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5073A - Bucket loa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Bucket loa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5073A
KR20110035073A KR1020090092629A KR20090092629A KR20110035073A KR 20110035073 A KR20110035073 A KR 20110035073A KR 1020090092629 A KR1020090092629 A KR 1020090092629A KR 20090092629 A KR20090092629 A KR 20090092629A KR 20110035073 A KR20110035073 A KR 20110035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guide
gate
support
devic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53319B1 (en
Inventor
나유상
이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92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319B1/en
Publication of KR20110035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3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9/00Cooling or quenching coke
    • C10B39/12Cooling or quenching coke combined with conveying means

Abstract

PURPOSE: A bucket loading device is provided to enable red heat coke to be loaded and to enable stable loading and movement for repairing a rotary bucket, which is used for CDQ(Coke Dryer Quenching). CONSTITUTION: A bucket loading device comprises a body(30), a bucket guide(50), a first support(70) and a second support(90). The body is movable through a driving unit(10). The bucket guide is supplied on the body. The bucket guide guides a loaded bucket. The first support is supplied on the body. The first support holds a bucket. The second support is supplied on the body. The second support holds a vertical bar,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gate guide of the bucket.

Description

버켓 탑재장치{Bucket Loading Apparatus} Bucket Lo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버켓 특히, 적열 코크스 운송시 사용되는 로터리 버켓이 탑재되어 버켓의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버켓 탑재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버켓 특히,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Coke Dryer Quenching)(이하, 'CDQ'이라 함)에서 사용되는 로터리 버켓(rotary bucket)의 안정적인 탑재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탑재시 버켓 게이트의 오픈이 구현되어, 궁극적으로 버켓의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필요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주변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특히 조업시 안전사고도 예방 가능하게 한 버켓 탑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et mounting apparatus for mounting a bucket, in particular, a rotary bucket used for transporting a red coke to facilitate the repair of the bucket, and more particularly, a bucket, in particular, a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Coke Dryer Quenching) (hereinafter, In addition to the stable mounting and movement of the rotary bucket used in the CDQ), the opening of the bucket gate is implemented during mounting, ultimately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work of the bucket and moving it when necessary. Since it is possible, it is related with the bucket mounting apparatus which raised the periphery space utilization, and especially prevented the safety accident at the time of operation.

일반적으로 코크스 오븐(Coke Oven)에서 생산된 적열 코크스의 건식 소화방식은,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코크스 오븐 탄화실에서 건류된 적열코크스가 추출되면 이를 소화대차의 버켓에 적재하고, 소화대차로 부터 버켓을 분리 권상한다.In general, the dry fire extinguishing method of the coke produced in the coke oven (Coke Oven), although not shown in a separate drawing, when the dry coke is extracted from the coke oven carbonization chamber is loaded into the bucket of the fire truck, the fire truck Separate the bucket from the hoist.

그리고, 상기 버켓을 CDQ의 소화챔버로 이동시킨 다음, 안착후 소화작업 공정이 이루어지면 배출하고, 코크스의 배출후 다시 크레인이 정위치하여 하강하고, 소화대차에 버켓을 안착 분리시키면 작업이 종료되는 것이다.Then, the bucket is moved to the fire extinguishing chamber of the CDQ, and discharged when the fire extinguishing process is carried out after installation, and after the discharge of the coke, the crane is lowered again and lowered, and the work is terminated by seating and separating the bucket on the fire truck. will be.

그런데, 이와 같은 코크스 오븐에서 건류된 적열 코크스를 로터리 버켓에 적재하여 CDQ 설비로 이송하는 과정에서는, 버켓 자체의 직접적인 마찰이나 고온의 코크스에서 전달되는 고열에 의해, 열화마모가 쉽게 발생되게 된다.However,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red coke coagulated in the coke oven into the rotary bucket and transporting it to the CDQ facility, deterioration wear is easily generated due to the direct friction of the bucket itself or the high temperature transmitted from the high temperature coke.

따라서, 버켓의 잦은 고장으로 인한 불안정한 조업이 수행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로터리 버켓을 대략 5개월 정도의 간격으로 주기적인 보수(수리) 작업이 이루어 진다.Therefore, since unstable operation is performed due to frequent failure of the bucket, the rotary bucket is preferably periodically repaired (repaired) at intervals of about 5 months.

그런데, 이와 같은 CDQ 설비의 버켓 즉, 로터리 버켓의 보수 작업시, 지금까지는 버켓을 지면 상에 배치된 고정형 보수대에 고정하여 실시하는 실정이었다.By the way, in the maintenance work of such a bucket of a CDQ facility, ie, a rotary bucket, until now, the bucket was fixed to a fixed maintenance stand arranged on the ground.

즉,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래의 경우 45t 정도의 대형 중량물인 버켓을 고정형 보수대에 고정하여 버켓의 보수 작업을 하였기 때문에, 버켓 보수를 위한 고정대 안착 작업에만도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버켓 보수 작업도 매우 불안전한 문제가 있었다.That is, although not shown in a separate drawing, in the conventional case, because the bucket repair work by fixing the bucket, which is a large weight of about 45 tons to the fixed maintenance stand, not only a considerable time is required for the mounting work for fixing the bucket. In addition, bucket maintenance work was also very unsafe.

특히, 보수대가 고정형으로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대형 크레인(200t)으로 버켓을 위치 고정된 고정형 보수대까지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보수기 버켓 이동과 공간 활용에도 문제가 있고, 여러 개의 버켓을 한번에 보수하는 것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버켓 보수 작업시 작업자 안전사고도 발생될 우려가 높은 것이었다.In particular, since the maintenance stand does not move to a fixed type, the bucket needs to be moved to a fixed fixed stand using a large crane (200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moving the maintenance machine bucket and utilizing space, and repairing several buckets at once. Not only was it difficult, but there was also a high risk of worker safety accidents during bucket repair work.

