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861A -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861A
KR20110042861A KR1020090099718A KR20090099718A KR20110042861A KR 20110042861 A KR20110042861 A KR 20110042861A KR 1020090099718 A KR1020090099718 A KR 1020090099718A KR 20090099718 A KR20090099718 A KR 20090099718A KR 20110042861 A KR20110042861 A KR 20110042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gbee
zigbee node
transaction
meter reading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675B1 (ko
Inventor
한정훈
조규석
Original Assignee
(주)누리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텔레콤 filed Critical (주)누리텔레콤
Priority to KR102009009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675B1/ko
Priority to PCT/KR2010/006880 priority patent/WO2011049307A2/ko
Publication of KR20110042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G08C2201/12Power saving techniques of remote control or controlled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2Transmitting or receiving remote control signals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은, 검침 서버로부터 명령 신호를 요청 받는 단계, 지그비 노드로부터 액티브 통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명령 신호의 순서대로 지그비 노드로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지그비 노드로부터 명령 신호에 따른 명령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검침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시간에만 지그비 통신이 가능한 지그비 네트워크의 경우, 검침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을 비동기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명령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잭션의 수행 결과를 데이터와 코드로 분리하여, 필요할 경우 결과 코드만 지그비 노드가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통신 리소스(Communication Resource)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지그비,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 집중기, 비동기, 트랜잭션

Description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asynchronous COMMAND ACHIEVING METHOD OF REMOTE METER READING SYSTEM}
본 발명은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그비 노드와 비동기적으로 지그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사람들이 원활한 삶과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도, 가스 및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도, 가스 및 전력을 각 수용가에 공급하는 사업체는 각 수용가로 공급되는 수도 사용량, 가스 사용량 및 전력 사용량을 계량하는 계량기를 각 수용가에 설치하여 계량된 수치에 따라 사용 요금을 부과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요금을 부과하는 대상이 많게 되면 검침원에 의해 계량기를 일일이 확인하여 사용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은 부적절해진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원격검침 시스템들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원격 검침 시스템은 유선을 통한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무선을 통한 원격 검침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고,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은 통신 라인을 설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특히 광역 원격 검침에 유용하다.
한편, 최근 지그비(ZigBee) 표준이 발표되면서 블루투스를 대체할 차세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서 서서히 부상하고 있다. 지그비는 단순 기능이 요구되는 초소형, 저전력, 저가격 시장에 적합한 기술로 특히 표준이 지체되고 있는 전력선 통신과, 상용화가 늦어지는 블루투스 등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그비는 주로 홈오토메이션과 같은 홈네트워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그비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의 하나로서 가정,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m~1km 내외의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기술이다. 또한 실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AA 알카라인 건전지 2개만으로 수년까지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관리가 용이하다. 이처럼 지그비는 다른 무선통신기술과 달리 전력소모도 적고 저가 제품구현이 가능해 지능형 홈네트워크, 빌딩 및 산업용 기기 자동화, 물류, 환경 모니터링, 휴먼인터페이스, 텔레매틱스, 군사 등 다양한 유비쿼터스 환경에 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그비의 장점으로 인하여 지그비 통신방식은 최근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계량기에 장착되는 원격 검침 무선 모뎀과, 원격 검침 무선 모뎀으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는 집중기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채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검침 시스템에 의하면, 전기 공급이 어려운 음영 지역이나 가스 검침 지역 또는 고층 건물에서는 지그비 노드를 항상 액티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비용적인 측면이나 전력 사용의 효율적인 측면에서 비 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그비 통신 이 하루 중에서 일정 시간에만 가능한 무선 검침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매우 짧은 기간 동안 액티브 상태가 되므로 효과적으로 