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683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683A
KR20110044683A KR1020100025642A KR20100025642A KR20110044683A KR 20110044683 A KR20110044683 A KR 20110044683A KR 1020100025642 A KR1020100025642 A KR 1020100025642A KR 20100025642 A KR20100025642 A KR 20100025642A KR 20110044683 A KR20110044683 A KR 20110044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et
terminal
base station
uplink power
sin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826B1 (ko
Inventor
김동철
이욱봉
조한규
곽진삼
임빈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080045814.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577544B/zh
Priority to PCT/KR2010/004637 priority patent/WO2011049286A1/en
Priority to US12/843,413 priority patent/US8483742B2/en
Publication of KR20110044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파라미터와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레벨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목표 SINR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목표 SINR 및 상기 잡음 및 간섭레벨을 이용한 단말의 잡음 및 간섭의 추정평균전력레벨 NI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선택적으로 송신되는 제1오프셋 및 제2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표 SINR 파라미터와 상기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오프셋과 제2오프셋을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에 유니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안정적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차세대 멀티미디어 무선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정보를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로 처리할 것을 요구한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질 수 있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 OFDM은 주파수 대역을 다수의 직교 부반송파로 분할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중 반송파 변조 기법으로, 낮은 복잡도로 심벌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효과를 감쇄시킬 수 있다. OFDM은 직렬로 입력되는 데이터 심벌을 N개의 병렬 데이터 심벌로 변환하여, 각각 분리된 N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에 실어 송신한다.
부반송파는 주파수 차원에서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각각의 직교 채널은 상호 독립적인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을 경험하게 되고, 전송되는 심벌의 간격이 길어져 심벌간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은 OFDM을 변조 방식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부반송파의 일부를 각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하여 다중 접속을 실현하는 다중 접속 방법을 말한다. OFDMA는 부반송파라는 주파수 자원을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각각의 주파수 자원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되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주파수 자원은 사용자마다 상호 배타적으로 할당된다.
한편, 무선통신 시스템은 효율적인 시스템 구성을 위해 셀(cell) 구조를 갖는다. 셀이란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넓은 지역을 작은 구역으로 세분한 구역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셀의 중심부에 기지국(Base Station; BS)을 설치하여 단말(User Equipment; UE)을 중계하며, 셀은 하나의 기지국이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을 말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거리에 따른 경로손실(path-loss) 및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에 의한 셀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을 줄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전력제어 기법을 사용한다. 전력제어 기법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가장 낮은 전력 레벨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송신전력을 조절하는 기법이다. 특히, 다중 셀 환경에서 셀 경계 부근에 있는 단말들은 경로손실과 셀간 간섭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단말은 인접 셀에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 경로손실에 따라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적절한 송신전력을 결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한다.
따라서, 단말은 경로손실 및 셀간 간섭, 데이터 전송시의 목표 SINR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을 기초로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한편,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별 전력 보정 및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별 전력 보정을 송신전력 결정에 이용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된 목표 SINR의 결정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목표 SINR을 계산하게 된다. 단말이 목표 SINR을 결정하는 방법은 모드에 따라 달라지며, 모드 1은 전체 시스템 처리량과 셀 가장자리에서의 동작 간의 균형(trade off), 및 IoT(Interference plus noise Thermal noixe) 제어를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제어인자를 기반으로 목표 SINR 결정하고, 모드 2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사용자데이터 및/또는 제어정보의 각 전송 채널별로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공유된 C/N (Carrier to Noise ratio)를 기반으로 목표 SINR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모드에 따라 목표 SINR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단말이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복잡하게 만든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모드 2에서 목표 SINR의 결정에 이용되는 C/N은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레벨별 또는 동일 정보라도 채널 상황에 따라 자원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반영한 정보별 보정값(Ioffset)을 반영하여 정해지게 되어, 각종 전송 채널별로 C/N을 결정하는 것이 점점 복잡해지고 어려워지고 있다.
한편, 단말은 송신전력을 결정함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단말 전력 보정값과 아울러 단말 스스로에 정해진 단말 전력 보정값을 반영하여 송신전력을 보정한다. 이동성 단말의 채널 환경은 매우 빠르게 변화되므로, 단말이 전송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한 전력제어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채널 환경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송신전력 결정을 단순화하고 무선통신 시스템의 채널환경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유리한 송신전력 결정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단말이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방법을 간소화하고 무선통신 시스템의 채널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파라미터와,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레벨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목표 SINR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목표 SINR 및 상기 잡음 및 간섭레벨을 이용한 단말의 잡음 및 간섭의 추정평균전력레벨 NI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선택적으로 송신되는 제1오프셋 및 제2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그리고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파라미터과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레벨을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송신되는 제1오프셋 및 제2오프셋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목표 SINR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목표 SINR과 상기 잡음 및 간섭레벨을 이용한 단말의 잡음 및 간섭의 추정평균전력레벨 NI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제1오프셋 및 제2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파라미터과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그리고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의 보정을 위한 제1오프셋과 제2오프셋을 선택적으로상기 단말에 유니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 그리고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여, 목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파라미터과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여,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의 보정을 위한 제1오프셋과 제2오프셋을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에 유니캐스트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오프셋과 상기 제2오프셋은 독립적으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제1오프셋은 '-0.5dB'보다 작은 '-X1 (dB)' 부터 '1.0dB'보다 큰 'X2 (dB)' 사이의 값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오프셋은 '-15.5dB' 부터 '16dB'까지에서 0.5dB씩 양자화된 값들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오프셋은 [-0.5dB, 0.0dB, 0.5dB, 1.0dB]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전력 P는
Figure pat00001
에서, 현재의 추정 평균 하향링크 전달손실값 계산하여 L에 설정하고, SINRTarget에는 상기 목표 SINR 값을 설정하고, NI에는 상기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에 의한 NI값을 설정하고, Offset에는 '0'을 설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전력 P는
Figure pat00002
에서 Offset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오프셋 또는 상기 제2오프셋을 설정함으로써 새로운 상향링크 전력 Pnew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목표 SINR을 결정함에 있어서, 데이터 채널에 대한 목표 SINR(SINRTarget)은
Figure pat00003
에서, SINRMIN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기대되는 최소율의 SINR을 설정하고,
Figure pat00004
IOT에는 페어니스(fairness) 및 IoT 제어 인자를 설정하고, SINRDL에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측정되는 잡음 및 간섭 전력에 대한 하향링크 신호의 비율을 설정하고, α에는 상기 기지국의 수신안테나의 개수에 따른 인자를 설정하고, β에는 TNS(Total Number of Streams)의 적용여부를 지시하는 스트림 인자를 설정하여 결정하고, HARQ Feedback, Synchronized Ranging, P-FBCH, S-FBCH, Bandwdith Request 채널 각각에 대한 목표 SINR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해당 채널의 목표 SINR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의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무선통신 시스템 내의 채널 환경의 항상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무선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단말 및 기지국 내 송신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전력제어의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수신한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채널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채널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전력보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15a, 15b, 15c)에 위치한 단말(12: User Equipment, UE)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도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12)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기지국(11)과 통신하여 사용자데이터 및/또는 각종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각종 기기들이 이에 속한다. 단말(12)은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으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 및/또는 다른 기지국(11)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단말(12) 및 타 기지국(11)과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교환한다. 기지국(11)은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한편, 송신기는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말하고, 수신기는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향리크에서는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활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Carrier FDMA), OFDMA(Orthogonal Frequency Multiple Access) 등의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단말(12) 및 기지국(11)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12)은 상향링크에서는 송신기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수신기로 동작한다. 기지국(11)은 상향링크에서는 수신기로 동작할 수 있다.
단말(12) 및 기지국(11)은 정보 및/또는 데이터, 신호,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500a, 500b)와, 안테나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기 (Transmitter; 100a, 100b), 안테나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기(Receiver; 300a, 300b), 무선통신 시스템 내 통신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00a, 200b)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12) 및 기지국(11)은 단말(12) 또는 기지국(11)에 포함된 송신기 및 수신기, 메모리 등의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400a, 400b)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단말(12) 내 송신기(100a), 수신기(300a), 메모리(200a), 프로세서(400a)는 각각 별개의 칩(chip)에 의해 독립된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하나의 칩(chip)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기지국(11) 내 송신기(100b), 수신기(300b), 메모리(200b), 프로세서(400b)는 각각 별개의 칩(chip)에 의해 독립된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하나의 칩(chip)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안테나(500a, 500b)는 송신기(100a, 100b)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기(300a, 300b)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중 입출력(Multi-Input Multi-Output, MIMO) 기능을 지원하는 송수신 모듈의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500a, 500b)는 송신기(100a, 100b)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기(300a, 300b)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중 입출력(Multi-Input Multi-Output, MIMO) 기능을 지원하는 송수신 모듈의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400a, 400b)는 통상적으로 단말(12) 또는 기지국(11) 내 각종 모듈의 전박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400a, 400b)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 기능, 서비스 특성 및 전파 환경에 따른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 가변 제어 기능, 유휴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절약모드 기능, 핸드오버(Hand Over) 기능, 인증 및 암호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a, 400b)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00a, 400b)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400a, 400b)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400a, 400b) 내에 구비되거나 메모리(200a, 200b)에 저장되어 프로세서(400a, 400b)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송신기(100a, 100b)은 프로세서(400a, 400b)로부터 스케쥴링되어 외부로 전송될 신호 및/또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부호화(coding) 및 변조(modulation)를 수행한 후 안테나(500a, 500b)에 전달한다. 또한, 송신기(100a, 100b)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열을 역다중화 및 채널 부호화, 변조과정 등을 거쳐 K개의 신호열로 변환한다. 상기 K개의 신호열은 송신기 내 송신처리기를 거쳐 송신 안테나(500a, 500b)를 통해 전송된다.
