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894A -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894A
KR20110043894A KR1020090100623A KR20090100623A KR20110043894A KR 20110043894 A KR20110043894 A KR 20110043894A KR 1020090100623 A KR1020090100623 A KR 1020090100623A KR 20090100623 A KR20090100623 A KR 20090100623A KR 20110043894 A KR20110043894 A KR 20110043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data
information
skip
playback
restri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3608B1 (ko
Inventor
박성환
김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608B1/ko
Publication of KR20110043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 리스트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미디어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사용자의 옵션 설정에 따라 재생하거나 스킵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은, 미디어데이터 재생 모드에서 재생 리스트를 구성하는 과정과; 재생할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미디어데이터가 옵션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미디어데이터, 재생, 스킵, 옵션정보, 스킵정보, 제한정보

Description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EDIA DATA OF A DEVICE}
본 발명은 미디어데이터(media data)의 재생이 가능한 디바이스(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디바이스에서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디바이스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출시되는 디바이스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 서핑을 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된 디바이스,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한 디바이스, 디지털 카메라가 탑재되어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등이 있다. 또한 최근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인터넷 기능, 미디어데이터 재생 기능 및 디지털 카메라 기능 등이 복합되어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상기 미디어데이터 재생 기능을 지원하는 디바이스 또는 상기 미디어데이터 재생 기능을 비롯하여 다양한 기능들이 복합되는 복합 디바이스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여 비디오성분 및/또는 오디오성분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데이터 재생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데이터가 저장된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상기 디바이스는 순차방식 또는 랜덤방식 등의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 내에 포함된 모든 미디어데이터들의 재생을 지원한다.
한편, 현재 디바이스의 메모리는 기가(Giga) 단위를 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디바이스에 저장되는 미디어데이터의 수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재생을 희망하거나 희망하지 않는 미디어데이터를 선별 및 선택하여 재생 리스트를 구성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 손실과 불편함을 초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특정 카테고리 내에 있는 미디어데이터들 전체를 하나의 재생 리스트로 간주하여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희망하지 않는 미디어데이터를 삭제하지 않는 한 해당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지속적인 재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사용자가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삭제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뒤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다시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사용자는 미디어데이터의 재생 시 청취 및/또는 시청을 희망하는 미디어데이터가 있을 수 있고, 또한 희망하지 않는 미디어데이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순차방식에 의한 미디어데이터들의 순차 재생 또는 랜덤방식에 의한 미디어데이터들의 랜덤 재생 시 사용자가 희망하지 않는 미디어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희망하지 않는 미디어데이터를 순차방식 또는 랜덤방식에 따라 해당 순서가 되면 계속하여 반복 재생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희망하지 않는 미디어데이터일지라도 해당 카 테고리에 속한 미디어데이터에 대해서는 계속하여 불필요한 청취 및/또는 시청을 해야만 한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현재 재생을 희망하지 않는 미디어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할 시 이전에 삭제된 미디어데이터를 다시 희망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다시 검색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이러한 경우 미디어데이터의 구매에 따른 불필요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종래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식에서는 희망하지 않는 미디어데이터의 청취 및/또는 시청을 해야 하는 불편함과, 삭제된 미디어데이터를 다시 저장해야 하는 절차의 불편함 및 그에 따른 시간 손실과, 불필요한 추가 비용 발생으로 인한 비용 손실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바이스에서 미디어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미디어데이터들의 재생 시 옵션 설정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재생에서 생략할 수 있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미디어데이터들의 재생 시 스킵 기능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데이터를 설정된 옵션정보에 대응하는 기간만큼 그의 재생을 생략할 수 있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데이터에 설정된 옵션 기한이 만료되거나, 옵션 설정 기한 이외의 기간에서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정상 재생할 수 있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은, 미디어데이터 재생 모드에서 재생 리스트를 구성하는 과정과; 재생할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미디어데이터가 옵션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은, 미디어데이터 재생 모드에서 재생 리스트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 기 재생 리스트 내 미디어데이터들 중 스킵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미디어데이터의 제한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한정보가 디바이스의 현재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한정보에 따라 추출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재생 리스트에서 제거하여 상기 재생 리스트를 재구성 하는 과정과; 상기 재구성된 재생 리스트에 의해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미디어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헤더에 스킵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데이터가 상기 