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247A - 필터교체시스템 - Google Patents

필터교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247A
KR20110036247A KR1020090093805A KR20090093805A KR20110036247A KR 20110036247 A KR20110036247 A KR 20110036247A KR 1020090093805 A KR1020090093805 A KR 1020090093805A KR 20090093805 A KR20090093805 A KR 20090093805A KR 20110036247 A KR20110036247 A KR 20110036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hydraulic cylinder
housing body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7945B1 (ko
Inventor
편도명
신용철
이재인
손영달
Original Assignee
(주)일진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진에너지 filed Critical (주)일진에너지
Priority to KR102009009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9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6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7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4Specific pressurizing or depressurizing means
    • B01D2313/243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44Cartridge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6Specific mechanisms for loading the membrane in a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필터교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는 수용된 필터부재를 승하강시키도록 하부에 유압실린더를 갖춘 필터하우징과, 이 필터하우징으로부터 필터부재를 인출·인입하고 이동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필터리프트 및, 상기 필터하우징의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공급장치로 구성되어서, 필터부재의 교체작업시 유독물질 등을 포함하고 있는 필터부재를 작업자가 직접 접촉하지 않아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필터부재의 교환과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교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필터교체시스템 {System for replacing fil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필터교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명이 다하고서 위험물질 또는 유독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필터부재를 작업자가 직접 접촉하지 않아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필터부재의 교환과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교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필터교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필터시스템(Micro Filter System)은 산업 전반에 걸쳐 공업용수의 정수나, 역삼투 및 멤브레인 전처리용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통상 사용되는 마이크로필터는 여과입도의 범위가 0.2 ∼ 100㎛로서, 주로 관형상의 카트리지 타입이며, 길이는 0.5 ∼ 1.5m 정도이고,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재질로 만들어진다. 일정기간 사용한 후에 눈이 막히면 차압의 증가로 인하여 여과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전량 교체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마이크로필터를 이용하여 공정 중 물이나 오일 등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마이크로필터를 수용하는 필터하우징이 필요하다. 도 1에는 마이크로필터시스템에 사용되는 종래의 필터하우징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필터하우징(10)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재(1)가 삽입되어 수용되고 소정의 위치에, 전형적으로 상부에 유입구(3) 및 하부에 배출구(4)를 갖춘 통형상의 하우징본체(2)와, 이 하우징본체(2)에 결합되고서 하우징본체(2)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부재(6) 등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헤드(5)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본체(2) 내에는, 각각의 필터부재(1)에 대하여 그 상단 및 하단에 누름용 스프링조인트(7)가 설치되고서, 이들 누름용 스프링조인트(7)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8) 및 고정플레이트(9)가 하우징본체(2) 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의 지지플레이트(8)는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의 고정플레이트(9)는 하우징본체(2)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필터하우징(10)의 내부를 상부공간(U) 및 하부공간(D)으로 구획 분할한다. 또, 이 고정플레이트(9)에는 각 필터부재(1)에 대하여 삽입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진 유도관(미도시)이 직립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유도관은 상기 고정플레이트(9)에 의해 분할된 상부공간(U) 및 하부공간(D)을 서로 연통시킨다. 도 1에는 도해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필터부재(1)만 나타나 있지만, 둘 이상의 필터부재(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유도관도 이에 상응한 개수로 고정플레이트(9)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헤드(5)는 대략 T형상의 단면을 가진 덮개부재로서, 하우징본체(2)의 측면에 장착되고 절곡된 형상을 가진 가이드(11)의 수직부를 따라 승하강할 수 있으며, 가이드(11)의 수평부를 관통하는 볼트부재(6)에 의해 하우징본체(2)의 상단에 압착 고정되게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2는 볼트부재(6)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나타내고, 13은 공기방출구를 나타낸다.
