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026A - 석탄시료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석탄시료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026A
KR20110044026A KR1020090100820A KR20090100820A KR20110044026A KR 20110044026 A KR20110044026 A KR 20110044026A KR 1020090100820 A KR1020090100820 A KR 1020090100820A KR 20090100820 A KR20090100820 A KR 20090100820A KR 20110044026 A KR20110044026 A KR 20110044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al sample
support wall
enclosure
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8134B1 (ko
Inventor
최인호
Original Assignee
(주)지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피씨 filed Critical (주)지피씨
Priority to KR1020090100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1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4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2Fuels; Explosives
    • G01N33/222Solid fuels, e.g. co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탄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굵은 입자와 고운 입자의 석탄 가루가 적절히 혼합된 시료를 채취하여 실제로 보일러에 공급되는 석탄과 일치하는 석탄시료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석탄시료 채취장치는 양단이 개구된 함체; 상기 함체의 주변에 배치되는 지지벽체; 상기 함체의 하부 개구부를 덮거나 열도록 상기 함체에 연결되는 덮개부; 상기 함체의 측부에 결합되며, 하부면의 길이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되는 레일; 상기 지지벽체에 결합하며, 상기 레일의 상부를 밀착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지지벽체에 결합하며, 상기 레일의 하부에 밀착하는 하부 지지부; 상기 레일의 톱니에 맞물려 회전시에 상기 레일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 및, 상기 기어의 중심축에 결합되며, 몸체에 일부가 상기 지지벽체에 결합되는 모터;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탄시료 채취장치{COAL SAMPLE GATHERING DEVICE}
본 발명은 석탄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굴된 석탄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의 주변에서 석탄 시료를 채취하는 석탄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등에서 사용되는 석탄은 호주, 중국, 러시아, 인도네시아 등 다양한 국가에서 수입하여 사용되며 선박에 의해 저탄장에 하역되는 석탄 중 일부는 샘플을 채취한 뒤 채취된 샘플의 성분을 분석하여 연속 기초 자료에 의해 품질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여기서, 채취된 샘플의 성분 분석은 국제 공인 검정 기관 분석 자료와 비교하여 품질 결정에 대응 자료로 활용한다.
이러한 석탄 시료의 채취는 석탄을 화로까지 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 주변에서 주걱 모양의 관을 회전시켜 가며 일정 양의 석탄 시료를 일정시간마다 채취하게 되고, 채취된 석탄 시료의 열량에 따라 보일러의 화력을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운송되는 석탄은 굵은 입자의 석탄 가루와 고운 입자의 석탄 가루가 혼합된 형태로 있다. 이 경우, 고운 입자의 석탄 가루는 운 송 중에 발생되는 진동의 영향으로 고은입자의 석탄가루가 굵은 입자의 석탄 가루의 하부로 가라 않아 콘베이어 벨트 하부에 깔린상태로 운송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때, 주걱 모양의 관을 회전시켜 가며 석탄의 시료를 채취하게 되면, 주로 굵은 입자의 석탄 가루만이 채취된다.
따라서, 이러한 주걱 모양의 관을 회전시켜 석탄을 채취하는 시료 채취 방법은 굵은 입자와 고운 입자의 석탄 시료가 골고루 혼합된 시료가 채취되지 않게 되므로, 시료의 분석시 실제 석탄과는 편차한 심한 결과를 나타내어 보일러의 화력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굵은 입자와 고운 입자의 석탄 가루가 적절히 혼합된 시료를 채취하여 실제로 보일러에 공급되는 석탄과 일치하는 석탄시료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석탄시료 채취장치는 양단이 개구된 함체; 상기 함체의 주변에 배치되는 지지벽체; 상기 함체의 하부 개구부를 덮거나 열도록 상기 함체에 연결되는 덮개부; 상기 함체의 측부에 결합되며, 하부면의 길이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되는 레일; 상기 지지벽체에 결합하며, 상기 레일의 상부를 밀착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지지벽체에 결합하며, 상기 레일의 하부에 밀착하는 하부 지지부; 상기 레일의 톱니에 맞물려 회전시에 상기 레일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 및, 상기 기어의 중심축에 결합되며, 몸체에 일부가 상기 지지벽체에 결합되는 모터;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함체의 하부 개구부를 덮는 덮개판; 상기 덮개판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용 돌기부; 및 상기 걸림용 돌기부의 일 단부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걸림용 돌기부에 연결되는 롤러;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의 측부에 복수 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측에 홀이 형성되는 함체돌기부; 더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판 의 측부에 복수 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측에 홀이 형성되는 덮개판돌기부; 상기 덮개판이 상기 함체의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덮개판과 상기 함체가 연결되는 부위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함체돌기부의 