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020A - 한자학습교재 - Google Patents

한자학습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020A
KR20110036020A KR1020110014155A KR20110014155A KR20110036020A KR 20110036020 A KR20110036020 A KR 20110036020A KR 1020110014155 A KR1020110014155 A KR 1020110014155A KR 20110014155 A KR20110014155 A KR 20110014155A KR 20110036020 A KR20110036020 A KR 20110036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chinese character
learning
chinese characters
kanj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호
Original Assignee
박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호 filed Critical 박건호
Priority to KR1020110014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6020A/ko
Publication of KR2011003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by corresponding projections and reces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한자학습교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한자학습교재는, 한자를 학습하기 위한 한자학습교재에 있어서, 상기 학습할 한자를 조합하기 위한 조합부; 및 상기 조합부에서 조합해야 될 학습한자가 기재되도록 형성되는 한자과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조합부에서 한자과제부의 학습한자가 기재된 블록부재에 학습한자와 연관성 있는 부수자나 한자가 기재된 다른 블록부재를 퍼즐방식으로 연결되게 조합하여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 학습함으로써, 퍼즐방식의 학습을 통해 한자의 구조적인 구성원리를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고,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한자학습교재{TEACHING MATERIALS FOR STUDYING CHINESE CHARACTER}
본 발명은 한자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놀이방식을 통해 한자의 구조적인 구성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한자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자는 세계 유일의 뜻글자로서 한글이 나오기까지 2천여년간 우리의 말을 기록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한자는 국어 어휘의 대부분을 이루는 의미적 요소 내지는 시각적 식별요소로서 수많은 동음이의어를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기준이 되고 있다.
이러한 한자는 우리나라 말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한자 실력은 학교생활이나 일상생활의 영위에 있어 눈에 띄지 않게 학습 및 의상 소통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일반인이 사회에서 직장생활을 하면서 한자의 필요성이 상존하고 있는 것은 물론, 남녀노소를 불문하며 특히 학과 수업을 듣는 유아나 초, 중, 고, 대학생의 경우 한문, 국어 및 국사 시간은 말할 것도 없고, 다른 학문 예를 들어서 수학, 과학, 사회 심지어는 영어 시간에도 수업과 교재의 내용을 보다 정확하고 올바른 의미로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글에 대한 이해능력 못지 않게 한자에 대한 이해가 병행되어야 한다.
한자는 214자의 부수자가 서로 조합되어 수많은 한자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부수자에 대한 충분한 학습이 선행된 후, 본격적인 한자를 공부해야 함은 영어를 배우기 위해 알파벳을 먼저 익히며 한글을 배우기 위해 모음과 자음의 자소에 대한 공부를 선행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학습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한자학습교재가 채택하고 있는 한자학습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부수자를 익히게 한 후, 각 배정한자를 가, 나, 다 등의 순으로 배열하고 그 배정한자를 일기, 쓰기 등을 반복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한자학습교재를 선택하여 학습하는 경우에 일정한 순서로서 한자를 학습하기 때문에 학습된 한자가 대부분 암기될 수 없는 상태에 처하게 된다. 그래서 학습한 한자 하나 하나가 다른 책이나 교재 등에 실려있거나 실생활에서 사용될 시에는 거의 모를 뿐만 아니라, 그 전에 학습한 한자를 되새김할 정신적 여우를 주지 못하므로 학습자는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단조로움으로 인해 학습의욕이 쉽게 저함됨은 물론 학습한 한자는 일시에 반복학습을 함으로써, 그 기억이 오랫동안 지속되지 못하여 학습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놀이방식을 통해 한자의 구조적인 구성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한자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한자를 학습하기 위한 한자학습교재에 있어서, 상기 학습할 한자를 조합하기 위한 조합부; 및 상기 조합부에서 조합해야 될 학습한자가 기재되도록 형성되는 한자과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학습교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조합부는, 부수자나 한자가 낱개로 기재되어 다수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블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부재는, 상기 조합부에 배치되는 한자과제부의 학습한자를 중심으로 연관성 