 각각의 발광구간을 표시시간단위(DTU)의 1배, 2배, 4배, 8 배, 16배로 정의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유기전계발광 패널(220)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에 따라 제1 및 제2표시시간단위(DTU1, DTU2)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1 내지 제5서브필드(SF1 내지 SF5)의 발광구간을 정의한다.
즉, 서브필드 메모리부(280)는, 표시영상이 동영상 등의 일반영상일 경우, 제1표시시간단위(DTU1)를 기준으로 제1 내지 제5서브필드(SF1 내지 SF5) 각각의 발광구간을 정의하고, 표시영상이 정지영상일 경우, 제1표시시간단위(DTU)보다 짧은 제2표시시간단위(DTU2)를 기준으로 제1 내지 제5서브필드(SF1 내지 SF5)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영상이 정지영상인 경우 동영상에 비하여, 제1 내지 제5서브필드(SF1 내지 SF5)의 발광구간이 동일한 비율로 단축되고, 제1 내지 제5서브필드(SF1 내지 SF5)의 발광구간의 총합이 일 프레임에서 차지하는 비율 역시 동일한 비율로 감축되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모든 계조에 대해 동일한 비율로 휘도가 저감된 정지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제1 내지 제5서브필드(SF1 내지 SF5) 각각의 기입구간 및 수직블랭크구간은 정지영상의 경우가 동영상의 경우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따라서, 판단결과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표시단위시간(DTU1, DTU2) 중 하나가 선택되어 다수의 서브필드가 정의되면, 이에 따라 발광구간이 변경됨으로써 표시영상의 휘도가 변경된다.
표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의 휘도, 표시시간단위, 기입구간 등을 나타내는 표이다.
[표 2]
Figure 112009065781729-PAT00002
표 2는, 동영상 등 일반영상의 화이트의 휘도가 약 200 cd/m2이고, 정지영상의 화이트의 휘도가 그 80%인 약 160 cd/m2가 되도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구동할 경우, 다수의 서브필드를 달리 구성하기 위한 표시시간단위(DTU), 수직블랭킹구간(VBT), 각 서브필드의 기입구간의 변화를 보여준다.
즉, 표시시간단위(DTU), 수직블랭킹구간(VBT), 기입구간을 각각 26, 1750, 1.6 μsec으로 하여 동영상 등 일반영상을 표시하고, 표시시간단위(DTU), 수직블랭킹구간(VBT), 기입구간을 변조하여 각각 20, 1750, 1.675 μsec으로 하여 정지영상을 표시하면, 각 서브필드의 발광구간의 총합이 프레임에 대하여 차지하는 비율은 63 %에서 50 %로 저감되어 정지영상의 화이트 휘도는, 일반영상의 화이트 휘도인 200 cd/m2의 80 %인 약 160 cd/m2이 되고, 이 경우 정지영상에서의 휘도 저하는 사용자가 체감할 수 없는 수준이다.
이때, 전원전압(VDD)을 결정하는 세트전류, 구동주파수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에서 동일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표 2의 예에서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에서의 수직블랭킹구간(VBT)을 동일하게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정지영상의 휘도를 더 저감하기 위하여 정지영상의 수직블랭킹구간(VBT)이 동영상에서의 수직블랭킹구간(VBT)보다 더 길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는, 표시영상을 프레임 별로 비교하여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구분 판단하고, 정지영상일 경우,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범위 내에서 표시시간단위, 수직블랭킹구간, 기입구간을 조절하여 다수의 서브필드를 새롭게 정의하여 RGB신호를 매핑함으로써, 정지영상의 발광구간의 총합을 더 저감시키고, 휘도를 저감시킨다.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잔상 및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가 최소화되고, 그 결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질 및 수명이 개선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디지털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및 3b는 각각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제1 및 제2정지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잔상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구동방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구동방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집적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원전압 공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구동방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집적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서브필드 구성을 도시한 도면.