홀들과 상기 덮개판돌기부의 홀들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결합핀;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석탄시료 채취장치는 상기 지지벽체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지지하는 베어링;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탄시료 채취장치는 상기 지지벽체의 하부면에는 석탄시료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석탄시료 통과홀에 연결되는 시료유입관로;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탄시료 채취장치는 상기 지지벽체에 설치되는 레일전진 감지용 센서; 및 상기 지지벽체 설치되는 레일후진 감지용 센서;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굵은 입자의 석탄 가루와 고운 입자의 석탄 가루를 일율적으로 채취할 수 있으므로, 실제 사용되는 석탄의 표본과 유사한 샘플 데이타를 채취할 수 있게 하여 채취된 석탄 시료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효과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간략하게 서술했으며,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시료 채취장치를 이루는 구성, 구성의 역할 및, 구성간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시료 채취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석탄시료 채취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함체와 레일이 후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시료 채취장치(100)는 함체(110), 지지벽체(120), 덮개부(130), 레일(140), 상부 지지부(150), 하부 지지부(160), 기어(170) 및, 모터(18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시료 채취장치(100)는 베어링(19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시료 채취장치(100)는 시료유입관로(2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시료 채취장치(100)는 레일전진 감지용 센서(210), 레일후진 감지용 센서(220) 및, 마이컴(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함체(110)는 상부 개구부(110a)와 하부 개구부(110b)가 형성되는 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함체(110)는 대략 직사각형 통체로 형성되며, 상부 개구부 측이 대략 사선으로 절개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함체(110)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함체(110)를 함체돌기부(111)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함체돌기부(111)는 함체(110)의 측부에 일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 단부에 홀(111a)이 형성된다. 이러한 함체돌기부(111)는 함체(110)의 측부에 복수 개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함체돌기부(111)는 홀들(111a)의 중심축이 서로 간에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형성된다.
또한, 함체(110)는 몸체의 측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112)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112)는 레일(140)의 측면에 볼트 결합되어 함체(110)가 레일(140)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벽체(120)는 함체(110)의 주변에 배치되며, 함체(110)에 연결되는 레일(140), 상부 지지부(150), 하부 지지부(160), 기어(170) 및, 모터(180)등의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벽체(120)는 양 측부가 개구된 사각 박스 형상을 갖는다. 또한, 지지벽체(120)는 하부면에 석탄시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홀(120a)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벽체(120)에는 덮개부(130)에 형성되는 걸림용 돌기부(132)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이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벽체(120)는 철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벽체(120)는 내측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121)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스토퍼(121)는 대략 막대형으로 형성되며, 막대 형상의 모서리부 주변이 둥근 모따기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퍼(121)는 레일(140)이 후진하는 경우 에 덮개부(130)에 형성되는 걸림용 돌기부(132)와 맞닿아 덮개판(131)이 함체(110)의 하부 개구부에서 열리도록 하여 함체(110) 내부에 잔존하는 석탄 시료가 시료유입관로(200)로 흘러들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덮개부(130)는 덮개판(131), 걸림용 돌기부(132) 및, 롤러(13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덮개부(130)는 핀결합부(134), 코일 스프링(135) 및, 결합핀(136)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덮개부(130)는 함체(110)의 하부 개구부를 덮도록 연결되며, 함체(110)의 이동시에 걸림용 돌기부(132)가 스토퍼(121)에 맞닿는 경우 함체(110)의 하부 개구부를 열어 석탄 시료가 함체(110)의 하부 개구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덮개판(131)은 함체(110)의 하부 개구부를 덮도록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용 돌기부(132)는 일 단부가 덮개판(131)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걸림용 돌기부(132)의 타 단부는 홀(132a)이 형성되며, 홀(132a)에는 롤더(133)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핀(132b)이 삽입된다.