또한, 버켓 보수대가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버켓 보수시 필요한 버켓 관련 여러 고중량의 부품들을 버켓 보수대까지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ecause the bucket maintenance stand is not mov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number of bucket-related parts of the bucket required to repair the bucket must be moved to the bucket maintenance stand.

특히, 종래 고정형 버켓 보수대의 경우, 버켓이 보수대 상에 버켓 바닥이 놓여서 고정되는 상태이므로, 버켓에 구비된 게이트가 오픈되지 않고 밀착되기 때문 에, 버켓 보수 작업도 불편한 것이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ixed bucket maintenance stand, because the bucke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bucket on the maintenance stand, because the gate provided in the bucket is in close contact without opening, bucket repair work was also inconvenient.

그리고, 버켓의 보수대 까지의 이동에 따른 크레인 이동에 의한 생산 공정의 지연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delay in the production process due to the movement of the cran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bucket to the stan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버켓 특히, CDQ용 로터리 버켓의 안정적인 탑재를 가능하게 하면서, 특히 버켓의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필요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주변 공간 활용성을 높이는 한편, 버켓 수리시 안전사고도 예방 가능하게 하는 버켓 탑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aspect, while enabling the stable mounting of the bucket, in particular the rotary bucket for CDQ, in particular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work of the bucket, it is possible to move if necessary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cket mounting apparatus that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surrounding space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during bucket repai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구동수단을 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장치바디;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evice body provided to be movable through the drive means;

상기 장치바디 상에 제공되고 탑재되는 버켓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버켓 가이드;A bucket guide configured to guide the bucket provided and mounted on the device body;

상기 장치바디 상에 제공되고 버켓이 안착되는 제1 지지대; 및,A first support provided on the device body and on which the bucket is seated; And,

상기 장치바디상에 제공되고 버켓의 게이트 가이드에 연계된 수직대가 안착되는 제2 지지대;A second support provided on the device body and having a vertical stand attached to the gate guide of the bucket;

를 포함하여 구성된 버켓 탑재장치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bucket mounting apparatus configured to inclu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바디는, 이동휠과 구동휠이 장착되면서 상기 버켓에 구비된 게이트의 오픈 공간을 형성하는 빔 구조물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장치바디 상에 제공된 구동모터에 구비된 구동 스프로켓과 구동휠의 축부에 제 공된 종동 스프로켓사이에 체결되는 구동체인을 포함하는 것이다.Preferably, the device body is composed of a beam structure to form the open space of the gate provided in the bucket while the moving wheel and the drive wheel is mounted, the drive means is provided in the drive motor provided on the device body It includes a drive chain fastened between the drive sprocket and the driven sprocket provided on the shaft portion of the drive wheel.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켓 가이드는, 버켓에 구비된 가이드롤이 삽입 이동되는 롤 안내부를 형성토록 제공된 한쌍의 제1,2 수직 가이드를 포함하는 빔 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이다.More preferably, the bucket guide is composed of a beam structure including a pair of first and second vertical guides provided to form a roll guide portion into which the guide roll provided in the bucket is inserted and moved.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 수직 가이드 상단부에는 가이드 롤 유도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2 수직 가이드는 장치바디에 구비된 베이스상에 수직 장착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들과 베이스에는 보강빔들이 고정되는 것이다.More preferably, a guide roll guide surface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guides, and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guides are vertically mounted on a base provided in the device body, and the vertical guides and the base are reinforced. The beams are fixed.

이때, 상기 제1 지지대는, 장치바디 상에 양측으로 버켓 가이드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버켓 본체가 탑재되는 빔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may be provided as a beam structure which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bucket guide on both sides of the device body on which the bucket body is moun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지지대는, 장치바디 상에 양측으로 상기 버켓 가이드와 제1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되, 버켓에 구비된 게이트 가이드에 수직 고정되는 상기 수직대가 탑재되는 빔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support may be configured as a beam structure disposed between the bucket guide and the first support on both sides of the device body, the vertical support that is vertically fixed to the gate guide provided in the bucket. .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켓 가이드의 양측에 좌우로 연결되는 게이트 링크와 버켓 게이트에 구비된 양측의 게이트 아암은 제1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되, 상기 게이트 아암은 버켓 본체측의 제2 힌지부에 연결되어 버켓 탑재시 버켓 게이트 가 오픈토록 구성되는 것이다.More preferably, the gate link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ucket guide from side to side and the gate arms on both sides of the bucket g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first hinge portion, and the gate arm is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on the bucket body side. When connected, the bucket gate is configured to open when the bucket is mount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버켓 특히, 적열 코크스가 적재되어 CDQ에 투입되는 로터리 버켓의 보수를 위한 안정적인 탑재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탑재시 버켓 게이트의 오픈이 구현되어, 긍극적으로 버켓의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필요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주변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특히 조업시 안전사고도 예방 가능하게 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stable mounting and movement for the repair of the bucket, in particular, the red-eye coke is loaded into the CDQ, while at the same time the opening of the bucket gate is implemented, and ultimately the bucket It is to provide an excellent effect, such as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work, and to be movable when necessary, to increase the peripheral space utilization, in particular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during operation.

즉, 본 발명은 버켓 탑재장치 자체가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대형 중량물인 버켓의 위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버켓 보수를 위한 부품 공급이나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고, 특히 버켓 라이너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전체적인 버켓 보수 및 유지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bucket mounting device itself is movable, it is easy to move the position of the bucket, which is a large weight, excellent parts supply or space utilization for bucket repair, particularly easy replacement of the bucket liner, It is to facilitate the whole bucket maintenance and maintenance work.

결국, 본 발명은 버켓 보수를 용이하게 하여 버켓을 통한 코크스 생산성 증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will facilitate bucket repair to enable increased coke productivity through the bucket.

