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734A - 사용자 단말에 신속한 데이터 액세스를 지원하는 중개 서버, 중개 서버의 동작 방법,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에 신속한 데이터 액세스를 지원하는 중개 서버, 중개 서버의 동작 방법,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734A
KR20110041734A KR1020090098708A KR20090098708A KR20110041734A KR 20110041734 A KR20110041734 A KR 20110041734A KR 1020090098708 A KR1020090098708 A KR 1020090098708A KR 20090098708 A KR20090098708 A KR 20090098708A KR 20110041734 A KR20110041734 A KR 20110041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data center
data
location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3891B1 (ko
Inventor
신경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8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891B1/ko
Priority to US12/751,747 priority patent/US8489697B2/en
Publication of KR20110041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사용자 단말이 인터넷상의 데이터 센터를 이용할 때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서 데이터를 신속하게 액세스하도록 지원하는 중개 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중개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알람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를 넘으면 서비스 품질 알람을 생성한다. 중개 서버는 서비스 품질 알람이 생성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중 데이터의 신속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를 재할당한다.
중개 서버,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전송 지연, 위치 정보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에 신속한 데이터 액세스를 지원하는 중개 서버, 중개 서버의 동작 방법,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Brokerage server for supporting fast data access to user terminal, method for operating brokerage server,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에 인터넷으로 연결된 데이터 센터 인프라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신속한 데이터 액세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악, 게임, 영화, 드라마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빠르고 안전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CDN(Content Delivery Networks)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CDN 서비스는 콘텐츠 제공업자(CP)의 웹 서버에 집중되어 있는 콘텐츠 중 용량이 크거나 사용자의 요구가 잦은 콘텐츠를 네트워크의 주요 지점에 설치된 CDN 서버에 미리 저장해두고, CDN 서버로부터 최적의 경로로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전달한다. 한편,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분산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통합하는 것으로, CDN 서비스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서비스도 등장하였다.
사용자 단말이 인터넷상의 데이터 센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이용할 때,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를 신속하게 액세스하도록 지원하는 중개 서버, 중개 서버의 동작 방법,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중개 서버는 통신부 및 위치 분석부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알람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를 넘으면 서비스 품질 알람을 생성한다. 위치 분석부는 서비스 품질 알람이 생성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중 사용자 단말에 신속한 데이터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를 할당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및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센터를 할당하여 데이터의 신속한 액세스를 지원하는 중개 서버와 연결되며, 할당된 데이터 센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은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고, 사용자 단말의 이동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한다. 통신부는 생성된 알람 메시지를 중개 서버로 전송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중개 서버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알람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를 넘으면 서비스 품질 알람을 생성하는 동작과, 서비스 품질 알람이 생성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과, 결정된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중 사용자 단말에 신속한 데이터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를 할당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은,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및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중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의 신속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를 할당하는 중개 서버와 연결되며, 데이터 센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는 동작과, 이동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람 메시지를 중개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이 인터넷상의 데이터 센터가 제공하는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이용할 때,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서 데이터 센터를 할당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에 신속하게 액세스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 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데이터의 신속한 액세스를 지원하는 환경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환경에서 데이터 센터 인프라(100), 사용자 단말(200) 및 중개 서버(300)가 서로 인터넷으로 연결된다.
데이터 센터(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각종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환경 또는 서버의 집합을 나타낸다. 데이터 센터 인프라(Data Center Infrastructure; 100)는 콘텐츠 제공자의 서버일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인프라일 수 있으며, 데이터 센터(100)는 데이터 센터(100)의 운영자나 데이터 센터(100)의 운영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각종 데이터는 음악, 게임, 영화, 드라마 등 다수의 사용자들에 공유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뿐만 아니라, 개인 정보, 개인의 업무용 파일, 소정의 그룹의 사람들에게 공유되는 콘텐츠 등 특정 사용자에게만 이용되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센터 인프라(100)는 제1 데이터 센터(110), 제2 데이터 센터(120), 제3 데이터 센터(130) 및 제4 데이터 센터(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데이터 센터(100)가 복수 개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고, 데이터 센터(100)의 개수에 제한이 없다. 또한, 제1 데이터 센터(110), 제2 데이터 센터(120), 제3 데이터 센터(130) 및 제4 데이터 센터(140)는 각각 다른 위치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대륙, 국가 또는 도시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개인용 컴퓨터, 셋탑 박스, 랩탑 컴퓨터, 휴대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MPEG Layer-3) 플레이어 등 고정형 전자 장치 및 이동형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도 1에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인터넷 환경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데이터 센터 인프라(100) 중에서 중개 서버(300)에 의해 데이터 센터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센터(110)를 할당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제1 데이터 센터(11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을 감지하고, 이동이 감지되면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중개 서버(300)로 전송한다.
