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052A - 작물 수확량의 증가방법 - Google Patents

작물 수확량의 증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052A
KR20110038052A KR1020117001699A KR20117001699A KR20110038052A KR 20110038052 A KR20110038052 A KR 20110038052A KR 1020117001699 A KR1020117001699 A KR 1020117001699A KR 20117001699 A KR20117001699 A KR 20117001699A KR 20110038052 A KR20110038052 A KR 20110038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plant tissue
agricultural sunscreen
agricultural
c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저스트만
마이클 웨버
레이 후블러
데이비드 코프
티모시 나이트
Original Assignee
퍼프레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프레쉬, 인크. filed Critical 퍼프레쉬,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03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2Ingredient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substance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e.g. toxicity reducing compositions, self-destructing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3/00Processes for modifying phenotypes, e.g. symbiosis with bacteria
    • A01H3/04Processes for modifying phenotypes, e.g. symbiosis with bacteria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예시적인 작물 수확량의 증가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작물 수확량의 증가방법은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제 2 농약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식물 조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함으로써 식물 조직의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각기 분리된 용기에서 작물에 도포될 수 있으며, 각 용기는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또는 상기 제 2 농약을 함유한다. 나아가,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작물에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공통 용기에서 작물에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공통 용기는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을 함께 함유한다.

Description

작물 수확량의 증가방법{METHODS TO INCREASE CROP YIELD}
본 발명은 식물 조직을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작물 수확량의 증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열 작물 수확량의 증가 방법(Method to increase Yield for Row crops)"이라는 제목으로 2008 년 6 월 23 일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계열 번호 61/132,908 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식물 조직에 미치는 스트레스 조절을 위한 입자 필름 도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Particle Films to Control Stress on Plant Tissues)"이라는 제목으로 2008 년 11 월 17 일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계열 번호 12/313,192 호에 관한 것이며, 본 출원은 "유기 작물 생산에의 사용을 위한 일광차단 제제(Sunscreen Formulations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Organic Crops"라는 제목으로 2008 년 11 월 14 일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계열 번호 12/291,875 호에 관한 것으로서, 양 출원 모두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옥수수, 콩, 캐놀라, 해바라기, 밀, 사탕무우 및 목화와 같은 작물은 대량 재배 되며 전통적으로 재배자에게 가져다 주는 이익 마진이 적은 작물이다. 농업 생산 비용의 대부분은 경작지 에이커 당 고정되어 있으며, 농부의 이익은 수확량에 달려 있다 (즉, 에이커 당 수확된 생산량). 대표적인 예가 아래 표 1에 주어져 있다:
비용






옥수수 종자 $50
비료 $200
경작비 $100
살충제 $50
수확비 $50
기타 비용 $50
합계 에이커 당 $ 500
소득


수확량 140 부셸(bushels)
시장가격 부셸 당 $5
합계 에이커 당 $700
이익
합계 에이커 당 $200
표 1에 제시된 예에서, 수확량이 조금만 증가해도(예컨대, 에이커 당 140 부셸에서 147 부셸로 5% 증가) 이익은 상당히 늘어 난다(예컨대, 15%). 이와 달리, 수확량이 감소하면(예를 들어, 에이커 당 140 부셸에서 100 부셸로) 이익에 타격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농부들은 작물 수확량을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작물 수확량의 증가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작물 수확량의 증가방법은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제 2 농약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식물 조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함으로써 식물 조직의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각기 분리된 용기에서 작물에 도포될 수 있으며, 각 용기는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또는 상기 제 2 농약을 함유한다. 나아가,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작물에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공통 용기에서 작물에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공통 용기는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을 함께 함유한다.
다른 것들 중에서, 식물 조직의 스트레스는 태양 스트레스, 곰팡이, 곤충, 잡초 및/또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병원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 들에 따르면, 상기 제 2 농약은 제초제, 살진균제, 또는 살곤충제를 더 포함하는 살충제일 수 있다. 식물 조직은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의 유효량 및/또는 상기 살충제의 유효량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식물 조직은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의 조성물의 유효량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농약이 유효하기 위해 필요한 양은 상기 제 2 농약 단독으로 쓰일 때(농업용 일광차단 제제와 같이 쓰이는 경우가 아닌) 필요한 양 보다 적다.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는 약 40 내지 80 중량%의 탄산칼슘, 약 1 내지 5 중량%의 중탄산염, 나트륨 또는 칼륨 염 및 약 15 내지 59 중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는 약 1,000 내지 약 45,000센티포와즈(centipoise)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밭작물, 과일, 채소, 나무, 꽃, 풀, 뿌리, 조경용 및 관상용 식물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식물 조직 기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물 조직 기질은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와 제 2 농약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된다.