지그비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정 시간에만 액티브 상태가 되어 있는 지그비 노드와 효과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은, 검침 서버로부터 명령 신호를 요청 받는 단계, 지그비 노드로부터 액티브 통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명령 신호의 순서대로 상기 지그비 노드로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지그비 노드로부터 상기 명령 신호에 따른 명령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검침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지그비 노드는 특정 시간에만 액티브 상태가 되는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검침 서버로부터 명령 신호를 요청 받으면, 트랜잭션이 생성되고, 상기 지그비 노드로부터 액티브 통지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트랜잭션은 대기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지그비 노드로부터 액티브 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트랜잭션은 순서 대기 상태가 되며, 상기 순서 대기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명령 신호가 상기 지그비 노드로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순서 대기 상태에서 일정 횟수 이상 상기 명령 신호가 상기 지그비 노드로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트랜잭션은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은, 검침 서버로부터 명령 신호를 요청 받은 상태에서, 지그비 노드로부터 액티브 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명령 신호의 순서대로 상기 지그비 노드로 전달하고, 상기 지그비 노드로부터 상기 명령 신호에 따른 명령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검침 서버로 전달하는 집중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시간에만 지그비 통신이 가능한 지그비 네트워크의 경우, 검침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을 비동기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명령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잭션의 수행 결과를 데이터와 코드로 분리하여, 필요할 경우 결과 코드만 지그비 노드가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통신 리소스(Communication Resource)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은, 검침된 검침 데이터를 무선으로 통신하는 지그비 노드(10)와, 지그비 노드(10)로부터 전송된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검침 서버(40)으로 전송하고, 검침 서버(40)으로부터 전송되는 명령 신호를 지그비 노드(10)로 전송하는 집중기(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그비 노드(10)와 집중기(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 지그비 통신망(30)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지그비 노드(10)는 복수의 그룹(10G_1)(10G_2)(10G_3)(10G_4)으로 그룹핑되어 지그비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집중기(20)를 통하여 검침 서버(40)와 통신을 수행한다.
지그비 노드(10)는 전력, 에너지, 배터리 등을 검침하는 단말기로서, 지그비 라우터(ZR: ZigBee Router),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 ZigBee End Device)을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의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는 지그비 라우터(ZR)는 풀 펑션 디바이스(FFD: Full Function Device)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검침 데이터를 센싱하여 획득하기만 하고 라우팅 기능은 수행하지 않는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는 축소 펑션 디바이스(RFD: Reduced Function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지그비 라우터(ZR)와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는 국제 방식인 2.4GHz로 운영 가능하도록 하며, 프로토콜 스택을 경량화하여 소형의 MCU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지그비 네트워크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100)와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200)가 혼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집중기(20)가 하이브리드 네트워크(100)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집중기(20)와 지그비 노드(10)에 대해서만 도시하였고, 지그비 노드를 지그비 라우터(ZR)와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로 구별하여 도시하였다.
먼저, 지그비(Zigbee) 네트워크에 대하여 설명하면, 지그비란 꿀벌(Bee)이 지그재그(Zigzag)로 다니면서 꽃과 꿀이 있는 장소를 서로에게 정확하게 알려주면서 의사소통을 하는 모습에서 따온 단어로서,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목적을 둔 블루투스와 달리 저용량 데이터전송과 저전력을 특징으로 하는 PAN(Personal Area Network) 통신규격의 하나이다.
도 2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네트워크(100)는 집중기(20), 지그비 라우터(ZR: ZigBee Router),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 ZigBee End Device)가 네트워크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디바이스들이 스타 방식(STAR TYPE) 및 메쉬 방식(MESH TYPE)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네트워킹 되어 있다.
여기서, 스타 방식은 PAN(Personal Area Network) 코디네이터를 중심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토폴로지를 의미하며, 메쉬 방식은 지그비의 계층적인 구조에 의존적이지 않고 자유롭게 전송 범위 내에서 최적의 경로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토폴로지를 의미한다.
집중기(20)는 최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노드로서, 지그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하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지그비 노드들에게 주소를 할당하거나 데이터를 중계하는 라우팅 기능을 갖는다.