도 3은 단말 및 기지국 내 송신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송신기(100a, 100b)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신기(100a, 100b)는 인코더(110) 및 프리코더(120), 부반송파 맵퍼(130-1,...,130-K),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 발생기, Nt개의 송신 안테나(500-1, 500-Nt)를 포함한다. 인코더(110)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열을 정해진 코딩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coded data)를 형성하고,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신호 성상(signal constellation) 상의 위치를 표현하는 심볼로 배치한다.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에는 제한이 없으며, m-PSK(m-Phase Shift Keying) 또는 m-QAM(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이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의 변조에 이용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의 변조를 위해 인코더(110)는 변조기를 독립된 모듈로서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인코더(110)는 프리코더(120)가 안테나 특정 심볼을 해당 안테나의 경로로 분배할 수 있도록 입력 심볼의 계층을 정의할 수 있다. 계층(layer)은 프리코더(120)로 입력되는 정보경로(information path)를 의미하며, 프리코더(120) 이전의 정보 경로를 가상 안테나(virtual antenna) 또는 계층(layer)이라고 할 수 있다. 심볼의 계층을 정의하기 위해 인코더(110)는 계층 맵퍼를 독립된 모듈로서 구비할 수도 있다. 프리코더(120)는 입력 심볼을 다중 송신 안테나(500-1,..., 500-Nt)에 따른 MIMO 방식으로 처리하여 안테나 특정 심볼들을 출력하고 상기 안테나 특정 심볼들을 해당 부반송파 맵퍼(130-1,...,130-K)로 분배한다. 부반송파 맵퍼(130-1,...,130-K)는 안테나 특정 심볼을 적절한 부반송파에 할당하고, 사용자에 따라 다중화한다. OFDM 신호발생기(140-1,...,140-K)는 안테나 특정 심볼을 OFDM 방식으로 변조하여 OFDM 심볼을 출력한다. OFDM 신호발생기(140-1,...,140-K)는 안테나 특정 심볼에 대해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수행할 수 있으며, IFFT가 수행된 시간 영역 심볼에는 CP(Cyclic Prefix)가 삽입될 수 있다. OFDM 심볼은 각 송신 안테나(500-1,...,500-K)를 통해 송신된다.
수신기(300a, 300b)은 외부에서 안테나(500a, 500b)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복호(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을 수행하여 프로세서(400a, 400b)로 전달한다. 수신기(300a, 300b)에 연결된 안테나(500a, 500b)는 N개의 다중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 각각은 기저대역 신호로 복원된 후 다중화 및 채널 복조화를 거쳐 송신기(100a, 100b)가 본래 전송하고자 했던 데이터열로 복원된다. 수신기(300a, 300b)는 수신된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복원하기 위한 신호복원기, 수신 처리된 신호를 결합하여 다중화하는 다중화기, 신호열을 데이터열로 복원하는 채널 복조화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복원기 및 다중화기, 채널 복조화기는 이들의 기능을 수행하는 통합된 하나의 모듈 또는 각각의 독립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MIMO 시스템에서 송신기(100a, 100b)는 복수 신호열이 몇 개의 부호화된 패킷으로부터 생성될 것인가에 따라 단일코드워드(Single CodeWord, SCW) 모드와 복수코드워드(Multi-CodeWord, MCW)의 두 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단일코드워드(SCW) 모드는 계층의 수와 상관 없이 하나의 코드워드가 MIMO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진 복수개의 계층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고, 복수코드워드 방식은 MIMO 시템에 의해 만들어진 복수개의 계층 각각에 하나의 코드워드를 전송하는 것이다. 복수코드워드 모드에서는 하나의 코드워드마다 적용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통해 수신기가 각 코드워드의 복조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수신측에서 간섭제거와 같은 수신과정을 거쳐 추가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코드워드 모드로 동작하는 수신기(300a, 300b)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와 다중화를 위한 모듈들 외에 간섭제거를 위한 간섭제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0a, 200b)는 프로세서(400a, 400b)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단말(12)의 메모리(200a)의 경우, 예를 들어, 상향링크 전력 결정을 위해 기지국(12)으로부터 전달된 각종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또는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향링크 전력제어는 초기 측정(initial calibration) 및 데이터의 손실없이 전송전력의 주기적 조절을 위해 지원된다. 상향링크 전력제어 알고리즘은 경로손실 및 쉐도잉(shadowing), 패스트 페이딩(fast fading)을 보상할 수 있도록 각 심볼의 전송전력을 결정한다. 또한, 상향링크 전력제어는 셀 간섭 레벨을 제어하여야 한다.
전력제어 방법은 크게 개방루프 전력제어(Open Loop Power Control, OLPC)와 폐루프 전력제어(Closed Loop Power Control, CLPC)로 나눌 수 있다. 폐루프 전력제어는 기지국(11)으로부터 전송되는 직접적인 전력 증감 메시지에 의해 단말(12)의 송신전력을 올리거나 내리는 방법이다. 개방루프 전력제어는 기지국(11)으로부터 직접적인 증감 명령을 받는 대신 기지국(11)으로부터 전송된 여러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단말(12)이 직접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11)이 전력제어 정보를 단말(12)에 전송하면 단말(12)은 수신한 전력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력제어를 수행한다.
도 4는 상향링크 전력제어의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목표 SINR(SINRTarget)의 결정에 이용될 각종 파라미터들과,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레벨,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ABSperAMS) 등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정보를 단말에 전송한다(S110~S130). 상기 단말은 상기 전력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력제어를 수행하게 되는데, 부반송파별 전력 및 송신안테나별 전력 또는 부반송파별 전력 및 스트림별 전력을 수학식1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L은 해당 시점에서 단말에 의해 계산되는 추정 평균 하향링크 전달손실(propagation loss)로서, 해당 단말의 송신 안테나 이득 및 경로 손실을 포함한다. 단말은 프레임의 프리앰블(preamble)의 실제 부반송파를 통하여 수신되는 전체 전력에 기반하여 전달손실 L을 계산할 수 있다. 혹은 다른 하향링크 참조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을 통해서도 구할 수 있는 값으로 구현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SINRTarget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목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로서, 목표 SINR의 결정에 필요한 모드 및 파라미터가 전력제어 정보를 통하여 상기 단말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혹은 미리 결정된 값을 단말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된 모드 및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학식 3에 따라 목표 SINR을 결정한다. NI는 부반송파당 잡음 및 간섭의 추정평균파워레벨(dBm)로서, 기지국이 전송한 IoT(Interference plus noise over Thermal noise)레벨(dB)로부터 수학식 2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PTN은 0℃에서의 열잡음전력밀도(thermal noise power density)이고, △f은 부반송파 스페이싱이다. IoT는 기지국이 해당 기지국 내 단말에 브로드캐스트하는 상향링크 잡음 및 간섭 레벨로서, 0dB부터 63.5dB 사이에서 0.5dB씩 양자화된 값으로 정해진다.
수학식 1의 OffsetAMSperAMS는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해당 단말에 특정한 전력 보정값이고 OffsetABSperAMS는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단말에 유니캐스트되는 해당 단말에 특정한 전력 보정값이다.
한편, 기지국으로부터 전력제어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수학식 3에 따라 목표 SINR을 결정된다(S140).
Figure pat00007
여기서, 개방루프 전력제어 모드 1(OLPC mode 1)은 전체 시스템 처리량과 셀 가장자리에서의 동작 사이의 균형(tradeoff) 및 IoT(Interference plus noise over Thermal noise) 제어를 위한 목표 SINR을 계산하는 모드이다. SINRMIN은 기지국에 의해 기대되는 최소율의 SINR로서, 셀 가장자리에 있는 단말의 성능 향상을 위한 최소 SINR이다.