스킵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헤더의 제한정보를 체크하여 상기 제한정보가 디바이스의 현재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미디어데이터의 제한정보가 만기될 시 해당 미디어데이터의 스킵 기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에 따르면,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미디어데이터가 스킵정보 및 제한정보를 모두 충족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미디어데이터의 리스트 화면에서 특정 미디어데이터에 설정된 옵션정보를 표시하고 옵션정보가 설정된 특정 미디어데이터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특정 미디어데이터에 설정된 옵션정보에 따라 해당 미디어데이터의 재생 및 스킵을 제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재생 리스트의 재생 순번에 해당하는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미디어데이터가 옵션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미디어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헤더에 스킵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미디어데이터가 상기 스킵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헤더의 제한정보에 따라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 및 스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한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한정보가 상기 현재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제한정보에 따라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미디어데이터의 제한정보가 만기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스킵 기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미디어데이터가 스킵정보 및 제한정보를 모두 충족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리스트 내 미디어데이터들 중 스킵정보 및 제한정보의 조건을 만족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미디어데이터가 제거된 재생 리스트의 재구성 및 재구성된 재생 리스트에 의한 미디어데이터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 희망에 따른 미디어데이터만으로 이루어진 재생 리스트를 간편하고 빠르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희망하는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위해 매번 수행해야 하는 미디어데이터의 선별 및 선택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따라서 희망하는 미디어데이터만의 재생을 통한 청취 및/또는 시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식에 따른 불편함 및 그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현재, 특정시간 또는 일정기간동안 재생을 희망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데이터에 대하여 간단한 옵션 설정을 통해 그의 재생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희망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해당 미디어데이터에 대하여 삭제 없이도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기간 동안 그의 재생을 생략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희망하는 미디어데이터로만 이루어진 재생 리스트를 기존 미디어데이터의 삭제 없이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생 리스트에 의해 희망 미디어데이터만의 청취 및/또는 시청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라 희망하지 않는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삭제 절차를 생략함으로써 추후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다시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으며, 결국 미디어데이터 재생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장치 및 그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바이스의 표시수단을 통해 다수개의 미디어데이터들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재생을 희망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데이터를 간단한 옵션(option) 설정으로 스킵(skip)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시 상기 리스트 내의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파일시스템(file system) 및/또는 미디어데이터의 헤더(header)에 포함될 수 있는 스킵정보 및 제한정보와 같은 옵션정보에 따라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거나 그의 재생을 스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특정 카테고리에서 지정되는 미디어데이터들의 재생 리스트를 구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미디어데이터들 중 옵션정보가 설정된 미디어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재생 리스트에서 생략하여 상기 재생 리스트를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재생 리스트에 의해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는 파일시스템에 설정된 각 미디어데이터들의 옵션정보에 의하여 재생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 명의 실시 예에 따라 미디어데이터의 헤더에 옵션정보를 추가하는 경우 각 미디어데이터의 헤더에 설정된 옵션정보에 의하여 재생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미디어데이터는 음악데이터, 방송데이터, 사진데이터, 영상데이터 등 디바이스에서 재생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미디어데이터를 예시로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장치 및 그의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상기 디바이스에서 미디어데이터 재생을 위한 제어 방법 및 그의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디바이스, 그의 제어 방법 및 그의 시스템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미디어데이터의 재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디바이스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재생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101단계). 이때, 상기 재생 모드에서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은 특정 카테고리 내의 전체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재생이거나, 또는 상기 디바이스가 가지는 모든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재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바이스는 100개의 미디어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A라는 카테고리(A 카테고리)에는 상기 100개의 미디어데이터들 중 사용자에 의해 별도 로 분류된 30개의 미디어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100개의 미디어데이터들 전체에 대한 재생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A 카테고리 내의 30개의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재생 모드에서 지정되는 카테고리 내의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103단계). 