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355A -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통신 세션 동안의 전이중 통신 세션의 셋업 및 반이중과 전이중 간의 천이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통신 세션 동안의 전이중 통신 세션의 셋업 및 반이중과 전이중 간의 천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355A
KR20110042355A KR1020117005694A KR20117005694A KR20110042355A KR 20110042355 A KR20110042355 A KR 20110042355A KR 1020117005694 A KR1020117005694 A KR 1020117005694A KR 20117005694 A KR20117005694 A KR 20117005694A KR 20110042355 A KR20110042355 A KR 20110042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plex
communication session
session
full
full du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404B1 (ko
Inventor
아슈 라즈단
에릭 로젠
데이비드 로스
베스 브루어
아룰모즈히 아난타나라야난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42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일 실시형태에서, 발신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와의 전이중 세션을 개시하라는 요청을 서버에 전송한다. 이 전이중 요청에 응답하여, 전이중 세션이 셋업되기 전에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타겟 디바이스로 반이중 세션이 셋업된다. 타겟 디바이스는 반이중 세션에 대한 수락을 표시하고,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이중 미디어를 수신하고, 전이중 세션에 대한 수락을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반이중 또는 전이중 중 어느 일방에 의해 현재 지원되는 세션 동안, 세션을 중재하는 서버는 세션 참여자들 중 하나로부터 세션을 다른 이중-유형으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수신한다. 그 후, 서버는 세션의 이중-유형을 선택적으로 천이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통신 세션 동안의 전이중 통신 세션의 셋업 및 반이중과 전이중 간의 천이{SETTING UP A FULL-DUPLEX COMMUNICATION SESSION AND TRANSITIONING BETWEEN HALF-DUPLEX AND FULL-DUPLEX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35 U.S.C.§119 하의 우선권 주장
본 특허출원은 2008년 8월 11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ING BETWEEN HALF-DUPLEX AND FULL-DUPLEX COMMUNICATION SESSIONS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인 U.S. 가출원 제 61/188,590 호를 기초로 우선권주장하며, 이 출원 전부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통신 세션 동안, 전이중 (full-duplex) 통신 세션을 구축하고 반이중 (half-duplex) 및 전이중 사이에서 천이 (transition)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통신 세션들은 일반적으로 반이중 세션들 (예컨대, PTT) 또는 전이중 세션들 (예컨대, VoIP (voice-over-internet-protocol)) 중 어느 일방으로서 시작될 수 있다. 이를테면 2 개의 전화들 사이에서의 전화 호 (call) 와 같은, 2 개의 텔레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동기식의 전이중 통신이 요청되는 경우, 하나의 디바이스가 통신의 시작을 시도하게 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교신함으로써 접속을 브리징하게 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 후, 전화 시스템은 다른 디바이스에 신호를 전송 및/또는 회로 스위치 상의 전이중 통신 채널을 브리징할 것이고, 그리고 나서, 교신되는 디바이스는 링 (ring) 이나 다른 가청 경보 (alert) 와 같은 경보를 브로드캐스팅할 것이고, 또한 디스플레이 상의 섬광 또는 활성화와 같은 가시적인 경보를 줄 수 있게 되어, 디바이스에 근접해 있는 사람에게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통신의 브리징을 시도하고 있음을 통지한다. 그 후, 사람은 교신되는 디바이스에 응답하고 나서 전이중 통신이 브리징될 것이며, 또는 통신이 이미 브리징되었다면 채널이 유지될 것이다.
기존의 전화 시스템들에서는, 시스템 오버헤드가 시작되고 나서, 전이중 전화 호를 브리징하기 위한 시도가 중요할 수 있다. 호-개시 프로세스는 통상적으로 전화를 걸려고 하는 것을 표명하는 사람부터, 이를테면 활성화 라인을 위해 전화 핸드셋을 들거나 버튼을 누름으로써 시작하고 나면, 전화 시스템은 전화 번호를 수락 (accept) 하고, 의도된 번호를 결정하고, 적절한 경보 신호를 전송하거나 통신 채널을 다른 디바이스에 브리징하고, 호의 수락을 기다린다. 이 프로세스는 평균 10 초 정도 걸리며, 전체 프로세스 동안 시스템 오버헤드를 활용한다. 호출하는 디바이스들에는, 스피드 다이얼링과 같이, 호출하는 프로세스의 일부를 앞당길 수 있는 어떤 기능성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이것은 호출하는 시간을 단지 부분적으로만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푸시-투-토크 (Push-To-Talk; PTT)" 능력으로서 지칭되는 신속한 일대일 (one-to-one) 또는 일대다 (one-to-many) 통신의 반이중 음성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가 존재한다. 통신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위한 수락 디바이스들의 특정 PTT 그룹은 일반적으로 캐리어에 의해 구축되며, PTT 통신 접속은 통상적으로, 화자 (speaker) 와 그룹의 각 구성원 디바이스 사이의 반이중 통신 링크를 활성화하는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의 단일의 버튼누름에 의해 개시되며, 일단, 버튼이 릴리스 (release) 된다면, 디바이스는 인커밍 (incoming) PTT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어떤 구성들에서는, PTT 화자는 이 화자가 그의 디바이스에서 PTT 버튼을 관여시키는 (engaging) 동안에는 다른 그룹 구성원은 말할 수 없는 "플로어 (floor)" 를 가질 수 있다. 일단, 화자가 PTT 버튼을 릴리스한다면, 그룹의 임의의 다른 개별 구성원은 그들의 PTT 버튼을 관여시킬 수 있고, 그들은 플로어를 가질 것이다.
PTT 통신 시스템은, 표준 전화 시스템과 유사한 "링잉 (ringing)" 시스템을 활용하기 보다는, 오히려 대화를 나눌 플로어가 부여된 그룹 구성원에 대한 타겟 무선 디바이스로의 통신 채널을 개설하고, 플로어-보유자 (floor-holder) 는 단순히 타킷 디바이스들에서 수신되고 타킷 디바이스들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음성으로 대화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워키-토키 (walkie-talkie)" 방식에서는, 발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음성이, 수신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응답" 을 요구하지 않고서, 단순히 수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다. 원래의 음성 통신은 반이중 방식이었기 때문에, 타겟 디바이스가 발신 무선 디바이스 (또는 다른 그룹 구성원들) 에게 응답하기 위해, 타겟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PTT 버튼을 누르고 플로어-요청을 전송하여 세션을 위한 플로어를 얻으려고 시도한다. 따라서, PTT 그룹의 다수의 그룹 구성원 디바이스들은 반이중 세션에서는, 전이중 방식에서와는 달리, 미디어를 동시에 교환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발신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와의 전이중 세션을 개시하려는 요청을 서버로 전송한다. 전이중 요청에 응답하여, 전이중 세션이 셋업되기 전에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타겟 디바이스로 반이중 세션이 셋업된다. 타겟 디바이스는 반이중 세션의 수락을 표시하고,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이중 미디어를 수신하고, 전이중 세션의 수락을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반이중 또는 전이중 중 어느 일방에 의해 현재 지원되는 세션 동안, 세션을 중재하는 서버는 세션 참여자들 중 하나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여 이 세션을 다른 이중-유형 (duplex-type) 으로 천이한다. 그 후, 서버는 세션의 이중-유형을 선택적으로 천이한다.
도 1a 는, 그룹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통해 반이중 통신 채널을 타겟 통신 디바이스로 개설하고 "신속 호 (quick call)" 를 브리징하도록 의도된 발신 통신 디바이스를 갖는 한 쌍의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한 대표도이다.
도 1b 는, 그룹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통해 발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신속 호" 를 수락하는 타겟 통신 디바이스를 갖는, 도 1a 에서의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한 대표도이다.
도 1c 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브리징되는 전이중 통신을 갖는, 도 1a 및 도 1b 에서의 통신 디바이스들의 대표도이다.
도 2 는, 무선 네트워크를 거쳐 그룹 통신 서버 및 다른 컴퓨터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들의 지정된 PTT 그룹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대표도이다.
도 3 은, 일단, 그룹 통신 서버에 의해 확립되면, PTT 그룹 구성원들의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그룹 통신 서버, 및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전이중 통신을 선택적으로 핸들링할 수 있는 활성 호 제어기 (active call controller) 를 갖는 일반적인 셀룰러 텔레커뮤니케이션 구성에서의 무선 네트워크의 일 실시형태에 대한 대표도이다.
도 4 는, PTT 능력이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나타낸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컴퓨터 플랫폼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먼저, 반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함으로써, 전이중 통신 세션을 구축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호 흐름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프로세스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세션 타겟의 관점에서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도 7 은, 도 5 의 프로세스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그룹 통신 서버의 관점에서 보다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반이중 통신 및 전이중 통신 사이에서 천이하는 통신 세션에 대한 호 흐름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반이중 통신 및 전이중 통신 사이에서 천이하는 통신 세션에 대한 다른 호 흐름도이다.
도 10 은, 세션 참여자들 중 하나로부터 수신된 이중-천이 (duplex-transition) 요청에 응답하여, 발신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현재의 반이중 세션을 전이중 세션으로 천이하는 일 실시형태의 흐름도이다.
도 11 은, 세션 참여자들 중 하나로부터의 이중-천이 (duplex-transition) 요청에 응답하여, 발신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현재의 전이중 세션을 반이중 세션으로 천이하는 일 실시형태의 흐름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반이중 통신 세션의 다른 세션 참여자가 반이중 방식으로부터 전이중 방식으로 세션이 천이될 것을 요청할 때, 전이중 통신 세션에 관여된 세션 참여자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일 실시형태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들에 관한 이하의 설명 및 관련 도면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대안적인 실시형태들이 발명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지의 엘리먼트들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거나 또는 본 발명과 관련한 사항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될 것이다.
이 설명에서, 용어 "통신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PTT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handheld)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 및 "핸드셋" 은 상호교환가능하게 이용된다. 용어 "호" 및 "통신" 도 또한 상호교환가능하게 이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애플리케이션" 은 실행가능 및 실행불가능의 소프트웨어 파일들, 미가공 데이터, 취합 데이터, 패치들, 및 다른 코드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용어 "반이중 방식" 은 (동시에 또는 쌍지향적이 아닌) 한번에 한 방향만으로의 데이터의 통신을 의미하므로, 일단, 통신 디바이스가 반이중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한다면, PTT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되는 바와 같이, 응답하기 전에 송신기가 송신하는 것을 멈출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용어 "전이중 방식" 은, 음성 전화 호에서 공통되는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양 방향에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 통신을 의미한다. 또한, 몇몇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번호들은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하며, 관사 "a" 및 "the" 는 설명에서 지정되지 않는다면 복수의 참조들을 포함한다.
단어 "예시적인" 및/또는 "예" 는 "예, 예시, 또는 설명으로서 기능하는" 을 의미하도록 본 명세서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및/또는 "예" 로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들보다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 반드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용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가 논의되는 특징, 이점 또는 동작의 모드를 포함할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많은 실시형태들은,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동작들의 시퀀스들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종 동작들은, 특정 회로들 (예컨대,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들) 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양자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인식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이들 동작들의 시퀀스는, 연관된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성을 그 실행시에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명령들의 대응 집합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임의의 형식 내에서 완전히 구현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종 양태들은 다수의 상이한 형식들로 실시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모두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의 각각에 대해, 이러한 임의의 실시형태들의 대응 형식은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 과 같이 설명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액세스 단말기 (access terminal; AT) 로서 지칭되는 하이 데이터 레이트 (High Data Rate; HDR) 가입국 (subscriber station) 은 이동식 또는 고정식일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모뎀 풀 트랜시버 (modem pool transceiver; MPT) 들 또는 기지국 (base station; BS) 들로 지칭되는 하나 이상의 HDR 기지국과 통신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모뎀 풀 트랜시버들을 통해, 모뎀 풀 제어기 (modem pool controller; MPC), 기지국 제어기 (base station controller; BSC) 및/또는 패킷 제어 기능부 (packet control function; PCF) 로 지칭되는 HDR 기지국 제어기로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한다. 모뎀 풀 트랜시버들 및 모뎀 풀 제어기들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불리는 네트워크의 일부분들이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다수의 액세스 단말기들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회사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 외부에 있는 추가적인 네트워크들에 더 접속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액세스 단말기와 이러한 외부의 네트워크들 사이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모뎀 풀 트랜시버들과 함께 활성화된 트래픽 채널 접속을 확립한 액세스 단말기는 활성화된 액세스 단말기로 불리며, 트래픽 상태에 있다고 일컬어진다. 하나 이상의 모뎀 풀 트랜시버들과 함께 활성화된 트래픽 채널 접속을 확립하는 프로세스에 있는 액세스 단말기는 접속 셋업 상태에 있다고 일컬어진다. 액세스 단말기는 무선 채널을 통해 또는 예를 들어 광케이블 또는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는 유선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임의의 데이터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PC 카드, 컴팩트 플래시, 외장 또는 내장 모뎀, 또는 무선 또는 유선 전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디바이스들 중 어느 일방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세스 단말기가 신호들을 모뎀 풀 트랜시버로 전송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역방향 링크 (reverse link) 또는 트래픽 채널로 불린다. 모뎀 풀 트랜시버가 신호들을 액세스 단말기로 전송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순방향 링크 또는 트래픽 채널로 불린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트래픽 채널이라는 용어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 중 어느 일방을 지칭할 수 있다.
