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280A - 연구 개발 사업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연구 개발 사업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280A
KR20110043280A KR1020090100324A KR20090100324A KR20110043280A KR 20110043280 A KR20110043280 A KR 20110043280A KR 1020090100324 A KR1020090100324 A KR 1020090100324A KR 20090100324 A KR20090100324 A KR 20090100324A KR 20110043280 A KR20110043280 A KR 20110043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research
project
develop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진
김주호
송미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Priority to KR1020090100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3280A/ko
Publication of KR20110043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2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다수 기관 서버의 연구 개발 사업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서버로부터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 데이터를 기관 별, 사업 별, 과제 별로 분류하여 사업/과제 DB에 저장하는 조사 분석 모듈,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을 미리 정해진 평가 지표 또는 해당 사업의 성과, 조사 분석 결과 등에 기초하여 자체, 상위 평가하는 평가 모듈 및 상기 조사 분석 모듈 및 상기 평가 모듈에 의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예산조정을 지원하는 예산 조정 모듈을 포함한다.
연구 개발 사업, 통합, 조사, 분석, 평가(자체, 상위), 예산조정지원

Description

연구 개발 사업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ANAGING RESERCH AND DEVELOPMENT AND METHOD THEREOF}
다수 기관 서버의 연구 개발 사업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이 국가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인식되면서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환경부 등 과학기술관련 부처에서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연구 생산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차세대 고도 정보화 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연구 개발 사업이 기관 별로 독립적인 관리 체제하에서 추진되고 관리됨으로써,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거나 활용 상의 한계가 존재한다.
비단, 정부 부처뿐 아니라, 다수의 연구 개발 그룹을 갖춘 기업 또는 연구소 에서도 연구 개발 그룹 간의 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연구 개발 추진 방향과 어긋나거나 중복 연구를 통해 불필요한 예산을 허비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연구 개발 그룹의 사업의 기획, 진척 사항, 결과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관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정보로부터 중복 연구 개발의 제재 및 예산 절감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요구가 절실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수의 기관에 산재되어 있는 연구 개발 사업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 기관 별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예산 조정 및 배분의 의사 결정에 관한 분석 및 통계 정보를 상시 제공할 수 있는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연구 개발 사업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서버로부터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 데이터를 기관 별, 사업 별, 과제 별로 분류하여 사업/과제 DB에 저장하는 조사 분석 모듈,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을 미리 정해진 평가 지표 또는 과거의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평가하는 평가 모듈 및 상기 조사 분석 모듈 및 상기 평가 모듈에 의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예산을 조정하는 예산 조정 모듈을 포함하는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연구 개발 사업을 통합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다수의 기관 서버로부터 수행 중이거나 수행을 완료한 연구 개발 사업의 사업 정보를 수신하여 사업/과제 DB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기관이 수행 중인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수신된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해 미리 정해진 평가 지표 또는 과거의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의 예산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구 개발 사업의 통합 관리 방법 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다수의 기관에 산재되어 있는 연구 개발 사업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각 기관 별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예산 조정 및 배분의 의사 결정에 관한 분석 및 통계 정보를 상시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의 네트워크 연결은 사용자 단말(100), 네트워크(200), 다수의 기관 서버(300) 및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기관 별 연구 개발 사업의 각종 정보, 예를 들어 공지 사항, 관련 법령, 시행 계획, 사업 안내, 성과 보고, 사업 보고, 과제 보고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받는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사용자 단말(100)은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의 일반 PC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Satellite Network)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다수의 기관 서버(300)는 연구 개발 사업을 수행하는 예를 들면, 정부 부처, 공공 기관, 연구 기관, 대학 및 기업 등의 웹 서버이며,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해당 기관에서 수행 중인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공지 사항, 관련 법령, 시행 계획, 사업 안내, 성과 보고, 사업 보고, 과제 보고, 정책 동향 등을 제공한다.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수의 기관 서버(300)에 접속하여, 각 기관에서 수행하는 연구 개발 사업의 공고 정보, 예를 들어 공지 사항, 관련 법령, 시행 계획, 사업 안내, 성과 보고, 사업 보고, 과제 보고 등을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 이때, 각 기관이 수행하는 연구 개발 사업은 다수의 연구 개발 사업 과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다수의 기관 서버(300)로부터 각 기관에서 수행 중인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를 수신하고, 이를 기관 별, 사업 별, 과제 별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또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각 기관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해 미리 정해진 평가 지표에 따라 평가를 수행한 후, 이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예산의 조정 및 분배를 수행한다.
