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088A -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088A
KR20110040088A KR1020090097222A KR20090097222A KR20110040088A KR 20110040088 A KR20110040088 A KR 20110040088A KR 1020090097222 A KR1020090097222 A KR 1020090097222A KR 20090097222 A KR20090097222 A KR 20090097222A KR 20110040088 A KR20110040088 A KR 20110040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cut
communication
input
mode
phone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9391B1 (ko
Inventor
추세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391B1/ko
Priority to EP10187048A priority patent/EP2312812A1/en
Priority to US12/902,468 priority patent/US8874087B2/en
Publication of KR2011004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3Predictive input, predictive dialling by comparing the dialled sequence with the content of a telephone dire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에 있어서, 단축모드로 진입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모드로 진입되면 입력된 숫자로 시작하는 소정 자리 수의 단축번호들을 폰북에서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단축번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각각의 폰북 정보를 상기 폰북에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각 폰북 정보들과 대응되는 각 단축번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폰북 정보들과 대응되는 단축번호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폰북 정보 또는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기, 통신, 단축모드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통신 연결을 신속하게 수행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이동하면서 통화 및 데이터를 교환화기에 적합한 통신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 되면서, 사용자들은 집에 있는 유선전화보다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을 선호하게 되었다.
휴대단말기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때는 통신 상대방에 관한 연락처의 입력이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통신 상대방에 대한 등록 정보(예를 들어, 이름 및 전화번호)를 휴대단말기의 폰북에 저장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은 폰북의 사용이 필수적이라 볼 수 있다.
한편,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면 할수록 폰북의 사용빈도도 늘어나게 되며, 폰북에 저장(또는 등록)되는 통신 상대방의 수도 증가하게 된다. 폰북에 저장된 통신 상대방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 특정 통신 상대방을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예를 들어, 호의 발신)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통 신 상대방별도 단축번호(또는 핫키)를 설정하고, 단축번호만을 입력하여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통신 상대방과 손쉽게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제안되었다.
그러나, 단축번호만을 입력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종래의 방법은, 통신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단축번호에 등록된 통신 상대방이 많을 경우 사용자가 단축번호에 등록된 통신 상대방을 모두 기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한 자리 숫자(예를 들어, 0-9)의 단축번호에 등록된 통신 상대방은 어느 정도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단축번호에 의한 통신 수행을 사용할 수 있으나, 두 자리 이상 숫자의 단축번호에 등록된 통신 상대방은 모두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폰북 내에서 특정 사용자를 검색(예를 들어, 이름 또는 번호를 입력하여)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통신 상대방들이 두 자리 숫자 이상의 단축번호에 등록되더라도 통신 상대방의 이름 또는 번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 신속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통신 상대방들이 두 자리 숫자 이상의 단축번호에 등록되었더라도, 단축번호에 등록된 통신 상대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으로, 단축모드로 진입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모드로 진입되면 입력된 숫자로 시작하는 소정 자리 수의 단축번호들을 폰북에서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단축번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각각의 폰북 정보를 상기 폰북에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각 폰북 정보들과 대응되는 각 단축번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폰북 정보들과 대응되는 단축번호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폰북 정보 또는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축번호에 등록된 통신 상대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로서, 도 1을 참조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로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23)는 휴대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며,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30)는 롬(ROM)과 램(RAM)로 구성된다. 메모리부(30)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부팅을 위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30)는 통신 상대방에 대한 폰북 정보(또 는 등록 정보)들이 등록된 폰북을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 상대방에 대한 폰북 정보에는 해당되는 이름, 전화번호, 생일, 이메일 주소, 메신저 아이디(ID) 등 여러 가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각 통신 상대방은 폰북 내에서 폰북 주소를 각각 할당 받으며, 할당된 폰북 주소의 번지수(예를 들어, 1-999의 번지수)는 대응되는 통신 상대방으로 통신을 수행(예를 들어, 호의 발신)하는 단축번호(예를 들어, 1-999의 단축번호)로 사용된다.