이하, 첨부됨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버켓 탑재장치(1)와 본 발명 버켓 탑재장치에 탑재되는 버켓(100)을 도시하고 있다.First, FIGS. 1 to 4 illustrate a bucket moun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ucket 100 mounted on the bucket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 버켓 탑재장치(1)는 10단위의 도면부호로 설명하고, 버켓(100)은 100단위의 도면부호로 설명한다.However, hereinafter, the bucket moun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numerals of 10 units, and the bucke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numerals of 100 units.

한편, 본 발명 장치에 적용되는 버켓(100)은, 본 실시예에서는 앞에서 설명 한 바와 같이, CDQ에 적열 코크스의 투입시 사용되는 로터리 버켓(rotary bucket)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bucket 100 applied to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a rotary bucket (rotary bucket) used when the input of the coke coke to the CDQ,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Of course.

특히, 본 발명의 버켓 탑재장치(1)는, 버켓(100)이 탑재된 장치의 이동이 가능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이면서 더 바람직하게는, 버켓 탑재시 게이트(110)의 오픈이 자동적으로 수행되어 버켓(100)의 보수 유지도 탑재장치 상에서 가능하면서도 특히, 버켓 보수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라이너(liner)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bucket moun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of the device mounted on the bucket 100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more preferably, the opening of the gate 110 is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the bucket is mounted. The maintenance of the bucket 100 is also possible on the mounting apparatus, and in particular, it is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the liner (liner), which takes a large part during the bucket maintenance.

한편, 이와 같은 버켓(100)의 보수 유지를 용이하게 하는 본 발명 버켓 탑재장치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 탑재장치에 탑재되는 버켓(100)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bucket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such a bucke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bucket 100 mounted on th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탑재장치(1)에 탑재되는 버켓(100) 즉, CDQ와 관련된 로터리 버켓(100)은, 코크스가 탑재되는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본체(100a)를 포함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bucket 100 mounted on the moun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rotary bucket 100 associated with the CDQ has a cylindrical main body having a space in which coke is mounted ( 100a).

이때, 상기 버켓 본체(100a)의 외곽에는 버켓의 저장물 즉, 코크스 불출시 오픈되는 게이트(110)의 개폐 작동을 위한 게이트 가이드(104)가 구비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outside of the bucket body (100a) is provided with a gate guide 10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of the bucket, that is, the gate 110 is opened when the coke is released.

이와 같은, 버켓(100)의 게이트 가이드(104)는 버켓 본체의 외곽을 포위하는 형태로 본체 상단의 넓어진 턱 부분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은 링 형태일 수 잇다.As such, the gate guide 104 of the bucket 100 may be in the form of a ring that is not separated by the widened jaw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to surround the bucket body.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가이드(104)의 양측 좌우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본 발명 장치의 제2 지지대(90)에 안착되는 수직대(106)들이 연결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ate guide 104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stand 106 which is seated on the second support 90 of the device described below.

한편, 이와 같은 수직빔 형태의 수직대(106)사이로 게이트 가이드(104)에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본 발명 장치의 버켓 가이드(50)에 장치 탑재시 진입되어 이를 따라 이동하는 상측의 가이드 롤(102)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ate guide 104 between the vertical beams of the vertical beam type 106, the upper guide roll to enter and move along when the device is mounted on the bucket guide 50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102 is installed.

그리고, 그 하측으로 상기 수직대 사이에 설치된 고정대(103)에는 상기 상측 가이드롤과 동일선상으로 하측 가이드롤(102)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guide roll 102 is provided on the fixing table 103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stages on the lower side thereof in the same line as the upper guide roll.

따라서, 도 5와 같이 게이트 가이드의 양측 수직대 사이로 가이드 롤(102)들이 상,하측에 배치되고, 따라서, 버켓은 본 발명 탑재장치 탑재시 가이드 롤(102)들이 일정하게 버켓 가이드(50)에서 가이드 되면서 탑재되어 버켓의 장치 탑재 위치가 일정하고 상기 가이드 롤이 버켓 가이드(50)에서 이탈되지 않아 장치 이동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the guide rolls 102 are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rtical guides on both sides of the gate guide, so that the buckets are constantly fixed at the bucket guide 50 when the guide rolls 102 are mounted on th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is mounted while being mounte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ucket is constant, and the guide roll is not separated from the bucket guide 50 so that the movement of the device is stably maintained.

다음, 도 4,5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버켓의 게이트 가이드(104)의 양측으로 좌우에는 서로 마주하는 게이트 링크(108)들이 연결되어 있다.Next, as illustrated in FIGS. 4, 5 and 7, although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drawing, gate links 108 facing each other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gate guide 104 of the bucket.

즉, 상기 게이트 링크(108)는 하나의 게이드 가이드에 2쌍식 총 4개가 구비되게 된다.That is, the gate link 108 is provided with a total of four pairs of two pairs in one guide.

그리고, 상기 게이트 링크(108)의 하단부에는 제1 힌지부(112)를 매개로 게이트 아암(114)이 수평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 아암(114)은 버켓(100)의 본체(100a) 즉, 버켓 본체의 바닥측에 에 설치되는 제2 힌지부(116)와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 gate arm 114 is horizontally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gate link 108 via a first hinge 112, and the gate arm 114 is a main body 100a of the bucket 100, that is, a bucket. It is connected with the 2nd hinge part 116 provided in the bottom side of a main body.

그리고, 상기 게이트 가이드(104)의 양측에는 수직하게 버켓의 운송시 크레 인 견인와이어가 연결되는 견인빔(105)이 수직 설치되고, 상기 견인빔(105)의 상단에는 크레인의 견인와이어(미도시)가 연결치구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구(미부호)가 구비될 수 있다.And, both sides of the gate guide 104 is vertically installed with a towing beam 105 that is connected to the crane towing wire vertically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bucket, the towing wire of the crane on the top of the towing beam 105 (not shown) ) May be provided with a wire connector (unsigned) that is connected using a connecting jig.