전문 평가자 단말(500)은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를 평가하기 위해 전문 분야별 분산된 전문 평가 위원의 단말로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으로부터 의뢰 받은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해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평가를 수행하여, 그 평가 결과를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으로 전송한다. 상기 평가 지표는 연구 개발 사업 별로 예를 들어, 3 ~ 5개 정도가 선정될 수 있으며, 각 평가 지표 별로 점수가 부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통합 공고 모듈(410), 조사 분석 모듈(420), 평가 모듈(430), 예산 조정 모듈(440), 공고 수집 DB(450), 사업/과제 DB(460), 평가 DB(470) 및 예산 DB(480)를 포함한다.
통합 공고 모듈(410)은 소정 주기 마다 각 기관 서버(300)의 웹 사이트를 크롤링(Crawling)하여 각 기관 서버(300)의 연구 개발 사업의 공고 정보, 예를 들어 공지 사항, 관련 법령, 시행 계획, 사업 안내, 정책 동향 등을 추출하여 기관 별, 사업 별, 과제 별, 기간 별로 분류하여 공고 수집 DB(450)에 저장한다.
또한, 통합 공고 모듈(410)은 수집된 연구 개발 사업 정보를 웹을 통해 사용자가 연구 개발 사업 정보의 조회 및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거나, SMS(Short Message Service) 및 메일링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조사 분석 모듈(420)은 다수의 기관 서버(300)로부터 각 기관에서 수행 중인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를 수신하여, 기관 별, 사업 별, 과제 별로 분류하여 사업/과제 DB(460)에 저장한다. 이때, 조사 분석 모듈(420)은 각 연구 개발 사업의 사업 정보, 예를 들어, 사업 수행 기관 정보, 사업 수행 기간 정보, 사업 별 과제 정보, 성과 정보 및 제재 정보를 사업/과제 DB(460)에 함께 저장한다.
또한, 조사 분석 모듈(420)은 사업/과제 DB(460)에 저장된 연구 개발 사업의 사업 정보를 이용하여 각 기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해 신청 과제간, 수행 과제간, 타 기관 신청 과제간의 유사도 및 중복 여부 등을 검사한다. 예를 들어, 과제 간의 유사도 및 중복 여부 결과는 연구 개발 사업의 사업 정보의 수행자, 과제명, 키워드 발주처 등의 메타데이터의 상관 관계와, 보고서 내의 문장에 의미 분석 기술을 적용하여 상관성이 높은 과제를 상호 매칭시켜 출력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사 분석 모듈(420)은 연구 개발 사업의 사업 정보를 이용하여 년도 별, 기술 분류 별, 사업 별, 사업 과제 별, 수행 기관 별, 유사 과제 별, 참여 인력 별, 지역 별, 성과물(논문, 출원 특허, 등록 특허, 기술료, 소프트웨어 등) 별 통계 정보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주요 지표, 예를 들어, 거시 경제 지표(국민 소득, 고용, 물가, 부가가치 및 생산성 등), 사회 지표(인구, 인구 전망 등), 기술 분야(바이오, 나노 등) 등에 해당하는 연구 개발 사업의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평가 모듈(430)은 조사 분석 모듈(420)을 통해 수신된 연구 개발 사업을 평가하기 위한 각종 평가 관리 정보, 예를 들어, 평가 지표, 성과 지표, 표준 평가표, 평가 대상, 평가 종류, 평가 위원 명단 등을 평가 DB(470)에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평가 모듈(430)은 평가 대상인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해 미리 정해진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평가를 수행하고 그 평가 정보를 평가 DB(470)에 저장한다. 이때, 평가 정보는 예를 들어, 평과 지표를 평가 대상에 대입시켜 수치적인 평가치를 산출하거나, 유사 신청 과제의 평가치에 기초하여 기대 평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때로는 전문 분야 별로 분산된 전문 평가자 단말(500)로 해당 사업을 전송하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평가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즉, 평가 모듈(430)은 해당 사업의 성과, 조사 분석 결과 등에 기초한 "자체 평가"를 수행하거나 전문 분야 별로 분산된 전문 평가자 단말(500)에 의한 "상위 평가"를 수행한다.