Figure pat00008
IOT은 페어니스(fairness) 및 IoT 제어 인자이다. SINRDL은 해당 단말에 의해 측정된, 간섭 전력에 대한 하향링크 신호의 비율이다. α는 기지국의 수신안테나의 개수에 따른 인자로서 MAC(Media Access Control) 전력제어 시그널링으로부터 시그널되고, β는 TNS(Total Number of Streams)의 적용여부를 지시하는 스트림 인자로서 기지국으로부터 결정되어 전송될 수 있다. TNS는 상향링크 MAP정보에서 지시되는 LRU(Logical Resource Unit)에서 전체 스트림의 수를 나타내며, 기지국에 의해 해당 단말로 유니캐스트될 수 있다. OLPC 모드 1에서 목표 SINR의 결정에 필요한 SINRMIN,
Figure pat00009
IOT, α, β는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거나 해당 단말로 유니캐스트된다.
개방루프 전력제어 모드 2(OLPC mode 2)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공유된 C/N (Carrier to Noise ratio)/요구되는 SINR(required SINR)을 기반으로 목표 SINR을 결정한다. C/N은 현재의 전송을 위한 변조/FEC(Forward Error Correction)의 정규화된 부반송파 대 잡음비(Carrier to Noise Ratio)이다.
단말은 L 및 목표 SINR, NI, OffsetAMSperAMS, OffsetABSperAMS을 이용하여 스트림별 및 부반송파별 전송전력 레벨(dBm) P를 계산(S150)하고, 각 스트림 또는 각 부반송파를 계산된 전송전력 P로 기지국에 전송(S160)한다.
개방루프 전력제어 모드 2의 경우, 각 전송정보별로 요구되는 C/N의 값이 다르고 동일 정보라도 채널 상황에 따라 자원의 크기가 달라, 각 전송정보별로 C/N을 정하여 기지국과 단말사이에서 공유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고, 모드를 구분하여 목표 SINR을 결정하는 것은 단말에 의한 상향링크 전력결정 과정을 복잡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한편, OffsetAMSperAMS 및 OffsetABSperAMS은 무선통신 시스템(10) 전체의 항상성을 위해 개별 단말의 전력을 변화시킬 때 사용되는 인자이다. OffsetAMSperAMS은 단말에 의해 결정되어 전력제어에 이용되는 인자인데, 단말에 의해 독립적으로 상향링크 전력을 보정하는 것은 무선통신 시스템(10) 전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에는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모드별 목표 SINR의 결정에 의한 도 4의 상향링크 전력 계산의 단점을 개선하고,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전력 보정값이 전력제어에 미치는 악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목표 SINR(SINRTarget)의 결정에 이용될 각종 파라미터들과,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레벨,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등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정보를 단말에 전송한다(S210~S230). 상기 단말은 상기 전력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력제어를 수행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부반송파별 전력 및 송신안테나별 전력 또는 부반송파별 전력 및 스트림별 전력을 수학식 4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Figure pat00010
여기서, L 및 NI은 수학식 1 및 2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SINRTarget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목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파라미터인 SINRMIN
Figure pat00011
IOT, α, β와 단말에 의해 계산된 SINRDL을 바탕으로, 모드를 구분하지 않고, 수학식 5에 의해 계산(S240)된다.
Figure pat00012
한편, 수학식 4에서 Offset은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단말로 전송되는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으로서, 데이터채널 전송 보정값 및 채널 전송 보정값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정확한 전력값을 측정할 수 있고, 수신신호의 전력값을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전력보정값을 생성하고 상기 전력보정값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로부터 수신한 SINR이 목표 SINR보다 높으면 단말의 송신전력을 낮추도록 전력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고, 수신 SINR이 목표 SINR보다 낮으면 단말의 송신전력을 높이도록 전력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셀간 간섭의 증감, 셀 내 단말의 이동 및 단말의 개수 변화, 온도 및 기후에 따른 셀의 물리적 환경의 변화 등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환경이 변화하는 경우, 무선통신 시스템 내 통신 품질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단말의 송신전력을 증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단말의 전력 보정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사용자데이터 및/또는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정보로는 ACK/NACK 신호, CQI, PMI, RI, 대역폭요구 신호, 스케쥴링 신호, 사운딩 신호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ACK/NACK 신호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응답이고, CQI는 하향링크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SINR,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송신률 정보(data rate indicator), 수신 신호 강도 정보(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등의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PMI와 RI는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MIMO 시스템의 프리코딩 정보 및 랭크 정보를 나타낸다. 전체 무선자원은 데이터영역(data region) 및 제어영역(control region)으로 나뉠 수 있으며, 데이터영역에는 사용자데이터 및/또는 제어정보가 실릴 수 있고 제어영역에는 제어정보가 실릴 수 있다. 동일한 순열(permutation)이 적용되는 데이터영역을 데이터채널이라 하고, 동일한 순열이 적용되는 제어영역을 제어채널이라 한다. 하나의 데이터채널에는 한 사용자의 사용자데이터 또는 다중 사용자의 사용자데이터가 실릴 수 있으며, 하나의 제어채널에는 한 사용자에 대한 제어정보 또는 다중사용자에 대한 제어정보가 실릴 수 있다. 데이터채널과 제어채널은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 및/또는 서로 다른 시간 영역을 차지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에서 특정 구간의 데이터채널에 대한 전력 보정값 및 특정 구간의 제어채널에 대한 전력 보정값을 따로따로 생성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표 1은 단말에 전송되는 전력 보정값의 일례를 나타낸다.
Parameters Note
OffsetData 데이터채널에 대한 전력 보정값
OffsetControl 제어채널에 대한 전력 보정값
OffsetData는 데이터채널에 대한 전력 보정값(또는 전력 보정 레벨)을 나타낸다. 데이터채널에 대한 전력 보정값은 0.5dB 단위로 증가 또는 감소된 특정 전력 레벨로서 지정되거나, 수학식 6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보정값을 지니는 제1오프셋(OffsetData)과 작은 단위로 변화하는 제2오프셋(△PowerAdjust)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13
기지국은 데이터채널에 대한 제1오프셋(OffsetData)과 제2오프셋(△PowerAdjust)을 함께 단말에 시그널링 할 수도 있고, 따로따로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제1오프셋(OffsetData)만을 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만을 단말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오프셋(OffsetData)은 기지국에 수신된 데이터신호의 SINR이 목표 SINR과 큰 차이가 있거나 데이터채널의 전송환경에 큰 변화가 있을 때, 제2오프셋(△PowerAdjust)은 수신된 데이터신호의 SINR이 목표 SINR과 작은 차이가 있거나 데이터채널의 전송환경에 미묘한 변화가 있을 때,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각각 전송될 수 있다. 제1오프셋(OffsetData)과 제2오프셋(△PowerAdjust)은 서로 다른 주기로 단말에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로 제2오프셋(△PowerAdjust)을 단말에 시그널링함으로써, 무선통신 시스템의 작은 변화를 데이터채널의 전송 전력 결정에 반영하여, 전체 무선통신 시스템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OffsetControl은 제어채널에 대한 전력 보정값(또는 전력 보정 레벨)을 나타낸다. 제어채널에 대한 전력 보정값은 0.5dB 단위로 증가 또는 감소된 특정 전력 레벨로서 지정되거나, 수학식 7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보정값을 지니는 제1오프셋(OffsetControl)과 작은 단위로 변화하는 제2오프셋(△PowerAdjust)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제어채널에 대한 제1오프셋(OffsetControl)과 제2오프셋(△PowerAdjust)을 함께 단말에 시그널링 할 수도 있고, 따로따로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제1오프셋(OffsetControl) 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만을 단말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오프셋(OffsetControl)은 기지국에 수신된 데이터신호의 SINR이 목표 SINR과 큰 차이가 있거나 제어채널의 전송환경에 큰 변화가 있을 때, 제2오프셋(△PowerAdjust)은 수신된 데이터신호의 SINR이 목표 SINR과 작은 차이가 있거나제어채널의 전송환경에 미묘한 변화가 있을 때,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로 제2오프셋(△PowerAdjust)을 단말에 시그널링함으로써, 무선통신 시스템의 작은 변화를 제어채널의 전송 전력 결정에 반영하여, 전체 무선통신 시스템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단말은 현재의 L 및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NI, 단말에 의해 결정된 목표 SINR,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제어채널의 전력 보정값(제1오프셋 및/또는 제2오프셋)을 반영하여 수학식 4에 의해 제어채널의 상향링크 전력 P를 결정(S250)하고, 상기 결정된 전력으로 데이터채널/제어 채널의 부반송파 또는 스트림을 기지국에 송신(S260)한다.
