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338A - Laser machining system having high transmission power stabilizer and optical attenuator - Google Patents

Laser machining system having high transmission power stabilizer and optical attenu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338A
KR20110034338A KR1020090091837A KR20090091837A KR20110034338A KR 20110034338 A KR20110034338 A KR 20110034338A KR 1020090091837 A KR1020090091837 A KR 1020090091837A KR 20090091837 A KR20090091837 A KR 20090091837A KR 20110034338 A KR20110034338 A KR 20110034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polarization
output
wave plat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13588B1 (en
Inventor
한재원
류훈철
이형우
남기중
배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Priority to KR102009009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588B1/en
Publication of KR20110034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3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5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2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direct control of the laser beam
    • B23K26/0622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direct control of the laser beam by shaping pul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2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direct control of the laser beam
    • B23K26/0626Energy control of the laser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3K26/702Auxiliary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PURPOSE: A laser machining system having high transmission power stabilizer and optical attenuator is provided to perform precision-machining by using an output stabilizing device. CONSTITUTION: A laser machining system having high transmission power stabilizer and optical attenuator comprises a laser unit(20), a half-wave plate(21), and a molten silica plate(22) and a PID controller. The laser unit emits a pulse laser beam. The half-wave panel converts the inflow angle of layer beam and varies a polarization value about a brewster window. The molten silica plate comprises the brewster window which is tilted in Brewster`s angle. The PID controller collect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window by an optical detector and a peak/sample hold amplifier.

Description

고 전송 출력 안정화 장치 및 광학 감쇠기를 구비한 레이저 가공 시스템{Laser machining system having high transmission power stabilizer and optical attenuator}Laser machining system having high transmission power stabilizer and optical attenuator

본 발명은 레이저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파장판(half-wave plate)과 브루스터 각(Brewster’s angle)을 통해 편광 이론에 기초한 외부 제어방법에 의해 출력을 안정화하는 출력 안정화 장치(power stabilizer)를 구비한 레이저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er process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n output stabilization device for stabilizing output by an external control method based on polarization theory through a half-wave plate and Brewster's angle. A laser processing system having a stabilizer is provided.

레이저 가공은 레이저 광과 물질과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레이저의 높은 에너지 밀도와 고도의 지향성을 이용하는 열 가공 방법이며, 레이저 발진기 기술, 가공기 제작 기술, 빔 전송계 기술, 제어 기술 등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기술이다. 레이저 가공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열 가공이면서 집광 면적이 매우 작기 때문에 수십 ㎛의 국부 가공이 가능하여, 소재의 응력이나 뒤틀림 등이 다른 가공 기법에 비해 거의 없다.Laser processing uses heat generated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laser light and materials, and is a thermal processing method that uses the high energy density and high directivity of the laser.The laser oscillator technology, the machine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beam transmission system technology, and the control technology This is a technology that is sequentially connected. Laser processing has a number of advantages, in particular, because of the thermal processing and the very small condensing area, local processing of several tens of micrometers is possible, and the stress and distortion of the material is almost lower than other processing techniques.

이러한 레이저 가공은 100μm 이상의 크기로 가공할 수 있는 레이저 매크로 가공기술(laser macro-machining)과 0.1~50μm까지 가공할 수 있는 레이저 미세가 공기술(laser micro-machining)로 구분할 수 있다. Such laser processing can be classified into laser macro-machining that can process 100μm or more and laser micro-machining that can process 0.1 ~ 50μm.

이러한 레이저 미세가공의 핵심기술은 가공물의 종류와 두께에 적합한 파장과 출력을 가진 레이저 광원 기술, 레이저빔을 렌즈로 집속시킬 수 있는 절단헤드 또는 용접헤드의 설계 기술, 시료/빔 이동시스템 기술, 이동재현도를 ±1μm 이내로 작동할 수 있는 CNC선반 기술, 레이저 가공용 컴퓨터 프로그램 등이다. 특히 CO2레이저, Nd:YAG 레이저, UV 레이저에 이르는 다양한 종류의 레이저 광원의 개발과 고출력, 극초단펄스, 고반복율, 고효율레이저 기술의 발전을 통해 레이저 미세가공 기술이 실용화되었다.The core technologies of laser micromachining include laser light source technology with wavelength and output suitable for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workpiece, design of cutting head or welding head that can focus the laser beam to the lens, sample / beam moving system technology, and movement. CNC lathe technology that can operate within ± 1μm reproducibility, computer program for laser processing. In particular, laser micromachining technology has been put to practical use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laser light sources such as CO 2 lasers, Nd: YAG lasers, and UV lasers, and the development of high power, ultra-short pulse, high repetition rate, and high efficiency laser technology.

위와 같은 레이저 미세가공의 핵심기술 중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레이저 광의 불규칙한 출력과, 발진 파장의 시간적 변화, 레이저 빛이 매질에 입사될 때 생기는 산란의 불규칙한 현상 등이다. 레이저 출력의 불안정성은 미세한 조정이 어려워 레이저의 응용의 한계를 야기시키고, 이런 불안정성을 조절하였다 하더라도 이 빛이 매질에 입사되었을 때 산란의 불규칙한 현상은 그 응용에 제약을 만든다. 이러한 예는 Q-switching된 Nd:YAG 레이저로 미세 가공하는 경우에서 볼 수 있다. 미세가공의 정밀도와 균일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광의 특성을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시공간을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일반적으로 5% 내외의 출력 변동률을 가지고 있는 펄스레이저를 이용한 가공의 경우, 초정밀 가공을 위해서는 레이저 출력의 계측과 제어가 필수적이다.Among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laser micromachining as mentioned above, the problem is the irregular output of the laser light, the temporal change of the oscillation wavelength, the irregular phenomenon of scattering when the laser light is incident on the medium. The instability of the laser output is difficult to make fine adjustments, which limits the application of the laser, and even if this instability is controlled, the irregular phenomenon of scattering when the light is incident on the medium limits its application. This example can be seen in the case of micromachining with a Q-switched Nd: YAG laser. In order to secure precision and uniformity of micromachining, a technique for controlling space-time by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laser light in real time is requir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rocessing using a pulse laser having an output variation rate of about 5%, measurement and control of laser power is essential for ultra-precision machining.

레이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는 레이저 발진기 내부에서 제어하는 방법과 외부에서 제어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내부 제어의 경우, 에탈론이나 음향광학부품으로 공동 덤퍼(cavity dumper)를 생성하여 단일모드로 만드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내부 제어방법은 일치하는 주파수 외에는 손실로 작용하고 발진이 억제되기 때문에 출력 손실이 심하고, 이미 사용하고 있는 레이저 가공기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외부 제어의 경우, 전기광학 변조기(Electro-optic modulator) 혹은 음향광학 변조기(Acousto-optic modulator)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적용 가능한 광원의 파장과 출력의 조건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Methods of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include a method of controlling inside the laser oscillat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ly. First, in the case of internal control, a cavity dumper is generated by using an etalon or an acoustic optical component to make a single mode. However, this internal control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output loss is severe because the oscillation is suppressed and the oscillation is suppressed except for the matching frequency,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laser processing machine already used. In the case of external control, there is a method using an electro-optic modulator or an acoustic-optic modulator, which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wavelength and output conditions of the applicable light source are limited.

