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546A - 플라스틱 용기, 특히 병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설비를 위한 성형 유닛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용기, 특히 병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설비를 위한 성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546A
KR20110043546A KR1020107029659A KR20107029659A KR20110043546A KR 20110043546 A KR20110043546 A KR 20110043546A KR 1020107029659 A KR1020107029659 A KR 1020107029659A KR 20107029659 A KR20107029659 A KR 20107029659A KR 20110043546 A KR20110043546 A KR 20110043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s
slider
blow molding
mold
paris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우리지오 보르가띠
마씨모 모로빈지
피오렌조 파리넬로
에밀리오 레
가브리엘레 스똑끼
Original Assignee
사크미 코오퍼레이티바 메카니치 이몰라 쏘시에타 코오퍼레이티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크미 코오퍼레이티바 메카니치 이몰라 쏘시에타 코오퍼레이티바 filed Critical 사크미 코오퍼레이티바 메카니치 이몰라 쏘시에타 코오퍼레이티바
Publication of KR20110043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29C49/10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using mechanical means for prestretching
    • B29C49/12Stretch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56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mould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29C2049/566Locking means
    • B29C2049/5661Mechanical
    • B29C2049/5662La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6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pivo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29C49/10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using mechanical means for prestretching
    • B29C49/12Stretching rods
    • B29C49/1206Stretching rods using at least two stretching rods for stretching different parts of the 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29C49/10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using mechanical means for prestretching
    • B29C49/122Drive means therefor
    • B29C49/123Electric drives, e.g. linear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29C49/30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B29C49/36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rotatable about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29C49/42069Means explicitly adapted for transporting blown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29C49/42073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29C49/42073Grippers
    • B29C49/42075Grippers with pivoting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29C49/42073Grippers
    • B29C49/42081Grippers adjustable for different preform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29C49/42093Transporting apparatus, e.g. slides, wheels or conveyors
    • B29C49/42095Rotating wheels or st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29C49/42093Transporting apparatus, e.g. slides, wheels or conveyors
    • B29C49/42105Transporting apparatus, e.g. slides, wheels or conveyors for discontinuous or batch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29C49/42113Means for manipulating the objects' position or orientation
    • B29C49/42121Changing the center-center distance
    • B29C49/42122Adapting to blow-mould cavity center-center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36Drive means
    • B29C49/42362Electric drive means, e.g. servo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16Conve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각각의 패리슨들(3)로부터 플라스틱 용기(2), 특히 병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설비를 위한 성형 유닛은 각 용기(2)를 중공 성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동(19)을 가지는 교체가능한 금형(16), 및 소정 선(24)을 따라 이동하여 각각의 패리슨들(3)에 맞물리고 패리슨들(3) 자체를 축방향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신연 봉들(33)을 포함하며, 신연 봉들(33)은 정해진 때에 성형 유닛 상에 장착된 금형(16)의 성형 공동들(19)의 수 및/또는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용기, 특히 병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설비를 위한 성형 유닛{MOULDING UNIT FOR A PLANT FOR BLOW-MOULDING PLASTIC CONTAINERS, PARTICULARLY BOTTLES}
본 발명은 플라스틱 용기, 특히 병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설비를 위한 성형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병입(bottling) 산업에 있어서, 플라스틱 병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설비는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성형 유닛을 구비하는 중공 성형 휠을 포함하며, 상기 성형 유닛은 이 종축 둘레에서 중공 성형 휠에 의해 원료를 공급받고, 각각의 패리슨(parison)으로부터 병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동을 가지는 교체가능한 금형을 구비한다.
또한 성형 유닛은 교체가능한 신연 유닛을 포함하는데, 이 신연 유닛은 정해진 시간에 성형 유닛 상에 장착된 금형의 성형 공동의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는 신연 봉들로서, 그 각각이 소정의 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각 패리슨과 맞물리고 그 패리슨 자체를 축방향으로 변형시키는, 신연 봉들을 포함한다.
상술한 유형의 종래의 성형 유닛들은 매번 금형을 교체하는 것, 또한 신연 유닛을 교체하는 것이 담당자에게 매우 어려운 일이며 결과적으로 비교적 긴 설비 셋업 시간을 소요한다는 사실에서 주로 기인하는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진다.
프랑스 공개 특허 공보 FR2795994호에는 신연 유닛이 하나 또는 대안적으로 두 개의 금형 공동을 구비한 금형에 맞추어 조정될 수 있게 하는 기술적 해결책을 공지하고 있다. 이 해결책에서는, 신연 봉들이 패리슨들을 신연시키는 것에 의해 패리슨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하여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외에, 금형에 정렬되는 식으로 횡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 해결책은 봉 위치가 올바른 방식으로 횡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신연 유닛을 지나치게 복잡하게 만드는 단점을 가진다.
더욱이, 이 해결책은 중공 성형 실린더를 (다른 수의 패리슨들의 신연을 가능하게 하도록) 다른 수의 성형 공동을 가지는 것으로 교체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이 없고 실시하기에 간단하고 저렴한 플라스틱 용기, 특히 병을 제조하기 위한 중공 성형 설비를 위한 성형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과 같은 플라스틱 용기, 특히 병을 제조하기 위한 중공 성형 설비를 위한 성형 유닛을 제공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각각의 패리슨들로부터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중공 성형 유닛으로서,
- 각 용기를 중공 성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동을 가지는 금형으로서, 다른 수의 성형 공동을 가지는 다른 금형으로 교체될 수 있는 금형;
- 장착 프레임;
- 장착 프레임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성형 공동 내에 수용된 각각의 패리슨들에 맞물려 종방향으로 변형시키도록 봉들 자체가 따라서 연장하는 종선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두 개의 신연 봉들;
- 신연 봉들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장착 슬라이더로서, 장착 프레임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장착 슬라이더에 결합된 신연 봉들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는 장착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중공 성형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 유닛은 또한
- 적어도 두 개의 봉들의 부분 조립체를 상기 부분 조립체가 패리슨들과 간섭되지 않는 상승 위치에서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 및
- 슬라이더가 상기 부분 조립체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는 상태로 하강 작동 위치에 위치된 나머지 봉들을 슬라이더에 연결하기 위한 선택적 결합 수단을 복합적으로 포함한다.
이는 특히 효과적인 방식으로 (다른 수의 성형 공동을 구비한 성형 유닛들을 이용하여) 다른 크기들의 용기들이 중공 성형될 수 있게 하고, 교체 도중에 성형 유닛(및 특히 신연 유닛)을 조정하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사실상,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되지 않을 신연 봉들은 비 간섭적인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사용될 신연 봉들만 중공 성형될 용기들의 선택된 크기에 적당한 구성으로 설정된다.
특히, 종선은 수직이며, 패리슨들을 향한 종방향 이동의 방향은 하향 이동이고 패리슨들로부터 멀어지는 종방향 이동의 방향은 상향 이동이다.