도 1은 피리독신, 헥산 내 딜루단(diludan) 및 헥산 내 베타 카로틴(beta carotene)의 예시적인 흡수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작물 수확량의 증가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4는 실시예 1과 연관하여 예시적인 증가된 작물 수확량 결과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2와 연관하여 예시적인 증가된 작물 산출 결과를 도시하는 챠트이다.
상품 작물에 대한 전세계적인 수요 증가로 인하여 시장 가격의 극적인 상승을 촉발하였다. 옥수수에서 에탄올을 생산하는 것도 이 추세의 하나이다. 그 결과, 농부들은 성공적인 경작에 최적한 것보다 더 적은 면적에서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예를 들면, 농부들은 특정 작물에 적당한 온도보다 훨씬 더운 기후에서도 작물 재배를 시도하고 있다. 기존의 경작지역에서조차 글로벌 기후 변화로 날씨가 더워지고 태양복사가 증가하게 되었다. 식물에 있어서 태양복사에 의한 열 스트레스는 증산과 광합성을 저해하고, 그 결과 열 스트레스에 노출된 식물은 이로 인해 죽거나 종자를 덜 생산한다(즉, 수확량 감소).
작물의 생산 사이클에서 중요한 국면은, 식물 모종 출아 사이의 기간 및 수관을 형성하여 스스로 보호하는데 충분히 작물이 성숙한 기간이다. 일반적으로, 이 기간은 출아 이후 약 6-10주에 걸쳐 있다. 이 기간 동안 수확량을 “프로그래밍”하는 인자들은 이미 결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어린 옥수수는 속대를 가지며, 스트레스를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인자들에 취약하다.
다양한 종류의 해충들은 스트레스를 일으킨다. 해충에는 잡초, 진균(곰팡이), 곤충,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가 포함된다. 농부들은 스트레스 및 해충으로부터 식물의 열화를 조절하기 위해 보통 성장 사이클 상의 특정한 중요 시점들에서 살충제를 살포한다. 살충제에는 (잡초를 감소시키거나 죽이기 위한) 제초제, (진균을 감소시키거나 죽이기 위한) 진균제 및 (곤충을 감소시키거나 죽이기 위한) 살곤충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목적상, 살충제는 직접적인 작용뿐 아니라 간접적인 작용(예를 들어, 식물을 곤충에게 덜 바람직하게 만드는 것)을 포함하는, 해충을 감소시키거나 죽이는 임의의 물질이라고 정의된다.
가장 중요한 스트레스 인자 중의 하나는 잡초이다. 조절되지 않은 경우 잡초는 작물 싹들과 햇볕과 영양소를 두고 경쟁한다. 잡초에 대한 조절이 부실하면 어린 식물이 죽거나 그 식물로부터 얻는 수확량이 줄어들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교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 중 하나의 방법이 제초제 요법인데, 예를 들어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함유 제제를, 이들 제초제에 내성이 있는 식물을 위해 종자와 함께 살포하는 것이다. 한 번의 제초제 살포로 원하는 효과를 얻기에 충분할 수 있는데, 추가적인 살포 처리는 비용 문제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다른 스트레스 인자의 예는 식물 병원체이다. 조절되지 않은 경우 이들은 상품 수확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조절이 부실하면 전체 수확량이 현저하게 줄고 판매용 농산물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교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 중 하나의 방법이 살진균제 살포 요법인데, 예를 들어 작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식물 병원체를 조절하거나 감소시키는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함유 제제가 있다.
또한, 태양 스트레스가 점점 더 문제가 되고 있다. 태양 스트레스는, 살아 있는 세포를 죽이거나 DNA를 손상시켜 세포의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과도한 자외선("UV") 및 적외선("IR")의 유해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태양 스트레스는 식물의 일부분을 주위의 기온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열 복사(장파 복사)의 흡수로 인하여 식물의 온도가 올라 생성되는데, 이로 인해 수확량을 감소시킨다. 태양 스트레스는 그늘을 만들어 줌으로써 경감시킬 수 있으나 경제적으로 대규모 경작지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태양 스트레스로부터 작물들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작물들을 잡초, 해충 및/또는 병원체로부터 보호하는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 발달 상 결정적인 국면들 동안에 태양 보호를 제공하는 입자필름을 도포하는 것이 작물 수확량에 놀랄만한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 졌다.