또한, 지그비 라우터(ZR)는 최상위 계층의 존재하는 집중기(20) 및 이미 네트워크에 참여한 지그비 라우터(ZR)들의 하위 레벨에 위치하며, 데이터를 중계하거나, 이후 지그비 네트워크에 새롭게 참여하는 임의의 지그비 노드들에게 주소를 할당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는 집중기(20) 및 지그비 라우터(ZR)의 하위 계층에 위치하며, 응용을 위한 최소한의 기능만을 갖고 주소할당 및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에는 검침기능을 가지는 센서를 구비하거나 연결되어 있어, 센서로부터 감지된 각종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위 계층인 지그비 라우터(ZR)로 전달한다.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는 블루투스에 비해 전송 데이터 양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하나의 배터리로 1년이상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저전력 규격이며, 소프트웨어, 관련 부품들을 최소화해 원가 역시 블루투스에 비해 훨씬 적고, 수만 개의 근거리 통신망, 즉 네트워크화할 수 있으며, 한편으론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로서 본 발명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는 통상적으로 30∼80m 간격의 스타 방식(STAR TYPE)으로 설치되며, 지그비 라우터(ZR)에 대하여 스타 방식으로 배치된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의 검침 데이터는 메쉬 방식(MESH TYPE)으로 네트워킹 연결된 지 그비 라우터(ZR)들에 의하여 센싱되면서 교신된다. 지그비 라우터(ZR)로부터 전송된 검침 데이터는 집중기(20)에 의하여 취합된 후 검침 서버에 원거리로 전파된다.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200)에는 복수의 지그비 라우터(ZR)가 메쉬 방식으로 네트워크 되어 형성되며,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는 포함되지 않는다.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2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지그비 라우터(ZR)는 주로 전력 공급이 어려운 음영 지역이나 가스 검침 지역 또는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집중기(20)와 지그비 통신을 수행한다.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200)에 포함된 지그비 라우터(ZR)는 일정 주기마다 슬립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되며 메쉬 방식으로 통신한다. 즉, 지그비 라우터(ZR)에 구비된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검침 데이터를 메쉬 방식으로 집중기(20)까지 전송한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하이브리드 네트워크(100)에 포함된 지그비 라우터(ZR)와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는 검침 데이터를 수시로 전송하므로 대부분의 시간을 액티브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검침 서버(40)가 하이브리드 네트워크(100)에 포함되어 있는 집중기로 검침 데이터 요청 신호를 전달하면, 하이브리드 네트워크(100)에 포함된 지그비 라우터(ZR)와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는 실시간으로 동시 다발적(synchronous)으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200)는 특정 시간에 짧은 기간동안 액티브 상태로 유지되므로, 검침 서버(40)가 요청 신호(request)를 전달하더라도 실시간으로 명령에 응할 수 없다. 즉, 검침 서버(40)가 검침된 데이터 전송을 요청 명령하는 on-demand 상태에서,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200)가 액티브 상태가 된 다음에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200)에 포함된 지그비 라우터(ZR)와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는 특정 시간에만 비동기적(asynchronous)으로 검침 서버(40)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200)에 포함된 지그비 라우터(ZR)와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를 예로 들어 비동기적(aynchronous) 명령 수행을 설명하였으나, 하이브리드 네트워크(100)에 포함된 지그비 라우터(ZR)와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의 경우에도 지그비 통신 가능성을 즉각적으로 알 수 없는 경우에는 비동기적으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를 통하여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그비 네트워크에서의 비동기 명령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그비 노드(ZigBee Node)(10)는 지그비 라우터(ZR)와 지그비 종단 디바이스(ZED)를 포함한다.
먼저, 검침 서버(40)가 집중기(20)로 실행 요청(Operation Request)을 위한 명령을 전달한다(S10). 여기서, 검침 서버(40)는 검침 데이터 수집, 전원 차단, 전원 복구, 설정 변경 등의 지그비 노드(10)와 관련된 각종 제어 명령에 대하여 실행을 요청한다.
