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5076A - Stave having isolated wire and system for measuring thickness of a melting furna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ave having isolated wire and system for measuring thickness of a melting furna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5076A
KR20110035076A KR1020090092632A KR20090092632A KR20110035076A KR 20110035076 A KR20110035076 A KR 20110035076A KR 1020090092632 A KR1020090092632 A KR 1020090092632A KR 20090092632 A KR20090092632 A KR 20090092632A KR 20110035076 A KR20110035076 A KR 20110035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ve
current
wall
furnace
blast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35689B1 (en
Inventor
황운봉
윤진성
정완균
이상민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2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689B1/en
Publication of KR20110035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0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6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7/1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using magnetic means, e.g. by measuring change of reluc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5Selecting one or more conductors or channels from a plurality of conductors or channels, e.g. by closing contacts
    • G01D5/252Selecting one or more conductors or channels from a plurality of conductors or channels, e.g. by closing contacts a combination of conductors or cha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PURPOSE: A stave with an isolated wire and a system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a melting furnac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nable a worker to easily confirm the changed thickness of the stave and to reduce a measuring error. CONSTITUTION: A system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a melting furnace using a stave comprises a current receiving unit(20), a current supply unit(10), and a current measurement unit(30). The current receiving unit has multiple isolated wires. The isolated wires are installed inside the inner wall of a melting furnace. The current supply unit supplies currents to the inside the melting furnace to flow the currents to the current receiving unit through the isolated wires. From the current measurement area is the current supply unit.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measures which isolated wire flows the currents.

Description

절연 와이어를 구비한 스테이브 및 이를 이용한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Stave having isolated wire and system for measuring thickness of a melting furnace using the same}Stave having isolated wire and system for measuring thickness of a melting furna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절연 와이어를 구비한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절연 와이어를 이용하여 전류의 흐름을 탐지함으로써 스테이브 또는 고로 내측벽의 두께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st furnace body thickness measuring system having an insulated w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ast furnace furnace body that can continuously measure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stave or blast furnace inner wall by detecting the flow of current using the insulated wire. A thickness measurement system.

고로 운행 시 내벽에 붙는 찌꺼기 물질들이 탈부착 과정을 반복하면서 내벽을 손상시키며, 내벽이 손상될 시 폭발 등의 위험이 있어 내벽 마모 정도에 대한 체계적인 측정이 필요하다. In the operation of the blast furnace, debris adhered to the inner wall damages the inner wall by repeatedly removing and attaching the inner wall. If the inner wall is damaged,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and thus a systematic measurement of the inner wall wear is required.

고로 내벽 마모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은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열역학적 추정, 기계적 측정, 전기적 성질 변화가 바로 그것이다.The techniques currently used to measure the wear of the blast furnace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rmodynamic estimation, mechanical measurements, and electrical property changes.

일본 특허공보 소57-39288호에서는 노체 연와에 설치된 복수의 온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노벽 온도가 급상승하는 온도 변화로부터 부착물의 탈락을 판단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일본 특허공보 소 59-6888호에서는 코크스 및 광석의 층상 장입시 장입 주기에 대응하여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온도 변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주기성이 상실될 때 부착물의 생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7-39288 disclose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dropping of a deposit from a sudden change in the furnace wall temperature measured using a plurality of thermometers installed in the furnace tail. Also,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9-6888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when the periodicity is lost by continuously measuring the temperature change that changes periodically in response to the charging cycle of coke and ore.

한편, 한국 특허공개 제 1995-0010238호에서는 노벽 연와에 착설되는 열전대의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부착물 두께와 열전대 온도와의 상관 관계로부터 부착물의 두께를 정량적으로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노벽에 형성되는 부착물의 성장이나 탈락되는 상황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도록 하는 고로 노벽의 부착물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5-0010238 use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rmocouples installed on the furnace wall edges to quantitatively detect the thickness of the deposit fro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deposit and the thermocouple temperature. A method for measuring deposit thickness of blast furnace furnace walls is proposed to quantitatively identify dropout situations.