종래의 레이저 가공에는 일반적으로 유전체 필터를 구비한 광학 감쇠기(optical attenuator)가 사용된다. 관련 부품은 어떤 빔 변위를 보상하기 위하여 빔 감쇠뿐 아니라 뉴트럴 광학유닛에 대한 유전체 필터를 포함한다. 결합 레이저 빔의 연속적인 감쇠는 0 내지 45도 범위의 유전체 필터의 입사각을 변경함에 의해 얻어진다. 유전체 필터를 구비한 시스템은 248nm 파장에서 90%의 최대 투과율을 나타낼 수 있다.Conventional laser processing generally employs an optical attenuator with a dielectric filter. The relevant component includes a dielectric filter for the neutral optical unit as well as beam attenuation to compensate for any beam displacement. Continuous attenuation of the combined laser beam is obtained by changing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dielectric filter in the range of 0 to 45 degrees. Systems with a dielectric filter can exhibit a maximum transmission of 90% at 248 nm wavelength.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반파장판(half-wave plate)과 브루스터 각(Brewster’s angle)을 통해 편광 이론에 기초한 외부 제어방법에 의해 출력을 안정화하는 출력 안정화 장치(power stabilizer)를 구비한 레이저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an output stabilization device for stabilizing an output by an external control method based on polarization theory through a half-wave plate and Brewster's angle. To provide a laser processing system with a power stabiliz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이저 파장 또는 출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용융 실리카 적층체를 사용하며, 레이저 가공을 위해 액시머 레이저 또는 고출력 UV 레이저 등의 펄스 레이저를 사용하여 초단파장 실행에 적합하며 높은 손상 방지를 나타내는 레이저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fused silica laminate which is not affected by laser wavelength or power, and is suitable for ultra-short wavelength execution and high damage by using pulse laser such as aximmer laser or high power UV laser for laser processing. It is to provide a laser processing system showing pre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팅된 대구경 고출력 레이저 광학 장치, 즉 편광자 대신에 브루스터 윈도우(Brewster window), 즉 한쌍의 코팅되지 않은 용융 실리카를 채용하여 시스템 가격을 낮춘 레이저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ser processing system that lowers the system cost by employing a Brewster window, i.e., a pair of uncoated fused silica, instead of a coated large diameter high power laser optical device, i.e., a polariz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파장판과 고출력 UV 펄스 레이저용 브루스터 윈도우를 사용하여 고 전송 출력 안정화 장치를 PID 제어하여 광학 감쇠시에 광 투자율을 개선한 레이저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ser processing system having improved optical permeability during optical attenuation by PID control of a high transmission power stabilization device using a half-wave plate and a Brewster window for a high power UV pulse lase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레이저 장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스테이지에 부착되며 통과하는 상기 레이저 빔의 입사 각도를 변화시켜 후단에 브루스터 윈도우를 갖는 경우 편광도를 변경시키는 반파장판, 각각 브루스터 각으로 틸팅된 브루스터 원도우(Brewster window)를 구비하고 상기 반파장판을 통하여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편광방향을 변화시켜 통과하는 레이저 빔을 레이저 가공에 이용되는 레이저 빔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용융 실리카판, 및 상기 편광된 빛 중 윈도우를 통과하여 산란된 빛을 광검출기와 피크/샘플 홀드 증폭기를 통하여 수집한 후 수집된 산란된 레이저 신호와 주어진 설정값 사이의 오차를 보상하여 출력의 변동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반파장판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PID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change the polarization degree when having a Brewster window at the rear end by changing the incident angle of the laser device that emits a laser beam, attached to the rotation stage rotatably supported and passing through the laser beam At least 2 having a half-wave plate, each of which has a Brewster window tilted at the Brewster angle and which changes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aser beam incident through the half-wave plate to output the laser beam passing through as a laser beam used for laser processing Fused silica plates, and light scattered through the window of the polarized light through a photodetector and a peak / sample hold amplifier, and then compensates for errors between the scattered laser signal collected and a given set value PID control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half-wave plate to minimize variations It provides a laser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group.

상기 레이저 장치는 펄스 레이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laser apparatus consists of a pulse laser.

또한, 상기 용융 실리카판은 고 투과율이 얻어짐과 동시에 편광도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위치 설정된다.In addition, the fused silica plate is positioned so that a high transmittance is obtained and the loss of polarization degree is minimized.

더욱이, 상기 윈도우 수의 증가에 따라 편광비는 증가한다.Moreover, as the number of windows increases, the polarization ratio increases.

상기 반파장판과 광학축 사이의 각이 0에서 45°로 회전됨에 따라 편광도는 감소한다.As the angle between the half-wave plate and the optical axis is rotated from 0 to 45 °, the degree of polarization decreases.

또한, 상기 윈도우 수의 증가에 따라 편광된 레이저 빔의 출력은 감소하고, 편광도와 광 투과율은 증가한다.In addition, as the number of windows increases, the output of the polarized laser beam decreases, and the polarization degree and the light transmittance increase.

더욱이, 상기 PID 제어기는 PID 제어 알고리즘을 실현하도록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 개인용 컴퓨터(PC)로 구성될 수 있다.Moreover, the PID controller controls to realize the PID control algorithm. It may be configured as a personal computer (PC) on which a program is mounted.

상기 반파장판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스테이지에 부착되며, 상기 PID 제어기는 레이저 빔 출력의 변동을 최소화하도록 모터 제어기를 통하여 모터를 회전 구동함에 의해 상기 회전 스테이지와 반파장판을 회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lf-wave plate is attached to a rotatable stage rotatably supported, and the PID controller preferably drives the rotation stage and the half-wave plate to rotate by rotating the motor through a motor controller to minimize variations in laser beam output. .

상기 수직 편광된 레이저 빔을 수신하는 빔 덤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beam dump for receiving the vertically polarized laser beam.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반파장판(half-wave plate)과 브루스터 각(Brewster’s angle)을 통해 편광 이론에 기초한 외부 제어방법에 의해 출력을 안정화하는 출력 안정화 장치(power stabilizer)를 구비하여 미세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tabilizer for stabilizing the output by an external control method based on polarization theory through a half-wave plate and Brewster's angle. This can be don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 파장 또는 출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용융 실리카 적층체를 사용하며, 레이저 가공을 위해 액시머 레이저 또는 고출력 UV 레이저 등의 펄스 레이저를 사용하여 초단파장 실행에 적합하며 높은 손상 방지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used silica laminate which is not affected by the laser wavelength or power, and is suitable for ultra-short wavelength execution by using a pulse laser such as an aximmer laser or a high power UV laser for laser processing, and prevents high damage. Indicates.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고가의 편광자 대신에 브루스터 윈도우(Brewster window), 즉 한쌍의 코팅되지 않은 용융 실리카를 채용하여 시스템 가격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mploy a Brewster window, i.e., a pair of uncoated fused silica, in place of expensive polarizers to lower the system cos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2는 반파장판의 각이 증가할 때 윈도우의 수와 편광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반파장판의 각이 증가할 때 윈도우의 수와 감쇠된 광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30초 단기간 및 15분 장기간 동안 펄스 레이저의 출력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PID 제어하에서 펄스 레이저의 안정화된 장기간 출력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laser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windows and the polarization angle when the angle of the half-wave plate is increased, Figure 3 is a half-wave plate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windows and the attenuated light transmittance as the angle increases, FIGS. 4 (a) and 4 (b) are graphs showing the variation of the output of the pulsed laser for a short period of 30 seconds and a period of 15 minutes, respectively, 5 is a graph showing stabilized long term output variation of a pulsed laser under PID control.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안정화 장치 및 고출력 UV 펄스 레이저를 위한 광학 부품들을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 시스템은 레이저 장치(10), 출력 안정화 장치(20)와 제어장치(30)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laser processing system including an optical stabilization device and an optical component for a high power UV pulse la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ser device 10, an output stabilization device 20, and a control device 30. It consists of).

상기 레이저 장치(10)는 248nm의 파장을 가진 KrF 액시머 레이저(예를 들어, GAM Laser, EX10)를 사용하며, 최대 펄스 반복률: 300Hz, 펄스폭: 14ns, 평균 출력: 3.2W(100Hz, 13kV) 및 편광비 100:1을 제공한다.The laser device 10 uses a KrF aximmer laser (eg, GAM Laser, EX10) having a wavelength of 248 nm, and has a maximum pulse repetition rate of 300 Hz, a pulse width of 14 ns, and an average power of 3.2 W (100 Hz, 13 kV). ) And polarization ratio 100: 1.

상기 출력 안정화 장치(20)는 반파장판(half-wave plate)(21), 2개의 용융 실리카판(22),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한 광검출기(PD)(23) 및 빔 덤프(beam dump)(24)를 포함하고 있고, 제어장치(30)는 피크/샘플 홀드 증폭기(31), 데이터 포착 보드(DAQ: data acquisition board)(32), 제어부(PC: 33) 및 모터 제어기(34)를 포함하고 있다.The output stabilization device 20 includes a half-wave plate 21, two fused silica plates 22, a photodetector (PD) 23 using a photodiode and a beam dump 24. Controller 30 includes a peak / sample hold amplifier 31, a data acquisition board (DAQ) 32, a controller (PC) 33, and a motor controller 34; have.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가공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전에 시스템에 사용되는 출력 안정화 장치(20)와 제어장치(30)를 설계하는 데 필요한 설계 이론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before describ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aser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 theory required for designing the output stabilization device 20 and the control device 30 used in the system will be described.

