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255A - 하수, 분뇨, 축산폐수, 산업폐수 등이 오 폐수처리용 미생물 활성화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수, 분뇨, 축산폐수, 산업폐수 등이 오 폐수처리용 미생물 활성화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255A
KR20110043255A KR20090100292A KR20090100292A KR20110043255A KR 20110043255 A KR20110043255 A KR 20110043255A KR 20090100292 A KR20090100292 A KR 20090100292A KR 20090100292 A KR20090100292 A KR 20090100292A KR 20110043255 A KR20110043255 A KR 20110043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activator
wastewater
microbial
microbial acti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0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균
이명규
조현준
Original Assignee
유림엔마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림엔마텍(주) filed Critical 유림엔마텍(주)
Priority to KR20090100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3255A/ko
Publication of KR20110043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25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7Inorganic materials, e.g. sand,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하수, 분뇨, 축산폐수, 산업폐수 등의 오, 폐수를 처리하는 공정에서 바실러스균을 이용해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고자 할 때 미생물의 활성화 및 증식배양 효과를 얻기 위한 미생물 활성화제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미생물 활성화제는 기본 배양제로서 규산질비료와 황산마그네슘 7수화물(MgSO4ㆍ7H2O)을 기본조성으로 포함하고 그 외 미생물 활성화제의 사용 용도에 따른 조성물이 부가적으로 추가될 수 있는바, 일반 생활하수나 오폐수 등 상대적 오염도가 낮는 수질의 정화처리 공정에서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의 미생물 활성화제는 규산질비료와 황산마그네슘 7수화물에 이탄(Peat)이나 규조토나 지오라이트(Zeolite)를 일정범위로 추가하는 배합조성으로 제공되어 일반 하수나 오,폐수 정화처리에 이용될 수 있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미생물 활성화제를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높은 분뇨나 축산폐수나 식품폐수 등의 산업폐수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기본 배양제로서 규산질비료와 황산마그네슘 7수화물(MgSO4, 7H2O)을 포함하고 그 외 고로슬래그, 소석회(Ca(OH)2), 규조토(Diatomite), 황산아연(ZnSO4), 황산구리(CuSO4), 염화망간4수화물(MnCl2ㆍ4H2O) 중에서 선택되는 성분이 일정범위의 배합조성으로 포함되도록 제공되어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분해제거율을 높이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생물학적 처리공정, 바실러스균, 미생물 활성화제, 규산질비료, 황산마그네슘 7수화물,

Description

하수, 분뇨, 축산폐수, 산업폐수 등이 오 폐수처리용 미생물 활성화제 및 그 제조방법{microorganism activato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treatment of wasted water}
본원 발명은 하수, 분뇨, 축산폐수, 산업폐수, 등의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활성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오,폐수의 생물학적 처리과정 중 주 처리 미생물로서 바실러스균을 이용하는 경우에 바실러스균의 포자형성, 발아 및 성장, 증식을 촉진시키고 활성을 현저히 증진시켜서 바실러스균이 우점배양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수, 분뇨, 축산폐수 및 산업폐수 등의 오, 폐수 처리용 미생물활성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는 물과 오염물이 섞여 있거나 용해되어 있는 상태의 오염물을 화학적 처리방법 또는 물리적 처리방법 또는 생물학적 처리방법 등 여러 가지 공정이나 방법을 사용하여 오염물질을 물과 분리시켜 제거하는 일련의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물과 오염물의 분리에는 여러 가지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바, 일차적으로 오염물의 입자가 크고 비중이 물과 차이가 많이 나는 것 은 여과나 침전 등의 물리적 방법을 사용하게 되고 자연상태의 물리적 방법으로 제거가 곤란한 경우에나 물리적 분리방법을 촉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화학처리를 하여 미세한 입자를 응집 침전 분리시키는 등의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오염물질의 입자가 아주 미세하거나 용해되어 있어서 상기의 방법으로는 제거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막 여과법 등 일부 고도처리법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현재까지의 기술수준으로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인 처리방법이 가장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오폐수의 성상에 따라 일차적으로 물리.화학적 처리만으로 만족할만한 처리수를 얻을 수 있으나 대부분의 처리장에서는 다양한 처리방법이 여러 가지 복합적이고 종합적으로 얽혀있고 특히 최근 처리장의 방류수 수질기준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도처리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면서 기존 생물학적, 화학적 방법의 한계를 벗어나 질소나 인이나 색도를 제거할 수 있는 고도의 새로운 생물학적 공정 내지 새로운 처리공법의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하수나 분뇨, 축산폐수 및 산업폐수 등의 오, 폐수 처리방법 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온 방법은 생물학적인 처리방법이고, 생물학적인 처리방법 중에서 폭기조에 충분한 산소 존재하에서 활성미생물의 유기물분해와 자신의 세포합성을 통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하수 또는 오폐수처리 공정으로 활성슬러지 공정을 들 수 있는바, 활성슬러지 공정에서 사용되는 미생물은 충분한 정도의 용존산소가 존재해야만 유기물대사가 가능한 호기성 미생물 군으로 세균에서부터 미생물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가 다종다양하다.