전반에 걸쳐 동일한 번호들은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을 참조할 때, 도 1a 내지 도 1c 는, 통신 디바이스들 (10 및 12) 사이의 전이중 통신의 브리징 전에 최초의 교신이 시도될 때, 여기서 모바일폰들로 나타낸 통신 디바이스들 (10 및 12) 사이의 반이중 통신의 이용에 대해 도시 및 개관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서버-중재의 통신 세션의 구축 또는 개시 동안, 발신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타겟 디바이스들로 임시의 반이중 세션을 확립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이 개념에 대한 폭넓은 개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1a 는, 한 쌍의 통신 디바이스들 (10 및 12) 의 대표도이며, 발신 통신 디바이스 (12) 는 무선 디바이스 구성원 사이의 PTT 반이중 통신을 호스팅하는 모바일 네트워크와 같은 그룹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16) 를 통해 타겟 통신 디바이스 (12) 로의 반이중 통신 채널 A 를 개설한다. 여기서, 디바이스 (10) 상의 디스플레이 (18) 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 디바이스 (10) (또는 이 시나리오에서는 디바이스 #1) 는 타겟 통신 디바이스 (12) (또는 디바이스 #2) 로 "신속 호" 를 브리징하려 하고 있으며, 인커밍 신속 호 요청은 신속 호 요청이 디바이스 1 로부터 오고 있음을 디바이스 (12) 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디바이스 (12) 의 디스플레이 (20) 상에 나타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신속 호" 는 임의의 지연-민감성 (delay-sensitive) 서버-중재 통신 세션 (예컨대, 반이중 세션, 전이중 세션, PTT 세션, VoIP 세션 등) 에 대응한다. 신속 호 요청에 대해 디스플레이 (20) 상에 나타난 정보는 그룹 통신 서버 (도 2 에서의 74) 로부터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발신 디바이스 (10) 로부터 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음성이 반이중 PTT 통신 채널을 따라 발신 디바이스 (10) 로부터 전송되어, 신속 호 요청시 타겟 디바이스 (12) 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들릴 수 있게 (audibly) 전송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 (12) 의 사용자에게 합리적인 시간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신속 호를 완료하기를 바라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신속 호 요청에 대한 "경보" 는 통상적인 전화 "링" 과 유사할 수 있지만, 가청 경보 또는 물리적인 경보 (예컨대, 진동) 일 수 있으며, 소정의 기간, 이를테면 5 초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발신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로부터 송신될 때 최초의 PTT 호로부터의 경보가 가청 울림이라면, 타겟 디바이스 (12) 가 평상시의 전화 호를 처리하려고 할 때와 같이 간단히 "응답 (answer)" 버튼을 누를 수 있으며, PTT 통신을 이용하여 전화 호를 구축하는 것은 디바이스들 (10 및 12) 의 사용자들에게 완전히 투명할 것이다.
도 1b 는 디스플레이 (20) 상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신속 호를 수락하는 타겟 통신 디바이스 (12) 를 나타낸다. 도 1b 를 참조하면, 타겟 통신 디바이스 (12) 는 수락 B 를 그룹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16) 내의 그룹 통신 서버 (74) 로 전송하고, 그 후 타겟 디바이스 (12) 들의 수락에 대한 표시를 발신 통신 디바이스 (10) 로 보낸다. 따라서, 타겟 디바이스 (12) 및 발신 디바이스 (10) 사이에서 신속 호의 수락이 프로세싱되어 전이중 통신 채널 C 가 확립되는 동안, 타겟 디바이스 (12) 와의 최초의 교신을 위한 발신 디바이스 (10) 로부터 반이중 통신 채널 A 는 유지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 신속 호의 수락이 수신되면, 통신 디바이스들 (10 및 12) 사이에서 전이중 채널 C 가 확립된다. 전이중 통신 C 는, 그룹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16) 또는 임의의 다른 전부 또는 일부 무선 네트워크일 수도 있는 무선 네트워크 (22) 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들 (10 및 12) 사이에서 브리징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발신 디바이스 (10) 및 타겟 디바이스 (12) 는 IP 어드레스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전이중 통신 채널의 제어는 그룹 통신 서버 (74) 에 의해 철회될 수 있으며 할당된 통신 디바이스들 (10 및 12) 의 어드레스들의 각각 사이에서의 VoIP 패킷 트래픽으로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활성 호 제어기 (78) 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가 이용되어 확립된 전이중 통신을 핸들링하여 그룹 통신 서버 (74) 상의 오버헤드를 경감시킴으로써 전이중 채널들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그룹 통신 서버 (74) 및 그룹 통신 네트워크 (16) 는 전이중 통신을 완전하게 유지 및/또는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전이중 통신 세션의 채널들 C 는 그 반이중 채널 A 를 유지하고 최초의 호 타겟(들)이 그들 자신의 채널을 획득하게 하는 호 발신기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 방식에서는, 호 발신기의 반이중 채널이 반이중 방식으로부터 전이중 방식으로의 천이 동안 없어졌다가 다시 세워질 필요가 없다.
도 2 는, 다른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들이 무선 네트워크 (70) 를 거치는 경우, 무선 전화 (64), 스마트 페이저 (66) 및/또는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68) 와 같은 PTT 그룹 (62) 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도록 구성된 그룹 통신 서버 (74) 를 갖는 시스템 (60) 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시스템 (60) 에서, 각각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64, 66, 68) 는 반이중 통신 및/또는 전이중 통신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에 대한 타겟 집합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 (70) 를 거쳐 선택적으로 및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폰 (64) 에 대한 타겟 집합은, 통신 그룹 (62) 에서의 모든 디바이스들 또는 페이저 (66) 및 PDA (68) 와 같이 그 부분집합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은 그러한 디바이스들이 그룹 통신 서버 (74) 를 통해 PTT 반이중 통신들, 또는 그렇게 구현된다면 전이중 통신들에 관여될 수 있는 한, 다른 유선 네트워크 접속들을 가질 수 있는 본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무선 네트워크 (70) 를 거쳐 서버측 LAN (72) 상에 존재하는, 여기서 그룹 통신 서버 (74) 로서 나타낸 그룹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가 존재한다고, 즉, 무선 네트워크 (70) 에 액세스가능하다고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그룹 통신 서버 (74) 는, 제1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에 의해 지정된 타겟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들의 집합과 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또는 서버측 LAN (72) 상에 상주하거나 무선 네트워크 (70) 를 거쳐 액세스가능한 다른 컴퓨터 디바이스들과도 또한 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그룹 통신 서버 (74) 는,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한 그룹 식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첨부되거나 액세스가능한 데이터베이스 (76) 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그룹 통신 서버 (74) 는 네트워크 내의 그룹 통신 세션들의 중재를 핸들링한다. 또한, 그룹 통신 서버 (74) 는 네트워크 내의 다수의 그룹 통신 서버들 (74) 을 대표할 수 있으며, 각각의 그룹 통신 서버 (74) 는 네트워크의 상이한 영역들에서의 세션들을 중재한다. 서버측 LAN (72) 상에 상주하거나 무선 네트워크 (70) 또는 인터넷을 거치는 컴퓨터 컴포넌트들의 수가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은 이해되어야 한다.
일 예에서, PTT 통신과 같은 직접 통신은, 통신하는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 (64, 66, 68) 와 타겟 집합의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반이중 채널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그룹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 (74) 는, 또한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 (64, 66, 68) 에게, 그룹 커뮤니케이션 컴퓨터 디바이스 (74) 에게 그들이 무선 네트워크 (70) 상에 존재한다는 것을 통지하지 않은 타겟 집합의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 중 어떤 것에 대해서도 타겟 집합 (62) 으로 직접 통신을 브리징하는 것에 대한 불능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그룹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 (32) 는 그룹 식별 데이터의 첨부된 데이터베이스 (76) 를 갖는 것으로 나타내는 한편, 그룹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 (74) 는 거기에 상주하는 그룹 식별 데이터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저장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전이중 동기식 통신을 궁극적으로 브리징하고자 하는 시도는, 먼저, PTT 그룹 (62) 의 발신 구성원으로부터 모바일폰 (65) 과 같은 다른 타겟 통신 디바이스로, 반이중 푸시-투-토크 통신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달성된다. 그 후, 타겟 통신 디바이스 (65) 는, 발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신속 호 데이터를 갖는 PTT 통신을 수신할 것이고 (또는 타겟 통신 디바이스들이 실시되어 이러한 기능성을 제어한다면, 수신하지 않을 것이고), 도 1a 내지 도 1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속 호에 "응답" 할 것인지 안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브리징 시도는, 전통적인 전화 걸기에서와 같은 발신 디바이스로의 전이중 음성 채널에 대한 브리징과는 대조적으로, 타겟 통신 디바이스(들)에서의 반이중 통신의 수락이다. 그러나, 발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반이중 송신에서 운반한 음성 또는 다른 데이터 (예컨대, 통신 세션을 알리도록 구성된 알림 메시지) 는 즉각적인 전달을 요청하므로, 이러한 통신 브리징 시도는 여전히 동기식 통신에서의 시도이다.
또한, 도 2 에서의 실시형태에는, 그룹 통신 서버 (74) 에 의해 중재된 반이중 통신으로부터의 천이 후에 전이중 통신 채널들을 호스팅 및/또는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활성 호 제어기 (78) 가 나타나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는 그룹 통신 서버 (74) 에게, 서버 (74) 의 오버헤드를 경감시키도록 일단 확립된 전이중 통신 채널들을 핸드오프 (handoff) 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통신 그룹 (62) 의 구성원들 사이에서의 그룹 통신은 통상적으로 반이중 음성 데이터이지만, 그룹 통신은 음성, 애플리케이션들, JPEG, TIF 등에서의 그림과 같은 그래픽 미디어, 또는 MP3, MP4, WAV 등과 같은 오디오 파일들일 수 있다. 미디어는 또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파워포인트, MOV 파일 등) 과 같은 스트리밍 미디어일 수 있다.
따라서, 요약하면, 도 1a 내지 도 1c 에서의 통신 디바이스들 (10 및 12) 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 (70) 를 거쳐 전이중 통신 채널을 브리징하는 시스템 (60) 이 제공된다. 발신 통신 디바이스 (10) 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70) 를 거쳐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들 (64, 66, 68) 과 하나 이상의 전이중 통신 채널을 브리징하도록 구성되며, 발신 통신 디바이스 (10) 는 PTT 통신과 같이 반이중 통신을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들 (64, 66, 68) 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64, 66, 68) 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 (70) 를 거쳐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 (64, 66, 68) 와 하나 이상의 전이중 통신 채널들을 브리징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하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64, 66, 68) 로부터 반이중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그룹 통신 서버 (74) 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70) 상의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62) 사이에서의 그룹 통신을 제어하며, 여기서, 그룹 통신은 최초에는 그 통신 그룹 중 다른 구성원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로 지향되는 발신 무선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폰 (10)) 로부터의 반이중 통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가 반이중 통신을 그룹 통신 서버 (74) 를 통해 타겟 무선 통신 디바이스 (12) 로 전송할 때, 그 후 타겟 무선 통신 디바이스 (12) 는 그룹 통신 서버 (74) 를 통해 발신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에 대한 수락을 수락 및 전송하고 나서, 그룹 통신 서버 (74) 는 발신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와 타겟 무선 통신 디바이스 (12) 사이에서 전이중 통신을 브리징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이중 통신의 궁극적인 확립 및 반이중 통신은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VoIP (voice-over-Internet-Protocol) 데이터 패킷들의 교환으로부터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그룹 통신 서버 (74) 는, 일단 확립된 전이중 통신의 제어를 철회하기 위해, 발신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및 타겟 무선 통신 디바이스 (12) 에 대한 (통상적으로 PDSN (82) 에 의해 할당된) 할당 네트워크 어드레스들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전이중 방식의 경우, 그룹 통신 서버 (74) 는 그룹 구성원들로부터 미디어를 여전히 수신하여 다른 그룹 구성원들로 이 미디어를 포워딩 (forwarding) 하지만, 그룹 통신 서버 (74) 는 전이중 방식으로 동작할 때 플로어 중재를 담당하지 않는다는 점은 이해될 것이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 통신 서버 (74) 는 활성 호 제어기 (78) 또는 다른 미디어 제어기와 같은 다른 컴퓨터 디바이스에 대한 전이중 통신의 제어를 철회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발신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는 타겟 무선 통신 디바이스 (12) 가 전이중 또는 반이중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락하게 하여 통신이 확립되게 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들에 의해 사용되도록 의도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부모가 어린이들의 전화로 하여금 응답하게 할 수 있도록, 부모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발신 디바이스로의 전이중 또는 반이중 통신을 개설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모는 이 특징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의 활동을 감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 특징은 또한 어린이가 그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니고 있는 어린이 유괴 사건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3 은, PTT 시스템에서 집합 그룹 구성원들 (디바이스들 (100, 102, 104, 106)) 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일련의 그룹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들 (그룹 통신 서버들) (74) 을 갖는 일반적인 셀룰러 텔레커뮤니케이션 구성에서의 무선 네트워크의 일 실시형태에 대한 대표도이다. 무선 네트워크는 단지 예시적이며, 임의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원격 모듈들은 서로 간에 및/또는 제한적 열거가 아닌 무선 네트워크 캐리어들 및/또는 서버들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70) 의 컴포넌트들 간에 OTA (over-the-air) 방식으로 통신한다. 일련의 그룹 통신 서버들 (74) 은 그룹 통신 서버 LAN (50) 에 접속된다. 무선 전화들은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이용하여 그룹 통신 서버(들)(74) 로부터의 패킷 데이터 세션들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도 2 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어기와 유사한 활성 호 제어기 (78) 가 서버 LAN (80) 상에 나타나 있다.
