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060A -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도식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도식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060A
KR20110041060A KR1020090098070A KR20090098070A KR20110041060A KR 20110041060 A KR20110041060 A KR 20110041060A KR 1020090098070 A KR1020090098070 A KR 1020090098070A KR 20090098070 A KR20090098070 A KR 20090098070A KR 20110041060 A KR20110041060 A KR 20110041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ile
user device
change history
histor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1551B1 (ko
Inventor
서성화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5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1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그 내부의 파일 변경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파일변경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유저 디바이스(100)와; 상기 유저 디바이스(100)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시점에 상기 저장된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관리 서버(200); 및 상기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 중에서 발췌하여 웹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서버(3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예컨대 모바일 스마트 폰과 같은 유저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파일들의 사용 내역을 유저 디바이스에서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서 관리하도록 하고 그 이력을 도식화한 화면을 통하여 특정 사용자가 관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보안을 위한 사전 및 사후 관리 방법이 가능하다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모바일, 유저 디바이스, 서버, 디스플레이, 파일사용내역, 사용자친화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도식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schematizing history of file in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유저 디바이스 내의 파일 변경 내역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예컨대 모바일 스마트 폰과 같은 유저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파일들의 사용 내역을 유저 디바이스에서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서 관리하도록 하고 그 이력을 도식화한 화면을 통하여 특정 사용자가 관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보안을 위한 사전 및 사후 관리 방법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는 개인 정보 관리 기능과 휴대 전화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서 기업 사용자들은 바일 디바이스 내에 본인의 업무 시스템을 설치하여 근무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업무를 진행하기를 원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인터넷 접속과 회사 내 기업 시스템 접속까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일련의 과정들은 수많은 보안 상의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한 사전 보안 취약점 예방과 사후 대처를 위한 로깅(logging) 체계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에 부응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서 파일들의 사용 내역을 모니터링하고 로깅하여 저장소에 보관해 두고, 관리자가 필요시 이를 도식화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예컨대 모바일 스마트 폰과 같은 유저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파일들의 사용 내역을 유저 디바이스에서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서 관리하도록 하고 그 이력을 도식화한 화면을 통하여 특정 사용자가 관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보안을 위한 사전 및 사후 관리 방법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은, 그 내부의 파일 변경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파일변경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유저 디바이스와; 상기 유저 디바이스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시점에 상기 저장된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된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 중에서 발췌하여 웹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저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 서버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전송받은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에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전송받은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저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된 시점에 기 저장되어 있던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일괄 전송하도록 동작하고, 만약 네트워크 상태에 의하여 일괄 전송이 불가능하여 배치 작업을 통하여 분할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서버는 웹사이트를 통하여 사용자로 등록된 유저 디바이스에 사용자 친화적인 화면을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서버는 즉각 알림이 필요한 내역으로 미리 결정된 파일 변경 내역 데이터는 이메일 또는 단문자서비스(SMS)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등록된 유저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저 디바이스는 파일 로깅 내역을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방법은, 유저 디바이스에서, 그 내부의 파일 변경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파일변경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에서, 상기 유저 디바이스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시점에 상기 저장된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서버에서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된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 중에서 발췌하여 웹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모바일 스마트 폰과 같은 유저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파일들의 사용 내역을 유저 디바이스에서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서 관리하도록 하고 그 이력을 도식화한 화면을 통하여 특정 사용자가 관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보안을 위한 사전 및 사후 관리 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블록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서버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유저 디바이스와 원격 서버간의 데이터 통신, 및 서버간 데이터 통신, 그리고 유무선 웹환경에서 웹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메일이나 SMS 기술, 및 파일출력 기능 등을 그 기본 기술로 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기존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원격 서버간, 서버-서버간 통신 기술을 그대로 응용가능하며, 기존의 웹사이트를 통해 예컨대 회원등록 또는 관리자 회원 등록과 같은 사용자 등록 과정을 통하는 방법도 그대로 이용가능하다. 또한 이메일 전송이나 SMS 문자 전송 기술도 기존 기술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기존 기술로 이용가능한 분야는 설명이 번잡하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세한 기재를 생략한다.
도 1에서 개략적으로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은, 예컨대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는 유저 디바이스(100)와, 원격의 관리 서버(200) 및 디스플레이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유저 디바이스의 파일 사용 내역을 모니터링한 후 정보를 수집하여, 원격 관리 서버에 저장한 후, 필요시 등록된 사용자가 도식화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유저 디바이스(100)는 예컨대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저 디바이스(100)에는 내역이 변경될 수 있는 각종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다. 이들 파일들은 도시된 예에서와 같은 응용프로그램1, 응용프로그램2, 이메일 프로그램, 메신저 프로그램,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들이 동작할 때 변경될 수 있다. 유저 디바이스(100)는 이들 파일들의 변경 내역을 감시 즉 모니터링할 수 있는 파일 변경 모니터링 인터페이스(110)와, 파일변경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는 파일변경 이력 수집부(120), 및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타 데이터 수집 & 발췌 처리기(130) 및 파일변경내역 및 메타 데이터(예컨대, 파일변경일자, 파일변경시간, 파일용량, 변경한 사용자-변경자 등) 저장소(14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유저 디바이스(100)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원격 서버로서, 파일변경내역 및 메타 데이터 저장소(210)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200)는 예컨대 모바일 장치인 유저 디바이스(100)가 예컨대 무선망과 같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시점에 유저 디바이스(100)의 저장소(140)에 저장되어 있던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를 전송받아 파일변경내역 및 메타 데이터 저장소(210)에 저장한다.