따라서 이 공정은 폭기조 내의 전체 미생물 군을 농도 개념으로 나타내는 MLSS 또는 MLVSS를 포괄적으로 미생물 개념으로 보아 유입되는 유기물(BOD)와 이들 미생물의 비(F/M)를 주요한 제어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용존산소와 온도 등이 중요한 영향인자로 취급되고 있고 폭기조의 상태판단을 조 내의 미생물상 특히 나타나는 원생동물의 종류에 많은 부분을 의존하고 있다.
이 공정이 적용되는 처리장에서 기대하고 있는 오염물의 분리효능은 처리장의 설계시에 가상한 운전조건이 정확히 충족질 때 높은 분리효율을 얻을 수 있으나 현재까지 대부분의 처리장에서 이러한 조건의 조절을 위해 많은 고심하면서 설계치의 방류수질을 얻기 위해 노력해 왔으나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오랜 세월 운전되면서 정착되어온 종래의 활성슬러지 공정방법도 부하변동, 용존산소 및 온도변화 등 세부조건 변화에 민감하여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운전하에서도 오염물의 분리성능에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강화되고 있는 방류수질 기준을 맞출 수 있는 새로운 고도처리 공정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오.폐수 중의 유기물과 질소 및 인 등 영양성분을 제거하는 미생물로서 바실러스균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실험결과 및 연구자료가 많이제시되고 있지만, 일반 하수처리장이나 오,폐수 처리장의 운전조건하에서는 바실러스균 보다 여타 잡균의 활동이 우세하여 바실러스균의 농도가 낮게 유지되고 있으 며, 바실러스균의 증식을 촉진하기 위해 폭기방법 등 운전조건을 변화시켜준다고 하더라도 바실러스균의 성장 특성 때문에 바실러스균의 우점화 배양이 용이하지 않아 이들 처리장에서 바실러스균을 고농도로 유지하는 것이 결코 쉽지가 않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바실러스균은 성장증식을 위한 호조건의 환경이 조성되었을 때 사상체를 형성하면서 급속도로 성장하게 되나 불리한 환경에서는 포자를 만들어 휴지상태에 들어가는 특성으로 일반적인 활성슬러지를 형성하는 호기성 미생물과는 많은 차이점을 갖기 때문에 수많은 미생물의 혼합배양에 의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처리장에서 바실러스균을 이용하여 오폐수를 정화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들 바실러스균의 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적절한 증식수단이나 미생물의 활성화를 위한 특단의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으로, 본원의 목적은 하수, 분뇨, 축산폐수, 산업폐수 등의 오,폐수를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오,폐수처리 공정 중 활성오니공정의 비정상적인 운전조건하에서도 오,폐수를 고효율로 분해처리할 수 있는 미생물군의 바실러스균의 포자형성, 발아 및 그 성장 증식을 촉진시키고 활성을 현저하게 증진시켜 바실러스균이 우점배양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미생물 활성화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원에서 제공되는 미생물 활성화제는 기본 배양제로서 규산질비료와 황산마그네슘 7수화물(MgSO4ㆍ7H2O)을 기본조성으로 포함하고 그 외 이탄(Peat)이나 규조토나 지오라이트(Zeolite)나 고로슬래그, 소석회(Ca(OH)2), 황산아연(ZnSO4), 황산구리(CuSO4), 염화망간4수화물(MnCl2ㆍ4H2O) 중에서 선택되는 성분을 일정범위의 배합조성으로 포함되어 제공되는 미생물을 활성화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상기의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수, 분뇨, 축산폐수, 식품폐수, 산업폐수 등의 오,폐수를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오,폐수처리 공정 중 활성오니공정의 비정상적인 운전조건 하에서도 오,폐수 를 고효율로 분해처리할 수 있는 미생물군인 바실러스균의 포자형성, 발아 및 그 성장 증식을 촉진시키고 활성을 현저하게 증진시켜 바실러스균이 우점 배양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미생물 활성화제를 통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미생물 활성화제는 기본 배양제로서 규산질비료와 황산마그네슘 7수화물(MgSO4ㆍ7H2O)을 기본조성으로 포함하고 그 외 이탄(Peat)이나 규조토나 지오라이트(Zeolite)나 고로슬래그, 