중개 서버(300)는 데이터 센터 인프라(100)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데이터의 신속한 액세스를 지원하는데 적합한 데이터 센터를 할당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주로 특정 지역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중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한 데이터 센터를 할당할 수 있다.
중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이 데이터 센터 인프라(100)를 이용한 서비스를 처음 이용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의 IP 주소, 단말 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같은 로그인 정보 등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중개 서버(300)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 정보 예를 들 어,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알려주는 IP 룩업 툴(lookup tool)과 같은 별도의 외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중개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중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인프라(100)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데이터 센터를 사용자 단말(200)의 홈 데이터 센터로 할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의 홈 데이터 센터가 제1 데이터 센터(110)라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중개 서버(300)는 제1 데이터 센터(110)의 할당 정보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센터(110)의 IP 주소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개 서버(300)에 한 번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은 이후에는 제1 데이터 센터(110)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1 데이터 센터(110)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고, 제1 데이터 센터(110)에 저장된 업로드된 데이터 또는 제1 데이터 센터(11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출장, 이사, 여행 또는 이민 등으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에도 계속하여 제1 데이터 센터(110)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에 위치하는 제1 데이터 센터(110)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200)이 미국으로 이동하였으며, 사용자 단말(200)이 미국에 위치한 데이터 센터 예를 들어, 제2 데이터 센 터(120)를 이용할 수 있음에도, 계속하여 제1 데이터 센터(110)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은 서비스 지연 등 서비스 품질 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을 감지하고, 이동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200)이 이동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람 메시지를 중개 서버(300)로 전송한다. 중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고, 알람 메시지를 카운팅할 수 있다. 중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알람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를 넘으면, 현재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었음을 나타내는 서비스 품질 알람(Access QoS Alarm)을 생성할 수 있다. 중개 서버(300)는 서비스 품질 알람이 생성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다시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따라 데이터 센터 인프라(110) 중 데이터의 신속한 액세스 지원에 적합한 데이터 센터를 재할당할 수 있다.
이때에도, 중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된 위치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데이터 센터를 재할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에 따른 데이터 센터를 재할당한 결과, 홈 데이터 센터와 다른 위치의 데이터 센터, 예를 들어, 제2 데이터 센터(120)가 할당되면, 제2 데이터 센터(120)를 방문 데이터 센터로 할당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제2 데이터 센터(120)로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제어부(210), 통신부(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출력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데이터 센터 인프라(100) 중 중개 서버(300)에 의해 할당된 데이터 센터가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데이터 센터 인프라(100) 중 중개 서버(300)에 의해 할당된 데이터 센터 및 중개 서버(100)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10)에 전달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키 패드, 조그 셔틀 등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제어부(210)에서 실행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출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제어부(210)에서 실행될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200)이 이동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람 메시지를 통신부(220)를 통해 중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200)의 동일 표준시를 사용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타임존(timezone)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하여, 타임존이 변경되었음이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200)이 이동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직접 사용자 단말(200)로 시간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다른 전자 기기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시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210)는 입력되는 시간 정보를 기존에 설정되어 있던 시간 정보와 비교하여 타임존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10)는 이용중인 데이터 센터,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센터(110)로 생성된 거리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1 데이터 센터(110)로부터 거리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거리 확인 메시지 전송 시간 및 응답 메시지 수신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예를 들어, HTTP 헤드 메시지(HTTP head message)를 이용하여 거리 확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거리 확인 메시지는 통신부(220)를 통해 중개 서버(300)로 전달된다. 중개 서버(300)에서 거리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예를 들어, HTTP 헤드 메시지에 대한 헤드 응답 메시지(head response message)가 수신되면, 제어부(210)는 거리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까지의 응답 시간(t)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10)는 거리 확인 메시지가 통신부(220)에서 전송된 시간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기까지 타이머를 구동하여 응답 시간(t)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응답 시간(t)이 미리 설정된 시간(Tm)보다 짧으면,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지 않고, 이전에 할당받은 제1 데이터 센터(110)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받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응답 시간(t)이 미리 설정된 시간(Tm) 이상이면,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200)이 이동하였다고 결정하고,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중개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200)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람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200)의 디바이스 ID, 사용자 ID, IP 주소 및 타임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알람 메시지에 GPS 위치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도 3은 중개 서버(300)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중개 서버(300)는 통신부(310), 위치 분석부(320), 데이터베이스(330) 및 데이터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개 서버(3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각각 데이터 센터를 할당하는 동작을 수행하지만, 이하에서는 중개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데이터 센터 할당을 수행하는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이 이동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한다.