그러나, 이와 같은 열역학적 방법은 조업상황에 따라 수치화하는 정확성이 떨어지고 기계적 방법 또한 내벽에 붙어 있는 찌꺼기 등으로 정확한 측정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thermodynamic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of digitization decreas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tuation, and the mechanical method is difficult to expect accurate measurement due to residues attached to the inner wall.

한편, 전기적 성질 변화로써 사용되는 방법은 노체의 저항을 이용하는 것인데 이 또한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조업상황에 따라 온도가 수시로 변하는 노체에 적용시키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used as a change in electrical properties is to use the resistance of the furnace body, which is also sensitive to the temperature, so it is not appropriate to apply to the furnace body that the temperature changes frequently depending on the operating situation.

더불어 위에 설명된 모든 세가지 방법들은 측정자의 숙련도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날 수 있으며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노체의 급격한 변화에 대하여 측정 주기를 설정하기가 힘들다.In addition, all three methods described above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skill of the measurer, and it is difficult to set a measurement cycle for sudden changes in the furnace body that may occur at any time.

한편, 스테이브(stave)는 고로 냉각의 목적으로 노체 벽면에 설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구조체이다. 스테이브는 고로 철피 내측에 설치되고 고로 높이방향으로 11개단으로 구분되는데, 원주방향으로는 각 단별로 출선구는 8매, T1부터 S7단 까지는 36매, S8~S9단은 24매로 구성되어 총 342매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stave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provided on the furnace wall for the purpose of blast furnace cooling. The stave is installed inside the blast furnace shell and is divided into 11 stages in the blast furnace height direction.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 are 8 exits for each stage, 36 sheets for T1 to S7 stages, and 24 sheets for S8 ~ S9 stages. It consists of hawks.

스테이브의 구조를 살펴보면, 일정한 크기의 사각 박스 형상이며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냉각 파이프가 복수 개 나열되고 하부에 급수배관과 상부에 배수배관이 돌출되어 있다. 한편, 스테이브의 재질은 구상흑연주철로서 표면온도가 변태점인 770℃ 이하를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이 때, 온도관리를 위해 스테이브의 내부에는 온도계가 설치되어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stave, a rectangular box shape of a constant size and a plurality of cooling pip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ward, and the water supply pipe at the bottom and the drain pipe at the top protrude. 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f the stave is spheroidal graphite cast iron is to maintain the surface temperature of 770 ℃ or less transformation point. At this time, a thermometer is installed inside the stave for temperature management.

스테이브의 배면은 고로 철피에 고정되며, 하부 스테이브 배수배관과 상부 스테이브 급수배관은 서로 관로를 형성하도록 파이프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 때, 하부 스테이브 급수배관에서 냉각수를 보내면 각각의 냉각 파이프에 냉각수가 통입되어 스테이브(stave)의 마모가 억제된다.The back of the stave is fixed to the blast furnace shell, and the lower stave drain pipe and the upper stave feed pi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pe to form a pipeline to each other. At this time, when the cooling water is sent from the lower stave feed pipe, the cooling water is introduced into each cooling pipe, and the wear of the stave is suppressed.

이와 같이, 고로 냉각의 목적으로 노체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스테이브, 특히 구리 스테이브는 냉각 성능은 우수하나 두께가 얇아 마모될 경우 치명적일 수 있어 마모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As such, the stave, especially the copper stave, installed on the furnace wall for the purpose of blast furnace cooling, has excellent cooling performance but may be fatal when worn because of its thin thickness, so it is more important to measure the degree of wear.

현재까지 구리 스테이브의 마모 정도, 노체 벽의 두께를 측정하는 여러 방법들이 고안되었으나 고온 등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큰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Until now, various methods for measuring the wear level of the copper stave and the thickness of the furnace wall have been devised. However, due to the harsh environment such as high temperature, it is not effective.