하우징본체(2)와 하우징헤드(5) 사이에 밀봉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으며, 하우징본체(2)는 별도의 브라켓(14)에 의해 지면(G)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본체(2) 내 고정플레이트(9)에 형성된 각 유도관에 필터부재(1)를 끼우되, 이 필터부재(1)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누름용 스프링조인트(7)를 설치한 다음, 상부의 지지플레이트(8)를 적절히 위치시키고 나서 하우징헤드(5)를 하우징본체(2)의 상단에 덮어씌운 후 볼트부재(6)를 조임으로써, 필터하우징(10)이 조립 완성되게 된다. 이때, 하우징헤드(5)가 지지플레이트(8)를 압박하게 되고, 지지플레이트(8)와 고정플레이트(9) 사이에서 필터부재(1)는 누름용 스프링조인트(7)들에 의해 탄성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체가 유입구(3)를 통하여 필터하우징(10) 내 상부공간(U)으로 유입되고, 필터부재(1)에 대한 외부 압력의 상승으로 인해 유체는 필터부재(1)의 내부로 이동되어 여과처리되게 되며, 처리된 유체는 유도관을 통하여 필터하우징(10)의 하부 공간(D)으로 모이게 된 다음에, 배출구(4)를 통하여 이후 공정으로 나아가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재(1) 즉 마이크로필터는 일정기간 사용한 후에 전량 교체해 주어야 하는바, 이러한 필터부재(1)의 교체작업시 작업자가 필터부재(1)에 의해 걸러지고 남은 유독물질 등에 노출, 심지어 피부 접촉하는 경우가 있어서 작업자의 건강에 심대한 위협이 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또한, 이러한 교체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관련 설비의 가동을 중지시켜야 하므로 가능한 교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필터부재(1)의 교체작업시 필터하우징(10)으로부터 필터부재(1)의 인출·인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소요시간을 줄이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필터부재(1)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위험물질 또는 유독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필터부재를 작업자가 직접 접촉하지 않아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필터부재의 교환과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교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필터교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교체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재를 수용하면서 브라켓에 의해 지면과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며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갖춘 통형상의 하우징본체와, 이 하우징본체에 결합되는 하우징헤드, 상기 하우징본체의 하부에서 하우징본체를 관통하여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유압실린더 및, 상기 필터부재를 보유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측면과 방사상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고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연장부가 밑면에 고정되는 가동플레이트를 구비한 필터하우징과; 전동모터와, 이 전동모터에 연결되어 내부공간의 오일을 압축 펌핑하여 배출하는 유압펌프 및, 이 유압펌프로부터 상기 필터하우징의 유압실린더까지 유압을 전달하여 인가하는 유압라인을 구비하는 유압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교체시스템은, 다수의 이동바퀴를 구비한 대차와, 이 대차에 형성된 2개의 수직프레임, 이들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 상기 대차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 이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스프로켓,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면에 설치된 종동스프로켓, 상기 구동스프로켓과 상기 종동스프로켓이 연동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수직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레일, 이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상하로 안내되면서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승하강하는 승강대, 상기 승강대의 양측으로 설치된 지지부시의 베어링 내에 양단이 끼워지고서 일측 외주면에는 좌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외주면에는 우나사산이 형성된 이송볼트, 일측 단부에 이송너트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볼트의 양측으로 삽입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 필터부재를 조이기 위한 클램프가 설치된 한 쌍의 이송대를 구비하는 필터리프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부재의 교체작업시 위험물질 또는 유독물질을 포함한 필터부재를 작업자가 직접 접촉하지 않아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필터부재의 교환과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교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교체시스템의 전체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터리프트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교체시스템(100)은, 수용된 필터부재(1)를 승하강시키도록 하부에 유압실린더(15)를 갖춘 필터하우징(10)과, 이 필터하우징(10)으로부터 상기 필터부재(1)를 인출·인입하고 이동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필터리프트(20) 및, 상기 필터하우징(10)의 유압실린더(15)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공급장치(30)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부재(1)로는 주로 마이크로필터가 사용되며, 이는 여과입도의 범위가 0.2 ∼ 100㎛이고, 길이는 0.5 ∼ 1.5m 정도이고,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등으로 만들어진다. 일정기간 사용한 후에는 여과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교체해 주는 것이 좋다.