소석회(Ca(OH)2), 황산아연(ZnSO4), 황산구리(CuSO4), 염화망간4수화물(MnCl2ㆍ4H2O) 중에서 선택되는 성분을 일정범위의 배합조성으로 포함되어 제공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낮은 생활하수의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이용하여 수 처리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미생물 활성화제로 규산질비료30±10w%와 황산마그네슘 7수화물(MgSO4ㆍ7H2O) 25±10w%에 이탄(Peat)25±10 w%, 규조토 15±5 w%, 지오라이트(Zeolite)5±2 w% 범위 배합조성으로 제공되어 일반 오,폐수처리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높은 분뇨나 축산폐수를 처리할 때는 규산질비료 30±10 w%와 황산마그네슘7수화물(MgSO4ㆍ7H2O) 25±10 w%에 고로슬래그 30±10 w%, 소석회(Ca(OH)2) 6±3 w%, 규조토(Diatomite) 6±3 w%, 황산아연(ZnSO4) 1.5±1.0 w%,%, 황산구리(CuSO4) 1.5±1.0 w% 범위 배합조성으로 제공되어 분뇨나 축산폐수 처리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식품폐수나 산업폐수 처리를 수행할 때는 규산질비료 30±10 w%와 황산마그네슘7수화물(MgSO4ㆍ7H2O) 25±10 w%에 고로슬래그 23±10 w%, 이탄(Peat) 9±5 w%, 소석회(Ca(OH)2) 6±3w%, 규조토(Diatomite)6±3 w%, 염화망간4수화물(MnCl2ㆍ4H2O) 0.6±0.3 w%, 황산아연(ZnSO4)0.2±0.1 w%, 황산구리(CuSO4)0.2±0.1 w% 범위 배합조성으로 제공되어 식품폐수나 산업폐수 처리에 이용되는 미생물 활성화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포괄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미생물 활성화제를 처리대상 오,폐수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특성에 맞도록 활성화제가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시예 조성은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 기재에서 상세히 제시하도록 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미생물 활성제가 바실러스균을 이용하여 하수, 분뇨 및 오폐수등을 처리하는 처리장에 투여되는 때 처리조 내에는 충분한 영양분이 충분한 상태가 되면서 바실러스균이 급속하게 성장되어 사상체로 형성됨에 따라 결국에는 영양분의 부족상태가 초래되고, 이같은 상태에서 균체량을 반송비의 증가 등을 통해 오히려 늘려주면 사상체를 형성하고 있는 개별균체들은 더욱 심한 양양분 부족상태가 되는데 이것이 한계점에 도달하면 포자가 형성되면서 사상체가 해체되고 포자를 포함한 균체수는 증가되는 한편 형성된 포자가 영양분의 공급하에서 발아되어 새로운 균체로 성장되면서 기하급수적으로 증식됨에 따라 바실러스균의 우 점이 되고 배양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실시내용을 실시예로 기재하기에 앞서,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고자 하는바, 아래에 기재되는 실시예는 수 많은 시행오차를 거쳐 밝혀낸 베스트 모드를 기재한 것으로 수치의 상한 및 하한을 나타내는 범위는 기재된 수치의 상한 및 하한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발명자가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정해진 수치임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미생물 활성화제는 배양제의 기본으로 규산질비료와 황산마그네슘 7수화물(MgSO4ㆍ7H2O)을 포함하는 구성을 기본구성으로 하고, 상기 기본구성에 오폐수의 처리대상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배합조성을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일반 하수처리용 미생물 활성화제와 축산분뇨 폐수용 미생물 활성화제 및 식품폐수용 미생물 활성화제의 구체적 배합조성비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시예 1
