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873A -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 - Google Patents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873A
KR20110043873A KR1020090100589A KR20090100589A KR20110043873A KR 20110043873 A KR20110043873 A KR 20110043873A KR 1020090100589 A KR1020090100589 A KR 1020090100589A KR 20090100589 A KR20090100589 A KR 20090100589A KR 20110043873 A KR20110043873 A KR 20110043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amp
removable
coupling means
coupled
anion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석만
Original Assignee
금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석만 filed Critical 금석만
Priority to KR1020090100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3873A/ko
Publication of KR2011004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이온발생기가 구비되며, 제1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일측에는 상기 제1 결합수단에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엘이디램프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엘이디램프지지부재 및 상기 엘이디램프장착공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주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주 인쇄회로기판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엘이디램프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2 결합수단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엘이디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이온발생과 더불어 엘이디램프로써 조명함으로써, 수명이 길고, 점등속도가 매우 빠르며, 소비전력이 적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착엘이디램프부가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장난 부분만을 교체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불필요한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음이온발생기, 탈착, 엘이디램프, 교체, 분리

Description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Detachable LED lamp having anion generator}
본 발명은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베이스부재가 결합되어 있고, 내측에는 음이온발생기가 배치되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엘이디램프가 구비되어 있는 탈착엘이디램프부를 포함하는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탈착엘이디램프부가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음이온 발생기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부 또는 다수개의 엘이디램프 및 전기회로가 구비되어 있는 탈착엘이디램프부 중의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불필요한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구형 삼파장 형광램프가 보급되었는데, 특히 본체 내측에 안정기, 스위칭트랜지스터, 컨덴서는 물론, 음이온발생기를 구비하고, 일반 전구용 소켓에 끼울 수 있는 것으로서, 음이온이 가진 항균, 악취제거 및 건강증진 등 효과 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형광등에 비해 깜박거림, 어른 거름 및 잡음 등의 현상이 개선된 것으로서, 조도까지도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음이온발생기와 형광램프가 일체로 구성되는 음이온발생 기능을 가지는 상기 전구형 형광램프 또는 삼파장 형광램프에 따르면, 형광램프 또는 음이온발생기 중의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전구형 삼파장 형광램프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나머지 부품이 폐기될 수밖에 없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증가 됨은 물론,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형광램프의 특성상 수명이 짧고, 점등속도가 매우 느리며, 전력이 많이 소비되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음이온발생기 또는 조명램프 중의 어느 하나에만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고장이 발생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조명용 램프가 꾸준히 요구되었다.
그리고, 수명이 길고, 점등속도가 매우 빠르며, 소비전력이 적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조명용 램프가 요구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명이 길고, 점등속도가 매우 빠르며, 전기-광 변환효율이 좋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적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소형화를 실현하기 좋고, 단색 성의 광원 확보 및 시각 인식성이 좋은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탈착엘이디램프부가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들 중의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불필요한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뿐만 아니라, 조명용 램프의 케이스 주위에 발생하던 흑화 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양질의 음이온 발생이 용이한 탈착식 엘이디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엘이디램프는, 베이스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이온발생기가 구비되며, 제1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일측에는 상기 제1 결합수단에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엘이디램프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엘이디램프지지부재 및 상기 엘이디램프장착공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주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주 인쇄회로기판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엘이디램프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2 결합수단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엘이디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결합수단 및 제2 결합수단 중의 어느 하나는 핀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핀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핀결합단자일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2 결합수단이 결함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를 통하여 공급되는 외부전원이 상기 다수개의 엘이디램프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케이스와 탈착엘이디램프부의 엘이디램프지지부재에는 각기 탈착부재 및 탈착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탈착부재가 