성형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선을 따라 신연 봉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단일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수단은 신연 봉들을 액추에이터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결합 수단은 또한
- 슬라이더에 의해 한정되고, 하강 작동 위치에 위치된 봉들의 상측 단부의 일부분(특히, 돌출부 또는 확대부)과 상호작용하여 봉들이 플레이트에 대해 패리슨들에 더 가까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 및
- 봉들의 부분 조립체를 고정하고 봉들이 패리슨으로부터 멀리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봉들의 상측 단부 상에서 작동하기 위하여 슬라이더에 결합될 수 있는 잠금 요소를 복합적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요소는 적어도 연속적인 돌기들과 오목부들을 형성하도록 된 형상을 가지며, 부분 조립체의 봉들과 오목부들이 종방향으로 정렬되고 돌기들이 나머지 봉들과 종방향으로 정렬되어 그것들을 상부에 유지하도록 슬라이더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게 구성된 플레이트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는 중앙부의 양측에 두 개의 다른 연속적인 돌기들과 오목부들을 형성하도록 된 형상을 가진다.
이는 교체 작업 도중에 성형 유닛을 조정하는 것이 더 쉽고 더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고정 수단은 그 수가 봉들의 수와 동일하고, 봉들의 상측 단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여 봉들을 프레임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탄성 잠금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는 신연 봉들(또는 오히려, 사용되지 않을 신연 봉들)이 매우 용이하게 그리고 작업자에 대한 위험 없이, 사다리를 이용할 필요도 없이 그렇지만 어떤 조작자에 의해서도 팔이 닿을 수 있는 높이 내에 있는 봉들의 간단한 조작부들에 의해 상승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단일 성형 공동을 필요로 하는 크기로부터 두 개의 성형 공동들을 필요로 하는 크기로 교체할 때,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중공 성형 유닛은 세 개의 신연 봉들을 포함하며, 그 중 둘은 제1 봉 유닛을 형성하고 세 번째 것은 제2 봉 유닛을 형성하며, 봉들의 부분 조립체는 교대로 제1 봉 유닛 또는 제2 봉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성형 유닛은 프레임과 일체이고 금형의 공동으로 불어넣어질 가압된 유체원에 연결되는 중공 성형 노즐을 포함한다. 노즐은 금형과 신연 봉 장착 프레임 사이에 개재된다.
바람직하게는, 노즐의 상측 벽은 부분 조립체의 신연 봉들의 하측 단부를 잠가 신연 봉들이 패리슨들을 향해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소를 구성한다.
이는 중공 성형 유닛의 강도와 안전성을 더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성형 유닛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패리슨들로부터 플라스틱 용기(특히, 병)를 중공 성형하기 위한 중공 성형 라인(즉, 중공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패리슨들로부터 플라스틱 용기를 중공 성형하기 위한 설비를 한 크기의 용기를 제조하는 것으로부터 다른 크기의 용기를 제조하는 것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 각각의 용기를 중공 성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동을 가지는 제1 금형을 다른 수의 성형 공동을 가지는 제2 금형으로 교체하는 단계; 및
- 장착 프레임에 결합되게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신연 봉들로서, 적어도 하나의 성형 공동 내에 수용된 상응하는 패리슨들(3)에 맞물리려 종방향으로 신연시키도록 봉들이 따라서 연장하는 종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신연 봉들, 신연 봉들에 결합되게 구성되는 장착 슬라이더로서, 프레임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장착 슬라이더에 결합된 신연 봉들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는 장착 슬라이더, 및 프레임과 일체이고 금형 공동들의 수와 동일한 수의 통로를 통해 금형 공동으로 불어넣어질 가압된 유체원에 연결되는 중공 성형 노즐을 가지는 신연 유닛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연 유닛을 조정하는 단계가
- 봉들을 슬라이더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 제1 금형의 성형 공동들에 정렬된 봉들을 패리슨들로부터 멀리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봉들의 상측 단부들을 봉들이 패리슨들과 간섭되지 않는 상승 위치에서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
- 중공 성형 노즐을 제2 금형의 공동들의 수와 동일한 수의 유체 통로를 가지는 다른 중공 성형 노즐로 교체하는 단계;
- 제2 금형의 성형 공동들에 정렬된 신연 봉들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고 이들을 하강 작동 위치까지 패리슨들을 향해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 슬라이더가 상승 위치에 위치된 봉들에 대해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게 한 상태에서 상기 하강 위치에 위치된 봉들을 선택적으로 슬라이더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신연 봉들이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신연 봉들의 상측 단부들은 슬라이더에 위치된다.
또한, 신연 봉들은 복합적인 상향 및 회전 운동에 의해 장착 프레임에 고정된다.
이하, 바람직하고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명료함을 위해 일부분을 잘라내어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설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명료함을 위해 일부분을 잘라내어서 도시한, 도 1의 설비의 제1 상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명료함을 위해 일부분을 잘라내어서 도시한, 도 2에서 제1 상세부가 두 개의 다른 작동 상태에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명료함을 위해 일부분을 잘라내어서 도시한, 도 3에서 일 상세부가 네 개의 다른 작동 상태에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명료함을 위해 일부분을 잘라내어서 도시한, 도 2에서 제2 상세부가 두 개의 다른 작동 상태에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명료함을 위해 일부분을 잘라내어서 도시한, 도 2에서 제3 상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명료함을 위해 일부분을 잘라내어서 도시한, 도 2에서 제4 상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명료함을 위해 일부분을 잘라내어서 도시한, 도 1의 설비의 제2 상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명료함을 위해 일부분을 잘라내어서 도시한, 도 8의 상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명료함을 위해 일부분을 잘라내어서 도시한, 도 8과 도 9의 상세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b)의 상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11의 상세부에서 신연 유닛이 다른 작동 상태로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의 a)의 상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a는 도 12의 상세부에서 신연 유닛이 다른 작동 상태로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신연 봉 잠금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상세부(A)를 확대하고 일부분을 잘라내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 1은, 그 전체로서, 외부에 나사가 형성된 개구단(5)을 가지는 가늘고 긴 컵 형상의 몸체(4)와 몸체(4) 자체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하는 환형의 목부(6)를 포함하는 공지된 유형(도 5)의 패리슨(3)으로부터 플라스틱 용기, 특히 이 경우에서는 플라스틱 병(2)(도 9)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설비를 나타낸다.
설비(1)는 병(2)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중공 성형기(7), 패리슨들(3)을 성형기(7)로 공급하기 위한 라인(8), 및 병들(2)을 성형기(7)로부터 일반 병입기(10)로 공급하기 위한 라인(9)을 포함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기(7)는 도 1과 도 2의 도시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직각인 종축(12)을 중심으로 (도 1과 도 2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중공 성형 휠(11)을 포함한다. 휠은 제1과 제2 이송 스테이션(13, 14)에서 각각 라인들(8, 9)과 연결되고; 휠(11)의 가장자리를 빙 둘러 장착되고, 소정 간격에 따라 축(12)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되며, 휠(11)에 의해 축(1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경로(P)를 따라 스테이션들(13, 14)을 통과하여 진행되는 다수의 성형 유닛(15)을 구비한다.
