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348A - 혈당 이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혈당 이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348A
KR20110040348A KR1020090097572A KR20090097572A KR20110040348A KR 20110040348 A KR20110040348 A KR 20110040348A KR 1020090097572 A KR1020090097572 A KR 1020090097572A KR 20090097572 A KR20090097572 A KR 20090097572A KR 20110040348 A KR20110040348 A KR 20110040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sugar
user
information
blood
blood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정
Original Assignee
(주)아이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소텍 filed Critical (주)아이소텍
Priority to KR1020090097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0348A/ko
Publication of KR20110040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당 이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 수치 정보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기지정된 혈당 관리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혈당 관리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혈당 수치 정보를 모니터링한 전문의가 혈당 수치 정보에 따른 처방을 혈당 케어 관리부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제공 받을 수 있으며, 누적된 혈당 수치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혈당 이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당 측정, 혈당 관리.

Description

혈당 이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BLOOD GLUCOSE HISTORY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혈당 수치 정보를 기지정된 서버에 저장하여 사용자의 혈당 이력을 관리하는 혈당 이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세계 당뇨연맹은 앞으로 20년 후, 전 세계 당뇨병 환자가 무려 3억 6천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경고하고 있으며, 이렇게 매년 8.6%씩 당뇨병 환자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늘고 있는 당뇨병 환자들은 혈액에 함유된 당의 수치를 확인 하기 위하여 혈당 측정기를 통해 혈액 내에 함유된 혈장의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는데, 이 포도당의 농도는 아침, 점심, 저녁, 식사 전, 식사 후, 및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수치이 변동 사항이 커서 자주 측정하여 혈당 수치를 관리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하루에 2번에서 4번씩 실시간으로 혈당을 측정해야 하는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당 측정기를 늘 휴대해야 할 뿐만 아니라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혈당 수치를 기입할 수 있도록 당뇨 일지를 함께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측정한 혈당 수치 정보를 당뇨 일지에 기록하여 확인할 수 있으나, 비전문가인 사용자가 형당 수치 정보를 통하여 자신의 상태를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또한, 사용자가 당뇨 일지에 누적하여 기록한 혈당 수치 정보의 흐름을 한눈에 알아 보기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당뇨일지를 구비하지 않고 혈당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혈당 수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혈당 관리 서버에 전달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개개인의 혈당 수치 정보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전문의에게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처방을 받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측정한 혈당 수치 정보 이력을 그래프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혈당 이력 관리 장치는 혈당 측정기를 이용한 혈당 이력 관리 장치에 있어서, 측정된 혈당 수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고, 측정된 혈당 수치 정보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한 혈당 측정기와;
상기 혈당 측정기에서 측정한 혈당 수치 정보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여 저장하는 혈당 정보 관리 서버와;
상기 혈당 정보 관리 서버는 전달받은 혈당 수치 정보 및 사용자 관련 정보에 따라 전문가가 사용자에게 맞는 식이요법, 운동시간, 및 정밀 진단 시기 중 적 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케어 정보를 입력하여 이를 관리하는 혈당 케어 관리부; 및
상기 혈당 측정기에 저장된 사용자의 혈당 수치 정보와 상기 혈당 케어 관리부에 입력된 케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컴퓨터 단말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혈당 이력 관리 장치의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한 고유 ID, 및 혈당 측정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혈당 이력 관리 방법은 혈당 측정기를 이용한 혈당 이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혈당 측정기에 사용자의 식별 가능한 고유 ID 등록하는 제1 단계와;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측정된 혈당 수치,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한 고유 ID, 및 혈당 측정 시간에 대한 정보를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혈당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혈당 관리 서버의 정보에 따라 전문가가 사용자에게 해당하는 케어 정보를 혈당 케어 관리부에 저장하는 제4 단계; 및