참고로, 데이터채널 또는 제어채널의 전력 보정값 중 제1오프셋은 독립적인 전력보정 메시지(제1타입 전력보정 정보)에 포함되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P802.16m 표준에서는, AAI_UL_POWER_ADJUST (Advanced Air Interface UpLink POWER ADJUST) 메세지의 형태로 상기 제1오프셋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1오프셋을 지정하는 전력보정 메시지(제1타입 전력보정 정보)는 '-0.5dB'보다 작은 '-X1 (dB)' 부터 '1.0dB'보다 큰 'X2 (dB)' 사이의 값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오프셋은 '-15.5dB' 부터 '16dB'까지에서 0.5dB씩 양자화된 값들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오프셋은 표 2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어 독립적인 정보(제2타입 전력보정 보정)의 형태로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EEE P802.16m 표준에서는, 표 2의 값의 Offset값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된 PC-A-MAP(Power Control Advanced MAP)의 형태로 상기 제2오프셋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Power Correction Value Offset (dB)
0b00 -0.5
0b01 0.0
0b10 0.5
0b11 1.0
도 5 및 이하 도 6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오프셋(△PowerAdjust)이 새로운 제2오프셋이 수신될 때마다 새로운 제2오프셋이 기존 제2오프셋을 대체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제2오프셋(△PowerAdjust)을 수신되는 제2오프셋들의 누적 값으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제2 오프셋이 오지 않을 경우에는 제1 오프셋은 새로운 제1오프셋이 올 경우 기존의 제1 오프셋을 대체할 수 있고 제1 오프셋들의 누적값으로 정의 할 수도 있다. 추가하여, 제1 오프셋 과 제2 오프셋들의 누적값으로 수학식 6, 수학식 7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기지국은 최초의 전력제어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때 전력보정값을 전송하지 않고, 추후에 전력보정이 필요해지면 독립적인 전력보정 정보의 형태로 따로 단말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단말은 전력보정 정보를 수신하기 전까지는, 수학식 4에서의 Offset값을 '0'으로 설정하여 전력을 계산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오프셋과 제2오프셋으로 나누어 시그널링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 시스템 또는 기지국이 속한 셀의 환경에 상대적으로 큰 변화가 있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큰 전력 보정값인 제1오프셋(OffsetData, OffsetControl)을 단말에 전달하여 데이터채널 및/또는 제어채널의 상향링크 송신 전력을 보정하도록 하고, 무선통신 시스템 또는 기지국이 속한 셀의 환경에 작은 변화가 있을 때마다 상대적으로 작은 전력 보정값인 제2오프셋(△PowerAdjust)을 단말에 전달하여 데이터채널 및/또는 제어채널의 상향링크 송신 전력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 시스템 및/또는 셀 환경의 작은 변화와 급격한 변화에 모두에 대응하여, 단말이 보다 효과적으로 상향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5의 실시예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11)의 프로세서(400b)은 목표 SINR(SINRTarget)의 결정에 이용될 각종 파라미터들과,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등의 전력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기지국(11)의 송신기(100b)에 전달한다. 기지국(11)의 송신기(100b) 내 인코더(110)는 상기 전력제어 정보를 정해진 코딩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심볼로 배치한 후 상기 심볼의 계층(layer)을 정의한다. 프리코더(120)는 인코더(110)로부터 전달된 심볼을 프리코딩하여, 안테나 특정 심볼의 형태로 부반송파 맵퍼(130-1,...,130-K)에 분배한다. 부반송파 맵퍼(130-1,...,130-K)는 상기 안테나 특정 심볼을 적절한 부반송파에 할당하고 사용자에 따라 다중화한 후, OFDM 신호발생기(140-1,...,140-K)로 분배한다. OFDM 신호발생기(140-1,...,140-K)는 상기 다중화된 안테나 특정 심볼을 OFDM 방식으로 변조하여 OFDM 심볼을 기지국(11)의 송신 안테나(500b; 500-1,...,500-K)에 송신한다. 상기 기지국 안테나(500b)는 상기 목표 SINR 파라미터를 실은 OFDM 심볼과 상기 잡음 및 간섭 레벨을 실은 OFDM 심볼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전력보정값을 실은 OFDM 심볼을 특정 단말(12)에 유니캐스트할 수 있다(S210~S230). 상기 기지국 내 송신기(100b) 내 각 구성요소 및 안테나(500b)의 상기 동작은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에 의해 각각 제어된다.
단말(12)의 안테나(500a)는 기지국(11)으로부터의 상기 OFDM 심볼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12)의 수신기(300a)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 수신기(300a)는 상기 OFDM 심볼 신호를 복호 및 복조, 다중화 등의 과정을 거쳐, 기지국(11)이 전송하고자 한 전력제어 정보의 데이터열로 복원하여 단말(12)의 프로세서(400a)에 전달한다.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단말(12)의 송신안테나(500a; 500-1,...,500-Nt) 이득 및 경로 손실을 계산하고, 상기 송신안테나 이득 및 경로 손실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전달 손실을 추정하여 현재의 L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프로세서(400a)는, 상기 목표 SINR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목표 SINR을 결정(S240), 상기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을 나타내는 IoT로부터 NI를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상기 목표 SINR 및 NI와,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에 의해 계산된 L값,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전력 보정값(Offset)을 이용하여 수학식 4에 따라 상향링크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S250).
한편,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데이터채널에 대한 전력 보정값(OffsetData) 및 제어채널에 대한 전력 보정값(OffsetControl)을, 표 1과 같이 따로따로 설정하고, 상기 따로따로 설정된 전력 보정값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전력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기지국의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하여 상기 데이터채널에 대한 전력 보정값(OffsetData) 및/또는 제어채널에 대한 전력 보정값(OffsetControl)을 단말(12)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데이터채널용 전력 보정값을 수학식 6에서와 같이 제1오프셋(OffsetData) 및/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의 형태로 각각 설정할 수 있고, 제어채널용 전력 보정값 각각을 수학식 7에서와 같이 제1오프셋(OffsetControl) 및/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의 형태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데이터채널 또는 제어채널에 대한 제1오프셋(OffsetData, OffsetControl)과 제2오프셋(△PowerAdjust)을 함께 시그널링하도록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할 수 있고, 따로따로 시그널링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1오프셋(OffsetData, OffsetControl) 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만을 시그널링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시스템 또는 셀의 데이터/제어채널의 전송환경에 큰 변화가 있는 경우, 기지국(11)의 프로세서(400b)는 상기 전송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제1오프셋(OffsetDatal, OffsetControl)을 결정하고, 상기 제1오프셋을 단말(12)에 전송하도록 기지국(11)의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제1오프셋(OffsetData, OffsetControl)을 '-0.5dB'보다 작은 '-X1 (dB)' 부터 '1.0dB'보다 큰 'X2 (dB)' 사이의 값 중 하나로 설정하고, 예를 들어, 제2오프셋은 '-15.5dB' 부터 '16dB'까지에서 0.5dB씩 양자화된 값들 중 하나로 설정하고, 상기 제1오프셋(OffsetData, OffsetControl)을 단말(12)에 송신하도록 기지국(11)의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 시스템 또는 셀의 데이터/제어채널의 전송환경에 작은 변화가 있고 상대적으로 작은 정도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의 변화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제2오프셋(△PowerAdjust)을 표 2의 값 중 하나로 설정하고, 상기 제2오프셋(△PowerAdjust)을 단말(12)에 전달하도록 기지국(11)의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한다.
단말(12)은 안테나(500a)를 통해 제1오프셋 및/또는 제2오프셋을 나타내는 OFDM 심볼 신호을 수신하고, 단말 수신기(300a)는 상기 OFDM 심볼 신호를 원본 정보의 신호열로 복원하여 단말의 프로세서(400a)에 전달한다.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기지국(11)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오프셋 및/또는 제2오프셋을 상향링크 전력 결정 또는 조정에 반영하고, 단말 송신기(100a) 및 안테나(500a)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 또는 조정된 전력으로 각 데이터채널 또는 제어채널의 신호를 송신한다(S260).
한편, 데이터채널 및 제어채널의 채널 특성이 다름을 고려하여, 데이터채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 결정과 제어채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 결정을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데이터채널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과 제어채널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을 각각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채널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데이터채널 전송의 목표 SINR의 결정에 필요한 파라미터인 SINRMIN
Figure pat00015
IOT, α, β와,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 데이터채널의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Data)등의 전력제어 정보를 단말에 전송한다(S310~S330).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SINRMIN
Figure pat00016
IOT, α, β와 상기 단말에 의해 계산된 SINRDL을 이용하여, 수학식 5에 따라 목표 SINR을 결정(S340)하고, 상기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을 나타내는 IoT로부터 잡음 및 간섭의 추정평균전력레벨 NI를 변환하고, 또한 L값을 계산한다. 상기 목표 SINR 및 NI,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채널용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Data)을 이용하여 수학식 4에 따라 상향링크 전력 P를 계산(S350)한 후, 상기 계산된 송신전력 P로 데이터채널을 전송한다(S360).