예산 조정 모듈(440)은 각 기관 서버(300)로부터 연구 개발 사업의 각 예산 정보를 수신한 후 평가 모듈(430)의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각 연구 개발 사업의 예산 정보를 사전에 조정한다.
공고 수집 DB(450)는 통합 공고 모듈(410)에 의해 수집되어 분류된 연구 개 발 사업의 공고 정보를 기관 별, 사업 별, 과제 별, 기간 별로 저장한다.
사업/과제 DB(460)는 조사 분석 모듈(420)에 의해 분류된 연구 개발 사업의 과제 별 보고서를 기관 별, 사업 별, 과제 별로 각각 저장한다.
평가 DB(470)는 연구 개발 사업의 평가에 필요한 각종 평가 관리 정보, 예를 들어, 평가 지표, 평가 대상, 평가 종류, 전문 평가 위원 명단 및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해 수행된 평가 정보를 저장한다.
예산 DB(480)는 연구 개발 사업 별, 사업 과제 별 예산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기관의 연구 개발 사업을 통합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S11)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다수의 기관 서버(300)에서 현재 수행 중이거나 수행이 완료된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사업 정보, 예를 들어, 사업 수행 기관 정보, 사업 수행 기간 정보, 사업 별 과제 정보, 성과 정보 및 제재 정보를 사업/과제 DB(440)에 분류하여 저장한다.
단계(S13)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기관 서버(300)로부터 해당 기관이 수행 중인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를 수신한 다음, 단계(S15)로 진행하여, 단계(S13)에서 수신된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를 분석한다.
단계(S17)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사업/과제 DB(440)에 저장된 사업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하여 타 기관에서 수행 중이거나 수행이 완료된 연구 개발 사업들과의 유사도 및 중복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과제 간의 유사도 및 중복 여부 결과는 연구 개발 사업의 사업 정보의 수행 자, 과제명, 키워드 발주처 등의 메타데이터의 상관 관계와, 보고서 내의 문장에 의미 분석 기술을 적용하여 상관성이 높은 과제를 상호 매칭시켜 출력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단계(S19)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해당 연구 개발 사업의 수행 기관이 기존에 수행한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평가에서 제재를 받은 기관인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S21)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해당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단계(S17) 및 단계(S19)의 검사 결과, 즉 유사 사업 여부, 중복 사업 여부 및 제재 기관 여부를 해당 연구 개발 사업의 사업 정보와 함께 사업/과제 DB(440)에 저장한다. 상기 유사 사업 여부, 중복 사업 여부 및 제재 기관 여부에 대한 정보는 추후 해당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 평가 시에 평가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의 예산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S31)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각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를 평가하기 위한 각종 평가 관리 정보, 예를 들어, 평가 지표, 평가 대상, 평가 종류, 전문 평가 위원 명단 등을 평가 DB(470)에 저장한다.
단계(S33)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각 기관 서버(300)로부터 수행 중인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가 수신되면, 단계(S35)로 진행하여, 수신된 연구 개발 사업에 해당하는 평가 지표를 평가 DB(470)로부터 확인한다.