스트레스 기간 동안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성장 국면들 동안에 식물은 잎에 가해진 미량 영양소의 혜택을 받는다.
농부로서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살충 처리와 영양소 처리를 동시에 행하는 조치를 취하는 것이 대단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살진균제를 항공 살포aerial spray하는데 통상적으로 드는 비용은 에이커 당 $12이며, 항공 도포aerial application의 경우 에이커 당 $12이 소요된다. 잎을 위한 미량 영양소이든 입자 필름이든 서로 다른 물질들을 동시에 도포하는 것은 합당한 일이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다양한 예시적인 방법들은 작물 수확량을 증가시킨다. 작물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예시적인 하나의 방법은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와 제 2 농약과 같은 입자 필름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식물 조직을 적어도 일부분 코팅함으로써 식물 조직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각기 분리된 용기에서 식물 조직에 도포될 수 있는데, 각 용기는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또는 상기 제 2 농약을 함유한다. 나아가,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작물에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공통 용기에서 작물에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공통 용기는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을 함께 함유한다. 글리포세이트 내성 작물의 수확량 역시 태양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와 글리포세이트 함유 제초 제제를 함께 살포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도포는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와 글리포세이트 함유 제초제를 탱크 내에서 동시에 섞어 실시할 수도 있거나 개별 용기로부터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전자의 방법이 낮은 비용으로 인하여 바람직하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열 작물들을 태양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고 수확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일광차단 제제와 함께 제초제가 사용된다. 입자 필름 일광차단제들은, 자외선 복사를 손상하는 것을 포함하여 태양 복사를 차단하거나 산란시킴으로써, 특히 잎, 종자 및 열매와 같은 식물 조직을 태양 복사로부터 보호하는데 특히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밭에서 살포시 두 가지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일광차단제와 상기 제초제가 단일 제제로 제공되거나, 밭에서 식물에 분무 직전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함께 혼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살충제가 먼저 도포되고, 이어서 일광차단 제제가 도포되거나 그 반대 순서도 마찬가지 이다. 상기 제제들은 분무 탱크를 채울 경우 물로 희석된 농축액으로 통상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제제들은 무게를 최소화하고 운송비를 절감하며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농축액 또는 습윤성 과립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구성 성분들은 서로 혼합되거나 많은 다른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다. 응용 방법에 상관 없이,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유효한 결과를 위해 분무되는 입자들의 총 양은 에이커 당 약 1 파운드 내지 에이커 당 약 50 파운드에 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제는 중량 대 중량 기준으로 농축액을 적어도 10% w/w 및 바람직하게는 50% w/w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미세 입자들을 함유한다. 중간 크기 입자 직경은 10 ㎛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4 ㎛ 미만이다. 4 ㎛ 미만의 크기를 갖는 입자가 바람직한데,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산란하고 반사하기 때문이다. 또한, 큰 입자의 경우 빨리 가라앉는데 비해 수성 현탁액으로 유지하면서 혼합과 사용이 용이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자 물질은 탄산칼슘이지만, 고령토, 벤토나이트(bentonite), 카누바 왁스(carnuba wax)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과 같은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리카( 및 실리케이트도 주요, 미량 또는 비활성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피리독신, 헥산 내 딜루단 및 헥산 내 베타 카로틴의 예시적인 흡수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이들 세 물질은 선택적 광 흡수 물질의 대표적인 예이다. 