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129A - 무인경보 방범장치 - Google Patents

무인경보 방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129A
KR20110040129A KR1020090097278A KR20090097278A KR20110040129A KR 20110040129 A KR20110040129 A KR 20110040129A KR 1020090097278 A KR1020090097278 A KR 1020090097278A KR 20090097278 A KR20090097278 A KR 20090097278A KR 20110040129 A KR20110040129 A KR 20110040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curity device
sensor unit
intrusion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1397B1 (ko
Inventor
장수완
Original Assignee
장수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완 filed Critical 장수완
Priority to KR1020090097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3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무인경보 방범장치는 출입문의 프레임 상에 출입문의 개방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블록 구조물, 출입문과 프레임 사이로의 물리적 침입에 대응하여 블록 구조물의 물리적 훼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센서부의 침입 반응에 대응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범장치는 기존의 도어 및 창문 등의 주변에 설치 가능하며, 관련 부속의 교체 없이 설치 가능하고, 신설에는 더욱 용이하며, 첨단시스템에서도 기초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전력으로 구동이 가능하며, 대기전원을 사용하지 않아 배터리 사용하더라도 오랫동안 방범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외부 전원 차단에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다.
무인경보, 배터리, 방범장치

Description

무인경보 방범장치 {DEVICE FOR UNMANNED ALARM}
본 발명은 무인경보 방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기존의 도어나 창문 등을 교체하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며 도어나 창문 등이 훼손되기 전에 자동으로 방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무인경보 방범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범장치는 많은 기술적 발전을 겪어 왔다. 최첨단 장비 및 인증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인증된 인원만 출입을 가능하게 하고 야간과 같이 통행이 제한된 시간에는 엄격히 출입을 제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증된 카드, 지문 또는 홍체 등을 감지하여 출입이 허용된 사람만 출입하게 하는 장비도 있으며, 적외선을 이용하여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고 비정상적인 침입의 경우 경보를 발생하기도 한다.
하지만, 기존의 방범장치는 외부 침입에는 완벽할 수 있지만 여전히 여러 문제점들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이 방범장치는 보호 대상이 되는 도어나 창문의 훼손을 미리 예방할 수가 없다. 도어나 창문이 강제로 뜯기거나 훼손되는 경우를 대비하기 때문에 방범을 위한 경고가 발생하면 도어 및 창문의 훼손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또한, 항상 전원을 이용하여 회로를 점검하기 때문에 대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원이 필요하며, 대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외부 전원을 이용한 지속적인 전력의 공급이 필요하다. 만약 외부 전원이 정전 등으로 차단된다면, 방범장치는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비상용 전원을 제공할 수 있지만, 비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비를 구입하기 위해서 비싼 비용을 추가로 들여야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도어 및 창문 등의 주변에 설치 가능하며, 새로 건설되는 건물에도 적용이 용이한 방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도어 및 창문 등 관련 부속의 교체 없이 설치 가능한 방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저전력으로 구동이 가능하며, 대기전원을 사용하지 않아 배터리 사용하더라도 오랫동안 방범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외부 전원 차단에 저렴하게 대비할 수 있는 방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어 및 창문의 훼손을 미리 예방하여 파손에 대한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범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경보 방범장치는 출입문의 프레임 상에 출입문의 개방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블록 구조물, 출입문과 프레임 사이로의 물리적 침입에 대응하여 블록 구조물의 물리적 훼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센서부의 침입 반응에 대응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부를 포함한다.
블록 구조물은 출입문에 직접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출입문의 프레임에 장착되며, 침입자가 출입문과 프레임 사이로 지렛대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침입하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다. 침입자가 지렛대 등으로 출입문을 강제로 벌리려고 하 면, 지렛대 받침대 역할을 하는 블록 구조물이 물리적으로 훼손되고, 블록 구조물이 부서지거나 분리되는 물리적 훼손에 대응하여 센서부는 이를 감지하고, 경고부는 시각 또는 청각을 통한 경고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방범장치에 따르면, 출입문의 정상적인 출입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지렛대 등으로 출입문을 비정상적으로 침입하는 경우에만 반응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출입문에서 부품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새로운 시스템에 맞게 출입 시스템을 변경할 필요도 없다.