단계(S37)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단계(S33)에서 수신된 연 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해 평과 지표에 기초하여 평가를 수행한다. 이때,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해당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과거의 평가 데이터, 즉 해당 연구 개발 사업의 수행 기관이 기존에 수행한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평가에서 제재를 받은 제재 기관인지의 여부 등도 참조하여 평가를 수행한다.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한 평가가 완료되면, 단계(S39)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해당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평가 정보를 평가 DB(470)에 저장한다.
단계(S41)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예산 DB(480)에 저장된 해당 연구 개발 사업의 예산 정보를 확인한 다음, 단계(S43)으로 진행하여, 각 연구 개발 사업의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연구 개발 사업의 예산을 조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의 통합 공고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S51)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다수의 기관 서버(300)의 웹 사이트를 주기적으로 크롤링한 다음, 단계(S53)으로 진행하여, 각 기관에서 수행하는 연구 개발 사업의 공고 정보, 예를 들어 공지 사항, 관련 법령, 시행 계획, 사업 안내, 성과 보고, 정책 동향 등을 추출한다.
단계(S55)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추출된 연구 개발 사업의 공고 정보를 미리 설정한 조건, 예를 들어 기관 별, 사업 별, 과제 별, 날짜 별로 분류하여 공고 수집 DB(420)에 저장한다.
단계(S57)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공고 수집 DB(420)에 저 장된 다수 기관의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각종 공고 정보를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연구 개발 사업의 통합 공고 정보는 웹을 통한 공지, 조회 및 검색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SMS 서비스 또는 메일링 서비스의 형태로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S61)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각 기관 서버(300)로부터 수행 중인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가 수신되면, 단계(S62)로 진행하여, 수신된 연구 개발 사업에 해당하는 각종 평가 관리 정보, 예를 들어, 평가 지표, 평가 대상, 평가 종류, 전문 평가 위원 명단 등을 평가 DB(470)로부터 확인한다.
단계(S63)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수신된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해 평가를 수행할 전문 평가 위원을 선택한 다음, 단계(S64)로 진행하여, 수신된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를 단계(S63)에서 선택된 전문 평가 위원에 해당하는 전문 평가자 단말(500)로 전송하여 평가를 의뢰한다. 이때,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의 평가에 필요한 평가 지표, 표준 평가표 등을 전문 평가자 단말(500)에 제공한다.
단계(S71)에서 전문 평가자 단말(500)은 제공받은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수신된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이때, 전문 평가자 단말(500)은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해 미리 정해진 평가 지표 별로 점수를 부여한다.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한 평가가 완료되면, 단계(S72)에서 전문 평가자 단말(500)은 완료된 평가 결과를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으로 전송하고, 단계(S73)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각 전문 평가자 단말(500)로부터 수신된 평가 결과를 취합하여 평가 지표별 평균 점수를 산출한다.
단계(S74)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산출된 평가 지표별 평균 점수를 합산하여 단계별 평가 점수를 산출한 다음, 단계(S75)로 진행하여, 단계별 평가 점수의 합으로 최종 평가 점수를 산출한다.
단계(S76)에서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은 산출된 최종 평가 점수에 기초하여,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해 미리 정해진 평가 등급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평가 등급은 평균 점수가 95점 이상인 경우 ‘매우 우수’, 평균 점수가 90점 이상에서 95점 미만인 경우 ‘우수’, 평균 점수가 75점 이상에서 90점 미만인 경우 ‘보통’, 평균 점수가 75점 미만인 경우 ‘미흡’으로 부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의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화면의 일 예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의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화면(500)에는 메뉴 바(510), 기관별 사업 공고 게시부(520), 연구 개발 사업 현황 표시부(530) 및 평가 지원 서비스 버튼(540) 등이 표시된다.