1. 편광 이론1. Polarization theory

편광(Polarization)은 전자기파가 진행할 때 파를 구성하는 전기장이나 자기장이 특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편광(polarization)은 어떤 특정한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의 파동으로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이루어진 빛의 전기장의 진동방향을 편광방향이라고 한다. 편광은 태양광선 혹은 램프 등에서와 같이 어떠한 방향성이 없는 비편광 상태와 선형적으로 한쪽 방향만으로 전기장이 진동하는 선형편광(linear polarization), 서로 직교한 방향을 가지고 크기가 같은 선형편광 된 빛의 위상차가 π/2일 경우 발생하는 원형편광(circular polarization), 위상차가 π/4일 경우 발생하는 타원편광(elliptical polarization)이 있다. Polarizati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n electric or magnetic field constituting a wave vibrates in a specific direction when electromagnetic waves progress. Polarization is a wave of light that vibrates only in a certain direction, and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of light composed of an electric field and a magnetic field is called a polarization direction. Polarization is linear polarization in which the electric field oscillates in only one direction and non-polarization state without any direction, such as sunlight or lamp, and phase difference of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the same orthogonal direction Circular polarization occurs when π / 2, and elliptical polarization occurs when phase difference is π / 4.

어떤 편광 상태의 빛이 특정한 입사각으로 입사하면 경계면에서 반사되지 않는데, 이 특정한 입사각을 브루스터 각(Brewster angle, θB)이라 말한다. 이 각도에서는 편광된 빛의 전기장이 입사되는 평면과 나란하기 때문에 반사되지 않고, 이 편광상태의 빛은 수평 편광(p-polarization) 상태이며 빛이 입사된 평면과 수직한 상태로 편광되어 있다면 수직 편광(s-polarization) 상태라고 한다. When light in a polarization state is incident at a specific angle of incidence, it is not reflected at the interface. This particular angle of incidence is referred to as the Brewster angle (θ B ). At this angle, the electric field of the polarized light is not reflected because it is parallel to the incident plane, and the light in this polarized state is horizontally polarized (p-polarization) and is vertically polarized if it is polarized perpendicular to the plane where the light is incident. It is called a s-polarization state.

특정 각도로 설정한 브루스터 각이 적용된 광학 부품을 지나게 되면, 특정 방향으로 편광된 빛만을 투과하면서 출력의 변동이 발생한다. 즉, 편광되지 않은 빛이 브루스터 각으로 어떤 평면에 입사할 때 반사된 빛은 항상 수직 편광(s-polarization)된다.When the optical component is applied to the Brewster angle set at a specific angle, the output fluctuates while transmitting only light polarized in a specific direction. That is, when unpolarized light is incident on a plane at Brewster's angle, the reflected light is always s-polarized.

브루스터 각으로 틸팅된 원도우(window)는 약간의 수직 편광된 빛을 반사하 며 수평 편광된 빛은 반사하지 않는다. 즉, 수직 편광에 대한 이득은 감쇠가 이루어지나 수평 편광에 대한 이득은 감쇠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레이저 출력이 수평 편광이 이루어지게 하며 따라서 윈도우로 인하여 수평 편광에 대한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다.A tilted window at Brewster's angle reflects some vertically polarized light, not a horizontally polarized light. That is, the gain for the vertical polarization is attenuated, but the gain for the horizontal polarization is not attenuated. This allows the laser output to be horizontally polarized so that no loss of horizontal polarization occurs due to the window.

2. 브루스터 윈도우(Brewster window)2. Brewster window

브루스터 윈도우를 사용하면 편광자를 갖는 상황과 비교할 때 편광비는 이론적으로 증가한다. 100:1의 편광비를 가진 레이저가 반파장판과 편광자의 조합에 입사될 때 단지 100:1의 편광비를 나타낸다. 그러나, 만약 동일한 레이저가 반파장판과 브루스터 윈도우의 조합에 입사될 때 100:1보다 더 큰 편광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Using Brewster's window, the polarization ratio theoretically increases when compared to the situation with polarizers. A laser with a polarization ratio of 100: 1 exhibits a polarization ratio of only 100: 1 when incident on a combination of a half wave plate and a polarizer. However, it can be seen that if the same laser is incident on the combination of half-wave plate and Brewster window, the polarization ratio is greater than 100: 1.

이것은 윈도우에서 s-편광된 빛의 반사 때문이며, s-편광(수직 편광)된 빛은 반사율(Rs)로 제1윈도우에서 반사되며 전송된 빛은 제2윈도우에서 동일한 반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될 때 전송된 s-편광된 빛의 양(Ts)은 Ts=(1-Rs)n로 주어지며, 여기서 n은 브루스터 윈도우의 수이다. 따라서, s-편광에 대한 p-편광의 비로 정의되는 편광비(polarization ratio)는 이들 과정을 사용함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This is due to the reflection of the s-polarized light in the window, the s-polarized (vertically polarized) light is reflected in the first window with reflectance R s and the transmitted light has the same reflection in the second window. When this process is repeated, the amount of s-polarized light transmitted (T s ) is given by T s = (1-R s ) n , where n is the number of Brewster windows. Thus, the polarization ratio, defined as the ratio of p-polarized light to s-polarized light, can be increased with these procedures.

3. 편광도(Degree of polarization: 偏光度)3. Degree of polarization (偏光 度)

때때로 편광도(V)의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도(V)는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1
로 정의되고, 여기서 Ip 및 In은 각각 편광된 빛과 편광되지 않은 빛의 구성성분 플럭스 밀도이다. 편광되지 않은 빛은 Ip=0 및 V=0 이며, 반대로 만약 In=0 및 V=1인 경우, 빛은 완전 편광된 것이다. 따라서,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2
이다.Sometimes it is desirable to use the concept of polarization degree (V). The polarization degree (V)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1
Where I p and I n are the constituent flux densities of polarized and unpolarized light, respectively. Unpolarized light is I p = 0 and V = 0 and conversely, if I n = 0 and V = 1, the light is fully polarized. therefore,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2
to be.

이 경우 만약 빔에서 분석기를 회전시키면 전송된 방사도가 Imax의 최대에 도달하는 방위를 알 수 있고, 이 방위에 수직이며 방사도가 최소값, Imin인 방향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Ip=Imax-Imin. 따라서,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3
이다. 편광도(V)는 빛이 임의 종류의 편광자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부분 또는 완전 편광될 수 있는 빔의 성질을 가진다.In this case, if we rotate the analyzer on the beam, we know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mitted radiation reaches the maximum of I max , and we know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is orientation and the minimum, I min . As a result, I p = I max -I min . therefore,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3
to be. The degree of polarization V has the property of a beam that can already be partially or fully polarized before light reaches any kind of polarizer.

상기한 이론에 기초를 두고 존스 매트릭스(Jones matrix)를 이용하여 출력 안정화 장치의 편광도를 모델링할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상기 공식을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에를 들어, 100:1의 편광비를 가진 레이저인 경우, 브루스터 윈도우의 수는 브루스터 윈도우의 수와 편광도 사이의 관계에 일치하여 변경된다. 레이저의 s-편광된 성분의 강도는 레이저가 각각의 브루스터 윈도우를 통과할 때마다 감소하나, p-편광된 성분의 강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편광비의 증가에 더하여 편광도는 브루스터 윈도우가 증가됨에 따라 증가한다.Based on the above theory, the polarization degree of the output stabilization device can be modeled using a Jones matrix. This can basically be explained using the above formula. For example, for a laser with a polarization ratio of 100: 1, the number of Brewster windows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Brewster windows and the degree of polarization. The intensity of the s-polarized component of the laser decreases as each laser passes through each Brewster window, while the intensity of the p-polarized component remains constant. In addition to the increase in polarization ratio, the degree of polarization increases as the Brewster window increases.

하기 표 1은 브루스터 윈도우의 수와 s-편광된 성분(s-pol)의 강도 및 편광 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Table 1 below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Brewster windows and the intensity and polarization degree of the s-polarized component (s-pol).

윈도우의 수Number of windows s-pol의 강도 strength of s-pol 편광도 @ 0 °Polarization degree @ 0 ° 00 0.01 × I0,s 0.01 × I 0, s 0.99000.9900 22 0.0075 × I0,s 0.0075 × I 0, s 0.99250.9925 66 0.0042 × I0,s 0.0042 × I 0, s 0.99580.9958 1010 0.0023 × I0,s 0.0023 × I 0, s 0.99760.9976

여기서, I0,s는 s-편광(s-pol)의 원 강도(original intensity)를 가리킨다.Where I 0, s indicates the original intensity of s-pol.