각 유닛(15)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반쪽 금형(17), 즉 그 각각이 휠(11)에 힌지 결합되고 구동 장치(미도시)의 작용에 의해 두 개의 성형 공동(19)을 개방하기 위한 위치[도 3의 a)]와 폐쇄하기 위한 위치[도 3의 b)] 사이에서 축(12)에 평행한 실질적으로 수직인 선회축(18)을 중심으로 휠(11)에 대해 회전하는 두 개의 반쪽 금형(17)을 포함하는 교체가능한 금형(16)을 포함하며; 각 공동(19)은 병(2)의 형상 및 축(18)에 평행한 종축(19a)을 가지고, 공동의 상단에 있는 패리슨(3)의 목부(6)보다 직경이 작은 구멍에서 외부로 개방되며, 공동(19) 내부의 패리슨(3)에 압축 공기를 불어넣어 각 병(2)을 성형하도록 구성된 도시되지는 않은 공지된 유형의 공압 장치와 함께 작동한다.
두 개의 반쪽 금형(17)은 그것들이 경로(P)에 실질적으로 접하는 폐쇄 평면(20)에서 폐쇄되며, 축(12)에 평행한 종축(23)을 가지고, 수직선(24)을 따라 두 개의 반쪽 금형(17) 중에서 하나(여기서는 도면 부호 17a로 표시)를 통과하여 연장하고, 반쪽 금형(17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축(23) 자체를 중심으로 반쪽 금형(17a)에 대해 회전되는 원통형 봉(22)을 포함하는 잠금 장치(21)에 의해 제자리에 잠기는 식으로 위치 정렬된다.
봉(22)은 축(23)에 평행한 평평한 면에 의해 제한되고, 축(23)에 동축적으로 장착되고 축(23) 자체로부터 외측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아암(26, 27)을 포함하는 로커 아암(25)에 맞춰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부(22a)를 포함한다.
또한 잠금 장치(21)는 선(24)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으로 길게 이루어지고, 다른 반쪽 금형(17)(여기서는 도면 부호 17b로 표시)에 고정되는 래치(28)를 포함하며, 래치(28)는 또한 선(24)을 따라 래치(28) 상에 형성되어 언더컷부(22a)를 수용하고 유지하는 오목부(29)를 가진다.
유닛(15)이 스테이션(13)으로부터 스테이션(14)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두 개의 반쪽 금형(17a, 17b)은 폐쇄 위치에 있으며, 아암(26)과 반쪽 금형(17a)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30)이 봉(22)과 래치(28)를 언더컷부(22a)가 오목부(29)에 맞물려 금형(16)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상적으로 잠긴 위치[도 4의 a)]에 유지시키고 있다.
유닛(15)이 스테이션(14)으로부터 스테이션(13)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아암(27)에 장착되는 태핏 롤러(31)가 축(23) 둘레에서의 로커 아암(25)의 각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캠(미도시)에 물리는 것에 의해 언더컷부(22a)가 오목부(29)에서 이탈되어 두 개의 반쪽 금형(17a, 17b)이 개방 위치로 이동[도 4의 c)와 도 4의 d)]할 수 있게 되는 해제 위치[도 4의 b)]까지 봉(22)이 스프링(30)의 작용에 대항하여 이동된다.
위와 관련하여, 두 개의 반쪽 금형(17a, 17b)이 금형(16)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다른 각도들을 통해 서로에 대해 이동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경로(P)의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반쪽 금형(17), 즉 반쪽 금형(17b)의 이동 각도는 경로(P)의 내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반쪽 금형(17), 즉 반쪽 금형(17a)의 이동 각도보다 크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닛(15)은 또한 금형(16) 위에 장착되고,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서로 그리고 (특히 수직선인) 선(24)에 평행한 세 개의 신연 봉들(33)을 포함하는 신연 유닛(32)을 포함하며, 세 개의 신연 봉 중 두 개(여기서는 도면 부호 33a로 표시)는 공동들(19)과 동축인 위치에 장착되고 나머지(여기서는 도면 부호 33b로 표시)는 봉들(33a) 사이에서 연장한다.
봉들(33a, 33b)은 휠(11)에 고정된 (신연 봉들을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장착 브라켓(34)과, 리드 너트와 리드 스크류 메커니즘에 의해 브라켓(34)에 고정된 전기 모터(37)의 출력 샤프트(36)에 결합되는 장착 플레이트(35) 둘 다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반 고정 스크류들(미도시)에 의해 선(24)을 따라 브라켓(34)나 플레이트(35) 상에서 선택적으로 잠긴다.
특히 플레이트(35)가 신연 봉들(33)이 연장하는 종선에서 이동할 수 있는(즉, 특히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더(35)를 구성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들(16), 즉 두 개의 성형 공동(19)을 구비한 금형들은 휠(11) 상에 장착되고, 봉(33b)은 브라켓(34) 상에서 축방향으로 잠기며, 봉들(33a)은 플레이트(35) 상에서 축방향으로 잠기고, 모터(37)에 의해 봉들(33a)이 각 패리슨(3)의 외부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각각의 상승 위치[도 5의 a)]와 봉들(33a)이 패리슨들을 선(24)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신하도록 각 패리슨(3)과 맞물리는 각각의 하강 위치(미도시) 사이에서 선(24)을 따라 구동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들(16)이 크기가 큰 병(2)을 성형하기 위한 하나의 중앙 성형 공동을 가지는 금형들(미도시)로 대체되면, 봉들(33a)은 브라켓(34) 상에서 축방향으로 잠기고 봉(33b)은 플레이트(25) 상에서 축방향으로 잠기고 모터(37)에 의해 봉(33b)이 각 패리슨(3)의 외부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상승 위치[도 5의 b)]와 봉(33b)이 패리슨을 선(24)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신하도록 각 패리슨(3)과 맞물리는 하강 위치(미도시) 사이에서 선(24)을 따라 구동된다.
상기로부터 중공 성형 유닛들(15)의 금형들을 교체함으로써 관련된 신연 유닛들(32)을 교체할 필요가 없어지고 그러므로 셋업 시간이 비교적 짧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휠(11)이 금형들(16), 두 개의 성형 공동들(19)을 구비한 금형들을 장착하고 있으면 봉(33b)은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고, 금형들(16)이 하나의 중앙 성형 공동을 구비한 금형들(미도시)로 교체되면 봉들(33a)은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신연 유닛(32)에 대해서는, 도 5를 다시 참조하되 도 11 내지 도 14를 특별히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적어도 두 개의 신연 봉들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신연 봉들의 수는 (중공 성형될 다른 용기 크기들을 위한) 성형 유닛에 사용될 수 있는 금형의 공동들에 의해 정해지는 별도의 축들의 수와 동일하다.