일반 하수처리용 미생물 활성제로서 규산질비료 30 ㎏, 황산마그네슘7수화물(MgSO4ㆍ7H2O) 25 ㎏, 이탄(Peat) 25 ㎏, 규조토 15 ㎏, 지오라이트(Zeolite) 5 ㎏을 혼합하여 100 ㎏를 얻고 이를 분쇄하여 250 메쉬(mesh)의 입도크기로 얻어서 미생물 활성화제로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규산질비료는 주로 규소성분의 용출을 목적으로 사용하게 되며 이때 규소성분은 바실러스균의 영양세포가 사상체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성분이며, 황산마그네슘 7수화물(MgSO4ㆍ7H2O)은 마그네슘과 황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바, 황 성분은 미생물에 필요한 아미노산의 성분 및 각종 비타민 성분을 용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조성에서 이탄은 바실러스균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바실러스균의 증식에 필요한 각종 미네랄 성분들을 용출시켜주며, 규조토는 미생물을 왕성하게 흡착시키는 기능을 하고, 지오라이트는 이온교환기능을 도와주게 되며, 상기의 원료들은 상기의 상한, 하한 ±range 범위로 배합되는 경우 유사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실시예 1과 같은 배합비로 혼합기에 넣기 전 각각의 원료를 200~300 메쉬(mesh) 범위의 입도크기로 분쇄 후 혼합기에 넣고 약 15분 정도 혼합하는 단계를 거쳐 포장기에서 포장하여 외부에 미생물 활성배양제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2
축산분뇨 폐수용 미생물 활성제로서 규산질비료 32 ㎏, 황산마그네슘7수화 물(MgSO4ㆍ7H2O) 23 ㎏, 고로 슬래그 34 ㎏, 소석회(ca(OH)2) 6 ㎏, 규조토 3 ㎏, 황산아연(ZnSO4) 1㎏, 황산구리(CuSO4) 1㎏를 혼합하여 100 ㎏를 얻고 이를 분쇄하여 250 메쉬(mesh)의 입도크기로 얻어서 미생물 활성화제로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고로 슬래그는 규소, 망간 그리고 철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주로 철의 용출을 목적으로 하고 철은 바실러스균의 호흡관련 효소의 보호인자 이며 슬러지의 침강성을 용이하게 해주는 효과를 주고 아연과 구리는 각종 효소작용의 보조인자로 작용하고 망간은 바실라스균의 포자화를 유도할 때 유효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며, 고로 슬래그는 250 mesh 이상으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그 이유는 슬래그(slag)의 입도가 크면 필요성분의 용출도가 낮아져서 더 많은 양을 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미생물 활성화제를 물에 용해시켜 펌프로 주입할 때 용해탱크 하부나 이송배관 내에 슬래그 성분이 쌓여 배관이 협소해져서 정량주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에서 소석회(ca(OH)2)는 칼슘성분을 보충시키는 기능을 하고, 황산아연(ZnSO4)은 아연성분을 보충해주는 기능을 하며, 황산구리(CuSO4)는 구리성분을 보ㅊ충해주는 기능을 하며 미생물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되며, 상기의 각 성분들을 정해진 혼합비로 혼합기에 넣고 약 10분간 혼합한 후 포장기에서 포장되어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실시예 3
식품폐수용 미생물 활성제로서 규산질비료 30 ㎏, 황산마그네슘7수화 물(MgSO4ㆍ7H2O) 23 ㎏, 고로슬래그 25 ㎏, 이탄(Peat) 9 ㎏, 소석회(ca(OH)2) 6 ㎏, 규조토 6 ㎏, 염화망간4수화물(MnCl2ㆍ4H2O) 0.6㎏, 황산아연(ZnSO4) 0.2㎏, 황산구리(CuSO4) 0.2㎏를 혼합하여 100 ㎏를 얻고 이를 분쇄하여 250 메쉬(mesh)의 입도크기로 얻어서 미생물 활성화제로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염화망간4수화물(MnCl2ㆍ4H2O)는 미생물에 망간을 보충해 줘서 바실러스균의 포자화를 유도하는 효과를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오,폐수의 처리대상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배합조성을 갖도록 제공되는 미생물 활성화제를 이용하여 미생물 배양활성화제 투여 전과 투여 후의 오염물질의 농도변화를 바실러스균 개체수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실험 1
본원에서 제공되는 미생물 배양제들이 처리대상 오폐수 중에서 미생물 배양제 투여 전과 미생물 배양제 투여 후의 오폐수 처리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한 내용으로 출원인 유림엔마텍에서 관리하는 1차 처리원수로 수질기준은 BOD 250, T-N 61, SV1 120 조건의 처리 대상수를 유림엔마텍에서 개발한 경사판 접촉 바실러스 생물막법을 이용하여 처리한 결과를 아래 표 1과 같이 얻을 수 있었다.