상기 센서부는 블록 구조물을 통해 전기적 연결된 회로 및 독립된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센서부는 상기 블록 구조물 및 상기 프레임 사이의 분리에 대응하여 구동하여 경고부는 비정상적인 침입 시에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경보 방범장치는 창문의 프레임을 따라 양측에 각각 부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서 양 단부가 결속된 복수개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구조물, 창문의 물리적 침입에 대응하여 와이어의 물리적 훼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센서부의 침입 반응에 대응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부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와이어의 물리적 훼손이라 함은 와이어의 절단은 물론, 허용된 길이 이상의 당김이나 와이어의 이동 등 침입자의 침입에 대응할 수 있는 와이어의 물리적 변화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역시 센서부는 경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및 독립된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제공하며, 와이어의 물리적 훼손에 대응하여 상기 회로를 구동하며, 상기 경고부는 비정상적인 침입 시에만 작동하도록 할 수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경보 방범장치는 출입문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쇠 구조물, 열쇠 구조물을 통한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센서부의 침입 반응에 대응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부를 포함한다. 열쇠 구조물은 출입문 내부에서부터 장착되며 출입문에 형성된 홀을 통해서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열쇠 실린더, 열쇠 실린더에 대응하여 출입문을 고정하는 데드볼트 작동부, 및 데드볼트 작동부와 상기 열쇠 실린더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데드볼트 작동부 및 열쇠 실린더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다.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드릴과 같은 침입 수단이 접근하면, 탄성적으로 지지된 열쇠 실린더는 출입문 내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열쇠 실린더의 후퇴를 감지한 센서부는 경고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센서부는 경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회로 및 독립된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제공하며, 열쇠 실린더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회로를 구동하며, 상기 경고부는 비정상적인 침입 시에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범장치는 기존의 도어 및 창문 등의 주변에 설치 가능하며, 기존의 도어 및 창문 등 관련 부속의 교체 없이 설치 가능하여 기존의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방범장치의 추가 설치만 가능하다. 따라서 방범장치를 구 현하기 위한 추가비용 및 교체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물론, 새로 건설되는 건물에서 적용이 가능하여 신설이 용이하며, 현재의 최첨단 방범시스템에서도 기초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범장치는 저전력으로 구동이 가능하며, 대기전원을 사용하지 않아 배터리 사용하더라도 오랫동안 방범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외부 전원 차단에 저렴하게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범장치는 도어 및 창문의 원래 출입 또는 개폐 기능과 분리되어 있으며, 도어 및 창문이 훼손되기 전에 경고 신호를 발생하기 때문에 훼손을 미리 예방하여 파손에 대한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경보 방범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무인경보 방범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무인경보 방범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무인경보 방범장치의 사용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경보 방범장치(100)는 블록 구조물(110), 센서부(120) 및 경고부(130)를 포함한다.
블록 구조물(110)은 출입문의 프레임(15) 상에 장착되며 출입문(10)의 개방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지렛대(20) 등을 통해 외부의 침입 시, 블록 구조물(110)은 지렛대(20)의 받침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정해진 정도 이상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블록 구조물(110)은 부착된 위치에서 이탈되거나 부셔지거나 혹이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훼손은 정해진 힘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해당하며, 일상적인 경우에는 전혀 출입문(10)을 통한 출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센서부(120)는 블록 구조물(110)의 분리 또는 훼손을 감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스위치(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을 이용하여 블록 구조물(110)이 분리된 경우 스위치(122) 중 한쪽에 내장된 스위치 부속이 회로를 이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배터리(140)를 통해 전원이 비로소 공급됨으로써 경고부(130)는 전원 공급에 따른 작동을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분리 가능한 블록 구조물(110)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래 위치로 블록 구조물(110)이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블록 구조물(110)이 원 위치로 복귀하면 바로 경보가 정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정해진 시간 또는 정해진 조작을 조건으로 경보가 정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140)와 연결된 회로에서 일상적인 경우 스위치(122)가 회로를 분리하기 때문에 배터리(140)에서의 전력 소모를 없앨 수 있으며, 자연적인 방전 외에는 전력 소모가 생기지 않는다. 일단, 블록 구조물(110)의 분리에 의해서 스위치(122)가 연결되면, 경고부(130)는 시각 또는 청각 신호와 같이 감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다른 방범관련 장비에서 인지할 수 있는 전파, 초음파, 적외선, 자외선 등과 같이 장비에서 기계적, 물리적,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스위치(122)가 회로를 연결하고 있다가 단락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대기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터리를 사용해서 비정상적인 침입 시에만 방범장치가 전력을 소모하게 할 수 있으며, 배터리를 한번 교체하여 수 년간 방범기능을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지렛대를 통해 출입문(10)과 프레임(15) 사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원래 출입문(10)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정상적인 사용자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문을 열고, 닫고, 잠그는 기능을 변함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침입 시에만 블록 구조물(110)의 훼손에 따라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경보 방범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의 무인경보 방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경보 방범장치(200)는 열쇠 구조물(210), 센서부(220) 및 경고부(230)를 포함한다.