그룹 통신 서버(들)(74) 는 무선 서비스 제공자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PDSN), 이를테면 여기서는 캐리어 네트워크 (84) 상에 상주하는 것으로 나타낸 PDSN (82) 에 접속된다. 각각의 PDSN (82) 은 패킷 제어 기능부 (PCF) (92) 를 통해 기지국 (90) 의 기지국 제어기 (94) 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PDSN (82) 은 통상적으로, VoIP 통신용 IP 네트워크 어드레스들과 같은 네트워크 어드레스들을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할당할 것이다. PCF (82) 는 통상적으로 기지국 (90) 에 위치한다. 캐리어 네트워크 (84) 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 ("MSC (mobile switching center)") (88) 로 전송된 메시지들 (일반적으로 데이터 패킷들의 형식임) 을 제어한다. 캐리어 네트워크 (84) 는 네트워크, 인터넷 및/또는 POTS ("plain ordinary telephone system") 를 통해 MSC (88) 와 통신한다. 통상적으로, 캐리어 네트워크 (84) 와 MSC (88) 사이의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접속은 데이터를 전송하고, POTS 는 음성 정보를 전송한다. MSC (88) 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90) 에 접속될 수 있다. 캐리어 네트워크와 유사한 방식으로, MSC (88) 는 통상적으로, 데이터 전송용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과 음성 정보용 POTS 양자 모두에 의해, 기지국 트랜시버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96) (때때로 "브랜치-투-소스 (branch-to-source)"로 지칭됨) 에 접속된다. BTS (96) 는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SMS (short messaging service) 방법 또는 다른 OTA (over-the-air) 방법에 의해, 셀룰러폰들 (100, 102, 104, 106) 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들로 및 무선 디바이스들로부터 메시지들을 무선으로 브로드캐스팅 및 수신한다. 또한, 캐리어 경계들 및/또는 PTT 운영자 네트워크 경계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데이터의 공유를 억제 또는 금지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무선 전화 (100) 와 같은 셀룰러폰들 및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들은, 증가된 컴퓨팅 능력을 갖도록 제조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들 및 핸드헬드 PDA 들과 동등해지고 있다. 이들 "스마트한" 셀룰러폰들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상에서 다운로드가능하고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셀룰러폰 (100) 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는, 웹페이지, 애플릿 (applet), MIDlet, 게임 및 데이터와 같은 많은 유형들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지정된 통신 그룹 (62) 을 갖는 무선 디바이스들에서 (도 2),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그 집합의 다른 구성원과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세션들에 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통신 세션들은, 이 통신 세션들이 그룹 통신 서버 (74) 를 통해 발생하거나 그룹 통신 서버 (74) 의 제어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서버-중재 (server-arbitrated) '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들의 각 데이터 패킷은 반드시 그룹 통신 서버 (74) 그 자체를 통해서 전송되어야 할 필요는 없지만, 그룹 통신 서버 (74) 는 통상적으로 통신 그룹의 구성원들의 식별을 인지 및/또는 검색할 수 있거나, 또는 통신 그룹 (62) 의 구성원들의 식별을 다른 컴퓨터 디바이스로 향하게 할 수 있는 서버측 (80) 컴포넌트일 것이기 때문에, 그룹 통신 서버 (74) 는 통신 세션을 궁극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도 4 는 디바이스들의 타겟 집합, 즉, 통신 그룹 (62) 의 다른 구성원들로의 직접 통신을 개설하는 PTT 버튼 (112) 을 갖는 모바일폰 (110) 인 통신 디바이스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무선 디바이스 (110) 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의 사용자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114), 및 디바이스 (110) 에 근접한 오디오 (audio) 를 캡처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폰 (115) 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무선 디바이스 (110) 는 또한 디바이스에 근접한 비주얼 데이터를 캡처할 수 있는 카메라 (113) 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 (110) 는, 음성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핸들링할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 (70) 를 거쳐 송신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수신 및 실행하여 그룹 통신을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플랫폼 (116) 을 포함한다. 컴퓨터 플랫폼 (116) 은, 다른 컴포넌트들도 포함하지만 그 중에서도, 주문형 집적회로 ("ASIC") (122) 나 다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로직 회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ASIC (122) 은 무선 디바이스의 제조시에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업그레이드가능하지는 않다. ASIC (122) 또는 다른 프로세서는, 상주하는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레이어 (124) 를 실행하며, ASIC (122) 상에 로딩된 운영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주하는 프로그램들은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 (126) 에서 유지될 수 있다. 상주하는 애플리케이션 환경의 예로는, QUALCOMM® 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 플랫폼용으로 개발된 "BREW (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소프트웨어가 있다.
여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114) 를 갖는 모바일폰 (110) 일 수 있는 한편, 이와 다른 실시형태들에서는 무선 디바이스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컴퓨터 플랫폼 (116), 이를테면 PDA, 그래픽 디스플레이 (114) 를 갖는 페이저, 또는 무선 통신 포탈을 갖는 별개의 컴퓨터 플랫폼 (116) 을 갖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으로의 유선 접속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 (116) 는 RAM (random-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EPROM, EEPROM, 플래시 카드, 또는 다른 컴퓨터 플랫폼에 공통인 임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플랫폼 (116) 은 또한 메모리 (126) 에서 활성화되어 사용되지 않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의 저장을 위한 로컬 데이터베이스 (118) 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데이터베이스 (118) 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플래시 메모리셀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임의의 이차 또는 삼차 저장 디바이스, 이를테면 자기 매체, EPROM, EEPROM, 광기록매체, 테이프, 또는 소프트디스크나 하드디스크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의 이 실시형태에서, 도 4 의 컴퓨터 플랫폼 (116) 은 또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통신 채널들을 개설 (예컨대, 음성 호, 전이중 호, 반이중 호, PTT 세션, VoIP 세션 등) 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120) 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 (120) 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로 및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음성 및 데이터를 통상적으로 운반하는 무선 디바이스용 표준 통신 인터페이스의 일부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120) 는 통상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발신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가 사운드를 레코딩하는 마이크로폰 (115) 및 신속 호를 위한 요청에 응답하게 하여 전이중 통신을 개설할 수 있는 타겟 무선 통신 디바이스 (12) 를 포함하는 타겟 무선 통신 디바이스 (12) 로서 실시될 때, 발신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는 전이중 통신의 지배시에 타겟 통신 디바이스 (12) 에서 마이크로폰 (115) 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테면 디바이스 상에서 소정의 세팅을 통해, 타겟 통신 디바이스 (12) 는 전이중 채널의 확립의 지배를 선택적으로 허용하고 마이크로폰 (115) 의 활성화를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먼저 반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함으로써, 전이중 통신 세션을 셋업하는 프로세스의 호 흐름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세션 발신기 (예컨대, PTT 클라이언트 (132)) 는 그룹 통신 서버 (group communication server; GCS) (134) 에 호 요청을 전송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션 타겟 (예컨대, PTT 클라이언트 (138)) 과의 전이중 PTT 통신 세션의 개시를 요청한다 (500). 일 예에서, 500 의 호 요청은 타겟 사용자 어드레스(들), 그룹 애플리케이션 ID, 그룹을 설립하기 위한 요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또한 DoS (DataOverSignaling) 액세스 채널 메시지와 함께 호 요청이 전송될 수도 있다. 호 요청 메시지는 또한, 일단 호 타겟이 (예컨대, 호에 응답함으로써) 전이중 천이를 수락하는 경우 그 후에 세션은 전이중 방식으로 천이할 수 있다는 점을 조건으로 한다면, 먼저 세션을 반이중 방식으로서 셋업하려는 세션 발신기의 의도를 GCS (134) 에 나타내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세션 발신기는 DoS 액세스 채널 메시지가 TCH 를 거쳐 전송되는 호 메시지와 비교할 때 더 빠르게 GCS (134) 로 잠재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전송할 전용 트래픽 채널을 확립해야 할 필요없이, 역방향 링크 액세스 채널 상에서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다. GCS (134) (예컨대, DCH (Dispatch Call Handler)) 는, 타겟을 위치시키고 호 제한을 적용하고 보코더 (vocoder) 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PTT 호 셋업 설정 기능들을 수행한다 (504). GCS (134) 는 또한 타겟이 통신 세션에 참여할 수 있는지를 체크한다 (508). 그 후, GCS (134) 는 세션 타겟을 서빙하는 BSC (136) 를 통해 전이중 통신 세션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512).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알림 메시지는, 세션이 처음에는 반이중 방식이고 일단 호 타겟이 천이를 수락한다면 전이중 방식으로 천이한다는 의미에서, '잠재적인' 전이중 세션을 알리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512 에서 전송된 알림 메시지는, 타겟이 중간 개재 없이 호를 수락하도록 세션을 수락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알림 메시지는 이 방식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세션 타겟 (예컨대, PTT 클라이언트 (138)) 은 512 에서의 인커밍 호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나서, 세션 타겟이 호가 수락될 수 없는 비지 (busy) 인지를 결정한다 (516). 예를 들어, 이 세션 타겟이 다른 통신 세션에 이미 관여되어 있다면, 세션 타겟은 알려진 세션을 거절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고, 세션 타겟이 비지가 아니라고 결정된다면, 세션 타겟은 역방향 링크 채널 (예컨대, 역방향 링크 액세스 채널) 상의 호 수락 메시지를 BSC (136) 로 전송하여 GCS (134) 로 포워딩된다 (520). 일 예에서, 516 및 520 의 호 수락은, PTT 클라이언트 (138) 의 사용자에게 세션을 거절할 기회를 주어질 필요가 없다는 의미에서, '자동'일 수 있고 또는 강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PTT 클라이언트 (138) 의 사용자는 자발적으로 세션을 수락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통신 세션을 지원하는데 충분한 리소스들이 이용가능한지를 BSC (136) 가 결정한다고 가정하면 (524), BSC (136) 는 호 수락 메시지를 GCS (134) 로 포워딩한다 (528). GCS (134) 가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제1 응답기로부터 호 수락 메시지를 수신할 때 (528, 532), GCS (134) 는 플로어-수여 (floor-grant) 메시지를 세션 발신기로 전송하고 (536), 세션 발신기는 플로어-수여 메시지의 수락을 알린다 (540).