검침 서버(40)로부터 요청 명령을 수신한 집중기(20)는 트랜잭션 (Transaction)에 대한 관리를 담당하게 된다. 즉, 집중기(20)는 검침 서버(40)의 요청 신호를 트랜잭션으로 래핑(wrapping)하고, 지그비 노드(10)가 요청된 작업을 비동기 수행하기까지 지그비 노드(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집중기(20)는 지그비 노드가 웨이크-업(Wake-up)에 대한 통지 신호(Active Notification)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WAIT)하도록 한다. 즉, 지그비 노드(10)가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200)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정 시간에만 액티브 상태가 되므로, 지그비 노드(10)가 액티브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 상태(WAIT)가 된다. 또한 지그비 노드(10)가 하이브리드 네트워크(100)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지그비 통신 가능성을 즉각적으로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지그비 노드에 대한 접근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지그비 노드가 액티브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 상태(WAIT)가 된다. 예를 들면, 지그비 노드가 최근에 설치되어 초기화된 경우에는 통신 경로(path)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지그비 노드에 대한 접근이 보장되지 않는다.
지그비 노드(10)가 액티브 상태가 되면, 지그비 노드(10)는 액티브 상태라는 정보를 집중기(20)로 통보(Active Notification)하게 된다(S20).
이때, 집중기(20)는 지그비 노드(10)로 전달하고자 하는 명령 신호를 우선 순위에 따라 전달하는데, 이때, 후순위에 있는 명령 신호는 우선 순위의 명령에 대한 실행이 종료될 때까지 순서 대기(QUUEUE) 상태가 된다(S30). 즉, 집중기(20)가 지그비 노드(10)와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리소스(network resource)는 한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명령 신호를 동시에 보낼 수는 없다. 따라서, 집중기(20)는 우선 순위에 있는 명령 신호를 먼저 전송하고, 해당 명령에 대한 실행이 종료되면 다음 순위에 해당하는 명령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면, 3개의 네트워크 리소스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10개의 명령 신호를 지그비 노드(10)로 전송해야 한다고 가정하면,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3개의 명령 신호를 먼저 전송하고, 나머지 7개의 명령 신호는 순서 대기(QUUEUE)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전송된 명령 신호 중에서 1개에 대한 실행이 종료될 경우에는, 4순위에 있는 명령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트랜잭션은 자기의 순서가 될 때까지 순서 대기(QUUEUE) 상태가 된다.
집중기(20)는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명령 신호부터 순차적으로 해당되는 지그비 노드로 전달하고, 지그비 노드는 요청된 명령에 대응하여 작업을 실행(RUN)하게 된다(S40). 특히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200)에 포함된 지그비 노드의 경우, 약 38초 동안 액티브 상태가 되므로, 단계 S40은 이 기간 동안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지그비 노드는 액티브 상태에서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여 집중기(20)로 전달하거나, 그 밖에 요청된 명령에 대응하여 작업을 실행한다.
지그비 노드가 명령 수행을 완료(TERMINATE) 하게 되면, 집중기(20)는 명령 처리 데이터(Transaction)를 삭제한다(DELEATE). 여기서,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200)의 경우 24시간 중에서 약 38초 정도의 짧은 기간 동안에만 액티브 상태가 되므로, 단기간 내에 명령 실행 및 삭제 과정이 이루어 지게 된다.
그리고, 집중기(20)는 트랜잭션 처리 결과를 검침 서버(40)로 전달한다(S50). 즉, 집중기(20)는 지그비 노드(10)의 트랜잭션 처리에 대하여 성공 또는 실패 여부에 대하여 검침 서버(40)로 보고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표 1을 참고하여 트랜잭션 상태 변화 과정에 대하여 더 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트랜잭션의 상태 전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트랜잭션은 생성과 동시에 'WAIT' -> 'QUEUE' -> 'RUN' -> 'TERMINATE'의 4가지 상태 중 한가지 상태에 해당하게 된다. 표 1에서 트랜잭션은 'DELETE' 상태가 정의되어 있지만 'DELETE' 동작이 수행되면 트랜잭션은 삭제되기 때문에 'DELETE' 상태인 트랜잭션은 존재할 수 없다. 각 상태의 전이 조건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09064154632-PAT00001
도 4 및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Normal 인 경우에는 트랜잭션은 생성과 동시에 'WAIT' -> 'QUEUE' -> 'RUN' -> 'TERMINATE'의 과정을 진행하게 되며, 이 과정은 도 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트랜잭션이 대기(WAIT) 상태에서, 집중기(20)가 지그비 노드(10)로부터 액티브 상태라는 통보(Active Notification)를 수신하면 트랜잭션은 순서 대기(QUEUE) 상태가 된다(Normal). 그러나, 집중기(20)가 지그비 노드로부터 액티브 상태라는 통보(Active Notification)를 일정 기간 내에 받지 못하면(TIME OUT), 트랜잭션은 종료(TERMINATE)되고, 검침 서버(40)의 요청이 있으면 트랜잭션은 삭제(DELEATE)된다.