표시부(50)는 영상신호 및 사용자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통화수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또는 AM 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LCD, OLED 또는 AM OLE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50)는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50)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숫자키의 입력을 통해 숫자를 입력하는 것은 키입력부(27)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으며,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표시부(50)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단축모드에서 입력된 숫자로 시작하는 소정 자리 수의 단축번호들을 폰북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단축번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각각의 폰북 정보를 폰북에서 획득하여 표시하며, 표시된 폰북 정보들과 대응되 는 단축번호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대응되는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축모드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201 단계에서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단축모드로 진입되었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축모드는 최소한의 키입력을 통해 통신(예를 들어, 호의 발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예를 들어, Speed Dial 모드)를 의미하며,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축모드로의 진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가지의 예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축모드로의 진입은 ①과 같이 단축모드 진입에 할당된 소정의 키(예를 들어, 모드 진입키)가 입력된 후에 숫자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모드 진입키가 입력된 후에 “0”의 숫자키(400)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이를 단축모드로 진입된 것으로 판단함과 동시에 숫자 “0”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①의 경우에 있어서 모드 진입키의 입력 여부만을 통해 단축모드로의 진입을 판단할 수도 있 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축모드로의 진입은 ②와 같이 소정의 숫자키를 통해 숫자 입력이 소정의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키 입력이 소정의 시간 이상 입력(예를 들어, 롱키 기능)되는 것은 즉각적인 스피드 다이얼로 동작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롱키 입력을 단축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데 적용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0”의 숫자키(400)를 소정의 시간 이상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이를 단축모드로 진입된 것으로 판단함과 동시에 숫자 “0”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축모드로의 진입은 ③과 같이 소정의 숫자키를 입력한 후에 모드 진입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0”의 숫자키(400)가 먼저 입력된 후에 모드진입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이를 단축모드로 진입된 것으로 판단함과 동시에 숫자 “0”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201 단계에서의 판단을 통해 단축모드로 진입된 것이 확인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입력된 숫자키의 숫자로 시작하는 소정 자리수의 단축번호(또는 주소 번지수)를 폰북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단축번호들에 대응되는 폰북 정보들을 폰북에서 획득하고, 확인된 폰북 정보와 단축번호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축번호는 폰북에 등록된 각 통신 상대방의 등록정보들이 저장된 폰북 주소의 번지수에 대응되는 번호를 의미한다. 즉, 폰북의 주소 번지수 “ 1” 에 등록된 통신 상대방은 “1”의 단축번호를 가지게 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모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0”의 숫자키(400)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0)는 입력된 “0”으로 시작하는 소정 자리 수(예를 들어, 두 자리)의 단축번호(예를 들어, 01-09)를 확인한다. 이후, 제어부(10)는 확인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주소 번지수(1-9)에 등록된 통신 상대방의 폰북 정보를 확인하여, 단축번호와 폰북정보를 표시부(50)에 도 4의 (b)와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 때, “01-09”의 단축번호(또는 주소 번지수)는 두 자리 숫자이나 “0”은 널(null)처리하여 “1-9”로 처리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단축번호와 폰북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단축번호와 폰북정보(단축번호에 대응되는)를 그룹화하여 표시하는데, 각 단축번호의 마지막 숫자에 대응되는 숫자(또는 숫자키)에 폰북정보(예를 들어, 통신 상대방의 이름)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01(실제로는 1)”의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폰북 정보에서 통신 상대방의 이름(예를 들어, 지인1)을 확인하고, “01”의 마지막 숫자 “1”의 숫자키(또는 숫자)와 통신 상대방의 이름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축번호 “1”에 등록된 통신 상대방의 이름(지인1)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c) 내지 도 4의 (d)는 “11-19”와 같이 단축번호가 두 자리 숫자일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데, 단축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1”의 숫자입력(410)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로 시작하는 두 자리 숫자의 단축번호 “10-19”에 대응되는 폰북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 고 있다. 즉, 사용자가 “1”을 입력하면 “1로 시작하는 두 자리 숫자의 단축번호 중 “10”에 대응되는 폰북 정보(예를 들어, 통신 상대방의 이름인 지인10)가 420과 같이 “10”의 마지막 숫자인 “0”에 표시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1”의 입력에 따라 두 자리 숫자 “15”에 대응되는 폰북 정보(예를 들어, 지인15)가 416과 같이 “15”의 마지막 숫자인 “5”에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제어부(10)는 “10-19”의 각 단축번호와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폰북 정보(예를 들어 지인10-지인19와 같이 폰북 정보에서 확인된 통신 상대방의 이름)를 411-420과 같이 표시한다.