위치 분석부(320)는, 수신된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0)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하고,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중 결정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데이터 센터를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데이터 센터로서 할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30)는 사용자 단말(200)에 데이터 센터를 할당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330)는 사용자 단말(200)이 전송하는 알람 메시지 가 저장되는 알람 리스트 DB(331), 데이터 인프라(100)의 데이터 센터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센터 정보 DB(332), 사용자 단말별로 홈 데이터 센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홈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DB(333), 사용자 단말별로 방문 데이터 센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DB(334) 및 그룹 정보 DB(335)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부(340)는 사용자 단말(200)에 데이터 센터가 할당됨에 따라 수행되는 데이터 복사, 이동, 삭제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300)의 구성 및 저장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알람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데이터 센터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c는 홈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d는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e는 그룹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알람 리스트 DB(331)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알람 메시지가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 알람 리스트 DB(331)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별로 알람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 리스트 DB(331)는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디바이스 ID(DEVICE_ID), 사용자 ID(USER_ID), IP 주소(IP), 타임존 정보(TIME ZONE) 및 GPS 정보(GPS Info)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동일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람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증가되는 알람 메시지 카운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센터 정보 DB(332)는 데이터 센터 인프라(100)에 포함된 데이터 센터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센터 DB(332)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센터 식별 정보(CENTER_ID), 데이터 센터 이름(NAME), 데이터 센터 계층 정보(DEPTH),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LOCATION) 및 타임존 정보(TIME ZONE)가 하나의 데이터 센터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센터 계층 정보(DEPTH)는 데이터 센터 인프라(100)의 데이터 센터들의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의 위치 정보 및 타임존 정보가 2 이상의 지역적 계층 구조에 따라 관리되는 경우 레벨 정보를 나타낸다.
홈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DB(333)은 위치 분석부(320)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200)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들에 대해 홈 데이터 센터로 할당된 데이터 센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홈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식별 정보(USER_ID), 사용자 이름(USER_NAME), 센터 식별 정보(CENTER_ID), 및 갱신 시간 정보(UPDATE_TIME)를 포함할 수 있다. 갱신 시간 정보는 홈 데이터 센터 위치가 갱신된 시간을 나타낸다.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DB(334)는 위치 분석부(320)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들에 대해 방문 데이터 센터로 할당된 데이터 센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식별 정보(USER_ID), 사용자 이름(USER_NAME), 센터 식별 정보(CENTER_ID), 갱신 시간 정보(UPDATE_TIME), 액세스 시간 정보(INSERT_TIME)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시간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 해당 데이터 센터에 최종 접속 시간 정보일 수 있다.