사용자는 상기 혈당 케어 관리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케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혈당 이력 관리 방법의 상기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한 고유 ID는 혈당 측정기 고유번호와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조합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혈당 이력 관리 방법의 상기 혈당 측정기는 컴퓨터 단말기에 혈당 수치 정보를 업로드하여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혈당 이력 관리 방법의 상기 혈당 관리 서버 및 컴퓨터 단말기는 입력된 혈당 수치 정보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혈당 측정 장치에 구비된 통신 모듈을 통해 혈당 정보 관리 서버에 혈당 수치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병원에 방문하지 않고 혈당 수치 정보 흐름 비교에 따른 전문의의 처방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뇨일지를 통해 기재해야 하는 매일 측정되는 혈당 수치를 혈당 측정기에 임시 저장하였다가 일괄적으로 컴퓨터 단말기에 업로드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혈당 정보 관리 서버 및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혈당 수치 정보를 그래프화하여 쉽게 혈당 수치의 흐름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이력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혈당 이력 관리 장치는 혈당 측정기(100), 혈당 관리 서버(200), 컴퓨터 단말기(300), 및 혈당 케어 관리부(400)로 구성한다.
여기서, 혈당 측정기(100)는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뿐 아니라, 측정된 혈당 수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10)와, 측정된 혈당 수치 정보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120)을 구비한다.
이때, 혈당 측정기(100)는 스트립에 채취된 사용자의 혈액을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것은 기본적인 기능으로 본 발명의 요지와 다른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120)은 지그비(Zigbee), 와이브로(Wibro) 통신 방식을을 지원한다.
여기서, 혈당 관리 서버(200)는 상기 혈당 측정기(100)에서 측정한 혈당 수치 정보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한 고유 ID, 및 혈당 측정 시간을 포함한다.
여기서, 혈당 케어 관리부(400)는 상기 혈당 정보 관리 서버(200)는 전달 받은 혈당 수치 정보 및 사용자 관련 정보에 따라 전문가가 사용자에게 맞는 식이요법, 운동시간, 및 정밀 진단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컴퓨터 단말기(300)은 상기 혈당 측정기(100)에 저장된 사용자의 혈당 수치 정보와 상기 혈당 케어 관리부(400)에 입력된 케어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컴퓨터 단말기(300)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의 식별가능한 고유 ID를 이용하여 혈당 케어 관리부(40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이력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이력 관리 장치를 통해 나타낸 입력된 혈당 수치 정보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혈당 이력 관리 방법은 먼저, 혈당 측정기(100)에 사용자의 식별 가능한 고유 ID 등록한다(S210). 이때, 사용자의 식별가능한 고유 ID는 혈당 측정기 고유번호와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조합하여 이룬다.
예를들어, 사용자의 식별 가능한 고유 ID를 표현하면 혈당 측정기(100)의 고유번호가 IS0100이고, 주민등록번호(뒷자리 7자리)가 1234567이라고 할 때, 사용자의 식별 가능한 고유 ID는 ISO01001234567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혈당 측정기(100)의 고유번호와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식별 가능한 고유ID를 이루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어서, 혈당 측정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메모리부(110)에 저장한다(S220). 이때, 상기 메모리부(110)는 혈당 수치 및 혈당 측정 시간을 저장한다.
이어서, 상기 측정된 혈당 수치, 사용자 고유 ID, 및 혈당 측정 시간에 대한 정보를 통신 모듈(120)을 이용하여 혈당 관리 서버(200)에 전달한다(S230). 이때, 상기 혈당 관리 서버(200)는 혈당 측정기(100)에서 기지정된 것으로 사용자의 지정병원에 구비된 곳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혈당 관리 서버(200)의 정보에 따라 전문가가 사용자에게 해당하는 케어 정보를 혈당 케어 관리부(400)에 저장한다(S240). 또한, 상기 전문가는 혈당 측정기(100)로부터 전달된 혈당 수치 정보를 혈당 관리 서버(200)를 통해 모니터링한다.
이때, 상기 케어 정보는 사용자에게 맞는 식이요법, 운동시간, 및 정밀 진단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상기 혈당 케어 관리부(4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단말기(300)를 통해 케어 정보를 모니터링한다(S250).
이때, 상기 혈당 측정기(100)는 컴퓨터 단말기(300)에 혈당 수치 정보를 업로드하여 직접 누적하여 저장된 혈당 수치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당 관리 서버(200) 및 컴퓨터 단말기(300)는 입력된 혈당 수치 정보를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그래프는 일자별, 주별, 및 월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현하여 사용자 또는 전문의가 쉽게 혈당의 흐름을 파악 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혈당을 측정한 일별로 그래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 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이력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이력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이력 관리 장치를 통해 나타낸 입력된 혈당 수치 정보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혈당 측정기 110 : 메모리부
120 : 통신 모듈 200 : 혈당 관리 서버
300 : 컴퓨터 단말기 400 : 혈당 케어 관리부