예를 들면, 상기에서와 같이 100개의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A 카테고리 내의 30개의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생 리스트 내의 미디어데이터들의 순번은 랜덤재생방식(random play scheme) 또는 순차재생방식(sequential play scheme)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랜덤재생방식의 경우 재생 리스트 내의 미디어데이터들 중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모든 미디어데이터들을 랜덤한 순서로 재생할 수 있으며, 상기 순차방식의 경우 재생 리스트 내의 미디어데이터들을 리스트로 구성된 순서(예컨대, 미디어데이터 이름순, 날짜순, 가수 이름순, 저장순 등)에 따라 최상위 순번의 미디어데이터부터 최하위 순번의 미디어데이터까지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재생 리스트 구성 시 상기 재생 리스트 내에서 미디어데이터들의 재생 순서를 상기와 같이 구분하고, 상기 재생 순서에 대응하여 최상위 재생 순번을 가지는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상위 재생 순번의 미디어데이터는 상기와 같이 순차방식인 경우 해당 정렬 방식에서 최상위에 존재하는 미디어데이터일 수 있으며, 랜덤방식인 경우 재생 시점에서 결정되는 임의의 미디어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재생 리스트에서 현재 재생할 순번의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를 체크한다(105단계). 즉,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파일시스템에서 상기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옵션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미디어데이터의 헤더가 옵션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헤더에 추가되는 옵션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1에서는 현재 재생 순번의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옵션정보를 체크하는 동작으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재생 리스트 구성을 위한 미디어데이터 스캔(scan) 동작에서 상기 파일시스템 또는 미디어데이터의 헤더에 설정되는 옵션정보를 이용하여 리스트 내 모든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옵션정보를 체크한 후 스킵 기능이 설정되는 미디어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식별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 저장부에 데이터를 읽고, 쓰고, 찾기 위한 준비를 수행하는 데, 상기 파일시스템은 상기 준비의 규칙을 정리해 놓은 것으로서 각 데이터에 이름을 붙이고, 저장이나 검색을 위해 해당 데이터를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지를 나타내는 체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파일시스템의 예시로 FAT(File Allocation Table), NTFS(New Technology File System), JFS(Journal File System), UFS(Unix File System), XFS(eXetended File System), ext 3(extended file system 3), ext 2(extended file system 2), RaiserF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일시스템은 데이터의 저장 구조(예컨대, 디렉토리 구조)를 통하여 해당 데이터까지 가는 경로를 설정하는 형식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파일시스템은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옵션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일시스템은 크게 사용자데이터(User Data) 영역과 메타데이터(Meta Data)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타데이터 영역은 파일시스템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가지는 영역으로 파일시스템의 타입(type), 크기(size), 상태(status)를 나타내는 제1영역, 데이터의 타입, 권한(permission), 소유자(owner), 그룹(group), 크기 등의 데이터 속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2영역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파일시스템은 특정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스킵 기능 설정에 따라 생성되는 옵션정보를 나타내는 제3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영역은 해당 미디어데이터가 스킵 기능이 설정된 데이터인 경우 스킵정보 및 제한정보의 옵션정보를 포함하는 각 필드들이 생성될 수 있으며, 해당 미디어데이터의 제한정보가 만료되거나 또는 스킵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3영역의 옵션정보는 생략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105단계의 옵션정보 체크에 의하여 상기 미디어데이터가 스킵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107단계). 상기 디바이스는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라 파일시스템 및 미디어데이터 헤더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해당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스킵정보 포함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파일시스템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파일시스템에서 상기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제3영역을 확인하여 스킵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데이터 헤더에 옵션정보를 추가하는 본 발명의 방식의 경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헤더에 스킵정보가 있는 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107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미디어데이터가 상기 스킵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제한정보와 현재정보(현재시간 등)를 비교할 수 있다(109단계). 즉,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제한정보가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스킵정보의 포함 여부를 판별하는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제한정보를 파일시스템의 제3영역에서 획득하거나, 또는 미디어데이터의 헤더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한정보는 특정일자, 특정시간, 특정일자&특정시간, 일정기간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와 같은 설정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되는 제한정보와 현재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한정보가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스킵한다(111단계). 즉,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생략하고 다음 순번의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재생 절차로 진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107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미디어데이터가 스킵정보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109단계의 판결별과 상기 제한정보가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현재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여 오디오성분 및/또는 비디오성분을 출력할 수 있다(121단계).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 분만큼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완료한다(123단계).
다음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123단계에서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완료하 거나, 또는 상기 111단계에서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한 후 상기 재생 리스트에서 다음 순번의 미디어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125단계).