한편, 기지국은 데이터채널용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을 최초 전력제어 정보로서 단말에 전송하지 않고, 추후에 전력보정이 필요해지면 독립적인 전력보정 정보의 형태로 따로 단말에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채널용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이 최초 전력제어 정보의 형태로 단말에 전송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수학식 4에서의 Offset값을 '0'으로 설정하여 전력을 계산하게 될 것이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채널용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Data)은 제1오프셋 및/또는 제2오프셋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지국은 단말의 송신전력 P가 크게 변화될 필요가 있을 때는 제1오프셋을 단말에 시그널링하고, 단말의 송신전력 P가 크게 변화될 필요가 없을 때는 제2오프셋을 단말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제1오프셋 및 제2오프셋값을 모두 포함하도록 상기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을 설정하여 단말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도 6의 실시예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11)의 프로세서(400b)는 목표 SINR(SINRTarget)의 결정에 이용될 SINRMIN
Figure pat00017
IOT, α, β를 설정하고, 무선시스템 내 신호의 간섭 및 잡음 레벨을 고려하여 상향링크의 간섭 및 잡음 레벨을 설정하고, 무선통신 시스템 내 데이터채널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데이터채널용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Data)을 설정하고, 상기 각 전력제어 정보를 기지국(11)의 송신기(100b)에 전달한다. 참고로,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상기 단말(12)에 최초로 전력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채널용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Data)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송신기(100b)의 인코더(110)는 상기 전력제어 정보를 정해진 코딩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심볼로 배치한 후 상기 심볼의 계층을 정의한다. 프리코더(120)는 인코더(110)로부터 전달된 심볼을 프리코딩하여, 안테나 특정 심볼의 형태로 부반송파 맵퍼(130-1,...,130-K)에 분배한다. 부반송파 맵퍼(130-1,...,130-K)는 상기 안테나 특정 심볼을 적절한 부반송파에 할당하고 사용자에 따라 다중화한 후, OFDM 신호발생기(140-1,...,140-K)로 분배한다. OFDM 신호발생기(140-1,...,140-K)는 상기 다중화된 안테나 특정 심볼을 OFDM 방식으로 변조하여 OFDM 심볼을 기지국(11)의 송신 안테나(500b; 500-1,...,500-K)에 송신한다. 상기 OFDM 심볼은 안테나(500b)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되거나 특정 단말(12)에 유니캐스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상기 목표 SINR 파라미터를 실은 OFDM 심볼과 상기 잡음 및 간섭 레벨을 실은 OFDM 심볼은 상기 기지국의 통신 범위 내의 단말들에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상기 기지국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하고, 상기 전력 보정값(OffsetData)를 실은 OFDM 심볼은 상기 단말(12)에 유니캐스트하도록 상기 기지국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할 수 있다(S310~S330). 상기 기지국 송신기(100b) 내 각 구성요소 및 안테나(500b)의 상기 동작은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에 의해 각각 제어된다.
단말(12)의 안테나(500a)는 기지국(11)으로부터의 상기 OFDM 심볼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12)의 수신기(300a)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 수신기(300a)는 상기 OFDM 심볼 신호를 복조 및 복호, 다중화 등의 과정을 거쳐 기지국(11)이 전송하고자 한 전력제어 정보의 데이터열로 복원하여, 단말(12)의 프로세서(400a)에 전달한다.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단말(12)의 송신안테나(500a; 500-1,...,500-Nt) 이득 및 경로 손실을 계산하고, 상기 송신안테나 이득 및 경로 손실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전달 손실을 추정하여 L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상기 목표 SINR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5에 의해 목표 SINR을 결정하고(S340), 상기 잡음 및 간섭레벨로부터 수학식 2에 의해 추정평균전력레벨 NI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상기 목표 SINR 및 NI와,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에 의해 계산된 L값,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채널용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Data)을 이용하여 수학식 4에 따라 데이터채널의 상향링크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S350).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상기 결정된 송신전력으로 데이터채널을 송신하도록 단말(12)의 송신기(100a) 및 안테나(500a)를 각각 제어한다.
한편, 기지국(11)의 프로세서(400b)는 단말(1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채널의 SINR이 목표 SINR의 오차범위를 벗어나거나 데이터채널 환경이 변화하면, 데이터채널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새로운 전력 보정값을 결정한다.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데이터채널용 전력 보정값을 수학식 6에서와 같이 제1오프셋(OffsetData) 및/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의 형태로 설정할 수 있고, 데이터채널에 대한 제1오프셋(OffsetData)과 제2오프셋(△PowerAdjust)을 함께 시그널링하도록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할 수 있고, 따로따로 시그널링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데이터채널에 대한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Data)을 새로운 전력제어 정보로서 생성하고, 상기 기지국(11)의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하여 목표 SINR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과 함께 단말(12)에 전달하거나, 독립적인 전력보정 정보 형태로 생성하고 상기 기지국(11)의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보정 정보를 단말(12)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제1오프셋(OffsetData)와 제2오프셋(△PowerAdjust) 중 하나만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1오프셋(OffsetData) 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을 상기 단말(12)에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11)의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12)은 안테나(500a)를 통해 제1오프셋(OffsetData)를 포함하는 OFDM 심볼 및/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을 포함하는 OFDM 심볼 신호을 수신하고, 단말의 수신기(300a)는 상기 OFDM 심볼 신호를 원본 정보의 신호열로 복원하여 단말의 프로세서(400a)에 전달한다.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기지국(11)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오프셋(OffsetData) 및/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만큼 데이터채널의 상향링크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조정을 수행한 후, 단말(12)의 송신기(100a) 및 안테나(500a)를 제어하여 상기 조정된 전력으로 데이터채널의 부반송파 또는 스트림을 송신한다(S36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채널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채널 전송의 목표 SINR의 결정에 필요한 파라미터와,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 데이터채널의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Control) 등의 전력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에 전송한다(S410~S430). 목표 SINR의 결정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결정함에 있어, 기지국은 표 3 또는 표 4의 제어채널 타입에 따른 목표 SINR을 각각 결정하고, 표 3 또는 표 4의 파라미터들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Control Channel Type SINRTarget Parameters
HARQ Feedback SINR_Target_HARQ
Synchronized Ranging SINR_Target_SyncRanging
P-FBCH SINR_Target_PFBCH
S-FBCH SINR_Target_SFBCH_Base
SINR_Target_SFBCH_Delta
Bandwidth Request SINR_Target_BWRequest
Control Channel Type SINRTarget Parameters
ACK/NAK SINR_Target_ACKNAK
CQI SINR_Target_CQI
Ranging code SINR_Target_RC
P-FBCH SINR_Target_PFBCH
S_FBCH SINR_Target_SFBCH
Bandwidth Request SINR_Target_BWRequest
단말은 상기 전력제어 전보로서 수신된 표 3 또는 표 4의 파라미터들을 참고하여, 제어채널의 타입에 따라 목표 SINR을 결정한다(S440). 예를 들어, 전력제어 정보가 표 3 형태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단말이 전송하려는 제어채널이 'HARQ Feedback' 채널이면, 단말은 수학식 4의 SINRTarget을 상기 표 3의 'SINR_Target_HARQ' 값으로 설정한다. 단말은, 전송하려는 제어채널의 목표 SINR 및 단말에 의해 추정된 L값,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잡음 및 간섭 레벨로부터 변환된 NI,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채널용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Control)을 이용하여 수학식 4에 따라 상향링크 전력 P를 계산(S450)한 후, 상기 계산된 송신전력 P로 해당 타입의 제어채널의 부반송파 또는 스트림을 전송한다(S460).
한편, 기지국은 제어채널용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Control)을 최초 전력제어 정보로서 단말에 전송하는 대신, 추후에 전력보정이 필요해지면 독립적인 전력보정 정보의 형태로 따로 단말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채널용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이 최초 전력제어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수학식 4에서의 Offset값을 '0'으로 설정하여 전력을 계산하였다가, 추후 상기 전력보정값을 수신하면 상기 전력보정값으로 수학식 4의 Offset값을 변경하여 송신전력 P를 변경하게 될 것이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채널용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Control)은 제1오프셋(OffsetControl) 및/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지국은 단말의 송신전력 P가 크게 변화될 필요가 있을 때는 제1오프셋(OffsetControl)을 단말에 시그널링하고, 단말의 송신전력 P가 크게 변화될 필요가 없을 때는 제2오프셋(△PowerAdjust)을 단말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제1오프셋(OffsetControl) 및 제2오프셋(△PowerAdjust)을 모두 단말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도 7의 실시예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11)의 프로세서(400b)는 목표 SINR(SINRTarget)의 결정에 이용될 표 3 또는 표 4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고, 무선통신 시스템 내 간섭 및 잡음을 고려하여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를 결정하고, 무선통신 시스템 내 데이터채널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제어채널용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Control)을 결정하여 기지국(11)의 송신기(100b)에 전달한다. 참고로,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상기 단말(12)에 최초로 전력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채널용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Control)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11) 내 송신기(100b)의 인코더(110)는 상기 전력제어 정보를 정해진 코딩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심볼로 배치한 후 상기 심볼의 계층을 정의한다. 프리코더(120)는 인코더(110)로부터 전달된 심볼을 프리코딩하여, 안테나 특정 심볼의 형태로 부반송파 맵퍼(130-1,...,130-K)에 분배한다. 부반송파 맵퍼(130-1,...,130-K)는 상기 안테나 특정 심볼을 적절한 부반송파에 할당하고 사용자에 따라 다중화한 후, OFDM 신호발생기(140-1,...,140-K)로 분배한다. OFDM 신호발생기(140-1,...,140-K)는 상기 다중화된 안테나 특정 심볼을 OFDM 방식으로 변조하여 OFDM 심볼을 기지국(11)의 송신 안테나(500b; 500-1,...,500-K)에 송신한다. 상기 OFDM 심볼은 안테나(500b)를 통해 상기 전력제어 정보를 실은 OFDM 심볼을 브로드캐스트되거나 특정 단말(12)에 유니캐스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상기 목표 SINR 파라미터를 실은 OFDM 심볼과 상기 잡음 및 간섭 레벨을 실은 OFDM 심볼은 상기 기지국(11)의 통신 범위 내의 단말들에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상기 기지국 송신기(100b) 및 안테네(500b)을 제어하고, 상기 전력 보정값(OffsetControl)를 실은 OFDM 심볼은 상기 단말(12)에 유니캐스트하도록 상기 기지국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S410~S430). 상기 기지국 송신기(100b) 내 각 구성요소 및 안테나(500b)의 상기 동작은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에 의해 각각 제어될 수 있다.