따라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견인와이어가 견인빔(105)의 상단에 각각 연결되어 버켓이 견인(들어 올려지면)되면, 상기 견인빔이 연결된 게이트 가이드 (104)는 버켓 본체의 상단 걸림턱 부분까지 상승된다.Therefore, when the towing wir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towing beam 105 by using a crane or the like, and the bucket is towed (lifted up), the gate guide 104 to which the towing beam is connected is extended to the upper latching portion of the bucket body. Is raised.

이때, 도 4,5 및 도 7과 같이, 게이트 가이드에 연결된 게이트 링크(108)는 게이트 가이드의 상승폭 만큼 상승하고, 따라서 제1 힌지부(112)와 제2 힌지부 (116)에 의하여 상기 게이트 링크(108)의 하단에 수평 연결되는 게이트 아암(114)은 버켓 중앙을 향하여 회전되고, 이때 게이트(110)는 버켓 본체 중앙의 불출구(미부호)를 밀폐시키게 된다.4, 5 and 7, the gate link 108 connected to the gate guide rises by the rising width of the gate guide, and thus the gate is opened by the first hinge portion 112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116. The gate arm 114, which is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link 108, rotates toward the center of the bucket, where the gate 110 closes the outlet (unsigned) at the center of the bucket body.

즉, 버켓 본체 하부에 각각의 게이트 아암(114)에 설치된 게이트(110)들은 아암을 축으로 회동하면서 서로 좁아지거나 멀어지는 작동으로 버켓 불출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구현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gates 110 installed on the respective gate arms 114 under the bucket body are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he bucket outlets by an operation in which the arms are narrowed or moved away from each other while pivoting the arms.

이때, 상기 게이트 링크(108)의 하단부에는 CDQ 설비에 버켓(100)이 안착되는 경우에 설비에 놀려지는 제2 가이드 롤(108a)이 설치되고, 따라서 버켓이 CDQ 설비에 탑재되면 게이트 링크(108)는 제2 가이드롤의 설비 접촉에 따라 상승되고, 따라서 버켓 하부의 마주하는 게이트(110)는 서로 밀착되면서 버켓 불출구를 폐쇄하게 된다.In this case, a second guide roll 108a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gate link 108 when the bucket 100 is seated on the CDQ facility. Therefore, when the bucket is mounted on the CDQ facility, the gate link 108 is installed. ) Is raised in accordance with the equipment contact of the second guide roll, so that the facing gate 110 of the lower bucket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close the bucket outlet.

한편, 상기 게이트 링크(108)의 하단부 측부에는 도 4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가이드의 양측에 좌우로 수직 장착된 앞에서 설명한 수직대(106)의 측면에 지지되어 게이트 링크의 상하 승강시 원운동을 지지하는 제3 가이드롤(108b)들이 구비되어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4 and 7, the lower end side of the gate link 108 is supported by the side of the vertical stand 106 described above, which is vertically mounted to both sides of the gate guide, so that the gate link moves up and down. Third guide rolls 108b supporting the circular motion are provided.

이때,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관련된 CDQ용 로터리 버켓(100)이 탑재되고, 필요시 이동 가능하여 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이동에 따른 공간 활용이나 부품 투입등이 용이한 본 발명의 버켓 탑재장치(1)는, 크게 구동수단(10)을 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장치바디(30)와, 상기 장치바디 상에 제공되고 탑재되는 버켓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버켓 가이드(50)와, 상기 장치바디 상에 제공되고 버켓이 안착되는 제1 지지대(70) 및, 상기 장치바디상에 제공되고 버켓의 게이트 가이드에 연계된 수직대가 안착되는 제2 지지대(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ry bucket 100 for CD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is mounted, the bucket moun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moved if necessary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to facilitate the use of space or inserting parts according to the movement (1). ) Is largely provided on the device body 30, the bucket guide 50 configured to guide the bucket provided and mounted on the device body,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through the drive means 10, A first support 70 on which the bucket is seated, and a second support 90 provided on the device body and connected to a vertical guide connected to the gate guide of the bucket may be configured.

따라서, 본 발명의 버켓 탑재장치(1)는, 장치바디(30)가 이동하여 버켓 운송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장치바디(30)상에 구비된 제1,2 지지대(70)(90)상에 버켓 본체(100a)와 게이트 가이드(104)에 연결된 수직대(106)가 안착되어 탑재되고, 상기 버켓 탑재용 가이드(50)는, 버켓이 항상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장치에 탑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bucket moun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body 30 is moved to enable bucket transport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70 and 90 provided on the device body 30 are provided. An upright 106 connected to the bucket main body 100a and the gate guide 104 is seated and mounted thereon, and the bucket mounting guide 50 enables the bucket to be constantly and stably mounted to the apparatus. will be.

특히,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본 발명 버켓 탑재장치(1)는 버켓의 장치 탑재시 게이트(110)가 별다른 조작 없이 오픈되어 게이트의 잔류 적재물 방출이나, 버켓의 라이너 교체와 같은 보수,유지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In particular,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bucket moun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without any manipulation when the bucket mounting apparatus 1, th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such as discharge of the remaining load of the gate, or replacement of the liner of the bucket To facilitate the work.

이때,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장치바디(3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휠(32) 및 구동휠(34)이 장착된 빔 구조물로 제공되고, 상기 구동 수단(10)은 상기 장치바디 상에 제공된 구동모터(12)에 구비된 구동 스프로켓(14)과 상기 구동휠의 축부(36)에 제공된 종동 스프로켓(38)사이에 체결되는 구동체인(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vice body 30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s provided as a beam structure equipped with a moving wheel 32 and a drive wheel 34, the drive means ( 10) includes a drive chain 40 fastened between the drive sprocket 14 provided on the drive motor 12 provided on the device body and the driven sprocket 38 provided on the shaft portion 36 of the drive wheel. Can be configured.