다음으로, 상기 125단계의 확인결과 다음 순번의 미디어데이터가 존재할 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다음 순번의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를 체크하고 상기 107단계로 진행하여 전술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125단계의 확인결과 다음 순번의 미디어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101단계의 재생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129단계). 여기서, 만약 사용자의 재생 모드에 대한 설정 방식에서 반복재생 기능이 설정된 경우 상기 재생 모드 종료는 사용자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종료 요청에 의해 종료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미디어데이터의 선택적 재생을 위한 방안으로 파일시스템 또는 미디어데이터의 헤더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시 상기 파일시스템 또는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헤더에 추가 구성된 옵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또는 그의 재생을 스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옵션정보의 스킵정보를 통해 해당 미디어데이터가 스킵 대상의 미디어데이터인지 여부를 일차적으로 확인하고 만약 스킵 대상인 미디어데이터인 경우 상기 옵션정보의 제한정보와 디바이스의 현재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미디어데이터가 스킵 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이차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는 만약 상기 제한정보가 상기 현재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스킵하고, 포함하지 않는 경우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옵션정보를 설정하는 동작과, 상기 옵션정보가 설정되는 미디어데이터의 포맷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및 미디어데이터 포맷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해당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스킵 기능을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헤더에 옵션정보로 추가되거나, 또는 해당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스킵 기능을 파일시스템에서 해당 미디어데이터에 대해 할당된 영역에 옵션정보로 추가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옵션정보를 설정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210 및 참조부호 250은 본 발명의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미디어데이터들의 리스트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리스트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데이터를 포함하는 화면으로서 음악데이터 리스트 화면, 방송데이터 리스트 화면, 사진데이터 리스트 화면, 영상데이터 리스트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리스트 화면은 다행 일렬로 구성된 리스트를 예를 하여 설명하지만, 일행 다열, 격자무늬 즉 다행 다열로 구성된 리스트 화면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210 또는 참조부호 250과 같이 제공되는 리스트 화면에서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선택적 즉, 스킵 기능에 의해 그의 재생을 생 략할 수 있는 옵션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데이터에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참조부호 210 및 참조부호 250에서는 5개의 미디어데이터를 포함하는 리스트가 제공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디바이스 화면의 크기에 따라 n개(n은 자연수)의 미디어데이터를 포함하는 리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한 화면을 벗어나는 미디어데이터의 경우 방향키 등을 이용한 스크롤바(scroll bar) 제어 또는 드래그(drag), 플릭(flick), 무브(move) 등의 터치 입력에 의해 리스트 간의 내비게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옵션정보 설정은 특정 미디어데이터를 선택 지정하고, 메뉴 옵션을 이용하여 지정된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옵션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옵션정보 설정 시 스킵정보 및/또는 제한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하기 <표 1>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Figure 112009064706286-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AAA" 미디어데이터의 경우 특정 날짜(1일)를 지정하고 매월 특정 날짜(1일)에서 해당 미디어데이터(AAA)를 스킵하는 제한정보 설정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한정보의 매월 1일 이전 및 이후에는 상기 미디어데이터(AAA)의 스킵 기능은 일시 해제 상태가 된다.
상기 "CCC" 미디어데이터의 경우 특정 요일(월, 수, 금)을 지정하고 지정된 특정 요일마다 해당 미디어데이터(CCC)를 스킵하는 제한정보 설정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한정보의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을 제외한 나머지 요일에서는 상기 미디어데이터(CCC)의 스킵 기능은 일시 해제 상태가 된다.
상기 "EEE" 미디어데이터의 경우 특정 날짜구간(8월1일에서 8월15일)을 지정하고 지정된 특정 날짜구간(8월1일에서 8월15일)동안 해당 미디어데이터(EEE)를 스킵하는 제한정보 설정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상기 8월1일 이전에는 상기 미디어데이터(EEE)의 스킵 기능은 해제 상태이고 8월1일부터 스킵 기능이 활성화되어 8월15일까지 스킵 기능을 수행하며 8월16일부터 스킵 기능은 해제된다.
상기 "GGG" 미디어데이터의 경우 특정 시간구간(AM9:00에서 AM11:00)을 지정하고 지정된 특정 시간구간(AM9:00에서 AM11:00)동안 해당 미디어데이터(GGG)를 스킵하는 제한정보 설정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한정보의 AM9:00에서 AM11:00까지는 스킵 기능이 활성화 되며 AM11:00 이후부터 익일 AM9:00까지 스킵 기능은 일시 해제 상태가 된다.
상기 "KKK" 미디어데이터의 경우 별도의 제한정보를 설정하지 않고 스킵정보만 설정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해당 미디어데이터(KKK)는 사용자의 옵션정보 즉, 스킵정보 해제 시까지 해당 미디어데이터(KKK)는 계속하여 스킵될 수 있다.
상기 "MMM" 미디어데이터의 경우 특정 날짜구간(7월)을 지정하고 지정된 특정 날짜구간(7월 한달)동안 해당 미디어데이터(MMM)를 스킵하는 제한정보 설정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한정보의 상기 7월 이전에는 상기 미디어데이터(MMM)의 스킵 기능은 해제 상태이고 7월1일부터 스킵 기능이 활성화되어 7월31일까지 스킵 기능을 수행하며 8월1일부터 스킵 기능은 해제된다.
상기 "PPP" 미디어데이터의 경우 특정 시간구간(PM6:00 이후)을 지정하고 지정된 특정 시간구간(PM6:00 이후)동안 해당 미디어데이터(PPP)를 스킵하는 제한정보 설정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해당 미디어데이터(PPP)는 매일 PM6:00부터 스킵 기능이 활성화되어 익일 AM12:00까지 스킵 기능을 수행하며 익일 AM12:00부터 PM6:00까지 스킵 기능은 일시 해제 상태가 된다.