디스플레이 서버(300)는 유저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되어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 중에서 발췌하여 웹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서버(300)는 웹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 관리자 웹사이트(310), 이메일 또는 메신저 발송부(320), 및 파일출력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유저 디바이스(100) 전송받은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에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받은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와 함께 저장소(2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 유저 디바이스(100) 자체가 수집한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로부터, 예컨대 파일변경일자, 시간, 파일용량, 변경자와 같은 메타데이터를 발췌하여 저장소(140)로 전송하는 메타 데이터 수집 & 및 발췌처리기(130)를 포함하는 경우도 역시 가능하다.
유저 디바이스(100)가 관리 서버(200)에 접속된 시점에, 유저 디바이스(100)에 기 저장되어 있던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를 관리 서버(200)로 일괄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네트워크 상태에 의하여 일괄 전송이 불가능하여 배치 작업을 통하여 분할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백업 수단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서버(300)의 인터넷 관리자 웹사이트(310)는 무선인터넷 웹환경을 통하여 예컨대 기업의 관리자를 해당 유저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있는 사용자로 등록된 유저의 유저 디바이스(100)에 사용자 친화적인 화면을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서버(300)의 이메일 또는 메신저 발송부(320)는 파일 변경 내역 데이터 중에서, 즉각 알림이 필요한 내역으로 미리 결정된 파일 변경 내역 데이터가 있는 경우 이메일 또는 단문자서비스(SMS)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등록된 유저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서버(300)의 파일출력부(300)는 유저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파 일 로깅 내역을 예컨대 프린트물로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방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디바이스(100)에서, 그 내부의 파일 변경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파일변경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다음에, 관리 서버(200)에서, 상기 유저 디바이스(100)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시점에 상기 저장된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후 디스플레이 서버(300)에서 상기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 중에서 발췌하여 웹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에는 디스플레이 서버(300)의 동작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예컨대 데이터 열람이 가능한 권한있는 사룡자는 디스플레이 서버(300)를 통해 데이터 열람을 요청하면, 디스플레이 서버(300)의 인터넷 관리자 웹사이트(310)는 관리서버(100)의 메타 데이터 저장소(210)에 연결된다(311). 인터넷 관리자 웹사이트(310)는 사용자에게 웹화면에서 검색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312). 사용자가 옵션을 선택하면(321, 323), 이메일 또는 메신저 발송부(320)의 동작이 주기적으로 또는 수신하고자 하는 특정 정보에 대해서만 이메일이나 SMS로 발송될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기능을 사용하면, 인터넷 관리자 웹사이트(310)는 검색응답내용을 수신한 후 관리서버(200)의 저장소(210)로부터 가져와서(313) 웹화면으로 제공한다. 제공된 데이터 중 사용자는 필요한 부분만 선택가능하다(314). 사용자가 웹화면 상에서 필요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선택하면,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315). 사용자는 제공되어 있는 파일출력버튼(316)을 눌러, 파일출력부(330)의 동작을 개시시킬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방법이 개략적인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스마트 폰과 같은 유저 디바이스(100) 내에 파일 모니터링 인터페이스(110)를 설치한다(410). 이후 지정된 응용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과 특정 파일의 변경에 대하여 파일 사용내역이 수집된다(420). 이후 파일 변경 이력 중 메타데이터(파일 변경일자, 시간, 파일용량, 변경자 등)를 따로 발췌한다(430). 파일 변경 내역 발췌정보를 유저 디바이스 내의 저장소(140)에 전송하여 저장한다(440). 이때 네트워크 상황으로 대량 데이터를 일괄 전송 불가할 경우 분할하여 전송한다. 관리 서버의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 정보가 존재할 경우, 유저 디바이스 내 저장소(140)에 있는 정보가 삭제된다. 그 다음 단계(450)에서, 유저 디바이스가 관리 서버에 접속하게 되면 유저 디바이스(100) 내 저장소(140)에 있던 정보를 관리 서버(200)의 저장소(210)로 전송한다. 이때, 변경된 내역만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단계(460)에서, 디스플레이 서버(300)가 관리 서버의 저장소(210)에 접근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발췌하여 온다. 이후 마지막 단계(470)에서, 디스플레이 서버(300)를 통해 사용자는 여러 가지 형태로 파일의 입출력 내역과 메타 데이터들을 조회할 수 있다. 예컨대 웹포탈 사이트(310)로 구성하여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가 가능하다. 긴급 전달이 필요한 정보인 경우에는, 이메일 또는 메신저 발송부(320)를 통하여 발송할 수 있다. 또한 파일출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파일출력부(330)를 통하여 필요시 출력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모바일 유저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기업 데이터 보안 강화 분야에 널리 이용가능하며, 예컨대 스마트 폰을 활용하는 B2B 사용자를 상대로 적용가능하며,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가지고 업무를 많이 하는 비지니스맨과 이를 관리하고자 하는 기업의 의사결정자들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서버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유저 디바이스 110 파일 변경 모니터링 인터페이스
120 파일 변경 이력 수집부 130 메타 데이터 수집 & 발췌 처리기
140 파일변경내역 및 메타 데이터 저장소
200 관리 서버 210 파일변경내역 및 메타 데이터 저장소
300 디스플레이 서버 310 인터넷 관리자 웹사이트
320 이메일 또는 메신저 발송부
330 파일출력부

Claims (14)

  1. 유저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으로서,
    그 내부의 파일 변경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파일변경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유저 디바이스와;