입자들의 보호 활동은 특이적인 파장 범위에서 최대 흡수율을 갖는 파장 선택적 광 흡수 물질을 첨가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살충제가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고/방지하거나 식물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특히 효과적인 파장에서 최대한 흡수되도록 흡수 물질을 선택한다. 상기 흡수제는 농업 생산에서 통상적이고 안전하게 사용되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개별 일광차단 제제와 살충제가 함께 사용될 경우, 광 흡수제는 일광차단제 구성요소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나 또한 살충제제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많은 물질들과 식물 세포들이 자외선의 영향을 받으므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광 흡수제는 자외선 범위에서 효과적이어야 한다. 많은 항산화제들, 예를 들어, 흡수 스펙트럼이 도 1에 도시된 딜루단 또는 피리독신이 이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이 둘 중, 피리독신이 바람직한데, 수용성이고 더 비용-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또 다른 항산화제로 널리 쓰이는 베타 카로틴은 자외선 보호용으로 덜 바람직한데, 이는 베타 카로틴은 자외선 범위에서 어느 정도의 흡수를 보이지만 가시광선 범위에서 대부분의 흡수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호되어야 할 살충제가 광합성이 활발히 일어 나는 약 400-500 nm의 파장 범위에서 태양 복사에 민감할 경우 베타 카로틴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술된 제제 또는 조성물은 스트레스 경감용 화합물이나 영양소를 첨가함으로써 더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열 작물이 출아하기 직전 또는 직후에 파종한 밭에 반사성 일광차단 제제를 분무함으로써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지표는 정상 색깔에 백색 혹은 우유빛 나는 백색 지역들이 더해진 모습이다. 공중에서 관찰하면, 이 방식으로 처리된 밭은 주변의 밭보다 더 밝고 백색으로 보일 수 있다. 지표의 온도 및 지표면 바로 위의 공기 온도는 태양복사가 반사되어 낮아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살충제를 혼합한 도포는 모종 출아 및 수관 출아 기간 사이 또는 출아 후 최초 6-10주 사이에 수행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작물 수확량의 증가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210)에서,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와 제 2 농약을 혼합하여 하나의 조성물을 형성한다. 다른 예시적인 방법은 각기 분리된 용기에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각 용기는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또는 상기 제 2 농약을 함유한다.
다음은 천연(즉, 유기농 용도로 허용된) 및 전통적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들의 예이다. 제제 6, 14 및 15는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제 2 농약(즉, 클로로탈로닐(Chlorothalonil) 또는 디코폴(Dicofol))의 조성물을 예시한다.
Wettable Powders ("WP"):
제제 1:
80-90% 탄산칼슘.
1.0-20% 중탄산염, 나트륨 또는 칼륨 염.
0-5% 분산제 (디옥틸 설포숙신산나트륨(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제제 2:
80-90% 탄산칼슘.
2-20% 리노설포네이트(linosulfonate) 염, 나트륨 또는 칼슘.
0-5% 분산제.
제제 3:
80-90% 탄산칼슘.
2-20% 키틴.
0-5% 분산제.
제제 4:
80-90% 탄산칼슘.
2-20% 황.
0-5% 분산제.
제제 5:
80-90% 탄산칼슘.
2-30% 황산구리.
0-5% 분산제.
제제 6:
50-90% 탄산칼슘(일광차단제)
50-80% 클로로탈로닐(살진균제)
0-5% 분산제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
제제 7:
50-90% 탄산칼슘.
2-30% 구리비누(copper soap)(옥탄논산 구리(copper octanoate)).
0-5% 분산제.
수 분산성 과립("WDG"):
제제 8:
50-90% 탄산칼슘.
0.5-5% 분산제, 디옥틸 설포숙신산나트륨.
0.5-10% 물.
0-20% 바인더(점토, 벤토나이트).
10-20% 중탄산염의 칼륨 또는 나트륨 염.
제제 9:
50-90% 탄산칼슘.
0.5-5% 분산제, 디옥틸 설포숙신산나트륨.
0.5-10% 물.
0-20% 바인더(점토, 벤토나이트).
10-20% 나트륨 또는 칼슘의 리그노설포네이트 염류(lignosulfonate salts of sodium or calcium).
제제 10:
50-90% 탄산칼슘.
0.5-5% 분산제, 디옥틸 설포숙신산나트륨.
0.5-10% 물.
0-20% 바인더(점토, 벤토나이트).
2-20% 키틴.
제제 11:
50-90% 탄산칼슘.
0.5-5% 분산제, 디옥틸 설포숙신산나트륨.
0.5-10% 물.
0-20% 바인더(점토, 벤토나이트).
2-30% 황.
제제 12:
50-90% 탄산칼슘.
0.5-5% 분산제, 디옥틸 설포숙신산나트륨.
0.5-10% 물.
0-20% 바인더(점토, 벤토나이트).
2-30% 황산구리.
제제 13:
50-90% 탄산칼슘.