상기 롤러(133)는 걸림용 돌기부(132)의 일 단부에서 회전하도록 걸림용 돌기부(132)에 연결된다. 여기서, 롤러(133)와 걸림용 돌기부(132)와 연결은 롤러(133)의 중심부와 걸림용 돌기부(132)를 관통하는 핀(132b)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핀(132b)의 양 단부는 롤러(133)가 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부러지거나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롤러(133)와 걸림용 돌기부(132)와의 연결관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핀결합부(134)는 덮개판(131)의 측부에 복수 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측에 홀(134a)이 형성된다. 여기서, 핀결합부(134)의 홀(134a)은 함체(110)의 함체돌기부(111)에 형성되는 홀(111a)에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핀결합부(134)의 홀(134a)에는 결합핀(136)이 삽입되어 덮개판(131)이 결합핀(136)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35)은 덮개판(131)이 함체(110)의 개구부를 덮도록 덮개판(131)과 함체(110)가 연결되는 부위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코일 스프링(135)은 코일 형태로 형성되며, 양 단부가 덮개판(131)과 밀착되고 중앙의 돌출된 부분이 함체(110)의 측면과 밀착되므로써 덮개판(131)이 함체(110)의 하부 개구부를 덮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핀(136)은 함체돌기부(111)의 홀들(111a)과 핀결합부(134)의 홀들 (134a) 및 코일 스프링(135)의 코일이 나선형으로 감겨진 중심부에 삽입된다.
상기 레일(140)은 함체(110)의 측부에 결합되며, 하부면의 길이방향으로 톱니(141)가 형성된다. 또한, 레일(14)은 상부면의 양 측 모서리부가 모따기 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140)은 철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150)는 지지벽체(120)에 볼트 결합이나 용접결합등에 의해 결합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상부 지지부(150)의 결합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부 지지부(150)는 하부면에 레일(140)의 상부면이 삽입될 수 있는 홈(151)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부 지지부(150)의 홈(151)은 상부 지지부(15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레일(140)의 상부면과 밀착하여 레일(140)이 상부 지지부(150)의 홈(151)을 따라 레일(14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지지부(160)는 지지벽체(120)에 볼트결합이나 용접결합등에 의해 결합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하부 지지부(160)의 결합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부 지지부(160)는 하부면에 레일(140)의 하부면이 삽입될 수 있는 홈(161)이 형성된다. 이 경우, 하부 지지부(160)의 홈(161)은 하부 지지부(16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레일(140)의 하부면과 밀착하여 레일(140)이 하부 지지부(160)의 홈(161)을 따라 레일(14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어(170)는 원형의 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다. 이러한 기어(170)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톱니가 레일(140)의 톱니(141)에 맞물리게 되며, 회전시에 톱니의 맞물림으로 인해 레일(14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기어(170)와 레일(140)은 역할은 랙과 피니언 기어의 역할과 같다.
상기 모터(180)는 회전축(181)이 기어(170)의 중심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어 모터(180)의 회전축(181)이 기어(170)의 중심축과 결합된다. 여기서, 모터(180)의 회전축(181)은 지지벽체(120)에 형성되는 홀을 통과하여 지지벽체(120)의 내측부 방향으로 통과한 상태에서 기어(170)의 중심부에 결합한다. 또한, 모터(180)는 몸체에 일부가 지지벽체(120)에 볼트 결합 또는 용접등으로 결합되어 지지벽체(120)에 고정된다. 이러한 모터(180)는 모터 구동 드라이버(미도시)와 전기적으 로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 구동 드라이버(미도시)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190)은 지지벽체(120)에 연결된다. 또한, 베어링(190)은 회전을 위하여 중심축에 홀이 형성되며, 홀에는 핀(191)이 삽입된다. 여기서, 베어링(190)은 상부 지지부(15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레일(140)의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홈(190a)이 형성된다. 이러한 베어링(190)은 레일(140)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을 하는 경우, 레일(140)을 부수적으로 지지하여 레일(140)이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료유입관로(200)는 지지벽체(1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석탄시료 통과홀(120a)에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시료유입관료(200)의 끝단에는 석탄시료를 수용하는 수납통(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시료유입관로(200)는 함체(110)에서 수납된 석탄 시료를 수납통으로 흘러들도록 하여 석탄 시료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일전진 감지용 센서(210)는 지지벽체(120)에 삽입되어 지지벽체(120)와 결합한다. 이러한 레일전진 감지용 센서(210)는 근접 센서의 일종으로서 레일(140)에 형성되는 제 1 도그(211)를 감지하여 레일(140)의 전진 상태를 감지한 후,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일후진 감지용 센서(220)는 지지벽체(120)에 삽입되어 지지벽체(120)와 결합한다. 이러한 레일후진 감지용 센서(220)는 근접 센서의 일종으로서 레일(140)에 형성되는 제 2 도그(212)를 감지하여 레일(140)의 후진 상태를 감지한 후,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1 도그(211)와 제 2 도그(212)는 서로 간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홀들에 각각 결합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레일전진 감지용 센서(210)와 레일후진 감지용 센서(220)는 제 1 도그(211) 및 제 2 도그(212) 없이 레일에 형성되는 홀을 감지함으로 인해서 이격거리의 변화를 검출하여 레일의 전진 및 후진을 감지할 수 도 있다.