단말(12)의 안테나(500a)는 기지국(11)으로부터의 상기 OFDM 심볼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12)의 수신기(300a)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 수신기(300a)는 상기 OFDM 심볼 신호를 복조 및 복호, 다중화 등의 과정을 거쳐 기지국(11)이 전송하고자 한 전력제어 정보의 데이터열로 복원하여, 단말(12)의 프로세서(400a)에 전달한다.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단말(12)의 송신안테나(500a; 500-1,...,500-Nt) 이득 및 경로 손실을 계산하고, 상기 송신안테나 이득 및 경로 손실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전달 손실을 추정하여 현재의 L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표 3의 파라미터에 따라 특정 제어채널의 목표 SINR을 결정(S440)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을 나타내는 IoT로부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12)에서의 부반송파당 추정평균전력레벨 NI를 변환하여, 상기 목표 SINR 및 NI와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에 의해 계산된 L값, 기지국(11)으로부터 전송된 제어채널용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OffsetControl)을 이용하여 수학식 4에 따라 제어채널의 상향링크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S450).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상기 결정된 송신전력으로 해당 타입의 제어채널을 송신하도록 단말(12)의 송신기(100a) 및 안테나(500a)를 각각 제어한다(S460).
한편, 기지국(11)의 프로세서(400b)는 단말(12)로부터 수신된 제어채널의 SINR이 목표 SINR의 오차범위를 벗어나거나 제어채널 환경이 변화하면, 수신된 신호의 SINR과 목표 SINR의 차이 또는 제어채널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제어채널용 전력 보정값을 생성한다.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제어채널용 전력 보정값을 수학식 7에서와 같이 제1오프셋(OffsetControl) 및/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의 형태로 설정할 수 있고, 제어채널에 대한 제1오프셋(OffsetControl)과 제2오프셋(△PowerAdjust)을 함께 시그널링하도록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할 수 있고, 따로따로 시그널링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제어채널에 대한 전력 보정값(OffsetControl)을 포함하는 새로운 전력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채널에 대한 전력 보정값(OffsetControl)을 목표 SINR 파라미터 및/또는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과 함께 단말에 전달하도록 상기 기지국(11)의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하거나, 독립적인 전력보정 정보의 형태로 생성하여 목표 SINR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레벨과 독립적으로 상기 전력보정 정보를 단말(12)에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11)의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제1오프셋(OffsetControl)과 제2오프셋(△PowerAdjust) 중 하나만을 포함하는 전력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지국(11)의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보정 정보를 단말(12)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12)은 안테나(500a)를 통해 제1오프셋(OffsetControl)을 포함하는 OFDM 심볼 및/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을 포함하는 OFDM 심볼 신호을 수신하고, 단말의 수신기(300a)는 상기 OFDM 심볼 신호를 원본 정보의 신호열로 복원하여 단말의 프로세서(400a)에 전달한다.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기지국(11)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오프셋(OffsetControl) 및/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만큼 제어채널의 상향링크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조정을 수행한 후, 단말(12)의 송신기(100a) 및 안테나(500a)를 제어하여 상기 조정된 전력으로 해당 제어채널을 송신한다.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항링크 전력을 결정함에 있어서, 모드별 및 데이터/제어 정보의 종류, 데이터/제어채널의 타입 등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기지국이 수학식 4에 사용될 파라미터와, 표 3 또는 표 4에 나열된 몇몇 타입의 제어채널에 대해서만 기지국이 목표 SINR을 정하여 단말에 송신하면, 표 3 또는 표 4에 지정된 타입의 제어채널에 대해서는 기지국이 전송한 목표 SINR을 이용하고, 나머지 채널들에 대해서는 수학식 5에 따라 목표 SINR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드에 따라 구분할 뿐만 아니라 모드 2에서는 데이터/제어채널의 타입별로 각각 C/N을 정해져야 하는 도 4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에 비해, 도 5 내지 도 7에 의하면, 단말이 상향링크 전력 결정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전력보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데이터/제어채널에 대한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은 목표 SINR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과는 별도로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다. 도 8은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이 목표 SINR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과는 별도로 단말에 송신되어 상향링크 전력의 조정에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데이터/제어채널 전송의 목표 SINR의 결정에 필요한 파라미터와,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을 단말에 전송한다(S510~S520). 예를 들어, 데이터채널의 목표 SINR의 결정을 위해 SINRMIN
Figure pat00018
IOT, α, β 등의 파라미터들과, 제어채널의 목표 SINR의 결정을 위해 표 3 또는 표 4의 파라미터들이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 전송된다. 데이터채널용 목표 SINR 파라미터와 제어채널용 목표 SINR 파라미터가 모두 하나의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어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고 독립된 제어 메시지의 형태로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다.
단말은 상기 파라미터들을 수신하여, 목표 SINR을 결정한다(S530).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은, 데이터채널에 대해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SINRMIN
Figure pat00019
IOT, α, β와 상기 단말에 의해 계산된 SINRDL을 이용하여 수학식 5에 따라 목표 SINR을 결정하고, 표 3 또는 표 4에 지시된 제어채널에 대해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표 3 또는 표 4의 파라미터들의 값들을 이용하여 목표 SINR이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로부터 NI를 변환하고, 상기 목표 SINR 및 NI, 상기 단말에 의해 추정된 현재의 L값을 이용하여 수학식 4에 따라 부반송파별 및 스트림별 상향링크 전력 P를 계산(S540)한다. 실질적인 Offset값을 수신하기 전까지, 상기 단말은 수학식 4의 Offset은 '0'으로 설정하여 상기 P를 계산한다(P540).
상기 단말은 상기 계산된 송신전력 P로 해당 데이터 채널 또는 제어채널의 부반송파 또는 스트림을 전송한다(S550).
기지국이 수신한 부반송파 또는 스트림의 SINR이 목표 SINR의 오차범위 밖이거나 무선통신 시스템의 채널환경에 변화가 생겨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전력 P를 조정할 필요가 있으면, 기지국은 송신전력 P를 조정할 전력 보정값을 상기 단말에 전송한다(S560~S570). 도 5 내지 도 7에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력 보정값은 데이터채널과 제어채널에 대해 따로 따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채널용 보정값(OffsetData)과 제어채널용 보정값(OffsetControl)은 제1오프셋(OffsetData 또는 OffsetControl) 및/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으로써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오프셋(OffsetData 또는 OffsetControl)과 제2오프셋(△PowerAdjust)이 별도의 독립적인 정보로 구성되어 따로따로 단말에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오프셋(OffsetData 또는 OffsetControl)은 '-15.5dB' 부터 '16dB'까지에서 0.5dB씩 양자화된 값들 중 하나로 설정된 제1타입 전력보정 정보에 의해 단말에 전송되고, 제2오프셋은 [-0.5dB, 0.0dB, 0.5dB, 1.0d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된 제2타입 전력보정 정보에 의해 단말에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IEEE P802.16m 표준을 예로 들면, 제1오프셋은 AAI_UL_POWER_ADJUST 메시지의 형태로 단말에 전달되고, 제2오프셋은 PC-A-MAP 형태로 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전력보정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전력보정 정보에 포함된 전력 보정값만큼 기존 전력 P를 조정하여 새로운 상향링크 전력 P(Pnew)를 결정하고(S580), 상기 새로운 상향링크 전력 P로 데이터/제어채널의 부반송파 또는 스트림, 혹은 스트림당 서브캐리어를 송신한다(S590).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도 8의 실시예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11)의 프로세서(400b)는 목표 SINR(SINRTarget)의 결정에 이용될 SINRMIN
Figure pat00020
IOT, α, β와, 표 3 또는 표 4의 파라미터과,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을 기지국(11)의 송신기(100b)에 전달한다(S510~S520).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일정한 주기로 목표 SINR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와 상기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을 포함하는 제어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기지국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하여 상기 생성된 제어 메시지를 단말(12)에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 송신기(100b) 내 인코더(110)는 상기 제어 메시지들을 정해진 코딩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심볼로 배치한 후 상기 심볼의 계층을 정의한다. 프리코더(120)는 인코더(110)로부터 전달된 심볼을 프리코딩하여, 안테나 특정 심볼의 형태로 부반송파 맵퍼(130-1,...,130-K)에 분배한다. 부반송파 맵퍼(130-1,...,130-K)는 상기 안테나 특정 심볼을 적절한 부반송파에 할당하고 사용자에 따라 다중화한 후, OFDM 신호발생기(140-1,...,140-K)로 분배한다. OFDM 신호발생기(140-1,...,140-K)는 상기 다중화된 안테나 특정 심볼을 OFDM 방식으로 변조하여 OFDM 심볼을 기지국(11) 안테나(500b; 500-1,...,500-Nt)에 송신한다.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상기 SINR 파라미터를 실은 OFDM 심볼 및 상기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을 실은 OFDM 심볼을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상기 기지국 안테나(500b)를 제어한다.