그리고, 트랜잭션이 순서 대기(QUEUE) 상태에서, 제한 시간 내에 우선 순위에 해당되어 지그비 노드로 명령이 전달되는 경우, 지그비 노드는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작업을 실행(RUN)한다(Normal). 그러나 트랜잭션이 순서 대기(QUEUE) 상태에서, 제한 시간 내에 우선 순위에 해당하지 못하는 경우에는(TIME OUT), 다시 대기(WAIT) 상태가 되어 재시도(retry)를 준비하게 된다. 즉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200)에 포함된 지그비 노드인 경우에는 38초 동안만 액티브 상태가 유지되므로, 트랜잭션은 38초 이내에 명령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우선 순위가 낮은 경우 38초 이내에 명령을 수행하지 못하면, 트랜잭션은 다시 대기(WAIT) 상태로 돌아가게 되고, 일정 횟수 이상 실패하여 대기(WAIT) 상태로 돌아가게 되면, 그 다음 번에는 검침 서버(40)의 요청에 따라 트랜잭션은 삭제(DELEATE)된다.
그리고, 트랜잭션이 실행(RUN)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명령을 수행하게 되면 트랜잭션은 종료(TERMINATE) 상태가 되고(Normal), 종료된 트랜잭션은 정상적으로 삭제(DELEATE)된다. 그러나 트랜잭션이 실행(RUN) 상태에서, 지그비 노드가 명령을 비정상적으로 종료하게 되면 트랜잭션은 대기(WAIT)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특정 시간에만 지그비 통신이 가능한 지그비 네트워크의 경우, 검침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을 비동기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명령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잭션의 수행 결과를 데이터와 코드로 분리하여, 필요할 경우 결과 코드만 지그비 노드가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통신 리소스(Communication Resource)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그비 네트워크에서의 비동기 명령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트랜잭션의 상태 전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0)

  1. 검침 서버로부터 명령 신호를 요청받는 단계,
    지그비 노드로부터 액티브 통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명령 신호의 순서대로 상기 지그비 노드로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지그비 노드로부터 상기 명령 신호에 따른 명령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검침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비 노드는 특정 시간에만 액티브 상태가 되는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 서버로부터 명령 신호를 요청 받으면, 트랜잭션이 생성되고, 상기 지그비 노드로부터 액티브 통지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트랜잭션은 대기 상태가 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비 노드로부터 액티브 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트랜잭션은 순서 대기 상태가 되며, 상기 순서 대기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명령 신호가 상기 지그비 노드로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 대기 상태에서 일정 횟수 이상 상기 명령 신호가 상기 지그비 노드로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트랜잭션은 삭제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
  6. 검침 서버로부터 명령 신호를 요청받은 상태에서, 지그비 노드로부터 액티브 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명령 신호의 순서대로 상기 지그비 노드로 전달하고, 상기 지그비 노드로부터 상기 명령 신호에 따른 명령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검침 서버로 전달하는 집중기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비 노드는 특정 시간에만 액티브 상태가 되는 슬리피 메쉬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원격 검침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 서버로부터 명령 신호를 요청 받으면, 트랜잭션이 생성되고, 상기 지그비 노드로부터 액티브 통지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트랜잭션은 대기 상태가 되는 원격 검침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비 노드로부터 액티브 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트랜잭션은 순서 대기 상태가 되며, 상기 순서 대기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명령 신호가 상기 지그비 노드로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 대기 상태에서 일정 횟수 이상 상기 명령 신호가 상기 지그비 노드로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트랜잭션은 삭제되는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090099718A 2009-10-20 2009-10-20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 KR101110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718A KR101110675B1 (ko) 2009-10-20 2009-10-20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