0.5-5% 분산제, 디옥틸 설포숙신산나트륨.
0.5-10% 물.
0-20% 바인더(점토, 벤토나이트).
2-30% 구리비누(옥탄논산 구리).
제제 14:
50-90% 탄산칼슘(일광차단제).
50-80% 클로로탈로닐(살진균제).
0.5-5% 분산제, 디옥틸 설포숙신산나트륨.
0.5-10% 물.
0-20% 바인더(점토, 벤토나이트).
제제 15:
50-90% 탄산칼슘 (일광차단제).
50-80% 디코폴(살곤충제).
0.5-5% 분산제, 디옥틸 설포숙신산나트륨.
0.5-10% 물.
0-20% 바인더(점토, 벤토나이트).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2 농약은 제초제, 살진균제 또는 살곤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살충제일 수 있다.
단계(220)에서, 식물 조직은 단계(210)에서 형성된 조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각기 분리된 용기에서 작물에 도포될 수 있으며, 각 용기는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또는 상기 제 2 농약을 함유한다. 나아가,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작물에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공통 용기에서 작물에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공통 용기는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을 함께 함유한다. 식물 조직은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의 유효량 및/또는 상기 살충제의 유효량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식물 조직은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의 조성물의 유효량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농약이 유효하기 위해 필요한 양은 상기 제 2 농약 단독으로 쓰일 때(농업용 일광차단 제제와 같이 쓰이는 경우가 아닌) 필요한 양 보다 적다.
단계 (230)에서, 식물 조직을 모니터 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식물 조직에 대한 모니터링은 데이터 수집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식물 조직 센서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토양 습기 데이터, 증산 데이터, 관수(irrigation) 데이터 및/또는 일사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균형 원리에 기반한 수액-흐름 측정은 증산을 직접 측정할 수 있고 원격 모니터할 수 있다. 다른 방법은 기공유통성, 줄기 수분 포텐셜(stem water potential) 등의 측정을 포함한 유사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데이터(특히, 식물 조직을 통한 수분 상실에 관련된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고 이들의 범위 내에 속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현재 식물 조직 스트레스 데이터는 기후 센서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대기 온도 데이터, 지표 온도 데이터, 습도 데이터, 태양 복사 데이터 및/또는 풍속 및 풍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고 이들의 범위 내에 속한다.
도 3 내지 4는 실시예 1과 연관하여 예시적인 증가된 작물 수확량 결과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진균 감염은 죽은 꽃이나 시들어 가는 꽃 부분에서 발생하며 수술을 통해 침투하여 꽃받침 안으로 들어간다. 또한, 진균은 식물 조직의 괴사된 부분으로 침투할 수 있다. 보트리티스와 같은 진균 발병은 여러 인자가 복합되어 영향 받을 수 있다. 늦은 계절에 발생하는 높은 습도, 이슬, 간헐적인 강우와 같은 기후 조건이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식물 조직에 가해진 손상(예컨대, 바람, 새 및/또는 곤충에 의한)이 진균으로 하여금 식물 조직으로 들어 가게 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스트레스 인자로 작용한다. 식물 조직이 상처를 입는 경우, 새로 입은 상처와 자유롭게 흐르는 물이 조합되어 진균 감염을 촉진한다.