표 1. (미생물 배양제 투여전과 투여후의 오염물질의 농도변화와 바실러스균 개체수의 변화)
항목 원수조건 처리수
배양제 투여 전 배양제 투여 후
BOD(/l) 250 20 7.5
T-N 61 32 15
SV1 120 70
바실러스균수(개/) 3.2~4.5×104 5.9~7.0×107
총균체개수(개/) 4.3~5.2×105 6.4~7.8×107
상기의 분석자료로부터 배양제 투여 전보다 배양제 투여 후의 효과가 훨씬 개선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 2
처리대상 오폐수는 축산폐수로서 오폐수로 원수의 수질기준은 BOD 9500, T-N 1750, SS 15,600 의 처리대상수를 유림엔마텍에서 개발한 경사판 접촉 바실러스 생물막법을 이용하여 처리한 결과를 아래 표 2와 같이 얻을 수 있었다.
표 2.
항목 원수조건 처리수
배양제 투여전 배양제 투여후
BOD(/l) 9500 80 13
T-N 1750 102 28
SS(/l) 15600 80 9.5
SV1 146 92
바실러스균수(개/ 4.0×105~1.2×106 6.5×109~4.2×1010
바실러스균수(개/) 7.8×109~8.7×109 1.2×1010~4.5×1010
총균체개수(개/) 1.4×1010 4500 9
상기의 분석자료로부터 축산폐수에서도 배양제 투여 전보다 배양제 투여 후의 효과가 훨씬 개선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 3
처리대상 오폐수로 식품폐수로 원수의 수질기준은 BOD 2200, T-N 370, COD 880 의 처리대상수를 유림엔마텍에서 개발한 경사판 접촉 바실러스 생물막법을 이용하여 처리한 결과를 아래 표 3과 같이 얻을 수 있었다.
표 3
항목 원수조건 처리수
배양제 투여전 배양제 투여후
BOD(/l) 2200
T-N 370
COD(/l) 880 105 36
SV1 145
바실러스균수(개/ 2.2~3.4×105 3.2~4.5×108
총균체개수(개/) 2.3~3.7×106 4.5~4.8×108
상기의 분석자료로부터 식품폐수에서도 배양제 투여 전보다 배양제 투여 후의 효과가 훨씬 개선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이용하여 수 처리작업을 수행 시 규산염물질과 황산염물질을 기본 조성으로 포함하여 미생물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미생물 활성화제에 있어서,
    미생물 활성화제로 규산질비료30±10w%와 황산마그네슘 7수화물(MgSO4ㆍ7H2O) 25±10w%에 이탄(Peat)25±10 w%, 규조토 15±5 w%, 지오라이트(Zeolite)5±2 w% 범위 배합조성으로 제공되어 일반 오,폐수처리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활성화제.
  2. 바실러스균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이용하여 분뇨나 축산폐수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생물 활성화제로 규산질비료 30±10 w%와 황산마그네슘7수화물(MgSO4ㆍ7H2O) 25±10 w%에 고로슬래그 30±10 w%, 소석회(Ca(OH)2) 6±3 w%, 규조토(Diatomite) 6±3 w%, 황산아연(ZnSO4) 1.5±1.0 w%,%, 황산구리(CuSO4) 1.5±1.0 w% 범위 배합조성으로 제공되어 분뇨나 축산폐수 처리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활성화제.
  3. 바실러스균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이용하여 식품폐수나 산업폐수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생물 활성화제로 규산질비료 30±10 w%와 황산마그네슘7수화물(MgSO4ㆍ7H2O) 25±10 w%에 고로슬래그 23±10 w%, 이탄(Peat) 9±5 w%, 소석회(Ca(OH)2) 6±3w%, 규조토(Diatomite)6±3 w%, 염화망간4수화물(MnCl2ㆍ4H2O) 0.6±0.3 w%, 황산아연(ZnSO4)0.2±0.1 w%, 황산구리(CuSO4)0.2±0.1 w% 범위 배합조성으로 제공되어 식품폐수나 산업폐수 처리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활성화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활성화제는 200 ~ 300 mesh 범위로 분쇄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활성화제.