상기 마이컴(미도시)은 레일전진 감지용 센서(210)와 레일후진 감지용 센서(220) 및 모터 구동 드라이버(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마이컴은 일정 시간마다 석탄 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모터(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 구동 드라이버를 구동시켜 모터(180)를 정회전시킴으로서 레일(140)을 전진시키고, 전진된 상태를 검출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시키는 레일전진 감지용 센서(210)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모터(180)를 정회전시켜 레일(140)을 후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마이컴은 레일(140)이 후진된 상태를 레일후진 감지용 센서(22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받아 모터(18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마이컴은 일정 시간마다 상기한 구동을 반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시료 채취장치의 응용예를 설명하면서 석탄시료 채취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석탄시료 채취장치가 장착된 석탄 운반 장치의 정면도 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1A 영역을 확대하여 본 부분 정면도이다. 도 8는 도 7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함체와 레일이 후진된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8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석탄시료 채취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석탄시료 채취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석탄시료 채취장치(100)는 도 6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탄을 컨베이어 벨트로 운송하여 보일러까지 운반하는 석탄 운반 장치에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석탄시료 채취장치(100)는 석탄의 운송이 끝나는 컨베이어 벨트(10)의 끝단에 설치되며, 운송이 끝난 석탄이 떨구어 지는 지점 부근에 설치된다.
이러한 석탄시료 채취장치(100)의 구동은 마이컴의 내부에 소프트웨어적으로 또는 마이컴 주변에 설치되는 타이머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석탄을 채취하게 된다.
먼저, 석탄시료 채취장치(100)는 석탄을 채취하기 위한 시간이 되면, 도 9와 같이 마이컴(미도시)은 모터(180)를 정회전시켜 기어(170)를 회전시킴으로서, 레일(140)을 전진시키게 된다. 그러면, 함체(110)는 레일(140)의 전진으로 인해서 컨베이어 벨트(10)에서 떨어지는 석탄이 있는 곳으로 전진되므로, 석탄 시료(11)를 함체의 내부에 수집하게 된다. 이때, 레일전진 감지용 센서(210)에서는 레일(140)에 설치된 제 1 도그(211)를 검출하는 경우, 전기적인 신호를 마이컴에 출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마이컴에서는 모터(180)를 역회전시켜 레일(140)을 후진시키게 된다. 이때, 레일후진 감지용 센서(220)에서는 레일(140)에 설치된 제 2 도그(221)를 검출하는 경우, 전기적인 신호를 마이컴에 출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마이컴은 모 터(180)를 회전을 멈추게 되고, 함체(110)는 지지벽체(120)에 형성되는 시료 유입관료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함체(110)의 하부 개구부를 덮고 있는 덮개판(131)은 걸림용 돌기부(132)에 연결되는 롤러(133)가 스토퍼(121)에 걸리는 경우, 결합핀(136)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함체(110)의 하부 개구부를 열게 된다. 그러면, 함체(110)의 내부에 있던 석탄 시료(11)는 시료 유입 관로(200)를 통해 배출된다. 석탄 시료 채취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동을 일정시간마다 반복하여 석탄 시료(11)를 채취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시료 채취장치(100)는 컨베이어 벨트(10)의 부근에서 낙하되는 석탄 시료(11)를 일율적으로 채취하게 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시료의 분균일한 채취에 관한 문제점이 사라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시료 채취장치(100)는 실제 사용되는 석탄의 표본과 유사한 샘플 데이타를 채취할 수 있게 하여 채취된 시료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시료 채취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석탄시료 채취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함체와 레일이 후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석탄시료 채취장치가 장착된 석탄 운반 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1A 영역을 확대하여 본 부분 정면도이다.
