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929A -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929A
KR20110038929A KR1020090096127A KR20090096127A KR20110038929A KR 20110038929 A KR20110038929 A KR 20110038929A KR 1020090096127 A KR1020090096127 A KR 1020090096127A KR 20090096127 A KR20090096127 A KR 20090096127A KR 20110038929 A KR20110038929 A KR 20110038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module
module structure
fastening groov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5067B1 (ko
Inventor
임상채
이정남
나연정
Original Assignee
(주)지능형빌딩시스템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능형빌딩시스템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지능형빌딩시스템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90096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0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난간용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은, 제1 체결홈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대향하고 제2 체결홈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부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하는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일측은 상기 제1 체결홈에 삽입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타측은 상기 제2 체결홈에 삽입된다.
태양전지, 모듈, 프레임, 난간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Solar cell module structure}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고유가 및 지구 온난화로 인해 화석연료 사용규제 및 탄소 배출권의 강화에 의한 상품 수출의 제한 등의 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확보하는 것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도 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친환경 녹색성장을 중심으로 산업구조를 재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기술개발 및 보급사업 등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재생 에너지로는 태양광, 태양열, 조력, 풍력 등이 있으나, 이 가운데서 최근 가장 각광 받는 재생 에너지원으로는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이다.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의 경우, 무한의 에너지원을 사용하여 발전할 수 있고, 환경오염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은 대단위로 발전소를 건설하여 발전하는 방식도 있으나, 사람이 주거하는 공간에서 개별적으로 발전하는 시스템도 각광 받고 있다. 특히,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Building Integrated Photo Voltaic, BIPV) 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건물 일체형으로 태양전지를 건물에 설치하는 경우, 설치 공간의 부족 문제 등으로, 활성화 시키기에는 아직 어려움이 따랐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태양전지 모듈을 옥외에 간편하게 설치하고, 옥외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난간용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은, 제1 체결홈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대향하고 제2 체결홈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부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하는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일측은 상기 제1 체결홈에 삽입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타측은 상기 제2 체결홈에 삽입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전지 모듈을 옥외에 간편하게 설치하고, 옥외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을 제공받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 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것이고, 도 3b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태양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커버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이 건물에 예시적으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은 제1 프레임부(100), 제2 프레임부(200), 태양전지 모듈(300)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부(100)는 태양전지 모듈(300)이 옥외에 설치될 수 있도록 태양전지 모듈(300)을 지지한다. 제1 프레임부(100)는 태양전지 모듈(30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체결홈(110)을 포함한다. 제1 체결홈(110)은 제1 프레임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렌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홈(110)은 태양전지 모듈(300)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충분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프레임부(100)는 옥외에 설치되므로, 옥외의 기후 조건에 의해 손상되는 정도가 최소로 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 프레임부(100)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프레임부(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프레임부(100)의 형상은 사각 기둥형이나 다각형의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00)는 태양전지 모듈(300)이 옥외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부(100)와 더불어 태양전지 모듈(300)을 지지한다. 제2 프레임부(200)는 태양전지 모듈(300)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부(100)와 대향한다.
제2 프레임부(200)는 태양전지 모듈(300)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체결홈(210)을 포함한다. 제2 체결홈(210)은 제1 프레임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렌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부(200)가 제1 프레임부(100)와 대향하므로, 제2 프레임부(200)에 형성된 제2 체결홈(210)과 제1 프레임부(100)에 형성된 제1 체결홈(110)도 서로 대향한다.
이때, 제2 체결홈(210)은 태양전지 모듈(300)의 타측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충분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프레임부(200)도 제1 프레임부(100)와 마찬가지로, 옥외에 설치되므로, 옥외의 기후 조건에 의해 손상되는 정도가 최소로 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2 프레임부(200)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프레임부(20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프레임부(200)의 형상은 사각 기둥형상이나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부(200)는 제2 체결홈(210)의 반대측에 제2 프레임부(220)가 베란다나 발코니의 바닥에 지지될 수 있도록, 프레임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부(200)는 복수개의 프레임 지지부(220)를 포함 할 수 있다. 복수개의 프레임 지지부(22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 체결홈(210)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은 제1 충전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충전재(120)는 제1 체결홈(110)내에 충전된다. 이때, 제1 충전재(120)는 제1 체결홈(110) 내의 전 영역에 걸쳐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충전재(120)가 충전된 제1 체결홈(110) 내로 태양전지 모듈(300)의 일측이 삽입된다.