또한 이러한 방법들은 측정 시점에서만 두께값을 얻어낼 수 있기 때문에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급작스런 변화에도 대응할 수 없다.Also, since these methods can only obtain thickness values at the time of measurement, they cannot cope with sudden changes that may occur when.

따라서, 측정자에 상관없이 노체가 스스로 마모 정도를 알려주는 스테이브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으며, 또한 스테이브의 마모 정도를 측정하여 연속적으로 변화 하는 노체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tave in which the furnace itself indicates the degree of wear regardless of the measurer.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a furnace thickness measurement system that measures the wear level of the stave can continuously measure the thickness of the furnace body. This is necessar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온도에 영향을 최대한 받지 않으면서 내벽 또는 스테이브의 마모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ast furnace body thickness measurement system that can easily measure the amount of wear of the inner wall or stave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temperature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하는 시간에 고로 노체 또는 스테이브의 원하는 부분의 두께를 신뢰도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ast furnace furnace thickness measurement system capable of reliably measuring the thickness of a blast furnace furnace or a desired portion of a stave at a desired ti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전가능한 고로 노체 내벽의 내부에 노체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절연 와이어로서, 상기 내벽의 표면으로부터 일단부측까지의 이격 거리가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절연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류 수용부; 상기 절연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전류 수용부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고로의 노체 내벽의 내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부; 및 상기 전류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류 수용부로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 중 어떠한 절연 와이어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지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부를 포함하는, 고로 노체 내벽 두께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nsulating wires are provid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urnace body inside the furnace blast furnace body inner wall,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inner wall to one end side A current receiver including a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each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 current supply unit for supplying current into the furnace inner wall of the blast furnace so that current flows through the insulation wire to the current receiving unit; And a curren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which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wires a current flows from the current supply unit to the current receiving unit.

이 때, 상기 통전가능한 고로 노체 내벽은 구리 스테이브(copper stave)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ergized blast furnace furnace inner wall is a copper stave.

이 때,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는 상기 노체 내벽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insulating wires are preferably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furnace inner wall.

이 때,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의 상기 내벽의 표면으로부터 일단부측까지의 이격 거리는 각각 소정 거리의 배수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distances from the surfaces of the inner walls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wires to the one end portion each constitute a multiple of a predetermined distance.

이 때,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 중 하나의 절연 와이어의 일단부는 노체가 마모되지 않은 상태의 내벽의 표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one of the insulation wires of the plurality of insulation wires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inner wall in which the furnace body is not worn.

한편, 본 시스템은 상기 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 측정치를 근거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절연 와이어의 일단부로부터 마모전 내벽의 표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계산하여 마모된 내벽 두께를 계산하는 두께 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ystem further calculates the thickness of the worn inner wall by calcula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inner wall before wear from one end of the insulated wire in which no current flows based on the measured current measured in the current measuring unit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고로의 내벽에 설치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상기 고로의 내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절연 와이어로서, 상기 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일단부까지의 이격 거리가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절연 와이어를 포함하는, 스테이브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ody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blast furnace; And a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installed inside the body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blast furnac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formed at different distances from an upper surface to one end of the body, respectively. do.

이 때, 상기 스테이브는 구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stave is preferably formed of a copper material.

이 때,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는 상기 스테이브 상부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insulating wires are preferably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perpendicular to the top surface of the stave.

이 때,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의 상기 스테이브 상부 표면으로부터 일단부측까지의 이격 거리는 각각 소정 거리의 배수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distances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tave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wires to the one end side are each formed in multiples of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 중 하나의 절연 와이어의 일단부는 스테이브 의 상부 표면이 마모되지 않은 상태의 상부 표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one end of one of the insulation wires of the plurality of insulation wires is preferably position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tave is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non-wearing state.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브의 마모된 두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심각한 수준의 손상에 대해 미리 예방할 수 있고, 관리자의 별다른 조치가 필요 없기 때문에 측정자에 따른 오차도 없앨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orn thickness of the stave can be easily checked, a serious level of damag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since an administrator does not need any special measures, an error according to the measurer can be eliminated.