그룹 정보 DB(335)는 그룹별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저장한다. 그룹 정보 DB(335)에는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식별 정보(GROUP_ID), 그룹 이름(GROUP_NAME), 사용자 ID(USER ID), 및 데이터 센터 ID(DATA CENTER_ID)를 포함하는 그룹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외에도, 그룹 정보 DB(335)는 각 그룹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중개 서버(3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알람 메시지는 알람 리스트 DB(331)에 저장된다. 통신부(310)는 수신된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를 이용하여 홈 데이터 센터 DB(332)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200)이 중개 서버(300)에 처음 접속하는 사용자인지 결정할 수 있다. 위치 분석부(320)는, 사용자 단말(200)이 처음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1 데이터 센터(110)를 홈 데이터 센터로서 할당할 수 있다. 위치 분석부(320)는 제1 데이터 센터(110)의 정보를 홈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DB(333)에 사용자 단말(200)의 홈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로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제1 데이터 센터(110)를 이용하던 중,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알람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를 넘으면 서비스 품질 알람(AcessQoSAlarm)을 생성할 수 있다. 위치 분석부(320)는 서비스 품질 알람이 생성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중 데이터의 신속한 액세스 지원에 적합한 데이터 센터를 재할당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분석부(320)는 데이터 센터 재할당에 따라 제2 데이터 센터(120)를 방문 데이터 센터로 할당할 수 있다. 위치 분석부(320)는 제2 데이터 센터(120)의 정보를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DB(334)에 사용자 단말(200)의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로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치 분석부(320)가 사용자 단말(200)에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데이터 센터를 할당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분석부(320)는 사용자 단말(200)의 IP 주소에 대한 지리적 위치 정보(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 정보)가 매핑된 IP 룩업 툴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분석부(320)는 획득된 사용자 단말(200)의 지리적 위치 정보에 가장 가까운 데이터 센터를 데이터 센터 DB(332)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 센터를 사용자 단말(200)에 할당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위치 분석부(320)는, 알람 메시지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200)의 타임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할당될 데이터 센터를 결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위치 분석부(320)는 데이터 센터 정보 DB(332)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타임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센터를 검색한다. 위치 분석부(320)는 사용자 단말(200)의 타임존에 근접하는 타임존으로 데이터 센터 검색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위치 분석부(32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센터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로 검색된 데이터 센터의 IP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한 다. 사용자 단말(200)이 검색된 데이터 센터의 IP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데이터 센터들에 대하여 핑테스트(ping test)를 수행하고, 핑테스트 수행 결과를 중개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위치 분석부(3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핑테스트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응답 시간이 가장 적은 데이터 센터를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데이터 센터로서 할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IP 룩업 툴을 이용하는 방법과, 사용자 단말(200)의 타임존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으며, 함께 이용된 다음, 각 방법에 따라 결정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데이터 센터를 할당할 수도 있다.
한편, 위치 분석부(320)는 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된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그룹 정보 DB(335)에서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200)이 소정의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인지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의 소정의 그룹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속한 그룹에 할당된 데이터 센터 정보를 그룹 정보 DB(335)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분석부(320)는 그룹 정보 DB(335)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이 속한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자 단말(200)이 속한 그룹의 사용자 단말들의 위치와 할당될 데이터 센터 사이의 평균 거리가 가장 짧은 하나의 데이터 센터를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데이터 센터로서 할당할 수 있다. 위치 분석부(320)는 그룹에 속하는 모든 사용자 단말들에 신속한 데이터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동일한 타임존 또는 근접한 타 임존에 속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를 할당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위치 분석부(320)가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패턴을 결정하고, 데이터 제어부(340)가 결정된 이동 패턴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분석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이동 패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위치 분석부(32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수신되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위치 분석부(320)는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패턴에 대하여 임시 이동(510), 임시 이동 후 귀환(520), 영구 이동(530) 및 재이동(540) 중 하나의 이동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임시 이동(510)은, 사용자의 연수, 여행 등으로 사용자 단말(200)이 원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임시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임시 이동 후 귀환(520)은 사용자 단말(200)이 원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원래의 장소로 되돌아온 상태를 나타내고, 영구 이동(530)은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이민을 간 경우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이 원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영구히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재이동(540)은 사용자 단말(200)이 원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했다가, 원래의 장소가 아닌 다른 새로운 장소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데이터 제어부(340)는 결정된 이동 패턴에 따라서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센터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의 복사, 이동, 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 방문 데이터 센터가 할당되어, 제1 기간 동안(예를 들어, 3개월 내지 6개월 동안)에 방문 데이터 센터를 이용하는 경우, 위치 분석부(320)는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임시 이동(51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방문 데이터 센터가 할당되면, 위치 분석부(320)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를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DB(334)에 추가하여 갱신한다. 