상기 탈착관통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발생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엘이디램프는 상기 전기회로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회로로부터 전원을 각각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탈착엘이디램프부의 엘이디램프지지부재 전방에는 필터커버, 엘이디램프커버 또는 엘이디램프캡 중의 어느 하나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또는 엘이디램프지지부재 중의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배출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기회로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전압강하시켜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기를 포함하고, 정류된 상기 직류전원은 상기 음이온발생기에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이온발생과 더불어 조명을 하는바, 엘이디램프 자체가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지므로, 수명이 길고, 점등속도가 매우 빠르며, 전기-광 변환효율이 좋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적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충 격성이 우수하고, 소형화를 실현하기 좋고, 단색성의 광원 확보 및 시각 인식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탈착엘이디램프부가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부에 배치되어 있는 음이온발생기 또는 탈착엘이디램프부에 배치되어 있는 엘이디램프가 고장이 나는 경우에는, 이들을 상호 분리시켜 고장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220 Volt의 교류전원으로써 음이온을 발생시키던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전기회로는 220 Volt의 교류전원을 강하된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기를 포함하고 있어, 변환된 낮은 전압의 직류전원을 음이온 발생기에 인가시켜 음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형광램프의 케이스 주위에 발생하던 흑화 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양질의 음이온 발생이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300)를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엘이디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탈착식 엘이디램프의 본체부와 탈착엘이디램프부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탈착엘이디램프부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탈착식 엘이디램프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300)는, 일측에는 베이스부재(110)가 결합되어 있고, 내측에는 음이온발생기(130)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다수개의 엘이디램프(223) 및 전기회로(221)가 구비되어 있는 탈착엘이디램프부(200)를 포함하되, 탈착엘이디램프부(200)가 상기 본체부(1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본체부(100) 또는 탈착엘이디램프부(200)가 고장이 나는 경우에는, 이들을 상호 분리시켜 고장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3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베이스부재(110), 내측에 음이온발생기(130)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120), 일측으로는 음이온이 토출되는 고압선(130a)이 연장 구비되는 음이온발생기(130), 일측면에 다수개의 엘이디램프(223)가 배치되어 있는 엘이디램프지지부재(210), 주 인쇄회로기판(220) 및 일정 공간을 조명할 수 있는 다수개의 엘이디램프(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300)는, 베이스부재(11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이온발생기(130)가 구비되며, 제1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케이 스(120)를 포함하는 본체부(100); 및 일측에는 상기 제1 결합수단에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엘이디램프장착공(213)이 형성되어 있는 엘이디램프지지부재(210) 및 상기 엘이디램프장착공(213)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회로(221)가 구성되어 있는 주 인쇄회로기판(220)을 포함하며, 상기 주 인쇄회로기판(220)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엘이디램프( 22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2 결합수단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엘이디램프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300)의 주요 구성요소를 살펴본다.
여기서, 본체부(100)는, 일단부에는 베이스부재(110)와 결합되고, 제1 케이스(121)와 제2 케이스(122)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케이스(120) 내측에 음이온발생기(130)를 구비한 상태에서, 탈착엘이디램프부(20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본체부(100)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핀결합단자(124a)가 탈착엘이디램프부(200)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단자(222)와 결합됨으로써 물리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전기적으로도 연결된다.
또한, 상기 물리적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제1 케이스(121)의 일측에는 탈착관통공(121a)을 형성시키고, 상기 탈착엘이디램프부(200)를 구성하는 제1 지지부재(211)의 일측에는 탈착부재(211a)를 돌 출 형성시켜, 상기 탈착부재(211a)가 탈착관통공(121a)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관계가 더욱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상기 탈착엘이디램프부(200)를 탈거시키기 위하여서는, 상기의 결합순서와는 반대로 상기 탈착부재(211a)를 탈착관통공(121a)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핀결합단자(124a)로부터 전원단자(222)를 분리시킴으로써 탈거가 달성된다.
그리고, 탈착엘이디램프부(200)는,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엘이디램프장착공(213)을 통하여 다수개의 엘이디램프(220)가 일방향으로 조명을 하도록, 다수개의 엘이디램프(220)가 배치되어 있는 주 인쇄회로기판(220)가 일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주 인쇄회로기판(220)에는 상기 본체부(100)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핀결합단자(124a)에 결합되어, 핀결합단자(124a)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단자(222) 및 상기 다수개의 엘이디램프(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회로(221)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300)에 있어서, 상기 전기회로(22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전압강하시켜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정류된 상기 직류전원은 상기 음이온발생기(130)에 인가됨으로써, 형광램프의 케이스 주위에 발생하던 흑화 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양질의 음이온 발생이 용이해진다.