KR20090100292A 2009-10-21 2009-10-21 하수, 분뇨, 축산폐수, 산업폐수 등이 오 폐수처리용 미생물 활성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43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0292A KR20110043255A (ko) 2009-10-21 2009-10-21 하수, 분뇨, 축산폐수, 산업폐수 등이 오 폐수처리용 미생물 활성화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0292A KR20110043255A (ko) 2009-10-21 2009-10-21 하수, 분뇨, 축산폐수, 산업폐수 등이 오 폐수처리용 미생물 활성화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255A true KR20110043255A (ko) 2011-04-27

Family

ID=4404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00292A KR20110043255A (ko) 2009-10-21 2009-10-21 하수, 분뇨, 축산폐수, 산업폐수 등이 오 폐수처리용 미생물 활성화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325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7729A (zh) * 2015-12-30 2016-03-23 叶君芝 一种高效污水净化剂
CN107324487A (zh) * 2017-06-28 2017-11-07 顾秋军 一种微生物活性促进剂及其使用方法
CN107428574A (zh) * 2015-04-13 2017-12-01 富士电机株式会社 污水处理方法和污水处理用的活性剂
CN113072075A (zh) * 2021-03-30 2021-07-06 湖南三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硫基硅藻土粉体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8574A (zh) * 2015-04-13 2017-12-01 富士电机株式会社 污水处理方法和污水处理用的活性剂
EP3252019A4 (en) * 2015-04-13 2018-02-21 Fuji Electric Co., Ltd.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and activator for treating wastewater
CN105417729A (zh) * 2015-12-30 2016-03-23 叶君芝 一种高效污水净化剂
CN107324487A (zh) * 2017-06-28 2017-11-07 顾秋军 一种微生物活性促进剂及其使用方法
CN113072075A (zh) * 2021-03-30 2021-07-06 湖南三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硫基硅藻土粉体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mal et al. Treatment of wastewater by vermifiltration integrated with macrophyte filter: a review
Huang et al. Correlation among soil microorganisms, soil enzyme activities, and removal rates of pollutants in three constructed wetlands purifying micro-polluted river water
WO2019100579A1 (zh) 一种快速消减有机固体废物中抗生素及抗性基因的方法
CN105859060B (zh) 一种污水脱磷脱氮的处理方法
CN104086001B (zh) 一种用于工业污水的处理工艺及其在菌肥制备中的应用
Chen et al. Enhanced simultaneous partial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performance of aerobic granular sludge via tapered aeration in sequencing batch reactor for treating low strength and low COD/TN ratio municipal wastewater
KR101299953B1 (ko) 생물활성수(bmw) 공법에 의한 축산폐수의 효율적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107311315B (zh) 基于生物-生态耦合的黑臭水体净化方法
Choi et al. Development of a biological process for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using a technique for predominant outgrowth of Bacillus species
Yadav et al. Ensuring sustainability of conventional aerobic wastewater treatment system via bio-augmentation of aerobic bacterial consortium: An enhanced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approach
KR20110043255A (ko) 하수, 분뇨, 축산폐수, 산업폐수 등이 오 폐수처리용 미생물 활성화제 및 그 제조방법
Rong et al. Towards advanced mariculture wastewater treatment by bacterial-algal symbiosis system with different bacteria and algae inoculation ratios
KR102171918B1 (ko) 축산폐수의 자원화 및 정화처리 순환재활용 시스템
KR101794519B1 (ko) 머드스톤 함유 자화수를 이용한 가축용 음용수의 제조방법 및 장치
Zhang et al. Preservation of autotrophic nitrifying granular sludge and its rapid recovery
KR100823318B1 (ko) 질산성질소 및 아질산성질소의 황산화탈질용 담체와 이의 제조 방법과 이의 미생물 식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수의 탈질처리 방법
JP3607925B2 (ja) 高胞子種汚泥の製造方法
Aung et al. Observational study of wastewater treatment by the use of microalgae
Vieira et al. The effect of clay particles on the activity of suspended autotrophic nitrifying bacteria and on the performance of an air-lift reactor
KR20020018925A (ko) 유기물의 부식화에 의한 폐수의 처리방법
KR20170045707A (ko) 토양성 미생물군집을 이용한 고농도 악취폐수의 처리방법
KR100205002B1 (ko) 하수, 분뇨 또는 오폐수처리용 미생물활성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05797A (ko) 바실러스 종균을 활용한 라군폐수의 총인과 총질소 제거 공정
KR101323711B1 (ko) pH 조절용 알칼리수를 이용한 폐수의 탈질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JP2004344886A (ja) 高胞子種汚泥の製造方法及び高胞子種汚泥を用いた排水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