상기 "TTT" 미디어데이터의 경우 특정 요일(월, 금) 및 시간구간(AM9:00에서 PM6:00)동안 해당 미디어데이터(TTT)를 스킵하는 제한정보 설정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해당 미디어데이터(TTT)는 매주 월요일과 금요일 AM9:00부터 PM6:00까지 스킵되며, 상기 월요일과 금요일을 제외한 나머지 요일 및 월요일과 금요일 중 AM9:00에서 PM6:00 이외의 시간대에는 스킵 기능이 일시 해제 상태가 된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각 미디어데이터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옵션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제한정보 설정 시 스킵정보는 자동 마킹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는 별도의 제한정보 설정 없이 스킵정보만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스킵정보 설정 후 별도의 제한정보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 해당 미디어데이터는 사용자의 옵션정보 해제가 발생하기 전까지 계속하여 스킵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표 1>의 예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옵션정보 설정이 이루어질 시 파일시스템에서 해당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옵션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파일시스템에서 해당 미디어데이터의 제3영역에 옵션정보를 추가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바이스는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여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헤더 부분에 사용자 설정에 따른 옵션정보를 추가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옵션정보가 설정될 시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상기 옵션정보가 설정된 미디어데이터(스킵 미디어데이터)와 옵션정보가 설정되지 않은 미디어데이터(일반 미디어데이터)를 구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상기 참조부호 210 또는 참조부호 250과 같이 나타나 있다.
상기 참조부호 210의 경우 리스트의 미디어데이터들 중 옵션정보가 설정된 스킵 미디어데이터(215)를 일반 미디어데이터와 단순히 구분하여 나타내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참조부호 250의 경우 리스트의 미디어데이터들 중 옵션정보가 설정된 스킵 미디어데이터(215)를 일반 미디어데이터와 구분하면서 설정된 관련 옵션정보(251, 253, 255)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와 <표 1>과 같이 옵션정보가 설정되는 미디어데이터들 중 제한정보가 만기되는 미디어데이터의 경우 상기 리스트에서 일반 미디어데이터로 편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 1>에서 상기 "EEE" 미디어데이터의 경우 8월15일이 경과할 시 스킵정보 및 제한정보가 모두 해제되어 일반 미디어데이터로 전환되며, 상기 "MMM" 미디어데이터의 경우 7월 이후에는 스킵정보 및 제한정보의 옵션정보가 모두 해제되어 일반 미디어데이터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제한정보가 만기되는 미디어데이터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가 파일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파일시스템에서 해당 미디어데이터의 제3영역에 추가된 스킵정보 필드 및 제한정보 필드에 추가된 정보들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미디어데이터의 헤더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미디어데이터의 헤더에 추가 구성된 스킵정보 및 제한정보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 방식에 따라 제한정보가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시점에서는 옵션정보가 설정된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일반 미디어데이터로 제공하거나, 또는 제한정보가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시점인 경우에도 스킵 미디어데이터임을 계속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 1>에서 상기 "AAA" 미디어데이터의 경우 매월 1일에만 스킵 기능이 활성화되며 매월 1일 이전 및 이후에는 스킵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정보(예컨대, 현재 날짜)가 상기 제한정보인 1일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설정방식에 따라 리스트 내에서 상기 "AAA" 미디어데이터를 스킵 미디어데이터로 구분하여 나타내거나 또는 일반 미디어데이터로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포맷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도 3에 나타낸 미디어데이터 포맷의 예시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미디어데이터의 헤더를 이용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미디어데이터 포맷의 예시를 나타낸다. 만약, 본 발명의 실시 예가 파일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도 3의 미디어데이터의 포맷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형태의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디어데이터는 헤더 필드(header field)(310)와 페이로드 필드(payload field)(350)를 포함하며, 상기 헤더 필드(310)는 식별정보영역과 옵션정보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정보영역은 해당 미디어데이터의 타입(type)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 필드(3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옵션정보영역은 옵션정보가 설정됨을 나타내는 스킵정보 필드(313) 및 스킵정보에 대응하여 스킵 기능이 활성화되는 설정정보를 나타내는 제한정보 필드(3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상기 식별정보 필드(311)에 의해 해당 미디어데이터의 타입 예컨대, 음악데이터인지, 방송데이터인지 등을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스킵정보 필드(313)에 의해 해당 미디어데이터가 스킵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즉, 옵션정보가 설정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제한정보 필드(315)에 의해 상기 미디어데이터에 대해 설정된 제한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디바이스는 미디어데이터 재생 시 또는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재생 리스트 구성 시 미디어데이터의 상기 헤더 필드(310)의 파싱에 의해 해당 미디어데이터가 스킵 대상의 미디어데이터인지 여부를 일차적으로 식별하고, 만약 스킵 대상인 미디어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한정보와 디바이스의 현재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미디어데이터가 스킵 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이차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만약 상기 제한정보가 상기 현재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스킵하고, 포함하지 않는 경우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스킵정보에 의해 일차적인 판단 후 상기 제한정보에 의한 이차적인 판단 시 상기 제한정보 필드(315)에 어떠한 제한정보도 포함하지 않는 경우 해당 미디어데이터가 스킵정보 해제 시까지 스킵 대상임을 인지하고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스킵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미디어데이터의 재생 순번에서 해당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옵션정보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생하거나 스킵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이하 도 4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재생 모드가 실행될 시 해당 카테고리 내의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재생 리스트 구성 시점에서 옵션정보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옵션정보가 설정된 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재생 리스트에서 제거한 후 희망 미디어데이터로만 이루어진 재생 리스트에 의해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미디어데이터의 다른 재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디바이스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재생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401단계). 