Claims (9)

  1. 영상에 대응되는 RGB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상기 RGB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종류를 동영상 및 정지영상 중 하나로 판단하고, 상기 영상이 상기 정지영상인 경우 휘도가 감소되도록 제어된 데이터신호 및 전원전압을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스캔신호를 출력하는 스캔 구동부와;
    상기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신호, 상기 전원전압 및 상기 스캔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전계발광 패널
    을 포함하는 디지털 구동방식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RGB신호를 다수의 서브필드에 따라 매핑(mapping)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RGB신호를 출력하는 서브필드 메모리부와;
    상기 RGB신호의 다수의 프레임 중 연속하는 2개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판단결과신호를 출력하는 영상판단부와;
    세팅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류변환부
    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판단부는, 상기 연속하는 2개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기준개수 이상의 프레임에서 계속적으로 상기 RGB신호가 동일하면 상기 영상을 상기 정지영상으로 판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신호는 상기 전류변환부에 입력되고, 상기 전류변환부는 상기 영상이 상기 동영상인 경우 제1전압을 상기 전원전압으로 생성하고, 상기 영상이 상기 정지영상인 경우 상기 제1전압보다 작은 제2전압을 상기 전원전압으로 생성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변환부는 상기 판단결과신호에 따른 상이한 세트전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압 중 하나를 상기 전원전압으로 생성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신호는 상기 서브필드 메모리부에 입력되고, 상기 서브필드 메모리부는 상기 영상이 상기 동영상인 경우 제1표시시간단위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서브필드를 정의하고, 상기 영상이 상기 정지영상인 경우 제1표시시간단위보다 짧은 제2표시시간단위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서브필드를 정의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의 다수의 프레임 각각은 상기 다수의 서브필드 및 수직블랭크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서브필드 각각은 기입구간 및 발광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구간의 총합의 상기 프레임에 대한 비율은, 상기 영상이 상기 동영상인 경우보다 상기 영상이 상기 정지영상인 경우가 더 작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8. 영상에 대응되는 RGB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종류를 동영상 및 정지영상 중 하나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이 정지영상인 경우 휘도가 감소되도록 제어된 데이터 신호 및 전원전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전원전압을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RGB신호의 다수의 프레임 중 연속하는 2개의 프레임을 계속적으로 비교하는 단계와, 기준개수 이상의 프레임에서 계속적으로 상기 RGB신호가 동일하면 상기 영상을 상기 정지영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90102300A 2009-10-27 2009-10-27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534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300A KR101534627B1 (ko) 2009-10-27 2009-10-27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300A KR101534627B1 (ko) 2009-10-27 2009-10-27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643A true KR20110045643A (ko) 2011-05-04
KR101534627B1 KR101534627B1 (ko) 2015-07-07

Family

ID=44240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300A KR101534627B1 (ko) 2009-10-27 2009-10-27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62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8972A (ko) * 2011-05-18 2012-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03102A (ko) * 2012-06-29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49923A (ko) * 2013-10-31 2015-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50078836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구동 방식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50078846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US9443467B2 (en) 2013-04-02 2016-09-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driver,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70080985A (ko) 2015-12-31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상 발광 방지 모듈 및 방법
KR20170140663A (ko) * 2016-06-13 2017-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80047072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1663950B2 (en) 2020-08-11 2023-05-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596B1 (ko) 2018-01-05 2023-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도 조절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9509A (ja) * 2000-11-30 2002-06-14 Sanyo Electric Co Ltd 平面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JP2006189661A (ja) * 2005-01-06 2006-07-20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8165045A (ja) * 2006-12-28 2008-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KR20080085585A (ko) * 2007-03-20 2008-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잔상제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8972A (ko) * 2011-05-18 2012-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03102A (ko) * 2012-06-29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443467B2 (en) 2013-04-02 2016-09-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driver,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50049923A (ko) * 2013-10-31 2015-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50078836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구동 방식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50078846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70080985A (ko) 2015-12-31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상 발광 방지 모듈 및 방법
KR20170140663A (ko) * 2016-06-13 2017-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80047072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1663950B2 (en) 2020-08-11 2023-05-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627B1 (ko)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62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0600362B2 (en) Compensation accuracy
KR101404582B1 (ko)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0831228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799976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84476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US7538749B2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197632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858614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668543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16012345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80087355A (ko) 발광 픽셀 및 상기 발광 픽셀의 구동 장치
JP7288028B2 (ja) 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2278497A (ja) 表示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KR20030007135A (ko) 서브필드의 수가 가변적인 표시패널의 구동방법
KR101166824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40122362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TWI404015B (zh) 具備自發光顯示面板之驅動裝置,驅動方法及具備該驅動裝置之電子機器
KR101999761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60089945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00045657A (ko)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
WO2009082056A1 (en) Hybrid driving device and method of amoled panel using multi-analog gradation current
KR102098744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4309844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および電子機器
JP2002287682A (ja) 表示パネルとそ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