또한, 태양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 입자 필름을 도포하면 식물 병원체의 활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밝혀 졌다. 이것은 입자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살충제(살진균제)를 덜 쓰고도 식물 병원체를 여전히 허용할만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1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옥수수를 살진균제(Headline®)(305)로 처리하거나,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Purshade™)와 살진균제(Headline®)(310)의 조합으로 처리하였다. Headline은 바스프사(BASF)의 등록상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옥수수는 2008년 8월 14일 켄터키주 볼링그린(Bowling Green)에서 처리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옥수수 속대(405 및 410)가 도시되어 있다. 옥수수 속대(405)를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Purshade™)와 살진균제(Headline®)의 조합으로 처리하였다. 옥수수 속대(410)는 살진균제(Headline®)로 처리하였다.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와 제 2 농약(살진균제)의 조합으로 처리한 경우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딸기 식물을 다양한 농도의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Purshade™)로 처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처리 농도는 3% Purshade™, 5% Purshade™, 및 10% Purshade™ 였다. 상기 딸기 식물중 일부는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로 처리하지 않았다("비처리"). 보트리티스(botrytis) 진균 감염 발생률(퍼센트)을 다양한 처리군 별로 계산하였다.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로 처리한 모든 군에서 비처리 군 보다 우수한(즉, 낮은 보트리티스 감염 발생률)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수집된 데이터는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만으로 보트리티스 감염 발생률을 낮춘다는 것을 보여준다.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와 기존 살진균제를 함께 쓰면,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다양한 범위의 진균 처리 및 작물 수확량을 포함하는 식물 성장 개선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되었지만, 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시되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의 폭과 범위는 상기 개시한 어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33)

  1. 식물 조직 스트레스의 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물 조직은 밭작물, 과일, 채소, 나무, 꽃, 풀, 뿌리, 조경용 및 관상용 식물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되, 상기 식물 조직은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와 제 2 농약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조직 스트레스의 조절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조직 스트레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태양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조직 스트레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균은 보트리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조직 스트레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곤충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조직 스트레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잡초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농약은 살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농약은 제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농약은 살진균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조직은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의 유효량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조직은 상기 살충제의 유효량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조직은 상기 제초제의 유효량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조직은 상기 살진균제의 유효량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조직은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의 조성물의 유효량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는 중량 대 중량 기준으로: 약 40% 내지 80 %의 탄산칼슘; 약 1% 내지 5 %의 중탄산염, 나트륨 또는 칼륨 염; 및 약 15% 내지 59 %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는 약 1,000 내지 45,000센티포와즈(centipoises)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는 중량 대 중량 기준으로: 약 40% 내지 80 %의 탄산칼슘; 약 0% 내지 8 %의 글리세린; 약 0.1% 내지 0.5 %의 중탄산염, 나트륨 또는 칼륨 염; 및 약 11.5% 내지 59.9 %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는 약 10,000 내지 약 35,000 센티포와즈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조직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조직의 스트레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병원체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체는 박테리아성 또는 바이러스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체는 흰가루병(powdery mildew) 또는 사과 흑성병(apple sca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일부로서의 상기 제 2 농약의 유효량은 상기 제 2 농약이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없이 도포되는 경우 상기 제 2 농약의 유효량 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밭작물, 과일, 채소, 나무, 꽃, 풀, 뿌리, 조경용 및 관상용 식물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식물 조직 기질에 있어서, 상기 식물 조직 기질은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와 제 2 농약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조직 기질.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는 약 40% 내지 80% 고령토 점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조직 기질.
  26. 밭작물, 과일, 과수, 채소, 및 곡물 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작물의 수확량의 증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물의 식물 조직은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와 제 2 농약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각기 분리된 용기에서 식물 조직에 도포되되, 각 용기는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또는 상기 제 2 농약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작물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공통 용기에서 작물에 도포되되, 상기 공통 용기는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을 함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용기는 영양소 혼합물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일광차단 제제 및 상기 제 2 농약은 모종 출아 이후 작물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은 형질전환 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은 옥수수, 곡류, 목화 또는 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7001699A 2008-06-23 2009-06-23 작물 수확량의 증가방법 KR201100380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90808P 2008-06-23 2008-06-23
US61/132,908 2008-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052A true KR20110038052A (ko) 2011-04-13

Family

ID=4155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699A KR20110038052A (ko) 2008-06-23 2009-06-23 작물 수확량의 증가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012911B2 (ko)
EP (1) EP2306840A1 (ko)
JP (1) JP2011525374A (ko)
KR (1) KR20110038052A (ko)
CN (1) CN102131392A (ko)
AU (1) AU2009271680A1 (ko)
BR (1) BRPI0915655A2 (ko)
MX (1) MX2011000010A (ko)
WO (1) WO2010008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84896A2 (en) * 2010-06-24 2013-05-01 Basf Se Herbicidal compositions
EP3033944B1 (en) * 2014-12-16 2018-02-14 Omya International AG Calcium carbonate for plant protection
MX2019005038A (es) 2016-11-02 2019-09-19 Paramount Products 1 Llc Composiciones adyuvantes para productos quimicos para el tratamiento de plantas.