도 8는 도 7의 우측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함체와 레일이 후진된 상태의 우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함체 120 ; 지지벽체
121 ; 스토퍼 130 ; 덮개부
131 ; 덮개판 132 ; 걸림용 돌기부
133 ; 롤러 134 ; 핀결합부
135 ; 코일 스프링 136 ; 결합핀
140 ; 레일 150 ; 상부 지지부
160 ; 하부 지지부 170 ; 기어
180 ; 모터 190 ; 베어링
200 ; 시료유입관로 210 ; 레일전진 감지용 센서
220 ; 레일후진 감지용 센서

Claims (6)

  1. 양단이 개구된 함체;
    상기 함체의 주변에 배치되는 지지벽체;
    상기 함체의 하부 개구부를 덮거나 열도록 상기 함체에 연결되는 덮개부;
    상기 함체의 측부에 결합되며, 하부면의 길이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되는 레일;
    상기 지지벽체에 결합하며, 상기 레일의 상부를 밀착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지지벽체에 결합하며, 상기 레일의 하부에 밀착하는 하부 지지부;
    상기 레일의 톱니에 맞물려 회전시에 상기 레일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 및,
    상기 기어의 중심축에 결합되며, 몸체에 일부가 상기 지지벽체에 결합되는 모터;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시료 채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함체의 하부 개구부를 덮는 덮개판;
    상기 덮개판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용 돌기부; 및
    상기 걸림용 돌기부의 일 단부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걸림용 돌기부에 연결되 는 롤러;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시료 채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의 측부에 복수 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측에 홀이 형성되는 함체돌기부; 더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판의 측부에 복수 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측에 홀이 형성되는 덮개판돌기부; 상기 덮개판이 상기 함체의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덮개판과 상기 함체가 연결되는 부위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함체돌기부의 홀들과 상기 덮개판돌기부의 홀들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결합핀;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시료 채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체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지지하는 베어링;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시료 채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체의 하부면에는 석탄시료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석탄시료 통과홀에 연결되는 시료유입관로;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시료 채취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체에 설치되는 레일전진 감지용 센서; 및
    상기 지지벽체 설치되는 레일후진 감지용 센서;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시료 채취장치.
KR1020090100820A 2009-10-22 2009-10-22 석탄시료 채취장치 KR101088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820A KR101088134B1 (ko) 2009-10-22 2009-10-22 석탄시료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820A KR101088134B1 (ko) 2009-10-22 2009-10-22 석탄시료 채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026A true KR20110044026A (ko) 2011-04-28
KR101088134B1 KR101088134B1 (ko) 2011-12-02

Family

ID=4404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820A KR101088134B1 (ko) 2009-10-22 2009-10-22 석탄시료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3829A (zh) * 2018-12-06 2019-03-08 安阳市鑫达自控科技有限公司 一种煤集样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674B1 (ko) 2000-12-20 2006-06-30 주식회사 포스코 시간분배에 의한 시료 자동채취장치
KR200270112Y1 (ko) * 2001-12-18 2002-03-29 한국중부발전(주) 공기압식 왕복동형 석탄시료 채취장치
KR100973492B1 (ko) 2009-10-05 2010-08-03 전제금 미분탄 시료 채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3829A (zh) * 2018-12-06 2019-03-08 安阳市鑫达自控科技有限公司 一种煤集样器
CN109443829B (zh) * 2018-12-06 2023-12-19 安阳市鑫达自控科技有限公司 一种煤集样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8134B1 (ko) 201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7123B (zh) 化学分析仪,基于样本的分析方法,操作样本池的装置和装载方法
US9347964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cuvettes
KR101088134B1 (ko) 석탄시료 채취장치
EP1909090A2 (en)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emissions monitoring equipment
WO2024051781A1 (zh) 粉末物料的自动检测装置
KR101581446B1 (ko) 광물제품용 샘플 채취장치
CN208401239U (zh) 电连接器接触件护套自动装配设备
KR100723023B1 (ko) 초음파 용접 검사장치
RU2061212C1 (ru) Способ отбора дозированных проб и проведения анализов над пробным материалом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1741316U (zh) 全自动化学发光免疫分析仪用废弃耗材卸载装置
KR20150055593A (ko) 실험실용 믹서
CN112551031A (zh) 粮食检测设备
US20040244507A1 (en) Waste gas measuring device
US9360466B2 (en) Sample introduction mechanism for total organic carbon meter
CN208140402U (zh) 一种原煤斗手动螺旋取煤装置
US6378362B1 (en) In-situ Vadose zone remote sensor
JP2008196871A (ja) 粉塊混合物からの試料採取方法及びその装置
CN210982144U (zh) 一种可编程模块式气体分体检测装置
US20090308182A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slurry samples from a pipe
US4082003A (en) Pellet sampler and method of sampling pellets
CN209446337U (zh) 一种皮带机头小空间取样装置
KR101613095B1 (ko) 모듈러 타입 가스 샘플 프로브
CN220912753U (zh) 一种高可靠自动采样装置
CN211920043U (zh) 一种建筑部件抽样检测装置
CN211784601U (zh) 一种便携式锅炉飞灰一体化取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