이러한 필터부재(1)를 수용하고서 본 발명의 필터교체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필터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재(1)가 삽입되어 수용되고 상부에 유입구(3) 및 하부에 배출구(4)를 갖춘 통형상의 하우징본체(2)와, 이 하우징본체(2)에 볼트부재(6)로 결합되는 하우징헤드(5)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본체(2) 내에는, 필터부재(1)에 대하여 그 상단 및 하단에 누름용 스프링조인트(7)가 설치되고서, 이들 누름용 스프링조인트(7)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8) 및 가동(可動)플레이트(19)가 하우징본체(2) 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로 위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의 지지플레이트(8)는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의 가동플레이트(19)는 하우징본체(2)의 내측면과 방사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후술하는 유압실린더(15)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본체(2)는 별도의 브라켓(14)에 의해 지면(G)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며, 이 하우징본체(2)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실린더(15)가 장착되어 있는바, 바람직하기로 상기 유압실린더(15)는 다단의 연장부를 갖춘 것으로, 실린더본체(15a)로부터 위로 뻗은 최하단 연장부(15b)는 상기 하우징본체(2)의 하단을 관통하여 하우징본체(2)에 고정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15)의 최상단 연장부(15c)는 상기 가동플레이트(19)의 밑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들 최하단 연장부(15b)와 최상단 연장부(15c)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중간연장부(15d)가 개재될 수 있지만, 이 중간연장부(15d) 없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유압실린더(15)는 하나만 설치되어 필터부재(1)를 보유지지하고 있는 가동플레이트(19)를 상하로 승하강시킬 수도 있지만, 필터부재(1)와 가동플레이트(19) 등의 무게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15)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유압실린더(15)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가동플레이트(19)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양 옆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는 반면, 3개 이상의 유압실린더(15)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가동플레이트(19)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압실린더(15)가 하나만 설치되는 경우에는, 유압실린더(15)의 최상단 연장부(15c)와 가동플레이트(19)의 사이에 복수의 지지점을 갖는 지지브라켓(16)이 추가로 설치되어, 하나의 유압실린더(15)로부터 전달받은 힘을 지지브라켓(16)이 가동플레이트(19)의 밑면에 대해 적절히 분배하여 가하게 됨으로써, 가동플레이 트(19)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하우징헤드(5)는 대략 T형상의 단면을 가진 덮개부재로서, 볼트부재(6)에 의해 하우징본체(2)의 상단에 결합되게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3은 공기방출구를 나타내며, 하우징본체(2)와 하우징헤드(5) 사이에 밀봉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필터부재(1)를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본체(2)의 상단에 하우징헤드(5)를 덮어씌운 후 볼트부재(6)를 조임으로써 필터하우징(10)이 조립 완성되게 되는데, 이때 하우징헤드(5)가 지지플레이트(8)를 압박하게 되고, 지지플레이트(8)와 가동플레이트(9) 사이에서 필터부재(1)는 누름용 스프링조인트(7)들에 의해 탄성지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필터교체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유압공급장치(30)는,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동모터(31)와, 이 전동모터(31)에 연결되어 내부공간의 오일을 압축 펌핑하여 배출하는 유압펌프(32) 및, 이 유압펌프(32)로부터 상기 유압실린더(15)까지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라인(33)으로 구성된다. 둘 이상의 유압실린더(15)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에 상응하게 유압라인(33)의 개수가 증대되거나 중간에 분지(分枝)하여 유압실린더(1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압공급장치(30)의 대부분의 구성요소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교체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필터리프트(20)는, 도 3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 및 뒤쪽 밑면에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다수 의 이동바퀴(21c)가 설치된 대략 H형상의 대차(21)와, 이 대차(21)의 뒤쪽 상면에 설치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2개의 수직프레임(21a)과, 이들 수직프레임(21a)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21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21a)의 하부 및 대차(21)의 상부면에는 구동모터(22a)와, 이 구동모터(22a)에 의하여 구동되는 감속장치(미도시), 그리고 이 감속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스프로켓(22b)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수직프레임(21a)의 상부 즉 수평프레임(21b)의 하면에는 종동스프로켓(22c)이 회전구동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종동스프로켓(22c)은 상기 구동스프로켓(22b)의 구동으로 인하여 연동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22d)인 체인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21a)들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 근처에는 가이드레일(21d)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레일(21d)에 의하여 상하로 안내되면서 상기 연결부재(22d)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구동모터(22a)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하는 대략 ㄴ형상의 단면을 가진 승강대(23)가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대(23)의 앞쪽 양측으로는 내부에 베어링(23b)이 각각 삽입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시(23a)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 지지부시(23a)의 베어링(23b) 내에 양단부가 끼워지고서 일측 외주면에는 좌나사산(24b)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타측 외주면에는 우나사산(24c)이 형성된 이송볼트(2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승강대(23)에 설치된 이송볼트(24)에는 운반할 필터부재(1)를 파지하고 보유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이송대(25)가 장착되는데, 이들 이송대(25)의 일측 단부 즉 뒤쪽 단부에는 각각 이송너트(25a)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이송너 트(25a)가 상기 이송볼트(24)의 양측으로 삽입되어서, 이송볼트(24)의 회전에 따라 이송대(25)들이 서로를 향해 모이거나 서로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송볼트(24)의 일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돌릴 수 있는 핸들(24a)을 구비하거나, 별도의 모터(미도시)를 연결 설치하여, 이송볼트(24)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이송대(25)의 앞쪽에는 필터부재(1)를 조여서 보유지지하기 위한 클램프(2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들 클램프(26)는 각 이송대(25)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25b)을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임나사(26a)와, 상기 슬롯(25b)과 연통되는 나사구멍을 갖춘 대략 ㄷ형상의 클립(26b)의 형태로 되어 있어서, 필터부재(1)가 이송대(25)들의 사이에 위치되게 되면, 작업자가 양쪽 클램프(26)를 필터부재(1)의 측방향으로 조여서 이송대(25)가 필터부재(1)를 확실히 파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면상의 미설명부호 27은 구동모터(22a)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이고, 28은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제어반이며, 29는 이동손잡이를 나타낸다.
