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551A -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551A
KR20110038551A KR1020090095880A KR20090095880A KR20110038551A KR 20110038551 A KR20110038551 A KR 20110038551A KR 1020090095880 A KR1020090095880 A KR 1020090095880A KR 20090095880 A KR20090095880 A KR 20090095880A KR 20110038551 A KR20110038551 A KR 20110038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effect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composition co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문삼
Original Assignee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5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8551A/ko
Publication of KR20110038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5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진정 및 피부자극완화 효과를 지닌 화장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자극완화와 피부진정에 효과를 지닌 천연물을 대상으로 스크리닝한 결과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이 피부자극완화 효과를 지니게 되었고, 이를 함유한 화장품, 비누, 의약외품, 의약부외품으로의 응용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고삼추출물, 승마추출물, 갈근추출물, 석류추출물, 자극완화, 피부진정

Description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ophora Angustifolia Root, Black Cohosh, Pueraria Lobata Root and Punica Granatum Extract for Anti-irritation Effect and Skin Soothing Effect }
본 발명은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진정 및 피부자극완화 효과를 지닌 화장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자극완화와 피부진정에 효과를 지닌 천연물을 대상으로 스크리닝한 결과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이 피부자극완화 효과를 지니게 되었고, 이를 함유한 화장품, 비누, 의약외품, 의약부외품으로의 응용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고삼의 뿌리에는 마트린, 옥시마트린, 소포라놀, 메틸시티진, 아나기닌, 알로마트린 등의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플라보노이드로서 아이소안하이드로이카리틴, 노르-안하니드로이카리틴 등과 당분이 13% 들어있다. 꽃에는 글루코루테오린이 함유되어 있고, 전초에서는 캠페로올-3-소포로시드, 레니스테인 등이 들어있으며, 열매에는 레니스테인-4-람노실그리코시드 등이 확인되었다. 씨의 총 알칼로이드함량은 1.07%이며, 기름이 13% 함유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말린 것을 고삼이 라고 하는데, 맛이 쓰고 인삼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신경통, 간염, 황달, 치질 등에 처방한다. 승마의 뿌리줄기에 페놀카르본산엔 페룰라산, 아이소페룰라산과 트리테르페노이드 시미게놀, 시미게놀크실로시드, 다부리놀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쿠마린, 수지, 흔적 정도의 정유가 들어있다. 전초에는 플라보노이드인 쿠에르세틴, 켐페롤이, 그 밖에 0.5%의 알칼로이드가 들어있다. 갈근추출물에는 이소플라본 성분의 푸에라린, 베타 시토스테롤, 아락킨산과 다량의 전분이 함유되어 있다. 석류과즙의 주요성분은 당질과 유기산이다. 줄기와 뿌리의 껍질에는 휘발성 알칼로이드인 펠리티에렌, 수도 펠리티에렌 등이 있고, 열매 껍질에는 탄닌, 점액질, 고미질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씨에는 푸니신의 글리세라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식물이 다양한 활성성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많은 식물추출물이 자극완화, 해독, 해열, 방부, 수렴, 항염 등의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리활성을 가지는 다양한 성분들이 식물에서 추출되었다. 현재 식물추출물은 다양하게 식물에서 추출되었다. 현재 식물추출물은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화장품 성분으로서도 아주 유용하게 이용된다. 화장품에는 계면활성제, 향로 등을 함유하고 있어 민감한 피부에는 자극감을 느낄 수 있다. 식물에서 유용한 성분은 이용하여 피부자극감을 완화하고 피부진정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자극완화효과와 피부진정효과를 밝혀내는 연구를 시 작하였고,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의약외품을 제형화하는 조성물을 발명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품에 함유되어 있는 계면활성제와 방부제로 인한 피부자극에 민감성피부를 위해 자극완화효과와 피부진정효과를 가지는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에 대한 효과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은 각각 초음파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용액을 사용하였고, 1,3-부틸렌글리콘에 용해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되고 있는 자극유발물질은 5% 젓산, 0.4% 메틸파라벤, 0.2% 프로필파라벤, 0.4% 페놀시에탄올로 구성된 방부제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극완화물질로 고삼추출물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이 자극완화와 피부진정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젓산과 방부제 등에 의한 자극원에 의한 피부자극을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조성물에서 자극완화효과와 피부진정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자극원으로 젓산과 방부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에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여 자극완화와 피부진정효과를 나타내 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은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 각각과 그들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과 의약외품, 의약품을 구성한 것이다. 비교예1는 젓산과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는 전형적인 크림이나 연고의 처방이고 비교예2는 젓산과 방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며, 실시예 1-4는 비교예2 처방에서 각각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을 각각 0.2%를 함유하고, 실시예5는 그들의 복합물을 모두 0.2% 함유처방이다.
순서 원료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1
2
3
4
5
6
스테아릭애씨드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액상파라핀
스쿠알란
실리콘
정제수
3.0
2.5
12.0
1.0
1.0
To 100
3.0
2.5
12.0
1.0
1.0
To 100
3.0
2.5
12.0
1.0
1.0
To 100
3.0
2.5
12.0
1.0
1.0
To 100
3.0
2.5
12.0
1.0
1.0
To 100
3.0
2.5
12.0
1.0
1.0
To 100
7
8
9
10
11
12
젓산
방부제
고삼추출물
승마추출물
갈근추출물
석류추출물
5.0
1.0
-
-
-
-
5.0
1.0
0.2
-
-
-
5.0
1.0
-
0.2
-
-
5.0
1.0
-
-
0.2
-
5.0
1.0
-
-
-
0.2
5.0
1.0
0.2
0.2
0.2
0.2
다음은 민감성환자에 대한 피부보습력과 자극완화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피부가 민감한 나이 30-40세로 구성된 40여명(남자 20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지원자의 상박부에 비교예와 실시예1-5를 매일 3회씩 2.0 mg/mL를 균일하게 도포하여 보습력과 피부자극완화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먼저 피부보습력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시작 30분전부터 항온항습조건(20~22도, 상대습도 40~60%)의 실내에서 대기한 지원자의 상박부에 각각의 시료를 균일하게 도포한 이후에 10분, 30분, 60분, 120분 경과한 후, 피부수분량 측정기(Corneometer, CM825)를 이용하여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capacitance value는 0~120 사이의 arbitrary capacitance units(A.U.)로 표시된다.
보습력(A.U.) 10분 30분 60분 120분
비교예 59.5 53.5 52.5 48.6
실시예1 67.1 61.2 59.1 58.6
실시예2 67.3 61.4 58.8 58.1
실시예3 67.2 61.1 59.5 58.3
실시예4 67.6 61.8 59.2 58.7
실시예5 74.8 72.7 71.5 70.1
보습력을 측정한 결과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실시예1-4가 비교예보다 더 좋은 보습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이들의 복합물질이 함유된 실시예 5의 경우 상승효과가 나타나서 보습력이 매우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부자극완화시험을 측정하기 위하여 색차계를 이용하여 피부 색도(Skin Chromaticity) a* (green to red) 값을 측정하였고, 도포직후와 1일, 3일, 5일후의 값을 측정하였다.
피부자극 a* 도포직후 1일 3일 5일
비교예 12.8 12.0 11.8 11.5
실시예1 11.2 9.9 9.1 8.1
실시예2 11.4 10.3 9.0 8.4
실시예3 11.1 10.1 9.4 8.1
실시예4 11.5 10.4 9.3 8.3
실시예5 9.7 9.1 8.3 7.5
측정결과를 요약하면 비교예보다는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실시예1-4에서 피부자극완화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이들의 복합물질이 함유된 실시예 5의 경우 현저한 피부자극완화효과를 나타내는 상승효과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