2개의 브루스터 윈도우를 갖는 장치인 경우 반파장판과 광학축 사이의 각이 0°일 때 편광도는 거의 0.9925로 나타난다.For a device with two Brewster windows, the polarization degree is almost 0.9925 when the angle between the half-wave plate and the optical axis is 0 °.

반파장판의 각이 0 내지 45° 사이에서 변경될 때 p-편광 성분(p-pol)과 s-편광 성분(s-pol)의 강도 또한 일정한 비율로 변경된다. p-pol에 대한 투과율은 1이고 s-pol의 투과율은 브루스터 각에서 0.8651이다. 2개의 브루스터 윈도우인 경우, p-pol에 대한 투과율은 1이고 s-pol의 투과율은 (0.8651)2=0.7484이다. 2개의 브루스터 윈도우인 경우, 원 p-pol 강도(즉, 출력)는 0.99×I0,p이고, 원 s-pol 강도는 레이저가 100:1(p-pol:s-pol)의 편광비를 갖는 사실에 기인하여 0.01×I0,s이다. 반파장판의 각이 0°인 경우 p-pol 강도의 변화는 0.99×I0,p이고, s-pol 강도의 변화는 0.01×0.7484×I0,s이다.When the angle of the half wave plate is changed between 0 and 45 °, the intensities of the p-polarized component (p-pol) and the s-polarized component (s-pol) also change in a constant ratio. The transmission for p-pol is 1 and the transmission for s-pol is 0.8651 at Brewster's angle. For two Brewster windows, the transmission for p-pol is 1 and the transmission for s-pol is (0.8651) 2 = 0.7484. In the case of two Brewster windows, the raw p-pol intensity (i.e. power) is 0.99 × I 0, p and the raw s-pol intensity indicates that the laser has a polarization ratio of 100: 1 (p-pol: s-pol). Due to the fact that it is 0.01 × I 0, s . When the angle of the half-wave plate is 0 °, the change in p-pol intensity is 0.99 × I 0, p and the change in s-pol intensity is 0.01 × 0.7484 × I 0, s .

45°각인 경우 편광상태는 수직에서 수평으로 변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변한다. 원 p-pol의 투과율은 0.01×0.7484×I0,p 이고, s-pol의 투과율은 0.99×I0,s이다. 이러한 가정하에 p-pol 및 s-pol의 강도가 각각의 각도에서 계산될 수 있다.At a 45 ° angle the polarization state changes from vertical to horizontal or vice versa. The transmittance of the original p-pol is 0.01 × 0.7484 × I 0, p and the transmittance of s-pol is 0.99 × I 0, s . Under this assumption, the intensities of p-pol and s-pol can be calculated at each angle.

100:1(p-pol:s-pol)의 편광비를 나타내는 레이저 빔이 출력 안정화 장치를 통과하는 경우 p-pol 강도는 0.99×I0,p×Tp m로부터 하기 수학식 1과 일치하는 값으로 감소한다. 역으로, Ts가 s-pol의 투과율이고 m이 윈도우의 수인 경우 0°에서 0.01ⅹI0,s×Ts m로 설명되는 s-pol 강도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0.0075×I0,s로 증가한다.When a laser beam exhibiting a polarization ratio of 100: 1 (p-pol: s-pol) passes through an output stabilization device, the p-pol intensity corresponds to Equation 1 from 0.99 × I 0, p × T p m Decrease by value. Conversely, when T s is the transmission of s-pol and m is the number of windows, the s-pol intensity, described by 0.01ⅹI 0, s × T s m at 0 °, is 0.0075 × I 0, s according to Equation 2 below. To increase.

Ip=IO,p×(Tp m)×(0.99×cos22θ+0.01×sin22θ)I p = I O, p × (T p m ) × (0.99 × cos 2 2θ + 0.01 × sin 2 2θ)

Is=IO,s×(Ts m)×(0.99×sin22θ+0.01×cos22θ)I s = I O, s × (T s m ) × (0.99 × sin 2 2θ + 0.01 × cos 2 2θ)

여기서, IO,p는 원 p-pol 강도이고, IO,s는 원 s-pol 강도이며, Tp는 p-pol 투과율, Ts는 s-pol 투과율, θ는 반파장판의 각, m은 원도우의 수이다. 여기서, Tp m 및 Ts m은 m 윈도우 이후에 p-편광 성분 및 s-편광 성분의 전송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p-pol 및 s-pol 강도가 계산된 이후에 편광도는 또한 다음과 같이 수학 식 3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Where I O, p is the original p-pol intensity, I O, s is the original s-pol intensity, T p is the p-pol transmittance, T s is the s-pol transmittance, θ is the angle of the half wave plate, m Is the number of windows. Here, T p m and T s m were introduced to explain the transmission of the p-polarized component and the s-polarized component after the m window. After the p-pol and s-pol intensities are calculated, the polarization degree can also be calculated using Equation 3 as follows.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4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4

여기서, (Ip + Is)max는 반파장판의 각이 0°인 경우 축적된 강도를 나타내며, 이는 광학축과 반파장판의 빠른 축이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Ip + Is)θ는 반파장판의 각이 θ인 경우 강도 합(intensity sum)이며, Km은 m 윈도우인 경우 최대 편광도이다. Km은 반파장판의 각이 0°인 경우 브루스터 윈도우의 수와 편광도의 증가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Here, (I p + I s ) max represents the accumulated intensity when the angle of the half wave plate is 0 °, which means that the optical axis and the fast axis of the half wave plate coincide. (I p + I s ) θ is the intensity sum when the angle of the half-wave plate is θ, and K m is the maximum degree of polarization when the m window. K m was introduc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Brewster windows and the increase in polarization degree when the angle of half wave plate is 0 °.

4. 광학 감쇠(Optical Attenuation)4. Optical Attenuation

반파장판(half-wave plate)은 이상파(extraordinary wave)와 정상파(ordinary wave) 사이의 상대적 위상차(phase)가 180°인 위상 지연판이다. 반파장판(half-wave plate)은 선형 편광된 빛과 광축 사이의 각도가 정의되면 그 각도에 따라 빛의 편광 방향을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반파장판과 브루스터 각이 적용된 광학 부품을 이용하면 입사되어 들어오는 선형 편광된 빛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A half-wave plate is a phase retardation plate having a 180 ° relative phase difference between an extraordinary wave and an ordinary wave. The half-wave plate changes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light according to the angle when the angle between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optical axis is defined. Using an optical component with half-wave plate and Brewster angle, you can adjust the output of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최종적으로 나오는 출력은 고정되어 있는 브루스터 각에 의해 결정이 되므로, 출력의 조정에 필요한 선형 편광자로 입사하는 빛의 각도를 변화시켜주게 된다. 이 때 입사하는 빛의 각도를 변화시켜주기 위해 회전이 가능한 반파장판을 브 루스터 각이 적용된 광학 부품의 앞쪽에 위치시킨다. 이렇게 구성되어 출력의 조절이 가능한 장치를 광학 감쇠기(optical attenuator)라 부른다. 광학 감쇠기에 있어서 입사되는 출력과 조정된 출력을 알게 되면 반파장판의 회전 각도를 알 수 있다.The final output is determined by the fixed Brewster's angle, which changes the angle of light incident on the linear polarizer needed to adjust the output. At this time, the rotatable half-wave plate is placed in front of the optical component to which the Brewster angle is applied to change the angle of incident light. A device configured in this way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output is called an optical attenuator. By knowing the incident and adjusted outputs of the optical attenuator,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half-wave plate can be known.

즉, 입사하는 빔이 반파장판의 빠른 축에 대하여 각(θ)을 갖는 경우, 반파장판을 통과한 후 빛의 편광 방향은 2θ만큼 회전된다. 입사 빔이 완전하게 투과하도록 브루스터 윈도우가 정렬된 경우, 반파장판의 추가는 출력이 cos22θ를 종속하도록 하며, 존스 벡터(Jones vector) 및 존스 매트릭스(Jones matrices)로부터 유도된다. 이 경우 θ는 반파장판의 광축과 입사 편광 사이의 각을 말한다. That is, when the incident beam has a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fast axis of the half wave plate, after passing through the half wave plate,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ght is rotated by 2θ. If the Brewster window is aligned so that the incident beam is completely transmitted, the addition of the half wave plate causes the output to be dependent on cos 2 2θ and is derived from Jones vectors and Jones matrices. In this case, θ refers to the angle between the optical axis of the half wave plate and the incident polarization.