이때, 데이터 제어부(340)는, 할당된 방문 데이터 센터에 홈 데이터 센터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패턴이 임시 이동(510)으로 결정된 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새로운 알람 메시지가 수신되고, 새로운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시 할당된 데이터 센터가 홈 데이터 센터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패턴을 임시 이동 후 귀환(520)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더 이상 방문 데이터 센터를 이용하지 않을 것이므로, 위치 분석부(320)는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DB(334)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를 삭제한다. 이때, 데이터 제어부(340)는 방문 데이터 센터에 복사되었던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패턴이 제1 기간 보다 긴 제2 기간 동안 방문 데이터 센터를 이용하는 경우, 위치 분석부(320)는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영구 이동(53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패턴이 영구 이동인 경우, 위치 분석부(320)는 사용자 단말(200)의 홈 데이터 센터를 변경하여 할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분석부(320)는 홈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DB(333)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홈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를 방문 데이터 센터의 위치 정보로 갱신하고,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DB(334)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의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제어부(340)는 사용자 단말(200)의 이전 홈 데이터 센터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방문 데이터 센터 즉, 새로 할당된 홈 데이터 센터로 모두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패턴이 임시 이동(510)으로 결정된 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알람 메시지가 수신되고,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 할당된 데이터 센터가 홈 데이터 센터 및 방문 데이터 센터가 모두 아닌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패턴을 재이동(540)으로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패턴이 재이동인 경우, 위치 분석부(320)는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DB(334)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방문 데이터 위치 정보를 새로 할당된 데이터 센터의 위치 정보로 갱신한다. 이때, 데이터 제어부(340)는 방문 데이터 센터에 복사된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를 위치 분석부(320)에서 새로 할당된 새로운 방문 데이터 센터로 모두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데이터 센터의 트리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중개 서버(300)는 데이터 센터 인프라(110)에 대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층적 구조로 데이터 센터 정보 DB(332)의 데이터 센터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중개 서버(300)는 데이터 센터들의 위치 정보 및 타임존 정보를 레벨 1:대륙, 레벨 2:국가, 레벨 3:도시로서 계층적 구조로 관리할 수 있다.
중개 서버(300)는 데이터 센터 DB(332)에서 도 6에 도시된 트리 구조에 따라 데이터 센터 레벨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이 핑테스트(ping test)를 수행할 데이터 센터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중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알람 메시지의 타임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대략적 지리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아시아 대륙에 위치하는 결정되는 경우, 아시아의 대표 데이터 센터가 한국에 위치한 데이터 센터이고, 한국의 대표 데이터 센터가 "서울 데이터 센터"이면, 중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지리적 위치와 동일한 타임존(610)에 위치한 "서울 데이터 센터" 및 " 부산 데이터 센터"를 검색할 수 있다. 중개 서버(300)는 검색된 데이터 센터의 IP 주소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된다. 사용자 단말(200)이 "서울 데이터 센터" 및 "부산 데이터 센터"에 핑테스트를 수행한 결과를 중개 서버(300)로 전송한다. 중개 서버(300)는 수신된 핑테스트 수행 결과가 "부산 데이터 센터"의 응답 시간이 더 짧은 것으로 결정되면, 사용자 단말(200)이 "서울"보다 "부산"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고 결정하고 "부산 데이터 센터"를 할당할 수 있다.
도 7a는 그룹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센터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7b는 그룹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센터 할당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룹 사용자들까지 데이터를 공유할 때, 그룹의 사용자 단말들의 위치가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어 그룹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의 홈 데이터 센터를 결정하게 되면, 그룹 사용자들 사이에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들 각각의 홈 데이터 센터에 공유 데이터를 저장하여 이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개 서버(300)는 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들에 대해서는 그룹에 대한 데이터 센터를 지정해서 공유되는 데이터를 한 곳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위치 분석부(320)는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들과 데이터 센터 사이의 평균 거리가 가장 짧은 데이터 센터 예를 들어, 데이터 센터 1(710)을 그룹에 대한 데이터 센터로 지정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를 중복 저장해야 하지만, 데이터 매우 빠른 접근 속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중개 서버(300)는 하나의 그룹에 대하여 2개 이상의 데이터 센터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데이터 센터(710, 720)을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개 서버(300)는 같은 타임존 또는 서로 근접한 타임존의 데이터 센터를 여러 개 지정해서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들이 더욱 가까운 데이터 센터가 접근하게 하여 빠른 데이터 액세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중개 서버(300)는 빠른 접속을 요구하는 서비스 요구 정도에 따라 평균 데이터 센터의 거리를 결정한 다음에, 할당할 데이터 센터의 개수 및 대상을 지정할 수 있다.
도 8은 데이터의 신속한 액세스를 지원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200)이 중개 서버(300)에 초기 등록을 수행한다(810). 사용자 단말(200)이 중개 서버(300)에 알람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 중개 서버(300)가 홈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DB(333)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200)이 처음 사용자인지 결정할 수도 있다.