  1. 자극완화 및 피부진정효과를 나타내는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물의 함량은 0.001 % 내지 10 % 중량분율을 함유하는 화장품, 의약외품, 의약품 조성물
KR1020090095880A 2009-10-08 2009-10-08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8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880A KR20110038551A (ko) 2009-10-08 2009-10-08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880A KR20110038551A (ko) 2009-10-08 2009-10-08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551A true KR20110038551A (ko) 2011-04-14

Family

ID=4404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880A KR20110038551A (ko) 2009-10-08 2009-10-08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85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0469A (zh) * 2013-04-02 2013-08-07 常熟市厚福堂健康服务有限公司 一种痔康宁中药
CN104623173A (zh) * 2015-03-17 2015-05-20 臧兰恕 一种治疗湿热型小儿黄疸的中药组合物
CN113041179A (zh) * 2019-12-27 2021-06-29 广州市科能化妆品科研有限公司 保湿霜及其制备方法以及胶原酶抑制剂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0469A (zh) * 2013-04-02 2013-08-07 常熟市厚福堂健康服务有限公司 一种痔康宁中药
CN104623173A (zh) * 2015-03-17 2015-05-20 臧兰恕 一种治疗湿热型小儿黄疸的中药组合物
CN113041179A (zh) * 2019-12-27 2021-06-29 广州市科能化妆品科研有限公司 保湿霜及其制备方法以及胶原酶抑制剂
CN113041179B (zh) * 2019-12-27 2023-10-27 广州市科能化妆品科研有限公司 保湿霜及其制备方法以及胶原酶抑制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iplani et al. Arnica montana L.–a plant of healing
Wilkinson et al. Horse Chestnut–Aesculus hippocastanum: Potential applications in cosmetic skin‐care products
KR101239879B1 (ko)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7275A (ko) 식물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Solanki Treatment of skin diseases through medicinal plants in different regions of the world
KR101302222B1 (ko)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식물성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81810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mit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a novel herbal gel of Equisetum arvense extract
KR20110038551A (ko) 고삼, 승마, 갈근, 석류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50352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awania et al. Oroxylum indicum: a review.
KR101082819B1 (ko) 천연물 유래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CN109223631B (zh) 外用天然抗炎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971574B1 (ko) 윈터체리뿌리, 산뽕나무 및 보이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 장애 개선 또는 숙면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Mahanthesh et al. Morinda citrifolia Linn; A medicinal plant with diverse phytochemicals and its medicinal relevance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7105A (ko) 문신 부위 감염방지용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9754A (ko) 아토피성 피부염 방지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6855A (ko)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Nyeem et al. Ashoka (saraca indica) as women friendly plant: a review
KR101566822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증상 개선 증진용 화장료조성물
KR101082820B1 (ko) 천연물 유래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의제조방법
KR20100093151A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20110079088A (ko) 고순도 카테킨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8417A (ko) 살모사 뱀독 액상 혼합물의 아토피 화장품 및 연고의 원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