메뉴 바(510)는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각종 메뉴, 예를 들어,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서비스의 안내를 제공하는 ‘서비스 안내’ 메뉴, 연구 개발 사업을 수행하는 각 기관으로부터 수집한 연구 개발 사업의 공고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 개발 사업(R&D) 공고’ 메뉴, 연구 개발 사업에 관한 각종 통계 정보를 제공하는 ‘통계 정보’ 메뉴, 연구 개발 사업에 관한 각종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구 개발 사업(R&D) 정보 검색’ 메뉴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관별 사업 공고 게시부(520)에는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400)이 연구 개발 사업을 수행하는 각 기관의 웹 사이트를 크롤링(Crawling)하여 수집한 연구 개발 사업의 공고 정보가, 예를 들어 기관 별, 사업 별, 날짜 별로 게시된다.
연구 개발 사업 현황 표시부(530)에는 연도별 연구 개발 사업의 총괄 현황 등의 통계 정보가, 예를 들어 그래프 또는 도표 등으로 표시된다.
평가 지원 서비스 버튼(540)은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한 평가 지원 서비스 화면으로의 링크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의 통계 서비스 제공 화면의 일 예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의 통계 서비스 제공 화면(600)에는 분류 별, 즉 과제 연도 별, 부처별, 지역 별, 연구자수행 기관 별, 연구비 현황 별, 참여 인력 별, 성과물 별 연구 개발 사업의 현황 및 통계 서비스를 도표 또는 그래프 등으로 표시해 주며, 최근 업데이트 통계 정보 및 보고서 별 통계 정보도 함께 표시해 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 지표 별 통계 서비스 제공 화면의 일 예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 기술별 통계 서 비스 제공 화면(700)에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주요 기술, 예를 들어, 정보통신 기술(IT), 생명공학 기술(BT), 나노 기술(NT), 항공우주기술(ST), 환경 기술(ET), 문화 기술(CT) 등에 해당하는 연구 개발 사업의 국가 별, 연도 별, 기관 별, 성과물 별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표 또는 그래프 등으로 표시해 준다. 또한, 주요 기술 별로 특정 연도에 진행된 연구 과제 수 및 각 주요 기술 별 비중을 표시해 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기관의 연구 개발 사업을 통합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의 예산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의 통합 공고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의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화면의 일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사업의 통계 서비스 제공 화면의 일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 지표 별 통계 서비스 제공 화면의 일 예이다.

Claims (14)

  1. 연구 개발 사업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서버로부터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 데이터를 기관 별, 사업 별, 과제 별로 분류하여 사업/과제 DB에 저장하는 조사 분석 모듈,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을 미리 정해진 평가 지표 또는 과거의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평가하는 평가 모듈 및
    상기 조사 분석 모듈 및 상기 평가 모듈에 의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예산을 조정하는 예산 조정 모듈
    을 포함하는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분석 모듈은, 상기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하여 수행 중이거나 수행이 완료된 신청 과제간, 수행 과제간, 타 기관 신청 과제간의 유사도 및 중복 여부를 검사하는 것인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분석 모듈은, 상기 사업/과제 DB에 저장된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인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모듈은, 전문 분야 별로 분산된 전문 평가자 단말로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를 전송하여 평가를 의뢰하고, 상기 전문 평가자 단말로부터 평과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평과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한 평가 정보를 산출하는 것인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기관에서 수행하는 연구 개발 사업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통합 제공하는 통합 공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공고 모듈은, 상기 수집된 연구 개발 사업의 공고 정보를 SMS 서비스 및 메일링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인 연구 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연구 개발 사업의 공고 정보는, 웹을 통한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의 공지, 조회 및 검색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인 연구 개발 사업 관리 방법.