이때, 플로어-수여 ACK 메시지와 함께, 세션 발신기는 미디어를 포워딩하기 시작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션 타겟으로 반이중 방식으로 전송된다. 즉, 세션 타겟은 미디어를 세션 발신기로 전이중 방식으로 되돌려 전송하게 되는 트래픽 채널 (TCH) 을 아직 가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때, 일단 세션 발신기는 플로어를 가지게 되면, 500 에서 개시가 요청된 세션이 전이중 세션이었다 하더라도, 이때의 통신 세션은 반이중 방식이다. 따라서, 임시의 반이중 세션이 확립되어, 세션 발신기로부터 전이중 세션이 확립되기 전인 세션 타겟으로의 최초의 미디어의 포워딩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GCS (134) 는 세션 발신기로부터 미디어 (예컨대, 음성 및/또는 다른 데이터) 를 수신하고, 세션 타겟으로의 송신 (548) 을 위해 이 미디어를 BSC (136) 로 포워딩한다 (544). 세션 발신기 및 세션 타겟 사이에서 최초로 셋업된 반이중 세션에 참여하는 동안, 세션 타겟은 (i) 호를 자동으로 '응답' 하여 전이중 참여를 위한 호 리소스들을 획득하거나 아니면, 이와 달리 (ii) 세션 타겟의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리스너 (listener) 로서만 또는 활성화된 참여자로서 세션에 참여하기를 원하는지를 요청하도록 프롬프트 (prompt) 한다. 이 예에서, 세션 타겟이 호에 응답하고 세션에 전이중 방식으로 참가하도록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어떤 때에는, 세션 타겟이 필수의 리소스들을 획득하여 세션에 전이중 방식으로 참여한다고 가정한다. 즉, 필요하다면, (예컨대, 세션 타겟이 TCH 를 이미 가지고 있어서 추가적인 TCH 를 불러오는 경우가 필요하지 않더라도) 세션 타겟은 미디어를 세션 발신기로 되돌려 전송하는 TCH 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세션 타겟은 다른 호 수락 메시지를 BSC (136) 로 전송하고 (552), 이것이 GCS (134) 로 포워딩된다 (556). 이해되는 바와 같이, 520 및 552 의 호 수락 메시지들 양자 모두는 512 로부터의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임시의 반이중 세션의 타겟의 수락을 나타내는 520 의 제1 호 수락 메시지, 및 전이중 방식을 통해 세션에 참여하도록 타겟의 수락 및 준비 (readiness) 를 나타내는 552 의 제2 호 수락 메시지와 함께 전송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도 5 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제1 알림 메시지가 반이중 통신 세션을 알리도록 전송되고 제2 알림 메시지가 차후의 적절한 시점 (다만, 552 이전) 에 전송되어 전이중 통신 세션을 알릴 수 있도록, 512 의 알림 메시지는 2개의 별개 알림 메시지들을 표현할 수 있다.
그 후, GCS (134) 는 반이중 세션이 전이중 세션으로 천이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GCS (134) 는 호-부여 메시지를 각 활성화된 세션 참여자 (예컨대, 세션 발신기 및 세션 타겟) 로 전송한다 (560 및 564). 호-부여 메시지는 전이중 세션의 중재를 핸들링하고 있을, 반드시 GCS (134) 일 필요는 없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를테면, 예를 들어 VoIP 통신에 대한 네트워크 어드레스 할당으로 실시된다면) 세션이 활성 호 제어기 (78) 또는 PTT 클라이언트들 (132 및 138) 로 핸드오버 (hand over) 될 수 있다 (568). 일 예에서는, 발신기의 호 리소스들이 없어졌다가 다시 세워질 필요가 없도록, 임시의 반이중 세션용 세션 발신기에 할당된 호 리소스들이 유지되어 전이중 세션 동안 재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반이중 세션은 일 예에서 전이중 방식으로의 변환시에 리턴-경로가 부가된다는 의미에서 단지 종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 는, 임시의 반이중 세션이 확립된 다음에 전이중으로의 궁극적인 변환이 일어나도록, 통상적으로 반이중 세션들과 연관된 얼마나 지연-민감한 호 셋업 절차들이 더 빠르게 전이중 통신 세션을 셋업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도 5 의 프로세스는, 지연-민감한 것으로 간주되는 전이중 세션들에 대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신속 호'). 이와 달리, 도 5 의 프로세스가 임의의 전이중 통신 세션을 셋업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은 가능한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세션 타겟의 관점으로부터 보다 상세히 도 5 의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반이중 통신 세션으로서 임시로 개시되는 전이중 (예컨대, PTT) 통신 세션에 대한 알림이 세션 타겟에서 수신된다 (150) (예컨대, 반이중 세션과 전이중 세션 양자 모두에 대한 알림으로서 해석될 수 있는, 도 5 의 512 에서 수신된 PTT-호 알림 메시지). 세션 타겟은 152 에서 반이중 통신 세션이 수락될 수 있는지를 (예컨대, 도 5 의 516 에서와 같이) 결정한다. 세션 타겟이 알려진 반이중 통신 세션이 수락될 수 없다고 결정되면, 세션 타겟은 호 거절 메시지 (예컨대, 알림 ACK (거절) 메시지) 를 GCS (134) 로 송신한다 (160). 그렇지 않다면, 152 에서 세션 타겟이 반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할 수 있다고 결정한다면, 154 에서 (예컨대, 도 5 의 520 에서와 같이 호 수락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반이중 통신 세션이 수락된다. 일 예에서, 154 의 수락은, (예컨대, 150 의 인커밍 통신 요청이 세션의 수락을 강제하도록 구성된다면) 세션 타겟이 반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할 수 있는 한은 자동으로, 아니면 이와 달리 세션을 자발적으로 수락하는 세션 타겟의 사용자에 기초할 수 있다.
154 에서 반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한 후, 이 세션 타겟이, 알려진 반이중 통신 세션이 전이중 세션으로 천이될 잠재성을 갖는지를 결정한다. 즉, 알려진 반이중 통신 세션들은 통상적으로 사실상 반이중 방식이다. 사실, 도 5 및 도 6 에서조차도, 세션이 전이중 방식으로의 궁극적인 천이가 이루어진다면, 반이중 방식으로서 시작된다. 따라서, 156 에서, 세션 타겟은 (예컨대, PTT 알림 메시지 등에서의 헤더-구성 (header-configuration) 에 기초하여) 이 특정 반이중 통신 세션이 전이중 세션으로의 천이에 대한 잠재성을 갖는지를 결정한다. 156 에서, 반이중 통신 세션이 '통상적인' 반이중 세션 (예컨대, 세션의 목표가 반이중 방식이고 차후에 전이중 방식으로 천이하지 않는 것) 이라고 세션 타겟이 결정한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는 154 로 리턴하고 세션 타겟이 반이중 프로토콜들을 통해 세션에 참여한다.
이와 달리, 세션 타겟은 통신 세션이 처음에는 반이중 세션이지만 156 에서 전이중 세션으로 천이될 다른 잠재성을 갖는다면, 세션 타겟은 사용자가 호에 '응답'하기를 원하는지에 대하여 그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한다 (164). 즉, 이 경우에 호에 응답한다는 것은, 다른 화자로서 통신 세션에 참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세션을 전이중으로 천이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안적인 예에서는, (예컨대, 150 의 인커밍 통신 요청이 세션의 수락을 강제하도록 구성된다면) 164 의 프롬프트하는 단계는 스킵 (skip) 될 수 있고 세션 타겟이 세션을 전이중으로 천이하도록 강제될 수 있다. 세션 타겟은 사용자가 프롬프트를 수락했는지를 결정한다 (158). 그렇지 않다면, 세션 타겟은 또한 호 거절 메시지를 GCS (134) 로 송신한다 (160). 이 경우, 호 거절 메시지는 (i) 리스너로서 반이중 성질에서의 PTT 세션에 계속 참여하도록 세션 타겟을 허용하면서 호의 전이중 성질을 거절하거나, 아니면 (ii) 세션을 전부 거절하여 세션을 함께 드롭 (drop)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호 거절 메시지를 송신하는 대신에, 세션 타겟은 162 에서 제2 호 수락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간단히 억제할 수 있으며, 여기서 GCS (134) 는 제2 호 수락 메시지의 랙 (lack) 을 전이중 천이의 거절로서 해석할 것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2 호 수락 (전이중) 은 선택적인 것으로 이루어지며, 발신기가 타겟으로부터의 미디어의 수락을 타겟이 전이중 모드를 수락했다는 암시적인 지식으로서 간주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예컨대, 자동으로, 아니면 사용자에 의한 요청에 따라) 세션 타겟이 호에 응답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전이중 세션에 참여한다면, 세션 타겟은 (예컨대, 도 5 의 552 에서와 같이) 임시의 반이중 세션이 이제 전이중 세션으로 천이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호 수락 메시지를 GCS (134) 로 전송한다. 154 의 호 수락 메시지 (또는 도 5 의 520) 및 162 의 호 수락 메시지 (또는 도 5 의 552) 는, 일 예에서, 세션의 반이중부의 수락으로서 제1 수락된 호 수락 메시지, 및 세션에 대한 전이중 천이의 수락으로서 제2 수락된 호 수락 메시지를 해석하는 GCS (134) 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 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전이중 천이가 이루어지기 전의 이 기간 동안, 세션 타겟은 다운링크 채널을 감시할 수 있고 반이중 방식으로 세션 발신기로부터 미디어를 수신할 수 있다. 166 에서, 세션 타겟은, 요청된 전이중 세션이 시간의 임계 기간 내에서 셋업되었다고 결정한다. 그렇지 않다면, 세션 타겟은 호 거절 메시지를 GCS (134) 로 송신한다 (160). 그렇지 않으면, 전이중 세션이 확립되고 도 6 의 셋업 프로세스가 종결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그룹 통신 서버 (134) 의 관점에서 도 5 의 프로세스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7 을 참조하면, 그룹 통신 서버 (74 또는 134) 는 먼저 발신 통신 디바이스 (10) 로부터의 반이중 통신 채널을 셋업함으로써, 전이중 통신 세션을 개시하라는 요청 (예컨대, 특별히 구성된 CALL 메시지) 을 수신한다 (170). 그 후, 그룹 통신 서버 (74 또는 134) 가 발신 디바이스 (10) 및 타겟 디바이스 (12) 사이의 (예컨대, VoIP 패킷들을 이용한) 통신을 안내할 수 있도록, 그룹 통신 서버 (74 또는 134) 는 발신 통신 디바이스 (10) 에 대한 네트워크 어드레스, 이를테면 IPv6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172), 마찬가지로 타겟 디바이스 (12) 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174). 그 후, 그룹 통신 서버 (134) 는, (예컨대, 발신 디바이스 (10) 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역방향 채널을 액세스 네트워크가 할당하게 하면서 또한 타겟 디바이스 (12) 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다운링크 채널을 할당하게 함으로써) 발신 통신 디바이스 (10) 로부터 타겟 통신 디바이스 (12) 로의 반이중 채널을 셋업 또는 브리징한다 (176). 그룹 통신 서버 (134) 는, 발신 디바이스 (10) 로부터 타겟 디바이스 (12) 로의 반이중 채널을 셋업하는 것 외에도, 타겟 통신 디바이스 (12) 로의 전이중 통신 세션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178). 따라서, 먼저 반이중 채널을 셋업함으로써, 발신 디바이스 (10) 로부터의 미디어가 타겟 디바이스 (12) 로 더 빠르게 전송될 수 있고, 타겟 디바이스 (12) 는 반이중 채널을 통해 발신 디바이스 (10) 로부터 미디어를 수신함과 더불어 전이중 세션으로 천이하는 것을 시도할 수 있다.