따라서, 도 4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2)가 구동되는 방향에 따라 모터측 구동 스프로켓(14)과 구동휠(34)의 축부(36)의 종동 스프로켓(38)사이에 체결된 구동체인(40)이 회전 구동되고, 따라서 구동휠(34)은 도 2와 같이, 지면(G)상에 구비된 레일(R)에서 이동하고, 이때 반대측의 이동휠(32)은 공회전 작동되고, 결국 구동모터의 가동시 그 모터 회전 방향에 따라 구동휠의 회전 구동으로 장치바디(30)는,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4 and 6, between the motor-side drive sprocket 14 and the driven sprocket 38 of the shaft portion 36 of the drive wheel 34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e motor 12 is driven. The drive chain 40 fastened to the rotary drive is driven, so that the driving wheel 34 moves on the rail R provided on the ground G as shown in FIG. 2, and the moving wheel 32 on the opposite side is When the driving motor is idling, the device body 30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tor rotation when the driving motor is operated.

이때, 상기 장치바디(3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빔(H 빔)(30a)과 세로 빔(H 빔)(30b)들이 볼팅 체결이나 용접 등을 통하여 사각체로 조립되는 빔 구조물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vice body 30,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horizontal beam (H beam) 30a and the vertical beam (H beam) 30b to the rectangular body through the bolting fastening or welding, etc. It may be a beam structure to be assembled.

물론, 상기 구동수단(10)의 여러 부품들은 브라켓트나 지지판 등을 매개로 빔 구조물인 장치바디상에 장착될 수 있고, 구동휠과 이동휠의 축부는 장치바디의 저부에 베어링 블록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various parts of the drive means 10 can be mounted on the device body of the beam structure via a bracket or a support plate, the shaft portion of the drive wheel and the moving wheel is rotatable through the bearing block on the bottom of the device body Can be installed.

다음,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버켓 가이드(50)는, 앞에서 설명한 버켓(100)측의 가이드 롤(102)이 삽입 이동되는 롤 안내부(52)를 형성토록 제공된 한쌍의 제1,2 수직 가이드(50a)(5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bucket guide 50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 guide portion 52 in which the guide roll 102 of the bucket 100 side described above is inserted and moved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vertical guides 50a and 50b provided to form.

이때, 상기 제1,2 수직 가이드(50a)(50b)는 장치바디(30)상에 장착된 베이 스(56)상에 간격을 두고 가이드롤(102)이 진입되어 이동되는 롤 안내부(52)를 사이에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빔 구조물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guides 50a and 50b are roll guides 52 in which the guide rolls 102 enter and move at intervals on the base 56 mounted on the device body 30. May be a beam structure provided to form a gap therebetween.

특히,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빔 구조물인 상기 제1,2 수직 가이드(50a)(50b)의 상단부에는 버켓측 가이드 롤(102)이 롤 안내부(52)로의 진입을 유도하여 이를 안정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경사진 유도면(54)이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1 to 3, the bucket side guide roll 102 enters the roll guide 52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guides 50a and 50b, which are beam structures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ducing the inclined guide surface 54 to make it stable may be formed.

따라서, 버켓(100)의 장치 탑재시 버켓(100)의 게이트 가이드(104)의 양측으로 상,하측에 설치된 가이드 롤(102)은 상기 제1,2 수직 가이드(50a)(50b)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진 유도면(54)을 따라 안정적으로 롤 안내부(52)로 진입되어 이동하고, 결국 버켓의 가이드롤과 본 발명 장치의 버켓 가이드에 의하여 버켓은 항상 일정하게 본 발명 장치에 탑재되고, 가이드롤이 제1,2 수직 가이드(50a)(50b)사이에서 이탈될 수 없기 때문에, 장치 이동시에도 버켓은 장치에 안정적으로 탑재가 유지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device of the bucket 100 is mounted, the guide rolls 102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gate guide 104 of the bucket 100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ucket 100 are placed on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guides 50a and 50b. The roll guide 52 stably enters and moves along the inclined guide surface 54 formed, and as a result, the bucket is always constantly mounted on the apparatus by the guide roll of the bucket and the bucket guide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uide roll cannot be sepa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guides 50a and 50b, the bucket is stably mounted on the device even when the device is moved.

한편, 상기 버켓 가이드(50)의 제1,2 수직 가이드(50a)(50b)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일정 길이를 갖는 신장된 빔 구조물일 수 있고,따라서 제1,2 수직 가이드의 상부에는 수직 가이드를 보강하는 H 빔 등의 보강빔(58a)이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guides 50a and 50b of the bucket guide 50 may be elongated beam structures having a vertical length, as shown in FIGS. 1 to 3, and thus, the first A reinforcing beam 58a such as an H beam reinforcing the vertical guide may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guide.

다음, 빔 구조물인 장치바디(30)의 양측에 장착된 상기 베이스(56)의 후방에는 도 1과 같이, 경사지게 베이스와 장치바디의 빔 구조물사이에 연결 고정되는 다른 하측의 보강빔(58b)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t the rear of the base 56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device body 30, which is a beam structure, as shown in FIG. 1, another lower reinforcement beam 58b, which is inclined and fixedly connected between the base and the beam structure of the device body, is provided. It may be provided.

동시에, 도 1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56)의 상단에는 버켓측 가이드롤(102)이 과도하게 하강하는 경우 접촉하여 그 하강을 제한하는 가로빔 형태의 스톱퍼(60)가 설치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ures 1 and 4, the upper end of the base 56, the bucket-side guide roll 102 is in contact with the excessively descending stopper 60 in the form of a horizontal beam to limit the falling Can be installed.