US11666048B2 (en) 2017-02-24 2023-06-06 Corbet Scientific, Llc Treatment for plants in conjunction with harvesting
JP2023505124A (ja) 2019-12-10 2023-02-08 オム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サンフィルター用途のための有機エマルション
CN114787082A (zh) 2019-12-10 2022-07-22 欧米亚国际集团 用于化学防晒和物理防晒的干组合物、乳剂和/或流体及其用途
BR102020014535B1 (pt) * 2020-07-16 2021-09-28 Abrevia Comércio E Serviços Eireli Composição e método para atenuar estresses abióticos e bióticos em planta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9112A (en) * 1997-03-05 2000-05-30 Englehard Corporation Method for preventing physiological disorders without diminishing photosynthesis
US20070190097A1 (en) * 1998-10-27 2007-08-16 Schrader Lawrence 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Cracking and Water Loss from Cherries
US6331505B1 (en) * 1998-10-29 2001-12-18 Emerald Bioagriculture Corporation Method for increasing plant productivity using glutamic acid and glycolic acid
US6514512B1 (en) * 2000-10-02 2003-02-04 Engelhard Corporation Pesticide delivery system
US7998903B2 (en) * 2004-05-19 2011-08-16 Shin-Etsu Chemical Co., Ltd. Glycerol-modified silicone spreading agent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CA2572960A1 (en) * 2004-07-06 2006-02-09 Susan E. Lewis Multifunctional compositions having combined insecticidal, mitacidal and fungicidal activity
US20070037711A1 (en) * 2005-08-11 2007-02-15 Engelhard Corporation Film Forming Spreading Agents
US20090186768A1 (en) * 2007-11-16 2009-07-23 Hoobler Ray J Sunscreen formulations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organic crops
US20090192038A1 (en) * 2007-11-19 2009-07-30 Hoobler Ray J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particle films to control stress on plant tiss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24072A1 (en) 2010-01-28
AU2009271680A1 (en) 2010-01-21
BRPI0915655A2 (pt) 2015-12-01
MX2011000010A (es) 2011-09-01
US8012911B2 (en) 2011-09-06
JP2011525374A (ja) 2011-09-22
WO2010008476A1 (en) 2010-01-21
EP2306840A1 (en) 2011-04-13
CN102131392A (zh)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2911B2 (en) Methods to increase crop yield
EP2683247B1 (en) An agrochemical composition comprising zinc, sulfur and a pesticidal active ingredient
WO2010007239A2 (fr) Procédé de lutte contre les insectes du sol
Radkowski et al. Effects of Foliar Application of Titanium on Seed Yield in Timothy (L.)
CN105145573A (zh) 一种衣剂组合物
CA3179988A1 (en) Method for preventive treatment of a crop plant to limit the loss of dry matter due to abiotic and/or biotic stress
JP2022061995A (ja) 非生物的ストレス耐性
ES2593048B1 (es) Procedimiento para proteger frente a plagas de artrópodos una semilla o el cuerpo de una planta que crece a partir de la semilla
TR201612403T1 (tr) Daha yüksek bitki verimliliği için mahsullere diformilüre uygulamak için yöntemler.
EA019535B1 (ru)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тлей на растениях
CN101473833A (zh) 一种22%的羟烯腺.铜.烯腺.锌可湿性粉剂
Zúñiga-Silvestre et al. Induced resistance to common rust (Puccinia sorghi), in maize (Zea mays)
US20210169087A1 (en) Use of a structural polypeptide for plant coating
CN112544315A (zh) 一种黄黑地膜及其制备方法
EP3145311B1 (en) Biologically active synergistic composition
CN114303780B (zh) 一种采用容器育苗的红枫种植方法
US20230337679A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field insects
JP2008037864A (ja) 寄生植物防除剤及びその使用方法
Sharma et al. Effect of pre-harvest spray and storage conditions on shelf life of marigold cv.‘Pusa Narangi Gainda
CN104798804A (zh) 一种含缩节胺、噻虫嗪、氟虫腈和戊唑醇的玉米抗倒伏种衣剂及其制备方法
Hawkins Propagation protocol for pawpaw (Asimina triloba (L.) Dunal)
CA3219534A1 (en) Use of quassia-extract for a seed treatment as insecticide
Adekunle et al. Growing cassava commercially in Nigeria: an illustrated guide
Janila et al. Cultural Management Practices of Groundnut: Scaling-up of Improved Groundnut Varieties through Established Seed System in Various Cropping Systems of Smallholder Farmers in Odisha
Rathod et al. Impact of different IPM modules for soybean pod borer Helicoverpa armigera and pred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