PCT/KR2010/006880 WO2011049307A2 (ko) 2009-10-20 2010-10-08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718A KR101110675B1 (ko) 2009-10-20 2009-10-20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861A true KR20110042861A (ko) 2011-04-27
KR101110675B1 KR101110675B1 (ko) 2012-02-24

Family

ID=4390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718A KR101110675B1 (ko) 2009-10-20 2009-10-20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10675B1 (ko)
WO (1) WO201104930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579B1 (ko) * 2013-09-06 2014-09-22 (주)누리텔레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센서 노드
KR20170096533A (ko) * 2016-02-16 2017-08-2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lc 기반 유무선 ami 장치를 이용한 복합 전력검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958A (ja) * 1991-08-27 1993-03-05 Toshiba Corp 分散型設備管理装置
KR100439641B1 (ko) * 2002-03-26 2004-07-12 (주)에이엘테크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KR100581719B1 (ko) * 2004-10-12 2006-05-23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지그비 통신방식을 이용한 통합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12069B1 (ko) 2005-11-14 2006-08-11 (주) 테크윈 지그비 알에프모듈을 이용한 무선 원격 검침시스템 및 그 검침방법
KR100897913B1 (ko) * 2007-07-27 2009-05-18 (주)누리텔레콤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KR100939453B1 (ko) * 2007-10-08 2010-01-29 (주)씨앤드에스 마이크로 웨이브 지그비 라우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579B1 (ko) * 2013-09-06 2014-09-22 (주)누리텔레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센서 노드
WO2015034223A1 (ko) * 2013-09-06 2015-03-12 (주)누리텔레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센서 노드
KR20170096533A (ko) * 2016-02-16 2017-08-2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lc 기반 유무선 ami 장치를 이용한 복합 전력검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9307A3 (ko) 2011-10-27
WO2011049307A2 (ko) 2011-04-28
WO2011049307A9 (ko) 2011-07-21
KR101110675B1 (ko) 201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89726B (zh) 一种基于业务优先级的高并发服务资源分配方法
US20180248968A1 (en) Remote access gateway configurable control system
CN109314716A (zh) 用于物联网的认知边缘处理
CN102523103B (zh) 一种工业监控网络数据采集结点
US20140081466A1 (en) Gateway round-robin system
CN104184786A (zh) 面向林区环境的无线传感器云网关系统
CN103152393A (zh) 一种云计算的计费方法和计费系统
US9078050B2 (en) Techniques for clock recovery in a mobile information collection network following a power outage
CN103166971A (zh) 一种多路复用串口协议转换器
CN110071855A (zh) 设备联动控制方法、装置、系统、网关及存储介质
CN100430847C (zh) 在总线系统中确定时间的方法和装置以及总线系统
KR101272539B1 (ko) 검침 스케줄을 이용하는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검침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0913443B (zh) 智能多传感器协同探测方法、装置、传感器和存储介质
CN113365253A (zh) 一种网络中节点通信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KR101110675B1 (ko) 원격 검침 시스템의 비동기 명령 수행 방법
KR101025290B1 (ko)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2100243A (ja) パケット中継方法、パケット中継装置及びパケット中継システム。
CN106843890B (zh) 基于智能决策的传感器网络、节点及其运行方法
CN107819823A (zh) 一种信息处理方法、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40003324A (ko) M2m 시스템에서 동적 보고 스케줄링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56729B1 (ko)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02170476A (zh) 一种基于云节点自主学习的云计算方法和装置
CN106105253A (zh) 控制器、控制系统以及控制系统的控制方法
KR100911210B1 (ko) 사건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전원 관리 방법 및 센서네트워크 전원 관리 시스템
KR20140115130A (ko) 사물지능통신 기기의 전원 관리 방법,및 사물지능통신 기기의 전원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