또는, 제1 체결홈(110) 내에 태양전지 모듈(300)의 일측이 삽입된 후에, 제1 충전재(120)가 충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체결홈(110)과 태양전지 모듈(300) 사이에는 제1 충전재(120)가 개재된다.
제1 충전재(120)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300)이 제1 체결홈(110)에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시공상의 이유로, 제1 체결홈(110)에 태양전지 모듈(300)을 삽입하기 위해, 제1 체결홈(110)의 폭이 태양전지 모듈(30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 모듈(300)이 제1 체결홈(110)에 삽입되더라도, 태양전지 모듈(300)과 제1 체결홈(110) 사이의 여유 공간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300)이 단단히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300)과 제1 체결홈(110) 사이의 여유 공간 사이를 제1 충전재(120)로 충전함으로써, 상기 여유 공간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300)이 제1 프레임부(100)에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홈(110)과 태양전지 모듈(300) 사이의 여유 공간에 습기가 스며들 수 있다. 이러한 습기를 장기적으로 방치할 경우, 태양전지 모듈(300)에 상기 습기가 침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300)의 성능 저하가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여유 공간에 제1 충전재(120)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여유 공간에 습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태양전지 모듈(300)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충전재(120)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실리콘 수지는 실리콘의 유기 유도체가 중합되어 만들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이다. 분자구조는 규소와 산소가 번갈아 있는 실록세인결합(Si-O결합)의 형태를 갖는 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은 제2 충전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충전재(220)는 제2 체결홈(210) 내에 충전된다. 이때, 제2 충전재(220)는 제2 체결홈(210) 내의 전 영역에 걸쳐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충전재(220)가 충전된 제2 체결홈(210) 내로 태양전지 모듈(300)의 타측이 삽입된다.
또는, 제2 체결홈(210) 내에 태양전지 모듈(300)의 타측이 삽입된 후에, 제2 충전재(220)가 충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체결홈(110)과 태양전지 모듈(300) 사이에는 제2 충전재(220)가 개재된다.
한편, 제2 충전재(220)가 제2 체결홈(110)과 태양전지 모듈(300) 사이에 충전됨으로써, 유발되는 기능은 상술한 제1 충전재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2 충전재(220)로는 제1 충전재(120)와 동일하게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은 복수개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태양전지 모듈(300_1, 300_2)은 연결부재(501, 50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태양전지 모듈(300_1, 300_2)에는 연결부재(501, 502)가 체결될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태양전지 모듈(300_1, 300_2)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 연결부재(501, 502)가 서로 체결되어, 이웃하는 태양전지 모듈(300_1, 300_2) 간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옥외에 설치되는 태양전지 모듈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태양전지 모듈(300)은 셀 집합체(310), 제1 보호부(320_1), 제2 보호부(320_2)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집합체(310)는 태양광을 수광하여, 광기전력 효과에 의해, 수광한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셀 집합체(310)는 복수의 단위 셀(311)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집합체(310)는 발전을 위해 예를 들어, 실리콘 반도체나 화합물 반도체(예를 들어, CIGS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집합체(310)가 복수의 단위 셀(311) 어레이를 포함할 경우, 단위 셀(311) 어레이들은 서로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셀 집합체(310)는 양극단(미도시)과 음극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는데, 양극단과 음극단을 외부 회로와 연결하여 셀 집합체(310)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외부로 전송한다. 한편, 셀 집합체(310)는 일면과 타면을 갖는다.
제1 보호부(320_1)는 셀 집합체(310)의 일면 상에 위치한다. 제1 보호부(320_1)는 셀 집합체(310)를 외기로부터 보호한다. 이를 위해, 제1 보호부(320_1)는 제1 보호필름(321_1)과 제1 투명 보호판(322_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호필름(321_1)은 셀 집합체(310)가 태양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보호필름(321_1)으로는 예를 들어,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투명 보호판(322_1)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투명 보호판(322_1)으로는 예를 들어, 투명 고분자 수지나 유리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보호부(320_2)는 셀 집합체(310)의 타면 상에 위치한다. 제2 보호부(320_2)는 셀 집합체(310)를 외기로부터 보호한다. 이를 위해, 제2 보호부(320_2)는 제2 보호필름(321_2)과 제2 투명 보호판(322_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보호필름(321_2)으로는 예를 들어,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투명 보호판(322_2)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투명 보호판(322_2)으로는 예를 들어, 투명 고분자 수지나 유리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태양전지 모듈(300)은 제1 보호부(320_1)와 제2 보호부(320_2) 사이에 셀 집합체(310)를 개재시킨 후에, 이들을 예를 들로 열로 융착하여 형성된다. 즉, 셀 집합체(310)의 일면 상에 제1 보호필름(321_1)과 제1 투명 보호판(322_1)을 순차로 적층시킨다. 또한, 셀 집합체(310)의 타면 상에 제2 보호필름(321_2)과 제2 투명 보호판(322_2)을 순차로 적층시킨다. 이후, 압연기를 사용하여 제1 보호필름(321_1), 제1 투명 보호판(322_1), 셀 집합체(310), 제2 보호필름(321_2) 및 제2 투명 보호판(322_2의 적층체를 열 융착시켜 태양전지 모듈(300)을 완성한다.