따라서, 상기 스톱퍼(60)는, 버켓 본체가 제1 지지대(70)상에 안착되는 것이 불량인 경우에도 가이드 롤이 과도하게 하강하는 것을 차단할 것이다.Thus, the stopper 60 will prevent the guide roll from excessively falling even if the bucket body is badly seated on the first support 70.

이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장치바디(30)의 종앙에는 개구된 부분이 형성되는데, 이는 도 7과 같이 버켓을 본 발명 장치에 탑재하면서 하부 양측의 버켓 게이트(110)가 오픈되면, 버켓 보수시 작업자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작업 공간(31)일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2,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evice body 30, which is shown in Figure 7 while the bucket is mounted o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cket gate ( When the 110 is opened, the bucket may be a work space 31 for the worker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work.

한편,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 버켓(100)은 소정의 높이를 갖고 탑재되기 때문에, 상기 버켓 게이트의 오픈이 가능함과 동시에, 버켓 탑재면과 장치바디사이의 공간은 작업자가 버켓의 보수 유지, 특히 버켓의 본체 바닥 부분이나 오픈된 게이트 또는, 오픈된 게이트 내측으로 버켓 본체의 보수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since the bucket 100 is mounted to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predetermined height, the bucket gate can be opened, and the space between the bucket mounting surface and the device body is defined by the operator. It will facilitate maintenance, in particular maintenance of the bucket body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body of the bucket or to the open gate or inside the open gate.

다음,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제1 지지대(70)는, 장치바디 상에 양측으로 버켓 안착 가이드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버켓 본체(100a)가 안착 지지되는 빔 구조물로 제공된다.Next,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first support 70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structur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ucket seating guide on both sides of the device body, the bucket body 100a is seated and supported Is provided.

즉, 상기 제1 지지대(70)는, 장치바디(30)의 양측으로 수직 가이드의 내측에 수직하게 제공되는 빔 구조물인 것이고, 이때 상기 제1 지지대(70)에는 버켓 본체(100a) 즉, 버켓 본체의 바닥부분이 안착 지지된다.That is, the first support 70 is a beam structure that is provided vertically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guide to both sides of the device body 30, wherein the first support 70 is a bucket body (100a), that is, a bucket The bottom part of the main body is seated and supported.

이때, 상기 제1 지지대(70)에는 버켓 본체(100a)(바닥부분)이 안착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제1 지지대의 높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켓의 장치 탑재시 필요시 운송하지만 동시에 장치상에서 버켓의 보수 유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정도의 높이는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since the bucket main body 100a (bottom portion)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first support 70,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is transported when necessary when mounting the bucket as described above, but at the same time the It is desirable to secure a height sufficient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work.

예를 들어, 상기 제1 지지대(70)의 높이가 과도하게 높으면 버켓의 탑재 높이가 높아져서 장치 운송시 버켓이 유동되거나 심한 경우 전복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제1 지지대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작업자가 버켓 바닥 부분의 보수 유지를 어렵게 하고, 특히 버켓 게이트의 오픈시 게이트(110)가 장치바디에 걸려서 게이트의 완전한 오픈을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를 초래한다.For example, if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70 is excessively high, the mounting height of the bucket is increased, so that the bucket may flow or be overturned when the device is transporte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bucket bottom part, and in particular, when the bucket gate is opened, the gate 110 is caught by the device body,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completely open the gate.

다음,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에서, 상기 제 2 지지대(90)는, 장치바디 상에 양측으로, 앞에서 설명한 버켓 가이드(50)와 제1 지지대(70) 사이에 배치되되, 버켓(100)에 구비된 게이트 가이드(104)의 양측으로 좌우에 각각 수직 고정된 앞에서 설명한 수직대(106)가 안착되는 빔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4 and 5, in the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90 is on both sides of the body of the bucket guide 50 and the first support (described above). It is disposed between the 70, it may be provided as a beam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stand 106 described above is vertical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gate guide 104 provided in the bucket 10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수직대(106)는 빔 구조물로서, 버켓 게이트 가이드(104)의 양측에 좌우로 각각 수직 장착되어 총 4개가 배치되고, 이때 상기 제2 지지대(90)도 빔 구조물인 장치바디에 볼트 체결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높이를 갖는 빔 구조물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vertical stand 106 is a beam structure, a total of four vertical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ucket gate guide 104 is arranged, and the second support 90 is also a bolt structure bolts to the device body It may be a beam structure having a height fixed using the fasten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 지지대도 상기 버켓 가이드의 제1,2 수직 가이드와 같이 별도의 보강빔 등으로 구조를 견고하게 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may also be firmly structured with a separate reinforcing beam or the like like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guides of the bucket guide.

예컨대, 도 1과 같이, 버켓 가이드(50)의 베이스(56)와 제1 지지대(70) 및 제2 지지대(90)는 별도의 고정빔(80)을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base 56, the first support 70, and the second support 90 of the bucket guide 50 may be firmly fixed through a separate fixing beam 80.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버켓 가이드(50)와 제1,2 지지대(70)(90)는 실제로는 장치바디(30)상에 고정된 지지판(33)상에 볼트 체결등으로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bucket guide 50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70 and 90 may be actually mounted by bolts or the like on the support plate 33 fixed on the device body 30. have.

이때, 도 1,2 및 도 4와 같이, 제1 지지대(70) 보다는 제2 지지대(90)의 높이가 더 낮은데, 이와 같은 제2 지지대(90)의 높이는 게이트의 오픈과 관련이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1,2 and 4,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90 is lower than the first support 70,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90 is related to the opening of the gate.