말러스의 법칙(Malus' law)은 입사하는 빔이 θ의 각을 갖고 반파장판과 선형편광자를 통과할 때 통과하는 빛의 강도(I)가 I=Iocos22θ에 의해 주어진다는 점을 설명한다. 여기서, IO는 초기 강도이고, θ는 입사 편광과 편광자의 축, 즉 브루스터 윈도우에 대한 대체 사이의 각이다.Malus' law states that the intensity (I) of light passing through an incident beam having an angle of θ and passing through a half-wave plate and linear polarizer is given by I = I o cos 2 2θ. Explain. Where I 0 is the initial intensity and θ is the angle between the incident polarization and the axis of the polarizer, i.e. the substitution for the Brewster window.

따라서, 입사하는 빛의 출력, 즉 강도(IO)와 조정되기를 원하는 빛의 출력, 즉 강도(I)가 결정되면 반파장판의 회전각도(θ)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output of incident light, that is, the intensity I O and the output of the light that is desired to be adjusted, that is, the intensity I, are determined, the rotation angle θ of the half-wave plate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한 기본 이론과 계산에 기초하여 각각의 각에서 강도(즉, 출력)의 감쇠는 상기한 수학식 1 및 2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p-pol 및 s-pol 강도가 계산된 후 편광도가 하기 수학식 4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Further, on the basis of the basic theory and calculations described above, the attenuation of the intensity (i.e. output) at each angle can be derived from Equations 1 and 2 described above. After the p-pol and s-pol intensities are calculated, the degree of polarization may be derived from Equation 4 below.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5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5

5. PID 제어 이론(PID control theory)5. PID control theory

상기한 바와 같이, 펄스 레이저의 출력 변동은 불가피하다. 이것은 공기기 불안정성 및 불안정한 메인 전원을 포함하는 많은 변수에 기인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variation of the pulsed laser is inevitable. This can be attributed to many variables including air instability and unstable mains power.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각각의 새로운 레이저 펄스의 행동을 예측하는 것은 힘든 일이며, 이는 온/오프 제어기와 유사하게 단순한 에러 보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모든 펄스를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액시머 레이저는 단지 수 나노초 지속하는 매우 좁은 펄스폭을 가지는 펄스 레이저의 한 종류이다.For various reasons,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behavior of each new laser pulse,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control all pulses using simple error compensation algorithms, similar to on / off controllers. An excimer laser is a type of pulsed laser with a very narrow pulse width that lasts only a few nanoseconds.

한편, 액시머 레이저의 레이저 펄스 또는 다양한 종류의 펄스 레이저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특정 유형의 흐름을 보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한 에러 보상 알고리즘은 펄스 레이저를 안정화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폐루프 궤환 제어기(closed-loop feedback controller)를 채용하며, PID 제어기를 채용함에 의해 펄스 레이저 출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PID 제어기는 산업 제어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루프 궤환 시스템이다.On the other hand, laser pulses or various kinds of pulse lasers of an aximmer laser show a certain type of flow for a relatively long time. As mentioned above, a simple error compensation algorithm does not work effectively to stabilize the pulsed laser. Therefore, a closed-loop feedback controller is employed, and the pulse laser output can be stabilized by employing a PID controller. PID controllers are a common loop feedback system widely used in industrial control systems.

PID 제어는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의 출력 값을 원하는 설정 값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현재의 출력 값과 설정 값 사이의 오차를 보상하는 제어방식이다. 여기서 PID는 오차의 비례(proportion), 적분(integration), 미분(derivation)을 의미한다.PID control is a control method that compensates for the error between the current output value and the set value in order to control the output value of the target to be controlled to the desired set value. In this case, PID means proportionality, integration, and derivative of an error.

비례 제어에 있어서 제어기의 출력은 현재의 측정 값과 설정 값 사이의 오차에 비례하여 제어를 하며, 측정값과 설정값 사이의 편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제어를 하게 된다. 이때 비례 제어를 위한 비례 상수가 크면, 설정 값으로 접근이 빠르게 되나 외란이 일어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비례 제어만을 사용하게 될 경우 편차가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적분 제어는 비례 제어만을 사용할 경우 편차가 0이 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이를 해결하는 방식의 제어이다. 발생하는 편차를 전체 시간에 걸쳐 적분함으로써 결국 편차가 0이 되도록 한다. In proportional control, the output of the controller is controlled in proportion to the error between the current measured value and the set value, and is controlled in a direction to reduce the deviation between the measured value and the set value. At this time, if the proportional constant for the proportional control is larg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access to the set value is quick, but disturbance occurs,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eviation is continuously present when only the proportional control is used. Integral control is a control method that solves this problem because the deviation cannot be zero when only proportional control is used. By integrating the deviation that occurs over the entire time, the deviation is finally zero.

비례 제어와 함께 사용하면 비례-적분 제어이며, 비례 제어를 통하여 빠르게 원하는 목표 값으로 이동하고, 적분 제어를 통해 비례 제어 자체가 가진 편차를 없애는 방식이 된다. 미분 제어는 비례 제어와 적분 제어를 하는데 있어서 응답 성능이 나빠질 수 있는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외란에 대한 편차를 보고, 전회의 편차와의 차가 큰 경우에는 조작량을 많이 하여 기민하게 반응하도록 하는 방식이다.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proportional control, proportional-integral control is used to quickly move to a desired target value through proportional control and eliminate the deviation of proportional control itself through integral control. Derivative control is a way to report the deviation of disturbanc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poor response performance in proportional control and integral control, and to react quickly with a large amount of manipulation when the difference with the previous deviation is large.

m이 제어기의 출력일 때 PID 알고리즘의 최종 형태는 하기 수학식 5로 표현된다.When m is the output of the controller, the final form of the PID algorithm is expressed by Equation 5 below.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6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6

여기서 Kp는 비례 이득, Ki는 적분 이득, Kd는 미분 이득, Xsp는 목표값, x는 측정값이다.Where K p is the proportional gain, K i is the integral gain, K d is the derivative gain, X sp is the target value, and x is the measured value.

PID 제어 이론에 따라 목표값과 확장된 기간을 넘어스 측정된 데이터 사이의 오차가 계산될 수 있으며, 후속된 기간 동안 제어기에 의해 제공된 정정도가 결정된다.According to the PID control theory, the error between the target value and the measured data over the extended period can be calculated, and the correction provided by the controller for the subsequent period is determined.

PID 제어기를 사용하여 펄스 레이저 출력 안정화를 위한 알고리즘을 구성하기 위하여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말러스의 법칙(Malus' law)을 사용하여 각(θ)을 제어한다. 일반적인 상기한 PID 제어 수학식 5 및 말러스 법칙, 즉 I=Iocos22θ로부터 반파장판의 회전각(θ)은 하기 수학식 6으로 표현된다.To construct an algorithm for pulse laser output stabilization using a PID controller, the angle (θ) is controlled using Malus' law that affects the output. Typical aforementioned PID control equation (5) and the end Russ law, that is, rotation of the half wave plate from I = I o cos 2 2θ angle (θ)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6).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7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7

여기서, θn은 n번째 스탭에서의 회전각이고, y는 제어된 출력이다. 비례 제어인 경우 단지 KS만이 회전각(θ)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Where θ n is the rotation angle at the nth step and y is the controlled output. In case of proportional control only K S is used to calculate the rotation angle θ.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8
Figure 112009059532726-PAT00008

6. 시스템 동작 설명6. Description of system operation

이하에 상기한 설계 이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레이저 가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출력 안정화 장치(20)와 제어장치(3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output stabilization apparatus 20 and the control apparatus 30 which comprise the laser processing system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elow based on the design theory mentioned above.

본 발명의 레이저 가공 시스템에서 제어장치(30)는 PID 제어 알고리즘을 구성하도록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 제어부(PC)(33)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 부(33)는 주지된 범용 개인용 컴퓨터(PC)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제어 프로그램이 로딩됨에 따라 PID 제어기를 형성한다.In the laser process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30 controls to configure a PID control algorithm. The program includes a control unit (PC) 33 mounted thereon, and the control unit 33 can be implemented using a well-known general purpose personal computer (PC) and forms a PID controller as the control program is loaded.