열쇠 구조물(210)은 출입문(10)의 내부에 장착된다. 열쇠 구조물(210)은 열쇠 실린더(212), 데드볼트 작동부(214) 및 탄성부재(216)를 포함한다. 열쇠 실린더(212)에는 열쇠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데드볼트 작동부(214)와 열쇠 실린 더(212)는 작동 로드에 의해서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데드볼트 작동부(214)와 열쇠 실린더(212) 사이에는 탄성부재(216)가 개재되며, 탄성부재(216)에 의해서 소정의 기준력 이상이 제공되지 않으면 원상태를 유지하다가, 드릴링이 가해지는 것과 같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의 힘이 제공되면 열쇠 실린더(212)가 후퇴하도록 한다.
열쇠 실린더(212)와 데드볼트 작동부(214) 사이에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센서부(220)가 제공되며, 센서부(220)는 열쇠 실린더(212)가 후퇴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회로를 연결할 수 있다. 센서부(220)는 열쇠 실린더(212)의 후퇴를 감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스위치(22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222)가 연결됨에 따라 회로를 이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배터리(240)를 통해 전원이 비로소 공급됨으로써 경고부(230)는 전원 공급에 따른 작동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240)와 연결된 회로에서 일상적인 경우 스위치(222)가 회로를 분리하기 때문에 배터리(240)에서의 전력 소모를 없앨 수 있으며, 자연적인 방전 외에는 전력 소모가 생기지 않는다.
스위치(222)가 회로를 연결하고 있다가 단락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대기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터리를 사용해서 비정상적인 침입 시에만 방범장치가 전력을 소모하게 할 수 있으며, 배터리를 한번 교체하여 수 년간 방범기능을 유지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경보 방범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8 은 도 7의 무인경보 방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무인경보 방범장치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경보 방범장치(300)는 외어어 구조물(310), 센서부(320) 및 경고부(330)를 포함한다.
와이어 구조물(310)은 창문의 바깥에 장착된다. 와이어 구조물(310)은 창문의 양 측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지지대(312) 및 양 지지대(312)에 양 단부가 결속되는 복수개의 와이어(314)를 포함한다. 센서부(320)는 복수개의 와이어(314)의 물리적 훼손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당김, 늘어짐 또는 절단 등의 물리적 훼손을 감지하여 경고부(330)를 작동시킬 수가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와이어(314)의 단부는 지지대(312)의 센서부(320)에 각각 연결된다. 센서부(320)는 와이어(314)의 단부에 연결된 균형부(324), 균형부(32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26) 및 균형부(324)의 양측에 배치되는 스위치 센서(3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와이어(314)의 단부에 디스크 형상의 균형부(324)가 제공되며, 균형부(324)는 지지대(312)의 내벽으로부터 스프링(326)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스프링(326)과의 장력 조절을 통해서 균형부(324)는 정해진 위치에 조정될 수 있으며, 와이어(314)의 움직임에 의해 균형부(324)와 스위치 센서(322)가 상호 접촉할 수 있다. 스위치 센서(322)는 상호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스위치 센서(322)가 회로를 연결하여도 전체적으로 회로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와이어(314)가 끊기는 경우 균형부(324)는 오른쪽으로 움직여 스위치 센서(322)를 연결할 것이며, 와이어(314)가 잡아 당겨지는 경우 균형부(324)는 왼쪽으로 움직여 스위치 센서(322)를 연결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340)와 연결된 회로에서 일상적인 경우 스위치 센서(322)가 회로를 분리하기 때문에 배터리(340)에서의 전력 소모를 없앨 수 있으며, 자연적인 방전 외에는 전력 소모가 생기지 않는다.
스위치 센서(322)가 회로를 연결하고 있다가 단락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대기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터리를 사용해서 비정상적인 침입 시에만 방범장치가 전력을 소모하게 할 수 있으며, 배터리를 한번 교체하여 수 년간 방범기능을 유지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술한 방범장치들은 각 도어 또는 창문에 장착되어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통합된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통합된 경고부를 구성하여 도어 또는 창문 중 어느 하나의 침입만 감지하여도 전체적으로 경고가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경보 방범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인경보 방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무인경보 방범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무인경보 방범장치의 사용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경보 방범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무인경보 방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경보 방범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무인경보 방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무인경보 방범장치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방범장치 110,210,310:구조물
120,220,320:센서부 130,230,330:경고부
140,240,340:배터리