178 에서 타겟 디바이스 (12) 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후, 그룹 통신 서버 (134) 는 타겟 디바이스 (12) 가 전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했는지를 결정한다 (180). 예를 들어, 180 의 결정은, 타겟 디바이스 (12) 가 도 6 의 162 에서 호 수락 메시지를 송신한다면 타겟 디바이스 (12) 가 전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했다는 것일 수 있다. 결정 (180) 에서 전이중 통신 세션이 타겟 디바이스 (12) 에 의해 수락되지 않는다면, 실패 표시가 (예컨대, 발신 디바이스 (10) 로) 출력되고 프로세스가 종결된다. 그렇지 않고, 결정 (180) 에서 전이중 통신 세션이 수락된다면, 발신 통신 디바이스 (10) 과 타겟 통신 디바이스 (12) 사이에서 전이중 통신 채널이 브리징된다 (184). 그 후, 전이중 통신 채널이 성공적으로 브리징되었는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186). 결정 (186) 에서 전이중 통신 채널들이 성공적으로 브리징되지 않았다고 결정된다면, 실패된 통신이 발신 디바이스 (10) 로 출력된다 (182). 그렇지 않고, 결정 (186) 에서 전이중 통신이 성공적으로 브리징되었다고 결정된다면, 브리징된 전이중 통신은 발신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과 타겟 통신 디바이스 (12) 에 핸드오버될 것이다 (188). 예를 들어, 188 에서의 전이중 통신의 핸드오버는, 전이중 통신 세션의 셋업이 종결되도록 (190), VoIP 패킷들이 그룹 통신 서버 (134) 에 의한 추가적인 중재 없이 통신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들 사이에서 교환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이중 세션이 VoIP 세션이라면,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VoIP 세션 동안의 미디어의 교환이 상이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핸들링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 에서는, 전이중 통신 세션이 차후에 전이중으로 천이하는 최초의 반이중 세션으로서 셋업되었지만, 다른 실시형태들은 전이중 세션들로부터 반이중 세션들로의 천이 및/또는 반이중 세션들로부터 전이중 세션들로의 천이에 관한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반이중 통신 및 전이중 통신 사이에서 천이하는 통신 세션의 호 흐름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호 발신기 (200) 의 사용자는 통신 세션을 개시하도록 결정하고 (800), (예컨대, 발신기 (200) 로부터의 호에 대한 디폴트 거동 (default behavior) 이 전이중이라면) 호 발신기 (200) 는 호가 처음에는 전이중 세션으로서 셋업될 것이라고 결정하고 (803), 그 후 호 발신기는 CALL (전이중) 메시지를 전송하여 (예컨대, 그룹 통신 서버 (74 또는 134) 일 수 있는) 지역 배정기 (regional dispatcher) (202) 로의 전이중 호를 개시한다 (806). 일 예에서, 806 의 CALL (전이중) 메시지는 종래의 전이중 세션 (즉, 전이중으로서 시작하여 종료하며 결코 반이중이 아닌 전이중 세션) 을 셋업하는 종래의 CALL 메시지와는 상이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806 의 CALL (전이중) 메시지는 지역 배정기 (202) 에게 지시할 헤더부에 설정한 상이한 연산코드 (op-code) 를 포함하여, 적어도 세션의 초반부 동안에는 반이중 세션으로서 전이중 세션을 확립할 수도 있다. 지역 배정기 (202) 는 806 으로부터의 호 메시지의 수락을 ACK (수락) 메시지로 알린다 (809). 일 예에서, 전이중 세션의 개시는, (예컨대, 발신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에 대응할 수 있는) 호 발신기 (200) 에서, 특별히 구성된 CALL (전이중) 메시지의 송신을 야기할, 모바일폰에 공통인 "SEND" 버튼과 같은 넌-PTT (non-PTT) 버튼을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806 에서 전이중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지역 배정기 (202) 는 또한 호에 대한 타겟을 위치결정하고 ANNOUNCE (전이중) 메시지를 전송하여 호 타겟 (206) 에게 전이중 호가 호 발신기 (200) 에 의해 요청되었음을 통지한다. CALL (전이중) 메시지와 유사하게, ANNOUNCE (전이중) 메시지는, 알려진 세션이 차후에 전이중으로 천이하는 것을 목표로 반이중으로서 시작할 것이라고 호 타겟 (206) 에게 지시하도록 특별히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호 발신기 (200) 와 호 타겟 (206) 양자 모두에는, 전이중과 반이중 사이의 이들 세션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PTT/전이중 클라이언트들이 마련 (provisioning)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특히, 도 8 의 예는 ASK 메시지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이중-스위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ASK 메시지는 반이중으로부터 전이중으로의 천이 (예컨대, "ASK (전이중)") 또는 전이중으로부터 반이중으로의 천이 (예컨대, "ASK (반이중)") 를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 은 반이중과 전이중 사이에서의 천이들은 호 참여자들 중 하나로부터의 명시적인 메시지 (예컨대, ASK 메시지) 에 의해 트리거되지만, 다른 실시형태들은 이중-천이를 트리거하기 위한 이중-천이를 위한 명시적인 요청들에 의존할 필요가 없으며, 대신에 서버-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 천이는, "경쟁 (contention) 기반", 이를테면 플로어가 다른 참여자에 의해 유지되는 동안에는 세션의 반이중부 동안 플로어를 부여받기 위한 시도가 반복적으로 성공하지 못한다면, 전이중으로의 천이가 사용자 개입 없이 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예에서, 이중 천이는 "리소스 활용" 에 기초할 수 있으며, 이를테면 전이중 호들이 (이를테면, 배경 잡음을 송신할 필요가 있는 대역폭을 포함하는) 더욱 리소스-집중적인 경향이 있을 때 음성 활성화 및 다른 메트릭스 (metrics) 에 기초하여 전이중으로부터 반이중으로의 천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전이중에서 한 참여자만이 한동안 말한다면, 리소소들 등을 보존하기 위해 호는 반이중으로 천이할 수도 있다). 서버-개시의 이중-천이에서, 서버는 반이중으로의 천이가 이익 (예컨대, 비용청구서 상의 더 낮은 비용) 이 되는 하나 이상의 세션 참여자 (예컨대, 발신기 등) 에게 추천할 수 있거나, 아니면 이와 달리 세션을 중재하는 서버 (예컨대, 미디어 제어 유닛 (204) 및/또는 지역 배정기 (204)) 에 의해 자동 천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 을 재참조하면, 812 에서 통신 세션을 알리는 ANNOUNCE (전이중) 메시지를 수신할 때, 호 타겟 (206) 은 호를 수락한다고 가정한다 (815). 지역 배정기 (202) 는 호 타겟 (206) 의 수락의 표시를 수신하고, STATUS (성공) 메시지를 호 발신기 (200) 로 포워딩하여 호가 시작할 수 있다고 표시한다 (818). 호 발신기 (200) 는 그 사용자에게 호가 성공적으로 확립되었다고 (예컨대, 톤을 플레이, 비주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등을 행함으로써) 표시하고 (821), 호 발신기 (200) 는 지역 배정기 (202) 에게 ACK (수락) 메시지를 되돌려 전송함으로써 호를 수락한다 (824).
다음으로, 지역 배정기 (202) 는 명령들을 미디어 제어 유닛 (204) (예컨대, 특정 통신 세션에 대한 미디어의 교환을 핸들링하는 지역 배정기 (202) 와 함께 동작하는 서버) 에 전송하여, 통신 세션 동안 호 발신기 (200) 와 호 타겟 (206) 사이에서 미디어의 실제 교환을 핸들링한다 (827). 미디어 제어 유닛 (204) 은, 각각의 호 참여자가 미디어 제어 유닛 (204) 에게 정보를 어떻게 전송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CONTACT (mcu_info) 메시지를, 호 발신기 (200) 및, 호 타겟 (206) 에 전송한다 (830, 833). 호 발신기 (200) 와 호 타겟 (206) 각각은, 836 및 839 에서 830 및 833 으로부터의 CONTACT 메시지들을 담당하는 CONTACT ACK (수락) 메시지들을 각각 전송한다. 다음으로, 미디어 제어 유닛 (204) 은 통신 세션의 전이중부 동안 호 참여자들 사이에서 미디어의 교환을 중재한다. 즉, 호 발신기 (200) 와 호 타겟 (206) 사이에서 교환되는 미디어는 어느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도 8 의 실시형태에서, 미디어 제어 유닛 (204) 은, 통신 세션이 전이중 또는 반이중으로 천이되도록 요청되었을 때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게 통지하기 위해, 특별히 구성된 시그널링 메시지들 (예컨대, ATN (전이중) 및 ATN (반이중) 메시지들) 을 사용하고, 디바이스들 (200 및 206) 에서의 PTT/전이중 클라이언트들은, 전이중 천이들을 수락하기 위해 ATX (수락) 메시지들을 사용한다. 도 8 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하나 이상의 세션 참여자가 전이중 천이를 거절할 수 있는 것도 또한 가능하며, 이로 인해, 서버가 전이중 천이를 수행하는 것을 금지하거나 아니면 전이중 천이가 이루어진 후에 세션으로부터 전이중 천이를 거절했던 세션 참여자들 드롭하는 것을 금지하게 될 것이다. 미디어 제어 유닛 (204) 은 또한 FYI (업데이트) 메시지를 사용하여, 호가 요청된 이중-모드로 천이된 이중-천이를 요청했던 PTT/전이중 클라이언트에게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호 발신기 (200) 는, 이중 천이 후에 호 발신기 (200) 가 플로어-보유자로 된 채로, 통신 세션이 전이중으로부터 반이중으로 천이되어야 한다고 요청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845).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호 발신기 (200) 가 스피킹 (speaking) 의 대부분을 행하기만 한다면) 시스템 리소스들을 보존하기 위해 전이중으로부터 반이중으로의 천이가 요구되어, 호 발신기 (200) 등으로의 세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 결정은 호 발신기 (200) 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845 에 나타내었지만, 비록 이 양태가 설명의 편의상 도 8 에서 생략되었더라도 호 타겟 (206) 이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천이를 요청하는 옵션을 가질 수도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즉, 다른 실시형태들에서는, 발신기 아닌 것들이 이중 천이들을 요청하여 잠재적으로 달성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845 에서 통신 세션이 전이중으로부터 반이중으로 천이될 것을 요청하지 않는다고 호 발신기 (200) 가 결정한다면, 프로세스는 842 로 리턴하여 전이중 세션이 계속된다. 그렇지 않고, 845 에서 통신 세션이 전이중으로부터 반이중으로 천이될 것을 요청한다고 호 발신기 (200) 가 결정한다면, 호 발신기 (200) 는 ASK (반이중) 메시지를 미디어 제어 유닛 (204) 에 전송하고 (848), 미디어 제어 유닛은 ATN (반이중) 메시지를 호 타겟 (206) 에 전송한다 (851). ATN (반이중) 메시지는 호 타겟 (206) 에 대한 요청으로서 기능하여 전이중으로부터 반이중으로의 천이에 동의하거나, 또는 적어도 이중 천이가 발생하고 있다고 호 타겟 (206) 에게 통지한다. 따라서, ATX (수락)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타겟 디바이스 (206) 가 ATN (반이중) 에 응답하고 (854), 미디어 제어 유닛 (204) 이 FYI (업데이트) 메시지를 호 발신기 (200) 에 전송하여 이제 통신 세션이 반이중으로 천이될 수 있다고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857). 이에 의해, 호 발신기 (200) 는 플로어-요청 메시지를 미디어 제어 유닛 (204) 에 전송하고 (860), 미디어 제어 유닛 (204) 은 플로어-수여 메시지를 호 발신기 (200) 로 되돌려 전송한다 (863). 이후, 호 발신기 (200) 는 미디어를 그 할당된 반이중 채널을 통해, 차후에 미디어를 호 타겟 (206) 으로 포워딩하는 (869) 미디어 제어 유닛 (204) 으로 전송한다 (866).
통신 세션의 반이중부 동안, (예컨대, 호 타겟 (206) 의 사용자가 말할 수 있도록) 호 타겟 (206) 은 호를 다시 전이중으로 되돌려 천이할지를 결정한다 (872). 872 에서 통신 세션이 반이중으로부터 전이중으로 천이될 것으로 요청하지 않는다고 호 타겟 (206) 이 결정한다면, 프로세스는 869 로 리턴하여 반이중 세션이 계속된다. 그렇지 않고, 872 에서 호 타겟 (206) 이 통신 세션이 반이중으로부터 전이중으로 천이될 것으로 요청한다고 결정한다면, 호 타겟 (206) 은 ASK (전이중) 메시지를 미디어 제어 유닛 (204) 으로 전송하고 (875), 미디어 제어 유닛은 ATN (전이중) 메시지를 호 발신기 (200) 로 전송한다 (878). ATN (전이중) 메시지는 호 발신기 (200) 에 대한 요청으로서 기능하여 반이중으로부터 전이중으로의 천이에 동의하거나 또는 적어도 이중 천이가 발생하고 있다고 호 발신기 (200) 에게 통지한다. 따라서, ATX (수락)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호 발신기 (200) 가 ATN (전이중) 메시지에 응답하고 (881), 미디어 제어 유닛 (204) 이 FYI (업데이트) 메시지를 호 발신기 (200) 에 전송하여 이제 통신 세션이 전이중으로 천이될 수 있다고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884). 이후, 미디어는 전이중 프로토콜들을 통해 호 발신기 (200) 와 호 타겟 (206)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887).