신연 봉들(33)은 장착 프레임(34)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성형 공동(19) 내에 수용된 각각의 패리슨들(3)에 맞물려 종방향으로 변형시키도록 봉들 자체가 따라서 연장하는 종선(24)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장착 슬라이더(35)는 신연 봉들(33)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장착 프레임(34)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특히 슬라이더(35)는 슬라이더에 결합된 신연 봉들(33)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37)에 연결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더(35)는 신연 봉들(33)의 수와 동일한 수의 통공들을 종방향으로 구비한다(특히, 그것은 세 개의 통공들을 구비한다).
통공들 각각에서, 슬라이더(35)는 또한 봉들(33)의 상측 단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봉들이 하강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봉들이 슬라이더(35)에 대해 패리슨들(3)에 더 가까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즉, 수직으로 하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351)(또는 다른 임의의 제한 요소)을 가진다.
상술한 바를 고려하면, 각 로드(33)가 그 상측 단부에 슬라이더(35)의 스톱(351)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고무로 만들어지는 탄성 요소도 구비한) 돌출부 또는 확장부(331)를 가진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성형 유닛은 또한 봉들(33)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슬라이더(35)에 결합될 수 있는 잠금 요소(352)도 가지며; 잠금 요소(352)는 봉들(33)이 다른 봉들(33)을 제약하지 않으면서 패리슨(3)으로부터 멀리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즉, 봉(33)이 슬라이더(35)에 대해 종방향으로 상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봉들의 상측 단부에서 작동하며; 이렇게 하여, 슬라이더(35)는 나머지 봉들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으며 단지 스톱들(351)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 프레임(34)은 봉들(33)의 상측 단부들을 수용하고 프레임(34)에 (즉, 슬라이더(35) 위에, 일반적으로는 중공 성형기의 지지 베이스로부터 이 미터 이상의 높이에 위치되는 브라켓(341)에) 고정된 상태로 상승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특히, 봉들(33)의 수와 동일한 수의) 훅킹 슬롯(미도시) 또는 공동을 형성하는 (바람직하게는 브라켓 같은 형상을 가지는) 부분(341)을 포함한다.
각 봉(33)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봉들(33)과 별도로 프레임(즉, 프레임(34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성형 유닛은 봉들(33)의 부분 조립체를 패리슨들(3)과 간섭되지 않는 상승된 위치에서 프레임(34)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수단은 봉들의 상측 단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여 봉들을 프레임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봉들(33)의 수와 동일한 수의 탄성 잠금 요소들(미도시, 특히 훅킹 공동들에 위치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요소들은 봉들을 동시에 들어올리고 돌리는 것에 의해 신연 봉들(33)이 프레임(34)(즉, 브라켓(341)의 훅킹 슬롯들)에 걸릴 수 있게 하는 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슬라이더(35)와 잠금 요소(352)는 하강 작동 위치에 위치된 나머지 봉들을 슬라이더(35)에 연결하기 위한(이에 따라 액추에이터(37)에 연결하기 위한) 선택적 결합 수단을 구성하여, 부분 조립체의 봉들에 대해 슬라이더(35)가 자유롭게 활주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요소(352)는 플레이트 형태이며,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352)를 슬라이더(35)에 형성된 구멍(또는 틈)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35)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352)는 결합을 더 확고하게 하도록 억지 끼워 맞춤으로 슬라이더(35)의 틈에 끼워진다.
플레이트(352)는 적어도 연속적인 돌기(353)와 오목부(354)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형상을 가지며, 연속적인 돌기(353)와 오목부(354)는 플레이트(352)가 슬라이더(35)의 틈에 끼워지면 오목부들(354)이 부분 조립체의 봉들(33)(즉, 비 간섭적인 상승 위치에서 프레임(34)에 고정된 것들)과 종방향으로 정렬되고 돌기들(353)은 나머지 봉들(즉, 하강 위치에 있는 것들)과 종방향으로 정렬되어 그것들을 상부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플레이트(352)를 슬라이더(35)에 결합한다는 것은 돌기들(353)이 각 로드(33)의 상측 단부를 누르기 때문에 액추에이터(37)에 의해 슬라이더가 하방으로 구동되면 하강 작동 위치에 있는 봉들(33)이 마치 슬라이더와 하나인 것처럼 밀려간다(또는 끌려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상승 위치에 있는 봉들(33)은 플레이트(352)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따라서 슬라이더(35)는 수직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그 통공과 함께) 슬라이더(35)의 이동 도중에 이동하지 않는 봉들을 위한 안내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352)는 중앙부(355)의 양측에 두 개의 다른 연속적인 돌기들과 오목부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형상을 가진다.
특히,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352)는 다음의 것들을 형성하도록 된 형상을 가진다.
- (병들을 한 쌍씩 제조하는 금형의 한 쌍의 공동에 수용되는 한 쌍의 패리슨을 신연하도록 구성된 봉들(33a)을 잠그는) 두 개의 돌기(353) 사이에 개재되는 중앙 오목부(354)를 포함하는 제1 연속부; 그리고
- (병들을 하나씩의 제조하는 금형의 공동에 수용되는 패리슨을 신연하도록 구성된 봉(33b)을 잠그는) 두 개의 오목부(354) 사이에 개재되는 중앙 오목부(354)를 포함하는 제2 연속부.
이는 중공 성형되는 용기 크기들 둘 다에 대하여 동일한 플레이트(352)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한 크기에서 다른 크기로 교체하면, 플레이트(352)는 간단히 빼내지고 180도 돌려지고 다시 슬라이더(35)의 틈에 끼워진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성형 유닛은 세 개의 신연 봉들(33)을 포함하는데 그 중 두 개는 제1 봉 유닛(33a)을 형성하고 세 번째 것은 제2 봉 유닛(33b)을 형성하며, (상승 위치에서 프레임에 걸리는) 봉들의 부분 조립체는 교대로 제1 봉 유닛(33a) 또는 제2 봉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성형 유닛은 프레임(34)과 일체이고 금형(16)의 공동(19)으로 불어넣어질 가압된 유체원(일반적인 유형이고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중공 성형 노즐(400)을 포함한다.