    상기 유저 디바이스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시점에 상기 저장된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된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 중에서 발췌하여 웹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 서버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전송받은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에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전송받은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된 시점에 기 저장되어 있던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일괄 전송하도록 동작하고, 만약 네트워크 상태에 의하여 일괄 전송이 불가능하여 배치 작업을 통하여 분할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서버는 웹사이트를 통하여 사용자로 등록된 유저 디바이스에 사용자 친화적인 화면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서버는 즉각 알림이 필요한 내역으로 미리 결정된 파일 변경 내역 데이터는 이메일 또는 단문자서비스(SMS)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등록된 유저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디바이스는 파일 로깅 내역을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시스템.
  8. 유저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방법으로서,
    유저 디바이스에서, 그 내부의 파일 변경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파일변경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에서, 상기 유저 디바이스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시점에 상기 저장된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서버에서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된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 중에서 발췌하여 웹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 서버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전송받은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에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전송받은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된 시점에 기 저장되어 있던 파일 변경 이력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일괄 전송하도록 동작하고, 만약 네트워크 상태에 의하여 일괄 전송이 불가능하여 배치 작업을 통하여 분할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서버는 웹사이트를 통하여 사용자로 등록된 유저 디바이스에 사용자 친화적인 화면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서버는 즉각 알림이 필요한 내역으로 미리 결정된 파일 변경 내역 데이터는 이메일 또는 단문자서비스(SMS)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등록된 유저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디바이스는 파일 로깅 내역을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도식화하는 방법.
KR1020090098070A 2009-10-15 2009-10-15 유저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도식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151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070A KR101151551B1 (ko) 2009-10-15 2009-10-15 유저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도식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070A KR101151551B1 (ko) 2009-10-15 2009-10-15 유저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도식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060A true KR20110041060A (ko) 2011-04-21
KR101151551B1 KR101151551B1 (ko) 2012-05-30

Family

ID=4404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070A KR101151551B1 (ko) 2009-10-15 2009-10-15 유저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도식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5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467A1 (ko) * 2013-08-26 2015-03-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6855B2 (ja) * 2002-03-29 2008-09-24 富士通株式会社 電子帳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447799B2 (en) * 2002-04-24 2008-11-04 Good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updating a wireless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467A1 (ko) * 2013-08-26 2015-03-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50024477A (ko) * 2013-08-26 201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 제공 방법
US10162945B2 (en) 2013-08-26 201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i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551B1 (ko)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2242B2 (en) Recommendations for shareable links to content items stored in an online content management service
CN101291495B (zh) 对配备有java的蜂窝电话进行装备的方法和系统
US92988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mobile device communications
CN102917011A (zh) 用于数字助理的基于云的经纪人服务
CN108701038B (zh) 一种终端展示广告的方法、终端及广告投放系统
CN102904960B (zh) 一种基于rss的信息同步系统及方法
US8904274B2 (en) In-situ mobile application suggestions and multi-application updates through context specific analytics
CN101953189A (zh) 本地及远程社交信息的集合视图
US8528098B2 (en) Electronic file brow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85481B1 (ko) 스크래핑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서버 장치 및 시스템
JP2013246744A (ja) 携帯端末を用いた業務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5229614A (zh) 多承租人数据中心内的诊断存储
US20050102564A1 (en) Terminal,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log data
WO201207914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act data
KR20130026558A (ko) 외곽 공간을 이용한 댓글 통합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04008151A (zh) 联系人检索的方法、系统和终端设备
TW200843419A (en) Admiration letter direct management operation system and method
US20150348053A1 (en) Monitoring User Activities on Client Devices by Imaging Device Drivers
KR101151551B1 (ko) 유저 디바이스 내 파일 사용내역을 도식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421666B1 (ko) 파일 에이징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19529B1 (ko) 이벤트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6040658A (ja) 棚卸支援装置、棚卸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79166B1 (ko) 스마트 워크 기반의 푸쉬 알림 시스템
JP639836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3827777A (zh) 社交网络报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