또한, 벽면에 붙어있는 찌꺼기에 전류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찌꺼기에 의해 마모 정도 측정에 생기는 오차를 피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current does not pass through the debr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it is possible to avoid the error caused by the debris measurement.

모든 스테이브를 본 발명에서 제시한 스테이브로 교체할 시 구리 스테이브들이 고로 전체를 냉각을 위하여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기존 방법으로는 국부적으로 밖에 측정할 수 없었던 노체의 마모 정도를 전체적인 시점에서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When replacing all staves with the one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pper staves surround the entire blast furnace for cooling, the degree of wear of the furnace body, which could only be measured locally by the conventional method, can be identified at a glance. Will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체 두께 변화에 따른 전기적 성질의 변화를 이용하기 위하여 고로에 설치되는 스테이브에 절연 와이어를 두께 방향으로 설치하고, 특정 두께 감소 시 절연 와이어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잔존 두께를 측정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use the change in electr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furnace body, the insulation wire is install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stave installed in the blast furnace, and whether a current flows in the insulation wire when the specific thickness is reduced. Determine the remaining thickness to determin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1)을 이용하여 노체 두께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urnace body thickness measur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easuring furnace body thickness using the furnace body thickness measuring system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1)은 전류 공급부(10), 전류 수용부(20), 전류 측정부(30), 두께 계산부(50) 및 전원 공급부(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furnace body thickness measur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urrent supply unit 10, a current receiving unit 20, a current measuring unit 30, a thickness calculating unit 50, and a power supply. Supply part 40 is included.

전류 공급부(10)는 고로 노체의 내측면, 즉 본 실시예에서는 구리 스테이브의 몸체(2) 내부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current supply unit 10 is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current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blast furnace furnace, that is, in the body 2 of the copper stave in this embodiment.

전류 수용부(20)는 상기 전류 공급부(10)에 의하여 공급된 전류를 수용하도록 구리 스테이브의 몸체(2)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류 수용부는 복수개의 절연 와이어(22, 24, 26)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복수개의 절연 와이어(22,24,26)는 스테이브의 내부에 도 1에서 볼 때,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 때, 도 1에서 스테이브의 상부면(4)은 스테이브가 고로 내측면에 설치될 때, 내부를 향하는 면이다. 따라서, 고로의 내부에 스테이브가 설치된 상태에서 스테이브의 두께는 도 1에서 L1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스테이브의 상부면이 마모되어 두께가 감소하는 경우, L1의 두께가 도 2에서와 같이 L2 또는 L3로 줄어들게 된다. The current receiver 2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side the body 2 of the copper stave to receive the current supplied by the current supply unit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urrent receiving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22, 24, 26. 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22, 24, 26 ar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nterior of the stave, as seen in FIG. 1.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4 of the stave in FIG. 1 is a surface facing inside when the stave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blast furnace. 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stave is installed inside the blast furnace, the thickness of the stave may be represented by L1 in FIG. 1, and when the top surface of the stave is worn down to reduce the thickness, the thickness of L1 may be as shown in FIG. 2. Will be reduced to L2 or L3.

이 때, 복수의 절연 와이어(22,24,26)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도 1에서 볼 때 상단부로만 전기가 통하며,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전체적으로 절연되도록 형 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서 볼 때 복수의 절연 와이어 중 제 1 와이어(22)는 스테이브의 상부면에 거의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제 2 와이어(24)는 상부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며, 제 3 와이어(26)는 제 2 와이어가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의 2배만큼 이격된 거리를 갖는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22, 24, and 26 have different lengths, and as shown in FIG. 1, only electricity passes through the upper end, and the other parts are formed to be insulated as a w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first wire 22 of the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ave, and the second wire 24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hird wire 26 has a distance spaced by twice the distance that the second wire is spaced from the top surface.

이와 같은 제 1 내지 제 3 와이어(22,24,26)의 상부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는 스테이브가 마모된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로서, 스테이브의 설치 위치 및 상태에 따라 길이가 선택될 수 있다. The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o third wires 22, 24, and 26 is a distance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worn stave, and the length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state of the stave. .