단말(12)의 안테나(500a)는 기지국(11)으로부터의 상기 OFDM 심볼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12)의 수신기(300a)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 수신기(300a)는 상기 OFDM 심볼 신호를 복조 및 복호, 다중화 등의 과정을 거쳐 기지국(11)이 전송하고자 한 전력제어 정보의 데이터열로 복원하여 단말(12)의 프로세서(400a)에 전달한다.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단말(12)의 송신안테나(500a; 500-1,...,500-Nt) 이득 및 경로 손실을 계산하고, 상기 송신안테나 이득 및 경로 손실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전달 손실을 추정하여 현재의 L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표 3 또는 표 4에 의해 지시된 타입의 제어채널에 대해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표 3 또는 표 4의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목표 SINR을 결정하고, 그 외 채널에 대해서는 상기 전력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SINRMIN
Figure pat00021
IOT, α, β와 상기 단말에 의해 계산된 SINRDL을 이용하여 수학식 5에 따라 목표 SINR을 결정할 수 있다(S530).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상기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로부터 상기 단말의 부반송파별 추정평균전력레벨 NI를 변환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은 상기 결정된 목표 SINR 및 NI, 상기 프로세서(400a)에 의해 계산된 L값을 수학식 4의 해당 파라미터에 대입하고 수학식 4의 0ffset에는 '0'을 설정하여, 데이터채널 및 제어채널의 상향링크 전력 P를 각각 계산할 수 있다(S540). 상기 단말 프로세서(400a)는 상기 결정된 송신전력 P로 해당 데이터/제어채널의 부반송파 또는 스트림을 송신하도록 단말(12)의 송신기(100a) 및 안테나(500a)를 각각 제어한다.
한편,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단말(12)로부터 수신된 부반송파 또는 스트림의 SINR이 목표 SINR의 오차범위를 벗어나거나 무선 시스템 내 채널 환경이 변화하면, 수신된 신호의 SINR과 목표 SINR의 차이 또는 채널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을 단말(12)에 전송한다(S560~S570).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데이터채널과 제어채널에 대해 따로따로 전력 보정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데이터채널용 보정값(OffsetData)과 제어채널용 보정값(OffsetControl)을 제1오프셋(OffsetData 또는 OffsetControl) 및/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에 의해 각각 표시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은 제1오프셋(OffsetData 또는 OffsetControl)과 제2오프셋(△PowerAdjust)을 각각 독립적인 전력보정 정보로 구성하고, 상기 기지국 송신기(100b) 및 안테나(500b)를 제어하여 따로따로 단말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큰 전력보정이 필요할 때에는 제1오프셋(OffsetData 또는 OffsetControl)을 제1타입 전력보정 정보로 구성하여 단말에 전송하고(S560), 작은 전력보정이 필요할 때에는 [-0.5dB, 0.0dB, 0.5dB, 1.0d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도록 제2오프셋(△PowerAdjust)을 포함하는 제2타입 전력보정 정보를 구성하여 단말(12)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S570). IEEE P802.16m 표준을 예로 들면, 제1오프셋(OffsetData 또는 OffsetControl)은 AAI_UL_POWER_ADJUST 메시지에 의해 단말에 전달될 수 있고, 제2오프셋(△PowerAdjust)은 PC-A-MPA에 의해 단말에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400b)는 상기 제1타입 전력보정 정보와 제2타입 전력보정 정보를 필요할 때마다 생성하여 단말(12)에 전송할 수도 있고,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생성하여 단말(12)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타입 전력보정 정보는 비교적 긴 주기로 생성하여 단말(12)에 시그널링하고, 상기 제2타입 전력보정 정보는 짧은 주기로 생성하여 단말(12)에 시그널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12)은 안테나(500a)를 기지국(11)으로부터 제1오프셋을 실은 OFDM 심볼 신호 및/또는 제2오프셋을 실은 OFDM 심볼 신호를 수신하고, 단말 수신기(300b)는 상기 OFDM 심볼 신호를 원본 전력보정 정보의 데이터열로 복원하여 단말의 프로세서(400a)에 전달한다. 단말 프로세서(400a)는 기지국(11)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오프셋(OffsetData 또는 OffsetControl) 및/또는 제2오프셋(△PowerAdjust)만큼 기존 전력 P를 조정하여 새로운 상향링크 전력(Pnew)를 결정하고(S580), 상기 단말(12)의 송신기(100a) 및 안테나(500a)를 제어하여 새로운 상향링크 전력(Pnew)로 부반송파 또는 스트림을 송신한다(S590). 기존 전력 P를 조정함에 있어서, 수학식 4의 Offset을 상기 제1타입 전력보정 정보에 의해 지정된 제1오프셋 및/또는 상기 제2타입 전력보정 정보에 의해 지정된 제2오프셋으로 설정하여, 수학식 4에 의해 새로운 상향링크 전력(Pnew)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8에 있어서, 도 4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레벨을 나타내는 IoT값을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은 상기 IoT값으로부터 NI를 변환하게 된다. NI의 변환에 이용되는 IoT값 대신 NI를 직접 단말에 전송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도 5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목표 SINR 파라미터와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레벨을 단말에 전송함에 있어서, 기지국과 단말 내 맥(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의 피어 투 피어 프로토콜(peer-to-peer protocol)은 제어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맥 제어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파라미터들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SINR은 기지국이 해당 기지국 범위 내 단말들의 시스템 구성을 위해 전송하는 시스템 구성 정보 메시지의 형태로 브로드캐스트하고,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레벨은 해당 기지국 내 단말의 상향링크 잡음 및 간섭레벨을 지정하는 상향링크 잡음 및 간섭 레벨 메시지의 형태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IEEE P802.16m을 예로 들면, 목표 SINR은 AAI_SCD(Advanced Air Interface System Configuration Descriptor) 메시지에 포함되어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고.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레벨은 AAI_ULPC_NI(Advanced Air Interface UpLink NI) 메시지에 포함되어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5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오프셋은 제1타입 보정 정보로서 단말에 전송하고 제2오프셋은 제2타입 보정 정보로서 각각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제1오프셋은 독립된 전력보정메시지로 생성되어 단말에 유니캐스트될 수 있고 제2오프셋은 독립된 전력보정정보로서 생성되어 단말에 유니캐스트될 수 있음은 도 5 내지 도 8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IEEE P802.16m 표준을 예로 하면, 제1오프셋은 AAI_UL_POWER_ADJUST(Advanced Air Interface UpLink POWER ADJUST) 메시지에 의해 단말에 유니캐스트될 수 있고, 제1오프셋은 PC-A-MAP(Power Control Advanced MAP)에 의해 단말에 유니캐스트될 수 있을 것이다.