상기 제어부(33)는 출력 안정화 장치(20)의 광검출기(PD)(23)를 통하여 피크/샘플 홀드 증폭기(31)로부터 데이터가 포착되면, 데이터 포착 보드(DAQ)(32)를 통하여 제어부(33)로 입력된다.When the data is captured from the peak / sample hold amplifier 31 through the photodetector (PD) 23 of the output stabilization device 20, the controller 33 controls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data acquisition board (DAQ) 32. 33).

상기 제어부(33)는 PID 제어기로서 제어를 수행하며 모터 제어기(34)를 통하여 상기 반파장판(21)이 부착되어 있는 회전 스테이지를 회전 구동하도록 모터(M: 25)를 계산된 값으로 회전 구동한다.The control unit 33 performs the control as a PID controller and drives the motor M 25 to the calculated value so as to drive the rotation stage to which the half-wave plate 21 is attached through the motor controller 34. .

레이저 장치(10)로부터 발사된 레이저 빔은 모터(25)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반파장판(HWP: half-wave plate)(21)과 브루스터 윈도우(Brewster windows)를 통과한 후, 윈도우를 넘어서 산란된다. 산란된 빔은 광검출기(PD)(23)에 의해 수집되어 피크/샘플 홀드 증폭기(31) 내에서 16ns 동안 축적된다. 결과 데이터는 데이터 포착 보드(DAQ)(32)를 통하여 제어부(33), 즉 PID 제어기의 입력으로서 역할을 한다.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device 10 passes through a half-wave plate (HWP) 21 and Brewster windows, which are rotationally driven by the motor 25, and then scattered beyond the window. . The scattered beam is collected by the photodetector (PD) 23 and accumulated for 16 ns in the peak / sample hold amplifier 31. The resulting data serves as input to the controller 33, i.e., the PID controller, via the data acquisition board (DAQ) 32.

PID 제어기는 근본적으로 피크/샘플 홀드 증폭기(31)로부터 수집된 산란된 레이저 신호와 주어진 설정점 사이의 에러를 보상한다. 이러한 결과는 모터(25)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스테이지가 계산된 각만큼 반파장판(21)을 회전시킨다.The PID controller essentially compensates for the error between the scattered laser signal collected from the peak / sample hold amplifier 31 and a given set point. This result rotates the half wave plate 21 by the angle at which the rotation stage rotated by the motor 25 is calculated.

상기 출력 안정화 장치(20)는 회전 스테이지에 부착된 반파장판(21)과 0.5mm 두께의 적층된 용융 실리카판(Fused silica)(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파장판(21)은 출력의 제어를 위해 회전 스테이지에 부착되며 회전 스테이지는 모터 제어기(34)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M: 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output stabilization device 20 is composed of a half-wave plate 21 attached to the rotating stage and a laminated fused silica plate 22 of 0.5 mm thickness. The half-wave plate 21 is attached to the rotating stage for control of the output and the rotating stage is rotatably supported by a motor M 25 controlled by the motor controller 34.

상기한 구조를 갖는 광학 시스템에서, 우선 레이저 장치(10)로부터 발사된 레이저 빔은 반파장판(21)을 통과하면서 위상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 레이저 빔은 편광자를 대신하여 설치되며 브루스터 윈도우가 적용된 2개의 용융 실리카판(22)에 광축에 대하여 브루스터 각으로 입사되어 p-편광 및 s-편광으로 분리된다. 상기 분리된 p-편광 및 s-편광 중에서 레이저 가공을 위하여 사용되는 광은 수평 편광, 즉 p-편광된 것이며 따라서, 출력의 안정화는 수평 편광 성분에 대하여 PID 제어 방법에 따라 이루어진다.In the optical system having the above structure, first,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device 10 passes through the half-wave plate 21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This laser beam is installed in place of the polarizer and is incident on the two fused silica plates 22 to which the Brewster window is applied at a Brewster angl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and separated into p-polarized light and s-polarized light. The light used for laser processing among the separated p- and s-polarized light is horizontally polarized, i.e., p-polarized, and therefore, stabilization of the output is made according to the PID control method for the horizontally polarized component.

즉, 2개의 용융 실리카판(22)은 고 투과율이 얻어짐과 동시에 편광도(degree of polarization)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펄스 레이저 출력은 PID 제어에 의해 p-편광 성분을 제어함에 의해 안정화가 이루어진다.That is, the two fused silica plates 22 are positioned so that a high transmittance is obtained and at the same time minimizes the loss of degree of polarization. The pulsed laser output is stabilized by controlling the p-polarized component by PID control.

회전 스테이지, 즉 모터의 회전 정밀도는 펄스당 0.005도이고 최대 회전속도는 1초당 30도이다. 데이터는 응답시간 10ns인 광검출기(23)에 의해 산란된 광을 수신하여 얻어진다.The rotational precision of the rotating stage, ie the motor, is 0.005 degrees per pulse and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is 30 degrees per second. Data is obtained by receiving the light scattered by the photodetector 23 having a response time of 10 ns.

한편, 펄스 레이저의 출력 제어를 위해서는 각 펄스의 출력을 측정해야 하는데 펄스 레이저의 펄스폭(pulse width)은 일반적으로 나노 초 단위로 짧으며, 그 시간 동안 첨두 출력(peak intensity)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각 펄스 레이저의 첨두 출력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피크/샘플 홀드 증폭기(Peak and sample hold amplifier)(31)를 이용하여야 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pulsed laser, the output of each pulse should be measured. The pulse width of the pulsed laser is generally short in nanoseconds, and during the tim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peak intensity. it's difficult. Therefore,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the peak power of each pulsed laser, a peak and sample hold amplifier 31 should be used.

피크/샘플 홀드 증폭기(31)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펄스 신호 중에서 단위 시간 동안 가장 큰 신호를 잡아주는 전자 장치이다. 나노 초의 펄스폭을 갖는 레이저 의 펄스는 실제로 가우시안 형태를 갖는다. 이 때 피크/샘플 홀드 증폭기(31)에 이 신호를 입력하면, 단위 시간 동안 가장 큰 신호를 잡아서 원하는 지연 시간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때의 신호 최대값은 레이저의 출력 최대값과 같은 값을 갖기 때문에, 데이터 획득이 용이하다. 상기 피크 샘플 증폭기(31)는 1~16ms의 단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The peak / sample hold amplifier 31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grabs the largest signal among unit pulse signals from outside. The pulse of a laser with a pulse width of nanoseconds actually has a Gaussian form. At this time, when the signal is input to the peak / sample hold amplifier 31, the largest signal can be caught for a unit time to have a desired delay time. Since the signal maximum value at this time has the same value as the laser output maximum value, data acquisition is easy. The peak sample amplifier 31 may set a unit time of 1 to 16 ms.

7. 실험방법7. Experiment Method

2개의 브루스터 윈도우를 사용하여 PID 제어 알고리즘에 기초한 펄스 레이저 출력 안정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적절한 광학 감쇠가 일어났다.Two Brewster windows were used to attempt pulse laser power stabilization based on the PID control algorithm. As a result, proper optical attenuation occurred.

이러한 방법에 기초하여 PID 제어 중 비례 제어만 사용하며 비례 이득(Kp)을 5로 설정하여 PID 제어를 사용하여 출력 안정화를 시도하였다.Based on this method, only proportional control is used among the PID controls, and the proportional gain (Kp) is set to 5 to attempt output stabilization using the PID control.

15분 동안 레이저 자체의 출력 변동을 수행하고, 상기의 PID 제어를 통해 펄스 레이저의 출력 변화를 안정화하였다. 또한, 상기한 편광 원리에 기초하여 광학 감쇠를 시도하였다.The output variation of the laser itself was performed for 15 minutes, and the change of output of the pulsed laser was stabilized through the PID control. In addition, optical attenuation was attempt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polarization principle.

8. 실험결과8. Experimental Results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가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출력 안정화 장치(20)와 제어장치(30)의 동작을 상기한 실험결과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output stabilization device 20 and the control device 30 constituting the laser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8.1 편광도 및 광학 감쇠 모델링8.1 Polarization and Optical Attenuation Modeling

상기한 수학식 1 내지 4를 사용하면 편광도 및 상이한 수의 브루스터 윈도우에 대한 강도의 감쇠를 모델링할 수 있다.Equations 1 through 4 above can be used to model polarization and attenuation of intensity for different numbers of Brewster windows.