노즐(400)은 공동으로 불어넣어질 유체를 위한 하나 이상의 통로를 형성하는데, 노즐(400) 내의 통로는 그 수가 금형(16) 공동(19)의 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노즐의 상측 벽은 부분 조립체의 신연 봉들(33)(즉, 패리슨들(3)과 비 간섭적인 상승 위치에 있는 것들)의 하측 단부를 잠가 신연 봉들이 패리슨들(3)을 향해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소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각각의 패리슨들(3)로부터 플라스틱 용기들(2)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성형 유닛을 포함하는 중공 성형 라인(즉, 중공 성형기)을 제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패리슨들(3)로부터 플라스틱 용기들(2)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설비를 한 크기의 용기를 제조하는 것으로부터 다른 크기의 용기를 제조하는 것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은 성형 유닛(즉, 각 패리슨(3)으로부터 플라스틱 용기(2)를 중공 성형하기 위한 라인)을 한 크기의 용기를 제조하거나 중공 성형하는 것(신연하고 나서 불어넣는 것)으로부터 다른 크기의 용기를 제조하는 것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 즉
- 각각의 용기를 중공 성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동을 가지는 제1 금형을 다른 수의 성형 공동을 가지는 제2 금형으로 교체하는 단계;
- 장착 프레임(34)에 결합되게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신연 봉들(33)로서, 적어도 하나의 성형 공동(19) 내에 수용된 상응하는 패리슨들(3)에 맞물리려 종방향으로 신연시키도록 봉들이 따라서 연장하는 종선(2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신연 봉들, 신연 봉들(33)에 결합되게 구성되는 장착 슬라이더(35)로서, 프레임(34)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장착 슬라이더(35)에 결합된 신연 봉들(33)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액추에이터(37)에 연결되는 장착 슬라이더, 및 프레임(34)과 일체이고 금형(16) 공동들(19)의 수와 동일한 수의 통로를 통해 금형(16) 공동(19)으로 불어넣어질 가압된 유체원에 연결되는 중공 성형 노즐을 가지는 신연 유닛(32)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연 유닛을 조정하는 단계는 다음의 단계들, 즉
-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352)를 슬라이드(35)의 틈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에 의해) 봉들(33)을 슬라이더(35)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 제1 금형의 성형 공동들(19)에 정렬된 봉들(33)(즉, 상술한 부분 조립체의 봉들)을 패리슨들로부터 멀리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고(즉, 봉들을 상승시키고), 상기 봉들의 상측 단부들을 봉들이 패리슨들(3)과 간섭되지 않는 상승 위치에서 프레임(34)에 고정시키는 단계;
- 중공 성형 노즐(400)을 제2 금형(16)의 공동들(19)의 수와 동일한 수의 유체 통로를 가지는 다른 중공 성형 노즐로 교체하는 단계;
- 제2 금형의 성형 공동들에 정렬된 신연 봉들(33)을 프레임(34)으로부터 분리하고 이들을 하강 작동 위치까지 패리슨들(3)을 향해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 슬라이더(35)가 상승 위치에 위치된 봉들에 대해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게 한 상태에서 상기 하강 위치에 위치된 봉들(33)을 선택적으로 슬라이더(35)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신연 봉들(33)이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신연 봉들의 상측 단부들은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35)에 위치된다. 즉 각각의 상측 단부가 슬라이더(35)에 형성된 틈에 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신연 봉들(33)은 성형 유닛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봉들의 복합적인 상향 및 회전 이동에 의해 장착 프레임(34)에 (특히 브라켓(341)에) 고정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급 라인(8)은 패리슨들(3)이 만들어지는 플라스틱 재료를 그 유리 전이 온도보다 큰 온도까지 열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가열 장치(38)와, 이송 스테이션(40)에서 장치(38)에 연결되고 스테이션(13)에서 중공 성형 휠(11)에 연결되는 이송 휠(39)을 포함한다.
가열 장치(38)는 무한 체인 컨베이어(41)를 포함하는데, 이 컨베이어는 선(24)에 평행한 각각의 종축(42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두 개의 풀리(42)(도 1과 도 2에서는 하나만이 도시됨) 둘레로 배치되고, 도시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일반적인 오븐을 통과하여 연장하고, 컨베이어(41)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고 환형 경로(S)를 따라 컨베이어(41) 자체에 의해 전진되는 다수의 픽업 및 반송 부재(43)를 장착하고 있다.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재(43)는 컨베이어(41)에 연결되고, 선(24)을 따라 연장하고, 캠(46)에서 태핏 롤러(45)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올바른 위치에서 유지되며, 그리고 선(24)에 평행한 종축(47a)을 갖는 각각의 픽업 봉(47)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맞물리는 튜브형 안내 요소(44)를 포함한다.
봉(47)은 축(47a)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요소(4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봉(47)의 하측 단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하우징들(49)에 설치되고, 선(24)에 대해 횡방향으로 각각의 하우징들(49) 내부에 장착되는 각각의 스프링들(50)의 미는 작용에 의해 각각의 하우징들(49)로부터 외측으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볼(48)을 구비한다.
봉(47)은 캠(52)과 접촉되게 위치된 태핏 롤러(51)의 미는 작용에 의해, 봉(47)이 각 패리슨(3) 내부에서 연장하여 볼들(48)이 각각의 스프링들(50)의 미는 작용 하에서 패리슨(3)을 붙잡게 하는 하강 위치(미도시)와 봉(47)이 패리슨(3)을 분리하는 상승 위치(도 6) 사이에서 선(2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부재(43)는 축(47a)과 동축적으로 요소(44)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패리슨(3)의 단부(5)와 접촉되고, 요소(44)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부(5) 자체의 크기 및/또는 형상에 따라 교체될 수 있는 제한 스톱 블록(44a)을 더 포함한다.
도 2와 도 7을 참조하면, 휠(39)은 선(24)에 평행한 실질적으로 수직인 종축(54)을 중심으로 연속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드럼(53)과; 드럼(53)의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되고 드럼(53)으로부터 외측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드럼(53) 자체에 의해 축(54) 둘레에서 그리고 스테이션들(13, 40)을 통과하여 전진되는 다수의 픽업 및 반송 유닛(55)(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여섯 개의 픽업 및 반송 유닛들(55))을 포함한다.
각 유닛(55)은 드럼(53)에 힌지 결합되어 선(24)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회축(57)을 중심으로 드럼(53) 자체에 대해 회전하고, 축(57) 자체를 중심으로 한 로커 아암(56)의 각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캠(60)에 접촉되는 태핏 롤러(59)를 그 제1 아암(58)으로서 구비하는 지지 로커 아암(56)을 포함한다.
로커 아암(56)은 또한 슬라이더(62)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맞물리는 가늘고 긴 제2 아암(61)과 픽업 유닛(65)을 포함하는데; 슬라이더(62)는 아암(61)에 따른 슬라이더(62)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캠(64)에 접촉되는 태핏 롤러(63)를 구비하고, 아암의 자유 단부를 지지하며, 아암(61) 자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픽업 유닛(65)은 슬라이더(62)에 힌지 결합되어 이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62)에 장착된 전기 모터(67)의 작용 하에서 선(24)에 평행한 선회축(68)을 중심으로 슬라이더(62)에 대해 회전하는 로커 아암(66)을 포함한다.
로커 아암(66)은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아암(69, 70)을 가진다. 아암(69)은 포크 형상을 가지며, 선(24)에 평행한 각각의 선회축들(73)을 중심으로 각 패리슨(3)을 방출하는 위치(미도시)와 패리슨을 클램핑하는 위치(도 7) 사이에서 왔다 갔다 하는 두 개의 아암(72)을 포함하고 아암들(72)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74)이 보통 때는 아암들(72)이 패리슨(3)을 목부(6) 위에서 붙잡는 클램핑 위치에 아암들(72)을 유지하게 구성되는 픽업 요소(71)를 장착하고 있다.