즉,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대(70)에 버켓 본체(100a)의 바닥부분이 안착되면, 상기 수직빔이 제2 지지대에 안착되는 높이에 따라 버켓본체의 제1 지지대 안착후 게이트 가이드(104)에 연계된 게이트 링크(108)의 하강이 조정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4 and 5, when the bottom portion of the bucket body (100a) is seated on the first support 7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vertical beam is seated on the second support base of the bucket body After seating the support, the lowering of the gate link 108 associated with the gate guide 104 is adjusted.

따라서, 버켓측의 가이드롤(52)이 버켓 가이드(50)의 제1,2 수직 가이드(50a)(50b)사이의 롤 안내부(52)에 진입되어 하강하면서, 제1 지지대(70)상에 버켓 본체가 탑재되면, 상기 버켓의 게이트 가이드에 연결된 2쌍으로 총 4개의 게이트 링크(108)가 하강하도록, 상기 수직대(106)가 안착되는 제2 지지대(90)의 높이를 조정하면, 버켓 본체의 제1 지지대 탑재후, 게이트 링크(108)는 경사지게 하강하고, 따라서 제1,2 힌지부와 게이트 아암의 회동으로 버켓 하측의 게이트(110)가 오픈되게 된다.Accordingly, the guide roll 52 on the bucket side enters and descends the roll guide portion 52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guides 50a and 50b of the bucket guide 50, and thus, on the first support 70 When the bucket main body is mounted,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90 on which the vertical stand 106 is seated is adjusted so that the total four gate links 108 descend in two pairs connected to the gate guide of the bucket. After mounting the first support of the bucket body, the gate link 108 is lowered inclined so that the gate 110 under the bucket is open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portions and the gate arm.

결국, 본 발명의 장치는 버켓의 장치 탑재시 버켓 가이드(50)와 제1 지지대(70)상에 버켓은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탑재되는 동시에, 게이트는 거의 별도의 조작없이 오픈되는 것이다.As a result,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ucket is mounted on the bucket guide 50 and the first support 70, the bucket is constantly and stably mounted, and the gate is opened almost without any separate operation.

이는 기존에, 버켓은 단지 플레이트 형태의 대차상에 그 게이트가 압박되는 형태로 탑재하는 것에 비하여, 게이트 오픈에 따라 버켓의 보수 유지를 매우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This conventionally makes the bucket very easy to maintain and maintain the bucket as the gate is opened, compared to mounting the gate on a plate-shaped bogie.

한편, 버켓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버켓 탑재장치(1)에서 보수 유지를 완료하고, 필요에 따라 운송되다가,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은 CDQ 설비에 투입되기 위하여, 크레인의 견인 와이어가 견인빔(105)에 연결되어 버켓이 견인되면, 견인빔과 연계된 게이트 가이드(104)와 일체로 게이트 링크가 상승되면서 제1,2 힌지부와 게이트 아암의 회동으로 도 7과 같이 게이트(110)는 서로 회동하여 밀착되면서 버켓 불출구는 폐쇄되고, 그 상태로 CDQ 설비에 투입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bucket moun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tenance of the bucket is completed, and transported as needed, and then the towing wire of the crane is pulled to be introduced into the CDQ facility not shown in a separate drawing. When the bucket is connected to the beam 105 and the bucket is towed, the gate link is raised with the gate guide 104 associated with the towing beam, and the gate 110 is rotated as shown in FIG. 7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parts and the gate arm. As the buckets rotate close to each other, the bucket outlet is closed, and the state is put into the CDQ facility.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 fa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켓 탑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bucket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정면도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평면도 3 is a plan view of FIG.

도 4는 본 발명 장치에 버켓이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Figure 4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cket is mounted on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도 5는 도 4의 일부 정면도5 is a partial front view of FIG. 4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구동 부분을 도시한 상세도Fig. 6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driving par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장치의 버켓 탑재상태를 나타낸 사진Figure 7 is a photograph showing a bucket mount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버켓 탑재장치 10.... 구동수단1 .... bucket mounting device 10 .... driving means

10.... 구동수단 12.... 구동모터10 .... Driving means 12 .... Driving motor

14,38.... 스프로켓 30.... 장치바디14,38 .... Sprocket 30 .... Gear body

32.... 이동휠 34.... 구동휠32 .... Travel wheel 34 .... Drive wheel

40.... 구동체인 50.... 버켓 안착 가이드40 .... Drive chain 50 .... Bucket seating guide

52.... 롤 안내부 54.... 유도면52 .... roll guide 54 .... guide surface

58a,58b.... 보강빔 60.... 스톱퍼58a, 58b .... reinforced beam 60 .... stopper

70.... 제1 지지대 90.... 제2 지지대70 .... First Support 90 .... Second Support

100.... 버켓 102.... 가이드 롤100 .... bucket 102 .... guide roll

104.... 게이트 가이드 106.... 수직대104 .... gate guide 106 .... vertical stand

108.... 게이트 링크 110.... 버켓 게이트108 .... Gate Link 110 .... Bucket Gate

112,116.... 힌지부 114.... 게이트 아암112,116 .... hinge 114 .... gate arm

Claims (7)