이때, 상기 재생 모드에서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은 특정 카테고리 내의 전체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재생이거나, 또는 상기 디바이스가 가지는 모든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재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바이스는 100개의 미디어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A라는 카테고리(A 카테고리)에는 상기 100개의 미디어데이터들 중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분류된 30개의 미디어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100개의 미디어데이터들 전체에 대한 재생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A 카테고리 내의 30개의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 또는 후자에 대응하여 100개의 미디어데이터들 또는 30개의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구성하고 상기 재생 리스트에 의해 정해진 순번대로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재생 모드에서 재생 리스트 구성 시 상기 재생 리스트 내에 포함되는 미디어데이터들 중 스킵정보가 포함된 미디어데이터를 일차적으로 추출한다(403단계). 이때, 상기 디바이스는 파일시스템 또는 미디어데이터의 헤더를 이용하여 옵션정보 영역을 체크할 수 있으며, 상기 403단계에서는 상기 옵션정보 영역에서 스킵 기능 설정 여부를 나타내는 스킵정보 필드에서 상기 스킵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일차적으로 추출하는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메타정보(meta information)를 일시 저장 즉, 버퍼링(buffering)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스킵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데이터가 추출될 시 해당 미디어데이터에 설정된 제한정보를 체크한다(405단계).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일차적으로 추출하여 버퍼링하는 메타정보의 각 미디어데이터들에 대한 제한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파일시스템 또는 미디어데이터의 헤더를 이용하여 옵션정보 영역을 체크할 수 있으며, 상기 405단계에서는 상기 옵션정보 영역에서 제한정보가 설정되는 제한정보 필드에서 상기 제한정보를 추출하여 디바이스의 현재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한정보 체크에 의하여 디바이스의 현재정보를 포함하는 제한정보를 가지는 미디어데이터를 이차적으로 추출한다(407단계). 이때,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이차적으로 추출하는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메타정보를 일시 저장 즉, 버퍼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이차적으로 추출된 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재생 리스트에서 제거한다(409단계). 이때, 상기 재생 리스트에서의 제거는 실제 미디어데이터를 삭제하는 형태가 아닌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재생 리스트 내에서만 삭제하는 형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추출된 미디어데이터가 제거된 재생 리스트를 재구성하고(411단계), 상기 재구성된 재생 리스트에 의해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처리한다(413단계).
한편, 상기 도 1 내지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미디어데이터가 스킵정보 및 제한정보를 모두 충족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한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디바이스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디바이스의 구성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입력부(510)와, 표시부(520)와, 오디오처리부(530)와, 저장부(540) 및 제어부(55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530)는 스피커(SPK, Speaker) 및 마이크(MIC, Microphone)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디바이스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510)는 다양한 숫자 및 문자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신호와, 상기 디바이스의 각 기능들의 설정 및 각 기능들의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55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510)는 상기 디바이스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510)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touchpad), 터치스크린(touchscreen),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keypad) 및 쿼티(QWERTY) 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510)는 미디어데이터의 리스트 화면에서 특정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옵션정보 설정을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5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옵션정보 설정을 위한 입력신호는 미디어데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신호, 옵션 메뉴 활성화를 위한 입력신호, 스킵정보를 설정하는 입력신호, 제한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20)는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 수행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520)는 부팅 화면(boot screen), 대기 화면(idle screen), 메뉴 화면(menu screen), 리스트 화면(list screen), 재생 화면(play screen)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520)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520)로는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520)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520)는 입력과 출력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20)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 기능을 수행할 시 상기 표시부(520)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어데이터의 리스트 화면에서 특정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옵션정보를 터치 입력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20)는 상기 리스트 화면에서 스킵 기능이 설정된 즉, 옵션정보가 설정된 미디어데이터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520)는 미디어데이터 재생에 대한 재생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재생정보는 상기 미디어데이터가 음악데이터인 경우 음악데이터의 재생과 관련된 기능 제어를 위한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미디어데이터가 방송데이터, 영상데이터, 사진데이터 등인 경우 해당 미디어데이터의 재생과 관련된 기능 제어를 위한 정보 및 해당 비디오성분(예컨대, 미디어데이터 재생에 따른 영상, 이미지, 자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530)는 상기 디바이스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상기 스피커(SPK)와, 사용자의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상기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530)는 상기 마이크(MIC) 및 상기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55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55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53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550)로 출력하거나, 상기 제어부(55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530)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성분(예컨대, 미디어데이터 재생에 따른 오디오신호 등)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4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40)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예컨대, 음악데이터, 영상데이터, 방송데이터, 사진데이터 등), 상기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웹 서버, 외부 디바이스, 개인용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및 상기 디바이스의 지원 기능들 중 설정된 해당 기능/메뉴의 바로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540)는 미디어데이터 재생에 필요한 데이터 및 상기 디바이스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예컨대, 