이 때, S204 단계에서 표시되는 폰북 정보는 통신 상대방의 이름(예를 들어, 지인1-9 및 지인10-19)뿐만 아니라 통신 상대방의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메신저 아이디 등과 같이 통신 상대방과 관련된 여러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S201-S204단계 이후, 제어부(10)는 S205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폰북정보에 대한 통신 연결이 요청되면, S206 단계를 통해 선택된 폰북 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S201-S204단계를 통해 폰북 정보 중에서 통신 상대방의 이름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각 단축번호에 할당된 통신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으며, 표시된 폰북 정보(예를 들어, 폰북 정보 중에서 통신 상대방의 이름) 또는 폰북 정보에 대응되는 단축번호를 선택하여 통신 연결(예를 들어, 호의 발신)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50)에 도 4의 (d)와 같이 각 단축번호와 대응되는 각 폰북 정보가 표시되었을 경우, 사용자로부터 단축번호 “15”와 대응되는 폰북 정 보(예를 들어, 이름에 해당하는 지인15)가 선택(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을 통해 415의 영역을 선택하거나, 키입력부(27)를 통해 숫자 “5”를 소정의 시간 이상 입력하는)되면, 제어부(10)는 사용자로부터 단축번호 “15”에 등록된 통신 상대방으로의 통신 연결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통신 연결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는 폰북 정보(예를 들어, 지인 15)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한다.
또는, 실시 예의 변형에 따라 통신 연결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는 해당 폰북 정보를 다시 확인하여 수행 가능한 통신의 종류(예를 들어, 호의 발신/메신저 연결/이메일 발송/영상통화발신 등)를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통신에 대한 연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단축번호 “15”에 대응되는 폰북 정보를 확인하여 폰북 정보 내에 전화번호/메신저 아이디/이메일 아이디 등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전화번호를 통한 호의 발신 메뉴와 메신저 아이디를 통한 메신저 연결 메뉴와 이메일 아이디를 통한 이메일 발송 메뉴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호를 발신하거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이메일 발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4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기술함에 있어 단축번호가 두 자리 숫자일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두 자리 숫자의 단축번호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세 자리 이상의 단축번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축번호가 “120-129”의 세자리 수일 경우에, 단축모드 진입이 도 3의 ①의 실시 예를 따를 경우에는 모드 진입키가 입력되고 숫자 “12”이 입력되면 “12”로 시작하는 단축번호들(120-129)과 대응되는 폰북 정보들이 도 4의 (b) 및 (d)와 유사하게 표시될 것이며, 단축모드 진입이 도 3의 ②의 실시 예를 따를 경우에는, 숫자 “1”이 입력되고 “2”가 소정 시간 이상 입력되면 “12”로 시작하는 단축번호들(120-129)과 대응되는 폰북 정보들이 도 4의 (b) 및 (d)와 유사하게 표시될 것이며, 또한, 단축모드 진입이 도 3의 ③의 실시 예를 따를 경우에는, 숫자 “12”가 입력되고 모드 진입키가 입력되면 “12”로 시작하는 단축번호들(120-129)과 대응되는 폰북 정보들이 도 4의 (b) 및 (d)와 유사하게 표시될 것이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세자리 수의 단축번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통신 연결이 요청되면, 제어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축모드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

Claims (8)

  1.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에 있어서,
    단축모드로 진입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모드로 진입되면 입력된 숫자로 시작하는 소정 자리 수의 단축번호들을 폰북에서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단축번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각각의 폰북 정보를 상기 폰북에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각 폰북 정보들과 대응되는 각 단축번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폰북 정보들과 대응되는 단축번호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폰북 정보 또는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모드로의 진입 판단 과정은,
    상기 단축모드로의 진입에 대응되는 모드 진입키가 입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모드로의 진입 판단 과정은,
    상기 입력된 숫자에 대응되는 입력이 소정의 시간 이상 입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모드로의 진입 판단 과정은,
    상기 입력된 숫자에 대응되는 입력이 입력된 후에 상기 단축모드로의 진입에 대응되는 모드 진입키가 입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자리 수의 단축번호들은 두 자리 수 이상의 단축번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폰북 정보 또는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폰북 정보 또는 단축번호에 등록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폰북 정보 또는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폰북 정보를 확인하여 수행 가능한 통신의 종류를 표시하고, 표시된 통신 중에서 선택된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획득된 각 폰북 정보를 상기 대응되는 각 단축번호의 마지막 숫자에 대응되는 숫자와 그룹화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KR1020090097222A 2009-10-13 2009-10-13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KR101609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22A KR101609391B1 (ko) 2009-10-13 2009-10-13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EP10187048A EP2312812A1 (en) 2009-10-13 2010-10-08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shortcut numbers in a mobile terminal
US12/902,468 US8874087B2 (en) 2009-10-13 2010-10-12 Initiating communication from a mobile terminal by using a selected shortcut nu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22A KR101609391B1 (ko) 2009-10-13 2009-10-13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88A true KR20110040088A (ko) 2011-04-20