Claims (6)

  1. 혈당 측정기를 이용한 혈당 이력 관리 장치에 있어서,
    측정된 혈당 수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고, 측정된 혈당 수치 정보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한 혈당 측정기와;
    상기 혈당 측정기에서 측정한 혈당 수치 정보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여 저장하는 혈당 정보 관리 서버와;
    상기 혈당 정보 관리 서버는 전달받은 혈당 수치 정보 및 사용자 관련 정보에 따라 전문가가 사용자에게 맞는 식이요법, 운동시간, 및 정밀 진단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케어 정보를 입력하여 이를 관리하는 혈당 케어 관리부; 및
    상기 혈당 측정기에 저장된 사용자의 혈당 수치 정보와 상기 혈당 케어 관리부에 입력된 케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컴퓨터 단말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를 이용한 혈당 이력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한 고유 ID, 및 혈당 측정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이력 관리 장치.
  3. 혈당 측정기를 이용한 혈당 이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혈당 측정기에 사용자의 식별 가능한 고유 ID 등록하는 제1 단계와;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측정된 혈당 수치, 사용자 고유 ID, 및 혈당 측정 시간에 대한 정보를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혈당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혈당 관리 서버의 정보에 따라 전문가가 사용자에게 해당하는 케어 정보를 혈당 케어 관리부에 저장하는 제4 단계; 및
    사용자는 상기 혈당 케어 관리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케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이력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식별 가능한 고유 ID는 혈당 측정기 고유번호와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조합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이력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 측정기는 컴퓨터 단말기에 혈당 수치 정보를 업로드하여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이력 관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 관리 서버 및 컴퓨터 단말기는 입력된 혈당 수치 정보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이력 관리 방법.
KR1020090097572A 2009-10-14 2009-10-14 혈당 이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40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572A KR20110040348A (ko) 2009-10-14 2009-10-14 혈당 이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572A KR20110040348A (ko) 2009-10-14 2009-10-14 혈당 이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348A true KR20110040348A (ko) 2011-04-20

Family

ID=4404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572A KR20110040348A (ko) 2009-10-14 2009-10-14 혈당 이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03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40B1 (ko) * 2011-04-29 2013-04-03 안철우 자동 피드백 매트릭스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40B1 (ko) * 2011-04-29 2013-04-03 안철우 자동 피드백 매트릭스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2956B2 (en) Handheld diabetes manager with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status of an external medical device
CN103260514B (zh) 从连续葡萄糖监测器接收数据的手持糖尿病管理设备的校准
US20140024907A1 (en) Method and system to indicate hyperglycemia or hypoglycemia for people with diabetes
JP5823222B2 (ja) 生体情報システム
EP3567594B1 (en) Diabetes management system with dynamic selection of prediction logic
CN104102801A (zh) 基于移动互联网的老年健康监测和管理系统
US202003836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continuously monitored physiological measurement values of a user
WO2013136611A1 (ja) 生体情報表示方法、生体情報表示画像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US20150134344A1 (en) Personal Health Data Gathering for Incentive and Insurance Rating Purposes
US20120165639A1 (en) Storage of calibration data at a continuous glucose monitor
US20130085682A1 (en) Memory card usage with blood glucose devices
US20140365238A1 (en) Biological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er, program thereof, and medical support system using the same
Keren et al. Limited reproducibility of 24-h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WO2021140670A1 (ja) 情報伝達装置および情報伝達方法
US20120157790A1 (en) Physical examin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gateway and mobile terminal for physical examination
US20160203273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biolog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20110040348A (ko) 혈당 이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8335750B (zh) 动态分析血糖值的方法、系统与计算机存储介质
KR20200104045A (ko) 생체 정보의 표시 방법
WO200503906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measuring blood glucose and diagnosis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50057244A (ko) 생체 정보 및 활동량 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버 및 시스템
TW201828237A (zh) 動態分析血糖值的方法及其系統與電腦程式產品
KR20180051867A (ko) 이동형 건강 관리 장치
JP2021117774A (ja) 生体情報データ共有システム
KR20170108266A (ko)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