옵션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540)는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540)는 재생 모드 운용에 따라 재생되는 미디어데이터에 대하여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옵션정보가 설정된 미디어데이터 추출 시 추출된 해당 미디어데이터에 대하여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540)는 상기 디바이스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부(540)는 상기 디바이스의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40)는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540)는 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RAM 등으로 각각 구성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 또는 두 개의 메모리 예를 들면, MCP(Multi Chip Package)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50)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디바이스 내의 상기 각 구성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50)는 상기 입력부(510)와, 상기 표시부(52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530) 및 상기 저장부(54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550)는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옵션정보 설정 및 상기 옵션정보에 따른 미디어데이터 스킵 기능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50)는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옵션정보를 파일시스템의 제3영역에 추가 구성하거나, 또는 미디어데이터의 포맷 변환에 의하여 미디어데이터의 헤더 영역에 추가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50)는 재생 모드에서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재생 시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에 따라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50)는 특정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의 제한정보에 따라 스킵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50)는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를 체크하여 설정된 제한정보가 만기될 시 해당 미디어데이터의 스킵 기능을 해제하고 일반 미디어데이터로서 처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50)는 해당 미디어데이터의 스킵 기능 해제 시 해당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스킵 기능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파일시스템에 추가 구성된 제3영역에 설정된 정보를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포맷 변환에 의하여 미디어데이터 헤더 영역에 추가 구성된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50)는 재생 모드에서 미디어데이터의 재생 시 파일시스템 레벨에서 해당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제3영역을 체크하여 스킵정보의 유무를 판별한다. 상기 제어부(550)는 해당 미디어데이터가 스킵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제3영역에 설정된 해당 미디어데이터의 제한정보와 디바이스의 현재정보를 비교한다. 만약 상기 제한정보가 상기 현재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하고 다음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재생 과정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50)는 재생 모드에서 미디어데이터의 재생 시 해당 미디어데이터를 파싱하여 헤더필드 내에서 스킵정보의 유무를 판별한다. 상기 제어부(550)는 해당 미디어데이터가 스킵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헤더필드에 설정된 해당 미디어데이터의 제한정보와 디바이스의 현재정보를 비교한다. 만약 상기 제한정보가 상기 현재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하고 다음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재생 과정을 처리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550)는 재생 모드에서 재생 리스트 구성 시 상기 재생 리스트 내에 포함되는 미디어데이터들 중 스킵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일차적으로 추출하고, 스킵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데이터들 중 현재정보를 포함하는 제한정보를 가진 미디어데이터를 이차적으로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50)는 상기 이차적으로 추출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재생 리스트에서 제거하여 재생 리스트를 재구성한다. 상기 제어부(550)는 상기 재구성된 재생 리스트의 미디어데이터들에 의한 재생 과정을 처리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550)는 파일시스템 또는 미디어데이터의 헤더를 통해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미디어데이터가 스킵정보 및 제한정보를 모두 충족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550)는 재생되는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오디오성분 및/또는 비디오성분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50)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덱은 미디어데이터의 비디오성분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미디어데이터의 오디오성분을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550)의 일련의 제어 기능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5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디바이스가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50)는 상기 디바이스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디바이스는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상기 제어부(550)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에 각각 구비되거나, 상기 제어부(550)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와 분리되어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5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상기 디바이스는 그 제공 형태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상기 디바이스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디바이스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디바이스는 미디어데이터의 재생 기능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바이스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 설정 및 미디어데이터의 스킵 기능은 마이크(MIC) 또는 모션센서 등에 의해 변경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에 의해 특정 미디어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미디어데이터에 옵션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데이터 재생 시 특정 미디어데이터에 대한 스킵을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에 의해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미디어데이터의 재생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미디어데이터에 옵션정보를 설정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데이터의 포맷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미디어데이터의 다른 재생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15)

  1.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데이터 재생 모드에서 재생 리스트를 구성하는 과정과,
    재생할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미디어데이터가 옵션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미디어데이터에 대해 설정된 스킵정보가 존재하는지 파일시스템 또는 미디어데이터의 헤더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미디어데이터가 상기 스킵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에 대해 설정된 제한정보를 체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하는 과정은,