아암(70)은 전제적으로 요소(71)와 동등하며, 서로 평행하고 나란히 위치되고, 요소(71)의 오목부와 반대쪽을 향하는 오목부들을 가지고, 한 금형(16)의 두 개의 성형 공동들(19)의 종축들(19a) 사이의 거리 D2와 동일한 거리 D1 만큼 서로 이격되고 선(24)에 평행한 각각의 종축들(75a)을 더 가지는 두 개의 픽업 요소(75)를 장착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관련하여,
각 금형(16)의 성형 공동들(19)의 수에 따라, 픽업 요소들(71, 75)은 각각의 전기 모터들(67)에 의해 픽업 요소들(71, 75)이 휠(39)의 외측을 향해 위치 정렬되는 각각의 작동 위치들과 픽업 요소들(71, 75)이 휠(39)의 내측을 향해 위치 정렬되는 각각의 정지 위치들 사이에서 각각의 축들(68)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위치 정렬되고;
각각의 축들(57)을 중심으로 한 로커 아암들(56)의 움직임들과 각각의 축들(68)을 중심으로 한 슬라이더들(62)의 움직임들의 조합에 의해, 작동 위치들에 있는 요소들(71, 75)은 스테이션(13)에서는 경로(P)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되고 스테이션(40)에서는 경로(S)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되며; 그리고
패리슨들(3)을 컨베이어(41)로부터 휠(39)로 이송하기 위한 스테이션(40)은 봉들(47) 사이의 그리고 그에 따른 패리슨들(3) 사이의 간격(P1)이 거리(D1) 그리고 그에 따라 거리 D2와 동일하고 경로(S)의 직선 구간들을 따르는 봉들(47) 사이의 그리고 그에 따른 패리슨들(3) 사이의 간격과는 다른 경로(S)의 만곡된 구간(T), 바람직하게는 풀리들(42) 중 하나의 둘레에 있는 구간(T)을 따라 위치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술한 바로부터, 스테이션(40)의 위치와 휠(39)의 형상으로 인해 두 개의 성형 공동들(19)을 갖는 금형들(16)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성형 공동을 갖는 금형들(미도시)도 이용하는 설비(1)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셋업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로커 아암들(66)이 제거되고 교체가능한 픽업 유닛들로 대체되는데, 픽업 유닛들 각각은 각각의 슬라이더(62)에 힌지 결합되어 캠에 물려 있는 태핏 롤러의 제어 하에서 각각의 축들(68)을 중심으로 왔다 갔다 하고 하나의 픽업 요소(71) 또는 두 개의 픽업 요소들(75)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라인(9)은 스테이션(14)에서 휠(11)에 연결되고 휠(39)과 전적으로 동일하므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이송 휠(76); 이송 휠(76)의 픽업 요소들(71, 75)로부터 병들(2)을 빼내기 위한 휠(77); 및 개재되어 있는 배분 장치(dispensing device)(80)를 통해 휠(77)에 연결되고 병들(2)을 병입기(1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급 휠들(79)의 열(train)(78)을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휠(77)은 선(24)에 평행한 축(81)을 중심으로 연속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다수의 반원통형 포켓들(82)을 구비하는데; 이 포켓들은 휠(77)의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외측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개방되고, 각각 병(2)을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축(81) 둘레로 동등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세 개씩의 포켓들(82)을 포함하는 다수의 포켓(82) 그룹(83)으로 나누어지며, 세 개의 포켓들(82) 중 하나(여기서는 도면 부호 82a로 표시)는 거리들(D1, D2)과 동일한 거리(D3)로 서로 이격되는 다른 둘(여기서는 도면 부호 82b로 표시) 사이에 위치된다.
각 휠(79)은 선(24)에 평행한 종축(84)을 중심으로 연속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다수의 반원통형 포켓들(85)을 구비하는데, 이 포켓들은 휠(79)의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외측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개방되고, 각각 병(2)을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병입기(10)의 분배 노즐들(미도시)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P2)에 따라 축(84) 둘레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이와 관련하여, 간격(P2)이 거리(D3) 보다 크고 두 개의 인접한 포켓들(82a) 사이의 거리(D4)보다 작으며, 거리(D4)는 또한 중공 성형 휠(11) 상의 금형들(16)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고 따라서 거리(D2)와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장치(80)는, 이 실시예에서는, 선(24)에 대해 횡방향인, 실질적으로 수평인 종축(87)을 중심으로 연속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휠(77)과 인피드 휠(infeed wheel)(79)(이하 도면 부호 79a로 표시) 사이에서 연장하고, 두 개의 출발점(88), 즉 한 금형(16)의 성형 공동들(19)의 수와 동일한 수의 출발점을 가지며, 각각의 목부(6) 위에서 병들(2)을 물도록 구성되고, 축(87)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병들(2)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물리며, 각각의 목부들(6) 아래에서 병들(2)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측벽들(90)에 의해 한정되는 안내 채널(89)과 함께 작용하는 나사식 공급기(86)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된 도면에 예시된 것과
두 개의 성형 공동들(19)을 갖는 금형들(16)이 제거되고 단 하나의 성형 공동을 가지는 금형들(미도시)로 대체되고;
픽업 요소들(71, 75)이 상술한 경우와 다른 위치에서 작동하고 정지하게 되며; 그리고
나사식 공급기(86)가 제거되고 하나의 출발점(92)을 가지는 나사식 공급기(91)로 대체된다는 점에서만 다르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는, 분배 장치(80)가 제거되고 일반적인 가변 간격 이송 휠로 대체된다.
이제 설비(1)의 작동을 두 개의 성형 공동들(19)을 갖는 금형들(1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이송 휠들(39, 76)의 픽업 요소들(71, 75)이 각각 정지 위치와 작동 위치까지 이동된 순간에서부터 시작한다.
컨베이어(41)는 각 유닛(65)이 한 쌍의 패리슨(3)을 컨베이어로(41)부터 집을 수 있도록 패리슨들(3)의 간격(P1)이 휠(39)의 각 픽업 유닛(65)의 픽업 요소들(75) 사이의 거리(D1)와 동일한 스테이션(40)으로 패리슨들(3)을 하나씩 차례대로 공급한다.
그러면 각 픽업 유닛(65)은 패리슨들(3)을 각 성형 공동들(19)로 떨어뜨리기 위하여 각 봉(22)이 해제 위치로 이동된 다음 휠(39)에 의해 스테이션(14)에서 반쪽 금형들(17a, 17b)이 개방된 각 금형(16)과 보조를 맞추어 이송 스테이션(13)을 통과하여 전진된다.