  8. 연구 개발 사업을 통합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다수의 기관 서버로부터 수행 중이거나 수행을 완료한 연구 개발 사업의 사업 정보를 수신하여 사업/과제 DB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기관이 수행 중인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수신된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해 미리 정해진 평가 지표 또는 과거의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의 예산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구 개발 사업의 통합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과제 DB에 저장된 사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해 타 기관에서 수행 중이거나 수행을 완료한 연구 개발 사업과의 유사도 및 중복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의 예산을 조정하는 단계 (d)는, 상기 평가 결과와 함께 상기 유사도 및 상기 중복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의 예산을 조정하는 것인 연구 개발 사업의 통합 관리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과제 DB에 저장된 사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의 제재 기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구 개발 사업의 통합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c)는,
    (c1)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한 평가 수행에 필요한 평가 관리 정보를 연구 개발 사업 별로 분류하여 평가 DB에 저장하는 단계,
    (c2) 상기 수신된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해당하는 평가 관리 정보를 상기 평가 DB로부터 확인하여, 상기 수신된 연구 개발 사업 별로 전문화된 2 이상의 전문 평가자 단말에 평가를 의뢰하는 단계 및
    (c3) 상기 2 이상의 전문화 평가자 단말로부터 평가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한 평가 정보를 산출하여 평가 DB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연구 개발 사업의 통합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3)는,
    (c3-1) 상기 2 이상의 전문 평가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평가 결과를 취합하여 평가 지표별 평균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c3-2) 상기 산출된 평가 지표별 평균 점수를 합산하여, 단계별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c3-3) 단계별 평가 점수의 합으로 최종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3-4) 상기 산출된 최종 평가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해 평가 등급을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연구 개발 사업의 통합 관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c)는,
    상기 연구 개발 사업의 보고서의 유사도, 중복 여부 및 제재 기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평가 항목으로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연구 개발 사업의 통합 관리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기관에서 수행하는 연구 개발 사업의 공고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다수 기관의 연구 개발 사업의 공고 정보를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구 개발 사업의 통합 관리 방법.
KR1020090100324A 2009-10-21 2009-10-21 연구 개발 사업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43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324A KR20110043280A (ko) 2009-10-21 2009-10-21 연구 개발 사업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324A KR20110043280A (ko) 2009-10-21 2009-10-21 연구 개발 사업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280A true KR20110043280A (ko) 2011-04-27

Family

ID=4404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324A KR20110043280A (ko) 2009-10-21 2009-10-21 연구 개발 사업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3280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898B1 (ko) * 2011-06-27 2014-02-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안전성 문서 인증 또는 검증 장치 및 동 장치를 이용한 인증 또는 검증 방법
CN105139162A (zh) * 2015-10-16 2015-12-09 上海市浦东新区周浦医院 一种管理危重患者的临床诊疗信息及质控方法及系统
KR20170080905A (ko) * 2015-12-31 2017-07-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평가지표 자율제안에 의한 연구개발과제 선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844751B1 (ko) * 2017-09-22 2018-04-05 김성구 기업 분석 기반 연계 서비스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20190024503A (ko) * 2017-08-31 2019-03-08 (주)코머신 검색빈도에 기초한 기계산업 동향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08237A (ko) * 2018-07-16 2020-01-28 김낙주 유휴 연구개발 정부자금을 활용한 직원복지증진 연금보험상품 제공 시스템
KR20200038568A (ko) * 2018-10-04 2020-04-14 김낙주 유휴 정부자금을 활용한 직원복지증진 연금보험상품 제공 시스템
KR102105700B1 (ko) * 2019-05-23 2020-04-28 주식회사 오웬스그룹 Erp 및 그룹웨어와 통합 연계 기반 연구과제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86424A (ko) * 2019-12-31 2021-07-08 인천국제공항공사 공항 기술 가치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3434A (ko) * 2020-05-20 2021-11-29 황진석 연구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
KR20210156091A (ko) * 2020-06-17 2021-12-2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개발지원사업추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71459B1 (ko) 2023-02-16 2023-08-30 한국수자원공사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