중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제1 데이터 센터(110)를 홈 데이터 센터로서 할당하고(812), 사용자 단말(200)로 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814). 제1 데이터 센터(100)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 대한 홈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로 홈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DB(333)에 추가된다. 사용자 단말(200)은 이후 제1 데이터 센터(110)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816).
사용자 단말(200)은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거리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고(818), 생성된 거리 확인 메시지를 제1 데이터 센터(1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센터(110)는 거리 확인 메시지 수신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거리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 시간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응답 시간(t)을 측정한다(824).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응답 시간(t)이 미리 설정된 시간(Tm) 이상이면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828), 생성된 알람 메시지를 중개 서버(300)로 통지한다(830). 도 8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이용중인 데이터 센터가 제1 데이터 센터(110)이므로, 제1 데이터 센터(110)에 거리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였으나, 사용자 단말(200)이 다른 데이터 센터 예를 들어, 방문 데이터 센터(120)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은 거리 확인 메시지를 방문 데이터 센터(120)로 전송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알람 메시지 생성(828) 및 통지(830) 동작은 사용자 단말(200)이 타임존 변경을 감지하는 방법으로(826), 이동을 감지하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중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알람 메시지를 저장한다(832). 중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알람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알람 메시지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알람 메시지의 개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중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알람 메시지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이 되면, 서비스 품질 알람을 생성한다(834).
서비스 품질 알람이 생성되면, 중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하여 데이터 센터 재할당 동작을 수행한다(836). 데이터 센터가 재할당되면, 사용자 단말(200)에는 제2 데이터 센터(120)가 방문 데이터 센터로 할당될 수 있다. 방문 데이터 센터 할당 정보는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DB(334)에 업데이트되며, 제1 데이터 센터(110)에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는 제2 데이터 센터(120)로 복사된다.
중개 서버(300)는 제2 데이터 센터(120)에 대한 할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838),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제2 데이터 센터(120)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840).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이 인터넷상의 데이터 센터가 제공하는 데이터에 액세스할 때,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서 데이터 센터를 할당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에 신속하게 액세스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데이터의 신속한 액세스를 지원하는 환경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중개 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알람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데이터 센터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c는 홈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d는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e는 그룹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분석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이동 패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데이터 센터의 트리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그룹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센터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그룹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센터 할당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데이터의 신속한 액세스를 지원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9)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알람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를 넘으면 서비스 품질 알람을 생성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서비스 품질 알람이 생성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신속한 데이터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를 할당하는 위치 분석부를 포함하는 중개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분석부는, 상기 수신된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중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데이터 센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센터로서 할당하는 중개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의 위치 정보 및 타임존 정보가 2 이상의 지역적 계층 구조에 따라 관리되는 데이터 센터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분석부는, 상기 수신된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타임 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속하는 타임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센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 센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중개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처음 접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 센터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데이터 센터를 홈 데이터 센터로서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홈 데이터 센터를 이용하는 도중, 상기 서비스 품질 알람이 발생된 경우, 상기 수신된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 센터를 할당하고, 상기 새로운 데이터 센터를 방문 데이터 센터로서 관리하는 중개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 데이터 센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홈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방문 데이터 센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방문 데이터 센터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중개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분석부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패턴을 결정하는 중개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제1 기간 동안에 상기 방문 데이터 센터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 패턴을 임시 이동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패턴이 임시 이동으로 결정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새로운 알람 메시지가 수신되고 상기 새로운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데이터 센터가 홈 데이터 센터인 경우, 상기 이동 패턴을 임시 이동 후 귀환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패턴이 상기 제1 기간 보다 긴 제2 기간 동안 상기 방문 데이터 센터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 패턴을 영구 이동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패턴이 임시 이동으로 결정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새로운 알람 메시지가 수신되고 상기 새로운 알람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 할당된 데이터 센터가 상기 홈 데이터 센터 및 상기 방문 데이터 센터가 모두 아닌 경우, 상기 이동 패턴을 재이동으로 결정하는 중개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이동 패턴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센터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중개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패턴이 임시 이동인 경우, 상기 홈 데이터 센터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를 상기 방문 데이터 센터로 복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패턴이 임시 이동 후 귀환인 경우, 상기 방문 데이터 센터에서 상기 복사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패턴이 영구 이동인 경우, 상기 홈 데이터 센터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를 상기 방문 데이터 센터로 모두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패턴이 재이동인 경우, 상기 방문 데이터 센터에 복사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를 상기 위치 분석부에서 새로 할당된 새로운 방문 데이터 센터로 모두 이동시키는 중개 서버.