도 2는 반파장판의 각과 편광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결과는 편광도는 반파장판이 특히 0°에서 45°로 회전됨에 따라 감소하며, 수직방향의 선형 편광으로부터 수평방향의 선형 편광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또한 소정 각도에서 윈도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편광도는 더욱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2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gle of the half-wave plate and the degree of polarization. The results of FIG. 2 show that the degree of polarization decreases as the half-wave plate is rotated, in particular from 0 ° to 45 °, and changes from linear polariz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linear polariz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vice versa. 2 also shows that the degree of polarization decreases more rapidly as the number of windows at an angle increases.

도 3은 반파장판이 0°에서 45°로 회전됨에 따라 레이저의 광 투과율이 감쇠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으로부터 소정 각도에서 윈도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레이저의 광 투과율은 더욱더 급격하게 감쇠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비록 출력 안정화 장치가 레이저의 광 투과율을 감쇠시킬지라도 그것은 또한 편광도를 변경시킨다.3 shows that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laser is attenuated as the half-wave plate is rotated from 0 ° to 45 °. 3 shows that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laser is attenuated more rapidly as the number of windows increases at a predetermined angle. Although the output stabilization device attenuates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laser, it also changes the degree of polarization.

도 2 및 도 3으로부터 2개의 브루스터 윈도우 및 45°의 반파장판을 사용하는 경우 편광도는 14.11%로 변하며, 광 투과율은 24.72%만큼 감쇠된다. 6 브루스터 윈도우인 경우 편광도는 40.15%로 변하며, 광 투과율은 57.25%만큼 감쇠된다. 10 브루스터 윈도우인 경우 편광도는 60.79로 변하며, 광 투과율은 75.57%만큼 감쇠된다.Using two Brewster windows and a 45 ° half-wave plate from FIGS. 2 and 3 the polarization degree changes to 14.11% and the light transmittance is attenuated by 24.72%. In the six Brewster windows, the degree of polarization changes to 40.15% and the light transmittance is attenuated by 57.25%. For 10 Brewster windows, the degree of polarization changes to 60.79 and the light transmittance is attenuated by 75.57%.

따라서, 레이저 빔 가공 분야의 종사자는 브루스터 윈도우를 사용하며 고 출력 UV 레이저에 대한 광학 부품을 설계할 때 레퍼런스로서 이 결과를 사용할 수 있다.Thus,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laser beam processing use Brewster windows and can use this result as a reference when designing optical components for high power UV lasers.

8.2 레이저 출력 안정화 8.2 Laser Power Stabilization

펄스 레이저 출력 안정화 장치의 광 투과율(Optical transmission)을 계산한 결과, 레이저 빔은 출력 안정화 장치에 입력되기 전에 0.33mW의 출력을 갖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출력 안정화 장치를 통과한 후 레이저는 반파장판이 0°인 경우 0.32mW의 출력을 나타내었다.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optical transmission of the pulse laser power stabilization device, the laser beam was set to have an output of 0.33 mW before being input to the power stabilization device. After passing through the power stabilization device, the laser showed an output of 0.32mW when the half-wave plate was 0 °.

광 투과율은 96.97%로 계산되었으며, 이는 종래의 출력 안정화 장치 또는 광학 감쇠기와 비교하여 이점이 있다.The light transmittance was calculated to be 96.97%, which is an advantage compared to conventional power stabilizers or optical attenuators.

8.3 출력 안정화(Power stabilization)8.3 Power stabilization

도 4의 (a) 및 (b)는 각각 30초 및 15분 동안 액시머 레이저의 펄스 변동을 나타낸다. 도 4(a)는 펄스 레이저의 단시간 변화를 타나내며: 여기에는 펄스가 추종하는 어떤 경향의 증거도 없다. 한편, 도 4b의 장시간 흐름은 장시간 행동으로 여겨지며, 펄스 레이저 출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PID 제어가 필요하다.4 (a) and 4 (b) show the pulse variation of the excimer laser for 30 seconds and 15 minutes, respectively. 4 (a) shows a short time change of the pulsed laser: there is no evidence of any trend that the pulse follows. On the other hand, the long time flow of FIG. 4B is regarded as a long time action, and PID control is required to control the pulse laser output.

레이저 자체의 출력 변동을 120, 150 및 180 Hz의 펄스 반복률로 출력 안정화 이후의 변동과 비교하였다. 도 5에는 180Hz에서 안정화된 출력의 변동을 나타내며, 출력 변동률은 도 4와 비교할 때 2.73%에서 0.97%로 향상되었다.The fluctuations in the power of the laser itself were compared with the fluctuations after output stabilization at pulse repetition rates of 120, 150 and 180 Hz. 5 shows the fluctuation of the output stabilized at 180 Hz, and the output fluctuation rate was improved from 2.73% to 0.97% when compared to FIG. 4.

120Hz인 경우 자유 런닝 레이저의 출력 변동은 2.78%에 달하나, 안정화된 레벨은 0.92%이다. 이는 출력 안정화 장치가 66.91% 만큼 변동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암시한다. 150Hz인 경우 자유 런닝 레이저의 출력 변동은 2.92%에 달하나, 안정화된 레벨은 0.94%로서, 67.81%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평균적으로 자유 런닝 레이저의 RMS 안정도는 2.81%이고, 안정화된 레이저의 RMS 안정도는 0.94%로서 약 66.55% 개선이 이루어졌다.At 120Hz, the free running laser's output variation is 2.78%, but its stabilized level is 0.92%. This suggests that the output stabilizer can improve the variation by 66.91%. At 150Hz, the free running laser's output variation is 2.92%, but the stabilized level is 0.94%, an improvement of 67.81%. On the average, the RMS stability of the free running laser is 2.81% and the RMS stability of the stabilized laser is 0.94%, an improvement of about 66.55%.

8.4 광학 감쇠(Optical attenuation)8.4 Optical Attenu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 안정화 장치는 반파장판의 각도를 회전시킴에 의해 광학 감쇠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최대 및 최소 출력은 상이한 펄스 반복률로 광학축과 반파장판의 빠른 축 사이의 각을 제어함에 의해 측정되었다.As mentioned above, the output stabilization device can be used as an optical attenuator by rotating the angle of the half wave plate. Maximum and minimum outputs were measured by controlling the angle between the optical axis and the fast axis of the half wave plate at different pulse repetition rates.

150Hz에서 레이저 빔은 출력 안정화 장치에 입력되기 전에 0.33mW의 출력을 나타내었다. 안정화 장치를 통과한 후, 레이저는 반파장판의 각도(θ)가 0°일 때 0.32mW의 출력을 나타냈고, 45°일 때 0.21mW의 출력을 나타냈다. 측정된 출력으로부터 광학 감쇠가 계산되었다. 이로부터 출력 안정화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150Hz에서 65.63%의 감쇠된 광 투과율이 얻어졌다.At 150 Hz, the laser beam showed an output of 0.33 mW before being input into the output stabilizer. After passing through the stabilizing device, the laser showed an output of 0.32 mW when the angle? Of the half-wave plate was 0 ° and an output of 0.21 mW when 45 °. The optical attenuation was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output. This resulted in attenuated light transmission of 65.63% at 150 Hz when using an output stabilization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고출력 UV 펄스 레이저 환경에서 브루스터 윈도우를 사용하여 고 투과율 출력 안정화 장치 및 광학 감쇠기를 구현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igh transmittance power stabilization device and an optical attenuator are implemented using Brewster windows in a high power UV pulse laser environment.

편광 광학장치와 같은 대중적인 고출력 UV 레이저 광학장치가 없는 경우 브루스터 윈도우는 우수한 대체물이 될 수 있다. 브루스터 윈도우의 수를 변화시킴에 의해 편광도와 광학 감쇠를 모델링하는 것을 제안하였다.In the absence of popular high power UV laser optics, such as polarized optics, Brewster windows can be a good substitute. It is proposed to model polarization and optical attenuation by varying the number of Brewster windows.