이 시점에서, 두 개의 반쪽 금형들(17a, 17b)은 폐쇄되고, 봉(22)은 스프링(30)에 의해 래치(28) 잠금 위치까지 이동되고, 그리고 금형(16)이 스테이션(13)으로부터 스테이션(14)으로 전진함에 따라 병들(2)이 성형되며, 스테이션(14)에서는 금형(16)이 개방되어 이송 휠(76)의 한 픽업 유닛(65)의 픽업 요소들(75)이 막 성형된 병들을 뺄 수 있게 된다.
그러고 나서, 병들은 휠(76)에 의해 빼기 휠(77) 상의 한 그룹(83)의 포켓들(82)의 포켓들(82b)로 우선 이송되고 나서, 휠(77)에 의해 채널(89)의 인피드 단부로 전진되고 나사식 공급기(86)에 의해 채널(89)을 따라 이송되며, 마지막으로 나사식 공급기(86)에 의해 상술한 간격(P2)에 따라 휠(79a)의 포켓들(85)로 이송된다.
하나의 성형 공동을 가지는 금형들(미도시)을 구비한 설비(1)의 작동은 금형들(16)을 다른 금형들로 단순히 대체하고, 이송 휠들(39, 76)의 픽업 요소들(71, 75)을 각각 작동 위치와 정지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나사식 공급기(86)를 나사식 공급기(91)로 대체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 경우 각 병(2)은 휠(76)에 의해 빼기 휠(77) 상의 한 그룹(83)의 포켓들(82)의 포켓(82a)으로 우선 이송되고 나서, 휠(77)에 의해 채널(89)의 인피드 단부로 전진되고 나사식 공급기(91)에 의해 채널(89)을 따라 이송되며, 마지막으로 나사식 공급기(91)에 의해 상술한 간격(P2)에 따라 휠(79a)의 포켓(85)으로 이송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상술한 바로부터, 스테이션(40)의 위치, 이송 휠들(39, 76)의 형상 및 나사식 공급기들(86, 91)의 존재로 인해 두 개의 성형 공동들(19)을 갖는 금형들(16)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성형 공동을 갖는 금형들(미도시)도 이용하는 설비(1)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셋업할 수 있게 되고, 두 개의 성형 공동들(19)을 갖는 금형들(16) 및 하나의 성형 공동을 갖는 금형들(미도시)에서 제조된 다른 크기의 병들(2)을 동일한 간격(P2)에 따라 동일한 병입기(1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하게는 중공 성형 휠(11), 이송 휠들(39, 76), 빼기 휠(77) 및 나사식 공급기들(86, 91)로 이루어진 조립체가 하나의 구동 모터(미도시)로 구동되는 반면, 체인 컨베이어(41)와 공급 휠들(79)의 열(78)은 단일의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또는 대안적으로 서로 동기화된 별도의 모터들(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확실히, 두 개의 성형 공동들(19)을 갖는 금형들(16)을 사용하면 중공 성형기(7) 상에서의 얻는 생산 능력이 하나의 성형 공동을 갖는 금형들(미도시)을 이용하여 중공 성형기(7) 상에서 얻을 수 있는 생산 능력의 두 배이기 때문에, 컨베이어(41)와 공급 휠들(79)의 열(78)의 공급 속도들은 성형기(7)가 두 개의 성형 공동들(19)을 갖는 금형들(16)을 장착하고 있을 때의 속도들이 성형기(7)가 하나의 성형 공동을 갖는 금형들(미도시)을 장착하고 있을 때 컨베이어(41)와 공급 휠들(79)의 열(78)에 주어지는 속도의 실질적으로 두 배가 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Claims (14)

  1. 각각의 패리슨들(3)로부터 플라스틱 용기(2)를 제조하기 위한 중공 성형 유닛으로서,
    각 용기(2)를 중공 성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동(19)을 가지는 금형(16)으로서, 다른 수의 성형 공동(19)을 가지는 다른 금형(16)으로 교체될 수 있는 금형(16);
    장착 프레임(34);
    장착 프레인(34)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성형 공동(19) 내에 수용된 각각의 패리슨들(3)에 맞물려 종방향으로 변형시키도록 봉들 자체가 따라서 연장하는 종선(24)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두 개의 신연 봉들(33);
    신연 봉들(33)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장착 슬라이더(35)로서, 장착 프레임(34)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장착 슬라이더(35)에 결합된 신연 봉들(33)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37)에 연결되는 장착 슬라이더(35)를 포함하는 중공 성형 유닛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봉들(33)의 부분 조립체를 상기 부분 조립체가 패리슨들(3)과 간섭되지 않는 상승 위치에서 프레임(34)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 및
    슬라이더(35)가 상기 부분 조립체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는 상태로 하강 작동 위치에 위치된 나머지 봉들을 슬라이더(35)에 연결하기 위한 선택적 결합 수단을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선(24)을 따라 신연 봉들(33a, 33b)을 이동시키기 위한 단일 액추에이터(37)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수단은 신연 봉들(33a, 33b)을 액추에이터(37)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슬라이더(35)에 의해 한정되고, 하강 작동 위치에 위치된 봉들(33)의 상측 단부의 일부분과 상호작용하여 봉들이 플레이트(35)에 대해 패리슨들(3)에 더 가까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 및
    봉들의 부분 조립체를 고정하고 봉들이 패리슨(3)으로부터 멀리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봉들(33)의 상측 단부 상에서 작동하기 위하여 슬라이더(35)에 결합될 수 있는 잠금 요소를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는 적어도 연속적인 돌기들과 오목부들을 형성하도록 된 형상을 가지며, 부분 조립체의 봉들과 오목부들이 종방향으로 정렬되고 돌기들이 나머지 봉들과 종방향으로 정렬되어 그것들을 상부에 유지하도록 슬라이더(35)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게 구성된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중앙부의 양측에 두 개의 다른 연속적인 돌기들과 오목부들을 형성하도록 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 유닛.
  6.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은 그 수가 봉들(33)의 수와 동일하고, 봉들의 상측 단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여 봉들을 프레임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탄성 잠금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 유닛.
  7.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37)는 출력 샤프트(36)를 가지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각 신연 봉 부분 조립체(33a, 33b)의 신연 봉들(33)은 리드 너트와 리드 스크류 메커니즘에 의해 출력 샤프트(36)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 유닛.
  8.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 개의 신연 봉들(33)을 포함하며, 그 중 둘은 제1 봉 유닛(33a)을 형성하고 세 번째 것은 제2 봉 유닛(33b)을 형성하며, 봉들의 부분 조립체는 교대로 제1 봉 유닛(33a) 또는 제2 봉 유닛(33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 유닛.
  9.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연 봉들(33a, 33b)은 성형 유닛 자체 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 유닛.
  10.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34)과 일체이고 금형(16)의 공동(19)으로 불어넣어질 가압된 유체원에 연결되는 중공 성형 노즐을 포함하며, 노즐의 상측 벽은 부분 조립체의 신연 봉들(33)의 하측 단부를 잠가 신연 봉들이 패리슨들(3)을 향해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소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 유닛.