  10. 제1항에 있어서,
    그룹별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분석부는, 상기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속한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들의 위치와 할당될 데이터 센터 사이의 평균 거리가 가장 짧은 하나의 데이터 센터를 상기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데이터 센터로서 할당하는 중개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분석부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들에 동일한 또는 서로 근접한 타임존에 속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를 할당하는 중개 서버.
  12.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및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센터를 할당하여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의 신속한 액세스를 지원하는 중개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할당된 데이터 센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알람 메시지를 상기 중개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3. 제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타임존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타인존이 변경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동되었음을 감지하는 사용자 단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거리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할당된 데이터 센터로 상기 생성된 거리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거리 확인 메시지에 대한 상기 데이터 센터의 응답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는 사용자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HTTP 헤드 메시지를 이용하여 거리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 및 타임존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17. 제12항에 있어서,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사 용자 단말.
  18.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알람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개수를 넘으면 서비스 품질 알람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품질 알람이 생성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신속한 데이터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개 서버의 동작 방법.
  19.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및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 중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의 신속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를 할당하는 중개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센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알람 메시지를 상기 중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KR1020090098708A 2009-10-16 2009-10-16 사용자 단말에 신속한 데이터 액세스를 지원하는 중개 서버, 중개 서버의 동작 방법,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KR101633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708A KR101633891B1 (ko) 2009-10-16 2009-10-16 사용자 단말에 신속한 데이터 액세스를 지원하는 중개 서버, 중개 서버의 동작 방법,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US12/751,747 US8489697B2 (en) 2009-10-16 2010-03-31 Brokerage server for supporting fast data access for user terminal, method of operating brokerage server, user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use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708A KR101633891B1 (ko) 2009-10-16 2009-10-16 사용자 단말에 신속한 데이터 액세스를 지원하는 중개 서버, 중개 서버의 동작 방법,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734A true KR20110041734A (ko) 2011-04-22
KR101633891B1 KR101633891B1 (ko) 2016-06-27

Family

ID=4388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708A KR101633891B1 (ko) 2009-10-16 2009-10-16 사용자 단말에 신속한 데이터 액세스를 지원하는 중개 서버, 중개 서버의 동작 방법,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89697B2 (ko)
KR (1) KR1016338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551A1 (en) * 2014-11-05 2016-05-12 Estmob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position of mobile device
KR20210122989A (ko) * 2020-04-02 2021-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베이스 서버 할당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5051A1 (en) * 2010-07-01 2012-0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Automated Customer Model-Based Service Deployment Into Data Centers
TW201230741A (en) * 2011-01-07 2012-07-16 Nat Univ Tsing Hua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domain name system cache poisoning attacks
US9916184B2 (en) 2011-12-02 2018-03-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relocation in global storage cloud environments
JP6115097B2 (ja) * 2012-11-20 2017-04-19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03942234A (zh) * 2013-01-21 2014-07-23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对多个异构数据库操作的方法、中间件装置及系统
KR102085973B1 (ko) * 2013-06-18 2020-03-0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테스트 회로 및 방법
KR20150040087A (ko) * 2013-10-04 2015-04-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을 위한 통신 시스템, 융합 통신 장치 및 방법
US20150332346A1 (en) * 2014-05-13 2015-11-19 Pubmatic, Inc. Impression capping in distributed online advertising environment
US9900215B2 (en) * 2014-11-13 2018-02-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ally recommending point of presence centers
US10491590B2 (en) * 2015-10-12 2019-11-26 Asset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and redirecting mobile applications
US9867006B1 (en) 2016-10-17 2018-01-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Inc. Geo-classification of users from application log data
US11876613B2 (en) * 2021-10-29 2024-01-1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region switc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7568A1 (en) * 2000-09-06 2002-03-07 Nec Corporation Access method and system using small number of identifiers