있는 부수자나 한자가 하나의 군으로 묶이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블록부재는, 측면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연결홈 및 연결돌기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재는, 양 페이지의 중앙부를 기준하여 한쪽 페이지에 조합부가 배치되고 다른 페이지에 조합부와 대응되도록 학습과제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합부에서 한자과제부의 학습한자가 기재된 블록부재에 학습한자와 연관성 있는 부수자나 한자가 기재된 다른 블록부재를 퍼즐방식으로 연결되게 조합하여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 학습할 수 있는 한자학습교재를 제공함으로써, 퍼즐방식의 학습을 통해 한자의 구조적인 구성원리를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고,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자학습교재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자학습교재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자학습교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할 한자를 조합하기 위한 조합부(30)와, 조합부(30)에서 조합해야 될 학습한자(42)가 기재되도록 형성되는 한자과제부(40)로 구성된다.
이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교재(1)의 양 페이지에 조합부(30)와 한자과제부(40)가 서로 대응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즉, 교재(1)의 양 페이지는 중앙부를 기준하여 한쪽 페이지에 조합부(30)가 배치되고 다른 페이지에 조합부(30)와 대응되도록 한자과제부(40)가 배치된다.
이때, 도면을 기준으로 교재(1)의 좌측 페이지에 조합부(30)가 배치되어 있고, 우측 페이지에 한자과제부(40)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교재(1)의 양 페이지 중앙부는 페이지 간의 경계부를 말한다.
또한, 상기한 조합부(30)와 한자과제부(40)는 그 위치가 서로 바뀌는 구조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서, 교재(1)의 우측 페이지에 조합부(30)가 배치되고 좌측 페이지에 한자과제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조합부(30)는 한자과제부(40)에 기재되는 학습한자(42)를 조합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서 부수자나 한자 등이 낱개로 기재되어 다수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블록부재(3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블록부재(32)는 측면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연결홈(34) 및 연결돌기(3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블록부재(32)는 연결홈(34) 및 연결돌기(36)에 의해 조합부(30)에 배치되는 한자과제부(40)의 한습한자(42)를 중심으로 연관성 있는 부수자나 한자가 조합되어 하나의 군으로 묶이도록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한자과제부(40)에는 조합부(30)에서 조합해야 될 학습한자(42)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한자학습교재는 학습자에 의해 다음과 같이 학습될 수 있다.
우선, 한자과제부(40)의 첫머리에서 끝까지 기재되어 있는 학습한자(42)를 순차적으로 학습하게 되며, 학습한자(42)의 학습 후에는 학습한자(42)의 기재 순서에 따라 학습한자(42)가 기재된 블록부재(32)를 조합부(30)의 중앙부에 배치하고, 학습한자(42)가 기재된 블록부재(32)에 퍼즐방식으로 연관성 있는 부수자나 한자가 기재된 다수의 블록부재(32)를 서로 연결하는 조합과정을 통해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 학습하게 된다.
이때, 조합부(30)에는 학습한자(42)가 기재된 블록부재(32)를 중심으로 부수자나 한자 및 새로운 한자가 기재된 블록부재(32)가 하나의 군으로 묶이도록 서로 연결되게 배치된다.
즉, 한자과제부(40)의 학습한자(42)의 머리 두(ㅗ)를 습득한 후, 머리 두(ㅗ)에 연관성 있는 아비 부(父)를 연결되게 조합하여 새로운 한자 사귈 교(交)를 만들 수 있고, 사귈 교(交)에 칠 복(
Figure pat00001
)을 연결되게 조합하여 본받을 효(效)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머리 두(ㅗ)에 연관성 있는 "ㄴ"를 연결되게 조합하여 망할 망(亡)을 만들 수 있고, 망할 망(亡)에 달 월(月) 및 까치 발(壬)을 연결되게 조합하여 바랄 망(望)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머리 두(ㅗ)에 "
Figure pat00002
"을 연결되게 조합하여 서울 경(京)을 만들 수 있고, 서울 경(京)에 해 일(日)을 연결되게 조합하여 볕 경(景)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한자과제부(40)에 기재되어 있는 학습한자(42)의 머리 두(ㅗ), 머리 수(首), 털 모(毛), 머리 발(髮) 및 터럭 삼(
Figure pat00003
) 등이 기재된 블록부재(32)를 조합부(30)의 중앙부에 순차적으로 배치한 후 퍼즐방식으로 연관성 있는 부수자나 한자가 기재된 블록부재(32)를 연결되게 조합하여 한습한자(42)와 연관된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 학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한자학습교재는, 조합부(30)에서 한자과제부(40)의 학습한자(42)가 기재된 블록부재(32)에 학습한자(42)와 연관성 있는 부수자나 한자가 기재된 다른 블록부재(32)를 퍼즐방식으로 연결되게 조합하여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 학습하게 됨으로써, 퍼즐방식의 학습을 통해 한자의 구조적인 구성원리를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고,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30: 조합부 32: 블록부재
34: 연결홈 36: 연결돌기
40: 한자과제부