본 발명은 PID 제어에 의해 레이저 가공 시스템의 출력을 안정화하여 미세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레이저 가공 시스템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aser processing system that can be finely processed by stabilizing the output of the laser processing system by PID contro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laser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반파장판의 각이 증가할 때 윈도우의 수와 편광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windows and the polarization angle as the angle of the half-wave plate increases;

도 3은 반파장판의 각이 증가할 때 윈도우의 수와 감쇠된 광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windows and the attenuated light transmittance as the angle of the half-wave plate increases;

도 4(a) 및 도 4(b)는 각각 30초 단기간 및 15분 장기간 동안 펄스 레이저의 출력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 4 (a) and 4 (b) are graphs showing the variation of the output of the pulsed laser for a short period of 30 seconds and a period of 15 minutes, respectively,

도 5는 PID 제어하에서 펄스 레이저의 안정화된 장기간 출력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howing stabilized long term output variation of a pulsed laser under PID control.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레이저 장치 20: 출력 안정화 장치10: laser device 20: power stabilization device

21: 반파장판 22: 용융 실리카21: half-wave plate 22: fused silica

23: 광검출기 24: 빔 덤프23: photodetector 24: beam dump

30: 제어장치 31: 피크/샘플 홀드 증폭기30: Control Unit 31: Peak / Sample Hold Amplifier

32: DAQ 33: 제어부(PC)32: DAQ 33: Control Unit (PC)

34: 모터 제어기 25: 모터34: motor controller 25: motor

Claims (10)

펄스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레이저 장치, A laser device for emitting a pulsed laser beam, 통과하는 상기 레이저 빔의 입사 각도를 변화시켜 후단의 브루스터 윈도우에 대한 편광도를 변경시키는 반파장판, Half-wave plate for changing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laser beam passing through to change the degree of polarization of the Brewster window of the rear stage, 각각 브루스터 각으로 틸팅된 브루스터 원도우(Brewster window)를 구비하고 상기 반파장판을 통하여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편광방향을 변화시켜 통과하는 레이저 빔을 레이저 가공에 이용되는 레이저 빔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용융 실리카판, 및 At least two fused silicas each having a Brewster window tilted at Brewster's angle and changing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aser beam incident through the half-wave plate to output the laser beam passing through the laser beam used for laser processing. Plate, and 상기 편광된 빛 중 윈도우를 통과하여 산란된 빛을 광검출기와 피크/샘플 홀드 증폭기를 통하여 수집한 후 수집된 산란된 레이저 신호와 주어진 설정값 사이의 오차를 보상하여 출력의 변동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반파장판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PID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시스템.The light scattered through the window of the polarized light is collected through a photodetector and a peak / sample hold amplifier, and then the half wave is compensated for minimizing the variation of the output by compensating an error between the collected scattered laser signal and a given set value. A laser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PID controller for rotationally driving a floor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이저 장치는 펄스 레이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시스템.And said laser device comprises a pulsed las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융 실리카판은 고 투과율이 얻어짐과 동시에 편광도의 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위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시스템.And the fused silica plate is positioned to minimize loss of polarization while at the same time obtaining high transmittan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윈도우 수의 증가에 따라 편광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시스템.And a polarization ratio increases as the number of windows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반파장판과 광학축 사이의 각이 0에서 45°로 회전됨에 따라 편광도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시스템.And a degree of polarization decreases as the angle between the half-wave plate and the optical axis is rotated from 0 to 45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어도 2개의 용융 실리카판은 제1 및 제2 용융 실리카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용융 실리카판은 제1 용융 실리카판에 의해 위치 이동된 빔경로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시스템.And said at least two fused silica plates are comprised of first and second fused silica plates, said second fused silica plates compensating for beam paths moved by said first fused silica plat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PID 제어기는 PID 제어 알고리즘을 실현하도록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 신호처리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시스템.The PID controller controls to realize the PID control algorithm Laser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signal processing device equipped with a progra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펄스 레이저 출력은 PID 제어에 의해 수평 편광 성분을 제어함에 의해 안정화가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시스템.And the pulsed laser output is stabilized by controlling the horizontal polarization component by PID contro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융 실리카판은 상기 반파장판을 통하여 입사되는 레이저 빔을 수직 및 수평 편광시키고, 수평 편광되어 통과하는 레이저 빔을 레이저 가공에 이용되는 레이저 빔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시스템.And the fused silica plat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polarizes a laser beam incident through the half-wave plate, and outputs a laser beam passing through the horizontally polarized light as a laser beam used for laser process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반파장판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스테이지에 부착되며,The half-wave plate is attached to a rotating stage rotatably supported, 상기 PID 제어기는 레이저 빔 출력의 변동을 최소화하도록 모터 제어기를 통하여 모터를 회전 구동함에 의해 상기 회전 스테이지와 반파장판을 회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시스템.And the PID controller rotates the rotating stage and the half-wave plate by rotating the motor through the motor controller to minimize the variation of the laser beam output.
KR1020090091837A 2009-09-28 2009-09-28 Laser machining system having high transmission power stabilizer and optical attenuator KR1011135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837A KR101113588B1 (en) 2009-09-28 2009-09-28 Laser machining system having high transmission power stabilizer and optical attenu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837A KR101113588B1 (en) 2009-09-28 2009-09-28 Laser machining system having high transmission power stabilizer and optical attenu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338A true KR20110034338A (en) 2011-04-05
KR101113588B1 KR101113588B1 (en) 2012-02-22

Family

ID=4404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837A KR101113588B1 (en) 2009-09-28 2009-09-28 Laser machining system having high transmission power stabilizer and optical attenu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58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766B1 (en) * 2012-05-03 2014-04-2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machining center for CNC laser machining
KR101491659B1 (en) * 2013-02-01 2015-02-11 참엔지니어링(주)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defect on substrate using laser
US10347484B2 (en) 2015-08-25 2019-07-09 Samsung Display Co., Ltd. Laser crystallizing apparatus
KR20210117646A (en) * 2020-03-19 2021-09-29 한국광기술원 Laser Vacuum Welding Device
CN115241727A (en) * 2022-09-23 2022-10-25 济南邦德激光股份有限公司 Laser control method, laser and lase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322B1 (en) 2015-09-30 2022-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olarization module and laser irradi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069B1 (en) * 1992-11-25 199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Second harmonic generator
JPH10134390A (en) * 1996-10-31 1998-05-22 Sony Corp Laser beam controller and its method
JP2005019428A (en) * 2003-06-23 2005-01-20 Orc Mfg Co Ltd Laser
KR20070038347A (en) * 2005-10-05 2007-04-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Light source having brewster plate polarizer in the immersion lithography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766B1 (en) * 2012-05-03 2014-04-2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machining center for CNC laser machining
KR101491659B1 (en) * 2013-02-01 2015-02-11 참엔지니어링(주)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defect on substrate using laser
US10347484B2 (en) 2015-08-25 2019-07-09 Samsung Display Co., Ltd. Laser crystallizing apparatus
KR20210117646A (en) * 2020-03-19 2021-09-29 한국광기술원 Laser Vacuum Welding Device
CN115241727A (en) * 2022-09-23 2022-10-25 济南邦德激光股份有限公司 Laser control method, laser and las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588B1 (en)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588B1 (en) Laser machining system having high transmission power stabilizer and optical attenuator
US8135050B1 (en) Automated polarization correction
CN104380544B (en) Carbon dioxide laser with fast power control
WO2013008772A1 (en) Pulse laser oscill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ulse laser oscillation
JP4162876B2 (en) Laser equipment
US20060159151A1 (en) Device for switching a laser beam, laser machining device
WO1994027183A1 (en) Frequency-converting laser system and power control therefor
US20120243565A1 (en) Master oscillator, laser system, and laser light generation method
JP2007093643A (en) Optical level controller and its control method, and laser appl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JP2018518834A (en) Spectral feature control of pulsed light beam
US11796889B2 (en) Frequency conversion arrangement for optimising properties of a harmonic of a laser
US8553311B2 (en) Method for accomplishing high-speed intensity variation of a polarized output laser beam
TW202135966A (en) Wavelength conversion laser apparatus and wavelength conversion laser processing machine
TWI738675B (en) Polariser arrangement, euv radi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linear polarisation of a laser beam
JP2014103287A (en) Solid-state laser device
KR101996670B1 (en) Transverse adjustable laser beam restrictor
JPH09197302A (en) Light intensity controller
JP2013021133A (en) Attenuator for laser and laser generator
JP2003124552A (en) Laser beam branching device and laser machining method
CN108526711B (en) Method for improving nanosecond pulse width ultraviolet laser cutting
JP2005026381A (en) Laser device
JP2007275908A (en) Laser machining apparatus
JP2000252570A (en) Wavelength converting solid-state laser device
Lee et al. A high transmission power stabilizer using brewster window for a UV pulsed laser in long-term drift
JP2002336980A (en) Laser beam machining method and it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