상기 절연 와이어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또한 상기 상부면에 수직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는 전기가 통하는 상단부의 높이가 어느 높이에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 즉, 절연와이어의 상단부와 스테이브 상부면 사이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면, 반드시 서로 나란하거나 또는 상부면에 수직하게 배열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Preferably, the insulated wires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ar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but the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are positioned at a height at which a height of an upper end portion through which electricity flows, that is, an upper end portion of the insulated wir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surface and the stav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not necessarily arrang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or perpendicular to the top surfac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류 수용부(20)로서 3개의 절연 와이어(22,24,26)를 제공하였으나, 절연 와이어의 개수는 보다 많아질 수 있으며, 또한 절연 와이어의 개수가 많아지고 상호 이격 거리가 짧아질 수록 스테이브가 마모된 두께를 보다 정교하게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insulation wires 22, 24, and 26 are provided as the current receiver 20, but the number of the insulation wires may be larger, and the number of the insulation wires may be increased and the mutual separation distance may be greater. The shorter the, the more precisely the thickness of the worn stave can be measured.

한편, 상기 전류 공급부(10) 및 전류 수용부(20)는 전류 측정부(30)에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supply unit 10 and the current receiving unit 20 is connected to the current measuring unit 30.

전류 측정부(30)는 전류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전류가 전류 수용부(20)의 절연 와이어 중 어느 절연 와이어를 통하여 전류가 통하는지를 측정한다. The current measuring unit 30 measures which of the insulating wires of the insulating wire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0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current supply unit 10 passes through.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브가 최초 설치된 상태에서는 스테이브의 두께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1이다. 따라서, 전류 공급부(10)를 나온 전류(I)는 도체인 스테이브의 몸체(2) 내부를 지나 모든 절연 와이어(22,24,26)로 들어갈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경우 모든 절연 와이어(22,24,26)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 것이 전류 측정부(30)에서 측정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where the stave is initially installed, the thickness of the stave is L1, as can be seen in FIG. Thus, the current I exiting the current supply 10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2 of the conductor stave and into all the insulated wires 22, 24, 26, in which case all the insulated wires 22.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24 and 26 may be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ing unit 30.

그러나, 고로가 운행되어 스테이브가 마모되는 경우, 예를 들어, L2의 두께만큼 두께가 감소된 경우에는 절연 와이어 중 제 1 와이어(22)는 전류가 유입되는 단부가 스테이브의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전류 공급부(10)를 나온 전류가 제 1 와이어(22)를 통하여는 유입될 수 없으며, 제 2 와이어(24) 및 제 3 와이어(26)로만 유입가능하다. 또한, 스테이브의 두께가 L3로 된 경우에는 제 2 와이어(24)에도 전류가 흐르지 못할 것이다. However, when the blast furnace is driven and the stave is worn,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is reduced by the thickness of L2, the first wire 22 of the insulated wir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tave at which the current flows. Therefore, the current exiting the current supply unit 10 cannot flow through the first wire 22, but only into the second wire 24 and the third wire 26. In addition, if the thickness of the stave is L3, no current will flow in the second wire 24 as well.

따라서, 제 1 와이어(22)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고, 제 2 와이어(24) 및 제 3 와이어(26)로만 전류가 흐르는 경우, 스테이브 상부면이 어느 정도 마모되어, 스테이브의 두께가 L1~L2 사이임을 예측할 수 있으며, 제 1 및 2 와이어(22,24)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고 제 3 와이어(26)로만 전류가 흐를 경우, 스테이브의 두께가 L2~L3 사이임을 예측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no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wire 22 and only current flows through the second wire 24 and the third wire 26, the top surface of the stave wears to some extent, and the thickness of the stave is L1 to ~.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L2, and if the current does not flow to the first and second wires 22 and 24 and only the current flows to the third wire 26,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thickness of the stave is between L2 and L3.