이제, 상기와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교체시스템(100)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재(1)의 교체가 필요할 때, 작업자는 먼저 유압공급장치(30)의 전동모터(31)에 전원을 인가하여 유압펌프(32)를 작동시켜서 유압라인(33)을 통해 필터하우징(10)에 구비된 유압실린더(15)에 유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그 후에 작업자는 필터하우징(10)의 하우징본체(2)에 설치된 볼트부재(6)를 해제하여 하우징본체(2)로부터 하우징헤드(5)를 분리하고 나서, 필터부재(1)의 상부를 누르고 있는 지지플레이트(8) 및 누름용 스프링조인트(7)를 탈거한다.
이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5)를 작동시켜 최상단 연장부(15c)가 높이 뻗어 올라가게 함으로써 가동플레이트(19)를 밀어 올리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가동플레이트(19) 상에 놓여 있는 필터부재(1)가 필터하우징(10)의 하우징본체(2) 내부로부터 그 상단 이상으로 돌출하여 필터부재(1)의 대부분이 필터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필터리프트(20)를 필터하우징(10)에 인접한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에, 필터리프트(20)의 제어반(28)을 조작하여 구동모터(22a)를 구동시켜 이에 연동되는 승강대(23)가 필터하우징(10)의 외부에 놓인 필터부재(1)의 중간 높이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때, 승강대(23)에 장착된 한 쌍의 이송대(25)가 필터부재(1)의 폭보다 다소 넓은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는 직접 수동으로 핸들(24a)을 돌려 또는 모터를 구동시켜 이송볼트(24)를 회전시킴으로써 이송대(25)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이송대(25)들 사이로 필터부재(1)가 위치하게 되면, 작업자는 각 이송대(25)의 클램프(26)를 조여 이들 클램프(26)가 적당한 압력으로 필터부재(1)를 파지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필터리프트(20)를 후퇴시켜 필터부재(1)를 폐기할 장소로 이동하면 된다. 이동 중에 필터리프트(20)의 제어반(28)을 조작하여 승강대(23) 를 하강시키거나, 폐기할 장소에 도착한 후에 제어반(28)을 조작하여 승강대(23)를 하강시킨다.
물론, 새로이 교체할 필터부재는 전술한 과정을 역순으로 하여 장착하는데, 즉 새로운 필터부재를 필터하우징(10)의 하우징본체(2) 내에 상승되어 있는 가동플레이트(19) 상에 필터리프트(20)를 이용하여 올려놓고, 유압실린더(15)를 작동시켜 최상단 연장부(15c) 및 이에 연결 고정된 가동플레이트(19)를 하강시킨 후, 새로운 필터부재 상부에 지지플레이트(8) 및 누름용 스프링조인트(7)를 설치한 다음에, 하우징본체(2)에다 하우징헤드(5)를 다시 조립하면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필터부재(1)에 전혀 접촉하지 않고서도 필터부재(1)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마이크로필터시스템에 사용되는 종래의 필터하우징의 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교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터리프트의 사시도이다.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재를 수용하면서 브라켓에 의해 지면과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며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갖춘 통형상의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결합되는 하우징헤드, 상기 하우징본체의 하부에서 하우징본체를 관통하여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유압실린더 및, 상기 필터부재를 보유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측면과 방사상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고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연장부가 밑면에 고정되는 가동플레이트를 구비한 필터하우징과;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에 연결되어 내부공간의 오일을 압축 펌핑하여 배출하는 유압펌프 및,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상기 필터하우징의 유압실린더까지 유압을 전달하여 인가하는 유압라인을 구비하는 유압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교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다단식 유압실린더로서, 실린더본체로부터 위로 뻗은 최하단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하단을 관통하여 하우징본체에 고정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최상단 연장부가 상기 가동플레이트의 밑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교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가 하나만 설치되는 경우에, 유압실린더의 최상단 연장부와 가동플레이트의 사이에 복수의 지지점을 갖는 지지브라켓이 추가 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교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이동바퀴를 구비한 대차와, 상기 대차에 형성된 2개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 상기 대차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스프로켓,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면에 설치된 종동스프로켓, 상기 구동스프로켓과 상기 종동스프로켓이 연동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상하로 안내되면서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승하강하는 승강대, 상기 승강대의 양측으로 설치된 지지부시의 베어링 내에 양단이 끼워지고서 일측 외주면에는 좌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외주면에는 우나사산이 형성된 이송볼트, 일측 단부에 이송너트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볼트의 양측으로 삽입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 필터부재를 조이기 위한 클램프가 설치된 한 쌍의 이송대를 구비하는 필터리프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교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이송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관통하는 조임나사와, 상기 슬롯과 연통되는 나사구멍을 갖춘 클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교체시스템.