도 8 의 실시형태에서, 다른 세션 참여자가 세션의 전이중 특성을 변경하기 원한다 (예컨대, PTT/전이중 통신 (200) 의 발신기는 PTT/전이중 호 타겟 (206) 등과의 전이중 통신에 관여하기를 원한다) 고 사용자에게 표시할 PTT 통신에서, 전이중 및 반이중 요청들은 (예컨대, 천이를 요구하는 디바이스가 천이 통지를 보고하거나 그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도록 ATN 메시지가 851 및/또는 878 에서 수신된 후)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에게 이를테면 일련의 가청 경보들, 예컨대 3 개의 가청 펄스들을 통해 특별히 시그널링된다. 예를 들어, 가청 경보들은, 다른 세션 참여자들에게 요청된 이중을 통지하기 위해 고전적인 신호음 (ringtone), 음성, 다이얼톤, 또는 PTT 통신에서 전송된 다른 경보들일 수 있다. 그 후 이중 천이의 수용은, (예컨대, 사용자가 세션의 현재의 이중-성격을 인지하고 있다고 확신할 수 있도록) 넌-PTT 버튼 (이를테면, "SEND" 버튼) 또는 메뉴 선택을 누름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들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중-천이 경보를 수신할 수 있지만, 이중-천이가 그 사용자에게 강제되도록 이중-천이를 거절할 기회가 주어질 필요는 없다. 다른 경우에는, 세션 참여자들이 이중-천이로 강제되더라도, 세션 참여자들은 일반적으로 항상 그들의 마이크로폰 및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들이 다른 상대방에게 연결되어 브로드캐스팅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계속 인지할 것이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부모와 같은 관리 세션 참여자가 어린이와 같은 다른 세션 참여자에 대해, 어린이에게 통지하지 않고도 전이중 천이를 강제하여 그 소리를 들을 수 있음으로써 '정탐 (snoop) '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도 8 은, 어떤 경우에는, 정보를 다른 세션 참여자(들)에게 전송하기 위해 세션 참여자들이 반이중으로부터 전이중으로의 천이를 요청하는 세션 참여자들을 나타내지만, 이와 달리,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단순히 반이중 세션의 플로어를 요청할 수도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이 경우, 플로어 요청들이 이들 세션 참여자들에게 거부된다면, 세션 참여자들은 이중-천이를 요청할 수도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반이중 통신과 전이중 통신 사이에서 천이하는 통신 세션의 다른 호 흐름도이다. PTT/전이중 호 발신기 (200) 는 반이중 통신과 전이중 통신 사이에서 천이하는 동안 또한 (예컨대,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일방향성 (unidirectional) 미디어를 전송할 수 있지만, 도 9 는 도 8 과 일부 사항들에 있어서 유사하다. 이제 도 8 과 상이한 도 9 의 양태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논의되겠지만, 간략히 하기 위해 도 9 의 일반적인 논의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를 참조하면, 912 에서 (예컨대, 도 8 의 812 에서) ANNOUNCE (전이중) 메시지가 호 타겟 (206) 으로 전송될 때, 호 타겟 (206) 의 사용자가 전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하도록 프롬프트되어 (915), 호 발신기 (200) 로부터의 미디어 (예컨대, 전이중 천이 이니시에이터 (initiator)) 가 반이중 방식으로 동시에 플레이아웃 (play out) 될 수 있으면서 그 미디어의 소싱을 허용한다 (945 및 948). 따라서, 204 하의 미디어 제어에 의해 천이가 영향을 받고 있는 동안에는 반이중 매체가 여전히 플레이아웃된다 (945 및 948). 일단 951 에서 전이중 세션이 확립된다면, 945 및 948 로부터의 일방향성 경로는 양방향성 (bi-directional) 또는 전이중 경로로 천이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개입된 반이중 (954 내지 978) 으로의 천이 후에 차후의 전이중으로의 천이 동안 (981 내지 999), 호 타겟 (206) 으로부터 호 발신기 (200) 로의 반이중 채널 또는 일방향성의 채널이 확립될 수 있다 (993 및 995). 이 경우, 전이중 채널이 확립되기 전에 반이중 채널이 각각의 방향으로 확립된다. 951 에서 최초의 전이중 세션을 확립하기 전에, 945 및 948 에서 발신기 (200) 로부터 타겟 (206) 으로의 일방향성 채널 또는 반이중 채널의 확립은, 시작될 이중 세션을 기다리는 동안에 발신기가 타겟에게 스피킹할 수 있는 임시의 반이중 세션이 셋업된다는 의미에서, 도 5 내지 도 7 과 유사하는 점은 이해될 것이다.
도 10 은, 세션 참여자들 중 하나로부터 수신된 전이중 요청에 응답하여, 발신 디바이스 (10) 와 타겟 디바이스 (12) 사이에서 현재의 반이중 세션을 전이중 세션으로 천이하는 일 실시형태의 흐름도이다. 따라서, 그룹 통신 서버 (134) 는, 디바이스들 (10 및 12) 사이에서 반이중 세션을 중재하면서 (예컨대, 발신 디바이스 (12) 가 플로어-보유자로 된 채로), 발신 통신 디바이스 (10) 와 타겟 통신 디바이스 (12) 사이에서 전이중 접속을 확립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고 (210), 그 후 반이중 미디어 (예컨대, 전이중으로의 천이를 개시한 세션 참여자로부터 GCS (134) 에서 미디어 제어 유닛 (204) 에 의해 버퍼링된 임의의 미디어) 는 타겟 통신 디바이스 (12) 로 전달된다 (212). 이해되는 바와 같이, 212 의 전달은 미디어의 타겟 디바이스 (12) 및/또는 디바이스들 (10 및 12) 과 함께 반이중 세션에 참여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들로의 전달에 대응한다. 그 후, 디바이스들 (10 및 12) 사이에서의 전이중 통신이 확립된다 (216). 이 실시형태에서,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이중 통신 채널의 확립은 자동이며, 타겟 디바이스 (12) 는 궁극적으로 전이중 통신에 관여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할 것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그룹 통신 서버 (134) 는 전이중 통신 세션용 전이중 채널이 확립되는지를 결정한다 (216). 216 에서 그룹 통신 서버 (134) 가 전이중 통신 세션용 전이중 채널이 확립되지 않았다고 결정한다면, 전이중 천이를 요청했던 세션 참여자에게 전이중 천이를 수행하는데 실패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에러가 출력되고 (예컨대, 천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나타내는 메시지가 전이중으로의 천이를 요청하는 세션 참여자에게 전송됨), 전이중 천이 프로세스가 종결된다 (218). 일 예에서, 타겟 디바이스 (12) 가 궁극적으로 전이중 요청을 거절한다면, 및/또는 전이중 통신을 확립할 때에 기술적 결함이 존재한다면, 전이중으로의 천이는 실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이중 천이 실패가 최초의 반이중 세션을 반드시 종결시키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 않고, 그룹 통신 서버 (134) 가 216 에서 전이중 통신 세션용 전이중 채널이 확립된다고 결정한다면, 통신 세션은 적절한 디바이스 (이를테면, 활성 호 제어기 (78)) 로 핸드오버되고 이후 통신 세션은 적어도 디바이스들 (10 및 12) 사이에서 전이중 세션으로서 지원되고 (220), 도 10 의 프로세스는 종결된다 (222). 이와 달리, 도 10 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그룹 통신 서버 (134) 는 전이중 세션 (예컨대, VoIP 세션) 을 중재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며, 이 경우 220 에서 중재 담당들의 핸드오프는 존재하지 않으며 그룹 통신 서버 (134) 는 전이중으로서의 세션을 계속 중재하게 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세션 참여자들 중 하나로부터 이중-천이 요청에 응답하여, 발신 디바이스 (10) 및 타겟 디바이스 (12) 사이에서의 현재의 전이중 세션을 반이중 세션으로 천이하는 일 실시형태의 흐름도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그룹 통신 서버 (134) 는, 전이중 통신 세션으로의 세션 참여자에 의해, 요청한 세션 참여자가 플로어-보유자로서 된 채로, 전이중 통신 세션을 반이중 통신 세션으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수신한다 (230). 그룹 통신 서버 (134) 는 타겟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 가 반이중 통신에 이용가능한지를 결정한다 (예컨대, 이 경우, 타겟 디바이스는, 어느 디바이스가 반이중으로의 천이를 요청하는지에 따라, 최초의 전이중 세션의 호 타겟 (206) 또는 최초의 전이중 세션의 호 발신기 (200) 중 어느 일방에 대응할 수 있다) (232). 호 타겟이 반이중 세션에 이용가능하지 않다면, 반이중 천이를 요청했던 디바이스에 에러가 출력되어 프로세스는 종결되고 (234), 전이중 세션이 계속될 수 있다. 반이중 세션이 진행되기 위해 얼마나 많은 타겟 디바이스들이 이용가능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결정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전이중 통신 세션에 미리 관여되지 않았던 적어도 다른 디바이스 (즉, 230 에서 반이중으로의 천이를 비요청 (non-requesting) 디바이스) 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요청이 없었던 디바이스는 반이중으로의 천이에 이용가능할 것이지만, 반이중 세션은 요청이 없었던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가능하지 않은 이유들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이를테면 기술적 결함, 다른 통신 세션이 비요청 디바이스에서 더 높은 우선권을 갖는 우선화 방식 (prioritization scheme), 및/또는 추가적인 PTT 통신을 방해할 수도 있는 요청 디바이스상에 부과된 다른 제약들 등, 예컨대 자금 등이 없는 선납된 PTT 기능성 등).
그렇지 않고, 타겟 디바이스가 232 에서 이용가능하다면, 그룹 통신 서버 (134) 는 반이중 통신 세션 (236) 을 셋업한다. 요청 디바이스로부터의 반이중 미디어 (예컨대, 이를테면 음성 데이터) 는 그룹 통신 서버 (134) 에서 수신되고 버퍼링되고 (238), 그 후 그룹 통신 서버 (74) 에 의해 최초의 전이중 통신 세션이 요청되어, 전이중 통신 세션을 제어하는 적절한 디바이스 (예컨대, 이를테면 활성 호 제어기 (78)) 에 의해 종결된다 (240). 이와 달리, 그룹 통신 서버 (134) 그 자체가 전이중 통신 세션을 제어하고 있었다면, 240 의 요청은 전송될 필요가 없으며 전이중 통신 세션은 단순히 그룹 통신 서버 (134) 에 의해 드롭될 수 있음은 이해된다.
240 에서 세션의 전이중부를 종결한 후, 238 로부터 버퍼링된 반이중 미디어는 타겟 디바이스(들)로 전달된다 (242).
도 12 는, 반이중 통신 세션의 다른 세션 참여자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세션이 반이중으로부터 전이중으로 천이하도록 요청하는 경우, 반이중 통신에 관여된 세션 참여자에서 수행된 프로세스의 일 실시형태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 를 참조하면, 세션 참여자 (예컨대, 250 에서 요청을 수신하는 세션 참여자는 반이중 세션에서의 현재의 화자 또는 반이중 세션에서의 플로어-비보유자 (non-floorholder) 중 어느 일방에 대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2), 세션 발신기 등과 같은 타겟 통신 디바이스) 는 반이중 통신 세션 동안 전이중 통신 세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250). 일 예에서, 세션 참여자가 반이중 세션의 현재의 플로어-보유자에 대응하더라도, 250 의 '요청' 은 세션 참여자가 전이중으로의 천이를 수락하도록 강제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겟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전이중 세션에 참여하는 것에 동의하기 전에 전이중 채널이 252 에서 확립된다. 이와 달리, 다른 예에서, 도 12 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타겟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전이중 천이 요청에 대해 (예컨대, 이를테면 특별한 링잉 등을 통해) 경보를 받을 수도 있고, 이 요청을 수락 또는 거절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낮은 (예컨대, 이중 천이를 요청했던 참여자보다 더 낮은) 우선권을 갖는 세션 참여자들은 전이중으로 천이하도록 강제될 수 있는 반면, 높은 (예컨대, 이중 천이를 요청했던 참여자보다 더 높은) 우선권을 갖는 세션 참여자들은 세션을 수락 또는 거절하는 것에 대한 옵션이 가질 수 있다. 세션 참여자가 이중 천이를 수행하도록 강제되거나 아니면 그 사용자가 이중 천이를 수행하도록 자발적으로 선출한다고 가정하면, 전이중 채널이 셋업된다 (252). 일 예에서, 타겟 디바이스가 반이중 세션 동안 트래픽 채널 (TCH) 을 갖지 않았다면, 252 에서 전이중 채널을 셋업하는 것은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TCH 를 획득하는 타겟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 후, 타겟 디바이스 (예컨대, 무선 통신 디바이스 (12)) 는 마이크로폰 (115) 및/또는 카메라 (113) 와 같은 그 통신 인터페이스를 뮤트 (mute) 하므로 (254), 이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예컨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전이중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아직 전송하지 않을 것이고 (254), 그 후 타겟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전이중 통신을 수락하도록 프롬프트하며, 여기서 프롬프트는 간단한 오디오 경보, 비주얼 경보 등일 수 있다. 전이중 통신이 디바이스에 브리징될 때 마이크로폰 (115) 이 이미 뮤트되었거나 그렇지 않으면 통신 인터페이스가 비활성이라면, 뮤트 단계 (254) 는 선택사항일 수 있다.