한편, 전원 공급부(40)는 전류 공급부(10)로부터 전류 수용부(20)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도록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ower supply unit 40 supplies power to the system to measure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current supply unit 10 to the current receiving unit 20.

두께 계산부(50)는 상기 전류 측정부(30)에서 측정된 전류 측정치를 근거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절연 와이어의 일단부로부터 마모전 내벽의 표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계산하여 마모된 내벽 두께를 계산하도록 한다. The thickness calculating unit 50 calculates the spaced inner wall thickness by calculat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one surface of the inner wall before wear from one end of the insulated wire through which no current flows, based on the measured current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ing unit 30. Do it.

본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자는 전류 수용부 중 어느 와이어로 전류가 통하는지만 확인하면 스테이브의 마모량을 대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을 것이나, 두께 계산부에서 보다 정확하게 스테이브의 두께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알려 줄 수 있게 될 경우, 스테이브의 마모에 따른 고로의 위험 방지를 위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The operator of the system will be able to approximate the wear of the stave by checking which wire the current is flowing through, but the thickness calculation section will calculate the thickness of the stave more accurately and provide the results. If possible, more accurate measurement and control will be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blast furnaces due to wear of the stav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은 스테이브에 절연 와이어를 설치하도록 하고, 절연 와이어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절연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류 수용부를 전류가 통하는 몸체를 갖는 고로 노체의 내측벽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 스테이브 이외의 고로 노체 내측벽의 마모 정도를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blast furnace furnace body thickness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insulation wire on the stav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flows in the insulation wire, the current receiving portion including the insulation wire current If it is possible to install on the inner wall of the blast furnace furnace body having a communicating body, the degree of wear of the inner wall of the blast furnace furnace other than the stave will b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에 사용가능한 스테이브는 고로의 내측면에 별도로 부착되며 전기가 잘 통하는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스테이브의 제작시 스테이브 몸체 내부에 스테이브의 마모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전류 수용부의 복수의 절연 와이어를 설치하여 고로 내부에 제공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브가 설치된 위치의 스테이브 마모량, 즉 고로 내벽의 마모량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ave that can be used in the blast furnace body thickness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last furnace and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o the wear level of the stave can be checked inside the stave body when the stave is manufactured. In order to provide a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of the current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o as to provide the inside of the blast furnace, the amount of stave wear at the position where the stave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the amount of wear on the blast furnace inner wall is It can be easily measured using a body thickness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절연 와이어가 설치된 스테이브를 고로 내벽 전체에 설치할 경우, 고로 전체의 내벽 마모량을 측정할 수 있어, 고로 의 내벽 마모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nstalling a stav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in the entire blast furnace inne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amount of the inner wall wear of the blast furnace, so that it is easy to manage the risk due to wear of the blast furnace inner wall. hav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고로 내벽 두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로 내벽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The method of measuring the thickness of an blast furnace inner wall using the blast furnace inner wall thickness measuring system which consists of such a structure is demonstrated.

먼저, 통전가능한 고로 노체 내벽의 내부에 노체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절연 와이어를 설치한다.(S301) 이 때, 노체 내벽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의 일단부측까지의 이격 거리가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의 상기 내벽의 표면으로부터 일단부측까지의 이격 거리는 각각 소정 거리의 배수를 이루도록 한다. 본 단계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복수의 절연 와이어를 구리 스테이브 내부에 설치하고, 절연 와이어가 설치된 구리 스테이브를 고로 노체의 내측벽에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First, a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are installed in the furnace blast furnace inner wall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urnace body (S301). At this time, a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furnace body to one end of the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form. Further, the separation distances from the surfaces of the inner walls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wires to the one end side each constitute a multiple of a predetermined distance. This step includes installing a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side the copper stave, and installing a copper stave provided with the insulated wire on the inner wall of the blast furnace body.