US20020037731A1 (en) * 2000-09-22 2002-03-28 Xiaohong Mao Traffic congestion management when providing realtime information to service providers
KR20030040268A (ko) * 2003-04-08 2003-05-22 (주)아이엠넷피아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6 주소를 사용한 인터넷 서비스 장치및 그 방법
KR20060019320A (ko) * 2004-08-27 2006-03-03 브이케이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 추적 시스템의 일과 다이어리를통한 생활 패턴 분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8481B1 (en) 2000-05-05 2005-08-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to optimize the network distribution of digital information based on hierarchical grouping of server topology and code distribution
US7146636B2 (en) * 2000-07-24 2006-12-05 Bluesocket,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centralized control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6766354B1 (en) * 2000-09-28 2004-07-20 Intel Corporation Speed sensitive content delivery in a client-server network
US20030233580A1 (en) * 2002-05-29 2003-12-18 Keeler James D. Authorization and authentication of user access to a distributed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with roaming features
US7693938B2 (en) * 2004-02-13 2010-04-06 Envisionit Llc Message broadcasting admis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JP4644033B2 (ja) * 2005-05-16 2011-03-0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アクセスルータ装置、モビリティ制御システム、モビリティ制御方法
JP4548225B2 (ja) * 2005-05-30 2010-09-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ip電話システム
US8046810B2 (en) 2006-04-07 2011-10-25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subscription service content to roaming users
AU2007281963A1 (en) 2006-08-04 2008-02-14 Skyhook Wireless, Inc.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retrieval of lo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device for use with server systems
JP5201861B2 (ja) * 2007-03-27 2013-06-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US8611921B2 (en) * 2007-04-06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Delay and backhaul-efficient paging method and apparatus
US8295815B2 (en) * 2008-02-14 2012-10-23 Alcatel Lucent Reject mobile-terminating SMS due to mobile not reachable flag
US20100203901A1 (en) * 2009-02-11 2010-08-12 Dinoff Robert K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Geofences Generated from Learned Patterns of Mov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7568A1 (en) * 2000-09-06 2002-03-07 Nec Corporation Access method and system using small number of identifiers
US20020037731A1 (en) * 2000-09-22 2002-03-28 Xiaohong Mao Traffic congestion management when providing realtime information to service providers
KR20030040268A (ko) * 2003-04-08 2003-05-22 (주)아이엠넷피아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6 주소를 사용한 인터넷 서비스 장치및 그 방법
KR20060019320A (ko) * 2004-08-27 2006-03-03 브이케이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 추적 시스템의 일과 다이어리를통한 생활 패턴 분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551A1 (en) * 2014-11-05 2016-05-12 Estmob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position of mobile device
KR20210122989A (ko) * 2020-04-02 2021-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베이스 서버 할당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891B1 (ko) 2016-06-27
US20110093554A1 (en) 2011-04-21
US8489697B2 (en)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891B1 (ko) 사용자 단말에 신속한 데이터 액세스를 지원하는 중개 서버, 중개 서버의 동작 방법,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US8856329B2 (en) Multicast mapped look-up on content delivery networks
US8291083B2 (en) Distributed landing pad and brick topology for content storage in content delivery networks
KR101662328B1 (ko) Ims 네트워크를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최적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A2780204C (en) Optimizing caching period of location data for network based location services
US9374427B2 (en) Geographical location based cloud storage
US20120198069A1 (en) Content processing between locations workflow in content delivery networks
US201201734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selecting storage locations of replicas in cloud storage system
CN102546656A (zh) 在社交网络中查找用户的方法、系统和装置
AU2011203246B2 (en) Content processing between locations workflow in content delivery networks
JPWO2013157042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管理サーバ群、および、サーバ管理プログラム
CN114466018A (zh) 内容分发网络的调度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150207888A1 (en) Multicast mapped look-up on content delivery networks
US9313613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unsolicited location-based download
JPWO2018164086A1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4545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164940A (ja) 識別子に基づいてデータパケットを中継する中継方法、中継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3422674A1 (en) A method of resolving a domain name by a dns server to a plurality of ip addresse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equipment
CN111557086B (zh) 从与兴趣匹配的多个项中进行选择
CN113791899A (zh) 一种面向移动Web增强现实的边缘服务器管理系统
Niwa et al. MPSDataStore: a sensor data repository system for mobile participatory sensing
KR20140080949A (ko) 라우팅 장치 및 방법
JP2014241562A (ja) 中継装置、dnsサーバ及びそれら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並びにdnsサーバの通信用プログラム及び中継装置の通信用プログラム
JP201515298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532473B (zh) 基于dns的多环境测试访问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