도 12 를 참조하면, 타겟 디바이스는 그 사용자가 전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했는지를 결정한다 (258). 사용자가 전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하지 않았다고 타겟 디바이스가 결정한다면, 전이중 통신 세션은 종결되어 252 에서의 전이중 채널 셋업은 드롭된다 (260). 그렇지 않으면, 타겟 디바이스는 그 사용자가 258 에서 전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했다고 결정한다면, 통신 인터페이스는 언뮤트 (un-mute) 되고 설립된 전이중 통신 세션에 사용자가 관여할 수 있다 (260). 일 예에서, 타겟 디바이스는 수락에 있어서 단순한 부작위에 의해 (예컨대, 사용자가 5 초 후에 수락되지 않았다면) 전이중 요청을 거절할 수 있고, 또는 명시적으로 반이중 통신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 PTT 버튼 (112) 과 같은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따라서, 도 12 의 프로세스에서, 적어도 타겟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전이중 세션을 수락할지 아닌지의 여부를 결정할 기회를 가질 때까지, 반이중 세션은 드롭될 필요는 없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이중 통신을 강제하는 선택적인 제어로 타겟 통신 디바이스 (12) 가 실시되며, 이 방법은 전이중 통신의 확립의 강제를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타겟 통신 디바이스 (12) 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예컨대, 전이중 세션이 확립된 후에 타겟 사용자가 전이중 세션을 선택적으로 수락할 때까지 '뮤트' 로 유지되는 마이크로폰 (115) 을 나타내는 도 12 와는 달리) 마이크로폰 (115) 의 활성화를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발신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의 사용자는 타겟 통신 디바이스 (12) 에서의 마이크로폰 (115) 에서 수집된 오디오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타겟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 있지만, 이것은 어떤 조건들 하에서는 바람직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발신 모바일폰을 갖는 부모는 어린이들의 모바일폰의 마이크로폰이 전이중 통신을 개설하도록 강제할 수 있고 부모는 어린이의 전화에 이야기할 수 있고 어린이의 전화에서의 오디오를 들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은 특정한 실시형태들 및/또는 프로토콜들에 대해 지정된 메시지들 (예컨대, ASK, ATN, CALL, ANNOUNCE 등) 을 시그널링하는 기준들을 포함하지만, 이들 신호들은 다른 구현형태들 및/또는 프로토콜들에 관한 실시형태에서 적절한 경우 수정될 수 있다는 점은 이해될 것이다. 즉, CALL 메시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 등에서 임의의 유형의 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할 수도 있고, ANNOUNCE 메시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통신 세션을 알리는 임의의 유형의 메시지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이종 기술들 및 기술분야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을 통해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볼, 및 칩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기장이나 자기 입자, 광학장이나 광입자, 또는 이들에 대한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교환가능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성에 관하여 이상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성은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시스템 전반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변화된 방식들에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형태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나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에 대한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다른 예시에서는, 프로세서가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 (state machine) 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 예컨대 DSP 및 DSP 코어와 관련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또는 이러한 임의의 다른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 둘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탈착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식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이와 달리,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내장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 은 사용자 단말 (예컨대, 액세스 단말기) 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송신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와 어떤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한정하는 의미가 아닌 예시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나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식으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명명된다.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twisted pair), DSL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 (laser disc), 광디스크 (optical disc), 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 (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 (blu-ray disc) 를 포함하며, 여기서 통상적으로 디스크 (disc) 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복제하는 반면 디스크 (disk) 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복제한다. 상기의 조합들도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전술한 개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나타내지만, 여기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각종 변경형태들 및 변형형태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임의의 특정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먼트들은 단수로 설명되거나 특허청구될 수도 있지만, 단수로 한정되는 것이라고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복수가 의도되는 것이다.

Claims (68)

  1.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으로서,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전이중 통신 세션을 개시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반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로의 반이중 통신 채널을 셋업하는 단계;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이 확립되기 전에 상기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미디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미디어를 상기 반이중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로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이중 통신 채널을 셋업하는 단계는,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이 처음에는 상기 반이중 통신 세션으로서 셋업될 것이라는 표시와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로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알리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호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수락 메시지는 상기 반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호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른 호 수락 메시지는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미디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미디어는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에 대한 암시적인 수락을 표시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용 전이중 통신 채널을 셋업하는 단계; 및
    상기 전이중 통신 채널의 확립시에 상기 반이중 통신 세션을 종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 타겟으로부터 상기 전이중 세션이 수락되지 않았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표시는 호 수락 메시지의 부재 또는 호 거절 메시지에 대응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에,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이 개시되고 있다는 것과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이 임시로 상기 반이중 통신 세션에 의해 지원될 것이라는 것을 표시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단일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알림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임시의 반이중 통신 세션과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에 제1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반이중 통신 세션을 알리는 단계; 및
    상기 제1 알림 메시지가 전송된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에 제2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반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알림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14.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이 확립되기 전에,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 반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함으로써, 상기 발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발신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개시하라는 요청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구성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에 반이중 통신 채널을 셋업하는 단계; 및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이 확립되기 전에 상기 반이중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에 미디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용 전이중 통신 채널을 셋업하는 단계;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이 확립된 후에 상기 반이중 통신 세션을 종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이 확립된 후에 상기 전이중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와 미디어를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17.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반이중 통신 세션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알려진 반이중 통신 세션을 선택적으로 수락하는 단계;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이중 통신 채널을 셋업함으로써 상기 반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알려진 반이중 통신 세션이 잠재적인 전이중 통신 세션과 연관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선택적으로 수락하는 단계; 및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이 확립되기 전에 상기 반이중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미디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알림 메시지는 상기 반이중 통신 세션과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 양자 모두를 알리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알림 메시지는, 제1 호 수락 메시지가 상기 알려진 반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한다는 것과 상기 제2 호 수락 메시지가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알림 메시지는 상기 반이중 통신 세션과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의 수락을 강제하도록 구성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디바이스와의 전이중 통신 채널을 셋업함으로써,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이 확립된 후에 상기 전이중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 디바이스와 미디어를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중 채널 상에서 상기 발신 디바이스에 미디어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이 수락되었다고 암시적으로 표시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호 수락 메시지는,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이 수락되었다고 표시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적인 전이중 통신 세션은, 호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호 수락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실패함으로써 거절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이중 통신 세션과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은 상이한 알림 메시지들로 알려지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알림 메시지들은 상기 반이중 통신 세션과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 각각에 대한 수락을 강제하도록 구성되는, 전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
  27.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반이중과 전이중 간에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으로서,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1 이중 특성 (duplex characteristic) 을 갖는 소정의 통신 세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발신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 (duplex characteristic) 으로부터 제2 이중 특성으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상기 제2 이중 특성으로 선택적으로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중 특성을 갖는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은 반이중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이중 특성을 갖는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은 전이중에 대응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반이중으로부터 전이중으로의 천이를 요청하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반이중 세션에 대한 플로어를 보유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이중으로의 천이가 완료되기 전에 상기 요청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상기 현재의 플로어-보유자 (floor-holder) 로의 일방향성 통신 링크를 셋업하는 단계; 및
    상기 일방향성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요청 디바이스로부터 미디어를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중으로의 천이가 완료된 후에 상기 일방향성 통신 링크를 종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중 특성을 갖는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은 전이중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이중 특성을 갖는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은 반이중에 대응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를 요청하는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천이 후에 상기 반이중 세션에 대한 플로어-보유자로 되도록 더 요청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천이 하의 상기 반이중 세션의 플로어-보유자로부터 미디어를 버퍼링하는 단계; 및
    천이 하의 상기 반이중 세션의 임계 개수 (threshold number) 의 플로어-비보유자 (non-floor-holder) 들이 이용가능하게 되는 경우, 천이 하의 상기 반이중 세션의 각 플로어-비보유자에 상기 버퍼링된 미디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중 특성을 갖는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에 참여하고 있는 각각의 디바이스에게, 이중-천이 (duplex-transition) 가 요청되었다고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적으로 천이하는 단계는, 상기 이중-천이에 동의하는 임계 개수의 디바이스들에 대해 조절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35.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반이중과 전이중 간에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으로서,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1 이중 특성 (duplex characteristic) 을 갖는 소정의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제2 이중 특성으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요청이 승인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상기 제2 이중 특성으로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중 특성을 갖는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은 반이중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이중 특성을 갖는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은 전이중에 대응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요청 디바이스가, 상기 천이 전에 상기 반이중 세션의 플로어-보유자 (floor-holder) 가 아닌 경우,
    상기 전이중으로의 천이가 완료되기 전에 상기 요청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상기 현재의 플로어-보유자로의 일방향성 통신 링크를 셋업하는 단계; 및
    상기 일방향성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요청 디바이스로부터 미디어를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중으로의 천이가 완료된 후에 상기 일방향성 통신 링크를 종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중 특성을 갖는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은 전이중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이중 특성을 갖는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은 반이중에 대응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40.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 후에 상기 반이중 세션에 대한 상기 플로어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41.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반이중과 전이중 간의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으로서,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1 이중 특성 (duplex characteristic) 을 갖는 소정의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제2 이중 특성으로 천이하도록 다른 세션 참여자가 요청했다는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상기 제2 이중 특성으로 선택적으로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중 특성을 갖는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은 반이중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이중 특성을 갖는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은 전이중에 대응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요청 디바이스가 상기 천이 전에 상기 반이중 세션의 플로어-보유자 (floor-holder) 가 아닌 경우,
    상기 전이중으로의 천이가 완료되기 전에 상기 요청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상기 현재의 플로어-보유자로의 일방향성 통신 링크를 셋업하는 단계; 및
    상기 일방향성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요청 디바이스로부터 미디어를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중으로의 천이가 완료된 후에 상기 일방향성 통신 링크를 종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45.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천이하는 단계는, 상기 통지를 수신하는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천이를 수행하게 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천이하는 단계는, 상기 통지를 수신하는 디바이스에서 전이중 통신 채널을 확립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전이중 통신 채널의 확립시에 상기 통지된 디바이스에서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뮤트 (mute) 하는 단계;
    상기 통지된 디바이스의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하도록 프롬프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수락함으로써 상기 프롬프트에 응답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선택적으로 언뮤트 (un-mute)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47.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중 특성을 갖는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은 전이중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이중 특성을 갖는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은 반이중에 대응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48.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천이 (duplex-transition) 를 수락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이중 천이를 수락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i) 상기 전이중 세션을 제어하는 서버에 상기 전이중 세션이 수락된다고 표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 또는 (ⅱ) 상기 서버에 미디어를 전송하는 것 중 어느 일방에 의해 상기 전이중 송신을 수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50.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이중 천이를 수락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경우, (i) 상기 전이중 세션을 제어하는 서버에 상기 전이중 세션이 거절된다고 표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 또는 (ⅱ) 상기 전이중 세션을 제어하는 서버에 상기 전이중 세션이 수락된다고 표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 중 어느 일방에 의해 상기 전이중 송신을 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세션을 천이하는 방법.
  51.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액세스 단말기들 사이에서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도록 구성되는 서버로서,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전이중 통신 세션을 개시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반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서버.
  52.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서버-중재의 통신 세션들에 참여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기로서,
    전이중 통신 세션이 확립되기 전에 상기 액세스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 반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함으로써, 상기 액세스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개시하라는 요청을 구성하는 수단; 및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성된 요청을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53.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서버-중재의 통신 세션들에 참여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기로서,
    적어도 반이중 통신 세션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알려진 반이중 통신 세션을 선택적으로 수락하는 수단;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이중 통신 채널을 셋업함으로써 상기 반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수단;
    상기 알려진 반이중 통신 세션이 잠재적인 전이중 통신 세션과 연관되는지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선택적으로 수락하는 수단; 및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이 확립되기 전에 상기 반이중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미디어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54.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액세스 단말기들 사이에서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고, 반이중과 전이중 간에 통신 세션들을 천이하도록 구성되는 서버로서,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1 이중 특성 (duplex characteristic) 을 갖는 소정의 통신 세션을 수행하는 수단;
    상기 발신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 (duplex characteristic) 으로부터 제2 이중 특성으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상기 제2 이중 특성으로 선택적으로 천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서버.
  55.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서버-중재의 통신 세션들에 참여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기로서,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1 이중 특성 (duplex characteristic) 을 갖는 소정의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수단;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제2 이중 특성으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전송된 요청이 승인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상기 제2 이중 특성으로 천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56.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서버-중재의 통신 세션들에 참여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기로서,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1 이중 특성 (duplex characteristic) 을 갖는 소정의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수단;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제2 이중 특성으로 천이하도록 다른 세션 참여자가 요청했다는 통지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수신된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상기 제2 이중 특성으로 선택적으로 천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57.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액세스 단말기들 사이에서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도록 구성되는 서버로서,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전이중 통신 세션을 개시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로직; 및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반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도록 구성되는 로직을 포함하는, 서버.