그 후, 고로를 운행시키고, 상기 고로 노체 내벽에 전류를 흘려,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S302) Thereafter, the blast furnace is operate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blast furnace furnace inner wall,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is measured. (S302)

이와 같이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절연 와이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3) 스테이브의 마모가 발생한 위치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절연 와이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절연 와이어가 발생한 경우, 절연 와이어가 설치된 위치의 노체 내벽의 표면이 해당 절연 와이어의 단부의 깊이보다 마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urrent is measured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insulated wire through which no current flows. (S303) An insulated wire through which no current flows is gener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wear of the stave occurs. Therefore, when an insulation wire through which no current flows, it can be judged that the surface of the furnace inner wall at the position where the insulation wire is installed is worn out than the depth of the end portion of the insulation wire.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 중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절연 와이어의 일단부와 노체의 마모전 이격 거리를 계산하여, 노체의 내벽 표면의 마모량을 계산함으로써 노체 내벽의 두께를 계산한다. (S304)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furnace inner wall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wear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urnace by calcula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one end of the insulation wire and the furnace body in which no current flows among the plurality of insulation wires. (S304)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the addition of components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changing, deleting, adding, and the like,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와이어를 이용한 고로의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1 is a block diagram of a furnace thickness measurement system of a blast furnace using an insulated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와이어를 고로의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로의 노체 두께가 달라진 상태를 측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그리고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ulation thick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furnace thickness measurement system of the blast furnace to measure the changed state of the furnace body thickness, an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와이어를 이용한 고로의 노체 두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로의 노체 두께를 측정하는 순서도이다. 3 is a flow chart for measuring the furnace thickness of the blast furnace using the furnace thickness measurement system of the blast furnace using an insulated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2 스테이브 몸체 4 상부면 2 Stave Body 4 Top View

10 전류 공급부 20 전류 수용부 10 Current supply section 20 Current receiver section

22 제 1 와이어 24 제 2 와이어 22 First Wire 24 Second Wire

26 제 3 와이어 30 전류 측정부 26 Third Wire 30 Current Measuring Unit

40 전원 공급부 50 두께 계산부 40 Power Supply 50 Thickness Computation

Claims (11)

통전가능한 고로 노체 내벽의 내부에 노체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절연 와이어로서, 상기 내벽의 표면으로부터 일단부측까지의 이격 거리가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절연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류 수용부;A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installed in an inner wall of the furnace blast furnace body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furnace body, the current receiving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formed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surface of the inner wall to one end thereof; 상기 절연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전류 수용부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고로의 노체 내벽의 내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부; 및A current supply unit for supplying current into the furnace inner wall of the blast furnace so that current flows through the insulation wire to the current receiving unit; And 상기 전류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류 수용부로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 중 어떠한 절연 와이어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지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부를 포함하는, 고로 노체 내벽 두께 측정 시스템. And a curren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which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wires a current flows from the current supply unit to the current receiv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전가능한 고로 노체 내벽은 구리 스테이브(copper stave)인, 고로 노체 내벽 두께 측정 시스템. The blast furnace furnace inner wall thickness measurement system, wherein the energized blast furnace furnace inner wall is a copper stav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는 상기 노체 내벽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되는, 고로 노체 내벽 두께 측정 시스템. And the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one another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furnace inner wall.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의 상기 내벽의 표면으로부터 일단부측까지의 이격 거리는 각각 소정 거리의 배수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고로 노체 내벽 두께 측정 시스템.The blast furnace furnace inner wall thickness measuring system is formed so that a spaced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said inner wall of the said plurality of insulating wires to the one end part may make multiple of a predetermined distance,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 중 하나의 절연 와이어의 일단부는 노체가 마모되지 않은 상태의 내벽의 표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고로 노체 내벽 두께 측정 시스템. One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is locat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furnace body is not worn, blast furnace inner wall thickness measuremen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 측정치를 근거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절연 와이어의 일단부로부터 마모전 내벽의 표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계산하여 마모된 내벽 두께를 계산하는 두께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고로 노체 내벽 두께 측정 시스템. The blast furnace body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worn inner wall thickness by calculat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one surface of the inner wall before wear from one end of the insulated wire where no current flows based on the measured current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ing unit. Inner wall thickness measurement system. 고로의 내벽에 설치되는 몸체; 및Bod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blast furnace; And 상기 몸체의 내부에 상기 고로의 내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절연 와이어로서, 상기 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일단부까지의 이격 거리가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절연 와이어를 포함하는, 스테이브. A plurality of insulated wire provid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last furnace in the interior of the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each having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to one end of the body is formed differently.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스테이브는 구리 재질로 형성되는, 스테이브. The stave is formed of a copper material.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는 상기 스테이브 상부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되는, 스테이브. And the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are arranged side by side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with respect to the stave top surface.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의 상기 스테이브 상부 표면으로부터 일단부측까지의 이격 거리는 각각 소정 거리의 배수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스테이브. The distanc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tave to the one end side of the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are each formed to be a multiple of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복수의 절연 와이어 중 하나의 절연 와이어의 일단부는 스테이브의 상부 표면이 마모되지 않은 상태의 상부 표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스테이브. One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is positioned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stave is adjacent to the top surface in an unworn state.
KR1020090092632A 2009-09-29 2009-09-29 Stave having isolated wire and system for measuring thickness of a melting furnace using the same KR1010356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32A KR101035689B1 (en) 2009-09-29 2009-09-29 Stave having isolated wire and system for measuring thickness of a melting furna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32A KR101035689B1 (en) 2009-09-29 2009-09-29 Stave having isolated wire and system for measuring thickness of a melting furna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076A true KR20110035076A (en) 2011-04-06
KR101035689B1 KR101035689B1 (en) 2011-05-19