  11. 다수의 성형 유닛을 포함하는, 각각의 패리슨들(3)로부터 플라스틱 용기(2)를 중공 성형하기 위한 라인에 있어서, 상기 성형 유닛들이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성형 유닛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 라인.
  12. 각각의 패리슨들(3)로부터 플라스틱 용기(2)를 중공 성형하기 위한 설비를 한 크기의 용기를 제조하는 것으로부터 다른 크기의 용기를 제조하는 것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각의 용기(2)를 중공 성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동을 가지는 제1 금형(16)을 다른 수의 성형 공동(19)을 가지는 제2 금형(16)으로 교체하는 단계; 및
    장착 프레임(34)에 결합되게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신연 봉들(33)로서, 적어도 하나의 성형 공동(19) 내에 수용된 상응하는 패리슨들(3)에 맞물리려 종방향으로 신연시키도록 봉들이 따라서 연장하는 종선(2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신연 봉들, 신연 봉들(33)에 결합되게 구성되는 장착 슬라이더(35)로서, 프레임(34)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장착 슬라이더(35)에 결합된 신연 봉들(33)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액추에이터(37)에 연결되는 장착 슬라이더, 및 프레임(34)과 일체이고 금형(16) 공동들(19)의 수와 동일한 수의 통로를 통해 금형(16) 공동(19)으로 불어넣어질 가압된 유체원에 연결되는 중공 성형 노즐을 가지는 신연 유닛(32)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연 유닛을 조정하는 단계가
    봉들(33)을 슬라이더(35)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제1 금형의 성형 공동들에 정렬된 봉들을 패리슨들로부터 멀리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봉들의 상측 단부들을 봉들이 패리슨들(3)과 간섭되지 않는 상승 위치에서 프레임(34)에 고정시키는 단계;
    중공 성형 노즐을 제2 금형(16)의 공동들(19)의 수와 동일한 수의 유체 통로를 가지는 다른 중공 성형 노즐로 교체하는 단계;
    제2 금형의 성형 공동들에 정렬된 신연 봉들(33)을 프레임(34)으로부터 분리하고 이들을 하강 작동 위치까지 패리슨들(3)을 향해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슬라이더(35)가 상승 위치에 위치된 봉들에 대해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게 한 상태에서 상기 하강 위치에 위치된 봉들(33)을 선택적으로 슬라이더(35)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신연 봉들이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신연 봉들(33)의 상측 단부들은 슬라이더(35)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신연 봉들(33)은 복합적인 상향 및 회전 운동에 의해 장착 프레임(3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7029659A 2008-07-29 2009-07-29 플라스틱 용기, 특히 병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설비를 위한 성형 유닛 KR201100435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BO2008A000473 2008-07-29
ITBO2008A000473A IT1396854B1 (it) 2008-07-29 2008-07-29 Unita' di formatura di un impianto per il soffiaggio di contenitori di plastica, in particolare bottigl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546A true KR20110043546A (ko) 2011-04-27

Family

ID=4054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659A KR20110043546A (ko) 2008-07-29 2009-07-29 플라스틱 용기, 특히 병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설비를 위한 성형 유닛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425220B2 (ko)
EP (1) EP2303546B1 (ko)
JP (1) JP5440816B2 (ko)
KR (1) KR20110043546A (ko)
CN (1) CN102112285B (ko)
BR (1) BRPI0910362A2 (ko)
ES (1) ES2557306T3 (ko)
IT (1) IT1396854B1 (ko)
MX (1) MX2011001107A (ko)
RU (1) RU2011102522A (ko)
WO (1) WO201001320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3350A1 (de) 2010-03-26 2011-09-29 Krones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Kunststoffbehältern
CN102529073A (zh) * 2012-03-23 2012-07-04 林明茳 塑料拉吹机的直线驱动器拉伸机构
DE102012218928A1 (de) * 2012-10-17 2014-04-17 Krones Ag Herstellungsverfahren für Blasformen
DE102014018778A1 (de) * 2014-12-19 2016-06-23 Khs Corpoplast Gmbh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mit einem flüssigen Füllgut gefüllten Behältern aus Vorformlingen aus einem thermoplastischen Material
EP3272490B8 (en) * 2015-03-18 2022-03-16 Nissei ASB Machine Co., Ltd. Biaxial stretching and blow molding device
FR3062591B1 (fr) * 2017-09-08 2019-04-05 Sidel Participations Dispositif et procede de soufflage
CN109774104B (zh) * 2019-02-27 2023-11-21 广州达意隆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旋转式吹瓶机的拉伸与封口联动装置
CN113977914B (zh) * 2021-08-20 2023-12-01 德玛克(浙江)精工科技有限公司 风送换模一体集成平台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9672A (en) 1992-06-29 1993-12-14 Hoover Universal, Inc. Servo stretch assembly for blow molding machine
US5403177A (en) * 1993-07-16 1995-04-04 Jomar Corporation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machine
JPH1148316A (ja) * 1997-08-06 1999-02-23 Tahara:Kk 2軸延伸吹込成形装置におけるストレッチロッド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FR2795994B1 (fr) * 1999-07-05 2001-10-12 Sidel Sa Machine de soufflage a moules bi-empreinte
WO2004052623A1 (ja) 2002-12-12 2004-06-24 A.K. Technical Laboratory, Inc. 延伸ブロー成形機における延伸ロッドの伸長駆動装置及び底型の昇降駆動装置
FR2863929B1 (fr) * 2003-12-19 2006-02-10 Sidel Sa Agencement pour la fixation amovible d'une tige d'etirage sur un coulisseau appartenant a une machine de soufflage et d'etirage d'une prefor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1102522A (ru) 2012-09-10
JP5440816B2 (ja) 2014-03-12
ITBO20080473A1 (it) 2010-01-30
MX2011001107A (es) 2011-03-04
US20110123666A1 (en) 2011-05-26
IT1396854B1 (it) 2012-12-20
CN102112285B (zh) 2014-12-10
BRPI0910362A2 (pt) 2019-09-24
CN102112285A (zh) 2011-06-29
WO2010013208A2 (en) 2010-02-04
EP2303546A2 (en) 2011-04-06
ES2557306T3 (es) 2016-01-25
JP2011529411A (ja) 2011-12-08
US8425220B2 (en) 2013-04-23
EP2303546B1 (en) 2015-11-04
WO2010013208A3 (en)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9330B2 (ja) プラスチック容器、特にボトルをブロー成形するためのプラント
KR20110043546A (ko) 플라스틱 용기, 특히 병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설비를 위한 성형 유닛
JP5557119B2 (ja) プラスチック容器、特にボトルをブロー成形するためのプラント用成形ユニット
KR20110042040A (ko) 플라스틱 용기, 특히 병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설비
KR20110033856A (ko) 플라스틱 용기, 특히 병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설비를 위한 성형 유닛
KR20110033855A (ko) 플라스틱 용기, 특히 병을 중공 성형하기 위한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