구동수단(10)을 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장치바디(30);An apparatus body 30 provided to be movable through the driving means 10; 상기 장치바디 상에 제공되고 탑재되는 버켓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버켓 가이드(50);A bucket guide 50 configured to guide the bucket provided and mounted on the device body; 상기 장치바디 상에 제공되고 버켓이 안착되는 제1 지지대(70); 및,A first support 70 provided on the device body and on which the bucket is seated; And, 상기 장치바디상에 제공되고 버켓의 게이트 가이드에 연계된 수직대가 안착되는 제2 지지대(90);A second support 90 provided on the device body and having a vertical stand attached to the gate guide of the bucket; 를 포함하여 구성된 버켓 탑재장치.Bucket mounting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장치바디(30)는, 이동휠(32)과 구동휠(34)이 장착되는 빔 구조물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수단(10)은 장치바디 상에 제공된 구동모터(12)에 구비된 구동 스프로켓(14)과 구동휠의 축부(36)에 제공된 종동 스프로켓(38)사이에 체결되는 구동체인(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켓 탑재장치.The apparatus body 30 is composed of a beam structure on which the moving wheel 32 and the driving wheel 34 are mounted, and the driving means 10 is a drive sprocket provided in the driving motor 12 provided on the apparatus body. And a drive chain (40) fastened between the 14 and the driven sprocket (38) provided on the shaft portion (36) of the drive whee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켓 가이드(50)는, 버켓에 구비된 가이드롤(102)이 삽입 이동되는 롤 안내부(52)를 형성토록 제공된 한쌍의 제1,2 수직 가이드(50a)(50b)를 포함하는 빔 구조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켓 탑재장치.The bucket guide 50 includes a pair of first and second vertical guides 50a and 50b provided to form a roll guide 52 into which the guide roll 102 provided in the bucket is inserted and moved. Bucket mou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2 수직 가이드 상단부에는 가이드 롤 유도면(54)이 구비되고, 상기 제1,2 수직 가이드는 장치바디에 구비된 베이스(56)상에 수직 장착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와 베이스에는 보강빔(58a)(58b)들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켓 탑재장치.Guide roll guide surfaces 54 are provided at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guides, and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guides are vertically mounted on the base 56 provided in the device body, and the vertical guides and the base are reinforced. Bucket mou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m (58a) (58b) is fix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제1 지지대(70)는, 장치바디 상에 양측으로 버켓 가이드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버켓 본체(100a)가 탑재되는 빔 구조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켓 탑재장치.The first support (70), the bucket mou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bucket guide on the body of the bucket structure is mounted to the bucket body (100a) is mount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제 2 지지대(90)는, 장치바디 상에 양측으로 상기 버켓 가이드와 제1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되, 버켓에 구비된 게이트 가이드(104)에 수직 고정되는 수직대(106)가 탑재되는 빔 구조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켓 탑재장치.The second support 90 is a beam structure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bucket guide and the first support on both sides of the device body, the vertical support 106 is vertically fixed to the gate guide 104 provided in the bucket Bucket mou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버켓 가이드(104)의 양측으로 좌우에 연결되는 게이트 링크(108)와 버켓 게이트(110)에 구비된 양측의 게이트 아암(114)은 제1 힌지부(112)를 매개로 연 결되되, 상기 게이트 아암(114)은 버켓 본체측의 제2 힌지부(116)에 연결되어 버켓 탑재시 버켓 게이트(110)가 오픈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켓 탑재장치.The gate link 108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cket guide 104 and the gate arms 114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bucket gate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first hinge 112. Gate arm 114 is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116 of the bucket body side bucket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cket gate 110 is configured to open when the bucket is mounted.
KR1020090092629A 2009-09-29 2009-09-29 Bucket Mounting Device KR1010533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29A KR101053319B1 (en) 2009-09-29 2009-09-29 Bucket Moun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29A KR101053319B1 (en) 2009-09-29 2009-09-29 Bucket Moun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073A true KR20110035073A (en) 2011-04-06
KR101053319B1 KR101053319B1 (en) 2011-08-01

Family

ID=4404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629A KR101053319B1 (en) 2009-09-29 2009-09-29 Bucket Moun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31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923B1 (en) * 2011-11-08 2013-10-28 주식회사 포스코 Bucket gate device
KR20160070324A (en) * 2014-12-10 2016-06-20 주식회사 포스코 Basket holding apparatus for carr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816B1 (en) 2014-12-22 2016-06-02 주식회사 포스코 Travers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1084A (en) 1984-08-17 1986-03-13 Nippon Steel Corp Apparatus for receiving red-hot coke
JP3571872B2 (en) 1997-03-27 2004-09-2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Red hot coke receiving device with function to prevent rotation of coke bucket
JP2006257252A (en) * 2005-03-17 2006-09-28 Nippon Steel Corp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d of pivoted coke bucket
EP2031041A4 (en) * 2006-03-10 2014-05-07 Nippon Steel Eng Co Ltd Red-hot coke receiv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923B1 (en) * 2011-11-08 2013-10-28 주식회사 포스코 Bucket gate device
KR20160070324A (en) * 2014-12-10 2016-06-20 주식회사 포스코 Basket holding apparatus for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3319B1 (en) 201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2558B (en) Construction method for replacing intermediate furnace body of blast furnace
KR20010005483A (en) Method of repairing a coke oven buckstay and a moving device for use in such method
KR101053319B1 (en) Bucket Mounting Device
CN102888508A (en) Structure and method for replacing water beam and stand column of heating furnace
KR101109616B1 (en) System of metallic mold exchanging machine
KR20160109081A (en) Carriage for Bridge
KR101845233B1 (en) Lifting Apparatus and Supporting Unit Chang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290361B1 (en) product transfer device of cooling bed
CN213326279U (en) Barreled material lifting machine
RU2522056C2 (en) Charging basket positioning device
US2889597A (en) Foundry ladle transfer car
KR101794205B1 (en) Carriage for Bridge
WO2006060862A1 (en) Roller support frame
KR20160109080A (en) Carriage for Bridge
RU2739309C1 (en) Device for replacement of armoured full-thickness plates
US3111227A (en) Stacker crane
JP6706516B2 (en) Furnace lid mounting method and temporary trolley
US520685A (en) Apparatus for breaking pig-iron
RU2349417C2 (en) Method and facility for rotating of metallurgical ladle
CN220011359U (en) Self-adaptive blanking platform
KR100503204B1 (en) Coke emergency discharge apparatus of dry quenching bucket
CN220485144U (en) Gate-type lifting device for EPB/TBM mode rapid conversion
US2816333A (en) Apparatus for lowering cast ingots from a mold
JP2014133604A (en) Devanning equipment
CN212401210U (en) Transport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