KR101609391B1 KR101609391B1 (ko) 2016-04-05

Family

ID=4330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222A KR101609391B1 (ko) 2009-10-13 2009-10-13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74087B2 (ko)
EP (1) EP2312812A1 (ko)
KR (1) KR1016093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462B1 (ko) * 2011-12-20 2019-0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US8634812B1 (en) * 2012-07-05 2014-01-21 Blackberry Limited Phoneword dial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full keyboard
CN104754095A (zh) * 2013-12-30 2015-07-0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通信装置、通讯录管理系统及方法
US10990280B1 (en) * 2018-12-03 2021-04-27 Parallels International Gmbh Smart keyboard
KR102319157B1 (ko) * 2019-01-21 2021-10-29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메신저 내 플랫폼에 추가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화방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53410A1 (en) * 1990-12-17 1992-06-18 Paul Edward Duffy Multiple-mode cellular telephone control device
US6330244B1 (en) * 1996-09-05 2001-12-11 Jerome Swartz System for digital radio communication between a wireless lan and a PBX
US6243459B1 (en) * 1998-01-20 2001-06-05 Agere Systems Guardian Corp. Telephone with adaptive speed dial mechanism
US7072461B2 (en) * 2000-10-02 2006-07-04 Microsoft Corporation Merging various request methods into a single unified user interface
US20040203610A1 (en) * 2002-04-25 2004-10-14 Douglas Deeds Creating and transmitting a text message from a terminal
US20040052355A1 (en) * 2002-09-12 2004-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auto-completing telephone numbers that are being manually dialed
US7231229B1 (en) * 2003-03-16 2007-06-12 Palm, Inc. Communication device interface
KR100626533B1 (ko) * 2004-03-04 2006-09-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다이얼 표시 방법
KR100672529B1 (ko) * 2005-04-27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및 장치
US20070004459A1 (en) * 2005-06-30 2007-01-04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single key selection of music pieces
US7710293B2 (en) * 2006-09-11 2010-05-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accessing contact information
TWI381709B (zh) * 2007-10-29 2013-01-01 Htc Corp 藉由顯示聯絡人資訊來實現快速撥號的方法與使用該方法的行動通訊裝置
US8363019B2 (en) * 2008-05-26 2013-01-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6622A1 (en) 2011-04-14
EP2312812A1 (en) 2011-04-20
KR101609391B1 (ko) 2016-04-05
US8874087B2 (en)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95880B (zh) 信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
JP6534781B2 (ja) 第三者発呼の音声プロンプト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09391B1 (ko)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US20080248818A1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Multimode Response Options to an Incoming Voice or Text Message
US20090170562A1 (en) Speed di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from a remote service
KR100731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스피드다이얼 설정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133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번호를 이용한 콜 발신 방법
US8385523B2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voice message retrieval
US200600303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destination in a mobile radio
KR101141363B1 (ko)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JP2010516083A (ja) 複数のネットワークで動作可能な電話装置により電話接続を行う方法
KR101462898B1 (ko) 메시지 읽음 확인서비스 단말기 및 방법
KR1013684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30650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네비게이션 키를 이용한 사칙연산 수행 방법
KR20050095485A (ko) 휴대폰 동작의 원격제어방법
KR10107219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
KR100628108B1 (ko) 이동 단말기의 발신자 번호 표시 제한 방법
KR100607257B1 (ko) 관련자 전화번호 목록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1007033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93728B1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무료통화서비스 방법
KR101394262B1 (ko)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
KR100762633B1 (ko)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환경에 따른 부가 기능 수행 방법
KR101479601B1 (ko) 호 교환 시스템 및 그의 호 연결 방법
KR1006898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20080056048A (ko) 유선 전화기로 통화 수행을 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통화서비스 전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