CN116911762A (zh) * 2023-05-23 2023-10-20 广州知汇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SaaS模式的科技项目流程管理系统及管理方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898B1 (ko) * 2011-06-27 2014-02-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안전성 문서 인증 또는 검증 장치 및 동 장치를 이용한 인증 또는 검증 방법
CN105139162A (zh) * 2015-10-16 2015-12-09 上海市浦东新区周浦医院 一种管理危重患者的临床诊疗信息及质控方法及系统
US11068816B2 (en) 2015-12-31 2021-07-20 Sangho Park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through autonomous proposals of evaluation indicators
KR20170080905A (ko) * 2015-12-31 2017-07-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평가지표 자율제안에 의한 연구개발과제 선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4503A (ko) * 2017-08-31 2019-03-08 (주)코머신 검색빈도에 기초한 기계산업 동향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1844751B1 (ko) * 2017-09-22 2018-04-05 김성구 기업 분석 기반 연계 서비스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20200008237A (ko) * 2018-07-16 2020-01-28 김낙주 유휴 연구개발 정부자금을 활용한 직원복지증진 연금보험상품 제공 시스템
KR20200038568A (ko) * 2018-10-04 2020-04-14 김낙주 유휴 정부자금을 활용한 직원복지증진 연금보험상품 제공 시스템
KR102105700B1 (ko) * 2019-05-23 2020-04-28 주식회사 오웬스그룹 Erp 및 그룹웨어와 통합 연계 기반 연구과제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86424A (ko) * 2019-12-31 2021-07-08 인천국제공항공사 공항 기술 가치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3434A (ko) * 2020-05-20 2021-11-29 황진석 연구개발 사업 관리 시스템
KR20210156091A (ko) * 2020-06-17 2021-12-2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개발지원사업추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71459B1 (ko) 2023-02-16 2023-08-30 한국수자원공사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
CN116911762A (zh) * 2023-05-23 2023-10-20 广州知汇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SaaS模式的科技项目流程管理系统及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3280A (ko) 연구 개발 사업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Zheng et al. Review of the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SNA) i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research
Witarsyah et al.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e-government adoption in indonesia: A conceptual framework
MacCarthy et al. Factors affecting location decisions in international operations–a Delphi study
Tribelsky et al. An empirical study of information flows in multidisciplinary civil engineering design teams using lean measures
Sandy et al. A success factors model for m-government
Wang et al. Managing public–private partnerships: a transmission pattern of underlying dynamics determining project performance
Fan et al. Service strategy to improve operational capabilities in the public sector
Djali et al. How a data-driven quality management system can manage compliance risk in clinical trials
Alfaro et al. Organizational adoption of social media in the USA: a mixed method approach
Jamieson et al. Protecting the integrity of survey research
US2009009432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echnology Evaluation and Adoption
Bhalaji et al. A decision support model for evaluating risks in a collaborative supply chain of the medical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Yeo et al. Segregate the wheat from the chaff enabler: will big data and data analytics enhance the perceived competencies of accountants/auditors in Malaysia?
Beam et al. Best practices for stakeholder engagement for government R&D organizations
Wang et al. A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tegrating stakeholder influence and process trans-period effect
Xu et al. Comparison of construction project risks before and during COVID-19 in Singapore: criticality and management strategies
Justitia et al. Evaluating the quality of a help-desk complaint management service using six-sigma and COBIT 5 framework
Budi et al. Improving Helpdesk Capability in Perum Peruri Through Service Catalog Management Based on ITIL V3
KR102103023B1 (ko) 확정기여형제도 기반 사업자 비교를 이용한 퇴직연금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Lee et al. Designing a business intelligence system to support industry analysis and innovation policy
Abduh et al. Maturity of procurement units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in Indonesia
KR100952303B1 (ko) 고객의 소리(voc)를 통합 관리하고 경영에 활용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Sun et al. A stage-by-stage assessment of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implementation: An empirical study from Hong Kong
Stufflebeam Evaluation plans and operations checkl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