Family

ID=4404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632A KR101035689B1 (en) 2009-09-29 2009-09-29 Stave having isolated wire and system for measuring thickness of a melting furna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689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439A (en) * 1985-08-09 1987-03-31 안병화 Method of measuring thickness of blast furnace wall refractory
JPH11287607A (en) * 1998-04-01 1999-10-19 Kawasaki Steel Corp Lining structure and its wear detec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689B1 (en)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6969B2 (en) Methods and equipment for monitoring submarine cables
US20110167905A1 (en) Casting level measurement in a mold by means of a fiber optic measuring method
BRPI0915542B1 (en) Metal die casting and method for temperature measurement in a die casting of a casting machine
KR101390558B1 (en) A power line temperature and sag monitor system
US107051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length of an electrode in an electric arc furnace
JP2013537486A (en) Apparatus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continuous casting molds.
KR20150064173A (en) Method for monitoring soil erosion around buried devices, instrumented device and system implementing the method
US20220356539A1 (en) Shaft furnace condition monitoring
US200300819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ber optic monitoring of downhole power and communication conduits
KR101035689B1 (en) Stave having isolated wire and system for measuring thickness of a melting furnace using the same
US20130292265A1 (en) Impressed current cathodic protection
JPH0474813A (en) Method and instrument for measuring wall thickness in blast furnace
JP5547117B2 (en) Refractory remaining thickness evaluation method
US9651183B2 (en) Controlling heating and communication in a pipeline system
RU2729376C1 (en) Method of determining deformation and corresponding equipment
KR101109098B1 (en) System for measuring thickness of a melting furnace and a method thereof
JP2017080771A (en) Mold for continuous casting
Hopf Monitoring the wear of water-cooled tap-hole blocks by the OPTISAVE fibre-optic method
Sakaran et 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fibre optic temperature data at the Polokwane Smelter
Ghorbani et al. Thermal assessment and identification of wear zones in a blast furnace hearth and tap-holes
JP2011220933A (en) Estimation method for residual thickness of refractory material in pipeline
KR20230066825A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monitoring refractory erosion condition in a melting furnace
JP2023064567A (en) Cu STAVE ABRASION DETECTION SENSOR
BR112019025002B1 (en) METHOD TO DETERMINE DEFORMATION, EQUIPMENT AND Blast Furnace
JPH05240713A (en) Temperature sensor for monitoring refractory product and measuring method for erosion of refractory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