단말 특정 전력 보정값을 제1오프셋과 제2오프셋으로 단말에 시그널링하는 도 5 내지 도 8에 따르면, 급격한 전력보정이 요구될 때는 제1오프셋을 단말에 시그널링하고 작은 전력보정이 요구될 때는 제2오프셋을 단말에 시그널링할 수 있고, 제1오프셋과 제2오프셋의 시그널링 주기를 달리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환경변화에 따라 상향링크 전력을 보다 유연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 자체가 전력 보정값을 결정할 필요가 없게 됨에 따라, 단말의 프로세서(100a)가 상향링크 전력제어에서 수행할 처리과정이 줄어들게 되어 단말(12)의 동작과정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전력을 조정할 때, 단말 자체에 의해 판단되는 전력 보정값을 배제한 채, 전체 무선통신 시스템의 환경을 고려하여 기지국이 판단한 전력 보정값만을 전력 조정에 반영하게 됨에 따라, 단말 자체의 판단에 의한 독립적인 전력조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환경변화를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 무선통신 시스템
11: 기지국
12: 단말
15a, 15b, 15c: 셀
100a, 100b: 송신기
200a, 200b: 메모리
300a, 300b: 수신기
400a, 400b: 프로세서
500a, 500b: 안테나

Claims (22)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파라미터와,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레벨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목표 SINR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목표 SINR 및 상기 잡음 및 간섭레벨을 이용한 단말의 잡음 및 간섭의 추정평균전력레벨 NI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선택적으로 송신되는 제1오프셋 및 제2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프셋과 상기 제2오프셋은 독립적으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송신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프셋은 '-15.5dB' 부터 '16dB' 까지의 값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오프셋은 [-0.5dB, 0.0dB, 0.5dB, 1.0dB]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Figure pat00022

    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전력 P를 결정하되, L에는 현재의 추정 평균 하향링크 전달손실값을 설정하고, SINRTarget에는 상기 목표 SINR 값을 설정하고, NI에는 상기 NI 값을 설정하고, Offset에는 '0'을 설정하여 상기 P를 결정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는,
    Figure pat00023
    에 의해 상기 P를 새로운 상향링크 전력Pnew로 조정하되, Offset에는 상기 제1오프셋 또는 상기 제2오프셋을 설정하여 상기 Pnew를 결정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데이터 채널에 대한 목표 SINR(SINRTarget)은
    Figure pat00024

    에 의해 결정하되, SINRMIN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기대되는 최소율의 SINR이고,
    Figure pat00025
    IOT은 페어니스(fairness) 및 IoT 제어 인자이고, SINRDL은 단말에 의해 측정되는 잡음 및 간섭 전력에 대한 하향링크 신호의 비율이고, α는 상기 기지국의 수신안테나의 개수에 따른 인자이고, β는 TNS(Total Number of Streams)의 적용여부를 지시하는 스트림 인자이고;
    HARQ Feedback, Synchronized Ranging, P-FBCH, S-FBCH, Bandwdith Request 채널 각각에 대한 목표 SINR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해당 채널의 목표 SINR에 의해 결정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그리고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파라미터과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레벨을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송신되는 제1오프셋 및 제2오프셋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목표 SINR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목표 SINR과 상기 잡음 및 간섭레벨을 이용한 단말의 잡음 및 간섭의 추정평균전력레벨 NI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제1오프셋 및 제2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프셋과 상기 제2오프셋은 독립적으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송신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장치
  10. 제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프셋은 '-15.5dB' 부터 '16dB' 까지의 값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오프셋은 [-0.5dB, 0.0dB, 0.5dB, 1.0dB]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향링크 전력 P를
    Figure pat00026

    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전력 P를 결정하되, 현재의 추정 평균 하향링크 전달손실값 계산하여 L에 설정하고, SINRTarget에는 상기 목표 SINR 값을 설정하고, NI에는 상기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에 의한 NI값을 설정하고, Offset에는 '0'을 설정하여 상기 P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Figure pat00027
    에 의해 상기 P를 새로운 상향링크 전력Pnew로 조정하되, Offset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오프셋 또는 상기 제2오프셋을 설정하여 상기 Pnew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장치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Figure pat00028

    에 의해 데이터 채널에 대한 목표 SINR(SINRTarget)을 결정하되, SINRMIN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기대되는 최소율의 SINR이고,
    Figure pat00029
    IOT은 페어니스(fairness) 및 IoT 제어 인자이고, SINRDL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측정되는 잡음 및 간섭 전력에 대한 하향링크 신호의 비율이고, α는 상기 기지국의 수신안테나의 개수에 따른 인자이고, β는 TNS(Total Number of Streams)의 적용여부를 지시하는 스트림 인자이고;
    HARQ Feedback, Synchronized Ranging, P-FBCH, S-FBCH, Bandwdith Request 채널 각각에 대한 목표 SINR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해당 채널의 목표 SINR에 의해 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장치
  1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에 있어서,
    목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파라미터과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그리고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의 보정을 위한 제1오프셋과 제2오프셋을 선택적으로상기 단말에 유니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프셋과 제2오프셋을 독립적으로 상기 단말에 유니캐스트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17. 제15항 또는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오프셋은 '-15.5dB' 부터 '16dB' 까지의 값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되어 상기 단말에 유니캐스트되는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오프셋은 [-0.5dB, 0.0dB, 0.5dB, 1.0dB]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되어 상기 단말에 유니캐스트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 그리고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여, 목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파라미터과 상향링크의 잡음 및 간섭 레벨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여,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의 보정을 위한 제1오프셋과 제2오프셋을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에 유니캐스트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오프셋과 상기 제2오프셋을 독립적으로 상기 단말에 유니캐스트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장치
  21. 제19항 또는 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오프셋을 '-15.5dB' 부터 '16dB' 까지의 값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오프셋을 [-0.5dB, 0.0dB, 0.5dB, 1.0dB]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장치
KR1020100025642A 2009-10-23 2010-03-2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91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80045814.7A CN102577544B (zh) 2009-10-23 2010-07-16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控制上行链路功率的方法和装置
PCT/KR2010/004637 WO2011049286A1 (en) 2009-10-23 2010-07-1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843,413 US8483742B2 (en) 2009-10-23 2010-07-2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421009P 2009-10-23 2009-10-23
US61/254,210 2009-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683A true KR20110044683A (ko) 2011-04-29
KR101691826B1 KR101691826B1 (ko) 2017-01-02

Family

ID=4404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642A KR101691826B1 (ko) 2009-10-23 2010-03-2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1826B1 (ko)
CN (1) CN10257754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6029A1 (ko) * 2011-09-05 2013-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1443B2 (en) * 2012-09-20 2014-10-1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full-duplex wireless systems with simultaneous transmission reception
US9119178B2 (en) * 2013-02-08 2015-08-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fficient transmission parameter selection
CN110856242B (zh) * 2014-01-29 2023-07-2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无线通信中的上行链路传输
CN107210808B (zh) * 2015-01-16 2020-11-17 梁平 估计上行链路sinr的方法及估计信道误差等级的方法
CN107708155B (zh) * 2017-10-25 2021-09-14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功率控制方法及基站
CN113891444B (zh) * 2021-10-20 2023-08-1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发射功率确定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6996918B (zh) * 2023-09-07 2024-02-06 北京中科网芯科技有限公司 基于5g通信的防干扰协调系统
CN117641546A (zh) * 2024-01-25 2024-03-01 深圳国人无线通信有限公司 控制小区边缘ue的上行功率的方法和基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463A (ko) * 2006-01-13 2007-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향 링크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76678A (ko) * 2006-01-19 2007-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80004039A (ko) * 2006-07-04 2008-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5888B2 (en) * 2005-09-14 2010-03-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OFDMA) ranging
KR100965657B1 (ko) * 2006-02-07 201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463A (ko) * 2006-01-13 2007-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향 링크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76678A (ko) * 2006-01-19 2007-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80004039A (ko) * 2006-07-04 2008-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36.213 V8.7.0(2009.05.)*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6029A1 (ko) * 2011-09-05 2013-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9191899B2 (en) 2011-09-05 2015-11-17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signal transmission power and method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7544A (zh) 2012-07-11
CN102577544B (zh) 2015-03-18
KR101691826B1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37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9182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CN107920385B (zh) 无线通信系统中导出参考信号的传送功率的方法和设备
US8965442B2 (en) Uplink power control in aggregated 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JP5279386B2 (ja) 閉ループ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無線基地局装置
US85939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753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for multiple transmit antennas
JP5280377B2 (ja) 移動局のアップリンク電力を制御するためのオープンループ/クローズドループを組み合わせた方法
US8428521B2 (en) Control for uplink in MIMO communication system
US8359059B2 (en) Method of controlling uplink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002220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ビーム動作に対するパスロス導出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RU2414055C2 (ru) Регулирование мощности и передача обслуживания с помощью команд регулирования мощности и индикаторов стирания
KR101588182B1 (ko) 다중-안테나 시스템들을 위한 송신 전력 의존 불균형 보상
US20130128833A1 (en) Uplink power control method and user equipment
KR20090063085A (ko) 다중화율을 고려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TW201541999A (zh) 具e-utra乾擾減輕之結合開路/閉路(cqi爲基礎)上鏈傳輸功率控制
IL198541A (en) Reverse traffic control link for fdd lbc
KR20110007026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1805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1237259A (zh) 一种实现功率控制的方法、系统及用户台
EP2709409B1 (en) Method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and user equipment
EP2789198A1 (en)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uplink transmissions with coordinated reception
JP7069195B2 (ja) 端末、基地局、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CN109246810B (zh) 一种基于lte系统的上行调度修正方法和系统
JPWO2010146985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機およ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