    상기 제한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정보가 상기 현재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제한정보에 따라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데이터가 상기 스킵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제한정보가 만기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스킵 기능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킵하는 과정은,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미디어데이터가 스킵정보 및 제한정보를 모두 충족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8.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데이터 재생 모드에서 재생 리스트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재생 리스트 내 미디어데이터들 중 스킵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미디어데이터의 제한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한정보가 디바이스의 현재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한정보에 따라 추출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상기 재생 리스트에서 제거하여 상기 재생 리스트를 재구성 하는 과정과,
    상기 재구성된 재생 리스트에 의해 미디어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9. 디바이스에 있어서,
    미디어데이터의 리스트 화면에서 특정 미디어데이터에 설정된 옵션정보를 표시하고 옵션정보가 설정된 특정 미디어데이터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특정 미디어데이터에 설정된 옵션정보에 따라 해당 미디어데이터의 재생 및 스킵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생 리스트의 재생 순번에 해당하는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미디어데이터가 옵션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데이터에 대해 설정된 스킵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미디어데이터가 상기 스킵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에 대해 설정된 제한정보에 따라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 및 스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한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한정보가 상기 현재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제한정보에 따라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제한정보가 만기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스킵 기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옵션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미디어데이터가 스킵정보 및 제한정보를 모두 충족할 시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재생을 스킵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리스트 내 미디어데이터들 중 스킵정보 및 제한정보의 조건을 만족하는 미디어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미디어데이터가 제거된 재생 리스트의 재구성 및 재구성된 재생 리스트에 의한 미디어데이터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090100623A 2009-10-22 2009-10-22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593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623A KR101593608B1 (ko) 2009-10-22 2009-10-22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623A KR101593608B1 (ko) 2009-10-22 2009-10-22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894A true KR20110043894A (ko) 2011-04-28
KR101593608B1 KR101593608B1 (ko) 2016-02-18

Family

ID=4404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623A KR101593608B1 (ko) 2009-10-22 2009-10-22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6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261A (ko) * 2017-11-28 2022-11-21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옵트아웃 인터스티셜을 이용한 미디어 컬렉션 탐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0267A (ja) * 2004-04-21 2005-11-04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スク装置
JP2007073120A (ja) * 2005-09-06 2007-03-22 Toshiba Corp 情報端末
JP2007129500A (ja) * 2005-11-03 2007-05-24 Usen Corp Cm付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0267A (ja) * 2004-04-21 2005-11-04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スク装置
JP2007073120A (ja) * 2005-09-06 2007-03-22 Toshiba Corp 情報端末
JP2007129500A (ja) * 2005-11-03 2007-05-24 Usen Corp Cm付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261A (ko) * 2017-11-28 2022-11-21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옵트아웃 인터스티셜을 이용한 미디어 컬렉션 탐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608B1 (ko)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510805A (ja) コメント情報の表示および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装置、電子機器、並びに、記憶媒体
US7281214B2 (en) Automatically updating user programmable input sensors to perform user specified functions
KR101841574B1 (ko) 동영상 장면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140344692A1 (en) Auto-Station Tuning
CN101116254B (zh) 具有管理文件和文件夹功能的移动终端
EP3029678A1 (en) Recording method, playing method, device, terminal and system
JP2024502664A (ja) ビデオ生成方法、装置、電子機器および記憶媒体
TW2008166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personal video recorder
RU2615332C2 (ru) Способ, аппарат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виртуального каталога
KR20090029135A (ko) 플레이리스트 편집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재생장치
KR100903070B1 (ko)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US11853353B2 (en) Music pushing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20019604A (ko) 휴대 단말기의 연락처 관리 방법 및 장치
US8600214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videos therein
US20120117197A1 (en) Content auto-discovery
US20080005640A1 (en) Data delivery system,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ility notification method, data writing method, capability notification program, and data writing program
US20080016073A1 (en) Content selection device and content selection program
JP5472960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0661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econd screen experience using video subtitle data
US20070168386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content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KR101593608B1 (ko) 디바이스의 미디어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CN106851376B (zh) 一种同一界面多视频播放的方法、系统及其移动终端
US20150363089A1 (en)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an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120174036A1 (en)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ent reproduc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1257932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