이때, 상기 주 인쇄회로기판(220)은 상기 제1 지지부재(211)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212)와 상기 제1 지지부재(211)가 이루는 내측의 공간에 배치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이온발생기(130)는 상기 제1 케이스(121)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2 케이스(122)와 제1 케이스(121)가 이루는 내측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 케이스(122)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장관결합공(122a)에 연장관(123)이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음이온발생기(130)로부터 연장 구비되어, 음이온이 토출되는 고압선(130a)이 상기 연장관(123)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연장관(123) 밖으로 일정길이 만큼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20) 또는 엘이디램프지지부재(210) 중의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배출공(H)이 구비되어 있어, 실내의 공기가 쉽게 유입될 수 있어, 상기 주 인쇄회로기판(220) 및 음이온발생기(130)이 고온을 과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양질의 음이온이 다량으로 배출되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체부(100)에 탈착엘이디램프부(20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110)를 통하여 인입되는 외부전원이 엘이디램프(220)에 인가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본체부에 탈착엘이디램프부가 삽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한 본체부에 탈착엘이디램프부가 삽입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한 본체부에 탈착엘이디램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본체부(100)를 상기 탈착엘이디램프부(20 0)와 결합시키기 위하여 우선 탈착부재(211a)와 전원단자(222)가 각기 탈착관통공(121a) 및 핀결합단자(124a)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배치한 다음(도 5참고), 본체부(100)와 탈착엘이디램프부(200)를 상호 근접시켜 밀착 결합시킨다.(도 6 및 도7참고)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를 상기 탈착엘이디램프부(200)와 결합시키면, 탈착부재(211a)가 탈착관통공(121a)에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전원단자(222)가 핀결합단자(124a)에 물리적으로 결합될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부재(110)가 엘이디램프(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300)에 있어서, 전기회로(221), 음이온발생기(130) 및 엘이디램프(223)가 고장났거나, 또는 이들 부품을 점검하고자 하는 때에는, 상기 도 5 내지 도 7에 따른 결합순서의 역순으로 탈거시켜, 부품교체 또는 유지보수를 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탈착엘이디램프부 전방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탈착시키는 것을 살펴본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탈착엘이디램프부 전방에 필터커버를 탈착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결합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결합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2에 도시한 탈착엘이디램프부 전방에 엘이디램프커버를 탈착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결합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결합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탈착엘이디램프부 전방에 엘이디램프캡을 탈착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결합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결합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엘이디램프(300)는, 탈착엘이디램프부(200) 전방에 필터커버(401), 엘이디램프커버(402) 또는 엘이디램프캡(403)를 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커버(401)는 배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나사부(401a)가 제1 지지부재(211) 일단부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커버결합나사부(211b)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엘이디램프커버(402)는 하단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커버결합부(402a)가 제1 지지부재(211) 상단부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커버결합홈(211c)에 나사결합되고, 엘이디램프캡(403)은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캡결합부(403a)가 제1 지지부재(211) 상단부 측방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캡결합홈(211d) 에 록킹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필터커버(401), 엘이디램프커버(402) 또는 엘이디램프캡(403)를 본 발명의 탈착식 엘이디램프(300)를 구성하는 탈착엘이디램프부(200) 전방에 결합시킴으로써, 노래방 등에서 다수의 엘이디램프(223)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고, 전면에 특수 필터처리를 함으로써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다수의 엘이디램프(223)로부터 발산되는 다량의 열에너지가 탈착식 엘이디램프(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엘이디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탈착식 엘이디램프의 본체부와 탈착엘이디램프부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체부와 탈착엘이디램프부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탈착식 엘이디램프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본체부에 탈착엘이디램프부가 삽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본체부에 탈착엘이디램프부가 삽입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한 본체부에 탈착엘이디램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한 탈착엘이디램프부 전방에 필터커버를 탈착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결합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결합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2에 도시한 탈착엘이디램프부 전방에 엘이디램프커버를 탈착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결합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결합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탈착엘이디램프부 전방에 엘이디램프캡을 탈착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결합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결합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부 110 : 베이스부재