  58.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서버-중재의 통신 세션들에 참여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기로서,
    전이중 통신 세션이 확립되기 전에 액세스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 반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함으로써, 상기 액세스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개시하라는 요청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로직; 및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성된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로직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59.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서버-중재의 통신 세션들에 참여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기로서,
    적어도 반이중 통신 세션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로직;
    상기 알려진 반이중 통신 세션을 선택적으로 수락하도록 구성되는 로직;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이중 통신 채널을 셋업함으로써 상기 반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도록 구성되는 로직;
    상기 알려진 반이중 통신 세션이 잠재적인 전이중 통신 세션과 연관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로직;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선택적으로 수락하도록 구성되는 로직; 및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이 확립되기 전에 상기 반이중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미디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로직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60.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액세스 단말기들 사이에서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고, 반이중과 전이중 간에 통신 세션들을 천이하도록 구성되는 서버로서,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1 이중 특성 (duplex characteristic) 을 갖는 소정의 통신 세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로직;
    상기 발신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제2 이중 특성으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로직; 및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상기 제2 이중 특성으로 선택적으로 천이하도록 구성되는 로직을 포함하는, 서버.
  61.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서버-중재의 통신 세션들에 참여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기로서,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1 이중 특성 (duplex characteristic) 을 갖는 소정의 통신 세션에 참여하도록 구성되는 로직;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제2 이중 특성으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로직; 및
    상기 전송된 요청이 승인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상기 제2 이중 특성으로 선택적으로 천이하도록 구성되는 로직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62.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서버-중재의 통신 세션들에 참여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기로서,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1 이중 특성 (duplex characteristic) 을 갖는 소정의 통신 세션에 참여하도록 구성되는 로직;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제2 이중 특성으로 천이하도록 다른 세션 참여자가 요청했다는 통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로직; 및
    상기 수신된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상기 제2 이중 특성으로 선택적으로 천이하도록 구성되는 로직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63.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액세스 단말기들 사이에서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도록 구성되는 서버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전이중 통신 세션을 개시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반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64.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서버-중재의 통신 세션들에 참여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전이중 통신 세션이 확립되기 전에 상기 액세스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 반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함으로써, 상기 액세스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개시하라는 요청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성된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65.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서버-중재의 통신 세션들에 참여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반이중 통신 세션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알려진 반이중 통신 세션을 선택적으로 수락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이중 통신 채널을 셋업함으로써 상기 반이중 통신 세션을 확립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알려진 반이중 통신 세션이 잠재적인 전이중 통신 세션과 연관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을 선택적으로 수락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전이중 통신 세션이 확립되기 전에 상기 반이중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 디바이스로부터 미디어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66.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액세스 단말기들 사이에서 통신 세션들을 중재하고 반이중과 전이중 사이에서 통신 세션들을 천이하도록 구성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1 이중 특성 (duplex characteristic) 을 갖는 소정의 통신 세션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발신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제2 이중 특성으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상기 제2 이중 특성으로 선택적으로 천이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67.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서버-중재의 통신 세션들에 참여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1 이중 특성 (duplex characteristic) 을 갖는 소정의 통신 세션에 참여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제2 이중 특성으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전송된 요청이 승인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상기 제2 이중 특성으로 천이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68.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서버-중재의 통신 세션들에 참여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발신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1 이중 특성 (duplex characteristic) 을 갖는 소정의 통신 세션에 참여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제2 이중 특성으로 천이하도록 다른 세션 참여자가 요청했다는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수신된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통신 세션을 상기 제1 이중 특성으로부터 상기 제2 이중 특성으로 선택적으로 천이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17005694A 2008-08-11 2009-08-11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통신 세션 동안의 전이중 통신 세션의 셋업 및 반이중과 전이중 간의 천이 KR101247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859008P 2008-08-11 2008-08-11
US61/188,590 2008-08-11
US12/538,618 US8681664B2 (en) 2008-08-11 2009-08-10 Setting up a full-duplex communication session and transitioning between half-duplex and full-duplex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12/538,618 2009-08-10
PCT/US2009/053368 WO2010019546A2 (en) 2008-08-11 2009-08-11 Setting up a full-duplex communication session and transitioning between half-duplex and full-duplex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355A true KR20110042355A (ko) 2011-04-26
KR101247404B1 KR101247404B1 (ko) 2013-03-26

Family

ID=4165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694A KR101247404B1 (ko) 2008-08-11 2009-08-11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통신 세션 동안의 전이중 통신 세션의 셋업 및 반이중과 전이중 간의 천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681664B2 (ko)
EP (1) EP2332350A2 (ko)
JP (1) JP5155450B2 (ko)
KR (1) KR101247404B1 (ko)
CN (1) CN102119538B (ko)
BR (1) BRPI0917531A2 (ko)
CA (2) CA2855275A1 (ko)
RU (1) RU2480946C2 (ko)
WO (1) WO201001954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1664B2 (en) 2008-08-11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Setting up a full-duplex communication session and transitioning between half-duplex and full-duplex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150467B2 (en) 2008-12-12 2012-04-03 At&T Mobility Ii, Llc Devices and methods for asymmetrical multicarri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8879602B2 (en) 2009-07-24 2014-11-04 At&T Mobility Ii Llc Asymmetrical receiver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971946B2 (en) * 2011-05-11 2015-03-03 Tikl, Inc. Privacy control in push-to-talk
JP2013042490A (ja) * 2011-08-11 2013-02-28 Xener Systems Inc mVoIPベースの呼接続方法及びシステム
US8886244B2 (en) * 2011-11-04 2014-11-1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critical resource allocation for group calls made in a push-to-talk communication environment
US9560099B2 (en) 2012-05-23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group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using motion and voice activate controls
US9204263B2 (en) * 2012-05-23 2015-12-01 Mark A. Lindner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group communication based on motion of a mobile device
US9674694B2 (en) * 2012-05-23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group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with mode transition based on motion
US9392421B2 (en) 2012-05-23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group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with mode depending on user proximity or device position
US9485077B2 (en) * 2012-07-06 2016-11-01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efficient ethernet with asymmetric traffic profiles
CN103037121B (zh) * 2012-12-13 2015-01-07 深圳市音络科技有限公司 啸叫消除方法、啸叫消除系统和免提电话
KR101342738B1 (ko) 2012-12-13 2013-12-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매체 변환기 및 매체 변환기 구현 방법
CN103294629B (zh) * 2013-04-26 2016-08-10 深圳市宏电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接口转换电路及装置
JP2016524856A (ja) * 2013-05-22 2016-08-1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全二重無線方式を支援する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いて適用される全二重無線領域の構造、これを割り当てる方法及び装置
US20140348034A1 (en) * 2013-05-23 2014-11-27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roup communication in noisy environments
US9232522B2 (en) * 2013-07-19 2016-01-05 Motorola Solutions, Inc. Full duplex direct mode individual and group calling using adjacent time slots in a TDMA system
CN105376841B (zh) * 2014-08-27 2019-06-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通信模式调整的方法、微基站及宏基站
RU2580437C2 (ru) 2014-09-02 2016-04-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Яндекс"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входяще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сообщения и сервер
RU2580438C2 (ru) 2014-09-02 2016-04-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Яндекс"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обработки входяще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сообщения и сервер (варианты)
WO2016048610A1 (en) * 2014-09-26 2016-03-31 Qualcomm Incorporated Server-initiated duplex transitions
US9924539B2 (en) * 2015-08-21 2018-03-20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OFDMA full-duplex communication
US10341081B2 (en) * 2016-07-22 2019-07-02 Apple Inc. User equipment that autonomously selects between full and half duplex operations
WO2018102981A1 (zh) * 2016-12-06 2018-06-14 吉蒂机器人私人有限公司 全双工与半双工串口信号转换电路及机器人
WO2019005227A1 (en) * 2017-06-30 2019-01-03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VOICE CALL OPERATIONS
CN108650641B (zh) * 2018-04-16 2021-04-16 福建科立讯通信有限公司 一种无中心dmr中转台ip互联系统话权抢占与仲裁的方法
CN109714492B (zh) * 2019-02-26 2021-03-2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六研究所 一种指挥调度语音流控制系统及方法
CN112732340B (zh) 2019-10-14 2022-03-15 思必驰科技股份有限公司 人机对话处理方法及装置
US20220085966A1 (en) * 2020-09-17 2022-03-17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event trigger full duplex abortion
US11929776B2 (en) * 2021-01-22 2024-03-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between half duplex and full duplex in multi-TRP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24031T1 (de) 2000-03-03 2011-09-15 Qualcomm Inc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beteiligung an gruppenkommunikationsdiensten in einem bestehenden kommunikationssystem
US7386000B2 (en) 2001-04-17 2008-06-10 Nokia Corporation Packet mode speech communication
US7313103B2 (en) 2002-06-03 2007-12-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half-duplex and full-duplex systems
US7130282B2 (en) 2002-09-20 2006-10-31 Qualcomm Inc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multimedia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US20040228292A1 (en) * 2003-05-12 2004-11-18 Edwards David W.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ll duplex dispatch
EP1649706A4 (en) 2003-07-18 2011-05-11 Kodiak Networks Inc PREMIUM VOICE SERVI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636327B1 (en) * 2003-07-29 2009-12-22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operating in a half-duplex mode or full-duplex mode in a packet-based real-time media conference
US20050031109A1 (en) 2003-08-05 2005-02-10 Fernandez Christopher Lawrence Group communication system
US7069032B1 (en) 2003-08-29 2006-06-27 Core Mobility, Inc. Floor control management in network based instant connect communication
US7944861B2 (en) 2003-10-14 2011-05-17 Tele-Town Hall, Llc System and process for mass telephony conference call
US7415282B2 (en) * 2004-07-31 2008-08-19 Nextel Communication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seamless switching between full-duplex and half-duplex modes
CN101057514B (zh) 2004-11-15 2011-06-08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实现多媒体通信会话的方法和设备
KR100810222B1 (ko) 2005-02-01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기반의 푸쉬 투 토크에서 전 이중 통화 제공 방법및 시스템
EP1867067A2 (en) 2005-03-29 2007-12-19 Sonim Technologies Inc. Push to talk over cellular (half-duplex) to full-duplex voice conferencing
WO2007086785A1 (en) 2006-01-25 2007-08-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mbiner loss in a multi-sector, omni-base station
US7694002B2 (en) 2006-04-07 2010-04-06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upgrading / downgrading a conference session
US7912070B1 (en) * 2006-07-12 2011-03-22 Nextel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switching a half-duplex session to a full-duplex session
WO2008019080A1 (en) 2006-08-04 2008-02-14 Jps Communications, Inc. Voice modulation recognition in a radio-to-sip adapter
US8396013B2 (en) 2006-09-11 2013-03-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alf-duplex terminals in an asynchronous mode
US20150009865A1 (en) 2008-08-11 2015-01-08 Qualcomm Incorporated Server-initiated duplex transitions
US8681664B2 (en) 2008-08-11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Setting up a full-duplex communication session and transitioning between half-duplex and full-duplex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184529B2 (en) 2008-10-17 2012-05-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81664B2 (en) 2014-03-25
EP2332350A2 (en) 2011-06-15
JP5155450B2 (ja) 2013-03-06
US20100034123A1 (en) 2010-02-11
CA2730455A1 (en) 2010-02-18
JP2011530967A (ja) 2011-12-22
CN102119538A (zh) 2011-07-06
RU2480946C2 (ru) 2013-04-27
CA2855275A1 (en) 2010-02-18
WO2010019546A2 (en) 2010-02-18
US9520982B2 (en) 2016-12-13
RU2011109009A (ru) 2012-09-20
KR101247404B1 (ko) 2013-03-26
BRPI0917531A2 (pt) 2015-11-17
US20130315110A1 (en) 2013-11-28
CN102119538B (zh) 2016-01-06
WO2010019546A3 (en)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40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통신 세션 동안의 전이중 통신 세션의 셋업 및 반이중과 전이중 간의 천이
KR101322501B1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들의 우선순위화
US20150009865A1 (en) Server-initiated duplex transitions
KR10119421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통신 세션 설정
EP27958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ssion initiator privilege, priority and presence notification for push-to-talk chat group communications
KR10144177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고-우선순위 통신 세션들
WO2016048610A1 (en) Server-initiated duplex transitions
KR20060014760A (ko) Ptt콜 중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