Claims (9)

  1. 정상적인 출입이 가능한 출입문에 비정상적인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방범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프레임 상에 상기 출입문의 개방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블록 구조물;
    상기 출입문과 상기 프레임 사이로의 물리적 침입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 구조물의 물리적 훼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침입 반응에 대응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부;
    를 구비하는 무인경보 방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구조물은 상기 출입문의 개방 단부를 따라 상기 프레임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경보 방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구조물을 통해 전기적 연결된 회로 및 독립된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제공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블록 구조물 및 상기 프레임 사이의 분리에 대응하여 구동하여 상기 경고부는 비정상적인 침입 시에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경보 방범장치.
  4. 창문으로의 비정상적인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방범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프레임을 따라 양측에 각각 부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서 양 단부가 결속된 복수개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구조물;
    상기 창문의 물리적 침입에 대응하여 상기 와이어의 물리적 훼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침입 반응에 대응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부;
    를 구비하는 무인경보 방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상기 와이어의 강제적인 당김 또는 절단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경보 방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형성된 균형부, 상기 균형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균형부의 양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균형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스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경보 방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스위치 센서와 상기 경고부를 전기적 연결하는 회로 및 독립된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제공하며, 상기 스위치 센서는 상기 균형부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회로를 구동하며, 상기 경고부는 비정상적인 침입 시에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경보 방범장치.
  8. 정상적인 출입이 가능한 출입문에 비정상적인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방범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출입문에 형성된 홀을 통해서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열쇠 실린더, 상기 열쇠 실린더에 대응하여 상기 출입문을 고정하는 데드볼트 작동부, 및 상기 데드볼트 작동부와 상기 열쇠 실린더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물;
    상기 데드볼트 작동부 및 상기 열쇠 실린더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침입 반응에 대응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부;
    를 구비하는 무인경보 방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경고부를 전기적 연결하는 회로 및 독립된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제공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열쇠 실린더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회로를 구동하며, 상기 경고부는 비정상적인 침입 시에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경보 방범장치.
KR1020090097278A 2009-10-13 2009-10-13 무인경보 방범장치 KR101041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78A KR101041397B1 (ko) 2009-10-13 2009-10-13 무인경보 방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78A KR101041397B1 (ko) 2009-10-13 2009-10-13 무인경보 방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129A true KR20110040129A (ko) 2011-04-20
KR101041397B1 KR101041397B1 (ko) 2011-06-14

Family

ID=4404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278A KR101041397B1 (ko) 2009-10-13 2009-10-13 무인경보 방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3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069B1 (ko) * 2004-05-03 2006-08-01 정 수 박 방범창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112600A (ko) * 2007-06-21 2008-12-26 이부자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1397B1 (ko) 201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9447A1 (en) Preventing unauthorized hoistway access
US5521585A (en) Protector
CA2942419C (en) A position monitoring device
US5519756A (en) Local alarm system tamper protection device
DK202200041U1 (da) Nærværende frembringelse angår et alarmsystem med en central enhed og en smartlås. Frembringelsen angår desuden en alarminstallation.
US4030089A (en) Alarm system
KR101041397B1 (ko) 무인경보 방범장치
IT201900011694A1 (it) Interruttore di sicurezza con touch panel per il controllo di accessi di macchine o impianti industriali
US8698626B2 (en) Door blocker with wireless attack sensor
JP3752976B2 (ja) 防犯センサ、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2005004316A (ja) 硝子の破壊検出装置及び破壊検出が可能な硝子
EP2613299B1 (en) Alarm system for windows and doors
EP3942128A1 (en) A smart lock for operating a door lock and an alarm installation with such smart lock and a central unit
JP5156884B2 (ja) 保安磁気センサ
JP4293881B2 (ja) 開閉体操作装置の不正検知システム
JP3271917B2 (ja) 警備装置
KR100860151B1 (ko) 비상문 경보기의 연동회로
AU2021107423A4 (en) Barrier Opening Systems
JP2000073679A (ja) 開閉体の制御装置
JP4412968B2 (ja) 開閉体操作装置の不正検知システム
JP2005174593A (ja) 開閉体操作装置
JP2006045862A (ja) シャッター開閉自動監視装置
KR200373543Y1 (ko) 도난경보기
EP1469154B1 (en) Electronic safety device for automatic barriers
JPH0230552B2 (ja) Bohansoch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