120 : 케이스 121 : 제1 케이스
121a : 탈착관통공 122 : 제2 케이스
122a : 연장관결합공 122b : 단자삽입공
123 : 연장관 124 : 보조 인쇄회로기판
124a : 핀결합단자 130 : 음이온발생기
130a : 고압선 200 : 탈착엘이디램프부
210 : 엘이디램프지지부재 211 : 제1 지지부재
211a : 탈착부재 211b : 커버결합나사부
211c : 커버결합홈 211d : 캡결합홈
212 : 제2 지지부재 213 : 엘이디램프장착공
220 : 주 인쇄회로기판 220a : 연장관관통공
221 : 전기회로 222 : 전원단자
223 : 엘이디램프 300 : 탈착식 엘이디램프
401 : 필터커버 401a : 결합나사부
402 : 엘이디램프커버 402a : 커버결합부
403 : 엘이디램프캡 403a : 캡결합부
H : 음이온배출공

Claims (8)

  1. 베이스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이온발생기가 구비되며, 제1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일측에는 상기 제1 결합수단에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엘이디램프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엘이디램프지지부재 및 상기 엘이디램프장착공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주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주 인쇄회로기판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엘이디램프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2 결합수단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엘이디램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
  2. 제 1항에서,
    상기 제1 결합수단 및 제2 결합수단 중의 어느 하나는 핀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핀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핀결합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
  3. 제 1항에서,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2 결합수단이 결함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를 통하여 공급되는 외부전원이 상기 다수개의 엘이디램프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
  4. 제 1항에서,
    상기 본체부의 케이스와 탈착엘이디램프부의 엘이디램프지지부재에는 각기 탈착부재 및 탈착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탈착부재가 상기 탈착관통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
  5. 제 1항에서,
    상기 음이온발생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엘이디램프는 상기 전기회로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회로로부터 전원을 각각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
  6. 제 1항에서,
    상기 탈착엘이디램프부의 엘이디램프지지부재 전방에는 필터커버, 엘이디램프커버 또는 엘이디램프캡 중의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
  7. 제1항에서,
    상기 케이스 또는 엘이디램프지지부재 중의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배출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 이디램프.
  8. 제1항에서, 상기 전기회로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전압강하시켜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기를 포함하고, 정류된 상기 직류전원은 상기 음이온발생기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
KR1020090100589A 2009-10-22 2009-10-22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 KR20110043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589A KR20110043873A (ko) 2009-10-22 2009-10-22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589A KR20110043873A (ko) 2009-10-22 2009-10-22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873A true KR20110043873A (ko) 2011-04-28

Family

ID=4404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589A KR20110043873A (ko) 2009-10-22 2009-10-22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38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325B2 (en) 2014-10-31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ndering method, render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325B2 (en) 2014-10-31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ndering method, render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5473B2 (en) Night light
KR101061246B1 (ko) 소켓 결합형의 led램프
JP4491695B1 (ja) 蛍光灯型led照明管
WO2009035203A1 (en) Led lighting of fluorescent lamp with ballaster
JP2012038711A (ja) Ledランプ及びledランプ用駆動回路
KR20110093540A (ko) Led조명장치
KR20100100169A (ko) 발광 장치
JP5434871B2 (ja) Led蛍光灯器具
US20140247585A1 (en) Semiconductor lighting apparatus
KR101073289B1 (ko) 발광다이오드 형광등
KR20110043873A (ko)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엘이디램프
CN101290104B (zh) Led照明装置
CN102364218B (zh) 一种可直接代替荧光灯使用的led日光灯
TW200835881A (en) LED lamp device capable of directly replacing fluorescence tube
KR20110039749A (ko) 음이온발생기를 가지는 탈착식 형광램프
JP6354265B2 (ja) 照明灯及び照明装置、照明灯の接続方法
CN202327754U (zh) 一种可直接代替荧光灯使用的led日光灯
KR101181341B1 (ko) Led 평판 조명
KR101023852B1 (ko) Led 직관 형광등
KR101051386B1 (ko) Led조명등
KR200425755Y1 (ko) 피엘램프용 조명기구
CN210219471U (zh) 一种led鞋盒灯
CN102620259A (zh) 一种外置恒流驱动电源的led射灯用的灯头和灯座结构
KR200285824Y1 (ko) 형광등기구용 안정기
KR101998157B1 (ko) 방열효과를 향상시킨 플리커저감모듈이 구비된 엘이디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