한편, 태양전지 모듈(300)은 셀 집합체(310)와 연결되는 정션(junction)부(도 7의 340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정션부(340)은 셀 집합체(310)의 양극단 및 음극단과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정션부(340)는 셀 집합체(310)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외부 회로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태양전지 모듈(300)은 연결 배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배선은 정션부(340)를 통해 셀 집합체(310)의 양극단 및 음극단과 연결된다. 연결 배 선은 셀 집합체(310)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가 외부로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이 복수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태양전지 모듈들은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에 포함된 연결 배선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은 커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400)는 정션부(340)와 연결 배선을 덮음으로써, 외부 환경에 노출된 태양전지 모듈(300)의 정션부(340)와 연결 배선을 보호한다. 즉, 태양전지 모듈이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정션부(340)와 연결 배선이 비나 눈에 노출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합선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400)를 설치함으로써, 정션부(340)와 연결 배선을 보호한다.
이러한 커버부(400)는 태양전지 모듈(300)의 배면을 전부 덮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션부(340)와 연결 배선을 덮도록 최소한도를 태양전지 모듈(300)의 배면을 가리는 것이 좋다. 커버부(400)가 태양전지 모듈(300)의 배면을 실질적으로 전부 가리게 되면, 태양전지 모듈(3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와 용이하게 교환되기 어렵다. 이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300)의 내부 온도가 증가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태양전지 모듈(300)의 발전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커버부(400)는 지지부(410), 측벽부(420), 수납부(430), 유동 방지부 (4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10)는 제1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지지된다. 이에 의해, 커버 부(400)가 제1 프레임부(100)에 지지된다. 이때, 지지부(410)의 내측은 제1 프레임부(100)의 상부의 외측과 포개진다. 이를 위해, 지지부(410)의 내측 형상은 제1 프레임부(100)의 상부의 외측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410)가 제1 프레임부(100)에 더욱 단단히 고정되도록 제1 체결수단(510)이 지지부(410)와 제1 프레임부(100)를 체결할 수 있다. 제1 체결수단(510)으로는 예를 들어, 핀이나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측벽부(420)는 지지부(410)에서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된다. 측벽부(420)는 정션부(340)와 연결 배선을 덮는다.
수납부(430)는 측벽부(420)에서 연장되고 측벽부(420)의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은 건물의 난간을 대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납부(430)가 형성됨으로써, 건물 사용자는 수납부(430)에 필요한 물건들을 수납할 수 있다.
유동 방지부(440)는 측벽부(42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유동 방지부(440)는 커버부(400)와 태양전지 모듈(30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의해, 커버부(4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유동 방지부(440)는 태양전지 모듈(300)과 측벽부(420) 사이에 개재된다. 즉, 유동 방지부(440)의 일측은 측벽부(420)에 고정되며, 타측은 태양전지 모듈(300)과 접촉하게 된다.
한편, 유동 방지부(440)는 커버부(40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태양전지 모듈(300)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유동 방지부(400)는 예를 들어, 고무나 충격완화 특성이 있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될 수 있 다.