KR1020090093805A 2009-10-01 2009-10-01 필터교체장치 KR101137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805A KR101137945B1 (ko) 2009-10-01 2009-10-01 필터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805A KR101137945B1 (ko) 2009-10-01 2009-10-01 필터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247A true KR20110036247A (ko) 2011-04-07
KR101137945B1 KR101137945B1 (ko) 2012-05-11

Family

ID=4404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805A KR101137945B1 (ko) 2009-10-01 2009-10-01 필터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9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804A (ko) * 2016-10-05 2018-04-13 주식회사 포스코 필터 장치
CN108745876A (zh) * 2018-05-24 2018-11-06 王明辉 一种矿业用高效分选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829B1 (ko) * 2020-02-17 2021-08-06 (주)엔에이시 원자력시설의 공기정화장치용 필터 교체 선반
KR102561333B1 (ko) 2022-12-23 2023-07-31 주식회사 원정이엔지 Ro 멤브레인 필터교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095Y1 (ko) * 1993-12-02 1996-10-15 주식회사 코오롱 유압착탈식 진공여과기
JP3369478B2 (ja) 1998-07-16 2003-01-20 キュノ株式会社 フィルターハウジング
KR100986509B1 (ko) * 2004-08-24 201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에어필터 교체 경보장치
KR100657571B1 (ko) * 2005-04-21 2006-12-20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의 손상 필터백 교체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상필터백 교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804A (ko) * 2016-10-05 2018-04-13 주식회사 포스코 필터 장치
CN108745876A (zh) * 2018-05-24 2018-11-06 王明辉 一种矿业用高效分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7945B1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945B1 (ko) 필터교체장치
KR101676466B1 (ko) 교체 가능한 활성탄 카트리지를 가진 흡착탑 및 활성탄 카트리지의 교체 방법
JP6224702B2 (ja) クロマトグラフィーカラムフレーム
US8343349B2 (en) Chromatography column and maintenance method
CN111511690A (zh) 压滤机
CN108436410A (zh) 组装和翻转平台装置
KR100811764B1 (ko) 차량용 타이어 적재장치
CN103635432B (zh) 用于处理水和废水的方法和设备
US4439905A (en) Installation for replacing a contaminated fluid circuit and process for replacing this member
CN218491289U (zh) 一种用于吸污车维修的特种吊装装置
CN213562244U (zh) 阀门执行器外壳组装用夹持装置
ITMI990529A1 (it) Sponda montacarichi ad elementi intercambiabili e sospensione diretta
CN219928673U (zh) 一种用于污泥处理的输送装置
JPH09276633A (ja) 自動搬送機能を備えるフィルタ洗浄装置
CN219518177U (zh) 一种纯化装置的气体过滤装置
CN116550079B (zh) 一种工业废气多级过滤处理装置
CN220443562U (zh) 一种具有夹持结构的超滤膜包
CN220296968U (zh) 一种净水器滤芯快速组装用工作台
CN216104955U (zh) 一种翻车机的液压机构
CN212941662U (zh) 一种板框卸料移动装置
CN215034796U (zh) 一种角钢数控生产用焊接装置
CN215691924U (zh) 一种可收集废料的板框过滤机
CN116408884A (zh) 一种起重机副卷支架加工用多面均匀强化处理装置
CN215654198U (zh) 一种滤水器反冲洗装置
CN212070268U (zh) 一种钢筋加工用钢筋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