Claims (5)

  1. 한자를 학습하기 위한 한자학습교재(1)에 있어서,
    상기 학습할 한자를 조합하기 위한 조합부(30); 및
    상기 조합부(30)에서 조합해야 될 학습한자(42)가 기재되도록 형성되는 한자과제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학습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부(30)는,
    부수자나 한자가 낱개로 기재되어 다수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블록부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한습교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재(32)는,
    상기 조합부(30)에 배치되는 한자과제부(40)의 학습한자(42)를 중심으로 연관성 있는 부수자나 한자가 하나의 군으로 묶이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학습교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재(32)는,
    측면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연결홈(34) 및 연결돌기(36)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학습교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재(1)는,
    양 페이지의 중앙부를 기준하여 한쪽 페이지에 조합부(30)가 배치되고 다른 페이지에 조합부(30)와 대응되도록 학습과제부(4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학습교재.
KR1020110014155A 2011-02-17 2011-02-17 한자학습교재 KR20110036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155A KR20110036020A (ko) 2011-02-17 2011-02-17 한자학습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155A KR20110036020A (ko) 2011-02-17 2011-02-17 한자학습교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316A Division KR101153247B1 (ko) 2008-12-30 2008-12-30 한자학습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020A true KR20110036020A (ko) 2011-04-06

Family

ID=4404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155A KR20110036020A (ko) 2011-02-17 2011-02-17 한자학습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60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437A (ko) 2021-05-27 2022-1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배터리 셀 온도측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437A (ko) 2021-05-27 2022-1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배터리 셀 온도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rcia Effective instruction for language minority students: The teacher
White et al. Developing a rura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package
English et al. Spirituality and adult education
Allen et al. Approaches to cell biology teaching: mapping the journey—concept maps as signposts of developing knowledge structures
Jin et al. Participant Chinese teacher and student perceptions of an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with Australian pre-service teachers
Savickey Wittgenstein’s philosophy: Viva voce
KR101153247B1 (ko) 한자학습교재
KR101493470B1 (ko) 어린이용 학습교재
KR20110036020A (ko) 한자학습교재
Crocetti et al. Teaching science concepts through story: Scientific literacy is more about the journey than the destination
Perini The pearl in the shell: Author's notes in multicultural children's literature
Lowe Writing the FUTURE
KR100733484B1 (ko) 영어 교육용 블럭 세트
Crane " A dangerous visionary"? The lectures of the Evolutionist TJ Parker
Farooq ‘Objectification’of Islam: A Study of Pakistani Madrassah Texts
Rodriguez How to avoid seven common (but seldom discussed) STEM curriculum pitfalls: Making STEM more culturally and socially relevant
JP2015089613A (ja) 漢字練習教材
Mehta Communicative approach in learning English language: Effectiveness at middle school level (with special reference to government middle school of Ujjain city in the state of Madhya Pradesh, India)
Cleveland The global century
Leigh et al. Writing influences: A timeline of teaching writing as a process
CN103440799A (zh) 一种新型拼音卡及其使用方法
Luo China's Literacy Myth: Narratives and Practices, 1904-1949
Stahura et al. Making the Case for Alternative Student-centered Assignments
Gupta UNDERSTANDING THE RELEvANCE OF GANDHIAN BASIC EDUCATION IN CONTEMPORARY TIMES WITH REFERENCE TO NEP 2020
Prajapati Innovative and Integrated Programmes in Teacher Education: A Suggested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