한편, 유동 방지부(440)는 측벽부(420)와 제2 체결수단(52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2 체결수단(520)으로는 예를 들어, 핀이나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이 옥외에 예시적으로 설치된다. 특히, 건물의 베란다나 발코니에 설치되는 난간을 대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은 난간으로써도 기능하고, 동시에 태양광에 의한 발전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태양전지 모듈(300)을 설치하기 위한 옥외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건물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것이고, 도 3b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태양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커버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이 건물에 설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 프레임부 110: 제1 체결홈
200: 제2 프레임부 210: 제2 체결홈
300: 태양전지 모듈 400: 커버부

Claims (10)

  1. 건물 난간용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로서,
    제1 체결홈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대향하고 제2 체결홈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하는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일측은 상기 제1 체결홈에 삽입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타측은 상기 제2 체결홈에 삽입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홈에 충전되는 제1 충전재와 상기 제2 체결홈에 충전되는 제2 충전재를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충전재는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일면과 타면을 갖는 셀 집합체와, 상기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제1 보호부와, 상기 타면 상에 위치하는 제2 보호부와, 상기 셀 집합체와 연결되는 정션(junction)부와, 상기 정션부와 연결되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부는 상기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제1 보호필름과, 상기 제1 보호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1 투명 보호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부는 상기 타면 상에 위치하는 제2 보호필름과, 상기 제2 보호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 투명 보호판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부와 상기 연결 배선을 덮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상부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정션부와 상기 연결 배선을 덮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1 프레임부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유동 방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동 방지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상기 측벽부 사이에 개재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KR1020090096127A 2009-10-09 2009-10-09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KR101045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127A KR101045067B1 (ko) 2009-10-09 2009-10-09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127A KR101045067B1 (ko) 2009-10-09 2009-10-09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929A true KR20110038929A (ko) 2011-04-15
KR101045067B1 KR101045067B1 (ko) 2011-06-28

Family

ID=4404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127A KR101045067B1 (ko) 2009-10-09 2009-10-09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0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584B1 (ko) * 2012-03-23 2013-11-01 (주)월드에너텍 태양 전지 모듈 고정 장치
KR20210052755A (ko) * 2019-10-31 2021-05-11 (주)나노밸리 태양전지 모듈
KR102323600B1 (ko) * 2021-07-14 2021-11-10 (주)디딤디앤씨 태양광 발전장치 일체형 난간구조
KR20220167914A (ko) * 2021-06-15 2022-12-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코니용 태양광시스템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480Y1 (ko) 2015-05-26 2016-10-06 이승례 투시형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KR101872336B1 (ko) 2016-07-04 2018-08-02 김점성 태양광 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524196B1 (ko) * 2021-02-09 2023-04-21 솔라테라스 주식회사 난간용 방화 태양광 발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4569A (ja) 1998-10-07 2000-04-2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1177130A (ja) 1999-12-16 2001-06-2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584B1 (ko) * 2012-03-23 2013-11-01 (주)월드에너텍 태양 전지 모듈 고정 장치
KR20210052755A (ko) * 2019-10-31 2021-05-11 (주)나노밸리 태양전지 모듈
KR20220167914A (ko) * 2021-06-15 2022-12-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코니용 태양광시스템구조
KR102323600B1 (ko) * 2021-07-14 2021-11-10 (주)디딤디앤씨 태양광 발전장치 일체형 난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067B1 (ko) 201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067B1 (ko)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US20140182222A1 (en) Photovoltaic Arrays, Methods and Kits Therefor
US8410350B2 (en) Modular solar panels with heat exchange
US20090242015A1 (en) Photovoltaic Roofing Elements, Laminates, Systems and Kits
ES2286805T3 (es) Modulos generadores de energia electrica con perfil bidimensional y su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US20090205270A1 (en) Structured Photovoltaic Roofing Elements, Systems and Kits
JP2019519942A (ja) 軽量光起電力モジュール
US20090194143A1 (en) Photovoltaic Arrays, Systems and Roofing Elements Having Parallel-Series Wiring Architectures
KR20180003580U (ko) 노면 전력 발전 유닛 및 시스템
KR20140141762A (ko) 태양광 발전용 기와
US9130096B2 (en) High-concentration photovoltaic solar module
KR20140097057A (ko) 돔형 태양광발전장치
US11078632B2 (en) Landscape pavers for ground installation of photovoltaic panels
KR20180003579U (ko) 노면 발전 유닛 및 시스템
US20180294370A1 (en) Hybrid solar module
KR101502480B1 (ko) 원통형 태양전지 모듈 및 어레이,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364541B1 (ko) 태양광 발전장치
JP2013225644A (ja) 太陽電池装置
KR101045065B1 (ko)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KR101150655B1 (ko) 다이아몬드형 다방향 고정추적식 태양전지 시스템 가로등 및 그 제조방법
KR101737971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상시 전원 공급장치
US11264945B2 (en) Verta solar sun panel
KR101292688B1 (ko) 태양광 발전장치
US11509261B2 (en) Verta solar sun panel
KR101304524B1 (ko) 태양광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